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839A - 하모니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하모니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839A
KR20180074839A KR1020160177512A KR20160177512A KR20180074839A KR 20180074839 A KR20180074839 A KR 20180074839A KR 1020160177512 A KR1020160177512 A KR 1020160177512A KR 20160177512 A KR20160177512 A KR 20160177512A KR 20180074839 A KR20180074839 A KR 20180074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player
tongue
pressure sensor
mouth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벨
Priority to KR1020160177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4839A/ko
Publication of KR20180074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01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chords
    • G09B15/002Electrically operated systems
    • G10D7/123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7/12Free-reed wind instruments
    • G10D7/14Mouth-org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61Mouth control in general, i.e. breath, mouth, teeth, tongue or lip-controlled input devices or sensors detecting, e.g. lip position, lip vibration, air pressure, air velocity, air flow or air je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측면 중 일측면에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상하 한 쌍의 취주 슬롯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 및 상기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상기 상하 한 쌍의 취주 슬롯 각각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측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복수의 공명 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음판이 일렬 배열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면에 장착되는 리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마우스피스에 접촉되는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 파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을 학습자 또는 관람자가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연주 연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하모니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모니카 어셈블리{HARMONICA ASSEMBLY}
본 발명은 하모니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을 학습자 또는 관람자가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연주 연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하모니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등록특허 제10-0776368호의 "항균 하모니카"와,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5814호의 "음계표시부를 갖는 하모니카" 등과 같은 일반적인 하모니카는 입에 물고 부는 소형의 리드 악기로서, 사각형의 몸체에 여러 개의 홈을 형성하여 그 위에 프리 리드를 배열한 금속재질의 떨림 판을 덮고 다시 그 바깥쪽을 금속재질의 커버로 씌워진 구성이다.
상술한 여러 개의 홈은 공명부로서 음계에 따라 공명부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한 것이다.
하모니카의 몸체에 형성된 여러 개의 홈이 개방된 쪽은 마우스피스로서 마우스피스를 입에 대고 숨을 내쉬거나 들이마시는 조작으로 음계를 이루도록 리드가 배열되었고, 이 동작으로 삼화음(三和音)도 얻을 수 있으며 구멍수는 21개가 표준이다.
이러한 하모니카는 전술한 홈들을 포함한 마우스피스에 연주자의 혀를 접촉시키는 모양에 따라 다양한 음과 연주 기법을 창출해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하모니카는 초심자의 경우 숙련된 능숙한 연주자의 연주 기법, 즉 퍼커싱글, 텅블럭싱글, 혀를 접촉시키거나 뗀 5홀 베이스, 3홀 화음, 5홀 화음, 7홀 화음, 9홀 화음, 비브라토, 홀마우스피스 5홀 화음 등 다양한 연주 기법에 따른 혀 모양을 전혀 볼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776368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581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을 학습자 또는 관람자가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연주 연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하모니카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양측면 중 일측면에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상하 한 쌍의 취주 슬롯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 및 상기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상기 상하 한 쌍의 취주 슬롯 각각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측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복수의 공명 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음판이 일렬 배열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면에 장착되는 리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마우스피스에 접촉되는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 파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카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아크릴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 본체는,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와 그래핀(graphene)을 혼합하여 도전성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연주자가 상기 마우스피스에 입술과 혀를 접촉하여 누르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력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측면측에서 상기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하여 상기 연주자의 입술과 혀에 의한 접촉 압력이 감지되면 점등되는 반도체 광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광소자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주자가 상기 프레임 본체를 파지하는 압력과, 상기 연주자가 상기 마우스피스에 입술과 혀를 접촉하여 누르는 압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전 소자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전기 에너지는 상기 반도체 광소자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주자가 상기 프레임 본체를 파지하며 상기 마우스피스에 입술과 혀를 접촉함에 따른 상기 연주자의 체온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본체 전체의 온도와 상기 체온 사이에서 발생하는 온도 차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열전변환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전변환 소자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전기 에너지는 상기 반도체 광소자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주자가 상기 프레임 본체를 파지하는 압력과, 상기 연주자가 상기 마우스피스에 입술과 혀를 접촉하여 누르는 압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 소자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주자가 상기 프레임 본체를 파지하며 상기 마우스피스에 입술과 혀를 접촉함에 따른 상기 연주자의 체온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본체 전체의 온도와 상기 체온 사이에서 발생하는 온도 차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열전변환 소자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상기 압전 소자 및 상기 열전변환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 소자와 상기 열전변환 소자로부터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력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압력 센서가 상기 연주자의 입술과 혀의 접촉을 감지하면 촬영을 개시하고, 상기 연주자의 입술과 혀의 접촉에 따른 압력이 제거되면 촬영을 중단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압력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양측면 중 일측면에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상하 한 쌍의 취주 슬롯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 및 상기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상기 상하 한 쌍의 취주 슬롯 각각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측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복수의 공명 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음판이 일렬 배열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면에 장착되는 리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마우스피스에 접촉되는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 파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을 학습자 또는 관람자가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연주 연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프레임 본체에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와 그래핀(graphene)을 혼합하여 도전성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연주자가 상기 마우스피스에 입술과 혀를 접촉하여 누르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력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측면측에서 상기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하여 상기 연주자의 입술과 혀에 의한 접촉 압력이 감지되면 점등되는 반도체 광소자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로부터, 학습자 또는 관람자가 숙련된 능숙한 연주자들의 연주 기법을 육안으로 더욱 상세하게 파악하고 학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 반도체 광소자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하여 빛을 조사함으로써, 육안으로 연주자가 마우스피스에 닿는 혀의 모양 등 연주 기법의 상세를 명확하게 파악함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주자가 상기 프레임 본체를 파지하는 압력과, 상기 연주자가 상기 마우스피스에 입술과 혀를 접촉하여 누르는 압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 소자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주자가 상기 프레임 본체를 파지하며 상기 마우스피스에 입술과 혀를 접촉함에 따른 상기 연주자의 체온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본체 전체의 온도와 상기 체온 사이에서 발생하는 온도 차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열전변환 소자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상기 압전 소자 및 상기 열전변환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 소자와 상기 열전변환 소자로부터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함으로써, 반도체 광소자의 점등에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충당함으로써 추가적인 전원 공급이나 전력 사용이 불필요하므로, 에너지 절약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력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압력 센서가 상기 연주자의 입술과 혀의 접촉을 감지하면 촬영을 개시하고, 상기 연주자의 입술과 혀의 접촉에 따른 압력이 제거되면 촬영을 중단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압력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더 구비함으로써, 능숙한 숙련된 연주스킬을 가진 연주자의 연주 기법을 불특정 다수가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학습하고 연주 기법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모니카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 개념도
도 2는 커버 및 리드 패널을 제거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모니카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모니카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 및 활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록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며,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모니카 어셈블리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 개념도이며, 도 2는 커버 및 리드 패널을 제거하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모니카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모니카 어셈블리의 전체적인 구조 및 활용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블록 개념도이다.
우선, 프레임 본체(100)는 양측면 중 일측면에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상하 한 쌍의 취주 슬롯(101, 101)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우스피스(110)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리드 패널(200)은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상하 한 쌍의 취주 슬롯(101, 101) 각각으로부터 프레임 본체(100)의 타측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복수의 공명 공간(102)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음판(이하 미도시)이 일렬 배열되며, 프레임 본체(100)의 상면에 장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프레임 본체(10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마우스피스(110)에 접촉되는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 파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을 학습자 또는 관람자가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연주 연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리드 패널(200)의 상면과 프레임 본체(100)의 하면에는 각각 커버(300)가 덮여서 리드 패널(200) 및 프레임 본체(100)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프레임 본체(100)는, 아크릴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구조적 강도를 지니면서도 투명한 재질의 프레임 본체(100) 제작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프레임 본체(100)는,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와 그래핀(graphene)을 혼합하여 도전성을 가지도록 하고, 이러한 도전성을 지닌 프레임 본체(100)에 압력 센서(120)와 반도체 광소자(13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압력 센서(120)는 프레임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연주자가 마우스피스(110)에 입술과 혀를 접촉하여 누르는 압력을 감지하는 것이다.
반도체 광소자(130)는 프레임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압력 센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프레임 본체(100)의 타측면측에서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압력 센서(120)에 의하여 연주자의 입술과 혀에 의한 접촉 압력이 감지되면 점등되는 것으로, LED 램프 또는 RGB LED 램프가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그래핀은 흑연을 가리키는 그래파이트(graphite)와 화학에서 탄소 이중결합을 가진 분자를 가리키는 접미사 -ene을 합쳐 만든 용어이다.
그래핀은 탄소 원자가 육각형으로 결합된 구조가 평평하게 연결된 2차원 구조물이며, 이것을 원통형으로 이어 붙이면 탄소 나노튜브가 되는 것이다.
그래핀의 두께는 0.2nm이지만 강도는 강철의 100배를 넘으며, 구리보다 100배 이상 도전성이 우수하며, 실리콘 반도체보다 100배 이상 빠르게 전자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그래핀을 합성수지에 약 1%만 섞어도 전기가 통하는 도체가 되는 것이다.
전술한 그래핀은 열전도성이 다이아몬드의 2배가 넘으며, 탄성이 뛰어나 늘이거나 구부리더라도 전기적 성질을 잃지 않으므로, 가볍고 구부릴 수 있으며 처리 속도가 매우 빠른 장치를 염가에 제작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그래핀은 빛을 2.3%밖에 흡수하지 않을 정도로 투명하다는 점도 본 발명에 따른 하모니카 어셈블리의 프레임 본체(100) 제작에 매우 유용한 것이다.
아울러, 반도체 광소자(130)는, 프레임 본체(10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하여 빛을 조사함으로써, 투명한 재질의 프레임 본체(100)에 마련된 마우스피스(110)에 닿는 연주자의 혀 놀림 모양을 학습자나 관람자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프레임 본체(100)는, 전술한 반도체 광소자(130)의 지속적인 발광 에너지 제공을 위하여 압전 소자(14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압전 소자(140)는 프레임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반도체 광소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주자가 프레임 본체(100)를 파지하는 압력과, 연주자가 마우스피스(110)에 입술과 혀를 접촉하여 누르는 압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이다.
따라서, 압전 소자(140)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는 반도체 광소자(130)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것이다.
또한, 프레임 본체(100)는, 전술한 반도체 광소자(130)의 지속적인 발광 에너지 제공을 위하여 열전변환 소자(1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열전변환 소자(150)는 프레임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반도체 광소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연주자가 프레임 본체(100)를 파지하며 마우스피스(110)에 입술과 혀를 접촉함에 따른 연주자의 체온을 감지함으로써, 프레임 본체(100) 전체의 온도와 체온 사이에서 발생하는 온도 차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열전변환 소자(150)에 의하여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는 반도체 광소자(130)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것이다.
열전변환 소자(150)는 배터리가 필요없는 웨어러블 기기의 제작 및 생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열전변환 현상을 활용한 것이다.
열전변환은 두 재료 사이에 온도 차가 발생하면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 현상이며, 연주자의 체온으로 발전하기 때문에 외부 케이블로 충전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프레임 본체(100)는, 프레임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반도체 광소자(130)와 압전 소자(140) 및 열전변환 소자(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압전 소자(140)와 열전변환 소자(150)로부터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16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압전 소자(140) 또는 열전변환 소자(150)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는 축전지(160)에 저장되고, 축전지(160)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반도체 광소자(130)의 점등에 필요한 전기 에너지의 형태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프레임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압력 센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 모듈(17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전술한 카메라 모듈(170)은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압력 센서(120)가 연주자의 입술과 혀의 접촉을 감지하면 촬영을 개시하고, 연주자의 입술과 혀의 접촉에 따른 압력이 제거되면 촬영을 중단하는 간단한 온오프 제어 알고리즘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170)은 연주자가 빠르게 호흡하며 마우스피스(110)에 접촉하는 혀의 동작 하나 하나를 놓치지 않고 실시간으로 담아낼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170)은 프레임 본체(100)의 마우스피스(110)가 형성된 일측면에 대하여 반대측이 프레임 본체(100)의 타측면에 마우스피스(110)측을 향하여 일렬로 복수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프레임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카메라 모듈(170) 및 압력 센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카메라 모듈(170)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18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180)은, LTE, WLAN, 블루투스, 블루투스4.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전술한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와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관람자와 학습자를 포함한 불특정 다수가 숙련된 연주자의 연주 기법을 확인하고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본 발명에 따른 하모니카 어셈블리의 작용 효과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양측면 중 일측면에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상하 한 쌍의 취주 슬롯(101, 101)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우스피스(110)를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100); 및 상기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상기 상하 한 쌍의 취주 슬롯(101, 101) 각각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타측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복수의 공명 공간(102)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음판이 일렬 배열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상면에 장착되는 리드 패널(20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10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마우스피스(110)에 접촉되는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 파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을 학습자 또는 관람자가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연주 연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프레임 본체(100)에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와 그래핀(graphene)을 혼합하여 도전성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연주자가 상기 마우스피스(110)에 입술과 혀를 접촉하여 누르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120)와,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력 센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타측면측에서 상기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압력 센서(120)에 의하여 상기 연주자의 입술과 혀에 의한 접촉 압력이 감지되면 점등되는 반도체 광소자(13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로부터, 학습자 또는 관람자가 숙련된 능숙한 연주자들의 연주 기법을 육안으로 더욱 상세하게 파악하고 학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상기 반도체 광소자(130)는,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하여 빛을 조사함으로써, 육안으로 연주자가 마우스피스(110)에 닿는 혀의 모양 등 연주 기법의 상세를 명확하게 파악함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 본체(100)는,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도체 광소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주자가 상기 프레임 본체(100)를 파지하는 압력과, 상기 연주자가 상기 마우스피스(110)에 입술과 혀를 접촉하여 누르는 압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 소자(140)와,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도체 광소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주자가 상기 프레임 본체(100)를 파지하며 상기 마우스피스(110)에 입술과 혀를 접촉함에 따른 상기 연주자의 체온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본체(100) 전체의 온도와 상기 체온 사이에서 발생하는 온도 차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열전변환 소자(150)와,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도체 광소자(130)와 상기 압전 소자(140) 및 상기 열전변환 소자(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 소자(140)와 상기 열전변환 소자(150)로부터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160)를 더 포함하는 실시예를 적용함으로써, 반도체 광소자(130)의 점등에 필요한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충당함으로써 추가적인 전원 공급이나 전력 사용이 불필요하므로, 에너지 절약 제품의 제공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력 센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압력 센서(120)가 상기 연주자의 입술과 혀의 접촉을 감지하면 촬영을 개시하고, 상기 연주자의 입술과 혀의 접촉에 따른 압력이 제거되면 촬영을 중단하는 카메라 모듈(170)을 더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70) 및 상기 압력 센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카메라 모듈(170)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180)을 더 구비함으로써, 능숙한 숙련된 연주스킬을 가진 연주자의 연주 기법을 불특정 다수가 실시간으로 공유하며 학습하고 연주 기법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을 학습자 또는 관람자가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연주 연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하모니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프레임 본체
101, 101...취주 슬롯
102...공명 공간
110...마우스피스
120...압력 센서
130...반도체 광소자
140...압전 소자
150...열전변환 소자
160...축전지
170...카메라 모듈
180...통신 모듈
200...리드 패널
300...커버

Claims (9)

  1. 양측면 중 일측면에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상하 한 쌍의 취주 슬롯에 의하여 형성되는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프레임 본체; 및
    상기 복수로 일렬 배치되는 상기 상하 한 쌍의 취주 슬롯 각각으로부터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측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복수의 공명 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음판이 일렬 배열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면에 장착되는 리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마우스피스에 접촉되는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 파악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카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아크릴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카 어셈블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와 그래핀(graphene)을 혼합하여 도전성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연주자가 상기 마우스피스에 입술과 혀를 접촉하여 누르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력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프레임 본체의 타측면측에서 상기 연주자의 입술과 혀 모양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상기 압력 센서에 의하여 상기 연주자의 입술과 혀에 의한 접촉 압력이 감지되면 점등되는 반도체 광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카 어셈블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광소자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측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카 어셈블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주자가 상기 프레임 본체를 파지하는 압력과, 상기 연주자가 상기 마우스피스에 입술과 혀를 접촉하여 누르는 압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압전 소자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전기 에너지는 상기 반도체 광소자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카 어셈블리.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주자가 상기 프레임 본체를 파지하며 상기 마우스피스에 입술과 혀를 접촉함에 따른 상기 연주자의 체온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본체 전체의 온도와 상기 체온 사이에서 발생하는 온도 차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열전변환 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전변환 소자에 의하여 생성되는 상기 전기 에너지는 상기 반도체 광소자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카 어셈블리.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주자가 상기 프레임 본체를 파지하는 압력과, 상기 연주자가 상기 마우스피스에 입술과 혀를 접촉하여 누르는 압력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압전 소자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주자가 상기 프레임 본체를 파지하며 상기 마우스피스에 입술과 혀를 접촉함에 따른 상기 연주자의 체온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프레임 본체 전체의 온도와 상기 체온 사이에서 발생하는 온도 차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는 열전변환 소자와,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반도체 광소자와 상기 압전 소자 및 상기 열전변환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전 소자와 상기 열전변환 소자로부터 생성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축전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카 어셈블리.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압력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압력 센서가 상기 연주자의 입술과 혀의 접촉을 감지하면 촬영을 개시하고, 상기 연주자의 입술과 혀의 접촉에 따른 압력이 제거되면 촬영을 중단하는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카 어셈블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압력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PC 또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상기 카메라 모듈이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모니카 어셈블리.
KR1020160177512A 2016-12-23 2016-12-23 하모니카 어셈블리 KR20180074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512A KR20180074839A (ko) 2016-12-23 2016-12-23 하모니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512A KR20180074839A (ko) 2016-12-23 2016-12-23 하모니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839A true KR20180074839A (ko) 2018-07-04

Family

ID=6291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512A KR20180074839A (ko) 2016-12-23 2016-12-23 하모니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48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0995A (zh) * 2020-03-05 2020-06-09 电子科技大学 一种古筝训练器及古筝训练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60995A (zh) * 2020-03-05 2020-06-09 电子科技大学 一种古筝训练器及古筝训练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85107A3 (en) Hybrid wind instrument selectively producing acoustic tones and electric tones and electronic system used therein
US20140260916A1 (en) Electronic percussion device for determining separate right and left hand actions
KR20180074839A (ko) 하모니카 어셈블리
CN202397436U (zh) 高清便携式内窥镜摄像系统
CN210131324U (zh) 康复电子手琴
CN205657823U (zh) 一种带摄像功能的广场舞用音箱
US20220189439A1 (en) Illuminating bows for playing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CN206045349U (zh) 一种训练数据捕捉记录装置
CN111013082A (zh) 一种新型智能运动垫
CN103761958A (zh) 一种信号板及健身跳舞琴
CN206226660U (zh) 一种手机k歌宝
CN201780772U (zh) 一种音乐手套
CN203388609U (zh) 声控感应音乐发光抱枕
CN210403183U (zh) 电吹管
CN214388883U (zh) 一种可拆卸儿童玩具
CN209641119U (zh) 一种用于基础乐理学习的嵌入式视唱练耳教学设备
CN206532593U (zh) 一种一体式便携发光力度鼓
CN211273324U (zh) 一种智能跳绳
CN205810370U (zh) 一种手卷电子琴
JP2012187166A (ja) Mriまたはmeg用皮膚コンダクタおよび被験者の皮膚の抵抗を測定する方法
CN202887512U (zh) 口琴音阶识别装置
CN110072171A (zh) 一种具有检测水温功能的水瓶盖蓝牙音箱
CN215069199U (zh) 一种可以交互教学的智能非洲鼓
CN206496223U (zh) 一种多用途照明装置
CN207395891U (zh) 个人声暴露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