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566A - 파스닝 테이프 - Google Patents

파스닝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566A
KR20180072566A KR1020170174291A KR20170174291A KR20180072566A KR 20180072566 A KR20180072566 A KR 20180072566A KR 1020170174291 A KR1020170174291 A KR 1020170174291A KR 20170174291 A KR20170174291 A KR 20170174291A KR 20180072566 A KR20180072566 A KR 20180072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transverse
fastening tape
slit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179B1 (ko
Inventor
즈요시 미나토
지유 렌
아츠시 나카야
마이클 플레밍
케이스 크라츠
울프강 코로넬
다카유키 마츠이
데츠야 요시노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2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33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and-loop type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46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 A44B18/0049Fasteners made integrally of plastics obtained by mould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3Attach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76Adaptations for being fixed to a moulded article during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플랜지를 갖는 파스닝 테이프가 제공된다. 파스닝 테이프는 본체 및 본체에 위치결정되는 복수의 파스너를 포함한다. 플랜지는 복수의 파스너와 본체의 테두리 사이에 있다. 일부 경우에, 플랜지는, 파스닝 테이프가 폼 내부에 있을 때에 파스닝 테이프의 "훅 대 폼 강도"를 증대시킨다.

Description

파스닝 테이프{FASTENING TAPE}
본 출원은, 2016년 12월 21일에 출원되고 "FLANGE FOR FASTENING TAPE"라는 명칭을 갖는 미국 가출원 번호 62/437,376의 이익 및 2017년 4월 6일에 출원되고 "FLANGE FOR FASTENING TAPE"라는 명칭을 갖는 미국 가출원 번호 62/482,310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들 양자 모두는 그 전체가 참조로 본원에 통합된다.
본 출원은 파스닝 테이프(fastening tape) 및 파스닝 테이프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및 기타의 용례에서 사용되는 파스닝 테이프는, 최초에 금형 내의 트렌치에 파스닝 테이프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좌석 쿠션 또는 기타 구성요소에 설치될 수 있다. 파스닝 테이프를 배치한 후, 우레탄 폼이 도입되고, 이것은 파스닝 테이프의 둘레에 좌석 쿠션 또는 기타의 구성요소를 형성한다. 폼이 파스닝 테이프에 침입한 경우, 파스닝 테이프의 훅과 같은 파스너는 불량해지는 경향이 있다. 파스닝 테이프가 위치결정되는 트렌치 표면이 평면이 아니고 만곡되어 있는 경우, 폼 침입은 더 일어나기 쉽다.
본 특허에서 사용되는 용어 "발명", "해당 발명", "이 발명" 및 "본 발명"은 이 특허의 내용 및 이하의 특허 청구항의 전부를 폭넓게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들 용어를 포함하고 있는 설명은, 본서에 기재된 내용을 한정하거나, 이하의 특허 청구항의 의미 또는 범위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이 특허에 의해 포함되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 개요가 아니라 이하의 청구항에 의해 규정된다. 이 개요는, 본 발명의 각종 형태의 고수준 개략이며, 이하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서 또한 설명하는 개념의 일부를 제시한다. 이 개요는, 청구된 내용의 중요 또는 본질적인 특징을 식별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고, 청구된 내용의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분리되어 사용되는 것을 의도하지도 않는다. 내용은 이 특허의 명세서 전체의 적절한 부분, 일부 또는 전부의 도면, 및 각 청구항의 참조에 의해 이해해야 한다.
특정한 실시예에 의하면, 파스닝 테이프는, 제1 테두리, 제1 테두리 반대측의 제2 테두리 및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면을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본체는, 제1 테두리로부터 제2 테두리로의 가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세로 방향을 형성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파스닝 테이프는,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복수의 파스너를 포함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파스닝 테이프는, 복수의 파스너와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플랜지는, 본체의 상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파스너와 제1 테두리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플랜지는, 홈과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절곡부 및 홈과 복수의 파스너 사이에 배치되는 비절곡부를 형성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절곡부는 비절곡부에 대하여 위치결정된다. 각종 실시예에서, 파스닝 테이프는, 제1 테두리 부근으로부터 복수의 파스너 부근까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을 구비한다. 일부 양태에서,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의 각 가로방향 슬릿의 폭은, 인접하는 가로방향 슬릿이 인접하는 테두리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다.
특정한 실시예에 의하면, 파스닝 테이프는, 제1 테두리, 제1 테두리 반대측의 제2 테두리 및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면을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본체는, 제1 테두리로부터 제2 테두리로의 가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세로 방향을 형성한다. 일부 양태에서, 파스닝 테이프는,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복수의 파스너를 구비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파스닝 테이프는, 복수의 파스너와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를 구비한다. 일부 경우에는, 제1 플랜지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 및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을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제1 플랜지는, 제1 홈과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절곡부 및 제1 홈과 복수의 파스너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비절곡부를 형성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파스닝 테이프는, 복수의 파스너와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를 구비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제2 플랜지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을 포함한다. 다양한 양태에서, 제2 플랜지는, 제2 홈과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절곡부 및 제2 홈과 복수의 파스너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비절곡부를 형성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제2 플랜지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을 포함하고, 제2 가로방향 슬릿은 제1 가로방향 슬릿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 의하면, 파스닝 테이프는, 제1 테두리, 제1 테두리 반대측의 제2 테두리 및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면을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본체는, 제1 테두리로부터 제2 테두리로의 가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세로 방향을 형성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파스닝 테이프는,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복수의 파스너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파스닝 테이프는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를 또한 구비한다. 특정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플랜지는 복수의 파스너와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된다. 일부 양태에서, 제1 플랜지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 및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을 구비한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는, 제1 홈과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절곡부 및 제1 홈과 복수의 파스너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비절곡부를 구획 형성한다. 다양한 양태에서, 제2 플랜지는 복수의 파스너와 제2 테두리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2 플랜지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 및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을 구비한다. 특정한 경우에, 제2 플랜지는, 제2 홈과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절곡부 및 제2 홈과 복수의 파스너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비절곡부를 형성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제2 가로방향 슬릿은 제1 가로방향 슬릿과 가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 의하면, 파스닝 테이프는, 제1 테두리, 제1 테두리 반대측의 제2 테두리 및 상면을 갖는 본체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본체는, 제1 테두리로부터 제2 테두리로의 가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세로 방향을 형성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파스닝 테이프는, 본체의 상면에서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복수의 파스너를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파스닝 테이프는, 복수의 파스너와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를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파스닝 테이프는, 복수의 파스너와 제1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측벽을 구비한다. 특정한 경우에, 제1 플랜지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을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 제1 가로방향 슬릿은 내측 단부 및 외측 단부를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플랜지는, 제1 테두리와 제1 측벽 사이에서,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내측 단부보다 제1 테두리 근방의 위치에 배치되는 돌기를 구비한다.
본 개시물에 기재된 각종 구체화는, 반드시 본원에 명백하게 기재되어 있지 않을 수 있는 부가적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의 고찰에 의해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명확할 것이다. 이러한 모든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은 본 개시물 내에 포함되고, 첨부의 클레임에 의해 보호되는 것이 의도된다.
이하의 도면의 특징 및 구성요소는 본 개시물의 일반적인 원리를 강조하기 위해서 도시된다. 도면 전체를 통해서 대응하는 특징 및 구성요소는, 정합성 및 명쾌함을 위해서 참조 숫자를 대조함으로써 지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물의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다른 상면도이다.
도 3a는 파스닝 테이프의 플랜지의 절곡부가 절곡 구성에 있는 도 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면도이다.
도 3b는 파스닝 테이프의 플랜지의 절곡부가 다른 절곡 구성에 있는 도 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트렌치에 위치결정된 도 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파스닝 테이프의 플랜지의 절곡부가 비절곡 구성에 있는 도 4의 트렌치에 위치결정된 도 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파스닝 테이프의 플랜지의 절곡부가 절곡 구성에 있는 도 4의 트렌치에 위치결정된 도 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단차 트렌치에서의 도 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플랫 트렌치에서의 도 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파스닝 테이프의 플랜지의 절곡부가 절곡 구성에 있는 도 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파스닝 테이프의 플랜지의 절곡부가 절곡 구성에 있는 플랫 트렌치에 위치결정된 도 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물의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일부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물의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부도이다.
도 16은 볼록 트렌치에서의 도 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측면도이다.
도 17은 볼록 트렌치에서의 도 13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부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물의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부도이다.
도 24는 도 2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다른 상면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물의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도이다.
도 27은 도 27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부도이다.
도 28은 본 개시물의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도이다.
도 30은 도 28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부도이다.
도 31은 본 개시물의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도이다.
도 33은 도 3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부도이다.
도 34는 폼의 층에 위치결정되고 인장력을 받고 있는 도 3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측면도이다.
도 35는 본 개시물의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도이다.
도 36은 본 개시물의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도이다.
도 37은 본 개시물의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38은 도 37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도이다.
도 39는 도 37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부도이다.
도 40은 본 개시물의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도이다.
도 42는 도 40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부도이다.
도 43은 본 개시물의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3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도이다.
도 45는 도 43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부도이다.
도 46은 본 개시물의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6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도이다.
도 48은 도 46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단면도이다.
도 49는 본 개시물의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50은 도 49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도이다.
도 51은 본 개시물의 양태에 따른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52는 도 51의 파스닝 테이프의 세그먼트의 상면도이다.
본 발명의 양태 및 실시예의 내용은 법정 요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본서에서는 특정적으로 설명하지만, 이 설명은 반드시 한정인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설명된 내용은, 다른 방식에서 실시해도 되고, 다른 요소 또는 단계를 포함해도 되며, 다른 현행 또는 장래의 기술과 연계해서 사용해도 된다. 이 설명은, 개별 단계의 순서 또는 요소의 배열이 명시적으로 설명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각종 단계 또는 요소 간의 어떠한 특정한 순서 또는 배열을 암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의 설명은 본 발명이 효과적인 교시로서 제시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이 유익한 결과를 얻으면서 본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각종 양태에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통상의 기술자는 인식 인정할 것이다. 원하는 이익의 일부는 다른 특징을 이용하지 않고 본 발명의 특징 일부를 선택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는 것도 또한 명백하다. 따라서,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에 대한 많은 수정 및 적응이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바람직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일부라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이와 같이, 이하의 설명은, 그 한정으로서가 아니고 본 발명의 원리의 예시로서 제시된다.
전체를 통해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단수형은 문맥이 명확하게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의 언급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파스너"라고 하는 언급은, 문맥이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2개 이상의 이러한 파스너를 포함할 수 있다. 범위들이, "약" 하나의 특정한 값으로부터 및/또는 "약" 다른 특정한 값까지로서 표현될 수 있다. 그러한 범위가 표현되었을 경우, 별도의 양태는 그 하나의 특정한 값으로부터 및/또는 다른 특정한 값까지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값이 선행하는 "약"의 사용에 의해 근사로서 표현되었을 경우, 그 특정한 값은 다른 양태를 형성한다. 또한, 범위의 각각의 단부점은, 다른 단부점에 관해서, 그리고 다른 단부점과 독립적으로, 모두 중요하다.
여기서 사용하는 바와 같이, 용어 "선택적" 또는 "선택적으로"는 이후에 기술된 특징이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아도 되는 것, 및 그 기술이 상기 특징이 존재하는 경우 및 상기 특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단어 "또는"은 특정 리스트의 임의의 하나의 부재를 의미하며 그 리스트의 부재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특히 "할 수 있다", "할 수 있었다", "이어도 된다" 또는 "일 수 있다" 같은 조건 언어는 구체적으로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또는 사용되는 바와 같은 문맥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특정한 양태가 특정한 특징, 요소 및/또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편 다른 양태는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전달하기 위해 의도된다. 따라서, 그러한 조건 언어는 일반적으로 특징, 요소 및/또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특정한 양태에 대해 요구되는 임의의 방식으로 존재하는 것을 암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특히, "위", "아래", "상부", "저부", "좌측", "우측", "전", 및 "후" 같은 방향 언급은 그 구성요소 및 방향이 참조되는 도면(또는 도면들)에 도시 및 설명된 바와 같은 배향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파스닝 테이프 및 관련된 방법, 시스템, 디바이스 및 장치를 개시한다. 일 양태에서, 파스닝 테이프는, 본체, 측벽, 훅과 같은 복수의 파스너 및 플랜지를 갖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개시된 파스닝 테이프가 많은 것들 중 몇몇 예시적인 양태로만 설명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언급하면, 파스닝 테이프(100)는 제1 테두리(104) 및 제1 테두리(104) 반대측의 제2 테두리(106)를 갖는 본체(102)를 구비한다. 또한, 본체(102)는, 제1 테두리(104)와 제2 테두리(106) 사이에서 각각 연장되는 상면(108) 및 저면(302)(도 3a 내지 도 3b)을 포함한다. 본체(102)는, 제1 테두리(104)로부터 제2 테두리(106)로 연장하는 방향인 가로 방향(110) 및 가로 방향(110)을 가로질러 연장하는 세로 방향(112)을 형성한다.
파스닝 테이프(100)는, 제1 측벽(114A) 및 제2 측벽(114B)을 구비한다. 제1 측벽(114A) 및 제2 측벽(114B)은, 상면(108)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하고, 본체(102)의 상면(108)을 따라 세로 방향(112)으로 연장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제1 측벽(114A)은 제1 테두리(104)와 제2 측벽(114B) 사이에 위치결정되고, 제2 측벽(114B)은 제1 측벽(114A)과 제2 테두리(106) 사이에 위치결정된다.
제1 측벽(114A) 및 제2 측벽(114B)의 각각은 임의의 수의 측벽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14A) 및 제2 측벽(114B)은 다양한 형상의 윤곽을 가질 수 있고, 예시된 배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측벽(114A) 및 제2 측벽(114B)은, 성형 프로세스 중에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 사이의 공간 안으로의 폼 침입의 양을 저감하는 장벽으로서 작용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닝 테이프(100)는, 본체(102)의 상면(108)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파스너(118)를 구비한다. 파스너(118)는,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 사이에 위치결정된다. 적어도 하나의 파스너를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수의 파스너(118)가 파스닝 테이프(10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파스너(118)는, 일반적으로 Y자형, J자형 등을 포함하는, 임의가 적절한 형상 및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너(118)는,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 사이에서 가로 방향(110)으로 연장되는 열에 배치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파스너(118)의 각 열은 4개의 파스너(118)를 포함하지만, 1열에 대해서 임의의 적절한 수의 파스너(118)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제1 테두리(104)로부터 제2 테두리(106)까지의 거리인 파스닝 테이프(100)의 폭은 필요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스닝 테이프(100)의 폭 및/또는 파스너(118)의 치수에 따라서, 추가의 또는 더 적은 파스너(118)가 파스닝 테이프(100)의 폭에 걸쳐 존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을 언급하면, 파스닝 테이프(100)는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철 또는 철합금 같은 자기 재료(128A, 128B)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자기 재료(128A, 128B)는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 사이에 위치결정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하나의 비한정적인 실시예에서, 자기 재료(128)는 철 모노필라멘트이지만, 임의의 다른 적절한 자기 재료도 존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실시예에서는, 자기 재료(128)는, 세로 방향(112)에 연장되고, 일반적으로 제1 측벽(114A) 및 제2 측벽(114B)에 평행하다.
도 1 내지 도 10을 언급하면, 각종 실시예에서, 파스닝 테이프(100)는, 복수의 파스너(118)와 제1 테두리(104)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140A) 및 복수의 파스너(118)와 제2 테두리(106)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140B)를 구비한다. 제1 플랜지(140A)는 제1 테두리(104)와 제1 측벽(114A) 사이에 배치되고, 제2 플랜지(140B)는 제2 테두리(106)와 제2 측벽(114B) 사이에 배치된다. 이하의 검토는 제1 플랜지(140A)에 대해 언급하지만, 이하의 검토는 제2 플랜지(140B)에도 마찬가지로 적용가능하다. 각종 실시예에서, 제1 측벽(114A)으로부터 제1 테두리(104)까지의 거리는 플랜지 폭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플랜지 폭은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 사이의 거리의 약 절반이어도 된다. 그러나, 각종 다른 실시예에서는, 플랜지 폭은,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 사이의 거리의 약 절반보다 커도 되고, 또는 제1 측벽(114A)과 제2 측벽(114B) 사이의 거리의 약 절반보다 작아도 된다. 플랜지(140A, 140B)는, 측벽(114A, 114B)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결정되는 핀 형상의 부분이며, 성형 프로세스 후에 폼(160) 중에 매몰되도록 구성된다. 플랜지(140A, 140B)의 폭이 증가는 폼(160) 안으로 플랜지(140A, 140B)를 보다 깊이 위치결정하는 것을 돕고, 따라서 증가된 양의 폼(160)이 플랜지(140A, 140B)와 결합된다(도 7 내지 도 8 및 도 10 참조). 또한 플랜지(140A, 140B)의 폭이 증가는, 자동차 및 기타의 용례에서, 파스닝 테이프(100)와 폼(160) 사이의 부착량, 또는 "훅 대 폼 강도(hook to foam strength)"가 플랜지가 없거나 또는 폭이 좁은 플랜지를 갖는 파스닝 테이프에 비하여 증대됨에 따라, 파스닝 테이프(100)를 폼(160) 내부에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플랜지(140A)는, 상면(108)에 형성되고, 제1 측벽(114A)과 제1 테두리(104) 사이에서 세로 방향(112)에 연장되는 제1 홈(142)을 구비한다. 제1 플랜지(140A)의 비절곡부(144)가 제1 측벽(114A)과 제1 홈(142) 사이에 있고, 제1 플랜지(140A)의 절곡부(146)가 제1 홈(142)과 제1 테두리(104) 사이에 있다. 절곡부(146)는, 제1 홈(142) 주위에서 절곡되고, 비절곡부(144)에 대하여 다양한 절곡 각도로 위치결정된다. 예를 들어, 절곡부(146)는, 비절곡부(144)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0의 각도로 위치결정 되도 되고(도 1, 도 2, 도 5 및 도 7 참조), 또는 비절곡부(144)에 대하여 0이 아닌 각도로 위치결정 되도 된다(도 3a, 도 3b, 도 4, 도 6, 도 9 및 도 10 참조). 0이 아닌 각도는 45°, 90°또는 임의의 다른 원하는 각도 같은 임의의 적절한 각도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플랜지(140A)의 절곡부(146)는, 제2 플랜지(140B)의 절곡부(146)와 동일한 각도이어도 되고(도 1, 도 3a 및 도 3b 참조), 또는 제2 플랜지(140B)의 절곡부의 각도와 다른 각도이어도 된다(도 6 참조).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홈(142)은 손으로 절곡부(146)를 구부릴 수 있도록 치수설정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각종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140A)는, 세로 방향(112)으로 연장되고 제1 측벽(114A)과 제1 테두리(104) 사이에 위치결정된 복수의 개구(148)를 형성한다. 개구(148)는, 액체 우레탄(또는 파스닝 테이프(100)가 설치되는 다른 재료)이 제1 플랜지(140A)를 관통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구(148) 내부에 경화되는 폼(160)(도 7 내지 도 8 및 도 10 참조)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폼(160)이 개구(148)를 관통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자동차 좌석 및 기타의 용례에서, 파스닝 테이프(100)와 폼(160) 사이의 부착량, 또는 "훅 대 폼 강도"가 개구(148)가 없는 파스닝 테이프에 비하여 증대됨에 따라 파스닝 테이프(100)를 폼(160) 내부에 유지하는 것을 돕는다.
본 실시예에서, 개구(148)는 세로 방향(112)으로 연장하고, 따라서 각 개구(148)는 제1 단(150) 및 제2 단(152)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단부(150)로부터 제2 단부(152)까지의 거리, 또는 개구(148)의 길이는 플랜지 폭보다 크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다른 각종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구(148)의 형상, 치수 및 수는 본 개시물에 대한 한정으로서 고려되어서는 안되며, 개구(148)는 다양한 형상/치수를 가질 수 있거나 임의의 적절한 수의 개구(148)가 원하는 바에 따라 존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는, 개구(148)가 존재하는 경우, 제1 홈(142)은 각 개구(148)와 교차한다. 일부 경우에, 제1 플랜지(140A)의 개구(148)는 제2 플랜지(140B)의 개구(148)와 가로 방향(110)으로 정렬되어 있다. 다른 각종 실시예에서는, 제1 플랜지(140A)의 개구(148)는 제2 플랜지(140B)의 개구(148)에 대하여 가로 방향(110)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10을 언급하면, 자동차 좌석 같은 다양한 물품 및 구성요소를 형성하는 프로세스에서, 파스닝 테이프(100)는 몰드 내부의 트렌치(154)에 위치결정된다. 트렌치(154)의 자석(156)(도 5 내지 도 8 및 도 10 참조)이 파스닝 테이프(100)의 자기 재료(128)와 협동하여, 우레탄(또는 다른 재료)이 파스닝 테이프(100)의 둘레에 주입됨에 따라 파스닝 테이프(100)를 적소에 유지한다. 도 7 내지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레탄이 경화하면, 파스닝 테이프(100)는 좌석 쿠션 또는 다른 원하는 제품을 형성하는 폼(160) 내부에 보유된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트렌치(154)의 형상은, 제조자, 성형되는 구성요소 또는 다양한 다른 요인에 따라서 상이할 수 있다.
형성 프로세스의 중요한 고려사항은, 우레탄의 주입 전에 파스닝 테이프(100)를 트렌치(154)에 정확하게 위치결정시키는 것이다. 트렌치(154)에서의 파스닝 테이프(100)의 오정렬은, 파스닝 테이프(100)가 폼(160) 내부로 부적절하게 설치되게 할 수 있고 폼 침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렌치(154)는, 파스닝 테이프가 정확하게 트렌치(154)에 위치결정되게 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는 벽(158) 또는 다른 장해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닝 테이프(100)에 관해서, 제1 플랜지(140A)(및/또는 제2 플랜지(140B))의 절곡부(146)는, 제1 홈(142)에서 비절곡부(144)에 대하여 원하는 각도로 절곡될 수 있고, 그래서 파스닝 테이프(100)는 벽(158)에 대하여 적절하게 위치결정될 수 있다.
다른 중요한 고려사항은, 파스닝 테이프(100)를 폼(160) 내부에 보유시키기 위한 훅 대 폼 강도이다. 각종 경우에, 파스닝 테이프(100)가 파스닝 테이프(100)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박리력 또는 다른 힘에 저항할 수 있도록, 파스닝 테이프(100)는 파스닝 테이프(100)와 폼(160) 사이에서 비교적 강한 부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충분한 훅 대 폼 강도가 없으면, 이들 박리력 또는 다른 힘은 파스닝 테이프(100)를 폼(160)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게 이격시킬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는, 성형 프로세스 또는 사용 중에 박리력이 파스닝 테이프(100)에 가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경우에서는, 트렌치(154)는 단차 트렌치이며, 우레탄이 도입될 때, 파스닝 테이프(100)와 폼(160)의 상부 사이의 두께(159)가 강한 언더컷 효과를 발생시키고, 그것이 파스닝 테이프(100)를 폼(160) 내부에 보유하는 것을 돕는다(즉, 훅 대 폼 강도는 일반적으로 파스닝 테이프(100)를 폼(160) 내부에 보유하기 위해서 강하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렌치(154)는 단차가 없는 플랫 트렌치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 파스닝 테이프(100)를 폼(160) 내부에 보유하는 파스닝 테이프(100)와 폼(160)의 상부 사이의 두께(159)는 도 7에 나타내는 것보다 작다. 도 8에 나타난 폼(160)의 이런 감소된 두께(159)는 파스닝 테이프(100)를 보유하기 위해서 비교적 약한 언더컷 효과를 발생시킨다(즉, 훅 대 폼 강도는 일반적으로 플랫 트렌치에서 약하다).
도 9 및 도 10를 언급하면, 폼(160) 내부에서의 파스닝 테이프(100)의 언더컷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그리고, 따라서 훅대 폼 강도를 증대하기 위해서), 제1 플랜지(140A) 및 제2 플랜지(140B)의 절곡부(146)는 제1 홈(142)을 통해 제1 플랜지(140A) 및 제2 플랜지(140B)의 비절곡부(144)에 대하여 0이 아닌 각도로 구부러진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곡부(146)의 굽힘은, 파스닝 테이프(100)의 플랜지(140A 및 140B)와 폼(160)의 상부 사이의 폼(160)의 두께(159)를 증가시키는 것을 돕는다. 폼(160)의 두께(159)의 증가는 결국 언더컷 효과를 높이고, 훅 대 폼 강도를 증대시킨다. 제1 홈(142)을 통한 절곡부(146)를 굽힘은, 다양한 다른 형식의 트렌치(154) 중에서도 단차 트렌치 및 단차가 없는 트렌치의 양쪽 모두에서 훅 대 폼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사용해도 된다.
도 11 및 도 12는, 파스닝 테이프(200)의 제1 플랜지(140A)(및 선택적으로는 제2 플랜지(140B))가 제1 홈(142) 및 상면(108)에 형성된 제2 홈(260)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파스닝 테이프(1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파스닝 테이프(200)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1 홈(142)과 마찬가지로, 제2 홈(260)은 제1 측벽(114A)과 제1 테두리(104) 사이에서 세로 방향(112)으로 연장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2 홈(260)은 제1 홈(142)과 제1 테두리(104) 사이에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홈(260)은 각종 실시예에서 개구(148)의 단부(150)와 인접하는 개구(148)의 단부(152) 사이에서 연장된다. 제2 홈(260)은 가로 방향(110)으로 개구(148)의 길이를 따라 대략 중간에 위치결정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홈(142)은 개구(148)와 교차하지 않는다.
각종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140A)의 비절곡부(144)는 제1 측벽(114A)과 제1 홈(142) 사이에 있고, 절곡부(146)는 제1 홈(142)과 제2 홈(260) 사이에 있으며, 제2 절곡부(262)는 제2 홈(260)과 제1 테두리(104) 사이에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제2 절곡부(262)는, 비절곡부(144) 및 절곡부(146)에 대하여 다양한 절곡 각도로 위치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여, 절곡부(146)는, 비절곡부(144) 및 제2 절곡부(262)에 대하여 다양한 절곡 각도로 위치결정될 수 있다. 다른 각종 실시예에서는, 부가적인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세로 방향(112)으로 연장되는 부가적인 홈을 제공해도 된다.
도 13 내지 도 15 및 도 17은, 개구(148)가 생략되고, 파스닝 테이프(300)의 제1 플랜지(140A)(및 선택적으로는 제2 플랜지(140B))가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364)을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파스닝 테이프(1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파스닝 테이프(300)의 예를 도시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가로방향 슬릿(364)은 제1 플랜지(140A)를 따라 규칙적인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364)은, 제1 테두리(104) 부근으로부터 제1 측벽(114A) 부근까지 가로 방향(110)으로 연장되고, 제1 테두리(104) 부근의 외측 단부(366) 및 제1 측벽(114A) 부근의 내측 단부(368)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외측 단부(366)는 제1 테두리(104)까지 연장되고, 그래서 가로방향 슬릿 개구(370)가 제1 테두리(104)에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측 단부(366)는 제1 테두리(104)로부터 이격되고, 가로방향 슬릿 개구(370)는 생략된다(도 31 및 도 32 참조). 외측 단부(366)가 제1 테두리(104)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경우, 제1 플랜지(140A)의 가교부(881)가 가로방향 슬릿(364)의 외측 단부(366)와 제1 테두리(104) 사이에 존재한다(도 31 및 도 32 참조).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홈(142)은 가로방향 슬릿(364) 각각과 교차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홈(142)은, 가로방향 슬릿(364)의 각각과, 외측 단부(366)와 내측 단부(368) 사이에서 교차한다(도 13 및 도 14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홈(142)은 가로방향 슬릿(364)의 각각과 내측 단부(368)에서 교차한다. 각종 실시예에서, 가로방향 슬릿(364)은 제1 홈(14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이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가로방향 슬릿(364)은 각종 실시예에서 플랜지 폭보다 작은 슬릿 폭(W)을 갖는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플랜지(140A)의 가로방향 슬릿(364)은 제2 플랜지(140B)의 가로방향 슬릿(364)과 가로 방향(110)으로 정렬되어 있다(도 14 참조).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플랜지(140A)의 가로방향 슬릿(364)은 제2 플랜지(140B)의 가로방향 슬릿(364)에 대하여 가로 방향(110)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가로방향 슬릿(364)은, 구비되었을 경우, 파스닝 테이프(100)에 세로 방향(112)으로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고, 그래서 파스닝 테이프(300)는 다양한 형상의 트렌치 표면에 양호하게 정합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형성 프로세스에서, 트렌치(154)는 볼록 트렌치이어도 되거나, 다양한 다른 비직선 형상을 가져도 된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방향 슬릿(364)이 없는 파스닝 테이프(100)는 트렌치(154)의 형상에 정합하는데 어려움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닝 테이프(300)는, 가로방향 슬릿(364)이 세로 방향(112)에 유연성을 부여하므로, 볼록 트렌치(154)의 표면에 보다 양호하게 정합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복수의 결합된 파스닝 테이프 세그먼트(472)를 갖는 파스닝 테이프(400)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각각의 파스닝 테이프 세그먼트(472)는 파스닝 테이프(300)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파스닝 테이프 세그먼트(472)는 또한 상면(108)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벽 벽(474)도 갖는다.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닝 테이프 세그먼트(472)는 가요성 요소(476)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21 내지 도 24는, 파스닝 테이프(400)의 제1 플랜지(140A)(및 선택적으로는 제2 플랜지(140B))가 돌기(578)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 파스닝 테이프(3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파스닝 테이프(500)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578)는, 상면(108)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면(108)을 따라 세로 방향(112)으로 연장된다. 돌기(578)는 제1 측벽(114A)과 제1 테두리(104) 사이에 위치결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돌기(578)는 제1 홈(142)과 제1 테두리(104) 사이에 위치결정된다. 도 21, 도 22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방향 슬릿(364)은 돌기(578)를 가로지른다. 일부 경우에서는, 가로방향 슬릿(364)은 돌기(578)와 교차하거나, 돌기(578)의 구성요소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각종 실시예에서, 제1 측벽(114A)으로부터 돌기(578)까지의 거리는 제1 측벽(114A)의 높이보다 크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돌기(578)의 높이는, 제1 측벽(114A)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거나, 제1 측벽(114A)의 높이보다 작거나, 또는 제1 측벽(114A)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돌기(578)는 복수의 대지부 및 골부를 포함한다. 대지부 및 골부는 규칙적인 또는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존재할 수 있다. 돌기(578)는 다양한 형상의 윤곽을 가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배치로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경우에, 돌기(578)는 복수의 대지부 및 골부를 갖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측벽(114A)과 마찬가지로, 돌기(578)는 다수의 외벽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578)는, 성형 프로세스 중에 제1 플랜지(140A)에 대하여 지지를 제공하고, 파스닝 테이프(500)의 훅 대 폼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도 25 내지 도 27은, 파스닝 테이프(600)가 가요성 요소(476)에 의해 서로 연결된 파스닝 테이프 세그먼트(472)를 포함하는 점에서 파스닝 테이프(400)와 유사한 파스닝 테이프(600)를 도시하고 있다. 파스닝 테이프(600)의 각각의 파스닝 테이프 세그먼트(472)는 파스닝 테이프(50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도 28 내지 도 30은, 파스닝 테이프(700)가 복수의 개구(148)를 더 포함하는 것 이외에, 파스닝 테이프(3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파스닝 테이프(700)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방향 슬릿(364)의 각각은 인접하는 개구(148)의 사이에 연장된다.
도 31 내지 도 34는, 파스닝 테이프(800)가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364)을 포함하는 점에서 파스닝 테이프(300)와 유사한 파스닝 테이프(800)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방향 슬릿(364)의 외측 단부(366)는 제1 테두리(104)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따라서 가로방향 슬릿(364)은 제1 테두리(104)까지 연장되지 않는다. 이들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140A)의 가교부(881)는, 가로방향 슬릿(364)의 외측 단부(366)와 제1 테두리(104) 사이에 존재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측 단부(366)는 제1 테두리(104)에 있고, 그래서 가로방향 슬릿 개구(370)가 형성된다(도 35 참조).
파스닝 테이프(300)와 비교하면, 파스닝 테이프(800)는 제1 홈(142)을 포함하지 않지만, 그 대신에 복수의 세로방향 슬릿(880)을 포함하고, 각 세로방향 슬릿(880)은 대응하는 가로방향 슬릿(364)과 교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플랜지(140A) 및 제2 플랜지(140B)의 양쪽 모두가 세로방향 슬릿(880) 및 가로방향 슬릿(364)을 포함하는 경우, 제1 플랜지(140A)의 세로방향 슬릿(880) 및 가로방향 슬릿(364)은 제2 플랜지(140B)의 세로방향 슬릿(880) 및 가로방향 슬릿(364)과 가로 방향(110)으로 정렬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플랜지(140A)의 세로방향 슬릿(880) 및 가로방향 슬릿(364)은 제2 플랜지(140B)의 세로방향 슬릿(880) 및 가로방향 슬릿(364)에 대하여 가로 방향(110)으로 오프셋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세로방향 슬릿(880)은 대응하는 가로방향 슬릿(364)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이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각종 실시예에서, 각각의 세로방향 슬릿(880)은 선택적으로 제1 슬릿부(882) 및 제2 슬릿부(884)를 포함하고, 세로 방향(112)에서 제1 슬릿부(882)는 가로방향 슬릿(364)의 일측에 있고, 제2 슬릿부(884)는 가로방향 슬릿(364)의 타측에 있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가로방향 슬릿(364)은, 제1 슬릿부(882)와 교차하는 제1 원호부(886) 및 제2 슬릿부(884)와 교차하는 제2 원호부(888)를 포함한다. 다른 각종 실시예에서는, 가로방향 슬릿(364)은 다양한 다른 각도 또는 구성으로 세로방향 슬릿(880)과 교차해도 된다. 일부 경우에서는, 가로방향 슬릿(364)은, 원호부(886, 888)를 포함하지 않고, 그 대신에 세로방향 슬릿(880)과 직각(도 36 참조) 또는 다양한 다른 각도로 교차한다.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종 실시예에서, 제1 측벽(114A)과 제1 테두리(104) 사이에서 가로 방향(110)으로 복수의 리브(890)가 연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세로방향 슬릿(880)은 복수의 리브(890) 중 적어도 일부와 교차한다. 복수의 리브(890)는 제1 플랜지(140A)의 두께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제2 플랜지(140B)는 필요에 따라서 복수의 리브(890)를 포함할 수 있다. 양쪽의 플랜지(140A, 140B)에 구비되었을 경우, 제1 플랜지(140A)의 리브(890)는 제2 플랜지(140B)의 리브(890)와 정렬되거나 그로부터 오프셋되어 있어도 된다.
도 34를 언급하면, 세로방향 슬릿(880) 및 가로방향 슬릿(364)은, 파스닝 테이프(800)에 인장력(883)이 가해진 때에 핀(892)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제공될 수 있다. 파스닝 테이프(800)에서, 각각의 핀(892)은 인접하는 가로방향 슬릿(364) 사이의 제1 플랜지(140A)의 부분이다. 파스너(118) 및 자기 재료(128A, 128B)를 구비하는 파스닝 테이프(800)의 본체(102)에 인장력(883)이 가해졌을 때(파스너(118) 및 자기 재료(128A, 128B)는 도 34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가로방향 슬릿(364)의 외측 단부(366)와 제1 테두리(104) 사이의 제1 플랜지(140A)의 부분(상기 가교부(881)에 대응)은 파열되어 핀(892)을 형성한다.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스닝 테이프(800)가 인장되었을 때, 핀(892)은, 핀(892)이 없는 파스닝 테이프에 비하여 큰 표면적에 걸친 폼(160)과의 복수의 접촉점에서 폼(160)과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핀(892)에 의해 발생되는 보다 큰 표면적에 걸친 폼(160)과의 이들 접촉점은, 인장력(883)으로부터 전단력(885)을 발생시키고, 이는 훅 대 폼 강도를 증대시킨다. 각종 실시예에서, 제1 플랜지(140A)의 세로방향 슬릿(880) 및 가로방향 슬릿(364)을 제2 플랜지(140B)의 세로방향 슬릿(880) 및 가로방향 슬릿(364)에 대하여 가로 방향(110)으로 오프셋시킴으로써, 제1 플랜지(140A) 및 제2 플랜지(140B)의 세로방향 슬릿(880) 및 가로방향 슬릿(364)이 가로 방향(110)으로 정렬된 파스닝 테이프에 비하여 일 면적에서 더 낮은 전단력(885)을 파스닝 테이프(8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낮은 전단력(885)은, 그와 달리 전단력(885)이 과도하게 큰 경우에 일어날 수 있는 인열을 저감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가로방향 슬릿(364)은 세로방향 슬릿(880)의 거의 중간에서 세로방향 슬릿(880)과 교차하고, 그래서 가로방향 슬릿(364) 및 세로방향 슬릿(880)은 T자형의 핀(892)을 형성한다. 그러나, 다른 각종 실시예에서는, 가로방향 슬릿(364)은 세로방향 슬릿(880)의 길이를 따른 다양한 다른 위치에서 세로방향 슬릿(880)과 교차하여 다양한 다른 형상을 갖는 핀(892)을 형성해도 된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에서, 가로방향 슬릿(364)은 세로방향 슬릿(880)의 단부 중 하나에서 세로방향 슬릿(880)과 교차하여, T자형이 아니고 L자형의 핀(892)을 형성해도 된다.
도 35는, 파스닝 테이프(8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파스닝 테이프(1900)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파스닝 테이프(1900)는, 제1 홈(142)을 포함하지 않고, 그 대신에 복수의 세로방향 슬릿(880)을 포함한다. 파스닝 테이프(800)와 비교하면, 파스닝 테이프(1900)에서는, 가로방향 슬릿(364)의 외측 단부(366)는 가로 방향 슬릿 개구(370)를 형성하도록 제1 테두리(104)에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파열되어 핀(892)을 형성하는 제1 플랜지(140A)의 부분이 가로 방향 슬릿(364)의 외측 단부(366)와 제1 테두리(104) 사이에 전혀 존재하지 않으므로, 핀(892)은 미리 형성된다.
도 36은, 파스닝 테이프(8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파스닝 테이프(900)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파스닝 테이프(1900)는, 제1 홈(142)을 포함하지 않고, 그 대신에 복수의 세로방향 슬릿(880)을 포함한다. 파스닝 테이프(800)와 비교하면, 파스닝 테이프(900)에서는, 가로방향 슬릿(364)의 원호부(886 및 888)가 생략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세로방향 슬릿(880)은, 가로방향 슬릿(364)의 내측 단부(368)와 교차하지만, 다른 각종 실시예에서는 세로 방향 슬릿(880)은 가로 방향 슬릿(364)의 내측 단부(368) 및 외측 단부(366) 사이에서 교차한다.
도 37 내지 도 39는, 파스닝 테이프(8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파스닝 테이프(1000)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파스닝 테이프(1900)는, 제1 홈(142)을 포함하지 않고, 그 대신에 복수의 세로방향 슬릿(880)을 포함한다. 파스닝 테이프(800)와 비교하면, 파스닝 테이프(1000)에서는, 파스닝 테이프(800)에 비하여 가로방향 슬릿(364)의 폭(W)이 증대되고, 세로방향 슬릿(880)의 길이(X)가 증대된다. 파스닝 테이프(900)와 마찬가지로, 파스닝 테이프(1000)에서 핀(892)은 미리 형성된다.
도 40 내지 도 42는, 파스닝 테이프(1000)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파스닝 테이프(1100)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파스닝 테이프(1900)는, 제1 홈(142)을 포함하지 않고, 그 대신에 복수의 세로방향 슬릿(880)을 포함한다. 파스닝 테이프(1100)와 비교하면, 파스닝 테이프(1000)에서는, 파스닝 테이프(1100)의 제1 플랜지(140A)(및 선택적으로는 제2 플랜지(140B))는 인접하는 가로방향 슬릿(364) 사이에 복수의 이격 절결(1194)을 더 포함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격 절결(1194)은 제1 테두리(104)로부터 제1 측벽(114A) 부근까지 연장된다. 파스닝 테이프(900)와 마찬가지로, 파스닝 테이프(1100)에서, 핀(892)은 미리 형성된다. 각종 실시예에서, 이격 절결(1194)은, 파스닝 테이프(1100)를 따라 핀(892)을 또한 이격시키고, 파스닝 테이프(1100)와 폼 사이의 부착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격 절결(1194)은, 파스닝 테이프(1000)의 T자형의 핀(892)에 비하여 L자형인 핀(892)을 형성하는 것을 돕는다.
도 43 내지 도 45는, 가로방향 슬릿(364)의 폭(W)(도 44 참조)이 파스닝 테이프(500)에 비하여 증대되는 것을 제외하고, 파스닝 테이프(500)와 유사한 파스닝 테이프(1200)를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플랜지(140A)의 가로방향 슬릿(364)은 제2 플랜지(140B)의 가로방향 슬릿(364)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다. 각종 실시예에서, 파스닝 테이프(1200)의 가로방향 슬릿(364)의 폭(W)은 파스닝 테이프(1200)의 인접하는 슬릿(364)의 인접하는 테두리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또한, 제1 플랜지(140A)의 가로방향 슬릿(364)은, 제2 플랜지(140B)의 가로방향 슬릿(364)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고, 그래서 지그재그 패턴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파스닝 테이프(500)와 마찬가지로, 제1 플랜지(140A) 및 제2 플랜지(140B)의 가로방향 슬릿(364)은 정렬될 수 있다.
도 46 내지 도 48은, 파스닝 테이프(600)와 유사이며, 가요성 요소(476)에 의해 서로 연결된 파스닝 테이프 세그먼트(472)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1300)를 도시하고 있다. 파스닝 테이프(1300)의 각각 파스닝 테이프 세그먼트(472)는 파스닝 테이프(1200)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파스닝 테이프(600)와 비교하면, 파스닝 테이프(1300)의 가로방향 슬릿(364)의 폭(W)은 증대되어 있다. 각종 실시예에서, 파스닝 테이프(1300)의 가로방향 슬릿(364)의 폭(W)(도 47)은 파스닝 테이프(1300)의 인접하는 가로방향 슬릿(364)의 인접하는 테두리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또한, 파스닝 테이프(1300)의 제1 플랜지(140A)의 가로방향 슬릿(364)은, 파스닝 테이프(1300)의 제2 플랜지(140B)의 가로방향 슬릿(364)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고, 따라서 지그재그 패턴이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파스닝 테이프(600)와 마찬가지로, 제1 플랜지(140A) 및 제2 플랜지(140B)의 가로방향 슬릿(364)은 정렬될 수 있다.
도 49 및 도 50은, 가로 방향 슬릿(364)의 형상이 변경되어 있고 제1 홈(14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파스닝 테이프(1200)와 유사한 파스닝 테이프(1400)를 도시하고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돌기(578)는, 제1 테두리(104)와 제1 측벽(114A) 사이에서, 가로방향 슬릿(364)의 내측 단부(368)보다 제1 테두리(104) 근방의 위치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돌기(578)는, 제2 테두리(106)와 제2 측벽(114B) 사이에서, 가로방향 슬릿(364)의 내측 단부(368)보다 제2 테두리(106) 근방의 위치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돌기(578)의 높이는, 제1 측벽(114A) 및 제2 측벽(114B)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제1 측벽(114A) 및 제2 측벽(114B)의 높이 미만이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가로방향 슬릿(364)은, 제1 테두리(104) 및 제2 테두리(106)가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단부(368) 및 외측 단부(366)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파스닝 테이프(1400)에 의하면, 가로방향 슬릿(364)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 플랜지(140A) 및 제2 플랜지(140B)는 유연성을 갖고, 따라서 트렌치(154)에 대한 추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파스닝 테이프(1400)에 의하면, 돌기(578)의 높이는 제1 측벽(114A) 및 제2 측벽(114B)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제1 측벽(114A) 및 제2 측벽(114B)의 높이 미만이기 때문에, 폼이 파스너 영역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파스닝 테이프(1400)에 의하면, 돌기(578)는 파스너(118)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파스닝 테이프가 서로 얽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파스닝 테이프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파스닝 테이프(1400)에 의하면, 제1 테두리(104) 및 제2 테두리(106)는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파스닝 테이프가 서로 얽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파스닝 테이프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51 및 도 52는, 제1 홈(142)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파스닝 테이프(1200)와 유사한 파스닝 테이프(1500)를 도시하고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돌기(578)는, 제1 테두리(104)와 제1 측벽(114A) 사이에서, 가로방향 슬릿(364)의 내측 단부(368)보다 제1 테두리(104) 근방의 위치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돌기(578)는, 제2 테두리(106)와 제2 측벽(114B) 사이에서, 가로방향 슬릿(364)의 내측 단부(368)보다 제2 테두리(106) 근방의 위치에 배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돌기(578)의 높이는, 제1 측벽(114A) 및 제2 측벽(114B)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제1 측벽(114A) 및 제2 측벽(114B)의 높이 미만이다.
파스닝 테이프(1500)에 의하면, 가로방향 슬릿(364)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 플랜지(140A) 및 제2 플랜지(140B)는 유연성을 갖고, 따라서 트렌치(154)에 대한 추종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파스닝 테이프(1500)에 의하면, 돌기(578)의 높이는 제1 측벽(114A) 및 제2 측벽(114B)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제1 측벽(114A) 및 제2 측벽(114B)의 높이 미만이기 때문에, 폼이 파스너 영역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파스닝 테이프(1500)에서는, 돌기(578)가 파스너(118)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파스닝 테이프가 서로 얽히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따라서 파스닝 테이프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한 개념을 따른 다양한 종류의 실시형태의 추가 설명을 제공하는, "EC"(실시예의 조합)로서 명시적으로 열거된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집합을 이하에 제시한다. 이들 실시예는 서로 배타적, 망라적 또는 한정적인 것을 의미하지 않고, 본 발명은 이들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청구된 청구항 및 그 등가물의 범위 내의 모든 가능한 수정 및 변경을 포함한다.
EC 1. 파스닝 테이프이며, 제1 테두리, 제1 테두리 반대측의 제2 테두리,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 연장되는 저면 및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 연장되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로서, 본체는, 제1 테두리로부터 제2 테두리로의 가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세로 방향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 위치결정된 제1 측벽; 및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측벽과 제2 테두리 사이에 위치결정된 제2 측벽;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에 위치결정되며, 본체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에 배치된 복수의 파스너; 상면에 형성되고 제1 측벽과 제1 테두리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으로서, 제1 홈은 제1 홈과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절곡부 및 제1 홈과 제1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비절곡부를 형성하는, 제1 홈; 상면에 형성되고 제2 측벽과 제2 테두리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으로서, 제2 홈은 2 홈과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절곡부 및 제2 홈과 제2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비절곡부를 형성하는, 제2 홈; 제1 측벽과 제1 테두리 사이에 있고 제1 테두리 부근으로부터 제1 측벽 부근까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을 포함하는 제1 플랜지; 및 제2 측벽과 제2 테두리 사이에 있고 제2 테두리 부근으로부터 제2 측벽 부근까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을 포함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며, 제1 절곡부는 제1 비절곡부에 대해 위치결정가능하고, 제2 절곡부는 제2 비절곡부에 대해 위치결정가능하고,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폭은 인접하는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인접하는 테두리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며, 복수의 가로방향 제2 슬릿의 각각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의 폭은 인접하는 제2 가로방향 슬릿의 인접하는 테두리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한, 파스닝 테이프.
EC 2.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은 제1 테두리로부터 제1 측벽 부근까지 연장되고, 복수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은 제2 테두리로부터 제2 측벽 부근까지 연장되는, 파스닝 테이프.
EC 3.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2 가로방향 슬릿은 제1 가로방향 슬릿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파스닝 테이프.
EC 4.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가로방향 슬릿은 제2 가로방향 슬릿과 가로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는, 파스닝 테이프.
EC 5.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홈은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6.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홈은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와 내측 단부 사이에서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7.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테두리와 제1 홈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돌기를 더 포함하며, 제1 돌기는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8.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는 제1 테두리에 또는 그 부근에 있는, 파스닝 테이프.
EC 9.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가로방향 슬릿은 제1 홈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파스닝 테이프.
EC 10.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파스닝 테이프는 가요성 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11.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부를 더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12. 파스닝 테이프이며, 제1 테두리, 제1 테두리 반대측의 제2 테두리,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서 연장되는 저면 및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로서, 본체는 제1 테두리로부터 제2 테두리로의 가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세로 방향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 위치결정된 제1 측벽;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측벽과 제2 테두리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제2 측벽;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에 위치결정되며 본체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파스너; 상면에 형성되고 제1 측벽과 제1 테두리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으로서, 제1 홈은 제1 홈과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절곡부 및 제1 홈과 제1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비절곡부를 형성하는, 제1 홈; 상면에 형성되고 제2 측벽과 제2 테두리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으로서, 제2 홈은 제2 홈과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절곡부 및 제2 홈과 제2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비절곡부를 형성하는, 제2 홈; 제1 측벽과 제1 테두리 사이에 있고 가로 방향으로 제1 테두리 부근으로부터 제1 측벽 부근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을 포함하는 제1 플랜지; 및 제2 측벽과 제2 테두리 사이에 있고 가로 방향으로 제2 테두리 부근으로부터 제2 측벽 부근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을 포함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며, 제1 절곡부는 제1 비절곡부에 대해 위치결정가능하고, 제2 절곡부는 제2 비절곡부에 대해 위치결정가능하며, 제2 가로방향 슬릿은 제1 가로방향 슬릿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파스닝 테이프.
EC 13.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폭이 인접하는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인접하는 테두리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며, 복수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의 폭이 인접하는 제2 가로방향 슬릿의 인접하는 테두리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한, 파스닝 테이프.
EC 14.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은 제1 테두리로부터 제1 측벽 부근까지 연장되고, 복수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은 제2 테두리로부터 제2 측벽 부근까지 연장되는, 파스닝 테이프.
EC 15.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홈은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16.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테두리와 제1 홈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돌기를 더 포함하며, 제1 돌기는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17.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제1 측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는 제1 테두리에 또는 그 부근에 있는, 파스닝 테이프.
EC 18.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가로 방향 슬릿의 교차는 제1 홈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파스닝 테이프.
EC 19.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파스닝 테이프는 가요성 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20.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부를 더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21. 파스닝 테이프이며, 제1 테두리, 제1 테두리 반대측의 제2 테두리,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서 연장되는 저면 및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서 연장되는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로서, 본체는 제1 테두리로부터 제2 테두리로의 가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세로 방향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제1 측벽; 및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측벽과 제2 테두리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제2 측벽;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측벽과 제2 측벽 사이에 위치결정되고, 본체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열에 배치된 복수의 파스너; 상면에 형성되고 제1 측벽과 제1 테두리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으로서, 제1 홈은 제1 홈과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된 제1 절곡부 및 제1 홈과 제1 측벽 사이에 배치된 제1 비절곡부를 형성하는, 제1 홈; 상면에 형성되고 제2 측벽과 제2 테두리 사이에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으로서, 제2 홈은 제2 홈과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된 제2 절곡부 및 제2 홈과 제2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비절곡부를 포함하는, 제2 홈; 제1 측벽과 제1 테두리 사이에 있고 가로 방향으로 제1 테두리 부근으로부터 제1 측벽 부근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을 포함하는 제1 플랜지; 및 제2 측벽과 제2 테두리 사이에 있고 가로 방향으로 제2 테두리 부근으로부터 제2 측벽 부근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을 포함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며, 제1 절곡부는 제1 비절곡부에 대해 위치결정가능하고, 제2 절곡부는 제2 비절곡부에 대해 위치결정가능하며, 제2 가로방향 슬릿은 가로 방향으로 제1 가로방향 슬릿과 정렬되는, 파스닝 테이프.
EC 22.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폭은 인접하는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인접하는 테두리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하며, 복수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의 폭은 인접하는 제2 가로방향 슬릿의 인접하는 테두리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한, 파스닝 테이프.
EC 23.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은 제1 테두리로부터 제1 측벽 부근까지 연장되고, 복수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은 제2 테두리로부터 제2 측벽 부근까지 연장되는, 파스닝 테이프.
EC 24.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홈은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25.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홈은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와 내측 단부 사이에서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26.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테두리와 제1 홈 사이에 위치되는 제1 돌기를 더 포함하며, 제1 돌기는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27.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는 제1 테두리에 또는 그 부근에 있는, 파스닝 테이프.
EC 28.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가로방향 슬릿은 제1 홈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파스닝 테이프.
EC 29.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파스닝 테이프는 가요성 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30.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자기부를 더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31.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절곡부는 제1 비절곡부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0의 각도에 있는, 파스닝 테이프.
EC 32.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절곡부는 제1 비절곡부에 대하여 0이 아닌 각도에 있는, 파스닝 테이프.
EC 33.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절곡부는 제1 비절곡부에 대하여 45°의 각도에 위치결정되는, 파스닝 테이프.
EC 34.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절곡부는 제1 비절곡부에 대하여 90°의 각도에 위치결정되는, 파스닝 테이프.
EC 35.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비절곡부에 대한 제1 절곡부의 각도는 대략 제2 비절곡부에 대한 제2 절곡부의 각도인, 파스닝 테이프.
EC 36.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비절곡부에 대한 제1 절곡부의 각도는 제2 비절곡부에 대한 제2 절곡부의 각도와 상이한, 파스닝 테이프.
EC 37. 파스닝 테이프이며, 제1 테두리, 제1 테두리 반대측의 제2 테두리 및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로서, 본체는 제1 테두리로부터 제2 테두리로의 가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세로 방향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의 상면 및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파스너; 및 복수의 파스너와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를 포함하고, 제1 플랜지는 본체의 상면에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으로서, 제1 플랜지가 제1 홈과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절곡부 및 제1 홈과 복수의 파스너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비절곡부를 형성하는, 제1 홈; 및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을 포함하고, 제1 절곡부는 제1 비절곡부에 대해 위치결정가능하며,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은 제1 홈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38.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파스너와 제1 플랜지의 제1 홈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측벽; 복수의 파스너와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측벽; 및 제2 측벽과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제2 플랜지는, 상면에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으로서, 제2 플랜지가 제2 홈과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절곡부 및 제2 홈과 제2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비절곡부를 형성하는, 제2 홈; 및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가로방향 슬롯을 포함하고, 제2 절곡부는 제2 비절곡부에 대해 위치결정가능하며, 복수의 제2 가로방향 슬릿 중 적어도 하나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은 제2 홈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39.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은 내측 단부 및 외측 단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는 제1 테두리에 있고, 따라서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은 제1 테두리에 가로방향 슬릿 개구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40.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은 내측 단부 및 외측 단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는 제1 테두리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제1 플랜지는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와 제1 테두리 사이에 가교부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41.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홈은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42.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홈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와 내측 단부 사이에서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가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43.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1 플랜지는 제1 테두리와 제1 홈 사이에 배치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고, 돌기는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44.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파스닝 테이프는 가요성 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45. 파스닝 테이프이며, 제1 테두리, 제1 테두리 반대측의 제2 테두리 및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로서, 본체는 제1 테두리로부터 제2 테두리로의 가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세로 방향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의 상면 및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파스너; 복수의 파스너와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본체의 상면에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 및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홈과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절곡부 및 홈과 복수의 파스너 사이에 배치되는 비절곡부를 형성하며, 복수의 개구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홈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46.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개구의 각각의 개구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따라서 각각의 개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파스닝 테이프.
EC 47.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개구의 각각의 개구는 홈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48.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홈은 복수의 개구의 각각의 개구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와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49.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홈은 각각의 개구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복수의 개구의 각각의 개구와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50.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플랜지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은 인접하는 개구 사이에 배치되고, 홈은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51.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홈은 제1 홈이며, 플랜지는, 본체의 상면에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을 더 포함하고, 제2 홈은 제1 홈과 복수의 파스너 사이에 있고, 따라서 제2 홈은 복수의 개구와 교차하지 않는, 파스닝 테이프.
EC 52. 파스닝 테이프이며, 제1 테두리, 제1 테두리 반대측의 제2 테두리 및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로서, 본체는 제1 테두리로부터 제2 테두리까지의 가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세로 방향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의 상면에 있으며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복수의 파스너; 복수의 파스너와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세로방향 슬릿 및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을 포함하고,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의 각 가로방향 슬릿은 복수의 세로방향 슬릿의 대응하는 세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53.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세로방향 슬릿은 제1 슬릿부 및 제2 슬릿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은 제1 슬릿부와 교차하는 제1 원호부 및 대응하는 세로방향 슬릿의 제2 슬릿부와 교차하는 제2 원호부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54.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은 대응하는 세로방향 슬릿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대응하는 세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55.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은 내측 단부 및 외측 단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는 제1 테두리에 있고, 따라서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은 제1 테두리에 가로방향 슬릿 개구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56.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은 내측 단부 및 외측 단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는 제1 테두리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플랜지는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와 제1 테두리 사이에 가교부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EC 57. 전술한 또는 후속하는 실시예 조합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플랜지는 복수의 이격 절결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이격 절결은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의 인접하는 가로방향 슬릿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파스닝 테이프.
상기의 양태는 단지 본 개시물의 원리의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설명된 가능한 구현예에 지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사상 및 원리로부터 실질적으로 일탈하지 않으면 상기의 실시형태(들)에 많은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모든 수정 및 변경은 본 개시물의 범위 내에서 본원에 포함되도록 의도되며, 요소 또는 단계의 개별 양태 또는 조합에 대한 모든 가능한 청구항은 본 개시물에 의해 지지되도록 의도된다. 또한, 특정적인 용어가 본원 및 이하의 청구항에 채용되지만, 이들은 일반적이며 설명적인 의미로만 사용되며, 기재된 발명 및 이하의 청구항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Claims (25)

  1. 파스닝 테이프이며,
    제1 테두리, 제1 테두리 반대측의 제2 테두리 및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로서, 본체는 제1 테두리로부터 제2 테두리로의 가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세로 방향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의 상면, 및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파스너; 및
    복수의 파스너와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를 포함하고,
    제1 플랜지는,
    본체의 상면에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홈으로서, 제1 플랜지가 제1 홈과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절곡부 및 제1 홈과 복수의 파스너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비절곡부를 형성하는, 제1 홈; 및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을 포함하고,
    제1 절곡부는 제1 비절곡부에 대해 위치결정가능하며,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은 제1 홈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파스너와 제1 플랜지의 제1 홈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측벽;
    복수의 파스너와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측벽; 및
    제2 측벽과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를 더 포함하고,
    제2 플랜지는,
    본체의 상면에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으로서, 제2 플랜지가 제2 홈과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절곡부 및 제2 홈과 제2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비절곡부를 형성하는, 제2 홈; 및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을 포함하고,
    제2 절곡부는 제2 비절곡부에 대해 위치결정가능하며,
    복수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은 제2 홈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은 내측 단부 및 외측 단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는 제1 테두리에 있으며, 그래서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은 제1 테두리에서 가로방향 슬릿 개구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은 내측 단부 및 외측 단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는 제1 테두리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제1 플랜지는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와 제1 테두리 사이에 가교부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5. 제1항에 있어서, 제1 홈은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6. 제1항에 있어서, 제1 홈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와 내측 단부 사이에서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적어도 하나의 제1 가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7. 제1항에 있어서, 제1 플랜지는 제1 테두리와 제1 홈 사이에 배치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고, 돌기는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8. 제1항에 있어서, 파스닝 테이프는 가요성 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파스닝 테이프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9. 파스닝 테이프이며,
    제1 테두리, 제1 테두리 반대측의 제2 테두리 및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로서, 본체는 제1 테두리로부터 제2 테두리로의 가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세로 방향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의 상면, 및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파스너;
    복수의 파스너와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본체의 상면에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서, 플랜지가 홈과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절곡부 및 홈과 복수의 파스너 사이에 배치되는 비절곡부를 형성하는, 홈; 및
    복수의 개구로서, 복수의 개구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는 홈과 교차하는, 복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개구의 각각의 개구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래서 각각의 개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파스닝 테이프.
  11. 제10항에 있어서, 복수의 개구의 각각의 개구는 홈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12. 제11항에 있어서, 홈은 복수의 개구의 각각의 개구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와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13. 제11항에 있어서, 홈은 각각의 개구의 제1 단부 및 제2 단부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서 복수의 개구의 각각의 개구와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14. 제9항에 있어서, 플랜지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은 인접하는 개구 사이에 위치결정되며, 홈은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15. 제9항에 있어서, 홈은 제1 홈이고, 플랜지는,
    본체의 상면에 있으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홈을 더 포함하며,
    제2 홈은 제1 홈과 복수의 파스너 사이에 있고, 그래서 제2 홈은 복수의 개구와 교차하지 않는, 파스닝 테이프.
  16. 파스닝 테이프이며,
    제1 테두리, 제1 테두리 반대측의 제2 테두리 및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로서, 본체는 제1 테두리로부터 제2 테두리로의 가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세로 방향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의 상면에 있으며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파스너;
    복수의 파스너와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플랜지를 포함하고,
    플랜지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세로방향 슬릿; 및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을 포함하며,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은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의 대응하는 세로방향 슬릿과 교차하는, 파스닝 테이프.
  17. 제16항에 있어서, 각각의 세로방향 슬릿은 제1 슬릿부 및 제2 슬릿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은 제1 슬릿부와 교차하는 제1 원호부 및 대응하는 세로방향 슬릿의 제2 슬릿부와 교차하는 제2 원호부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18. 제16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은 내측 단부 및 외측 단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는 제1 테두리에 있으며, 그래서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은 제1 테두리에 가로방향 슬릿을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19. 제16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은 내측 단부 및 외측 단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는 제1 테두리로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플랜지는 각각의 가로방향 슬릿의 외측 단부와 제1 테두리 사이에 가교부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20. 제16항에 있어서, 플랜지는 복수의 이격 절결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이격 절결은 복수의 가로방향 슬릿의 인접하는 가로방향 슬릿 사이에 위치결정되는, 파스닝 테이프.
  21. 파스닝 테이프이며,
    제1 테두리, 제1 테두리 반대측의 제2 테두리 및 상면을 포함하는 본체로서, 본체는 제1 테두리로부터 제2 테두리로의 가로 방향 및 가로 방향을 가로지르는 세로 방향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의 상면, 및 제1 테두리와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파스너;
    복수의 파스너와 제1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 및
    복수의 파스너와 제1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측벽을 포함하고,
    제1 플랜지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은 내측 단부 및 외측 단부를 포함하고,
    제1 플랜지는 각각의 제1 가로방향 슬릿의 내측 단부보다 제1 테두리에 가까운 위치에서 제1 테두리와 제1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22. 제21항에 있어서,
    복수의 파스너와 제2 테두리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 및
    복수의 파스너와 제2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측벽을 더 포함하고,
    제2 플랜지는,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의 각각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은 내측 단부 및 외측 단부를 구비하며,
    제2 플랜지는 각각의 제2 가로방향 슬릿의 내측 단부보다 제2 테두리에 가까운 위치에서 제2 테두리와 제2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파스닝 테이프.
  23. 제22항에 있어서, 돌기의 높이는 제1 측벽의 높이 및 제2 측벽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제1 측벽의 높이 및 제2 측벽의 높이 미만인, 파스닝 테이프.
  24. 제22항에 있어서, 제2 가로방향 슬릿은 가로 방향으로 제1 가로방향 슬릿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파스닝 테이프.
  25. 제22항에 있어서, 제1 가로방향 슬릿 및 제2 가로방향 슬릿은 제1 테두리 및 제2 테두리가 웨이브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형성되는, 파스닝 테이프.
KR1020170174291A 2016-12-21 2017-12-18 파스닝 테이프 KR102044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37376P 2016-12-21 2016-12-21
US62/437,376 2016-12-21
US201762482310P 2017-04-06 2017-04-06
US62/482,310 2017-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566A true KR20180072566A (ko) 2018-06-29
KR102044179B1 KR102044179B1 (ko) 2019-11-13

Family

ID=62251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291A KR102044179B1 (ko) 2016-12-21 2017-12-18 파스닝 테이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94821B2 (ko)
JP (1) JP6543684B2 (ko)
KR (1) KR102044179B1 (ko)
CN (1) CN108216110B (ko)
DE (1) DE1020170119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4091A1 (zh) * 2022-03-28 2023-10-05 Ykk株式会社 搭扣带及搭扣带的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006A (ja) * 2001-07-09 2003-01-21 Kuraray Co Ltd モールドイン成形用係止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WO2013061423A1 (ja) * 2011-10-26 2013-05-02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US20150164186A1 (en) * 2013-12-18 2015-06-18 Velcro Industries B.V.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71599U (ko) 1987-10-29 1989-05-12
US5061540A (en) 1990-01-25 1991-10-29 Velcro Industries B.V. Separable fasteners for attachment to other objects
JP3404100B2 (ja) 1993-11-29 2003-05-06 株式会社クラレ モールドイン成形用係止部材
US6460230B2 (en) 2000-01-12 2002-10-08 Kuraray Co., Ltd. Mold-in fastening member and production of molded resin article having mold-in fastening member
US7022394B2 (en) * 2001-05-04 2006-04-04 Ykk Corporation Fastener strip with discrete magnetically attractable area, and method and apparatus of making same
CA2555671A1 (en) 2004-02-10 2005-08-25 Avery Dennison Corporation Fastening member for a molded article
FR2886200B1 (fr) 2005-05-27 2009-10-16 Aplix Sa Assemblage moule-surmoule a action anti remontee
US7998548B2 (en) 2009-01-19 2011-08-16 Ykk Corporation Male surface fastener member for use in a cushion body mol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2025980A1 (ja) * 2010-08-23 2012-03-01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KR101509375B1 (ko) * 2011-03-07 2015-04-07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성형면 파스너
CN103648318B (zh) * 2011-07-05 2016-02-03 Ykk株式会社 成形粘扣带以及成形粘扣带的制造方法及缓冲体的制造方法
US9034452B2 (en) * 2011-12-13 2015-05-19 Velcro Industries B.V.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US9399333B2 (en) * 2012-04-18 2016-07-26 Velcro BVBA Forming laminated touch fasteners
CN102729948A (zh) 2012-07-17 2012-10-17 大连理工大学 一种车用安全带织带
EP2941978B1 (en) * 2013-01-07 2017-11-15 YKK Corporation Molded planar fastener and production method for cushion body
CN106255433B (zh) * 2014-03-13 2019-02-26 Ykk株式会社 成形粘扣带、垫体、垫体的制造方法以及成形用模具
US9138032B1 (en) * 2015-04-28 2015-09-22 Velcro Industries B.V. Mold-in touch fastener systems with wave-shaped wall
US9635910B2 (en) * 2015-04-28 2017-05-02 Velcro BVBA Mold-in touch fastener systems with wave-shaped wall
US9826801B2 (en) * 2015-06-17 2017-11-28 Velcro BVBA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US9918526B2 (en) 2015-06-17 2018-03-20 Velcro BVBA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US9924765B1 (en) * 2016-09-23 2018-03-27 Ykk Corporation Of America Rail fastener
JP6756788B2 (ja) * 2017-09-22 2020-09-16 Ykk株式会社 強化されたフックを備えるファスニングテープ
TWI655123B (zh) * 2018-08-10 2019-04-01 台灣百和工業股份有限公司 用於座椅發泡體之射出鉤式椅套固定條結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9006A (ja) * 2001-07-09 2003-01-21 Kuraray Co Ltd モールドイン成形用係止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WO2013061423A1 (ja) * 2011-10-26 2013-05-02 Ykk株式会社 成形面ファスナー
US20150164186A1 (en) * 2013-12-18 2015-06-18 Velcro Industries B.V.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179B1 (ko) 2019-11-13
CN108216110B (zh) 2020-09-25
US20180168290A1 (en) 2018-06-21
CN108216110A (zh) 2018-06-29
DE102017011950A1 (de) 2018-06-21
JP2018099516A (ja) 2018-06-28
US10694821B2 (en) 2020-06-30
JP6543684B2 (ja)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0746B1 (en)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EP3513680B1 (en)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US8721246B2 (en) Fasteners
KR101354305B1 (ko) 비드를 사용한 해제 가능한 체결 장치 및 방법
US11445786B2 (en) Fastening tape with flexibilit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ssociated methods
US8322002B2 (en) Fastening strap assembly and foam article including same
US9433262B2 (en) Molding hook and loop fastener
US9504296B2 (en)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US9216774B2 (en) Interconnected foam or adhesive layers
US20100186197A1 (en) Harness clip structure
US20170119107A1 (en) Molded Surface Fastener and Molded Surface Fastener Manufacturing Method
EP2926986B1 (en) Stacked composite component
US10189387B2 (en) Fastening tape with flexibility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ssociated methods
KR20180072566A (ko) 파스닝 테이프
EP2623369B1 (en) Fastening strap, foam article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fastening strap
US20090300890A1 (en) Flexible fastener strip assembly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US9918526B2 (en) Mold-in touch fastening product
US20220312905A1 (en) Surface Fastener
CN105266284B (zh) 拉链和拉头
JP6810554B2 (ja) ク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