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6488A -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6488A
KR20180076488A KR1020160180700A KR20160180700A KR20180076488A KR 20180076488 A KR20180076488 A KR 20180076488A KR 1020160180700 A KR1020160180700 A KR 1020160180700A KR 20160180700 A KR20160180700 A KR 20160180700A KR 20180076488 A KR20180076488 A KR 20180076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line
floating
mooring lin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0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260B1 (ko
Inventor
이기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0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2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76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63B2021/203Mooring cables or ropes, hawsers, or the like; Adap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는, 하우징;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해저 바닥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제1계류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반대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2계류선; 및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제1계류선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되, 상기 제1계류선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마련되는 일방향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MOORING APPARATUS FOR MARINE STRUCTUR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류장치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계류장치의 유지를 위한 별도의 선박을 요구하지 않아 해상의 선단을 단순화할 수 있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해상에서 LNG FPSO(Liquefied Natural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나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등과 같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수송선이 접안하여 오프로딩(offloading)하고자 할 때에, 부유식 해상 구조물이 해상에 안정적으로 계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종래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대한 위치 제어기술은 크게 수동형 제어와 능동형 제어로 구분될 수 있고, 수동형 제어에는 일점 계류 시스템(turret mooring system), 다점 계류 시스템(spread mooring system), 및 인장 계류 시스템(tension leg system) 등이 있으며, 능동형 제어에는 자동위치유지 시스템 등이 있다. 일례로, 종래 다점 계류 시스템은 해저로 내려진 계류체인(mooring chain)을 본선의 계류 플랫폼(mooring platform)으로 끌어 올려 적정의 장력을 확보한 다음 잉여의 계류체인을 체인로커의 내부에 집어넣는 일련의 작업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서 다점 계류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해저에 있는 계류체인을 본선의 계류 플랫폼으로 끌어 올린 상태에서 임시로 계류체인을 고박하여 고정해야 하는 데, 이를 위해서는 계류체인의 임시 고박을 위한 별도의 설비를 반드시 갖추어야만 했다.
즉, 종래 FPSO류의 부유식 해양 구조물에 있어, 다점 계류 작업(spread mooring hook up operation)은 해저 바닥에 미리 설치된 여러 가닥의 계류 체인을 본선 측면 하부의 페어리드 휠(fairlead wheel)을 통과시킨 후 본선 측면을 통해 본선 측면 상부에 위치한 체인 스톱퍼(chain stopper)를 지나서 체인 로커의 내부로 체인을 집어넣게 된다. 여기서 페어리드 휠은 해저로부터 본선으로 향하는 체인의 방향을 본선 상부 수직방향으로 전환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체인 스토퍼는 해저로부터 올라오는 체인의 막대한 중량을 받아주며 체인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시스템을 적용할 경우 본선 하부의 페어리드 휠로부터 본선 측면부분과 본선 상부의 체인스토퍼에 이르는 모든 구역이 계류 체인의 중량을 견딜 수 있게 강력하게 구조 보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의 하나로서, 한국등록특허 제10-1356617호에는 해양 구조물의 다점 계류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위 한국등록특허는 선체의 갑판에 설치되고 윈치와이어를 인양 가능하게 하는 계류윈치, 갑판에 설치되고 윈치와이어에 대한 해저로의 하강을 안내하는 턴다운쉬브, 선체의 사이드 쉘에 설치되어 계류체인을 1차 고정하는 체인스토퍼 및 사이드 쉘의 하부 플랫폼에 설치되어 계류체인을 2차 고정하는 수동조작식 고정기구를 포함하여 개시하고 있다.
위 한국등록특허에 개시된 해양 구조물의 다점 계류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는 계류윈치, 턴다운쉬브, 체인스토퍼 및 수동조작식 고정기구가 선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구비한 선박이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계류를 위해 해상에 사방으로 퍼져있게 된다.
따라서, 위 한국등록특허에 의하면 해상의 선단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발생하며, 복잡화된 선단을 유지하기 위한 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특허등록번호 제10-1356617호(발명의 명칭: "해양 구조물의 다점 계류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계류장치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계류장치의 유지를 위한 별도의 선박을 요구하지 않아 해상의 선단을 단순화할 수 있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는, 하우징;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해저 바닥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된 제1계류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반대측면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마련된 제2계류선; 및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제1계류선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되, 상기 제1계류선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마련된 일방향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계류선은 복수의 고리가 연결된 체인으로 마련되되, 상기 일방향 고정부는 상기 제1계류선의 일단이 관통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계류선의 고리에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된 걸림부; 및 상기 몸체의 회전시 상기 몸체를 원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계류선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1계류선은 상기 걸림부를 눌러 상기 몸체가 회전하도록 하되, 상기 제1계류선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1계류선은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탄성부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 지지체는 중공을 갖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 측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케이싱의 중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이동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는 일단이 상기 케이싱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판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에 마련된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판과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 사이 공간에는 충진재가 충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이동판의 하면과 상기 마개의 상면은 서로 연결되어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개가 개방 및 인출될 경우 상기 이동판은 상기 케이싱의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마개가 폐쇄 및 인입될 경우 상기 이동판은 상기 케이싱의 상부로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은,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설치하는 단계는, 예인선 위에서 상기 제1계류선의 일단을 내려 해저 바닥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제2계류선의 타단을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하우징을 물 속으로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예인선을 이용해 상기 제1계류선의 타단을 당겨 상기 제1계류선 및 상기 제2계류선의 장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일방향 고정부를 이용해 상기 제1계류선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제1계류선의 타단을 상기 예인선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마개를 개방하여 상기 이동판을 하강시켜 상기 일방향 고정부가 상기 제1계류선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예인선을 움직여 상기 제1계류선 및 상기 제2계류선의 장력을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제2계류선의 타단을 부유식 해상 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계류선의 일단을 해저 바닥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에 의하면, 부유식 해상 구조물을 계류시키기 위한 계류장치에 있어서 계류장치를 위한 별도의 선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해상의 선단이 단순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에 의하면, 탄성부 지지체의 조작에 따라 제1계류선에 걸리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류장치에 의하면, 탄성부 지지체의 조작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에서 일방향 고정부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에서 장력이 증가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에서 탄성부 지지체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에서 탄성부 지지체의 마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의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과 제1계류선(120)과 제2계류선(130)과 일방향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계류선(120)은 일단이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해저 바닥(1, 도 4 참조)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2계류선(130)은 상기 하우징(110)의 반대측면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2, 도 4 참조)에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일방향 고정부는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제1계류선(120)이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되, 상기 제1계류선(120)이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계류선(120)은 복수의 고리가 연결된 체인으로 마련되되, 상기 일방향 고정부는 상기 제1계류선(120)의 일단이 관통하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몸체(140)와 상기 몸체(140)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계류선(120)의 고리에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된 걸림부(141) 및 상기 몸체(140)의 회전시 상기 몸체(140)를 원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부(142)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계류선(120)이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1계류선(120)은 상기 걸림부(141)를 눌러 상기 몸체(140)가 회전하도록 하되, 상기 제1계류선(120)이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1계류선(120)은 상기 걸림부(141)에 걸리도록 마련된다.
다시 말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41)의 일면이 경사 또는 곡면을 갖도록 마련되면 상기 제1계류선(120)은 상기 걸림부(141)의 경사 또는 곡면을 누르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계류선(120)이 상기 걸림부(141)를 누르면서 이동한 후에는 상기 탄성부(142)가 상기 몸체(140)를 원위치로 회전시키게 된다.
반대로, 상기 걸림부(141)의 반대면이 수직한 평면을 갖도록 마련되면, 상기 제1계류선(120)은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걸림부(141)의 반대면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계류선(120)은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나, 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한편, 부유식 해상 구조물(2)의 계류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계류선(120)과 상기 제2계류선(130)에 걸리는 장력을 감소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100)는 상기 탄성부(142)가 상기 몸체(140)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탄성부(142)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 지지체(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 지지체(150)는 중공을 갖는 케이싱(151)과 이동판(152)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판(152)은 상기 케이싱(151)의 내부 측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케이싱(151)의 중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142)는 일단이 상기 케이싱(151)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판(152)에 결합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판(152)이 상기 케이싱(151)의 하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몸체(140)가 상기 하우징(110)의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판(152)이 상기 케이싱(151)의 상부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몸체(140)가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이동판(152)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100)에서 상기 케이싱(151)은 토출구와 마개(153)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는 상기 케이싱(151)의 바닥면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마개(153)는 상기 토출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이동판(152)과 상기 케이싱(151)의 바닥면 사이 공간에 모래 등과 같은 충진재(10)를 투입함으로써 상기 이동판(152)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판(152)과 상기 케이싱(151)의 바닥면 사이 공간에 충진재(10)를 투입하게 되면, 상기 이동판(152)은 상기 케이싱(15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마개(153)를 개방하여 상기 이동판(152)과 상기 케이싱(151)의 바닥면 사이 공간에 투입된 충진재(10)가 상기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되면, 상기 이동판(152)은 중력에 의해 상기 케이싱(151)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부유식 해상 구조물(2)의 임시 계류가 완료되어 계류장치(100)를 해제할 필요가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마개(153)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일방향 고정부의 몸체(140)를 상기 하우징(110)의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1계류선(120)은 상기 일방향 고정부에 걸림이 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계류선(120)과 상기 제2계류선(130)에 걸린 장력이 감소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판(152)과 상기 케이싱(151)의 바닥면 사이 공간에 충진재(10)가 투입되는 경우와 달리, 상기 이동판(152)의 하면과 상기 마개(153)의 상면은 서로 연결되어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마개(153)가 개방 및 인출될 경우 상기 이동판(152)은 상기 케이싱(151)의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마개(153)가 폐쇄 및 인입될 경우 상기 이동판(152)은 상기 케이싱(151)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충진재(10)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100)의 운용 방법은 계류장치(100)의 설치 단계와 상기 계류장치(100)의 해제 단계를 포함하며, 이러한 일련의 단계들이 도 8에 도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은,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를 설치하는 단계(S810); 및 상기 계류장치를 해제하는 단계(S8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임시 계류장치(100)를 설치하는 단계(S810)를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예인선 위에서 제1계류선(120)의 일단을 해저 바닥(1)에 고정시킨다(S811).
다음으로, 제2계류선(130)의 타단을 부유식 해상 구조물(2)에 고정시키며(S812), 그 이후에 상기 하우징(110)을 해수면 아래로 하강시킨 다음에(S81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인선을 이용해 상기 제1계류선(120)의 타단을 잡아당겨 상기 제1계류선(120)과 상기 제2계류선(130)에 걸리는 장력을 증가시킨다(S814).
마지막으로, 상기 일방향 고정부를 이용해 상기 제1계류선(120)이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S815)하게 되면, 상기 계류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상기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임시 계류장치(100)를 해제하는 단계(S820)를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1계류선의 타단을 상기 예인선에 고정시킨다(S821).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110)의 마개(153)를 개방하여 상기 이동판(152)을 하강시켜 상기 일방향 고정부가 상기 제1계류선(120)이 상기 하우징(110)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다(S822).
이후, 예인선을 움직여 상기 제1계류선(120) 및 상기 제2계류선(130)에 걸려있는 장력을 감소시킨다(S823).
마지막으로, 상기 제2계류선(130)의 타단을 부유식 해상 구조물(2)로부터 분리시키고(S824), 그 다음에 상기 제1계류선(120)의 일단을 해저 바닥(1)으로부터 분리시키면(S825) 계류장치(100)의 해제가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계류장치 110: 하우징
120: 제1계류선 130: 제2계류선
140: 몸체 141: 걸림부
142: 탄성부 150: 탄성부 지지체
151: 케이싱 152: 이동판
153: 마개 10: 충진재
1: 해저 바닥 2: 부유식 해상 구조물

Claims (7)

  1.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로서,
    하우징;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해저 바닥에 고정되도록 마련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제1계류선;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반대측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마련되는 제2계류선; 및
    조작상태에 따라 상기 제1계류선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되, 상기 제1계류선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마련되는 일방향 고정부;
    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계류선은 복수의 고리가 연결된 체인으로 마련되되,
    상기 일방향 고정부는,
    상기 제1계류선의 일단이 관통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일단에 위치하며 상기 제1계류선의 고리에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걸림부; 및
    상기 몸체의 회전시 상기 몸체를 원위치로 회전시키기 위한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계류선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1계류선은 상기 걸림부를 눌러 상기 몸체가 회전하도록 하되, 상기 제1계류선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상기 제1계류선은 상기 걸림부에 걸리도록 마련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몸체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되,
    상기 탄성부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 지지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 지지체는
    중공을 갖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 측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케이싱의 중공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이동판;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일단이 상기 케이싱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판에 결합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에 마련되는 토출구; 및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를 더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과 상기 케이싱의 바닥면 사이 공간에는 충진재가 충진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의 하면과 상기 마개의 상면은 서로 연결되어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마개가 개방 및 인출될 경우 상기 이동판은 상기 케이싱의 하부로 이동하며, 상기 마개가 폐쇄 및 인입될 경우 상기 이동판은 상기 케이싱의 상부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를 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하는 단계는,
    예인선 위에서 상기 제1계류선의 일단을 내려 해저 바닥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제2계류선의 타단을 부유식 해상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하우징을 물 속으로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예인선을 이용해 상기 제1계류선의 타단을 당겨 상기 제1계류선 및 상기 제2계류선의 장력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일방향 고정부를 이용해 상기 제1계류선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제1계류선의 타단을 상기 예인선에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마개를 개방하여 상기 이동판을 하강시켜 상기 일방향 고정부가 상기 제1계류선이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예인선을 움직여 상기 제1계류선 및 상기 제2계류선의 장력을 감소시키는 단계;
    상기 제2계류선의 타단을 부유식 해상 구조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계류선의 일단을 해저 바닥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의 운용 방법.
KR1020160180700A 2016-12-28 2016-12-28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2644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700A KR102644260B1 (ko) 2016-12-28 2016-12-28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0700A KR102644260B1 (ko) 2016-12-28 2016-12-28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488A true KR20180076488A (ko) 2018-07-06
KR102644260B1 KR102644260B1 (ko) 2024-03-05

Family

ID=62921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0700A KR102644260B1 (ko) 2016-12-28 2016-12-28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42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913A1 (en) * 2018-10-24 2020-04-30 Apl Technology As Subsea mooring chain connector and tensioner
CN114148452A (zh) * 2021-11-26 2022-03-08 大连理工大学 一种动力锚的安装装置及其安装方法
CN114194331A (zh) * 2021-12-30 2022-03-18 海南大学 深海蓄冷棒束运送装置
KR20220099052A (ko) 2021-01-05 2022-07-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fsu의 체인 무어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311A (ko) * 1981-11-23 1984-06-25 반 덴 하아크 로브 앵커 시험을 위해 앵커라인을 긴장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880002144A (ko) * 1986-07-09 1988-04-29 도날드 밀러 셀 방사상(像)의 재생과 기록방법 및 방사상 저장 패널, 광자극성 인광물질 및 그것을 얻는 방법
KR100210759B1 (ko) * 1990-04-18 1999-07-15 다 노브레가 알로이시오 펠릭스 정박용 줄 하강기구 및 그 조작방법
JP2000016379A (ja) * 1998-07-06 2000-01-18 Noriyoshi Sugamura 離脱ロック
KR101356617B1 (ko) 2012-06-28 2014-02-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다점 계류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2311A (ko) * 1981-11-23 1984-06-25 반 덴 하아크 로브 앵커 시험을 위해 앵커라인을 긴장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880002144A (ko) * 1986-07-09 1988-04-29 도날드 밀러 셀 방사상(像)의 재생과 기록방법 및 방사상 저장 패널, 광자극성 인광물질 및 그것을 얻는 방법
KR100210759B1 (ko) * 1990-04-18 1999-07-15 다 노브레가 알로이시오 펠릭스 정박용 줄 하강기구 및 그 조작방법
JP2000016379A (ja) * 1998-07-06 2000-01-18 Noriyoshi Sugamura 離脱ロック
KR101356617B1 (ko) 2012-06-28 2014-02-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양 구조물의 다점 계류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85913A1 (en) * 2018-10-24 2020-04-30 Apl Technology As Subsea mooring chain connector and tensioner
GB2592795A (en) * 2018-10-24 2021-09-08 Apl Norway As Subsea mooring chain connector and tensioner
GB2592795B (en) * 2018-10-24 2022-09-21 Apl Norway As Subsea mooring chain connector and tensioner
US11801916B2 (en) 2018-10-24 2023-10-31 Apl Norway As Sub sea mooring chain connector and tensioner
KR20220099052A (ko) 2021-01-05 2022-07-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fsu의 체인 무어링 장치
CN114148452A (zh) * 2021-11-26 2022-03-08 大连理工大学 一种动力锚的安装装置及其安装方法
CN114194331A (zh) * 2021-12-30 2022-03-18 海南大学 深海蓄冷棒束运送装置
CN114194331B (zh) * 2021-12-30 2024-05-28 海南大学 深海蓄冷棒束运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4260B1 (ko) 202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6488A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임시 계류를 위한 계류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348574B1 (ko) 분리 가능한 바닥부/표면 연결 덕트용의 도킹 부표를 갖는 릴을 포함하는 지지물
KR101448104B1 (ko) 바닥-표면 연결 파이프와 앵커 라인을 위한 2개의 부이와 끼워맞춰지는 터릿을 포함하는 부유 지지체
US20160185427A1 (en) Anchor line tensioning method
US200201682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ction anchor and mooring deployment and connection
KR101356617B1 (ko) 해양 구조물의 다점 계류 방법과 이를 위한 장치
US20170349243A1 (en) Mooring pulley tensioning system
US94872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nsioning mooring lines at the seafloor
NO148433B (no) Fremgangsmaate og anordning for aa kople en fleksibel kabel til en undersjoeisk stasjon
EP3251943B1 (en) Mooring pulley tensioning system
NO337738B1 (no) Torpedopæl med forsterket fastklemmingsstyrke for forankring av flytende strukturer og fremgangsmåte for installasjon
US5915326A (en) Subsea mooring
WO2008024527A2 (en) Reverse tensioned mooring system
US66853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ction anchor and mooring deployment and connection
KR20150020179A (ko) 인라인 기계식 분리 장치
CA1104491A (fr) Methode et dispositif pour relier une installation flottante a une installation subaquatique par l'intermediaire d'eau moins une conduite flexible
KR102400054B1 (ko)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US5097788A (en) Method and device for fishing up an immersed body
WO2011099869A2 (en) A method of installing a flexible, elongate element
US3943725A (en) Apparatus for guiding a load between a surface apparatus and a submerged base platform
US20200094923A1 (en) Mooring apparatus
KR101815709B1 (ko) 선박의 앵커 격납 확인장치
CN102427996A (zh) 锚定器定位系统
US3902447A (en) Mooring system for semisubmersible drilling platform
KR101229226B1 (ko) 선박의 앵커 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