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4042A - 반원관 결합 형태의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접속 보호관 - Google Patents

반원관 결합 형태의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접속 보호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4042A
KR20180074042A KR1020160177701A KR20160177701A KR20180074042A KR 20180074042 A KR20180074042 A KR 20180074042A KR 1020160177701 A KR1020160177701 A KR 1020160177701A KR 20160177701 A KR20160177701 A KR 20160177701A KR 20180074042 A KR20180074042 A KR 201800740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nnecting member
protection
semicircular
tub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4434B1 (ko
Inventor
지상현
Original Assignee
지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상현 filed Critical 지상현
Priority to KR1020160177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43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4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4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원 형태의 동관을 서로 결합시켜 하나의 원통관으로 하는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은, 보호관에 의해 외함을 이루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은 도전성 금속재로서 제1 및 제2 보호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보호관 각각은 상부 반원관 및 하부 반원관이 결합하여 원통형의 관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JOINT BOX OF ULTRA HIGH VOLTAGE POWER CABLE HAVING PROTECTION CASE AS COMBINATIONS OF THE SEMICIRCULAR PIPE}
본 발명은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원 형태의 동관을 서로 결합시켜 하나의 원통관으로 하는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블 간의 접속은 양쪽 전력케이블에 중심에 내장된 도체를 노출시키고 양쪽 전력케이블의 도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슬리브라는 부품을 통해 연결시킨 후 송배전되는 전력용량에 따라 절연파괴가 발생되지 않도록 각종의 절연재료 에폭시, 절연지,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부품들이 삽입된다.
접속이 완료된 후 최종적으로 접속부분을 보호하며 전력케이블의 금속시스와 같은 역할을 하는 보호관이 양쪽에 접속된다.
이러한 보호관은 한쪽은 전력케이블의 금속시스와 납연공 작업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다른 쪽은 보호관끼리 서로 접속된다.
두개의 초고압 전력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해서 보호관은 원통 형상이므로 접속 공정이 이루어지기 전에 양쪽 케이블에 먼저 삽입시켜 놓은 후 접속 공정이 이루어진다. 보호관을 먼저 케이블에 삽입할 경우 보호관의 고정 등의 사전 작업이 번거롭고(이는 전력케이블의 외경이 수백 mm에 이기에 전력케이블의 접속함의 크기도 그에 따라 상당히 크게 되기 때문임), 접속 완료 후에 보호관의 이상이 있거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접속을 해체하지 않고서는 교체 및 수리가 불가능한 문제들이 있어 왔다.
또한, 종래의 보호관은 좌우 보호관에 금속재질(동합금 재질)의 플랜지를 용접 등에 의해 접합시킨 후 양쪽 플랜지를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볼트 등으로 체결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플랜지 가공 및 접합에 따른 부품 상승이 문제 및 무게의 상승으로 인한 접속공정의 어려움이 따른다.
보호관은 동관으로 이루어지는데, 동관의 외경이 커질수록 지수적으로 원자재 가격이 상승되어 결과적으로 보호관의 제조단가가 상승하고, 전력케이블의 규격 및 용량이 커짐에 따라 내부 보강절연재들의 외경도 커지게 되면서 대형의 외경을 갖는 동관의 원자재 비용도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1265에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과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0030에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절연접속함의 보호 및 절연 원통관'에 대한 특허기술이 개시되었다.
위 양 특허기술은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에 사용되는 동관의 원자재 상승을 막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1265는 동판으로 동관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0030는 절연통을 길게하여 동관의 사용을 최소화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어, 기존의 동관 자체에 따른 원자재 상승 부담을 상당 부분 감쇠하는 역할을 하고 있지만,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1265는 동판을 동관으로 제작하는 어려움과 자동화의 어려움이 있고,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0030는 동관을 대체하는 합성수지재로서의 강도와 여전히 동관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81265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5003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변경을 통해 동관을 반원관 형태로 제조하여 조립하므로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접속을 보다 편리하고 진행하고, 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또한, 구조변경을 통해 동관의 제조단가를 크게 낮추어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생산성을 높이고져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은, 보호관에 의해 외함을 이루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은 도전성 금속재로서 제1 및 제2 보호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보호관 각각은 상부 반원관 및 하부 반원관이 결합하여 원통형의 관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관 각각은 상기 상부 반원관 및 하부 반원관 사이에 가스켓이 매개되어 결합되고, 상기 상부 반원관 및 하부 반원관은 소정의 외측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스켓은 그 단면이 H자 모양이고, 상하 홈부분에 상기 상부 반원관 및 하부 반원관의 단부가 끼워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는 고리와 C형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는 개구방향이 외측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반원관 각각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며, 상기 C형 클립이 상기 고리의 개구된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는 내측 고리 및 외측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고리 및 외측 고리 각각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반원관에 부착되며,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고리와 C형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는 개구방향이 외측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반원관 각각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며, 상기 C형 클립이 상기 고리의 개구된 부분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내측 고리 및 외측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고리 및 외측 고리 각각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반원관에 부착되며,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체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관이 좌우로 결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보호관의 좌측단부 및 상기 제2 보호관의 우측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보호관 및 제2 보호관의 결합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형성되는 것이 최상의 실시예로서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관 사이에는 절연통이 연결되며, 상기 절연통은 반원관 형태의 상부 절연통과 하부 절연통의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절연통 사이에는 가스켓이 매개되어 결합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절연통은 소정의 외측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는 매미고리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구조변경을 통해 동관을 반원관 형태로 제조하여 조립하므로 초고압 케이블 접속함의 접속을 보다 편리하고 진행하고, 보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조변경을 통해 동관의 제조단가를 크게 낮추어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동판 형태를 반원관 형태로 공정하는 것은 원통으로 작업하는 것에 비해 용이하고 비용이 적게 발생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결합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분리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5은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절연통의 좌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결합 측면도로서, 접속함의 형태가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결합 측면도로서, 보호관 연결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결합 측면도로서, 보호관 연결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결합 측면도로서, 보호관 연결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을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과 관련 설명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상대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 혹은 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결합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분리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B-B 단면도이고, 도 5은 도 1의 우측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절연통의 좌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1은 초고압 전력케이블 및 내부 절연재 및 접속 부품들은 생략되어 있으며, 그 외부에 접속되는 보호관과 절연통의 체결 구조만 보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고압 전력케이블의 접속함은 중간에 접속시키는 중간접속함과 케이블 말단에 말단처리를 위한 종단접속함이 존재하고, 이중에서 중간접속함은 절연접속함과 보통접속함으로 구분된다. 절연접속함은 접속함의 양쪽 금속 쉬스를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통이 매개되고 보통접속함은 보호관과 보호관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보이며, 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이 절연접속함이고 도 7이 보통접속함에 해당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초고압 전력케이블의 접속함의 외부는 제1 보호관(111), 절연통(113) 및 제2 보호관(112) 순으로 연결되며,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보호관(111)은 제1 상부 반원관(111a)과 제1 하부 반원관(111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며, 제2 보호관(112)은 제2 상부 반원관(112a)과 제2 하부 반원관(112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마찬가지로 절연통(113)은 상부 절연통(113a)과 하부 절연통(113b)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상부 반원관(111a, 112a)과 제1 및 제2 하부 보호관(111b, 112b) 각각은 제1 및 제2 가스켓(114a, 114b)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연결부재(116, 117)에 의해 체결될 수 있고, 상부 절연통(113a)과 하부 절연통(113b)은 제3 가스켓(115)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3 연결부재(118)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연결부재(116, 117, 118) 각각은 동일한 구조일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세 종류가 모두 다른 형태의 구조를 갖을 수 있으며 이는 선택적인 사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연결부재가 서로 다른 구조인 경우를 상정해서 설명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 가스켓(114a, 114b, 115)도 서로 동일한 구조일 수 있고 서로 다른 구조일 수 있으며, 가스켓을 제외한 반원관 간의 체결도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보호관(111, 112)과 절연통(113)의 결합 구조를 더 상세하게 알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116)에 의한 제1 및 제2 보호관(111, 112)의 체결 구조를 알 수 있다.
제1 상부 반원관(111a)과 제1 하부 반원관(111b)은 서로 선단부가 맞닿아 원통형 관의 제1 보호관(111)을 형성하며, 그 선단부에는 제1 보호관(111)의 길이 만큼의 제1 가스켓(114a)이 끼워진다.
제1 가스켓(114a)은 그 단면이 H자 모양을 가져서 상하 홈부분에 제1 상부 반원관(111a) 및 제1 하부 반원관(111b)의 양단이 끼워지게 되며, 제1 연결부재(116)에 의해 체결된다.
제1 연결부재(116)는 고리(116a)와 C형 클립(116b)으로 이루어지고, 제1 상부 및 제1 하부 반원관(111a, 111b)의 소정 위치에는 외측으로 개구된 고리(116a)가 부착되며, 서로 개구 부분이 반대방향으로 위치된다.
여기에, 그 개구된 부분으로 C자형 클립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제1 상부 및 제1 하부 반원관(111a, 111b)이 체결되면서 제1 가스켓(114a)에 의해 실링도 함께 되도록 한다.
제2 상부 반원관(112a) 및 제2 하부 반원관(112b)의 일측단에 형성된 제1 연결부재(116) 구조도 동일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상부 및 제1 하부 반원관(111a, 111b) 각각의 소정 위치에서 제2 연결부재(117)에 의한 체결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과 마찬가지로 상부와 하부 반원관의 선단부에는 H자형태의 제2 가스켓(114b)이 삽입될 수 있다. 제1 가스켓(114a)과 제2 가스켓(114b)은 그 형상은 동일하나 길이만 차이가 있을 뿐이다.
제1 상부 반원관(111a) 및 제1 하부 반원관(111b)의 선단에는 고리가 부착되며, 각각의 고리는 개구 부분이 서로 맞물리는 형태를 갖으며, 일측의 고리는 내측으로 위치하고(117a, 내측 고리) 타측의 고리는 외측으로 위치하는(117b, 외측 고리) 형태로 체결된다.
제2 연결부재(117)는 내측 고리(117a)와 외측 고리(117b)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다시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도 3에서와 도 4에서의 연결부재의 구조가 다른 이유는, 도 3의 경우는 양끝단에 위치이고 도 4의 경우는 접속된 상태에서의 안쪽 부분의 위치이다.
양끝단 부분은 C자형 클립을 쉽게 끼울 수 위치이나 중간 부분은 C자형 클립을 끼우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제2 연결부재(117)와 같이 쌍고리 형태로 서로 맞물리게 체결하도록 한 것으로서 연결의 용이성을 제공하기 위해 서로 다른 형태의 연결구조를 채택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보호관(112)에 대한 연결부재 부분의 C-C 및 D-D 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 보호관(112)의 연결 구조와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제2 보호관(1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외경이 상대적으로 큰 부분과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부분이 존재하고, 외경이 큰 쪽이 절연통(113)과 접속되고 외경이 작은 쪽이 전력케이블의 금속시스와 접속된다.
C-C 단면 부분은 외경이 큰 쪽으로서 제1 보호관(111)의 도 4에서와 같은 제2 연결부재(117)에 의해 연결되고, D-D 단면 부분은 외경이 작은 쪽으로서 제1 보호관(111)의 도 3에서와 같은 제1 연결부재(116)에 의해 연결되는 부분을 표시한다.
제2 보호관(112)도 제1 보호관(111)과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연결부재(116, 117)와 동일한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연결부재가 다른 이유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6를 참조하면, 절연통(113)의 E-E 및 F-F 단면도를 함께 표시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보호관(111, 112)의 연결 구조와는 달리, 상부 절연통(113a)과 하부 절연통(113b)은 서로 맞물리는 면에 제3 가스켓(115)이 삽입될 반원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그 홈 내부로 제3 가스켓(115)이 길이 방향으로 끼워진다.
제3 가스켓(115)의 단면 구조는 원형 구조이다.
상부 절연통(113a)과 하부 절연통(113b)의 고정은 제3 연결부재(118)에 의해 이루어지며, 제3 연결부재(118)의 형태는 매미고리 방식을 채택할 수 있고, 상부 절연통(113a)에 홈(118b)이 형성되고 하부 절연통(113b)에 고리(118a)가 형성되어 홈(118b)에 고리(118a)가 끼워지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부 절연통(113b)에 홈이 형성되고 상부 절연통(113a)에 고리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부 절연통(113a)에 홈과 고리가 나란히 형성되고 하부 절연통(113b)에 그에 대응하여 고리와 홈이 나란히 형성되는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결합 측면도로서, 접속함의 형태가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초고압 전력케이블의 접속함 중에서 금속 쉬스간의 절연이 이루어지도록 제1 보호관(111)과 제2 보호관(112) 사이에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절연통(113)이 매개되어 접속되는 절연접속함에 대한 구조이고, 도 7은 이와 달리 절연통(113)이 없이 보호관끼리 접속되어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보통접속함의 형태의 구조이다.
제1 보호관(111')과 제2 보호관(112')의 연결은 동관과 동관의 연결이 되므로 연결부위의 확대 도면과 같이 동관을 서로 끼운 상태에서 한쪽의 보호관의 'ㄱ'자 홈에 다른 쪽의 보호관의 탭을 끼워 회전시켜 보호관 서로를 결합시킬 수 있는 예시를 설명하고 있다.
제1 보호관(111')과 제2 보호관(112')의 연결 방식은 도 1 내지 도 5와 동일한 구조를 갖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결합 측면도로서, 보호관 연결 구조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결합 측면도로서, 보호관 연결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결합 측면도로서, 보호관 연결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앞서 설명드렸지만, 연결부재의 선택은 필요에 따른 것이며 도 1 내지 도 6의 연결부재 구조는 바람직한 예시일 뿐이다. 따라서, 도 8 내지 도 10과 같은 연결부재를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함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절연접속함만을 예시로 설명되지만 마찬가지로 보통접속함도 같은 방법으로 다양한 연결부재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다.
도 8은 제1 연결부재(116)와 비슷한 긴 형태의 C형 클립(216)을 여러군데 결합을 시킨 연결 형태를 나타내며 (A)는 절연접속함이고 (B)는 보통접속함의 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보호관(311, 312)의 연결은 제1 연결부재(316)인 C형 클립(316)을 이용하고 절연통(313)의 연결은 제3 연결부재(118)인 매미형 고리(318)를 이용한 연결 형태를 나타내며, 도 10은 보호관(411, 412)의 연결은 제2 연결부재(117)인 맞물림 고리(417)을 이용하고 절연통(413)의 연결은 매미형 고리(418)를 이용한 연결 형태를 나타내고, 다른 형태의 연결부재의 조합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기초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와 같은 단순한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벗어날 수 없음이 명백하다.
111, 111', 211, 311, 411 : 제1 보호관
112, 112', 212, 312, 412 : 제2 보호관
113, 213, 313, 413 : 절연통
114a, 414a : 제1 가스켓 114b, 414b : 제2 가스켓
115 : 제3 가스켓 116, 216, 316 : 제1 연결부재
117, 417 : 제2 연결부재 118, 318, 418 : 제3 연결부재

Claims (10)

  1. 보호관에 의해 외함을 이루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에 있어서,
    상기 보호관은 도전성 금속재로서 제1 및 제2 보호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보호관 각각은 상부 반원관 및 하부 반원관이 결합하여 원통형의 관을 이루는,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관 각각은 상기 상부 반원관 및 하부 반원관 사이에 가스켓이 매개되어 결합되고,
    상기 상부 반원관 및 하부 반원관은 소정의 외측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켓은 그 단면이 H자 모양이고, 상하 홈부분에 상기 상부 반원관 및 하부 반원관의 단부가 끼워지는,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고리와 C형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는 개구방향이 외측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반원관 각각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며,
    상기 C형 클립이 상기 고리의 개구된 부분에 체결되는, 반원관 결합 형태의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보호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내측 고리 및 외측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고리 및 외측 고리 각각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반원관에 부착되며,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체결되는, 반원관 결합 형태의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보호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결부재는 고리와 C형 클립을 포함하고, 상기 고리는 개구방향이 외측 방향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반원관 각각의 소정 위치에 부착되며, 상기 C형 클립이 상기 고리의 개구된 부분에 체결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내측 고리 및 외측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고리 및 외측 고리 각각은 상기 상부 또는 하부 반원관에 부착되며,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체결되는, 반원관 결합 형태의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보호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관이 좌우로 결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보호관의 좌측단부 및 상기 제2 보호관의 우측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제1 보호관 및 제2 보호관의 결합 중심 위치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형성되는,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보호관 사이에는 절연통이 연결되며,
    상기 절연통은 반원관 형태의 상부 절연통과 하부 절연통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절연통 사이에는 가스켓이 매개되어 결합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절연통은 소정의 외측 위치에서 하나 이상의 연결부재에 의해 체결되는,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매미고리 형태인, 반원관 결합 형태의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
KR1020160177701A 2016-12-23 2016-12-23 반원관 결합 형태의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접속 보호관 KR101994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701A KR101994434B1 (ko) 2016-12-23 2016-12-23 반원관 결합 형태의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접속 보호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701A KR101994434B1 (ko) 2016-12-23 2016-12-23 반원관 결합 형태의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접속 보호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4042A true KR20180074042A (ko) 2018-07-03
KR101994434B1 KR101994434B1 (ko) 2019-09-30

Family

ID=62918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701A KR101994434B1 (ko) 2016-12-23 2016-12-23 반원관 결합 형태의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접속 보호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4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3502A (zh) * 2018-10-26 2019-01-11 安庆市悦发管业有限公司 一种具有分隔管理电缆功能的保护管
CN111490500A (zh) * 2020-05-15 2020-08-04 朱昀 一种具有可拆式安装支架的电力电缆
CN112421555A (zh) * 2020-11-12 2021-02-2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断线修复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836B1 (ko) * 2009-03-30 2009-11-12 이의근 설치작업이 간편한 케이블 보호관
KR101016053B1 (ko) * 2010-11-30 2011-02-23 (유)전일기술단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
KR101181265B1 (ko) 2010-10-15 2012-09-10 (주)원컨덕터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
KR20140034993A (ko) * 2012-09-11 2014-03-21 대한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전력케이블 절연접속함의 절연통
KR101522595B1 (ko) * 2015-01-13 2015-05-28 금오테크(주) 지하에 매설된 지중송전 케이블 연결관
KR101550030B1 (ko) 2014-03-05 2015-09-07 주식회사 양양테크 초고압 전력케이블 절연접속함의 보호 및 절연 원통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836B1 (ko) * 2009-03-30 2009-11-12 이의근 설치작업이 간편한 케이블 보호관
KR101181265B1 (ko) 2010-10-15 2012-09-10 (주)원컨덕터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
KR101016053B1 (ko) * 2010-11-30 2011-02-23 (유)전일기술단 지중 송전케이블 보호시설
KR20140034993A (ko) * 2012-09-11 2014-03-21 대한전선 주식회사 초고압 전력케이블 절연접속함의 절연통
KR101550030B1 (ko) 2014-03-05 2015-09-07 주식회사 양양테크 초고압 전력케이블 절연접속함의 보호 및 절연 원통관
KR101522595B1 (ko) * 2015-01-13 2015-05-28 금오테크(주) 지하에 매설된 지중송전 케이블 연결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93502A (zh) * 2018-10-26 2019-01-11 安庆市悦发管业有限公司 一种具有分隔管理电缆功能的保护管
CN111490500A (zh) * 2020-05-15 2020-08-04 朱昀 一种具有可拆式安装支架的电力电缆
CN112421555A (zh) * 2020-11-12 2021-02-26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断线修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434B1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4042A (ko) 반원관 결합 형태의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접속 보호관
WO2017146256A1 (ja) カレントトランス
CN110676779B (zh) 穿墙套管
CN105840931A (zh) 一种低压流体输送系统英制导管的柔性连接件
CN104763441A (zh) 一种盾构隧道管片纵缝接头
KR101181265B1 (ko) 초고압 전력케이블 접속함의 보호관
CN212543260U (zh) 一种抗压性能强的电力电缆铺设管道
CN210440778U (zh) 一种无固定双向直埋内压波纹补偿器
KR20140006534A (ko) 축관 및 확관에 의해 형성된 전력케이블 접속함용 보호관
CN204243671U (zh) 一种特高压直流穿墙套管中心导电管组件
CN104505784A (zh) 一种特高压直流套管接头
CN104100805A (zh) 一种液化天然气管道保温管壳
CN205606032U (zh) 能够连接电缆的管接头
CN103249974A (zh) 耐压流体罩
US2341066A (en) Metal pipe
CN211083188U (zh) 一种防止gr管道脱离的管道连接器
US11614195B2 (en) Extended range encapsulation shell
KR101482926B1 (ko) 초고압 전력케이블 절연접속함의 절연통 체결 구조
CN217421214U (zh) 一种拼接装配式带滑槽地铁盾构管片预制构件
US20130233614A1 (en) High-voltage bushing for dc voltage
CN215173184U (zh) 一种聚四氟乙烯补偿器
CN204829050U (zh) 带有锁紧止退槽的胶管接头
CN214770094U (zh) 一种管道对口器
KR102076918B1 (ko) 파형관 연결용 연결밴드조립체
CN220706737U (zh) 一种补偿器及电预热管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