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420A -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420A
KR20180070420A KR1020167021742A KR20167021742A KR20180070420A KR 20180070420 A KR20180070420 A KR 20180070420A KR 1020167021742 A KR1020167021742 A KR 1020167021742A KR 20167021742 A KR20167021742 A KR 20167021742A KR 20180070420 A KR20180070420 A KR 20180070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style
keyboard
style
operation mode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17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앙시옹 우
리앙 장
케 왕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8007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5Guidance during keyboard input operation, e.g. prom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단말 기술 분야에 속한다. 상기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은, 표시되는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는 단계;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고,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는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보다 작은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KEYBOARD STYLE}
본원 발명은 출원번호가 201510781612.3이고 출원일자가 2015년 11월 13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하였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은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단말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 표시 효과에 대한 사용자의 수요가 날로 높아감에 따라 현재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도 점점 커지고 있으나, 빅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표시 효과를 향상시키지만 또한 사용자의 한손 동작에 있어서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사용자가 빅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한손 동작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단말기는 한손 동작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바, 단말기가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할 때 현재의 표시 화면을 축소시키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에서 축소 후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어 사용자로 하여금 축소 후의 표시 화면 상의 임의의 위치에서 모두 한손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단말기는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입력 영역과 풀 키보드를 표시하고, 이때 만약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면 단말기는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축소시키고, 축소 후의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축소 후의 입력 영역과 축소 후의 풀 키보드를 나타낸다.
관련 기술 중에 존재하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에 근거하여,
표시되는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는 단계;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고,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는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보다 작은 단계를 포함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은,
상기 한손 동작 모드를 닫기할 때, 상기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을 제1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은,
키보드에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에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는 것이 결정되면, 사용자에게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롬프팅 메시지에 대한 결정 동작이 검출될 때,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는 단계는,
만약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으로 이미 결정하고 또한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는 단계는,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고 또한 현재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직 스크린 상태에 있으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은,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은 풀 키보드 스타일이고,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은 나인 스퀘어(nine-square) 스타일인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태에 근거하여,
표시되는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기 위한 모드 처리 모듈;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판정 모듈; 및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는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보다 작은 제1 전환 모듈을 포함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는,
상기 한손 동작 모드를 닫기할 때, 상기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을 제1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기 위한 제2 전환 모듈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는,
키보드에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2 판정 모듈;
상기 키보드에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는 것이 결정되면, 프롬프팅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롬프팅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프롬프팅하기 위한 것인 프롬프팅 모듈; 및
상기 프롬프팅 메시지에 대한 결정 동작이 검출될 때,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환 모듈은 또한,
만약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으로 이미 결정하고 또한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환 모듈은 또한,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고 또한 현재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직 스크린 상태에 있으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은 풀 키보드 스타일이고,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은 나인 스퀘어 스타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양태에 근거하여,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서세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표시되는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고;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인지 여부를 판정하며;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는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보다 작은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기술적 해결수단은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할 때 현재의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큰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 입력 시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정상적인 입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며,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의 입력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이 부분의 도면은 명세서의 일부분으로서 명세서 전체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맞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2a는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2b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의 프롬프팅 메시지의 모식도이다.
도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4는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장점이 더욱 명확해지도록, 이하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이를 첨부되는 도면에 예시적으로 나타냈다. 하기에서 첨부되는 도면에 대해 설명할 때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부 양태와 일치한 장치와 방법에 대한 예일 뿐이다.
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우선 본 실시예에 관한 한손 동작 모드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너무 클 때, 사용자에 의한 한손 동작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중의 많은 위치에 닿을 수 없으므로 한손 동작이 상당히 어렵다. 만약 단말기가 현재 장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한 상황에서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면 현재의 장면 인터페이스를 축소시키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에 축소시킨 후의 장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은 축소 후의 장면 인터페이스 중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 닿을 수 있어, 축소 후의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한손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의 흐름도로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은 단말기에 사용되어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101에서, 표시되는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한다.
단계 102에서,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103에서,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고,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는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보다 작다.
관련 기술에서,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할 때,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면 현재의 화면이 축소되어 이와 대응되게 키보드도 축소하게 된다. 그러나 키보드에는 여러가지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고, 각 키보드 스타일의 입력 영역의 사이즈도 상이하여,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키보드 스타일일 때, 키보드를 축소한 후 입력 영역 사이즈 역시 과도하게 축소되어 사용자 입력 시 오동작이 쉽게 발생하므로, 사용자의 정상적인 입력에 영향을 미치고 입력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할 때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제1 키보드 스타일이면 단말기는 자동적으로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큰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시킬 수 있고, 키보드가 축소된 후에도 입력 영역 사이즈가 너무 작지 않도록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 입력 시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정상적인 입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며,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의 입력 효율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한손 동작 모드 작동 시에 현재의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큰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시킴으로써 사용자 입력 시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정상적인 입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며,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의 입력 효율을 향상시킨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은,
상기 한손 동작 모드를 닫기할 때, 상기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을 제1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은,
키보드에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에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는 것이 결정되면, 사용자에게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롬프팅 메시지에 대한 결정 동작이 검출될 때,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는 단계는,
만약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으로 이미 결정하고 또한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는 단계는,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고 또한 현재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직 스크린 상태에 있으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은 풀 키보드 스타일이고,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은 나인 스퀘어(nine-square) 스타일이다.
상기 모든 선택 가능한 기술적 해결수단에 의하면, 임의의 결합으로 본 발명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2a는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의 흐름도로서,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은 단말기에 사용되고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201에서, 단말기에 제1 장면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고,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휴대폰, 태블릿PC, 컴퓨터 등 기기일 수 있고, 특히는 상기 단말기는 빅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배치되어 있는 기기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말기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가 한손 동작 모드를 닫기 할 때의 모드를 정상 동작 모드로 하고, 제1 장면 인터페이스를 단말기가 정상 동작 모드 하에서 표시되는 화면으로 하며, 상기 제1 장면 인터페이스의 사이즈는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사이즈와 동일하거나 상기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사이즈보다 작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장면 인터페이스는 정상 동작 모드 하에서 표시되는 통화, 메시지, 게임, 비디오 재생, 브라우저 검색 등 인터페이스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제1 장면 인터페이스 하에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사이즈가 너무 크면 사용자에 의한 한손 동작으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중의 많은 위치에 닿을 수 없으므로 한손 동작이 상당히 어렵다. 사용자의 한손 동작이 편리해지도록, 단말기는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한다. 여기서, 한손 동작 모드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장면 인터페이스 중에 표시되는 데이터량에 근거하여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의 트리거링 동작에 근거하여 작동할 수도 있으며, 상기 동작은 단말기의 홈(Home) 버튼을 더블 클릭하는 동작이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길게 누르는 동작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기에서 표시되는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한 후, 현재의 장면 인터페이스를 축소시키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하측에 축소 후의 장면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는 즉, 제2 장면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며, 이때 사용자의 손가락은 축소 후의 장면 인터페이스 중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 닿을 수 있어 축소 후의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한손 동작을 할 수 있게 된다.
단말기는 제1 장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때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한 후 제2 장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바, 상기 제2 장면 인터페이스의 사이즈는 상기 제1 장면 인터페이스의 사이즈보다 작다. 이때,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1 사전 설정된 범위에서 제2 장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고, 후속의 과정에서 단말기가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 대한 위치 전환 인스트럭션을 수신하면,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제2 사전 설정된 범위에서 제2 장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사전 설정된 범위와 상기 제2 사전 설정된 범위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중의 상이한 위치에 있고, 제1 사전 설정된 범위와 제2 사전 설정된 범위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직하측, 좌하측 또는 우하측 등 사용자의 한손 동작이 편리한 위치에 있을 수 있으며 제1 사전 설정된 범위와 제2 사전 설정된 범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사전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될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스크린 우하측을 클릭하여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면,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우하측에 제2 장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이때 사용자는 오른손으로 한손 동작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오른손을 사용하여 오래동안 동작함으로 인해 피로감을 느낄 때 스크린 좌하측을 클릭하여 위치 전환 인스트럭션을 트리거링할 수 있고, 단말기는 위치 전환 인스트럭션을 수신한 후 디스플레이 스크린의 좌하측에 제2 장면 인터페이스을 표시하여 사용자가 왼손을 사용하여 한손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단계 202에서, 단말기는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이면 단계 203을 수행하고, 제1 키보드 스타일이 아니면 단계 205를 수행한다.
단말기가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한 후 표시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의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것을 감안하여, 만약 사용자가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하고자 할 때 상기 단말기에 표시되는 키보드 사이즈도 비교적 작다. 키보드에는 여러가지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고, 각 키보드 스타일의 입력 영역 사이즈도 상이하다.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키보드 스타일이면,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에 따라 키보드를 표시할 때 입력 영역 사이즈가 너무 작게 되어, 사용자가 입력 시에 오동작이 쉽게 유발되고 사용자의 정상적인 입력에 영향을 미쳐 입력 효율이 아주 낮아진다. 여기서, 키보드의 입력 영역은 키보드에서 제공되는 버튼일 수 있고, 키보드에서 사용자의 슬라이드 동작을 식별하기 위한 영역일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입력 영역 사이즈가 너무 작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말기는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할 때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인지 여부를 사전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키보드 스타일은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키보드 스타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은 풀 키보드 스타일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은 상기 단말기가 각 키보드 스타일의 입력 영역 사이즈에 근거하여 결정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은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 키보드 스타일을 포함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이면,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한 후, 제2 장면 인터페이스 중의 키보드의 입력 영역 사이즈가 너무 작아 사용자의 한손 동작에 따른 정상적인 입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므로, 사용자의 한손 동작에 따른 정상적인 입력을 위하여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할 때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시켜야 하고, 단계 203을 수행하여 사용자 입력 시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이 아니면,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한 후, 제2 장면 인터페이스 중의 키보드의 입력 영역 사이즈가 충분히 커서 사용자의 한손 동작에 따른 정상적인 입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단말기가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할 때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시키지 않아도 되고 단계 205를 직접 수행하여 제2 장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을 기반으로 입력하기만 하면 된다.
단계 203에서, 단말기는 키보드에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제2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만약 키보드에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제2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는 것이 결정되면 프롬프팅 메시지를 표시한다.
여기서, 제2 키보드 스타일은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큰 키보드 스타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은 나인 스퀘어 스타일 또는 수기 키보드 스타일일 수 있다.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은 상기 단말기가 각 키보드 스타일의 입력 영역 사이즈에 근거하여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은 한가지 또는 여러가지 키보드 스타일을 포함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제1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가 제2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보다 작은 바, 예를 들면 제1 키보드 스타일이 풀 키보드 스타일이면 제2 키보드 스타일은 나인 스퀘어 스타일이고, 또는 제1 키보드 스타일이 나인 스퀘어 스타일이면 제2 키보드 스타일은 수기 키보드 스타일이다.
입력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단말기가 현재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하면 키보드에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제2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도 있다. 만약 키보드에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제2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이는 상기 키보드는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제2 키보드 스타일 사이에서 전환될 수 없음을 의미하므로, 더이상 전환하지 않고 직접 단계 205를 수행하면 된다. 그러나 만약 키보드에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제2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어 있으면, 이는 상기 키보드는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제2 키보드 스타일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이때 상기 단말기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프롬프팅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프롬프팅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프롬프팅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키보드 스타일의 전환 여부가 결정된다.
도2b를 참조하면, 도2b는 프롬프팅 메시지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으로, 단말기(20)가 정상 동작 모드에서 입력 인터페이스(22)를 표시하고, 입력 인터페이스(22) 중의 키보드의 키보드 스타일은 풀 키보드 스타일(26)이며, 상기 키보드가 풀 키보드 스타일과 나인 스퀘어 스타일의 전환을 지원할 때, 사용자가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의 정상적인 입력이 편리해지도록 단말기는 프롬프팅 메시지(24)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한손 동작 모드를 트리거링할 때 입력 키보드를 나인 스퀘어 스타일로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프롬프팅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단계 203은 선택 가능한 단계로서, 상기 단말기는 단계 203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고,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직접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시키며, 본 실시예는 단계 203의 수행 여부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204에서, 단말기에 의해 사용자가 프롬프팅 메시지에 대한 결정 동작이 검출될 때,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하는 것으로 결정하면,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고, 제2 키보드 스타일을 기반으로 입력하여 단계 206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을 허락할 때, 프롬프팅 메시지에 대한 결정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 있고, 단말기에 의해 사용자가 프롬프팅 메시지에 대한 결정 동작이 검출될 때,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시킨다.
도2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프롬프팅 메시지(24) 중의 결정 버튼을 클릭하면, 단말기에 의해 사용자가 프롬프팅 메시지에 대한 결정 동작이 검출되고, 사용자의 허락에 의해 한손 동작 모드를 트리거링할 때 나인 스퀘어 스타일로 자동적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결정되며, 단말기는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한 후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도2b 중의 풀 키보드 스타일(26)을 나인 스퀘어 스타일로 전환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나인 스퀘어 스타일을 기반으로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만약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제1 키보드 스타일의 키보드가 표시될 때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면, 단말기는 자동적 전환으로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제2 키보드 스타일의 키보드를 표시한다. 만약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키보드가 표시되지 않을 때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면, 단말기는 자동적 전환으로 제1 장면 인터페이스가 축소된 후의 제2 장면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후속적으로 만약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에 따른 키보드 활성화 동작이 검출되면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제2 키보드 스타일의 키보드를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제2 키보드 스타일을 기반으로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이면, 수평 스크린 상태 하에서의 표시 영역이 비교적 큰 것을 감안하여, 수평 스크린 상태 하에서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여도 제2 장면 인터페이스 중의 제1 키보드 스타일의 입력 영역 사이즈는 충분히 크고 사용자의 정상적인 입력에 지나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실현할 때 수평 스크린 상태의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의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시키지 않고 단지 수직 스크린 상태의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의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시킨다. 즉,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고 또한 현재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직 스크린 상태에 있으면,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시킨다.
예를 들면,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현재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직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현재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직 스크린 상태에 있으면,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시키고, 제2 키보드 스타일을 기반으로 입력한다. 만약 현재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평 스크린 상태에 있으면,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시키지 않고, 여전히 제1 키보드 스타일을 기반으로 입력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실시예는 단지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 시 단계 203과 단계 204를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 것이다. 실제로 실현할 때 단계 203과 단계 204는 정상 동작 모드 하에서의 어느 하나의 시점에 수행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정상 동작 모드 하에서 사용자에 따른 키보드 호출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 검출되거나 또는 단말기가 재부팅될 때 수행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단계 203과 단계 204의 수행 시점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 205에서, 단말기는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제2 장면 인터페이스을 표시하고,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을 기반으로 입력한다.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할 때,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시키지 않고 제2 장면 인터페이스을 직접 표시한다. 후속의 과정에서, 사용자에 따른 키보드 호출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 검출되면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여전히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 즉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기 전의 키보드 스타일을 표시하고, 이때 사용자는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을 기반으로 입력할 수 있다.
단계 206에서, 단말기가 한손 동작 모드를 닫기할 때,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제2 키보드 스타일을 제1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제1 장면 인터페이스 중에 표시되는 데이터량에 따라 한손 동작 모드를 자동적으로 닫거나 또는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의 사용자의 트리거링 동작에 근거하여 상기 모드를 닫을 수 있는 바, 상기 동작은 단말기의 홈(Home) 버튼을 더블 클릭하는 동작이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을 길게 누르는 동작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기가 한손 동작 모드를 닫기할 때, 제2 키보드 스타일은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기 전의 제1 키보드 스타일로 회복되고, 만약 후속의 과정에서 사용자에 따른 키보드 호출 동작이 검출되면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제1 키보드 스타일에 따라 키보드를 표시하는 바, 이때 사용자는 제1 키보드 스타일을 기반으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기 전의 키보드 스타일이 풀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가정하면, 한손 동작 모드 하의 키보드 스타일은 나인 스퀘어 스타일이고, 그렇다면 한손 동작 모드를 닫기한 후, 키보드 스타일은 풀 키보드 스타일로 회복되고, 이때 사용자는 풀 키보드 스타일로 표시되는 키보드로 입력할 수 있다.
실제적인 응용에서, 단말기가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할 때,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시키기 전에 그 때의 제1 키보드 스타일을 기록하고, 다시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시키며, 후속의 과정에서 한손 동작 모드를 닫기할 때 제2 키보드 스타일을 다시 기록된 제1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시키면 된다.
본 실시예는 입력법 응용 중에 적용될 수 있으며, 현재 응용 프로그램의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입력법 응용은 현재 응용 프로그램과의 인터페이스를 호출함으로써 상기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키보드를 표시하고 키보드 스타일의 전환을 진행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단말기는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한 후, 단지 장면 인터페이스만 축소시켰을 뿐, 사용자에 대한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의 사용 장면을 최적화시키기 않았고, 축소 후의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입력하기 어려운 문제를 고려하지 않아 사용자 경험이 떨어지고 사용자 경험 수요를 만족시킬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한 후,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의 키보드 스타일의 전환을 최적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더욱 좋은 입력 사용자경험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에 의하면,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할 때 현재의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큰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 입력 시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정상적인 입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며,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의 입력 효율을 향상시키고,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도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의 블록도로서, 상기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PC, 컴퓨터 등 기기일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는 모드 처리 모듈(310), 제1 판정 모듈(320) 및 제1 전환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처리 모듈(310)은, 표시되는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판정 모듈(320)은,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전환 모듈(330)은,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는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보다 작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장치에 의하면,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할 때 현재의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큰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 입력 시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정상적인 입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며,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의 입력 효율을 향상시키고,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도4는 다른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의 블록도로서, 상기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PC, 컴퓨터 등 기기일 수 있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는 모드 처리 모듈(410), 제1 판정 모듈(420) 및 제1 전환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처리 모듈(410)은, 표시되는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판정 모듈(420)은,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전환 모듈(430)은,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는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보다 작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는,
상기 한손 동작 모드를 닫기할 때, 상기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을 제1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기 위한 제2 전환 모듈(440)을 더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는,
키보드에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2 판정 모듈(450);
상기 키보드에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는 것이 결정되면, 프롬프팅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롬프팅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프롬프팅하기 위한 것인 프롬프팅 모듈(460); 및
상기 프롬프팅 메시지에 대한 결정 동작이 검출될 때,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470)을 더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환 모듈(430)은 또한, 만약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으로 이미 결정하고 또한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환 모듈(430)은 또한,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고 또한 현재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직 스크린 상태에 있으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은 풀 키보드 스타일이고,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은 나인 스퀘어 스타일이다.
상기 실시예 중의 장치에 관하여, 그 중 각 모듈이 수행하는 동작의 구체적인 방식은 이미 관련 방법에 대한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에 의하면,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할 때 현재의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큰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 입력 시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정상적인 입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며,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의 입력 효율을 향상시키고,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의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킨다.
도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근거하여 도시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5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장치(500)는 휴대폰, 태블릿PC, 컴퓨터 등 기기일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장치(500)는 프로세싱 컴포넌트(502), 메모리(504), 전원 컴포넌트(506), 멀티미디어 컴포넌트(508), 오디오 컴포넌트(510), 센서 컴포넌트(514) 및 통신 컴포넌트(516) 중의 하나 또는 다수의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컴포넌트(502)는 통상적으로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동작 및 기록 동작과 관련한 장치(500)의 전체 동작 등을 제어한다. 프로세싱 컴포넌트(502)는 상기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520)를 포함하여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외에, 프로세싱 컴포넌트(502)는 프로세싱 컴포넌트(502)와 기타 컴포넌트 사이의 교류가 편리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싱 컴포넌트(502)는 멀티미디어 컴포넌트(508)와 프로세싱 컴포넌트(502) 사이의 교류가 편리하도록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504)는 장치(500)의 작동을 지원하도록 각종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는 장치(500)에서 작동하기 위한 그 어느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인스트럭션을 포함한다. 메모리(504)는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EP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또는 CD와 같은 모든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기기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메모리(504) 중에는, 상기 도1, 도2a 또는 도3 중의 어느 하나의 도면에 도시되는 방법 중의 전부 단계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하도록, 상기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세서(520)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모듈이 저장되어 있다.
전원 컴포넌트(506)는 장치(500)의 각종 컴포넌트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컴포넌트(506)는 전원관리시스템, 하나 또는 다수의 전원, 장치(500)에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는 것과 관련되는 기타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컴포넌트(508)는 상기 장치(500)와 사용자 사이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디스플레이(LCD)와 터치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패널을 포함하면,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하도록 터치스크린으로 실현될 수 있다. 터치패널은 터치, 슬라이딩과 터치패널의 손동작을 감지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터치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과 관련한 지속시간과 압력도 검출할 수 있다.
오디오 컴포넌트(510)는 오디오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컴포넌트(510)는 하나의 마이크(MIC)를 포함하는 바, 장치(500)가 작동모드, 예를 들어 호출모드, 기록모드 및 음성인식 모드일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신호를 수신한다. 수신된 오디오신호는 메모리(504)에 저장되거나 통신 컴포넌트(516)를 거쳐 발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컴포넌트(510)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스피커를 더 포함한다.
센서 컴포넌트(514)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장치(500)에 여러 방면의 상태평가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센서 컴포넌트(514)는 장치(500)의 온/오프상태, 컴포넌트의 상대위치를 검출할 수 있고, 센서 컴포넌트(514)는 또 장치(500) 또는 장치(500)의 한 컴포넌트의 위치변화와 장치(500)의 온도변화를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컴포넌트(514)는 자기센서, 압력센서 또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컴포넌트(516)는 장치(500)와 기타 기기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방식의 통신이 편리하도록 구성된다. 장치(500)는 통신표준에 의한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통신 컴포넌트(516)는 방송신호를 거쳐 외부 방송관리 시스템의 방송신호 또는 방송과 관련한 정보를 수신한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통신 컴포넌트(516)는 근거리 통신을 촉진하도록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모듈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NFC모듈은 무선주파수 인식(RFID) 기술, 적외선 통신규격(IrDA) 기술, 초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과 기타 기술에 기반하여 실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장치(500)는 도1 또는 도2에 사용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나 또는 다수의 응용 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신호 처리기기(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부품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인스트럭션을 포함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예를 들어 상기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을 완성하도록 장치(500)의 프로세서(520)가 실행하는 인스트럭션을 포함한 메모리(504)를 더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CD-ROM, 테이프, 플로피 디스켓과 광 데이터 저장기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명세서를 고려하여 여기서 개시한 발명을 실시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본 발명이 개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공지된 상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기술적 사상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가지 수정과 변경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실시예가 제공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에 의하면,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할 때 현재의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작은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입력 영역 사이즈가 비교적 큰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함으로써, 사용자 입력 시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정상적인 입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며,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의 입력 효율을 향상시킨다.

Claims (13)

  1.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에 있어서,
    표시되는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는 단계;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및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고,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는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보다 작은 단계를 포함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손 동작 모드를 닫기할 때, 상기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을 제1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키보드에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상기 키보드에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는 것이 결정되면, 사용자에게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프롬프팅하기 위한 프롬프팅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롬프팅 메시지에 대한 결정 동작이 검출될 때,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
  4. 제 3 항 있어서,
    상기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는 단계는,
    만약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으로 이미 결정하고 또한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는 단계는,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고 또한 현재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직 스크린 상태에 있으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은 풀 키보드 스타일이고,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은 나인 스퀘어 스타일인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
  7.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에 있어서,
    표시되는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기 위한 모드 처리 모듈;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인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1 판정 모듈; 및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가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보다 작은 제1 전환 모듈을 포함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손 동작 모드를 닫기할 때, 상기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을 제1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기 위한 제2 전환 모듈을 더 포함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키보드에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2 판정 모듈;
    상기 키보드에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과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이 포함되는 것이 결정되면, 프롬프팅 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롬프팅 메시지는 사용자에게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인지 여부를 프롬프팅하기 위한 것인 프롬프팅 모듈; 및
    상기 프롬프팅 메시지에 대한 결정 동작이 검출될 때,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으로 결정하기 위한 결정 모듈을 더 포함하는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환 모듈은 또한,
    만약 한손 동작 모드 하에서 키보드 스타일을 전환할 것으로 이미 결정하고 또한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기 위한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환 모듈은 또한,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고 또한 현재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이 수직 스크린 상태에 있으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기 위한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
  12. 제 7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은 풀 키보드 스타일이고,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은 나인 스퀘어 스타일인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
  13.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서세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표시되는 제1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한손 동작 모드를 작동하고;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제1 키보드 스타일인지 여부를 판정하며;
    만약 현재의 키보드 스타일이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인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한손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2 장면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을 제2 키보드 스타일로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는 상기 제2 키보드 스타일 중의 입력 영역 사이즈보다 작은 키보드 스타일 전환 장치.
KR1020167021742A 2015-11-13 2015-12-29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 및 장치 KR201800704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781612.3 2015-11-13
CN201510781612.3A CN105468280A (zh) 2015-11-13 2015-11-13 键盘样式切换方法及装置
PCT/CN2015/099518 WO2017080080A1 (zh) 2015-11-13 2015-12-29 键盘样式切换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420A true KR20180070420A (ko) 2018-06-26

Family

ID=55606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1742A KR20180070420A (ko) 2015-11-13 2015-12-29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139588A1 (ko)
EP (1) EP3168732A1 (ko)
JP (1) JP6407293B2 (ko)
KR (1) KR20180070420A (ko)
CN (1) CN105468280A (ko)
MX (1) MX2016008788A (ko)
RU (1) RU2665268C2 (ko)
WO (1) WO20170800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577A1 (en) * 2020-08-27 2022-03-03 Hyeon Gi Jeon Separated keyboard and method for changing keyboard layout for each communication conne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1759B (zh) * 2018-12-27 2022-02-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功能按钮显示方法、装置以及存储介质
CN113703592A (zh) * 2021-08-31 2021-11-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安全输入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98244A3 (en) * 1999-11-02 2001-06-13 CANAL + Société Anonyme Graphical user interface
TWI420344B (zh) * 2007-12-31 2013-12-21 Htc Corp 切換觸碰鍵盤的方法以及使用此方法的手持電子裝置與儲存媒體
KR101111566B1 (ko) * 2008-05-23 201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1078380B1 (ko) * 2009-03-23 2011-10-31 주식회사 코아로직 가상 키보드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2191445A (ja) * 2011-03-10 2012-10-04 Kddi Corp 携帯端末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1861593B1 (ko) * 2011-03-15 201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30002562A1 (en) * 2011-06-30 2013-01-03 Nokia Corporation Virtual keyboard layouts
CN102375691A (zh) * 2011-10-25 2012-03-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虚拟键盘布局方法及键盘
CN106406734B (zh) * 2012-09-17 2019-10-25 华为终端有限公司 触摸操作处理方法及终端设备
CN103064629B (zh) * 2013-01-30 2016-06-15 龙凡 能动态调整图形控件的便携电子设备及方法
US8769431B1 (en) * 2013-02-28 2014-07-01 Roy Varada Prasad Method of single-handed software operation of large form factor mobile electronic devices
CN104123072B (zh) * 2013-04-28 2019-03-1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用于提供移动设备中的虚拟键盘的方法和设备
CN104168363B (zh) * 2013-05-16 2019-02-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手机的键盘定制方法及装置
US10691291B2 (en) * 2013-05-24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picture on portable device
CN103488400A (zh) * 2013-09-27 2014-01-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虚拟键盘的构建方法及装置
TWI510970B (zh) * 2013-11-06 2015-12-01 Acer Inc 電子裝置及其軟體鍵盤的顯示方法
US9690463B2 (en) * 2015-01-06 2017-06-2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electing actionable item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of a mobile computer system
CN104808912B (zh) * 2015-04-29 2016-08-1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输入界面调整方法和装置
CN106406717A (zh) * 2015-07-28 2017-02-1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一种屏幕调整方法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45577A1 (en) * 2020-08-27 2022-03-03 Hyeon Gi Jeon Separated keyboard and method for changing keyboard layout for each communication connection
KR20220027462A (ko) * 2020-08-27 2022-03-08 전현기 분리형 무선 키보드 장치 및 연결 구조별 키보드 레이아웃 변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6121534A3 (ko) 2018-05-11
WO2017080080A1 (zh) 2017-05-18
JP6407293B2 (ja) 2018-10-17
JP2017537358A (ja) 2017-12-14
CN105468280A (zh) 2016-04-06
MX2016008788A (es) 2017-05-30
US20170139588A1 (en) 2017-05-18
EP3168732A1 (en) 2017-05-17
RU2016121534A (ru) 2018-05-11
RU2665268C2 (ru)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5810B2 (en) Managing and mapping multi-sided touch
KR101777070B1 (ko) 어플리케이션 전환 방법, 장치 및 설비
US106496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 capture processing
KR101840145B1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기
KR101722522B1 (ko) 디스플레이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7544810B (zh) 控制应用程序的方法和装置
EP3232340A1 (en) Method for operating a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pages of an application program
CN106406657A (zh) 快捷操作方法、装置及终端
CN109324846B (zh) 应用显示方法及装置、存储介质
JP6300389B2 (ja) ターゲットオブジェクトの表示方法及び装置
WO2016061927A1 (zh) 描述信息的显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05511777B (zh) 触控显示屏上的会话显示方法及装置
CN104883444A (zh) 一种通话快捷应用方法、系统及移动终端
CN107506246A (zh) 信息展示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461236A (zh) 应用图标的显示方法和装置
CN106354504A (zh) 消息显示方法及装置
KR20180070420A (ko) 키보드 스타일 전환 방법 및 장치
CN108803892B (zh) 一种在输入法中调用第三方应用程序的方法和装置
CN106462835A (zh) 日历事件创建方法及装置
WO2016095395A1 (zh) 激活移动终端的操作状态的方法及装置
CN107368280A (zh) 语音交互的音量控制方法、装置和语音交互设备
CN107239236A (zh) 数据写入方法及装置
CN106453779A (zh) 通话处理方法及装置
US20170180968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ellular data monitoring
CN110769114B (zh) 通话界面显示方法、装置及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