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392A -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 - Google Patents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392A
KR20180078392A KR1020160182324A KR20160182324A KR20180078392A KR 20180078392 A KR20180078392 A KR 20180078392A KR 1020160182324 A KR1020160182324 A KR 1020160182324A KR 20160182324 A KR20160182324 A KR 20160182324A KR 20180078392 A KR20180078392 A KR 20180078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optical
optical communication
copper wir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창
양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링크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링크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링크플러스
Priority to KR1020160182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8392A/ko
Publication of KR20180078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3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5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discs, bushings or the like
    • G02B6/3837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discs, bushings or the like forwarding or threading methods of light guides into apertures of ferrule center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22Cable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ductor together with optical fib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가 개시된다.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에 있어서, 광통신부는 하이브리드 케이블의 정중앙에 위치하며, 코어와 클래드로 이루어진 광파이버를 포함한다. 전기통신부는 클래드를 관통하여 구리선이 실장된다. 이때, 광통신부는 광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잭 형태의 케이블을 사용함으로서 광통신에서 중요한 광축정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다. 또한, 2개 이상의 구리선을 갖는 광섬유가 실장된 하이브리드 케이블을 이용함으로서 광통신 및 전기신호에 대한 요구를 모두 충족할 수 있다. 나아가, 오디오잭 형태의 커넥터 삽입에 따른 광통신 기능과 전기신호 기능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소형화 형태의 하이브리드 케이블로 차량용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Optical fiber having cooper wire}
본 발명은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통신에 사용되는 광파이버 구조와 관련된 것으로 기존 형태와는 다른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광파이버는 통신용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광파이버는 광통신용 케이블의 특성상 광신호를 전달하는 기능만 수행하기 때문에, 구동되는 통신모듈의 전원부는 별도의 케이블을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복합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케이블을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광통신용 케이블의 역할과 전원부 구동을 위한 케이블 기능을 하는 하이브리드형 케이블에 대한 요구가 많은 실정이다.
즉, 종래 유선통신 기반 데이터 송수신은 전기적인 통신과 광학적인 통신으로만 별개의 케이블로 구성되어 왔으며, 기존 하이브리드 케이블은 다채널 케이블로서 부피가 큰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어, 통신 중심의 소형 모듈에 적용하기 힘든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기 통신 및 전원 공급과 광통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케이블을 제안하고자 한다. 나아가, 이는 차량용 광통신 모듈에 최적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9712호 : 광파이버 커넥터, 그의 제조방법, 광파이버 커넥터와 광파이버의 접속 방법, 광파이버 커넥터와 광파이버의 조립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61831호 : 광화이버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오디오잭 형태의 케이블을 사용함으로서 광통신에서 중요한 광축정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구리선을 갖는 광섬유가 실장된 하이브리드 케이블을 이용함으로서 광통신 및 전기신호에 대한 요구를 모두 충족할 수 있는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오디오잭 형태의 커넥터 삽입에 따른 광통신 기능과 전기신호 기능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소형화 형태의 하이브리드 케이블로 차량용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는,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케이블의 정중앙에 위치하며, 코어와 클래드로 이루어진 광파이버를 포함하는 광통신부; 및 상기 클래드를 관통하여 구리선이 실장되어 있는 전기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통신부는 광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에 의하면, 오디오잭 형태의 케이블을 사용함으로서 광통신에서 중요한 광축정렬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다. 또한, 2개 이상의 구리선을 갖는 광섬유가 실장된 하이브리드 케이블을 이용함으로서 광통신 및 전기신호에 대한 요구를 모두 충족할 수 있다. 나아가, 오디오잭 형태의 커넥터 삽입에 따른 광통신 기능과 전기신호 기능을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소형화 형태의 하이브리드 케이블로 차량용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하이브리드 케이블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가 포함된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가 포함된 커넥터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그리고,
도 5 내지 도 6은 차량용 네트워크 통신인 MOST 링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사용되어 온 하이브리드형 광케이블은 광케이블과 구리선이 동시에 실장되어 별도의 커넥터 형태로 구성되었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 하이브리드 케이블은 많은 구리선과 광섬유로 이루어진 케이블 형태와 방수 커넥터 형태를 이루고 있어, 소형화된 광통신 모듈에 실장하기 위한 케이블로는 한계가 있었다. 즉, 도 1과 같은 기존 하이브리드 케이블을 사용할 경우, 적용되는 제품이 제한되며 배선 증가에 따른 무게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하이브리드 케이블을 개발하고 있지만, 커넥터 및 케이블의 형태는 동일하기 때문에 본질적인 해결책이라고 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는 오디오잭 구조를 갖는 커넥터 형태를 가지며, 구리선과 광섬유를 포함한 하이브리드 케이블을 구현함으로서 케이블의 소형화와 사용의 편이성을 달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는 2개의 구리선(전기선)이 양 쪽에 실장되어 광파이버(광섬유=코어+클래드+자켓)를 이루고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는 통신모듈을 위한 소형화 하이브리드 케이블을 통해 광통신을 비롯한 전기통신(전원) 등의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가 포함된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는 기존 오디오잭과 비슷한 형태를 가지며, 정 중앙에는 광섬유(광파이버,1)가 위치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숫자 11은 광섬유(광파이버,1)가 들어간 위치를 나타내며, 숫자 2, 3, 4는 구리선(전기선)과 연결된 단자를 나타낸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를 A-A 방향으로 자른 단면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는 기존 오디오잭과 비슷한 형태를 가지며, 광통신과 전기통신(전원)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케이블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차량용 네트워크 통신인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s) 링 네트워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MOST 링 네트워크는 차량용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하나 이상의 스피커로 이루어진 전체 오디오 시스템에서 각각의 스피커는 상호 링 네트워크(ring network)를 구성한다. 각각의 개별 스피커는 오디오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오디오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신호를 광통신 신호로 송수신하는 송수신기, 송수신기로부터 광신호를 송신하여 각 신호에 부여된 노드의 패킷 주소에 따라 각각의 노드로 전송하는 광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송수신기로부터 각 노드별 할당된 패킷 주소에 따라 오디오 신호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되, 각 노드별로 다수의 스피커를 구동할 수 있는 광통신 기능을 갖는 링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지만,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이러한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4)

  1.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케이블의 정중앙에 위치하며, 코어와 클래드로 이루어진 광파이버를 포함하는 광통신부; 및
    상기 클래드를 관통하여 구리선이 실장되어 있는 전기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통신부는 광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통신부는.
    상기 구리선이 상기 클래드를 관통하여 복수 개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통신 네트워크는 차량용 네트워크 또는 홈 네트워크 중 어느 하나에 연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광파이버는 POF(Plastic Optical Fi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
KR1020160182324A 2016-12-29 2016-12-29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 KR20180078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324A KR20180078392A (ko) 2016-12-29 2016-12-29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324A KR20180078392A (ko) 2016-12-29 2016-12-29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392A true KR20180078392A (ko) 2018-07-10

Family

ID=6291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324A KR20180078392A (ko) 2016-12-29 2016-12-29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839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2851A (zh) * 2021-02-01 2021-06-22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电线、电线系统及车辆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2851A (zh) * 2021-02-01 2021-06-22 北京汽车集团越野车有限公司 电线、电线系统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35379A1 (en) Electro-optical cable, plug and socket
KR101491227B1 (ko) 광 및 전기 경로들을 갖는 오디오 플러그들
US5792986A (en) Composite audio/video cable assembly
US8577195B2 (en) Interface accessories with optical and electrical paths
US8573861B2 (en) Audio jacks with optical and electrical paths
US20050052174A1 (en) Traceable patch cable and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identifying patch cable ends
US8682003B2 (en) Equipment with optical paths for noise cancellation signals
US20090004923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necting two electrical devices together
US20110116675A1 (en) Audio connectors with wavelength-division-multiplexing capabilities
EP2956946A1 (en) Hybrid power and optical fiber cable with conductive buffer tube
KR20180078392A (ko) 구리선이 실장된 광파이버
JP5439682B2 (ja) 光アクティブコネクタ
US86428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between a cab and chassis of a truck
US10048457B2 (en) Electro-optical connector systems incorporating gradient-index lenses
US20090301754A1 (en) Cable management system
JP6365309B2 (ja) 高速伝送用ケーブルモジュール
AU2018101542A6 (en) Hybrid connector
KR101683250B1 (ko) 이어폰 케이블에 장착되는 이어마이크부의 납땜 최소화 pcb기판 구조 및 부싱구조
US8983253B2 (en) Hybrid cables having varying conductor types
US8366478B2 (en) Electronic device
JP2009284014A (ja) トランシーバモジュール用のケージ及び通信装置
KR200340360Y1 (ko) 전자제품용 잭 어댑터
JP2014035810A (ja) 車両通信用lanケーブル
KR200360782Y1 (ko) 다기능 커플러
KR200331533Y1 (ko) 통합된 신호 연결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