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315A -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 - Google Patents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315A
KR20180072315A KR1020160175757A KR20160175757A KR20180072315A KR 20180072315 A KR20180072315 A KR 20180072315A KR 1020160175757 A KR1020160175757 A KR 1020160175757A KR 20160175757 A KR20160175757 A KR 20160175757A KR 20180072315 A KR20180072315 A KR 20180072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air
kernels
staircase
leakag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욱
남준석
유홍선
배승용
신현주
Original Assignee
(주) 윤영방재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윤영방재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윤영방재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175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2315A/ko
Publication of KR20180072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gebr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erodynamic Tests, Hydrodynamic Tests, Wind Tunnels, And Water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2개 이상의 풍도 커널(111)과, 상기 풍도 커널(11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는 풍도 볼륨 댐퍼(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풍도(110); 2개 이상의 계단실 커널(121)과, 상기 계단실 커널(12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는 계단실 볼륨 댐퍼(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계단실 유동 특성 재현기(120); 상기 각각의 풍도 커널(111)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는 부속실(130); 각각의 상기 부속실(130)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는 거실(140); 상기 풍도(110)의 일 측 말단에 연결되는 송풍기(170); 상기 풍도(110)의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누설 면적을 측정하고자 하는 댐퍼(D)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D)를 통과하는 풍량과 상기 댐퍼(D)의 전방과 후방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누설 면적을 측정하는 댐퍼 성능 시험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Tester for Measuring Damper Leakage Area in Smoke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2개 이상의 풍도 커널(111)과, 상기 풍도 커널(11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는 풍도 볼륨 댐퍼(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풍도(110); 2개 이상의 계단실 커널(121)과, 상기 계단실 커널(12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는 계단실 볼륨 댐퍼(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계단실 유동 특성 재현기(120); 상기 각각의 풍도 커널(111)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는 부속실(130); 각각의 상기 부속실(130)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는 거실(140); 상기 풍도(110)의 일 측 말단에 연결되는 송풍기(170); 상기 풍도(110)의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누설 면적을 측정하고자 하는 댐퍼(D)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D)를 통과하는 풍량과 상기 댐퍼(D)의 전방과 후방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누설 면적을 측정하는 댐퍼 성능 시험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10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에서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는 발화장소 인근에서 화열에 의한 피해보다, 기류를 따라 매우 빠르고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사가 대부분의 인명피해를 차지하고 있어 화재시 유독가스를 포함하는 연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 예로써 1998년 부산 범창콜드프라자 화재사고, 2003년 대구 지하철역사 화재사고, 2007년 여수 출입국관리사무소 화재사고, 2012년 부산 노래방 화재사고 등에서 사망자의 대다수가 질식사인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고층건물의 경우에는 보다 많은 내실자를 갖는데 피난경로는 한정적이므로 화재시 연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고층건물에는 화재시 피난계단으로의 연기 유입을 방지하여 피난로를 확보할 수 있도록 제연설비를 필수적으로 설치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화재안전기준 NFSC 501A의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서 제연설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
① 제연구역에 옥외의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제연구역의 기압을 제연구역 이외의 옥내보다 높게 하되, 일정한 기압의 차이(차압)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옥내로부터 제연구역내로 연기가 침투하지 못하도록 해야한다.
② ①항의 차압이 너무 클 경우에는 대피자가 출입문을 개방하기 곤란할 수 있기 때무에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이 일정기준 이하가 되도록(즉, 부속실에 과압이 걸리지 않도록) 부속실과 옥내 사이의 차압을 유지해야 한다.
③ 피난을 위하여 제연구역의 출입문이 일시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방연풍속을 유지하도록 옥외의 공기를 제연구역 내로 보충공급해야 한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근래 들어 하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것을 포함하여, "부분 가압 방식"을 사용하는 다수의 기존 발명들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기존의 부분 가압 방식 제연 설비들은 각 층별로 공급되는 풍량을 제연을 위한 댐퍼의 개장 정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이러한 부분 가압 방식을 위하여 사용되는 댐퍼의 루버가 폐쇄된 상태에서도, 루버 갭(louver gab)에 의한 소량의 누설이 발생하여 완벽한 밀폐는 불가능하다. 이러한 댐퍼의 누설에 따라 풍도 내의 압력이 강하하게 되므로, 예정된 부분 가압을 위해서는 이러한 누설 면적까지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보충되는 송풍량이 고려되어 계산되어야 한다. 따라서, 실제 사용 상황에서의 댐퍼의 누설 면적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한편, 부분 가압 방식이 적용되는 고층 건물의 제연 설비의 경우, 대부분 승강기가 함께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승강기의 운행에 따른 제연 공간내 유동 특성은 부분 가압 방식의 제연 설비에서 함께 고려되어야 하나, 이러한 승강기의 운행에 따른 제연 공간내 유동 특성을 시뮬레이션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장비는 기존에는 존재하지 않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5-0051952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층 건물의 제연 설비를 수평 구조로써 스케일이 축소된 풍도, 계단실, 승강실, 거실, 부속실 등으로 구성하여 복합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는 실제현장의 제연설비를 구현함에 따라 초고층 건축물의 제연설비까지 실험적으로 구현이 가능한 것은 물론, 풍도의 누설을 초래할 수 있는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100)는, 2개 이상의 풍도 커널(111)과, 상기 풍도 커널(11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는 풍도 볼륨 댐퍼(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풍도(110); 2개 이상의 계단실 커널(121)과, 상기 계단실 커널(12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는 계단실 볼륨 댐퍼(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계단실 유동 특성 재현기(120); 상기 각각의 풍도 커널(111)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는 부속실(130); 각각의 상기 부속실(130)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는 거실(140); 상기 풍도(110)의 일측 말단에 연결되는 송풍기(170); 상기 풍도(110)의 타측 말단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누설 면적을 측정하고자 하는 댐퍼(D)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D)를 통과하는 풍량과 상기 댐퍼(D)의 전방과 후방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누설 면적을 측정하는 댐퍼 성능 시험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댐퍼 성능 시험기(150)는, 내부에 누설 면적을 측정하고자 하는 댐퍼(D)가 설치되며, 상기 풍도(110)의 상기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17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흐름이 인입되는 흡기구(152)와, 상기 흡기구(152)로부터 상기 댐퍼(D)를 통과한 상기 공기 흐름이 배출되는 배기구(153)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댐퍼 설치 챔버(151); 상기 댐퍼(D)의 상기 흡기구(152) 방향에 한 개 이상 설치되는 전방 압력 센서(155); 상기 댐퍼(D)의 상기 배기구(153) 방향에 한 개 이상 설치되는 후방 압력 센서(15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댐퍼(D)의 누설 면적에 따라 풍도의 누설을 초래할 수 있는 댐퍼의 누설면적 측정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at00001
(A: 댐퍼(D)의 누설 면적, ρ: 공기의 밀도, ΔP: 댐퍼(D)의 전방 압력 센서(155)와 후방 압력 센서(156)에서 측정되는 압력의 차이(차압), Q: 댐퍼(D)를 단위 시간당 통과하는 유량)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고층 건물의 제연 설비를 수평 구조로써 스케일이 축소된 풍도, 계단실, 승강실, 거실, 부속실 등으로 구성하여 복합적인 요인의 영향을 받는 실제현장의 제연설비를 구현함에 따라 초고층 건축물의 제연설비까지 실험적으로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풍도의 누설을 초래할 수 있는 댐퍼의 누설면적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예정된 부분 가압을 한 누설 면적의 추가적인 고려에 따라 보충되는 송풍량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의 전체 외관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의 정면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의 횡단면도.
도 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의 승강기 유동 특성 시험기의 모식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의 댐퍼 성능 시험기의 분해사시도.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의 댐퍼 성능 시험기의 모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100)는 크게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풍도(110), 부속실(130), 거실(140), 송풍기(170), 댐퍼 성능 시험기(150) 및 승강기 유동 특성 시험기(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풍도(1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풍도(1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2개 이상의 풍도 커널(111)과, 상기 풍도 커널(11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는 풍도 볼륨 댐퍼(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초고층 건물의 경우 제연 설비의 풍도가 상하로 수십~수백 미터에 걸쳐 설치되게 되는데, 풍도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의 압력에 높이에 따라 차이가 생기게 되는 특성은 풍도의 상측과 하측의 큰 고도 차이에 의하여 유의미하게 큰 차이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특성을 수 미터 내외의 시험기에서 재현하여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상기 풍도(110)를 중간 중간에 상기 풍도 볼륨 댐퍼(112)가 삽입되어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실제 환경에서 큰 높이 차에 의한 풍도 내의 압력 분포의 변화를 수평면 상에서의 짧은 거리 내에서의 상기 풍도 볼륨 댐퍼(112)에 의해 제어된 압력 분포의 변화로 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풍도 볼륨 댐퍼(112)의 개방 정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실제 풍도의 상황에 최대한 가깝게 상기 풍도(10) 내의 압력 분포를 조절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풍도(110)의 일 측 말단에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송풍기(170)가 연결되어 시험에 필요한 공기의 흐름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100)는 실제 건물의 계단실의 구조가 제연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2개 이상의 계단실 커널(121)과, 상기 계단실 커널(12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는 계단실 볼륨 댐퍼(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계단실 유동 특성 재현기(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단실 유동 특성 재현기(120) 역시 상기 풍도(10)와 유사하게, 상하 고도차가 큰 실제 건물의 계단실의 구조를 시험기에서 재현하여 시뮬레이션하기 위하여, 상기 계단실 볼륨 댐퍼(122)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여 시뮬레이션하고자 하는 실제 계단실의 상황에 최대한 가깝게 상기 계단실 유동 특성 재현기(120) 내의 압력 분포를 조절하게 된다.
다음으로, 부속실(13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부속실(13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각각의 풍도 커널(111)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어 , 실제 건물에서의 각 층에 설치된 부속실의 구조를 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부속실(130)은 실제 건물의 구조를 재현하기 위하여 각각의 상기 계단실 커널(121)에 각각 더 연결되어 설치된다.
다음으로, 거실(14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각각의 상기 부속실(130)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어 실제 건물의 거실의 구조를 재현한다.
다음으로, 댐퍼 성능 시험기(15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댐퍼 성능 시험기(15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풍도(110)의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누설 면적을 측정하고자 하는 댐퍼(D)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D)를 통과하는 풍량과 상기 댐퍼(D)의 전방과 후방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누설 면적을 측정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댐퍼 성능 시험기(150)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내부에 누설 면적을 측정하고자 하는 댐퍼(D)가 설치되며, 상기 풍도(110)의 상기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17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흐름이 인입되는 흡기구(152)와, 상기 흡기구(152)로부터 상기 댐퍼(D)를 통과한 상기 공기 흐름이 배출되는 배기구(153)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댐퍼 설치 챔버(151)와, 상기 댐퍼(D)의 상기 흡기구(152) 방향에 한 개 이상 설치되는 전방 압력 센서(155)와, 상기 댐퍼(D)의 상기 배기구(153) 방향에 한 개 이상 설치되는 후방 압력 센서(15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댐퍼(D)의 유동상 누설 면적을 측정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공기의 밀도를 ρ, 상기 댐퍼(D)의 상기 전방 압력 센서(155)와 상기 후방 압력 센서(156)에서 측정되는 압력의 차이(차압)을 ΔP, 상기 댐퍼(D)를 통과하는 유속을 V 라 하는 경우, 베르누이 방정식에 따라 다음의 수학식 1이 성립된다.
Figure pat00002
이로부터, 상기 댐퍼(D)를 통과하는 유속 V 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한편, 상기 댐퍼(D)를 단위 시간당 통과하는 유량 Q는 상기 송풍기(170)에서 공급되는 풍량으로부터 측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통과 유량 Q는 다음의 수학식 3에 따른 관계를 가진다.
Figure pat00004
이러한 관계를 이용하면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댐퍼(D)의 누설 면적 A 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4를 통하여 구해질 수 있다.
Figure pat00005
이와 같이 측정된 상기 댐퍼(D)의 누설 면적에 따라 풍도의 누설을 초래할 수 있는 댐퍼의 누설면적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예정된 부분 가압을 한 누설 면적의 추가적인 고려에 따라 보충되는 송풍량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승강기 유동 특성 시험기(16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승강기 유동 특성 시험기(160)는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의 상기 부속실(130)에 연결되는 승강기 통로(161)와, 상기 승강기 통로(161) 내에서 승강기 구동 수단(163)에 의하여 작동하는 승강기(16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승강기의 운행에 따른 제연 공간내 유동 특성을 시뮬레이션하고 테스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기 통로(161) 내에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계가 다 수 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기 통로(161)는 상기 승강기(162)의 작동 상태 및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제 건물에서 부속실이 각각 풍도와 댐퍼를 통하여 공급되는 풍량이 조절 될 수 있도록 연결되고, 승강기 및 계단실에 출입문을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재현할 수 있도록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부속실(130)은 상기 풍도 커널(111)과 풍량 조절이 가능한 부속실 풍도 댐퍼(134)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계단실 커널(121)과 부속실 계단 도어(135)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승강기 통로(161)와 부속실 승강기 도어(136)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센서(131) 및 부속실 압력 센서(132)가 더 설치되고, 상기 거실(140)에는 거실 온도 센서(141) 및 거실 압력 센서(142)가 더 설치되도록 하여, 제연 시스템을 작동하는 경우 상기 부속실(130) 및 상기 거실(140)의 온도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풍도 커널(111) 및 각각의 상기 계단실 커널(121)에는 각각 압력 센서가 더 설치되어, 각각의 위치에서의 풍압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D: 댐퍼
100: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
110: 풍도
111: 풍도 커널 112: 풍도 볼륨 댐퍼
120: 계단실 유동 특성 재현기
121: 계단실 커널 122: 계단실 볼륨 댐퍼
130: 부속실
131: 부속실 온도 센서 132: 부속실 압력 센서
134: 부속실 풍도 댐퍼 135: 부속실 계단 도어
136: 부속실 승강기 도어
140: 거실
141: 거실 온도 센서 142: 거실 압력 센서
143: 거실 도어
150: 댐퍼 성능 시험기
151: 댐퍼 설치 챔버
152: 흡기구 153: 배기구
155: 전방 압력 센서 156: 후방 압력 센서
160: 승강기 유동 특성 시험기
161: 승강기 통로
162: 승강기
163: 승강기 구동 수단
170: 송풍기

Claims (3)

  1. 2개 이상의 풍도 커널(111)과, 상기 풍도 커널(11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는 풍도 볼륨 댐퍼(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풍도(110);
    2개 이상의 계단실 커널(121)과, 상기 계단실 커널(121)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통과하는 풍량을 조절하는 계단실 볼륨 댐퍼(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계단실 유동 특성 재현기(120);
    상기 각각의 풍도 커널(111) 및 계단실 커널(121)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는 부속실(130);
    각각의 상기 부속실(130)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는 거실(140);
    상기 풍도(110)의 일측 말단에 연결되는 송풍기(170);
    상기 풍도(110)의 타측 말단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내부에 누설 면적을 측정하고자 하는 댐퍼(D)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D)를 통과하는 풍량과 상기 댐퍼(D)의 전방과 후방의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누설 면적을 측정하는 댐퍼 성능 시험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100).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 성능 시험기(150)는,
    내부에 누설 면적을 측정하고자 하는 댐퍼(D)가 설치되며,
    상기 풍도(110)의 상기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 상기 송풍기(17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 흐름이 인입되는 흡기구(152)와, 상기 흡기구(152)로부터 상기 댐퍼(D)를 통과한 상기 공기 흐름이 배출되는 배기구(153)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댐퍼 설치 챔버(151);
    상기 댐퍼(D)의 상기 흡기구(152) 방향에 한 개 이상 설치되는 전방 압력 센서(155);
    상기 댐퍼(D)의 상기 배기구(153) 방향에 한 개 이상 설치되는 후방 압력 센서(156);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100).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D)의 누설 면적에 따라 풍도의 누설을 초래할 수 있는 댐퍼의 누설면적 측정은 아래의 수학식에 따라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100).
    Figure pat00006

    (A: 댐퍼(D)의 누설 면적, ρ: 공기의 밀도, ΔP: 댐퍼(D)의 전방 압력 센서(155)와 후방 압력 센서(156)에서 측정되는 압력의 차이(차압), Q: 댐퍼(D)를 단위 시간당 통과하는 유량)
KR1020160175757A 2016-12-21 2016-12-21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 KR20180072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757A KR20180072315A (ko) 2016-12-21 2016-12-21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757A KR20180072315A (ko) 2016-12-21 2016-12-21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315A true KR20180072315A (ko) 2018-06-29

Family

ID=62780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757A KR20180072315A (ko) 2016-12-21 2016-12-21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231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952A (ko) 2015-04-14 2015-05-13 유철권 제연설비 통합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1952A (ko) 2015-04-14 2015-05-13 유철권 제연설비 통합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m et al. Predictions and measurements of the stack effect on indoor airborne virus transmission in a high-rise hospital building
McWilliams Review of air flow measurement techniques
Cao et al. Modelling and experimental study of performance of the protected occupied zone ventilation
KR20120044795A (ko) 누설량과 보충량의 분리 공급기능을 가지는 급기댐퍼 및 그 제어방법
Chu et al. The loss factors of building openings for wind-driven ventilation
KR20140059056A (ko) 피난문의 개폐 상태에 따라 운전 상태를 조절하는 제연 시스템 및 그 운전 제어 방법
Mckeen et al. The influence of airtightness on contaminant spread in MURBs in cold climates
Tamura Computer analysis of smoke movement in tall buildings
Lee et al. Experimental study on elevator door reopening problems caused by stack induced pressure differences across the elevator door in buildings
KR20180109269A (ko) 건축구조물의 제연장치
Ricketts et al. A field study of airflow in mid to high-rise multi-unit residential buildings
KR20150017398A (ko) 고층건물의 제연방법 및 고층건물의 제연장치
Fine et al. Evaluating ventilation system retrofits for high-rise residential buildings using a CONTAM model
KR20180128275A (ko) 급기가압제연 성능시험기
Karava et al. Investigation of the performance of trickle ventilators
KR20180072315A (ko) 제연설비의 댐퍼 누설면적 측정 시험기
Jeong et al. Case studies of building envelope leakage measurement using an air-handler fan pressurisation approach
KR20170116791A (ko) 승강로 피스톤 효과 및 댐퍼의 누설면적 측정이 가능한 제연설비 종합성능시험기
Tamura Stair pressurization systems for smoke control: design considerations.
Bahnfleth et al. Protocol for field testing of tall buildings to determine envelope air leakage rate
KR101092237B1 (ko) 열회수형 환기장치 성능 측정시스템
US202303752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ventilation system to prevent infiltration of pollutants through a building envelope
Valkeapää et al. The influence of air circulation, jet discharge momentum flux and nozzle design parameters on the tightness of an upwards blowing air curtain
CN100435888C (zh) 离心式火灾防烟空气幕
CN210039187U (zh) 满足火灾工况下前室不同朝向自然通风的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