KR20180078789A - The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For Vehicle - Google Patents

The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789A
KR20180078789A KR1020160183922A KR20160183922A KR20180078789A KR 20180078789 A KR20180078789 A KR 20180078789A KR 1020160183922 A KR1020160183922 A KR 1020160183922A KR 20160183922 A KR20160183922 A KR 20160183922A KR 20180078789 A KR20180078789 A KR 20180078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electromagnetic field
air passage
cas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9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94617B1 (en
Inventor
김부섭
이창수
윤부용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617B1/en
Publication of KR20180078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78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6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2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comprises: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for wirelessly charging an electronic device; a control boar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a hous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by accommodating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and the control board therein; a fan for generating wind; an air flow guide unit for distributing air into the layers, and discharging the same 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by the generated wind; and an air outlet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layer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Description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The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For Vehic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냉각 및 방출할 수 있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effectively cooling and discharging heat generated therein.

무선 충전이란, 전력 송신 장치가 전력 공급이 필요한 전력 수신 장치에게 전력을 공급하는데, 상기 전력 송신 장치와 상기 전력 수신 장치가 상호 유선 연결을 할 필요 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상호간 송수신 할 수 있는 기술을 말한다. 핸드폰,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에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를 휴대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미리 상기 배터리에 전력을 충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유선으로 외부 전원과 연결하여 충전하였으나, 최근에는 무선으로 충전하는 방식이 상용화되면서 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Wireless charging refers to a technique whereby a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supplies power to a power receiving apparatus that requires power supply, and the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and the power receiving apparatus can transmit and receive power to each other wirelessly without having to make a wired connection with each other .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cell phones, smart phones, PDAs, and tablets have built-in batteries. In order to use the battery, it is necessary to charge the battery beforehand. Therefore, in the related art, although the wired connection is made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power source, in recent years, a wireless charging method has been commercialized, and technical development thereof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일반적으로 무선 충전 기술에는 크게 자기 유도 방식과 자기 공명 방식 등이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전력 송신 장치 내부의 전기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고, 자기 공명 방식은 전력 송신 장치 내부의 전기 흐름에 의해 일정한 공명 주파수가 발생하면, 상기 공명 주파수가 일치하는 전력 수신 장치에 전력을 실어 전송하는 것이다.Generally, wireless charging technology includes magnetic induction method and magnetic resonance method.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utilizes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phenomenon generated by the electric flow inside th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device. When the magnetic resonance method generates a constant resonance frequency by the electric flow inside the electric power transmission device, The device is powered by power.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휴대용 전자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때에는,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서 전자기장이 발생한다. 그런데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상당히 많은 열이 발생한다. 그리고,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내부에는 많은 전자 소자들이 있으며, 이러한 전자 소자들은 주위의 열에 의해 내부가 손상되거나 변형되기가 쉽다. 따라서, 무선 충전 기술에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냉각 및 방출하는 것이 중요하다.When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wirelessly charges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 electromagnetic field is generated as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However, when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a considerable amount of heat is generated. There are many electronic elements in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these electronic elements are liable to be damaged or deformed by the surrounding heat.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he wireless charging technique to efficiently cool and discharge the heat generated insid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특히, 최근에는 차량 내에서도 전자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런데 차량의 내부는 밀폐된 공간으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집이나 사무실 등 넓은 공간에 존재할 때와 달리, 차량의 내부에 있을 때에는 방열 효율이 상당히 저조한 문제가 있었다.In particular, in recent years, a technology for wirelessly charging an electronic device in a vehicle has been proposed. However, the inside of the vehicle is a closed space, and unlike the case w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located in a large space such as a house or an office, there is a problem that heat radiation efficiency is extremely low when the vehicle is inside the vehicle.

한국특허등록 제1561471호Korean Patent No. 1561471 한국공개공보 제2016-0028910호Korean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02891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자 기기를 충전하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용이하게 냉각 및 방출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that is installed in a vehicle to charge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easily cool and emit heat generated in the vehicl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는 전자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시키는 전자기장 생성 보드;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거나 상기 전자기장 생성 보드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 보드; 상기 전자기장 생성 보드 및 상기 제어 보드를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복수의 층으로 분할되는 하우징; 바람을 발생시키는 팬; 상기 발생된 바람에 의해 공기가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면, 상기 공기를 상기 복수의 층마다 배분하여 배출하는 공기 유동 가이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층으로 유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of a vehicle, compri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for wirelessly charging an electronic device; A control boar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A hous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by accommodating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and the control board therein; A fan generating wind; An air flow guide part for distributing and discharging the ai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by the generated wind; And an air outlet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layer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공기 유동 가이드부는, 복수의 공기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는, 상기 복수의 층에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통로 배출구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층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공기 통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된다.The air flow guide por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air passages,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including an air passage outlet for discharging air to the plurality of layers,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including at least one And air discharged through the air passage outlet is introduced.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는, 일렬로 나열되어 형성된다.Further,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are formed in a line.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 중에서 중앙에 위치한 공기 통로는, 나머지 공기 통로보다 단면적이 넓다.In addition, the air passag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is wider than the remaining air passage.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 중에서, 상기 공기를 상기 전자기장 생성 보드의 상면으로 향하도록 유동시키는 공기 통로는, 나머지 공기 통로보다 단면적이 넓다.Further, among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the air passageway for flowing the air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is larger in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remaining air passageways.

또한, 상기 공기 배출구는, 각각의 공기 통로 배출구보다 단면적이 넓다.Further, the air outlet is larger in cross-sectional area than each air outlet.

또한,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팬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을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fan housing attached to a lower end of the housing to receive the fan.

또한, 상기 팬 하우징은, 복수의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Further, the fan housing includes a plurality of air passages.

또한, 상기 팬 하우징의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는, 상기 공기 유동 가이드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통로 배출구를 각각 포함한다.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of the fan housing each include an air passage outlet for discharging air to the air flow guide portion.

또한, 상기 팬 하우징의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의 상기 공기 통로 배출구는, 상기 공기 유동 가이드부의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통로 유입구와 연결된다.The air passage outlet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of the fan housing is connected to an air passage inlet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of the air flow guide portion.

또한,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 전부 또는 일부의 상기 일측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폐쇄한다.Further,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are opened at one side, and the housing closes all or a part of the one side of all or a part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또한, 상기 개방된 일측면 중에서, 상기 격벽에 폐쇄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의 배출구가 된다.In addition, among the open side surfaces, a portion not closed to the partition wall serves as an outlet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또한, 상기 전자기장 생성 보드는, 상기 제어 보드보다 위에 위치하며,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코일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includes a coil located above the control board and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또한, 상기 코일은, 상기 전자기장 생성 보드의 중심에 위치한다.Further, the coil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또한, 상기 전자기장 생성 보드는, 상기 코일에서 생성되는 전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한다.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portion for shielding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coil.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자기장 생성 보드가 안착되고, 상기 제어 보드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차량의 트레이의 내부에 매입되고, 상기 커버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된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include a case on which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is mounted and accommodates the control board therein; And a cover fo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wherein the case is embedded inside the tray of the vehicl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is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차량에 설치되어 외부의 전자 기기를 충전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의 내부가 복수의 층으로 분할되고, 복수의 공기 통로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각각의 층들에서 발생하는 열을 용이하게 냉각 및 방출할 수 있다.A wireless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which is installed in a vehicle and charges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e interior of the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a vehicl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and air discharged from a plurality of air passages facilitates heat Cooling and discharging.

또한, 복수의 층마다 발생하는 열량이 다르더라도, 복수의 공기 통로의 배출구의 단면적을 달리하여, 복수의 층마다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달리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열을 냉각 및 방출할 수 있다.Further, even if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is different, heat can be cooled and discharged more effectively by varying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by varying the sectional area of the outlet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의 정면, 평면 및 측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의 조립도이다.
도 3은 팬 하우징(30)을 제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의 정면, 저면 및 측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어셈블리(20)의 조립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의 조립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의 정면 및 평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하우징(30)의 상면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하우징(30)의 상면 및 정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와 팬 하우징(30)의 결합도이다.
도 10은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A-A'로 절단한 정면 및 측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E-E'로 절단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를 도 1에서의 E-E'로 절단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A-A'로 절단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어셈블리(20)를 케이스(10)에서 제거하고,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E-E'로 절단한 정면 및 평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B-B'로 절단한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보드(21)를 케이스(10)에 삽입하고,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E-E'로 절단한 정면 및 평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C-C'로 절단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제어 보드(22)를 케이스(10)에 더 삽입하고,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E-E'로 절단한 정면 및 평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D-D'로 절단한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장 생성 보드(23) 케이스(10)에 더 삽입되고,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E-E'로 절단한 정면 및 평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a plane and a side view of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assembled view of a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a bottom and a side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an housing 30 is removed.
4 is an assembled view of a board assembly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assembled view of the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and a plane view of the air flow guide unit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showing a top view of the fan housing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op and front views of the fan housing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mbined view of the air flow guide unit 11 and the fan housing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and a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shown in Fig. 1, taken along line A-A '.
Fig. 11 is a front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shown in Fig. 1 cut along E-E '. Fig.
FIG. 12 is a front view of a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E-E 'in FIG.
Fig. 13 is a side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shown in Fig. 1 cut along the line A-A '.
FIG. 14 is a front view and a planar perspective view of the wireless wireless charging device 1 of FIG. 1 taken along line E-E ', with the board assembly 20 removed from the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side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in Fig. 1 taken along line B-B '. Fig.
16 is a front view and a planar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in FIG. 1 cut into E-E 'by inserting the main board 21 into the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ide view cut along C-C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in Fig.
18 is a front view and a planar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coil control board 2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case 10 and the wireless wireless charging device 1 of FIG. 1 is cut into E-E ' to be.
Fig. 19 is a side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shown in Fig. 1 cut along D-D '. Fig.
20 is a front view and a planar perspective view further cut into E-E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in Fig. 1 and further inserted into the case 10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in a sense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lso,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defined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The terms "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ele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의 정면, 상면 및 측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의 조립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ront, top and side views of a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embly diagra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에 따르면,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 내부에 공기를 원활하게 유동시켜, 무선 충전을 수행하면서 발생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 내부의 열을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ly air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 generated while smoothly flowing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 Heat can be easily released.

이러한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는, 차량의 센터페시아의 근처, 시프트레버의 근처 또는 콘솔 박스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차량의 센터페시아의 하단에 형성된 트레이에 매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의 커버(40)의 상면만이 외부로 노출되고, 그 외의 구성요소는 모두 상기 트레이의 내부에 숨겨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운전석에 앉아 전자 기기를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에 안착시키기만 해도 용이하게 전자 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Such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can be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a center pace of a vehicle, in the vicinity of a shift lever, or in a console box. In particular, it can be embedded in a tray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center pacea of the vehicle. In this case, only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40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ll other components may be hidden inside the tray.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harge the electronic apparatus by simply sitting on the driver's seat and placing the electronic apparatus on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 [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installed in various posit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 40), 팬 하우징(30)을 포함한다.A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40 and a fan housing 30, as shown in Figs. 1 and 2.

하우징(10, 40)은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시키는 본체로서, 다른 구성요소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10), 상기 케이스(10)의 상부를 덮는 커버(40)를 포함한다.The housing 10 includes a case 10 for accommodating other components therein, a cover 40 f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ase 10, .

케이스(10)는 무선 충전을 위한 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각종 구성요소들을 수용한다. 케이스(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ase 10 accommodates various components that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ield for wireless charging. As shown in FIG. 2, the case 10 may have a shape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n open top,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various shapes.

팬 하우징(30)은 팬(32)을 수용하여 팬(32)에서 바람이 방출되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상기 공기를 유도한다. 팬 하우징(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fan housing 30 receives the fan 32 and guides the air to flow into the case 10 when the fan 32 emits wi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fan housing 30 will be described later.

커버(4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수용된 구성요소들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커버(40)의 상면에는 전자 기기를 지지할 수 있는 패드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패드는, 차량이 주행 중에 흔들리더라도 전자 기기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무 등과 같이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드의 상면은, 전자 기기와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의 사이에도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특정 패턴으로 돌출 및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패드가 상기 커버(40)의 상면에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상기 커버(40)의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커버(40)와 패드가 일체로 형성된다면, 상기 커버(40)의 상면 자체가 특정 패턴으로 돌출 및 함몰되어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ver 40 covers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case 10 so that the components housed inside the case 10 do not escape to the outside.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a pad capable of supporting an electronic device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40. [ It is preferable that the pad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 coefficient such as rubber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does not slip even if the vehicle wobbles while driving. The upper surface of the pad may be formed by protruding and recessing in a specific pattern so that air can flow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wireless wireless charging device 1 for the vehicle.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40 is preferably flat so that the pad 40 is st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4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the cover 40 and the pad are integrally formed, the top surface of the cover 40 may be formed by being protruded and recessed in a specific pattern.

커버(40)는 케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체결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에는 상기 체결부(41)가 체결될 수 있도록 복수의 걸림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40)의 하단에 하방을 향하여 형성된 복수의 체결부(41)는, 각각 케이스(10)의 측면에 외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된 복수의 걸림부(17)에 걸림으로써, 커버(40)와 케이스(10)가 체결된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커버(40)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케이스(10)에 체결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커버(40)와 케이스(10) 중 하나에는 후크, 나머지 하나에는 고리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커버(40)와 케이스(10) 중 하나에는 잠금날개, 나머지 하나에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커버(40)와 케이스(10)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41 may be formed so that the cover 40 can be fixed to the case 10.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s 17 may be formed on the case 10 so that the engaging portions 41 can be fasten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41 formed downward at the lower end of the cover 40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17 protruding outward on the side surface of the case 10 By the engagement, the cover 40 and the case 10 are fasten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asten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cover 40 and the fastening portion on the case 10. Alternatively, one of the cover 40 and the case 10 may be provided with a hook, and the other may be formed with a hook, and one of the cover 40 and the case 10 may have a lock wing, have. That is, as long as the cover 40 and the case 10 can be fastened and fixed, they can be formed variously without limit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어셈블리(20)를 더 포함한다. 보드 어셈블리(2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전자기장을 생성함으로써, 외부에 존재하는 전자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시킨다. 보드 어셈블리(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board assembly 20, as shown in FIG. The board assembly 20 is inserted into the case 10 to generate an electromagnetic field, thereby wirelessly charging an electronic device existing outside. The board assembly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3은 팬 하우징(30)을 제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의 정면, 하면 및 측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a bottom and a side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an housing 30 is removed.

팬 하우징(30)에 수용된 팬(32)이 바람을 방출하면, 팬 하우징(30)은 케이스(10)의 내부로 공기가 유동하도록 상기 공기를 유도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는 유동하여 케이스(10)의 저면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3)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공기는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유동하며 케이스(10)의 내부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정면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14)를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공기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유동하며 케이스(10)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When the fan 32 housed in the fan housing 30 emits wind, the fan housing 30 induces the air to flow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case 10. As shown in FIG. 3, the air flows and flows into the air inlet 13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The inflow air flows inside the case 10 and cools the inside of the case 10. Then,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outlet 14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se 1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air flowing inside the case 10 and cooling the inside of the case 10 will be described later.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어셈블리(20)의 조립도이다.4 is an assembled view of a board assembly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어셈블리(20)는 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장을 생성하여, 외부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충전시킨다. 이 때, 보드 어셈블리(20)는 복수의 보드(21, 22, 23)가 평행하도록 조립되고, 각각의 보드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하기 도 9에 대한 설명에서 기술할 바, 보드 어셈블리(2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를 복수의 층(15)으로 분할한다.A board assembly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a case (10). Then, an electromagnetic field is generated by receiving external power, and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s are charged wirelessly. At this time, the board assembly 20 is assembl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boards 21, 22 and 23 are parallel, and the respective boards are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9, the board assembly 20 divides the inside of the case 10 into a plurality of layers 15. As shown in FIG.

보드 어셈블리(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보드(21, 22), 전자기장 생성 보드(23)를 포함한다.The board assembly 20 includes control boards 21 and 22 and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as shown in FIG.

제어 보드(21, 22)는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거나, 상기 전자기장 생성 보드의 코일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 보드(21, 22)는 하나의 보드만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복수의 보드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보드(21) 및 코일 제어 보드(22)를 포함한다.The control boards 21 and 22 communicate with the vehicle or control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coil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The control boards 21 and 22 may be formed of only one board bu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oards and include a main board 21 and a coil control board 2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메인 보드(21)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전자 기기와 블루투스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전자 기기의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차량과 연결되어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확인할 수도 있다.The main board 21 generally controls th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 for a vehicl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n electronic device and Bluetooth, and to check the charge amount of the electronic device. It is also possible to check the power supplied from the vehicle in connection with the vehicle.

코일 제어 보드(22)는 코일(231)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전자 기기의 충전량이 부족하고, 전자 기기가 전력 전송 가능 범위 내에 존재하면, 전력 공급을 시작한다. 그런데 전자 기기의 충전이 완료되거나, 전자 기기가 전력 전송 가능 범위를 벗어나면, 더 이상 전력을 공급하지 않고 차단한다.The coil control board 22 controls the power supplied to the coil 231. For example, when the charged amount of the electronic apparatus is insufficient and the electronic apparatus is within the power transmittable range, the power supply is started. However, if charging of the electronic device is completed, or if the electronic device is out of the power transferable range, the power is cut off without supplying power.

전자기장 생성 보드(23)는 전자기장을 생성하여, 외부에 존재하는 전자기기를 무선으로 충전시킨다. 전자기기와 전자기장 생성 보드(23)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무선 충전 효율이 증가한다. 따라서, 보드 어셈블리(20) 중에서 전자기장 생성 보드(23)가 최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기장 생성 보드(23)는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코일(231), 상기 생성된 전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부(233), 상기 차폐부(233)에 부착되고 상기 코일(231)을 수용하는 코일 지지부(232)를 포함한다.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가 전력을 생성하여 전자 기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면, 그 과정에서 보드 어셈블리(20)에서 열이 발생한다. 이 중에서 가장 열이 많이 발생하는 부분은, 직접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코일(231)이다.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ield to wirelessly charge an electronic device existing in the outside. The closer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is, the more the wireless charging efficiency is increas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board assembly 20.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includes a coil 231 for receiving an electric power and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a shielding portion 233 for shielding the generated electromagnetic field, a shielding portion 233 attached to the shielding portion 233, And a coil support portion 232. When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generates electric power and wirelessly transmits electric power to the electronic device, heat is generated in the board assembly 20 in the process. The portion where the heat is generated most is the coil 231 that directly generates the electromagnetic fiel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어셈블리(20)는, 도 4에서 총 3개의 보드가 조립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보드 어셈블리(20)는 다양한 개수의 보드가 조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보드 어셈블리(20)는 케이스(10)의 내부를 다양한 개수의 층으로 분할할 수 있다.The board assembly 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assembling a total of three boards in FIG. 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board assembly 20 may be formed by assembling various numbers of boards . At this time, the board assembly 20 can divide the inside of the case 10 into various numbers of layers.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의 조립도이다.5 is an assembled view of the cas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는 보드 어셈블리(20)를 내부에 수용한다. 그리고, 공기 유입구(13)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유동하면서, 보드 어셈블리(20)의 코일(231)로부터 발생한 열을 냉각 및 방출시킨다.A case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board assembly 20 there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let 13 flows inside the case 10 to cool and discharg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coil 231 of the board assembly 20.

케이스(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동 가이드부(11), 격벽(12), 공기 유입구(13), 공기 배출구(14)를 포함한다.The case 10 includes an air flow guide portion 11, a partition 12, an air inlet 13, and an air outlet 14, as shown in Fig.

공기 유동 가이드부(11)는 공기 유입구(13)을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케이스(10)의 내부의 분할된 각 층으로 상기 공기를 배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동 가이드부(11)는 케이스(10)로부터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다. 이 때, 공기 유동 가이드부(11)는, 케이스(10)의 복수의 외벽 및 격벽(12)으로 포위되어 형성된 수용 공간(16)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공기 유동 가이드부(11)가 케이스(10)로부터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케이스(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유동 가이드부(11)가 분할된 각 층으로 공기를 배분하는 과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air flow guide unit 11 distributes the air to each of the divided layers inside the case 10 when the air flows into the case 10 through the air inlet 13. As shown in FIG. 5, the air flow guide part 11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case 10. At this time,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can be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6 surrounded by the plurality of outer walls of the case 10 and the partitions 1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air flow guide unit 11 may be combined with the case 10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ase 10, o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case 1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ocess of distributing air to the respective divided layers of the air flow guide unit 11 will be described later.

격벽(12)은 케이스(10)의 복수의 외벽과 함께 상기 수용 공간(16)을 포위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공기 유동 가이드부(11)가 상기 수용 공간(16)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격벽(12)이 형성된 모양에 따라,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 배출구(1112, 1122, 1132, 1142)의 면적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공기 통로 배출구(1112, 1122, 1132, 1142)의 면적에 따라, 복수의 공기 통로(111, 112, 113, 114)마다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이 달라진다. 복수의 공기 통로 배출구(1112, 1122, 1132, 1142)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기 도 10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The partition wall (12) is formed by surrounding the accommodation space (16) together with a plurality of outer walls of the case (10). As described above,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6. [ The areas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 outlets 1112, 1122, 1132, and 1142 formed in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can be var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rtition wall 12.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111, 112, 113, and 114 varies depending on the areas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 outlets 1112, 1122, 1132, and 1142. Details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 outlets 1112, 1122, 1132, and 1142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10.

공기 유입구(13)은 케이스(10)의 저면에 형성되어, 팬(32)이 바람을 방출하면 케이스(10)의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킨다. 공기 유입구(13)은, 상기 유입된 공기가 곧바로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111, 112, 113, 114)로 유동되기 위해, 상기 수용 공간(16)의 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ir inlet 13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so that air flows into the case 10 when the fan 32 emits wind. The air inlet 13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space 16 so that the introduced air flows directly into a plurality of air passages 111, 112, 113 and 114 formed in the air flow guide part 11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의 정면 및 평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ont and a plane view of the air flow guide unit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팬(32)으로부터 바람이 방출되어 케이스(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면, 공기가 케이스(10)의 내부에서 가장 먼저 유입되는 곳이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이다.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의 하단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공기 통로 유입구(1111, 1121, 1131, 1141)가 형성된다. 공기 유입구(13)을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 유입구(1111, 1121, 1131, 1141)를 통해 복수의 공기 통로(111, 112, 113, 114)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는,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111, 112, 113, 114) 내에서 유동하여 각각의 공기 통로 배출구(1112, 1122, 1132, 1142)를 통해 배출되고, 도 10에 도시된 복수의 층(15)으로 유입된다. 도 6에서는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의 공기 통로(111, 112, 113, 114)가 총 7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케이스(10)의 내부가 분할된 층의 개수, 각 층마다 발생되는 발열량, 각 층마다 유입되어야 하는 공기의 유량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When air is blown from the fan 32 and air flows into the case 10, the air flow guide unit 11 is the first place where the air flows into the case 10 first. As shown in FIG. 6, a plurality of air passage inlets 1111, 1121, 1131 and 1141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ir flow guide part 11. Air introduced into the case 10 through the air inlet 13 flows into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111, 112, 113, and 114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inlet ports 1111, 1121, 1131, and 1141 ≪ / RTI > The air flows in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111, 112, 113 and 114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respective air passage outlets 1112, 1122, 1132 and 1142, (15). 6 shows a total of seven air passages 111, 112, 113, and 114 of the air flow guide unit 1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number of the divided inner layers of the case 10, The amount of generated heat, the flow rate of air to be flowed into each layer, and the lik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공기 통로(111, 112, 113, 114)는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의 하단부터 상부를 향해, 세로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의 공기 통로(111, 112, 113, 114)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의 정면에서 볼 때, 공기 통로(111, 112, 113, 114)의 내부가 그대로 노출된다. 그리고, 공기 유동 가이드부(11)가 상기 수용 공간(16)에 삽입되면, 격벽(12)이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111, 112, 113, 114)의 상기 개방된 일측면의 일부 또는 전체를 폐쇄한다.As shown in FIG. 6,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111, 112, 113, and 114 are formed to be lo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air flow guide part 11.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111, 112, 113, and 114 are opened at one side. Therefore, the inside of the air passages 111, 112, 113 and 114 are directly exposed when viewed from the front of the air flow guide part 11. [ When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6, the partition wall 12 partially or entirely opens the one side surface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111, 112, 113, Clo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111, 112, 113, 11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공기 통로(111)를 제외한 제1 내지 제3 공기 통로(112, 113, 114)들은 상단이 폐쇄되어 있다. 따라서, 격벽(12)은 제1 내지 제3 공기 통로(112, 113, 114)들의 개방된 일측면의 일부를 폐쇄한다. 그리고, 격벽(12)이 폐쇄하지 않은 일측면의 나머지 일부는 도 10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공기 통로 배출구(1122, 1132, 1142)가 된다. 여기서, 중앙 공기 통로(111)는 일렬로 나열된 복수의 공기 통로(111, 112, 113, 114) 중에서 중앙에 형성된 공기 통로이며, 제1 공기 통로(112)는 중앙 공기 통로(111)의 바로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 공기 통로이다. 제2 공기 통로(113)는 제1 공기 통로(112)의 바로 좌우측에 각각 배치된 공기 통로이며, 제3 공기 통로(114)는 제2 공기 통로(113)의 바로 좌우측, 즉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의 최외곽에 각각 배치된 공기 통로이다.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111, 112, 113, and 114 formed in the air flow guide unit 1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rranged in a row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6, the first to third air passages 112, 113, 114 except for the central air passage 111 are closed at the upper end. Accordingly, the partition wall 12 closes a part of the opened one side of the first to third air passages 112, 113, 114. The remaining part of the one side on which the partition 12 is not closed becomes the first to third air passage outlets 1122, 1132 and 1142 shown in Fig. Here, the central air passage 111 is an air passage formed at the center among a plurality of air passages 111, 112, 113, 114 arranged in a line, and the first air passage 112 is a right- Respectively. The second air passages 113 are air passages disposed respective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air passageway 112 and the third air passageways 114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cond air passageway 113, (11), respectively.

그러나, 중앙 공기 통로(111)는 제1 내지 제3 공기 통로(112, 113, 114)와 달리,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격벽(12)은 중앙 공기 통로(111)의 개방된 일측면을 모두 폐쇄한다. 그러나, 중앙 공기 통로(111)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중앙 공기 통로(111)로 유입되는 공기는 모두 상방으로 배출된다. 즉, 상방으로 개방된 부분이 중앙 공기 통로 배출구(1112)가 된다. 공기 통로 배출구(1112, 1122, 1132, 114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However, unlike the first to third air passages 112, 113 and 114, the central air passage 111 is open upward. The partition wall 12 closes all open sides of the central air passage 111. However, since the central air passage 111 is opened upward, all the air flowing into the central air passage 111 is discharged upward. That is, the upwardly opened portion becomes the central air passage outlet 1112.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ir passage outlet ports 1112, 1122, 1132, and 1142 will be described later.

복수의 공기 통로(111, 112, 113, 114) 중에서, 중앙 공기 통로(111)의 단면적이 가장 넓다. 이는, 중앙 공기 통로(111)로 가장 많은 공기의 유량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보드 어셈블리(20) 중에서 가장 열이 많이 발생하는 부분은, 직접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코일(231)이며, 코일(231)은 전자기장 생성 보드(23)에 포함된다. 그리고, 전자기장 생성 보드(23)는 보드 어셈블리(20)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중앙 공기 통로(111)를 유동하는 공기는 유량이 가장 많아, 가장 열이 많이 발생하는 전자기장 생성 보드(23)를 냉각시키기 위해, 복수의 층(15) 중에서 최상층으로 유입된다.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111, 112, 113, 114),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entral air passage (111) is the widest. This is to allow the flow of the greatest amount of air into the central air passage 111. As described above, the most heat-generating portion of the board assembly 20 is a coil 231 that directly generates an electromagnetic field, and the coil 231 is included in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top of the board assembly 20. Therefore, the air flowing in the central air passage 111 flows into the uppermost layer among the plurality of layers 15 in order to cool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which generates the most heat and generates the most hea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하우징(30)의 상면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 하우징(30)의 상면 및 정면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top view of a fan housing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p and a front view of a fan housing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팬 하우징(30)에는 공기 공급홀(3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팬 하우징(30)의 내부에 팬(32)이 수용되어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면, 상기 공기 공급홀(31)로부터 공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팬(32)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프로펠러에 의해 바람이 방출된다. 공기는 상기 방출된 바람의 힘에 의해 유동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하우징(3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 유입구(3011, 3021, 3031, 3041)를 통해 복수의 공기 통로(301, 302, 303, 304)로 유입된다.An air supply hole 31 is formed in the fan housing 30. When the fan 32 is housed in the fan housing 30 and is rotated by receiving external power, air is supplied from the air supply hole 31. The air is blown by a plurality of propeller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n (32). The air flows by the force of the released wind and flows through a plurality of air passages 301, 3021, 3031 and 3041 through a plurality of air passage inlets 3011, 3021, 3031 and 3041 formed in the fan housing 30, 302, 303, and 304, respectively.

팬 하우징(30)에도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공기 통로(301, 302, 303, 30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팬(32)에서 바람이 방출되면, 팬 하우징(30)은 복수의 공기 통로(301, 302, 303, 304)를 통해 공기가 케이스(10)의 내부로 유동하도록 유도한다. 이 때, 도 7 및 도 8에서는 팬 하우징(30)의 공기 통로(301, 302, 303, 304)가 총 7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케이스(10)의 내부가 분할된 층의 개수, 각 층마다 발생되는 발열량, 각 층마다 유입되어야 하는 공기의 유량,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에 형성된 공기 통로(111, 112, 113, 114)의 개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air passages 301, 302, 303, and 304 are formed in the fan housing 30 as shown in FIGS. Accordingly, when the air is blown from the fan 32, the fan housing 30 induces air to flow into the interior of the case 10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301, 302, 303 and 304. 7 and 8 illustrate a total of seven air passages 301, 302, 303, and 304 of the fan housing 30,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in each layer, the flow rate of air to be supplied to each layer, the number of air passages 111, 112, 113, and 114 formed in the air flow guide part 11, and the like.

팬 하우징(30)의 복수의 공기 통로(301, 302, 303, 304)도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111, 112, 113, 114)와 마찬가지로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특히, 일측면 중에서 팬 하우징(30)의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팬 하우징(30)의 상방에서 볼 때, 공기 통로(301, 302, 303, 304)의 내부가 그대로 노출된다. 팬 하우징(30)을 케이스(10)의 저면에 부착하면, 케이스(10)의 저면이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301, 302, 303, 304)의 상기 개방된 상면의 일부를 폐쇄한다. 그리고, 케이스(10)의 저면이 폐쇄하지 않은 상면의 나머지 일부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통로 배출구(3012, 3022, 3032, 3042)가 된다. 여기서, 팬 하우징(30)의 상면이 케이스(10)의 저면에 밀착되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도 케이스(10)의 저면이 팬 하우징(30)의 공기 통로(301, 302, 303, 304)의 상면의 일부를 폐쇄하지 않는다는 것은, 팬 하우징(30)이 밀착되는 케이스(10)의 저면의 영역에 공기 유입구(13)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즉, 팬 하우징(30)의 공기 통로 배출구(3012, 3022, 3032, 3042)는, 공기 유입구(13)과 곧바로 연결된다.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301, 302, 303 and 304 of the fan housing 30 are also formed in a plurality of air passages 111, 112, and 113 formed in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113, and 114, respectively.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30 is opened from one side. Therefore, when viewed from above the fan housing 30, the inside of the air passages 301, 302, 303, and 304 are directly exposed. When the fan housing 30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closes a part of the open top surface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301, 302, 303 and 304. The remaining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se 10 on which the bottom surface is not closed becomes the air passage outlet ports 3012, 3022, 3032 and 3042 as shown in Fig.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an housing 30 is closely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Nevertheless, the fact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does not close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passages 301, 302, 303 and 304 of the fan housing 30 means that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in which the fan housing 30 is in close contact The air inlet 13 is formed in the region. That is, the air passage outlets 3012, 3022, 3032, and 3042 of the fan housing 30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air inlet 13.

팬 하우징(3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301, 302, 303, 304)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나열되어 있다. 그리고, 복수의 공기 통로(301, 302, 303, 304) 중에서, 중앙에 형성된 공기 통로(301)의 단면적이 가장 넓다. 그리고, 중앙 공기 통로 유입구(3011)는 면 방향이 팬(32)의 중심을 향하며, 팬(32)과의 거리가 가깝다. 이는, 중앙 공기 통로(301)로 가장 많은 공기의 유량이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A plurality of air passages 301, 302, 303, and 304 formed in the fan housing 30 are arranged in a line, as shown in FIGS. Among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301, 302, 303, and 304,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air passageway 301 formed at the center is the widest. The central air passage inlet 3011 faces the center of the fan 32 in the plane direction, and is close to the fan 32. [ This is to allow the flow of the greatest amount of air into the central air passage 301.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와 팬 하우징(30)의 결합도이다.9 is a combined view of the air flow guide unit 11 and the fan housing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팬 하우징(30)은 케이스(10)의 저면에 부착되며, 팬 하우징(30)의 공기 통로 배출구(3012, 3022, 3032, 3042)는, 공기 유입구(13)와 곧바로 연결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an housing 30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and the air passage outlet ports 3012, 3022, 3032, and 3042 of the fan housing 30 are connected to the air inlet port 13 do.

한편, 공기 유동 가이드부(11)가 삽입되는 수용 공간(16)의 저면에는 공기 유입구(13)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의 하단에는, 공기가 복수의 공기 통로(111, 112, 113, 114)로 유입될 수 있는 복수의 공기 통로 유입구(1111, 1121, 1131, 1141)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n air inlet 13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6 into which the air flow guide part 11 is inserted. A plurality of air passage inlets 1111, 1121, 1131 and 1141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so that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111, 112, 113 and 114 have.

따라서, 팬 하우징(30)의 공기 통로 배출구(3012, 3022, 3032, 304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의 공기 통로 유입구(1111, 1121, 1131, 1141)와 곧바로 연결된다.9, the air passage outlets 3012, 3022, 3032 and 3042 of the fan housing 30 are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inlets 1111, 1121, 1131 and 1141 of the air flow guide part 11, It is connected immediately.

팬 하우징(30)의 복수의 공기 통로(301, 302, 303, 304)와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의 복수의 공기 통로(111, 112, 113, 114)는 각각의 유입구부터 배출구까지 너비 및 폭이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호 간에 각각 대응되는 팬 하우징(30)의 공기 통로 배출구(3012, 3022, 3032, 3042)와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의 공기 통로 유입구(1111, 1121, 1131, 1141)는, 개수, 너비 및 폭 등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팬 하우징(30)의 복수의 공기 통로 배출구(3012, 3022, 3032, 304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의 복수의 공기 통로 유입구(1111, 1121, 1131, 1141)와 상호 간에 각각 대응되도록 연결된다.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301, 302, 303 and 304 of the fan housing 30 and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111, 112, 113 and 114 of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have widths from the respective inlets to the outlets,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is constant. The air passage outlets 3012, 3022, 3032 and 3042 of the fan housing 30 and the air passage inlets 1111, 1121, 1131 and 1141 of the air flow guide part 11, which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width, the width, and the like are preferably the same. 9, the plurality of air passage inlets 1111, 1121, and 1131 of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are formed in the fan housing 30, And 1141, respectively.

예를 들어, 팬 하우징(3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301, 302, 303, 304) 중에서 중앙 공기 통로(301)로 유입된 공기는, 팬 하우징(30)의 중앙 공기 통로 배출구(3012)로 배출되면,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의 중앙 공기 통로 유입구(1111)로 유입된다. 그리고,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의 중앙 공기 통로(111)를 유동하며, 중앙 공기 통로 배출구(1112)를 통해 배출된다. 이는, 팬 하우징(30)과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에 각각 형성된 제1 내지 제3 공기 통로(112, 113, 114, 302, 303, 304)에 대하여도 동일한 과정으로 진행된다.For example, among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301, 302, 303, and 304 formed in the fan housing 3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entral air passage 301 passes through the central air passage outlet 3012 of the fan housing 30, The air is guided to the central air passage inlet 1111 of the air flow guide part 11. Then, the air flows through the central air passage 111 of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central air passage outlet 1112. The same process is applied to the first to third air passages 112, 113, 114, 302, 303, 304 formed in the fan housing 30 and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respectively.

도 10은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A-A'로 절단한 정면 및 측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E-E'로 절단한 정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0)를 도 1에서의 E-E'로 절단한 정면도이다.Fig. 10 is a front and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shown in Fig. 1 cut along the line A-A ',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cut along the line E-E' And FIG. 12 is a front view of the cas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line E-E 'in FIG.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보드 어셈블리(2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를 복수의 층(15)으로 분할한다. 구체적으로, 보드 어셈블리(20)에 포함되는 복수의 보드(21, 22, 23)들은, 케이스(10)의 내부에 평행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의 모양 및 크기와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드 어셈블리(20)는 복수의 보드(21, 22, 23)가 평행하도록 조립되고, 각각의 보드(21, 22, 23)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보드 어셈블리(20)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삽입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보드(21, 22, 23)들에 의해 케이스(10)의 내부가 복수의 층(15)으로 분할된다. 이 때, 분할되는 복수의 층(15)의 개수는, 보드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보드(21, 22, 23)의 개수보다 하나 더 많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보드는 메인 보드(21), 코일 제어 보드(22), 전자기장 생성 보드(23)로 총 3개이고, 복수의 층(15)은 제1 내지 제4 층(151, 152, 153, 154)으로 총 4개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oard assembly 20 divides the inside of the case 10 into a plurality of layers 15.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boards 21, 22, and 23 included in the board assembly 20 correspond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inner space of the case 10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ase 10 in parallel . The board assembly 20 is assembled such that the plurality of boards 21, 22 and 23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the boards 21, 22 and 23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herefore, when the board assembly 20 is inserted into the case 10, the inside of the case 10 is covered with a plurality of boards 21, 22, and 23 as shown in FIG. (15). At this time, the number of the plurality of divided layers 15 may be one more than the number of the boards 21, 22, 23 constituting the board assembly 20. 11, the board constituting the board assembly 20 includes three main boards 21, a coil control board 22 and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and a plurality of layers 15 ) Of the first to fourth layers 151, 152, 153, and 154 are four in total.

한편,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의 복수의 공기 통로(111, 112, 113, 114)는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다. 그런데, 제1 및 제2 공기 통로(112, 113)의 일측면을 폐쇄하는 격벽(12)의 높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공기 통로(112, 113)의 길이보다 짧다. 심지어, 제3 공기 통로(114)의 일측면을 폐쇄하는 격벽(12)은 전혀 존재하지도 않는다. 그럼으로써, 격벽(12)이 제1 내지 제3 공기 통로(112, 113, 114)의 일측면을 전부 폐쇄하지 않고, 일측면의 일부 또는 전부가 개방될 수 있다. 이렇게 격벽(12)으로도 폐쇄되지 않고 개방된 제1 내지 제3 공기 통로(112, 113, 114)의 일측면의 일부는, 제1 내지 제3 공기 통로 배출구(1122, 1132, 1142)가 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공기 통로 유입구(1121, 1131, 1141)로 유입된 공기는, 각각 제1 내지 제3 공기 통로(112, 113, 114)를 유동하여 상기 개방된 제1 내지 제3 공기 통로 배출구(1122, 1132, 1142)를 통해 배출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air passages (111, 112, 113, 114) of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are open at one side. 12,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12 that closes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air passages 112 and 113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air passages 112 and 113 short. There is no partition 12 even closing one side of the third air passage 114 at all. Thereby, the partition wall 12 can be partially or entirely opened on one side without closing all the one side surfaces of the first to third air passages 112, 113, 114. Part of one side of the first to third air passages 112, 113 and 114 that are not closed to the partition wall 12 as described above becomes the first to third air passage outlets 1122, 1132, and 1142 . 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to third air passage inlets 1121, 1131 and 1141 flows through the first to third air passages 112, 113 and 114, respectively,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passage outlet ports 1122, 1132, and 1142.

그러나, 중앙 공기 통로(111)는 제1 내지 제3 공기 통로(112, 113, 114)와 달리,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 때, 중앙 공기 통로(111)의 일측면을 폐쇄하는 격벽(12)의 높이는, 중앙 공기 통로(111)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격벽(12)이 중앙 공기 통로(111)의 일측면을 모두 폐쇄할 수 있다. 그러나, 중앙 공기 통로(111)는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개방된 부분이 중앙 공기 통로 배출구(1112)가 된다. 따라서, 중앙 공기 통로 유입구(1111)로 유입된 공기는, 중앙 공기 통로(111)를 유동하여 상기 개방된 중앙 공기 통로 배출구(1112)를 통해 배출된다.However, unlike the first to third air passages 112, 113 and 114, the central air passage 111 is open upward.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12 that closes one side of the central air passage 111 may be the same as or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entral air passage 111. Thereby, the partition wall 12 can close all the side surfaces of the central air passage 111. However, since the central air passage 111 is open upward, the opened portion becomes the central air passage outlet 1112. [ Thu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entral air passage inlet 1111 flows through the central air passage 111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ed central air passage outlet 1112.

지금까지 상기 격벽(12)은 케이스(10)에 고정된 것으로 설명하였다. 따라서, 공기 유동 가이드부(11)가 수용 공간(16)에 삽입되면, 격벽(12)이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의 개방된 일측면의 일부를 폐쇄하였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격벽(12)도 케이스(10)와 분리될 수도 있으며,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와 격벽(12)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artition wall 12 has been described as being fixed to the case 10 so far. Therefore, when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6, the partition wall 12 closes a part of the open side of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artition wall 12 may be separated from the case 10, or may be formed by coupling the air flow guide part 11 and the partition wall 12, or the like.

복수의 공기 통로(111, 112, 113, 114)들은 길이가 각각 다르다. 특히, 중앙 공기 통로(111)의 길이가 가장 길고, 제1 공기 통로(112), 제2 공기 통로(113), 제3 공기 통로(114) 순서대로 공기 통로의 길이가 길다. 그리고 공기 통로(111, 112, 113, 114)의 개방된 일측면을 폐쇄하는 격벽(12)의 높이도 각각 다르다. 따라서,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에 형성된 공기 통로 배출구(1112, 1122, 1132, 1142)는, 보드 어셈블리(20)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층(15)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공기 통로 배출구(1142)는 최하층인 제1 층(151), 제2 공기 통로 배출구(1132)는 제2 층(152), 제1 공기 통로 배출구(1122)는 제3 층(153), 중앙 공기 통로 배출구(1112)는 최상층인 제4 층(154)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공기 통로 배출구(1112, 1122, 1132, 1142)를 통해 배출된 공기들은, 공기 통로 배출구(1112, 1122, 1132, 1142)가 향한 층으로 각각 유입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공기 통로(111)는 하나가 형성되고, 제1 내지 제3 공기 통로(112, 113, 114)는 중앙 공기 통로(111)의 좌우측에 각각 하나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공기 통로는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111, 112, 113, and 114 have different lengths. Particularly, the length of the central air passage 111 is the longest, and the length of the air passage is long in the order of the first air passage 112, the second air passage 113, and the third air passage 114. Also, the height of the partition wall 12 closing one open side of the air passages 111, 112, 113, and 114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air passage outlet ports 1112, 1122, 1132 and 1142 formed in the air flow guide part 11 are formed toward the plurality of layers 15 divided by the board assembly 20. 11, the third air passage outlet 1142 includes a first layer 151 as a lowermost layer, a second air passage outlet 1132 as a second layer 152, a first air passage outlet The second layer 1122 is formed toward the third layer 153 and the central air passage outlet 1112 is formed toward the fourth layer 154 which is the uppermost layer. The air discharged through each of the air passage outlets 1112, 1122, 1132, and 1142 flows into the layer toward the air passage outlets 1112, 1122, 1132, and 1142, respectively. 11, it is preferable that one central air passage 111 is formed and one of the first to third air passages 112, 113, 114 is formed on each of right and left sides of the central air passage 111 Do.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air passage may be formed in various numbers.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공기 유동 가이드부(11) 및 팬 하우징(30)의 중앙 공기 통로(111, 301)가 나머지 제1 내지 제3 공기 통로(112, 113, 114, 302, 303, 304)보다 단면적이 넓다. 그리고, 팬 하우징(30)의 중앙 공기 통로 유입구(3011)는 면 방향이 팬(32)의 중심을 향하며, 팬(32)과의 거리도 가깝다. 따라서, 중앙 공기 통로(111, 301)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가장 많다. 한편, 전자기장 생성 보드(23)는 보드 어셈블리(20)에서 최상부에 위치하며, 열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특히, 코일(231)은 전자기장 생성 보드(23)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효과적으로 복수의 층(15)을 냉각하고 열을 방출하기 위해, 중앙 공기 통로(111, 301)를 유동한 공기가 중앙 공기 통로의 배출구(1112)를 통해 배출되면, 최상층인 제4 층(154)으로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제4 층(154)으로 유입된 공기가 전자기장 생성 보드(23), 특히 중심부에 위치한 코일(231)로 유동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코일(231)이 전자기장 생성 보드(23)의 특정 방향으로 편중되어 형성되거나, 전자기장 생성 보드(23)가 보드 어셈블리(20)에서 최상부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공기 통로 배출구가 향하는 층 및 공기 통로에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 등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central air passages 111 and 301 of the air flow guide part 11 and the fan housing 30 are connected to the remaining first to third air passages 112 to 113, 114, 302, 303 and 304, The cross-sectional area is larger. The central air passage inlet 3011 of the fan housing 30 faces toward the center of the fan 32 in the plane direction and is close to the fan 32. [ Therefore,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central air passages 111 and 301 is the largest. On the other hand,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is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in the board assembly 20 and generates the most heat. In particular, the coil 231 is located at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Therefore, when the air that has flowed through the central air passages 111 and 301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12 of the central air passage to effectively cool the plurality of layers 15 and to release heat, the fourth layer 154). Thereb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ourth layer 154 can flow to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in particular to the coil 231 located at the center. When the coil 231 is formed in a specific direction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or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is not loca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in the board assembly 20, And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 the air passage can be variously formed.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는 공기 배출구(14)를 더 포함한다. 공기가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 배출구(1112, 1122, 1132, 1142)를 통해 배출되어, 복수의 층(15)에 각각 유입된다. 그러면, 공기는 각각의 층(15)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고, 케이스(10)의 내부를 냉각한다. 이 때,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과,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량은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케이스(10)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통로(111, 112, 113, 114)는 복수이므로, 공기가 공기 배출구(14)를 통해 케이스(1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어야 한다. 따라서,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4)는 넓은 단면적을 가지며, 하나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층(15)을 유동한 공기들은, 하나의 공기 배출구(14)에서 모여 케이스(10)의 외부로 함께 배출된다. 공기 배출구(14)의 단면적의 넓이는,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에 형성된 공기 통로 배출구(1112, 1122, 1132, 1142) 각각의 넓이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기 배출구(14)는 제1 내지 제3 공기 통로 배출구(1122, 1132, 1142)의 맞은 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공기 배출구(14)의 개수, 넓이, 위치 등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0, the case 10 further includes an air outlet 14. Air is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air passage outlets 1112, 1122, 1132, and 1142 formed in the air flow guide part 11, and is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layers 15, respectively. Then, the air releases the heat generated in each layer 15 and cools the inside of the case 10.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into the case 10 and the flow rat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are similar. Since the air passages 111, 112, 113 and 114 into which the air flows into the case 10 are plural, the air must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through the air outlet 14.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outlet 14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 has a wide cross-sectional area and one is formed. The air that has flowed through each of the layers 15 is collected at one air outlet 14 and discharged together out of the case 10. The width of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air discharge port 14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width of each of the air passage discharge ports 1112, 1122, 1132, and 1142 formed in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outlet 14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to third air passage outlets 1122, 1132 and 114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the area, and the position of the air outlet 14 may be variously formed.

도 13은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A-A'로 절단한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드 어셈블리(20)를 케이스(10)에서 제거하고,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E-E'로 절단한 정면 및 평면 사시도이다.FIG. 13 is a side view of the wireless wireless charging device 1 shown in FIG. 1 cut along the line A-A ', FIG. 14 is a plan view of the board assembly 20, 1 is a front view and a planar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taken along line E-E 'in Fig.

팬(32)에서 바람이 방출되면, 공기는 팬 하우징(3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 유입구(3011, 3021, 3031, 3041)로 유입된다. 이하, 공기가 팬 하우징(3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 유입구(3011, 3021, 3031, 3041) 중에, 최외곽에 형성된 제3 공기 통로 유입구(3041)에 유입된 경우를 설명한다.When air is blown from the fan 32, air flows into a plurality of air passage inlets 3011, 3021, 3031, and 3041 formed in the fan housing 30. Hereinafter, a case where air flows into the third air passage inlet 3041 formed at the outermost one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 inlets 3011, 3021, 3031, and 3041 formed in the fan housing 30 will be described.

제3 공기 통로 유입구(3041)에 유입된 공기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공기 통로(304)를 유동한다. 그리고, 제3 공기 통로 배출구(3042)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팬 하우징(3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 배출구(3012, 3022, 3032, 3042)와,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 유입구(1111, 1121, 1131, 1141)는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가 제3 공기 통로 배출구(3042)를 통해 배출되면, 곧바로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에 형성된 제3 공기 통로 유입구(1141)로 유입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third air passage inlet 3041 flows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304, as shown in Fig. T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outlet 3042. A plurality of air passage inlets 3011 and 3021 formed in the fan housing 30 and a plurality of air passage inlets 1111 and 1121 and 1131 formed in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1141 are respectively connected. Accordingly, w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outlet 3042, the air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third air passage inlet 1141 formed in the air flow guide part 11.

제3 공기 통로 유입구(1141)에 유입된 공기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공기 통로(114)를 유동한다. 그리고, 제3 공기 통로 배출구(1142)를 통해 배출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third air passage inlet 1141 flows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114, as shown in Fig. T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outlet 1142.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3 공기 통로 배출구(1142)는,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층(15) 중에서 최하층인 제1 층(151)을 향해 형성된다. 따라서, 제3 공기 통로(114)를 유동한 공기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공기 통로 배출구(1142)를 통해 배출되어, 제1 층(151)으로 유입된다.As described above, the third air passage outlet 1142 is formed toward the lowermost first layer 151 among the plurality of layers 15 formed inside the case 10. Thus, the air that has flowed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114 is discharged through the third air passage outlet 1142, as shown in FIG. 14, and then flows into the first layer 151.

제1 층(151)은 케이스(10)의 바닥면이 바닥, 메인 보드(21)가 천장으로 형성된 층이다. 따라서, 제1 층(151)으로 유입된 공기는 메인 보드(21)의 하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케이스(10)의 공기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된다.The first layer 151 is a layer in whic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10 is bottomed and the main board 21 is formed as a ceiling. Thu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layer 151 cools the heat generated at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ard 21. [ T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4 of the case 10.

도 15는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B-B'로 절단한 측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인 보드(21)를 케이스(10)에 삽입하고,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E-E'로 절단한 정면 및 평면 사시도이다.Fig. 15 is a side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 shown in Fig. 1 cut along the line B-B 'in Fig. 16, 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in board 2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case 10, 1 is a front view and a planar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taken along line E-E 'in Fig.

이하, 공기가 팬 하우징(3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 유입구(3011, 3021, 3031, 3041) 중에, 제2 공기 통로 유입구(3031)에 유입된 경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case where air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passage inlet 3031 into a plurality of air passage inlets 3011, 3021, 3031, and 3041 formed in the fan housing 30 will be described.

제2 공기 통로 유입구(3031)에 유입된 공기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기 통로(303)를 유동한다. 그리고, 제2 공기 통로 배출구(3032)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팬 하우징(3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 배출구(3012, 3022, 3032, 3042)와,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 유입구(1111, 1121, 1131, 1141)는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가 제2 공기 통로 배출구(3032)를 통해 배출되면, 곧바로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에 형성된 제2 공기 통로 유입구(1131)로 유입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passage inlet 3031 flows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303, as shown in Fig. T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outlet 3032. A plurality of air passage inlets 3011 and 3021 formed in the fan housing 30 and a plurality of air passage inlets 1111 and 1121 and 1131 formed in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1141 are respectively connected. Therefore, w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outlet 3032, the air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passage inlet 1131 formed in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

제2 공기 통로 유입구(1131)에 유입된 공기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기 통로(113)를 유동한다. 그리고, 제2 공기 통로 배출구(1132)를 통해 배출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air passage inlet 1131 flows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113, as shown in Fig. T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outlet 1132.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2 공기 통로 배출구(1132)는,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층(15) 중에서 제2 층(152)을 향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공기 통로(113)를 유동한 공기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기 통로 배출구(1132)를 통해 배출되어, 제2 층(152)으로 유입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air passage outlet 1132 is formed toward the second layer 152 out of the plurality of layers 15 formed inside the case 10. Thus, the air that has flowed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113 is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outlet 1132 and flows into the second layer 152, as shown in FIG.

제2 층(152)은 메인 보드(21)가 바닥, 코일 제어 보드(22)가 천장으로 형성된 층이다. 따라서, 제2 층(152)으로 유입된 공기는 메인 보드(21)의 상면 및 코일 제어 보드(22)의 하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케이스(10)의 공기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된다.The second layer 152 is a layer in which the main board 21 is bottomed and the coil control board 22 is formed in a ceiling. Thu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layer 152 cools the heat gene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ard 2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il control board 22. [ T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4 of the case 10.

도 17은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C-C'로 절단한 측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일 제어 보드(22)를 케이스(10)에 더 삽입하고,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E-E'로 절단한 정면 및 평면 사시도이다.Fig. 17 is a side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 shown in Fig. 1 cut along the line C-C ', Fig. 18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coil control board 22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inserted 1 is a front view and a planar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taken along line E-E 'in Fig.

이하, 공기가 팬 하우징(3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 유입구(3011, 3021, 3031, 3041) 중에, 제1 공기 통로 유입구(3021)에 유입된 경우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case where ai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passage inlet 3021 among a plurality of air passage inlets 3011, 3021, 3031, and 3041 formed in the fan housing 30 will be described.

제1 공기 통로 유입구(3021)에 유입된 공기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기 통로(302)를 유동한다. 그리고, 제1 공기 통로 배출구(3022)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팬 하우징(3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 배출구(3012, 3022, 3032, 3042)와,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 유입구(1111, 1121, 1131, 1141)는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가 제1 공기 통로 배출구(3022)를 통해 배출되면, 곧바로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에 형성된 제1 공기 통로 유입구(1121)로 유입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passage inlet 3021 flows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302 as shown in Fig. T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outlet 3022. A plurality of air passage inlets 3011 and 3021 formed in the fan housing 30 and a plurality of air passage inlets 1111 and 1121 and 1131 formed in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1141 are respectively connected. Accordingly, w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outlet 3022, the air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passage inlet 1121 formed in the air flow guide part 11. [

제1 공기 통로 유입구(1121)에 유입된 공기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기 통로(112)를 유동한다. 그리고, 제1 공기 통로 배출구(1122)를 통해 배출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passage inlet 1121 flows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112, as shown in Fig. T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outlet 1122.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기 통로 배출구(1122)는,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층(15) 중에서 제3 층(153)을 향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공기 통로(112)를 유동한 공기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기 통로 배출구(1122)를 통해 배출되어, 제3 층(153)으로 유입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ir passage outlet 1122 is formed toward the third layer 153 out of the plurality of layers 15 formed inside the case 10. Thus, the air that has flowed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112 is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outlet 1122 and flows into the third layer 153, as shown in FIG.

제3 층(153)은 코일 제어 보드(22)가 바닥, 전자기장 생성 보드(23)가 천장으로 형성된 층이다. 따라서, 제3 층(153)으로 유입된 공기는 코일 제어 보드(22)의 상면 및 전자기장 생성 보드(23)의 하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케이스(10)의 공기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된다.The third layer 153 is a layer in which the coil control board 22 is the bottom and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is formed in the ceiling. Therefor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third layer 153 cools the heat gene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il control board 2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T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4 of the case 10.

도 19는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D-D'로 절단한 측면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장 생성 보드(23) 케이스(10)에 더 삽입되고, 도 1에서의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1)를 E-E'로 절단한 정면 및 평면 사시도이다.Fig. 19 is a side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1 shown in Fig. 1 cut into D-D ', Fig. 20 is further inserted into the case 10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front view and a planar perspective view of the vehicle wireless charging device 1 taken along line E-E 'in Fig.

이하, 공기가 팬 하우징(3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 유입구(3011, 3021, 3031, 3041) 중에, 중앙 공기 통로 유입구(3011)에 유입된 경우를 설명한다.The case where air is introduced into the central air passage inlet 3011 among a plurality of air passage inlets 3011, 3021, 3031 and 3041 formed in the fan housing 30 will be described below.

중앙 공기 통로 유입구(3011)에 유입된 공기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공기 통로(301)를 유동한다. 그리고, 중앙 공기 통로 배출구(3012)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팬 하우징(30)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 배출구(3012, 3022, 3032, 3042)와,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 통로 유입구(1111, 1121, 1131, 1141)는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공기가 중앙 공기 통로 배출구(3012)를 통해 배출되면, 곧바로 공기 유동 가이드부(11)에 형성된 중앙 공기 통로 유입구(1111)로 유입된다.The air introduced into the central air passage inlet 3011 flows in the central air passage 301, as shown in Fig. T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central air passage outlet 3012. A plurality of air passage inlets 3011 and 3021 formed in the fan housing 30 and a plurality of air passage inlets 1111 and 1121 and 1131 formed in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1141 are respectively connected. Therefore, w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central air passage outlet 3012, the air is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central air passage inlet 1111 formed in the air flow guide portion 11. [

중앙 공기 통로 유입구(1111)에 유입된 공기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공기 통로(111)를 유동한다. 그리고, 중앙 공기 통로 배출구(1112)를 통해 배출된다.The air that has flowed into the central air passage inlet 1111 flows in the central air passage 111, as shown in Fig. T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central air passage outlet 1112.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중앙 공기 통로 배출구(1112)는,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층(15) 중에서 최상층인 제4 층(154)을 향해 형성된다. 따라서, 중앙 공기 통로(111)를 유동한 공기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공기 통로 배출구(1112)를 통해 배출되어, 제4 층(154)으로 유입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air passage outlet 1112 is formed toward the fourth layer 154 which is the uppermost one of the plurality of layers 15 formed inside the case 10. Thus, the air that has flowed through the central air passage 111 is discharged through the central air passage outlet 1112, as shown in FIG. 20, and flows into the fourth layer 154.

제4 층(154)은 전자기장 생성 보드(23)가 바닥, 커버(40)가 천장으로 형성된 층이다. 따라서, 제4 층(154)으로 유입된 공기는 전자기장 생성 보드(23)의 상면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케이스(10)의 공기 배출구(14)를 통해 배출된다.The fourth layer 154 is a layer in which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is formed as a bottom and the cover 40 is formed as a ceiling. Therefor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ourth layer 154 cools the heat gener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23. [ Then,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outlet 14 of the case 10.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무선충전기 10: 케이스
11: 공기 유동 가이드부 12: 격벽
13: 공기 유입구 14: 공기 배출구
15: 층 16: 수용 공간
20: 보드 어셈블리 21: 메인 보드
22: 코일 제어 보드 23: 전자기장 생성 보드
30: 팬 하우징 31: 공기 공급홀
32: 팬 40: 커버
151: 제1 층 152: 제2 층
153: 제3 층 154: 제4 층
231: 코일 232: 코일 지지부
233: 차폐부
1: Wireless charger 10: Case
11: air flow guide part 12: partition wall
13: air inlet 14: air outlet
15: Floor 16: accommodation space
20: board assembly 21: main board
22: coil control board 23: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30: fan housing 31: air supply hole
32: fan 40: cover
151: first layer 152: second layer
153: third layer 154: fourth layer
231: coil 232: coil support
233:

Claims (16)

전자 기기를 무선으로 충전시키는 전자기장 생성 보드;
차량과 통신을 수행하거나 상기 전자기장 생성 보드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 보드;
상기 전자기장 생성 보드 및 상기 제어 보드를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복수의 층으로 분할되는 하우징;
바람을 발생시키는 팬;
상기 발생된 바람에 의해 공기가 상기 하우징으로 유입되면, 상기 공기를 상기 복수의 층마다 배분하여 배출하는 공기 유동 가이드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층으로 유입된 상기 공기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for wirelessly charging an electronic device;
A control board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or controlling electric power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A housing divided into a plurality of layers by accommodating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and the control board therein;
A fan generating wind;
An air flow guide part for distributing and discharging the ai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when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by the generated wind; And
And an air outlet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for discharg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layers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 가이드부는,
복수의 공기 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는,
상기 복수의 층에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통로 배출구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층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공기 통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flow guide portion
A plurality of air passages,
Wherein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comprise:
And an air passage outlet for discharging air into the plurality of layer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layers comprises:
And air discharg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air passage outlets is introduc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는,
일렬로 나열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comprise:
And is formed in a lin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 중에서 중앙에 위치한 공기 통로는,
나머지 공기 통로보다 단면적이 넓은,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ar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And a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remaining air passag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 중에서, 상기 공기를 상기 전자기장 생성 보드의 상면으로 향하도록 유동시키는 공기 통로는,
나머지 공기 통로보다 단면적이 넓은, 무선 충전기.
3. The method of claim 2,
An air passage for flowing the air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among the plurality of air paths,
A wireless charger having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remaining air passageway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배출구는,
각각의 공기 통로 배출구보다 단면적이 넓은,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ir outlet
Wherein a cross-sectional area of each of the plurality of air outlet ports is larger than that of each of the air outlet port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에 부착되어, 상기 팬을 수용하는 팬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fan housing attached to a lower end of the housing to receive the fa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은,
복수의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an housing includes:
And a plurality of air passage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의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는,
상기 공기 유동 가이드부로 공기를 배출하는 공기 통로 배출구를 각각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of the fan housing comprise:
And an air passage outlet for discharging air to the air flow guide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의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의 상기 공기 통로 배출구는,
상기 공기 유동 가이드부의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 통로 유입구와 연결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air passage outlet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of the fan housing includes:
And is connected to an air passage inlet for introducing air into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of the air flow guide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 전부 또는 일부의 상기 일측면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폐쇄하는 격벽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comprise:
One side is opened,
The housing includes:
And a partition wall that closes all or a part of the one side of all or a part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된 일측면 중에서,
상기 격벽에 폐쇄되지 않은 부분이 상기 복수의 공기 통로의 배출구가 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mong the open sides,
And a portion not closed to the partition wall serves as a discharge port of the plurality of air passag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장 생성 보드는,
상기 제어 보드보다 위에 위치하며, 전자기장을 생성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on board includes:
And a coil located above the control board and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전자기장 생성 보드의 중심에 위치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And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장 생성 보드는,
상기 코일에서 생성되는 전자기장을 차폐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on board includes:
And a shielding portion for shielding an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co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자기장 생성 보드가 안착되고, 상기 제어 보드를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상부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차량의 트레이의 내부에 매입되고, 상기 커버의 상면은 외부로 노출되는,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ncludes:
A case on which the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ng board is seated and accommodates the control board therein; And
And a cover for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case,
Wherein the case is embedded in a tray of a vehicl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is exposed to the outside.
KR1020160183922A 2016-12-30 2016-12-30 The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For Vehicle KR1019946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922A KR101994617B1 (en) 2016-12-30 2016-12-30 The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922A KR101994617B1 (en) 2016-12-30 2016-12-30 The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789A true KR20180078789A (en) 2018-07-10
KR101994617B1 KR101994617B1 (en) 2019-07-02

Family

ID=6291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922A KR101994617B1 (en) 2016-12-30 2016-12-30 The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617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8537A (en) * 2018-08-23 2018-12-21 嘉善县姚庄中心学校 A kind of radiator for laptop charger
KR20200007467A (en) * 2018-07-13 2020-01-22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Heat Radiant Function
CN111817364A (en) * 2019-04-10 2020-10-23 保时捷股份公司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process of mobile device in vehicle
CN113226833A (en) * 2018-10-23 2021-08-06 庞巴迪无接触运行有限责任公司 Fixing part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pad
US11134584B2 (en) * 2018-01-09 2021-09-28 Aptiv Technologies Limited Wireless device charger with cooling device
KR20230076943A (en) * 2021-11-23 2023-06-01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 with Air Induction Por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5838A (en) * 2004-02-17 2005-09-02 Asahi Kogyo Kk Heat radiator
JP2013150393A (en) * 2012-01-17 2013-08-01 Sanyo Electric Co Ltd Contactless power feeding unit and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561471B1 (en) 2013-12-12 2015-10-30 주식회사 대동 Transmitter of Wireless battery charger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s
KR20160028910A (en) 2014-09-04 2016-03-14 주식회사 서연전자 Wireless power charging apparatus of vehicl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5838A (en) * 2004-02-17 2005-09-02 Asahi Kogyo Kk Heat radiator
JP2013150393A (en) * 2012-01-17 2013-08-01 Sanyo Electric Co Ltd Contactless power feeding unit and electr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561471B1 (en) 2013-12-12 2015-10-30 주식회사 대동 Transmitter of Wireless battery charger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s
KR20160028910A (en) 2014-09-04 2016-03-14 주식회사 서연전자 Wireless power charging apparatus of vehicl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4584B2 (en) * 2018-01-09 2021-09-28 Aptiv Technologies Limited Wireless device charger with cooling device
US11632875B2 (en) 2018-01-09 2023-04-18 Aptiv Technologies Limited Wireless device charger with cooling device
KR20200007467A (en) * 2018-07-13 2020-01-22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Heat Radiant Function
CN109068537A (en) * 2018-08-23 2018-12-21 嘉善县姚庄中心学校 A kind of radiator for laptop charger
CN113226833A (en) * 2018-10-23 2021-08-06 庞巴迪无接触运行有限责任公司 Fixing part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pad
CN111817364A (en) * 2019-04-10 2020-10-23 保时捷股份公司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process of mobile device in vehicle
KR20230076943A (en) * 2021-11-23 2023-06-01 니덱모빌리티코리아 주식회사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 with Air Induction P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617B1 (en)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617B1 (en) The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For Vehicle
KR20180078794A (en) The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For Vehicle
KR102104383B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the energy storage apparatus
US7642006B2 (en) Secondary battery module
US8802267B2 (en) Temperature adjusting structure for electric storage module
KR100987565B1 (en) Power Supply for Vehicle
JP5556491B2 (en) Battery pack
CN107112809A (en) The hea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device
JP5409635B2 (en) Uniform air cooling structure for high capacity battery system
KR20130061895A (en) Battery module
WO2023155631A1 (en) Vehicle and vehicle-mounted wireless charging device thereof
KR101989464B1 (en) Wireless power transfer apparatus for vehicle
KR101995805B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CN217063365U (en) Vehicle and vehicle-mounted wireless charging device thereof
CN111699353B (en) Movable cold storage
KR102412085B1 (en) Energy storage system
KR20180078796A (en) The Apparatus For Wireless Charging For Vehicle
JP6163477B2 (en) Power control unit and electric device
JP7061050B2 (en) Wireless charger
US20230074238A1 (en) Wireless charger with venting system
KR20210026663A (en) Refrigerator installed at an entrance of the place
CN219199666U (en) Refrigerator air supply structure and refrigerator with same
KR20140048469A (en) Battery module assembly
CN219810093U (en) Refrigerator
KR102163429B1 (en) A cradle for charging hair roll and configura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