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639A -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 - Google Patents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639A
KR20180069639A KR1020160172031A KR20160172031A KR20180069639A KR 20180069639 A KR20180069639 A KR 20180069639A KR 1020160172031 A KR1020160172031 A KR 1020160172031A KR 20160172031 A KR20160172031 A KR 20160172031A KR 20180069639 A KR20180069639 A KR 20180069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nit
control unit
detection modul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2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5366B1 (ko
Inventor
우종호
Original Assignee
우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종호 filed Critical 우종호
Priority to KR1020160172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5366B1/ko
Publication of KR20180069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5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5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5/00Identifying, scaring or incapacitating burglars, thieves or intruders, e.g. by explosi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는 접근탐지모듈제어부(201), 송신부(202), 센싱부(203)를 포함하되, 야생동물이 센싱부(203)에 접촉하면 접근탐지모듈제어부(201)는 절전모드에서 활성모드로 전환되어 송신부(202)를 통해 자신의 주소(ID)를 서버모듈(100)로 무선으로 송신하고, 송신이 완료되면 다시 절전모드로 전환되는 접근탐지모듈(200);과 서버모듈제어부(101), 통신모듈(102), 저장부(105)를 포함하되, 통신모듈(102)이 접근탐지모듈(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서버모듈제어부(101)로 전송하면, 서버모듈제어부(101)는 데이터를 저장부(105)에 저장하고 해당 주소의 접근탐지모듈(200)과 연관되는 퇴치모듈(300)의 주소(ID)와 LED 동작패턴을 통신모듈(102)을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는 서버모듈(100);과 퇴치모듈제어부(301), 수신부(302), LED부(303)를 포함하되, 퇴치모듈제어부(301)는 수신부(202)를 통해 자신의 주소(ID)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LED 동작패턴에 따라 LED부(303)를 구동하는 퇴치모듈(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근탐지모듈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면 서버모듈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서버모듈은 해당 접근탐지모듈 근처의 퇴치모듈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여 LED 빛 또는 스피커 소리로 야생동물을 퇴치한다.

Description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 {Farm Pest Animals Repelling Device}
본 발명은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근탐지모듈이 야생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면 서버모듈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고 서버모듈은 해당 접근탐지모듈 근처의 퇴치모듈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여 LED 빛 또는 스피커 소리로 야생동물을 퇴치하는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멧돼지와 고라니와 같은 야생동물에 의한 농작물의 피해가 매년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지방 자치단체에서는 야생동물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 진행하고 있다. 특히 멧돼지는 농촌지역의 농작물 피해뿐만 아니라 인명피해까지 입히고 그 개체수의 증가에 따라 먹이를 찾아 도심 인근에까지 나타나고 있다.
유해 야생동물을 퇴치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1) 울타리를 설치하고 고압 전류를 흘리거나 검은 차양막으로 가려서 퇴치하는 방법이 있다. (2) 천적의 소리에 의한 퇴치 방법으로 호랑이나 늑대 혹은 사자의 소리를 녹음해서 접근하는 길목마다 정기적으로 스피커로 틀어준다. 또한 사람에게는 들리지 않고 유해 동물은 들을 수 있는 혐오하는 주파수인 초음파를 사용하기도 한다. (3) 불빛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주기적으로 빛을 번쩍여서 겁을 줘서 접근을 퇴치한다. (4) 천적의 배설물 혹은 혐오하는 냄새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된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관련 제품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유해 동물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를 사용해서 필요할 때에만 불빛이나 소리를 내어 퇴치하는 장치들이 판매되고 있지만, 접근탐지와 퇴치가 하나의 장치에 구현되고 있으며 독립적인 장치로서 네트워크화되어 있지 않아 넓은 지역에 설치하는 경우 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렵다. 또한 적외선 움직임 감지 센서나 카메라를 이용하여 유해동물을 탐지하는 경우 소모 전력이 많아 야외에서 필요한 전력을 구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88102호(2016.01.17.) 등록특허공보 제10-1447967호(2014.09.30.)
본 발명은 유해 야생동물의 접근을 탐지하는 접근탐지모듈과 모듈들을 관리하는 서버모듈 및 빛 또는 소리를 이용하여 야생동물을 퇴치하는 퇴치모듈이 독립적인 모듈로 구현되지만 무선통신으로 연결됨으로서 관리가 편리하고 확장이 용이하며, 저전력으로 동작함으로서 농장 등 야외에서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의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는 접근탐지모듈제어부(201), 송신부(202), 센싱부(203)를 포함하되, 야생동물이 센싱부(203)에 접촉하면 접근탐지모듈제어부(201)는 절전모드에서 활성모드로 전환되어 송신부(202)를 통해 자신의 주소(ID)를 서버모듈(100)로 무선으로 송신하고, 송신이 완료되면 다시 절전모드로 전환되는 접근탐지모듈(200);과 서버모듈제어부(101), 통신모듈(102), 저장부(105)를 포함하되, 통신모듈(102)이 접근탐지모듈(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서버모듈제어부(101)로 전송하면, 서버모듈제어부(101)는 데이터를 저장부(105)에 저장하고 해당 주소의 접근탐지모듈(200)과 연관되는 퇴치모듈(300)의 주소(ID)와 LED 동작패턴을 통신모듈(102)을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는 서버모듈(100);과 퇴치모듈제어부(301), 수신부(302), LED부(303)를 포함하되, 퇴치모듈제어부(301)는 수신부(202)를 통해 자신의 주소(ID)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LED 동작패턴에 따라 LED부(303)를 구동하는 퇴치모듈(300);을 포함한다.
접근탐지모듈(200)의 센싱부(203)는 마이크로 스위치(리미트 스위치)를 포함하며, 야생동물이 센싱부(203) 접촉하면 마이크로 스위치가 동작하여 접점 신호를 접근탐지모듈제어부(201)로 전달한다.
서버모듈(100)은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접근탐지모듈(20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부(105)에 저장된 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킨다.
유해 야생동물 퇴치 장치는 사용자 단말(400)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400)은 서버모듈(100)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접근탐지모듈(200)의 설치, 제거, 관리기능을 수행하고, 저장부(105)에 저장된 접근탐지모듈(200)의 동작 이력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해 야생동물 퇴치 장치는 접근탐지모듈(200)을 절전모드로 동작시킴으로서 전력소모가 적고, 접근탐지모듈(200)과 퇴치모듈(300)을 필요에 따라 추가로 다수 개를 설치할 수 있는 확장성이 있으며, 모듈들이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설치가 편리하고, 스마트폰 등 사용자 단말(400)이 서버모듈(100)을 직접 연결하여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근탐지모듈 근처의 퇴치모듈이 LED 빛과 소리 등을 이용하여 유해 야생동물을 퇴치할 수 있어서 침입 위치에 따른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및 실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모듈의 개략적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근탐지모듈의 개략적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근탐지모듈의 회로도 및 제작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퇴치모듈의 개략적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의 실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a)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블럭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1 (b)는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의 실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는 야생동물의 접근을 탐지하고 서버모듈에 알리는 접근탐지모듈(200);과 야생동물의 접근이 탐지된 접근탐지모듈(200)과 가까운 퇴치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하며 전체 구성에서 중심역할을 수행하는 서버모듈(100);과 수신되는 LED 동작패턴에 따라 LED부(303)를 구동하여 야생동물을 퇴치하는 퇴치모듈(300); 및 서버모듈과 연결하여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를 관리 및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4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400)로는 스마트폰이 사용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노트북 컴퓨터, PC 등 다양한 기기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4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본 어플리케이션에서는 메인 화면, 접근탐지모듈 관리 화면, 서버모듈 관리 화면 등 3개의 파일로 구성한다. 접근탐지모듈 관리화면은 사용자 단말 내부의 GPS를 이용해서 현재의 위치를 확인하고, 구글맵에 접근탐지 모듈을 설치하거나 제거할 때 위치와 상태를 구글맵 지도에 표시하고, 해당 정보를 파일로 저장해서 관리한다. 서버모듈 관리화면에서는 현재 시간 갱신, 서버모듈로 접근탐지모듈의 설치에 따른 위치파일 전송, 그리고 서버모듈로부터 접근탐지모듈의 위치파일 및 탐지모듈의 접근기록을 수신 기능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서버모듈과 접근탐지모듈과 퇴치모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버모듈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서버모듈(100)은 서버모듈제어부(101), 통신모듈(102), 저장부(105)를 포함한다. 통신모듈(102)이 접근탐지모듈(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서버모듈제어부(101)로 전송하면, 서버모듈제어부(101)는 데이터를 저장부(105)에 저장하고 해당 주소의 접근탐지모듈(200)과 연관되는 퇴치모듈(300)의 주소(ID)와 LED 동작패턴을 통신모듈(102)을 통해 무선으로 송신한다.
서버모듈(100)은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관리할 농장의 중앙 혹은 주변 가까운 곳에 설치한다. 서버모듈제어부(101)는 아두이노 또는 라즈베리 파이 등과 같은 컴퓨터 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서버모듈제어부(101)는 아두이노 듀로 구현되었으며, 이에 업로드되는 프로그램은 아두이노 IDE에서 스케치로 프로그래밍했다. 헤드파일로는 통신을 위한 <VirtualWire.h>, SD 카드의 사용을 위한 <SD.h>와 <SPI.h>, 소리재생을 위한 <Audio.h>, LCD를 위한 <LiquidCrystal.h> 등을 포함했다. 그 다음으로 시간 관리, 파일변수와 각종 통신에 필요한 변수를 선언한다. setup() 함수에서는 아두이노 듀의 핀들을 용도에 맞게 할당하고 각종 시리얼통신 전송속도를 설정한다. 또한 LCD, 와이파이 모듈, 2개의 푸시 버튼, SD 카드의 초기화와 상태확인, 외부 인터럽트를 설정하고 내부 타이머를 설정하고 실행시킨다.
서버모듈제어부(101)는 각 모듈들의 동작들을 저장부(105)에 기록한다. 구체적으로 접근탐지모듈에서 서버로 데이터가 전송되고 퇴치모듈로 동작패턴이 전송되면 접근이 탐지된 접근탐지모듈과 퇴치모듈의 주소(ID), 동작패턴 및 시간을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저장한다.
통신모듈(102)은 RF 송수신 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와이파이 모듈과 같은 통신모듈 각각이 단독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서버모듈과 외부모듈과의 일방향 송신, 수신 또는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인 통신모듈들의 종류로는 필요에 따라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RF 송수신 모듈로 XD-FST(TX), XD-RF-5V(RX), 지그비(ZigBee) 모듈로 XBee Series 1 Pro, 와이파이 모듈로 ESP8266 ESP01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저장부(105)는 SD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저장부(105)에는 서버모듈의 과거의 동작이 기록 관리되며, 유해동물을 퇴치할 때 스피커로 출력하는 사운드 소스들이 저장된다.
서버모듈(100)에는 디스플레이/조작부(103)와 스피커(104)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데 스피커(104)는 저장부(105)에 저장된 유해 야생동물 멧돼지와 고라니 등이 혐오하는 소리들이 선택되면 사운드 앰프를 통해서 재생된 소리를 외부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조작부(103)는 서버와의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위해서 16 x 2 문자 LCD와 두 개의 푸시버튼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스마트폰이나 SD카드 리더기가 없는 상황에서도 서버모듈(100)의 동작과 접근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간단한 기능을 제공한다. LCD는 현재의 상태나 SD 카드에 저장된 데이터를 문자로 표시해준다. 2개의 푸시버튼은 모두 각각 아두이노 듀의 외부 인터럽트로 연결되어 처리되는데 과거의 기록을 전후로 옮길 때 사용한다.
전원부(106)는 서버모듈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부는 상용전원 또는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태양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근탐지모듈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접근탐지모듈(200)은 접근탐지모듈제어부(201), 송신부(202), 센싱부(203)를 포함한다. 야생동물이 센싱부(203)에 접촉하면 접근탐지모듈제어부(201)는 절전모드(슬립상태)에서 활성모드로 전환되어 송신부(202)를 통해 자신의 주소(ID)를 서버모듈(100)로 무선으로 송신하고, 송신이 완료되면 다시 절전모드로 전환된다. 접근탐지모듈(200)은 멧돼지 혹은 고라니와 같은 유해 야생 동물이 접근할 때 이를 탐지해서 서버모듈(100)로 해당 주소(ID)를 전송해서 가까운 거리에 사운드를 동작시키고 적절한 퇴치모듈(300)의 LED 램프를 번쩍이게 한다.
실시 예에서 접근탐지모듈제어부(201)는 마이크로컨트롤러 ATtiny85로 구현하였다. 송신부(202)는 433MHz RF 송신 모듈을 사용했다. 동작 전압 2.5-12V에 따라 20-200미터 전송 거리로 동작하며 저가로 공급되는 모듈을 사용했다. 한편 필요에 따라 RF 송수신이 가능하며 1000m까지 전송이 가능한 RF 통신 모듈을 사용하거나 지그비(ZigBee) 모듈을 사용해서 감지 데이터를 원거리로 무선 전송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근탐지모듈의 회로도 및 제작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접근탐지모듈(200)은 한번 설치하면 장시간(6-12개월) 동안 소형 배터리에 의해서 동작되어야 하므로 저전력으로서 동작되도록 설계되었다. ATtiny85 마이크로컨트롤러(MCU)로 구현되는 접근탐지모듈제어부(201)는 평상시에는 power-down 절전모드(슬립상태) 상태로 5V 동작 전원에서는 약 0.3 μA의 전력을 소모하므로 배터리의 수명을 크게 늘일 수 있다. 또한 절전모드(슬립상태) 상태에 있을 때 송신부(RF 전송 모듈)에서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해서 광연결기(photocoupler)를 통해 전원을 공급되지 않게 했다. 인터럽트가 발생해서 전송동작이 수행되는 짧은 시간에만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서버모듈(100)의 수신에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송신부가 수회 반복 송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는데 실시예에서는 0.5초의 시차로 3회 반복 전송하여 수신 신뢰성을 높였다.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센싱부(203)로는 물리적인 접촉을 이용하는 마이크로스위치 S2을 사용하였다. 도 4에서 (b)의 제작 예시를 참조하면 마이크로스위치 S2의 동작은 스프링 구조의 발판 형태로 구성하였고 평상시에는 마이크로 스위치의 접점이 오픈(OPEN) 상태이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야생동물이 밟아 눌러지면 접점이 클로우즈(CLOSE) 상태가 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고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센싱부(203)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전력 소모가 없다. 마이크로컨트롤러 ATtiny85는 이 인터럽트에 의해서 절전모드(슬립상태)에서 깨어나(wakeup) 접근 상황을 감지하고 송신부(202)를 통해서 자신의 주소(ID)를 전송한 후 다시 절전모드(슬립상태)가 된다. 실시예에서 주소(ID)는 전송되는 1 바이트(8 비트) 중 상위 4 비트로 표시했다. 한편 발판 구조 대신 간단하게 낚시 줄과 같은 가늘고 투명한 줄을 마이크로 스위치의 끝에 연결해서 지나가는 통로에 걸쳐두어 유해동물이 지나가다가 걸리면 스위치가 동작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센싱부(203)는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서 동작하는 스위치 외에도 다양한 전기전자 센서를 활용할 수도 있다. 시장에는 레이더, 적외선, 열감지, 초음파, 레이저 등의 센서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한 모듈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전원부(206)는 접근탐지모듈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용전원 또는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태양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퇴치모듈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다. 퇴치모듈(300)은 퇴치모듈제어부(301), 수신부(302), LED부(303)를 포함한다. 퇴치모듈제어부(301)는 수신부(302)를 통해 자신의 주소(ID)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LED 동작패턴에 따라 LED부(303)를 구동한다. 접근탐지모듈(200)에서 유해동물의 접근이 감지되면, 즉시 그 접근탐지모듈의 주소(ID)가 서버모듈로 전송되고, 서버모듈(100)은 각 접근탐지모듈의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위치에 따라 고강도의 LED 램프를 번쩍이도록 반응할 해당 퇴치모듈(300)의 주소(ID)와 동작 패턴을 통신모듈(RF 송신기 혹은 원거리 ZigBee 모듈)을 통해서 전송한다. 퇴치모듈(300)의 수신부(302)에서는 수신한 주소(ID)가 자신의 주소(ID)와 일치하면 함께 전송된 동작 패턴 정보에 따라 동작한다. 동작패턴은 4-비트로 구성되며 해당 동물을 효과적으로 퇴치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에서 적절하게 선택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스피커부(304)를 설치하여 LED와 함께 소리를 이용하여 유해 야생동물을 퇴치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서 LED부의 LED 램프로 10W 900LM의 LED를 사용하였으며 야간에 섬광형태로 번쩍이면 멧돼지나 고라니와 같은 야생동물을 퇴치하기에 충분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기술자라면 필요에 따라 적절한 LED 램프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LED 램프에 전류의 ON/OFF 제어를 위해서 IRF530 MOSFET를 사용하면 프로그램된 시간으로 게이트에 펄스를 인가해서 원하는 형태의 경광을 만들 수 있다. 한편 수신부는 RF 통신 모듈 대신에 지그비 모듈을 사용하면 사물통신 및 무선 센서 네트워크 등 다양한 형태의 네트워크에 적용이 가능한 양방향 무선통신방식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전원부(306)는 상용전원 또는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태양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의 실시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접근탐지모듈(200)은 유해 야생동물이 지나갈 가능성이 있는 여러 곳에 다수를 설치하며 필요에 따라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하다. 퇴치모듈(300)은 접근탐지모듈(200)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하다. 유해 야생동물이 접근탐지모듈(200)을 동작시키면 서버모듈(100)은 필요한 LED의 동작패턴과 소리를 해당 퇴치모듈(300)로 전송하여 유해 야생동물을 퇴치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을 중심으로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서버모듈 101 : 서버모듈제어부
102 : 통신모듈 103 : 디스플레이/조작부
104 : 스피커 105 : 저장부
106 : 전원부
200 : 접근탐지모듈 201 : 접근탐지모듈제어부
202 : 송신부 203 : 센싱부
206 : 전원부
300 : 퇴치모듈 301 : 퇴치모듈제어부
302 : 수신부 303 : LED부
304 : 스피커 306 : 전원부

Claims (4)

  1. 접근탐지모듈제어부(201), 송신부(202), 센싱부(203)를 포함하되, 야생동물이 센싱부(203)에 접촉하면 접근탐지모듈제어부(201)는 절전모드에서 활성모드로 전환되어 송신부(202)를 통해 자신의 주소(ID)를 서버모듈(100)로 무선으로 송신하고, 송신이 완료되면 다시 절전모드로 전환되는 접근탐지모듈(200);
    서버모듈제어부(101), 통신모듈(102), 저장부(105)를 포함하되, 통신모듈(102)이 접근탐지모듈(2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서버모듈제어부(101)로 전송하면, 서버모듈제어부(101)는 데이터를 저장부(105)에 저장하고 해당 주소의 접근탐지모듈(200)과 연관되는 퇴치모듈(300)의 주소(ID)와 LED 동작패턴을 통신모듈(102)을 통해 무선으로 송신하는 서버모듈(100);
    퇴치모듈제어부(301), 수신부(302), LED부(303)를 포함하되, 퇴치모듈제어부(301)는 수신부(202)를 통해 자신의 주소(ID)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되는 LED 동작패턴에 따라 LED부(303)를 구동하는 퇴치모듈(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접근탐지모듈(200)의 센싱부(203)는 마이크로 스위치를 포함하며, 야생동물이 센싱부(203) 접촉하면 마이크로 스위치가 동작하여 접점 신호를 접근탐지모듈제어부(201)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버모듈(100)은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접근탐지모듈(200)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부(105)에 저장된 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유해 야생동물 퇴치 장치는 사용자 단말(400)을 더 포함하고,
    사용자 단말(400)은 서버모듈(100)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접근탐지모듈(200)의 설치, 제거, 관리기능을 수행하고, 저장부(105)에 저장된 접근탐지모듈(200)의 동작 이력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
KR1020160172031A 2016-12-15 2016-12-15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 KR101875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031A KR101875366B1 (ko) 2016-12-15 2016-12-15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2031A KR101875366B1 (ko) 2016-12-15 2016-12-15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639A true KR20180069639A (ko) 2018-06-25
KR101875366B1 KR101875366B1 (ko) 2018-07-06

Family

ID=62806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2031A KR101875366B1 (ko) 2016-12-15 2016-12-15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53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810B1 (ko) * 2018-08-21 2019-03-20 주식회사 씨투놀로지 Lpwan을 이용한 야생 동물 피해 예방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2468A (ko) * 2012-04-30 2013-11-07 이앤에이치씨(주) 협응형 운동체 퇴치 시스템 및 경계 정보 처리 방법
KR101251867B1 (ko) * 2012-07-20 2013-04-10 이상욱 농작물 보호를 위한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 그리고 야생동물 적응화 퇴치 장치를 위한 제어 단말
KR20150063645A (ko) * 2013-12-02 2015-06-10 주식회사 오에스샵 조류퇴치 알람장치 및 시스템
KR20150080070A (ko) * 2013-12-30 2015-07-09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에너지 발생장치가 부착된 절전형 야생동물 자동 퇴치용 시스템
KR101710370B1 (ko) * 2015-09-21 2017-02-24 조병학 초절전 스마트 전기울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810B1 (ko) * 2018-08-21 2019-03-20 주식회사 씨투놀로지 Lpwan을 이용한 야생 동물 피해 예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5366B1 (ko) 201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34794A1 (en) Power-Optimized Image Capture and Push
CN105593916B (zh) 分叉的处理器危害检测系统
CN104284485A (zh) 智能照明装置、照明系统及智能照明控制方法
US1007895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sting hazard detectors in a smart home
US20180253952A1 (en) Smart wall-mounted socket
CN105516686A (zh) 省电摄像装置、智能猫眼及网络摄像头
CN104284486A (zh) 智能照明装置、系统及智能照明控制方法
CN104780660A (zh) 基于4G与ZigBee物联网络及带Web功能的LED路灯控制系统
US10945097B1 (en) Method of implementing a lightweight, electronic ear tag for location tracking and geo-fencing tasks
US11743392B2 (en) Smart electronic chime and mechanical chime dehum board
CN205865763U (zh) 基于图像检测的交互式智能驱鸟系统
JP2014052870A (ja) 発信機、子局装置、親局装置、及び追跡システム
CN102005085B (zh) 一种购物袋回收终端机
CN104837277A (zh) 带有社交功能的智能台灯
CN104952184A (zh) 双向无线智能门磁探测器
CN204145834U (zh) 智能照明装置及照明系统
US20230247749A1 (en) Interconnected remote control lighting system
KR101875366B1 (ko) 유해 야생동물 퇴치장치
CN105490902A (zh) 智能家居系统、无线信息采集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104918382A (zh) 室内照明灯智能开关灯系统
CN202183158U (zh) 考勤系统及考勤提醒装置
US20190220632A1 (en) Wireless monitoring device for a pest or animal trap and related techniques
US2016024005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lerts regarding occupancy conditions
CN104914899A (zh) 一种多功能智慧办公系统
CN104012495A (zh) 智能配对灭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