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094A - 일시염모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일시염모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094A
KR20180075094A KR1020160179033A KR20160179033A KR20180075094A KR 20180075094 A KR20180075094 A KR 20180075094A KR 1020160179033 A KR1020160179033 A KR 1020160179033A KR 20160179033 A KR20160179033 A KR 20160179033A KR 20180075094 A KR20180075094 A KR 20180075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pigment
composition
weight
d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4635B1 (ko
Inventor
박재정
지제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17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635B1/ko
Publication of KR20180075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A61Q5/065Preparations for temporary colouring the hair, e.g. direct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시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성 염료, 안료, 양이온 폴리머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함으로써, 종래 산성 염료 또는 안료 타입의 일시염모제의 단점을 서로 보완시킬 수 있으면서, 산성 염료와 안료의 분산성을 개선하여 내용물 안정도가 향상되고 모발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염색력이 우수하고, 도포 후, 모발의 감촉이 향상되고 묻어남이 개선될 수 있는, 일시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시염모제 조성물{COMPOSITION FOR TEMPORARY DYEING OF HAIR}
본 발명은 일시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쿼터늄과 마이크로스탈린 셀룰로오스를 함유하여 염료와 안료의 분산성을 높인 일시염모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모제는 일반적으로 모발에 착색된 색의 지속성에 따라 영구적, 반영구적 및 일시적 염모제로 구분된다. 영구적 염모제는 염료의 모발 침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머리카락을 염기성으로 바꿔주는 과정 속에서 모발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반영구적 염모제는 원하는 염착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모발에 장시간 접촉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영구적 염모제 또는 반영구적 염모제는 수일이상 염색 효과가 지속되어 염색 이후 즉각적으로 모발 색상을 변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 모발에 사용하는 일시염모제는 산화형 염모제와는 달리 모발에 손상을 주지 않으며, 반영구 또는 영구 염모제와는 달리 샴푸에 의해 쉽게 씻겨 나가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에 따라 즉각적으로 모발 색상 변화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일시염모제는 크게 직접염료 또는 안료를 사용하는 제품으로 나눌 수 있는데, 먼저, 직접염료 타입의 일시염모제의 경우에는 모발에 도포 시 안료 타입보다 부드러운 사용감을 가질 수 있는 반면, 안료 타입에 비하여 염색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피부에 닿을 시 염착되어 세정에 어려움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안료 타입의 일시염모제의 경우에는 직접염료 타입 대비 염색력이 우수하고 피부염착이 되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 모발 도포 후 감촉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8-0028100호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4963581호
본 발명은 직접 염료와 안료를 모두 사용하여 일시염모제의 염색력을 향상시키면서, 폴리쿼터늄과 마이크로스탈린 셀룰로오스를 포함함으로써, 직접 염료와 안료의 콤플렉스 형성으로 인한 안정도 저해를 방지하여 조성물의 분산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일시염모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시염모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성 염료, 안료, 양이온 폴리머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시염모제 조성물은, 직접 염료와 안료를 함께 사용하면서도, 폴리쿼터늄과 마이크로스탈린 셀룰로오스의 분산 효과로 직접 염료와 안료가 뭉치지 않아 내용물 안정도가 향상되고 모발에 균일하게 도포되어 염색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도포 후, 모발의 감촉이 향상되고 묻어남이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시험예 1에 따른 모발 염색력 평가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시험예 3에 따른 모발 컨디셔닝감 평가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시험예 4에 따른 묻어남 평가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시염모제 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화합물의 명칭은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미국화장품협회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CTFA)에서 발행한 국제화장품원료집(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ICID)에 등재된 INCI (International Nomenclature Cosmetic Ingredient) Name에 해당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해당 명칭이 INCI Name 중 존재하지 않으면,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IUPAC)에서 제정한 IUPAC 명명법에 따른 화합물을 의미하며, IUPAC 명명법에 따른 화합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화합물의 명칭에 대응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시염모제 조성물은, 산성 염료, 안료, 양이온 폴리머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산성 염료는, 특히 착색제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타르계 산성 염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상의 염료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적색2호, 적색102호, 적색104호, 적색106호, 황색4호, 황색5호, 녹색3호, 청색1호, 청색2호, 적색40호, 적색103호의(1), 적색104호의(1), 적색104호의(2), 적색106호, 적색201호, 적색202호, 적색205호, 적색206호, 적색207호, 적색208호, 적색218호, 적색219호, 적색220호, 적색221호, 적색223호, 적색225호, 적색226호, 적색227호, 적색228호, 적색 230호, 적색230호의(2), 적색401호, 적색405호, 적색504호, 적색506호, 등색201호, 등색204호, 등색205호, 등색206호, 등색207호, 등색401호, 황색201호, 황색202호, 황색202호의(1), 황색202호의(2), 황색203호, 황색204호, 황색401호, 황색403호의(1), 황색407호, 녹색201호, 녹색202호, 녹색204호, 녹색401호, 청색201호, 청색205호, 청색404호, 자색201호, 자색401호, 흑색401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산성 염료는 목적하는 효과를 위하여 일시염모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성 염료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염색 결과를 얻기 어렵고, 5 중량% 초과이면, 피부 염착이 심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안료는, 통상의 무기 안료나 유기 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상의 안료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무기 백색 안료(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 무기 적색계 안료(예를 들면, 적색산화철, 티탄산화철 등), 무기 갈색계 안료(예를 들면, γ-산화철 등), 무기 황색계 안료(예를 들면, 황색산화철, 황토 등), 무기 흑색계 안료(예를 들면, 흑색산화철 등), 무기 보라색계 안료(예를 들면, 망가니즈바이올렛, 코발트 바이올렛 등), 무기 녹색계 안료(예를 들면, 산화크로뮴, 수산화크로뮴, 티탄산코발트 등), 무기 청색계 안료(예를 들면, 군청, 감청 등), 펄 안료(예를 들면, 산화티탄 코팅된 운모, 산화티탄 코팅된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 티탄 코팅된 탈크, 착색산화티탄 코팅된 운모, 비스머스옥시클로라이드 등), 블랙 카본 등의 유기안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안료는 목적하는 효과를 위하여 일시염모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원하는 염색 결과를 얻기 어렵고, 20 중량% 초과이면, 모발에 도포 시 발림성이 좋지 않으며 내용물 안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시염모제 조성물은, 산성 염료와 안료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산성 염료 또는 안료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일시염모제가 갖는 단점을 보완하면서, 우수한 염색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양이온 폴리머는,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11 등 그 외의 폴리쿼터늄 계열 물질들은 에탄올 제형에서 분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폴리쿼터늄-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온 폴리머, 즉, 폴리쿼터늄-10는 목적하는 효과를 위하여 일시염모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0.2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쿼터늄-10의 함량이 0.2 중량% 미만이면, 이상적인 점도 형성 및 유지 능력이 떨어져 분산성이 저하되고, 1 중량% 초과이면, 점도가 높게 형성되어 발림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셀룰로오스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는, α-셀룰로오스를 가수분해하여 미세한 셀룰로오스 결정을 분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는, 일반 또는 결정형 셀룰로오스에 비하여 내용물의 점도 상승이 적게 일어나, 수상파트의 분산제로 탁월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는 분말형 또는 콜로이드형 어느 형태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실시상태에 따라서,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는 점도 형성능에 따라 셀룰로오스 검(Cellulose Gum) 또는 알지네이트(alginate)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 즉,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는 목적하는 효과를 위하여 일시염모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2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결정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2 중량% 미만이면, 산성 염료 및 안료의 분산성이 떨어지고, 내용물 점도 형성에 어려움이 있고, 3 중량% 초과이면, 내용물 점도가 지나치게 향상되어 모발에 발림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산성 염료, 안료, 양이온 폴리머 및 셀룰로오스는 1 : 10 : 0.25 : 2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고, 특히, 양이온 폴리머 및 셀룰로오스, 즉, 폴리쿼터늄-10 및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는 1 : 7 내지 9의 비율로 배합될 수 있는데, 1 : 8의 비율로 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일시염모제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기용매, 저급 알코올 및 세팅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모발 염착력의 향상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유기용매를 사용하며, 특히 벤질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용매, 즉, 벤질알코올은 일시염모제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벤질알코올을 많이 사용하면 염착력이 향상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벤질알코올을 많이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제형 내에서 벤질알코올의 안정도를 확보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벤질알코올을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일시염모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10 내지 50 중량%의 에탄올을 함께 사용한다. 즉, 벤질알코올 중량에 대하여 약 5배 정도의 에탄올을 사용한다.
여기서 에탄올은 벤질알코올을 안정화시킬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일시염모제 조성물의 용매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저급 알코올은 탄소수 2~4개 범위의 알코올로서,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에탄올의 함량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으며, 부틸렌글리콜은 일시염모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틸렌글리콜은 양이온 폴리머, 즉, 폴리쿼터늄-10의 분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세팅폴리머는, 당업계에서 내수성 향상 및 모발 고정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상의 세팅폴리머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비닐피롤리돈/비닐아세테이트 코폴리머(VP/VA Copolymer),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피브이피/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 비닐피롤리돈/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 4급화 코폴리머(폴리쿼터늄-11), 비닐카프로락탐/피브이피/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 피브이피 인캡슐 디메티콘(PVP and Dimethicone), 폴리쿼터늄-55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세팅폴리머는, 일시염모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3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일시염모제 조성물은, 잔량의 정제수(탈이온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수는 당업계에서 자명하게 공지된 정제수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시염모제 조성물은, 헤어 마스카라 타입으로 사용될 수 있다면 제형상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액상, 로션, 크림, 왁스, 페이스트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일시염모제 조성물에 따르면, 산성 염료와 안료를 함께 사용하여 염색력이 우수하며, 폴리쿼터늄-10와 미세결정 셀룰로오스에 의한 분산 효과로 인하여 내용물 안정도 및 도포 후 모발의 컨디셔닝감이 향상되고, 묻어남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러한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시험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제조예> 일시염모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비교예 1 내지 5 및 실시예 1을 제조하였으며, 하기 표 1의 함량의 단위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한 해당 성분의 중량%이다.
성분 함량(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실시예 1 실시예2
탈이온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직접염료
(산성염료)
1 1 1 1 1 1 1 1 1 1
안료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폴리쿼터늄-10 0.25 0.1 0.15 2.5 3 0.25 1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2 1 1.5 4.5 5 2 3
부틸렌글리콜 1 1 1 1 1 1 1 1 1 1 1
벤질알코올 7 7 7 7 7 7 7 7 7 7 7
세팅폴리머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에탄올 45 45 45 45 45 45 45 45 45 45 45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 시험예 1> 모발 염색력 평가 시험
직접 염료(산성 염료)와 안료를 함께 사용하는 일시염모제 조성물의 염색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표 1의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 2의 조성물을 모발 무게의 2배 되는 양을 취해 길이 12cm의 실험용 사람 모발에 골고루 도포하였다.
상기 모발은 흰머리 100%의 백모를 사용하였다. 도포 후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모발을 색차계(기종: Hunterlab Labscan XE)를 이용하여 염색력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육안 및 색차계로 측정한 명도값이 L* 값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으며, L* 값이 클수록 색이 밝음을 의미하고 작을수록 색이 진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염색 후의 L* 값이 작을수록 염색력이 우수함을 뜻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염색력 비교예 1
(직접염료 단독)
비교예 2
(안료 단독)
비교예 3
(직접염료+안료)
실시예 1
(직접염료+안료)
실시예 2
(직접염료+안료)
L* 24.77 23.59 18.67 18.45 18.26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일시염모제 조성물과 같이, 직접염료와 안료를 모두 사용하는 비교예 3, 실시예 1 및 2는 직접염료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비교예 1과 안료만 단독으로 사용하는 비교예 2에 비하여 염색력이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1을 살펴보면, 직접염료와 안료를 모두 사용하는 비교예 3, 실시예 1 및 2는, 직접염료와 안료만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훨씬 진하게 염색되어, 염색력이 월등히 우수한 것을 육안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직접염료나 안료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직접염료와 안료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염색력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분산성 평가 시험
폴리쿼터늄-10 및 미세결정 셀룰로오스에 의한 분산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내지 6, 9를 각각 50ml 튜브에 30ml씩 담고, 상온에서 72시간 뒤에 상층액을 걷어내고, 가라앉은 내용물의 중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실시예 1 실시예 2
A 12.82 12.9 12.92 13.07 13.06 12.84 12.80 12.85
B 13.58 17.83 19.85 15.73 16.11 14.12 13.72 13.71
C 0.76 4.93 6.93 2.66 3.05 1.28 0.92 0.86
(A: 튜브 공중량, B: 72시간 후 상층액을 걷어낸 뒤의 튜브 중량, C: B-A(가라앉은 내용물의 중량))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비교예 3의 경우, 직접염료와 안료를 함께 사용 시 콤플렉스가 생겨 가라앉는 내용물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예 4(미세결정 셀룰로오스 함유) 및 비교예 5(폴리쿼터늄-10 함유)를 통해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및 폴리쿼터늄-10 각각의 분산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6과 실시예 1, 2(미세결정 셀룰로오스 및 폴리쿼터늄-10 함유)의 경우, 미세결정 셀룰로오스와 폴리쿼터늄-10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나머지 조성물들에 비하여 뛰어난 분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폴리쿼터늄-10과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를 적정한 양으로 포함한 실시예 1, 2의 경우, 조성물의 분산성이 현저히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모발 컨디셔닝감 평가 시험
직접염료와 안료를 모두 사용하는 상기 비교예 3 내지 5 및 실시예 1, 2의 모발 컨디셔닝감을 평가하기 위하여, combing tester(TECHNO-HASHIMOTO, SK-3A) 기기를 이용하여 모발의 마찰력 값을 측정하였으며, 마찰력 값이 낮을수록 모발의 컨디셔닝감이 우수한 것을 뜻한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살펴보면, 맨 위부터 비교예 3 내지 5, 실시예 1, 2의 순으로 측정된 마찰력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으며, 실시예 1, 2의 경우, 비교예 3 내지 5에 비하여 마찰력 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의 선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보아 모발의 컨디셔닝감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4> 묻어남 평가 시험
직접염료와 안료를 모두 사용하는 상기 비교예 3 내지 5 및 실시예 1, 2의 모발 묻어남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기 비교예 3 내지 5 및 실시예 1, 2의 조성물을 모발 무게의 2배 되는 양을 취해 길이 12cm의 실험용 사람 모발에 골고루 도포하였다.
상기 모발은 흰머리 100%의 백모를 사용하였다. 도포 후 헤어드라이어를 이용하여 건조시키고, 티슈로 일정 수준 압력을 가해 조성물이 묻어나는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살펴보면, 실시예 1 및 2가 비교예 3 내지 5에 비하여 묻어나는 정도가 현저히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및 2의 경우, 묻어남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5> 사용감 평가 시험
폴리쿼터늄-10 및 미세결정 셀룰로오스의 함량 범위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시염모제 조성물의 사용감, 즉, 발림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비교예 6 내지 9 및 실시예 1, 2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은 점도 측정 기기(LVDV-Ⅱ-+, BROOKFIELD)를 이용하여 각 조성물 100g을 12rpm에서 2분 동안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적정 점도는 고객 품평 및 사용성 테스트를 통해 계산된 범위로서, 점도 값이 2500 이상, 4000 미만의 경우, 사용감이 적절한 것으로 본다.
(단위: cps)
구분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실시예 1 실시예 2
점도 1800±500 2375 4850 5000±500 3000±500 3270±500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폴리쿼터늄-10 및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를 각각 0.25 및 2 중량%씩 함유한 실시예 1, 각각 1 및 3 중량%씩 함유한 실시예 2의 조성물의 점도에 비하여, 폴리쿼터늄-10 및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를 각각 0.1 및 1 중량%씩 함유한 비교예 6, 각각 0.15 및 1.5 중량%씩 함유한 비교예 7의 조성물은 점도가 하락하여 묽은 발림성을 갖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폴리쿼터늄-10 및 미세결정 셀룰로오스를 각각 2.5 및 4.5 중량%씩 함유한 비교예 8, 각각 3 및 5 중량%씩 함유한 비교예 9의 조성물은 점도가 상승하여 두터운 발림성을 갖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시염모제 조성물에서 폴리쿼터늄-10 및 미세결정 셀룰로오스가 각각 0.2 내지 1 중량% 및 2 내지 3 중량%의 범위를 벗어나는 양으로 함유되는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크게 상승하거나 하락하여 사용감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산성 염료, 안료, 양이온 폴리머 및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염모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온 폴리머는,
    폴리쿼터늄-10(Polyquaternium-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염모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는,
    미세결정 셀룰로오스(Microcrystalline cellulose, MC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염모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염모제 조성물의 전체 중량 대비, 상기 산성 염료는 1 내지 5 중량%, 상기 안료는 1 내지 20 중량%, 상기 양이온 폴리머는 0.2 내지 1 중량%, 상기 셀룰로오스는 2 내지 3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염모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성 염료, 안료, 양이온 폴리머 및 셀룰로오스는 1 : 10: 0.25: 2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염모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이폰 폴리머 및 셀룰로오스는 1 : 7 ~ 9의 중량비로 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염모제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유기용매, 저급 알코올 및 세팅폴리머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시염모제 조성물.
KR1020160179033A 2016-12-26 2016-12-26 일시염모제 조성물 KR102564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033A KR102564635B1 (ko) 2016-12-26 2016-12-26 일시염모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033A KR102564635B1 (ko) 2016-12-26 2016-12-26 일시염모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094A true KR20180075094A (ko) 2018-07-04
KR102564635B1 KR102564635B1 (ko) 2023-08-09

Family

ID=62913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033A KR102564635B1 (ko) 2016-12-26 2016-12-26 일시염모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46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6645A (zh) * 2019-10-11 2022-05-10 花王株式会社 液体暂时染发剂组合物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100A (ko) 1996-10-21 1998-07-15 성재갑 일시 모발 착색용 칼라 헤어무스 조성물
KR20060007432A (ko) * 2003-05-19 2006-01-2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중합체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
JP4963581B2 (ja) 2006-09-05 2012-06-27 花王株式会社 一時染毛料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8100A (ko) 1996-10-21 1998-07-15 성재갑 일시 모발 착색용 칼라 헤어무스 조성물
KR20060007432A (ko) * 2003-05-19 2006-01-24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중합체 및 착색제를 함유하는 화장 조성물
JP4963581B2 (ja) 2006-09-05 2012-06-27 花王株式会社 一時染毛料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66645A (zh) * 2019-10-11 2022-05-10 花王株式会社 液体暂时染发剂组合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4635B1 (ko) 2023-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8689B1 (de) Itaconsäuremonoester/Acrylat Copolymer und Polystyrolsulfonat enthaltende Haarbehandlungsmittel
EP4007558A1 (de)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keratinmaterial, umfassend die anwendung eines organischen c1-c6-alkoxy-silans und einer aminosäure und/oder eines aminosäurederivats
EP3946238A1 (de) Erhöhung der stabilität von mitteln zur behandlung von keratinmaterial
KR20050037339A (ko)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1880B1 (ko) 화장료용 안료 분산액, 그것을 이용한 수계 액체 화장료
KR20180075094A (ko) 일시염모제 조성물
WO2021180369A1 (de) Verfahren zum färben von keratinischem material, umfassend die anwendung von einer siliciumorganischen verbindung, alginsäure(salz), einer farbgebenden verbindung und eines nachbehandlungsmittels
JP2016113395A (ja) 染毛料
CN111867547B (zh) 化妆品用颜料分散液、使用其的水系液体化妆品
JP7211718B2 (ja) 液体化粧料
WO2021121723A1 (de) Verfahren zum färben von keratinischem material, umfassend die anwendung von einer siliciumorganischen verbindung, eines hydroxycarbonsäureesters, eines diols und einer farbgebenden verbindung
US9320700B2 (en)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acid
WO2021121726A1 (de) Verfahren zur färbung von keratinmaterial, umfassend die anwendung eines organischen c1-c6-alkoxysilans, einer farbgebenden verbindung und eines galaktomannans
JP3277143B2 (ja) ヘアーマスカラ組成物
US20220151910A1 (en) Hair cosmetic
WO2020200545A1 (de) Erhöhung der stabilität von mitteln zur behandlung von keratinmaterial
WO2021121722A1 (de) Verfahren zum färben von keratinischem material, umfassend die anwendung von einer siliciumorganischen verbindung, eines hydroxycarbonsäureesters, c1-c10-alkohols und einer farbgebenden verbindung
EP4076366A1 (de) Verfahren zum färben von keratinischem material, umfassend die anwendung von einer siliciumorganischen verbindung, einer farbgebenden verbindung und eines vorbehandlungsmittels
WO2021180378A1 (de) Verfahren zum färben von keratinischem material, umfassend die anwendung von einer siliciumorganischen verbindung, hyaluronsäure(salz), einer farbgebenden verbindung und eines nachbehandlungsmittels
WO2021121716A1 (de) Verfahren zum färben von keratinischem material, umfassend die anwendung von einer siliciumorganischen verbindung, schellack, einer farbgebenden verbindung und eines nachbehandlungsmittels
WO2021121724A1 (de) Verfahren zur färbung von keratinmaterial, umfassend die anwendung eines organischen c1-c6-alkoxysilans, einer farbgebenden verbindung und schellack
JP2021534135A (ja) 液晶毛髪染色組成物、使用及び方法
JP2006028119A (ja) 染毛料
DE102011017522A1 (de) Kosmetische Zubereitungen zur Färbung von Haa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