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896A - Led 조명 액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Led 조명 액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896A
KR20180073896A KR1020160177415A KR20160177415A KR20180073896A KR 20180073896 A KR20180073896 A KR 20180073896A KR 1020160177415 A KR1020160177415 A KR 1020160177415A KR 20160177415 A KR20160177415 A KR 20160177415A KR 20180073896 A KR20180073896 A KR 201800738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dye
dye receiving
protectiv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원석
Original Assignee
(주)찍고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찍고컴퍼니 filed Critical (주)찍고컴퍼니
Priority to KR1020160177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3896A/ko
Publication of KR20180073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8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47G1/0622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with illum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24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F21V33/0028Decorative household equipment, e.g. plant holders or food dummies
    • F21V33/0032Paintings, pictures or photographs; Fram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자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보호패널의 이면에는 사진의 형상 및 명암에 따라 염료수용홈을 형성시킨 후 그 염료수용홈에 사진과 같은 색상의 염료를 채워 채색하고, 채색된 보호패널의 이면에는 어두운 색상의 마감패널이 접촉되게 설치하며, 보호패널과 마감패널의 테두리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액자틀에는 그 액자틀의 중심부 측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LED 모듈을 설치하여, 주간 및 야간에도 전시효과를 제공하면서도 독특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LED 조명 액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LED 조명 액자 및 그 제조방법{LED LIGHTING PICTURE FR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액자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보호패널의 이면에 사진의 형상 및 명암에 따라 수용홈을 형성시키고, 그 수용홈에 사진과 같은 색상의 염료를 채워 채색하며, 보호패널의 테두리부를 감싸도록 결합된 액자틀에는 그 액자틀의 중심부 측으로 조명이 제공되도록 하여, 주간 및 야간에도 전시효과를 제공하면서도 독특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LED 조명 액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 또는 글씨(이하 '사진'으로 칭함)를 벽에 걸거나 책상 위에 올려놓기 위해 만든 것으로써, 대부분의 액자는 사진을 보호함은 물론 외부에 잘 보일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전면보호판과, 이 전면보호판의 배면에 내장된 사진이 전면보호판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후면지지판과, 이 후면지지판의 전방측으로 사진과 전면보호판이 밀착되게 결합된 상태에서 전면보호판 및 후면지지판의 테두리부가 내측면에 삽입되어 중앙부에 사진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외형틀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액자의 경우 야간이나 조명이 제공되지 않는 곳에서는 액자에 내장된 사진을 확인하기 어려워 전시효과가 떨어짐에 따라,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액자에 보관된 사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조명수단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근래에는 액자에 내장된 사진을 전시하기 위한 용도뿐 아니라 다양한 느낌으로 사진을 연출하여 장식미가 증대되도록 LED 모듈을 내장시킨 액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 예로 한국등록특허 제10-0777709호에는 액자의 외곽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내측면에 엘이디등을 부착하고, 엘이디등에서 발광된 빛이 통과되어 전면측으로 균일한 빛이 발광되도록 하는 도광판을 액자의 중앙 후면에 설치하며, 도광관의 전면에 전시물이 외부로 표출되는 시트를 설치하여 된 엘이디 조명 액자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엘이디 조명 액자는 단순히 엘이디등을 통해 제공된 빛이 액자의 전방으로 균일하게 제공되도록 하여 전시효과가 증대되도록 할 수 있을 뿐, 특별한 심미감을 제공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2665호에는 액자 내부에 설치된 엘이디 조명을 통해 다양한 색상의 빛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독특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액자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는 사진의 배경 색상만 달리하는 것일 뿐 액자 내부에 수용된 사진의 느낌을 색다르게 연출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77709호(2007.11.13.등록, 엘이디 조명 액자)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2665호(2005.04.15.등록, 유색엘이디 조명수단을 구비한 액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자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보호패널의 이면에는 사진의 형상 및 명암에 따라 염료수용홈을 형성시킨 후 그 염료수용홈에 사진과 같은 색상의 염료를 채워 채색하고, 채색된 보호패널의 이면에는 어두운 색상의 마감패널이 접촉되게 설치하며, 보호패널과 마감패널의 테두리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액자틀에는 그 액자틀의 중심부 측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LED 모듈을 설치하여, 주간 및 야간에도 전시효과를 제공하면서도 독특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LED 조명 액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액자틀을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시켜 LED 모듈의 교체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보호패널 및 마감패널의 테두리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LED 조명 액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액자의 전방으로 설치되는 이면에 사진의 형상 및 명암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염료수용홈이 복수개 형성되고, 그 각각의 염료수용홈에 사진과 동일한 색상의 염료가 채워져 채색되는 보호패널과, 상기 염료가 채워진 보호패널의 후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마감패널과, 상기 보호패널과 마감패널의 테두리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외곽 측변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측변에서 상기 보호패널과 마감패널의 중앙부 측으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LED 모듈이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LED 모듈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광되도록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가 설치된 액자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패널은 사진의 어두운 색상에 해당하는 염료수용홈보다 밝은 색상에 해당하는 염료수용홈의 크기를 더 크게 형성시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감패널은 상기 보호패널의 후면과 접촉되는 면을 어두운 색상으로 형성시켜 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액자틀은 상기 보호패널과 마감패널의 외곽 측변에 해당하는 개수로 분리되어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외형프레임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형프레임이 서로 결합되는 면에는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통전(通電)되어 상기 LED 모듈이 발광되도록 연결하는 접속단자부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LED 조명 액자는 액자의 전방으로 설치되는 보호패널의 이면에 사진의 형상 및 음영에 따라 복수개의 염료수용홈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염료수용홈에 사진과 동일한 색상의 염료를 채워 채색하는 단계와, 상기 염료가 채워진 보호패널의 이면에 어두운 색상으로 형성된 마감패널이 접촉되게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패널과 마감패널의 중앙부를 향해 조명을 제공하는 LED 모듈과 그 LED 모듈이 발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여 상기 보호패널과 마감패널의 테두리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외곽 측변을 따라 액자틀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채색 단계 이후에는 염료를 흡수하도록 형성된 흡수부재를 이용해 상기 염료수용홈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묻어 있는 염료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염료수용홈은 사진의 형상과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액자는 액자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보호패널의 이면에는 사진의 형상 및 명암에 따라 염료수용홈을 형성시킨 후 그 염료수용홈에 사진과 같은 색상의 염료를 채워 채색하고, 채색된 보호패널의 이면에는 어두운 색상의 마감패널이 접촉되게 설치하며, 보호패널과 마감패널의 테두리부를 감싸도록 설치된 액자틀에는 그 액자틀의 중심부 측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LED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주간 및 야간에도 전시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독특한 심미감을 제공하여 인테리어 기능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액자틀을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시켜 LED 모듈의 교체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보호패널 및 마감패널의 테두리부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액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패널의 이면에 염료수용홈이 형성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틀에 LED 모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b는 LED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자틀이 복수개의 외형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액자틀이 전원공급부로 공급된 전원이 통전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액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액자에 조명이 공급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액자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 액자(1)는 크게 보호패널(10), 마감패널(20), 액자틀(30), 전원공급수단(60)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보호패널(10)은 액자(1)의 전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보호패널(10)의 이면에는 도 3과 같이 사진의 형상 및 명암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염료수용홈(11)이 복수개 형성되고, 그 각각의 염료수용홈(11)에는 사진과 동일한 색상으로 채색되도록 염료가 채워지는 것이다.
이때의 보호패널(10)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되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스크래치(Scratch)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염료수용홈(11)은 원형, 타원형, 삼각 이상의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염료가 채워져 채색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 것이면 족하고, 이러한 염료수용홈(11)은 사진을 스캐닝하여 저장된 정보에 따라 레이저 가공 등의 방법을 통해 오목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조각칼 등과 같이 끝부분이 뾰족한 도구를 사용해 오목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이며, 수작업 또는 기계 장비를 이용한 방법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염료수용홈(11)은 보호패널(10)의 이면에 형성되는 것인 만큼, 사진에 보이는 대로 염료수용홈(11)을 형성시켜 채색할 경우 보호패널(10)의 전방에서 보이는 형상과 실제 사진의 형상은 좌·우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므로, 염료수용홈(11)을 형성시킬 때는 실제 사진의 형상과 좌·우 대칭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마감패널(20)은 염료가 채워져 채색된 보호패널(10)의 후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마감패널(20)은 LED 조명 액자(1)의 후면에 마감되도록 설치되는 것인 만큼 보호패널(1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염료수용홈(11)에 채워진 염료에 의해 채색된 상태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을 수 있는 적정 두께와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액자틀(30)은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테두리부를 감싸 보호하기 위해 서로 접촉되게 설치된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외곽 측변을 따라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액자틀(30)에는 도 4a와 같이 하나 이상의 측변에서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중앙부 측으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LED 모듈(40)이 설치되고, 액자틀(30)의 일측면에는 도 4b와 같이 LED 모듈(40)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광다이오드(42)가 발광되도록 전원공급수단(6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50)가 설치된다.
여기서, LED 모듈(40)은 PCB기판(41)과 그 기판의 상면에 발광다이오드(42)가 결합된 통상의 것이 사용된 것으로 설명한다.
이때, 상기의 LED 모듈(40)은 액자틀(30)의 외부에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해 오작동될 우려가 있으므로,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이 지지되는 액자틀(30)의 내측면에 수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액자틀(30)의 내측면에 설치될 경우에는 LED 모듈(40)을 이루는 발광다이오드(42)의 상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측면이 지지되는 단턱지지부(34)를 형성시켜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측면에 의해 발광다이오드(42)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전원공급수단(60)으로는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통상의 어댑터가 사용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액자틀(30)의 일측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설치된 충전식 배터리가 내장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원공급수단(60)의 일측 끝단부에는 상기한 전원공급부(50)에 전원이 공급되게 접속되는 커넥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LED 조명 액자(1)에 대한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염료수용홈(11)을 형성시키고 채색할 대상이 되는 사진의 형상과 색상 정보를 스캐닝 등의 방법으로 확인하고 나면, 보호패널(10)의 이면 즉 전방측으로 향하는 면의 반대면에 염료수용홈(11)을 형성시키는데, 이때의 염료수용홈(11)은 사진의 형상을 명확하기 식별할 수 있는 경계선 부분은 물론 사진의 명암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시킨다.
이후 염료수용홈(11)에는 사진과 동일한 색상으로 채색을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사용되는 염료는 염료수용홈(11)에 채워지게 되고, 염료수용홈(11)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칠해진 염료는 흡수부재를 통해 닦아 내는 등의 방법으로 제거하며, 이때의 흡수부재는 염료를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으면서도 보호패널(10)의 이면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는 재질의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염료수용홈(11)에 염료가 채워져 채색이 완료된 보호패널(10)의 이면에는 마감패널(20)을 접촉시켜 액자틀(30)을 이용해 고정시킬 준비를 한다.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 각각의 테두리부 측벽에는 목재, 수지, 금속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액자틀(30)을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의 액자틀(30)에는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중앙부로 조명을 제공할 수 있는 LED 모듈(40)은 물론, 이 LED 모듈(40)을 이루는 발광다이오드(42)가 발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원공급수단(60)에 의해 공급된 전원이 전원공급부(50)를 통해 LED 모듈(40)에 인가되면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테두리부에서 중앙부로 조명이 제공되어 주간 및 야간에도 전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무엇보다도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 사이에 실 사진을 그대로 개재하여 설치하는 것이 아닌 사진의 형상과 동일하게 염료수용홈(11)을 형성시키고 채색함으로써 독특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의 마감패널(20)은 염료수용홈(11)이 형성된 보호패널(10)의 후면과 에 접촉되는 면을 어두운 색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의 어두운 색상은 군청색, 짙은 갈색, 검회색, 검정색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보호패널(10)의 이면(후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LED 조명 액자(1)의 전방측을 향하는 마감패널(20)의 일면을 어둡게 형성시킨 이유는, 염료수용홈(11)을 통해 사진과 동일하게 채색된 형상과 색상이 더욱 뚜렷하게 식별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집중되어 보이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효과는 LED 모듈(40)에 공급된 전원에 의해 발광다이오드(42)가 발광하였을 때 더욱 극대화 된다.
이처럼, 보호패널의 후면에 접촉되는 마감패널(20)의 일면을 어두운 색상으로 형성함으로써, LED 염료수용홈(11)에 염료가 채워져 채색된 부분으로 시선이 집중되게 하여 세련되고 화사한 느낌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인테리어 기능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보호패널(10)의 이면에 형성시킨 염료수용홈(11)은 사진의 밝은 색상에 해당하는 부분의 크기를 어두운 색상에 해당하는 부분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시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사진의 밝은 색상에 해당하는 염료수용홈(11)의 크기는 크게 형성시켜 더 많은 양의 염료가 채워지도록 하고, 반대로 사진의 어두운 색상에 해당하는 염료수용홈(11)의 크기는 작게 형성시켜 비교적 적은 양의 염료가 채워지도록 한 것은, 보호패널(10)의 후면에 접촉되는 마감패널(20)이 어두운 색상으로 형성된 것임에 따라, 밝은 색상이 채워지는 염료수용홈(11)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써 실제 사진과 같이 화사하고 밝은 느낌을 연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진의 어두운 색상에 해당하는 부분에 밝은 부분보다 작은 크기의 염료수용홈(11)을 형성시킴으로써, 실제 사진과 같이 형상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으면서도 독특한 심미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만약 사진의 어두운 색상에 해당하는 부분에 염료수용홈(11)을 형성시키지 않게 될 경우에는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 및 액자틀(30)을 모두 결합시켰을 때 보호패널(10)의 이면에 사진과 동일한 색상으로 채색하더라도 독특한 느낌은 커녕 밋밋하고 깔끔하지 못한 느낌을 제공하여 상품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사진의 어두운 색상에 해당하는 부분에도 반드시 밝은 색상에 해당하는 부분보다 작은 크기의 염료수용홈(11)을 형성시킨 후 염료를 채워 채색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액자틀(30)은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외곽 측변에 해당하는 개수로 분리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어 연결수단(32)에 의해 결합되게 형성된 복수개의 외형프레임(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의 연결수단(32)은 서로 결합되는 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32a)와 이 끼움돌기(32a)가 끼워져 고정되게 형성된 끼움홈(32b)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하나, 이와는 달리 걸림턱과 걸림돌기를 이용한 결합, 볼트와 너트 또는 나사못 등을 통한 결합 등과 같이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 설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수단(32)에 의해 복수개의 외형프레임(31)이 연결 설치된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형프레임(31)이 서로 결합되는 면에는 접착제(미도시)가 도포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액자틀(30)을 상호 분리 결합되는 복수개의 외형프레임(31)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액자틀(30)을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외곽 측변으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액자틀(30)에 설치된 LED 모듈(40)의 고장 등이 발생한 경우에는 액자틀(30)을 해체시켜 고장난 LED 모듈(40)이 설치된 외형프레임(31)만을 교체하거나 수리하여 다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리 및 교체의 편의성이 증대됨과 동시에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복수개로 이루어진 외형프레임(31) 각각 또는 둘 이상에 상기한 LED 모듈(40)이 설치된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외형프레임(31)이 서로 결합되는 면에 전원공급수단(60)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통전되도록 연결하는 접속단자부(33)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형프레임(31)이 상호 분리 결합되게 이루어진 것임에 따라, 둘 이상의 외형프레임(31)에 LED 모듈(40)이 각각 설치되었을 때 이들 LED 모듈(40)에 전원을 공급하여 발광다이오드(42)를 발광시키기 위한 전원공급부(50)를 각각 구비함에 따라 발생하는 제조비용 증대 및 각각의 전원공급부(5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개의 전원공급수단(60)을 구비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접속단자부(33)가 외형프레임(31)이 결합되는 면에 구비된 경우에는 그 외형프레임(31)의 결합면에 단자부수용홈(35)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접속단자부(33)에 의해 외형프레임(31)들의 결합면에 이격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접속단자부(33)가 서로 긴밀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전원공급수단(60)을 통해 어느 하나의 외형프레임(31)에 구비된 전원공급부(50)로 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복수개의 외형프레임(31)에 설치된 LED 모듈(40)이 일시에 발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LED 조명 액자(1)의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염료수용홈 형성단계(S1), 채색 단계(S2), 마감패널 설치단계(S4), 액자틀 설치단계(S5)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조된다.
이때의 염료수용홈 형성단계(S1)는 LED 조명 액자(1)의 전방으로 설치되는 보호패널(10)의 이면에 사진의 형상 및 음영에 따라 복수개의 염료수용홈(11)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염료수용홈(1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진을 스캐닝하여 얻어진 형상 및 명암 정보에 따라 레이저 가공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거나, 조각칼 등과 같이 끝부분이 뾰족한 도구를 사용해 기계 장치나 수작업 등을 이용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염료수용홈 형성단계(S1)를 통해 보호패널(10)의 이면에 염료수용홈(11)을 형성시킬 때는 사진의 밝은 색상에 해당하는 부분의 염료수용홈(11)을 어두운 색상에 해당하는 부분의 염료수용홈(11)보다 크게 형성시켜, 염료를 채워 채색하였을 때 실제 사진과 같은 색상과 형상이 제공되도록 하면서도 더욱 밝고 화사한 느낌으로 외부에 연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염료수용홈(11)에 염료를 채워 채색한 상태의 보호패널(10)이 사진의 실제 모습과 동일한 형상으로 비춰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보호패널(10)의 이면에 염료수용홈(11)을 형성시킬 때 실제 사진과 좌·우가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염료수용홈(11)이 보호패널(10)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아닌 이면에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이며, 만약 보호패널(10)의 이면에 실제 사진과 동일한 형상으로 염료수용홈(11)을 형성시키게 되면 보호패널(10)의 전방측으로 제공되는 형상은 실제 사진과 좌·우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어 연출되게 된다.
채색 단계(S2)는 보호패널(10)의 이면에 형성된 염료수용홈(11)에 사진과 동일한 색상으로 염료를 채워 채색하는 것으로써, 이때 사용되는 염료는 수성 또는 유성 물감이 사용될 수 있다.
마감패널 설치단계(S4)는 염료수용홈(11)에 사진과 동일한 색상으로 염료가 채워진 보호패널(10)의 이면에 마감패널(20)을 밀착되게 접촉시키는 것으로써, 이러한 마감패널(20)은 액자틀(30)의 전방측을 향하는 면 즉, 보호패널(10)의 이면에 접촉되는 면을 어두운 색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어두운 색상은 군청색, 짙은 갈색, 검회색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주변 색상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밝은 색상의 염료가 채워진 부분이 더욱 부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검정색으로 형성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의 마감패널(20)은 보호패널(10)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지고 쉽게 구부러지거나 휘어지지 않을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져 외부 충격에 의해 보호패널(10)의 이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액자틀 설치단계(S5)는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테두리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이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외곽 측벽을 따라 설치하는 것으로써, 이때의 액자틀(30)에는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중앙부를 향해 조명을 제공하는 LED 모듈(40)이 하나 이상 구비되고, 이러한 LED 모듈(40)이 발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가 액자틀(30)의 일측면에 구비된 것이다.
이때의 액자틀(30)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외곽 측변에 해당하는 개수로 서로 분리되어 연결수단(32)을 매개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외형프레임(31)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복수개의 외형프레임(31) 중 둘 이상의 외형프레임(31)에 LED 모듈(40)이 설치된 경우에는 외형프레임(31)의 결합면에 접속단자부(33) 및 단자부수용홈(3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액자틀(30)의 설치 및 해체는 물론, LED 모듈(40)의 교체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제조된 LED 조명 액자(1)를 통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간 및 야간에도 염료수용홈(11)에 사진과 동일한 색상으로 염료가 채워져 채색된 보호패널(10)에 조명을 제공하여 전시효과를 제공하고, 보호패널(10)의 후면에 설치하는 마감패널(20)을 어두운 색상으로 형성시켜 보호패널(10)에 형성시킨 사진의 형상과 명암을 더욱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음은 물론 집중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실제 사진을 개재하는 것이 아닌 사진과 동일한 색상의 염료가 채워지는 염료수용홈(11)을 보호패널(10)의 이면에 형성시킴으로써 독특하고 세련된 심미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채색 단계(S2) 이후에는 염료수용홈(11)에 사진과 동일한 색상의 염료를 채워 채색하는 과정에서 염료수용홈(11)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묻어 있는 염료를 흡수성 재질의 흡수부재로 제거하는 염료수용홈 이외 염료 제거단계(S3)를 더 거쳐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은 수용홈 이외 염료 제거단계를 통해 염료수용홈(11) 이외에 채색된 염료를 제거함으로써 실제 사진과 같이 명확하고 깔끔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고, 염료수용홈(11)에 채워진 염료의 색상이 더욱 뚜렷하게 부각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1 : 액자
10 : 보호패널 11 : 염료수용홈
20 : 마감패널
30 : 액자틀 31 : 외형프레임
32 : 연결수단 32a : 끼움돌기
32b : 끼움홈 33 : 접속단자부
34 : 단턱지지부 35 : 단자부수용홈
40 : LED 모듈 41 : PCB기판
42 : 발광다이오드
50 : 전원공급부
60 : 전원공급수단
S1 : 염료수용홈 형성단계 S2 : 채색 단계
S3 : 염료수용홈 이외 염료 제거단계 S4 : 마감패널 설치단계
S5 : 액자틀 설치단계

Claims (8)

  1. 액자(1)의 전방으로 설치되는 이면에 사진의 형상 및 명암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염료수용홈(11)이 복수개 형성되고, 그 각각의 염료수용홈(11)에 사진과 동일한 색상의 염료가 채워져 채색되는 보호패널(10);
    상기 염료가 채워진 보호패널(10)의 후면에 접촉되게 설치되는 마감패널(20);
    상기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테두리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외곽 측변에 설치되고, 하나 이상의 측변에서 상기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중앙부 측으로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LED 모듈(40)이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LED 모듈(40)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광되도록 전원공급수단(6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50)가 설치된 액자틀(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패널(10)은 사진의 어두운 색상에 해당하는 염료수용홈(11)보다 밝은 색상에 해당하는 염료수용홈(11)의 크기를 더 크게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액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패널(20)은 상기 보호패널(10)의 후면과 접촉되는 면을 어두운 색상으로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액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틀(30)은 상기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외곽 측변에 해당하는 개수로 분리되어 연결수단(32)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외형프레임(31)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액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형프레임(31)이 서로 결합되는 면에는 상기 전원공급수단(60)으로부터 공급된 전원이 통전(通電)되어 상기 LED 모듈(40)이 발광되도록 연결하는 접속단자부(3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액자.
  6. 액자(1)의 전방으로 설치되는 보호패널(10)의 이면에 사진의 형상 및 음영에 따라 복수개의 염료수용홈(11)을 형성시키는 단계(S1);
    상기 염료수용홈(11)에 사진과 동일한 색상의 염료를 채워 채색하는 단계(S2);
    상기 염료가 채워진 보호패널(10)의 이면에 마감패널(20)이 접촉되게 설치하는 단계(S4);
    상기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중앙부를 향해 조명을 제공하는 LED 모듈(40)과 그 LED 모듈(40)이 발광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를 구비하여 상기 보호패널(10)과 마감패널(20)의 테두리부를 감싸 보호하도록 외곽 측변을 따라 액자틀(30)을 설치하는 단계(S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액자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채색 단계(S2) 이후에는 염료를 흡수하도록 형성된 흡수부재를 이용해 상기 염료수용홈(11)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 묻어 있는 염료를 제거하는 단계(S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액자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염료수용홈(11)은 사진의 형상과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 액자의 제조방법.
KR1020160177415A 2016-12-23 2016-12-23 Led 조명 액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38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415A KR20180073896A (ko) 2016-12-23 2016-12-23 Led 조명 액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415A KR20180073896A (ko) 2016-12-23 2016-12-23 Led 조명 액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896A true KR20180073896A (ko) 2018-07-03

Family

ID=6291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415A KR20180073896A (ko) 2016-12-23 2016-12-23 Led 조명 액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38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543B1 (ko) * 2021-07-09 2021-11-18 주식회사 필리스 폐쇄형 led스트립을 이용한 면발광 조명장치
KR102327804B1 (ko) * 2021-07-09 2021-11-18 주식회사 필리스 분리형 led스트립을 이용한 면발광 조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543B1 (ko) * 2021-07-09 2021-11-18 주식회사 필리스 폐쇄형 led스트립을 이용한 면발광 조명장치
KR102327804B1 (ko) * 2021-07-09 2021-11-18 주식회사 필리스 분리형 led스트립을 이용한 면발광 조명장치
US11480304B1 (en) 2021-07-09 2022-10-25 Feelis Co., Ltd. Surface light emitting illumination device using separate LED strips
US11493680B1 (en) 2021-07-09 2022-11-08 Feelis Co., Ltd. Surface light emitting illumination device using closed LED str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35319B (zh) 具有可更换照明组件的相机系统
US20160069523A1 (en) Multiple display-units led light device has special light effects
KR200398989Y1 (ko) 액자형 장식용 조명장치
KR20180073896A (ko) Led 조명 액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026881B1 (ko) 광 감응성 광고부를 구비한 광고 패널
WO2003091973A8 (fr)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avec micro-sources lumineuses et panneau d'eclairage souple
KR102287384B1 (ko) 시선유도수단을 갖는 광고장치
KR20100026520A (ko) 물기의 유입이 방지된 슬림형 라이트 박스
CA2287629C (en) Back and edge-illuminated sign
CN201039871Y (zh) 一种发光镜框
CN209843080U (zh) 一种展示牌
US20170206815A1 (en) Decorative Infinity Display
KR102036445B1 (ko) Uv 인쇄 방식을 이용한 led 발광형 기념패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9964B1 (ko) 이중 엘이디 조명 캡 간판프레임
KR20150097900A (ko) 액자
US20150371569A1 (en) Illuminated display mirror
CN213640387U (zh) 近视太阳镜片展示道具
JP3097222U (ja) 表示装置
KR20150090632A (ko) 실사출력 광고지를 사용한 돌출간판
KR102328332B1 (ko) 시트 탈부착이 가능한 패널 프레임을 갖는 광고판
CN214016945U (zh) 一种复合透光面板成像相框
JP3864342B2 (ja) 表示盤
CN217655656U (zh) 一种叠影发光装置
CN213177785U (zh) 创新替换多珠面的u形透镜led模组
KR101232545B1 (ko) 조명시스템을 갖춘 수납가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