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616A - Under cover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Under cover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616A
KR20180077616A KR1020160182165A KR20160182165A KR20180077616A KR 20180077616 A KR20180077616 A KR 20180077616A KR 1020160182165 A KR1020160182165 A KR 1020160182165A KR 20160182165 A KR20160182165 A KR 20160182165A KR 20180077616 A KR20180077616 A KR 20180077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 cover
vibration
rib
width
under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880826B1 (en
Inventor
공용식
김용진
천진태
Original Assignee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2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826B1/en
Publication of KR20180077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6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8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3After-treatments in the joint area
    • B29C66/032Mechanical after-treatments
    • B29C66/0326Cutting, e.g. by using waterjets,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1Fibre-reinforced materials
    • B29C66/7212Fibre-reinforce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4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and 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i.e. combined with compressing after the lay-up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 cover for a vehicle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n which rigidity of the under cover is reinforced against vibration and deflection by a vibration reinforcing portion formed on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of a body portion while using an under cover material which is lighter than conventional under cover material. The rigidity of the under cover against deflection is reinforced by a deflection reinforcing portion formed across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r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s the rigidity against vibration and deflection is reinforced while reducing the weight of undercover,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under cover and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of the under cover. Operator convenience can be improved by facilitating the assembling work for the under cover and fuel efficiency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vehicle.

Description

자동차용 언더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Under cover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

본 발명은 자동차용 언더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보다 중량이 가벼운 언더커버 기재를 사용하면서도 바디부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형성되는 진동 보강부에 의해 진동과 처짐에 대해 언더커버의 강성을 보강하고, 바디부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가로질러 형성되거나 바디부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처짐 보강부에 의해 처짐에 대한 언더커버의 강성을 보강하여 언더커버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도 진동과 처짐에 대한 강성이 보강됨에 따라 언더커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언더커버의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언더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 cover for an automobi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 cover for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ibration- The rigidity of the under cover is reinforced and the rigidity of the under cover against the deflection is reinforced by the deflection reinforcing portion formed across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r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der cover for an automobi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improv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under cover as the rigidity against deflection is enhanc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of the under cover can be reduced.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하단면에는 언더커버가 장착되는데, 이러한 언더커버는 엔진 및 변속기를 비롯하여 자동차의 하부에 설치된 부품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자동차의 주행 중에 외부의 이물질이 자동차의 하부를 통해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Generally, an under cover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automobile. Such an under cover serves to protect the component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including the engine and the transmission. Also, Thereby preventing the liquid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또한, 자동차의 언더커버는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소음, 특히 엔진과 변속기 등의 소음을 흡수 내지 차단하여 소음이 자동차의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an under cover of an automobile performs an important function to prevent nois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utside of the automobile by absorbing or interrupting noise generated in the automobile, particularly, engine and transmission.

자동차의 주행 중에는 돌멩이나 물, 각종 오염물질 등의 여러 이물질이 자동차로 튀기거나 자동차에 자주 묻게 되고, 특히 둔턱이나 겨울철의 눈이 쌓인 곳을 통과할 때에는 언더커버가 설치되는 자동차의 하단부가 노면이나 노면에 존재하는 장애물과 마찰될 수 있기 때문에 엔진룸내의 엔진과 변속기 및 자동차의 주요 부품에 치명적인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During driving,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pebbles, water, various pollutants are frequently splashed in automobiles or are frequently encountered in automobiles. Especially when passing through a place where the snow is piled on a barrier or winter, the lower part of the vehicle Fatal damage may occur to the engine, transmission and major parts of the vehicle in the engine compartment due to friction with road surface obstructions.

자동차에 하부에 설치되는 언더커버는 자동차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된다.The undercover install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vehicle is formed variousl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vehicle.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언더커버(1)의 일 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자동차용 언더커버(1)는 자동차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다수의 장착홀(2)이 형성된다. 또한, 언더커버(1)는 스틸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 언더커버의 상면(자동차의 내부를 향하는 면)에는 흡음을 위해 상대적으로 부드러우면서 다공성을 갖는 재질의 흡음부가 형성될 수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der cover 1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related art. In FIG. 1, a plurality of mounting holes 2 are formed in an under cover 1 for an automobile. Further, the under cover 1 is formed of a stee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nder cover (the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automobile), a sound absorbing portion made of a material having relatively soft and porous properties may be formed for absorbing sound.

이처럼, 자동차용 언더커버는 소음의 외부 전파를 막아줄 수 있는 우수한 흡/차음성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외부 충역을 충분히 막아낼 수 있을 정도의 높은 강도가 요구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under cover of the automobile is required not only excellent absorption /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that can prevent the external propagation of noise, but also high strength enough to sufficiently prevent the external shorting.

또한, 오늘날에는 자동차의 경량화를 통해 자동차의 연비를 개선하기 위해 스틸재질보다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다.In addition, today, in order to improve the fuel efficiency of automobiles by lightening the weight of automobiles, plastic materials are used instead of steel materials to reduce weight.

그러나, 종래 자동차용 언더커버는 1200g/㎡ (1200 평량) 또는 1400g/㎡ (1400 평량)의 언더커버 기재를 사용함에 따라 언더커버의 중량이 증가되고, 이에 따라 언더커버의 제조비용이 증가되며, 제조원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utomotive undercover, the weight of the under cover is increased due to the use of the under cover base of 1200 g / m 2 (1200 m 2) or 1400 g / m 2 (1400 m 2), thereby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under cover,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이를 위해, 종래 자동차용 언더커버는 800g/㎡ (800 평량)의 언더커버 기재를 사용하였으나 진동과 처짐에 대한 강성이 저하되어 언더커버가 노면에 끌리면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언더커버의 강도가 저하되어 언더커버를 자주 교체해야함에 따라 자동차의 유지비용이 증가되고, 자동차 운전자의 불편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or this purpose, in the conventional automotive undercover, 800 g / m 2 (800 sq. M) of undercover base material was used, however, the rigidity against vibration and sagging was lowered and the under cover was attracted to the road su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intenance cost of the automobile increases and the inconvenience of the driver of the automobile increases.

또한, 종래 자동차용 언더커버는 저비중의 언더커버 기재를 사용함에 따라 처짐에 대한 강성이 저하되어 자동차 생산시에 언더커버가 길이방향이나 폭방향으로 휘어짐에 따라 언더커버의 파손이 발생하거나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없어 작업자의 불편을 초래하고, 작업시간의 증가에 따라 자동차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under cover of the conventional automobile uses an under cover base material having a low specific gravity, the rigidity against sagging is lowered, so that the under cover is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width direction during the production of automobil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er can not easily work and inconveniences the worker and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automobil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working time.

더욱이, 종래 자동차용 언더커버는 진동과 처짐에 대한 강성이 감소됨에 따라 노면에 있는 장애물 등에 의해 자동차이 운행중에 언더커버가 파손되고, 2차적으로 자동차 하부의 다른 구성부품이 손상됨에 따라 추가적인 교체비용이 발생되고, 자동차의 안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under cover of the conventional automobile has a reduced rigidity against vibration and deflection, the under cover is damaged during the automobile operation due to obstacles on the road surface, and the other components of the undercarriage are damaged secondarily, And the safety of the vehicle is deteriorated.

게다가, 종래 자동차용 언더커버는 언더커버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없어 자동차의 연비가 악화되어 자동차의 유지비용이 증가되고, 수출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under cover for automobiles has a problem in that the weight of the under cover can not be reduced, fuel economy of the automobile is deteriorated, the maintenance cost of the automobile increases, and the export is reduced.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4-005230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523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보다 중량이 가벼운 언더커버 기재를 사용하면서도 바디부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형성되는 진동 보강부에 의해 진동과 처짐에 대해 언더커버의 강성을 보강하고, 바디부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가로질러 형성되거나 바디부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처짐 보강부에 의해 처짐에 대한 언더커버의 강성을 추가로 보강하여 언더커버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도 진동과 처짐에 대한 강성을 보강함에 따라 언더커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언더커버의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하며, 언더커버의 조립 편의성을 도모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키고, 자동차의 경량화에 따라 연비를 개선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언더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under-cover base material which is light in weight, The rigidity of the cover is reinforced and the rigidity of the under cover against the deflection is further reinforced by the deflection reinforcing portion formed across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r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reduce the weight of the under cover, And enhances the rigidity against deflection, thereby improving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under cover,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of the under cover,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nder cover and improving the worker's convenience, Thereby improving the fuel econom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는 자동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자동차에 설치된 부품을 보호하는 자동차용 언더커버에 있어서, 상기 언더커버는 상기 자동차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고 전방을 형성하는 전방부와 후방을 형성하는 후방부를 구비하는 바디부; 진동에 대한 상기 언더커버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형성되는 진동 보강부; 및 처짐에 대한 상기 언더커버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가로질러 형성되거나 상기 바디부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처짐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nder cover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an automobile to protect a component installed in the automobile, wherein the under cover has a predetermined length A body portion having a front portion having a width and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having a rear portion; A vibration reinforcing portion formed on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under cover against vibration; And a deflection strengthening portion formed across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r formed at a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undercover against defle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상기 바디부의 전방부는 상기 전방부의 후단 일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전방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후방부는 상기 전방 단차부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부의 후단 일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후방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nder cov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f the automotive under cover includes a front stepped portion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portion, And a rear stepped portion that is stepped on one side of a rear end of the rear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front step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진동 보강부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부의 전단에 인접한 부분에서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진동 보강 리브;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진동 보강 리브의 후단에서 이격되게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상기 전방부의 후단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 진동 보강 리브; 및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부의 전단에서 상기 후방부의 후단에 인접하게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진동 보강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nder cov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reinforcement portion of the under cover for a vehicle has a certain length, width and height,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front portion. A first vibration-resisting rib that is formed; A second vibration-resisting ri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width and a height, and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vibration-resisting rib to a rear end of the front por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And a third vibration-resisting ri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width and a height,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rear portion at the front end of the rear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진동 보강부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 단차부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진동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nder cov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reinforcement portion of the under cover for a vehicle has a certain length, width and height, 4 vibration reinforcing rib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진동 보강부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부의 후단에서 상기 후방부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5 진동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nder cov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bration reinforcement portion of the under cover of the automobile has a certain length, width and height, and is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rear portion, And a fifth vibration-enhancing rib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처짐 방지부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진동 보강 리브 후단의 상단면과 상기 제3 진동 보강 리브의 전단의 상단면에 상기 제2 진동 보강 리브와 상기 제3 진동 보강 리브를 가로질러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처짐 방지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nder cover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ck preventing portion of the under cover of the automobile has a certain length, width and heigh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second vibration- And a first sag prevention rib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ross the second vibration-resisting rib and the third vibration-absorbing rib o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reinforcing rib.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처짐 방지부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부의 일측면과 상기 후방부의 일측면과 인접하게 상기 전방부의 후단과 상기 후방부의 전단을 가로질러 상기 제1 처짐 방지 리브와 평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처짐 방지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nder cover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ck preventing portion of the under cover of the automobile has a certain length, width and height, and the one side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one side of the rear portion, And a second sag prevention rib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irst sag prevention ribs across the rear end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front end of the rear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처짐 방지부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단차부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처짐 방지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nder cover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ck preventing portion of the under cover of the automobile has a constant length, a width and a height, 3 deflection preventing rib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상기 제1 처짐 방지 리브의 폭은 상기 제2 진동 보강 리브와 폭 및 상기 제3 진동 보강 리브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nder cover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first slack prevention ribs of the automotive under cover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vibration strengthening ribs and the width of the third vibration reinforcing ribs .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under cov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 의 제조방법은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을 이용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으로 수지에 유리섬유가 함침된 LWRT 소재를 시트 형태로 언더커버 기재를 형성하는 단계(S1); 상기 언더커버 기재의 상부나 하부 또는 상기 언더커버의 기재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부직포를 적층하는 단계(S2); 상기 언더커버 기재와 상기 언더커버 기재에 적층된 부직포를 예열하는 단계(S3); 및 상기 예열된 상기 언더커버 기재와 상기 언더커버 기재에 적층된 부직포를 프레스에서 언더커버로 성형하는 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under cover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S1) forming an under cover base material in the form of a sheet of LWRT material; (S2) of laminating the nonwoven fabric on the top or bottom of the undercover substrate or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substrate of the undercover; Preheating (S3) the nonwoven fabric laminated on the undercover substrate and the undercover substrate; And (S4) molding the nonwoven fabric laminated on the preheated undercover base material and the undercover base material into an under cover in a pres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은 언더커버를 성형하는 단계(S4) 이후에 성형된 언더커버를 최종 언더커버에 부합하도록 트리밍하는 단계(S5);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under cov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under cover for an automobile is characterized in that after the step (S4) of molding the under cover, And trimming (S5).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 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의 언더커버 기재를 형성하는 단계(S1)에서 상기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아리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탈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페닐렌에테르(PP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under cov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ep (S1) of forming an under cover base material fo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under cover for a vehicle, the res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propylene (PP) (PE), polyarimide (PA), polycarbonate (PC),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phenylene oxide (PPO), polyphenylene ether (PEI),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은 종래 보다 중량이 가벼운 언더커버 기재를 사용하면서도 바디부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형성되는 진동 보강부에 의해 진동과 처짐에 대해 언더커버의 강성을 보강하고, 바디부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가로질러 형성되거나 바디부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처짐 보강부에 의해 처짐에 대한 언더커버의 강성을 추가로 보강하여 언더커버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도 진동과 처짐에 대한 강성을 보강함에 따라 언더커버의 내구성과 강도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under cover for automobil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nhance the rigidity of the under cover against vibration and deflection by using the vibration reinforcement formed at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rigidity of the under cover against the deflection is further reinforced by the deflection reinforcing portion formed across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r form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reduce the weight of the under cover, It is possible to remarkably improve the durability and strength of the under cove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은 언더커버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도 언더커버의 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안정성과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수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under cover for automobile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markably improve the rigidity of the under cover while improving the weight of the under cover, thereby increasing stability and reliability, There is an effect.

더욱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은 언더커버의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하며, 언더커버의 조립 편의성을 도모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under cover for a vehicle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of the under cover, improving the ease of assembly of the under cover, and improving the operator's convenience.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은 언더커버의 수명을 증가시켜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nder cover for a vehicle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reducing the replacement cost by increasing the service life of the under cover.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은 내구성과 강성 증가에 따라 자동차의 운행중에 언더커버의 파손에 따른 2차적인 손해로 차량의 하부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자동차의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경량화를 통해 자동차의 연비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lso, the under cover for a vehicle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 damage to the lower parts of the vehicle due to secondary damage due to damage of the under cover during operation of the vehicle due to increase in durability and rigidity, And the fuel efficiency of the automobile can be improved by reducing the weight.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평편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2의 B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2의 C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2의 D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E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진동 주파수에 따른 변형량 변화에 대한 종래 자동차용 언더커버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변형량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시간에 따라 중력에 의한 처짐량 변화에 대한 종래 자동차용 언더커버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처짐량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의 절차도를 나타낸다.
1 shows a plan view of a conventional under cover for automobiles.
2 is a plan view of an under cover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Fig. 4 show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Fig. 5 show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Fig. 6 show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D in Fig.
Fig. 7 show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E in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deformation amount of a conventional automotive under cover and a deformation amount of an automotive und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a deformation amount change according to a vibration frequency.
FIG. 9 is a graph showing a deflection amount of a conventional undercarriage for a vehicle and a deflection amount of an undercarriag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changes in deflection by gravity over time.
10 show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under cov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베개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a prefabricated pillow.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fully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an apparatu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dimensions and relative sizes of the layers and regions in the figure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illustr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Quot; comprise "and / or" comprising ", as us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that the presence of stated elements, Or additions.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평편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2의 B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내며, 도 5는 도 2의 C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도 2의 D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내며, 도 7은 도 6의 E부분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도 8은 진동 주파수에 따른 변형량 변화에 대한 종래 자동차용 언더커버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변형량에 대한 그래프이고, 도 9는 시간에 따라 중력에 의한 처짐량 변화에 대한 종래 자동차용 언더커버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처짐량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의 절차도를 나타낸다.2 is a plan view of an under cover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2,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in Fig. 2,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 in Fig. Fig. 7 show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E in Fig. 6. Fig.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conventional undercarriage for automobiles and the undercover for automobi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conventional undercarriage And the deflection amount of the under cov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 flow chart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under cov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폭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세로방향, 즉 도 2에서 Y축 방향을 의미하고, "길이방향"이란 폭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가로방향, 즉 도 2에서 X축 방향을 의미하며, "높이방향"이란 폭방향과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면서 동일부재에서 높이방향, 즉 도 2에서 Z축 방향을 의미한다. The definitions of terms used below are as follows. Mean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that is, the Y-axis direction in Fig. 2,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means the later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width direction, i.e., the X- The "height direction" means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eight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that is, the Z-axis direction in Fig.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는 자동차의 일측을 전방에서 후방까지 커버하기 위한 언더커버로 좌측 언더커버와 우측 언더커버가 1개의 셋트로 구성되고, 이하에서는 편의상 좌측 언더커버를 중점으로 설명한다. 우측 언더커버의 경우 좌측 언더커버와 평행하면서 대칭되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und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under cover for covering one side of the automobile from the front to the rear, wherein the left under cover and the right under cover are composed of one set, . In the case of the right undercover, it is formed symmetrically in parallel with the left undercover.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언더커버(10)를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언더커버(10)는 바디부(100), 진동 보강부(200), 및 처짐 보강부(300)로 이루어진다.2 to 7, an automotive under cov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2 to 7, an automotive under cov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 vibration-enhancing part 200, and a deflection reinforcing part 300.

언더커버(10)는 자동차의 하부와 마운팅부(11)의 볼트, 리벳과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자동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자동차에 설치된 부품을 보호하고,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며, 자동차의 엔진룸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The under cover 10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automobile by means of a lower part of the automobile and a coupling means such as a bolt and a rivet of the mounting part 11 to protect the parts installed in the automobile and reduce air resistance, Thereby preventing the generated nois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utside.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커버(10)는 800g/㎡ (800 평량)의 언더커버 기재로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언더커버 기재는 수지에 유리섬유가 함침된 LWRT 소재를 시트 형태로 형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언더커버 기재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아리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탈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페닐렌에테르(PP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the under cov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800 g / m 2 (800 m 2) of an under cover substrate. In addition, such an under cover substrate is formed in a sheet form of an LWRT material in which a resin is impregnated with glass fib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for forming the under cover substrat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polyarimide (PA), polycarbonate (PC) Is formed of any on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phenylene oxide (PPO), polyphenylene ether (PPE) and polyetherimide (PEI).

바디부(100)는 자동차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고 바디부(100)의 전방을 형성하는 전방부(110)와 바디부(100)의 후방을 형성하는 후방부를 구비한다. 즉, 바디부(100)는 자동차의 길이와 유사하고, 자동차의 폭의 절반과 유사한 폭을 구비하고, 이러한 바디부(100)는 다시 바디부 전체길이의 절반에 해당하고 바디부의 전방을 형성하는 전방부(110)와 바디부의 후방을 형성하는 후방부(120)로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부(100)는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길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body part 100 has a front part 1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and covering the lower part of the automobile and forming the front of the body part 100 and a rear part forming the rear of the body part 100. That is, the body part 100 is similar to the length of the vehicle and has a width similar to half of the width of the vehicle, and the body part 100 corresponds to half of the entire length of the body part and forms the front part of the body part And a rear portion 120 forming a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he body part 100 is formed to have various lengths and widths depending on the type of vehicle.

진동 보강부(200)는 진동과 1차적인 처짐에 대한 언더커버(1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바디부의 전방부(110)와 후방부(120)에 형성된다.The vibration enhancing part 200 is formed on the front part 110 and the rear part 120 of the body part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under cover 10 against vibration and primary deflection.

처짐 보강부(300)는 처짐에 대한 언더커버의 강성을 2차적으로 보강하기 위해, 바디부의 전방부(110)와 바디부의 후방부(120)를 가로질러 형성되거나 바디부의 전방부(110)에 형성된다. The deflection reinforcing portion 300 is formed to extend across the front portion 110 of the body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120 of the body portion or to be formed on the front portion 110 of the body portion in order to secondarily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under cover against deflection. .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는 종래 언더커버 보다 중량이 가벼운 언더커버 기재를 사용하면서도 바디부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형성되는 진동 보강부에 의해 진동과 처짐에 대해 언더커버의 강성을 보강하고, 바디부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가로질러 형성되거나 바디부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처짐 보강부에 의해 처짐에 대한 언더커버의 강성을 추가로 보강하여 언더커버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도 진동과 처짐에 대한 강성을 보강함에 따라 언더커버의 내구성과 강도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 cover of the automobile is reinforced with the rigidity of the under cover against vibration and deflection by the vibration reinforcement formed at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body part while using the under cover base material which is lighter than the conventional under cover And the rigidity of the under cover against the deflection is further reinforced by the deflection reinforcing portion formed across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r form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reduce the weight of the under cover, The durability and the strength of the under cover can be remarkably improved.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10)의 바디부의 전방부(110)는 전방부의 후단(113)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114, 115)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전방 단차부(111)를 포함하고, 바디부의 후방부(120)는 전방 단차부(111)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후방부의 후단(113)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124, 125)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후방 단차부(121)를 포함한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언더커버가 좌측에 결합되는 경우(좌측 언더커버)에는 전방 단차부(111)는 전방부의 후단(113)의 우측면(115)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후방 단차부(121)는 전방 단차부(111)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후방부의 후단(123)이 우측면(125)에 단차지게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언더커버가 우측에 결합되는 경우(우측 언더커버)에는 전방 단차부는 전방부의 후단 좌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후방 단차부는 전방 단차부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후방부의 후단 좌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된다.2, the front portion 110 of the body portion of the automotive under co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ont step portion 113 formed on the left side surface or the right side surfaces 114 and 115 of the rear end portion 113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120 of the body portion is stepped on the left or right side surfaces 124 and 125 of the rear end 113 of the rear portion so as to be locat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front step portion 111 And includes a rear stepped portion 121. 2, when the under cover is coupled to the left side (left under cover), the front step portion 111 is stepped on the right side surface 115 of the rear portion 113 of the front portion, The rear end 123 of the rear portion is stepped on the right side 125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front stepped portion 111. [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when the under cover is coupled to the right side (right under cover), the front step portion is stepped on the left rear side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step portion is form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front step portion And is stepped on the left-hand side of the rear end.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언더커버(10)의 진동 보강부(200)는 제1 진동 보강 리브(210), 제2 진동 보강 리브(220), 및 제3 진동 보강 리브(230)를 포함한다. 2, the vibration-enhancing portion 200 of the automotive under-cover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vibration-enhancing rib 210, a second vibration-enhancing rib 220, And a third vibration-enhancing rib 230.

제1 진동 보강 리브(210)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전방부의 전단(112)과 전단부의 일측면(114, 115)와 인접한 부분에서 길이방향(X)과 폭방향(Y)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진동 보강 리브(210)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면서 바디부의 전방부(110)에 형성된다. 제1 진동 보강 리브(210)는 전방부의 전단(112)과 전방부의 좌측면(114)에 인접하는 곳에서 제1 진동 보강 리브(210)의 전단이 시작되고, 제1 진동 보강 리브의 후단(212)이 전방부의 후단(113)을 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 및 도 3은 언더커버가 자동차의 좌측에 결합되는 언더커버로 이때에 제1 진동 보강 리브는 전방부의 전단과 전방부의 좌측면에 인접하는 곳에 형성된다. 후술하는 도 8 및 표 1에 설명된 것처럼, 제1 진동 보강 리브(210)는 20Hz 대역에 대한 진동 주파수의 진동과 처짐량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first vibration reinforcing rib 21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width and a height and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X and a lateral direction Y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front end 112 of the front portion and one side 114 and 115 of the front end portion. As shown in FIG. 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first vibration-enhancing rib 210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110 of the body portion with a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height. The front end of the first vibration-reinforcing rib 210 starts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ront end 112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left side surface 114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end of the first vibration- 212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face the rear end 113 of the front portion. 2 and 3, the under cover is an under cover to which the under cover is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automobile. In this case, the first vibration support rib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front part and the left side of the front part. As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and Table 1, the first vibration-enhancing rib 210 performs a function of reinforcing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20 Hz band and the rigidity against the deflection amount.

제2 진동 보강 리브(220)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제1 진동 보강 리브의 후단(212)에서 이격되며, 전단부의 일측면(114, 115)에 인접한 부분에서 길이방향(X)과 폭방향(Y)으로 전방부의 후단(113)까지 연장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진동 보강 리브(210)는 전방부의 좌측면(114)에 인접하는 곳에서 제2 진동 보강 리브의 전단(221)이 제1 진동 보강 리브의 후단(212)과 이격되고, 제2 진동 보강 리브의 후단(222)이 전방부의 후단(113)과 접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서 언더커버가 자동차의 좌측에 결합되는 언더커버로 이때에 제2 진동 보강 리브(220)는 다른 부분은 동일하고 전방부의 우측면에 인접하는 곳에 형성된다. 후술하는 도 8 및 표 1에 설명된 것처럼, 제2 진동 보강 리브(220)는 44Hz 대역에 대한 진동 주파수의 진동과 처짐량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second vibration-enhancing rib 220 has a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height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end 212 of the first vibration-enhancing rib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And a rear end 113 of the front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Y. [ 2, the second vibration-enhancing rib 210 has a front end 221 of the second vibration-enhancing rib adjacent to the left surface 114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end 222 of the second vibration-enhancing rib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end 113 of the front portion. 2, the under cover is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second vibration-enhancing rib 220 is form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other parts and adjacent to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rt. As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and Table 1, the second vibration-enhancing rib 220 functions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vibration frequency and the deflection amount of the vibration frequency with respect to the 44 Hz band.

제3 진동 보강 리브(230)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후방부의 일측면에 인접하면서 후방부의 전단(122)에서 시작되어 후방부의 후단(123)에 인접하게 길이방향(X)과 폭방향(Y)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3 진동 보강 리브(230)는 후방부의 좌측면(124)에 인접한 상태에서 제2 진동 보강 리브의 후단(222)와 제3 진동 보강 리브의 전단(231)이 접촉하도록 후방부의 전단(122)에서 시작되어 후방부의 후단(123)에 인접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서 언더커버가 자동차의 좌측에 결합되는 언더커버로 이때에 제3 진동 보강 리브(230)는 다른 부분은 동일하고 후방부의 우측면에 인접하는 곳에 형성된다. 후술하는 도 8 및 표 1에 설명된 것처럼, 제3 진동 보강 리브(230)는 52Hz 대역에 대한 진동 주파수의 진동과 처짐량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third vibration-resisting rib 23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 width and a height, and is adjacent to one side of the rear portion and starts from the front end 122 of the rear portion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and the width Direction (Y). 2, the third vibration-enhancing rib 230 is disposed adjacent the rear end 222 of the second vibration-enhancing rib and the front end 231 of the third vibration-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djacent to the rear end 123 of the rear portion starting from the front end 122 of the rear portion. 2, the under cover is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automobile. At this time, the third vibration-enhancing rib 230 is formed at the other portion of the same and adjacent to the right side of the rear portion. As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and Table 1, the third vibration-enhancing rib 230 performs a function of reinforcing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52 Hz band and the rigidity against the deflection amount.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2, 3 진동 보강 리브(210, 220, 230)는 전체적으로 한자 우물 정(井)자 형태로 형성되어 언더커버의 진동 및 처짐에 대한 강성을 보강한다.The first, second, and third vibration-enhancing ribs 210, 220, and 23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well of a whole well to reinforce the rigidity against vibration and deflection of the undercover.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10)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후방부의 일측면(124, 125)에 인접하도록 후방 단차부(121)에 길이방향(X)과 폭방향(Y)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진동 보강 리브(240)를 포함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4 진동 보강 리브(240)는 후방부의 우측면(125)에 인접하도록 후방 단차부(121)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4에서 언더커버가 자동차의 좌측에 결합되는 언더커버로 이때에 제4 진동 보강 리브(240)는 다른 부분은 동일하고 후방부의 좌측면에 인접하는 곳에 형성된다. 후술하는 도 8 및 표 1에 설명된 것처럼, 제4 진동 보강 리브(240)는 15Hz 대역에 대한 진동 주파수의 진동과 처짐량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2 and 4, the automotive under co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height, and has a rear step 121 so as to be adjacent to one side surface 124, 125 of the rear part. And a fourth vibration-enhancing rib 24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and the width direction Y. 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fourth vibration-enhancing rib 240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in the rear step portion 121 so as to be adjacent to the right side surface 125 of the rear portion. 4, the under cover is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fourth vibration-enhancing rib 240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left side of the rear portion. As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and Table 1, the fourth vibration-enhancing rib 240 performs a function of reinforcing the rigidity of vibration frequency and deflection amount of the vibration frequency for the 15 Hz band.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10)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후단부의 후단(123)에서 후방부의 일측면(124, 125)에 인접하게 길이방향(X)과 폭방향(Y)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5 진동 보강 리브(250)를 더 포함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5 진동 보강 리브(250)는 후방부의 후단(123)에서 후방부의 우측면(124)에 인접하게 길이방향과 폭방향(Y) 및 높이방향(Z)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에서 언더커버가 자동차의 좌측에 결합되는 언더커버로 이때에 제5 진동 보강 리브(250)는 다른 부분은 동일하고 후방부의 좌측면에 인접하는 곳에 형성된다. 후술하는 도 8 및 표 1에 설명된 것처럼, 제5 진동 보강 리브(250)는 34Hz 대역에 대한 진동 주파수의 진동과 처짐량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As shown in Figs. 2 and 5, the automotive under cov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ertain length, width, and height, and is adjacent to one side surface 124, 125 of the rear portion at the rear end 123 of the rear end portion And a fifth vibration-strengthening rib 250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and the width direction Y. 5, the fifth vibration-reinforcing rib 250 is extended from the rear end 123 of the rea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Y and the height direction Z adjacent to the right side surface 124 of the rear portion, . 5, the under cover is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fifth vibration-enhancing rib 250 is formed at the other portion of the same and adjacent to the left side of the rear portion. As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and Table 1, the fifth vibration reinforcing rib 250 performs a function of reinforcing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34 Hz band and the rigidity against the deflection amount.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은 종래 보다 중량이 가벼운 언더커버 기재를 사용하면서도 바디부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형성되는 진동 보강부에 의해 진동과 처짐에 대해 언더커버의 강성을 1차적으로 보강함에 따라 언더커버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도 진동과 처짐에 대한 강성을 보강함에 따라 언더커버의 내구성과 강도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nder cover for a vehicl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for vibration and sagging due to the vibration reinforcing part formed on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of the body part, So that the durability and the strength of the under cover can be remarkably improved.

도 2 및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10)의 처짐 방지부(300)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제2 진동 보강 리브 후단(222)의 상단면(223)과 제3 진동 보강 리브의 전단(231)의 상단면(232)에 제2 진동 보강 리브(220)와 제3 진동 보강 리브(230)를 가로질러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처짐 방지 리브(310)를 포함한다. 즉, 도 2 및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처짐 방지 리브(310)는 제1 처짐 방지 리브의 전단이 제2 진동 보강 리브의 후단에 인접한 상단면에서 시작하고 제1 처짐 방지 리브의 후단이 제3 진동 보강 리브의 선단에 인접한 상단면까지 제2 진동 보강 리브와 제3 진동 보강 리브를 가로질러 제2 진동 보강 리브와 제3 진동 보강 리브의 상단면에 2단으로 형성된다. 2 and 6 to 7, the anti-sag preventing part 300 of the under cover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ertain length, width and height, and the second vibration-reinforcing rib rear end 222 The second vibration reinforcing rib 220 and the third vibration reinforcing rib 230 are extended and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end surface 223 of the third vibration reinforcing rib and the upper end surface 232 of the front end 231 of the third vibration reinforcing rib. And the first sag prevention rib 310 is formed. 2 and 6 to 7, the first sag prevention ribs 310 are formed such th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sag prevention ribs starts from the upper end surface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second vibration-resisting ribs and the first sag prevention ribs The rear end of the rib is formed in two stages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second vibration-enhancing rib and the third vibration-enhancing rib across the second vibration-enhancing rib and the third vibration-enhancing rib to the upper end adjacent to the tip of the third vibration- .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처짐 방지 리브의 폭(W3)은 제2 진동 보강 리브와 폭(W1) 및 제3 진동 보강 리브의 폭(W2) 보다 작게 형성된다.(W3<W1=W2) 이처럼, 제1 처짐 방지 리브의 폭(W3)이 제2, 제3 진동 보강 리브의 폭(W1, W2) 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제1 처짐 방지 리브(310)를 제2, 3 진동 보강 리브의 상단면(223, 233)에 용이하게 2단으로 적층 형성하여 언더커버의 높이에 대한 공차 한계를 극보하면서 처짐에 대한 강성을 증가시키면서 중량의 증가를 최소화하여 경량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9 및 표 1에 설명된 것처럼, 제1 처짐 보강 리브(310)가 제2 진동 보강 리브(220)와 제3 진동 보강 리브(230)의 상단면(223, 233)에 2단으로 형성됨에 따라 언더커버의 처짐에 대한 언더커버의 강성을 추가로 보강하여 언더커버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도 처짐에 대한 강성을 보강함에 따라 언더커버의 내구성과 강도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7, the width W3 of the first slack prevention ribs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widths W1 and W2 of the second vibration reinforcing ribs and the third vibration reinforcing ribs Since the width W3 of the first sag prevention ribs is smaller than the widths W1 and W2 of the second and third vibration reinforcing ribs as described above, 233 of the second and third vibration-resisting ribs are laminated in two stages so as to increase the rigidity against sagging while minimizing the increase in weight while minimizing the tolerance limit with respect to the height of the undercover, It is possible to achieve miniaturization. 9 and Table 1, the first deflection reinforcing ribs 310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s 223 and 233 of the second vibration-enhancing rib 220 and the third vibration-enhancing rib 230 in two stages The rigidity of the under cover against the deflection of the under cover is additionally reinforced, and the rigidity against deflection is reinforced while the weight of the under cover is reduced. Thus, the durability and the strength of the under cover can be remarkably improved.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10)의 처짐 방지부(300)는 제2 처짐 보강 리브(320)와 제3 처짐 보강 리브(330)를 더 포함한다.2, the deflection preventing portion 300 of the under cover 10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deflection reinforcing rib 320 and a third deflection reinforcing rib 330. As shown in FIG.

제2 처짐 방지 리브(320)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전방부의 일측면(114, 115)과 후방부의 일측면(124, 125)과 인접하게 전방부의 후단(113)과 후방부의 전단(122)을 가로질러 제1 처짐 방지 리브(310)와 평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2 처짐 방지 리브(320)는 전방부의 좌측면(114)과 후방부의 좌측면(124)과 인접하게 전방부의 후단(113)과 후방부의 전단(122)을 가로질러 제1 처짐 방지 리브(310)와 평행하도록 일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서 언더커버가 자동차의 좌측에 결합되는 언더커버로 이때에 제2 처짐 방지 리브(342)는 다른 부분은 동일하고 전방부의 우측면과 후방부의 우측면과 인접하게 형성된다. 이처럼, 제2 처짐 방지 리브(320)가 전방부의 후단(113)과 후방부의 전단(122)이 접촉하는 부분에 전방부의 후단(113)과 후방부으 전단(122)을 가로질러 최소의 길이와 높이로 최적의 위치에 추가로 형성됨에 따라 중량 증가는 최소화하면서 처짐에 대한 강성을 2차로 강화하여 언더커버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도 처짐에 대한 강성을 추가적으로 보강함에 따라 언더커버의 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켜 안정성과 신뢰성을 증가시키고,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수출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다.The second sagging preventing rib 320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width and a height and has a rear end 113 and a rear end 113 of the front part adjacent to one side surfaces 114 and 115 of the front part and a side surface 124 and 125 of the rear part,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irst sag preventing ribs (310) across the front end (122). 2, the second sag prevention ribs 320 are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left side surface 114 of the front part and the left side surface 124 of the rear part so that the front end part 113 and the rear part front end 122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irst sag prevention ribs (310). As described above, in FIG. 2, the under cover is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automobile. At this time, the second deflection preventing rib 342 is formed so that the other parts are identical and adjacent to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ortion and the right side of the rear portion. The second sagging preventing rib 320 has a minimum length and a height at a portion where the rear end 113 of the front part and the front end 122 of the rear part contact each other across the rear end 113 of the front part and the front end 122 of the rear part, The rigidity of the undercover can be remarkably improved by further reinforcing the rigidity against deflection while the weight of the undercover can be increased while the weight of the undercover is reinforced by strengthening the stiffness to the deflection secondarily while minimizing the weight increase, And reliability can be increased, and consumers'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and export activation can be promoted.

제3 처짐 방지 리브(330)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전방부의 일측면(114, 115)에 인접하도록 전방 단차부(111)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3 처짐 방지 리브(330)는 전방부의 우측면(115)에 인접하도록 전방 단차부(111)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에서 언더커버가 자동차의 좌측에 결합되는 언더커버로 이때에 제3 진동 보강 리브(330)는 다른 부분은 동일하고 전방부의 좌측면에 인접하는 곳에 형성된다. 이처럼, 제3 처짐 방지 리브(330)가 전방부의 우측면(115)에 인접하도록 전방 단차부(111)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최소의 길이와 폭 및 높이로 최적의 위치에 추가로 형성됨에 따라 중량 증가는 최소화하면서 처짐에 대한 강성을 2차로 강화하여 언더커버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도 처짐에 대한 강성을 추가적으로 보강함에 따라 언더커버의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하며, 언더커버의 조립 편의성을 도모하여 작업자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third sag prevention ribs 330 have a predetermined length, width and height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on the front step portion 111 so as to be adjacent to one side surface 114, 115 of the front portion. 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third sag prevention ribs 330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in the front step portion 111 so as to be adjacent to the right side surface 115 of the front portion. 2, the under cover is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third vibration-enhancing rib 330 is formed at the other portion of the same and adjacent to the left side of the front portion. Since the third deflection preventing ribs 330 are further formed at the optimum positions in the lengthwise and widthwise directions of the front step portion 111 so as to be adjacent to the right side surface 115 of the front portion in the minimum length, width, and height The weight of the undercover is strengthened to the second degree while the weight increase is minimized, and the rigidity against deflection is additionally reinforced,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of the undercover,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can be improved.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2, 처짐 방지 리브(310, 330)는 일자형으로 제3 처짐 방지 리브(330)는 전체적으로 한자 우물 정(井)자 형태로 형성되어 언더커버의 처짐에 대한 강성을 보강한다.The first and second deflection preventing ribs 310 and 330 may be formed in a straight shape and the third deflection preventing ribs 330 may be formed in a full-length well shape to prevent deflection of the undercover. Strengthen the rigidity.

항목Item 진동변형량
(mm)
Vibration deformation amount
(mm)
처짐량
(mm)
Deflection
(mm)
중량
(g)
weight
(g)
종래
언더커버
Conventional
Undercover
15Hz15Hz 20Hz20Hz 34Hz34Hz 44Hz44Hz 52Hz52Hz 390.2
390.2
1354
1354
42.5842.58 3.743.74 31.7931.79 2.412.41 3.543.54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ndercover
15Hz
(제4 진동 보강 리브)
15Hz
(Fourth vibration-enhancing rib)
20Hz
(제1 진동 보강 리브)
20Hz
(First vibration-enhancing rib)
34Hz
(제5 진동 보강 리브)
34Hz
(Fifth vibration-reinforcing rib)
44Hz
(제2 진동 보강 리브)
44Hz
(Second vibration-enhancing rib)
52Hz
(제3 진동 보강 리브)
52Hz
(Third vibration-enhancing rib)
232.9
(제1, 2, 3 처짐 방지 리브)
232.9
(First, second and third deflection preventing ribs)


1389


1389
3.363.36 2.992.99 2.682.68 0.460.46 1.621.62 차이
(감소/ 증가율%)
Difference
(% Decrease / increase rate)
39.22
(92.11%
감소)
39.22
(92.11%
decrease)
0.75
(13.9%
감소)
0.75
(13.9%
decrease)
29.11
(91.6%
감소)
29.11
(91.6%
decrease)
1.95
(81%
감소)
1.95
(81%
decrease)
2.86
(80.8%
감소)
2.86
(80.8%
decrease)
157.3
(40.3%
감소)
157.3
(40.3%
decrease)
35
(2.58%
증가)
35
(2.58%
increase)

표 1은 도 8과 도 9에 따른 실험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정리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표 1은 제1, 2, 3, 4, 5 진동 보강 리브(210, 220, 230, 240, 250)와 제1, 2, 3, 처짐 방지 리브(310, 320, 330)를 구비한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에 대한 진동 주파수에 따른 변형량과 중력에 의한 처짐량 및 중량에 대한 데이터와 제1, 2, 3, 4, 5 진동 보강 리브와 제1, 2, 3, 처짐 방지 리브가 없는 종래 언더커버에 대한 진동 주파수에 따른 변형량과 중력에 의한 처짐량 및 중량에 대한 데이터의 비교표를 나타낸다.Table 1 summarizes the data of the experimental results according to Figs. 8 and 9. Specifically, Table 1 is a table show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vibration-enhancing ribs 210, 220, 230, 240 and 250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anti-sagging ribs 310, 320 and 330 Data on the amount of deflection and weight due to gravity due to the vibration frequency of the und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ata on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vibration-resistant ribs and the first, second and third anti- A comparison table of data on the deformation amount depending on the vibration frequency with respect to the under cover, the amount of deflection due to gravity, and the weight.

도 8은 노면 가진에 따라 고중량 언더커버 기재가 사용된 종래 언더커버와 저중량 언더커버 기재가 사용된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의 진동주파수(Hz, X축)와 이에 따른 변형량(mm, Y축)에 대한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언더커버는 15Hz, 20Hz, 34Hz, 44Hz, 52Hz에서 변형량(mm)이 크게 나타났으나,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는 이러한 실험에 의해 최적의 위치에 제1, 2, 3, 4, 5 진동 보강 리브(210, 220, 230, 240, 250)를 형성함에 따라 변형량을 70% 이상 감소하여 언더커버의 내구성과 강도를 현저하게 개선하고, 언더커버의 교체비용을 감소시키고, 언더커버의 파손에 따른 2차 자동차 부품의 파손을 예방하여 자동차의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ig. 8 shows the vibration frequency (Hz, X axis) and the amount of deformation (mm, Y axis) of the und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nventional under cover using a heavy-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8, the deformation amount (mm) of the conventional under cover is large at 15 Hz, 20 Hz, 34 Hz, 44 Hz, and 52 Hz. However, , 3, 4 and 5 vibration reducing ribs 210, 220, 230, 240 and 250 are formed, the deformation amount is reduced by 70% or more to remarkably improve the durability and strength of the under cover,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of the automobile by preventing the damage of the secondary car parts due to the damage of the under cover.

도 9는 중력 가속도(중력)에 따라 고중량 언더커버 기재가 사용된 종래 언더커버와 저중량 언더커버 기재가 사용된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의 시간(t, X축)과 이에 따른 처짐량(mm, Y축)에 대한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 언더커버는 최대 390.2mm의 처짐량을 나타내나, 본 발명에 의한 언더커버는 이러한 실험에 의해 최적의 위치에 제1, 2, 3 처짐 방지 리브(310, 320, 330)를 형성함에 따라 중량은 35그램(약 2%) 증가하지만 처짐량은 약 40% 이상 감소하여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절감하고 강성을 증가시켜 자동차 연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9 is a graph showing the time (t, X axis) and the deflection amount (mm, Y) of the und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onventional under cover using a heavy-weight under- Axis). As shown in FIG. 9, the conventional under cover exhibits a deflection amount of up to 390.2 mm, but the unde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irst, second and third deflection preventing ribs 310, 320, 330 The weight is increased by 35 grams (about 2%), but the deflection amount is reduced by about 40% or more, so that manufacturing cost and manufacturing time are reduced, rigidity is increased, and automobile fuel economy can be improved.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은 언더커버 기재를 형성하는 단계(S1), 부직포를 적층하는 단계(S2), 예열하는 단계(S3), 언더커버를 성형하는 단계(S4), 및 트리밍 단계(S5)로 이루어진다.10,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under cover for an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n under cover substrate S1, laminating a nonwoven fabric S2, pre-heating S3, (S4), and a trimming step (S5).

언더커버 기재를 형성하는 단계(S1)는 수지에 유리섬유가 함침된 LWRT 소재를 시트 형태로 언더커버 기재를 형성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언더커버 기재를 형성하는 단계(S1)에서 언더커버 기재를 형성하기 위한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아리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탈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페닐렌에테르(PP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된다. In the step (S1) of forming the under cover base material, the under cover base material is formed in a sheet form of the LWRT material in which the glass fiber is impregnated in the resi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n for forming the under cover base material in the step S1 of forming the under cover base material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polyamide (PEI), polycarbonate (PC),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phenylene oxide (PPO), polyphenylene ether (PPE), and polyetherimide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이처럼, 언더커버 기재가 상술한 수지와 유리섬유가 함침된 LWRT 소재를 시트 형태로 형성되고, 시트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후술하는 부직포의 접착이 더욱 용이함에 따라 최종적인 언더커버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도 언더커버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언더커버의 경량화를 통해 자동차의 연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WRT material in which the above-described resin and glass fiber are impregnated is formed in the form of a sheet and the under cover base material is formed in a sheet form, it is easier to adhere the nonwoven fabric to be described later, The durability of the cover can be increased. Further, the fuel consumption of the automobile can be further improved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undercover.

언더커버 기재를 형성하는 단계(S1) 이후에, 언더커버 기재의 상부나 하부 또는 언더커버의 기재의 상부와 하부에 모두에 형성된 부직포를 적층한다. 부직포는 언더커버 기재의 상부에만 적층될 수 있고, 언더커버 기재의 하부에만 적층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언더커버 기재의 상부와 하부 모두에 적층될 수 있다. 이러한 부직포에 의해 언더커버 기재와의 접착력이 증가되고, 언더커버의 강도를 증가시켜 최종적인 언더커버의 경량화를 도모하며, 언더커버의 흡음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부직포는 80g/㎡ PE(폴리에틸렌)/PET(폴리에스터) LM 화이버(Low Melting fiber)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부직포를 형성하는 단계(S4)에서 부직포는 80g/㎡ PE(폴리에틸렌) 파우더로 형성된다.After step (S1) of forming the under cover base material, nonwoven fabrics formed on both the top and bottom of the under cover base material or both the top and bottom of the base material of the under cover are laminated. The nonwoven fabric may be laminated only on the upper part of the undercover substrate and only on the lower part of the undercover substrate. Further, it can be laminat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under cover substrate, if necessary. By this nonwoven fabric, the adhesive force to the undercover base material is increased, the strength of the under cover is increased, the weight of the final under cover is reduced, and the sound absorbing performance of the under cover can be improved. The nonwoven fabric is formed of 80 g / m 2 PE (polyethylene) / PET (polyester) LM fiber (Low Melting fiber), though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More preferably, in the step S4 of forming the nonwoven fabric, the nonwoven fabric is formed of 80 g / m 2 of PE (polyethylene) powder.

부직포를 적층하는 단계(S2) 이후에, 언더커버 기재와 적층된 부직포를 예열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열하는 단계(S3)에서는 복사열을 이용하여 언더커버 기재와 언더커버 기재에 적층된 부직포를 간접 가열한다. 즉, 이동유닛에 언더커버 기재와 언더커버 기재에 적층된 부직포가 오븐의 내부로 이동하고, 오븐 내부에서 복사열을 통해 간접 가열된다. 이처럼, 언더커버 기재와 언더커버 기재에 적층된 부직포가 예열됨에 따라 부직포와 언더커버 기재 사이의 접착성이 향상되어 부직포의 박리강도 증가에 따라 언더커버의 표면품질이 더욱 개선되고, 언더커버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After the step S2 of laminating the nonwoven fabric, the nonwoven fabric laminated with the undercover substrate is preheated. In the preheating step S3, the undercoat base material and the nonwoven fabric laminated on the undercover base material are indirectly heated by using radiant heat. That is, the nonwoven fabric laminated on the under cover base material and the under cover base material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oven in the mobile unit, and indirectly heated through radiant heat in the oven. As the nonwoven fabric laminated on the under cover substrate and the under cover substrate is preheated, the adhesion between the nonwoven fabric and the under cover substrate is improved, and the surface quality of the under cover is further improved as the peel strength of the nonwoven fabric is increased. Can be improved.

예열하는 단계(S3) 이후에, 언더커버 기재와 언더커버 기재에 적층된 부직포를 프레스에서 언더커버로 성형한다. After the preheating step S3, the undercoat substrate and the nonwoven fabric laminated on the undercover substrate are molded into an under cover in the press.

언더커버 성형하는 단계(S4) 이후에, 성형된 언더커버를 최종 언더커버에 부합하도록 트리밍한다 .즉, 언더커버 성형하는 단계(S4)에서 성형된 언더커버의 마무리 공정을 통해 해당 자동차 스펙에 따른 언더커버의 오차 수치 등을 만족시켜 언더커버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켜 불량품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제조시간과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After the undercover molding step S4, the molded undercover is trimmed to conform to the final under cover. That is, in the step S4 of molding the under cover,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quality of the undercover by satisfying the error value of the undercover and the like, thereby reducing the generation rate of defective products,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time and manufacturing cost.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은 종래 보다 중량이 가벼운 언더커버 기재를 사용하면서도 바디부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형성되는 진동 보강부에 의해 진동과 처짐에 대해 언더커버의 강성을 보강하고, 바디부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가로질러 형성되거나 바디부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처짐 보강부에 의해 처짐에 대한 언더커버의 강성을 추가로 보강하여 언더커버의 경량화를 도모하면서도 진동과 처짐에 대한 강성을 보강함에 따라 언더커버의 내구성과 강도를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under cov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igidity of the under cover relative to the vibration and deflection is improved by the vibration reinforcement formed at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while using the under- And further reinforces the rigidity of the undercover to be deflected by the deflection reinforcing portion formed across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r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reduce the weight of the undercover, As the rigidity is reinforced, the durability and strength of the under cover can be remarkably improv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 : 언더커버, 11 : 마운팅부,
100 : 바디부, 110 : 전방부,
120 : 후방부, 200 : 진동 보강부,
210, 220, 230, 240, 250 : 제1, 2, 3, 4, 5 진동 보강 리브,
300 : 처짐 방지부,
310, 320, 330 : 제1, 2, 3 처짐 방지 리브.
10: under cover, 11: mounting part,
100: body part, 110: front part,
120: rear portion, 200: vibration reinforcing portion,
210, 220, 230, 240, 250: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vibration-
300: anti-sagging portion,
310, 320, 330: 1st, 2nd, 3rd sag prevention ribs.

Claims (12)

자동차의 하부에 설치되어 자동차에 설치된 부품을 보호하는 자동차용 언더커버에 있어서,
상기 언더커버는,
상기 자동차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고 전방을 형성하는 전방부와 후방을 형성하는 후방부를 구비하는 바디부;
진동에 대한 상기 언더커버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형성되는 진동 보강부; 및
처짐에 대한 상기 언더커버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바디부의 전방부와 후방부를 가로질러 형성되거나 상기 바디부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처짐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언더커버.
1. An under cover for an automobile, which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utomobile and protects a component installed in the automobile,
The under cover
A body portion having a front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width to cover a lower portion of the automobile and forming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forming a rear portion;
A vibration reinforcing portion formed on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under cover against vibration; And
And a deflection reinforcing portion form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r formed across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under cover against defl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전방부는,
상기 전방부의 후단 일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전방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후방부는,
상기 전방 단차부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방부의 후단 일측면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후방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자동차용 언더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front stepped portion formed stepwise on one side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portion,
The rea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And a rear stepped portion formed to be stepped on one side of a rear end of the rear portion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front step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보강부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부의 전단에 인접한 부분에서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진동 보강 리브;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진동 보강 리브의 후단에서 이격되게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상기 전방부의 후단까지 연장 형성되는 제2 진동 보강 리브; 및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부의 전단에서 상기 후방부의 후단에 인접하게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진동 보강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언더커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vibration-
A first vibration-resisting ri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width and a height,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front end of the front portion;
A second vibration-resisting ri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width and a height, and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vibration-resisting rib to a rear end of the front por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And
And a third vibration-absorbing ri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width and a height, an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adjacent to a rear end of the rear portion at a front end of the rear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보강부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 단차부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4 진동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언더커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ibration-
And a fourth vibration-enhancing ri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width and a height,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t the rear stepped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보강부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후방부의 후단에서 상기 후방부의 일측면에 인접하게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5 진동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언더커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ibration-
And a fifth vibration-absorbing ri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width and a height, and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rear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djacent to one side of the rear portion.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 방지부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진동 보강 리브 후단의 상단면과 상기 제3 진동 보강 리브의 전단의 상단면에 상기 제2 진동 보강 리브와 상기 제3 진동 보강 리브를 가로질러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처짐 방지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언더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sag preventing unit
Wherein the first vibration-resisting rib and the second vibration-resisting rib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 width and a height, and the first vibration-resisting rib and the second vibration- And a first slack prevention rib extending in a direction of the first slack preventing rib.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 방지부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부의 일측면과 상기 후방부의 일측면과 인접하게 상기 전방부의 후단과 상기 후방부의 전단을 가로질러 상기 제1 처짐 방지 리브와 평행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처짐 방지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언더커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ag preventing unit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a width and a height,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parallel to the first sag prevention ribs across the front ends of the front part and the rear part adjacent to one side surface of the front part and one side surface of the rear part And a second sag preventing rib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nder cov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짐 방지부는,
일정한 길이와 폭 및 높이를 구비하고, 상기 전방 단차부에 길이방향과 폭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 처짐 방지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언더커버.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ag preventing unit
And a third slack prevention ri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 width and a height,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t the front step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짐 방지 리브의 폭은 상기 제2 진동 보강 리브와 폭 및 상기 제3 진동 보강 리브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언더커버.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width of the first slack prevention rib is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second vibration strengthening rib and the width of the third vibration reinforcing rib.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을 이용한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은,
수지에 유리섬유가 함침된 LWRT 소재를 시트 형태로 언더커버 기재를 형성하는 단계(S1);
상기 언더커버 기재의 상부나 하부 또는 상기 언더커버의 기재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부직포를 적층하는 단계(S2);
상기 언더커버 기재와 상기 언더커버 기재에 적층된 부직포를 예열하는 단계(S3); 및
상기 예열된 상기 언더커버 기재와 상기 언더커버 기재에 적층된 부직포를 프레스에서 언더커버로 성형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n under cov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9,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n under cover for an automobile,
(S1) forming an under cover base material in the form of a sheet, the LWRT material having the glass fiber impregnated with the resin;
(S2) of laminating the nonwoven fabric on the top or bottom of the undercover substrate or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substrate of the undercover;
Preheating (S3) the nonwoven fabric laminated on the undercover substrate and the undercover substrate; And
(S4) molding the nonwoven fabric laminated on the preheated undercover base material and the under cover base material into an under cover in a pres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커버를 성형하는 단계(S4) 이후에,
성형된 언더커버를 최종 언더커버에 부합하도록 트리밍하는 단계(S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fter the step S4 of molding the undercover,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5) trimming the molded undercover to conform to the final undercov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커버 기재를 형성하는 단계(S1)에서,
상기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아리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탈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페닐렌옥사이드(PPO), 폴리페닐렌에테르(PP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언더커버의 제조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In the step (S1) of forming the under cover substrate,
The res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propylene (PP), polyethylene (PE), polyarimide (PA), polycarbonate (PC),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phenylene oxide , Polyphenylene ether (PPE), and polyetherimide (PEI),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KR1020160182165A 2016-12-29 2016-12-29 Under cover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KR1018808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165A KR101880826B1 (en) 2016-12-29 2016-12-29 Under cover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165A KR101880826B1 (en) 2016-12-29 2016-12-29 Under cover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616A true KR20180077616A (en) 2018-07-09
KR101880826B1 KR101880826B1 (en) 2018-07-20

Family

ID=62919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165A KR101880826B1 (en) 2016-12-29 2016-12-29 Under cover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82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303A (en) 2002-12-16 2004-06-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vocoder average holding time o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JP2010208578A (en) * 2009-03-12 2010-09-24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Undercover for vehicle
KR101396818B1 (en) * 2012-05-14 2014-05-21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Thin type thermoplastics complex materials with reinforced insulation surface of substrat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69936A (en) * 2012-02-22 2013-09-02 Mitsubishi Motors Corp Under cov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2303A (en) 2002-12-16 2004-06-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a vocoder average holding time on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JP2010208578A (en) * 2009-03-12 2010-09-24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Undercover for vehicle
KR101396818B1 (en) * 2012-05-14 2014-05-21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Thin type thermoplastics complex materials with reinforced insulation surface of substra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826B1 (en) 2018-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837B1 (en) Vehicle side door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6864223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door and vehicle door manufactured by the method
US7552963B2 (en) Vehicle body rear structure
US20170305476A1 (en) Vehicle cross members and related methods
KR20120044853A (en) Battery pack case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s using plastic composite
JP4200204B2 (en) Shock-absorbing lining elements for the interior of the vehicle
KR102112462B1 (en) Fuel tank having a stiffening structure
US20190168818A1 (en) Vehicle cross members and related methods
US11697464B2 (en) Motorcycle seat rail
US20220126940A1 (en) Motorcycle seat rai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190185067A1 (en) Vehicle cross-car beam
KR20130041262A (en) Motor vehicle chassis with lateral seat-cushion support reinforcement
CN211308744U (en) Carbon-fibre composite engine hood and car
US20210402861A1 (en) Lightweight, single-piece energy absorbing and intrusion resistant battery tray for a vehicle
JP2018517601A (en) External vehicle trim parts
KR101880826B1 (en) Under cover for vehicle and method thereof
US10384723B2 (en) Vehicle cross-car beam
JP5851874B2 (en) Bracket for vibration isolator
GB2314049A (en) Vehicle interior trim member
CN116262519A (en) Sliding door mounting reinforcing structure and vehicle body provided with the same
KR101889621B1 (en) Under cover for vehicle reinforced with mounting part
JP5630694B2 (en) Electric vehicle floor structure
KR20200025284A (en) Fiber composite material for under cover of vehicle
KR101872634B1 (en) Automobile hood
KR101666423B1 (en) Seat back frame for a vehicle an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