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887A -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 - Google Patents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887A
KR20180070887A KR1020160173415A KR20160173415A KR20180070887A KR 20180070887 A KR20180070887 A KR 20180070887A KR 1020160173415 A KR1020160173415 A KR 1020160173415A KR 20160173415 A KR20160173415 A KR 20160173415A KR 20180070887 A KR20180070887 A KR 20180070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sleeve
body portion
body part
maxillary sin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써지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써지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써지덴트
Priority to KR1020160173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0887A/ko
Publication of KR20180070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2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inus lif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동 거상술용 천공 드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악골을 절삭하면서 상악동 또는 상악동막을 거상하는 상악동 거상술용 천공 드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악골을 천공하면서 상악동막을 들어올리는 절삭날과 절삭홈을 포함하는 절삭부가 나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몸체부, 제1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제1 몸체부의 폭보다 더 넓게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의 타단에 제2 몸체부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제3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용 천공 드릴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Drill apparatus for sinus lift}
본 발명은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악골을 절삭하면서 상악동 또는 상악동막을 거상하는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아의 치근을 대신할 인공치근을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또는 상악골)에 심어서 유착시킨 뒤 인공 치근에 별도로 마련된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원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시술법이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한번 시술되면 상실된 치아의 기능이 반 영구적으로 회복될 수 있기 때문에 근래 널리 시술되고 있다. 인공치근은 하악골이나 상악골에 심어진다. 그런데 코의 옆쪽에는 점막(상악동막)으로 둘러싸인 공간인 상악동이 존재하므로 일반적으로 상악골의 골 두께는 인공치근을 심기에 부족하다. 특히 치아가 상실되면 상악동막이 밑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상악골의 골 두께는 더욱 부족하게 된다. 따라서 상악골에 인공치근을 심고자 할 경우에는 상악동 거상술이 선행되고 있다. 상악동 거상술은 상악동막을 상악골로부터 떼어내어 거상시키는 시술이다. 상악동 막의 거상으로 인해 생긴 공간에는 추후 골 이식재가 채워지는데, 이로써 인공치근을 심기에 충분한 골 두께가 확보될 수 있게 된다.
현재 상악동 거상술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행해지고 있다. 첫 번째는 한국등록특허 제0981716호, 한국등록특허 제0981717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악골에 미리 천공된 홀 속으로 상악동막 거상용 기구를 삽입한 후 상기 상악동막 거상용 기구를 가압하는 방법이다. 상악동막 거상용 기구를 가압하면 상악동막 거상용 기구가 상악동막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써 상악동막의 거상이 이루어진다. 두 번째는 한국등록특허 제1039265호, 한국등록특허 제0976820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악골에 미리 천공된 홀 속으로 액체주입장치를 삽입한 후 상기 액체주입장치에 셀라인(소금물)과 같은 액체를 공급하는 방법이다. 액체주입장치로 공급된 액체는 상악골과 상악동막 사이에 주입되고, 이로써 상악동 막의 거상이 이루어진다. 위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방법에 의하더라도 상악동 거상술이 행해지기 위해서는 상악골을 천공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그런데 상악골을 천공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상악골의 내면에 부착된 상악동막이 손상되면 상악동막 염증, 괴사 등과 같은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악동막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상악골을 효율적으로 천공할 수 있는 천공 드릴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137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9-0106043 일본국 공개번호 제2013-51065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233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3306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상악동막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상악골을 효율적으로 천공할 수 있는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악골을 천공하면서 상악동막을 들어올리는 절삭날과 절삭홈을 포함하는 절삭부가 나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몸체부, 제1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제1 몸체부의 폭보다 더 넓게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의 타단에 제2 몸체부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제3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용 천공 드릴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몸체부 또는 절삭부는 첨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제2 몸체부는 일단과 타단의 폭이 서로 동일하도록 원통 형상이다.
또한, 제2 몸체부가 내측으로 인입되는 슬리브, 및 구강 내부의 치아 구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치아 구조와 서로 형상 결합되며, 슬리브가 삽입되는 슬리브 삽입 홈이 임플란트의 이식이 필요한 영역에 형성되는 스텐트를 포함한다.
또한, 절삭부의 삽입 깊이를 조절 또는 제한하도록 제2 몸체부에 삽입되며, 일측이 후측 절삭부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배치되고, 타측이 제3 몸체부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깊이 제한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깊이 제한부는 바디부, 바디부에 형성된 복수의 홈, 및 제3 몸체부의 오목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홈은 걸림부가 제3 몸체부의 오목부에 걸림시에 탄성을 제공해주며, 걸림부는 제3 몸체부의 오목부 영역에서 폭이 점차 넓어진다.
또한, 슬리브는 슬리브 삽입 홈에 삽입되는 제1 슬리브 몸체부, 및 슬리브가 슬리브 삽입 홈에 고정되도록 제1 슬리브 몸체부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제2 슬리브 몸체부를 포함하며, 절삭부의 인입시에 제3 몸체부와 제2 슬리브 몸체부가 서로 대면되어 절삭부의 인입 깊이가 제한되며, 제2 몸체부가 슬리브에 삽입시에 제2 몸체부의 길이가 제1 슬리브 몸체부의 길이보다 더 길다.
또한, 제2 슬리브 몸체부는 제1 방향에서 서로 대면하는 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에서 서로 대면하는 면은 직선으로 형성된다.
또한, 절삭부는 제1 몸체부의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되며, 제1 절삭부와 제2 절삭부의 이격 폭은 제1 몸체부의 첨단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제1 몸체부의 첨단에는 절삭부가 형성되지 않은 중심영역을 포함하는 거상부가 마련되며, 거상부는 상악동막 또는 상악동을 들어올리도록 평탄하거나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제1 몸체부의 첨단은 둥근 면(돔 형상 또는 볼록 형상)으로서 치조골은 경질이어서 갈면서 전진하나 치조골과 접하는 상악동 막은 연질이어서 갈리지 않고 밀려 올라가게 된다. 절삭날 있는 상태에서도 상악동막을 훼손하지 않고 밀어 올리는 것도 기술입니다
또한, 제1 몸체부의 절삭홈에 의해 형성된 제1 몸체부의 돌출부가 거상부의 중심영역과 적어도 복수의 방향에서 서로 연장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리머의 인입 깊이를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한하고, 인입 깊이를 시술자 마다 통일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입 깊이를 제한하는 제한부가 리머에 잘 걸릴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리머의 첨단 부분 및 거상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리브와 리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리브가 리머에 삽입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리브가 스텐트의 슬리브 삽입 홈에 삽입되고, 리머가 슬리브에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머가 상악골을 절삭하면서 상악동막을 거상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깊이 제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깊이 제한부가 리머가 삽입 고정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깊이 제한부의 걸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공 드릴 장치(또는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는 상악골 천공 드릴(100, 또는 리머), 슬리브(300), 및 스텐트로 대략 구성되어 임플란트를 이식하기 전에 상악골(30)을 천공함과 동시에 상악동막(20) 또는 상악동(10)을 거상하도록 하는 발명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악동 거상술 천공 드릴 장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머(100)는 2가지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리머(100)는 상악골(30)을 천공하는 절삭부(110)와 상악동(10) 또는 상악동막(20)을 거상하는 거상부(113)를 포함한다. 절삭부(110)와 거상부(113)는 제1 몸체부(110)에 형성된다. 절삭부(110)는 절삭날(111)과 절삭홈(112)으로 이루어진다. 절삭날(111)과 절삭홈(1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부(110)의 둘레방향에 나선방향으로 형성된다. 나선방향은 제1 몸체부(110)에 형성된 절삭날 및 절삭홈이 경사지게 또는 소정 각도를 가지며 형성되도록 하는 방향을 말한다. 따라서 절삭날 및 절삭홈의 각도는 제1 몸체부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가진다. 절삭부(110)는 제1 몸체부(110)의 하측 단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 몸체부의 첨단방향(또는 거상부(113) 방향)을 향해 나선방향으로 형성된다. 절삭날은 상악골(뼈)을 절삭하며, 절삭홈에는 절삭된 뼈 분말이 채워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부(110)는 제1 절삭부(110a)와 제2 절삭부(110b)로 형성되며, 추가적으로 제1 몸체부(110)의 둘레방향으로 절삭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 절삭부와 제2 절삭부 간에는 절삭홈에 의해 제1 몸체부의 돌출부(110c)가 형성되며(이때 돌출부의 의미는 절삭홈에 보다 돌출됨을 의미함), 돌출부(110c)의 폭 또는 인접한 절삭부간의 이격 폭은 첨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진다. 돌출부(110c)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거상부(113)의 중심 영역과 복수의 방향(제1 몸체부의 둘레방향)에서 만나거나 연장 형성된다.
제1 절삭부와 제2 절삭부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삭부와 제2 절삭부의 이격 폭(또는 이격 거리)은 제1 몸체부의 첨단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구비되는 절삭부도 동일하게 이격 폭이 첨단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몸체부(110)의 폭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제2 몸체부와 접하는 영역)에서 첨단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상부(11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부의 첨단에 형성된다. 거상부(113)는 상악동막(20) 또는 상악동(10)을 거상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 몸체부의 첨단영역에는 절삭날 및 절삭홈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중심영역)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절삭날 및 절삭홈이 형성되지 않은 돔 형상(또는 볼록 형상)의 중심영역이 상악동막을 거상하여 밀고 올라간다. 거상부(113)는 상악동(10) 또는 상악동막(20)을 거상하기 위해 돔 형상 또는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부의 첨단에 형성된 거상부의 폭(또는 지름)은 제1 몸체부의 폭(W1)에 비해 더 적다. 거상부(113)는 면이 평탄하거나 또는 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악동막(20) 또는 상악동(10)을 들어올린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리머(10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절삭날 및 절삭홈을 포함한 기술적 특징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갈음하기로 하며, 차이점이 있는 돌출부 및 거상부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날 및 절삭홈에 의해 복수의 첨단 돌출부(151,152,153, 154, 155, 156)가 형성되며, 복수의 첨단 돌출부는 제1 몸체부의 첨단에서 전체적으로 둥근 형상(즉, 복수의 돌출부가 서로 감싸지는 형상)을 하도록 형성된다. 제1 실시예는 절삭부가 첨단에 형성되지 않으나 제2 실시예는 절삭부가 첨단에 형성되면서도 상악동막을 거상하도록 첨단에 형성된 절삭부 및 돌출부가 전체적으로 둥근 형상이다.
제2 실시예에서는 첨단에 절삭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악동막을 거상하기 위해 제1 첨단 돌출부(151)와 제4 첨단 돌출부(154)가 서로 연장 연결되며, 나머지 첨단 돌출부(152,153,155,156)는 제1,4 첨단 돌출부와 같은 높이에서 서로 연결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나머지 첨단 돌출부(152,153,155,156)는 각각 첨단의 중심에서 각각 단절되어 있으며 복수의 첨단 돌출부가 서로 같은 높이에서 형성되어 둥근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상악동막을 거상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첨단에 형성된 복수의 첨단 돌출부는 바람개비 형상을 하고 있다. 제1 몸체부의 첨단은 둥근 면으로서 치조골은 경질이어서 갈면서 전진하나 치조골과 접하는 상악동 막은 연질이어서 갈리지 않고 밀려 올라가게 된다. 상술한 복수의 첨단 돌출부는 절삭홈 및 절삭날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몸체부(12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제1 몸체부(110)와 결합된다. 이때, 제2 몸체부의 폭(W2)은 제1 몸체부의 폭(W1)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몸체부(120)는 후술하는 슬리브(300)에 인입되기 때문에 슬리브의 내경에 맞도록 제작된다. 제2 몸체부(120)의 상단은 제1 몸체부와 결합되고, 제2 몸체부의 하단은 제3 몸체부(130)와 서로 결합된다. 제3 몸체부(130)의 상단 영역은 제2 몸체부(120)와 결합하는 영역에서 약간 오목하게 들어가는 제1 오목부(131, 따라서 제2 몸체부의 폭보다 작음), 제1 오목부로부터 하측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몸체부(120)의 폭(W2)보다 더 넓은 폭(W3)으로 형성되는 돌출부(130), 돌출부로부터 하측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오목하게 들어가는 제2 오목부(132)를 포함한다. 제4 몸체부(140)는 제2 오목부로부터 하측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돌출부(또는 제1 깊이 제한부)는 절삭부(110)가 상악골(30)을 향해 인입될 때 리머(100)의 인입 깊이를 제한한다. 즉, 제3 몸체부는 제1 오목부, 돌출부, 제2 오목부로 순차적으로 형성되는데 돌출부가 형성된 위치만큼 최대로 리머(100)가 인입될 수 있다. 일예로서 돌출부가 하측 방향으로 더 내려와 형성되는 경우에는 리머(100)가 더 깊이 인입될 수 있으며, 상측 방향으로 더 올라와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인입 깊이가 줄어든다. 제1 오목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제2 오목부가 더 오목한 형상이다(즉, 제2 오목부의 폭이 더 적다). 제1,2,3,4 몸체부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분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분리 제조되어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는 리머(100)와 슬리브(300)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리머(100)의 첨단 영역부터 슬리브(300)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슬리브(300)는 리머(100)가 삽입되는 제1 슬리브 몸체부(310)와 후술하는 슬리브 삽입 홈(410)이 형성된 스텐트(400)의 상단면에 고정되는 제2 슬리브 몸체부(320)를 포함한다. 제1 슬리브 몸체부는 제2 슬리브 몸체부에 비해 폭이 더 적다. 제1 슬리브 몸체부는 단면이 원 또는 타원으로 이루어진다. 제1 슬리브 몸체부는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진다. 제2 슬리브 몸체부의 두께는 소정 폭을 가진다. 제2 슬리브 몸체부는 4개의 면으로 이루어지며, 제1 면(321)과 제2 면(322)은 볼록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x축과 관계한 면), 제3 면(323)과 제4 면(324)은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y축과 관계한 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슬리브 몸체부(320)는 제3 몸체부의 돌출부와 접촉되어 리머(100)가 더 이상 인입되지 않도록 제한한다. 제2 슬리브 몸체부는 스텐트의 슬리브 삽입 홈(410)에 삽입되며 리머(100)가 전방으로 진행시 인입 깊이를 제한한다. 즉, 리머(100)가 전방으로 진행하여 상악골을 절삭할 때 제3 몸체부(130)의 돌출부가 제2 슬리브 몸체부(320)에 걸려 인입이 제한된다. 종래에는 시술자의 경험에 따라 리머(100)의 인입 깊이가 달라지게 되나 스텐트(400)에 슬리브(300)를 끼워 넣어 리머(100)의 인입 깊이를 제한하도록 함으로써 시술자마다 리머의 인입 깊이를 통일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300)는 스텐트(400)의 슬리브 삽입 홈(410)에 삽입되며, 슬리브 삽입 홈(410) 영역은 추후 임플란트가 삽입되는 영역이다. 제1 슬리브 몸체부(310)는 슬리브 삽입 홈(410)에 삽입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몸체부(120)가 내측으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악동(10) 방향으로 리머가 진행시에 제2 몸체부(120)를 가이드 한다. 제2 슬리브 몸체부(320)는 슬리브 삽입 홈(410)에 삽입되며, 제3 몸체부의 돌출부가 상악동(10) 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제2 슬리브 몸체부(320)에 의해 진행이 제한된다. 이때, 제2 슬리브 몸체부(320)와 제3 몸체부의 돌출부가 서로 접하는 면은 슬리브 삽입 홈(410) 내에 형성된다. 스텐트(400)는 피시술자의 치아 구조를 형상 맞춤 제작한 것이다. 슬리브(300)는 임플란트의 시술 개소에 따라 여러 개 스텐트(400)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슬리브 몸체부(31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머(100)가 스텐트(400)에 삽입될 때 제2 몸체부(210)가 드러나도록 삽입된다. 즉, 제2 몸체부(120)의 길이가 제1 슬리브 몸체부(310)의 길이보다 더 길다.
도 10은 상악동 거상술에 의해 리머(100)가 상악골(30)을 절삭하고, 상악동막(20)을 거상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리머(100)는 스텐트(400)에 삽입된 슬리브(300) 내측으로 회전하면서 가이드 되어 상악동(10) 방향으로 진입한다. 이때, 리머(100)는 임플란트의 시술공간 또는 시술깊이를 좀 더 확보하기 위해 상악동(10, 공기를 품은 얇은 점막) 또는 상악동막(20)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거상 시키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입 깊이 제한부(200, 이하 제한부라 함)는 제2 몸체부(120)에 끼움 결합된다. 제한부(200)가 제2 몸체부에 끼움 결합함에 따라 리머(100)의 인입 깊이가 제한된다. 즉, 제한부(200)의 길이에 따라 리머(100)의 인입 깊이가 제한된다. 즉, 제2 몸체부(120)에 끼움 결합되는 제한부(200)의 길이가 길수록 인입 깊이가 짧아지며, 제한부(200)의 길이가 짧을수록 인입 깊이가 상대적으로 늘어난다. 한편, 제3 몸체부의 돌출부에 의해 인입 깊이가 제한되는 것보다는 리머의 인입 깊이를 생성 길이에 따라 더 제한할 수 있다. 제한부(200)의 일측은 제3 몸체부의 돌출부와 접하게 된다. 제한부(200)가 제2 몸체부에 끼움 결합될 때 절삭날 및 절삭홈을 포함하도록 끼움 결합된다. 즉, 제한부(200)가 끼움 결합되면 제1 몸체부의 하측 일영역에 형성된 절삭날 및 절삭홈이 제한부(200)에 의해 가려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한부(200)는 제3 몸체부의 돌출부로부터 제1 몸체부의 하측 일 영역까지 길이를 가진다. 이때, 제한부(200)의 길이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제한부(200)는 단면이 원 또는 타원 형상으로서, 둘레방향을 따라 또는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홈(210)이 형성된다. 홈(210)은 하측에서부터 대략 중앙영역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폭을 가지고 형성된다.
도 12는 제한부(200)가 제2 몸체부에 삽입 결합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한부(200)가 제2 몸체부에 삽입 결합될 때 걸림 기능이 필요하다. 따라서 제한부(2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30)를 구비한다. 이때, 제한부(200)에 형성된 복수의 홈(210)은 걸림부(230)에 의해 걸림시 탄성을 제공해준다. 제한부(200)는 대략 바디부(220, 또는 몸체부)와 바디부(220)에 형성된 복수의 홈(210), 걸림부(230)를 포함한다. 바디부(220)는 제한부(200)의 몸체로서 특정 폭 및 길이를 가진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몸체부의 오목부(131)에 접하는 영역에서는(A 영역)는 바디부(220)의 폭이 점차 넓어져 걸림부(230)를 형성한다. 즉, 따라서 걸림부(230)가 제3 몸체부의 오목부에 탄성적으로 걸리게 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230)의 폭은 제3 몸체부의 오목부(131)에 접근하면서 점차 넓어지다가 일정 폭을 유지하도록 한다. 다만, 걸림부(230)의 폭은 제3 몸체부의 오목부(131)에 걸림이 되면 충분하기 때문에 서서히 그 폭이 넓어질수도 있고 일정 폭이 일정하게 넓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182335(발명의 명칭 : 상악골 천공 드릴)에 포함된 내용 전부를 본 발명에서 참조할 수 있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상악동
20 : 상악동막
30 : 상악골
100 : 상악골 천공 드릴
110 : 절삭부(제1 몸체부)
110a : 제1 절삭부
110b : 제2 절삭부
110c : 제1 몸체부의 돌출부
111 : 절삭날
112 : 절삭홈
113 : 거상부
120 : 제2 몸체부
130 : 제3 몸체부(제1 깊이 제한부 또는 제3 몸체부의 돌출부)
131 : 제1 오목부
132 : 제2 오목부
140 : 제4 몸체부
200 : 깊이 제한부(제2 깊이 제한부)
210 : 홈(또는 그루브)
220 : 바디부
230 : 걸림부
300 : 슬리브
310 : 제1 슬리브 몸체부
320 : 제2 슬리브 몸체부
321 : 제1 면
322 : 제2 면
323 : 제3 면
324 : 제4 면
400 : 스텐트(Stent 또는 형틀)
410 : 슬리브 삽입 홈

Claims (9)

  1. 상악골을 천공하면서 상악동막을 들어올리는 절삭날과 절삭홈을 포함하는 절삭부가 나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몸체부,
    제1 몸체부의 일단으로부터 제1 몸체부의 폭보다 더 넓게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의 타단에 제2 몸체부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제3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몸체부 또는 절삭부는 첨단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제2 몸체부는 일단과 타단의 폭이 서로 동일하도록 원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2 몸체부가 내측으로 인입되는 슬리브, 및
    구강 내부의 치아 구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치아 구조와 서로 형상 결합되며, 슬리브가 삽입되는 슬리브 삽입 홈이 임플란트의 이식이 필요한 영역에 형성되는 스텐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절삭부의 삽입 깊이를 조절 또는 제한하도록 제2 몸체부에 삽입되며, 일측이 후측 절삭부의 일부를 포함하도록 배치되고, 타측이 제3 몸체부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깊이 제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깊이 제한부는,
    바디부,
    바디부에 형성된 복수의 홈, 및
    제3 몸체부의 오목부에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복수의 홈은 걸림부가 제3 몸체부의 오목부에 걸림시에 탄성을 제공해주며,
    걸림부는 제3 몸체부의 오목부 영역에서 폭이 점차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슬리브는,
    슬리브 삽입 홈에 삽입되는 제1 슬리브 몸체부, 및
    슬리브가 슬리브 삽입 홈에 고정되도록 제1 슬리브 몸체부의 폭보다 더 넓게 형성되는 제2 슬리브 몸체부를 포함하며,
    절삭부의 인입시에 제3 몸체부와 제2 슬리브 몸체부가 서로 대면되어 절삭부의 인입 깊이가 제한되며,
    제2 몸체부가 슬리브에 삽입시에 제2 몸체부의 길이가 제1 슬리브 몸체부의 길이보다 더 긴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제2 슬리브 몸체부는,
    제1 방향에서 서로 대면하는 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에서 서로 대면하는 면은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절삭부는 제1 몸체부의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되며,
    제1 절삭부와 제2 절삭부의 이격 폭은 제1 몸체부의 첨단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제1 몸체부의 첨단에는 절삭부가 형성되지 않은 중심영역을 포함하는 거상부가 마련되며,
    거상부는,
    상악동막 또는 상악동을 들어올리도록 평탄하거나 돔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심영역을 포함하며,
    제1 몸체부의 절삭홈에 의해 형성된 제1 몸체부의 돌출부가 거상부의 중심영역과 적어도 복수의 방향에서 서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절삭부는 제1 몸체부의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구비되며,
    제1 절삭부와 제2 절삭부의 이격 폭은 제1 몸체부의 첨단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제1 몸체부의 첨단에는 절삭부가 형성되면서 복수의 첨단 돌출부가 둘레방향으로 구비되는 거상부가 마련되며,
    복수의 첨단 돌출부는,
    제1 첨단 돌출부와 이와 대응되는 제2 첨단 돌출부가 첨단에서 서로 연장 접촉되며, 제1,2 첨단 돌출부를 제외한 나머지 돌출부는 제1,2 첨단 돌출부가 형성된 높이의 위치에서 서로 접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
KR1020160173415A 2016-12-19 2016-12-19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 KR20180070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415A KR20180070887A (ko) 2016-12-19 2016-12-19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415A KR20180070887A (ko) 2016-12-19 2016-12-19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887A true KR20180070887A (ko) 2018-06-27

Family

ID=62789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415A KR20180070887A (ko) 2016-12-19 2016-12-19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08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4545A (zh) * 2018-09-11 2018-12-21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颧种植手术上颌窦黏膜保护套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043A (ko) 2008-04-04 2009-10-08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상악동 거상용 드릴 툴
KR101113306B1 (ko) 2010-04-27 2012-03-16 (주) 케이제이 메디텍 상악동 거상술용 드릴 유닛
KR101182335B1 (ko) 2012-03-26 2012-09-20 허덕수 상악골 천공 드릴
JP2013510654A (ja) 2009-11-11 2013-03-28 ガイデッド サージェリー ソリューションズ エルエルシー 手術用ガイド
KR101621373B1 (ko) 2014-08-08 2016-05-17 주식회사 디오 무피판거상 시술을 위한 상악동 드릴링 키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6043A (ko) 2008-04-04 2009-10-08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상악동 거상용 드릴 툴
JP2013510654A (ja) 2009-11-11 2013-03-28 ガイデッド サージェリー ソリューションズ エルエルシー 手術用ガイド
KR101113306B1 (ko) 2010-04-27 2012-03-16 (주) 케이제이 메디텍 상악동 거상술용 드릴 유닛
KR101182335B1 (ko) 2012-03-26 2012-09-20 허덕수 상악골 천공 드릴
KR101621373B1 (ko) 2014-08-08 2016-05-17 주식회사 디오 무피판거상 시술을 위한 상악동 드릴링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4545A (zh) * 2018-09-11 2018-12-21 上海交通大学医学院附属第九人民医院 颧种植手术上颌窦黏膜保护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942B1 (ko) 상악동막 거상용 드릴
KR100660374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US9198743B2 (en) Unitary alveolar bone chisel and spreader osteotome for a dental implant
KR101978669B1 (ko) 뼈 조직 밀링용의, 특히 서머스 기술에 따라 상악동을 거상하거나, 엑스트라 쇼트 임플란트를 위치결정하기 위한 도구
US8075564B2 (en) Piezotome for maxillary sinus operation
KR100930911B1 (ko) 다단구조를 이용한 치과용 임플란트 드릴
KR100850437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보조기구
KR100981717B1 (ko) 상악동 거상용 드릴 툴
TR201815665T4 (tr) İmplant cerrahi̇ i̇çi̇n cerrahi̇ matkap.
KR100660375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US20110008746A1 (en) Apparatus of liquid injecting for lifting maxillary sinus mucous membrance and the method for the same utilizing this apparatus
KR101373363B1 (ko) 임플란트 시술용 상악동 거상공구
KR100981718B1 (ko) 임플란트 시술용 드릴
KR100981716B1 (ko) 상악동 거상용 드릴 툴
KR20180070887A (ko) 상악동 거상술 가이드용 리머 장치
US20160074140A1 (en) Dental sinus lift device for implant rehabilitation
US201901673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ntal implant surgery
KR200450918Y1 (ko) 임플란트시술용 초음파수술기의 천공 팁
EP2689742A2 (en) Bone carving tool for creating convex ridge for inner border of initial hole for placement of implant hole
KR10209354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EP3207897B1 (en) Tool for detaching the schneider's membrane from the sinus floor
KR100950592B1 (ko) 상악동 거상술을 위한 임플란트 드릴
KR100945730B1 (ko) 상악동 골이식 어셈블리
KR100864085B1 (ko) 임플랜트시스템
KR102197978B1 (ko) 상악동 점막 거상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