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1858A - 컨텐츠 출력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출력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1858A
KR20180071858A KR1020160174945A KR20160174945A KR20180071858A KR 20180071858 A KR20180071858 A KR 20180071858A KR 1020160174945 A KR1020160174945 A KR 1020160174945A KR 20160174945 A KR20160174945 A KR 20160174945A KR 20180071858 A KR20180071858 A KR 20180071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channel
signal
display devic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8190B1 (ko
Inventor
백지선
김제익
어호진
이관수
홍승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4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190B1/ko
Priority to US15/825,603 priority patent/US10848871B2/en
Priority to EP17204488.5A priority patent/EP3340659B1/en
Priority to CN201711389000.5A priority patent/CN108205413B/zh
Publication of KR20180071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1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40Visual indication of stereophonic s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5/00Details of stereophonic arrangements covered by H04R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5/024Positioning of loudspeaker enclosures for spatial sound repro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1Input selection or mixing for amplifiers 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03Aspects of down-mixing multi-channel audio to configurations with lower numbers of playback channels, e.g. 7.1 -> 5.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1Automatic calibr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e.g. with test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컨텐츠 출력 시스템이 개시된다. 컨텐츠 출력 시스템은, 멀티 채널 음향 설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 위치 및 특정 채널에 스피커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이드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사용자 입력 가이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피드백이 수신되면, 사용자 피드백에 대응되는 제1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출력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ontent output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컨텐츠 출력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향 컨텐츠를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TV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들이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자 장치들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점차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일 예로,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 장치들로 전송하여 멀티 채널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보다 좋은 음질로 오디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사용자가 복수의 스피커 장치에 복수의 채널을 대응되도록 설정하기 위한 직관적인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채널 설정시 스피커 위치를 인디케이팅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UX(User Experience)를 제공하는 컨텐츠 출력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복수의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시스템은,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이드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사용자 입력 가이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1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복수의 스피커 장치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스피커 장치 각각으로 설정된 채널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UI는, 상기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의 위치 및 상기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 선택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 장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설정 가능한 멀티 채널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특정 멀티 채널 유형이 선택되면, 선택된 멀티 채널 유형에 대응되는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특정 채널에 스피커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스피커 장치로 제2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신호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팅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디케이팅 피드백은, 상기 스피커 장치의 기설정된 영역을 발광하는 시각적 피드백 및 기설정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청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스피커 장치의 기설정된 영역은, 상기 스피커 장치의 네임(name)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 가이드는, 상기 스피커 장치를 터치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및 리모콘을 통해 상기 스피커 장치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스피커 장치에서 터치가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및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및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복수의 스피커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이드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스피커 장치 중 하나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1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스피커 장치를 설정된 채널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I는, 상기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의 위치 및 상기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 선택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 장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설정 가능한 멀티 채널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선택된 멀티 채널 방식에 대응되는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채널에 스피커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특정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장치로 제2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스피커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스피커 장치로 설정된 채널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입력 가이드는, 상기 스피커 장치를 터치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및 리모콘을 통해 상기 스피커 장치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스피커 장치에서 터치가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및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및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 위치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이드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복수의 스피커 장치 중 하나로부터 사용자 피드백에 대응되는 제1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스피커 장치로 설정된 채널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I는, 상기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의 위치 및 상기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 선택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 장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설정 가능한 멀티 채널 유형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선택된 멀티 채널 방식에 대응되는 상기 UI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특정 채널에 스피커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특정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장치로 제2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스피커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스피커 장치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방법.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 가이드는, 상기 스피커 장치를 터치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및 리모콘을 통해 상기 스피커 장치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스피커 장치에서 터치가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 및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멀티 채널 설정시 사용자가 스피커 위치를 확인하여 직관적으로 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 UI/UX(User Experience)를 제공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의 구현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되는 UI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되는 UI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되는 UI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의 구현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에 따르면, 컨텐츠 출력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기기를 연결하여 제어하는 시스템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또한 컨텐츠 출력 시스템은, 제3 및 제4 스피커 장치(미도시) 등 추가적인 스피커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와 AP(Access Point)(10)에 기반한 와이파이(Wi-Fi)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그 밖에 다른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 폰, 태블릿, PC, LFD(large format display), Digital Signage(디지털 간판), DID(Digital Information Display), 비디오 월(video wall), 프로젝터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는 음향 컨텐츠 출력이 가능한 Wireless 스피커, 사운드 바, 룸 스피커 등과 같은 스피커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는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는 P2P(Peer-to-Peer) 통신 네트워크 특히, 와이파이 P2P(Wi-Fi Peer-to-Peer)(또는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파이 P2P(Wi-Fi Peer-to-Peer)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 기기 간 접속을 지원하는 AP(10)를 거치지 않고 와이파이를 탑재한 기기 간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는 AP(10)에 기반한 와이파이(Wi-Fi) 통신을수행하거나 Bluetooth등 다른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P2P 연결 방식에 따라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 중 하나는 마스터 디바이스로 동작하고, 나머지 하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동작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디바이스, 예를 들어 제1 스피커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음향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슬레이브 디바이스, 예를 들어 제2 스피커 장치(3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전달하여, 제2 스피커 장치가 제1 스피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는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음향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에는 스피커가 내장되어 있거나, 부착되어 있을 수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운드 바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내장형/부착형 사운드 바는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와 함께 멀티 채널 음향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근거리에 이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는 사운드 바가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와 함께 멀티 채널 음향 모드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멀티 채널 음향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에 따라 수행될 있다. 이 경우, 해당 메뉴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에서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를 멀터 채널 스피커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멀티 채널 음향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일종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라운드 채널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장 스피커 바는 Center 채널, Front L 채널, Front R 채널로 동작하고,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는 Surround L 채널, Surround R 채널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멀티 채널 음향 설정을 위한 직관적인 UI/UX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10)는 다양한 컨텐츠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화면은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 다양한 컨텐츠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GUI(Graphic User Interface)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경우에 따라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110)은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디스플레이(110)는 멀티 채널 음향 설정(또는 멀티 채널 설정)과 관련된 다양한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복수의 외부 스피커 장치에 사운드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외부 스피커 장치가 도 1의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도 1, 200, 300)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도 1, 200, 3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AP 기반의 Wi-Fi(와이파이,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 구현에 적합하다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않고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 이더넷, 등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3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로 구현될 수 있고, 컨텐츠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우선,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또는 연결 가능한) 스피커 장치의 개수 및 스피커 장치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설정 가능한 멀티 채널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UI는 각 멀티 채널 유형에 대응하는 스피커의 배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연결 가능한 스피커 장치라 함은, 현재 연결이 해제된 상태이나 기설정된 이벤트(예를 들어 기기 턴 온 시)에 따라 연결가능한 스피커 장치(예를 들어, 블루투스 페어링에 의해 등록된 장치, 와이파이 페어링이 완료된 상태) 등이 될 수 있다. 기설정된 이벤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운드 셋팅 메뉴에서 서라운드 셋팅이 선택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새로운 스피커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로 진입하는 경우, 기존에 연결되었던 스피커의 연결이 해제되는 경우, 기존에 연결되었던 스피커가 기설정된 거리 범위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 외부 소스 장치가 기설정된 거리 범위 내로 진입하는 경우 등 다양한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스피커 장치의 개수가 2 개이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Center 채널, Front L 채널, Front R 채널을 제공하는 스피커 바가 구비되며, 스피커 바에 저음역 스피커(Woofer)도 구비된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 5 채널까지 재생이 가능하므로, 2.1 채널, 3.1 채널, 5.1 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스피커 장치의 개수 뿐만 아니라, 타입까지 고려하여 설정 가능한 멀티 채널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1 채널은 5개의 스피커에 1개의 우퍼 스피커(저음용 스피커)로 재생 가능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음역 스피커(Woofer)가 구비되거나, 저음역 스피커(Woofer)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경우, 5.1 채널을 설정 가능한 유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특정 멀티 채널 유형이 선택되면, 해당 멀티 채널 음향 설정(또는 서라운드 설정)을 위한 UI(또는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도록 디스플레이(110)를 제어한다. 여기서, UI는,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 위치 및 특정 채널에 스피커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에 대한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I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준으로 Surround L 채널 및 Surround R 채널에 대응되는 스피커 위치 및 해당 채널에 특정 스피커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 가이드는 특정 스피커 장치를 터치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및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특정 스피커 장치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스피커 장치를 터치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는 스피커 장치의 기설정된 영역, 예를 들어, 상단 영역을 터치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가 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특정 스피커 장치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는, 원격 제어 장치가 특정 스피커 장치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특정 버튼(예를 들어, 확인 버튼)을 누름 조작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가 될 수 있다.
또한 UI는 사용자가 특정 채널에 스피커를 설정할 수 있도록 스피커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urround L 채널 항목은 해당 채널로 설정 가능한 스피커 리스트가 동시에 또는 하나씩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특정 채널에 대응되는 스피커 장치가 선택되면, 해당 스피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urround L 채널 항목에서 선택 GUI(예를 들어, 커서, 하이라이트 등)에 의해 제1 스피커 장치(200)가 선택되면, 제1 스피커 장치(2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피커 장치(200)는 해당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팅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디케이팅 피드백은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인디케이팅 피드백에 기초하여 Surround L 채널 항목에서 선택된 제1 스피커 장치(20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특정 채널이 선택되면, 스피커가 선택되지 않더라도 특정 채널로 설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urround L 채널 항목이 선택 GUI(예를 들어, 커서, 하이라이트 등)에 의해 선택되면, Surround L 채널로 설정가능한 제1 스피커 장치(200) 및 제2 스피커 장치(3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피커 장치(200) 및 제2 스피커 장치(300)는 해당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팅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인디케이팅 피드백에 기초하여 Surround L 채널로 설정가능한 제1 스피커 장치(20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특정 채널이 선택되면, 복수의 스피커의 위치에 기초하여 특정 채널로 설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urround L 채널 항목이 선택 GUI(예를 들어, 커서, 하이라이트 등)에 의해 선택되면, 제1 스피커 장치(200) 및 제2 스피커 장치(300) 위치에 기초하여 Surround L 채널로 설정가능한 제1 스피커 장치(2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피커 장치(200)는 해당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팅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인디케이팅 피드백에 기초하여 제1 스피커 장치(20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스피커 장치 중 하나로부터 사용자 입력 가이드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스피커 장치를 선택된 채널을 출력하는 스피커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설정하고자 하는 스피커 장치를 터치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를 제공한 경우, 제1 스피커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터치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스피커 장치(200)를 Surround L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리모콘을 통해 스피커 장치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를 제공한 경우, 제1 스피커 장치(200)로부터 리모콘 선택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스피커 장치(200)를 Surround L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설정하고자 하는 스피커 장치에 마련된 기설정된 버튼을 누름 조작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를 제공한 경우, 제1 스피커 장치(200)로부터 해당 버튼의 누름 조작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스피커 장치(200)를 Surround L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스피커 장치 중 하나로부터 사용자 입력 가이드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스피커 장치를 선택된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스피커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터치에 대응되는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스피커 장치(200)로 Surround L 채널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피커 장치(200)는 Surround L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채널을 출력하기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스피커 장치(200)를 터치하거나, 리모콘으로 선택하는 등과 같이 스피커 장치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스피커 장치(200)가 인디케이팅 피드백을 제공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향하여 리모콘의 확인 버튼을 누름 조작하는 경우 제1 스피커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리모콘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스피커 장치(200)를 해당 채널로 설정하고 대응되는 채널 정보를 제1 스피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가이드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향하여 리모콘의 확인 버튼을 누름 조작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에 따르면,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는, 디스플레이(110), 통신 인터페이스(120), 프로세서(130), 출력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CPU(13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또는 휘발성 메모리, 23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저장부(150)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31)는 저장부(1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을 포함할 수 있고, DSP는 디지털 필터, 이펙트, 음장감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으며, 샘플레이트 컨버터(SRC)를 통해 디지털과 아날로그 간 변환시의 음질 열화를 방지하는 오버샘플링(Over Sampling) 기술도 적용할 수 있다.
출력부(14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출력부(140)는 멀티 채널을 출력할 수 있는, 복수의 스피커 유닛(또는 오디오 앰프(audio amplifier))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출력부(140)는 L 채널, R 채널을 각각 재생하는 L 채널 스피커 및 R 채널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출력부(14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가능하다. 다른 예로, 출력부(140)는 L 채널, R 채널, Center 채널을 재생하는 사운드 바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프로세서(13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채널 설정을 위한 UI를 제공하고, UI 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50)는 프로세서(130)에 포함된 롬(ROM),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130)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장부(15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되고, 컨텐츠 출력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스피커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출력부(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외부 스피커 장치(300))와 통신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네트워크는, AP 기반의 Wireless LAN 네트워크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Wireless LAN 네트워크와 유사하게 동작하는 통신 네트워크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외부 스피커 장치(3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로 통신한다. 여기서, 제2 통신 네트워크는 P2P(peer to peer)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히, 와이파이 P2P(Wi-Fi Peer-to-Peer)(또는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네트워크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통신 네트워크 및 제2 통신 네트워크는 동일한 통신 네트워크(예를 들어,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력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한다. 출력부(230)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오디오 앰프(audio amplifier)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프로세서(230)는 스피커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30)의 구현 형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프로세서(130)의 구현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1 인디케이팅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특정 채널에 스피커를 설정하기 위한 명령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 인디케이팅 피드백은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시각적 피드백은, 스피커 장치(200)의 기설정된 영역을 발광하는 피드백일 수 있다. 청각적 피드백은, 기설정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피드백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제1 인디케이팅 피드백을 제공한 이 후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터치 피드백이 수신되면, 사용자 터치 피드백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스피커 장치(200)에 설정된 채널 정보가 수신되면, 설정된 채널에 대응되는 출력 준비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설정된 채널에 대응되도록 음량을 조절하는 등이 출력 준비를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채널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인디케이팅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인디케이팅 피드백은 스피커 장치(200)의 기설정된 영역을 발광하는 시각적 피드백 및 기설정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청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은 제1 인디케이팅 피드백과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디케이팅 피드백은 제1 인디케이팅 피드백과 상이한 발광 색상으로 제공되거나, 상이한 음향 신호(예를 들어, "레프트 채널로 설정되었습니다")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스피커 장치(200)의 기설정된 영역에는 발광 소자(예를 들어, LED)가 구비되어 프로세서(230)의 제어에 따라 발광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인디케이팅 피드백의 특성(또는 타입)에 따라 상이한 표시 패턴이나, 상이한 색상으로 시각적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영역은 일 예로, 스피커 장치(200) 상단 또는 측면 등의 네임(name) 영역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기설정된 영역은 스피커 장치(200)의 상단 외곽 영역이 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단 외곽 영역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 장치(200)가 원통 형상인 경우, 스피커 장치(200)의 상단은 원형이 되며, 원형의 가장 자리를 따라 복수의 발광 소자가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 개의 LED 상에 투명 시트가 배치되어 복수 개의 LED 들의 불빛이 경계 없이 연속적으로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복수 개의 LED 들은 동일한 색상 또는 상이한 색상을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LED 들은 배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서로 상이한 색상의 LED 쌍이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즉, 동일한 위치에 적어도 2개 이상의 LED들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두 가지 컬러 이상의 표시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쌍의 LED 들이 레드 컬러의 LED 들 및 블루 컬러의 LED 들로 구성되는 경우, UI 화면에 따라 레드 컬러의 LED 들 또는 블루 컬러의 LED 들만 사용되거나, 레드 컬러의 LED 들 및 블루 컬러의 LED 들이 동시에 사용되어 핑크 컬러의 표시 패턴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및 컨텐츠 출력 요청이 수신되면, 출력부(22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한다. 경우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수신된 컨텐츠를 외부 스피커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저장부(24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를 저장하거나, 외부 스피커 장치(300)로 전송하기 위해 캡쳐된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그 밖에 저장부(240)는 스피커 장치(200)의 동작에 필요한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240)는 프로세서(230) 내부의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230)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 저장부(240)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저장부(150)와 유사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는 수신 버퍼(405)에 저장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신 버퍼(405) 및 전송 버퍼(46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도 3)의 일 구성요소로 구현되고, 디코더(410), 렌더러(420), 캡쳐 버퍼(450)는 프로세서(230)(도 3)의 일 구성요소로 구현되고, 출력 버퍼(430) 및 AMP(440)는 출력부(230)의 일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실시 예에 따라 다른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신 버퍼(405), 캡쳐 버퍼(450), 전송 버퍼(460)는 저장부(240)(미도시)의 일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다.
수신 버퍼(405)에 저장된 컨텐츠는 디코더(410)로 제공되어 디코딩되고, 디코딩된 컨텐츠는 렌더러(420)에 제공되어 렌더링된다. 여기서, 디코더(410) 및 렌더러(420)는 일종의 DS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어서, 렌더러(420)에 의해 렌더링된 컨텐츠는 출력 버퍼(또는 재생 버퍼)(430)에 버퍼링되면서 AMP(4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외부 스피커 장치(300)와의 동기화를 위해 출력 버퍼(430)가 AMP(440)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점을 딜레이시킬 수 있다.
한편, 렌더러(420)에 의해 렌더링된 컨텐츠는 출력 버퍼(430)로 버퍼링됨과 동시에, 카피되어 캡쳐 버퍼(450)에 버퍼링될 수 있다. 캡쳐 버퍼(450)에 버퍼링된 컨텐츠는, 전송 버퍼(460)로 제공되어 외부 스피커 장치(300)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버퍼(460)는 와이파이 드라이버(Wi-Fi Driver) 단의 버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가 서라운드 사운드로 인코딩한 스트리밍 컨텐츠인 경우, 렌더러(420)에서 렌더링된 컨텐츠 중 제1 채널(예를 들어, L 채널) 컨텐츠 만이 출력 버퍼(430)로 제공되고, 제2 채널(예를 들어, R 채널) 컨텐츠 만이 캡쳐 버퍼(450)로 버퍼링되어, 전송 버퍼(460)로 제공될 수도 있다. 다만, 스피커 장치(200)가 수신된 컨텐츠를 외부 스피커 장치(예를 들어, 300)으로 전송하지 않는 경우에는 캡쳐 버퍼(450) 및 전송 버퍼(460)와 관련된 동작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되는 UI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5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제공되는 UI의 일 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운드 셋팅 메뉴에서 서라운드 셋팅이 선택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가능한 멀티 채널 유형에 대한 정보(510)가 화면의 일 영역에 제공되고, 커서(10)가 위치한 멀티 채널 유형(513)에 대한 상세 정보(520)가 화면의 다른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멀티 채널 유형에 대한 정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기준으로 스피커 개수 및 위치를 도식화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멀티 채널 유형(511) 및 제2 멀티 채널 유형(512)은 TV 스피커가 출력되지 않는 유형(511-1, 512-1)이며, 제3 멀티 채널 유형(513)는 TV 스피커가 함께 출력되는 유형(513-1)이 될 수 있다.
이어서, 커서(20)가 위치한 제3 멀티 채널 유형(513)이 선택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커 설정을 위한 UI(610)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스피커 설정을 위한 UI(6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응되는 아이콘(611), 복수의 스피커(200, 300)에 대응되는 복수의 스피커 아이콘(613, 615) 및 복수의 채널 설정 항목(612, 614)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 아이콘(611) 영역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명칭(611-1)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아이콘(611) 및 복수의 스피커 아이콘(613, 61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복수의 스피커(200, 300)의 상대적 배치 위치를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대적 위치의 기준이 되는 오브젝트 이미지(616)(예를 들어, 소파 이미지)가 함께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UI(610) 상에는 특정 채널에 스피커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이드하는 UI(617, 618)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는 스피커에 터치를 유도하는 이미지 가이드(617) 및 텍스트 가이드(61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채널 설정 항목(612, 614)은 채널 명칭과 함께 디스플레이며, 해당 항목(612, 614)을 선택하면 스피커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라운드 L 채널 설정이 가능한 추가 스피커가 더 있음을 나타내는 GUI(612)가 디스플레이되고, 제1 채널 설정 항목(612)이 선택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라운드 L 채널 설정이 가능한 스피커 명칭이 나열된 리스트(619)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라운드 L 채널 설정을 위한 제1 채널 설정 항목(612)에서 제1 스피커 장치(200)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스피커 장치(200)로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제1 스피커 장치(200)는 선택을 유도하는 인디케이팅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인디케이팅 피드백d은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스피커 장치(2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스피커 장치(200)를 제1 채널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된 가이드에 따라 제1 스피커 장치(200)에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터치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채널 설정 항목(612)이 선택되면, 스피커 장치(200)의 선택 여부와 관계없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채널로 설정가능한 모든 스피커 장치로 대응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라운드 L 채널이 설정되면, 서라운드 R 채널 설정을 위한 제2 채널 설정 항목(614)을 통해 동일한 방법으로 스피커를 설정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스피커 장치(200)에 서라운드 L 채널이 설정되면 제2 스피커 장치(300)에 서라운드 R 채널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 스피커 장치(300)에 서라운드 R 채널 만을 설정할 수 밖에 없는 경우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설정된 채널 정보를 바로 제2 스피커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되는 UI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UI(710)는 도 6에 도시된 UI(610)와 유사하므로,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에 따르면, 특정 채널에 스피커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이드하는 UI(717, 718)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는 리모콘을 통해 스피커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이미지 가이드(717) 및 텍스트 가이드(71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되는 UI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UI(810)는 도 6에 도시된 UI(610)와 유사하므로,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에 따르면, 특정 채널에 스피커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이드하는 UI(817, 818)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는 스피커 장치에 마련된 기설정된 버튼을 누름 조작하도록 유도하는 이미지 가이드(817) 및 텍스트 가이드(81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S910:Y),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이드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한다(S920). 여기서, UI는,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의 위치 및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 선택을 가이드 하는 UI 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 가이드는, 스피커 장치를 터치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및 리모콘을 통해 스피커 장치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복수의 스피커 장치 중 하나로부터 사용자 입력 가이드에 대응되는 제1 신호가 수신되면(S930), 해당 스피커 장치로 설정된 채널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전송한다(S940).
또는, 복수의 스피커 장치 중 하나로부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스피커 장치로 설정된 채널 정보를 전송한 후, 설정된 채널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S920 단계에서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S910:Y)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또는 연결 가능한) 복수의 스피커 장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설정 가능한 멀티 채널 유형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선택된 멀티 채널 방식에 대응되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S940 단계에서는, 설정된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장치로 제2 신호를 전송하고, 제2 신호를 수신한 스피커 장치로부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스피커 장치로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우선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S1011).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는 기정의된 통신 방식(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네트워크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여 연동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연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미도시) 간에 통신이 초기화되는 동작,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동작, 기기 페어링이 수행되는 동작 등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모든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기 식별 정보가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로 제공되고, 그에 따라 양 기기 간의 페어링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기기 선택 명령, 기기 턴온 명령 등)가 발생하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술을 통해 주변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기기와 페어링을 수행하여 연동 상태가 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 연결 완료에 따른 신호를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는 통신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안내하는 인디케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스피커(200-1,200-2,200-3,..)는 LED를 깜빡이거나 "페어링이 완료되었습니다."와 같은 오디오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멀티 채널 설정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한다(S1012). 여기서, 기설정된 이벤트는 멀티 채널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I에서 특정 멀티 채널 유형이 선택되는 명령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멀티 채널 유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UI는 기설정된 이벤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운드 셋팅 메뉴에서 서라운드 셋팅이 선택되는 이벤트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멀티 채널 설정을 위한 UI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 위치 및 특정 채널에 스피커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어서, 멀티 채널 설정을 위한 UI 상에서 제1 채널 설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S1013),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신호를 제1 채널로 설정 가능한 제1 스피커 장치(200)로 전송한다(S1014).
이 경우, 제1 스피커 장치(200)는 제1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인디케이팅 피드백을 제공한다(S1015). 여기서, 인디케이팅 피드백은 시각적 피드백 및 청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어서, 제1 스피커 장치(200) 상에서 사용자 입력 가이드에 따른 사용자 명령, 예를 들어 사용자 터치가 수신되면(S1016), 제1 스피커 장치(200)는 사용자 터치에 대응되는 제2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1017). 즉, 사용자는 제1 스피커 장치(200)가 제공하는 인디케이팅 피드백에 기초하여 제1 스피커 장치(200)를 식별하여 사용자 입력 가이드에 따른 사용자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제2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채널 정보를 제1 스피커 장치(200)로 전송하고(S1018), 제1 채널 정보를 수신한 제1 스피커 장치(200)는 제1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음향 컨텐츠를 출력할 준비를 한다(S1019).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1 채널 정보는 제1 신호와 함께 전송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S1017 단계에서 제1 채널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멀티 채널 설정을 위한 UI 상에서 제2 채널 설정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S102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1 신호를 제2 채널로 설정 가능한 제2 스피커 장치(300)로 전송한다(S1021).
이 경우, 제2 스피커 장치(300)는 제1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인디케이팅 피드백을 제공한다(S1022).
이어서, 제2 스피커 장치(300) 상에서 사용자 입력 가이드에 따른 사용자 명령, 예를 들어 사용자 터치가 수신되면(S1023), 제2 스피커 장치(300)는 사용자 터치에 대응되는 제2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1024).
제2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채널 정보를 제2 스피커 장치(300)로 전송하고(S1025), 제2 채널 정보를 수신한 제3 스피커 장치(300)는 제2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음향 컨텐츠를 출력할 준비를 한다(S1026).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2 채널 정보는 제1 신호와 함께 전송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신호를 수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S1025 단계에서 제2 채널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스피커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지하고, 채널을 설정할 수 있는 직관적인 TV UX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스피커 장치에 설치 가능한 소프트웨어 또는 어플리케이션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의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디스플레이 220: 통신 인터페이스
230: 프로세서

Claims (19)

  1.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복수의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이드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사용자 입력 가이드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1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복수의 스피커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스피커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스피커 장치 각각으로 설정된 채널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컨텐츠 출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상기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의 위치 및 상기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 선택을 가이드 하는, 컨텐츠 출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 장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설정 가능한 멀티 채널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특정 멀티 채널 유형이 선택되면, 선택된 멀티 채널 유형에 대응되는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컨텐츠 출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특정 채널에 스피커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스피커 장치로 제2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스피커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상기 제2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신호에 대응되는 인디케이팅 피드백을 제공하는, 컨텐츠 출력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팅 피드백은, 상기 스피커 장치의 기설정된 영역을 발광하는 시각적 피드백 및 기설정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청각적 피드백 중 적어도 하나인, 컨텐츠 출력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장치의 기설정된 영역은,
    상기 스피커 장치의 네임(name) 영역인, 컨텐츠 출력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가이드는,
    상기 스피커 장치를 터치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및 리모콘을 통해 상기 스피커 장치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이며,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스피커 장치에서 입력된 터치가 수신되는 피드백 및 및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피드백 및 중 적어도 하나인, 컨텐츠 출력 시스템.
  8. 디스플레이;
    복수의 스피커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이드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스피커 장치 중 하나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제1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스피커 장치로 설정된 채널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상기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의 위치 및 상기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 선택을 가이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 장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설정 가능한 멀티 채널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선택된 멀티 채널 방식에 대응되는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특정 채널에 스피커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특정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장치로 제2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스피커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스피커 장치를 상기 특정 채널로 설정하고, 해당 스피커 장치를 설정된 채널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가이드는,
    상기 스피커 장치를 터치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및 리모콘을 통해 상기 스피커 장치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스피커 장치에서 터치가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및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및 중 적어도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
  14.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 위치 설정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가이드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복수의 스피커 장치 중 하나로부터 사용자 피드백에 대응되는 제1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스피커 장치로 설정된 채널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상기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의 위치 및 상기 복수의 채널 각각에 대응되는 스피커 선택을 가이드 하는,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 장치의 개수에 기초하여 설정 가능한 멀티 채널 유형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고, 선택된 멀티 채널 방식에 대응되는 상기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제어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는,
    특정 채널에 스피커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특정 채널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장치로 제2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스피커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스피커 장치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제어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가이드는,
    상기 스피커 장치를 터치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및 리모콘을 통해 상기 스피커 장치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인, 제어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스피커 장치에서 터치가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 및 상기 리모콘으로부터 선택 신호가 수신되는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인, 제어 방법.
KR1020160174945A 2016-12-20 2016-12-20 컨텐츠 출력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48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945A KR102648190B1 (ko) 2016-12-20 2016-12-20 컨텐츠 출력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5/825,603 US10848871B2 (en) 2016-12-20 2017-11-29 Content output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7204488.5A EP3340659B1 (en) 2016-12-20 2017-11-29 Content output system including a display apparatus and a plurality of speaker apparatuses and method for associating sound channels with the speakers of the system
CN201711389000.5A CN108205413B (zh) 2016-12-20 2017-12-20 内容输出系统、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945A KR102648190B1 (ko) 2016-12-20 2016-12-20 컨텐츠 출력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1858A true KR20180071858A (ko) 2018-06-28
KR102648190B1 KR102648190B1 (ko) 2024-03-18

Family

ID=60673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945A KR102648190B1 (ko) 2016-12-20 2016-12-20 컨텐츠 출력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848871B2 (ko)
EP (1) EP3340659B1 (ko)
KR (1) KR102648190B1 (ko)
CN (1) CN1082054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6394B1 (en) * 2017-12-29 2019-05-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managing a plurality of devices
JP7036190B2 (ja) * 2018-02-26 2022-03-15 ヤマハ株式会社 オーディオ信号入出力装置、音響システム、オーディオ信号入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109467A (ko) * 2019-03-13 2020-09-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08779A (ko) *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피커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자기기들에 다채널 서라운드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1044559B2 (en) * 2019-10-08 2021-06-22 Dish Network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configuration of an audio system
CN113115105B (zh) * 2021-04-07 2023-05-09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配置wisa扬声器的提示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7035B2 (ja) * 2004-08-25 2011-05-25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4952157B2 (ja) * 2006-09-13 2012-06-13 ソニー株式会社 音響装置、音響設定方法及び音響設定プログラム
US20160073197A1 (en) * 2014-09-04 2016-03-10 PWV Inc Speaker discovery and assignmen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1656A (ko) 2004-12-02 2006-06-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시어터 시스템의 스피커 채널 자동 선택 장치 및 방법
KR101461968B1 (ko) 2008-09-03 2014-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시어터 시스템의 사운드 셋팅 장치 및 방법
KR20100066949A (ko) * 2008-12-10 2010-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기기 및 그의 신호보정방법
JP5316248B2 (ja) 2009-06-16 2013-10-16 株式会社リコー テレビ会議装置、テレビ会議方法、そのプログラム
US20130022204A1 (en) 2011-07-21 2013-01-24 Sony Corporation Location detection using surround sound setup
KR20140099122A (ko) 2013-02-01 2014-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위치 검출 장치, 스피커 자동 설정 시스템 및 방법
US9942661B2 (en) * 2013-05-14 2018-04-10 Logitech Europe S.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rtable audio devices
KR20150104985A (ko) * 2014-03-07 2015-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및 오디오 시스템, 그리고 이의 스피커 제어 방법
WO2015160722A1 (en) 2014-04-16 2015-10-22 Flir Systems, Inc. Sonar user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KR102221676B1 (ko) * 2014-07-02 2021-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장을 이용한 스피커 위치 검출 및 레벨 조절을 위한 사용자 단말 장치, 방법 및 오디오 시스템
US8995240B1 (en) 2014-07-22 2015-03-31 Sonos, Inc. Playback using positioning information
US9706330B2 (en) * 2014-09-11 2017-07-11 Genelec Oy Loudspeaker control
WO2016052876A1 (en) 2014-09-30 2016-04-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410543B1 (ko) 2014-09-30 2022-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87035B2 (ja) * 2004-08-25 2011-05-25 株式会社ケンウッド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4952157B2 (ja) * 2006-09-13 2012-06-13 ソニー株式会社 音響装置、音響設定方法及び音響設定プログラム
US20160073197A1 (en) * 2014-09-04 2016-03-10 PWV Inc Speaker discovery and assig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205413A (zh) 2018-06-26
CN108205413B (zh) 2021-07-02
EP3340659B1 (en) 2020-10-28
US10848871B2 (en) 2020-11-24
EP3340659A1 (en) 2018-06-27
KR102648190B1 (ko) 2024-03-18
US20180176688A1 (en)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05413B (zh) 内容输出系统、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1113022B2 (en) Method, system and interface for controlling a subwoofer in a networked audio system
CN107873136B (zh) 电子设备、外围设备及其控制方法
US10091451B2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creen thereof
US20150256957A1 (en) User terminal device, audio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aker thereof
US10932210B2 (en) Content out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130548A (ko) 영상 음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EP3057332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ideo data
TW201427407A (zh) 電視機控制系統及方法
JP2017041008A (ja) 制御装置
CN106205092A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音频装置及其控制供电方法
WO2014119011A1 (ja) 情報処理装置、遠隔操作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681462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O201809684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18649A (ja) 無線lan機能を備えたマルチトラック録音システム
EP3295667B1 (en) Method, system and interface for controlling a subwoofer in a networked audio system
KR20190048337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WO2023221880A1 (zh) 通信方法、系统及相关设备
TWI675574B (zh) 可調式視訊轉換方法
US1056769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f electronic apparatus
JP2019135548A (ja) 無線lan機能を備えたマルチトラック録音システム
TWM548398U (zh) 可調式視訊轉換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