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959A - Separator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laminated body, rol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r energy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eparator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laminated body, rol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r energy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959A
KR20180071959A KR1020170172803A KR20170172803A KR20180071959A KR 20180071959 A KR20180071959 A KR 20180071959A KR 1020170172803 A KR1020170172803 A KR 1020170172803A KR 20170172803 A KR20170172803 A KR 20170172803A KR 20180071959 A KR20180071959 A KR 20180071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polyolefin
layer
storage device
power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8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시아키 오쿠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71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95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01M2/168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2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H01M2/1653
    • H01M2/16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26Fluorocarbon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3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6Composite material consisting of a mixture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ell Separator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which is excellent in exfoliation strength of a substrate and a modified layer, battery winding when the separator is wound around a cylindrical battery, a thermal shock property and a low temperature cycle property among basic properties required in a conventional separator, and has balancing of each performance. The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is excellent in the exfoliation strength of the substrate and the modified layer, the battery winding, the thermal shock property and the low temperature cycle proper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eparator, and has balancing of each performance. The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comprises: a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film including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and an active layer loc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rous film.

Description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 및 그것을 사용한 적층체, 권회체,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또는 축전 디바이스{SEPARATOR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LAMINATED BODY, ROL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R ENERGY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and a laminate, a winding,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r a storage device using the separat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근년, 리튬 이온 이차 전지로 대표되는 축전 디바이스의 개발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통상, 축전 디바이스에는, 미다공막(세퍼레이터)이 정부극 간에 설치되어 있다. 세퍼레이터는, 정부극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또한 미다공 중에 유지한 전해액을 통과시키고 이온을 투과시키는 기능을 갖는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development of a battery device represented by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has been actively conducted. Normally, a microporous membrane (separator) is provided between the government poles in the electrical storage device. The separator has a function of preventing direct contact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passing the electrolyte solution held in the micropores, and transmitting ions.

해당 세퍼레이터는 전지 특성, 전지 생산성 및 전지 안전성에 깊이 관련되어 있으며, 우수한, 투과성, 기계적 특성, 임피던스 특성, 구멍 폐색 특성(셧다운 특성) 및 용융 파막 방지 특성(멜트다운 방지 특성) 등이 요구된다.The separator is deeply related to battery characteristics, battery productivity, and battery safety, and is required to have excellent permeability, mechanical characteristics, impedance characteristics, hole clogging characteristics (shutdown characteristics), and melting prevention characteristics (meltdown prevention characteristics).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지금까지 세퍼레이터를 구성하는 미다공성의 기재에 다양한 개질 다공막을 적층하는 것이 검토되어 왔다.In order to satisfy such demands, it has been investigated to laminate various modified porous films on a microporous substrate constituting the separator.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제1 미다공질층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제2 미다공질층을 포함하고, 또한 해당 다공층의 한쪽 표면에, 그 외의 층(폴리불화비닐리덴(PVDF)이나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의 단체 및 공중합체 등의 불소 함유 수지)을 설치하고, 특정한 공공률/막 두께 및 투기도를 갖는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이 개시되며, 그의 실시예에는, 관통 구멍 직경의 균일성이 높은 치밀한 세공 구조를 갖고, 투기도가 작고, 박막화하더라도 높은 공공률 및 기계적 강도를 균형 있게 유지하고, 또한 임피던스 특성도 우수한 미다공질층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laminate comprising a first microporous layer containing polypropylene and a second microporous layer containing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and further comprising a layer (polyvinyl fluoride Discloses a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having a specific porosity / film thickness and a specific degree of porosity, provided with a fluorine-containing resin such as a single substance or copolymer such as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or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Examples include a microporous layer having a dense pore structure having a high uniformity of the through-hole diameter, a low air permeability, a high porosity and mechanical strength even when formed into a thin film, and a balanced impedance characteristic.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막의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표층면의 한쪽 면에 대한 다른 쪽 면의 정지 마찰 계수 및 구멍 치밀도가 특정한 범위에 있는,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막이 개시되어 있으며, 그의 실시예에는 양호한 막끼리의 미끄럼성과 치밀한 세공 구조에 의한 높은 내구성(내전압, 전기 화학 안정성)을 갖는 다층 미다공막이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in which the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and the hole density of the other surface of one surface of the surface layer including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of 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are within a specific range , And the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has excellent slidability between films and high durability (withstanding voltage and electrochemical stability) due to a fine pore structure.

또한 특허문헌 3에는, 특정 개수의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돌기가 불규칙하게 존재한 폴리에틸렌 미다공질막 상에 PVDF층을 포함하는 개질 다공층을 적층함으로써, 고속 반송 시에 있어서도 개질 다공층의 박리가 발생하지 않는 전지용 세퍼레이터가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3 discloses that a modified porous layer containing a PVDF layer is laminated on a polyethylene microporous film having irregular protrusions containing a specific number of polyethylenes so that peeling of the modified porous layer does not occur even during high- A battery separator is disclosed.

또한 특허문헌 4에는, 기계적 강도, 내압축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층을 최표층에 갖는 다공질막에 PVDF층을 포함하는 내열성 수지층을 포함하는 다공질막을 적층한 복합 다공질막이, 우수한 셧다운 기능을 갖고, 또한 불소계 수지층을 적층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우수한 불소계 수지층의 밀착성과 작은 투기 저항도 상승 폭을 양립시킬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히 전지용 세퍼레이터에 적합하다고 되어 있다.Patent Document 4 discloses a composite porous film in which a porous film containing a heat resistant resin layer containing a PVDF layer is laminated on a porous film having a polypropylene resin layer having mechanical strength and compressibility as the outermost layer, In addition, since the fluorine-based resin layer is laminated, it is disclosed that the excellent adhesion of the fluorine-based resin layer and the increase in the durability of small durability can be achieved at the same time,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battery separators.

국제 공개 제2015/194667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5/194667 국제 공개 제2013/146403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3/146403 국제 공개 제2015/190264호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5/190264 일본 특허 공개 제2012-061791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2-061791

최근의 친환경 붐을 타고 하이브리드 차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을 뿐 아니라, 또한 전기 자동차까지 시장에서 인지되고 있으며, 이들 차가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는 빈도가 증가해 왔다. 이러한 상황 하, 당연히 세퍼레이터에도 사용처에 대응한 성능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한랭지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의 내구성에 관한 개선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에 반해 특허문헌 1 내지 4에서 개시하는 것 같은 종래의 세퍼레이터는, 본래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한 것은 아니며, 이전부터 한랭지도 포함한 세계 각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세퍼레이터가 갈망되고 있었다.Not only is the demand for hybrid cars soaring in the recent eco-friendly boom, but also electric vehicles are being recognized in the market, and the frequency with which these cars are used all over the world has increased. Under such circumstances, performance corresponding to the place of use is naturally required in the separator, and in particular, improvement in the durability of the separator in the cold region has been demanded. 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separators such as thos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to 4 do not necessarily take the above circumstances into consideration, and a separator that can be used in various parts of the world including the cold regions has been longed for.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종래의 세퍼레이터에서 요구되어 온 기본 특성 중, 특히 기재와 개질층의 박리 강도를 비롯하여 세퍼레이터를 원통형의 전지에 권회할 때의 전지 권회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냉열 충격 특성이나 저온 사이클 특성도 우수하고, 또한 각 성능의 균형이 잡힌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parator which is excellent in not only the peel strength of the base material and the modified layer but also the cell winding property when the separator is wound around a cylindrical batter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which is excellent in shock characteristics and low-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and in which each performance is balanced.

본 발명자 등은, 이하의 기술적 수단에 의하여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out that the above problems can be solved by the following technical means, and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1] 최외부의 폴리프로필렌 농도가 최내부의 폴리프로필렌 농도보다도 높고, 또한 최외부의 폴리에틸렌 농도가 최내부의 폴리에틸렌 농도보다도 낮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과, 상기 다공질막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된 활성층을 포함하고,[1] A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comprising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wherein the outermost polypropylen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innermost polypropylene concentration and the outermost polyethylen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innermost polyethylene concentration, An active layer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lm,

상기 활성층이, 폴리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및 폴리불화비닐리덴-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VdF-CTFE)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소 원자를 갖는 비닐 화합물과,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축전 디바이스 세퍼레이터.Wherein the active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vinyl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fluorine atom selected from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PVdF-HFP) and polyvinylidene fluoride-chlorotrifluoroethylene (PVdF-CTFE) And a power storage device separator.

[2] 상기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이 제1 미다공질층, 제2 미다공질층, 제1 미다공질층의 순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1 미다공질층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미다공질층은,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와는 상이한 제2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은 상기 제1 미다공질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 상에 적층되는, [1]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2] 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is laminated in the order of a first microporous layer, a second microporous layer, and a first microporous layer, wherein the first microporous layer comprises a first polyolefin having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Wherein the second microporous layer comprises a second polyolefin resin that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olyolefin resin, the first polyolefin resin being polyethylene, the active layer being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first microporous layer The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1], wherein the separator is laminated.

[3]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상기 제2 폴리올레핀 수지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3] The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first polyolefin resin or the second polyolefin resin comprises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4]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제2 폴리올레핀 수지가, 융해열량이 150J/g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을 더 함유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4] The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first polyolefin resin or the second polyolefin resin further contains polypropylene having a heat of fusion of 150 J / g or less.

[5]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폴리(에틸렌-co-1-헥센)인, [3]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5] The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3], wherein th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is poly (ethylene-co-1-hexene).

[6] 상기 불소 원자를 갖는 비닐 화합물과 무기 입자의 질량비가 5/95 내지 80/20인,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6] The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mass ratio of the vinyl compound having a fluorine atom to the inorganic particle is 5/95 to 80/20.

[7] 상기 불소 원자를 갖는 비닐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0.6×106 내지 2.5×106인,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7] The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wherein the fluorine atom-containing vinyl compound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0.6 × 10 6 to 2.5 × 10 6 .

[8] 상기 활성층이, 시아노에틸풀루란,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코올,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함유하는,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8]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wherein the active layer further contai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cyanoethylpullulan, cyanoethylpolyvinyl alcohol, cyanoethyl cellulose and cyanoethyl sucrose. And a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9]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에 함유되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비(MwE(폴리에틸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MwP(폴리프로필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가 0.6 내지 1.5인,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9] The method according to [1], wherein the ratio o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ethylene and the polypropylene contained in the first polyolefin resin (Mw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polyethylene) / MwP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polypropylene) The battery sepa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10]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가, 실리카, 알루미나 및 티타니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10] The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9], wherein the first polyolefin resin further contai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alumina and titania.

[11]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와, 정극과, 그리고 부극을 포함하는 적층체.[11] A laminate comprising the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0],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12] 상기 [11]에 기재된 적층체가 권회되어 있는 권회체.[12] A laminate according to [11], wherein the laminate is wound.

[13] 상기 [11]에 기재된 적층체 또는 [12]에 기재된 권회체와 전해액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13]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laminate according to the above [11] or the winding described in [12] and an electrolytic solu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세퍼레이터에 비하여, 활성층과 기재의 박리 강도 및 전지 권회성뿐만 아니라 냉열 충격 특성이나 저온 사이클 특성도 우수하고, 그리고 각 성능의 균형이 잡힌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battery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which is superior in peel strength of the active layer and the base material as well as in the battery winding property as well as in the conventional separator, .

도 1의 (A)는 활성층과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의 박리 강도를 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수동 권회기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도 1의 (B)는 권취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충돌 시험을 실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Fig. 1 (A)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manual winding machine used for obtaining the peel strength of the active layer and 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and Fig. 1 (B) is an explanatory view to be.
2 is a schematic view of an apparatus used to perform a crash test.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는, 최외부의 폴리프로필렌 농도가 최내부의 폴리프로필렌 농도보다도 높고, 또한 최외부의 폴리에틸렌 농도가 최내부의 폴리에틸렌 농도보다도 낮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과, 상기 미다공질막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된 활성층을 포함하는 축전 디바이스 세퍼레이터이다. 또한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의 최외부란, 해당 다층 미다공질막을 적층 방향으로 동일한 막 두께가 되도록 3분할했을 때의, 외측의 2매의 막의 단면 부분을 말하고, 최내부란, 내측에 있었던 막의 단면 부분을 가리킨다.The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olyolefin multi-layered structure comprising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wherein the outermost polypropylen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innermost polypropylene concentration and the outermost polyethylen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innermost polyethylene concentration A power storage device separator comprising a porous film and an active layer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microporous film.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refers to the cross-section portion of the two outer membranes when the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is divided into three portions so as to have the same film thickness in the lamination direction. Lt; / RTI &gt;

본 발명의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해당 세퍼레이터가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과 활성층을 포함하고, 이 다층 미다공질막은, 적어도 제1 미다공질층 및 제2의 미다공질층을 포함하고, 제1 미다공질층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고, 제2 미다공질층은,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와는 상이한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리고 이 다층 미다공질막은 제1 미다공질층, 제2 미다공질층, 제1 미다공질층의 순으로 적층되는 것이다.In a preferred form of the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parator includes a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and an active layer, the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includes at least a first microporous layer and a second microporous layer, 1 microporous layer comprises a first polyolefin resin containing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and the second microporous layer comprises a polyolefin resin different from the first polyolefin resin containing polyethylene and the multi- The microporous membrane is laminated in the order of the first microporous layer, the second microporous layer, and the first microporous layer.

이 적층 순서로 얻어지는, 3층이고 양 외층이 제1 미다공질층인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의 적어도 하나의 층 상에 활성층을 도공하는 공정을 거쳐, 해당 활성층을 다공질막 상에 결착시킨 세퍼레이터는, 이온 투과성이 저하되기 어렵고, 출력 특성이 높은 축전 디바이스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상 발열 시의 온도 상승이 빠른 경우에 있어서도 원활한 셧다운 특성을 나타내어, 높은 안전성이 얻어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A separator obtained by coating the active layer on at least one layer of a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film having three layers and both outer layers being a first microporous layer and obtained by laminating the active layers on the porous film, The permeability is less likely to be deteriorated, and there is a tendency to give a battery device having a high output characteristic. In addition, even when the temperature rises rapidly during abnormal heat generation, it exhibits smooth shutdown characteristics, and high safety tends to be obtained.

또한 당해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의 외층으로서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한 막을 배치함으로써, 이 외층 상에 적층되는 활성층과의 박리 강도가 커진다. 이와 같이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이 공존하면, 폴리에틸렌 단독의 경우에 비하여, 폴리프로필렌에 의한 극성 효과에 의하여 층 표면의 표면 자유 에너지가 증대되어, 활성층과의 밀착력이 커지기 때문이다. 이에 추가하여, 외층에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한 막을 배치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세퍼레이터의 특징의 하나인 저온 특성, 특히 저온 사이클성이 양호해지는데, 이는 유리 전이 온도가 0℃ 부근인 폴리프로필렌 단독에 비하여, 블렌드에 의하여 전이 온도가 강하하여 재료의 취성 파괴가 일어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Further, by disposing a film containing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as the outer layer of 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film, the peel strength with the active layer stacked on the outer layer is increased. When the polypropylene and the polyethylene are coexisted in this manner, the surface free energy of the surface of the layer is increased by the polarity effect of the polypropylene, compared with the case of using only polyethylene, and the adhesion with the active layer is increased. In addition, by disposing a film containing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in the outer layer, the low-temperature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the low-temperature cycleability,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considered that the transition temperature is lowered by the blend as compared with propylene alone, and brittle fracture of the material is hardly caused.

이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는, 적어도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 상에 활성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활성층에 의하여, 활성층과 전극측의 접착층과의 접착력이 보다 견고한 것이 되고, 특히 후술하는 냉열 충격 특성이 양호해진다.This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is formed by laminating at least an active layer on a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film. By the active layer,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activ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on the electrode side becomes stronger, and particularly the cold shock property described later becomes better.

이와 같이 해당 세퍼레이터는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 및 활성층만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지만, 박리 강도가 더욱 향상되기 때문에, 이들 이외에 열가소성 중합체층을 더 갖고 있어도 된다(상세는 후술함).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 상에 활성층과 열가소성 중합체층을 배치하는 경우, 이들의 상호 위치 관계는 임의이지만, 축전 디바이스의 레이트 특성과 안전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활성층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열가소성 중합체층을 배치해도 되고, 활성층 상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or may include only 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film and the active layer. However, the separator may further include a thermoplastic polymer layer in addition to 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film and the active layer. When the active layer and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are disposed on 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film, the mutual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arbitrary.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achieving both the rate characteristic and the safety of the electrical storage device,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Or may be disposed on the active layer.

본 실시 형태의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를 구성하는 각 부재 및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respective members constituting the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본 실시 형태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이하,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라 함)은 전자 전도성이 없고 이온 전도성이 있으며, 유기 용매의 내성이 높은, 구멍 직경이 미세한 다공질막이면 바람직하다.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olyolefin porous substrate)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a porous membrane having no electron conductivity, ionic conductivity, high resistance to organic solvents, and minute pore diameters.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은 적어도 제1 폴리올레핀 미다공질층 및 제2 폴리올레핀 미다공질층을 포함하며, 제1 미다공질층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고, 제2 미다공질층은 폴리에틸렌을 함유한다.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a first polyolefin microporous layer and a second polyolefin microporous layer, wherein the first microporous layer contain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The microporous layer contains polyethylene.

해당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는, 세퍼레이터 기재로서, 기계 특성, 셧다운 특성, 멜트다운 특성 등이 우수하고, 또한 각 특성의 균형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1 미다공질층, 제2 미다공질층, 제1 미다공질층의 순으로 적층되는 것이며, 또한 제1 층으로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제2 층으로서 폴리에틸렌을 함유함으로써 세퍼레이터로서 원하는 기계 특성, 셧다운 특성, 멜트다운 특성 등의 우수한 균형이 발현된다.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is a separator substrate which is excellent in mechanical properties, shutdown characteristics, and meltdown characteristics and has a first microporous layer, a second microporous layer, a first microporous layer Layers are stacked in this order, and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are contained as the first layer and polyethylene is contained as the second layer, whereby a good balance of desired mechanical characteristics, shutdown characteristics, and meltdown characteristics is exhibited as a separator.

제1 미다공질층에 함유되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제조 시에 사용되는 중합 촉매도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지글러·나타계 촉매, 필립스계 촉매 및 메탈로센계 촉매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contained in the first microporous layer include, but not limited to, low density polyethylen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medium density polyethylen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isotactic poly Propylene, atactic polypropylene, ethylene-propylene random copolymer, and ethylene propylene rubber. The polymerization catalyst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se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Ziegler · Natta catalyst, Phillips catalyst and metallocene catalyst.

제1 폴리올레핀 수지는, 축전 디바이스의 충돌 내성의 관점에서, 상기 폴리에틸렌에 추가하여,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폴리올레핀 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에 추가하여,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더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co-헥센) 공중합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polyolefin resin further contains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in addition to the polyethylene in view of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electrical storage device. More preferably, the first polyolefin resin further contains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in addition to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Th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is more preferably a poly (ethylene-co-hexene) copolymer, for example.

또한 제1 폴리올레핀 수지는, 상기 폴리프로필렌에 추가하여, 폴리프로필렌 중에서도, 입체 구조를 갖는 것이며, 세퍼레이터의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 신디오택틱 폴리프로필렌 및 어택틱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 것이, 활성층과 기재의 박리 강도 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In addition to the above polypropylene, the first polyolefin resin has a steric structure among the polypropylenes, and any of isotactic polypropylene, syndiotactic polypropylene and atactic polypropylene which can improve the heat resistance of the separator Is mo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s of the peel strength of the active layer and the substrate.

특히 제1 미다공질층 중에 융해열량이 150J/g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을 더 포함하면, 폴리프로필렌 중의 비정질 부분이 많아져, 축전 디바이스의 충돌 내성이 더욱 개선되므로 특히 바람직하다.Particularly, if polypropylene having a heat of fusion of 150 J / g or less is further contained in the first microporous layer, the amorphous portion in the polypropylene is increased and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is further improved.

제1 미다공질층 중의 폴리올레핀 수지 전체 100질량%에 대한 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활성층과 기재의 박리 강도, 냉열 충격 특성, 저온 사이클 특성 등의 관점에서 1 내지 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질량%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질량% 미만이다.The ratio of polypropylene to 100% by mass of the entire polyolefin resin in the first microporous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to 50% by mass from the viewpoints of the peel strength of the active layer and the base material, the cold-shock property, More preferably from 5 to 40% by mass, and still more preferably from 15 to 35% by mas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15 to 30% by mass.

또한 제1 미다공질층 중의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100질량%에 대한 폴리올레핀 수지의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투기도와 내열성과 양호한 셧다운 기능의 양립의 관점에서 50 내지 1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질량%이다. 또한 중합 촉매도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어 지글러·나타계 촉매 및 메탈로센계 촉매를 들 수 있다. 제1 미다공질층에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면, 세퍼레이터의 비수 전해액과의 친화성, 출력 유지 성능, 후기하는 저온 사이클 특성의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Further, the ratio of the polyolefin resin to the 100 mass% of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in the first microporous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50 to 100 mass% from the viewpoint of compatibility with both the permeability and heat resistance and the good shutdown function, Is 60 to 100% by mass, and more preferably 70 to 100% by mass. The polymerization catalys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Ziegler · Natta catalyst and a metallocene catalyst. When the first microporous layer further contai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silica, alumina and titania, it is mo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affinity with the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of the separator, power holding performance, and low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later.

제1 미다공질층 중의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의 비율은, 제1 미다공질층 중의 제1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질량% 이하이다. 이러한 비율로 하는 것은, 양호한 내열성을 얻는 관점 및 연신성을 향상시켜 높은 찌르기 강도의 다공막을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The ratio of silica, alumina and titania in the first microporous layer is preferably 5%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10% by mass or more, and still more preferably 10% by mass or more, relative to 100% by mass of the first polyolefin resin in the first microporous layer. Is not less than 20% by mass, preferably not more than 90% by mass, more preferably not more than 80% by mass, further preferably not more than 70% by mass. This ratio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good heat resistance and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porous film having a high sticking strength by improving the stretchability.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2 미다공질층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second microporous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제2 미다공층은,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와는 상이한 제2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폴리에틸렌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을 들 수 있다. 제2 미다공층의 폴리올레핀 수지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은, 강도,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이다. 또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에 추가하여,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더 포함하는 것이, 축전 디바이스의 충돌 내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co-헥센) 공중합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또는 유연성을 부여하는 등의 목적으로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The second microporous layer comprises a second polyolefin resin different from the first polyolefin resin containing polyethylene. Examples of the polyethylene include, but not particularly limited to, low density polyethylen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medium density polyethylene,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and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The polyethylene contained in the polyolefin resin of the second microporous layer is preferably high density polyethylene and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in view of strength and heat resistance. In addition to high-density polyethylene and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it is more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in view of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Th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is more preferably a poly (ethylene-co-hexene) copolymer, for example. The polyethylene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for the purpose of giving flexibility.

제2 미다공층의 폴리올레핀 수지 중의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은, 성형 가공 안정성, 박막에 있어서의 기계적 강도, 투기도 등의 관점에서, 제2 폴리올레핀 수지의 합계 질량을 100질량%로 해서, 바람직하게는 50질량% 내지 10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 내지 100질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질량% 내지 95질량%이다.The content of polyethylene in the second microporous polyolefin resin is preferably 50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5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50 mass% or less, % To 100% by mass, more preferably 60% by mass to 100% by mass, still more preferably 70% by mass to 95% by mass.

제2 미다공층의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을 더 포함해도 된다. 폴리프로필렌으로서는, 융해열량이 150J/g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면, 폴리프로필렌 중의 비정질 부분이 많아져, 축전 디바이스의 충돌 내성이 더 좋아지므로 바람직하다.The polyolefin resin of the second microporous layer may further comprise polypropylene. As the polypropylene, if polypropylene having a heat of fusion of 150 J / g or less is included, the amount of amorphous portions in the polypropylene is increased, which is preferable because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is improved.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융해열량이 150J/g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이 포함되는 것은, 제1 폴리올레핀 수지 중보다도 제2 폴리올레핀 수지 중인 쪽이, 축전 디바이스의 충돌 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메커니즘의 상세는 불분명하지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융해열량이 150J/g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이 포함되는 층이 다른 층보다 두터운 경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융해열량이 150J/g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이 포함되는 층이 전극으로부터 보다 떨어져 있는 경우(다른 층이 개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축전 디바이스의 충돌 내성이 양호하다고 추정된다.The above-mentioned straight-chain low-density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having a heat of fusion of 150 J / g or less is included in the second polyolefin resin rather than the first polyolefin resin from the viewpoint of impact resistanc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The details of this mechanism are unclear. However, when the layer containing th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or the polypropylene having the heat of fusion of 150 J / g or less is thicker than the other layers, the straight chain low density polyethylene or the polypropylene having the heat of fusion of 150 J / When the layer is further away from the electrode (when another layer is interposed), it is presumed that the impact resistance of the power storage device is good.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1 및 제2의 미다공질층은, 냉열 충격 특성, 및 저온 사이클 특성, 내열성, 내충격성 및 기재와 활성층의 박리 강도와의 균형을 보다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수지 이외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공막층으로해도 된다. 제1 및 제2 층에 사용되는 올레핀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의 압출, 사출, 인플레이션 및 블로우 성형 등에 사용하는 폴리올레핀 수지이면 되며, 1-부텐, 4-메틸-1-펜텐, 1-헥센 및 1-옥텐 등의 단독 중합체 및 공중합체, 다단 중합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단독 중합체 및 공중합체, 다단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폴리올레핀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first and second microporous layer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preferably used in order to make the balance between the cold and heat impact characteristics and the low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the heat resistance, the impact resistance and the peel strength of the base material and the active layer better. Or a porous film layer containing a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olefin resin. The olefin resin used for the first layer and the second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ny polyolefin resin used for ordinary extrusion, injection, inflation, blow molding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olefin resin include 1-butene, 4-methyl- Homopolymers and copolymers such as 1-octene, and multi-terminal polymers. The polyolef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omopolymers and copolymers and multistage polymer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제1 및 제2의 미다공질층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3만 이상 1,200만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만 이상 200만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만 이상 100만 미만이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3만 이상이면 용융 성형 시의 멜트 텐션이 커져 성형성이 양호해짐과 함께, 중합체끼리의 얽힘에 의하여 고강도가 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한편, 중량 평균 분자량이 1,200만 이하이면, 균일하게 용융 혼련을 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시트의 성형성, 특히 두께 안정성이 우수한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 미만이면 온도 상승 시에 구멍을 폐색하기 쉬워, 양호한 셧다운 기능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ethylene or polypropylene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microporous layer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30,000 or more and 12,000,000 or less, more preferably 50,000 or less and 2,000,000 or less, Is less than 100,000.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30,000 or more, the melt tension during melt molding becomes large, which leads to a good moldability and a high strength due to entanglement of the polymers. On the other hand,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not more than 12 mill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elt-kneading can be uniformly performed, and the moldability, particularly the thickness stability, of the sheet tends to be excellent.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less than 1,000,000, the hole is likely to be occluded at the time of temperature rise, and a good shutdown function tends to be obtained, which is preferab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은 제1 미다공질층, 제2 미다공질층, 그리고 제1 미다공질층을 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또한 그 위에 활성층을 도공하고,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 상에 결착시킨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활성층과 밀착하는 제1 미다공질층에 포함되는 폴리에틸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MwE)과 폴리프로필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MwP)의 비(MwE/MwP)가 0.6 내지 1.5이면, 제1 미다공질층과 활성층과의 박리 강도 변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제1 층의 MwE/MwP의 비가 이러한 범위에 있으면 박리 강도 변동이 저감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하기와 같이 추정된다. 이 비가 소정의 범위 내이면(1에 가까워지면),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분자량의 차가 작아져, 상용성이 양호해져, 매크로 상분리가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그렇게 되면 제1 층의 활성층과의 접착 계면에 폴리에틸렌이 풍부한 부분 또는 폴리프로필렌이 풍부한 부분의 편재가 억제되고, 이것에 의하여 접착 부위에 따라 양자의 비가 작아진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은 접착력이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그 결과, 활성층과 기재의 접착력(박리 강도) 변동이 작아지는 것으로 생각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by laminating the first microporous layer, the second microporous layer, and the first microporous layer in this order, Wherein the ratio o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E) of the polyethylene contained in the first microporous layer in close contact with the active layer to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P) of the polypropylene MwE / MwP) of 0.6 to 1.5 is preferable in that fluctuation of peeling strength between the first microporous layer and the active layer can be reduced. When the ratio of the MwE / MwP of the first layer is in this range, the reason why the peeling strength fluctuation is reduced is presumed as follows. When the ratio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closer to 1), the difference in molecular weight between the polyethylene and the polypropylene becomes smaller, the compatibility becomes better, and macro phase separation becomes difficult to occur. In this case, the localization of the polyethylene-rich portion or the polypropylene-enriched portion is suppressed at the bonding interface with the active layer of the first layer, whereby the ratio between the polyethylene-rich portion and the polypropylene- Further, since the adhesiveness of the polypropylene and the polyethylene is not the same, it is considered that the fluctuation in the adhesive force (peel strength) between the active layer and the substrate becomes small.

또한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구체적인 제조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 specific production method of the porous substrate of polyolefin will be described later.

이상, 제1, 제2, 제1의 3층의 미다공층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다공질 기재는 3층 초과의 다층이어도 되며, 이 경우, 최외부의 폴리프로필렌 농도는 최내부의 폴리프로필렌 농도보다도 높고, 또한 최외부의 폴리에틸렌 농도는 최내부의 폴리에틸렌 농도보다도 낮다. 여기서 최외부란,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다층막을 적층 방향으로 각각이 동일한 막 두께가 되도록 3분할했을 때의, 외측 2매를 말하며, 최내부란, 내측에 있던 막을 말한다. 또한 각 막의 구성 성분은 적외 분광법이나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법(예를 들어 GPC) 등에 의하여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including the first, second, and first three layers of the microporous layer has been described. However, the porous substrate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of more than three layers. In this case, And the outermost polyethylen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innermost polyethylene concentration. As used herein, the term "outermost layer" refers to the two outer sides when the multilayered film is divided into three portions in the lamination direction so as to have the same film thickness, and the innermost portion refers to the inner portion of the film. The components of each film can be found by infrared spectroscopy or liquid chromatography (for example, GPC).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에는 임의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이외의 중합체; 무기 입자; 페놀계, 인계, 황계 등의 산화 방지제;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아연 등의 금속 비누류;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대전 방지제; 방담제; 착색 안료 등을 들 수 있다.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ntain optional additives. Such additive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 for example, polymers other than polyolefins; Inorganic particles; Antioxidants such as phenol, phosphorus, and sulfur; Metal soaps such as calcium stearate and zinc stearate; Ultraviolet absorber; Light stabilizer; An antistatic agent; Antifogging agents; And coloring pigments.

이들 첨가제의 합계 함유량은,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에 대하여 20질량부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하이다.The total content of these additives is preferably 20 parts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10 parts by mass or less, and even more preferably 5 parts by mass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olefin resin.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기공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9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하이다. 기공률을 20% 이상으로 하는 것은, 세퍼레이터의 투과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기공률을 90% 이하로 하는 것은, 찌르기 강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공률은,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 시료의 부피(㎤), 질량(g), 막 밀도(g/㎤)로부터, 하기 수식:The porosity of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0% or more, more preferably 35% or more, preferably 90% or less, more preferably 80% or less. The porosity of 20% or mor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the permeability of the separator. On the other hand, setting the porosity to 90% or less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the stiction intensity. Here, the porosity can be calculated from the volume (cm 3), the mass (g), and the film density (g / cm 3) of the polyolefin porous base sample,

기공률=(부피-질량/막 밀도)/부피×100Porosity = (volume-mass / membrane density) / volume x 100

에 의하여 구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의 경우에는, 막 밀도를 0.95(g/㎤)로 가정하여 계산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다층 미다공질막의 경우에는, 각각의 막 밀도로부터 마찬가지로 계산할 수 있다. 기공률은,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의 연신 배율의 변경 등에 의하여 조절 가능하다.. Her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film containing polyethylene, the film density can be calculated assuming 0.95 (g / cm 3). In the case of a multilayer microporous film containing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the film density can be calculated similarly from each film density. The porosity can be adjusted by changing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of 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투기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초/1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초/10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00초/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초/100㏄ 이하이다. 투기도를 10초/100㏄ 이상으로 하는 것은, 축전 디바이스의 자기 방전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투기도를 1,000초/100㏄ 이하로 하는 것은, 양호한 충방전 특성을 얻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투기도는, JIS P-8117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투기 저항도이다. 투기도는, 다공성 기재의 연신 온도 및/또는 연신 배율의 변경 등에 의하여 조절 가능하다.The permeability of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0 sec / 100cc or more, more preferably 50 sec / 100cc or more, preferably 1,000 sec / 100cc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00 sec / 100cc or less. It is preferable to set the air permeability to 10 sec / 100cc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self-discharge of the electrical storage device. On the other hand, setting the air permeability to 1,000 sec / 100 cc or less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good charge / discharge characteristics. Here, the air permeability is the air permeability resistanc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P-8117. The air permeability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drawing temperature and / or the draw ratio of the porous base material.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평균 구멍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0.1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이하이고, 하한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이다. 평균 구멍 직경을 0.15㎛ 이하로 하는 것은, 축전 디바이스의 자기 방전을 억제하고, 용량 저하를 억제하는 관점에서 적합하다. 평균 구멍 직경은, 폴리올레핀 다공성 기재를 제조할 때의 연신 배율의 변경 등에 의하여 조절 가능하다.The average pore diameter of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0.15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0.1 占 퐉 or less and preferably 0.01 占 퐉 or more as a lower limit. The average pore diameter of 0.15 mu m or less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self-discharge of the electric storage device and suppressing the capacity decrease. The average pore diameter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draw ratio at the time of producing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찌르기 강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00g/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g/2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00g/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g/20㎛ 이하이다. 찌르기 강도가 200g/20㎛ 이상인 것은, 전지 권회 시에 있어서 탈락한 활물질 등에 의한 파막을 억제하는 관점, 및 충방전에 수반하는 전극의 팽창 수축에 의하여 단락될 우려를 억제하는 관점에서도 바람직하다. 한편, 찌르기 강도가 2,000g/20㎛ 이하인 것은, 가열 시의 배향 완화에 의한 폭 수축을 저감시킬 수 있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찌르기 강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다.The sticking strength of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00 g / 20 m or more, more preferably 300 g / 20 m or more, preferably 2,000 g / 20 m or less Is not more than 1,000 g / 20 탆. The sticking strength of 200 g / 20 占 퐉 or mor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the wave film caused by the dropped active material at the time of battery winding and suppressing the risk of short circuit due to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electrode due to charging and discharging. On the other hand, the sticking strength of 2,000 g / 20 m or less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width shrinkage due to orientation relaxation during heating. The stab intensity is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 찌르기 강도는,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연신 배율 및/또는 연신 온도 등을 조정함으로써 조절 가능하다.The stab intensity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draw ratio of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and / or the stretching temperature.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이 두께를 2㎛ 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은, 기계 강도를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이 막 두께를 100㎛ 이하로 조정하는 것은, 전지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의 점유 부피가 감소하기 때문에, 전지의 고용량화의 관점에 있어서 유리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2 탆 or more, more preferably 5 탆 or more, preferably 100 탆 or less, more preferably 60 탆 or less Or less.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thickness to 2 탆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mechanical strength. On the other hand, adjusting the film thickness to 100 탆 or less is preferable because the volume occupied by the separator in the battery is reduced, which tends to be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high capacity of the battery.

<활성층>&Lt; Active layer &

(불소 원자 함유 비닐 화합물)(Fluorine atom-containing vinyl compound)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활성층은, 불소 원자를 갖는 비닐 화합물과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며, 상기 제1 미다공질층 상에 적층된다.The a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tains a vinyl compound having fluorine atoms and inorganic particles, and is laminated on the first microporous layer.

이와 같이 기재인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 상에 활성층을 설치함으로써, 기재만인 것보다도 전지 권회성, 축전 디바이스의 냉열 충격 특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By providing the active layer on 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film as described above, the battery winding performance and the cold / thermal shock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ical storage device are superior to those of only the substrate.

활성층을 제1 미다공질층 상, 즉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 상에 도공하는 공정을 거쳐, 해당 활성층을 다공질 기재 상에 결착시킨 세퍼레이터는, 이온 투과성이 저하되기 어렵고, 출력 특성이 높은 축전 디바이스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상 발열 시의 온도 상승이 빠른 경우에 있어서도 원활한 셧다운 특성을 나타내어, 높은 안전성이 얻어지기 쉬운 경향이 있다.The separator in which the active layer is coated on the first microporous layer, that is,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and the active layer is stuck on the porous substrate has a tendency that the ion permeability is less likely to deteriorate, . In addition, even when the temperature rises rapidly during abnormal heat generation, it exhibits smooth shutdown characteristics, and high safety tends to be obtained.

불소 원자를 갖는 비닐 화합물(이하, 불소계 수지 또는 결합제라고도 함)은 폴리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고분자 PVdF-HFP) 및 폴리불화비닐리덴-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고분자 PVdF-CTFE)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이다. 이와 같이,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또는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을 불화비닐리덴과 공중합함으로써, 불소계 수지의 결정성을 적당한 범위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전극과의 접착 처리 시에 활성층이 유동하여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극과의 접착 처리 시, 그의 접착력이 향상되기 때문에, 이차 전지용 세퍼레이터로서 사용했을 때, 계면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냉열 충격 특성이 향상된다. 또한 해당 불소계 수지는 통상, 유화 중합 또는 현탁 중합에 의하여 얻어진다.The vinyl compound having a fluorine atom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fluorine-based resin or a binder) can be obtained from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polymer PVdF-HFP) and polyvinylidene fluoride-chlorotrifluoroethylene (polymer PVdF-CTFE) At least one selected. By copolymerizing hexafluoropropylene or chlorotrifluoroethylene with vinylidene fluoride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rystallinity of the fluorine resin to an appropriate range, so that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low of the active layer during the adhesion treatment with the electrode can do. In addition, when the electrode is used as a separator for a secondary battery, the adhesive force is improved when the electrode is bonded to the electrode. Therefore, the interface deterioration does not occur, thereby improving the thermal shock resistance. The fluororesin is usually obtain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or suspension polymerization.

불소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0.6×106 내지 2.5×106인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이 범위에 있으면, 냉열 충격 특성이 양호해져(냉열 시의 팽창·수축이 작기 때문에 활성층과 기재 사이에서 박리가 일어나기 어렵다고 생각됨) 바람직하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luororesin is preferably 0.6 x 10 6 to 2.5 x 10 6 . Wh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fluorine-based resin is within this rang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d-shock property is good (it is considered that peeling is unlikely to occur between the active layer and the substrate due to small expansion and contraction during cold heating).

상기 불소계 수지, 즉, 고분자 PVdF-HFP 및 고분자 PVdF-CTFE는, HFP 또는 CTFE 유래의 구성 단위 비율이 2.0질량% 내지 20.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HFP 또는 CTFE 함유량이 2.0질량% 이상이면, 해당 불소계 수지의 결정화의 고도화를 억제하고, HFP 또는 CTFE 함유량이 20.0질량% 이하이면, 불소계 수지의 결정화가 적절히 발현된다. 또한 HFP 또는 CTFE 함유량이 20.0질량% 이하이면, 냉열 충격 특성을 확보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fluorine-based resin, that is, the polymer PVdF-HFP and the polymer PVdF-CTFE preferably has a proportion of the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HFP or CTFE of 2.0% by mass to 20.0% by mass. When the content of HFP or CTFE is 2.0 mass% or more, the degree of crystallization of the fluorine-based resin is suppressed, and when the content of HFP or CTFE is 20.0 mass% or less, crystallization of the fluorine resin is adequately expressed. When the content of HFP or CTFE is 20.0% by mass or less, it is preferable because it is easy to secure the cold / heat impact property.

상기 관점에서, 고분자 PVdF-HFP 및 고분자 PVdF-CTFE에 있어서의 HFP 또는 CTFE 유래의 구성 단위 비율은 2.25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질량%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8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From the above viewpoint, the proportion of the constituent unit derived from HFP or CTFE in the polymer PVdF-HFP and the polymer PVdF-CTFE is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2.25 mass%,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2.5 mass%, further preferably not more than 18 mass% And more preferably 15 mass% or less.

또한 해당 활성층을 포함하는 세퍼레이터를 전해액에 함침시켰을 때, 세퍼레이터에 포함되는 수지의 팽윤 정도는, 수지의 종류나 전해액의 조성에 따라 상이하며, 이러한 수지의 팽윤에 수반하는 문제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팽윤하기 어려운 상기 불소계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egree of swelling of the resin contained in the separator when the separator containing the active layer is impregnated with the electrolyte differs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resin and the composition of the electrolytic solution. In order to suppress the problem accompanying the swelling of the resin, It is preferable to select the above-mentioned fluorine-based resin which is difficult to obtain.

활성층에, 히드록실기(-OH), 카르복실기(-COOH), 무수 말레산기(-COOOC-), 술폰산기(-SO3H) 및 피롤리돈기(-NCO-)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극성기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극성기를 갖고 이루어지는 고분자가 포함되면, 세퍼레이터의 저온 사이클 특성이 개선되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고분자로서는, 시아노에틸풀루란,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코올,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분자를 들 수 있다.The active layer may be doped with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xyl group (-OH), a carboxyl group (-COOH), a maleic anhydride group (-COOOC-), a sulfonic acid group (-SO 3 H) and a pyrrolidone group , Or a polymer having two or more polar groups out of these, is preferable since the low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separator are improved. Examples of such a polymer include at least one polymer selected from cyanoethylpullulan, cyanoethylpolyvinyl alcohol, cyanoethylcellulose, and cyanoethyl sucrose.

활성층에, 상기와 같은 극성기를 갖는 고분자를 포함함으로써, 세퍼레이터의 저온 사이클 특성이 개선되는 것은, 이들 고분자가 갖는 높은 비유전율 때문에, 저온 시에 있어서도 세퍼레이터의 저항이 낮아지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The reason why the low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separator is improved by including the polymer having a polar group as described above in the active layer is presumably because the resistance of the separator is lowered even at a low temperature due to the high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of these polymers.

극성기를 갖는 고분자의 비유전율은 1 내지 100(측정 주파수=1㎑)이 사용 가능하며, 특히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of the polymer having a polar group may be 1 to 100 (measurement frequency = 1 kHz),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0 or more.

활성층에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세퍼레이터에 의하여 발현되는 여러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상기 수지 이외에 이하의 수지를 포함해도 된다. 이에 해당하는,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불화비닐리덴-트리클로로에틸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이미드, 폴리에틸렌옥시드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active layer may contain the following resin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resin, so long as it does not impair various properties expressed by the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olyvinylidene fluoride-trichlorethylene, polymethyl methacrylate, polyacrylonitrile, polyvinyl acetat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polyimide, polyethylene oxide, and the like, which correspond to the abov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m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무기 입자)(Inorganic particles)

활성층에 사용하는 무기 입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0℃ 이상의 융점을 갖고, 전기 절연성이 높고, 또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의 사용 범위에서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inorganic particles to be used in the active layer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ably have a melting point of 200 占 폚 or higher, have a high electrical insulating property, and are electrochemically stable in the range of use of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무기 입자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알루미나, 실리카,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마그네시아, 세리아, 이트리아, 산화아연, 산화철 등의 산화물계 세라믹스; 질화규소, 질화티타늄, 질화붕소 등의 질화물계 세라믹스; 실리콘 카바이드, 탄산칼슘, 황산마그네슘, 황산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산화알루미늄, 티타늄산칼륨, 탈크, 카올리나이트, 디카이트, 나크라이트, 할로이사이트, 파이로필라이트, 몬모릴로나이트, 세리사이트, 마이카, 아메사이트, 벤토나이트, 아스베스토, 제올라이트, 규산칼슘, 규산마그네슘, 규조토, 규사 등의 세라믹스; 유리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를 병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inorganic particl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oxide ceramics such as alumina, silica, titania, zirconia, magnesia, ceria, yttria, zinc oxide, and iron oxide; Nitride ceramics such as silicon nitride, titanium nitride, and boron nitride; But are not limited to, silicon carbide, silicon carbide, calcium carbonate, magnesium sulfate, aluminum sulfate, aluminum hydroxide, aluminum hydroxide, potassium titanate, talc, kaolinite, diketite, nacrite, halite, pyrophyllite, montmorillonite, , Bentonite, asbestos, zeolite, calcium silicate, magnesium silicate, diatomaceous earth, silica and the like; Glass fibers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이들 중에서도, 전기 화학적 안정성 및 세퍼레이터의 내열 특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알루미나, 수산화산화알루미늄 등의 산화알루미늄 화합물; 및 카올리나이트, 디카이트, 나크라이트, 할로이사이트, 파이로필라이트 등의, 이온 교환능을 갖지 않는 규산알루미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Among thes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electrochemical stability and the heat resistance of the separator, aluminum oxide compounds such as alumina and aluminum hydroxide oxide; And aluminum silicate compounds having no ion exchange ability such as kaolinite, diketate, nacrite, haloisite, and pyrophyllite are preferable.

또한 알루미나에는, α-알루미나, β-알루미나, γ-알루미나, θ-알루미나 등의 많은 결정 형태가 존재하지만, 모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α-알루미나가 열적·화학적으로도 안정하므로 바람직하다.There are many crystalline forms of alumina such as? -Alumina,? -Alumina,? -Alumina and? -Alumina, but all of them can be suitably used. Among these,? -Alumina is preferable because it is thermally and chemically stable.

산화알루미늄 화합물로서는, 수산화산화알루미늄(AlO(OH))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산화산화알루미늄으로서는, 리튬 덴드라이트의 발생에 기인하는 내부 단락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베마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활성층을 구성하는 무기 입자로서, 베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입자를 채용함으로써, 높은 투과성을 유지하면서, 매우 경량인 다공층을 실현할 수 있는 데다, 보다 얇은 다공층에 있어서도 다공막의 고온에서의 열수축이 억제되어, 우수한 내열성을 발현시키는 경향이 있다. 전기 화학 디바이스의 특성에 악영향을 주는 이온성의 불순물을 저감시킬 수 있는 합성 베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As the aluminum oxide compound, aluminum hydroxide (AlO (OH)) is particularly preferable. As the aluminum hydroxide, boehmite is mo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an internal short circuit due to the generation of lithium dendrites. By employing particles mainly composed of boehmite as the inorganic particles constituting the active layer, it is possible to realize a very lightweight porous layer while maintaining high permeability, and in addition, even in thinner porous layers, heat shrinkage at high temperatures And tends to exhibit excellent heat resistance. A synthetic boehmite capable of reducing ionic impurities adversely aff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an electrochemical device is more preferable.

이온 교환능을 갖지 않는 규산알루미늄 화합물로서는, 저렴하고 입수도 용이하기 때문에, 주로 카올린 광물로 구성되어 있는 카올린이 보다 바람직하다. 카올린에는, 습식 카올린 및 이를 소성 처리하여 이루어지는 소성 카올린이 알려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성 카올린이 특히 바람직하다. 소성 카올린은, 소성 처리 시에, 결정수가 방출되어 있고, 또한 불순물도 제거되어 있는 점에서, 전기 화학적 안정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As the aluminum silicate compound having no ion exchange capacity, kaolin mainly composed of kaolin mineral is more preferable because it is inexpensive and easy to obtain. In kaolin, wet kaolin and fired kaolin obtained by calcining it are known. In this embodiment, fired kaolin is particularly preferable. Fired kaolin is particularly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lectrochemical stability in that crystal water is discharged at the time of firing treatment and impurities are also removed.

무기 입자의 평균 입경은, 0.01㎛ 초과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초과 3.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4㎛ 초과 3.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무기 입자의 평균 입경을 상기 범위로 조정하는 것은, 활성층의 두께가 얇은 경우(예를 들어 7㎛ 이하)에도, 고온에서의 열수축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무기 입자의 입경 및 그의 분포를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볼 밀, 비즈 밀, 제트 밀 등의 적절한 분쇄 장치를 사용하여 무기 입자를 분쇄하여 입경을 작게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preferably more than 0.01 탆 and not more than 4.0 탆,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0.2 탆 and not more than 3.5 탆, and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0.4 탆 and not more than 3.0 탆. Adjusting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inorganic particles to the above rang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suppressing heat shrinkage at a high temperature even when the thickness of the active layer is small (for example, 7 탆 or less). As a method for adjusting the particl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inorganic particles, a method of pulverizing the inorganic particles using a suitable pulverizing apparatus such as a ball mill, a bead mill or a jet mill to reduce the particle size can be given.

무기 입자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판상, 인편상, 침상, 주상, 구상, 다면체상, 괴상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형상을 갖는 무기 필러의 복수 종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Examples of the shape of the inorganic particles include plate-like, scaly, needle-shaped, columnar, spherical, polyhedral, and agglomerate. A plurality of inorganic fillers having these shap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활성층 중의 불소계 수지와 무기 입자의 비율은, 불소계 수지/무기 입자가 5/95 내지 80/2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93 내지 65/35, 더욱 바람직하게는 9/91 내지 50/50이다. 불소계 수지/ 무기 입자가 이러한 범위에 있으면, 특히 후술하는 전지 권회성이 양호해져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불소계 수지에, 상기 폴리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을 사용하면, 이 수지에 특유의 트라이보 머티리얼 효과에 의하여 막 표면에 수지가 용출되기 때문에, 전지 권회성 시험에 있어서의 핀과의 접촉 저항이 낮아져, 핀을 뽑기 쉬워진다.The ratio of the fluorine resin to the inorganic particles in the act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5/95 to 80/20, more preferably 7/93 to 65/35, and still more preferably, 9/91 to 50/50. When the fluororesin / inorganic particles are in this rang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ttery turnability to be described later becomes particularly good. For example, when the above-mentioned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PVdF-HFP) is used for a fluororesin, since the resin is eluted on the film surface due to the tribocatalytic effect peculiar to the resin, The contact resistance with the pin is lowered, and the pin can be easily pulled out.

활성층의 두께는, 내열성 및 절연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0.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지의 고용량화와 투과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5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active layer is preferably 0.5 占 퐉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heat resistance and the insulating property, and is preferably 50 占 퐉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capacity and permeability of the battery.

활성층의 층 밀도는 0.5g/㎤ 내지 3.0g/㎤인 것이 바람직하고, 0.7g/㎤ 내지 2.0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활성층의 층 밀도가 0.5g/㎤ 이상이면 고온에서의 열수축률이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고, 3.0g/㎤ 이하이면, 투기도가 양호해지는 경향이 있다.The layer density of the active layer is preferably 0.5 g / cm3 to 3.0 g / cm3, more preferably 0.7 g / cm3 to 2.0 g / cm3. When the layer density of the active layer is 0.5 g / cm 3 or more, the heat shrinkage rate at high temperature tends to be good, and when 3.0 g / cm 3 or less, the toughness tends to be good.

활성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무기 입자 및 수지 결합제를 포함하는 도공액을 도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공액은, 분산 안정성 및 도공성의 향상을 위하여 용제, 분산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As a method of forming the active layer, for example, a method of coating a coating liquid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and a resin binder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ubstrate can be mentioned. In this case, the coating liquid may contain a solvent, a dispersant, and the like in order to improve dispersion stability and coatability.

도공액을 기재에 도공하는 방법은, 필요로 하는 층 두께 및 도공 면적을 실현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지 결합제를 포함한 입자 원료와, 중합체 기재 원료를 공압출법에 의하여 적층하여 압출해도 되고, 기재와 활성막을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에 접합해도 된다.The method of applying the coating solution onto the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realize the required layer thickness and coating area. For example, the particle raw material containing the resin binder and the polymer-based raw material may be laminated and extruded by coextrusion, and the base and the active film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then bonded.

[열가소성 중합체층][Thermoplastic polymer layer]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는, 원한다면,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 및 활성층에 추가하여 열가소성 중합체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열가소성 중합체층은 다공질 기재의 편면 또는 양면 상에, 또는 활성층 상에 배치되어도 되며, 활성층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바람직하다.The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may have a thermoplastic polymer layer in addition to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and the active layer, if desired.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rous substrate, or on the active layer, and may be arranged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active layer is exposed.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면 중, 열가소성 중합체층이 배치되는 면의 전체 면적에 대한 열가소성 중합체층의 면적 비율은 100% 이하, 80% 이하, 75% 이하 또는 70%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이 면적 비율은 5% 이상, 10% 이상 또는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열가소성 중합체층의 도공 면적을 100% 이하로 하는 것은, 열가소성 중합체에 의한 기재의 구멍의 폐색을 더욱 억제하여, 세퍼레이터의 투과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도공 면적을 5% 이상으로 하는 것은, 전극과의 접착성을 한층 더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면적 비율은, 얻어지는 세퍼레이터의 열가소성 중합체층 형성면을 SEM으로 관찰함으로써 측정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area ratio of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to the total area of the surface on which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is disposed in the surface of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is 100% or less, 80% or less, 75% or less or 70% , And the area ratio is preferably 5% or more, 10% or more, or 15% or more. The coating area of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is preferably 100% or less from the viewpoint of further inhibiting the clogging of the pores of the substrate by the thermoplastic polymer and further improving the permeability of the separator. On the other hand, setting the coating area to 5% or more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further improving the adhesion with the electrode. This area ratio is measured by observing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formed surface of the resulting separator with an SEM.

또한 열가소성 중합체층이 무기 입자와 혼재한 층인 경우에는, 열가소성 중합체와 무기 입자의 전체 면적을 100%로 하여 열가소성 중합체의 존재 면적을 산출한다.When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is a layer mixed with inorganic particles, the total area of the thermoplastic polymer and the inorganic particles is 100%, and the area of the thermoplastic polymer is calculated.

열가소성 중합체층을 폴리올레핀 다공질성 기재 및 무기 입자층의 면의 일부에만 배치하는 경우, 열가소성 중합체층의 배치 패턴으로서는, 예를 들어 도트상, 스트라이프상, 격자상, 줄무늬상, 갑골상, 랜덤상 등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When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is disposed only o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porous substrate of the polyolefin and the inorganic particle layer, the arrangement pattern of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may be, for example, a dot pattern, a stripe pattern, a lattice pattern, a stripe pattern, And combinations thereof.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 상에 배치되는 열가소성 중합체층의 두께는, 기재의 편면당 0.01㎛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3㎛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내지 1㎛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disposed on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is preferably 0.01 탆 to 5 탆, more preferably 0.1 탆 to 3 탆, and even more preferably 0.1 to 1 탆, for each side surface of the substrate.

(열가소성 중합체)(Thermoplastic polymer)

열가소성 중합체층은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한다. 열가소성 중합체층은, 그의 전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5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8질량% 이상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해도 된다. 열가소성 중합체층은, 열가소성 중합체에 추가하여, 기타 성분을 포함해도 된다.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comprises a thermoplastic polymer.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may contain at least 60 mass%, more preferably at least 90 mass%,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95 mass%, particularly preferably at least 98 mass%, of the thermoplastic polymer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thereof.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may contain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thermoplastic polymer.

열가소성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As the thermoplastic polymer, for example, the following: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α-폴리올레핀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and alpha -olefin;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불소계 중합체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Fluorinated polymers such as polyvinylidene fluoride and polytetrafluoroethylene, or copolymers thereof;

부타디엔, 이소프렌 등의 공액 디엔을 단량체 유닛으로서 포함하는 디엔계 중합체 혹은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수소화물; A diene polymer containing a conjugated diene such as butadiene or isoprene as a monomer unit, a copolymer containing any of these, or a hydride thereof;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단량체 유닛으로서 포함하고, 또한 폴리알킬렌글리콜 유닛을 갖고 있지 않은 아크릴계 중합체,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단량체 유닛으로서 포함하고, 또한 1개 또는 2개의 폴리알킬렌글리콜 유닛을 갖는 아크릴계 중합체 혹은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화물; (Meth) acrylate or the like as a monomer unit, and further contains an acrylic polymer having no polyalkylene glycol unit, (meth) acrylate or the like as a monomer unit, and also contains one or two polyalkylene glycol units Or a copolymer containing them, or a hydride thereof;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세트산 비닐 등의 고무류; Ethylene propylene rubber, polyvinyl alcohol, and polyvinyl acetate;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Cellulose derivatives such as ethylcellulose, methylcellulose, hydroxyethylcellulose, carboxymethylcellulose and the like;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중합성 관능기를 갖고 있지 않은 폴리알킬렌글리콜; Polyalkylene glycols having no polymerizable functional group such as polyethylene glycol and polypropylene glycol;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 Resins such as polyphenylene ether, polysulfone, polyether sulfone, polyphenylene sulfide, polyether imide, polyamideimide, polyamide and polyester;

필러 다공층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 결합제로서 상기에서 설명된, 알킬렌글리콜 유닛의 반복수가 3 이상인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공중합 유닛으로서 갖는 공중합체; 및 A copolymer having an ethylenically unsaturated monomer having a repeating number of 3 or more of the alkylene glycol unit as a copolymerizing unit described above as the resin binder for forming the filler porous layer; And

이들의 조합; Combinations thereof;

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전극 활물질과의 접착성, 및 유연성, 중합체의 이온 투과성의 관점에서는, 디엔계 중합체, 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불소계 중합체가 바람직하다.Among these, a diene-based polymer, an acrylic polymer or a fluorine-based polymer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s of adhesion with the electrode active material, flexibility, and ion permeability of the polymer.

열가소성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전극과의 접착성 및 이온 투과성의 관점에서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내지 150℃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thermoplastic polymer is preferably -50 占 폚 or higher, more preferably -50 占 폚 to 150 占 폚, from the viewpoint of adhesion with the electrode and ion permeability.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으로의 습윤성,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과 열가소성 중합체층의 결착성, 및 전극과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열가소성 중합체층에는, 유리 전이 온도가 20℃ 미만인 중합체가 블렌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블로킹성 및 이온 투과성의 관점에서, 유리 전이 온도가 20℃ 이상의 중합체도 블렌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From the viewpoint of the wettability to 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the bondability between 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and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and the adhesiveness with the electrod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is blended with a polymer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lower than 20 캜 From the viewpoints of blocking resistance and ion permeability, polymers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20 占 폚 or higher are preferably blended.

열가소성 중합체가 유리 전이 온도를 적어도 2개 갖는 것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2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중합체를 블렌드하는 방법, 코어 셸 구조를 구비하는 열가소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방법 등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다.The thermoplastic polymer having at least two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may be achieved by, for example, a method of blending two or more kinds of thermoplastic polymers, a method of using a thermoplastic polymer having a core shell structure, and the like.

코어 셸 구조란, 중심 부분에 속하는 중합체와, 외각 부분에 속하는 중합체가 상이한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구조의 형태를 한 중합체이다.The core shell structure is a polymer having a double structure in which the polymer belonging to the center portion and the polymer belonging to the shell portion have different compositions.

특히 중합체 블렌드 및 코어 셸 구조에 있어서, 유리 전이 온도가 높은 중합체와 낮은 중합체를 조합함으로써, 열가소성 중합체 전체의 유리 전이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중합체 전체에 복수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polymer blend and the core shell structur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entire thermoplastic polymer can be controlled by combining a polymer having a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a low polymer. In addition, a plurality of functions can be imparted to the whole thermoplastic polymer.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세퍼레이터의 블로킹 억제성 및 이온 투과성의 관점에서, 열가소성 공중합체는, 유리 전이 온도가, 예를 들어 20℃ 이상, 25℃ 이상 또는 30℃ 이상일 때 입자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thermoplastic copolymer is in a particulate form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for example, 20 占 폚 or higher, 25 占 폚 or higher, or 30 占 폚 or higher, from the viewpoints of blocking inhibition property and ion permeability of the separator.

열가소성 중합체층에 입자상 열가소성 공중합체를 함유시킴으로써, 기재 상에 배치된 열가소성 중합체층의 다공성 및 세퍼레이터의 내블로킹성을 확보할 수 있다.By containing the particulate thermoplastic copolymer in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the porosity of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the anti-blocking property of the separator can be secured.

입자상 열가소성 공중합체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80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800㎚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750㎚이다. 이 평균 입경을 10㎚ 이상으로 하는 것은, 적어도 다공막을 포함하는 기재에 입자상 열가소성 중합체를 도공했을 때, 기재의 구멍에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입자상 열가소성 중합체의 치수가 확보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경우, 전극과 세퍼레이터 사이의 접착성, 및 축전 디바이스의 사이클 특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 평균 입경을 2,000㎚ 이하로 하는 것은, 전극과 세퍼레이터의 접착성, 및 축전 디바이스의 사이클 특성을 양립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양의 입자상 열가소성 중합체를 기재 상에 도공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입자상의 열가소성 중합체의 평균 입경은,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측정할 수 있다.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ulate thermoplastic copolymer is preferably 10 nm to 2,000 nm, more preferably 50 nm to 1,500 nm, further preferably 100 nm to 1,000 nm, particularly preferably 130 nm to 800 nm, Preferably 150 to 800 nm, and most preferably 200 to 750 nm.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 nm or more means that when the particulate thermoplastic polymer is coated on the base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the porous film, the dimension of the particulate thermoplastic polymer to such an extent that the base material does not enter the hole of the base material is secured. Therefor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improving the adhesiveness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nd the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storage devic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2,000 nm or less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coating on the substrate a particulate thermoplastic polymer in an amount necessary for achieving compatibility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and cycle characteristics of the power storage devic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ulate thermoplastic polymer can be measur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에서 설명한 입자상 열가소성 중합체는, 대응하는 단량체 또는 공단량체를 사용하여 기지의 중합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중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액 중합, 유화 중합, 괴상 중합 등의 적절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The particulate thermoplastic polymer described above can be produced by a known polymerization method using the corresponding monomers or comonomers. As the polymerization method, suitable methods such as solut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bulk polymerization and the like can be adopted.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열가소성 중합체층을 도공에 의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유화 중합에 의하여 입자상 열가소성 중합체를 형성하고, 그것에 의하여, 얻어진 열가소성 중합체 에멀션을 수계 라텍스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can be easily formed by coating,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articulate thermoplastic polymer by emulsion polymerization, and to use the obtained thermoplastic polymer emulsion as an aqueous latex.

(임의 성분)(Optional component)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중합체층은, 열가소성 중합체만을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열가소성 중합체에 추가하여, 그 이외의 임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임의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활성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무기 입자 등을 들 수 있다.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ntain only a thermoplastic polymer or may contain any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thermoplastic polymer. Examples of optional components include the inorganic particles described above for forming the active layer.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

(제1 및 제2의 미다공질층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first and second microporous layer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은 제1 미다공질층, 제2 미다공질층, 그리고 제1 미다공질층을 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지만, 제1 및 제2의 미다공질층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제조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과 가소제를 용융 혼련하여 시트상으로 성형 후, 경우에 따라 연신한 후, 가소제를 추출함으로써 다공화시키는 방법,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용융 혼련하여 고드로우비로 압출한 후, 열처리와 연신에 의하여 폴리올레핀 결정 계면을 박리시킴으로써 다공화시키는 방법,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과 무기 충전재를 용융 혼련하여 시트상으로 성형 후, 연신에 의하여 폴리올레핀과 무기 충전재의 계면을 박리시킴으로써 다공화시키는 방법,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용해 후, 폴리올레핀에 대한 빈용매에 침지시켜 폴리올레핀을 응고시킴과 동시에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다공화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by laminating the first microporous layer, the second microporous layer, and the first microporous layer in this order, but the first microporous membrane and the second microporous membrane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known manufacturing method may be employed. For example, a method in which a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nd a plasticizer are melt-kneaded, molded into a sheet, optionally stretched, and then extracted with a plasticizer to make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porous; a method in which a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is melted and kneaded, extruded at a high draw ratio, A method in which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nd the inorganic filler are melt kneaded to form a sheet and then the interface between the polyolefin and the inorganic filler is peeled off by stretching to thereby make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porous; , A method in which the polyolefin is immersed in a poor solvent for the polyolefin to coagulate the polyolefin, and at the same time, the solvent is removed to make the polyolefin porous.

또한 제1 및 제2 미다공질층의 기재로서의 부직포 또는 종이를 제작하는 방법은, 공지의 것이어도 된다. 그의 제작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웹을 결합제에 침지, 건조시켜 섬유 간 결합시키는 케미컬 본드법; 웹에 열 용융성 섬유를 혼입하고, 그 섬유를 부분적으로 용융시켜 섬유 간 결합시키는 서멀 본드법; 웹에 가시가 있는 니들을 반복하여 찔러, 섬유를 기계적으로 묶는 니들 펀치법; 고압의 수류를 노즐로부터 네트(스크린)를 통하여 웹에 분사하고, 섬유 간을 묶는 수류 교락법을 들 수 있다.The method for producing the nonwoven fabric or the paper as the base material of the first and second microporous layers may be a publicly known method. Examples of the production method include a chemical bond method in which a web is immersed in a binder and dried to bond the fibers together; A thermal bonding method in which a heat-meltable fiber is incorporated into a web, and the fibers are partially melted to bond the fibers together; A needle punching method which repeatedly stabs needle-pricked needles on the web and mechanically binds the fibers; There is a water distillation method in which a high-pressure water stream is jetted from a nozzle to a web through a net (screen), and the fibers are bound together.

이하,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로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과 가소제를 용융 혼련하여 시트상의 제1 및 제2 미다공질층을 성형 후, 가소제를 추출하는 방법을 거쳐, 해당 제1 및 제2 미다공질층을 적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s an example of a method for producing a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film (polyolefin porous substrate), there is a method of melt-kneading a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nd a plasticizer to form first and second microporous layers on a sheet, , And a method of laminating the first and second microporous layers will be described.

우선,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과 가소제를 용융 혼련한다. 용융 혼련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수지 및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첨가제를, 압출기, 니더, 라보 플라스토 밀, 혼련 롤, 밴버리 믹서 등의 수지 혼련 장치에 투입하고, 수지 성분을 가열 용융시키면서 임의의 비율로 가소제를 도입하고 혼련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때, 폴리올레핀 수지, 그 외의 첨가제 및 가소제를 수지 혼련 장치에 투입하기 전에, 미리 헨셸 믹서 등을 사용하여 소정의 비율로 사전 혼련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전 혼련에 있어서 가소제의 일부만을 투입하고, 나머지 가소제를 수지 혼련 장치에 사이드 피드하면서 혼련하는 것이다.First,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nd the plasticizer are melt-kneaded. As the melt kneading method, for example, a polyolefin resin and, if necessary, other additives may be added to a resin kneading apparatus such as an extruder, a kneader, a Labo Plastomill, a kneading roll or a Banbury mixer, And a plasticizer is introduced and knead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lyolefin resin, the other additives, and the plasticizer are pre-kneaded in advance at a predetermined ratio using a Henschel mixer or the like before putting them into the resin kneading apparatus. More preferably, only a part of the plasticizer is put in the pre-kneading, and the remaining plasticizer is kneaded while side-fed into the resin kneader.

가소제로서는, 폴리올레핀의 융점 이상에 있어서 균일 용액을 형성할 수 있는 불휘발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불휘발성 용매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어 유동 파라핀, 파라핀 왁스 등의 탄화수소류; 프탈산디옥틸, 프탈산디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올레일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유동 파라핀이 바람직하다.As the plasticizer, a nonvolatile solvent capable of forming a homogeneous solution at a temperature not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olefin can be used. Specific examples of such nonvolatile solvents include hydrocarbons such as liquid paraffin and paraffin wax; Esters such as dioctyl phthalate and dibutyl phthalate; And higher alcohols such as oleyl alcohol and stearyl alcohol. Of these, liquid paraffin is preferred.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과 가소제의 비율은, 이들을 균일하게 용융 혼련하고, 시트상으로 성형할 수 있는 범위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과 가소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중에서 차지하는 가소제의 질량 분율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0질량%이다. 가소제의 질량 분율을 이 범위로 함으로써, 용융 성형 시의 멜트 텐션과, 균일하고도 미세한 구멍 구조의 형성성이 양립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The ratio of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to the plasticiz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y can be uniformly melted and kneaded and molded into a sheet form. For example, the mass fraction of the plasticizer in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and the plasticizer is preferably 30 to 80 mass%, more preferably 40 to 70 mass%. By setting the mass fraction of the plasticizer within this range, it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that the melt tension at the time of melt molding and the formation of a uniform and minute pore structure are compatible.

다음으로, 용융 혼련물을 시트상으로 성형한다. 시트상 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용융 혼련물을, T 다이 등을 통하여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열전도체에 접촉시켜 수지 성분의 결정화 온도보다 충분히 낮은 온도까지 냉각하여 고화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냉각 고화에 사용되는 열전도체로서는, 금속, 물, 공기, 가소제 자신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금속제의 롤이 열전도의 효율이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때, 금속제의 롤에 접촉시킬 때, 롤 사이에 끼워 넣으면, 열전도의 효율이 더 높아짐과 함께, 시트가 배향되어 막 강도가 증가하고, 시트의 표면 평활성도 향상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T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할 때의 다이 립 간격은 400㎛ 이상 3,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이상 2,50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Next, the melt-kneaded product is formed into a sheet. Examples of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sheet-shaped molded article include a method of extruding a melt-kneaded product through a T-die or the like into a sheet form and bringing the melt-kneaded product into contact with the heat conductor to cool it to a temperature sufficiently lower than the crystallization temperature of the resin component, . As the thermal conductor used for cooling and solidifying, metal, water, air, a plasticizer itself and the like can be used, but a metal roll is preferable because heat conduction efficiency is high. At this time, when the shee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etal roll, it is more preferable to sandwich it between the rolls because the efficiency of heat conduction is higher and the sheet is oriented to increase the film strength and the surface smoothness of the sheet. The die lap interval when extruded from the T die into the sheet is preferably 400 占 퐉 or more and 3,00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500 占 퐉 or more and 2,500 占 퐉 or less.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의 제조 방법)(Method for producing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은 제1 미다공질층, 제2 미다공질층, 그리고 제1 미다공질층을 이 순서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인데, 이들을 적층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이하의 3층 일괄 적층 방법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과 제2 미다공질층의 구성 성분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과 가소제를 각각 2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용융 혼련하여 올레핀 용액으로 하고 나서, 각각의 폴리올레핀 용액을 각 2축 압출기로부터 3층용 T 다이에 공급하고, 각 용액으로부터 성형되는 각 층(제1 폴리올레핀 용액층/제2 폴리올레핀 용액층/제1 폴리올레핀 용액층)의 층 두께비를 원하는 범위로 조정하면서, 소정의 권취 속도로 인취하면서 냉각하여, 겔상 3층 시트로서 형성한다.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by laminating a first microporous layer, a second microporous layer, and a first microporous layer in this order. As a method of laminating them, As described above, the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which is a component of the first and second microporous layers, and the plasticizer are melt-kneaded using a twin-screw extruder to prepare an olefin solution Then, each of the polyolefin solutions was supplied from each twin-screw extruder to a three-layer T-die, and the layer thickness ratio of each layer (first polyolefin solution layer / second polyolefin solution layer / first polyolefin solution layer) While cooling it to a desired range while taking it at a predetermined winding speed to form a gel three-layer sheet.

상기에서는 3층용 T 다이를 사용하여 3층을 동시에 적층 형성했지만, 각 층마다 각각 형성한 후에 3층으로 하더라도 상관없다.In the above, three layers are simultaneously laminated by using a three-layer T-die, but they may be three layers after forming each layer.

이와 같이 하여 얻은 시트상 성형체를, 이어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처리로서는,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 모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얻어지는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강도 등의 관점에서 2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시트상 성형체를 2축 방향으로 고배율 연신하면, 분자가 면 방향으로 배향되고,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다공질 기재가 찢어지기 어려워져, 높은 찌르기 강도를 갖는 것이 된다. 연신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동시 2축 연신, 축차 2축 연신, 다단 연신, 다수 회 연신 등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찌르기 강도의 향상, 연신의 균일성, 셧다운성의 관점에서 동시 2축 연신이 바람직하다.The sheet-shaped formed body thus obtained is preferably subsequently stretched. As the stretching treatment, both uniaxial stretching and biaxial stretching can be suitably used. From the viewpoint of the strength and the like of the resulting porous polyolefin substrate, biaxial orientation is preferable. When the sheet-like formed body is stretched at a high magnification in the biaxial direction, the molecules are oriented in the plane direction, and the finally obtained porous substrate is hardly torn and has high sticking strength. Examples of the stretching method include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sequential biaxial stretching, multistage stretching, and multiple stretching.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enhancement of stab intensity, uniformity of stretching, and shutdown property.

연신 배율은, 면 배율로 20배 이상 100배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25배 이상 50배 이하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각 축 방향의 연신 배율은, MD 방향으로 4배 이상 10배 이하, TD 방향으로 4배 이상 10배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MD 방향으로 5배 이상 8배 이하, TD 방향으로 5배 이상 8배 이하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총 면적 배율로 함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음과 함께, 연신 공정에서의 막 파단을 방지하고, 높은 생산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The stretching ratio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imes to 100 time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5 times to 50 times. The stretching ratio in each axis direction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4 to 10 times in the MD direction, 4 to 10 times in the TD direction, 5 to 8 times in the MD direction, 5 times or more in the TD direction And more preferably 8 times or less. By setting the total area ratio in this range, it is preferable that sufficient strength can be given, film breakage in the stretching process can be prevented, and high productivity can be obtained.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시트상 성형체를 또한 압연해도 된다. 압연은, 예를 들어 더블 벨트 프레스기 등을 사용한 프레스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압연은 특히 표층 부분의 배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압연면 배율은 1배보다 크고 3배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배보다 크고 2배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압연 배율로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막 강도가 증가하고, 또한 막의 두께 방향으로 균일한 다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The sheet-shaped formed body obtained as described above may also be rolled. Rolling can be performed by a pressing method using, for example, a double belt press machine or the like. Rolling can increase the orientation of the surface layer portion in particular. The rolling surface magnification is preferably greater than 1 and less than 3, more preferably greater than 1 and less than 2. By setting the rolling magnification within this range, the film strength of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to be finally obtained is increased, and a uniform porous structure can be formed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이어서, 시트상 성형체로부터 가소제를 제거하여 다공성 기재로 한다. 가소제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추출 용제에 시트상 성형체를 침지시켜 가소제를 추출하고, 충분히 건조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가소제를 추출하는 방법은 배치식, 연속식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수축을 억제하기 위하여, 침지, 건조의 일련의 공정 중에서 시트상 성형체의 단부를 구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공질 기재중의 가소제 잔존량은 1질량%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ubsequently, the plasticizer is removed from the sheet-shaped molding to obtain a porous substrate. Examples of the method for removing the plasticizer include a method in which the sheet-like molded body is immersed in an extraction solvent to extract the plasticizer and sufficiently dried.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plasticizer may be either a batch method or a continuous method. In order to suppress shrinkage of the porous polyolefin substrate, it is preferable to confine the end portions of the sheet-shaped formed body in a series of steps of immersion and drying. The residual amount of the plasticizer in the porous substrate is preferably less than 1% by mass.

추출 용제로서는, 폴리올레핀 수지에 대하여 빈용매이고, 또한 가소제에 대하여 양용매이며, 비점이 폴리올레핀 수지의 융점보다 낮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추출 용제로서는, 예를 들어 n-헥산, 시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류; 염화메틸렌, 1,1,1-트리클로로에탄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 히드로플루오로에테르, 히드로플루오로카본 등의 비염소계 할로겐화 용제;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류;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추출 용제는 증류 등의 조작에 의하여 회수하여 재이용해도 된다.As the extraction solvent, it is preferable to use a poor solvent for the polyolefin resin, a good solvent for the plasticizer, and a boiling point low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polyolefin resin. Examples of the extraction solvent include hydrocarbons such as n-hexane and cyclohexane; Halogenated hydrocarbons such as methylene chloride and 1,1,1-trichloroethane; Non-chlorinated halogenated solvents such as hydrofluoroether, hydrofluorocarbon and the like; Alcohols such as ethanol and isopropanol; Ethers such as diethyl ether and tetrahydrofuran; And ketones such as acetone and methyl ethyl ketone. These extraction solvents may be recovered and reused by an operation such as distillation.

폴리올레핀 다공질성 기재의 수축을 억제하기 위하여, 연신 공정 후 또는 다공질 기재 형성 후에 열 고정이나 열 완화 등의 열처리를 행해도 된다. 다공질 기재에, 계면 활성제 등에 의한 친수화 처리, 전리성 방사선 등에 의한 가교 처리 등의 후처리를 행해도 된다.In order to suppress shrinkage of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heat treatment such as heat fixation or thermal relaxation may be performed after the stretching process or after the porous substrate is formed. The porous substrate may be subjected to a post-treatment such as a hydrophilic treatment with a surfactant or the like, a crosslinking treatment with ionizing radiation or the like.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 표면에 표면 처리를 실시해 두면, 그 후에 도공액을 도공하기 쉬워짐과 함께, 폴리올레핀과 활성층 또는 열가소성 중합체층과의 접착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표면 처리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코로나 방전 처리법, 플라스마 처리법, 기계적 조면화법, 용제 처리법, 산 처리법, 자외선 산화법 등을 들 수 있다.When the surface of the porous substrate of the polyolefin is subjected to the surface treatment, it is preferable to coat the coating liquid thereafter and to improve the adhesiveness between the polyolefin and the active layer or the thermoplastic polymer layer. Examples of the surface treatment method include a corona discharge treatment method, a plasma treatment method, a mechanical roughening method, a solvent treatment method, an acid treatment method, and an ultraviolet oxidation method.

[활성층의 배치 방법][Arrangement of active layer]

활성층은, 예를 들어 무기 입자, 불소계 수지, 및 원한다면, 용제(예를 들어 물), 분산제 등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도공액을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도공함으로써, 기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불소계 수지를 유화 중합에 의하여 합성하고, 얻어진 에멀션을 그대로 도공액으로서 사용해도 된다.The active layer can be disposed on a substrate by coating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t least one side of the substrate, for example, an inorganic particle, a fluorine resin, and, if desired, additional components such as a solvent (e.g., water), a dispersing agent and the like. The fluorine resin may be synthesiz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and the resulting emulsion may be used directly as a coating liquid.

활성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적어도 편면에, 무기 입자 및 불소계 수지를 포함하는 도공액을 도공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공액은, 분산 안정성 및 도공성의 향상을 위하여 용제, 분산제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As a method for forming the active layer, for example, there can be mentioned a method of coating a coating liquid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and a fluorine resin on at least one side of a porous substrate of polyolefin. In this case, the coating liquid may contain a solvent, a dispersant, and the like in order to improve dispersion stability and coatability.

도공액을 기재에 도공하는 방법은, 필요로 하는 층 두께 및 도공 면적을 실현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한 활성층의 구성 원료와,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 기재의 구성 원료를 공압출법에 의하여 적층하고 압출해도 되고, 다공질 기재와 활성막을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에 접합해도 된다.The method of applying the coating solution onto the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realize the required layer thickness and coating area. For example,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active layer including the polyolefin resin and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polyolefin multi-layered microporous substrate may be laminated and extruded by a co-extrusion method, and the porous substrate and the active film may be individually formed and then joined.

도공액을 기재에 도공하는 방법은, 필요로 하는 층 두께 및 도공 면적을 실현할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도공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그라비아 코터법, 소직경 그라비아 코터법, 리버스 롤 코터법, 트랜스퍼 롤 코터법, 키스 코터법, 딥 코터법, 나이프 코터법, 에어 닥터 코터법, 블레이드 코터법, 로드 코터법, 스퀴즈 코터법, 캐스트 코터법, 다이 코터법, 스크린 인쇄법, 스프레이 도공법, 잉크젯 도공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그라비아 코터법은, 도공 형상의 자유도가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method of applying the coating solution onto the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realize the required layer thickness and coating area. Examples of the coating method include a gravure coater method, a small diameter gravure coater method, a reverse roll coater method, a transfer roll coater method, a kiss coater method, a dip coater method, a knife coater method, an air doctor coater method, A squeeze coater method, a cast coater method, a die coater method, a screen printing method, a spray coating method, and an inkjet coating method. Among them, the gravure coater method is preferable because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coating shape is high.

또한 불소계 수지(결합제)를 포함한 무기 입자 원료와, 중합체 기재 원료를 공압출법에 의하여 적층하고 압출해도 되고, 기재와 활성층을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에 접합해도 된다.Further, the inorganic particle raw material containing the fluorine resin (binder) and the polymer base material may be laminated and extruded by the co-extrusion method, or the substrate and the active layer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then bonded.

도공 후에 도공막으로부터 용제를 제거하는 방법은, 기재 및 다공층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기재를 고정하면서 기재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방법, 저온에서 감압 건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The method of removing the solvent from the coating film after coating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substrate and the porous layer. For example, a method of drying the substrate at a temperature not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of the substrate while fixing the substrate, and a method of drying under reduced pressure at a low temperature.

[열가소성 중합체층의 배치 방법][Arrangement of Thermoplastic Polymer Layer]

열가소성 중합체는, 예를 들어 열가소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도공액을 기재에 도공함으로써 기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열가소성 중합체를 유화 중합에 의하여 합성하고, 얻어진 에멀션을 그대로 도공액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도공액은, 물, 물과 수용성 유기 매체(예를 들어 메탄올 또는 에탄올)의 혼합 용매 등의 빈용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ermoplastic polymer can be placed on a substrate by coating the substrate with a coating solution comprising, for example, a thermoplastic polymer. The thermoplastic polymer may be synthesized by emulsion polymerization, and the resulting emulsion may be used directly as a coating liquid. The coating liquid preferably contains a poor solvent such as water, a mixed solvent of water and a water-soluble organic medium (for example, methanol or ethanol), and the like.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 상에, 열가소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도공액을 도공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원하는 도공 패턴, 도공 막 두께 및 도공 면적을 실현할 수 있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무기 입자 함유 도공액을 도공하기 위하여 상기에서 설명된 도공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열가소성 중합체의 도공 형상의 자유도가 높고, 또한 바람직한 면적 비율이 용이하게 얻어진다는 관점에서는, 그라비아 코터법 또는 스프레이 도공법이 바람직하다.The method of coating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 thermoplastic polymer on a polyolefin porous subs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method capable of realizing a desired coating pattern, coating thickness and coating area. For example, the coating method described above may be used to coat the inorganic particle-containing coating solution. From the viewpoint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coating shape of the thermoplastic polymer is high and the preferable area ratio is easily obtained, the gravure coating method or the spray coating method is preferable.

도공 후에 도공 막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 및 중합체층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방법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를 고정하면서 그의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방법, 저온에서 감압 건조하는 방법,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한 빈용매에 침지시키고 해당 열가소성 중합체를 입자상에 응고시킴과 동시에 용매를 추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The method of removing the solvent from the coating film after coating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does not adversely affect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and the polymer layer. For example, a method of drying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while keeping it at a temperature lower than its melting point, a method of drying under reduced pressure at a low temperature, a method of immersing the thermoplastic polymer in a poor solvent for coagulating the thermoplastic polymer, And the like.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의 물성><Physical Properties of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의 투기도는 10초/100㏄ 이상 650초/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초/100㏄ 이상 500초/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초/100㏄ 이상 450초/100㏄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초/100㏄ 이상 400초/100㏄ 이하이다. 이 투기도는,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투기도와 마찬가지로, JIS P-8117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투기 저항도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permeability of the battery device separator is preferably 10 sec / 100cc or more and 650 sec / 100cc or less, more preferably 20 sec / 100cc or more and 500 sec / 100cc or less, 100 sec or more and 450 sec / 100cc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50 sec / 100cc or more and 400 sec / 100cc or less. This air permeability is the air permeability resistanc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P-8117 as well as the permeability of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투기도가 10초/100㏄ 이상이면 전지용 세퍼레이터로서 사용했을 때의 자기 방전이 적어지는 경향이 있고, 650초/100㏄ 이하이면 양호한 충방전 특성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When the air permeability is 10 sec / 100cc or more, self-discharge when used as a separator for a battery tends to decrease, and when it is 650 sec / 100cc or less, good charge / discharge characteristics tend to be obtained.

본 실시 형태의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는, 이와 같이 매우 큰 투기도를 나타냄으로써,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적용되었을 때 큰 이온 투과성을 나타낸다.The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xhibits a very high permeability as described above, and thus exhibits a large ion permeability when applied to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세퍼레이터의 최종적인 두께는 2㎛ 이상 2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이상 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이상 30㎛ 이하이다. 이 두께가 2㎛ 이상이면 기계 강도가 충분해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200㎛ 이하이면 세퍼레이터의 점유 부피가 감소하기 때문에, 전지의 고용량화의 관점에 있어서 유리해지는 경향이 있다.The final thickness of the separator is preferably 2 탆 or more and 200 탆 or less, more preferably 5 탆 or more and 100 탆 or less, further preferably 7 탆 or more and 30 탆 or less. If the thickness is 2 mu m or more, the mechanical strength tends to be sufficient. When the thickness is 200 mu m or less, the occupied volume of the separator tends to be reduced, which tends to be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high capacity of the battery.

<축전 디바이스><Power storage device>

본 실시 형태의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는, 이를 정극, 부극 및 비수 전해액을 조합함으로써, 축전 디바이스의 세퍼레이터로서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이 축전 디바이스로서는, 예를 들어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들 수 있다.The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suitably applied as a separator of a power storage device by combining it with a positive electrode, a negative electrode, and a nonaqueous electrolyte. Examples of the power storage device include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본 실시 형태의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리튬 이온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경우, 정극, 부극, 비수 전해액에 한정은 없으며, 각각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using the separator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no limitation to the posi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and non-aqueous electrolyte, and known ones can be used.

정극으로서는, 정극 집전체 상에 정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정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정극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정극 집전체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 등을, 정극 활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LiCoO2, LiNiO2, 스피넬형 LiMnO4, 올리빈형 LiFePO4 등의 리튬 함유 복합 산화물 등을 각각 들 수 있다. 정극 활물질층에는, 정극 활물질 외에, 결합제, 도전재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As the positive electrode, a positive electrode hav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ntain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med on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may be suitably used. Examples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clude aluminum foil and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cludes lithium-containing complex oxide such as LiCoO 2 , LiNiO 2 , spinel type LiMnO 4 , and olivine type LiFePO 4 .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y contain, in addition to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binder, a conductive material, and the like.

부극으로서는, 부극 집전체 상에 부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부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정극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부극 집전체로서는, 예를 들어 구리박 등을, 부극 활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흑연질, 난흑연화 탄소질, 이(易)흑연화 탄소질, 복합 탄소체 등의 탄소 재료; 실리콘, 주석, 금속 리튬, 각종 합금 재료 등을 각각 들 수 있다.As the negative electrode, a positive electrode compris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contain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n a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may be suitably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for example, copper foil may be used. As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arbon materials such as graphite, non-graphitized carbonaceous material, graphitized carbonaceous material and composite carbon material may be used. Silicon, tin, metal lithium, and various alloy materials.

비수 전해액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전해질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전해액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매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에틸렌카르보네이트, 디메틸카르보네이트, 디에틸카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전해질로서는, 예를 들어 LiClO4, LiBF4, LiPF6 등의 리튬염을 들 수 있다.The non-aqueous electroly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n electrolytic solution in which an electrolyte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can be used. Examples of the organic solvent include propylene carbonate, ethylene carbonate, di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ethyl methyl carbonate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electrolyte include lithium salts such as LiClO 4 , LiBF 4 and LiPF 6 .

본 실시 형태의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축전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electrical storage device using the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following method can be exemplified.

본 실시 형태의 세퍼레이터를, 폭 10 내지 500㎜(바람직하게는 80 내지 500㎜), 길이 200 내지 4,000m(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4,000m)의 세로로 긴 형상의 세퍼레이터로서 제조하고, 당해 세퍼레이터를, 정극-세퍼레이터-부극-세퍼레이터, 또는 부극-세퍼레이터-정극-세퍼레이터의 순으로 적층하고, 원 또는 편평한 와권상으로 권회하여 권회체를 얻고, 당해 권회체를 전지 캔 내에 수납하고, 또한 전해액을 주입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시트상의 세퍼레이터 및 전극을 포함하는 적층체, 또는 전극 및 세퍼레이터를 절첩하여 권회체로 한 것을, 전지 용기(예를 들어 알루미늄제의 필름)에 넣고, 전해액을 주액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해도 된다.The separator of this embodiment is manufactured as a vertically elongated separator having a width of 10 to 500 mm (preferably 80 to 500 mm) and a length of 200 to 4,000 m (preferably 1,000 to 4,000 m) , A positive electrode-separator-negative electrode-separator, or a negative electrode-separator-positive electrode-separator in this order, winding them in a circular or flat manner and winding them to obtain a winding body, storing the winding body in a battery can, By weight. Or a laminate comprising a sheet-like separator and an electrode, or a method in which an electrode and a separator are folded and formed into a wound body into a battery container (for example, an aluminum film), and an electrolyte is injected thereinto.

이때, 상기 적층체 또는 권회체에 대하여 프레스를 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의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와, 집전체 및 해당 집전체의 적어도 편면 상에 형성된 활물질층을 갖는 전극을, 전자의 열가소성 중합체층과 활물질층이 대향하도록 중첩하고 프레스를 행할 수 있다. 프레스 온도는 25℃ 이상 120℃ 이하, 또는 50℃ 내지 100℃여도 된다. 프레스는, 롤 프레스나 면 프레스 등의 공지된 프레스 장치를 적절히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laminate or the winding body is pressed. Specifically, the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electrode having the current collector and the active material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are stacked so that the former thermoplastic polymer layer and the active material layer are opposed to each other, have. The press temperature may be 25 占 폚 or higher and 120 占 폚 or lower, or 50 占 폚 to 100 占 폚. The press can be performed by appropriately using a known press apparatus such as a roll press or a surface press.

상기와 같이 하여 제조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내열성과 강도가 우수한 도공층을 갖고, 이온 저항을 저감시킨 세퍼레이터를 구비하기 때문에, 우수한 안전성과 전지 특성(특히 레이트 특성)을 나타낸다. 또한 세퍼레이터 최표면에 열가소성 중합체를 구비한 경우에는, 전극과의 우수한 접착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충방전에 수반하는 전극과 세퍼레이터 간의 박리를 억제하고, 균일한 충방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기 연속 가동 내성이 우수하다.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produced as described above has a coating layer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and strength and includes a separator with reduced ion resistance, and thus exhibits excellent safety and battery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rat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when the thermoplastic polymer is provided on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separator, excellent adhesion with the electrode is exhibited. Therefore, peeling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eparator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is suppressed and uniform charge and discharge are performed. Excellent resistance.

이하의 실험예에 있어서의 물성 평가는 이하의 방법에 따라 행하였다.The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in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following method.

<평가><Evaluation>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Lt; Measurement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

(1) 활성층/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박리 강도(1) Peel strength of active layer / polyolefin porous substrate

실시예 및 비교예(비교예 1을 제외함)에서 얻은 세퍼레이터의 활성층에 대하여 폭 12㎜×길이 100㎜의 테이프(3M사 제조, 제품명: 스카치 600)를 세퍼레이터 길이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부착하였다. 테이프를 샘플로부터 50㎜/분의 속도로 박리할 때의 힘을, 90° 박리 강도 측정기(IMADA사 제조, 제품명 IP-5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점 측정하고, 얻어진 박리 강도의 평균값을 활성층과 기재의 박리 강도로 하고, 하기 평가 기준에 의하여 평가하였다.A tape (manufactured by 3M, product name: Scotch 600) having a width of 12 mm and a length of 100 mm was attached to the active layer of the separator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excluding Comparative Example 1)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parator longitudinal direction . The force at which the tape was peeled from the sample at a rate of 50 mm / min was measured using a 90 占 peel strength meter (product name: IP-5N, manufactured by IMADA). Five points were measured,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obtained peel strength was regarded as the peel strength of the active layer and the substrate,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A: 박리 강도가 60N/m 이상A: Peel strength of 60 N / m or more

B: 박리 강도가 40N/m 이상 60N/m 미만B: Peel strength of 40 N / m or more and less than 60 N / m

C: 박리 강도가 40N/m 미만C: Peel strength less than 40 N / m

(2) 전지 권회성(핀 뽑힘 특성)(2) Battery turnability (pin pulling characteristics)

카이도 세이사쿠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수동 권회기를 사용하여, 당해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 1의 (A)와 같이, 길이 3m, 폭 60㎜의 권취 샘플(13)을 2매 중첩하여 하중 400g으로 핀(10)에 활성층이 핀에 접촉하도록 하여 권회한 후, 도 1의 (B)에 도시하는 권취부 구성에 있어서, 핀 Ⅰ(11)을 뽑고, 권취 샘플(13)을 손으로 잡아당겨 핀 Ⅱ(12)로부터 떼어 내고, 다 뽑은 샘플의 권회 모습으로부터 핀 뽑힘 특성을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Using a manual winding machine manufactured by Kaido Seisakusho Co., Ltd., two wound samples 13 each having a length of 3 m and a width of 60 mm were stacked as shown in Fig. 1 (A) The pin I was pulled out in the winding configuration shown in Fig. 1 (B), and the wound sample 13 was wound by hand Pulled out from the pin II (12), and the pin pulling property was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based on the winding profile of the drawn sample.

A: 핀에 끌려서, 핀 접촉 부분이 핀을 뽑기 전에 비하여 2㎜ 이상 어긋나는 것의 비율 4개/100개 이하A: The ratio of the pin contact portion shifted by 2 mm or more compared to when the pin was pulled out by the pin is 4/100 or less

B: 핀에 끌려서, 핀 접촉 부분이 핀을 뽑기 전에 비하여 2㎜ 이상 어긋나는 것의 비율 5 내지 9개/100개B: Ratio of the pin contact portion shifted by 2 mm or more compared to that before the pin was pulled out by 5 to 9/100

C: 핀에 끌려서, 핀 접촉 부분이 핀을 뽑기 전에 비하여 2㎜ 이상 어긋나는 것의 비율 10개/100개 이상C: Ratio of the pin contact portion shifted by 2 mm or more compared to when the pin was pulled by the pin.

(3) 냉열 충격 특성(3) Thermal shock property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하기 a 내지 d와 같이 조립한 각 이차 전지에 대하여 냉열 충격 특성(내냉열 사이클 특성)의 평가를 행하였다.Using the separators obtain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each secondary battery assembled as shown in the following items a to d was evaluated for cold / heat impact characteristics (resistance to heat and cold).

a. 정극의 제작a. Production of positive electrode

정극 활물질로서 코발트산리튬(LiCoO2)을 96질량부와, 정극 도전제로서 카본 블랙 분말을 2질량부와, 정극 결합제(결착제)로서 폴리불화비닐리덴을 2질량부를 건식 혼합하고, 이들을 N-메틸피롤리돈(NMP) 중에 분산시켜 정극 합제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 정극 합제 슬러리를, 정극 집전체가 되는 두께 13㎛의 알루미늄박의 양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압연함으로써, 정극을 제작하였다. 이때의 정극 활물질층의 충전 밀도 및 두께는, 집전체의 양면에 정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3.95g/㏄ 및 140㎛였다.96 parts by mass of lithium cobalt oxide (LiCoO 2 )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2 parts by mass of carbon black powder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2 parts by mass of polyvinylidene fluoride as a positive electrode binder (binder) -Methylpyrrolidone (NMP)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mixture slurry. The positive electrode material mixture slurry was coated on both sides of an aluminum foil having a thickness of 13 mu m serving as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dried and rolled to produce a positive electrode. The filling density and thickness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t this time were 3.95 g / cc and 140 m at the portions where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was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current collector.

b. 부극의 제작b. Production of negative electrode

탄소계 활물질(인조 흑연)을 97질량부와, 규소계 활물질(SiOx)(x=1.05)을 3질량부를 혼합하였다.97 parts by mass of a carbon-based active material (artificial graphite) and 3 parts by mass of a silicon-based active material (SiO x ) (x = 1.05) were mixed.

얻어진 혼합물을 98질량부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CMC-Na)을 2질량부를 혼합하고, 이들을 물에 분산시켜 부극 합제 슬러리를 얻었다.98 parts by mass of the obtained mixture and 2 parts by mass of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CMC-Na) were mixed and dispersed in water to obtain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slurry.

이 부극 합제 슬러리를 부극 집전체가 되는 두께 8㎛의 구리박의 양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압연하였다. 이상의 공정에 의하여 부극을 제작하였다. 이때의 부극 활물질층의 충전 밀도 및 두께는, 집전체의 양면에 부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서 1.75g/㏄ 및 137㎛였다.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slurry was applied to both sides of a copper foil having a thickness of 8 mu m to be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dried and then rolled. The negative electrode was prepared by the above process. The packing density and thicknes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at this time were 1.75 g / cc and 137 m at the portions where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s were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current collector.

c. 비수 전해액의 조제c. Preparation of non-aqueous electrolyte

에틸렌카르보네이트:디에틸카르보네이트=3:7(질량비)의 혼합 용매에, 용질로서 LiPF6을 농도 1.2㏖/L이 되도록 용해시킴으로써, 비수 전해액을 조제하였다.A nonaqueous electrolytic solution was prepared by dissolving LiPF 6 as a solute in a mixed solvent of ethylene carbonate: diethyl carbonate = 3: 7 (mass ratio) so as to have a concentration of 1.2 mol / L.

d. 전지 조립d. Battery assembly

a.에서 조제된 정극과, b.에서 조제된 부극과,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조제된 세퍼레이터를 각각 잘라내어 중첩한 후, 실온에서 긴 변 방향으로 권회하여 찌부러뜨림으로써, 편평상 권회 전지 소자를 제작하였다. 이 전지 소자를,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폴리프로필렌/알루미늄/나일론(nylon)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두께 120㎛의 라미네이트 필름에 삽입하고, 전극 단자를 열 융착에 의하여 외장재에 취출하였다. 전지 소자를 수용한 외장 부재 내에 상기 비수 전해액을 주입하고, 감압 하에서 외장재의 나머지 1변을 열 융착하여 감압 밀봉하였다. 이를 금속판 사이에서 80℃ 3분간 가열함으로써, 두께 2㎜×폭 30㎜×높이 30㎜인 전지를 얻었다.The positive electrode prepared in a., the negative electrode prepared in b., and the separator prepared in the example or the comparative example were cut out and superimposed, respectively, and then wound in a long-side direction at room temperature to crush the flat- Respectively. The battery element was inserted into a laminate film having a thickness of 120 占 퐉 consisting of three layers of polypropylene / aluminum / nylon from the inside toward the outside, and the electrode terminals were taken out to the casing by heat welding. The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was injected into an exterior member accommodating the battery element, and the other one side of the exterior material was thermally fused under a reduced pressure, followed by vacuum sealing. This was heated between the metal plates at 80 DEG C for 3 minutes to obtain a battery having a thickness of 2 mm, a width of 30 mm and a height of 30 mm.

이어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세퍼레이터를 사용한 각 이차 전지에 대하여, 25℃에서 56㎃의 정전류로 4.35V까지 충전하고, 계속해서 충전 전류 14㎃까지 정전압 충전을 행하였다.Subsequently, each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eparator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charged to 4.35 V at a constant current of 56 mA at 25 DEG C, and then charged at a constant voltage up to a charging current of 14 mA.

상기 정전압 충전 후에 충전 상태의 이차 전지 저항(1㎑ 교류 임피던스: Ω)을 측정하고, 이 저항을 초기 저항으로 하였다.The secondary battery resistance (1 kHz AC impedance:?) In a charged state after the constant-voltage charging was measured, and this resistance was regarded as an initial resistance.

이어서, 열 충격 시험기(에스펙 제조의 TSA-71H-W)를 사용하여, 70℃로 승온하고 4시간 유지하였다. 그 후, 전지를 20℃에서 2시간에 걸쳐 유지하고, 다음으로 -40℃에서 4시간에 걸쳐 유지한다는 사이클을 50회 반복하였다. 상기 d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이차 전지의 저항(1㎑ 교류 임피던스: Ω)을 측정하였다. 이 결과와 상기에서 측정한 초기 저항으로부터, 냉열 사이클 전후의 저항 변화량(냉열 사이클 후의 저항-초기 저항)을 산출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Subsequently,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70 캜 by using a thermal impact tester (TSA-71H-W manufactured by Espec) and held for 4 hours. Thereafter, the cycle of holding the battery at 20 캜 for 2 hours and then keeping it at -40 캜 for 4 hours was repeated 50 times. The resistance (1 kHz AC impedance:?) Of the secondary battery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d. From this result and the initial resistance measured above, the resistance change amount (resistance after cold / heat cycle-initial resistance) before and after the cooling / heating cycle was calculat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A: 냉열 충격 전후의 저항 변화량이 0Ω 이상 10Ω 미만A: The resistance change amount before and after cold shock is 0 Ω or more and less than 10 Ω

B: 냉열 충격 후의 저항 변화량이 10Ω 이상 20Ω 미만B: Resistance change after thermal shock is more than 10 Ω and less than 20 Ω

C: 냉열 충격 전후의 저항 변화량이 20Ω 이상C: The resistance change amount before and after the cold shock is 20?

(4) 저온 사이클 특성(4) Low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하기 a. 내지 c.와 같이 조립한 각 이차 전지에 대하여 저온 사이클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Using the separators obtain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following a. Each of the assembled secondary batteries was subjected to low-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measurement.

a. 정극판의 제작a. Fabrication of cathode plate

활물질로서 코발트산리튬을 100중량부, 도전제로서 아세틸렌 블랙을 활물질 100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 결착제로서 폴리불화비닐리덴을 활물질 100중량부에 대하여 2중량부를 적량의 N-메틸-2-피롤리돈과 함께 쌍완식 혼련기에서 교반하여 혼련함으로써, 정극 합제 도료를 제작한 후에 두께 20㎛의 Al박의 양면에, 정극 합제 슬러리를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정극 활물질층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정극 집전체의 양면에 정극 활물질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를, 1쌍의 롤러로 가압하여 압연함으로써, 총 두께가 120㎛인 정극판을 얻었다. 또한 정극 집전체의 짧은 변 방향의 1변에, 정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정극 집전체의 노출부를 설치하였다.100 parts by weight of lithium cobalt oxide as an active material, 2 parts by weight of acetylene black as a conductive agen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tive material, 2 parts by weight of polyvinylidene fluoride as a binder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tive material, -Pyrrolidone in a twin-screw kneader and kneaded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material mixture paint. Then,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was formed by applying a positive electrode material mixture slurry to both surfaces of a 20 탆 thick Al foil and drying it. The thus obtained laminate having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s on both sides of the positive electrode collector was rolled by a pair of rollers to obtain a positive electrode plate having a total thickness of 120 占 퐉. An exposed por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on which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not formed wa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n the short side direction.

b. 부극판의 제작b. Production of negative plates

부극의 활물질로서 인조 흑연을 100부피부, 결착제로서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고무 입자 분산체를 활물질 100부피부에 대하여 결착제의 고형분 환산으로 2.3부피부, 증점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를 활물질 100부피부에 대하여 1.4부피부, 및 소정의 양의 물과 함께 쌍완식 혼련기에서 교반하여, 부피 고형분율이 55%인 부극 합제 도료를 제작하였다. 여기서, 부피 고형분율이란, 합제 도료에 포함되는 고형분의 부피 농도를 말한다. 이 부극 합제 도료를 두께 15㎛의 구리박의 양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압연하여, 총 두께가 185㎛인 부극판을 얻었다. 또한 부극 집전체의 짧은 변 방향의 1변에, 부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극 집전체의 노출부를 설치하였다.100 parts of artificial graphite as an active material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2.3 parts of a styrene-butadiene copolymer rubber particle dispersion as a binding agent in terms of solid content of 100 parts of the active material and 2.3 parts of the binder in terms of solid content. Carboxymethylcellulose as a thickener 1.4 parts by mass of water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were stirred in a twin-kneading kneader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material mixture paint having a volumetric solid content of 55%. Here, the volumetric solid content refers to the volumetric concentration of the solid content contained in the compound coating material. Th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mixture paint was applied to both sides of a copper foil having a thickness of 15 mu m, dried, and then rolled to obtain a negative electrode having a total thickness of 185 mu m. In addition, an exposed por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i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s not formed was provided on one side in the short side direc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collector.

c. 전지의 제작c. Manufacture of batteries

이들 정극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세퍼레이터, 부극판을 권회 구성하고, 원통형 전지 케이스 내에 삽입하고, EC(에틸렌카르보네이트)·DMC(디메틸카르보네이트)·MEC(메틸에틸카르보네이트) 혼합 용매에 LiPF6을 1M과 VC를 3중량부 용해시킨 전해액을 5.5g 첨가하고 밀봉하여, 설계 용량이 2000㎃h인 원통형 18650 비수계 이차 전지를 제작하였다.These positive electrode plates, the separators of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s were wound and inserted into a cylindrical battery case, and mixed with EC (ethylene carbonate), DMC (dimethyl carbonate), MEC (methyl ethyl carbonate) 5.5 g of an electrolytic solution prepared by dissolving 1 M of LiPF 6 and 3 parts by weight of VC in a solvent was sealed and a cylindrical 18650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having a design capacity of 2000 mAh was prepared.

d. 저온 사이클 특성의 측정d. Measurement of low-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이하의 방법으로 저온 100 사이클 시점에서의 용량 유지율의 측정을 실시하였다. 밀봉 후의 상기 전지에 대하여 길들이기 충방전을 2회 행하고, 45℃ 환경에서 7일간 보존한 후, 이하의 충방전 사이클을 -30℃에서 100회 반복하였다. 충전에 대해서는, 정전압 4.2V, 1400㎃로 충전을 행하고, 충전 전류가 100㎃까지 저하되었을 때 충전을 종료하고, 방전은 2000㎃의 정전류로 종지 전압 3V까지 방전하는 것을 1사이클로 하고, 1사이클째에 대한 100사이클째의 방전 용량비를 100사이클 용량 유지율로 하고 측정을 행하였다. 그리고 저온 사이클 특성을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The capacity retention rate at the low temperature 100 cycle time was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The sealed battery was charged and discharged twice and kept at 45 캜 for 7 days. The following charge and discharge cycles were repeated 100 times at -30 캜. Charging was performed at a constant voltage of 4.2 V and at 1400 mA. Charging was terminated when the charging current dropped to 100 mA, and discharging was continued at a constant current of 2000 mA to an ending voltage of 3 V to form one cycle. The discharge capacity ratio at the 100th cycle to the 100-cycle capacity retention ratio. The low temperature cycl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A: 저온 100사이클 시점에서의 용량 유지율이 80% 이상A: Capacity retention rate at a low temperature 100 cycle time is 80% or more

B: 저온 100사이클 시점에서의 용량 유지율이 70% 이상 80% 미만B: Capacity retention rate at a low temperature 100 cycle time is 70% or more and less than 80%

C: 저온 100사이클 시점에서의 용량 유지율이 70% 미만C: Capacity retention ratio at a low temperature 100 cycle time is less than 70%

(5) 활성층/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박리 강도의 변동(5) Variation of Peel Strength of Active Layer / Polyolefin Porous Substrate

상기 (1) "활성층과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박리 강도"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비교예의 600㎜ 폭 세퍼레이터에 대하여, 폭 12㎜×길이 100㎜의 테이프(3M사 제조, 제품명: 스카치 600)를 세퍼레이터 길이 방향과 평행인 방향으로 100㎜의 간격을 두고 부착하였다(TD 방향으로 5점). 마찬가지로 하여 세퍼레이터 길이 방향 500㎜의 간격을 두고 상기 테이프를 5점 부착하였다(MD 방향으로 5점). 계 25점 부착된 테이프를 샘플로부터 50㎜/분의 속도로 박리할 때의 힘을, 90° 박리 강도 측정기(IMADA사 제조, 제품명 IP-5N)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하기 식에 기초하여, 박리 강도의 표준 편차와 평균값으로부터, 박리 강도의 변동[%]을 계산하고,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A tape (manufactured by 3M, product name: Scotch 600) having a width of 12 mm and a length of 100 mm was applied to a 600 mm wide separator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 (1) "peeling strength of the active layer and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With a distance of 100 mm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5 points in the TD direction). Five points of the tape were attached (five points in the MD direction) at intervals of 500 mm in the separator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ame manner. The force at the time of peeling the tape attached at 25 points from the sample at a rate of 50 mm / minute was measured using a 90 ° peel strength meter (product name: IP-5N, manufactured by IMADA). Based on the following formula, the variation [%] of the peel strength was calculated from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average value of the peel strength, and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여기서, x는 박리 강도의 평균값, n은 측정 수를 나타낸다.Where x is the average value of the peel strength and n is the number of measurements.

(평가 기준)(Evaluation standard)

A: 활성층/기재의 박리 강도의 변동이 10% 미만A: Variation in peel strength of the active layer / substrate is less than 10%

B: 활성층/기재의 박리 강도의 변동이 10% 이상 20% 미만B: Variation of the peel strength of the active layer / substrate is 10% or more and less than 20%

C: 활성층/기재의 박리 강도의 변동이 20% 이상C: Variation in peel strength of the active layer / substrate is 20% or more

(6) 충돌 내성(충돌 시험)(6) Collision resistance (collision test)

도 2는, UL 규격 1642 및/또는 2054에 따른 충돌 시험의 개략도이다. UL 규격 1642 및/또는 2054에서는, 시험대 상에 배치된 시료(22) 상에 시료(22)와 환봉(21)(φ=15.8㎜)이 대략 직교하도록 환봉(21)을 두고, 환봉(21)으로부터 610±25㎜의 높이의 위치로부터, 환봉(21)의 상면에 9.1㎏(약 20파운드)의 추(20)를 떨어뜨림으로써 시료에 대한 충격의 영향을 관찰한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of a crash test according to UL specifications 1642 and / or 2054; In the UL standards 1642 and / or 2054, the round bar 21 is placed on the sample 22 placed on the test stand so that the sample 22 and the round bar 21 (? = 15.8 mm) The influence of the impact on the sample is observed by dropping a weight 20 of about 9.1 kg (about 20 pounds) on the top surface of the round bar 21 from a position at a height of 610 25 mm from the sample.

도 2와 UL 규격 1642 및 2054를 참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충돌 시험의 수순을 이하에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 and UL standards 1642 and 2054, the procedure of the collision test in the examples and the comparative examples will be described below.

a. 정극의 제작a. Production of positive electrode

정극 활물질로서 니켈, 망간, 코발트 복합 산화물(NMC)(Ni:Mn:Co=1:1:1(원소비), 밀도 4.70g/㎤, 용량 밀도 175㎃h/g)을 90.4질량%, 도전 보조재로서 그래파이트 분말(KS6)(밀도 2.26g/㎤, 수 평균 입자 직경 6.5㎛)을 1.6질량% 및 아세틸렌 블랙 분말(AB)(밀도 1.95g/㎤, 수 평균 입자 직경 48㎚)을 3.8질량%, 그리고 결합제로서 폴리불화비닐리덴(PVDF)(밀도 1.75g/㎤)을 4.2질량%의 비율로 혼합하고, 이들을 N-메틸피롤리돈(NMP) 중에 분산시켜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 슬러리를, 정극 집전체가 되는 두께 20㎛의 알루미늄박의 편면에 다이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고, 130℃에서 3분간 건조시킨 후, 롤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압연하였다. 압연 후의 것을 57.0㎜ 폭으로 슬릿하여 정극을 얻었다. 이때의 정극 활물질 도포량은 109g/㎡였다.90.4 mass% of nickel, manganese and cobalt composite oxide (Ni: Mn: Co = 1: 1: 1 (raw consumption), density 4.70 g / cm3, capacity density 175 mAh / g) , 3.8 mass% of 1.6 mass% of graphite powder (KS6) (density 2.26 g / cm3,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6.5 mu m) and acetylene black powder AB (density 1.95 g / cm3,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48 nm) , And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density 1.75 g / cm3) as a binder were mixed in a ratio of 4.2 mass%, and these were dispersed in N-methylpyrrolidone (NMP) to prepare a slurry. This slurry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an aluminum foil having a thickness of 20 mu m serving as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using a die coater and dried at 130 DEG C for 3 minutes and then rolled using a roll press machine. The sheet after the rolling was slit with a width of 57.0 mm to obtain a positive electrode. The amount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pplied was 109 g / m 2.

b. 부극의 제작b. Production of negative electrode

부극 활물질로서 그래파이트 분말 A(밀도 2.23g/㎤, 수 평균 입자 직경 12.7㎛)를 87.6질량% 및 그래파이트 분말 B(밀도 2.27g/㎤, 수 평균 입자 직경 6.5㎛)를 9.7질량%, 그리고 결합제로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의 암모늄염 1.4질량%(고형분 환산)(고형분 농도 1.83질량% 수용액) 및 디엔 고무계 라텍스 1.7질량%(고형분 환산)(고형분 농도 40질량% 수용액)응 정제수 중에 분산시켜 슬러리를 조제하였다. 이 슬러리를 부극 집전체가 되는 두께 12㎛의 구리박의 편면에 다이 코터로 도포하고, 120℃에서 3분간 건조시킨 후, 롤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압연하였다. 압연후의 것을 58.5㎜ 폭으로 슬릿하여 부극을 얻었다. 이때의 부극 활물질 도포량은 5.2g/㎡였다.87.6% by mass of graphite powder A (density 2.23 g / cm3,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12.7 占 퐉) and 9.7% by mass of graphite powder B (density 2.27 g / cm3,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6.5 占 퐉) A slurry was prepared by dispersing 1.4 mass% of ammonium salt of carboxymethylcellulose (in terms of solid content) (solid content concentration 1.83 mass% aqueous solution) and diene rubber latex 1.7 mass% (solid content conversion) (solid content concentration 40 mass% aqueous solution). This slurry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copper foil having a thickness of 12 mu m serving as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with a die coater and dried at 120 DEG C for 3 minutes and then rolled using a roll press machine. The rolled material was slit to a width of 58.5 mm to obtain a negative electrode.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as 5.2 g / m 2.

c. 비수 전해액의 조제c. Preparation of non-aqueous electrolyte

에틸렌카르보네이트(EC)와 에틸메틸카르보네이트(EMC)를 부피비 1:2로 혼합한 혼합 용매(기시다 가가쿠(주) 제조의 Lithium Battery Grade)에, LiPF6을 1㏖/L이 되도록 용해시켜, 비수 전해질인 전해액을 얻었다.A mixed solvent (Lithium Battery Grade manufactured by Kishida Chemical Co., Ltd.) in which ethylene carbonate (EC) and ethyl methyl carbonate (EMC) were mixed at a volume ratio of 1: 2 was charged with LiPF 6 at 1 mol / L So as to obtain an electrolytic solution which is a non-aqueous electrolyte.

d. 전지 조립d. Battery assembly

제작한 정극과 부극을,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퍼레이터의 양측에 중첩시키고 통형으로 감은 권회체를 스테인리스제의 원통형 전지 케이스(외장체)에 삽입하였다. 이어서, 거기에, 상기 전해액을 5mL 주입하고, 권회체를 전해액에 침지시킨 후, 전지 케이스를 밀폐하여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를 제작하였다.The positive electrode and negative electrode thus prepared were superimposed on both sides of the separator in the examples, and the wound cylindrical body was inserted into a stainless steel cylindrical battery case (outer case). Subsequently, 5 mL of the above electrolytic solution was poured therein, the current was immersed in the electrolytic solution, and the battery case was sealed to prepare a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e. 가열 처리e. Heat treatment

d.에서 얻은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를 60℃의 환경하에서 48시간 보존하였다.Th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obtained in d. was stored for 48 hours under an environment of 60 캜.

f. 초기 충방전f. Initial charge / discharge

e.에서 얻은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를, 25℃의 환경하, 0.3C의 정전류로 충전하고, 4.2V에 도달한 후, 4.2V의 정전압으로 충전하고, 0.3C의 정전류로 3.0V까지 방전하였다. 정전류에서의 충전과 정전압에서의 충전 시간의 합계를 8시간으로 하였다. 또한 1C란 전지가 1시간에 방전되는 전류값이다.Th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obtained in e. was charged at a constant current of 0.3 C under an environment of 25 캜, and after reaching 4.2 V, charged at a constant voltage of 4.2 V and discharged to 3.0 V at a constant current of 0.3 C. And the charging time at the constant current and the charging time at the constant voltage were 8 hours. Also, 1C is a current value at which the battery is discharged in one hour.

다음으로, 전지를 1C의 정전류로 충전하고, 4.2V에 도달한 후, 4.2V의 정전압으로 충전하고, 1C의 정전류로 3.0V까지 방전하였다. 정전류에서의 충전과 정전압에서의 충전 시간의 합계를 3시간으로 하였다. 또한 1C의 정전류로 방전했을 때의 용량을 1C 방전 용량(㎃h)으로 하였다. 25℃의 환경하에서, e.에서 얻은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22)를 1C의 정전류로 충전하고, 4.2V에 도달한 후, 4.2V의 정전압으로 합계 3시간 충전하였다.Next, the battery was charged with a constant current of 1 C, and after reaching 4.2 V, charged at a constant voltage of 4.2 V and discharged to 3.0 V with a constant current of 1C. And the charging time at the constant current and the charging time at the constant voltage were set to 3 hours. The capacity at the time of discharging at a constant current of 1 C was defined as 1 C discharge capacity (mAh). Th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22 obtained in e. Was charged at a constant current of 1 C under the environment of 25 캜, and after reaching 4.2 V, charged at a constant voltage of 4.2 V for 3 hours in total.

다음으로, 25℃의 환경하에서 전지를 평탄한 면에 가로 방향으로 두고, 전지를 가로지르도록 직경 15.8㎜의 스테인리스의 환봉(21)을 전지(22)의 중앙에 배치하였다. 전지(22)의 중앙에 배치한 환봉(21)으로부터 전지의 종축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충격이 가해지도록, 9.1㎏의 추(20)를 61±2.5㎝의 높이에서 낙하시켰다. 그 후, 전지의 외장 온도를 측정하고, 또한 전지로부터의 가스의 분출 유무와 전지의 발화 유무를 관찰하였다. 또한 전지의 외장 온도란, 전지의 외장체 바닥측으로부터 1㎝의 위치를 열전대(K형 시일 타입)로 측정한 온도이다.Next, a round bar 21 made of stainless steel having a diameter of 15.8 mm wa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attery 22 so as to cross the battery in a transverse direction on a flat surface in an environment of 25 캜. A weight 20 of 9.1 kg was dropped at a height of 61 +/- 2.5 cm so that impact was applied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battery from the round bar 21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battery 22. [ Thereafter,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was measured,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gas discharge from the battery and the ignition of the battery were observed. The external temperature of the battery is a temperature measured by a thermocouple (K-type seal type) at a position 1 cm from the bottom of the external body of the battery.

이하의 기준으로 충돌 시험을 평가하였다.The crash test was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A: 전지 외장 온도 60℃ 미만A: Battery external temperature less than 60 ℃

B: 전지 외장 온도 60℃ 이상 80℃ 미만B: Battery external temperature 60 캜 or more and less than 80 캜

C: 전지 외장 온도 80℃ 이상, 및 가스 분출, 발화 없음C: Battery external temperature 80 ℃ or higher, and gas spouting, no ignition

D: 가스 분출 있음, 또는 발화 있음D: with gas spouting or ignition

(7) 중량 평균 분자량(7)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본 실시 형태의 폴리올레핀 중량 평균 분자량은,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측정하고,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구하였다. 장치는 Waters사 제조의 ALC/GPC-150-C-plus형(상표)을 사용하고, 도소(주) 제조의 GMH6-HT(상표)의 30㎝의 칼럼 2개와 GMH6-HTL(상표)의 30㎝의 칼럼 2개를 직렬 접속하여 사용하고, 오르토디클로로벤젠을 이동상 용매로 하여, 시료 농도 0.05wt%로 140℃에서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표준 물질로서 시판 중인 분자량 기지의 단분산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고, 구해진 각 시료의 폴리스티렌 환산의 분자량 분포 데이터에 0.43(폴리에틸렌의 Q 팩터/폴리스티렌의 Q 팩터=17.7/41.3)을 곱함으로써, 폴리올레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취득하였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olefin of the present embodiment was determin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nd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The apparatus used was an ALC / GPC-150-C-plus type (trademark) manufactured by Waters Corporation, two 30 cm columns of GMH6-HT (trademark) Cm was connected in series and measurement was carried out at 140 캜 at a sample concentration of 0.05 wt% using orthodichlorobenzene as a mobile phase solvent. Further, a calibration curve was prepared using commercially available monodisperse polystyrene based on a commercially available molecular weight, and 0.43 (Q factor of polyethylene / Q polystyrene = 17.7 / 41.3) was added to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data of the obtained samples in polystyrene conversion , An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olefin was obtained.

그리고 불소 원자를 갖는 비닐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를 측정하고, 이하의 방법에 의하여 구하였다. 장치는 Waters사 제조의 Alliance GPC2000형(상표)을 사용하고, 도소(주) 제의 GMH6-HT(상표)의 칼럼 2개와 GMH6-HTL(상표)의 칼럼 2개를 직렬 접속하여 사용하고, 오르토디클로로벤젠을 이동상 용매로 하여, 칼럼 온도 140℃에서 측정을 행하였다. 또한 분자량 교정용의 표준 물질로서 분자량 기지의 단분산 폴리스티렌(도소사 제조)을 사용하였다. 이상으로부터 불소 원자를 갖는 비닐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산출하였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vinyl compound having fluorine atoms was determined by GPC and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 The apparatus used was Alliance GPC 2000 (trademark) manufactured by Waters Corporation, two columns of GMH6-HT (trademark) made by Tosoh Corporation, and two columns of GMH6-HTL (trademark) Dichlorobenzene was used as a mobile phase solvent and measurement was carried out at a column temperature of 140 캜. In addition, monodisperse polystyrene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having a molecular weight based on a molecular weight calibration standard material was used. From the abov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vinyl compound having fluorine atoms was calculated.

실시예Example

(실시예 1)(Example 1)

(1) 제1 폴리올레핀 용액의 조제(1) Preparation of the first polyolefin solution

Mw(이하, 중량 평균 분자량이라 함)가 1.2×106인 폴리프로필렌(PP: 융점 162℃) 20질량% 및 Mw가 0.74×106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밀도 0.955g/㎤, 융점 135℃) 80질량%를 포함하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에, 산화 방지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0.2질량부를 배합하여, 혼합물을 조제하였다.Mw (hereinafter referred to as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1.2 × 10 6 of polypropylene (PP: melting point 162 ℃) is 0.74 20% by weight and Mw × 10 6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density 0.955g / ㎤, melting point 135 ℃ ) Was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 first polyolefin resin containing 80 mass% of an antioxidant tetrakis [methylene-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And the mixture was prepared.

얻어진 혼합물 25질량부를, 강혼련 타입의 2축 압출기(내경 58㎜, L/D=42)에 투입하고, 2축 압출기의 사이드 피더로부터 유동 파라핀[35cst(40℃)] 75질량부를 공급하고, 210℃ 및 250rpm의 조건에서 용융 혼련하여, 제1 폴리올레핀 용액을 조제하였다.25 parts by mass of the obtained mixture was fed into a twin-screw extruder (inner diameter: 58 mm, L / D = 42) of a strong kneading type and 75 parts by mass of liquid paraffin [35 cst (40 ° C)] was fed from the side feeder of the twin screw extruder, And melt-kneaded at 210 DEG C and 250 rpm to prepare a first polyolefin solution.

(2) 제2 폴리올레핀 용액의 조제(2) Preparation of the second polyolefin solution

Mw가 2.0×106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40질량% 및 Mw가 5.6×105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밀도 0.955g/㎤) 60질량%를 포함하는 제2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에, 산화 방지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0.2질량부를 배합하여, 혼합물을 조제하였다.A second polyolefin resin containing 100 parts by mass of a 60% by mass,: Mw of 2.0 × 10 6 of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40% by weight and a Mw of 5.6 × 10 5 High density polyethylene (density 0.955g / ㎤ HDPE) And 0.2 parts by mass of an antioxidant tetrakis [methylene-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were mixed to prepare a mixture.

얻어진 혼합물 25질량부를, 상기와 동일한 타입의 다른 2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2축 압출기의 사이드 피더로부터 유동 파라핀[35cSt(40℃)] 75질량부를 공급하고, 상기와 동일한 조건에서 용융 혼련하여, 제2 폴리올레핀 용액을 조제하였다.25 parts by mass of the resulting mixture was fed into another twin-screw extruder of the same type as that described above, and 75 parts by mass of liquid paraffin [35 cSt (40 占 폚)] was fed from the side feeder of the twin-screw extruder. A second polyolefin solution was prepared.

(3) 압출(3) Extrusion

제1 및 제2 폴리올레핀 용액을, 각 2축 압출기로부터 3층용 T 다이에 공급하고, 제1 폴리올레핀 용액/제2 폴리올레핀 용액/제1 폴리올레핀 용액의 층 두께비가 10/80/10이 되도록 압출하였다. 압출 성형체를, 30℃로 온도 조절한 냉각 롤에서 인취 속도 2m/min으로 인취하면서 냉각하여, 겔상 3층 시트를 형성하였다.The first and second polyolefin solutions were fed from each twin-screw extruder to a three-layer T die, and extruded so that the layer thickness ratio of the first polyolefin solution / the second polyolefin solution / the first polyolefin solution was 10/80/10. The extruded body was cooled while being pulled at a take-off speed of 2 m / min on a cooling roll adjusted to 30 캜 to form a three-layer gel sheet.

(4) 제1 연신, 성막 용제의 제거, 건조(4) First stretching, removal of film forming solvent, drying

겔상 3층 시트를, 텐터 연신기에 의하여 116℃에서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5배로 동시 2축 연신(제1 연신)하였다. 연신 겔상 3층 시트를 20㎝×20㎝의 알루미늄 프레임판에 고정하고, 25℃로 온도 조절한 염화메틸렌욕 중에 침지하고, 100rpm으로 3분간 요동하면서 유동 파라핀을 제거하고, 실온에서 풍건하였다.The gel-like three-layer sheet was subjected to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first stretching) at a temperature of 116 DEG C i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at five times by a tenter stretching machine. The stretched gel-like three-layer sheet was fixed on an aluminum frame plate of 20 cm x 20 cm, immersed in a methylene chloride bath controlled at 25 캜, swirled at 100 rpm for 3 minutes to remove liquid paraffin, and air dried at room temperature.

(5) 제2 연신, 열 고정(5) Second elongation, heat fixing

건조막을, 배치식 연신기를 사용하여, 126℃에서 TD 방향으로 1.4배 연신(제2 연신)하였다. 다음으로, 이 막을 텐터법에 의하여, 126℃에서 열 고정 처리를 행하였다.The dried film was stretched 1.4 times (second stretching) in the TD direction at 126 DEG C by using a batch type stretching machine. Next, this film was heat-settled at 126 DEG C by the tenter method.

(6) 활성층의 형성(6) Formation of active layer

고분자 PVdF-HFP(폴리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PVdF:HFP=80:20(질량비), 중량 평균 분자량 1.5×106)를 아세톤에 첨가하고, 50℃에서 약 12시간 이상 용해시켜 고분자 용액을 제조하였다. 무기물 입자로서 Al2O3 분말을 고분자:무기물 입자=17:83의 중량비가 되도록 제조해 둔 고분자 용액에 첨가하고, 12시간 이상 볼 밀법을 이용하여 무기물 입자를 파쇄 및 분산시킴으로써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슬러리의 무기물 입자의 입경은 평균 600㎚였다.Polymer PVdF-HFP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PVdF: HFP = 80:20 (mass ratio),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1.510 6 ) was added to acetone and dissolved at 50 ° C for about 12 hours or longer To prepare a polymer solution. The slurry was prepared by adding Al 2 O 3 powder as inorganic particles to a polymer solution prepared so as to have a weight ratio of polymer: inorganic particles = 17: 83, and crushing and dispersing the inorganic particles using a ball mill method for 12 hours or mor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organic particles of the thus-prepared slurry was 600 nm on average.

이와 같이 제조한 슬러리에 (5)에서 제조된 3층 미다공질막을 침지시키고 딥 코팅한 후, 와이어 사이즈가 각각 0.5㎜인 와이어 바를 사용하여 양면에 도포된 슬러리 코팅층의 두께를 각각 조절하고, 용매를 건조시켰다. 폴리올레핀 다공질 기재의 양면에 각각 형성된 활성층의 두께는 5.0㎛였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작한 활성층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1 및 3에 기재하였다.The three-layer microporous membrane prepared in (5) was immersed and dip-coated on the thus-prepared slurry, and then the thickness of the slurry coating layer applied on both sides was adjusted using a wire bar having a wire size of 0.5 mm, Lt; / RTI &gt; The thickness of the active layer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polyolefin porous substrate was 5.0 mu m. The mixing ratios of respective components, the production conditions,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like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membrane having the active layer formed as described above are shown in Tables 1 and 3.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의 (2) 제2 폴리올레핀 용액의 조제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혼합물 대신, Mw가 2.0×106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17.5질량% 및 Mw가 3.0×105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밀도 0.955g/㎤) 57.5질량%, MFR이 135g/10min이고 융점이 124℃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폴리(에틸렌-co-헥센) 공중합체 25중량%를 포함하는 제2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에, 산화 방지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0.2질량부를 배합하여, 혼합물을 조제하였다.(2) The second polyolefin solution of Example 1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7.5 mass%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having Mw of 2.0 x 10 6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having Mw of 3.0 x 10 5 ( 100 parts by mass of a second polyolefin resin containing 25% by weight of a poly (ethylene-co-hexene) copolymer having 57.5% by mass of HDPE, density of 0.955 g / cm3, MFR of 135 g / 10 min and a melting point of 124 占 폚, , 0.2 part by mass of an antioxidant tetrakis [methylene-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was added to the mixture to prepare a mixture.

상기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활성층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1, 2 및 3에 기재하였다.The mixing ratios of respective components, the production conditions,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like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membran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ctive layer was formed were described in Tables 1, 2 and 3.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1의 (2) 제2 폴리올레핀 용액의 조제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혼합물 대신, Mw가 2.0×106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16질량% 및 Mw가 3.0×105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밀도 0.955g/㎤) 66질량%, 융해열이 96J/g인 폴리프로필렌 18중량%를 포함하는 제2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에, 산화 방지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0.2질량부를 배합하여, 혼합물을 조제하였다.Example 1 (2) 2 in the preparation of the polyolefin solution in Example 1, a mixture Instead, the Mw was 2.0 × 10 6 of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16% by weight and a Mw of 3.0 × 10 5 High density polyethylene of ( (Methylene-3- (3,5-di (tert-butoxycarbonyl) methylene) -thiadiazole was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 second polyolefin resin containing 18% by mass of a polypropylene having a melting heat of 96 J / -tert 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were mixed to prepare a mixture.

상기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활성층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1 및 3에 기재하였다.The mixing ratios of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membran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ctive layer was formed and the production conditions and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 and 3.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2의 활성층 형성에 있어서, 고분자 PVdF-HFP 대신 고분자 PVdF-CTFE(폴리불화비닐리덴-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PVdF:CTFE=96:4(몰비), 중량 평균 분자량 1.2×106)를 사용하였다.(Polyvinylidene fluoride-chlorotrifluoroethylene copolymer, PVdF: CTFE = 96: 4 (molar ratio))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2 x 10 &lt; 6 &gt; ) Was used.

상기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활성층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1에 기재하였다.The mixing ratios of respective components, production conditions, evaluation results and the like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membran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active layer was formed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2의 활성층 형성에 있어서, 고분자:무기물 입자의 중량비가 9:91이 되도록 조정하였다.In the formation of the active layer in Example 2, the weight ratio of polymer: inorganic particles was adjusted to be 9:91.

상기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활성층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1에 기재하였다.The mixing ratios of respective components, production conditions, evaluation results and the like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membran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active layer was formed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2의 활성층 형성에 있어서, 고분자로서, 고분자 PVdF-HFP(폴리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PVdF:HFP=80:20(질량비), 중량 평균 분자량 1.5×106) 및 시아노에틸풀루란을 10:2의 중량비로 아세톤에 첨가하였다.(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PVdF: HFP = 80: 20 (mass ratio),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1.5 x 10 &lt; 6 &gt;) as a polymer in the active layer formation of Example 2, No ethyltoluene was added to acetone at a weight ratio of 10: 2.

상기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활성층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1에 기재하였다.The mixing ratios of respective components, production conditions, evaluation results and the like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membran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active layer was formed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7)(Example 7)

실시예 2의 활성층 형성에 있어서, 고분자로서, PVdF-HFP(폴리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PVdF:HFP=80:20(질량비), 중량 평균 분자량 1.5×106) 및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코올을 10:2의 중량비로 아세톤에 첨가하였다.(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PVdF: HFP = 80: 20 (mass ratio),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1.5 x 10 &lt; 6 &gt;) and cyano Ethyl polyvinyl alcohol was added to acetone at a weight ratio of 10: 2.

상기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활성층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1에 기재하였다.The mixing ratios of respective components, production conditions, evaluation results and the like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membran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active layer was formed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8)(Example 8)

실시예 2의 활성층 형성에 있어서, 고분자 PVdF-HFP(폴리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PVdF:HFP=80:20(질량비), 중량 평균 분자량 1.5×106) 대신, 고분자 PVdF-HFP(폴리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PVdF:HFP=80:20(질량비), 중량 평균 분자량 0.5×106)를 사용하였다.A polymer PVdF-HFP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PVdF: HFP = 80:20 (mass ratio),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1.5 x 10 6 ) was used instead of the polymer PVdF- HFP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PVdF: HFP = 80: 20 (mass ratio),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0.510 6 ) was used.

상기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활성층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1에 기재하였다.The mixing ratios of respective components, production conditions, evaluation results and the like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membran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active layer was formed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9)(Example 9)

실시예 2의 활성층 형성에 있어서, 무기물 입자로서 Al2O3 분말 대신 AlO(OH) 분말(베마이트, 평균 입경:1.0㎛)을 사용하였다.In forming the active layer of Example 2, AlO (OH) powder (boehmite, average particle diameter: 1.0 탆) was used as inorganic particles in place of Al 2 O 3 powder.

상기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활성층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1에 기재하였다.The mixing ratios of respective components, production conditions, evaluation results and the like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membran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active layer was formed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10)(Example 10)

실시예 2의 활성층 형성에 있어서, 무기물 입자로서 Al2O3 분말 대신 BaTiO3 분말(티타늄산바륨, 평균 입경: 0.6㎛)을 사용하였다.In forming the active layer of Example 2, BaTiO 3 powder (barium titanate, average particle size: 0.6 탆) was used as inorganic particles in place of Al 2 O 3 powder.

상기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활성층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1에 기재하였다.The mixing ratios of respective components, production conditions, evaluation results and the like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membran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active layer was formed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11)(Example 11)

실시예 2의 (1) 제1 폴리올레핀 용액의 조제에 있어서, 혼합물로서, Mw가 1.2×106인 폴리프로필렌(PP: 융점 162℃) 16질량% 및 Mw가 0.74×106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밀도 0.955g/㎤, 융점 135℃) 64질량%, 실리카 분말(평균 입경:15㎚) 20질량%를 포함하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에, 산화 방지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0.2질량부를 배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활성층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1에 기재하였다.(1) In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polyolefin solution of Example 2, 16 mass% of polypropylene (PP: melting point 162 캜) having Mw of 1.2 × 10 6 and 0.74 × 10 6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Methylene-3- (3 (tert-butoxycarbonyl) methyl) propane was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 first polyolefin resin containing 64 mass% of a silica powder , 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were used in combination. The mixing ratios of respective components, production conditions, evaluation results and the like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membran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that the active layer was formed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1에 있어서, 활성층의 형성을 행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1에 기재하였다.Table 1 shows the mixing ratio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film, the production conditions,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like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ctive layer was not formed.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실시예 1의 (1) 제1 폴리올레핀 용액의 조제에 있어서, Mw가 1.2×106인 폴리프로필렌(PP: 융점 162℃) 20질량% 및 Mw가 0.74×106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밀도 0.955g/㎤, 융점 135℃) 80질량%를 포함하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 대신, Mw가 0.74×106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밀도 0.955g/㎤, 융점 135℃)을 포함하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1에 기재하였다.(1) In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polyolefin solution of Example 1, 20 mass% of polypropylene (PP: melting point 162 占 폚) having Mw of 1.2 占06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having an Mw of 0.74 占06 (HDPE: density 0.955 (HDPE: density 0.955 g / cm3, melting point 135 占 폚) having Mw of 0.74 占06 instead of 100 parts by mass of the first polyolefin resin containing 80 mass% And 100 parts by mass of a polyolefin resin were used in place of 100 parts by mass of the polyolefin resin. The mixing ratio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polyolefin three-layer microporous membrane, the production conditions, and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실시예 1의 (1) 제1 폴리올레핀 용액의 조제에 있어서, Mw가 1.2×106인 폴리프로필렌(PP: 융점 162℃) 20질량% 및 Mw가 0.74×106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밀도 0.955g/㎤, 융점 135℃) 80질량%를 포함하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 대신, Mw가 1.2×106인 폴리프로필렌(PP: 융점 162℃)을 포함하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를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1에 기재하였다.(1) In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polyolefin solution of Example 1, 20 mass% of polypropylene (PP: melting point 162 占 폚) having Mw of 1.2 占06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having an Mw of 0.74 占06 (HDPE: density 0.955 100 parts by mass of a first polyolefin resin containing polypropylene (PP: melting point: 162 占 폚) having Mw of 1.2 占06 was used instead of 100 parts by mass of the first polyolefin resin containing 80 mass% , The mixing ratios of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membrane, the production conditions,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like are shown in Table 1.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실시예 1의 (6) 활성층의 형성에 있어서, PVdF-HFP 대신 PVdF(폴리불화비닐리덴, 중량 평균 분자량 0.35×106)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1에 기재하였다.Except that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0.35 x 10 6 ) was used in place of PVdF-HFP in the formation of the active layer (6) in Example 1, and 3 polyolefin The compounding ratio of each component of the film, the production conditions,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like are shown in Table 1.

(실시예 12)(Example 12)

실시예 2의 제1 폴리올레핀 용액의 조제에 있어서, Mw가 2.0×106인 폴리프로필렌(PP: 융점 162℃) 20질량% 및 Mw가 0.56×106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밀도 0.955g/㎤, 융점 135℃) 80질량%를 포함하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에, 산화 방지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0.2질량부를 배합하여, 혼합물을 조제하였다.In Example 2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polyolefin solution, Mw 2.0 × 10 6 is of polypropylene (PP: melting point 162 ℃) is 0.56 20% by weight and Mw × 10 6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density 0.955g / ㎤ Methylene-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was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 first polyolefin resin, And 0.2 parts by mass of methane were mixed to prepare a mixture.

상기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활성층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2에 기재하였다.The mixing ratios of respective components, the production conditions,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like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membran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for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and formed with the active layer were shown in Table 2.

(실시예 13)(Example 13)

실시예 2의 제1 폴리올레핀 용액의 조제에 있어서, Mw가 0.6×106인 폴리프로필렌(PP: 융점 162℃) 20질량% 및 Mw가 0.86×106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밀도 0.955g/㎤, 융점 135℃) 80질량%를 포함하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에, 산화 방지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0.2질량부를 배합하여, 혼합물을 조제하였다.In Example 2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polyolefin solution, Mw 0.6 × 10 6 is of polypropylene (PP: melting point 162 ℃) is 20% by weight and 0.86 × 10 6 Mw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density 0.955g / ㎤ Methylene-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was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 first polyolefin resin, And 0.2 parts by mass of methane were mixed to prepare a mixture.

상기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활성층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2에 기재하였다.The mixing ratios of respective components, the production conditions,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like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membran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2 except for the above-mentioned operation and formed with the active layer were shown in Table 2.

(실시예 14)(Example 14)

실시예 1의 (1) 제1 폴리올레핀 용액의 조제에 있어서, Mw가 1.2×106인 폴리프로필렌(PP: 융점 162℃) 20질량% 및 Mw가 0.74×106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밀도 0.955g/㎤, 융점 135℃) 55질량%, MFR이 135g/10min이고 융점이 124℃인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인 폴리(에틸렌-co-헥센) 공중합체 25중량%를 포함하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에, 산화 방지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0.2질량부를 배합하여, 혼합물을 조제하였다.(1) In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polyolefin solution of Example 1, 20 mass% of polypropylene (PP: melting point 162 占 폚) having Mw of 1.2 占06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having an Mw of 0.74 占06 (HDPE: density 0.955 100 parts by mass of the first polyolefin resin containing 25% by weight of a poly (ethylene-co-hexene) copolymer of 55% by mass of a polyolefin resin (a) having a melting point of 130 占 폚 / g and a melting point of 135 占 폚) having an MFR of 135 g / 10 min and a melting point of 124 占 폚 , 0.2 part by mass of an antioxidant tetrakis [methylene-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was added to the mixture to prepare a mixture.

상기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활성층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3에 기재하였다.The mixing ratios of respective components, the production conditions,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like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membran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ctive layer was formed are shown in Table 3.

(실시예 15)(Example 15)

실시예 1의 (1) 제1 폴리올레핀 용액의 조제에 있어서, Mw가 0.74×106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밀도 0.955g/㎤, 융점 135℃) 82질량%, 융해열이 96J/g인 폴리프로필렌 18질량%를 포함하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에, 산화 방지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0.2질량부를 배합하여, 혼합물을 조제하였다.(1) The first polyolefin solution of Example 1 was prepared by mixing 82 mass%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having an Mw of 0.74x10 6 (HDPE: density 0.955 g / cm3, melting point 135 占 폚), polypropylene having a heat of fusion of 96 J / g 0.2 parts by mass of an antioxidant tetrakis [methylene-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methane was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 first polyolefin resin containing 18% To prepare a mixture.

상기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활성층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3에 기재하였다.The mixing ratios of respective components, the production conditions, the evaluation results and the like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membrane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ctive layer was formed are shown in Table 3.

(실시예 16)(Example 16)

실시예 1의 (1) 제1 폴리올레핀 용액의 조제에 있어서, Mw가 1.2×106인 폴리프로필렌(PP: 융점 162℃) 35질량% 및 Mw가 0.74×106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밀도 0.955g/㎤, 융점 135℃) 65질량%를 포함하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 100질량부로 하였다. 상기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제조하고, 활성층이 형성된 폴리올레핀 3층 미다공질막의 각 성분의 배합 비율, 제조 조건, 평가 결과 등을 표 1에 기재하였다.(1) In the preparation of the first polyolefin solution of Example 1, 35 mass% of polypropylene (PP: melting point 162 占 폚) having Mw of 1.2 占06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having an Mw of 0.74 占06 (HDPE: density 0.955 g / cm &lt; 3 &gt;, melting point: 135 DEG C). The mixing ratio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polyolefin three-layered microporous membran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for the above, and the production conditions and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10: 핀
11: 핀 Ⅰ
12: 핀 Ⅱ
13: 권취 샘플
20: 추
21: 환봉
22: 시료
10: pin
11: Pin I
12: Pin II
13: Winding sample
20: Chu
21: Round bar
22: Sample

Claims (13)

최외부의 폴리프로필렌 농도가 최내부의 폴리프로필렌 농도보다도 높고, 또한 최외부의 폴리에틸렌 농도가 최내부의 폴리에틸렌 농도보다도 낮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과, 상기 다공질막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배치된 활성층을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이, 폴리불화비닐리덴-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PVdF-HFP) 및 폴리불화비닐리덴-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VdF-CTFE)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불소 원자를 갖는 비닐 화합물과,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
A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containing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wherein the outermost polypropylene concentration is higher than the innermost polypropylene concentration and the outermost polyethylene concentration is lower than the innermost polyethylene concentration; and at least one And an active layer disposed on a surface of the substrate,
Wherein the active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vinyl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fluorine atom selected from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PVdF-HFP) and polyvinylidene fluoride-chlorotrifluoroethylene (PVdF-CTFE) And a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다층 미다공질막이 제1 미다공질층, 제2 미다공질층, 제1 미다공질층의 순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1 미다공질층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제1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미다공질층은,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와는 상이한 제2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활성층은 상기 제1 미다공질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 상에 적층되는,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is laminated in the order of a first microporous layer, a second microporous layer, and a first microporous layer, wherein the first microporous layer comprise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Wherein the first microporous layer comprises a first polyolefin resin and the second microporous layer comprises a second polyolefin resin different from the first polyolefin resin containing polyethylene and the active layer comprises at least one of the first microporous layer Wherein the separator is laminated on the 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상기 제2 폴리올레핀 수지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The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polyolefin resin or the second polyolefin resin comprises a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상기 제2 폴리올레핀 수지가, 융해열량이 150J/g 이하인 폴리프로필렌을 더 함유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The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first polyolefin resin or the second polyolefin resin further contains polypropylene having a heat of fusion of 150 J / g or les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폴리(에틸렌-co-1-헥센)인,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The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said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is poly (ethylene-co-1-hexen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원자를 갖는 비닐 화합물과 무기 입자의 질량비가 5/95 내지 80/20인,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The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mass ratio of the vinyl compound having a fluorine atom to the inorganic particle is 5/95 to 80/2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원자를 갖는 비닐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0.6×106 내지 2.5×106인,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The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fluorine atom-containing vinyl compound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0.6 x 10 6 to 2.5 x 10 6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층이, 시아노에틸풀루란,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코올, 시아노에틸셀룰로오스, 시아노에틸수크로오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더 함유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6.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active layer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elected from cyanoethylpullulan, cyanoethylpolyvinyl alcohol, cyanoethylcellulose, cyanoethylstarch,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에 함유되는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비(MwE(폴리에틸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MwP(폴리프로필렌의 중량 평균 분자량))가 0.6 내지 1.5인,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6. The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wherein a ratio of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contained in the first polyolefin resin (Mw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polyethylene) / MwP ) Is 0.6 to 1.5.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올레핀 수지가, 실리카, 알루미나 및 티타니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함유하는,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The separator for a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wherein the first polyolefin resin further contain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ilica, alumina and titania.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전 디바이스용 세퍼레이터와, 정극과, 그리고 부극을 포함하는 적층체.A laminate comprising the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제11항에 기재된 적층체가 권회되어 있는 권회체.A laminated body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laminated body is wound. 제11항에 기재된 적층체 또는 상기 적층체가 권회되어 있는 권회체와 전해액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12. A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laminate according to claim 11, or a winding in which the laminate is wound, and an electrolyte.
KR1020170172803A 2016-12-20 2017-12-15 Separator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laminated body, rol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r energy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KR2018007195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46738 2016-12-20
JPJP-P-2016-246738 2016-12-20
JP2017222073A JP6367453B2 (en) 2016-12-20 2017-11-17 Separator for electricity storage device and laminate, wound body,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r electricity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JPJP-P-2017-222073 2017-11-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172A Division KR102180714B1 (en) 2016-12-20 2020-03-11 Separator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laminated body, rol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r energy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959A true KR20180071959A (en) 2018-06-28

Family

ID=627156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803A KR20180071959A (en) 2016-12-20 2017-12-15 Separator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laminated body, rol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r energy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KR1020200030172A KR102180714B1 (en) 2016-12-20 2020-03-11 Separator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laminated body, rol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r energy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172A KR102180714B1 (en) 2016-12-20 2020-03-11 Separator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laminated body, rol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r energy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67453B2 (en)
KR (2) KR20180071959A (en)
HU (1) HUE052141T2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68488A1 (en) 2018-10-11 2022-10-05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Lithium ion battery using crosslinkable separator
KR102409258B1 (en) 2018-10-11 2022-06-15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Separator for lithium ion batteries
KR20210129132A (en) * 2019-03-20 2021-10-27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EP4009436A1 (en) 2020-04-13 2022-06-08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Composite-type stacked chemically-crosslinked separator
CN114566758B (en) * 2021-12-29 2024-03-29 武汉中兴创新材料技术有限公司 Film,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battery comprising film
WO2023145319A1 (en) * 2022-01-28 2023-08-03 東レ株式会社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14335904B (en) * 2022-02-28 2022-07-12 湖南中锂新材料科技有限公司 Lithium battery composite diaphragm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N115663399B (en) * 2022-12-28 2023-06-02 江苏卓高新材料科技有限公司 Composite diaphragm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N115975550B (en) * 2023-02-14 2023-06-20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Adhesive composition, electrochemical device, and electricit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1791A (en) 2010-09-17 2012-03-29 Toray Ind Inc Composite porous membra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parator for battery using the same
WO2013146403A1 (en) 2012-03-30 2013-10-03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Multilayered microporous polyolefin film
WO2015190264A1 (en) 2014-06-10 2015-12-17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Battery separa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WO2015194667A1 (en) 2014-06-20 2015-12-23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cell separat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628A (en) * 1999-12-23 2001-07-05 이계안 System for cooling battery in electric vehicles
EP3739668A1 (en) * 2004-07-07 2020-11-18 Lg Chem, Ltd. New organic/inorganic composite porous film and electrochemical device prepared thereby
KR101200672B1 (en) * 2005-10-05 2012-1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Battery heat management system in hybride electric vehicle
KR100947072B1 (en) * 2008-03-27 2010-04-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JP5047089B2 (en) * 2008-07-31 2012-10-10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and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20120035858A (en) * 2010-10-05 2012-04-16 주식회사 엘지화학 A electrochemical device for progressing cycle characteristic
EP2696391B1 (en) * 2011-04-08 2016-03-30 Teijin Limite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CN103155218B (en) * 2011-04-08 2016-01-20 帝人株式会社 Diaphragm for non-water system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5670811B2 (en) * 2011-04-08 2015-02-18 帝人株式会社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5889749B2 (en) * 2012-08-09 2016-03-22 三洋電機株式会社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1791A (en) 2010-09-17 2012-03-29 Toray Ind Inc Composite porous membra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parator for battery using the same
WO2013146403A1 (en) 2012-03-30 2013-10-03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Multilayered microporous polyolefin film
WO2015190264A1 (en) 2014-06-10 2015-12-17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Battery separa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WO2015194667A1 (en) 2014-06-20 2015-12-23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film,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cell sepa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52141T2 (en) 2021-04-28
KR102180714B1 (en) 2020-11-20
JP2018101613A (en) 2018-06-28
JP6367453B2 (en) 2018-08-01
KR20200030046A (en)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0714B1 (en) Separator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laminated body, rol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or energy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US11949124B2 (en) Coated separators, lithium batteries, and related methods
KR102063594B1 (en) Separator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KR101840616B1 (en) Porous film and multilayer porous film
US10811657B2 (en)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US20210218108A1 (en) Polyolefin composite porous film, method of producing same, battery separator, and battery
KR102126212B1 (en)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separator for nonaqueous electrolyte based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sed secondary battery
EP3340342B1 (en)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laminated body, roll,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or power storage device using it
TW201733186A (en)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KR20150091471A (en)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ies,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WO2012042716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2588911B1 (en)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KR102208408B1 (en) Separator for energy storage device, and laminated body, roll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CN112352344B (en) Separator with fine pattern, wound body,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KR20170027715A (en)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ies,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KR20170015149A (en) Selective ion adsorbable separato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chemical cell comprising the same
CN111463390A (en) Improved coated separator, lithium battery and related methods
CN113891912A (en)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JP2016181439A (en) Separator for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US20170187023A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separator
US20230282938A1 (en) Separator for electric storage device and electric storage device
JP7344644B2 (en) Multilayer porous membrane with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JP2023084652A (en)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and power storage device
JP2024502817A (en) Separators for power storage devices and power storage devices
JP2023084651A (en) Separator for power storage device and power stora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