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863A - 저팽창성 파워 스티어링 호스 - Google Patents

저팽창성 파워 스티어링 호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863A
KR20180070863A KR1020160173360A KR20160173360A KR20180070863A KR 20180070863 A KR20180070863 A KR 20180070863A KR 1020160173360 A KR1020160173360 A KR 1020160173360A KR 20160173360 A KR20160173360 A KR 20160173360A KR 20180070863 A KR20180070863 A KR 201800708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layer
power steering
weight
steering hos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3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0863A/ko
Publication of KR2018007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8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ynthetic rubber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8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5/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8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향상된 내팽창성을 갖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파워 스티어링 호스는 튜브 형태의 고무층; 및 상기 고무층에 박혀있는 보강재를 포함하고, 0 Mpa로부터 10.3 MPa로 압력을 증가시켰을 때의 길이 변화율이 -2% 내지 2%이고, 8.97 Mpa의 압력이 30초 동안 가해졌을 때의 부피 팽창량이 3cc/ft 내지 8cc/ft이다.

Description

저팽창성 파워 스티어링 호스{Power Steering Hose of Low Expansivity}
본 발명은 파워 스티어링 호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향상된 내팽창성(expansion resistance)을 갖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이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호스들 중 하나인 파워 스티어링 호스는 핸들을 돌리는데 소모되는 힘을 줄여주는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이용되는 호스이다.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은 두 개의 유압 라인들을 포함한다.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에 의하면, 핸들이 직진 방향으로 정렬된 경우에는 상기 두 개의 유압 라인들을 통해 동일한 유압이 제공되는 반면, 핸들을 돌리는 순간 두 개의 유압 라인들을 통해 상이한 압력이 제공됨으로써 용이한 핸들 조작이 가능해진다.
고압 유체를 운반하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는 우수한 내압성(pressure resistance), 즉 내팽창성을 가질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파워 스티어링 호스는 업계에서 요구되는 수준의 내팽창성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즉, 고압의 유체가 흐름에 따라 호스의 부피가 용인될 수 있는 수준을 초과하여 팽창하고 그 길이마저 과도하게 변하는 문제가 있었고, 그로 인해, 호스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관련 기술의 제한 및 단점들에 기인한 문제점들을 방지할 수 있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향상된 내팽창성을 갖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관점들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설명되거나, 그러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튜브 형태(tubular shape)의 고무층; 및 상기 고무층에 박혀있는(embedded) 보강재(reinforcement)를 포함하고, 0 Mpa로부터 10.3 MPa로 압력을 증가시켰을 때의 길이 변화율이 -2% 내지 2%이고, 8.97 Mpa의 압력이 30초 동안 가해졌을 때의 부피 팽창량이 3cc/ft 내지 8cc/f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가 제공된다.
상기 보강재는 편조물(braid)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편조물은 400 데니어(denier) 내지 1100 데니어의 총섬도를 갖는 멀티필라멘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멀티필라멘트는 400개 내지 700개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들은 나일론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층은, 튜브 형태의 내부 고무층(inner rubber layer); 상기 내부 고무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보강재가 박혀있는 함침 고무층(impregnation rubber layer); 및 상기 함침 고무층 상의 외부 고무층(outer rubber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침 고무층은 0.1mm 내지 2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강재는 편조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편조물은 400 데니어 내지 1100 데니어의 총섬도를 갖는 멀티필라멘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멀티필라멘트는 400개 내지 700개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들은 나일론6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고무층, 상기 함침 고무층, 및 상기 외부 고무층은 동일한 고무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 조성물은, 100 중량부의 베이스 수지;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산화방지제; 및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수지는, 70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의 수소화-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및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한 일반적 서술은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파워 스티어링 호스는 상온 및 고온에서 우수한 내압성 및 내팽창성을 가짐으로써, 호스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유속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그 결과, 파워 스티어링 시스템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호스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호스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드는 변경 및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호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파워 스티어링 호스(100)는 튜브 형태의 고무층(110) 및 상기 고무층(110) 내에 박혀있는 보강재(120)를 포함한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무층(110)은, 튜브 형태의 내부 고무층(111), 상기 내부 고무층(111)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보강재(120)가 박혀있는 함침 고무층(112), 및 상기 함침 고무층(112) 상의 외부 고무층(113)을 포함한다.
상기 함침 고무층(112)은 0.1mm 내지 2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 고무층(111), 상기 함침 고무층(112), 및 상기 외부 고무층(113)은 동일한 고무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우수한 내열성(thermal resistance), 내유성(oil resistance) 및 내후성(weather resistance)을 갖는 고무층(1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고무 조성물은, 100 중량부의 베이스 수지;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산화방지제; 및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수지는, 70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의 수소화-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및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내부 고무층(111), 상기 함침 고무층(112), 및 상기 외부 고무층(113)은 상이한 고무 조성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일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상기 내부 고무층(111)은 우수한 내열성 및 내유성을 갖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또는 클로로술포네이티드 폴리에틸렌 고무(CSM)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보강재(120)를 구성하는 섬유들간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함침 고무층(112)은 천연고무(NR),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DM), 또는 에피클로로하이드린 고무(ECO)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상기 외부 고무층(113)은 우수한 내열성 및 내후성을 갖는 클로로프렌 고무(CR), 클로리네이티드 폴리에틸렌 고무(CPE), 또는 클로로술포네이티드 폴리에틸렌 고무(CSM)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보강재(120)는 섬유로 제조된 원단(fabric), 예를 들어 편조물(braid)일 수 있다.
도 1에는 1겹의 편조물만이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보강재(120)는 2겹의 편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편조물은 파워 스티어링 호스(100)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내부 고무층(111)을 감는 제1 멀티필라멘트들과 상기 호스(100)의 길이방향에 수형인 방향으로 상기 내부 고무층(111)을 감는 제2 멀티필라멘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멀티필라멘트는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멀티필라멘트들 중 어느 하나의 위를 가로지른 후 다른 하나의 밑을 지나갈 수 있다(이하, “1-over & 1-under 패턴”이라 칭함).
대안적으로, 한 쌍의 제1 멀티필라멘트들은 한 쌍의 제2 멀티필라멘트들의 위를 가로지른 직후 다른 한 쌍의 제2 멀티필라멘트들의 밑을 지나갈 수 있다(이하, “2-over & 2-under 패턴”이라 칭함).
또 다른 대안으로, 3개의 서로 인접한 제1 멀티필라멘트들이 3개의 서로 인접한 제2 멀티필라멘트들의 위를 가로지른 직후 3개의 서로 인접한 다른 제2 멀티필라멘트들의 밑을 지나갈 수도 있다(이하, “3-over & 3-under 패턴”이라 칭함).
편조물(120)을 구성하는 멀티필라멘트의 파단강도(strength at break)가 클수록 파워 스티어링 호스(100)의 내팽창성이 더 높은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져 왔다. 멀티필라멘트의 파단강도는 그 인장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총 섬도가 클수록 커진다. 즉, 멀티필라멘트의 인장강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그 총 섬도가 클수록 파워 스티어링 호스(100)의 내팽창성이 더 높은 것으로 일반적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필라멘트의 인장강도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거나 그 총 섬도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오히려 파워 스티어링 호스(100)의 내팽창성이 저하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파워 스티어링 호스(100)의 내팽창성을 업계에서 요구되는 수준 이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편조물(120)은 400 데니어(denier) 내지 1100 데니어의 총섬도를 갖는 멀티필라멘트로 형성된다.
또한, 파워 스티어링 호스(100)의 내팽창성은 상기 멀티필라멘트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들의 개수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멀티필라멘트는 400개 내지 700개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한다.
상기 필라멘트들은 지방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섬유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나일론66으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호스(100)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100 중량부의 베이스 수지(70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의 수소화-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와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에틸렌 공중합체의 혼합물),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산화방지제, 및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을 준비한다.
이어서, 상기 고무 조성물을 폐쇄형 혼합기(bunbury mixer)에서 상온에서 24시간 이상 숙성시킨다.
이어서, 기본 압출 조건(압출기 헤드온도: 60℃ 내지 90℃, 스크류 온도: 40℃ 내지 50℃, 스크류 회전수: 5 RPM 내지 40 RPM)에서 멘드렐(mandrel)의 존재 하에 상기 고무 조성물을 압출함으로써 내부 고무층(111)을 형성한다. 상기 원기둥 형태의 멘드렐의 표면 상에 상기 고무 조성물이 압출됨으로써 상기 내부 고무층(111)이 튜브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 고무층(111)이 형성될 때, 상기 내부 고무층(111)의 외표면을 감싸는 편조물(120)을 1-over & 1-under 패턴, 2-over & 2-under 패턴, 또는 3-over & 3-under 패턴으로 형성한다.
도 1에는 1겹의 편조물(120)만이 예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고무층(111) 상에 2겹의 편조물(12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편조물(120)을 상기 내부 고무층(111)용 고무 조성물과 동일 또는 상이한 고무 조성물로 함침시킴으로써 함침 고무층(112)을 형성한다. 상기 함침 고무층(112)은 0.1mm 내지 2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침 고무층(112)은 상기 편조물(120)을 구성하는 멀티필라멘트들 간의 미끄러짐 및 마찰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내부 고무층(111)을 위한 압출 조건에서 상기 내부 고무층(111)용 고무 조성물과 동일 또는 상이한 고무 조성물을 압출함으로써 상기 함침 고무층(112) 상에 외부 고무층(113)을 형성한다.
이어서, 나일론 등의 테이프로 상기 외부 고무층(113)의 외표면을 래핑(wrapping)하거나,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커버링 처리(두께: 0.5mm 내지 5mm)를 수행한다.
이어서, 2 atm 내지 10 atm의 압력 및 120℃ 내지 180℃의 온도 하에서 10분 내지 5시간 동안 스팀 가교 또는 연속 가류를 실시한다.
이어서, 상기 멘드렐과 래핑 테이프(또는 커버링 수지)를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파워 스티어링 호스(100)를 완성한다.
위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파워 스티어링 호스(100)는, 0 Mpa로부터 10.3 MPa로 압력을 증가시켰을 때의 길이 변화율이 -2% 내지 2%,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5%이고, 8.97 Mpa의 압력이 30초 동안 가해졌을 때의 부피 팽창량이 3cc/ft 내지 8cc/ft, 바람직하게는 5cc/ft 내지 7.5cc/ft, 더욱 바람직하게는 6cc/ft 내지 7cc/ft이다.
상기 길이 변화율이 -2% 내지 2%를 벗어나거나 상기 부피 팽창량이 3cc/ft 내지 8cc/ft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수시로 변하는 환경에 노출되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게 되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100)에 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균열로 인해, 정상적인 압력하에서도 누유(leakage of oil) 및/또는 호스 파열이 야기된다. 특히, 상기 길이 변화율이 2%를 초과하거나 상기 부피 팽창량이 8cc/ft를 초과할 경우, 조향에 필요한 균일한 압력 생성이 불가능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조향 불능 상태가 유발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호스(200)를 설명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워 스티어링 호스(200)은 튜브 형태의 고무층(210) 및 상기 고무층(210) 내에 박혀있는 보강재(220)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재(220)는 제1 편조물(221) 및 제2 편조물(22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편조물들(221, 222)은 400 데니어(denier) 내지 1100 데니어의 총섬도를 갖고, 400개 내지 700개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는 멀티필라멘트를 이용하여 1-over & 1-under 패턴, 2-over & 2-under 패턴, 또는 3-over & 3-under 패턴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라멘트들은 지방족 폴리아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섬유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나일론66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무층(210)은 튜브 형태의 내부 고무층(211), 상기 내부 고무층(211)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편조물(221)이 박혀있는 제1 함침 고무층(212), 상기 제1 함침 고무층(212) 상의 중간 고무층(213), 상기 중간 고무층(213) 상에 위치하며 제2 편조물(222)이 박혀있는 제2 함침 고무층(214), 및 상기 제2 함침 고무층(214) 상의 외부 고무층(215)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함침 고무층들(212, 214) 각각은 0.1mm 내지 2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 중간 및 외부 고무층들(211, 213, 215)과 상기 제1 및 제2 함침 고무층들(212, 214)은 동일한 고무 조성물, 예를 들어, 100 중량부의 베이스 수지;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산화방지제; 및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수지는, 70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의 수소화-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및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4
100 중량부의 베이스 수지(75 중량부의 수소화-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와 25 중량부의 에틸렌 공중합체의 혼합물), 2.5 중량부의 산화방지제, 및 2.5 중량부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을 폐쇄형 혼합기(bunbury mixer)에서 상온에서 24시간 이상 숙성시켰다. 이어서, 기본 압출 조건(압출기 헤드온도: 90℃, 스크류 온도: 40℃, 스크류 회전수: 35 RPM)에서 원기둥 형태의 멘드렐(mandrel)의 표면 상에 상기 고무 조성물을 압출함으로써 튜브 형태의 내부 고무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내부 고무층이 형성될 때, 상기 내부 고무층의 외표면을 감싸는 편조물을 1-over & 1-under 패턴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편조물 형성을 위해 사용된 멀티필라멘트의 총 섬도, 필라멘트 개수 및 인장강도는 아래의 표 1과 같았다.
상기 편조물을 상기 내부 고무층용 고무 조성물과 동일한 고무 조성물로 함침시킴으로써 1mm 두께의 함침 고무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내부 고무층과 동일한 압출 조건에서 동일한 고무 조성물을 압출함으로써 상기 함침 고무층 상에 외부 고무층을 형성하였다. 나일론 테이프로 상기 외부 고무층의 외표면을 래핑(wrapping)한 후 5 atm의 압력 및 160℃의 온도 하에서 80분 동안 가류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상기 멘드렐과 래핑 테이프를 제거함으로써 파워 스티어링 호스를 완성하였다.
총 섬도 (denier) 필라멘트 개수 (ea)
실시예1 415 680
실시예2 750 680
실시예3 1050 480
비교예1 1882 390
비교예2 405 390
비교예3 1882 680
비교예4 750 390
위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의 파워 스티어링 호스들의 길이 변화율 및 부피 팽창량을 아래와 같이 각각 구하였고, 그 결과들을 아래의 표 2에 나타내었다.
* 길이 변화율(%)
SAE J188 9/11 규격에 따라, 상온에서 파워 스티어링 호스에 가해지는 압력을 0 Mpa로부터 10.3 MPa로 증가시키면서 압력 0 Mpa에서의 초기 길이 및 압력 10.3 MPa에서의 최종 길이를 각각 측정하였고, 아래의 식 1에 따라 파워 스티어링 호스의 길이 변화율을 산출하였다.
식 1: 길이 변화율(%) = [(최종 길이 - 초기 길이)/초기 길이] * 100
* 부피 팽창량(cc/ft)
SAE J188 9/7 규격에 따라 파워 스티어링 호스의 부피 팽창량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파워 스티어링 호스에 9 MPa의 압력을 30초 동안 가한 후 0 MPa에서 2분 동안 방치하였다. 이어서, 유입 밸브(inlet valve)를 닫고 1분 동안 더 방치한 후 배출 밸브(outlet valve)를 닫았다. 이어서, 상기 파워 스티어링 호스의 부피 팽창량을 측정하였다.
편조물의 멀티필라멘트 파워 스티어링 호스
총 섬도
(denier)
필라멘트 개수
(ea)
길이 변화율
(%)
부피 팽창량
(cc/ft)
내구성
파열 누유
실시예1 415 680 1.5 7.8 × ×
실시예2 750 680 0.3 4.2 × ×
실시예3 1050 480 -1 3.2 × ×
비교예1 1882 390 2.5 7.3 -
비교예2 405 390 3.5 8.4 -
비교예3 1882 680 2.6 7.2 -
비교예4 750 390 2.5 7.7 -
위 표 2로부터, 편조물의 제조에 이용된 멀티필라멘트의 총 섬도가 1100 데니어를 초과하는 경우(비교예 1 및 3)는 물론이고 상기 멀티필라멘트를 구성하는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400개 미만인 경우(비교예 1, 2 및 4), 상기 편조물을 보강재로서 포함하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의 길이 변화율이 2%를 훨씬 초과하였고, 부피 팽창량도 7 cc/ft를 초과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멀티필라멘트의 총 섬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405 데니어이면서 필라멘트들의 개수가 400개 미만인 비교예 2의 경우, 파워 스티어링 호스의 길이 변화율 및 부피 팽창량 모두 업계의 기준치를 훨씬 초과하는 3.5 % 및 8.4 cc/ft를 각각 나타내었다.
100, 200: 파워 스티어링 호스
110, 210: 고무층 111, 211: 내부 고무층
112: 함침 고무층 113: 외부 고무층
212: 제1 함침 고무층 213: 중간 고무층
214: 제2 함침 고무층 215: 외부 고무층
120, 220: 보강재(편조물)
221: 제1 편조물 222: 제2 편조물

Claims (9)

  1. 튜브 형태(tubular shape)의 고무층; 및
    상기 고무층에 박혀있는(embedded) 보강재(reinforcement)를 포함하고,
    0 Mpa로부터 10.3 MPa로 압력을 증가시켰을 때의 길이 변화율이 -2% 내지 2%이고,
    8.97 Mpa의 압력이 30초 동안 가해졌을 때의 부피 팽창량이 3cc/ft 내지 8cc/f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편조물(braid)을 포함하며,
    상기 편조물은 400 데니어(denier) 내지 1100 데니어의 총섬도를 갖는 멀티필라멘트로 형성되며,
    상기 멀티필라멘트는 400개 내지 700개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들은 나일론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층은,
    튜브 형태의 내부 고무층(inner rubber layer);
    상기 내부 고무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보강재가 박혀있는 함침 고무층(impregnation rubber layer); 및
    상기 함침 고무층 상의 외부 고무층(outer rubber layer)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 고무층은 0.1mm 내지 2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편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편조물은 400 데니어 내지 1100 데니어의 총섬도를 갖는 멀티필라멘트로 형성되며,
    상기 멀티필라멘트는 400개 내지 700개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들은 나일론6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고무층, 상기 함침 고무층, 및 상기 외부 고무층은 동일한 고무 조성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조성물은,
    100 중량부의 베이스 수지;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의 산화방지제; 및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가교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수지는,
    70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의 수소화-아크릴로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및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스티어링 호스.
KR1020160173360A 2016-12-19 2016-12-19 저팽창성 파워 스티어링 호스 KR201800708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360A KR20180070863A (ko) 2016-12-19 2016-12-19 저팽창성 파워 스티어링 호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360A KR20180070863A (ko) 2016-12-19 2016-12-19 저팽창성 파워 스티어링 호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863A true KR20180070863A (ko) 2018-06-27

Family

ID=62790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360A KR20180070863A (ko) 2016-12-19 2016-12-19 저팽창성 파워 스티어링 호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08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0686B1 (ko) 제어 신축 호스
US8714203B2 (en) Hybrid high pressure hose
US6688339B2 (en) Composite high-pressure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ube
US4158033A (en) Halogenated butyl interlayer for reinforced elastomeric hose articles
US5445191A (en) High pressure brake hose with reinforcing layer of nonwater-based adhesive coated polyvinyl alcohol fibers
US7017616B2 (en) Reinforced hose
JPH02190692A (ja) ゴムホース
US2016013128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rubber hose
PT100343A (pt) Processo de realizacao em continuo de uma estrutura tubular flexivel incluindo uma folha de camada unica de espessura micrometrica incorporada e estruturas tubulares flexiveis realizadas de acordo com este processo
PT100342A (pt) Processo de realizacao em continuo de uma estrutura tubular flexivel incluindo uma folha de camadas multiplas de espessura micrometrica incorporada e estruturas tubulares flexiveis realizadas de acordo com este processo
CN104395661A (zh) 通过玻璃纤维帘线织物加强的耐火软管
JP2007125694A (ja) 燃料ホース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6002264A1 (ja) 燃料ホース
JPH04337186A (ja) ホース
EP1314924B1 (en) Brake ho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rake hose
KR20180070863A (ko) 저팽창성 파워 스티어링 호스
US8807174B2 (en) Hose for fluids pulsating at high pressure and frequency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2266487B1 (ko) 콘크리트 도킹호스 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도킹호스
JPH0655693A (ja) 自動車燃料配管用ホース
JP4976017B2 (ja) 高圧ホース
WO1999015326A1 (en) Improved flexible hose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464506B2 (ko)
GB2533928A (en) Multi-channel ho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channel hose
JP7243041B2 (ja) 高圧ホー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241023B1 (ko) 구슬밴드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 고무 호스 및 이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