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817A - 사출성형기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817A
KR20180075817A KR1020160179648A KR20160179648A KR20180075817A KR 20180075817 A KR20180075817 A KR 20180075817A KR 1020160179648 A KR1020160179648 A KR 1020160179648A KR 20160179648 A KR20160179648 A KR 20160179648A KR 20180075817 A KR20180075817 A KR 20180075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nagement
illumination unit
illumination
st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1984B1 (ko
Inventor
이선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9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19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5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1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1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84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70Mainten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6Exchanging the injection unit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73Moulds with exchangeable mould parts, e.g. cassett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 B29C29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2945/76929Controlling method
    • B29C2945/7699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사출장치; 상기 사출장치로부터 공급된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응고시키는 형체장치; 상기 사출장치의 관리부품과 상기 형체장치의 관리부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부품에 대한 부품상태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획득부가 획득한 부품상태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을 방출하는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명부가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Injection Molding Machine}
본 발명은 사출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출성형을 수행하는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사출성형은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함에 있어 가장 광범위하게 이용되는 제조방법이다. 예컨대, 텔레비전, 휴대폰, PDA 등과 같은 제품에 있어서 커버, 케이스를 비롯한 다양한 부품이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을 통한 제품의 제조는, 다음과 같은 공정들을 거쳐 이루어진다. 우선, 안료, 안정제, 가소제, 충전제 등이 첨가된 성형재료를 호퍼에 투입하여 용융상태로 만든다. 다음,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금형 내에 주입한 후에 냉각을 통해 응고시킨다. 다음, 금형으로부터 응고된 성형재료를 추출한 후에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한다. 이러한 공정들을 거쳐 다양한 종류 및 크기를 갖는 사출제품이 제조된다. 이와 같은 사출성형을 수행하는 설비로, 사출성형기가 이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는 사출장치 및 형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사출장치는 상기 형체장치에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형체장치는 상기 사출장치로부터 공급된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응고시키는 것이다.
상기 사출장치 및 상기 형체장치는 각각 복수개의 관리부품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상기 관리부품은 점검, 교체, 급유 등과 같은 관리작업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관리부품은 타이밍벨트, 엘엠블록, 윤활유 공급장치 등과 같은 소모품 내지 점검품일 수 있다. 상기 관리부품은 수지공급기, 제품취출기 등과 같은 주변기기일 수도 있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는 작업자가 직접 관리부품에 필요한 일정을 확인하여 해당 관리부품에 대한 관리작업을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는 관리부품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를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사출성형기는 작업자가 적시에 관리부품에 필요한 관리작업을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관리부품에 대한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관리부품에 대한 관리의 어려움을 경감시킬 수 있는 사출성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관리부품에 대해 적시에 필요한 관리작업이 수행되지 못함에 따라 관리부품에 대한 수명 단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사출성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는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사출장치; 상기 사출장치로부터 공급된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응고시키는 형체장치; 상기 사출장치의 관리부품과 상기 형체장치의 관리부품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부품에 대한 부품상태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상기 획득부가 획득한 부품상태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을 방출하는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부가 획득한 부품상태정보로부터 상기 조명부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유닛, 및 상기 조명부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조명부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명부가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도록 상기 조명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명부가 방출한 광을 통해 관리작업이 필요한 관리부품이 발생한 것을 작업자에게 알리도록 구현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관리부품에 필요한 일정을 확인할 필요가 없으므로, 관리부품에 대한 관리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관리부품에 대해 필요한 관리작업이 수행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데 기여하도록 구현됨으로써, 관리부품에 대한 관리작업이 지연됨에 따라 수명이 단축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으므로, 관리부품에 대한 교체주기를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부품에 대한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에 대한 일례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1)는 사출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사출성형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1)는 사출장치(2), 형체장치(3), 조명부(4), 획득부(5), 및 제어부(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사출장치(2)는 상기 형체장치(3)에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사출장치(2)는 호퍼로부터 공급된 성형재료를 저장하는 배럴(21), 상기 배럴(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사출스크류(22), 및 상기 사출스크류(22)를 구동시키는 사출구동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출장치(2)는 상기 호퍼를 통해 상기 배럴(21)의 내부로 성형재료가 공급되면, 상기 배럴(21)에서 성형재료를 용융시켜 계량한 후에 상기 형체장치에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사출구동부(23)는 상기 사출스크류(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사출구동부(23)는 상기 사출스크류(22)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형체장치(3)는 상기 사출장치(2)로부터 공급된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응고시켜서 사출제품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형체장치(3) 및 상기 사출장치(2)는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형체장치(3)는 고정형판(31) 및 이동형판(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형판(31)은 상기 이동형판(32)과 상기 사출장치(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고정형판(31)에는 금형이 결합된다. 상기 이동형판(32)은 상기 고정형판(3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이동형판(32)에는 금형이 결합된다. 상기 이동형판(32)이 상기 고정형판(31) 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이동형판(32)에 결합된 금형 및 상기 고정형판(31)에 결합된 금형이 서로 접촉되어서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사출장치(2)는 상기 금형들의 내부에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한다. 사출제품의 제조가 완료되면, 상기 이동형판(32)은 상기 금형들이 개방되도록 이동한다.
상기 형체장치(3) 및 상기 사출장치(2)는 각각 관리부품(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품(10)은 상기 형체장치(3) 및 상기 사출장치(2) 각각이 동작함에 있어서 이용되는 것으로, 점검, 교체, 급유 등과 같은 관리작업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관리부품은 타이밍벨트, 엘엠블록, 윤활유 공급장치 등과 같은 소모품 내지 점검품일 수 있다. 상기 관리부품은 수지공급기, 제품취출기 등과 같은 주변기기일 수도 있다. 상기 형체장치(3) 및 상기 사출장치(2)는 각각 복수개의 관리부품(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조명부(4)는 광을 방출하는 것이다. 상기 조명부(4)는 상기 사출장치(2)의 관리부품(10) 및 상기 형체장치(3)의 관리부품(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해 관리작업이 필요한 경우,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1)는 작업자가 상기 조명부(4)가 방출한 광을 통해 관리작업이 필요한 관리부품(10)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1)는 상기 조명부(4)가 방출한 광을 통해 관리작업이 필요한 관리부품(10)이 발생한 것을 작업자에게 알림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관리부품(10)에 필요한 일정을 확인할 필요가 없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1)는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한 관리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1)는 상기 조명부(4)가 방출한 광을 통해 관리작업이 필요한 관리부품(10)이 발생한 것을 작업자에게 알림으로써, 해당 관리부품(10)에 대해 필요한 관리작업이 수행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1)는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한 관리작업이 지연됨에 따라 수명이 단축되는 정도를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한 교체주기를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한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4)는 상기 사출장치(2)의 관리부품(10)에 대해 관리작업이 필요한 경우,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명부(4)는 상기 사출장치(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4)는 상기 사출장치(2)의 관리부품(1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작업자가 관리작업이 필요한 관리부품(10)의 위치를 상기 조명부(4)가 방출한 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부(4)는 상기 사출장치(2)의 관리부품(10)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작업자가 상기 사출장치(2)로부터 이격된 장소에 위치한 경우에도 관리작업이 필요한 관리부품(10)이 발생한 사출장치(2)의 위치를 상기 조명부(4)가 방출한 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부(4)는 상기 사출장치(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관리부품(10)이 주변기기인 경우, 상기 조명부(4)는 주변기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부(4)는 상기 형체장치(3)의 관리부품(10)에 대해 관리작업이 필요한 경우,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명부(4)는 상기 형체장치(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4)는 상기 형체장치(3)의 관리부품(1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작업자가 관리작업이 필요한 관리부품(10)의 위치를 상기 조명부(4)가 방출한 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부(4)는 상기 형체장치(3)의 관리부품(10)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작업자가 상기 형체장치(3)로부터 이격된 장소에 위치한 경우에도 관리작업이 필요한 관리부품(10)이 발생한 형체장치(3)의 위치를 상기 조명부(4)가 방출한 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부(4)는 상기 형체장치(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관리부품(10)이 주변기기인 경우, 상기 조명부(4)는 주변기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조명부(4)는 관리작업이 필요한 관리부품(10) 쪽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1)는 관리작업이 필요한 관리부품(10)이 발생한 것을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관리부품(10) 및 해당 관리부품(10)의 주변을 포함한 영역의 조도(照度)를 높임으로써 작업자가 원활하게 관리작업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1)는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한 관리작업의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조명부(4)는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조명기구를 이용하여 광을 방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4)는 형광램프 또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조명기구를 이용하여 광을 방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1)는 상기 조명부(4)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출장치(2)의 관리부품(10)들마다 상기 조명부(4)가 배치되도록, 상기 사출장치(2)에는 복수개의 조명부(4)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형체장치(3)의 관리부품(10)들마다 상기 조명부(4)가 배치되도록, 상기 형체장치(3)에는 복수개의 조명부(4)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획득부(5)는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한 부품상태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상기 부품상태정보는 상기 관리부품(10)의 점검에 관련된 점검정보, 상기 관리부품(10)의 교체에 관한 교체정보, 상기 관리부품(10)의 급유에 관한 급유정보 등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부품상태정보는 상기 관리부품(10)에 따라 상기 점검정보, 상기 교체정보, 상기 급유정보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품(10)이 타이밍벨트, 엘엠블록, 수지공급기, 제품취출기 등과 같이 점검 및 교체가 필요한 것인 경우, 상기 부품상태정보는 상기 점검정보 및 상기 교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품(10)이 윤활유 공급장치 등과 같이 급유가 필요한 것인 경우, 상기 부품상태정보는 상기 급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관리부품(10)이 점검이 필요한 것인 경우, 상기 획득부(5)는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해 마지막 점검이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에 관한 점검정보가 포함된 부품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획득부(5)는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해 마지막 점검이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작동한 횟수에 관한 점검정보가 포함된 부품상태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획득부(5)는 타이밍벨트, 엘엠블록 등의 마모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통해 마모량에 관한 점검정보가 포함된 부품상태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관리부품(10)이 교체가 필요한 것인 경우, 상기 획득부(5)는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해 마지막 교체가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에 관한 교체정보가 포함된 부품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획득부(5)는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해 마지막 교체가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작동한 횟수에 관한 교체정보가 포함된 부품상태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획득부(5)는 타이밍벨트, 엘엠블록 등의 마모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통해 마모량에 관한 교체정보가 포함된 부품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 상기 관리부품(10)이 급유가 필요한 것인 경우, 상기 획득부(5)는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해 마지막 급유가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에 관한 급유정보가 포함된 부품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획득부(5)는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해 마지막 급유가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작동한 횟수에 관한 급유정보가 포함된 부품상태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획득부(5)는 윤활유 공급장치에 저장된 윤활유의 양을 측정하는 센서를 통해 윤활유의 잔여량에 관한 급유정보가 포함된 부품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획득부(5)는 상기 사출장치(2)의 관리부품(10)에 대한 부품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획득부(5)는 상기 형체장치(3)의 관리부품(10)에 대한 부품상태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상기 획득부(5)는 상기 사출장치(2)의 관리부품(10) 및 상기 형체장치(3)의 관리부품(10) 모두에 대한 부품상태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획득부(5)는 상기 사출장치(2)의 관리부품(10) 및 상기 형체장치(3)의 관리부품(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부품(10)에 대한 부품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획득부(5)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한 상기 점검정보, 상기 교체정보, 및 상기 급유정보 등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신함으로써,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한 부품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한 상기 점검정보, 상기 교체정보, 및 상기 급유정보 등은 상기 관리부품(10)으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한 상기 점검정보, 상기 교체정보, 및 상기 급유정보 등은 상기 관리부품(10)에 관련된 센서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6)는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6)는 상기 획득부(5)가 획득한 부품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부(4)가 선택적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6)는 상기 부품상태정보로부터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한 점검, 교체, 급유 등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는 상기 획득부(5)가 획득한 부품상태정보로부터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조명부(4)가 점등하도록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는 상기 획득부(5)가 획득한 부품상태정보로부터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조명부(4)가 소등하도록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부(5)로부터 부품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 및 상기 획득부(5)는 일체로 모듈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6)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부(4)에 제어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는 판단유닛(61) 및 제어유닛(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유닛(61)은 상기 획득부(5)가 획득한 부품상태정보로부터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판단유닛(61)은 상기 부품상태정보를 기설정된 기준정보와 대비함으로써,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설정된 기준정보는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한 가용시간, 가용횟수, 가용마모량, 가용잔여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정보는 상기 관리부품(10)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관리부품(10)이 점검이 필요한 것인 경우, 상기 판단유닛(61)은 상기 부품상태정보가 갖는 점검정보 및 기설정된 기준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해 마지막 점검이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가용시간, 가용횟수, 및 가용마모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단유닛(61)은 제1판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판단유닛(61)은 상기 부품상태정보가 갖는 점검정보 및 기설정된 기준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해 마지막 점검이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가용시간, 가용횟수, 및 가용마모량 모두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단유닛(61)은 제2판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관리부품(10)이 교체가 필요한 것인 경우, 상기 판단유닛(61)은 상기 부품상태정보가 갖는 교체정보 및 기설정된 기준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해 마지막 교체가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가용시간, 가용횟수, 및 가용마모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단유닛(61)은 제1판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판단유닛(61)은 상기 부품상태정보가 갖는 교체정보 및 기설정된 기준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해 마지막 교체가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가용시간, 가용횟수, 및 가용마모량 모두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단유닛(61)은 제2판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관리부품(10)이 급유가 필요한 것인 경우, 상기 판단유닛(61)은 상기 부품상태정보가 갖는 급유정보 및 기설정된 기준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해 마지막 급유가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가용시간, 가용횟수, 및 가용잔여량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단유닛(61)은 제1판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판단유닛(61)은 상기 부품상태정보가 갖는 급유정보 및 기설정된 기준정보를 대비하여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해 마지막 급유가 이루어진 시점으로부터 가용시간, 가용횟수, 및 가용잔여량 모두에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면,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단유닛(61)은 제2판단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판단유닛(61)은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한지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를 상기 제어유닛(62)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판단유닛(61)은 무선통신 및 유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유닛(62)에 판단결과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단유닛(61)은 상기 제1판단정보 또는 상기 제2판단정보를 상기 제어유닛(62)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62)은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유닛(62)은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명부(4)가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도록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1)는 단순히 상기 조명부(4)가 광을 방출한 상태로 유지하는 비교예와 대비할 때, 상기 조명부(4)의 반복적인 점등 및 소등을 통해 작업자에게 관리작업이 필요한 관리부품(10)이 발생한 것을 알리는 알림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1)는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한 관리의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한 관리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는데 기여하여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한 교체주기 연장 및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한 관리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62)은 상기 판단유닛(61)으로부터 제공된 판단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부(4)가 선택적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62)은 상기 판단유닛(61)으로부터 상기 제1판단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조명부(4)가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도록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62)은 상기 판단유닛(61)으로부터 상기 제2판단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조명부(4)가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62)은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명부(4)가 기설정된 발광주기에 따라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도록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발광주기는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62)은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명부(4)가 기설정된 발광색채에 따라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도록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발광색채는 작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조명부(4)가 기설정된 발광색채에 따라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는 경우, 상기 조명부(4)는 상기 조명기구를 복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조명기구들은 서로 다른 색채의 광을 방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62)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판단유닛(61)으로부터 판단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62) 및 상기 판단유닛(61)은 일체로 모듈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유닛(62)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조명부(4)에 제어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6)는 설정유닛(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정유닛(63)은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획득부(4)가 획득한 부품상태정보로부터 상기 조명부(4)가 광을 방출하는 방출방식을 설정하는 것이다. 상기 설정유닛(63)은 상기 판단유닛(61)으로부터 제공된 판단결과 및 상기 획득부(5)로부터 제공된 부품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출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판단유닛(61)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유닛(63)으로 판단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획득부(5)는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설정유닛(63)으로 판단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정유닛(63)은 설정된 방출방식을 상기 제어유닛(62)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62)은 상기 설정유닛(63)으로부터 제공된 방출방식에 따라 상기 조명부(4)가 광을 방출하도록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정유닛(63)은 유선통신 및 무선통신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설정된 방출방식을 상기 제어유닛(62)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설정유닛(63), 상기 판단유닛(61), 및 상기 제어유닛(62)은, 일체로 모듈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설정유닛(63)은 상기 획득부(5)가 획득한 부품상태정보로부터 상기 조명부(4)가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는 발광주기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방출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정유닛(63)은 상기 부품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발광주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설정유닛(63)은 관리작업이 필요한 원인이 상기 관리부품(10)의 작동, 파손 등에 미치는 영향력에 따라 상기 발광주기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관리작업이 필요한 원인이 상기 관리부품(10)의 작동, 파손 등에 미치는 영향력이 클수록, 상기 설정유닛(63)은 상기 발광주기를 짧게 설정할 수 있다. 관리작업이 필요한 원인이 상기 관리부품(10)의 작동, 파손 등에 미치는 영향력이 작을수록, 상기 설정유닛(63)은 상기 발광주기를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유닛(63)에는 상기 관리부품(10) 별로 관리작업이 필요한 원인에 대응되는 발광주기에 관한 주기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주기데이터는 작업자에 의해 미리 상기 설정유닛(63)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62)은 상기 설정유닛(63)에 의해 설정된 발광주기에 따라 상기 조명부(4)가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도록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설정유닛(63)은 상기 획득부(5)가 획득한 부품상태정보로부터 상기 조명부(4)가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는 발광색채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방출방식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설정유닛(63)은 상기 부품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발광색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설정유닛(63)은 관리작업이 필요한 원인이 상기 관리부품(10)의 작동, 파손 등에 미치는 영향력에 따라 상기 발광색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관리작업이 필요한 원인이 상기 관리부품(10)의 작동, 파손 등에 미치는 영향력이 클수록, 상기 설정유닛(63)은 상기 발광색채를 적색(赤色) 계통으로 설정할 수 있다. 관리작업이 필요한 원인이 상기 관리부품(10)의 작동, 파손 등에 미치는 영향력이 작을수록, 상기 설정유닛(63)은 상기 발광색채를 청색(靑色) 계통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설정유닛(63)에는 상기 관리부품(10) 별로 관리작업이 필요한 원인에 대응되는 발광색채에 관한 색채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상기 색채데이터는 작업자에 의해 미리 상기 설정유닛(63)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62)은 상기 설정유닛(63)에 의해 설정된 발광색채에 따라 상기 조명부(4)가 방출하는 광의 색채가 변경되도록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설정유닛(63)은 상기 획득부(5)가 획득한 부품상태정보로부터 상기 발광주기 및 상기 발광색채를 설정함으로써, 상기 방출방식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설정유닛(63)은 상기 부품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발광주기 및 상기 발광색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1)는 상기 설정유닛(63)을 이용하여 상기 부품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부(4)의 방출방식을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1)는 상기 조명부(4)가 방출한 광을 통해 관리작업이 필요한 관리부품(10)이 발생한 사실뿐만 아니라 관리작업이 필요한 원인, 긴급성 등도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기(1)는 작업자에 대한 알림성능을 더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리부품(10)에 대한 관리의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사출성형기 2 : 사출장치
3 : 형체장치 4 : 조명부
5 : 획득부 6 : 제어부
21 : 배럴 22 : 사출스크류
23 : 사출구동부 31 : 고정형판
32 : 이동형판 61 : 판단유닛
62 : 제어유닛 63 : 설정유닛

Claims (5)

  1.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사출장치(2);
    상기 사출장치(2)로부터 공급된 용융상태의 성형재료를 냉각을 통해 응고시키는 형체장치(3);
    상기 사출장치(2)의 관리부품(10)과 상기 형체장치(3)의 관리부품(10)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리부품(10)에 대한 부품상태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5);
    상기 획득부(5)가 획득한 부품상태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광을 방출하는 조명부(4); 및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하는 제어부(6)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는 상기 획득부(5)가 획득한 부품상태정보로부터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유닛(61), 및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하는 제어유닛(62)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유닛(62)은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명부(4)가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도록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4)는 상기 판단유닛(61)에 의해 광의 방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관리부품(10) 쪽으로 광을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62)은 상기 조명부(4)에 의한 광의 방출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조명부(4)가 기설정된 발광주기에 따라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도록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62)은 상기 획득부(5)가 획득한 부품상태정보에 따라 상기 조명부(4)가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는 발광주기를 설정하는 설정유닛(6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62)은 상기 설정유닛(63)에 의해 설정된 발광주기에 따라 상기 조명부(4)가 점등과 소등을 반복하도록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62)은 상기 획득부(5)가 획득한 부품상태정보로부터 상기 조명부(4)과 방출하는 광의 발광색채를 설정하는 설정유닛(63)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62)은 상기 설정유닛(63)에 의해 설정된 발광색채에 따라 상기 조명부(4)가 방출하는 광의 색채가 변경되도록 상기 조명부(4)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
KR1020160179648A 2016-12-27 2016-12-27 사출성형기 KR102601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648A KR102601984B1 (ko) 2016-12-27 2016-12-27 사출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648A KR102601984B1 (ko) 2016-12-27 2016-12-27 사출성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817A true KR20180075817A (ko) 2018-07-05
KR102601984B1 KR102601984B1 (ko) 2023-11-15

Family

ID=6292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648A KR102601984B1 (ko) 2016-12-27 2016-12-27 사출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19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41539A (ja) * 1995-11-22 1997-06-03 Fanuc Ltd 産業機械の表示装置
JP2733707B2 (ja) * 1990-08-31 1998-03-3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部品保守警告方法
JP2003094487A (ja) * 2001-09-25 2003-04-03 Sumitomo Heavy Ind Ltd 成形機における金型管理システム
JP2004318262A (ja) * 2003-04-11 2004-11-11 Toshiba Mach Co Ltd 管理支援装置、そのシステム、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280262A (ja) * 2004-03-30 2005-10-13 Nissei Plastics Ind Co 成形機の異常監視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33707B2 (ja) * 1990-08-31 1998-03-3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射出成形機の部品保守警告方法
JPH09141539A (ja) * 1995-11-22 1997-06-03 Fanuc Ltd 産業機械の表示装置
JP2003094487A (ja) * 2001-09-25 2003-04-03 Sumitomo Heavy Ind Ltd 成形機における金型管理システム
JP2004318262A (ja) * 2003-04-11 2004-11-11 Toshiba Mach Co Ltd 管理支援装置、そのシステム、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280262A (ja) * 2004-03-30 2005-10-13 Nissei Plastics Ind Co 成形機の異常監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1984B1 (ko) 202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49938B (zh) 用于采掘环境的受控的区域照明系统及方法
KR20200041833A (ko) 제어장치 및 점등 시스템
CN109926344B (zh) 一种汽车阀体自动检测机
CN105015160A (zh) 一种可自动调节固化功率的光固化设备
KR20180075817A (ko) 사출성형기
EA201990325A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окрашенного и неокрашенного расплава пластика
CN103029940B (zh) 摩擦材料加料防错自动管理系统
EA201990326A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окрашенного и неокрашенного расплава пластика
CN102322593A (zh) 一种自适应光源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663281B1 (ko) 자동차 방향지시장치
KR20090127651A (ko) 발광 다이오드의 특성 측정장치
US847683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light-emitting diode arrangement, and circuit arrangement
CN111142495A (zh) 一种电子产品智能生产系统
KR20180077441A (ko) 사출성형기
JP6658055B2 (ja) ゴム押出機へのゴム材料供給装置および方法
KR20120017180A (ko) 타이어 제조를 위한 압출물 중량 부적합품 표시장치
CN104507606B (zh) 曲轴铣床的卡盘自动供脂装置
JP2019171785A (ja) 射出成形機管理システム
KR20200034599A (ko) 통합된 표시기를 갖는 컨테이너
TW200626701A (en) Plastic molded product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wavelength of the illuminating light
CN104647139A (zh) 监测容纳在机床刀具中机加工刀具破损的监测装置和方法
KR102235778B1 (ko) 보조온도조절부를 갖는 렌즈제조장치의 온도제어시스템
KR20190098511A (ko) 온도 감지를 통한 주조 장치 및 방법
CN219727857U (zh) 悬置衬套和压装装置
US11971288B2 (en) Level meter and method of setting the level m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