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972A - The fixed structure of battery module-pack housing using plastic laser welding - Google Patents

The fixed structure of battery module-pack housing using plastic laser weld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972A
KR20180073972A KR1020160177569A KR20160177569A KR20180073972A KR 20180073972 A KR20180073972 A KR 20180073972A KR 1020160177569 A KR1020160177569 A KR 1020160177569A KR 20160177569 A KR20160177569 A KR 20160177569A KR 20180073972 A KR20180073972 A KR 20180073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module
housing
cell assembly
pack
laser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78762B1 (en
Inventor
김재영
엄영섭
성준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60177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8762B1/en
Publication of KR20180073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9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8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87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wave energy, i.e.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particle radiation
    • B29C65/16Laser beams
    • B29C65/1629Laser beam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heating the interface
    • B29C65/1635Laser beam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heating the interface at least passing through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i.e. laser transmission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81Housings or casings incorporating or embedd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for fixating a battery module and a pack housing using plastic laser welding, more specifically, fixating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by using the plastic laser welding without other special components or mechanisms to reduce failures or damages to a cell assembly or other various components even though vibration or shock is applied to a battery pack as well as to stably couple and fixate each component including the cell assembly within a housing of the battery pack; fixating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by using the plastic laser welding to reduce cost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and also to use a space for fixation with a structure of bolts and nuts or pins and holes in the conventional art; fixating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by using the plastic laser welding to make the battery pack compact because an addition space for coupling and fixation is not much needed while stably fixating the cell assembly and electrical components; and fixating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by using the plastic laser welding to simply and easily assemble the battery pack while stably fixating the cell assembly and electrical component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cell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nd a lower housing holding the cell assembly, wherein a lower part of the cell assembly is fixatedly welded to the lower housing.

Description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The fixed structure of battery module-pack housing using plastic laser weldin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별다른 부품이나 기구물을 사용하지 않고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하우징 내에서 셀 어셈블리를 비롯한 각 구성요소가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셀 어셈블리나 다른 여러 구성요소에 고장이나 손상이 발생할 염려가 줄어들 수 있고,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거나 핀-홀 구조로 고정하는 종래와는 달리, 배터리 모듈을 제작하는 비용이나 공정이 감소될 수 있음은 물론 볼트와 너트, 핀(pin)-홀(hole) 구조로 고정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셀 어셈블리 및 전장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결합 고정을 위한 추가 공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 배터리 팩의 컴팩트화에 부응할 수 있고,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셀 어셈블리 및 전장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배터리 팩의 조립이 복잡하지 않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allows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to be fixed by using plastic laser welding without using any parts or mechanisms but also allows each component including the cell assembly to be stably engaged and fixed within the housing of the battery pack , Even if the battery pack is subjected to vibrations or shocks, there is less risk of failure or damage to the cell assembly or other components, and the battery module and pack housing are secured with plastic lasers to secure them with bolts and nuts Unlike the conventional method of fixing the battery pack in a pin-and-hole structure, the cos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can be reduced, and a space for fixing the battery module using a bolt, nut, or pin- By fixing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using plastic laser welding, The battery pack and the pack housing can be fixed by using the plastic laser welding, so that the cell assembly and the electrical parts can be fixed to each oth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ing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and a pack housing using plastic laser welding, which can be stably fixed but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complicating the assembly of the battery pack.

근래에 노트북, 비디오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 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demand for portabl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notebook computers, video cameras, and portable telephones has rapidly increased, and development of electric vehicles, storage batteries for energy storage, robots, and satellites has become full-scale, Research on batteries is actively under way.

현재 상용화된 이차 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 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 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The secondary rechargeable batteries are nickel-cadmium batteries, nickel-hydrogen batteries, nickel-zinc batteries, and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mong them,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almost no memory effect compared to nickel- It is very popular because of its low self-discharge rate and high energy density.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주로 리튬계 산화물과 탄소재료를 각각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로 사용한다. 리튬 이차 전지는, 이러한 양극 활물질과 음극 활물질이 각각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전극 조립체와, 전극 조립체를 전해액과 함께 밀봉 수납하는 외장재, 즉 전지 케이스를 구비한다.Such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ainly uses a lithium-based oxide and a carbon material as a cathode active material and an anode active material, respectively.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a negative electrode plate each coated with such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re disposed with a separator interposed therebetween, and an outer casing, that is, a battery case, for sealingly storing the electrode assembly together with the electrolyte solution.

일반적으로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 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Generally,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classified into a can 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metal can, and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n which an electrode assembly is embedded in a pouch of an aluminum laminate shee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asing.

최근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와 같은 소형 장치뿐 아니라, 자동차나 전력저장장치와 같은 중대형 장치에도 이차 전지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탄소 에너지가 점차 고갈되고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In recent years, secondary batteries are widely used not only in small-sized devices such a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but also in medium to large-sized devices such as automobiles and electric power storage devices. Particularly, as carbon energy is getting depleted and the interest in the environment is increasing, attention is focused on hybrid cars and electric cars worldwide, including the US, Europe, Japan, and Korea.

이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 부품은 차량 모터로 구동력을 부여하는 배터리 팩이다.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 팩의 충방전을 통해 차량의 구동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엔진만을 이용하는 자동차에 비해 연비가 뛰어나고 공해 물질을 배출하지 않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들이 점차 크게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in such hybrid vehicles and electric vehicles are battery packs that give drive power to vehicle motors. Since hybrid vehicles and electric vehicles can obtain the driving force of the vehicle through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battery pack, the fuel efficiency is higher than that of the vehicle using only the engine, and the users are increasingly increasing in terms of not discharging or reducing pollutants. to be.

일반적으로 배터리 팩에는,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집합체인 셀 어셈블리와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전류센서, 릴레이 및 퓨즈 등의 전장품이 하우징 내에 포함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터리 팩을 구성함에 있어서, 하우징 내에 셀 어셈블리를 비롯한 여러 배터리 팩의 구성요소들을 어떻게 결합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battery pack includes a cell assembly, which is a secondary battery assembly including at least one secondary battery, and an electrical component such as a BMS (battery management system), a current sensor, a relay, and a fuse. In constructing such a battery pack, the problem of how to combine the components of various battery packs, including the cell assembly, in the housing is very important.

더욱이, 배터리 팩은 진동이나 충격 등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힘을 받을 수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포함한 전기 자동차에 장착되는 배터리 팩의 경우, 차량 특성상 진동이나 충격 등에 자주 노출될 수 있으며, 그 강도 또한 작지 않다. Furthermore, the battery pack may receive physical force from the outside such as vibration or impact. 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battery pack mounted on an electric vehicle including a hybrid vehicle, the battery pack may be frequently exposed to vibrations, impacts, and the like, and its strength is not so small.

따라서, 이러한 외부의 물리적인 힘에도 배터리 팩의 각 구성요소가 고장이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셀 어셈블리를 비롯한 배터리 팩의 각 구성요소가 하우징 내에서 이동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될 필요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components of the battery pack from being damaged or broken even with such external physical force, it is necessary that each component of the battery pack, including the cell assembly, is stably engaged and fixed within the housing.

그런데, 종래 배터리 팩 구성에 의하면, 셀 어셈블리 등 각 구성요소가 하우징 내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 배터리 팩 구성의 경우, 하우징 내에서 셀 어셈블리의 고정은 셀 어셈블리의 하면 또는 옆면을 고정하는 방식이 대표적으로 이용되었다. 그런데, 옆면 고정 방식의 경우, 연결 고정을 위한 공간이 셀 어셈블리의 옆면에 일정 수준 이상 필요하므로, 협소한 내부 공간을 갖는 배터리 팩에는 쉽게 적용되지 못하며, 적용시 배터리 팩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battery pack configuration, each component such as a cell assembly can not be stably coupled into the housing.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battery pack configuration, the fixing of the cell assembly in the housing is typically used in a manner of fixing the bottom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cell assembly. However, in the case of the side surface fixing method, since a space for fixing the connection is required to a certain level or more on the side surface of the cell assembly, it is not easily applied to a battery pack having a narrow internal space, and the battery pack becomes bulky when applied .

또한, 고정 방식의 경우, 배터리 팩에 충격 등이 가해질 때, 셀 어셈블리의 하면 고정 부분에 충격이 집중되어 고정 부분이 파손되고 이로 인해 셀 어셈블리를 비롯하여 배터리 팩이 파손되거나 고장이 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ixed type, when a shock is applied to the battery pack, a shock is concentrated on the bottom fixing portion of the cell assembly and the fixing portion is broken. As a result, the cell assembly and the battery pack may be damaged or broken have.

또한,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에서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는 부분(점선 원 부분)의 구조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attery module and a pack housing.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dotted circle) of a conventional battery module and a pack housing fixed by bolts and nuts Fig.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tructure in detail.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에서 볼트(30)와 너트(31)로 고정하는 구조를 살펴보면, 배터리 모듈(10)과 팩 하우징(20)을 볼트(30)와 너트(31)로 고정하고(도 1과 도 2에 도시함)있으며, 상기의 고정방식 외에도 카트리지(cartridge)와 팩 하우징에 핀(pin)-홀(hole) 기구부를 만들어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1 and 2, the battery module 10 and the pack housing 20 are fixed by the bolts 30 and the nuts 31 in the fixing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1 and 2). In addition to the above fixing method, a pin-hole mechanism is formed in the cartridge and the pack housing, .

그런데, 이와 같은 경우 중에서 볼트(30)와 너트(31)를 사용하여 고정하면, 볼트와 너트의 구입하는 비용이 소요되는 것뿐만 아니라, 볼트와 너트를 위한 내부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이외의 방식 중에서 핀(pin)-홀(hole) 기구부를 사용하면, 핀(pin)과 홀(hole)의 공간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if the bolts 30 and the nuts 31 are fastened to each other in such a case, not only the cost of purchasing the bolts and the nuts, but also the internal space for the bolts and the nuts are required. However, if a pin-hole mechanism is used among other methods,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space for a pin and a hole is further required.

그러므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별다른 부품이나 기구물을 사용하지 않고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하여 배터리 팩의 하우징 내에서 셀 어셈블리를 비롯한 각 구성요소가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셀 어셈블리나 다른 여러 구성요소에 고장이나 손상이 발생할 염려가 줄어들 수 있고,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하여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거나 핀(pin)-홀(hole) 구조로 고정하는 종래와는 달리, 배터리 모듈을 제작하는 비용이나 공정이 감소될 수 있음은 물론 볼트와 너트, 핀(pin)-홀(hole) 구조로 고정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하여 셀 어셈블리 및 전장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결합 고정을 위한 추가 공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 배터리 팩의 컴팩트화에 부응할 수 있는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ix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by using plastic laser welding without using any parts or mechanisms, so that each component including the cell assembly can be stably engaged and fixed in the housing of the battery pack, Even if the pack is subjected to vibrations or shocks, the risk of failure or damage to the cell assembly or other components can be reduced, and the battery module and pack housing can be secured using plastic laser welding, secured with bolts and nuts, ) - hole structure, the cos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can be reduced, and the space for fixing the battery module with the bolt, nut, and pin-hole structure can be utilized And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are secured using plastic laser welding to remove the cell assembly and electrical components It is required to develop a fixing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and a pack housing by using plastic laser welding which can fix the battery pack securely and does not require a lot of additional space for fixing the battery pack.

한국공개특허 10-2014-0018027(2014.02.17.)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4-0018027 (Feb.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착상된 것으로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별다른 부품이나 기구물을 사용하지 않고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하우징 내에서 셀 어셈블리를 비롯한 각 구성요소가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셀 어셈블리나 다른 여러 구성요소에 고장이나 손상이 발생할 염려가 줄어들 수 있는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pack and a battery pack in which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are fixed by using plastic laser welding without using any parts or equipment,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using the plastic laser welding which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breakdown or damage to the cell assembly or other various components even when the battery pack is subjected to vibration or shock, So as to provide a fixed structure.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거나 핀(pin)-홀(hole) 구조로 고정하는 종래와는 달리, 배터리 모듈을 제작하는 비용이나 공정이 감소될 수 있음은 물론 볼트와 너트, 핀-홀 구조로 고정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modul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in which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are fixed by using plastic laser welding and fixed by bolts and nuts or fixed by a p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ing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and a pack housing using plastic laser welding that can utilize a space for fixing a bolt, a nut, and a pin-and-hole structure.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셀 어셈블리 및 전장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결합 고정을 위한 추가 공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 배터리 팩의 컴팩트화에 부응할 수 있는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x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by using plastic laser welding so that the cell assembly and the electrical parts can be stably fixed, And to provide a fix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using the plastic laser welding that can cope with the problem.

또 다른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셀 어셈블리 및 전장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배터리 팩의 조립이 복잡하지 않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stic laser welding method capable of stably fixing a battery assembly and an electrical component by fixing a battery module and a pack housing using plastic laser welding, And a battery pack having a battery pac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는 다수의 이차전지를 구비하는 셀 어셈블리; 및 상기 셀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로워 하우징(lower housing); 을 포함하고, 상기 셀 어셈블리의 하부와 상기 로워 하우징(lower housing)을 용접에 의해 접합하여 고정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module and a pack housing fixing structure using plastic laser welding, including: a cell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nd a lower housing for housing the cell assembly; And the low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re welded to each other and fixed to each other.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로워 하우징(lower housing)의 재질은 레이저 투과 레진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of the lower housing may be a laser-transmissive resin.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셀 어셈블리 하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재질은 레이저 흡수 레진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terial of the cartridg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cell assembly is a laser absorbing resin.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투과 레진은 아크릴수지, AS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염화비닐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ser-transmissive resin may be selected from acrylic resin, AS resin, polystyrene, polycarbonate, and vinyl chloride resin.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흡수 레진은 광중합 복합 수지이고, epoxy resin을 methyl methacrylate와 반응시킨 BIS-GMA 또는 dimethacrylate이며, 여기에 보강제 역할을 하는 silica와 같은 충전재가 첨가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ser absorbing resin is a photopolymerizable resin, BIS-GMA or dimethacrylate in which an epoxy resin is reacted with methyl methacrylate, and a filler such as silica, which acts as a reinforcing agent, is added. do.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셀 어셈블리의 하부와 상기 로워 하우징(lower housing)을 스폿 용접,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중 어느 하나의 접합수단에 의해 접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cell assembly and the lower housing are fixedly joined together by any one of spot welding, laser welding, and ultrasonic welding.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a power storage device.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하므로 별다른 부품이나 기구물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 모듈을 제작하는 비용이나 공정이 감소될 수 있으며, 볼트와 너트, 핀-홀 구조로 고정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are fixed using plastic laser welding, the cos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can be reduced without using any parts or equipment, and the bolts and nuts, And a space for fixing by a hole structure can be utilized.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셀 어셈블리는 다수의 이차 전지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의 집합체이며, 다수의 이차 전지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 assembly is an assembly of a plurality of secondary cells, and the plurality of secondary cells is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상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용접에 사용한 레이저는 ND;YAG 레이저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ser used for the laser welding may be an ND: YAG laser.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fix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using the plastic laser we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별다른 부품이나 기구물을 사용하지 않고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하우징 내에서 셀 어셈블리를 비롯한 각 구성요소가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셀 어셈블리나 다른 여러 구성요소에 고장이나 손상이 발생할 염려가 줄어들 수 있다. Fir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are fixed by using plastic laser welding without using any parts or equipment, so that each component including the cell assembly can be stably engaged and fixed in the housing of the battery pack In addition, even if the battery pack is subjected to vibrations or shocks, there is less chance of failure or damage to the cell assembly or other components.

둘째,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거나 핀-홀 구조로 고정하는 종래와는 달리, 배터리 모듈을 제작하는 비용이나 공정이 감소될 수 있음은 물론 볼트와 너트, 핀-홀 구조로 고정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Secondly, 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are fixed by using plastic laser welding and fixed with a bolt and a nut or fixed with a pin-hole structure, the cost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can be reduc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tilize a space for fixing the bolt, the nut, and the pin-hole structure.

셋째,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셀 어셈블리 및 전장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결합 고정을 위한 추가 공간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 배터리 팩의 컴팩트화에 부응할 수 있다. Thirdly, since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are fixed by using the plastic laser welding, the cell assembly and the electrical parts can be stably fixed, and the additional space for the engagement and fixing is not needed much, .

넷째, 본 발명은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셀 어셈블리 및 전장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배터리 팩의 조립이 복잡하지 않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Fourt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are fixed by plastic laser welding, so that the cell assembly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can be stably fixed, and the assembling of the battery pack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complication.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에서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는 부분(점선 원 부분)의 구조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에서 레이저 용접하는 부분(점선 원 부분)의 구조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x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attery module and a pack housing. FIG.
FIG. 2 is an enlarged view showing in detail the structure of a portion (dotted circle portion) to be fixed by a bolt and a nut in a fix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battery module and a pack housing.
3 is a view illustrating a fixing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and a pack housing using plastic laser we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detail view of a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using a plastic laser we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rtion (dotted circle portion) for laser welding in a fixing structure of a pack housing. FIG.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며,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인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or configurations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the custom of the user or the operator. It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describing the fixing structure of the pack housing.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에서 레이저 용접하는 부분(점선 원 부분)의 구조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fixing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and a pack housing using plastic laser we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 And the portion of the laser welding in the fixed structure of the pack housing (dotted circle portion) is enlarged and shown in detail.

상기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는 셀 어셈블리(100), 배터리 모듈(110), 카트리지(cartridge)(120), 전장 플레이트(200), 로워 하우징(300), 용접부위(310), 어퍼 하우징(400) 등을 포함한다.The fix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using the plastic laser welding includes a cell assembly 100, a battery module 110, a cartridge 120, an electric plate 200, a lower housing 300, 310, an upper housing 400, and the like.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는 다수의 이차전지를 구비하는 셀 어셈블리(100); 및 상기 셀 어셈블리(100)를 수납하는 로워 하우징(lower housing)(300); 을 포함하고, 상기 셀 어셈블리(100)의 하부와 상기 로워 하우징(lower housing)(300)을 용접에 의해 접합하여 고정한 것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3 to 4, the fix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using plastic laser welding includes a cell assembly 100 hav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 lower housing 300 for housing the cell assembly 100; And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ell assembly 100 and the lower housing 300 by welding and fixing them.

상기 본 발명인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를 구성하는 기술적 수단들의 기능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The functions of the technical means constituting the fix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using the plastic laser we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 셀 어셈블리(100)는 하나 이상의 이차 전지를 구비하며, 배터리 모듈(110)을 포함한다. 특히, 배터리 팩에 있어서, 상기 셀 어셈블리(100)는 다수의 이차 전지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의 집합체일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이차 전지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일 수 있다. 이 경우,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일 방향, 이를테면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The cell assembly 100 includes at least one secondary battery, and includes a battery module 110. In particular, in the battery pack, the cell assembly 100 may be an aggregate of secondary cells having a plurality of secondary cells. Here,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may be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In this case,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may be formed in a stacked state in one direction, such as a vertical direction.

한편, 셀 어셈블리(100)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적층을 위한 적층용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용 프레임은 이차 전지를 적층하는데 이용되는 구성요소로서, 이차 전지를 홀딩하여 그 유동을 방지하고, 상호 적층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차 전지의 조립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러한 적층용 프레임은 카트리지(120) 등 다른 다양한 용어로 대체될 수 있으며, 중앙 부분이 비어 있는 사각 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층용 프레임의 네 모서리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외주부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Meanwhile, the cell assembly 100 may include a stacking frame for stacking pouch type secondary batteries. Such a frame for laminating is a component used for laminating secondary batteries, which can hold the secondary batteries to prevent the secondary batteries from flowing, and can stack mutually, thereby guiding the assembling of the secondary batteries. This stacking frame may be replaced with various other terms such as cartridge 120,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quare ring with an empty central portion. In this case, the four corners of the stacking frame can be respectively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상기 로워 하우징(lower housing)(300)은 상기 셀 어셈블리(100)를 수납하는 것이며, 상기 로워 하우징(lower housing)(300)의 재질은 레이저 투과 레진이고, 상기 셀 어셈블리(100) 하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120)의 재질은 레이저 흡수 레진인 것이다.The lower housing 300 accommodates the cell assembly 100 and the lower housing 300 is made of a laser transmissive resin and is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ell assembly 100 The material of the cartridge 120 is a laser absorbing resin.

여기서, 상기 로워 하우징(lower housing)(300)의 재질인 레이저 투과 레진은 아크릴수지, AS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염화비닐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한다.Here, the laser-transmissive resin, which is a material of the lower housing 300, includes one selected from acrylic resin, AS resin, polystyrene, polycarbonate, and vinyl chloride resin.

또한, 상기 셀 어셈블리(100) 하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120)의 재질인 레이저 흡수 레진은 광중합 복합 수지이고, epoxy resin을 methyl methacrylate와 반응시킨 BIS-GMA 또는 dimethacrylate이며, 여기에 보강제 역할을 하는 silica와 같은 충전재가 첨가한 것이다.The laser absorption resin, which is a material of the cartridge 120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cell assembly 100, is a photopolymerizable resin, BIS-GMA or dimethacrylate in which an epoxy resin is reacted with methyl methacrylate, and silica And the like.

상기 전장 플레이트(200)는 상부와 하부에 넓은 면을 가진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장 플레이트(200)의 넓은 상부면에는 전장품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The electric field plate 20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wide surfac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 electrical component can be mounted on a wide upper surface of the electrical component plate 200.

상기 전장 플레이트(200)는 어퍼 하우징(400)의 외부로 노출되는 팩 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팩 단자는 외부의 충방전 기기를 배터리 팩에 연결할 때 이용되는 단자로서, 양극 팩 단자와 음극 팩 단자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The full length plate 200 may have a pack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housing 400. Such a pack terminal is a terminal used for connecting an external charge / discharge device to a battery pack, and may include a positive electrode pack terminal and a negative electrode pack terminal.

또한, 상기 전장 플레이트(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어셈블리(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면, 셀 어셈블리(100)와 전장 플레이트(200)의 조립이 용이하고, 전장 플레이트(200)에 장착된 전장품과 셀 어셈블리(100)의 연결 또한 용이해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장 플레이트(200)에 장착된 전장품의 상부 방향으로의 분리가 용이해지고, 상부 방향에서의 장착이 용이해져, 각 전장품에 대한 교체가 손쉽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Also, the electric field plate 200 may be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cell assembly 100, as shown in FIG.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easy to assemble the cell assembly 100 and the electric field plate 200, and the connection of the electric component mounted on the electric field plate 200 and the cell assembly 100 can be facilitated. In addition, the electrical components mounted on the electrical component plate 200 can be easily separat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mounting in the upward direction is facilitated, and the electrical components can be easily replaced.

상기 로워 하우징(300)은 이러한 내부 공간에 셀 어셈블리(100) 및 전장 플레이트(200)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로워 하우징(300)은 배터리 팩에 있어서, 외장재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배터리 팩에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고, 충격이나 물질 등 외부의 다른 물리적인 요소로부터 셀 어셈블리(100) 및 전장 플레이트(200)와 같은 내부에 수납된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The lower housing 300 can house the cell assembly 100 and the electric plate 200 in the inner space. Since the lower housing 300 can serve as a casing for the battery pack, the lower housing 300 can provide structural stability to the battery pack and can prevent the cell assembly 100 and the electric plate 200 And the like can be protected.

상기 어퍼 하우징(upper housing)(400)은 로워 하우징(300)의 상부에 위치하여, 로워 하우징(300)의 상부 개방된 부분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어퍼 하우징(400)은 상기 로워 하우징(300)의 개방부를 커버하므로 셀 어셈블리(100) 및 전장 플레이트(200) 등 여러 구성요소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보호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The upper housing 400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300 to cover the upper open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300. That is, the upper housing 400 covers the open portion of the lower housing 300, so that various components such as the cell assembly 100 and the electric plate 200 can be protected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여기서, 상기 어퍼 하우징(400)은 상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형태로 내부에 빈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셀 어셈블리(100) 및 전장 플레이트(200) 중 적어도 일부분이 이러한 어퍼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수납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At least a part of the cell assembly 100 and the electric plate 2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housing 400, .

상기 셀 어셈블리(100)의 하부와 상기 로워 하우징(lower housing)(300)을 용접에 의해 접합하여 고정한 것이다.The lower portion of the cell assembly 100 and the lower housing 300 are welded together and fixed.

여기서, 상기 셀 어셈블리(100)의 하부와 상기 로워 하우징(lower housing)(300)을 스폿 용접,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중 어느 하나의 접합수단에 의해 용접부위(310)에 접합 고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술한 용접 방법 중에서 레이저 용접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cell assembly 100 and the lower housing 300 are fixedly joined to the welding portion 310 by any one of spot welding, laser welding, and ultrasonic welding. Here, laser welding is most preferable among the welding methods described above.

상기 스폿용접(spot welding)은 저항용접 또는 점용접이라고도 하며, 2장의 금속판을 전극으로 하고 그 사이에 단시간 단락전류를 흘리면 전극 사이의 접촉 저항에 의한 발열로 용융 상태에 이르며 전극의 가압으로 용융 부분을 형성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이다.The spot welding is also referred to as resistance welding or spot welding. When two short metal plates are used as an electrode and a short-circuit short-circuit current is passed between them, heat is generated due to contact resistance between the electrodes, Is formed.

상기 레이저용접(laser beam welding)은 레이저의 에너지로 점(點)용접을 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서, 레이저로 발생시킨 에너지는 유도방출이라 불리는 원자 변화에 의해 고도의 강도로 증폭된다. 이러한 레이저의 특성을 이용하여 높은 에너지의 레이저를 광학렌즈를 통하여 원하는 지점에 쏘아주어 순간 에너지 상승으로 인한 모재의 용융(고체가 녹아 액체로 되는 일)을 이용한 용접이 레이저 용접인 것이다. 특히, 고밀도 에너지를 열원으로 이용하는 고출력 ND;YAG 레이저는 점 용접과 이음 용접 및 정밀 작업과 전자 기술 분야에서 요구되는 작업에 적합하다. 이때, 레이저 용접이 지니고 있는 특수성은 1.06m에 달하는 파장 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ND;YAG 레이저는 광섬유를 이용하므로 에너지의 시간 분할, 분기 및 배치가 용이하다. Laser beam welding refers to a method of performing point welding with the energy of a laser. The energy generated by the laser is amplified to a high intensity by an atom change called an induced emission.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such a laser, a high energy laser is shot through an optical lens at a desired spot, and laser welding is performed using melting of the base material due to an instantaneous energy rise (the solid is dissolved into liquid). In particular, the high output ND; YAG laser, which uses high density energy as a heat source, is suitable for spot welding, joint welding, At this time, the specificity possessed by laser welding is a wavelength of 1.06 m. In addition, since the ND; YAG laser uses optical fiber, time division, branching and placement of energy is easy.

상기 초음파 용접(ultrasonic welding)은 적당한 전도부를 통하여 초음파를 가하여 그 진동 에너지로 가열한 다음 적당히 가압하여 용접시키는 방법을 말하는데, 구체적으로 초음파 용접은 용접물을 겹쳐서 용접팁과 하부 앤빌사이에 끼워 놓고 압력을 가하면서 18kHz이상의 초음파 주파수로 횡 진동을 주어 그 진동 에너지에 의해 전동마찰열을 발생시켜 압접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이다.Ultrasonic welding refers to a method of applying ultrasonic waves through a suitable conductive part to heat the material with its vibration energy and pressurizing it with moderate pressure. Specifically, ultrasonic welding is performed by putting a welding material between the welding tip and the lower anvil, And a transverse vibration is applied at an ultrasonic frequency of 18 kHz or more to generate electric friction heat by the vibration energy and to make the pressure contact.

여기서, 상기 초음파 용접(ultrasonic welding)은 냉간 압접에 비해 압력이 작아 용접물의 변형률도 작고, 용접물의 표면처리가 간단하다. 또한, 압연한 그대로의 재료도 용접이 쉽고, 극히 얇은 판이나 필름등도 쉽게 용접할 수 있으며, 이중 금속의 용접도 가능하다. 그리고 판의 두께에 따라 용접 강도가 현저하게 변화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Here, the ultrasonic welding has a smaller pressure than that of the cold welding, so that the deformation of the welding material is small and the surface treatment of the welding material is simple. In addition, the material as it is rolled can be easily welded, and an extremely thin plate or film can be easily welded, and double metal welding is also possible. And the welding strength varies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plate.

그러므로 상술한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는 상기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하므로 별다른 부품이나 기구물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 모듈을 제작하는 비용이나 공정이 감소될 수 있으며, 볼트와 너트, 핀(pin)-홀(hole) 구조로 고정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배터리 팩의 하우징 내에서 셀 어셈블리를 비롯한 각 구성요소가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 팩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셀 어셈블리나 다른 여러 구성요소에 고장이나 손상이 발생할 염려가 줄어들 수 있고,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셀 어셈블리 및 전장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도 배터리 팩의 조립이 복잡하지 않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the fix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using the above-described plastic laser welding fixes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by using the plastic laser welding, so that the cost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And it is possible to utilize a space for fixing by a bolt, a nut, and a pin-hole structure. In addition, not only the components including the cell assembly can be stably engaged and fixed in the housing of the battery pack, but even if vibration or shock is applied to the battery pack, the cell assembly or various other components may be damaged or damaged And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are fixed by using the plastic laser welding so that the cell assembly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can be stably fixed and the assembly of the battery pack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complic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not.

상술한 바와 같은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는 LEV(Light Electronic Vehicle),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으므로 그 적용대상이 광범위한 것이다. The fix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using the above-described plastic laser welding is selected and appli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EV (Light Electronic Vehicle), electric vehicle, hybrid electric vehicle,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electric power storage device The scope of application is broad.

100 : 셀 어셈블리 110 : 배터리 모듈
120 : 카트리지(cartridge) 200 : 전장 플레이트
300 : 로워 하우징(lower housing) 310 : 용접부위
400 : 어퍼 하우징
100: cell assembly 110: battery module
120: cartridge 200: full length plate
300: lower housing 310: welded area
400: upper housing

Claims (10)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다수의 이차전지를 구비하는 셀 어셈블리;
및 상기 셀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로워 하우징(lower housing); 을 포함하고, 상기 셀 어셈블리의 하부와 상기 로워 하우징(lower housing)을 용접에 의해 접합하여 고정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
In a fixing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and a pack housing using plastic laser welding,
A cell assembly having a plurality of secondary cells;
And a lower housing for housing the cell assembly; And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ell assembly to the lower housing by welding to fix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using the plastic laser weld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하우징(lower housing)의 재질은 레이저 투과 레진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terial of the lower housing is a laser-transmissive resin, and the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is made using plastic laser weld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어셈블리 하부에 장착되는 카트리지의 재질은 레이저 흡수 레진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terial of the cartridg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ell assembly is a laser absorbing resi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투과 레진은 아크릴수지, AS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염화비닐수지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aser transmitting resin comprises an acrylic resin, an AS resin, a polystyrene, a polycarbonate, and a vinyl chloride resin, and fixing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using the plastic laser welding.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흡수 레진은 광중합 복합 수지이고, epoxy resin을 methyl methacrylate와 반응시킨 BIS-GMA 또는 dimethacrylate이며, 여기에 보강제 역할을 하는 silica와 같은 충전재가 첨가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
The method of claim 3,
The laser-absorbing resin is a photopolymerizable resin, BIS-GMA or dimethacrylate in which an epoxy resin is reacted with methyl methacrylate, and a filler such as silica, which acts as a reinforcing agent, is added. Fixed structure of battery module and pack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어셈블리의 하부와 상기 로워 하우징(lower housing)을 스폿 용접, 레이저 용접, 초음파 용접 중 어느 하나의 접합수단에 의해 접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ower portion of the cell assembly and the lower housing are fixedly joined to each other by means of any one of spot welding, laser welding and ultrasonic welding. .
제 1항에 있어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및 전력저장장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electric vehicle, a hybrid electric vehicle, a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and a power storage device. And a fixing structure of the pack housing.
제 1항에 있어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을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사용하여 고정하므로 별다른 부품이나 기구물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 모듈을 제작하는 비용이나 공정이 감소될 수 있으며, 볼트와 너트, 핀(pin)-홀(hole) 구조로 고정하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Because the battery module and the pack housing are fixed using plastic laser welding, the cost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battery module can be reduced without using any other parts or equipment, and the bolt and nut, pin- And a space for fixing the battery module to the battery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 어셈블리는 다수의 이차 전지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의 집합체이며, 다수의 이차 전지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ell assembly is an assembly of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nd the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is a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용접에 사용한 레이저는 ND;YAG 레이저인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레이저 용접을 이용한 배터리 모듈과 팩 하우징의 고정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aser used for the laser welding is an ND; YAG laser.
KR1020160177569A 2016-12-23 2016-12-23 The fixed structure of battery module-pack housing using plastic laser welding KR1021787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569A KR102178762B1 (en) 2016-12-23 2016-12-23 The fixed structure of battery module-pack housing using plastic laser we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569A KR102178762B1 (en) 2016-12-23 2016-12-23 The fixed structure of battery module-pack housing using plastic laser weld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972A true KR20180073972A (en) 2018-07-03
KR102178762B1 KR102178762B1 (en) 2020-11-13

Family

ID=6291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569A KR102178762B1 (en) 2016-12-23 2016-12-23 The fixed structure of battery module-pack housing using plastic laser weld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8762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0086A (en) * 2020-02-25 2020-05-26 四川国创成电池材料有限公司 Modularization laminate polymer battery group and consumer
CN111244354A (en) * 2020-02-25 2020-06-05 四川国创成电池材料有限公司 Soft packet of lithium cell and consumer
KR102332803B1 (en) 2020-11-10 2021-12-01 주식회사 모아 Vehicle Battery Laser Welding Device with Cooling Device
KR102369375B1 (en) 2020-11-10 2022-03-02 주식회사 모아 Vehicle Battery Laser Welding Device
WO2022108145A1 (en) * 2020-11-17 2022-05-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8027A (en) 2012-08-03 2014-02-12 삼성전기주식회사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KR20140068326A (en) * 2012-11-27 2014-06-0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US20160064702A1 (en) * 2014-08-26 2016-03-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Welding process for sealing a battery modu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8027A (en) 2012-08-03 2014-02-12 삼성전기주식회사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printed circuit board
KR20140068326A (en) * 2012-11-27 2014-06-0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US20160064702A1 (en) * 2014-08-26 2016-03-03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Welding process for sealing a battery modul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0086A (en) * 2020-02-25 2020-05-26 四川国创成电池材料有限公司 Modularization laminate polymer battery group and consumer
CN111244354A (en) * 2020-02-25 2020-06-05 四川国创成电池材料有限公司 Soft packet of lithium cell and consumer
KR102332803B1 (en) 2020-11-10 2021-12-01 주식회사 모아 Vehicle Battery Laser Welding Device with Cooling Device
KR102369375B1 (en) 2020-11-10 2022-03-02 주식회사 모아 Vehicle Battery Laser Welding Device
WO2022108145A1 (en) * 2020-11-17 2022-05-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8762B1 (en) 2020-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696B1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20180073972A (en) The fixed structure of battery module-pack housing using plastic laser welding
KR20150062777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10283744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JP5736627B2 (en) Lithium secondary battery cooling system
KR101689750B1 (en) Battery pack
US8728643B2 (en) Fuse unit for rechargeable battery with supporting member
US20160028056A1 (en) Battery module of novel structur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the same
KR20170094759A (en) Battery module
KR101866369B1 (en) Battery case
KR101673972B1 (en) Battery pack
KR20160094909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9680138B2 (en) Battery pack
KR102258827B1 (en) Battery pack and vehicle including the same
JP2020514980A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nd vehic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KR20150141041A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1483425B1 (en) Secondary Battery Having Novel Electrode Tap-Lead Joint Portion
KR20170043313A (en) Battery Module
KR20170032098A (en) Battery module and protecting structure applied for the same
KR102468028B1 (en) Battery module
KR101852235B1 (en)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Cell assembly comprising it
KR101546661B1 (en) Prismatic Shape Battery having Pouch-type Battery Cell
KR20170053434A (en) End Plate for Battery Module
KR20150131788A (en) Battery Module Having Electrode Terminal Supporting Part
KR102632249B1 (en) Better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