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0357A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0357A
KR20180070357A KR1020160172960A KR20160172960A KR20180070357A KR 20180070357 A KR20180070357 A KR 20180070357A KR 1020160172960 A KR1020160172960 A KR 1020160172960A KR 20160172960 A KR20160172960 A KR 20160172960A KR 20180070357 A KR20180070357 A KR 20180070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pipe
water
fil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9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2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0357A/en
Publication of KR20180070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3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cabinet; a tub provided in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in which water is stored;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tub for the water of the tub to be discharged; a filter unit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to filter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a circulation unit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to circulate the water filtered in the filter unit to the tub; and a drain unit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to drain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unit and the filter unit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along with a foreign substance filtered by the filter unit.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를 말하는데,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Conventionally,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refers to a device for washing clothing.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cabinet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tub provided in the cabinet for storing water, And a driving unit for rotating the drum.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터브에 배출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include a filter unit for filtering water discharged to the tub.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터브에서 배출되는 물 중 린트, 보푸라기, 이물질(이하 이물질이라 한다.)등을 필터부에서 여과하고, 순환펌프 등으로 여과된 물을 다시 터브로 순환시켰다. 따라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필터에 여과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이 다시 세탁물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es filter lint, lint, and foreign mat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reign matter") among water discharged from a tub in a filter section, and circulate the filtered water through a circulating pump or the like again. Accordingly, in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laundry is filtered through the filter, thereby preventing the foreign matter from being attached to the laundry again.

그러나,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필터부에 이물질이 적체되어 상기 필터부의 여과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that foreign matter is accumulated in the filter unit with time, and the filtering ability of the filter unit is lowered.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 상기 필터부에 이물질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거하기 위해 상기 필터부가 상기 캐비닛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었다.Meanwhile, in order to manually remove foreign matter from the filter unit of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 filter unit can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cabinet.

이때에도, 상기 필터부가 상기 캐비닛에 견고히 결합되어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거나, 상기 필터부가 상기 캐비닛에 용이하게 분리되더라도 견고히 결합되지 않아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t this tim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the filter unit is not firmly coupled to the cabinet and is not easily separated, or even if the filter unit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cabinet, the filter unit is not firmly coupled and leakage occurs.

또한, 상기 필터부가 밀폐형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상기 필터부 내부에 적체된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In addition, the filter portion is provided in a hermetically sealed manner,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 user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filter portion.

한편,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필터부에 적체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에서 분리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 캐비닛에 분리되는 횟수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음에도, 상기 필터부가 상기 캐비닛 외관에 노출되는 면적이 커 심미감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s to be separated from the cabinet in order to remove th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filter unit. However, even though the number of times of separation into the cabinet is relatively smal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rea of the filter portion exposed to the cabinet exterior is large and the esthetic sense is lowered.

한편, 전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에 배출되는 물이 필터부와 순환펌프를 거쳐 상기 터브로 순환시키므로, 상기 필터부와 상기 순환펌프는 터브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순환펌프는 상기 터브의 하부와 순환관으로 연통될 수 있었다. 이때, 상기 순환펌프에 토출되는 물이 역류하지 않도록 순환관이 상기 순환펌프보다 하부를 향하여 구비될 수 있었다.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e water discharged to the tub is circulated through the filter unit and the circulation pump to the tub, so that the filter unit and the circulation pump are generally provided under the tub. The circulation pump could communicate with the lower part of the tub and the circulation pipe. At this time, the circulation pipe can be provided below the circulation pump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to the circulation pump does not flow backward.

하지만, 상기 순환펌프의 구동 전에 상기 순환펌프 내부에 공기가 있는 경우 상기 공기가 상기 순환펌프에서 배출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re is air in the circulation pump before the circulation pump is driven, the air is difficult to be discharged from the circulation pump.

상기 순환펌프 내부에 공기가 존재하면, 상기 순환펌프의 성능을 저하시켜 터브의 물이 원할하게 순환되지 않도록 하므로 이를 용이하게 제거할 필요가 있었다. If air is present in the circulation pump, the performance of the circulation pump is lowered so that the water in the tub is not circulated smoothly, and therefore it has been necessary to remove it easily.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의 물을 배수하는 배수부도 하부에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에 물이 원할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drainage section for draining the water of the tub. At this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water is not smoothly discharged to the filter unit.

또한, 상기 필터부를 구비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필터부에 이물질이 자동으로 제거되지 않아 사용자가 상기 필터부 내부에 이물질이 적체된 상황을 수시로 점검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였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filter unit, the foreign matter is not automatically removed from the filter unit, so that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frequently check the state of the foreign matter in the filter unit.

본 발명은 상기 터브의 물이 배수되면서 상기 필터부에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the filter unit while draining water from the tub.

본 발명은 필터부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누수를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which enhances the binding force of the filter unit to prevent water leakage.

본 발명은 분리가 용이한 필터부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a filter section which can be easily separated.

본 발명은 필터부 중 이물질을 포집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a portion of the filter unit that collects foreign matter is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필터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심미감을 높이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은 순환펌프에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공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removing air temporarily present in a circulation pump.

본 발명은 필터부가 배수부보다 높게 구비되어, 배수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hich is provided with a filter portion higher than a drain portion so as to increase drainage efficiency.

본 발명은 필터부가 배수부보다 높게 구비되어 있어도 필터부의 잔수를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filter portion from remaining even when the filter portion is provided higher than the drain portion.

본 발명은 유로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a flow path.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연통되어 상기 터브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연통되어 상기 터브에서 배출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연통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터브로 순환시키는 순환부, 상기 필터부에 연통되어 상기 배출관과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물을 상기 필터부에 여과된 이물질과 함께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binet comprising a cabinet, a tub provided in the cabinet for providing a space for storing water, a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tub to discharge water from the tub, A circul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 unit to circulate the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to the turbine, and a circul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 unit,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pipe and the filter unit, And a drainage unit for draining the foreign matter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ogether with the filtered foreign matter.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순환부는 상기 필터부에 여과된 물을 상기 터브로 주입하는 순환펌프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순환펌프 및 상기 터브를 연통하는 순환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물을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펌프와, 상기 필터부와 상기 배수펌프를 연통하는 이동관과, 상기 배수펌프에서 상기 캐비닛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irculation pump comprising: a circulation pump for injecting filtered water into the filter in the circulation part; and a circulation pipe for communicating the filter part with the circulation pump and the tub, Wherein the drainage section includes a drain pump for draining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section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a moving pipe for communicating the filter section and the drain pump, and a drain pipe extending from the drain pump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omprising: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관은 상기 터브에 연통되어 상기 터브의 물이 배출되는 제1배출관과, 상기 제1배출관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필터부로 안내하는 제2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배출관과 상기 제2배출관을 연통하는 관으로 구비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과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관과 상기 배수관을 연통하는 관으로 구비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배수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charge pipe includes a first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tub and discharging water from the tub, and a second discharge pipe guid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pipe to the filter unit And the drainage unit includes a first body including a tube communicating the first discharge pipe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and a second body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first body and including a pipe communicating the moving pipe and the drain pip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garment disposal apparatus, comprising: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이 멈추면 상기 필터부에 유입된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이동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관은 상기 배출관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is stopped, the second body is disposed below the first body so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moving tube by its own weight And the moving pipe is provided below the discharge pip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수펌프보다 더 높은 곳에 구비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unit is provid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drain pump.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일정두께를 구비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는 상기 필터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필터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는 상기 배수펌프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배수펌프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안착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부의 양측면과 결합되는 안착바디와, 상기 안착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펌프안착부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 함몰되어 구비되는 펌프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bas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a filter seating portion to which the filter portion is seated and fixed is provided in front of the base, And a drain pump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drain pump is fixedly secured to the rear portion. The filter mounting portion includes a mounting body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coupled with both side surfaces of the filter portion, Wherein the drain pump mounting portion includes a pump mounting groove recessed in a rear portion of the bas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부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과 결합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필터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관과 결합하는 제2결합부와, 상기 필터부의 배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결합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이동관과 결합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이 멈추면 상기 필터부에 유입된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이동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이동관과 결합하는 경사연장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unit comprises: a first coupling unit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and coupled with the discharge pipe; a second coupling unit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filter unit, And a third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ilter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engag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engage with the moving pipe. When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ng pump is stopped, And the third coupling unit includes an inclined extension pipe that is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filter unit and joined to the moving pipe so as to be introduced into the moving pip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지면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순환관과 결합되는 순환연장관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연장관은 상기 필터부의 상부면 또는 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cludes a circulation extension pipe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ground surface of the filter portion to be coupled with the circulation pip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순환관은 상기 순환연장관과 같은 높이로 구비되거나 더 높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circulation pipe is provided at the same height as the circulation pipe or higher.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가 구비되고 전방에 개방부가 구비된 필터케이스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필터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고 여과된 이물질이 적체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바디와, 상기 필터바디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필터커버와, 상기 필터커버를 상기 필터케이스에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ter case, wherein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case having the first coupling unit, the second coupling unit, and the third coupling unit and having an opening at the front, A filter cover disposed in front of the filter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portion, and a filter cover coupled to the filter case, wherein the filter cov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lter case, And a fastening portion that fastens the fastening portion to the fastening portion.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부는 물이 통과하도록 상기 필터바디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에 구비되어 물은 통과시키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unit includes at least one penetration part provided in the filter body so that water passes therethrough, and a mesh part provided in the penetration part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필터커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body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lter cover,

상기 필터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관통부와, 상기 필터바디의 경사면에 구비되는 제2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부는 상기 제1관통부에 구비되어 물은 통과시키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제1메쉬부와, 상기 제2관통부에 구비되어 물은 통과시키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제2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A first penetrating portion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body and a second penetrating portion provided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filter body, wherein the mesh portion is provided in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And a second mesh portion provided in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to filter out foreign matter.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제1결합부와 연통하는 유입홀과, 상기 제3결합부와 연통하되 상기 경사연장관에 삽입되는 경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body includes an inle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an inclined pipe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engaging portion, the inclined tube being inserted into the inclined pipe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s provided.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필터바디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1필터바디와, 상기 필터바디의 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필터바디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필터바디의 내부를 노출시키는 제2필터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lter body, comprising: a first filter body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body; a second filter body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lter body, And a second filter body for exposing the inside of the body.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필터커버의 전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커버를 상기 필터케이스에 결합하는 제1체결부와, 상기 필터케이스의 양측면 또는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체결부와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upling device fo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 first coupling part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lter cover for coupling the filter cover to the filter case; And a second fastening part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irst fastening part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fastening part.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2체결부에 회전하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bar)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바(bar)가 회전하여 수용되는 슬라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홈은 상기 바(bar)가 회전하며 수용될 때 상기 바가 상기 필터케이스를 향하여 일정거리 이동하여 상기 필터커버가 상기 필터케이스를 압박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슬라이드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astening part includes a bar detachably mounted on the second fastening part while the second fastening part rotates the bar, Wherein the slide groove is slidably provided so that the bar moves to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filter case when the bar rotates and is received and the filter cover presses the filter case, And an inclined surfac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바(bar)는 말단에 상기 슬라이드 경사면과 대응되는 바(bar)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bar has a bar inclined surface at the distal end thereof, the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lide inclined surfac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바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는 상기 회전고정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cover includes a rotation fixing part that rotatably engages through the bar, and the bar includes a bar through hole into which the rotation fixing par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바는 십자 바(bar)로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딩 홈은 상기 회전고정부를 기준으로 소정각도를 가진 회전반경의 너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r is provided with a cross bar, and the sliding groove is provided with a width of a turning radius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fixing portion.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2체결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판형상의 체결바디와, 상기 체결바디를 회전시키는 핸들과, 상기 체결바디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나사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나사선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제1체결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나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first fastening part has a disc-shaped fasten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part, a handle for rotating the fastening body, Wherei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screw groove that rotatably receives the thread and moves the first fastening portion forward or backward.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커버는 외주면에 상기 개방부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cover includes a sealing portion for sealing the opening por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캐비닛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일정두께를 구비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는 상기 필터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필터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는 상기 배수펌프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배수펌프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안착부는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 함몰되어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필터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필터안착홈의 전방과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필터부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방되는 베이스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bas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a filter seating portion to which the filter portion is seated and fixed is provided in front of the base, And a drainage pump seating part to which the drain pump is seated and fixed. The filter seat part includes a filter seating groove recessed in front of the base to receive the filter part, And a base door which is opened to expose at least a part of the filter unit to the outside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부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과 결합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필터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관과 결합하는 제2결합부와, 상기 필터부의 배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결합부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관과 결합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이 멈추면 상기 필터부에 유입된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이동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이동관과 결합하는 경사연장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rst coupling unit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and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a second coupling uni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And a third coupling unit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and provided at a sid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unit to be coupled with the moving pipe. When the circulation pump stops operating,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Wherein the third coupling portion includes an inclined extension pipe that is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filter portion and engages with the moving pip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관이 수용될 수 있는 이동관수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a moving pipe accommodating groov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moving pipe is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as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가 구비되고 전방에 개방부를 구비한 필터케이스와, 상기 필터케이스 전방에서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를 차폐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도어와 대응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와 연통하는 연통홀을 구비하는 차폐부와, 상기 필터케이스에 수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고, 여과된 이물질이 적체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필터바디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통홀에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필터바디와, 상기 필터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제1필터바디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필터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필터바디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는 필터커버와, 상기 필터커버를 상기 필터케이스에 결합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filter unit includes a filter case having the first engaging part, the second engaging part, and the third engaging part and having an opening at the front, A shielding portion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base to shield the opening portion and having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portion; a shield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filter case to filter the foreign substance, Wherein the filter body includes a first filter body formed below the filter body and capable of being drawn out from the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filter body accommodated in the filter case, A filter cover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irst filter body to open and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And a fastening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base filter cas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필터바디와 상기 제2필터바디는 외주면에 물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폐쇄하여 물은 통과시키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ilter body and the second filter body have at least one penetrating portion provided so as to allow water to pass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mesh portion that is provided in the mesh portion.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필터바디와 상기 제2필터바디는 배면에 상기 제1결합부와 연통하는 유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유입홀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3결합부와 연통하는 배출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first filter body and the second filter body are provided with an inle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nnector on the backside thereof, And a discharg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필터커버를 상기 필터케이스 또는 상기 차폐부에 결합시키는 제1체결부와, 상기 필터케이스 또는 상기 차폐부의 상부 및 하부 또는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와 결합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irst fastening portion for fastening the filter cover to the filter case or the shielding portion,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both sides of the filter case or the shielding portion, And a second fastening portion that engages with the first fastening portion.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필터커버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필터케이스 또는 상기 차폐부의 상부 및 하부 또는 양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체결판을 수용하는 체결부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first fastening part includes a fastening plate provided to be reciprocally movable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in the filter cover,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case or the shielding part. And a coupling portion receiving groove protruding from the lower or both sides to receive the coupling plate.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판을 좌우 또는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3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체결부는 상기 필터커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되 외주면에 나사홈이 구비되는 나사바디, 상기 나사바디를 따라 왕복하여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필터커버를 향하여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이동경사면을 구비하는 이동바디, 상기 이동바디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내주면에 상기 나사바디의 나사홈을 따라 이동하는 나사선을 구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판은 일단에 상기 이동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를 구비하는 체결경사면을 더 포함하여 상기 이동바디가 상기 필터커버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체결판를 밀어내어 상기 체결수용홈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third fastening portion for reciprocating the fastening plate to the left or right or up and down, and the third fastening portion is protruded forward from the filter cover, A screw body having a groove, a moving body reciprocatingly movable along the screw body, the moving body having a slope moving obliquely to narrow toward the filter cover, And a rotating portion having a thread that moves along the thread groove of the screw body, wherein the clamping plate further includes a clamping slope having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slope at one end thereof, The fastening plate is pushed out to engage with the fastening receiving groove. Flow provides a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커버는 배면에 돌출되어 상기 연통홀을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herein the filter cover includes a sealing part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to seal the communication hole.

본 발명은 상기 터브의 물이 배수되면서 상기 필터부에 이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treating garbage which is capable of automatically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the filter unit while draining water from the tub.

본 발명은 필터부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누수를 방지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by enhancing the binding force of the filter unit.

본 발명은 분리가 용이한 필터부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filter section that is easy to separate.

본 발명은 필터부 중 이물질을 포집하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a portion of the filter unit that collects foreign matter is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필터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하여 심미감을 높이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that minimizes the area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unit to enhance the esthetics.

본 발명은 순환펌프에 일시적으로 존재하는 공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easily removing air temporarily present in a circulation pump.

본 발명은 필터부가 배수부보다 높게 구비되어, 배수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which is provided with a filter unit higher than the drainage unit, thereby increasing drainage efficiency.

본 발명은 필터부가 배수부보다 높게 구비되어 있어도 필터부의 잔수를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filter unit from remaining even when the filter unit is provided higher than the drainage unit.

본 발명은 유로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viding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simplify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path.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베이스에 구비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순환부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필터부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은 필터부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필터바디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체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유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필터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9의 베이스에 구비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도9에 도시된 필터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도9에 도시된 유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도13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필터부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1 shows an example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 structure provided in the base.
Fig. 3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lation unit.
Fig. 4 shows a side view of the filter portion. Fig.
Figure 5 shows an embodiment of the filter section.
6 shows the structure of the filter body.
Fig.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portion.
Fig. 8 shows an embodiment of the flow path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lter section.
Fig. 10 shows a configuration provided in the base of Fig.
Fig. 11 shows the filter unit shown in Fig. 9. Fig.
Fig. 12 shows an embodiment of the flow path shown in Fig.
Fig. 1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filter unit included i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s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and if the terms used herein conflict with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Are as defined herein.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

도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1(a)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것이며, 도1(b)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 배면에서 바라본 투영도이며, 도1(c)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캐비닛과 베이스의 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 shows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a) is a perspective view of a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b)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ructure of the cabinet and the bas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3), 상기 터브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5)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garment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 for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 tub 3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nd may include a drum 5, which may be provided to receive the garment.

상기 캐비닛(1)의 하부에는 상기 캐비닛(1)의 하부면을 형성하며, 상기 캐비닛(1)을 지지하도록 일정두께를 구비하는 베이스(10)가 구비될 수 있다.A lower surface of the cabinet 1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1 and a base 1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cabinet 1.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캐비닛(1)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지면 등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캐비닛(1) 내부의 구성들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base 10 serves to prevent vibrations generated in the cabinet 1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ground or the like and to support the structures inside the cabinet 1.

상기 베이스(1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재질을 포함할 수 도 있다.The base 1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may include a shock absorbing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vibrations.

상기 캐비닛(1)의 상부에는 의류를 상기 터브(3)에 투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구비되고,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2)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upper part of the cabinet 1, an opening for inputting clothes into the tub 3 is provided, and a door 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may be provided.

상기 드럼(5)은 상기 터브(3) 하부에 구비된 구동부(6)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rum 5 may be rotated by a driving unit 6 provided under the tub 3.

상기 구동부(6)는 스테이터 및 로터를 포함하는 모터와, 상기 로터와 상기 드럼(5)을 연결하는 회전축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상기 드럼(5)을 회전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e driving unit 6 may be provided with a motor including a stator and a rotor and a rotary shaft connecting the rotor and the drum 5 but may have any structure as long as it can rotate the drum 5.

도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가 상기 터브(3)와 드럼(5)의 개구부가 상부를 향해있고, 상기 드럼(5)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는 탑로드(top load) 타입으로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터브(3)와 드럼(5)의 개구부가 전방을 향해 있고, 드럼(5)의 회전축이 지면과 나란하게 구비된 프론트로드(front load)타입으로 구비된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Fig. 1 is a side view of a garment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top view of a garment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tub 3 and the drum 5 have openings facing upward, load type.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at the openings of the tub 3 and the drum 5 are directed forward and the rotary shaft of the drum 5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surface.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3)에 물을 급수하는 급수부(7)과 상기 터브(3)의 물을 캐비닛(1)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100),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터브(3)로 다시 순환시키는 순환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7 for supplying water to the tub 3 and a drainage unit 100 for draining the water of the tub 3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And a circulation unit 200 for circulat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3 to the tub 3 again.

구체적으로,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에 연통되어 상기 터브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31)과, 상기 배출관(31)에 연통되어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300)와, 상기 필터부(300)에 연통되어 상기 필터부(300)에서 여과되는 물을 상기 터브(3)로 순환시키는 순환부(200), 상기 필터부(300)에 연통되어 상기 배출관(31)과 상기 필터부(300)를 통과한 물을 상기 필터부(300)에 여과된 이물질과 함께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garment treating apparatu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pipe 31 communicating with the tub and discharging water from the tub, and a discharge pipe 31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ipe 31 to filter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3 A circulation unit 200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 unit 300 to circulate water to be filtered in the filter unit 300 to the tub 3 and a circulation unit 200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 unit 300, And a drainage unit 100 for draining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31 and the filter unit 300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together with foreign substances filtered in the filter unit 300.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터브(3)의 물이 순환하는 유로상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를 순환하는 물의 이물질을 여과함으로써 세탁물에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300 is provided on the flow path of the water in the tub 3 so that foreign substances in the laundry can be removed by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water circulating in the tub.

한편, 상기 순환부(200)는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을 원할하게 순환시킬 수 있도록 상기 터브(3)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순환부(200)는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될 수 있다.The circulation unit 200 may be disposed below the tub 3 to circulate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3 in a smooth manner. Therefore, the circulation unit 200 may be provided in the base 10.

또한, 상기 배수부(100)도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이 원할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상기 터브(3)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배수부(100)도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inage unit 100 is preferab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ub 3 so that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3 can be discharged smoothly. Accordingly, the drainage unit 100 may be provided in the base 10.

따라서, 상기 필터부(300)도 상기 순환부(200) 및 상기 배수부(100)에 연통되어 있으므로 상기 베이스(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lter unit 300 may be disposed under the base 10 because the filter unit 30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circulation unit 200 and the drainage unit 100.

상기 캐비닛(1)의 전방에는 상기 필터부(300)가 외부로 노출되거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캐비닛(1)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필터인출부(18)와, 상기 필터인출부(18)를 개폐하는 필터도어(16)가 구비될 수 있다. A filter withdrawing portion 18 provided through the cabinet 1 to expose the filter portion 300 to the outside or to be drawn out forward can be provided in front of the cabinet 1, And a filter door 1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lter door 16.

상기 필터부(300)를 수리할 필요성이 있거나, 상기 필터부(300)에 이물질이 포집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상기 필터부(300)를 용이하게 인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filter unit 300 is required to be repaired or a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filter unit 300 when foreign substances are trapped in the filter unit 300.

한편, 상기 캐비닛(1)은 터브(3) 및 드럼(5)에서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상기 필터부(300)가 상기 캐비닛(1)과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필터인출부(18)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300)의 외주면에 접촉할 수 있는 필터가스켓(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filter unit 300 from colliding with the cabinet 1 and being damaged due to vibration generated in the tub 3 and the drum 5, And a filter gasket 17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apable of contact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상기 필터가스켓(17)은 상기 필터부(300)에 전달된 진동이 상기 캐비닛(1)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완충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가스켓(17)은 상기 필터부(300)에 누수가 발생하였을 때 상기 캐비닛(1)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filter gasket 17 may be made of a buffer material to prevent the vibration transmitted to the filter unit 300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cabinet 1. In addition, the filter gasket 17 may prevent leakage of the filter gas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when leakage occurs in the filter unit 300.

이하에서는, 도2를 참조하여 필터부의 이물질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는 유로 구조와 베이스(10)에 구비되는 구성을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2, a description will be given in detail of a flow path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ally discharging a foreign substance in the filter portion and a structure provided in the base 10.

상기 순환부(200)는 상기 필터부(300)에 여과되는 물을 상기 터브(3)로 주입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순환펌프(210)와 상기 필터부(300)와 상기 순환펌프(210) 및 상기 터브(3)를 연통하는 순환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unit 200 includes a circulation pump 210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lter unit 300 to inject water to be filtered into the tub 3 and a circulation pump 210 for supplying the water to the filter unit 300, And a circulation pipe 220 communicating with the tub 3.

상기 배수부(100)는 상기 필터부(300)를 통과한 물을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배수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110)와 상기 필터부(300)와 상기 배수펌프(110)를 연통하는 이동관(130)과 상기 배수펌프(110)에서 상기 캐비닛(1)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관(1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age unit 100 includes a drainage pump 110 for supplying power to drain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300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And a drain pipe 120 extending from the drain pump 110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이로써,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배출관(31)을 따라 배출되어 상기 필터부(300)로 우선적으로 유입되며, 상기 필터부(300)에서 여과된 후 순환관(220)을 따라 터브(3)로 유입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터브(3)에서 상기 배출관(31)으로 물이 다시 배출되고 순환되는 것을 반복한 후, 마지막으로 상기 필터부(300)를 거친 뒤, 상기 이동관(130)을 따라 상기 배수펌프(110)를 지나 배수관(120)으로 배수될 수 있다.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3 is discharged along the discharge pipe 31 and is preferentially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300. The water is filtered in the filter unit 300 and then flows along the circulation pipe 220 Can be introduced into the tub (3). Thereafter, water is again discharged from the tub 3 to the discharge pipe 31 and circulated again. Finally,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300, the drain pump 110 And then drained to the drain pipe 120.

즉, 상기 필터부(300)에 유입되는 물은 상기 순환펌프(210)에서 발생하는 음압으로 인해 상기 순환관(220)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물은 상기 이동관(130)으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210)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만 상기 필터부(300)에 유입된 물은 상기 이동관(130)으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300 moves to the circulation pipe 220 due to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in the circulation pump 210. Therefore, water may not be discharged to the moving pipe 130.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300 can be discharged to the moving pipe 130 only when the circulation pump 210 is not operated.

이때, 상기 이동관(130)이 상기 배출관(31) 보다 상부에 구비되면, 상기 순환펌프(210)가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필터부(300)에 유입된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배출관(31)으로 역류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moving pipe 130 is provided above the discharge pipe 31,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300 when the circulation pump 210 does not operate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ipe 31 It can flow backward.

따라서, 상기 순환펌프(210)의 작동이 멈추면, 상기 필터부(300)에 유입된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이동관(13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관(130)은 상기 배출관(31) 보다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210 is stopped, the moving pipe 13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31 so that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300 can be introduced into the moving pipe 130 by its own weight.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순환펌프(210)의 작동이 멈추면, 상기 필터부(300)의 물은 모두 상기 필터부(300)에서 배출될 필요성이 있다. 상기 필터부(300)에 잔수가 발생하면 이물질이 부폐할 우려가 크고, 사용자가 상기 필터부(300)를 인출할 때 잔수와 접촉되어 불쾌감을 불러일으키고, 감전 등의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210 stops, all the water in the filter unit 300 needs to be discharged from the filter unit 300. If a residue is generated in the filter unit 300,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foreign matter may be damaged, and when the user pulls out the filter unit 300, the user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sidual water to cause an uncomfortable feeling, to be.

따라서, 상기 필터부(300)는 배수펌프(110) 보다 높은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필터부(300)에 유입된 물은 상기 순환펌프(210)의 작동이 멈추면 자중에 의해 상기 배수펌프(110)로 자동적으로 이동하여, 상기 필터부(300)의 잔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300)가 상기 배수펌프(110) 보다 상부에 구비되면, 상기 배수펌프(110)에 유입되는 물의 수두(Head)가 높아져 상기 배수펌프(110)의 배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filter unit 300 may be provid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drain pump 110. When the circulation pump 210 stops operating,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300 automatically moves to the drain pump 110 due to its own weight, so that the water of the filter unit 300 is prevented . When the filter unit 300 is provided above the drain pump 110, the head of the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pump 110 is increased to improve the drainage performance of the drain pump 110 have.

한편, 상기 필터부(300)는 사용자의 접근편의성을 위해 상기 캐비닛(1) 전방에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배수펌프(110)는 배수편의성을 위해 캐비닛(1) 배면에 구비되어야 한다.Meanwhile, the filter unit 300 should be provided in front of the cabinet 1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the drain pump 110 should be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cabinet 1 for drainage convenience.

따라서, 상기 베이스(10)의 전방에는 상기 필터부(30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필터안착부(11)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10)의 후방에는 상기 배수펌프(11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배수펌프안착부(12)가 구비될 수 있다.The drainage pump 110 i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base 10 and is fixed to the base 10. The drainage pump 110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base 10 to fix the filter unit 300, A drain pump mounting portion 12 may be provided.

상기 필터안착부(11)는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부(300)의 양측면과 결합되는 안착바디(11a)와, 상기 안착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300)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는 필터지지홈(11b)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펌프안착부(12)는 상기 베이스(10)의 후방에 상기 베이스(10)가 함몰되어 구비되는 펌프안착홈(12a)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seating part 11 includes a seating body 11a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base 10 and coupled with both sides of the filter part 300, Wherein the drain pump mounting portion includes a pump mounting groove formed in a rear of the base to receive the base, . ≪ / RTI >

이로써,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안착바디(11a)에 결합되고, 상기 배수펌프(110)는 상기 펌프안착홈(12a)가 안착되어 상기 필터부(300)가 상기 배수펌프(110) 보다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300 is coupled to the seat body 11a and the drain pump 110 is mounted on the pump mounting groove 12a so that the filter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drain pump 110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베이스(10)에는 일면에 상기 순환펌프(210)가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순환펌프안착부(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펌프안착부(13)는 상기 순환펌프(210)가 안착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순환펌프안착부(13)는 상기 베이스(10)의 측면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base 10 may be provided with a circulation pump seat portion 13 on one side of which the circulation pump 210 can be seated and fixed. The circulation pump seating part 13 may be provid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 circulation pump 210 can be seated. The circulation pump seating part 13 may b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base 10.

도2(b)는 상기 배수부(100)의 구조를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2 (b) shows the structure of the drainage section 100 in detail

도2(b)를 참조하면, 상기 배수부(100)는 배수고정브라켓(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b), the drainage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drainage fixing bracket 140.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관(31)은 상기 터브에 연통되어 상기 터브의 물이 배출되는 제1배출관(31b)과, 상기 제1배출관(31b)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필터부(300)로 안내하는 제2배출관(31b)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charge pipe 31 includes a first discharge pipe 31b communicating with the tub and discharging water from the tub, and a second discharge pipe 31b guid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pipe 31b to the filter unit 300 And a second discharge pipe 31b.

상기 배수고정브라켓(140)은 상기 제1배출관(31a)과 상기 제2배출관(31b)을 연통하는 관으로 구비된 제1바디(141), 상기 제1바디의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이동관(130)과 상기 배수관(120)을 연통하는 관으로 구비된 제2바디(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age fixing bracket 140 includes a first body 141 having a tube communicating the first drain pipe 31a and the second drain pipe 31b and a second body 141 disposed below the first body, And a second body 142 having a tube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pipe 120.

상기 제1바디(141)와 상기 제2바디(142)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하나의 배수고정브라켓(140)으로 상기 배출관(31), 상기 이동관(130), 상기 배수관(110)을 상기 베이스(10)에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The first body 141 and the second body 142 may be integrally formed. Thus, the discharge pipe 31, the moving pipe 130, and the drain pipe 110 can be coupled and fixed to the base 10 with a single drainage fixing bracket 140.

배수고정브라켓(140)이 상기 배출관(31), 상기 이동관(130), 상기 배수관(110)을 상기 베이스(10)에 모두 결합되는 허브 역할을 하므로, 상기 배출관(31), 상기 이동관(130), 상기 배수관(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물질 등에 의해 막혔을 때 막힌 관을 상기 배수고정브라켓(140)에서 분리할 수 있다.The drainage fixing bracket 140 serves as a hub to which the discharge pipe 31, the moving pipe 130 and the drain pipe 110 are all connected to the base 10. Therefore, the discharge pipe 31, the moving pipe 130, And the drain pipe 110 may be separated from the drainage fixing bracket 140 when the at least one of the drain pipe 110 and the drain pipe 110 is clogged with foreign matter or the like.

한편, 상기 제2바디(142)는 상기 배수펌프(110)와 직접 연통하거나, 일측에 상기 배수펌프(110)와 연통하는 분지관(142b)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body 142 may further include a branch pipe 142b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pump 110 or communicating with the drain pump 110 at one side thereof.

상기 제1바디(141)는 일측이 상기 제1배출관(31a)과 연통하는 제1관(141a)과, 타측이 상기 제2배출관(31b)과 연통하는 제2관(14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관(141a)과 상기 제2관(141b)은 서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제1배출관(31a)에서 배출되는 물을 안정적으로 상기 제2배출관(31b)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first body 141 may include a first tube 141a having one sid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ischarge tube 31a and a second tube 141b having the other sid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discharge tube 31b have. The first pipe 141a and the second pipe 141b are inclin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pipe 31a can be stably guided to the second discharge pipe 31b.

이때, 상기 제1관(141a)과 상기 제2관(141b)는 직각을 이루며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배출관(31a)이 상기 터브(3)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배출관(31b)이 캐비닛(1) 전방에 구비된 필터부(300)에 연결되므로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을 원할하게 상기 필터부에 전달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the first tube 141a and the second tube 141b may be formed at right angles. The first discharge pipe 31a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ub 3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31b is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300 disposed in front of the cabinet 1, To the filter unit smoothly.

상기 배수고정브라켓(140)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고, 내부가 보이도록 투명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The drainage fixing bracket 14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of the drainage fixing bracket 140 can be seen.

이로써, 상기 배수고정브라켓(140)이 이물질 등에 의해 막힐 때 어느 곳이 막혔는지 확인이 가능할 수 있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heck which portion is clogged when the drainage fixing bracket 140 is blocked by a foreign substance or the like.

도2(c)는 상기 필터부(300)를 확대한 것이다.Fig. 2 (c) is an enlarged view of the filter unit 300. Fig.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필터부(300)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31)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310)와, 상기 필터부(300)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관(220)과 결합하는 제2결합부(320)와, 상기 필터부(300)의 배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결합부(31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이동관(130)과 결합하는 제3결합부(3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300 includes a first coupling unit 31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and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31 and a second coupling unit 31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lter unit 300, And a third coupling unit 320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unit 3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330.

이때, 상기 제1결합부(310)와 상기 제2결합부(320)는 최대한 멀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부(310)를 통해 상기 필터부(300)로 유입된 물과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300) 최대한 거쳐 상기 제2결합부(320)로 배출되야 하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upling part 3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are spaced apart as far as possible. Water and foreign matter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300 through the first coupling unit 310 must be discharged to the second coupling unit 320 through the filter unit 300 as much as possible.

즉, 상기 제1결합부(310)와 상기 제2결합부(320)는 최대한 멀리 이격되어 구비될수록 상기 필터부(300)의 여과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That is, the filtering efficiency of the filter unit 300 can be increased as far as the first coupling unit 310 and the second coupling unit 320 are spaced apart as far as possible.

따라서, 상기 제1결합부가 상기 필터부(300) 배면 일측에 구비되면, 상기 제2결합부(320)는 상기 필터부(300)의 측면 타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f the first coupling uni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the second coupling unit 320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lter unit 300.

결과적으로, 상기 제3결합부(330)는 상기 제1결합부(310)와 상기 제2결합부(3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As a result, the third coupling portion 33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20.

상기 제1결합부(310)와, 상기 제2결합부(320)와, 상기 제3결합부(330)는 상기 필터부(300)에서 돌출되어 구비된 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oupling part 310,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and the third coupling part 330 may be formed as a tube protruding from the filter part 300.

이로써, 상기 제1결합부(310)와, 상기 제2결합부(320)와, 상기 제3결합부(330)는 각각 배출관(31)과 상기 순환관(220)과 상기 이동관(130)의 내주면에 억지끼움 되어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part 310,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and the third coupling part 330 ar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31, the circulation pipe 220 and the moving pipe 130, respectively. It can be tightly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배출관(31), 상기 순환관(220), 상기 이동관(130)과 상기 제1결합부(310)와, 상기 제2결합부(320)와, 상기 제3결합부(330)가 결합되는 외주면에는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조임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arts 320 and 330 are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31, the circulation pipe 220, the moving pipe 130, the first coupling part 310,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And a tightening member 500 for improving the bonding force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조임부재(500)는 상기 배출관(31), 상기 순환관(220), 상기 이동관(130)과 상기 제1결합부(310)와, 상기 제2결합부(320)와, 상기 제3결합부(3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집게로 구비될 수 있으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e fastening member 50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31, the circulation pipe 220, the moving pipe 130 and the first coupling unit 310, the second coupling unit 320, And may be provided with a clamp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rtion 330. However, any structure may be used as long as the clamping force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순환펌프(210)의 작동이 멈추면, 상기 필터부(300)에 유입된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이동관(13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결합부(330)는 상기 필터부(300)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연장관(330a)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210 is stopped, the third coupling unit 330 is connected to the filter 130 so that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300 can be introduced into the moving pipe 130 by its own weight. And an inclined extension pipe 330a inclined downward from the portion 300. [

다시말해, 상기 제3결합부(330)는 상기 필터부(300)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연장관(330a)으로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In other words,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third coupling portion 330 is provided as an inclined extension pipe 330a which is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filter portion 300.

상기 제2결합부(320)는 상기 필터부(300)에서 연장되어 상기 순환관(220)과 결합하는 순환연장관(320a)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upling unit 320 may include a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extending from the filter unit 300 and coupled to the circulation pipe 220.

다시 말해, 상기 제2결합부(320)는 상기 필터부(300)의 측면 또는 상부면에서 돌출되어 구비되는 순환연장관(320a)으로 구비된다고 볼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econd coupling part 320 may be provided as a circular extension pipe 320a protruding from the side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part 300. [

도3은 상기 순환연장관(320a)이 상기 필터부(300)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경우,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3 is a side view when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extends from the side of the filter unit 300. As shown in FIG.

도3(a)를 참고하면, 상기 순환연장관(320a)은 상기 필터부(300)의 측면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순환연장관(320a)이 상기 필터부(300)의 측면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구비되면, 상기 필터부(300)에서 상기 순환펌프(310)로 물이 자중에 의해 원할하게 유입될 수 있고, 상기 순환펌프(310)에 수두(head)가 높아짐에 따라 순환펌프(310)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may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side of the filter unit 300. When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is inclined downward from the side of the filter unit 300, water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pump 310 from the filter unit 300, As the head of the pump 310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circulation pump 310 can be improved.

그러나, 상기 필터부(30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고 이물질을 여과하는 일정한 공간이 존재하고, 상기 공간에는 공기가 존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부(300)에 물이 유입되기 시작하면, 상기 공간에 있는 공기는 물보다 밀도가 작으므로 상부로 상승하게 되어 공기층(A)을 형성하게 된다.However, the filter unit 300 has a predetermined space for receiving water and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and air exists in the space. At this time, when water starts to flow into the filter unit 300, the air in the space is lower in density than water, and therefore, the air ascends to the upper part to form the air layer A.

이후, 상기 필터부(300)에 지속적으로 물이 유입되어 상기 순환연장관(320a)을 전부 채우며 배출되기 시작하면, 상기 공기층(A)은 상기 순환연장관(320a)에 유입될 수 없어 상기 필터부(300)의 상부에 잔존하게 된다.The air layer A can not flow into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when water is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300 and the air is completely discharged from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300).

상기 순환펌프(210)의 발생하는 압력(음압)은 상기 필터부(300) 전체에 물이 채워졌을 때 최대로 전해질 수 있다. The pressure (sound pressure) generated by the circulation pump 210 can be maximally discharged when the entire filter unit 300 is filled with water.

상기 필터부(300)의 상부에 존재하는 공기층(A)은 상기 순환펌프(210)에서 발생하는 압력(음압)이 상기 필터부(300) 내부에 유입된 물에 온전히 전달되지 못하게 못하게 할 수 있다. The air layer A present in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part 300 can prevent the pressure (sound pressure) generated in the circulation pump 210 from being completely transmitted to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part 300 .

다시말해, 상기 순환펌프(210)가 작동하여도, 상기 필터부(300)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층(A)으로 인해 상기 순환펌프(210)의 압력(음압)이 상기 필터부(300) 내부에 유입된 물에 정확히 전달되지 않아 상기 순환펌프(210)의 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even when the circulation pump 210 operates, the pressure (negative pressure) of the circulation pump 210 due to the air layer A existing in the filter unit 300 is generated in the filter unit 300 The efficiency of the circulation pump 210 may drop sharply because it is not accurately transferred to the inflow water.

이는 상기 터브(3)에서 상기 필터부(300)로 유입된 물이 상기 터브(3)로 원할하게 순환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This may result in the water not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300 from the tub 3 to be not circulated smoothly to the tub 3.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필터부(300)는 상기 순환연장관(320a)이 지면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 3 (b), the filter unit 300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so that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ground surface.

상기 필터부(300) 내부에 물이 유입되기 시작하면 상기 필터부(300) 내부의 공기는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순환연장관(320a)으로 배출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필터부(300) 내부로 물이 더 유입되어도 상기 필터부(300) 내부의 공기는 상기 순환연장관(320a)이 지면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물과 함께 지속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When water begins to flow into the filter unit 300, the air inside the filter unit 300 rises and begins to be discharged to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At this time, even if water is furth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300, the air inside the filter unit 300 can be continuously discharged together with water because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surface.

따라서, 상기 필터부(300) 내부의 공기층(A)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 순환펌프(210)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volume of the air layer A in the filter unit 300 can be minimiz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circulation pump 210 can be improved.

한편,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관(220)이 상기 필터부(300)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되면, 상기 필터부(300)의 순환연장관(320a)가 지면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필터부(300)의 공기층(A)이 외부로 원할하게 배출될 수 없다.3 (a), when the circulation pipe 220 is extended downward from the filter unit 300,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of the filter unit 300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ground The air layer A of the filter unit 300 can not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 필터부(300)에 물이 상기 순환연장관(320a)을 지나 상기 순환관(220)으로 유입되어 상기 순환관(220)의 하부에 일정양의 물이 고이게 되면 상기 필터부(300)의 공기층(A)은 더 이상 상기 순환관(220)으로 배출될 수 없기 때문이다.When water flows into the circulation pipe 220 through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and a certain amount of water accumulates in the lower part of the circulation pipe 220 in the filter unit 300, (A) can not be discharged to the circulation pipe 220 any longer.

따라서,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관(220)은 상기 순환연장관(320a)과 같은 높이로 구비되거나, 더 높게 구비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FIG. 3 (b), the circulation pipe 220 may have the same height as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or may have a higher height.

즉, 상기 순환관(220)은 상기 순환연장관(320a)의 높이와 같거나, 더 높게 구비되어 일정시간 동안 상기 필터부(300)의 공기층(A)의 공기가 배출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That is, the circulation pipe 220 is provided at a height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thereby securing a time for allowing the air in the air layer A of the filter unit 300 to be discharged for a predetermined time .

예를들어, 상기 순환관(220)은 지면과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관(220)은 지면과 나란하게 연장된 상기 순환연장관(320a)과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순환관(220)에 물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순환관(220)의 상부를 통해 상기 필터부(300)의 공기층(A)의 공기는 지속적으로 모두 배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irculation pipe 220 may extend parallel to the ground. In addition, the circulation pipe 220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ccordingly, even if water flows into the circulation pipe 220, the air in the air layer A of the filter unit 300 can be continuously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part of the circulation pipe 220.

도4는 상기 필터부(300)의 측면을 도시한 것이다.4 is a side view of the filter unit 300. As shown in FIG.

도4(a)를 참조하면, 상기 순환연장관(320a)이 상기 필터부(300)의 상단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면, 상기 순환연장관(320a)과 상기 필터부(300)의 상단 사이에 공기층(A)이 존재할 수 있다.4A, when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filter unit 300, an air layer (not shown) is formed between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and the upper end of the filter unit 300 A) may exist.

이때, 상기 순환연장관(320a)이 지면과 나란하게 상기 필터부(300)에서 연장되고, 상기 순환관(220)이 상기 순환연장관(320a)과 나란하게 구비된다고 할지라도, 상기 공기층(A)에 있는 공기가 상기 순환연장관(320a)으로 전부 배출되기 어려울 수 있다.At this time, even though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extends from the filter unit 300 in parallel with the ground and the circulation pipe 220 is provided in parallel to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So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air to be completely discharged to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따라서,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순환연장관(320a)은 상기 필터부(300)의 상부에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310)에서 상기 필터부(300)로 물이 유입되기 시작하여, 상기 필터부(300) 내부의 수위가 높아지면 상기 필터부(300) 내부의 공기는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순환연장관(320a)으로 모두 배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필터부(300) 내부에 상기 공기층(A)이 존재하지 않고 전부 물로 채워질 수 있게되어 상기 순환펌프(210)의 압력(음압)이 상기 필터부(300) 내부 전체에 가해질 수 있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4 (b),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unit 300. [ When the water level in the filter unit 300 increases as the water starts to flow into the filter unit 300 from the first coupling unit 310, the air in the filter unit 300 moves upward, And may be all discharged to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Thus, the air layer (A) does not exist in the filter part (300) and can be completely filled with water, so that the pressure (sound pressure) of the circulation pump (210) can be applied to the entire inside of the filter part (300).

이하에서는, 도5를 참조하여 상기 필터부(300)의 구조를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filter unit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5(a)는 필터부의 분해사시도 및 체결부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필터부(3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방에 개방부(341)가 구비된 필터케이스(340)와, 상기 개방부(341)을 통해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고, 여과된 이물질이 적체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바디(350)와, 상기 필터바디(350)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341)를 개폐하는 필터커버(360)와, 상기 필터커버(360)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결합하는 체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Fig. 5 (a)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and a configuration of the fastening unit. A filter case 340 having an opening 341 at the front and forming an outer appearance of the filter unit 300 and a filter case 340 detachably received in the filter case 340 through the opening 341, A filter cover 360 provided in front of the filter body 3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341, a filter cover 360 for covering the filter body 360, And a coupling part 400 coupling the cover 360 to the filter case 340.

상기 필터케이스(340)는 물을 수용하는 탱크(tank)의 역할을 하며, 상기 필터바디(350)는 상기 필터케이스(340)로 유입되는 물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lter case 340 serves as a tank for receiving water and the filter body 350 functions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of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case 340.

상기 필터케이스(340)는 직접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유로들과 직접 연통될 수 있다.The filter case 340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s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가 배출관(31)과, 배수관(120), 이동관(130), 순환관(220)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필터케이스(340)에는 상기 제1결합부(310), 상기 제2결합부(320), 상기 제3결합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ischarge pipe 31, the drain pipe 120, the moving pipe 130, and the circulation pipe 220, the filter case 340 is provided with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310, the second coupling unit 320, and the third coupling unit 330 may be provided.

이때, 상기 필터케이스(340)는 상기 베이스(10)의 필터안착부(11)에 고정되므로, 사용자는 필터바디(350)만을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분리하여 상기 필터바디(350)를 청소할 수 있다.Since the filter case 340 is fixed to the filter seat portion 11 of the base 10, the user removes only the filter body 350 from the filter case 340 to clean the filter body 350 .

상기 필터바디(350)는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필터바디(350)가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수용되어 있을 때는 견고하게 결합될 필요성이 있다.Since the filter body 35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lter case 340, when the filter body 350 is accommodated in the filter case 340, the filter body 350 needs to be firmly coupled.

상기 필터커버(360)는 상기 필터바디(350)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바디(350)가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수용될 때 상기 개방부(341)를 폐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ilter cover 36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ilter body 350 to close the opening 341 when the filter body 350 is received in the filter case 340 .

상기 필터케이스(34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방부(341)를 실링하는 실링부(361)가 구비될 수 있다.A sealing portion 361 for sealing the opening 341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case 340.

상기 실링부(361)는 상기 필터케이스(34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고, 탄성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361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case 340 and may be formed as an elastic member.

이로써, 상기 필터케이스(340)와 상기 필터커버(360)가 결합되면, 상기 실링부(361)가 상기 개방부(341)에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us, when the filter case 340 and the filter cover 360 are coup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ling portion 361 from leaking from the opening portion 341.

상기 필터커버(360)와 상기 필터케이스(340)는 체결부(400)로 인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필터커버(360)의 전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커버(360)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결합하는 제1체결부(410)와, 상기 필터케이스(340)의 양측면 또는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체결부(410)와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제2체결부(4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cover 360 and the filter case 340 may be coupled or separated by the coupling part 400. The coupling part 400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410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cover 360 and coupling the filter cover 360 to the filter case 340, And a second fastening part 420 protruding for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410 and 420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fastening part 410.

상기 제1체결부(410)는 상기 제2체결부(420)에 회전하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bar)(4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420)는 상기 바(bar)(411)가 회전하여 수용되는 슬라이드 홈(42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part 410 includes a bar 411 detachably mounted on the second fastening part 42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420 includes a bar 411, And a slide groove 421 in which the slide groove 411 is rotated and accommodated.

상기 슬라이드홈(421)은 상기 바(bar)(411)가 회전하며 수용될 때 상기 바가 상기 필터케이스를 향하여 일정거리 이동하여 상기 필터커버(360)가 상기 필터케이스(340)를 압박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슬라이드경사면(4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lide groove 421 may be formed such that when the bar 411 is rotated and received, the bar moves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filter case so that the filter cover 360 can press the filter case 340 And may include a slide slope 422 inclined.

상기 바(bar,411)는 말단에 상기 슬라이드 경사면과 대응되는 바경사면(411a)을 구비할 수 있다.The bar 411 may have a bar inclined surface 411a at its distal end, which corresponds to the slide inclined surface.

상기 필터커버(360)는 상기 바(411)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고정부(362)를 포함하고, 상기 바(411)는 상기 회전고정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 관통홀(411c)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cover 360 includes a rotation fixing portion 362 which is rotatably coupled through the bar 411. The bar 411 has a bar through hole 411c through which the rotation fixing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 ≪ / RTI >

상기 회전고정부(362)는 상기 필터커버(360)의 정중앙에서 돌출되어 구비된 돌기 로 구비될 수 있고, 자유단의 두께가 돌기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구비될 수 있다. The rotation fixing portion 362 may be provided a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filter cover 360, and may have a free end thicker than the protrusion.

이로써, 상기 바관통홀(411c)이 상기 회전고정부(362)의 자유단에 억지끼움되면, 상기 바(411)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Thus, when the bar through hole 411c is constrained to the free end of the rotation fixing portion 362, the bar 411 can rotate freely.

사용자는 상기 필터커버(360)와 상기 필터케이스(340)를 결합시킬 때, 상기 바(411)의 말단을 상기 슬라이드홈(421)의 입구부에 맞춘 후 상기 바(411)를 회전시켜 상기 바(411)를 상기 슬라이드홈(421)에 삽입시킬 수 있다.The user aligns the distal end of the bar 411 with the inlet of the slide groove 421 when the filter cover 360 and the filter case 340 are engaged and then rotates the bar 411, (411) can be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421).

이때, 상기 바(411)는 상기 슬라이드 경사면(422)를 따라 상기 필터케이스(340)를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필터커버(360)가 상기 필터케이스(340)를 압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r 411 moves along the slide inclined surface 422 toward the filter case 340 so that the filter cover 360 can press the filter case 340.

사용자는 상기 필터커버(360)와 상기 필터케이스(340)를 분리할 때, 상기 바(411)를 회전시켜 상기 바(411)를 상기 슬라이드홈(421)에서 분리할 수 있다.The user can separate the bar 411 from the slide groove 421 by rotating the bar 411 when the filter cover 360 and the filter case 34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한편, 상기 바(411)의 회전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바(411)는 십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bar 411 may be formed in a cross shape so that the bar 411 can be rotated easily.

즉, 상기 바(411)는 바관통홀(411c)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방향(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바와, 양측면으로 연장된 바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bar 411 may extend upward and downwar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r through hole 411c and may be coupled to bars extended to both sides.

상기 바(411)는 상기 필터부(300)의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이 큰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411)를 사용자가 파지할 때 사용자의 불쾌감을 최소화하고,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411)를 외주면에서 감싸는 바커버(414)가 구비될 수 있다.The bar 41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rigidity to withstand the water pressure of the filter unit 300. For example, stainless steel. Therefore, a bar cover 414 that surrounds the bar 41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provided to minimize a user's discomfort when the bar 411 is held by the user an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n electric shock.

상기 바커버(414)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The bar cover 414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한편, 도5(b)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드홈(421)은 상기 회전고정부(362)를 기준으로 소정각도(B)의 회전반경을 갖는 너비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바(411)가 상기 소정각도(B)만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드홈(421)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5 (b), the slide groove 421 may be provided with a width having a turning radius of a predetermined angle (B)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fixing portion 362. That is, the bar 411 may be rotated by the predetermined angle B to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lide groove 421.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필터커버(360)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소정각도(B)는 15도에서 45도 사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도로 설정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angle B may be set between 15 degrees and 45 degrees and may be set to 30 degre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filter cover 360 from the filter case 340. [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바(411)를 180도 또는 360도의 배수 만큼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 30도만 회전시켜 상기 필터커버(360)와 상기 필터케이스(340)를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Thus, the user can separate or combine the filter cover 360 and the filter case 340 by rotating the bar 411 only by 30 degrees instead of rotating the bar 411 by a multiple of 180 degrees or 360 degrees.

이하에서는 도6을 참조하여 상기 필터바디(350)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ilter body 3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6(a)는 상기 필터부(300)의 단면도이며, 도6(b)는 상기 필터바디(360)가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분리된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6(c)는 상기 필터바디(360)가 분리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6 (b) is a view showing that the filter body 360 is separated from the filter case 340, and FIG. 6 (c) is a cross- And the filter body 360 is separated.

도6(a),(b)를 참고하면, 상기 필터바디(350)는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육면체의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필터케이스(340)의 내부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6 (a) and 6 (b), the filter body 350 may be provided in a case-like shape of a hexahedron capable of accommodating foreign substances, and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ternal shape of the filter case 340 .

상기 필터바디(350)는 표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관통부(352)와, 상기 관통부에 구비되어 물은 통과하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메쉬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바디(350)는 상기 제1결합부(310)와 연통하는 유입홀(354)과, 상기 제3결합부(330)와 연통하되 상기 경사연장관(330a)에 삽입되는 경사관(355)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body 350 may include a penetration portion 352 formed to penetrate the surface of the filter body 350 and a mesh portion 353 provided in the penetration portion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foreign substances to be filtered. The filter body 350 may include an inlet hole 354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and an inclined pipe 340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coupling portion 330 and inserted into the inclined extension pipe 330a, 355).

이로써, 연통된 제1결합부(310)에서 상기 필터케이스(340) 내부로 공급되는 물과 이물질은 상기 유입홀(354)을 통해 상기 필터바디(350)로 유입될 수 있다. Water and foreign matter supplied into the filter case 340 from the communicated first coupling part 3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body 350 through the inlet hole 354. [

상기 순환펌프(210)가 작동하면, 상기 필터바디(350)로 유입된 물은 상기 필터바디(350)의 상기 메쉬부(353)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바디(350) 외부로 이탈하고, 상기 순환연장관(320a)로 배출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유입홀(354)을 통해 물과 함께 유입된 이물질은 상기 메쉬부(353)에 여과되어 상기 필터바디(350) 내부에 적체될 수 있다.When the circulation pump 210 is operated,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body 350 passes through the mesh portion 353 of the filter body 350 and is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body 350,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extension pipe 320a. At the same time,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water through the inlet hole 354 may be filtered into the mesh portion 353 and accumulated in the filter body 350.

이때, 상기 경사관(355)은 상기 유입홀(354)로 유입된 물과 이물질이 곧바로 상기 이동관(130)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경사관(355)이 상기 필터바디(350)를 관통하는 홀로 구비된다면, 상기 유입홀(354)로 유입된 물이 상기 순환연장관(320a)으로 이동할 때 상기 홀로 유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경사관(355)은 상기 필터바디(350)의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유입홀(354)로 유입된 물이 유실없이 상기 순환연장관(320a)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clined pipe 355 can prevent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that have flowed into the inlet hole 354 from being discharged directly to the moving pipe 130. If the inclined pipe 355 is provided as an opening that passes through the filter body 350,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354 may be leaked to the hole when the water moves to the circulation pipe 320a . That is, the inclined pipe 355 can secure a space of the filter body 350 so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inlet hole 354 can be discharged to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320a without loss have.

한편, 상기 경사관(355)은 상기 경사연장관(330a)의 형상을 따라 상기 필터바디(350)의 배면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The inclined pipe 355 may extend obliquely downward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body 350 along the shape of the inclined pipe 330a.

이는 상기 순환펌프(210)가 작동이 멈춘 경우, 상기 유입홀(354)로 유입된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경사관(355)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inflow hole 354 to be discharged to the inclined pipe 355 by its own weight when the circulation pump 210 stops operating.

즉, 상기 터브(3)의 물을 순환시키지 않고 배수하려고 할 경우, 상기 순환펌프(210)의 작동은 멈추며, 상기 터브(3)의 물은 상기 유입홀(354)로 유입되어 상기 필터바디(350)에 적체된 이물질과 함께 상기 이동관(130)을 따라 상기 배수관(120)으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water in the tub 3 is to be drained without circulating water,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210 is stopped, and the water in the tub 3 flows into the inlet hole 354, 350 to the drain pipe 120 along the moving pipe 130.

한편, 전술한 것처럼 상기 필터바디(350)는 전방에 상기 필터커버(360)가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필터바디(350)는 상기 필터커버(360)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필터커버(36)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면(351)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body 350 is coupled to the filter cover 360 in front. The filter body 350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351 inclined to be distanced from the filter cover 36 around a portion coupled to the filter cover 360.

상기 경사면(351)은 상기 경사면(351)을 관통하여 물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관통부(35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관통부(352)를 폐쇄하여 물은 통과하되 이물질은 여과될 수 있는 메쉬부(353)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351 may include a penetration portion 352 through which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351. The penetration portion 352 may be closed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a mesh portion 353.

결과적으로, 관통부(352)는 상기 필터바디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물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제1관통부(352a)와 상기 필터바디의 경사면(351)을 관통하여 물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제2관통부(352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쉬부(353)는 상기 제1관통부(352a)를 폐쇄하여 물은 통과하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구비된 제1메쉬부(353a)와 상기 제2관통부(352b) 폐쇄하여 물은 통과하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제2메쉬부(353b)를 포함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penetration portion 352 has a first penetration portion 352a passing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body and allowing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a second penetration portion 352b penetrating the inclined surface 351 of the filter body, And may include a penetrating portion 352b. The mesh portion 353 is provided with a first mesh portion 353a through which the first penetration portion 352a is closed to allow water to pass through and a foreign substance is filtered and the second penetration portion 352b is closed, And may include a second mesh portion 353b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즉, 본 발명 일실시예의 필터바디(350)는 전방에 경사면(351) 및 제2관통부(352b)과 제2메쉬부(353b)를 구비하여 상기 필터바디(350)의 전방도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lter body 35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clined surface 351, the second penetration portion 352b and the second mesh portion 353b in front, so that the foreign matter in front of the filter body 350 is filtered .

이로써, 상기 필터바디(350)가 이물질을 여과하는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filter body 350 can maximize the ability to filter foreign matters.

한편, 상기 터브(3)의 물을 배수할 때, 상기 필터바디(350)의 이물질을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필터바디(350)의 메쉬부(353)에 이물질이 끼어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Even if the filter body 350 is able to discharge the foreign matter of the filter body 350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when the water in the tub 3 is drained, There may be a case where it is interrupted.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필터바디(350)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분리하여 상기 이물질을 수동으로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need to separate the filter body 350 from the filter case 340 to manually remove the foreign body.

이때, 상기 필터바디(350)가 일체로 된 케이스로만 구비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필터바디(350)의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filter body 350 is provided only as a single cas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move the foreign matters inside the filter body 350.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필터바디(350)는 분리되어 내부를 노출 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ilter body 350 may be separated and exposed to the inside.

도6(c)은 상기 필터바디(350)가 분리되어 내부를 노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6 (c)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filter body 350 is separated to expose the interior.

상기 필터바디(350)는 상기 필터바디(35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1필터바디(350a)과, 상기 필터바디(350)의 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필터바디(350)의 내부를 노출시키는 제2필터바디(35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body 350 includes a first filter body 350a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body 350 and a second filter body 350a form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lter body 350 and being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a second filter body 350b for exposing the inside of the filter body 350. [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는 일측에 두께가 얇아 접혀질 수 있는 접이부(360c)가 구비되고, 타측에 후크(357)가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접이부(350c)을 기준으로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는 회전가능 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가 서로 분리되고 결합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may have a folding portion 360c which is thin and foldable at one side thereof and a hook 357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thereof. have. Accordingly,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can be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folding part 350c. However, any structure may be used as long as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can be separated and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는 외주면에 물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관통부(352a)와, 상기 제1관통부(352a)를 폐쇄하여 물은 통과하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상기 제1메쉬부(353a)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penetration portion 352a provided so as to allow water to pass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first penetration portion 352a, The first mesh portion 353a through which water passes and the foreign substance is filtered may be provided.

한편, 상기 필터커버(360)는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 중 어느 하나의 전방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lter cover 360 may be coupled to one of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상기 제1필터바디(350a)가 하부에 구비되어 이물질이 상기 제1필터바디(350a)에 적체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상기 제2필터바디(350b)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필터바디(350a)에 상기 필터커버(360)가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first filter body 350a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and foreign matter is accumulated in the first filter body 350a.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cover 360 is coupled to the first filter body 350a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second filter body 350b.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가 서로 결합되어 케이스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1필터바디(350a)의 전방면과 상기 제2필터바디(350b)의 전방면은 상기 필터커버(36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상기 경사면(351)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case,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body 350b The inclined surface 351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lter cover 360. [

또한,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의 배면에는 상기 유입홀(354)을 형성하는 반홀(half hole)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경사관(355)을 형성하는 반관(half pipe)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is provided with a half hole for forming the inlet hole 354 on the back surface thereof, And a half pipe may be respectively provided.

도7은 상기 필터부(300)에 구비된 체결부(400)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upling part 400 provided in the filter part 300. As shown in FIG.

즉, 도7의 도시된 필터부(300)는 전술한 필터부(300)와 체결부(400)의 구성만 다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In other words, the filter unit 300 shown in FIG. 7 differs from the filter unit 300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unit 400 only, so that a duplicate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도7에 도시된 상기 제1체결부(410)는 상기 제2체결부(4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판형상의 체결바디(412)와, 상기 체결바디(412)를 회전시키는 핸들(413)과, 상기 체결바디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나사선(412a)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420)는 상기 나사선(412a)이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제1체결부(4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나사홈(4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art 410 shown in FIG. 7 includes a disk-shaped fastening body 412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part 420 and a handle 413 for rotating the fastening body 412 And a screw 412a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body,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420 includes the threaded part 412a rotatably received therein and the first fastening part 410 And may include a screw groove 423 that moves forward or backward.

사용자는 상기 필터커버(360)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분리할 때, 상기 체결바디(412)가 상기 제2체결부(420)에서 완전히 이탈할 때까지 상기 핸들(413)로 상기 체결바디(412)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체결바디(412)를 상기 나사홈(423)에서 분리할 수 있다.When the filter cover 360 is separated from the filter case 340 by the user, the user can use the handle 413 with the fastening body 412 until the fastening body 412 completely disengages from the second fastening part 420. [ The fastening body 412 can be rotated in one direction to separate the fastening body 412 from the thread groove 423. [

또한, 사용자는 상기 필터커버(360)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결합시킬 때 상기 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can advance the process in reverse order when coupling the filter cover 360 to the filter case 340.

이로써, 상기 필터커버(360)을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더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Thus, the filter cover 360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filter case 340.

도8을 참조하여, 상기 필터부(300)에서 이물질을 여과하고, 상기 이물질을 물과 함께 배출할 수 있는 유로구조를 자세하게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8, a description will be given in detail of a flow path structure in which foreign matters are filtered by the filter unit 300 and the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together with water.

완전히 연결된 선(이하 직선)은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이 순환하는 방향을 도시한 것이며, 점선은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배수되는 방향을 도시한 것이다.The dashed line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3 is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It is.

상기 터브(3)의 물을 순환시키는 경우,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배출관(31)을 따라 배수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터브(3)의 물을 순환시킬 때는 상기 터브(3)에서 세탁물을 세척하는 단계이므로 상기 배출관(31)으로 유입되는 물은 세탁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포함하게 된다.When the water in the tub 3 is circulated,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3 is drained along the discharge pipe 31. Generally, when water in the tub 3 is circulated, washing water is washed in the tub 3, so that the water flowing into the discharge pipe 31 contains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laundry.

상기 순환펌프(210)가 작동하면, 상기 배출관(31)에 유입된 물은 직선을 따라 상기 필터부(300)에 유입되어 물은 상기 필터부(300)를 통과하여 상기 순환관(220)으로 유입되어 상기 터브(3)로 순환된다. 동시에, 상기 배출관(31)에서 물과 함께 상기 필터부(300)로 유입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300)에서 여과되어 상기 필터부(300)에 수용된다. When the circulation pump 210 is operated, the water flowing into the discharge pipe 31 flows into the filter unit 300 along a straight line, and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filter unit 300 and flows into the circulation pipe 220 And is circulated to the tub 3. At the same time, the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300 together with water in the discharge pipe 31 are filtered in the filter unit 300 and accommodated in the filter unit 300.

상기 터브(3)에서 세탁물의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은 더 이상 순환될 필요가 없고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배수되어야 한다.When washing of the laundry is completed in the tub 3,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3 need not be circulated any more and must be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상기 터브(3)의 물을 배수하는 경우,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배출관(31)을 따라 배수된다. When the water in the tub 3 is drained,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3 is drained along the drain pipe 31.

상기 순환펌프(210)가 작동하지 않아도 상기 배출관(31)에 유입된 물은 자중에 의해 점선을 따라 상기 필터부(300)에 유입된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110)가 작동하면, 상기 배수펌프(110)에서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상기 터브(3)의 물은 상기 필터부(300)로 원할하게 유입될 수 있다.Even if the circulation pump 210 is not operated, the water flowing into the discharge pipe 31 flows into the filter unit 300 along the dotted line by its own weight. In addition, when the drain pump 110 operates, the water in the tub 3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300 by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in the drain pump 110.

이때, 순환펌프(210)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상기 필터부(300)로 유입된 물은 자중 또는 상기 배수펌프(110)에서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상기 이동관(130)을 따라 이동한다.At this time, since the circulation pump 210 does not operate,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300 moves along the moving pipe 130 due to its own weight or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drain pump 110.

이때, 상기 필터부(300)로 유입된 물은 상기 필터부(300)에 수용되거나 적체된 이물질과 함께 상기 이동관(130)으로 배출된다. 즉, 상기 필터부(300)로 유입된 물은 상기 필터부(300)에 적체된 이물질을 쓸고 갈 수 있다. 이후, 상기 필터부(300)에서 상기 이동관(130)으로 배출된 물과 이물질은 상기 배수관(110)을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배출된다. At this time,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300 is discharged to the moving pipe 130 together with the foreign substances accommodated or accumulated in the filter unit 300. That is,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300 can sweep th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filter unit 300.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filter unit 300 to the moving pipe 130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through the drain pipe 110.

이로써,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과정이 끝나면 상기 필터부(300)에 이물질이 남아있지 않아 사용자가 상기 필터부(300)에서 이물질을 수동으로 제거할 필요가 없다.Accordingly,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user to manually remove the foreign substance from the filter unit 300 because the foreign substance remains in the filter unit 300 after the washing process.

즉, 상기 필터부(300)에 이물질이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어 상기 필터부(300)에 이물질이 적체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That is, foreign matter may be automatically removed from the filter unit 300, so that it is unnecessary to consider foreign matter to be accumulated in the filter unit 300.

또한, 상기 필터부(300)에 이물질이 적체되어 부패되거나, 상기 필터부(300)에 물의 출입이 방해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lter unit 300 from being spoiled by foreign matter and preventing the entry / exit of water into / from the filter unit 300.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며, 상기 필터부(300)가 다른 위치에 구비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in which the filter unit 300 is provided at another posi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후술할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기 베이스(10) 및 상기 필터부(300)의 구조만 다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피한다.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are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nly in the structure of the base 10 and the filter unit 300,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are avoided.

상기 필터부(300)가 캐비닛(1)의 전방에 구비되면, 상기 캐비닛(1)에 상기 필터부(300)를 교체하거나, 상기 필터부(300)의 필터바디(350)을 인출하기 위해 필터도어(16) 등을 설치해야 한다.When the filter unit 30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cabinet 1, the filter unit 300 is replaced with the filter unit 300 in order to replace the filter unit 300 in the cabinet 1, A door 16 and the like must be installed.

이는 상기 필터부(300)를 교체하거나, 상기 필터바디(350)를 인출하는 빈도가 많지 않음에도 필터도어(16)를 구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This means that the filter door 300 must be replaced or a filter door 16 must be provided even if the filter body 350 is not frequently opened.

상기 필터도어는 상기 캐비닛(1)의 일체성을 흐리게 되어 심미감을 저하시킬 수 있고, 임의로 개방될 경우 사용자가 다칠 우려가 있다. The filter door may blur the integrity of the cabinet 1 to deteriorate the sensation of aesthetics, and there is a fear that the user may be injured if the filter door is opened arbitrarily.

또한, 상기 캐비닛(1)이 금속재질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필터도어(16)를 구비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1)에 필터인출부(18)를 성형해야 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다. In addition, when the cabinet 1 is made of a metal material, a separate process is required to form the filter draw-out portion 18 in the cabinet 1 in order to provide the filter door 16.

한편,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캐비닛(1)을 지지하기 하고 진동을 감쇄하기 위해 일정 두께를 가진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되며, 상기 캐비닛(1)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에 노출정도가 크지 않다.The base 1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for supporting the cabinet 1 and attenuating vibrations. The base 10 is provided under the cabinet 1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하부에는 상기 캐비닛(1)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레그(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통상적이다.In addition, legs (not shown) are usually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10 to balance the cabinet 1.

따라서, 캐비닛(1)의 일체성을 유지하여 심미감을 높이고, 임의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필터부(300)는 베이스(10)에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필터부(300)가 외부로 노출되는 필터도어는 상기 베이스(10)에 구비되는 베이스도어(15)로 대체될 수 있다.Therefore, the filter unit 300 may be accommodated in the base 10 in order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the cabinet 1 to enhance the aesthetics of the cabinet 1 and to prevent arbitrary opening thereof. The filter door may be replaced with a base door 15 provided in the base 10.

즉, 상기 베이스(10)에 필터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구비되면, 상기 필터부(300)의 필터바디(350)를 인출하는 베이스도어(15)를 상기 베이스(10)에 구비할 수 있다.That is, when at least a part of the filter unit 300 is accommodated in the base 10, a base door 15 for extracting the filter body 350 of the filter unit 300 is provided on the base 10 can do.

상기 베이스(10)는 전술한 것처럼 플라스틱으로 구비되어 사출성형 등으로 인해 상기 베이스도어(15)는 상기 베이스(10)가 제작 될 때 1회 공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1)는 상기 캐비닛(1)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1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10)의 전방에는 상기 필터부(30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필터안착부(11)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10)의 후방에는 상기 배수펌프(110)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배수펌프안착부(12)가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10 is made of plastic as described above, and the base door 15 can be provided in a single step when the base 10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or the lik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includes a base 10 for supporting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1 and a filter seating portion 11 And a drain pump mounting part 12 to which the drain pump 110 is seated and fixed can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ase 10.

상기 필터안착부(11)는 상기 베이스(10)의 전방에 함몰되어 상기 필터부(300)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필터안착홈(11d)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seating part 11 may include a filter seating groove 11d which is recessed in front of the base 10 to receive the filter part 300.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필터안착홈(11d)의 전방과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필터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방될 수 있는 베이스 도어(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10 may include a base door 15 that can be opened to expose at least a part of the filter unit 300 to the outside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filter seat groove 11d.

상기 필터안착홈(11d)은 상기 베이스(10)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도 있고, 상기 베이스(10)의 두께가 다른 부분보다 낮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lter receiving groove 11d may be provided through the base 10 and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thickness of the base 10 is lower than other portions.

즉, 상기 필터안착홈(11d)은 상기 필터부(300)가 수용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at is, the filter receiving groove 11d may be formed in any shape as long as the filter unit 300 can be received.

도10은 상기 베이스(10)에 상기 필터부(300)가 구비된 것을 자세하게 도시한 것이다.FIG. 10 is a detailed view showing that the filter unit 300 is provided in the base 10.

이때, 상기 필터부(300)가 상기 베이스(10)에 전부 수용되도록 구비되면, 상기 베이스(10)가 매우 두껍게 구비되어야 하거나, 상기 필터부(300)의 높이가 매우 작게 구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In this case, if the filter unit 300 is fully accommodated in the base 10, the base 10 should be very thick or the filter unit 300 should be very small in height .

따라서, 상기 필터부(300)는 일부가 상기 베이스(10)에 수용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unit 300 is partly accommodated in the base 10.

상기 베이스도어(15)는 상기 베이스(10)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300)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 시킬 수 있다.The base door 15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base 10 to expose at least a part of the filter unit 300.

상기 베이스도어(15)는 상기 베이스(10)와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도어(15)를 연결하는 도어연결부(15a)가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door 15 may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base 10 and may include a door connecting portion 15a connecting the base 10 and the base door 15.

상기 도어연결부(15a)는 끈으로 구비될 수 있고, 플라스틱 리브 로서 상기 베이스(10)에 일정길이 삽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The door connecting portion 15a may be formed of a string or may be formed as a plastic rib so as to be inserted into or drawn out from the base 10 by a predetermined length.

상기 배수펌프안착부(12)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 함몰되어 구비되는 펌프안착홈(12a)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 pump mounting part 12 may include a pump mounting groove 12a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ase.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필터부(300)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31)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310)와, 상기 필터부(300)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관(220)과 결합하는 제2결합부(320)와, 상기 필터부(300)의 배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결합부(31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이동관(130)과 결합하는 제3결합부(3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300 includes a first coupling unit 31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and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31 and a second coupling unit 31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And a third coupling unit 320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unit 3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330.

즉,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2결합부(320)는 상기 필터부(300)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That is,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second coupler 32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이는 상기 필터부(30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10)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상기 필터부(300)의 전체적인 높이가 낮아지게 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at least a part of the filter unit 300 is accommodated in the base 10, the overall height of the filter unit 300 is lowered.

또한, 상기 제2결합부(320)가 상기 필터부(300)의 측면에 구비되면, 상기 제3결합부(330)와 높이 차이가 크지 않아 상기 터브(3)의 물을 배수할 때 상기 필터부(300)에 유입된 물이 상기 제2결합부(320)로 일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Whe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20 is provi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lter portion 300, the height of the third coupling portion 330 is not large, and when the water in the tub 3 is drained, And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part 300 can be partially moved to the second engaging part 320. [

상기 필터부(3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순환펌프(210)의 작동이 멈추면 상기 필터부(300)에 유입된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이동관(130)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결합부(330)는 상기 필터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이동관과 결합하는 경사연장관(330a)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irculation pump 210 stops operating, the filter unit 3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300 flows into the moving pipe 130 by its own weight, The third coupling portion 330 may include an inclined extension pipe 330a which slopes downwardly from the filter portion and engages with the moving pipe.

이때, 상기 경사연장관(330a)과 연통하는 상기 이동관(130)이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구비되면 상기 터브(3)의 물이 상기 이동관(130)으로 자중에 의해 이동하기 어려울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moving pipe 130 communicating with the inclined extension pipe 330a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0, water of the tub 3 may be difficult to move to the moving pipe 130 due to its own weight.

따라서, 상기 이동관(130)은 상기 베이스(10)의 하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베이스(10)의 하부에 수용되어 설치 높이를 낮추도록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moving pipe 13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10 or may be accommod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10 to lower the installation height.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10)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관(130)이 수용될 수 있는 이동관수용홈(14)이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a moving pipe receiving groove 14, through which the moving pipe 130 can be received,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se 10.

상기 이동관수용홈(14)은 상기 이동관(130)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이동관(130)의 전부 또는 일부가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moving pipe receiving groove 14 may b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ing pipe 130, and all or part of the moving pipe 130 may be accommodated.

이하에서는 도11을 참고하여, 상기 베이스(10)에 일부가 수용되는 상기 필터부(300)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ilter unit 300, which is partially contained in the bas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11(a)는 상기 필터부(30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11(b)는 상기 필터부(300)의 제1체결부(410)가 조립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11(c)는 상기 필터부(300)를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11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lter unit 300, FIG. 11 (b) shows a first fastening unit 410 of the filter unit 300 assembled, and FIG. The filter unit 300 is viewed from the side.

도11(a)와 도11(b)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필터부(3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방에 개방부(341)를 구비한 필터케이스(340)와, 상기 필터케이스(340)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341)를 차폐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도어(15)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개방부(341)와 연통하는 연통홀(381)을 구비하는 차폐부(380)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수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고, 여과된 이물질이 적체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바디(350)를 포함할 수 있다.11 (a) and 11 (b), the filter unit 300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filter unit 300, and includes a filter case 340 having an opening 341 at the front, A communication hole 381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341 is form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ase door 15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filter case 340 to shield the opening 341 And a filter body 350 accommodated in the filter case 340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and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iltered foreign matters are accumulated.

즉, 상기 차폐부(380)는 상기 필터부(300)의 전방이 모두 상기 베이스도어(15)에 노출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필터부(300)의 개방부(341) 중 상기 베이스도어(15)에 의해 노출되는 부분에 연통홀(381)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도어(15)에 노출되지 않는 부분은 차폐하도록 강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shielding portion 380 is not exposed to the base door 15 in front of the filter portion 300, so that the opening portion 341 of the filter portion 300 is not exposed to the base door 15 And a portion not exposed to the base door 15 may be provided as a steel plate for shielding.

상기 필터바디(350)는 상기 필터바디(350)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통홀(381)에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수용되어 상기 제1필터바디(350a)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필터바디(35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body 350 includes a first filter body 350a formed below the filter body 350 so as to be drawn out from the communication hole 381 and a second filter body 350b housed in the filter case 340, And a second filter body 350b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body 350a.

즉, 상기 제1필터바디(350a)는 상기 연통홀(381)을 통해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필터바디(350b)는 상기 필터케이스(340)의 내부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filter body 350a can be drawn out from the filter case 34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381,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is disposed inside the filter case 340 And may be fixedly installed.

이로써, 상기 필터바디(350)에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필터바디(350) 중 제1필터바디(350a)를 인출 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oreign body is to be removed from the filter body 350, the user can take out the first filter body 350a out of the filter body 350.

이로써, 상기 필터부(300)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10)에 수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베이스도어(15)로 상기 제1필터바디(350a)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Thus, even if a part of the filter unit 300 is accommodated in the base 10, the first filter body 350a can be easily drawn out from the filter case 340 to the base door 15 have.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두께가 작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1필터바디(350a)를 상기 베이스(10)의 두께와 대응되는 높이로 제작하여, 상기 베이스도어(15)만으로도 용이하게 상기 제1필터바디(350a)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손쉽게 인출할 수 있다.Even if the thickness of the base 10 is small, the first filter body 350a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ase 10, So that the body 350a can be easily drawn out from the filter case 340.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제1필터바디(350a)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연통홀(381)을 개폐하는 필터커버(360)와, 상기 필터커버(360)를 상기 필터케이스에 결합하는 체결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300 includes a filter cover 360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irst filter body 350a to open and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381, (400). ≪ / RTI >

즉, 상기 필터커버(360)는 상기 차폐부(380)가 상기 필터케이스(340)의 개방부(341)를 차폐하고 있으므로, 상기 차폐부(380)의 연통홀(381)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shield cover 380 shields the opening 341 of the filter case 340, the filter cover 360 is provided to open /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381 of the shield 380 .

상기 필터바디(350)에는 외주면에 물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부(352)와, 상기 관통부(352)를 폐쇄하여 물은 통과시키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메쉬부(35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body 350 includes at least one through-hole 352 formed to allow water to pass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ter body 350, and a mesh portion 353 through which the through-hole 352 is closed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

즉,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부(352)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부(352)를 폐쇄하는 메쉬부(353)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are provided with at least one penetration portion 35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mesh portion 353 for closing the penetration portion 352 .

한편, 상기 필터바디(350)는 배면에 상기 제1결합부(310)와 연통하는 유입홀(354)이 구비되고, 상기 유입홀(354)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3결합부(330)와 연통하는 배출홀(356)을 구비할 수 있다.The filter body 350 includes an inlet hole 354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upler 310 at a rear surface thereof and spaced apart from the inlet hole 35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discharge hole 356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356. [

즉,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 중 어느 하나의 배면에 상기 유입홀(354)과 배출홀(356)이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inlet hole 354 and the outlet hole 356 may be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either the first filter body 350a or the second filter body 350b.

또한,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에는 각각 상기 유입홀(354)과 배출홀(356)을 형성하도록 반홀(half hole)이 구비될 수 있다. A half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to form the inflow hole 354 and the discharge hole 356, respectively.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필터커버(360)를 상기 필터케이스(340) 또는 상기 차폐부(380)에 결합시키는 제1체결부(410)와, 상기 필터케이스(340) 또는 상기 차폐부의 상부 및 하부 또는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410)와 결합하는 제2체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400 includes a first fastening part 410 for fastening the filter cover 360 to the filter case 340 or the shielding part 380, And a second fastening part 420 provided on the lower or both sides of the first fastening part 410 to engage with the first fastening part 410.

즉, 상기 제1체결부(410)는 좌우 또는 상하 대칭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fastening portions 41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left-right or up-and-down symmetry.

상기 제1체결부(410)는 상기 필터커버(360)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판(414)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420)는 상기 필터케이스(340) 또는 상기 차폐부(380)의 상부 및 하부 또는 양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체결판(414)을 수용하는 체결부수용홈(4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art 410 includes a fastening plate 414 that is reciprocally movable left and right or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filter cover 360. The second fastening part 420 includes a filter case 340, Or a coupling portion receiving groove 424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both sides of the shield portion 380 to receive the coupling plate 414. [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제1체결부(410)를 좌우 또는 상하로 왕복이동 시키는 제3체결부(4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400 may include a third fastening part 430 that reciprocates the first fastening part 410 left or right or upward and downward.

상기 제3체결부(430)는 상기 필터커버(36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되 외주면에 나사홈(431a)이 구비되는 나사바디(431)와, 상기 나사바디(431)를 따라 왕복하여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필터커버(360)를 향하여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이동경사면(432a)을 구비하는 이동바디(432)와, 상기 이동바디(432)dml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내주면에 상기 나사바디(431)의 나사홈(431a)을 따라 이동하는 나사선(433a)을 구비하는 회전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fastening part 430 includes a screw body 431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ilter cover 360 and having a screw groove 431a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movable body 432 having a moving slope 432a inclined to narrow toward the filter cover 360; a movable body 432 rotatably provided in front of the moving body 432, And a rotating portion 443 having a thread 433a which moves along the thread groove 431a of the threaded portion 431.

이때, 상기 체결판(414)은 일단에 상기 이동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를 구비하는 체결경사면(414a)을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plate 414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slope 414a having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slope at one end.

상기 체결판(414)은 상기 제3체결부(430)를 기준으로 좌우 또는 상하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astening plate 414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third fastening part 430 on the left or right or up and down.

상기 이동바디(432)가 상기 필터커버(360)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체결판(414)을 밀어내어 상기 체결수용홈(424)에 결합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movable body 432 moves toward the filter cover 360, the coupling plate 414 may be pushed out and coupled to the coupling receiving groove 424.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필터바디(350)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회전부(433)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바디(432)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상기 체결판(414)이 상기 나사바디(431)과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필터커버(360)는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분리되어 상기 필터바디(350)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When the user desires to separate the filter body 350 from the filter case 340, the user rotates the rotating part 433 to pull the moving body 432 forward, And can be moved so as to be close to the screw body 431. Then, the filter cover 360 is detached from the filter case 340 and can be pulled forward together with the filter body 350.

사용자가 상기 필터바디(350)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과정을 역으로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serts the filter body 350 into the filter case 340 to join the filter body 340, the above-described process can be reversed.

이로써, 상기 베이스도어(15)가 두께가 작게 구비된다고 할지라도 사용자는 상기 제1체결부(410)를 상기 제2체결부(420)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base door 15 is small in thickness, the user can easily join or separate the first fastening part 410 to the second fastening part 420.

도11(a)와 도11(b)는 상기 제1체결부(410)와 좌우로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420)가 상기 차폐부(380)의 양측면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나, 상기 제1체결부(410)와 상기 제2체결부(420)가 결합하여 상기 필터부(300)를 밀봉할 수 있다면 어느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11 (a) and 11 (b) are provided to reciprocate right and left with respect to the first fastening part 41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4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hielding part 380 Or may be provided at any position as long as the first fastening part 41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420 are engaged to seal the filter part 300.

한편, 도11(c)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커버(360)는 상기 연통홀(381)을 실링하는 실링부(361)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c), the filter cover 360 may include a sealing portion 361 for sealing the communication hole 381.

상기 실링부(361)는 상기 필터커버(360)의 배면에 상기 연통홀(381)의 내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361)는 탄성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361 may protrude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filter cover 360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hole 381. The sealing portion 361 may be formed of an elastic member.

이로써, 상기 필터커버(360)가 상기 차폐부(380)에 체결될 때 상기 실링부(361)는 상기 연통홀(381)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Thus, when the filter cover 360 is fastened to the shielding portion 380, the sealing portion 361 can prevent leakage of the communication hole 381.

도12는 도10, 도11에 게시된 필터부(300)의 유로방향을 도시한 것이다.Fig. 12 shows the flow direction of the filter unit 300 shown in Figs. 10 and 11. Fig.

완전히 연결된 선(이하 직선)은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이 순환하는 방향을 도시한 것이며, 점선은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이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배수되는 방향을 도시한 것이다.The dashed line indicates the direction in which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3 is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It is.

상기 터브(3)의 물을 순환시키는 경우,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배출관(31)을 따라 배수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터브(3)의 물을 순환시킬 때는 상기 터브(3)에서 세탁물을 세척하는 단계이므로 상기 배출관(31)으로 유입되는 물은 세탁물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포함하게 된다.When the water in the tub 3 is circulated,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3 is drained along the discharge pipe 31. Generally, when water in the tub 3 is circulated, washing water is washed in the tub 3, so that the water flowing into the discharge pipe 31 contains foreign matter separated from the laundry.

상기 순환펌프(210)가 작동하면, 상기 배출관(31)에 유입된 물은 점선을 따라 상기 필터부(300)에 유입되어 물은 상기 필터부(300)를 통과하여 상기 순환관(220)으로 유입되어 상기 터브(3)로 순환된다. 동시에, 상기 배출관(31)에서 물과 함께 상기 필터부(300)로 유입된 이물질은 상기 필터부(300)에서 여과되어 상기 필터부(300)에 수용된다. When the circulation pump 210 is operated, water flowing into the discharge pipe 31 flows into the filter unit 300 along a dotted line, and water flows through the filter unit 300 and flows into the circulation pipe 220 And is circulated to the tub 3. At the same time, the foreign substances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300 together with water in the discharge pipe 31 are filtered in the filter unit 300 and accommodated in the filter unit 300.

상기 터브(3)에서 세탁물의 세척이 완료되면,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은 더 이상 순환될 필요가 없고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배수되어야 한다.When washing of the laundry is completed in the tub 3,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3 need not be circulated any more and must be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상기 터브(3)의 물을 배수하는 경우,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배출관(31)을 따라 배수된다. When the water in the tub 3 is drained,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3 is drained along the drain pipe 31.

상기 순환펌프(210)가 작동하지 않아도 상기 배출관(31)에 유입된 물은 자중에 의해 직선을 따라 상기 필터부(300)에 유입된다. 또한, 상기 배수펌프(110)가 작동하면, 상기 배수펌프(110)에서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상기 터브(3)의 물은 상기 필터부(300)로 원할하게 유입될 수 있다.Even if the circulation pump 210 is not operated, water flowing into the discharge pipe 31 flows into the filter unit 300 along a straight line by its own weight. In addition, when the drain pump 110 operates, the water in the tub 3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300 by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in the drain pump 110.

이때, 순환펌프(210)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상기 필터부(300)로 유입된 물은 자중 또는 상기 배수펌프(110)에서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상기 이동관(130)을 따라 이동한다.At this time, since the circulation pump 210 does not operate,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300 moves along the moving pipe 130 due to its own weight or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drain pump 110.

이때, 상기 필터부(300)로 유입된 물은 상기 필터부(300)에 수용되거나 적체된 이물질과 함께 상기 이동관(130)으로 배출된다. 즉, 상기 필터부(300)로 유입된 물은 상기 필터부(300)에 적체된 이물질을 쓸고 갈 수 있다. 이후, 상기 필터부(300)에서 상기 이동관(130)으로 배출된 물과 이물질은 상기 배수관(110)을 통과하여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배출된다. At this time,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300 is discharged to the moving pipe 130 together with the foreign substances accommodated or accumulated in the filter unit 300. That is,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300 can sweep th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filter unit 300. Water and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filter unit 300 to the moving pipe 130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through the drain pipe 110.

이로써,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세탁과정이 끝나면 상기 필터부(300)에 이물질이 남아있지 않아 사용자가 상기 필터부(300)에서 이물질을 수동으로 제거할 필요가 없다.Accordingly,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user to manually remove the foreign substance from the filter unit 300 because the foreign substance remains in the filter unit 300 after the washing process.

즉, 상기 필터부(300)에 이물질이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어 상기 필터부(300)에 이물질이 적체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 That is, foreign matter may be automatically removed from the filter unit 300, so that it is unnecessary to consider foreign matter to be accumulated in the filter unit 300.

또한, 상기 필터부(300)에 이물질이 적체되어 부패되거나, 상기 필터부(300)에 물의 출입이 방해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lter unit 300 from being spoiled by foreign matter and preventing the entry / exit of water into / from the filter unit 300.

전술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실시예들은 상기 필터부(300)의 구조 및 형상만 상이할 뿐 상기 필터부(300)에 여과된 이물질이 적체되지 않고 물과 함께 배수된다는 것은 동일하다.Embodiments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the same in that only the structure and the shape of the filter unit 300 are different, but the foreign matter filtered in the filter unit 300 is drained together with water without being accumulated.

즉, 상기 필터부(300)는 터브(3)의 물을 순환하는 유로 상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브(3)의 물을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배수할 때, 상기 필터부(300)는 물을 배수하는 유로상에도 구비되어 여과된 이물질도 모두 물과 함께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That is, the filter unit 300 is provided on the flow path of the water in the tub 3, so that foreign substances discharged from the tub 3 can be effectively filtered. When the water in the tub 3 is drain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the filter unit 300 is also provided on the flow path for draining the water, And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필터부(300)를 교체하거나, 별도로 인출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의 편의성은 극대화 될 수 있다.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for the user to replace or separate the filter unit 300, thereby maximizing the user's convenience.

다만, 사용자는 상기 필터부(300)에서 필터바디(350)를 인출할 때 이물질이 수집되지 않아 상기 필터부(300)의 성능을 의심할 수 있다. 즉, 상기 세탁과정이 종료되면,상기 필터부(300)의 이물질이 상기 터브(3)에 수용되었던 물과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상기 필터부(300)에 이물질이 남아있지 않은 것을 사용자가 발견하면, 상기 필터부(300)가 이물질을 여과하지 못한다고 오해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user pulls out the filter body 350 from the filter unit 300, foreign substances may not be collect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unit 300 may be questioned. That is, when the washing process is completed, if the user finds that no foreign matter remains in the filter unit 300 because the foreign substance of the filter unit 300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water contained in the tub 3, It can be misunderstood that the filter unit 300 can not filter the foreign substances.

따라서, 세탁과정이 종료되더라도 상기 필터부(300)에 이물질이 그대로 수용되어 있을 필요가 있을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washing process is terminated, the filter unit 300 may need to contain foreign substances as it is.

이하에서는 도13를 참조하여, 세탁과정이 종료되더라도 상기 필터부(300)에 이물질이 그대로 수용되어 있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를 설명한다. 다만,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1 내지 도12에 게시된 의류처리장치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는 부분만을 중심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13,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foreign matters are directly received in the filter unit 300 even if the washing process is terminated. However, in order to avoid redundant description, only the difference from the embodiment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es shown in Figs. 1 to 12 will be mainly described.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과,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3), 상기 터브(3)에 연통되어 상기 터브(3)의 물이 배출되는 제1배출관(31a),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300), 상기 제1배출관(31a)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필터부(300)로 안내하는 제2배출관(31b), 상기 필터부(300)에 연통되어 상기 필터부(300)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터브(3)로 순환시키는 순환부(200), 상기 터브(3)의 물을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abinet (1) forming an outer appearance like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one embodiment, a tub (3)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A first discharge pipe 31a communicating with the tub 3 to discharge water from the tub 3, a filter unit 300 filter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3, A second discharge pipe 31b for guiding the discharged water to the filter unit 300 and a circulation unit for circulating the water filtered by the filter unit 300 to the tub 3 in communication with the filter unit 300, (200), and a drainage unit (100) for draining water from the tub (3)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상기 순환부(200)는 상기 필터부(300)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터브(3)로 주입하는 순환펌프(210)와, 상기 필터부(300)와 상기 순환펌프(210) 및 상기 터브(3)를 연통하는 순환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unit 200 includes a circulation pump 210 for injecting the filtered water from the filter unit 300 into the tub 3 and a circulation pump 210 for circulating the filter unit 300 and the circulation pump 210, 3 through the circulation pipe 220.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필터부(300)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배출관(31b)과 결합하는 제1결합부(310)와, 상기 필터부(300)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관(220)과 결합하는 제2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300 includes a first coupling unit 310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and coupled to the second discharge pipe 31b,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320 coupled wit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220.

즉,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도1 내지 도12에 도시된 유로 구조와 달리 이동관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300)는 도1 내지 도12에 도시된 필터부(300)와 달리 제3결합부를 생략할 수 있다. That is,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may omit a moving pipe unlike the oil passage structure shown in Figs. 1 to 12. In addition, the filter unit 300 may omit the third coupling unit, unlike the filter unit 300 shown in FIGS. 1 to 12.

한편, 상기 배수부(100)는 상기 터브(3)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터브(3)의 물을 상기 필터부(300) 또는 상기 캐비닛(1) 외부로 이동시키는 배수브라켓(150)과, 상기 배수브라켓(150)에서 상기 캐비닛(1) 외부로 연장된 배수관(120)과, 상기 배수관(110)을 개폐하는 배수밸브(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100)는 배수펌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rainage unit 100 includes a drainage bracket 150 disposed under the tub 3 to move the water in the tub 3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unit 300 or the cabinet 1, A drain pipe 120 extending from the drain bracket 150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and a drain valve 160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 pipe 110. The drainage unit 100 may further include a drain pump (not shown).

상기 배수브라켓(150)은 상기 제1배출관(31a)과 연통하는 제1분지관(151)과, 상기 제2배출관(31b)과 연통하는 제2분지관(152)과, 상기 배수관(120)과 연통하는 제3분지관(153)을 포함한다. 즉, 상기 배수브라켓(150)은 분지관의 조합으로 구비되며 3분지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drain bracket 150 includes a first branch pipe 151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ischarge pipe 31a, a second branch pipe 152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discharge pipe 31b, And a third branch tube (153)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branch tube (153). That is, the drain bracket 150 is provided as a combination of branch pipes and may be provided as a three-branch pipe.

상기 배수브라켓(150)은 상기 제1분지관(151)을 통해 상기 터브(3)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제2분지관(152)을 통해 상기 필터부(300)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3분지관(153)을 통해 상기 배수관(120)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water drain bracket 150 may transmit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ub 3 through the first branch tube 151 to the filter unit 300 through the second branch tube 152, 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drain pipe 120 through the branch pipe 153.

즉, 상기 터브(3)의 물을 순환할 때 상기 제1분지관(151)을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제2분지관(152)으로 배출될 수 있고, 상기 터브(3)의 물을 배수할 때는 상기 제3분지관(153)으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water in the tub 3 is circulated,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first branch tube 151 can be discharged to the second branch tube 152, and the water in the tub 3 can be drained And then discharged to the third branch pipe 153.

따라서, 상기 터브(3)의 물이 순환될 때에는 상기 터브(3)의 물은 모두 상기 필터부(300)로 유입되고, 상기 터브(3)의 물이 배수될 때는 상기 필터부(300)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배수관(1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water in the tub 3 is circulated, all the water in the tub 3 flows into the filter unit 300, and when the water in the tub 3 is drained, the filter unit 300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120 without passing through.

이로써, 상기 필터부(300)에서 상기 제1결합부(310)를 통해 유입된 물은 모두 순환부(200)로 유입될 뿐 상기 배수부(100)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300)에는 상기 터브(3)의 물이 순환하면서 여과된 이물질이 그대로 수집될 수 있다.Thus,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300 through the first coupling unit 310 may flow into the circulation unit 200 and may not move to the drainage unit 100. In addition, the filtered water in the tub 3 may be circulated in the filter unit 300 to collect filtered foreign matter.

또한, 상기 배수브라켓(150)으로 인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유로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배수브라켓(150)으로 상기 배출관(31), 상기 배수관(110), 상기 순환관(220)을 모두 연통할 수 있어 순환유로와, 배수유로를 별도로 구비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ainage bracket 150 can simplify the flow path structur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That is, the discharge pipe 31, the drain pipe 110, and the circulation pipe 220 can all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drainage bracket 150, thereby avoiding the inconvenience of separately providing the circulation channel and the drainage channel have.

상기 제3분지관(153)은 상기 제1분지관(151)으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배수관(120)에 원할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분지관(151) 보다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branch pipe 153 may be provided below the first branch pipe 151 so that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branch pipe 151 can smoothly move to the drain pipe 120.

또한, 상기 제2분지관(152)은 상기 제1분지관(151)으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순환부(200) 및 필터부(3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분지관(151)보다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branch pipe 152 is connected to the first branch pipe 151 so that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rst branch pipe 151 can be moved to the circulation unit 200 and the filter unit 300, As shown in FIG.

이때, 상기 제1분지관(151)과 상기 제3분지관(153)이 이루는 각도(C)는 상기 제1분지관(151)과 상기 제2분지관(152)이 이루는 각도(B)와 다를 수 있다. The angle C formed between the first branch tube 151 and the third branch tube 153 is determined by the angle B between the first branch tube 151 and the second branch tube 152, can be different.

이는 상기 제1분지관(151)을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제2분지관(152) 또는 상기 제3분지관(153) 중 어느 하나에 더욱 유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allow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branch tube 151 to be more advantageously moved to either the second branch tube 152 or the third branch tube 153.

한편, 상기 제2분지관(152)은 상기 제2배출관(31b)을 통해 상기 필터부(300) 및 순환펌프(2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순환펌프(210)가 작동하면 상기 제2분지관(152)에는 순환펌프(210)의 음압이 작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branch pipe 152 is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300 and the circulation pump 210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pipe 31b. Therefore, when the circulation pump 210 operates,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circulation pump 210 may act on the second branch pipe 152.

따라서, 상기 순환펌프(210)에 의해 상기 배수브라켓(150)에 유입된 물은 상기 제2분지관(152)으로 더욱 원할하게 이동할 수 있다. Therefore,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drain bracket 150 by the circulation pump 210 can be more smoothly moved to the second branch pipe 152.

그러므로, 상기 제1분지관(151)과 상기 제3분지관(153)이 이루는 각도(C)는 둔각을 이루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분지관(151)과 상기 제2분지관(152)이 이루는 각도(B)는 예각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angle between the first branch tube 151 and the third branch tube 153 is an obtuse angle and the angle between the first branch tube 151 and the second branch tube 152 is The angle (B) may be an acute angle.

이로써, 상기 제1분지관(151)을 통해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제3분지관(153)으로 이동하여 배수관(120)으로 우선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순환펌프(210)가 작동할 때만 상기 제1분지관(151)을 통해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은 상기 제2분지관(152)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3 through the first branch tube 151 may move to the third branch tube 153 by its own weight and may preferentially move to the drain tube 120.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3 through the first branch tube 151 can be moved to the second branch tube 152 only when the circulation pump 210 is operated.

또한, 상기 제3분지관(153)은 상기 제2분지관(152) 보다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분지관(151)에서 토출되는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제3분지관(153)으로 원할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third branch tube 153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branch tube 152.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branch tube 151 can be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third branch tube 153 by its own weight.

이로써, 상기 배수부(110)는 상기 터브(3)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 배수펌프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3)의 물을 배수하기 위해 상기 순환부(220)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를 생략할 수 있다.Thus, the drainage unit 110 may omit the drainage pump to drain water from the tub 3. In additio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may omit a valve for preventing water from flowing into the circulation unit 220 in order to drain water from the tub 3.

한편, 상기 배수브라켓(150)은 상기 베이스의 일측에 결합하는 결합리브(154)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10)는 상기 결합리브와 결합하는 리브결합부(19)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합리브(154)와 상기 리브결합부(19)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로 인해 결합될 수 있다.The drain bracket 150 may include a coupling rib 154 that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se and the base 10 may include a rib coupling portion 19 that is coupled to the coupling rib. . The engaging rib 154 and the rib engaging portion 19 may be coupled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따라서, 상기 배수브라켓(150)은 안정적으로 상기 베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Therefore, the drain bracket 150 can be stably fixed to the base 10.

한편,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배수밸브(160) 보다 더 높은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필터부(300)에 잔수가 남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Meanwhile, the filter unit 300 may be provid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drain valve 160. This is to prevent the filter unit 300 from leaving a residue.

이를 위해, 베이스(10)의 전방에는 상기 필터부(300)에 고정되는 필터안착부(11)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10)의 후방에는 상기 배수밸브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배수밸브안착부(12')이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a filter seat part 11 fixed to the filter part 30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base 10, and a drain valve seat part (not shown) 12 'may be provided.

상기 필터안착부(11)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바디(11a), 필터지지홈(11b)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filter mounting part 11 may include a mounting body 11a and a filter supporting groove 11b.

상기 배수밸브안착부(12')는 상기 베이스(10)의 후방에 함몰되어 구비되는 밸브안착홈(12'a)을 포함할 수 있다.The drain valve seating portion 12 'may include a valve seating groove 12'a which is recessed behind the base 10.

상기 필터부(300)와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도1 내지 도12에 게시된 구조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부(300)는 도1 내지 도12에 게시된 상기 제3결합관(330a)의 구조만 생략되고 나머지는 상기 도1 내지 도12에 게시된 필터부(300)의 세부구조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300 and the fastening unit 400 may be the same as those shown in FIGS. 1 to 12.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of the third coupling pipe 330a shown in FIGS. 1 to 12 is omitted in the filter unit 300 and the rest of the structure of the filter unit 300 shown in FIGS. 1 to 12 May be equally provided.

즉, 상기 필터부(300)는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에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도13 참고)That is, the filter unit 300 may protrude from the base 10 as shown in FIGS. 1 to 8. (See FIG. 13).

구체적으로, 도13(b)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필터부(300)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31)에 결합되는 제1결합부(310)와, 상기 필터부(300)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관(220)과 결합하는 제2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13 (b), the filter unit 300 includes a first coupling unit 310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and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31, And a second coupling unit 32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irculation pipe 300 and coupled to the circulation pipe 220.

다만,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필터부(300)에 유입된 물을 상기 배수관(120)에 이동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제3결합부(300)는 생략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filter unit 300 does not need to move the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300 to the drain pipe 120, the third coupling unit 300 can be omitted.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필터부(3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방에 개방부(341)가 구비된 필터케이스(340)와, 상기 개방부(341)을 통해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고, 여과된 이물질이 적체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바디(350)와, 상기 필터바디(350)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341)를 개폐하는 필터커버(360)와, 상기 필터커버(360)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결합하는 체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300 includes a filter case 340 forming an out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300 and having an opening 341 at the front thereof, A filter body 350 provided in front of the filter body 35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341, a filter body 350 for detachably receiving the filter body 350 and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And a fastening part 400 for fastening the filter cover 360 to the filter case 340.

상기 필터케이스(340)는 물을 수용하는 탱크(tank)의 역할을 하며, 상기 필터바디(350)는 상기 필터케이스(340)로 유입되는 물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ilter case 340 serves as a tank for receiving water and the filter body 350 functions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of water flowing into the filter case 340.

상기 필터케이스(340)는 직접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의 유로들과 직접 연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가 배출관(31)과, 배수관(120), 순환관(220)을 구비하는 경우, 상기 필터케이스(340)에는 상기 제1결합부(310), 상기 제2결합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The filter case 340 can directly communicate with the flow paths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ischarge pipe 31, the drain pipe 120, and the circulation pipe 220, the filter case 340 is provided with the first coupling unit 310, 2 coupling portion 320 may be provided.

이때, 상기 필터케이스(340)는 상기 베이스(10)의 필터안착부에 고정되므로, 사용자는 필터바디(350)만을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분리하여 상기 필터바디(350)를 청소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ilter case 340 is fixed to the filter seat of the base 10, the user can separate the filter body 350 from the filter case 340 to clean the filter body 350.

상기 필터바디(350)는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므로, 상기 필터바디(350)가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수용되어 있을 때는 견고하게 결합될 필요성이 있다.Since the filter body 35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filter case 340, when the filter body 350 is accommodated in the filter case 340, the filter body 350 needs to be firmly coupled.

상기 필터커버(360)는 상기 필터바디(350)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바디(350)가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수용될 때 상기 개방부(341)를 폐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filter cover 360 may be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ilter body 350 to close the opening 341 when the filter body 350 is received in the filter case 340 .

상기 필터케이스(340)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방부(341)를 실링하는 실링부(361)가 구비될 수 있다.A sealing portion 361 for sealing the opening 341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case 340.

상기 실링부(361)는 상기 필터케이스(34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고, 탄성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The sealing portion 361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case 340 and may be formed as an elastic member.

이로써, 상기 필터케이스(340)와 상기 필터커버(360)가 결합되면, 상기 실링부(361)가 상기 개방부(341)에서 누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us, when the filter case 340 and the filter cover 360 are coupl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aling portion 361 from leaking from the opening portion 341.

상기 필터커버(360)와 상기 필터케이스(340)는 체결부(400)로 인해 결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필터커버(360)의 전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커버(360)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결합하는 제1체결부(410)와, 상기 필터케이스(340)의 양측면 또는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체결부(410)와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제2체결부(4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cover 360 and the filter case 340 may be coupled or separated by the coupling part 400. The coupling part 400 includes a first coupling part 410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lter cover 360 and coupling the filter cover 360 to the filter case 340, And a second fastening part 420 protruding for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parts 410 and 420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fastening part 410.

상기 제1체결부(410)는 상기 제2체결부(420)에 회전하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bar)(4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420)는 상기 바(bar)(411)가 회전하여 수용되는 슬라이드 홈(42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part 410 includes a bar 411 detachably mounted on the second fastening part 42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420 includes a bar 411, And a slide groove 421 in which the slide groove 411 is rotated and accommodated.

상기 슬라이드홈(421)은 상기 바(bar)(411)가 회전하며 수용될 때 상기 바가 상기 필터케이스를 향하여 일정거리 이동하여 상기 필터커버(360)가 상기 필터케이스(340)를 압박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슬라이드경사면(422)을 포함할 수 있다.The slide groove 421 may be formed such that when the bar 411 is rotated and received, the bar moves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filter case so that the filter cover 360 can press the filter case 340 And may include a slide slope 422 inclined.

상기 바(bar,411)는 말단에 상기 슬라이드 경사면과 대응되는 바경사면(411a)을 구비할 수 있다.The bar 411 may have a bar inclined surface 411a at its distal end, which corresponds to the slide inclined surface.

상기 필터커버(360)는 상기 바(411)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고정부(362)를 포함하고, 상기 바(411)는 상기 회전고정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 관통홀(411c)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cover 360 includes a rotation fixing portion 362 which is rotatably coupled through the bar 411. The bar 411 has a bar through hole 411c through which the rotation fixing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 ≪ / RTI >

상기 회전고정부(362)는 상기 필터커버(360)의 정중앙에서 돌출되어 구비된 돌기 로 구비될 수 있고, 자유단의 두께가 돌기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구비될 수 있다. The rotation fixing portion 362 may be provided a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filter cover 360, and may have a free end thicker than the protrusion.

이로써, 상기 바관통홀(411c)이 상기 회전고정부(362)의 자유단에 억지끼움되면, 상기 바(411)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Thus, when the bar through hole 411c is constrained to the free end of the rotation fixing portion 362, the bar 411 can rotate freely.

사용자는 상기 필터커버(360)와 상기 필터케이스(340)를 결합시킬 때, 상기 바(411)의 말단을 상기 슬라이드홈(421)의 입구부에 맞춘 후 상기 바(411)를 회전시켜 상기 바(411)를 상기 슬라이드홈(421)에 삽입시킬 수 있다.The user aligns the distal end of the bar 411 with the inlet of the slide groove 421 when the filter cover 360 and the filter case 340 are engaged and then rotates the bar 411, (411) can be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421).

이때, 상기 바(411)는 상기 슬라이드 경사면(422)를 따라 상기 필터케이스(340)를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필터커버(360)가 상기 필터케이스(340)를 압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r 411 moves along the slide inclined surface 422 toward the filter case 340 so that the filter cover 360 can press the filter case 340.

사용자는 상기 필터커버(360)와 상기 필터케이스(340)를 분리할 때, 상기 바(411)를 회전시켜 상기 바(411)를 상기 슬라이드홈(421)에서 분리할 수 있다.The user can separate the bar 411 from the slide groove 421 by rotating the bar 411 when the filter cover 360 and the filter case 34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한편, 상기 바(411)의 회전이 용이할 수 있도록, 상기 바(411)는 십자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bar 411 may be formed in a cross shape so that the bar 411 can be rotated easily.

즉, 상기 바(411)는 바관통홀(411c)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방향(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바와, 양측면으로 연장된 바가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bar 411 may extend upward and downwar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ar through hole 411c and may be coupled to bars extended to both sides.

상기 바(411)는 상기 필터부(300)의 수압을 견딜 수 있도록 강성이 큰 물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411)를 사용자가 파지할 때 사용자의 불쾌감을 최소화하고, 감전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411)를 외주면에서 감싸는 바커버(4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커버(414)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The bar 411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rigidity to withstand the water pressure of the filter unit 300. For example, stainless steel. Therefore, a bar cover 414 that surrounds the bar 41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provided to minimize a user's discomfort when the bar 411 is held by the user an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such as an electric shock. The bar cover 414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상기 슬라이드홈(421)은 상기 회전고정부(362)를 기준으로 소정각도의 회전반경을 갖는 너비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바(411)가 상기 소정각도만 회전하여 상기 슬라이드홈(421)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The slide groove 421 may have a width having a turning radius of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fixing portion 362. That is, the bar 411 may be rotated by the predetermined angle to b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lide groove 421.

사용자가 용이하게 상기 필터커버(360)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상기 소정각도는 15도에서 45도 사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도로 설정될 수 있다.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set between 15 degrees and 45 degrees and may be set to 30 degrees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the filter cover 360 from the filter case 340. [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바(411)를 180도 또는 360도의 배수 만큼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 30도만 회전시켜 상기 필터커버(360)와 상기 필터케이스(340)를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Thus, the user can separate or combine the filter cover 360 and the filter case 340 by rotating the bar 411 only by 30 degrees instead of rotating the bar 411 by a multiple of 180 degrees or 360 degrees.

도13(c)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바디(350)는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육면체의 케이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필터케이스(340)의 내부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C, the filter body 35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capable of accommodating foreign substances, and may correspond to the internal shape of the filter case 340.

상기 필터바디(350)는 표면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관통부(352)와, 상기 관통부에 구비되어 물은 통과하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메쉬부(35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바디(350)는 상기 제1결합부(310)와 연통하는 유입홀(354)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body 350 may include a penetration portion 352 formed to penetrate the surface of the filter body 350 and a mesh portion 353 provided in the penetration portion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foreign substances to be filtered. The filter body 350 may include an inlet hole 354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310.

다만, 상기 필터바디(350)는 상기 제3결합부(330)가 필터케이스(340)에 구비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3결합부(330)와 연통하는 경사관(355)이 생략될 수 있다. 이로써, 연통된 제1결합부(310)에서 상기 필터케이스(340) 내부로 공급되는 물과 이물질은 상기 유입홀(354)을 통해 상기 필터바디(350)로 유입될 수 있다. However, since the third coupling part 330 is not provided in the filter case 340, the slant pipe 355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coupling part 330 may be omitted. Water and foreign matter supplied into the filter case 340 from the communicated first coupling part 310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body 350 through the inlet hole 354. [

상기 순환펌프(210)가 작동하면, 상기 필터바디(350)로 유입된 물은 상기 필터바디(350)의 상기 메쉬부(353)를 관통하여 상기 필터바디(350) 외부로 이탈하고, 상기 순환연장관(320a)로 배출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유입홀(354)을 통해 물과 함께 유입된 이물질은 상기 메쉬부(353)에 여과되어 상기 필터바디(350) 내부에 적체될 수 있다.When the circulation pump 210 is operated,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body 350 passes through the mesh portion 353 of the filter body 350 and is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filter body 350,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extension pipe 320a. At the same time, the foreign matter introduced together with the water through the inlet hole 354 may be filtered into the mesh portion 353 and accumulated in the filter body 350.

상기 필터바디(350)는 상기 필터커버(360)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필터커버(36)에서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면(351)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body 350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351 inclined to be distanced from the filter cover 36 around a portion coupled to the filter cover 360.

상기 경사면(351)은 상기 경사면(351)을 관통하여 물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관통부(35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관통부(352)를 폐쇄하여 물은 통과하되 이물질은 여과될 수 있는 메쉬부(353)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351 may include a penetration portion 352 through which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351. The penetration portion 352 may be closed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a mesh portion 353.

즉, 관통부(352)는 상기 필터바디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물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제1관통부(352a)와 상기 필터바디의 경사면(351)을 관통하여 물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제2관통부(352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쉬부(353)는 상기 제1관통부(352a)를 폐쇄하여 물은 통과하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구비된 제1메쉬부(353a)와 상기 제2관통부(352b) 폐쇄하여 물은 통과하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제2메쉬부(353b)를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penetration portion 352 has a first penetration portion 352a passing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body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a second penetration portion 352a passing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351 of the filter body, Section 352b. The mesh portion 353 is provided with a first mesh portion 353a through which the first penetration portion 352a is closed to allow water to pass through and a foreign substance is filtered and the second penetration portion 352b is closed, And may include a second mesh portion 353b for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즉, 본 발명 일실시예의 필터바디(350)는 전방에 경사부 및 제2관통부(352b)과 제2메쉬부(353b)를 구비하여 상기 필터바디(350)의 전방도 이물질을 여과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filter body 35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inclined portion, the second penetration portion 352b and the second mesh portion 353b at the front, so that the filter body 350 can filter foreign substances even in front of the filter body 350 .

이로써, 상기 필터바디(350)가 이물질을 여과하는 능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filter body 350 can maximize the ability to filter foreign matters.

한편, 상기 터브(3)의 물을 배수할 때, 상기 필터바디(350)의 이물질을 상기 캐비닛(1)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필터바디(350)의 메쉬부(353)에 이물질이 끼어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Even if the filter body 350 is able to discharge the foreign matter of the filter body 350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1 when the water in the tub 3 is drained, There may be a case where it is interrupted.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필터바디(350)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분리하여 상기 이물질을 수동으로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need to separate the filter body 350 from the filter case 340 to manually remove the foreign body.

이때, 상기 필터바디(350)가 일체로 된 케이스로만 구비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필터바디(350)의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울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filter body 350 is provided only as a single case,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move the foreign matters inside the filter body 350.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필터바디(350)는 분리되어 내부를 노출 시킬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ilter body 350 may be separated and exposed to the inside.

상기 필터바디(350)는 상기 필터바디(35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1필터바디(350a)과, 상기 필터바디(350)의 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필터바디(350)의 내부를 노출시키는 제2필터바디(350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lter body 350 includes a first filter body 350a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body 350 and a second filter body 350a form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lter body 350 and being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a second filter body 350b for exposing the inside of the filter body 350. [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는 일측에 두께가 얇아 접혀질 수 있도록 구비되고(350c), 타측에 후크(357)가 결합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는 회전가능 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가 서로 분리되고 결합될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may be thinly folded at one side and may be folded so that the hook 357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Accordingly,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may be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one side. However, any structure may be used as long as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can be separated and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는 외주면에 물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1관통부(352a)와, 상기 제1관통부(352a)를 폐쇄하여 물은 통과하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상기 제1메쉬부(353a)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may include at least one first penetration portion 352a provided so as to allow water to pass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first penetration portion 352a, And may include the first mesh portion 353a through which water passes and the foreign matter is filtered.

한편, 상기 필터커버(360)는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 중 어느 하나의 전방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lter cover 360 may be coupled to one of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상기 제1필터바디(350a)가 하부에 구비되어 이물질이 상기 제1필터바디(350a)에 적체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상기 제2필터바디(350b)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필터바디(350a)에 상기 필터커버(360)가 결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first filter body 350a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and foreign matter is accumulated in the first filter body 350a.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ter cover 360 is coupled to the first filter body 350a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second filter body 350b.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가 서로 결합되어 케이스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제1필터바디(350a)의 전방면과 상기 제2필터바디(350b)의 전방면은 상기 필터커버(36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상기 경사면(351)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 case,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body 350b The inclined surface 351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lter cover 360. [

또한,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의 배면에는 상기 유입홀(354)을 형성하는 반홀(half hole)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may have half-holes formed on the back surfaces thereof to form the inlet holes 354,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상기 필터부(300)가 상기 베이스(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을 때, 상기 필터부(300)에 이물질이 수집되는 유로를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flow path for collecting foreign matter in the filter unit 300 when the filter unit 300 is provided on the base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터브(3)에서 물이 배출되면, 물은 직선을 따라 상기 제1배출관(31a) 및 상기 배수브라켓(150)에 유입된다. When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tub 3, water flows into the first discharge pipe 31a and the drain bracket 150 along a straight line.

상기 터브(3)의 물을 순환시키는 경우, 상기 배수밸브(160)는 상기 배수관(120)을 폐쇄하여 물이 배수관(120)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배수브라켓(150)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2배출관(31b)을 지나 상기 제1결합부(310)을 통해 상기 필터부(300)까지 유입된다. 이후, 상기 순환펌프(210)가 작동하면, 상기 필터부(300)와 상기 배수브라켓(150) 및 상기 터브(3)에 수용된 물은 상기 순환관(220)을 따라 상기 터브(3)로 다시 이동한다.When water in the tub 3 is circulated, the drain valve 160 closes the drain pipe 120 to block wate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drain pipe 120. The water flowing into the drain bracket 150 flows into the filter unit 300 through the second outlet pipe 31b and the first coupling unit 310. [ Thereafter, when the circulation pump 210 is operated, the water contained in the filter unit 300, the drain bracket 150 and the tub 3 is returned to the tub 3 along the circulation pipe 220 Move.

이 과정에서, 상기 필터부(300)에 이물질이 여과되어 수집된다.In this process, foreign substances are filtered and collected in the filter unit 300.

상기 터브(3)의 물을 배수하는 경우(예를들어, 세탁과정이 종료되었을 때) 상기 순환펌프(220)의 구동은 정지하고, 상기 배수밸브(160)는 상기 배수관(120)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열린다.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220 is stopped when the water in the tub 3 is drained (for example, when the washing process is completed), and the drain valve 160 is closed when the drain pipe 120 is outside It opens to communicate.

이로써, 상기 터브(3)에서 배출되는 물은 점선을 따라 자중에 의해 상기 제1배출관(31a) 및 상기 제1분지관(151)을 지나 상기 배수관(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discharge pipe 31a and the first branch pipe 151 through the drain pipe 120 by its own weight along the dotted line.

결과적으로, 상기 필터부(300)의 상기 필터바디(350)에는 이물질이 그대로 수집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필터바디(350)를 외부로 인출하여 이물질이 수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s a result, foreign matter may be collected in the filter body 350 of the filter unit 300 as it is. That is, the user can take out the filter body 350 to the outside and confirm that foreign matter is collected.

한편, 상기 필터부(300)는 도10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도14참고)Meanwhile, as shown in FIGS. 10 to 12, the filter unit 300 may be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in the base 10. (See Fig. 14)

이 경우,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필터부(3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전방에 개방부(341)를 구비한 필터케이스(340)와, 상기 필터케이스(340)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341)를 차폐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도어(15)와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개방부(341)와 연통하는 연통홀(381)을 구비하는 차폐부(380)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수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고, 여과된 이물질이 적체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바디(35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lter unit 300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filter unit 300, and includes a filter case 340 having an opening 341 at the front thereof, A shielding part 380 provided to shield the opening part 341 and having a communication hole 381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part 341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ase door 15, 340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and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iltered foreign matters are accumulated.

즉, 상기 차폐부(380)는 상기 필터부(300)의 전방이 모두 상기 베이스도어(15)에 노출되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필터부(300)의 개방부(341) 중 상기 베이스도어(15)에 의해 노출되는 부분에 연통홀(381)을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도어(15)에 노출되지 않는 부분은 차폐하도록 강판으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shielding portion 380 is not exposed to the base door 15 in front of the filter portion 300, so that the opening portion 341 of the filter portion 300 is not exposed to the base door 15 And a portion not exposed to the base door 15 may be provided as a steel plate for shielding.

상기 필터바디(350)는 상기 필터바디(350)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통홀(381)에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수용되어 상기 제1필터바디(350a)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필터바디(35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body 350 includes a first filter body 350a formed below the filter body 350 so as to be drawn out from the communication hole 381 and a second filter body 350b housed in the filter case 340, And a second filter body 350b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body 350a.

즉, 상기 제1필터바디(350a)는 상기 연통홀(381)을 통해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필터바디(350b)는 상기 필터케이스(340)의 내부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filter body 350a can be drawn out from the filter case 340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381,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is disposed inside the filter case 340 And may be fixedly installed.

이로써, 상기 필터바디(350)에 이물질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필터바디(350) 중 제1필터바디(350a)를 인출 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foreign body is to be removed from the filter body 350, the user can take out the first filter body 350a out of the filter body 350.

이로써, 상기 필터부(300)의 일부가 상기 베이스(10)에 수용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상기 베이스도어(15)로 상기 제1필터바디(350a)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Thus, even if a part of the filter unit 300 is accommodated in the base 10, the first filter body 350a can be easily drawn out from the filter case 340 to the base door 15 have.

또한, 상기 베이스(10)의 두께가 작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1필터바디(350a)를 상기 베이스(10)의 두께와 대응되는 높이로 제작하여, 상기 베이스도어(15)만으로도 용이하게 상기 제1필터바디(350a)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손쉽게 인출할 수 있다.Even if the thickness of the base 10 is small, the first filter body 350a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base 10, So that the body 350a can be easily drawn out from the filter case 340.

상기 필터부(300)는 상기 제1필터바디(350a)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연통홀(381)을 개폐하는 필터커버(360)와, 상기 필터커버(360)를 상기 필터케이스에 결합하는 체결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unit 300 includes a filter cover 360 coupled to the front of the first filter body 350a to open and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381, (400). ≪ / RTI >

즉, 상기 필터커버(360)는 상기 차폐부(380)가 상기 필터케이스(340)의 개방부(341)를 차폐하고 있으므로, 상기 차폐부(380)의 연통홀(381)을 개폐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shield cover 380 shields the opening 341 of the filter case 340, the filter cover 360 is provided to open /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381 of the shield 380 .

상기 필터바디(350)에는 외주면에 물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부(352)와, 상기 관통부(352)를 폐쇄하여 물은 통과시키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메쉬부(35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lter body 350 includes at least one through-hole 352 formed to allow water to pass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lter body 350, and a mesh portion 353 through which the through-hole 352 is closed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

또한, 즉,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부(352)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부(352)를 폐쇄하는 메쉬부(353)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have at least one penetration portion 35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mesh portion 353 for closing the penetration portion 352, Respectively.

한편, 상기 필터바디(350)는 배면에 상기 제1결합부(310)와 연통하는 유입홀(354)이 구비되나, 상기 필터케이스(340)가 제3결합부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배출홀을 생략할 수 있다.The filter body 350 has an inlet hole 354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coupler 310 on the rear surface thereof. However, since the filter case 340 does not include the third coupler, can do.

즉,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 중 어느 하나의 배면에 상기 유입홀(354)이 구비될 수 있으나, 배출홀은 생략될 수 있다.That is, the inlet hole 354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one of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but the discharge hole may be omitted.

또한, 상기 제1필터바디(350a)와 상기 제2필터바디(350b)에는 각각 상기 유입홀(354)과 배출홀(356)을 형성하도록 반홀(half hole)이 구비될 수 있다. A half hole may be formed in the first filter body 350a and the second filter body 350b to form the inflow hole 354 and the discharge hole 356, respectively.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필터커버(360)를 상기 필터케이스(340) 또는 상기 차폐부(380)에 결합시키는 제1체결부(410)와, 상기 필터케이스(340) 또는 상기 차폐부의 상부 및 하부 또는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410)와 결합하는 제2체결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400 includes a first fastening part 410 for fastening the filter cover 360 to the filter case 340 or the shielding part 380, And a second fastening part 420 provided on the lower or both sides of the first fastening part 410 to engage with the first fastening part 410.

즉, 상기 제1체결부(410)는 좌우 또는 상하 대칭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fastening portions 410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left-right or up-and-down symmetry.

상기 제1체결부(410)는 상기 필터커버(360)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판(414)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420)는 상기 필터케이스(340) 또는 상기 차폐부(380)의 상부 및 하부 또는 양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체결판(414)을 수용하는 체결부수용홈(4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part 410 includes a fastening plate 414 that is reciprocally movable left and right or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filter cover 360. The second fastening part 420 includes a filter case 340, Or a coupling portion receiving groove 424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both sides of the shield portion 380 to receive the coupling plate 414. [

상기 체결부(400)는 상기 제1체결부(410)를 좌우 또는 상하로 왕복이동 시키는 제3체결부(4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400 may include a third fastening part 430 that reciprocates the first fastening part 410 left or right or upward and downward.

상기 제3체결부(430)는 상기 필터커버(360)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되 외주면에 나사홈(431a)이 구비되는 나사바디(431)와, 상기 나사바디(431)를 따라 왕복하여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필터커버(360)를 향하여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이동경사면(432a)을 구비하는 이동바디(432)와, 상기 이동바디(432)dml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내주면에 상기 나사바디(431)의 나사홈(431a)을 따라 이동하는 나사선(433a)을 구비하는 회전부(4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fastening part 430 includes a screw body 431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ilter cover 360 and having a screw groove 431a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movable body 432 having a moving slope 432a inclined to narrow toward the filter cover 360; a movable body 432 rotatably provided in front of the moving body 432, And a rotating portion 443 having a thread 433a which moves along the thread groove 431a of the threaded portion 431.

이때, 상기 체결판(414)은 일단에 상기 이동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를 구비하는 체결경사면(414a)을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plate 414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slope 414a having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slope at one end.

상기 체결판(414)은 상기 제3체결부(430)를 기준으로 좌우 또는 상하에 대칭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astening plate 414 may be provid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third fastening part 430 on the left or right or up and down.

상기 이동바디(432)가 상기 필터커버(360)을 향해 이동하면 상기 체결판(414)을 밀어내어 상기 체결수용홈(424)에 결합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When the movable body 432 moves toward the filter cover 360, the coupling plate 414 may be pushed out and coupled to the coupling receiving groove 424.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필터바디(350)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회전부(433)을 회전시켜 상기 이동바디(432)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상기 체결판(414)이 상기 나사바디(431)과 가까워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필터커버(360)는 상기 필터케이스(340)에서 분리되어 상기 필터바디(350)와 함께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When the user desires to separate the filter body 350 from the filter case 340, the user rotates the rotating part 433 to pull the moving body 432 forward, And can be moved so as to be close to the screw body 431. Then, the filter cover 360 is detached from the filter case 340 and can be pulled forward together with the filter body 350.

사용자가 상기 필터바디(350)를 상기 필터케이스(340)에 삽입하여 결합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전술한 과정을 역으로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serts the filter body 350 into the filter case 340 to join the filter body 340, the above-described process can be reversed.

이로써, 상기 베이스도어(15)가 두께가 작게 구비된다고 할지라도 사용자는 상기 제1체결부(410)를 상기 제2체결부(420)에 용이하게 결합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base door 15 is small in thickness, the user can easily join or separate the first fastening part 410 to the second fastening part 420.

도14(b)는 상기 제1체결부(410)와 좌우로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420)가 상기 차폐부(380)의 양측면에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나, 상기 제1체결부(410)와 상기 제2체결부(420)가 결합하여 상기 필터부(300)를 밀봉할 수 있다면 어느 위치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14 (b) is provided to reciprocate right and left with respect to the first fastening part 410, and the second fastening part 4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hielding part 380. However, The first coupling part 4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4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so long as the filter part 300 can be sealed.

상기 도14에 도시된 유로도 상기 도13에 도시된 유로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세탁과정의 종료후 상기 필터부(300)에 이물질이 수집되어 구비될 수 있다.14 is provided in the same manner as the flow path shown in FIG. 13, so that foreign matter may be collected in the filter unit 300 after the end of the washing process.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필터부(300)에서 상기 필터바디(350)를 인출하여 필터부(300)의 여과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filtration performance of the filter unit 300 by drawing the filter body 350 from the filter unit 300.

한편, 전술한 도13과 도14의 도시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은 도1 내지 도12의 일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와 동일하다.13 and 14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12, which is not described in the garment processing apparatu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캐비닛 10 베이스 11 필터안착부 11a 안착바디 11b 필터지지홈
11c 체결부재 11d 필터안착홈 12 배수펌프안착부 12a 펌프안착홈
13 순환펌프안착부 14 이동관수용홈 15 베이스도어 15a 베이스힌지
16 필터도어 17 필터가스켓 18 필터인출부 19 리브결합부
2 도어 3 터브 31 배출관 31a 제1배출관 31b 제2배출관
5 드럼 6 구동부 7 급수부
100 배수부 110 배수펌프 120 배수관 130 이동관
140 배수고정브라켓 141 제1바디 141a 제1관 141b 제2관
142 제2바디 150 배수브라켓 151 제1분지관 152 제2분지관 153 제3분지관
154 결합리브 160 배수밸브
200 순환부 210 순환펌프 220 순환관
300 필터부 310 제1결합부 320 제2결합부 320a 순환연장관
330 제3결합부 330a 경사연장관 340 필터케이스 341 개방부
350 필터바디 350a 제1필터바디 350b 제2필터바디
351 경사면 351a 제1경사면 351b 제2경사면
352 관통부 352a 제1관통부 352b 제2관통부
353 메쉬부 353a 제1메쉬부 353b 제2메쉬부
354 유입홀 355 경사관 356 배출홀
360 필터커버 361 실링부 362 회전고정부 363 안내리브
380 차폐부 381 연통홀
400 체결부 410 제1체결부 411 바(bar) 411a 바 경사면
411c 바 관통홀 414 바 커버 412 체결바디412a 나사선
413 핸들 414 체결판 414a 판경사면
420 제2체결부 421 슬라이드 홈 422 슬라이드경사면
423 나사홈 424 제1체결부 수용홈
430 제3체결부 431 나사바디 431a 나사홈(나사바디)
432 이동바디 432a 이동 경사면 433 회전부
1 cabinet 10 base 11 filter seat 11a seat body 11b filter support groove
11c fastening member 11d filter receiving groove 12 drain pump mounting portion 12a pump mounting groove
13 Circulation pump seat part 14 Moving tube receiving groove 15 Base door 15a Base hinge
16 filter door 17 filter gasket 18 filter withdrawal part 19 rib joint part
2 door 3 tub 31 discharge pipe 31a first discharge pipe 31b second discharge pipe
5 Drum 6 Drive 7 Water supply
100 Drain part 110 Drain pump 120 Drain pipe 130 Movable pipe
140 multiple fixing bracket 141 first body 141a first tube 141b second tube
142 2nd body 150 Multiplier bracket 151 1st branch tube 152 2nd branch tube 153 3rd branch tube
154 Coupling rib 160 Drain valve
200 circulation part 210 circulation pump 220 circulation pipe
300 filter part 310 first coupling part 320 second coupling part 320a circulation extension pipe
330 third coupling portion 330a inclined extension pipe 340 filter case 341 opening portion
350 filter body 350a first filter body 350b second filter body
351 slope surface 351a first slope surface 351b second slope surface
352 penetrating portion 352a first penetrating portion 352b second penetrating portion
353 mesh portion 353a first mesh portion 353b second mesh portion
354 Inlet hole 355 Inclined pipe 356 Discharge hole
360 filter cover 361 sealing part 362 rotation fixing part 363 guide rib
380 shielding portion 381 communication hole
400 fastening part 410 first fastening part 411 bar 411a bar slope surface
411c bar through hole 414 bar cover 412 fastening body 412a thread
413 handle 414 fastening plate 414a plate slope surface
420 Second fastening part 421 Slide groove 422 Slide inclined surface
423 screw groove 424 first fastening portion receiving groove
430 Third fastening part 431 Screw body 431a Screw groove (Screw body)
432 Moving body 432a Moving slope 433 Rotation part

Claims (31)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연통되어 상기 터브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관;
상기 배출관에 연통되어 상기 터브에서 배출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연통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여과된 물을 상기 터브로 순환시키는 순환부;
상기 필터부에 연통되어 상기 배출관과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물을 상기 필터부에 여과된 이물질과 함께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cabinet;
A tub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for storing water;
A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tub to discharge water from the tub;
A filter unit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ipe to filter water discharged from the tub;
A circul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 unit and circulating the filtered water in the filter unit to the turbine;
And a drain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lter portion and draining the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ischarge pipe and the filter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together with foreign substances filtered in the filt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부는
상기 필터부에 여과된 물을 상기 터브로 주입하는 순환펌프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순환펌프 및 상기 터브를 연통하는 순환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물을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펌프와,
상기 필터부와 상기 배수펌프를 연통하는 이동관과, 상기 배수펌프에서 상기 캐비닛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irculation unit
A circulation pump for injecting the filtered water into the filter,
And a circulation pipe communicating the filter unit with the circulation pump and the tub,
The drainage section
A drain pump for draining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And a drain pipe extending from the drain pump to the outside of the cabin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은
상기 터브에 연통되어 상기 터브의 물이 배출되는 제1배출관과, 상기 제1배출관에서 배출되는 물을 상기 필터부로 안내하는 제2배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제1배출관과 상기 제2배출관을 연통하는 관으로 구비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과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관과 상기 배수관을 연통하는 관으로 구비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는 배수고정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ischarge tube
A first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tub and discharging water from the tub; and a second discharge pipe guiding wate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pipe to the filter unit,
The drainage section
A first body including a first condui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discharge pipe and the second discharge pipe, and a second body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first body and having a tube communicating with the moving pipe and the drain pipe, Further compris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이 멈추면 상기 필터부에 유입된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이동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제1바디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관은 상기 제2배출관보다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n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is stopped, the second body is provided below the first body so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moving tube by its own weight, And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further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배수펌프보다 더 높은 곳에 구비되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lter unit is provid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drain pump.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일정두께를 구비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는 상기 필터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필터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는 상기 배수펌프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배수펌프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안착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필터부의 양측면과 결합되는 안착바디와,
상기 안착바디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필터지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펌프안착부는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 함몰되어 구비되는 펌프안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bas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And a filter seat portion on which the filter portion is seated and fixed,
And a drain pump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drain pump is seated and fixed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ase,
The filter seat
A mounting body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and coupled with both side surfaces of the filter portion,
And a filter support groove provided between the seating bodies to support a low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The drain pump mounting portion
And a pump seating groove provided at a rear side of the bas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부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과 결합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필터부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관과 결합하는 제2결합부와,
상기 필터부의 배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결합부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이동관과 결합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이 멈추면 상기 필터부에 유입된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이동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이동관과 결합하는 경사연장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lter unit
A first coupling unit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and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A second coupling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lter unit and coupled to the circulation pipe,
And a third coupling unit provided on a back surface of the filter unit, the third coupling unit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n inclined extension pipe projecting downwardly from the filter unit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moving pipe so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moving pipe by its own weight when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stops, Wherein 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comprises: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지면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상기 순환관과 결합되는 순환연장관을 포함하고,
상기 순환연장관은 상기 필터부의 상부면 또는 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includes a circulation extension pipe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ground surface in the filter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circulation pipe,
Wherein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r a side surface of the filter unit.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관은 상기 순환연장관과 같은 높이로 구비되거나 더 높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irculation pipe is provided at the same height as or higher than the circulation extension pip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가 구비되고 전방에 개방부가 구비된 필터케이스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필터케이스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고 여과된 이물질이 적체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바디와,
상기 필터바디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필터커버와,
상기 필터커버를 상기 필터케이스에 결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lter unit
A filter case having the first engaging part, the second engaging part, and the third engaging part and having an opening at the front;
A filter body which is detachably received in the filter case through the opening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and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filtered foreign matters are accumulated,
A filter cover provided in front of the filter body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And a coupling portion coupling the filter cover to the filter cas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물이 통과하도록 상기 필터바디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에 구비되어 물은 통과시키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ilter unit
At least one through-hole provided in the filter body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a mesh portion provided in the penetrating portion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to filter the foreign matt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필터커버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필터바디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관통부와,
상기 필터바디의 경사면에 구비되는 제2관통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부는
상기 제1관통부에 구비되어 물은 통과시키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제1메쉬부와,
상기 제2관통부에 구비되어 물은 통과시키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제2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filter body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ilter cover,
The through-
A first penetrating portion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lter body,
And a second penetrating portion provided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filter body,
The mesh portion
A first mesh part provided in the first penetrating part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to filter foreign matter;
And a second mesh part provided in the second penetrating part to allow water to pass through and to filter out foreign matter.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제1결합부와 연통하는 유입홀과,
상기 제3결합부와 연통하되 상기 경사연장관에 삽입되는 경사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lter body
An inle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an inclined pipe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engag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inclined extension pip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필터바디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1필터바디와,
상기 필터바디의 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필터바디와 회전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필터바디의 내부를 노출시키는 제2필터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lter body
A first filter body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filter body,
And a second filter body that forms an upper portion of the filter body and rotatably engages with the first filter body to expose the interior of the filter bod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필터커버의 전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필터커버를 상기 필터케이스에 결합하는 제1체결부와,
상기 필터케이스의 양측면 또는 상부면과 하부면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체결부와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astening portion
A first fastening part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lter cover and coupling the filter cover to the filter case,
And a second fastening part protruding forward from both side surfaces or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lter case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fastening par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2체결부에 회전하며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bar)를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바(bar)가 회전하여 수용되는 슬라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홈은 상기 바(bar)가 회전하며 수용될 때 상기 바가 상기 필터케이스를 향하여 일정거리 이동하여 상기 필터커버가 상기 필터케이스를 압박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슬라이드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nd a bar which is rotatably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Wherei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slide groove in which the bar is received and rotated,
Wherein the slide groove includes a slope slope which is inclined so that the bar moves a predetermined distance toward the filter case when the bar rotates and is accommodated so that the filter cover can press the filter case. Apparatus for processing clothes.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바(bar)는 말단에 상기 슬라이드 경사면과 대응되는 바(bar)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bar has a bar inclined surface at an end thereof corresponding to the slide inclined surfac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는 상기 바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는 상기 회전고정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filter cover includes a rotation fixing portion that rotatably engages through the bar,
Wherein the bar includes a bar through hole into which the rotation fixing part is inserted and fixe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는 십자 바(bar)로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은 상기 회전고정부를 기준으로 소정각도를 가진 회전반경의 너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bar is provided with a cross bar,
Wherein the slide groove is provided with a width of a turning radius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fixing por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제2체결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판형상의 체결바디와,
상기 체결바디를 회전시키는 핸들과,
상기 체결바디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나사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나사선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제1체결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나사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first fastening portion
A disk-shaped fastening body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A handle for rotating the fastening body,
And a screw thread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astening body,
Wherein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screw groove that rotatably receives the screw thread to move the first fastening portion forward or backward.
제16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는 외주면에 상기 개방부를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6 or 20,
Wherein the filter cover includes a sealing portion for sealing the opening port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일정두께를 구비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는 상기 필터부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필터안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는 상기 배수펌프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배수펌프안착부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안착부는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 함몰되어 상기 필터부를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필터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필터안착홈의 전방과 대응되는 부분에 상기 필터부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개방되는 베이스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bas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o support a lower portion of the cabinet,
And a filter seat portion on which the filter portion is seated and fixed,
And a drain pump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drain pump is seated and fixed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base,
The filter seat
And a filter mounting groove recessed in front of the base to receive the filter portion,
Wherein the base includes a base door that is opened to expose at least a part of the filter unit to the outside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of the filter seat.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부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관과 결합하는 제1결합부와,
상기 필터부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순환관과 결합하는 제2결합부와,
상기 필터부의 배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결합부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관과 결합하는 제3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펌프의 작동이 멈추면 상기 필터부에 유입된 물이 자중에 의해 상기 이동관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필터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상기 이동관과 결합하는 경사연장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filter unit
A first coupling unit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unit and coupled to the discharge pipe,
A second coupling unit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and coupled to the circulation pipe,
And a third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filter portion, the third engaging portion being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engaging with the moving tube,
And an inclined extension pipe projecting downwardly from the filter unit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moving pipe so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lter unit can be introduced into the moving pipe by its own weight when the operation of the circulation pump stops, Wherein the garment disposal apparatus comprises: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이동관이 수용될 수 있는 이동관수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And a moving pipe receiving groove is provi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base to receive the moving pipe.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제3결합부가 구비되고 전방에 개방부를 구비한 필터케이스와,
상기 필터케이스 전방에서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를 차폐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도어와 대응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와 연통하는 연통홀을 구비하는 차폐부와,
상기 필터케이스에 수용되어 이물질을 여과하고, 여과된 이물질이 적체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필터바디의 하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통홀에서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필터바디와, 상기 필터케이스에 수용되어 상기 제1필터바디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2필터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제1필터바디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연통홀을 개폐하는 필터커버와, 상기 필터커버를 상기 필터케이스에 결합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3. The method of claim 22,
The filter unit
A filter case having the first engaging part, the second engaging part, and the third engaging part and having an opening at the front;
A shielding portion coupled to the filter case and shielding the opening portion, the shielding portion being provided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ase door and having a communica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pening portion;
And a filter body accommodated in the filter case, filtering the foreign matter,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filtered foreign matter is accumulated,
The filter body
A first filter body formed below the filter body so as to be drawn out from the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filter body accommodated in the filter case and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body,
Further comprising: a filter cover coupled to a front of the first filter body to open and close the communication hole; and a coupling unit coupling the filter cover to the filter cas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바디와 상기 제2필터바디는
외주면에 물이 통과하도록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를 폐쇄하여 물은 통과시키되 이물질은 여과하는 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first filter body and the second filter body
At least one penetrating portion provided so as to allow water to pass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nd a mesh portion for closing said penetrating portion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to filter out foreign matter.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바디와 상기 제2필터바디는
배면에 상기 제1결합부와 연통하는 유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유입홀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3결합부와 연통하는 배출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7. The method of claim 26,
The first filter body and the second filter body
And an exhaust hol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case, and a discharge hole communicating with the third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flow hole.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필터커버를 상기 필터케이스 또는 상기 차폐부에 결합시키는 제1체결부와,
상기 필터케이스 또는 상기 차폐부의 상부 및 하부 또는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와 결합하는 제2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6. The method of claim 25,
The fastening portion
A first coupling part for coupling the filter cover to the filter case or the shielding part,
And a second fastening part provided on the filter case or the upper and lower sides or both sides of the shield part to engage with the first fastening part.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필터커버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왕복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필터케이스 또는 상기 차폐부의 상부 및 하부 또는 양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체결판을 수용하는 체결부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9. The method of claim 28,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astening plate that is reciprocally movable leftward or rightward or upward and downward from the filter cover,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includes a fastening portion receiving groove protruding from upper and lower sides or both sides of the filter case or the shielding portion to receive the fastening plate.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판을 좌우 또는 상하로 왕복 이동시키는 제3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체결부는
상기 필터커버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되 외주면에 나사홈이 구비되는 나사바디;
상기 나사바디를 따라 왕복하여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필터커버를 향하여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구비되는 이동경사면을 구비하는 이동바디;
상기 이동바디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내주면에 상기 나사바디의 나사홈을 따라 이동하는 나사선을 구비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판은 일단에 상기 이동경사면과 대응되는 경사를 구비하는 체결경사면을 더 포함하여 상기 이동바디가 상기 필터커버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체결판를 밀어내어 상기 체결수용홈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0. The method of claim 29,
The fastening portion
And a third fastening portion for reciprocating the fastening plate to the left or right or up and down,
The third fastening portion
A screw body protruding forward from the filter cover and having a screw groov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moving body having a moving slope which is inclined to narrow toward the filter cover, the moving body being reciprocally movable along the screw body;
And a rotating portion rotatably provided in front of the moving body, the rotating portion having a thread that moves along a thread groove of the screw body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Wherein the fastening plate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sloped surface having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moving sloped surface at one end so as to push the fastening plate to the fastening receiving groove when the moving body moves toward the filter cover. Processing device.
제22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커버는 배면에 돌출되어 상기 연통홀을 실링하는 실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의류처리장치.
31.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2 to 30,
Wherein the filter cover includes a seal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to seal the communication hole.
KR1020160172960A 2016-12-16 2016-12-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800703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960A KR20180070357A (en) 2016-12-16 2016-12-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960A KR20180070357A (en) 2016-12-16 2016-12-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357A true KR20180070357A (en) 2018-06-26

Family

ID=6278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960A KR20180070357A (en) 2016-12-16 2016-12-16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035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2293A (en) * 2021-12-01 2022-03-25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Sewage discharge system and clothes treatment equip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2293A (en) * 2021-12-01 2022-03-25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Sewage discharge system and clothes treatment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205B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foreign material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20060060228A1 (en) Sump assembly of dishwasher
KR20080100168A (en) Drum-type washing machine
US20080072934A1 (en) Sump for dishwasher
KR101612804B1 (en)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70135237A (en) A Laundry apparuts
JP2008513092A5 (en)
KR101399083B1 (en) Portable Manual type suction and pressure pump assembly
KR20180070357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180070358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09213801A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CN112064300B (en) Washing machine thread scraps filter and use its washing machine
CN107536226A (en) Except lice is combed
US8679330B2 (en) Integrated aquarium filter assembly including filter media components and an upstream water pump
WO2019119703A1 (en) Cooking material cleaning method and device
CN106758020B (en) A washing machine that is used for washing machine's drainage subassembly and has it
EP3056129B1 (en) Dishwasher
KR101372267B1 (en) Drain pump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CN111118832B (en) Clothes treatment equipment, draining pump, draining valve and filtering device
KR100686118B1 (en) driving apparatus of the dishwasher
KR100223413B1 (en) The filter of a washing machine
US7640940B2 (en) Drive unit for dish washing machines
KR101221455B1 (en) Exhaust apparatus for remainder of water and washing machine therewith
KR20240010721A (en) Self-cleaning filtration device
KR100686111B1 (en) Driving apparatus of the dish wa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