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982A - 의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982A
KR20180076982A KR1020170000943A KR20170000943A KR20180076982A KR 20180076982 A KR20180076982 A KR 20180076982A KR 1020170000943 A KR1020170000943 A KR 1020170000943A KR 20170000943 A KR20170000943 A KR 20170000943A KR 20180076982 A KR20180076982 A KR 20180076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tub
water supply
supply li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주
이동수
손구영
김혁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19534970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0503123A/ja
Priority to RU2019122171A priority patent/RU2751686C2/ru
Priority to AU2017391737A priority patent/AU2017391737A1/en
Priority to PCT/KR2017/007747 priority patent/WO2018128234A1/en
Priority to CN201710665307.7A priority patent/CN108265460B/zh
Priority to US15/695,908 priority patent/US10954623B2/en
Priority to EP19209209.6A priority patent/EP3628770B1/en
Priority to EP17189893.5A priority patent/EP3342921B1/en
Publication of KR20180076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9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하우징(a single housing)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 1터브, 제 1드럼, 그리고 제 1구동유닛를 갖는 제 1세탁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 2터브, 제 2드럼, 그리고 제 2구동유닛을 갖는 제 2세탁부와; 상기 하우징과 외부에서 연결되어 수도수를 공급하는 외부공급라인과; 상기 외부공급라인을 상기 하우징내 제 1, 2세탁부로의 수도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와; 상기 밸브어셈블리에서 상기 제 2세탁부로 수도수를 공급하는 제 2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상기 제 2터브의 적어도 2지점 이상으로 세탁수를 분산 공급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급라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세탁기에 두개의 서로 다른 구동유닛을 구비하여 세탁물을 분리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트윈워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하부에 프론트 로딩 방식의 세탁장치가 구비되고, 상부에 탑 로딩방식의 세탁장치가 구비되는 의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처리장치라 함은 의류 등의 세탁, 건조 또는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여기서 의류 처리장치는 세탁이나 건조 기능만을 수행하거나, 세탁이나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스팀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의류 등의 구김 제거, 냄새 제거, 정전기 제거 등 리프레쉬(refresh) 기능을 구비한 세탁기가 보급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의류 처리장치들은 의류의 인출 방향에 따라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이나 탑 로드(top load)타입으로 나뉜다. 그리고 세탁이 이루어지는 방식에 따라 펄세이터나 세탁조가 회전되는 수직축 타입과 드럼이 회전하는 수평식 타입이 있다.
이러한 수평식 타입의 대표적인 예가 드럼 세탁기 또는 드럼 건조기이다. 이하에서는 프론트 로드(front load) 타입의 의류 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전방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거나 일정 경사를 구비한 의류 처리장치로 정의하고, 탑 로드(top load) 타입 의류 처리장치는 개구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구비된 의류 처리장치로 정의한다.
이러한 의류 처리장치들은 최근 사용자의 수용에 부응하여 점차 대형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즉,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세탁기들의 외형 사이즈도 점차 대형화 되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에는 하나의 대용량 의류 처리장치를 구비하여 사용한다. 그래서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구분하여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의류 처리장치를 여러 번 사용하게 괸다. 예컨대, 성인용 의류와 같은 세탁물과 속옷류나 아기옷 등과 같은 세탁물을 나누어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전자의 세탁이 완료된 후 후자의 세탁을 위해 다시 의류 처리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세탁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소비되는 에너지도 많게 된다. 또한, 소량의 의류를 세탁함에 있어 종래와 같은 대형 의류 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대형 의류 처리장치에 마련된 세탁코스는 대부분 세탁물의 양이 많은 경우를 예정하기 때문에 소비되는 물의양이 많다. 그리고 대형의 드럼 또는 이너터브를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전력이 많이 소비된다.
또한, 세탁코스가 대량 세탁물을 예정하기 때문에 세탁시간이 비교적 길다. 그리고 대형 의류 처리장치는 주로 일반적인 의류를 예정하여 세탁코스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속옷류나 또는 아기 옷과 같은 섬세한 옷감류를 세탁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소량의 세탁물을 자주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에도 대형 의류 처리장치는 적합하지 않다. 소비자들은 세탁물을 모아서 한번에 세탁하기 위해 며칠 또는 그 이상의 기간에 걸쳐 세탁물을 모은다.
속옷류나 아기 옷 등은 오래 방치하기에는 청결 상 좋지 않다. 그리고 이와 같은 세탁물은 오래 방치하면 때가 옷감에 고착되어 세탁이 깨끗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종래 대형 의류 처리장치보다는 그 용량이 훨씬 작은 소형의 의류 처리장치가 필요하다.
그런데, 소형이라 하더라도 의류 처리장치를 한 가정에 두 개 구비하여 옆으로 나란히 설치하는 것은 공간활용에 바람직하지 않고, 미관에도 좋지 않다. 근자에는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 처리장치의 상부에 탑로터 타입의 의류 처리장치가 구비되는 의류 처리장치가 등장하였다.
상기 탑로드 타입의 의류 처리장치는 상기 프론트 로드 타입의류 처리장치에 상부에 구비되어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으면서 공간 활용도를 도모하는 효과가 있었다.
다만, 전술한 의류 처리장치는 공간 활용도를 도모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이점은 있으나 상기 의류 처리장치의 운송 중 상부에 구비된 탑로드 타입 의류 처리장치가 고정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의류 처리장치의 운송 중에 강한 진동 또는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부에 구비된 탑로드 타입 의류 처리장치가 심하게 진동되거나, 설치위치가 변경되어 내부 구성들끼리 충돌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탑로드 타입 의류 처리장치가 하부에 구비된 프론트 로드 타입 의류 처리장치와 충돌하여 파손을 일으키거나, 외부 하우징에 충돌하여 외관을 변형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 탑로드 타입 의류 처리장치의 하부에 구동유닛이 돌출되어 있어 외부 충격에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소량의 세탁물 또는 속옷이나 아기옷과 같은 일반 세탁물과는 분리하여 세탁이 필요한 세탁물과 많은 양의 일반 세탁물을 하나의 세탁기에서 분리하여 세탁이 가능한 의류 처리장치 즉, 트윈 워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부에 프론트 로딩 방식의 세탁장치를 구비하고, 상부에 프론트 로딩방식의 세탁장치보다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은 탑 로딩방식의 세탁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세탁물을 선택적으로 세탁/건조할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탁물을 분리하여 세탁이 가능한 의류 처리장치에서, 특히 세탁기 상부에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은 탑 로딩 방식의 제2세탁장치의 세탁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 로딩 방식의 제2세탁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장치에서, 세제 공급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고, 세탁 성능을 도모할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 로딩 방식의 제2세탁장치를 구비하여 분리 세탁이 가능한 의류 처리장치에서, 특히 상기 제2세탁장치의 터브의 직경이 터브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큰 경우, 세탁시 발생할 수 있는 세탁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탑 로딩 방식의 제2세탁장치를 구비하여 분리 세탁이 가능한 의류 처리장치에서, 수도수와 세제수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고, 터브내에 공급된 세탁수가 터브 외측으로 역류하거나 분출되지 않도록 수도수와 세제수 공급을 제어 할 수 있는 의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 1터브, 제 1드럼, 그리고 제 1구동유닛를 갖는 제 1세탁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 2터브, 제 2드럼, 그리고 제 2구동유닛을 갖는 제 2세탁부와; 상기 하우징과 외부에서 연결되어 수도수를 공급하는 외부공급라인과; 상기 외부공급라인을 상기 하우징내 제 1, 2세탁부로의 수도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와; 상기 밸브어셈블리에서 상기 제 2세탁부로 수도수를 공급하는 제 2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상기 제 2터브의 여러 지점으로 세탁수를 분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수도수 공급라인과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세제를 포함하는 세제수를 상기 제 2터브 측으로 공급하는 세제수 공급라인과, 세제를 포함하지 않은 수도수를 상기 제 2터브 측으로 공급하는 수도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 2세탁부는 탑 로딩 방식으로 제 2터브는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오픈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상부와, 상기 제 2구동유닛을 고정하고, 상기 제 2드럼과 상기 제 2구동유닛을 연결하도록 관통공을 구비하는 바닥부와, 상기 상부와 바닥부가 원통형으로 연결하는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 2터브의 바닥부 직경은 상기 측벽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을 통해 세제수를 공급하고, 상기 수도수 공급라인은 상기 제 2터브의 상부 개구부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하여 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세탁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 2공급라인은 복수의 분기되어 제2터브의 여러 지점으로 연결되되, 세제수 공급라인과 수도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수도수 공급라인은 상기 밸브어셈블리가 형성되는 하우징 측에서 상기 제2터브 상부 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터브의 상부를 통해 수도수를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공급라인의 상기 세제수공급라인은 세제저장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2터브의 측벽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세제수공급라인은 상기 제2터브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상기 세제저장부와 상기 제2터브의 측벽을 연결하는 세제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급수관은 고무재질의 벨로우즈 형태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제급수관은 상기 밸브어셈블리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측으로부터 반대 위치의 제2터브 측면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급수관은 상기 수도수공급라인의 연장선 선상의 상기 제2터브 측면에 위치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세제급수관은 상기 수도수공급라인의 연장선을 벗어난 영역에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터브 사이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급수관은 상기 제2터브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터브의 중앙보다 상부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2세탁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2공급라인은 수도수공급라인과 세제수공급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복수의 분기된 라인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세탁부의 상기 제2터브는 원통형상의 측벽을 가지고, 상부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구동유닛이 고정되는 바닥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의 직경이 상기 측벽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세제수 공급라인과 수도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세제 저장부를 경유하는 라인과, 보조세제 저장부를 경유하는 라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터브 사이에 형성된 세제 저장부를 경유하고, 상기 세제 저장부와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을 연결하는 세제 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공급라인은 복수의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세제수 공급라인 중 하나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터브 사이에 형성된 세제 저장부를 경유하고, 또 다른 세제수 공급라인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터브 사이에 형성된 보조세제 저장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 2터브내로 세제수를 각각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공급라인은 복수의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세제수 공급라인 중 하나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터브 사이에 형성된 세제 저장부를 경유하고, 또 다른 세제수 공급라인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터브 사이에 형성된 보조세제 저장부를 경유하고, 상기 세제저장부와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을 연결하는 세제 급수관과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와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을 연결하는 보조세제 급수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공급라인은 복수의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세제수 공급라인은 상기 제 2터브의 여러 지점에 분산되어 연결되되,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 상에는 각각 세제 저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세제 저장부는 제 2터브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세제 저장부와 상기 제 2터브 사이에는 세제 급수관을 각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 저장부와 상기 제 2터브 사이의 세제 급수관에는 세제수 공급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수 공급밸브는 상기 제 2터브측 방향만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체크밸브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수 공급밸브는 전자밸브로 구성하되, 제어부로부터 상기 밸브어셈블리와 함께 연동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수 공급밸브는 수도수가 공급되는 동안에는 온되어 상기 세제급수관을 통해 세제수가 제 2터브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되지만, 급수가 중단 된 상태에서 세탁이나 헹굼 또는 탈수 운전동안에는 오프되어 상기 세제급수관을 통해 상기 제 2터브 내의 세탁수가 상기 운전동안에 상기 세제급수관을 통해 세제저장부 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세제급수관은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 2터브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복수의 세제급수관이 상기 제 2터브 측벽과 연결되는 지점은 서로 다르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세제급수관은 상기 밸브어셈블리가 형성되는 하우징 측으로부터 반대 위치의 제2터브 측벽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세제급수관은 상기 제2터브 상부에 위치한 상기 수도수공급라인의 연장선 상의 제2터브 측벽이나, 상기 연장선에 인접하는 측벽의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세제급수관은 상기 제2터브의 높이 방향에 대하여 동일 위치이거나, 중첩된 영역이 존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복수의 세제급수관은 상기 상기 수도수공급라인의 연장선을 벗어난 상기 제2터브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모서리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세제급수관은 상기 하우징 전방에 대해 좌측과 우측의 상기 제2터브와 상기 하우징 사이의 모서리에 각각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공급관은 제2터브의 높이 방향에 대해 동일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세제수 공급라인이 상기 제 2터브와 연결되는 지점은 여러 지점으로 분산되어 구성하되, 상기 제 2터브와 연결되는 각 세제수 공급라인의 위치는 고도차이가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세제 급수관은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에 연통되도록 구성하되, 어느 하나의 위치는 다른 하나의 위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측벽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세제급수관 중에서 어느 하나는 상기 제2터브의 측벽 상단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그 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급수관 중 아래에 있는 세제급수관은 상기 제2터브의 높이방향에 대하여 중앙 또는 그 아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급수관 중 최상부에 있는 세제급수관은 상기 제2터브의 높이방향에 대하여 중앙보다 윗부분에 위치 하고, 나머지는 그보다 아래에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급수관 중 최상부에 있는 세제급수관은 상기 제2터브의 높이방향에 대하여 중앙 부분에 위치하고, 나머지는 그보다 아래에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수도수 공급라인과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세제와 섬유유연제를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공급라인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상기 세제 및 섬유유연제 이외에 표백제와 같이 세제와 섬유유연제와는 다른 기능을 하는 물질을 공급하는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 저장부를 경유하도록 구성하고, 섬유유연제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세제 저장부를 경유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는 표백제와 같이 섬유유연제와는 다른 기능을 하는 물질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의 보조세제 저장부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수도수 공급라인과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세제와 섬유유연제를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공급라인으로 구성하고, 상기 섬유유연제를 저장하는 보조세제 저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 중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로 분기되는 라인 상에서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 앞단에는 공급되는 수도수를 차단하는 전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세제저장부로의 수도수 공급을 차단하는 전자밸브는 상기 밸브어셈블리를 온 제어하는 시간의 일부 동안에만 온제어 하여 수도수가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를 통해 섬유유연제를 상기 제 2터브 내로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 앞단의 전자밸브를 온제어 하는 동안에는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와 제 2터브의 보조세제 급수관로 상의 급수밸브도 온제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세제 급수관로 상의 급수밸브는 체크밸브로 구성되어 상기 보조세제저 장부 앞단의 전자밸브가 온 제어되면, 유로 압력에 의해 오픈되어 섬유유연제가 상기 제 2터브 내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수도수 공급라인과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수도수 공급라인은 상기 제 2터브의 상부 개구부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상기 밸브어셈블리의 제어에 의하여 유로가 차단되도록 제어 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제 2터브 상부 개구측으로 수도수를 공급하는 수도수 공급라인과; 상기 밸브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을 연결하되, 세제 저장부를 경유하여 세제수를 공급하는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여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상기 밸브어셈블리의 제어에 의하여 유로가 차단되도록 제어 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제 2터브 상부 개구측으로 수도수를 공급하는 수도수 공급라인과; 상기 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수도수 공급라인 사이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을 연결하되, 세제 저장부를 경유하여 세제수를 공급하는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상기 밸브어셈블리와 상기 수도수 공급라인 사이에서 복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의 복수개의 지점에 각각 연결하여, 세제와 섬유유연제를 분리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 1터브, 제 1드럼, 그리고 제 1구동유닛를 갖는 제 1세탁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 2터브, 제 2드럼, 그리고 제 2구동유닛을 갖는 제 2세탁부와; 상기 하우징과 외부에서 연결되어 수도수를 공급하는 외부공급라인과; 상기 외부공급라인을 상기 하우징내 제 1, 2세탁부로의 수도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와; 상기 밸브어셈블리에서 상기 제 2세탁부로 수도수를 공급하는 제 2공급라인과; 상기 밸브어셈블리에서 상기 제 1세탁부로 수도수를 공급하는 제 1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상기 제 2터브의 여러 지점으로 세탁수를 분산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수도수 공급라인과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세탁부는 상기 제 1세탁부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2터브는 개구를 포함하는 상부와 상기 제 2구동유닛을 지지하는 바닥부와 상기 상부와 바닥부를 원통형으로 연결하는 측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터브 사이에는 세제 저장부를 형성하여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 상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세제저장부와 상기 제 2터브 측벽을 연결하는 세제 공급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 2터부 상부에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터브커버를 포함하는 터브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는 하우징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터브케이스를 통해 상기 제 2터브와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하우징 상부에는 상기 하우징개구를 개폐하는 하우징커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브케이스는 상기 터브커버를 힌지 지지하는 힌지부를 갖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커버에 대향(facing)하는 상기 터브케이스의 몸체부 상단에는 상기 제 2공급관의 수도수 공급라인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케이스 몸체부 상단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 2공급관의 수도수공급라인이 관통하여 상기 제 2터브 내측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케이스의 몸체부는 상부몸체부와 하부몸체부로 이중 구조로 되되, 상기 제 2공급관의 수도수공급라인은 상기 상부 몸체부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상부몸체부와 하부몸체부 사이로 수도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케이스의 하부몸체부는 상기 제 2터브 내측에 대향(facing)되도록 하고, 복수개의 개구를 형성하여 상기 상부 몸체부를 관통하여 공급되는 수도수가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 2터브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몸체부의 개구는 복수개의 열로 배열되도록 하여 상기 공급되는 수도수가 상기 제 2터브 상부 개구를 통해 넓게 공급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제 저장부는 하우징의 전방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 저장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 좌측과 우측에 각각 복수개로 위치시키되, 좌측과 우측 어느 한쪽에는 세제를 저장하도록 하고, 다른 한쪽에는 섬유유연제를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공급라인의 세제수공급라인 상에서 상기 세제저장부와 상기 제 2터브 측벽 사이를 연통시키는 세제공급관은 상기 세제저장부에 대응하되, 상기 세제저장부 수에 따라 복수개로 구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개의 세제공급관은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의 서로 다른 높이를 갖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공급라인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터브 사이에 제 1터브로 공급되는 제 1세탁부용 세제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공급라인은 상기 제 1세탁부용 세제 저장부와 상기 제 1터브를 연통하는 제 1세탁부용 세제 공급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게 제 2공급라인의 세제수 공급라인과 연통되는 세제저장부와 상기 제 1공급라인과 연통되는 제 1세탁부용 세제 저장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터브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하우징 상부 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세탁부용 세제 저장부는 상기 하우징 전방에서 좌측과 우측 사이에 복수개의 세제투입구를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류 처리장치는 상기 하우징 상부 전방에 형성된 제 1세탁부용 세제 저장부는 개폐하는 세제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제커버의 전방은 상기 하우징의 전방을 따라 대응되고, 상기 세제커버의 후방은 상기 터브 케이스의 일측 끝단과 인접되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터브내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부는 상기 제 1세탁부용 세제저장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터브 사이의 하우징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류 처리장치는 상기 세제공급관로 상에는 공급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류 처리장치는 상기 제 2터브와 상기 세제 저장부 사이에서 상기 제 2공급라인의 세제수공급라인을 이루는 세제공급관로 상에는 공급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제 1공급라인의 제 1세탁부용 세제저장부와 상기 제 1터브 사이에는 별도의 공급밸브를 구성하지 않도록 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밸브는 제 2터브 방향으로만 유동이 가능한 체크밸브이거나 온오프 제어가 가능한 전자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밸브는 상기 제 2터브내로의 수도수를 공급 및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상기 밸브어셈블리 제어와 연동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밸브 어셈블리가를 온(오픈)하면, 상기 전자밸브도 온(오픈)제어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제 1세탁부와, 상기 제 1세탁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세탁부와, 상기 제 1세탁부 및 상기 제 2세탁부를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체결되어 상기 제 1세탁부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 패널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 2세탁부의 외형을 형성하는 터브 케이스와,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체결되어 상기 제 2세탁부와 상기 제 1세탁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세탁부는 프론트 로딩 방식의 세탁장치이며, 상기 제 2세탁부는 탑 로딩 방식의 세탁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세탁부는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방을 통하여 세탁물이 투입되는 터브 투입구가 형성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투입구에 대응되어 상기 프론트 패널의 전방을 통하여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투입구가 형성되는 드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세탁부는 상기 터브 케이스의 상방을 통하여 세탁물이 투입되는 터브 투입구가 형성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 투입구에 대응되어 상기 터브 케이스의 상방을 통하여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투입구가 형성되는 드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1세탁부를 지지하고, 상기 외측패널이 체결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제 2세탁부를 지지하며 상기 터브 케이스가 안착되어 체결되는 상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프레임은 상기 외측 패널에 체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하부 수직프레임과, 상기 하부 수직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외측 패널의 상부에 체결되는 하부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하부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체결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부 수직프레임과 상기 상부 수직프레임의 상부를 연결함과 동시에 상기 터브 케이스를 지지하는 상부 수평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세탁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제 2세탁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케이스는 상면에 상기 제 2세탁부로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및 상기 제 2세탁부로 세제류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투입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케이스는 상기 투입구를 차폐하기 위한 도어 및 상기 세제투입구를 차폐하기 위한 세제투입 도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케이스는 상기 투입구 및 상기 세제투입구를 동시 차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케이스는 상기 제 2세탁부 및 상기 제 1세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노출되는 서비스 홀 및 상기 서비스 홀에 착탈되는 서비스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케이스의 후방에는 상기 제 2세탁부 및 상기 제 1세탁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노출되는 서비스 홀 및 상기 서비스 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서비스 홀을 개폐하는 서비스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케이스는 전방 일측에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부와, 상기 세제투입부로 투입되는 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세제 저장부와, 상기 세제저장부에 저장된 세제가 제 2세탁부로 안내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세제 급수관과, 상기 세제 급수관을 개방하여 상기 세제를 공급하는 투입밸브를 구비하는 세제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세탁부는 상기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급수부는 상기 세제 저장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며, 상기 세제 저장부에 저장된 세제는 상기 세탁수와 혼합되어 상기 세제수 공급밸브에 의해 상기 제 2세탁부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제수 공급밸브는 상기 제 2세탁부로 공급된 세탁수가 상기 세제 저장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상기 세제 급수관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케이스는 전방 타측에 보조세제가 투입되는 보조세제 투입부와, 상기 보조세제 투입부로 투입되는 보조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보조세제 저장부와,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에 저장된 보조세제가 제 2세탁부로 안내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보조세제 급수관과, 상기 보조세제 급수관을 개방하여 상기 보조세제를 공급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를 구비하는 보조세제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는 상기 세제 저장부와 연결되는 연결관을 구비하며, 상디 보조세제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보조 세제는 상기 연결관을 통하여 상기 세제 저장부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와 혼합되어 상기 보조세제수 공급밸브에 의해 상기 제 2세탁부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브 케이스의 후방에는 상기 급수부가 노출되는 서비스 홀 및 상기 서비스 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서비스 홀을 개폐하는 서비스 커버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제 1터브 및 제 1드럼을 구비하는 제 1세탁부와, 상기 제 1세탁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 2터브 및 제 2드럼을 구비하는 제 2세탁부와, 상기 제 2세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터브 및 상기 제 2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에 의해 상기 제 2터브로 세제 및 보조세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세제 공급부는 상기 제 2터브의 전방 일측에 구비되는 세제 투입부와, 상기 세제투입부로 투입되는 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세제 저장부와, 상기 세제저장부에 저장된 세제가 상기 제 2터브로 안내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세제 급수관과, 상기 세제 급수관을 개방하여 상기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수 공급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 2터브의 후방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와, 상기 밸브어셈블리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세탁수를 상기 세제 저장부로 안내하는 급수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터브 타측에 상기 세제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에 의해 상기 제 2터브로 보조세제를 공급하는 보조세제 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세제 공급부는 상기 제 2터브의 전방 타측에 구비되는 보조세제 투입부와, 상기 보조세제투입부로 투입되는 보조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보조세제 저장부와, 상기 세제 저장부로 공급되는 세척수가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로 안내되는 연결관과,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에 저장된 보조세제가 상기 제 2터브로 안내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보조세제 급수관과, 상기 보조세제 급수관을 개방하여 상기 보조세제를 공급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터브 타측에 상기 급수부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에 의해 상기 제 2터브로 보조세제를 공급하는 보조세제 공급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보조세제 공급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보조세제 급수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보조세제 공급부는 상기 제 2터브의 전방 타측에 구비되는 보조세제 투입부와, 상기 보조세제투입부로 투입되는 보조세제가 일시 저장되며 상기 보조세제 급수관이 연결되는 보조세제 저장부와,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에 저장된 보조세제가 상기 제 2터브로 안내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보조세제 급수관과, 상기 보조세제 급수관을 개방하여 상기 보조세제를 공급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부는 상기 제 2터브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제 2수도수 공급라인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관은 상기 제 2터브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 2수도수 공급라인 및 상기 급수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세제 공급부로 세탁수를 안내하는 세제부 급수관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터브 타측에 상기 제 2터브로 보조세제를 공급하는 보조세제 공급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급수관은 상기 급수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보조세제 공급부로 세탁수를 안내하는 보조세제부 급수관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급수관은 상기 제 2수도수 공급라인, 상기 세제부 급수관, 상기 보조세제부 급수관의 유로 제어를 위한 제 1밸브어셈블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세제 공급부는 상기 제 2터브의 전방 타측에 구비되는 보조세제 투입부와, 상기 보조세제투입부로 투입되는 보조세제가 일시 저장되며 상기 보제세제부 급수관이 연결되는 보조세제 저장부와,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에 저장된 보조세제가 상기 제 2터브로 안내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보조세제 급수관과, 상기 보조세제 급수관을 개방하여 상기 보조세제를 공급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세제부 급수관은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로 공급되는 세탁수를 제어하기 위한 보조세제 급수밸브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세탁부는 상기 제 1터브로 세제 및 보조세제를 공급하는 제 1세제 공급부를 구비하며, 상기 밸브어셈블리는 상기 제 1세제공급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 1공급라인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소량의 세탁물 또는 속옷이나 아기옷과 같은 일반 세탁물과는 분리하여 세탁이 필요한 세탁물과 많은 양의 일반 세탁물을 하나의 세탁기에서 분리하여 세탁이 가능한 의류 처리장치 즉, 트윈 워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하부에 프론트 로딩 방식의 세탁장치를 구비하고, 상부에 프론트 로딩방식의 세탁장치보다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은 탑 로딩방식의 세탁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종류의 세탁물을 선택적으로 세탁/건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세탁물을 분리하여 세탁이 가능한 의류 처리장치에서, 특히 세탁기 상부에 상대적으로 용량이 작은 탑 로딩 방식의 제2세탁장치의 세탁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탑 로딩 방식의 제2세탁장치를 갖는 의류 처리장치에서, 세제 공급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고, 세탁 성능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탑 로딩 방식의 제2세탁장치를 구비하여 분리 세탁이 가능한 의류 처리장치에서, 특히 상기 제2세탁장치의 터브의 직경이 터브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큰 경우, 세탁시 발생할 수 있는 세탁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 따르면 탑 로딩 방식의 제2세탁장치를 구비하여 분리 세탁이 가능한 의류 처리장치에서, 수도수와 세제수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고, 터브내에 공급된 세탁수가 터브 외측으로 역류하거나 분출되지 않도록 수도수와 세제수 공급을 제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서 제 2세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서 제 2세탁부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서 제 2세탁부의 각 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서 제 2세탁부의 작동에 따른 각 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표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시를 상세히 설명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는 하부에 전면으로 개폐되는 제 1도어(242)가 구비되어 전방으로 세탁물이 투입 및 인출되는 제 1세탁부(30)와, 제 1세탁부(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방으로 세탁물이 투입 및 인출되는 제 2세탁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제 2세탁부(40) 및 제 1세탁부(30)는 각각 별도의 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케이스 및 하부 하우징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내부에 상부 및 하부 적어도 2개의 공간 이상을 형성하는 하나의 하우징(20) 안에 일체로 형성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2세탁부(40) 및 제 1세탁부(30)를 세탁장치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제 2세탁부(40) 또는 제 1세탁부(30)가 건조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세탁부(40) 또는 제 1세탁부(30)가 건조장치로 대치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하나의 하우징(20) 안에 상부 및 하부 2개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하우징(20)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하우징(20) 및 제 2세탁부(40) 및 제 1세탁부(30)의 설치 형태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프론트 로딩 방식의 제 1세탁부(30) 및 탑 로딩방식의 제 2세탁부(40)를 구비하는 의류 처리장치(10)에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는 베이스(210)와, 베이스(2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 1세탁부(30) 및 제 2세탁부(40)를 지지하는 다수의 단위 프레임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프레임(220)과, 프레임(22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240)과, 프레임(220)의 하부 외측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 1세탁부(30)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측 패널(230)과, 프레임(220)의 상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제 2세탁부(40)의 외형을 형성하는 터브 케이스(250)를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220)은 베이스(210)의 상부에 안착되어 제 1세탁부(30) 및 제 2세탁부(40)의 각 구성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220)은 제 1세탁부(30)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221, 222)과,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221, 222)을 연결하는 제 1, 2하부 수평프레임(223, 224) 및 제 2세탁부(40)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2상부 수직프레임(225, 226) 및 제 1, 2상부 수직프레임(225, 226)을 연결하는 제 1, 2상부 수평프레임(227, 228)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221, 222)은 베이스(2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한쌍으로 구비되며, 제 1, 2하부 수평프레임(223, 224)은 한쌍의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221, 222) 상부를 연결하여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221, 222)은 외측 패널(230)의 각 모서리에 체결되어 외측 패널(230)과 합께 제 1세탁부(3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 1, 2하부 수평프레임(223, 224)의 경우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221, 222)에 연결됨과 동시에 외측 패널(230)의 양측 상단에 고정되어 외측 패널(230)과 함께 제 1세탁부(30)를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2상부 수직프레임(225, 226)은 제 1, 2하부 수평프레임(223, 224)의 상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한쌍으로 구비되며, 제 1, 2상부 수직프레임(225, 226)은 제 1, 2하부 수평프레임(223, 224)의 상부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1, 2상부 수직프레임(225, 226)은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221, 222)의 연장선상에서 제 1, 2하부 수평프레임(223, 224)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 2상부 수직프레임(225, 226)의 상단에는 후술할 제 2세탁부(40)의 제 2터브 지지부(420)가 거치되는 제 1, 2브라켓(225a, 226a)이 형성된다. 제 1, 2브라켓(225a, 226a)에는 제 2터브 지지부(420)의 거치를 위하여 제 1, 2지지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제 1, 2브라켓(225a, 226a) 및 제 1, 2지지홀(225b, 226b)에 대해서는 제 2세탁부(40)의 설명시 상세히 하도록 한다.
제 1, 2상부 수평프레임(227, 228)은 제 1, 2상부 수직프레임(225, 226)의 상측에 결합되어 제 1, 2상부 수직프레임(225, 226)의 강도를 보강하여 제 2세탁부(40)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221, 222)의 전방에는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221, 222)을 연결하여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221, 222)의 체결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프론트 패널(240)을 고정하기 위한 전방프레임(229)이 구비된다. 여기서 전방프레임(229)은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221, 222) 및 제 1, 2상부 수직프레임(225, 226)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거나,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221, 222)의 전면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221, 222)에 형성될 경우 후술할 프론트 패널(240)에 형성되는 제 1투입구(241)를 제외하고 일부 또는 전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방프레임(229)이 프론트 패널(240)의 제 1투입구(241)를 회피하여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외측 패널(230)은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221, 222)의 외측면의 전방을 제외하여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외측 패널(230)은 제 1세탁부(30)의 좌측면을 형성하는 좌측면(231), 제 1세탁부의 우측면을 형성하는 우측면(232), 제 1세탁부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233)으로 형성된다. 외측 패널(230)의 좌측면(231), 우측면(232)의 상단에는 제 1, 2하부 수평프레임(223, 224)이 결합될 수 있으며, 좌측면(231)과 우측면(232)의 전방 및 좌측면(231), 우측면(232), 후면(233)에 의해 형성되는 후방 모서리에는 한쌍의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221, 222)이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외측 패널(230)과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221, 222)의 체결에 따라 제 1, 2하부 수직프레임(221, 222)의 지지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외측 패널(230)의 후면에는 제 1세탁부(30)의 유지보수를 위한 하부 서비스 홀(234)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서비스 홀(234)에는 하부 서비스 홀(234)을 개폐하기 위한 서비스 패널(23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서비스 패널(235)은 하부 서비스 홀(234)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프론트 패널(240)은 프레임(220)의 전방에 체결되어 제 2세탁부(40) 및 제 1세탁부(3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론트 패널(240)은 제 1세탁부(30)에 세탁물을 투입하기 우한 제 1투입구(241)가 형성되며, 제 1투입구(241)에는 제 1투입구(241)를 개폐하기 위한 제 1도어(24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도어(242)는 제 1투입구(241)의 일측에 별도의 힌지(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며 힌지를 축으로 하여 회동되어 제 1투입구(241)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제 1도어(242)에는 제 1세탁부(3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투명재질의 투광창(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프론트 패널(240)의 상측에는 제 1세탁부(30) 및 제 2세탁부(4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243)이 구비된다. 컨트롤 패널(243)은 각 세탁부(30, 40)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미도시),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의 표시 및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243)에 구비된 입력부와 표시부는 제어부(50)에 구비되는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어부(50)는 전방프레임(229)에 고정되거나, 후술할 제 2세탁부(4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제 2세탁부(40)에 제어부(50)가 구비되는 것에 대해서는 제 2세탁부(40)의 설명시 상세히 하도록 한다.
터브 케이스(250)는 의류 처리장치(10)의 상부 형상을 형성함과 동시에 제 2세탁부(4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한편, 터브 케이스(250)에 대해서는 제 2세탁부(40) 및 제 1세탁부(30)의 구성 설명 이후에 상세히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의류 처리장치(10)의 경우 내부적으로는 제 1세탁부(30) 및 제 2세탁부(40)로 구분되어 질 수 있으며, 외형적으로는 의류 처리장치(1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 패널(240)과, 제 1세탁부(30)의 외형을 형성하는 외측 패널(230)과, 제 2세탁부(40)를 형성하는 터브 케이스(250)로 구분되어 질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제 1세탁부(30) 및 제 2세탁부(40)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세탁부(30) 및 제 2세탁부(40)의 지지구조의 경우 상술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제 1세탁부(30)는 외부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도수 및 수도수와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 1터브(310)와, 제 1터브(310)를 베이스(210) 및 제 1, 2하부 수평프레임(223, 224)에 대하여 완충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터브 지지부(320)와, 제 1터브(3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됨에 따라 세탁물을 세탁, 헹굼, 탈수하는 제 1드럼(330)과, 제 1터브(3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제 1드럼(330)을 회전시키는 제 1구동유닛(340)과, 제 1터브(310)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 1급수부(350)와, 제 1터브(310)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제 1배수부(360)를 구비한다.
제 1터브(310)는 하우징(20)의 프론트 패널(240)에 형성되는 제 1투입구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 1터브(310)의 전방방향으로 제 1터브 투입구(311)가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제 1터브 투입구(311)와 제 1투입구(241) 사이에는 제 1터브 투입구(311)와 제 1투입구(241) 사이를 씰링하는 제 1터브 실링부(312)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 1터브(310)는 비교적 수평방향의 회전축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터브(310)의 후방에는 제 1드럼(33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1구동유닛(340)이 고정된다.
제 1터브 지지부(320)는 제 1하부 수평프레임(223) 및 제 2하부 수평프레임(224)에 대하여 제 1터브(310)가 거치되도록 제 1하부 수평프레임(223)에 거치되어 제 1터브(310)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 1스프링(321)과, 제 2하부 수평프레임(224)에 거치되어 제 1터브(310)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 2스프링(322)과, 하우징(20)의 베이스(210)에 설치되어 제 1터브(310)의 진동을 완충하는 댐퍼(323)를 구비한다.
제 1드럼(330)은 제 1터브(3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1터브(310)의 제 1터브 투입구(311)에 연장되는 위치로 제 1드럼 투입구(331)가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 1드럼(330)의 내주면에는 제 1드럼(330)의 세탁수가 제 1터브(310)로 유동되도록 다수의 제 1관통홀(332)이 형성되며, 제 1드럼(330)의 후방에는 제 1터브(310)의 후방을 관통하여 지지되는 제 1회전축(333)을 구비한다. 제 1회전축(333)은 제 1터브(310)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 1구동유닛(340)에 연결된다.
제 1구동유닛(340)은 제 1터브(310)의 후방에 고정되는 제 1스테이터(341)와, 제 1회전축(333)에 연결되며 제 1스테이터(341)에 의해 회전되는 제 1로터(342)를 구비한다. 제 1구동유닛(340)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급수부는 제 1터브(3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제 1터브(310)로 세탁수를 공급한다. 제 1급수부(350)는 외부의 세탁수 공급원에 연결되는 제 1공급라인(351)과, 제 1공급라인(351)에 의한 세탁수 공급을 제어하는 제 1급수밸브(352)가 구비된다.
제 1공급라인(351)과 제 1터브(310) 사이에는 세제 또는 보조세제(예를 들어 섬유유연제, 표백제 등)를 제 1공급라인(351)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와 혼합하여 제 1터브(310)로 공급하는 제 1세제 공급부(370)(도 12 참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 1배수부(360)는 제 1터브(3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 1터브(310)의 세탁수를 배수한다. 제 1배수부(360)는 제 1터브(310) 하부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수하는 제 1배수펌프(362)와, 제 1배수펌프(362)의 토출측에 연결되는 제 1배수관(361)을 구비한다.
제 2세탁부(40)는 외부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도수 및 수도수와 세제가 혼합된 세탁수가 저장되는 제 2터브(410)와, 제 2터브(410)를 제 1, 2상부 수평프레임(227, 228)에 대하여 완충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2터브 지지부(420)와, 제 2터브(41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됨에 따라 세탁물을 세탁, 헹굼, 탈수하는 제 2드럼(430)과, 제 2터브(4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제 2드럼(430)을 회전시키는 제 2구동유닛(440)과, 제 2터브(410)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 2급수부(450)와, 제 2터브(410)의 세탁수를 배수하는 제 2배수부(460)와, 제 2급수부에서 공급되는 수도수와 세제 또는 보조세제(예를 들어 섬유유연제, 표백제 등)를 혼합하여 제 2터브(410)로 공급하는 제 2세제 공급부(470, 470a, 470b, 470c, 470d)를 구비한다.
제 2터브(410)는 터브 케이스(250)의 경사면(251)에 형성되는 제 2투입구(253)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측이 개방된다. 이러한 제 2터브(410)는 비교적 수직방향의 회전축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2터브(410)의 하부 중심에는 제 2드럼(430)을 회전시키기 위한 제 2구동유닛(440)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터브(410)는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오픈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상부와, 제 2구동유닛(440)이 고정되고, 제 2드럼(430)과 제 2구동유닛(440)을 연결하도록 관통공을 구비하는 바닥부와, 상부와 바닥부가 원통형으로 연결하는 측벽을 구비하고 제 2터브(410)의 바닥부 직경은 측벽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후술할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a, 451b, 451c, 451d)에 의해 제 2터브(410)의 측벽을 통해 세제수를 공급하고, 수도수 공급라인에 의해 제 2터브(410)의 상부 개구부를 수도수가 통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터브(410)의 상측 개방부는 제 2터브(410)의 상부를 폐쇄하는 제 2터브 상면(411)을 구비한다. 제 2터브 상면(411)은 제 2터브(410)로 세탁물을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한 제 2터브 투입구(412)가 형성된다. 제 2터브 투입구(412)에는 제 2터브 투입구(412)를 개폐하기 위한 터브 도어(413)가 구비된다. 터브 도어(413)는 제 2터브 투입구(412)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 2터브 투입구(412)의 내주면에는 터브 도어(413)가 제 2터브 투입구(412)를 폐쇄할 때 제 2터브 투입구(412)와 터브 도어(413) 사이를 씰링하는 제 2터브 실링부(4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터브 도어(413)에는 제 2세탁부(4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투명재질의 투광창(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제 2터브 상면(411) 및 제 터브 도어(413)는 제 2터브(410)의 개방부를 폐쇄하여 제 2드럼(430)의 회전시 제 2터브(410)에 수용된 세탁물 또는 세탁수가 제 2터브(410)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2터브(410)의 외주면에는 제 2터브 지지부(420)에 거치되기 위한 다수의 터브 브라켓(415)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터브 브라켓(415)은 바람직하게는 제 2터브(410)의 외주면과 제 1, 2상부 수직프레임(225, 22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모서리 사이의 제 2터브(410)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각 터브 브라켓(415)에는 제 2터브 지지부(420)가 삽입되는 터브 지지홀(416)이 형성된다.
제 2터브 지지부(420)는 제 1, 2상부 수직프레임(225, 226)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 1, 2브라켓(225a, 226a)과 제 2터브(4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터브 브라켓(415)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터브(410)가 진자 운동하도록 제 2터브(410)를 부유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 2터브 지지부(420)는 상부에 제 1, 2브라켓(225a, 226a)의 제 1, 2지지홀(225b, 226b)에 거치되는 상부 스토퍼(422)와, 터브 브라켓(415)의 터브 지지홀(416)이 거치되는 하부 스토퍼(423)와, 상부 스토퍼(422)와 하부 스토퍼(423)를 소정간격으로 유지하는 지지바(421)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 2터브 지지부(420)에는 제 2터브(410)의 진동을 완충하기 위하여 터브 브라켓(415)과 하부 스토퍼(423) 사이에 별도의 스프링(424)이 추가 삽입될 수 있다.
제 2드럼(430)은 제 2터브(41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제 2터브(410)의 제 2터브 투입구(412)에 연장되는 위치로 제 2드럼 투입구(431)가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 2드럼(430)의 내주면에는 제 2드럼(430)의 세탁수가 제 2터브(410)로 유동되도록 다수의 제 2관통홀(432)이 형성되며, 제 2드럼(430)의 하부에는 제 2터브(410)의 하부를 관통하여 지지되는 제 2회전축(433)을 구비한다. 제 2회전축(433)은 제 2터브(4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구동유닛(440)에 연결된다.
제 2구동유닛(440)은 제 2터브(410)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 2스테이터(441)와, 제 2회전축(433)에 연결되며 제 2스테이터(441)에 의해 회전되는 제 2로터(442)를 구비한다. 제 2구동유닛(440)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2급수부(450)는 제 2터브(410)의 후방 일측에 구비되어 제 2터브(410)로 수도수 및 세탁수를 공급한다. 제 2급수부(450)는 외부의 수도수 공급원에 연결되며, 제 2공급라인(451)과 제 1공급라인(351)에 의한 세탁수 공급을 제어하는 제 2밸브어셈블리(452)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 2밸브어셈블리(452)의 경우 공급되는 세탁수의 종류(예를 들어 온수, 냉수 등) 및 세탁수를 공급하는 대상(예를 들어 제 1터브(310), 제 1세제 공급부(370), 제 2터브(410), 제 2세제 공급부(470, 470a, 470b, 470c, 470d) 등)에 따라 복수의 밸브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2공급라인(451)의 경우도 공급되는 세탁수의 종류(예를 들어 온수, 냉수 등) 및 세탁수를 공급하는 대상(예를 들어 제 1터브(310), 제 1세제 공급부(370), 제 2터브(410), 제 2세제 공급부(470, 470a, 470b, 470c, 470d) 등)에 따라 에 의해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 2급수부(450)의 제 2밸브어셈블리(452)의 경우 제 2터브(410)의 후방 일측에 형성됨과 동시에 터브 케이스(250)의 후방에 형성되는 서비스 커버(257)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터브 케이스(250)의 서비스 커버(257)를 개방하고 제 2급수부(450) 및 제 2밸브어셈블리(452)의 유지 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제 2세제 공급부(470, 470a, 470b, 470c, 470d)는 제 2공급라인(451)과 제 2터브(410) 사이에 위치하며 세제 또는 보조세제를 제 2공급라인(451)에서 공급되는 수도수와 혼합하여 제 2터브(410)로 공급할 수 있다. 제 2급수부(450) 및 제 2세제 공급부(470, 470a, 470b, 470c, 470d)에 대해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하도록 한다.
제 2배수부(460)는 제 2터브(4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 2터브(410)의 세탁수를 배수한다. 제 2배수부(460)는 제 2터브(410) 하부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수하는 제 2배수펌프(462)와, 제 2배수펌프(462)의 토출측에 연결되는 제 2배수관(461)을 구비한다.
이하 터브 케이스(250) 및 제 2세탁부(40)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서 제 2세탁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서 제 2세탁부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브 케이스(250)는 하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는 경사면(251) 및 후방평면(255)이 형성된다. 여기서 경사면(251)은 터브 케이스(25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될수록 하향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후방평면(255)은 경사면(251) 후방에서 연장되는 평면 형태로 형성된다.
터브 케이스(250)의 경사면(251) 및 후방평면(255)의 외곽에는 제 1세탁부(30) 측으로 하향되는 외측면(258)이 형성된다. 외측면(258)은 제 2세탁부(40)의 외곽 형상을 형성한다. 여기서, 터브 케이스(250)의 경사면(251), 후방평면(255), 외측면(258)의 경우 각각 별도의 판재로 형성되어 조립되어질 수 있다. 다르게는 터브 케이스(250)의 경사면(251), 후방평면(255), 외측면(258)은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질 수도 있다.
경사면(251)의 중앙부에는 제 2세탁부(40)로 세탁물을 투입 및 인출하기 위한 터브 커버(252)가 구비되며, 경사면(251)의 전방(즉, 터브 커버(252)의 전방)에는 제 2세탁부(40)로 세제 및 보조세제를 투입하기 위한 세제투입 도어(254)가 구비된다. 여기서, 터브 케이스에는 터브 커버와, 세제투입도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가 구비된다.
한편 터브 케이스(250)의 후방 상단에는 외부 수도수 공급라인이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 수도수 공급라인은 터브 케이스(250) 내부에 구비되는 제 2밸브어셈블리(452, 452a, 452b, 452c, 4512d)에 연결된다.
한편, 세제투입 도어(254) 하측에는 제 2세제 공급부(470, 470a, 470b, 470c, 470d)가 위치할 수 있다. 즉, 세제투입 도어(254)의 개방에 따라 제 2세제 공급부(70, 470a, 470b, 470c, 470d)가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르게는 제 2세제 공급부(470, 470a, 470b, 470c, 470d)는 터브 케이스(250)의 형성되는 터브 커버(252)의 하부에 위치하여 터브 커버(252)의 개방에 따른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터브 커버(252)의 하부에는 제 2세탁부(40)로 세탁물이 투입 및 인출되는 제 2투입구(253)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투입구(253)는 제 2세탁부(40)에 구비되는 터브 도어(413)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브 커버(252) 및 세제투입 도어(254)는 터브 케이스(250)에 형성되는 경사면 상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세제투입 도어(254)를 터브 커버(252)의 전방에 위치시킬 수 있다.
즉, 세탁물의 경우 비교적 무게가 가벼우며, 세제 또는 보조세제의 경우 세탁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무거우므로 세제투입 도어(254)를 터브 커버(252)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터브 케이스(250)의 후방평면(255)에는 제 2세탁부(40)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제 2세탁부(40)의 후방을 개방하는 상부 서비스 홀(256)이 형성되며, 상부 서비스 홀(256)에는 상부 서비스 홀(256)을 개폐하는 서비스 커버(257)가 구비된다.
서비스 커버(257)는 별도의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부 서비스 홀(256)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터브 케이스(250)의 후방 내측에는 후술할 제 2세탁부(40)의 제 2급수부(450, 450a, 450b, 450c, 450d) 및 제 2세탁부(40) 및 제 1세탁부(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커버(257)를 개방함에 따라 상부 서비스 홀(256)이 개방되어 제 2세탁부(40) 및 제 1세탁부(30)의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터브 케이스(250)의 경우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부몸체부 및 하부몸체부로 구성되어 질수 있으며, 제 2급수부(450, 450a, 450b, 450c, 450d) 및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 451a, 451b, 451c, 451d)은 터브 케이스(250)의 내측에서 제 2밸브어셈블리(452, 452a, 452b, 452c, 452d)로 연장되어 질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 2세제 공급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서 제 2세탁부의 제 1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제 2세제 공급부(470)는 제 2터브(410)의 전방 양측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 2세제 공급부(470)는 액상세제, 분말세제, 섬유유연제, 보조세제 등이 선택적으로 투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세제 공급부(470)는 제 2터브(410) 전방 일측에 세탁물의 세탁을 위한 액상세제 또는 분말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구(471) 및 제 2터브(410) 전방 타측에 세탁물의 세탁시 보조적 역할을 수행하는 섬유유연제, 표백제 등의 보조세제가 투입되는 보조세제 투입구(475)로 구비될 수 있다.
세제 투입구(471)의 하부에는 투입되는 액상세제 또는 분말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세제 저장부(472)가 구비된다. 세제 저장부(472)에는 제 2밸브어셈블리(452)에서 연장되는 제 2공급라인(451)이 연결된다. 세제 저장부(472)에 투입된 액상제세 또는 분말세제는 제 2공급라인(451)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와 혼합되어 제 2터브(41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경우 제 2공급라인(451)을 통하여 제 2터브(410)에 공급하기 위한 수도수 및 세제 저장부에 저장된 세제를 공급하기위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즉, 제 2공급라인(451)에서 공급되는 수도수의 경우 세제 저장부(472)에 세제가 저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 2터브(410)로 공급되는 수도수가 될 수 있으며, 세제 저장부(472)에 세제가 저장된 경우 세제를 용해시키는 세탁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 2공급라인(451)은 수도수 및 세탁수를 세제 저장부(472)를 경유하여 제 2터브로 공급할 수 있다.
세제 저장부(472)의 하부에는 세제 저장부(472)에서 혼합된 세제와 세탁수가 제 2터브(410)로 공급되는 세제 급수관(474)이 구비된다. 세제 급수관(474)에는 세제 저장부(472)에서 혼합된 세제와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세제수 공급밸브(473)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세제 급수관(474)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세제 급수관(474) 이외에 보조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세제 급수관(47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제 급수관(474) 및 보조세제 급수관(478)은 제 2터브(410)의 측벽에 각기 다른 위치로 연결되며, 세제 급수관(474)에 비하여 보조세제 급수관(478)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로 제 2터브(410)의 측벽에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세제 급수관(474) 및 보조세제 급수관(478)은 측벽에 연결될 때 중첩 영역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세제 급수관(474) 및 보조세제 급수관(478)은 제 2세탁부(40)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 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치 및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제 급수관(474)과, 보조세제 급수관(478)의 연장방향 및 설치 위치는 제 2터브(410)와 터브 케이스(250) 사이의 공간 확보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세제 급수관(474)과 보조세제 급수관(478)의 제 2터브(410) 측벽 연결에 있어서 세제 급수관(474)과, 보조세제 급수관(478)의 설치 자유도를 증가 시킬 수 있다.
세제 급수관(474)은 제 2드럼(430)의 회전시 제 2터브(410)로 전달되는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밸로우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제수 공급밸브(473)는 세제 급수관(474)과 세제 저장부(472) 사이에 구비되어 세제 저장부(472)의 세제 및 세탁수의 공급 제어와 더불어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세제 저장부(472)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2터브(410)의 경우 제 2터브(410)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제 2드럼(430)의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가 제 2터브(410)에 연결되는 세제 급수관(474)를 통하여 세제 저장부(472)로 세탁수가 역류하는 형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수 공급밸브(473)는 제 2드럼(430)의 회전시 세제 급수관(474)을 폐쇄하여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세제 급수관(474)을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제수 공급밸브(473)는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세제 급수관(474)을 개폐하는 전자밸브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보조세제 투입구(475)의 하부에는 투입되는 섬유유연제, 표백제 등의 보조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보조세제 저장부(476)가 구비된다. 보조세제 저장부(476)는 제 2밸브어셈블리(452)에서 연장되는 제 2공급라인(451) 또는 세제 저장부에서 연장되는 연결관(479)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세제 저장부(476)에 투입된 보조세제는 제 2공급라인(451)에서 공급되는 세탁수 또는 세제 저장부(472)를 통해 연결관(479)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와 혼합되어 제 2터브(41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세제 저장부(472)의 하부에는 보조 세제 저장부(472)에서 혼합된 섬유유연제 또는 보조세제와 세탁수를 제 2터브(410)로 공급하는 보조세제 급수관(478)이 구비된다. 보조세제 급수관(478)에는 보조세제 저장부(476)에서 혼합된 섬유유연제 또는 보조세제와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가 구비된다.
여기서, 보조세제 급수관(478)은 제 2드럼(430)의 회전시 제 2터브(410)로 전달되는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밸로우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는 보조세제 급수관(478)과 보조세제 저장부(476) 사이에 구비되어 보조세제 저장부(476)의 보조 세제의 공급 제어와 더불어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보조세제 저장부(476)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2터브(410)의 경우 제 2터브(410)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제 2드럼(430)의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가 제 2터브(410)에 연결되는 보조세제 급수관(478)을 통하여 보조세제 저장부(476)로 세탁수가 역류하는 형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는 제 2드럼(430)의 회전시 보조세제 급수관(478)을 폐쇄하여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보조세제 급수관(478)을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는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보조세제 급수관(478)을 개폐하는 전자밸브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제 2세제 공급부에 있어서 세제의 공급 및 보조세제의 공급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의류 처리장치(10)의 작동에 따라 제 2세제 공급부(470)의 세제 투입구(471)를 통하여 액상세제 또는 분발세제 등의 세제를 투입하거나, 보조세제 투입구(475)를 통하여 섬유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보조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제 투입구(471)로 투입된 세제의 경우 세제 저장부(472)에 저장되며 세제 저장부(472)에 저장된 세제는 세제 급수관(474)에 구비되는 세제수 공급밸브(473)가 폐쇄 상태를 유지함으로 제 2터브(410)로 바로 투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보조세제 투입구(475)로 투입된 보조세제의 경우 보조세제 저장부(476)에 저장되며 보조세제 저장부(476)에 저장된 세제는 보조세제 급수관(478)에 구비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가 폐쇄 상태를 유지함으로 제 2터브(410)로 바로 투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류 처리장치(10)의 세탁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가 공급되고, 공급되는 세탁수는 제 2급수부(450)의 제 2밸브어셈블리(452)의 작동에 따라 제 2공급라인(451)을 통하여 제 2세제 공급부(470)로 공급된다.
여기서, 제 2세제 공급부(470)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제 2세제 공급부(470)의 세제 저장부(472)로 공급되며, 세탁수는 세제 저장부(472)에 투입되며서 세제 저장부(472)에 저장된 세제와 혼합된다. 이후 세제 저장부(472)에서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는 세제 급수관(474)에 구비되는 세제수 공급밸브(473)가 개방됨에 따라 제 2터브(41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보조세제 저장부(476)에 저장된 보조세제의 경우 세제 저장부(472)로 공급되는 세탁수를 공급받아 보조세제를 세탁수와 같이 제 2터브(410)로 공급할 수 있다. 즉, 보조세제 저장부(476)에 저장된 보조세제의 경우 세제 저장부(472)로 공급되는 세탁수가 세제 저장부(472)와 보조세제 저장부(476)를 연결하는 연결관(479)을 통하여 보조세제 저장부(476)로 이동되며, 보조세제 저장부(476)로 이동된 세탁수는 보조세제 저장부(476)에 저장된 보조세제와 혼합된다.
이후 보조세제 저장부(476)에서 보조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는 보조세제 급수관(478)에 구비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가 개방됨에 따라 제 2터브(410)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세제 저장부(476)와 세제 저장부(472)를 연결하는 연결관(479)에는 연결관(479)을 개폐하여 보조세제 저장부(476)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세제 급수관(474)과 보조세제 급수관(478)은 제 2터브(410)의 측벽을 관통하여 제 2터브(410)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복수의 세제 급수관(474)과 보조세제 급수관(478)이 제 2터브(410) 측벽과 연결되는 지점은 그 높이가 서로 다르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세제 급수관(474)과 보조세제 급수관(478)이 제2터브와 연결되는 지점은 여러 지점으로 분산될 수 있으며, 제 2터브(410)와 연결되는 세제 급수관(474)과 보조세제 급수관(478)의 위치는 세제 급수관(474)과 보조세제 급수관(478)로 공급되는 세탁주에 고도차이가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다.
이하,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서 제 2세탁부의 제 2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제 2세제 공급부(470a)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같이 제 2터브(410)의 전방 양측에 제 2터브(410) 전방 일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의 세탁을 위한 액상세제 또는 분말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구(471a) 및 제 2터브(410) 전방 타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의 세탁시 보조적 역할을 수행하는 섬유유연제, 표백제 등의 보조세제가 투입되는 보조세제 투입구(475a)가 구비될 수 있다.
세제 투입구(471a)의 하부에는 투입되는 액상세제 또는 분말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세제 저장부(472a)가 구비되고, 보조세제 투입구(475a)의 하부에는 투입되는 섬유유연제, 표백제 등의 보조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보조세제 저장부(476a)가 구비된다.
한편, 제 2급수부(450a)에는 제 2밸브어셈블리(452a)에서 연장되어 세제 저장부(472a)에 연결되는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a)과, 제 2밸브어셈블리(452a)에서 연장되어 보조 세제 저장부(472a)에 연결되는 제 2보조세제 공급라인(453a)을 구비한다. 즉, 제 2급수부(450a)는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급라인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 저장부(472a)로 공급된 세제는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a)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에 의해 혼합되어 공급되며, 보조세제 저장부(476a)로 공급된 보조세제는 제 2보조제부 급수관(453a)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에 의해 혼합되어 공급된다.
추가적으로, 제 2급수부는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a)과, 제 2보조세제 공급라인(453a)과 별도루 세제 및 섬유유연제 이외에 표백제와 같이 세제와 섬유유연제와는 다른 기능을 하는 물질을 추가 공급할 수 있는 라인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의 경우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a)을 통하여 제 2터브(410)에 공급하기 위한 수도수 및 세제 저장부(472a)에 저장된 세제를 공급하기위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즉,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a)에서 공급되는 수도수의 경우 세제 저장부(472a)에 세제가 저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 2터브(410)로 공급되는 수도수가 될 수 있으며, 세제 저장부(472a)에 세제가 저장된 경우 세제를 용해시키는 세탁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a)은 수도수 및 세탁수를 세제 저장부(472a)를 경유하여 제 2터브(410)로 공급할 수 있다.
다르게는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a)에서 공급되는 수도수의 경우 보조세제 저장부(476a)에 세제가 저장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제 2터브(410)로 공급되는 수도수가 될 수 있으며, 보조세제 저장부(476a)에 세제가 저장된 경우 세제를 용해시키는 세탁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a)은 수도수 및 세탁수를 세제 저장부(472a) 또는 보조세제 저장부(476a)를 경유하여 제 2터브(410)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제 저장부(472a)의 하부에는 세제 저장부(472a)에서 혼합된 세제와 세탁수를 제 2터브(410)로 공급하는 세제 급수관(474a)이 구비된다. 세제 급수관(474a)은 제 2드럼(430)의 회전시 제 2터브(410)로 전달되는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밸로우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제 급수관(474a)에는 세제 저장부(472a)에서 혼합된 세제와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세제수 공급밸브(473a)가 구비된다. 세제수 공급밸브(473a)는 세제 급수관(474a)과 세제 저장부(472a) 사이에 구비되어 세제 저장부(472a)의 세제 및 세탁수의 공급 제어와 더불어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세제 저장부(472)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제수 공급밸브(473a)는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세제 급수관(474a)을 개폐하는 전자밸브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제 2터브(410)의 경우 제 2터브(410)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제 2드럼(430)의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가 제 2터브(410)에 연결되는 세제 급수관(474a)를 통하여 세제 저장부(472a)로 세탁수가 역류하는 형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수 공급밸브(473a)는 제 2드럼(430)의 회전시 세제 급수관(474a)을 폐쇄하여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세제 급수관(474a)을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보조 세제 저장부(472a)의 하부에는 보조 세제 저장부(472a)에서 혼합된 섬유유연제 또는 보조세제와 세탁수를 제 2터브(410)로 공급하는 보조세제 급수관(478a)이 구비된다. 한편, 보조세제 급수관(478a)은 제 2드럼(430)의 회전시 제 2터브(410)로 전달되는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밸로우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보조세제 급수관(478a)에는 보조세제 저장부(476a)에서 혼합된 섬유유연제 또는 보조세제와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a)가 구비된다.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a)는 보조세제 급수관(478a)과 보조세제 저장부(476a) 사이에 구비되어 보조세제 저장부(476a)의 보조 세제의 공급 제어와 더불어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보조세제 저장부(476a)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a)는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보조세제 급수관(478a)을 개폐하는 전자밸브로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제 2터브(410)의 경우 제 2터브(410)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제 2드럼(430)의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가 제 2터브(410)에 연결되는 보조세제 급수관(478a)을 통하여 보조세제 저장부(476a)로 세탁수가 역류하는 형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a)는 제 2드럼(430)의 회전시 보조세제 급수관(478a)을 폐쇄하여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보조세제 급수관(478a)을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a)는 보조세제 저장부(476a)의 세제 및 세탁수의 공급 제어와 더불어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세제 저장부(472a)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제 2세제 공급부에 있어서 세제의 공급 및 보조세제의 공급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의류 처리장치(10)의 작동에 따라 제 2세제 공급부(470a)의 세제 투입구(471a)를 통하여 액상세제 또는 분발세제 등의 세제를 투입하거나, 보조세제 투입구(475a)를 통하여 섬유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보조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제 투입구(471a)로 투입된 세제의 경우 세제 저장부(472a)에 저장되며 세제 저장부(472a)에 저장된 세제는 세제 급수관(474a)에 구비되는 세제수 공급밸브(473a)가 폐쇄 상태를 유지함으로 제 2터브(410)로 바로 투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보조세제 투입구(475a)로 투입된 보조세제의 경우 보조세제 저장부(476a)에 저장되며 보조세제 저장부(476a)에 저장된 세제는 보조세제 급수관(478a)에 구비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a)가 폐쇄 상태를 유지함으로 제 2터브(410)로 바로 투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류 처리장치(10)의 세탁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수도수가 공급되고, 공급되는 수도수는 제 2급수부(450a)의 제 2밸브어셈블리(452a)의 작동에 따라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a) 및 제 2보조제부 급수관(453a)을 통하여 제 2세제 공급부(470a)의 세제 저장부(472a) 및 보조세제 저장부(476a)로 공급된다.
여기서,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a)을 통하여 세제 저장부(472a)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제 저장부(472a)로 투입되면서 세제 저장부(472a)에 저장된 세제와 혼합된다. 이후 세제 저장부(472a)에서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는 세제 급수관(474a)에 구비되는 세제수 공급밸브(473a)가 개방됨에 따라 제 2터브(41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 2보조세제 급수관(478a)을 통하여 보조세제 저장부(476a)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보조세제 저장부(476a)로 투입되면서 보조세제 저장부(476a)에 저장된 보조세제와 혼합된다. 이후 보조세제 저장부(476a)에서 보조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는 보조세제 급수관(478a)에 구비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a)가 개방됨에 따라 제 2터브(4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서 제 2세탁부의 제 3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제 2세제 공급부(470b)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같이 제 2터브(410)의 전방 양측에 제 2터브(410) 전방 일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의 세탁을 위한 액상세제 또는 분말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구(471b) 및 제 2터브(410) 전방 타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의 세탁시 보조적 역할을 수행하는 섬유유연제, 표백제 등의 보조세제가 투입되는 보조세제 투입구(475b)가 구비될 수 있다.
세제 투입구(471b)의 하부에는 투입되는 액상세제 또는 분말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세제 저장부(472b)가 구비되고, 보조세제 투입구(475b)의 하부에는 투입되는 섬유유연제, 표백제 등의 보조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보조세제 저장부(476b)가 구비된다.
한편, 제 2급수부에는 제 2밸브어셈블리(452b)에서 연장되어 세제 저장부(472b)에 연결되는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b)과, 제 2밸브어셈블리(452b)에서 연장되어 보조 세제 저장부(472b)에 연결되는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b) 및 제 2터브(410)로 세탁수를 별도 공급하는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b)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b)은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b) 및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b)과 독립적으로 제 2터브(410)에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b)의 경우 제 2터브(410)에 지접 연결되어 제 2터브(41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상술한 제 2터브(410)에 구비되는 터브 도어(413)에 연결되어 제 2터브(410)의 상부에서 제 2터브(410)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터브(410)의 상부 개구부를 통하여 수도수를 공급할 경우 수도수의 낙하차에 의해 수도수가 확산되어 세탁물을 효과적으로 적실 수 있다.
한편, 세제 투입구(471b)의 하부에는 투입되는 액상세제 또는 분말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세제 저장부(472b)가 구비된다. 세제 저장부(472b)에는 제 2밸브어셈블리(452b)에서 연장되는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b)이 연결된다. 세제 저장부(472b)에 투입된 액상제세 또는 분말세제는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b)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와 혼합되어 제 2터브(410)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세제 저장부(472b)의 하부에는 세제 저장부(472b)에서 혼합된 세제와 세탁수를 제 2터브(410)로 공급하는 세제 급수관(474b)이 구비된다. 세제 급수관(474b)은 제 2드럼(430)의 회전시 제 2터브(410)로 전달되는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밸로우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제 급수관(474b)에는 세제 저장부(472b)에서 혼합된 세제와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세제수 공급밸브(473b)가 구비된다. 세제수 공급밸브(473b)는 세제 급수관(474b)과 세제 저장부(472b) 사이에 구비되어 세제 저장부(472b)의 세제 및 세탁수의 공급 제어와 더불어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세제 저장부(472b)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2터브(410)의 경우 제 2터브(410)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제 2드럼(430)의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가 제 2터브(410)에 연결되는 세제 급수관(474b)를 통하여 세제 저장부(472b)로 세탁수가 역류하는 형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수 공급밸브(473b)는 제 2드럼(430)의 회전시 세제 급수관(474b)을 폐쇄하여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세제 급수관(474b)을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제 급수관(474b)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세제 급수관(474b) 이외에 보조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세제 급수관(478b)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제 급수관(474b) 및 보조세제 급수관(478b)은 제 2터브(410)의 측벽에 각기 다른 위치로 연결되며, 다르게는 세제 급수관(474b) 및 보조세제 급수관(478b)은 측벽에 연결될 때 중첩 영역을 갖을 수 있다. 또한, 세제 급수관(474b) 및 보조세제 급수관(478b)은 제 2세탁부(40)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 또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위치 및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세제 급수관(474b) 및 보조세제 급수관(478b)의 설치 방향은 제 2터브(410)의 중심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연장선을 갖도록 제 2터브의 측벽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터브(410)의 중심을 통과하는 방향의 연장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 2터브(410)의 측벽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 2터브(410)의 측벽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르게는, 세제 급수관(474b) 및 보조세제 급수관(478b)은 제 2터브(410)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제 2터브(410)의 측벽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서로 인접하거나,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연결될 수 도 있다.
또한, 세제 급수관(474b) 및 보조세제 급수관(478b)의 경우 제 2수도수 공급라인에 대칭되는 위치에서 제 2터브의 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세제 급수관 및 보조세제 급수관은 제 2터브를 기준으로 제 2수도수 공급라인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거나, 제 2수도수 공급라인의 연장선상에서 제 2터브의 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세제 급수관(474b)과, 보조세제 급수관(478b)의 연장방향 및 설치 위치는 제 2터브(410)와 터브 케이스(250) 사이의 공간 확보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세제 급수관(474b)과 보조세제 급수관(478b)의 제 2터브(410) 측벽 연결에 있어서 세제 급수관(474b)과, 보조세제 급수관(478b)의 설치 자유도를 증가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세제 저장부(472b)의 하부에는 보조 세제 저장부(472b)에서 혼합된 섬유유연제 또는 보조세제와 세탁수를 제 2터브(410)로 공급하는 보조세제 급수관(478b)이 구비된다. 한편, 보조세제 급수관(478b)은 제 2드럼(430)의 회전시 제 2터브(410)로 전달되는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밸로우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세제 급수관(478b)에는 보조세제 저장부(476b)에서 혼합된 섬유유연제 또는 보조세제와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b)가 구비된다.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b)는 보조세제 급수관(478b)과 보조세제 저장부(476b) 사이에 구비되어 보조세제 저장부(476b)의 보조 세제의 공급 제어와 더불어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보조세제 저장부(476b)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2터브(410)의 경우 제 2터브(410)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제 2드럼(430)의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가 제 2터브(410)에 연결되는 보조세제 급수관(478b)을 통하여 보조세제 저장부(476b)로 세탁수가 역류하는 형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b)는 제 2드럼(430)의 회전시 보조세제 급수관(478b)을 폐쇄하여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보조세제 급수관(478b)을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b)는 보조세제 저장부(476b)의 세제 및 세탁수의 공급 제어와 더불어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세제 저장부(472b)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제수 공급밸브(473b) 및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b)는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체크밸브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세제 급수관(474b) 및 보조세제 급수관(478b)을 개폐하는 전자밸브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제 2세제 공급부에 있어서 세제의 공급 및 보조세제의 공급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의류 처리장치(10)의 작동에 따라 제 2세제 공급부(470b)의 세제 투입구(471b)를 통하여 액상세제 또는 분발세제 등의 세제를 투입하거나, 보조세제 투입구(475b)를 통하여 섬유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보조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제 투입구(471b)로 투입된 세제의 경우 세제 저장부(472b)에 저장되며 세제 저장부(472b)에 저장된 세제는 세제 급수관(474b)에 구비되는 세제수 공급밸브(473b)가 폐쇄 상태를 유지함으로 제 2터브(410)로 바로 투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보조세제 투입구(475b)로 투입된 보조세제의 경우 보조세제 저장부(476b)에 저장되며 보조세제 저장부(476b)에 저장된 세제는 보조세제 급수관(478b)에 구비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b)가 폐쇄 상태를 유지함으로 제 2터브(410)로 바로 투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류 처리장치(10)의 세탁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가 공급되고, 공급되는 세탁수는 제 2급수부(450b)의 제 2밸브어셈블리(452b)의 작동에 따라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b) 및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b)을 통하여 제 2세제 공급부(470b)의 세제 저장부(472b) 및 보조세제 저장부(476b)로 공급된다.
여기서,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b)을 통하여 세제 저장부(472b)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제 저장부(472b)로 투입되면서 세제 저장부(472b)에 저장된 세제와 혼합된다. 이후 세제 저장부(472b)에서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는 세제 급수관(474b)에 구비되는 세제수 공급밸브(473b)가 개방됨에 따라 제 2터브(41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 2터브(410)로의 세탁수 급수는 제 2급수부(450b)의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b)을 통하여 제 2세제 공급부(470b)의 급수와 별도로 급수될 수 있다.
한편, 제 2보조세제 급수관(478b)을 통하여 보조세제 저장부(476b)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보조세제 저장부(476b)로 투입되면서 보조세제 저장부(476b)에 저장된 보조세제와 혼합된다. 이후 보조세제 저장부(476b)에서 보조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는 보조세제 급수관(478b)에 구비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b)가 개방됨에 따라 제 2터브(4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서 제 2세탁부의 제 4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제 2세제 공급부(470c)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같이 제 2터브(410)의 전방 양측에 제 2터브(410) 전방 일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의 세탁을 위한 액상세제 또는 분말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구(471c) 및 제 2터브(410) 전방 타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의 세탁시 보조적 역할을 수행하는 섬유유연제, 표백제 등의 보조세제가 투입되는 보조세제 투입구(475c)가 구비될 수 있다.
세제 투입구(471c)의 하부에는 투입되는 액상세제 또는 분말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세제 저장부(472c)가 구비되고, 보조세제 투입구(475c)의 하부에는 투입되는 섬유유연제, 표백제 등의 보조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보조세제 저장부(476c)가 구비된다.
한편, 제 2급수부(450c)에는 제 2밸브어셈블리(452c)에서 연장되는 제 2메인 급수관(455c)과, 제 2메인 급수관(455c)에서 분기되어 세제 저장부(472c)에 연결되는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c)과, 제 2메인 급수관(455c)에서 분기되어 보조 세제 저장부(472c)에 연결되는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c) 및 제 2메인 급수관(455c)에서 분기되어 제 2터브(410)로 세탁수를 별도 공급하는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c)을 구비한다.
즉,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c),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c),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c)은 제 2메인 급수관(455c)의 특정 분지부(465c)에서 분기되어 각각 세제 저장부(472c), 보조세제 저장부(476c) 및 제 2터브(410)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메인 급수관(455c)을 통하여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c),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c),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c)에 동시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c) 또는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c)에는 제 2수도수 공급라인과 독립적인 급수제어를 위하여 별도의 세제 급수밸브(451c') 및 보조세제 급수밸브(453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c)은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c) 및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c)과 독립적으로 제 2터브(410)에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c)의 경우 제 2터브(410)에 지접 연결되어 제 2터브(41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상술한 제 2터브(410)에 구비되는 터브 도어(413)에 연결되어 제 2터브(410)의 상부에서 제 2터브(410)의 내부로 세탁수를 확산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세제 투입구(471c)의 하부에는 투입되는 액상세제 또는 분말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세제 저장부(472c)가 구비된다. 세제 저장부(472c)에는 제 2밸브어셈블리(452c)에서 연장되는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c)이 연결된다. 세제 저장부(472c)에 투입된 액상제세 또는 분말세제는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c)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와 혼합되어 제 2터브(410)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세제 저장부(472c)의 하부에는 세제 저장부(472c)에서 혼합된 세제와 세탁수를 제 2터브(410)로 공급하는 세제 급수관(474c)이 구비된다. 세제 급수관(474c)은 제 2드럼(430)의 회전시 제 2터브(410)로 전달되는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밸로우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제 급수관(474c)에는 세제 저장부(472c)에서 혼합된 세제와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세제수 공급밸브(473c)가 구비된다. 세제수 공급밸브(473c)는 세제 급수관(474c)과 세제 저장부(472c) 사이에 구비되어 세제 저장부(472c)의 세제 및 세탁수의 공급 제어와 더불어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세제 저장부(472c)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2터브(410)의 경우 제 2터브(410)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제 2드럼(430)의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가 제 2터브(410)에 연결되는 세제 급수관(474c)를 통하여 세제 저장부(472c)로 세탁수가 역류하는 형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수 공급밸브(473c)는 제 2드럼(430)의 회전시 세제 급수관(474c)을 폐쇄하여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세제 급수관(474c)을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세제 저장부(472c)의 하부에는 보조 세제 저장부(472c)에서 혼합된 섬유유연제 또는 보조세제와 세탁수를 제 2터브(410)로 공급하는 보조세제 급수관(478c)이 구비된다. 한편, 보조세제 급수관(478c)은 제 2드럼(430)의 회전시 제 2터브(410)로 전달되는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밸로우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세제 급수관(478c)에는 보조세제 저장부(476c)에서 혼합된 섬유유연제 또는 보조세제와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c)가 구비된다.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c)는 보조세제 급수관(478c)과 보조세제 저장부(476c) 사이에 구비되어 보조세제 저장부(476c)의 보조 세제의 공급 제어와 더불어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보조세제 저장부(476c)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2터브(410)의 경우 제 2터브(410)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제 2드럼(430)의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가 제 2터브(410)에 연결되는 보조세제 급수관(478c)을 통하여 보조세제 저장부(476c)로 세탁수가 역류하는 형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c)는 제 2드럼(430)의 회전시 보조세제 급수관(478c)을 폐쇄하여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보조세제 급수관(478c)을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c)는 보조세제 저장부(476c)의 세제 및 세탁수의 공급 제어와 더불어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세제 저장부(472c)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제 급수관(474c)은 세제 저장부(472c)에서 제 2급수부(450c)측(즉, 제 2세탁부(4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 2터브(410)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 2터브(41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는 세제 급수관(474c)은 세제 저장부(472c)에서 보조세제 저장부(476c) 측으로 연장되어 제 2터브(410)의 중심측으로 절곡되어 제 2터브(410)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보조세제 급수관(478c)은 보조세제 저장부(476c)에서 제 2급수부(450c)측(즉, 제 2세탁부(4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 2터브(410)의 중심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 2터브(41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는 보조세제 급수관(478c)은 보조세제 저장부(476c)에서 세제 저장부(472c) 측으로 연장되어 제 2터브(410)의 중심측으로 절곡되어 제 2터브(410)에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세제 급수관(474c) 및 보조세제 급수관(478c)의 설치 방향은 제 2터브(410)의 중심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연장선을 갖도록 제 2터브의 측벽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터브(410)의 중심을 통과하는 방향의 연장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 2터브(410)의 측벽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또는 제 2터브(410)의 측벽에 접선방향으로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르게는, 세제 급수관(474c) 및 보조세제 급수관(478c)은 제 2터브(410)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형태로 제 2터브(410)의 측벽에 연결될 수도 있으며, 서로 인접하거나, 소정 간격 이격되어 연결될 수 도 있다.
한편, 여기서, 세제 급수관(474c) 또는 보조세제 급수관(478c)의 제 2터브(410)의 측벽 설치 위치는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터브(410)의 높이 기준으로 제 2터브(410)의 측벽 높이 중심을 기준으로 상단부, 상부, 중앙부, 하부, 하단부 등에 위치할수 있으며, 세제 급수관(474c) 및 보조세제 급수관(478c)은 각기 다른 위치로 측벽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세제 급수관 및 보조세제 급수관의 설치 높이는 세제 급수관과 보조세제 급수관 중 어느 하나는 상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는 하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세제 급수관(474c)과, 보조세제 급수관(478c)의 연장방향 및 설치 위치는 제 2터브(410)와 터브 케이스(250) 사이의 공간 확보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세제 급수관(474c)과 보조세제 급수관(478c)의 제 2터브(410) 측벽 연결에 있어서 세제 급수관(474c)과, 보조세제 급수관(478c)의 설치 자유도를 증가 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제 2세제 공급부에 있어서 세제의 공급 및 보조세제의 공급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의류 처리장치(10)의 작동에 따라 제 2세제 공급부(470c)의 세제 투입구(471c)를 통하여 액상세제 또는 분발세제 등의 세제를 투입하거나, 보조세제 투입구(475c)를 통하여 섬유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보조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제 투입구(471c)로 투입된 세제의 경우 세제 저장부(472c)에 저장되며 세제 저장부(472c)에 저장된 세제는 세제 급수관(474c)에 구비되는 세제수 공급밸브(473c)가 폐쇄 상태를 유지함으로 제 2터브(410)로 바로 투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보조세제 투입구(475c)로 투입된 보조세제의 경우 보조세제 저장부(476c)에 저장되며 보조세제 저장부(476c)에 저장된 세제는 보조세제 급수관(478c)에 구비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c)가 폐쇄 상태를 유지함으로 제 2터브(410)로 바로 투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류 처리장치(10)의 세탁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가 공급되고, 공급되는 세탁수는 제 2급수부(450c)의 제 2밸브어셈블리(452c)의 작동에 따라 제 2메인 급수관(455c)으로 공급되고, 제 2메인 급수관(455c)으로 공급된 세탁수는 제 2메인 급수관(455c)에서 분기되는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c),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c) 및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c)으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c),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c)으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경우 세제 급수밸브(451c') 및 보조세제 급수밸브(453c')에 의해 제어되어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c),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c) 및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c)이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세제 저장부(472c), 보조세제 저장부(476c) 및 제 2터브(410)로의 급수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c)을 통하여 세제 저장부(472c)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제 저장부(472c)로 투입되면서 세제 저장부(472c)에 저장된 세제와 혼합된다. 이후 세제 저장부(472c)에서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는 세제 급수관(474c)에 구비되는 세제수 공급밸브(473c)가 개방됨에 따라 제 2터브(41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보조세제 급수관(478c)을 통하여 보조세제 저장부(476c)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보조세제 저장부(476c)로 투입되면서 보조세제 저장부(476c)에 저장된 보조세제와 혼합된다. 이후 보조세제 저장부(476c)에서 보조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는 보조세제 급수관(478c)에 구비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c)가 개방됨에 따라 제 2터브(4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서 제 2세탁부의 제 5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는 제 1세탁부(30)로 세제 및 보조세제를 공급하는 제 1세제공급부(370)와, 제 2세탁부(40)로 세제 및 보조세제를 공급하는 제 2세제 공급부(470d)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세제 공급부(470d)는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 1세제 공급부(370)도 제 2세제 공급부(470d)와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단지 제 1세제 공급부(370) 및 제 2세제 공급부(470d)의 경우 제 1세탁부(30) 및 제 2세탁부(40)로 세제 및 보조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의류 처리장치(1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2세제 공급부(470d)의 경우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2터브(410)의 전방 양측에 제 2터브(410) 전방 일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의 세탁을 위한 액상세제 또는 분말세제가 투입되는 세제 투입구(471d) 및 제 2터브(410) 전방 타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의 세탁시 보조적 역할을 수행하는 섬유유연제, 표백제 등의 보조세제가 투입되는 보조세제 투입구(475d)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세제 공급부(370)의 경우 제 2세제 공급부(470d)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 2세제 공급부(470d)와 동일하게 세제 및 보조세제를 별도 공급하기 위하여 세제 투입구조와 보조세제 투입구조가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세제 공급부 및/또는 제 2세제공급부의 경우 터브 케이스(250)에 노출되도록 형성되거나, 터브 케이스(250)에 구비되는 터브 커버(252) 또는/및 세제투입도어(254)에 의해 차폐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제 2세제 공급부(470d)의 세제 투입구(471d)의 하부에는 투입되는 액상세제 또는 분말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세제 저장부(472d)가 구비되고, 제 2세제 공급부(470d)의 보조세제 투입구(475d)의 하부에는 투입되는 섬유유연제, 표백제 등의 보조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보조세제 저장부(476d)가 구비된다.
여기서, 제 2급수부(450d)에는 제 2밸브어셈블리(452d)에서 제 1세제 공급부(370)로 연장되는 제 1메인 급수관(459d)과, 제 2밸브어셈블리(452d)에서 제 2세제 공급부(470d)로 연장되는 제 2메인 급수관(455d)과, 제 2메인 급수관(455d)에서 분기되어 세제 저장부(472d)에 연결되는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d)과, 제 2메인 급수관(455d)에서 분기되어 보조 세제 저장부(472d)에 연결되는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d) 및 제 2메인 급수관(455d)에서 분기되어 제 2터브(410)로 세탁수를 별도 공급하는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d)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 1메인 급수관(459d)의 경우 제 1세제 공급부(370)로 세탁수를 공급하여 제 1세제 공급부(370)를 통하여 세제 및 보조세제를 제 1세탁부(30)의 제 1터브(310)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d),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d),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d)의 경우 제 2메인 급수관(455d)의 특정 분지부(456d)에서 분기되어 각각 세제 저장부(472d), 보조세제 저장부(476d) 및 제 2터브(410)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메인 급수관(455d)을 통하여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d),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d),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d)에 동시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d) 또는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d)에는 제 2수도수 공급라인과 독립적인 급수제어를 위하여 별도의 세제 급수밸브(451d') 및 보조세제 급수밸브(453d')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d)은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d) 및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d)과 독립적으로 제 2터브(410)에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d)의 경우 제 2터브(410)에 지접 연결되어 제 2터브(410)에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상술한 제 2터브(410)에 구비되는 터브 도어(413)에 연결되어 제 2터브(410)의 상부에서 제 2터브(410)의 내부로 세탁수를 확산 공급할 수도 있다.
한편, 세제 투입구(471d)의 하부에는 투입되는 액상세제 또는 분말세제가 일시 저장되는 세제 저장부(472d)가 구비된다. 세제 저장부(472d)에는 제 2밸브어셈블리(452d)에서 연장되는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d)이 연결된다. 세제 저장부(472d)에 투입된 액상제세 또는 분말세제는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d)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와 혼합되어 제 2터브(410)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세제 저장부(472d)의 하부에는 세제 저장부(472d)에서 혼합된 세제와 세탁수를 제 2터브(410)로 공급하는 세제 급수관(474d)이 구비된다. 세제 급수관(474d)은 제 2드럼(430)의 회전시 제 2터브(410)로 전달되는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밸로우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제 급수관(474d)에는 세제 저장부(472d)에서 혼합된 세제와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세제수 공급밸브(473d)가 구비된다. 세제수 공급밸브(473d)는 세제 급수관(474d)과 세제 저장부(472d) 사이에 구비되어 세제 저장부(472d)의 세제 및 세탁수의 공급 제어와 더불어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세제 저장부(472d)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2터브(410)의 경우 제 2터브(410)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제 2드럼(430)의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가 제 2터브(410)에 연결되는 세제 급수관(474d)를 통하여 세제 저장부(472d)로 세탁수가 역류하는 형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수 공급밸브(473d)는 제 2드럼(430)의 회전시 세제 급수관(474d)을 폐쇄하여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세제 급수관(474d)을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세제 저장부(472d)의 하부에는 보조 세제 저장부(472d)에서 혼합된 섬유유연제 또는 보조세제와 세탁수를 제 2터브(410)로 공급하는 보조세제 급수관(474d)이 구비된다. 한편, 보조세제 급수관(474d)은 제 2드럼(430)의 회전시 제 2터브(410)로 전달되는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밸로우즈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보조세제 급수관(474d)에는 보조세제 저장부(476d)에서 혼합된 섬유유연제 또는 보조세제와 세탁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d)가 구비된다.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d)는 보조세제 급수관(474d)과 보조세제 저장부(476d) 사이에 구비되어 보조세제 저장부(476d)의 보조 세제의 공급 제어와 더불어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보조세제 저장부(476d)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 2터브(410)의 경우 제 2터브(410)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제 2드럼(430)의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가 제 2터브(410)에 연결되는 보조세제 급수관(474d)을 통하여 보조세제 저장부(476d)로 세탁수가 역류하는 형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d)는 제 2드럼(430)의 회전시 보조세제 급수관(474d)을 폐쇄하여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원심력에 의해 보조세제 급수관(474d)을 통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d)는 보조세제 저장부(476d)의 세제 및 세탁수의 공급 제어와 더불어 제 2터브(410)의 세탁수가 세제 저장부(472d)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제 2세제 공급부에 있어서 세제의 공급 및 보조세제의 공급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의류 처리장치(10)의 작동에 따라 제 1세제 공급부(370) 또는 제 2세제 공급부(470d)의 세제 투입구(471d)를 통하여 액상세제 또는 분발세제 등의 세제를 투입하거나, 보조세제 투입구(475d)를 통하여 섬유유연제 또는 표백제 등의 보조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세제 공급부(370)에 투입된 세제 및 보조세제의 경우 제 2급수부(450d)의 제 1메인 급수관(459d)에서 공급되는 세탁수에 의해 제 1세탁부(30)의 제 1터브(31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제 2세제 공급부(470d)의 세제 투입구(471d)로 투입된 세제의 경우 세제 저장부(472d)에 저장되며 세제 저장부(472d)에 저장된 세제는 세제 급수관(474d)에 구비되는 세제수 공급밸브(473d)가 폐쇄 상태를 유지함으로 제 2터브(410)로 바로 투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 2세제 공급부(470d)의 보조세제 투입구(475d)로 투입된 보조세제의 경우 보조세제 저장부(476d)에 저장되며 보조세제 저장부(476d)에 저장된 세제는 보조세제 급수관(474d)에 구비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d)가 폐쇄 상태를 유지함으로 제 2터브(410)로 바로 투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류 처리장치(10)의 세탁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세탁수가 공급되고, 공급되는 세탁수는 제 2급수부(450d)의 제 2밸브어셈블리(452d)의 작동에 따라 제 2메인 급수관(455d)으로 공급되고, 제 2메인 급수관(455d)으로 공급된 세탁수는 제 2메인 급수관(455d)에서 분기되는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d),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d) 및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d)으로 세탁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d),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d)으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경우 세제 급수밸브(451d') 및 보조세제 급수밸브(453d')에 의해 제어되어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d),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d) 및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d)이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세제 저장부(472d), 보조세제 저장부(476d) 및 제 2터브(410)로의 급수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한편,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d)을 통하여 세제 저장부(472d)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세제 저장부(472d)로 투입되면서 세제 저장부(472d)에 저장된 세제와 혼합된다. 이후 세제 저장부(472d)에서 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는 세제 급수관(474d)에 구비되는 세제수 공급밸브(473d)가 개방됨에 따라 제 2터브(41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보조세제 급수관(474d)을 통하여 보조세제 저장부(476d)로 공급되는 세탁수는 보조세제 저장부(476d)로 투입되면서 보조세제 저장부(476d)에 저장된 보조세제와 혼합된다. 이후 보조세제 저장부(476d)에서 보조세제와 혼합된 세탁수는 보조세제 급수관(474d)에 구비되는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77d)가 개방됨에 따라 제 2터브(41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에 있어 제 2급수부(450d)와 제 2세제 공급부(470d)에 구비되는 각 밸브의 작동상태를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밸브의 작동 상태를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예 중 도 11을 통하여 설명되는 제 5실시예를 기초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상술한 도 11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에서 제 2세탁부의 작동에 따른 각 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표이다.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2급수부(450a) 및 제 2세제 공급부(470a)는 제 2세탁부(40)의 세탁과정 중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에 있어 세제와 보조세제를 선택적으로 투입하도록 구성된다.
즉, 세제의 경우 주로 세탁행정시 세탁물의 세탁효과를 높이기 위해 투입되며, 보조세제(예를 들어 섬유유연제, 표백제 등)의 경우 주로 헹굼행정시 세탁물에 부가적 효과 및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투입되고, 탈수시에는 세탁수, 세제, 보조세제의 공급이 중단된다. 따라서, 제 2세탁부(40)의 세탁행정시의 세제투입과정과, 헹굼행정시의 보조세제 투입과정 및 탈수행정시의 작동을 일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 2세탁부(40)의 세탁행정시에는 세탁물의 세탁을 위하여 세제가 공급되어야 하며, 보조세제의 공급은 중단되어야 한다. 따라서 세탁행정시에는 제 2밸브어셈블리(452d)의 제 2세제 급수관(474d)이 온(ON 또는 OPEN)되어 세제 저장부(472d)로 세탁수가 공급되고, 동시에 세제 급수관(474d)이 세제수 공급밸브(473d)에 의해 온되어 세제 저장부(472d)의 세제가 세탁수와 같이 제 2터브(41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세탁행정시 수도수의 고급 또는 세탁수의 공급에 따른 제 2밸브어셈블리(452d)에 의한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d)과 세제수 공급밸브(451d')에 의한 세제 급수관(474d)은 항상 제 2밸브어셈블리(452d)와 세제수 공급밸브(451d')가 온된 상태로 유지되며,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d)과 세제 급수관(474d)를 통하여 수도수 및 세탁수가 제 2터브(410)로 공급된다.
한편, 세탁행정시에는 보조세제의 공급이 불필요함으로 제 2밸브어셈블리(452d)에 의한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d)과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53d')에 의한 보조세제 급수관(478d)은 세탁행정시 항상 오프(OFF 또는 CLOSE)되어 보조세제가 보조세제 급수관(478d)으로 보조세제가 공급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제 2세탁부(40)의 헹굼행정시에는 세탁물의 헹굼을 위하여 수도수 및 보조세제가 공급되어야 하며, 따라서 헹굼행정시에는 제 2밸브어셈블리(452d)의 제 2세제급수관(474d) 또는/및 제 2수도수 공급라인(454d)이 온(ON 또는 OPEN)되어 세제 저장부(472d) 및 제 2터브(410)로 수도수를 공급한다. 동시에 보조세제 급수관(478d)이 보조세제수 공급밸브(453d')에 의해 온되어 보조세제 저장부(476d)의 보조세제가 세탁수와 같이 제 2터브(41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헹굼시에는 제 2세제수 공급라인(451d) 및 세제 급수관(474d)은 수도수의 공급을 위하여 온 상태를 유지하고, 제 2보조세제수 공급라인(453d) 및 보조세제 급수관(478d)은 보조세제의 공급을 위하여 온 상태를 유지한다.
추가적으로 탈수행정 및 세탁행정과 헹굼행정시 제 2드럼(430)이 회전될 경우에는 세제 급수관(474d)에 구비되는 세제수 공급밸브(473d) 및 보조세제 급수관(478d)에 구비되는 보조세제 공급밸브(477d)는 항상 오프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 2드럼(430)이 회전될 경우 원심력에 의해 제 2터브(410)에 공급된 세탁수가 같이 회전되면서 세제 급수관(474d) 및 보조세제 급수관(478d)을 통하여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제수 공급밸브(473d) 및 보조세제 공급밸브(477d)는 제 2드럼(430)의 회전시에는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술한 제 2급수부(450, 450a, 450b, 450c, 450d), 제 2세제 공급부(470, 470a, 470b, 470c, 470d), 제어부(50)의 경우 제 2터브(410)와 터브 케이스(250)의 모서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제 2터브(410)의 외주면과 사각 형태로 형성되는 터브 케이스(250)의 내주면 모서리의 경우 제 2터브(410)와 터브 케이스(250) 내측에서 가장 넓은 공간을 형성하며 제 2급수부(450, 450a, 450b, 450c, 450d), 제 1세제 공급부(470, 470a, 470b, 470c, 470d), 제어부(50)의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2세제 공급부(470, 470a, 470b, 470c, 470d)의 경우 터브 케이스(250)에 구비되는 세제투입 도어(254)의 개폐에 따라 노출 또는 차폐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별도의 세제투입 도어(254) 구조 없이 상시 노출된 상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르게는 제 2세제 공급부(470, 470a, 470b, 470c, 470d)가 터브 케이스(250)에 형성되는 터브 커버(252)의 하부에 위치하여 터브 커버(252)의 개폐에 따라 세탁물이 투입되는 제 2투입구(253)와 같이 노출 또는 차폐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 의류 처리장치 20: 하우징
30: 제 1세탁부 40: 제 2세탁부
210: 베이스 220: 프레임
230: 외측 패널 240: 프론트 패널
250: 터브 케이스 310: 제 1터브
320: 제 1터브 지지부 330: 제 1드럼
340: 제 1구동유닛 350: 제 1급수부
360: 제 1배수부 410: 제 2터브
420: 제 2터브 지지부 430: 제 2드럼
440: 제 2구동유닛 450: 제 2급수부
460: 제 2배수부
470, 470a, 470b, 470c, 470d: 제 2세제 공급부

Claims (29)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 1터브, 제 1드럼, 그리고 제 1구동유닛를 갖는 제 1세탁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제 2터브, 제 2드럼, 그리고 제 2구동유닛을 갖는 제 2세탁부와;
    상기 하우징과 외부에서 연결되어 수도수를 공급하는 외부공급라인과;
    상기 외부공급라인을 상기 하우징내 제 1, 2세탁부로의 수도수 공급을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와;
    상기 밸브어셈블리에서 상기 제 2세탁부로 수도수를 공급하는 제 2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상기 제 2터브의 적어도 2지점 이상으로 세탁수를 분산 공급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급라인을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세제를 포함하는 세제수를 상기 제 2터브 측으로 공급하는 세제수 공급라인과, 세제를 포함하지 않은 수도수를 상기 제 2터브 측으로 공급하는 수도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세탁부는 탑 로딩 방식으로 상기 제 2터브는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방향으로 오픈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상부와, 상기 제 2구동유닛을 고정하고, 상기 제 2드럼과 상기 제 2구동유닛을 연결하도록 관통공을 구비하는 바닥부와, 상기 상부와 바닥부를 원통형으로 연결하는 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제 2터브의 바닥부 직경은 상기 측벽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을 통해 세제수를 공급하고, 상기 수도수 공급라인은 상기 제 2터브의 상부 개구부를 통해 공급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세탁부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제 2공급라인은 세제수 공급라인과 수도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복수의 분기된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세제수 공급라인과 수도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상기 세제가 저장되는 세제 저장부를 경유하는 세제수 공급라인 및 보조세제 저장부를 경유하는 보조세제수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터브 사이에 형성된 세제 저장부를 경유하고, 상기 세제 저장부와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을 연결하는 세제 급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급라인은 복수의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세제수 공급라인 중 하나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터브 사이에 형성된 세제 저장부를 경유하고, 또 다른 세제수 공급라인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터브 사이에 형성된 보조세제 저장부를 경유하여 상기 제 2터브로 세제수를 각각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급라인은 복수의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세제수 공급라인 중 하나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터브 사이에 형성된 세제 저장부를 경유하고, 또 다른 세제수 공급라인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2터브 사이에 형성된 보조세제 저장부를 경유하고, 상기 세제 저장부와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을 연결하는 세제 급수관과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와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을 연결하는 보조세제 급수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의류 처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급라인은 복수의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세제수 공급라인은 상기 제 2터브의 적어도 2지점이상으로 분산되어 연결되되,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 상에는 각각 세제 저장부를 형성하고, 상기 세제 저장부는 제 2터브 외측에서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세제 저장부와 상기 제 2터브 사이에는 세제 급수관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저장부와 상기 제 2터브 사이의 세제 급수관에는 세제수 공급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수 공급밸브는 상기 세제수가 상기 제 2터브측 방향만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크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수 공급밸브는 전자밸브로 구비되되, 제어부로부터 상기 밸브어셈블리와 함께 연동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의류 처리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수 공급밸브는 수도수가 공급되는 동안에는 온되어 상기 세제 급수관을 통해 세제수가 제 2터브로 공급되며, 상기 수도수의 공급이 중단 된 상태에서 세탁, 헹굼 또는 탈수행정이 진행될 경우 오프되어 상기 세제급수관을 통해 상기 제 2터브 내의 세탁수가 상기 세탁, 헹굼 또는 탈수행정의 진행 중 상기 세제 급수관을 통해 세제 저장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의류 처리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급수관은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제 2터브 내부와 연통되도록 구비하되, 상기 각 세제 급수관이 상기 제 2터브 측벽에 서로 다른 위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의류 처리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제수 공급라인은 상기 제 2터브와 연결되는 지점이 여러 지점으로 분산되어 구성하되, 상기 제 2터브와 연결되는 각 세제수 공급라인의 위치는 고도차이가 있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 급수관은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에 연통되도록 구비하되, 어느 하나의 위치는 다른 하나의 위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의 측벽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수도수 공급라인과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세제와 섬유유연제를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상기 세제 및 섬유유연제 이외에 표백제와 같이 세제와 섬유유연제와는 다른 기능을 하는 물질을 공급하는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 저장부 및 섬유유연제를 공급하기 위한 보조세제 저장부를 경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는 표백제와 같이 섬유유연제와는 다른 기능을 하는 물질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의 보조세제 저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수도수 공급라인과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세제와 섬유유연제를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공급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섬유유연제를 저장하는 보조세제 저장부를 구비하되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 중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로 분기되는 라인 상에서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 앞단에는 공급되는 수도수를 차단하는 전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로의 수도수 공급을 차단하는 전자밸브는 상기 밸브어셈블리를 온 제어하는 시간의 일부 동안에만 온제어 하여 수도수가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를 통해 섬유유연제를 상기 제 2터브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 앞단의 전자밸브를 온 제어 하는 동안에는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와 제 2터브의 보조세제 급수관로 상의 급수밸브도 온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제 급수관로 상의 급수밸브는 체크밸브로 구비되며, 상기 보조세제 저장부 앞단의 전자밸브가 온 제어되면, 유로 압력에 의해 오픈되어 섬유유연제가 상기 제 2터브 내측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2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수도수 공급라인과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수도수 공급라인은 상기 제 2터브의 상부 개구부를 통해 수도수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상기 밸브어셈블리의 제어에 의하여 유로가 차단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밸브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제 2터브 상부 개구측으로 수도수를 공급하는 수도수 공급라인과, 상기 밸브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을 연결하되 세제 저장부를 경유하여 세제수를 공급하는 세제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공급라인은 상기 밸브어셈블리의 제어에 의하여 유로가 차단되도록 제어되며, 상기 밸브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제 2터브 상부 개구측으로 수도수를 공급하는 수도수 공급라인과, 상기 밸브 어셈블리와 상기 수도수 공급라인 사이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을 연결하되 세제 저장부를 경유하여 세제수를 공급하는 세제수 공급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29.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수 공급라인은 상기 밸브어셈블리와 상기 수도수 공급라인 사이에서 복수개로 분기되어 상기 제 2터브의 측벽의 복수개의 지점에 각각 연결하여, 세제와 섬유유연제를 분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KR1020170000943A 2016-12-28 2017-01-03 의류 처리장치 KR20180076982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534970A JP2020503123A (ja) 2017-01-03 2017-07-19 衣類処理装置
RU2019122171A RU2751686C2 (ru) 2016-12-28 2017-07-19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белья
AU2017391737A AU2017391737A1 (en) 2016-12-28 2017-07-19 Laundry treating apparatus
PCT/KR2017/007747 WO2018128234A1 (en) 2017-01-03 2017-07-19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201710665307.7A CN108265460B (zh) 2017-01-03 2017-08-07 衣物处理装置
US15/695,908 US10954623B2 (en) 2017-01-03 2017-09-05 Apparatus for treating laundry
EP19209209.6A EP3628770B1 (en) 2017-01-03 2017-09-07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17189893.5A EP3342921B1 (en) 2017-01-03 2017-09-07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81562 2016-12-28
KR1020160181562 2016-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982A true KR20180076982A (ko) 2018-07-06

Family

ID=62921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943A KR20180076982A (ko) 2016-12-28 2017-01-03 의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80076982A (ko)
AU (1) AU2017391737A1 (ko)
RU (1) RU2751686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8580B2 (en) * 2017-03-27 2023-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272651A (en) * 1995-07-26 1998-04-27 Fisher & Paykel Automatic laundry machine; method of washing and rinsing involving control of the various steps of the washing cycle; washing/rinsing apparatus
KR101435813B1 (ko) * 2007-11-27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61455Y1 (ko) * 2009-11-06 2012-07-2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모차 겸용 카트
WO2013032263A2 (en) * 2011-08-31 2013-03-0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50072169A (ko) * 2013-12-19 201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08580B2 (en) * 2017-03-27 2023-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US11608581B2 (en) 2017-03-27 2023-03-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7391737A1 (en) 2019-06-27
RU2751686C2 (ru) 2021-07-15
RU2019122171A (ru) 2021-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0546B2 (en) Washing machine having a plurality of tubs
CA2674266C (en) Laundry device
US20110056250A1 (en)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feeding device thereof
JP2023099193A (ja) 衣類処理装置
CN101578409B (zh) 衣物处理装置
EP3628770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30016932A (ko) 세탁기
US20090139276A1 (en) Washing machine
US11001953B2 (en) Washing machine
KR20180053189A (ko) 의류처리장치
WO2008084933A2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20150072169A (ko) 세탁기
CN101377046B (zh) 衣物处理装置
KR20080065754A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KR20180076982A (ko) 의류 처리장치
KR20080065753A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US11913161B2 (en) Washing machine
KR20090079708A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 장치
KR20100095936A (ko) 세탁물 처리기기
US20170211220A1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tub and structural support
KR20030061184A (ko) 세탁기의 세제통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