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7569A -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7569A
KR20180077569A KR1020160182039A KR20160182039A KR20180077569A KR 20180077569 A KR20180077569 A KR 20180077569A KR 1020160182039 A KR1020160182039 A KR 1020160182039A KR 20160182039 A KR20160182039 A KR 20160182039A KR 20180077569 A KR20180077569 A KR 20180077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lng
signal
fsru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2029B1 (ko
Inventor
배성익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029B1/ko
Publication of KR20180077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7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e-gasification cargo에서 화재 또는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LNG 선박(LNGC), 재기화설비(FSRU)와 부두(Jetty) 사이의 액화가스(LNG liquid)와 증기(vapor)의 이동을 격리시키고 안전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LNG 선박측에 마련되어, LNG 선박 내의 비상사태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LNG 비상사태 감지부; 재기화설비(FSRU)측에 마련되어, 재기화설비 내의 비상사태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재기화설비(FSRU) 비상사태 감지부;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LNG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 신호가 입력되면 재기화설비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비상사태 제어부; LNG 장비 작동정지신호에 응하여 LNG 장비들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LNG 모드용 비상정지부; 및 재기화설비 장비 작동정지신호에 응하여 재기화설비 장비들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재기화설비 모드용 비상정지부;를 포함한다. 이에 재기화설비(FSRU) 운전시 발생할 수 있는 LNG/CNG 비상상황에 대해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Emergency Shutdown System for FSRU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기화 선박 또는 재기화 화물로부터 화재 또는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LNG운반선(LNGC), 재기화설비(FSRU)와 부두(Jetty) 사이의 액화가스(LNG)와 증기(Vapor)의 이동을 격리시키고 안전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프로판가스나 액화부탄가스 등과 같은 액화석유가스를 전문으로 수송하는 LPG 운반선이나, 액화천연가스를 전문으로 수송하는 LNG 운반선 또는 폭발위험성이 있는 화약류나 화공약품류 등을 운송하는 각종 화공품 운반선이 항만이나 부두와 같은 터미널에 접안하여 가스나 약품 등을 터미널 측으로 하역시키거나 터미널로부터 적재하고자 할 경우, 선박 및 터미널에서 발생하는 각종 상황에 대한 정보를 서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일명 '선-육간 통신 시스템(Ship-Shore Communication Link System)'이라 불리는 각종 정보교환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LPG선이나 LNG선을 포함하는 상기 선박의 적재 및 하역작업 도중에 선박 또는 터미널에서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선박과 터미널 측에서 이를 동시에 감지하여 적재나 하역작업을 즉시 중단시킨 다음, 선박을 터미널로부터 신속히 분리시킴으로써 대형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와 같이 선박과 터미널의 비상상황에 대한 정보를 상호 간에 신속히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선-육간 통신시스템으로서 비상 정지 시스템을 이용하게 된다.
이러한 비상 정지 시스템은 선박 또는 터미널 측 중 어느 한 곳에서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비상사태가 발생하지 않은 영역에서 작동하고 있는 장비들의 작동상태까지도 모두 정지시키기 때문에 비상사태 수습 후 장비들을 재작동시켜야 하여 그에 따른 작업 시간의 낭비 및 재작동시 에너지가 소요되기 때문에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5323호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재기화 선박 또는 화물로부터 화재 또는 비상사태가 발생하는 경우 LNG 선박(LNGC), 재기화설비(FSRU)와 부두(Jetty) 사이의 액화가스(LNG liquid)와 증기(vapor)의 이동을 격리시키고 안전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 정지 시스템을 LNG 모드와 재기화설비(FSRU) 모드로 구현하여, 비상사태가 발생한 모드에 포함된 장비의 작동상태만 정지시킬 수 있는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 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은, LNG 선박측에 마련되어, LNG 선박 내의 비상사태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LNG 비상사태 감지부; 재기화설비(FSRU)측에 마련되어, 재기화설비 내의 비상사태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재기화설비(FSRU) 비상사태 감지부;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LNG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 신호가 입력되면 재기화설비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비상사태 제어부; LNG 장비 작동정지신호에 응하여 LNG 장비들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LNG 모드용 비상정지부; 및 재기화설비 장비 작동정지신호에 응하여 재기화설비 장비들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재기화설비 모드용 비상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비상사태 원인정보들과 상기 비상사태 원인정보들에 대응하는 결과정보들을 다이아그램 방식으로 저장하고 있는 기준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비상사태 제어부는,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비상사태 원인정보들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결과정보들을 읽어들여 LNG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비상사태 원인정보들과 비상사태 원인정보들에 대응하는 결과정보들을 다이아그램 방식으로 저장하고 있는 기준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비상사태 제어부는,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비상사태 원인정보들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결과정보들을 읽어들여 재기화설비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 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의 운용방법은, 비상사태 제어부는 LNG 선박 및 재기화설비(FSRU) 내에서 비상사태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비상사태 제어부는 LNG 비상사태 감지부를 통해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비상사태 제어부는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LNG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생성시켜 LNG 장비들로 출력하는 단계; 비상사태 제어부는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감지부를 통해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비상사태 제어부는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재기화설비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생성시켜 재기화설비 장비들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비상사태 제어부는,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비상사태 원인정보들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결과정보들을 읽어들여 LNG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로서, 비상사태 제어부는,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비상사태 원인정보들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결과정보들을 읽어들여 재기화설비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기화 선박 또는 화물에서 화재 또는 비상사태 발생하는 경우 LNG 선박(LNGC), 재기화설비(FSRU)와 부두(Jetty) 사이의 액화가스(Liquefied Gas)와 증기(vapor)의 이동을 격리시키고 안전하게 정지시킴으로써, 재기화설비(FSRU) 운전 시 발생할 수 있는 LNG/CNG 비상상황에 대해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 정지 시스템을 LNG 모드와 재기화설비(FSRU) 모드로 구현하여, 비상사태가 발생한 모드에 포함된 장비의 작동상태만 정지시킴으로써, 비상사태가 발생하지 않은 모드에 포함된 장비들을 불필요하게 정지시키고 재작동시키는데 소요되는 에너지의 낭비현상을 미연에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및 방법은 LNG 운반선, LPG 운반선 등 선박은 물론, FPSO, FSRU와 같은 해상 구조물에서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박 또는 해상 구조물에는 액화가스를 기화시켜 육상으로 이송하는 재기화 설비가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재기화 설비는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 또는 선박이나 해상 구조물이 계류하는 등 선박 또는 해상 구조물로부터 액화가스를 적재 또는 하역하기 위해 연결되는 육상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화가스는, 상온, 상압에서 기체 상태로 존재하나, 운반의 용이성을 위하여 가압 또는 냉각 등으로 액화시킨 액화천연가스(LNG), 액화석유가스(LPG), 액화에탄가스(LEG)일 수 있으며, 액화가스는 메탄, 에탄, 에틸렌, 프로판, 프로필렌, 부탄 및 중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 종 이상의 단일 성분이거나 또는 복합 성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액화가스를 기화시켜 육상으로 하역하는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상정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며, 후술할 실시예에서 선박은 LNG 운반선 또는 LNG FSRU, 액화가스는 LNG인 것을 예로 들기로 하고, LNG 운반선으로부터 육상의 Jetty, Gas 터미널 등으로 액화가스를 하역하여 기화시키거나, 또는 LNG FSRU에서 기화시킨 가스를 육상의 Jetty, Gas 터미널 등으로 이송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은, LNG 선박 측에 마련되어, LNG 선박 내의 비상사태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LNG 선박의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LNG 비상사태 감지부(110)와, 재기화설비(FSRU) 측에 마련되어, 재기화설비 내의 비상사태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재기화설비(FSRU) 비상사태 감지부(120)와, LNG 선박의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LNG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재기화설비의 비상사태 발생 알림 신호가 입력되면 재기화설비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비상사태 제어부(130)와, LNG 장비 작동정지신호에 응하여 LNG 장비(150)들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LNG 모드용 비상정지부(140)와, 재기화설비 장비 작동정지신호에 응하여 재기화설비 장비(170)들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재기화설비 모드용 비상정지부(160)와, 비상사태 원인정보들과 비상사태 원인정보들에 대응하는 결과정보들을 다이아그램 방식으로 저장하고 있는 기준정보 저장부(180)로 이루어진다.
비상사태 제어부(130)는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비상사태 원인정보들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결과정보들을 읽어들여 LNG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한다.
비상사태 제어부(130)는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비상사태 원인정보들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결과정보들을 읽어들여 재기화설비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한다.
비상사태 원인정보는, 화재, 가스의 누출, 장치의 블랙아웃(blackout), LNG 저장탱크의 과압력(tank high level) 또는 안전 설정값 범위를 벗어나는 비정상 압력(abnormal pressure). 선체의 표류(drift) 및 운전 매뉴얼 상의 비상 정지 신호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비상사태가 발생하면, 감지부(110, 120)는 이를 감지하여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즉, 작동정지신호에 의해 비상정지부(140, 160)는 선박과 육상 터미널 사이에 액체 상태의 LNG 및 기체 상태의 증기의 이동을 격리시키고, 관련된 모든 장비가 안정하게 정지되도록 기체 상태의 가스가 이송되는 가스 공급 라인과 액체 상태의 액화 가스가 이송되는 액화가스 공급 라인을 차단하고, 적하역 장비 또는 기화기(Vaporizer), 고압펌프(High Pressure Pump) 등과 같은 재기화 장비를 트립(Trip)시키며, 비상 정지 시스템의 각종 밸브(Valve)가 차단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비상 정지 시스템은, 화물 이송 비상 정지(Cargo Transfer Emergency Shutdown), 저장탱크 보호 시스템(Tank Protection System) 및 가스 연소 안전 시스템(Gas Burning Safety System) 등으로 분류하여 운영할 수 있으며, 화물 이송 비상 정지는 각종 밸브의 개폐, 화물(액화가스)의 적/하역 운영, 비상 지 시스템과 연결된 선박 또는 육상과의 상호관계(action)를 제어하며, 저장탱크 보호 시스템은 선박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액화가스 저장탱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오버필링(overfilling) 및 과압(high pressure) 등의 위험 상황으로부터 다수개의 저장탱크를 각각 독립적으로 보호할 수 있고, 가스 연소 안전 시스템은 선박 내 엔진 등으로 가스 연료 공급을 중단시키는 등의 제어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통합적으로 관리 및 운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재기화설비의 비상 정지 시스템을 구성하고 운영함으로써, 복잡하고 다변화되고 있는 비상 정지 시스템의 제어 리스트를 정립하여 표준화할 수 있고, 증가하고 있는 선주의 안전상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으며, 각 Jetty별 요구에 만족할 수 있는 신호 전송 등을 통합 정리하여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NG 선박, FSRU 및 Jetty 간 가스 이송 중에, Jetty 측으로부터 비상 정지 신호가 발생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상 정지 시스템은, 육상의 Jetty로부터 FSRU로 비상 정지 신호를 전송하고, FSRU에서는 재기화 설비 중 LNG 카고 펌프, 스트리핑 펌프, 스프레이 펌프 등 소형의 재기화 공급 펌프 또는 LNG를 기화기로 공급하는 고압 펌프 등의 다수개의 펌프, 증발가스 또는 기화된 가스를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고압 압축기 등의 다수개의 압축기, 선박과 Jetty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 밸브 및 중앙 가스 밸브 등 상기 문제 원인과 관련된 장치들만을 트립(Trip)시키도록 제어한다.
또는, LNG 선박, FSRU 및 Jetty 간 가스 이송 중에, FSRU 측으로부터 회로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푸시 버튼(Push Button), 안전장치로서의 가용 플러그(Fusible Plug), 제어 공기의 압력 낮음(Control Air Press Low), 증기의 메인 압력 낮음(Vapor Main Press LL), 전기 공급 문제(Electric Power Fail) 및 유압 장치의 유압 낮음(Hydraulic Press Low) 등의 문제가 발생하면 Jetty 측으로 신호를 전송하여, Jetty 측에서는 다수개의 펌프를 트립시키도록 제어하고, 다수개의 저압 압축기 및 고압 압축기, 선박과 Jetty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 밸브 및 중앙 가스 밸브 등 상기 문제 원인과 관련된 장치들만을 셧 다운시키도록 제어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비상사태 제어부(130)는 LNG 선박 및 재기화설비(FSRU) 내에서 비상사태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을 수행(S110)하고, 비상사태 제어부(130)는 LNG 비상사태 감지부(110)를 통해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120)한다.
S120 단계의 판단 결과,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비상사태 제어부(130)는 기준정보 저장부(180)에 저장되어 있는 비상사태 원인정보들과 비교(S130)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결과정보들을 기준정보 저장부(180)로부터 읽어들여 LNG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생성(S140)시키고, 생성된 LNG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LNG 장비(150)들로 출력(S150)하여, 작동하고 있는 LNG 장비(150)들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비상사태 제어부(130)는 외부로부터 종료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S160)하여, 종료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비상정지모드 해제로 인식하고 비상정지모드를 종료시킨다.
S120 단계의 판단 결과,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비상사태 제어부(130)는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감지부(120)를 통해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S170)한다.
S170 단계의 판단 결과,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비상사태 제어부(130)는 기준정보 저장부(180)에 저장되어 있는 비상사태 원인정보들과 비교(S180)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결과정보들을 기준정보 저장부(180)로부터 읽어들여 재기화설비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생성(S190)시키고, 생성된 재기화설비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재기화설비 장비(170)들로 출력(S195)하여, 작동하고 있는 재기화설비 장비(170)들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비상사태 제어부(130)는 외부로부터 종료명령이 입력되는지를 판단(S160)하여, 종료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비상정지모드 해제로 인식하고 비상정지모드를 종료시킨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LNG 비상상황 감지부
120 : 재기화설비(FSRU) 비상상황 감지부
130 : 비상사태 제어부
140 : LNG 모드용 비상정지부
150 : 재기화설비 모드용 비상정지부
160 : LNG 장비
170 : 재기화설비 장비
180 : 기준정보 저장부

Claims (6)

  1. LNG 선박측에 마련되어, LNG 선박 내의 비상사태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LNG 비상사태 감지부;
    재기화설비(FSRU)측에 마련되어, 재기화설비 내의 비상사태 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를 출력하는 재기화설비(FSRU) 비상사태 감지부;
    상기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LNG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 신호가 입력되면 재기화설비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비상사태 제어부;
    상기 LNG 장비 작동정지신호에 응하여 LNG 장비들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LNG 모드용 비상정지부; 및
    상기 재기화설비 장비 작동정지신호에 응하여 재기화설비 장비들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재기화설비 모드용 비상정지부;를 포함하는,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비상사태 원인정보들과 상기 비상사태 원인정보들에 대응하는 결과정보들을 다이아그램 방식으로 저장하고 있는 기준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상사태 제어부는, 상기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비상사태 원인정보들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결과정보들을 읽어들여 LNG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비상사태 원인정보들과 상기 비상사태 원인정보들에 대응하는 결과정보들을 다이아그램 방식으로 저장하고 있는 기준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비상사태 제어부는, 상기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비상사태 원인정보들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결과정보들을 읽어들여 재기화설비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4. 비상사태 제어부는 LNG 선박 및 재기화설비(FSRU) 내에서 비상사태가 발생하는지를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비상사태 제어부는 LNG 비상사태 감지부를 통해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비상사태 제어부는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LNG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생성시켜 LNG 장비들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비상사태 제어부는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감지부를 통해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비상사태 제어부는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재기화설비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생성시켜 재기화설비 장비들로 출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의 운용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사태 제어부는, 상기 LNG 선박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비상사태 원인정보들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결과정보들을 읽어들여 LNG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의 운용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사태 제어부는, 상기 재기화설비 비상사태 발생 알림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비상사태 원인정보들과 비교하고, 비교결과에 따른 결과정보들을 읽어들여 재기화설비 장비 작동정지신호를 생성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160182039A 2016-12-29 2016-12-29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1922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039A KR101922029B1 (ko) 2016-12-29 2016-12-29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2039A KR101922029B1 (ko) 2016-12-29 2016-12-29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7569A true KR20180077569A (ko) 2018-07-09
KR101922029B1 KR101922029B1 (ko) 2018-11-26

Family

ID=62919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2039A KR101922029B1 (ko) 2016-12-29 2016-12-29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0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448B1 (ko) * 2019-03-04 2020-05-12 주식회사 아이제이엑스콤 육상터미널과 연동되는 선박의 비상정지시스템
KR102233194B1 (ko) * 2019-08-21 2021-03-2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재기화설비의 안전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323B1 (ko) * 2004-03-05 2004-08-21 (주)지엠비 선박용 비상정지시스템
KR100781868B1 (ko) * 2006-08-07 2007-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 및 그것의 운전 정지 방법
KR100787777B1 (ko) * 2007-03-09 2007-12-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보일오프가스 활용설비의 밀폐공간내 누출가스 감지 및환기 방법
KR20090107186A (ko) * 2008-04-08 2009-10-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중선체 운반선의 발라스트 탱크내부 가스감지방법
KR20150021737A (ko) * 2013-08-21 2015-03-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323B1 (ko) * 2004-03-05 2004-08-21 (주)지엠비 선박용 비상정지시스템
KR100781868B1 (ko) * 2006-08-07 2007-12-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 및 그것의 운전 정지 방법
KR100787777B1 (ko) * 2007-03-09 2007-12-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보일오프가스 활용설비의 밀폐공간내 누출가스 감지 및환기 방법
KR20090107186A (ko) * 2008-04-08 2009-10-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중선체 운반선의 발라스트 탱크내부 가스감지방법
KR20150021737A (ko) * 2013-08-21 2015-03-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구조물의 통신시스템 및 통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029B1 (ko) 201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37518B2 (ja) 液化燃料ガス貯蔵タンクの壁を不活性に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385574B1 (ko) 액화물 가열기의 누출 감지 및 차단 시스템
US10495260B2 (en) Safety valve system, tank, ship, and operation method for safety valve system on ships
KR101922029B1 (ko)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781868B1 (ko)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 및 그것의 운전 정지 방법
KR101505796B1 (ko) 선박의 엔진 및 연료가스 공급시스템의 가스 배출장치
WO2015026621A2 (en) Pressure relief detection for use with gas storage
RU2466075C2 (ru) Автоматически срабатывающий при утечке аварийный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опасных химических веществ
KR101713857B1 (ko) Lng 추진선박
JP6956726B2 (ja) 圧縮天然ガス車両安全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469753Y1 (ko) 이종연료 엔진의 가스라인
KR101858513B1 (ko) 재기화설비용 비상 정지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Noh et al. Identification of potential hazardous events of unloading system and CO2 storage tanks of an intermediate storage terminal for the Korea clean carbon storage project 2025
AU2018363236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n optimal value of at least one parameter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cooling a watertight and thermally insulating tank
KR20220036446A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20180002488U (ko) Lng 재기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535973B1 (ko) Fsu 양방향 무어링 및 비상차단시스템 운용방법
KR102233194B1 (ko) 재기화설비의 안전시스템
KR101531489B1 (ko) 선박의 가스 배출장치
JP2019007511A (ja) 液化ガス管理システム
US11761588B2 (en) Device for transferring a fluid from a supply tank to a receiver tank
KR102239706B1 (ko) 액화가스 재기화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KR101422518B1 (ko) 선박용 lng 및 lpg 저장탱크의 유지보수 시스템
KR102503165B1 (ko) 조명 제어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선박
CN212517042U (zh) 一种紧急停车系统及后备系统、空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