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539A -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539A
KR20180069539A KR1020160171819A KR20160171819A KR20180069539A KR 20180069539 A KR20180069539 A KR 20180069539A KR 1020160171819 A KR1020160171819 A KR 1020160171819A KR 20160171819 A KR20160171819 A KR 20160171819A KR 20180069539 A KR20180069539 A KR 20180069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virtual reality
information
use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4471B1 (ko
Inventor
황산
최창환
Original Assignee
기가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가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가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1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47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9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6Panoramic objectives; So-called "sky lenses" including panoramic objectives having reflect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23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increasing the field of vie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랜트의 내부 및 외부를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 영상 수신부, 플랜트 내에 위치한 복수의 객체에 대해 각각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각각의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를 연계시키기 위한 객체 처리부, 및 플랜트에서 수행되는 각 공정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연계시키기 위한 공정 처리부를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PROVIDING VIRTUAL REALITY SERVICE OF PLANT AND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플랜트의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플랜트 공간 정보를 연계하여 3차원적으로 플랜트의 내외부 모습을 가시화하여 가상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노라마 가상현실은 실제 환경을 3차원 가상 환경으로 표현함에 있어 분할 촬영된 이미지를 서로 이어 붙인 360도 입체 이미지인 파노라마 뷰(Panorama View)를 이용해 광각으로 시야를 넓게 보여줄 수 있도록 구현한 실사 기반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기술이다.
이러한 가상 현실 기술 중 파노라마 VR(Panorama VR)이란 카메라를 이용해 촬영된 이미지를 서로 이어 붙여 제작한 실사 기반의 VR 기술로서, 이 제작 방법은 풍경 또는 실내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360도 회전하며 촬영된 이미지를 가공 과정을 거쳐 연결하여 붙인 뒤, 구형 또는 원통형 모양에 덮어씌우는 과정(Mapping)을 거쳐 촬영 지점(Nodal Point)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회전(Rotate), 확대/축소(Zoom In/Zoom Out), 이동(Move)하면서 볼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와 같은 파노라마 가상현실 기술은 360도까지 확장되는 실사 기반의 시각적 재현을 통해 가상 공간에서 느끼는 인간의 현실감을 극대화하며 사용자가 현실 세계의 공간적, 물리적 제약을 벗어나 풍부하고 다양한 가상 세계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으며, 비교적 작업이 쉽고 제작 비용이 매우 저렴하며, 짧은 시간 내에 결과물을 얻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다른 VR 기술보다 빨리 도입되었다.
플랜트(PLANT)는 전력, 석유, 가스, 담수 등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생산용 기계, 장치, 공장 설비 등을 포함하는 공장 시설 및 생산 시설 일체 등을 의미한다. 플랜트는 해당 구역이 크고 복잡하여 플랜트에 익숙한 사람이 아니면 플랜트에 대한 설명이 없으면 전체를 둘러보기가 힘들고 플랜트 배치도, 즉 플롯 플랜(Plot Plan)를 가지고 길을 찾는다 해도 범위가 광범위하여 전체적으로 확인을 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플랜트에 대한 파노라마 뷰 및 이와 연동되는 가상현실 기술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플랜트 자체의 지리적 또는 외부적인 위치가 아닌 플랜트 내 공간에서 사용자의 필요와 의도에 맞추어 적합한 이동 경로를 쉽고 빠르게 특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283667
본 발명은 플랜트 내 공간에서 사용자의 필요와 의도에 맞추어 적합한 이동 경로를 쉽고 빠르게 특정할 수 있도록 지원가능한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랜트의 특수성이 반영된 최적화된 형태의 좌표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플랜트에 대한 각종 관련 정보를 함께 제공 및 처리함으로써 서비스의 효율성 및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노라마 VR 기술을 플랜트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VR로 구현된 화면을 통하여 3차원적으로 구현된 플랜트의 내외부 모습을 현실감 높게 가시화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의 내부 및 외부를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 영상 수신부; 상기 플랜트 내에 위치한 복수의 객체에 대해 각각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각각의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를 연계시키기 위한 객체 처리부; 및 상기 플랜트에서 수행되는 각 공정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연계시키기 위한 공정 처리부를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닛(Unit) 정보, 장비(Equipment) 정보,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 정보, 위치 정보 및 높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정보에 기반하여 좌표의 주소 정보를 생성하는 좌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정 처리부는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 도면에서 각 공정과 관련된 위치 좌표를 연계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특정 구역이 선택되는 경우 관련 3D 모델링을 구현하고, 상기 3D 모델링 화면 중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특정 스팟에 대해 가상 현실 화면을 제공하는 3D 모델링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장비의 모델명, 고유 명칭 및 태그 번호(Tag Number)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가상 현실 화면을 제공하는 검색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된 가상 현실 화면 내의 장비와 관련된 값이 미리 결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알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트의 내부 및 외부를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플랜트 내에 위치한 복수의 객체에 대해 각각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각각의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를 연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플랜트에서 수행되는 각 공정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연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닛(Unit) 정보, 장비(Equipment) 정보,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 정보, 위치 정보 및 높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정보에 기반하여 좌표의 주소 정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 도면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공정과 관련된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특정 구역이 선택되는 경우 관련 3D 모델링을 구현하고, 상기 3D 모델링 화면 중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특정 스팟에 대해 가상 현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된 화면 내에서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수신한 장비의 모델명, 고유 명칭 및 태그 번호(Tag Number)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가상 현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제공된 가상 현실 화면 내의 장비와 관련된 값이 미리 결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랜트 내 공간에서 사용자의 필요와 의도에 맞추어 적합한 이동 경로를 쉽고 빠르게 특정할 수 있도록 지원가능한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랜트의 특수성이 반영된 최적화된 형태의 좌표 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플랜트에 대한 각종 관련 정보를 함께 제공 및 처리함으로써 서비스의 효율성 및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파노라마 VR 기술을 플랜트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VR로 구현된 화면을 통하여 3차원적으로 구현된 플랜트의 내외부 모습을 현실감 높게 가시화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랜트의 플롯 플랜에서 특정 구역의 선택에 기초하여 플랜트의 해당 위치에서의 모습을 가상 현실로 보여주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랜트의 유닛 플롯 플랜에서 특정 스팟의 선택에 기초하여 플랜트의 해당 위치에서의 모습을 가상 현실로 보여주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ID의 특정 공정의 선택에 기초하여 플랜트의 해당 위치에서의 모습을 가상 현실로 보여주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3D 모델링의 특정 스팟의 선택에 기초하여 플랜트의 해당 위치에서의 모습을 가상 현실로 보여주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된 플랜트의 가상 현실(VR) 화면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플롯 플랜(Plot Plan)”은 플랜트 공장 전체에 대해 표현된 배치 도면을 의미한다. “유닛 플롯 플랜(Unit Plot Plan)”은 플랜트 공장에서 유사한 프로세스 공정 별로 구분하여 분리된 도면을 의미한다.
또한,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는 공정의 시운전, 정상운전, 운전정지 및 비상운전 시에 필요한 모든 공정장치, 동력기계, 배관, 공정제어 및 계기 등을 표시하고 이들 상호간에 연관 관계를 나타내 주며 상세설계, 건설, 변경, 유지보수 및 운전 등을 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정보를 파악 할 수 있는 도면을 의미한다.
또한, “스팟(Spot)”은 플랜트 공장 내의 특정한 장소 또는 위치를 나타내며, “3D 모델링(modeling)”은 플랜트 공장 전체를 3D 프로그램을 통해 재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의 가상 현실(VR)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의 VR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영상 수신부(110), 객체 처리부(120), 좌표 처리부(130), 공정 처리부(140), 3D 모델링 처리부(150), 검색 처리부(160), 디스플레이부(170) 및 알람 발생부(18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구성요소로 한정되지 않고 추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통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영상 수신부(110)는 플랜트의 내부 및 외부를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디지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 3D 카메라 등의 영상 촬영 장치를 통한 촬영을 통해 플랜트의 각 위치별 공간에 대해 개별적으로 파노라마 사진을 촬영하고, 영상 수신부(110)는 이와 같은 촬영 결과물을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만든 VR 데이터베이스를 수신한다.
객체 처리부(120)는 플랜트 내에 위치한 복수의 객체에 대해 각각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각각의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를 연계시켜 좌표로 매핑(mapping)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각 객체는 플랜트 내에 위치한 장치, 장비, 기계, 배관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객체와 관련된 정보는 예컨대 각 객체의 고유 명칭, 태그 번호, 모델명, 사양(specification), 가격, 유지보수 내역뿐만 아니라 각 객체의 위치와 관련된 높이와 좌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좌표 처리부(130)는 기본적으로 360도 파노라마 뷰로 VR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 위치 식별을 위한 좌표 처리를 수행하며, 특히 객체 관련 다양한 정보, 예컨대 유닛(Unit) 정보, 장비(Equipment) 정보,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 정보, 위치 정보 및 높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정보에 기반하여 좌표의 주소 정보를 생성하고 매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좌표 처리부(130)의 동작으로 인해 플랜트의 파노라마 가상 현실 뷰는 플랜트 좌표에 기반하여 실제 플랜트의 모습을 360° 파노라마 뷰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복잡한 플랜트 구조 및 장비들 사이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위치나 정보 등을 검색 및 파악하기 위해서는 단순 위치 정보뿐만 아니라 유닛 정보, 장비 관련 정보, P&ID 관련 공정 정보와 연관된 좌표 정보 등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랜트 전체에 대해 유닛(Unit)별, 장치(Equipment)별,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 내의 각 공정별, 위치 및 높이 별 관련 좌표 정보를 매핑 및 연계시킴으로써 종래 VR 지도 서비스와는 다른 새로운 좌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검색이나 관련 정보 제공 등에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 가능하다.
또한, 일 예로 플랜트 내 좌표를 URL 주소 형태로 표시하고, 이 URL 주소 정보를 근거로 그 플랜트 좌표와 연계되어 있는 관련 정보(도면, 기계 및 장비 정보 등)를 제공 및 표시하고, 공유, 관리 및 활용할 수 있다. 이때, URL 주소 정보에는 플랜트의 위치 좌표와 더불어 좌우/상하 각도(Angle) 정보 및 확대/축소(배율)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공정 처리부(140)는 플랜트에서 수행되는 각 공정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연계 및 매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플랜트에서는 다양하고 복잡한 공정 프로세스들이 수행하고 있어, 각 공정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매핑시킴으로써 각 공정이 수행되는 위치 및 장비 등을 용이하게 검색 및 확인 가능하다. 예컨대, 공정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 도면에서 각 공정과 관련된 위치 좌표를 연계시킴으로써, P&ID 도면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공정과 관련된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3D 모델링 처리부(15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특정 구역이 선택되는 경우 관련 3D 모델링을 구현하고, 3D 모델링 화면 중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특정 스팟에 대해 가상 현실 화면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유닛 플롯 플랜에서 특정 장비 또는 위치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장비 또는 위치에 대응되는 3D 모델링된 화면을 제공 가능하고, 제공된 3D 모델링 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장비나 공정을 선택 시에는 해당되는 위치에서의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검색 처리부(16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장비의 모델명, 고유 명칭 및 태그 번호(Tag Number)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가상 현실 화면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좌표 처리부(130)에 의해 플랜트 전체에 유닛(Unit)별 검색, 장치(Equipment)별 검색,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별 검색, 위치 및 높이 별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사용자에게 플랜트의 VR 파노라마 뷰 화면을 제공하거나, 관련 메뉴 또는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VR)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별도로 구성되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알람 발생부(180)는 현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내에 표시된 장비나 장치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정보 또는 데이터 값이 미리 결정된 기준 범위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알람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알람은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해당 장비 근처 또는 해당 장비 상에 중첩하여 알람 표시를 점멸하며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소리와 함께 알람을 발생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현재 제공된 VR 화면에서 해당 장비의 유지보수 내역과 관련하여, 현재 유지보수기간이 만료되어 미리 입력된 기간 정보를 벗어나는 경우, 해당 장비의 점검 또는 수리를 위한 알람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가 VR 화면을 통해 쉽게 유지보수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검색한 장비와 관련된 위치에서의 뷰를 VR 화면으로 보여주는 경우, 해당 장비가 파노라마 화면의 이동 중 사라지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장비의 존재 여부를 직관적으로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VR 화면 제공과 알람 발생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해당 스팟을 방문하지 않고도, 손쉽게 유지보수관리 또는 장비 검색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랜트의 플롯 플랜에서 특정 구역의 선택에 기초하여 플랜트의 해당 위치에서의 모습을 가상 현실로 보여주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롯 플랜에는 다양한 구역이 포함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플롯 플랜에서 원하는 구역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구역의 유닛 플롯 플랜(Unit Plot Plan)을 확대하여 보여줄 수 있고, 또한, 해당 구역의 항공 VR 화면으로 넘어가 파노라마 뷰를 제공 가능함으로써, 플랜트의 외부 모습도 보여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플랜트의 유닛 플롯 플랜에서 특정 스팟의 선택에 기초하여 플랜트의 해당 위치에서의 모습을 가상 현실로 보여주는 모습을 나타낸다.
플랜트 공간은 구역별로 분류될 수 있고, 각 구역에 하나 이상의 스팟(Spot)이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된 각 스팟에 체계화된 플랜트 좌표가 부여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화면에 제공된 유닛 플롯 플랜 내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 스팟이 결정되는 경우, 해당 스팟의 좌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해당 위치의 플랜트의 모습을 파노라마 뷰로 제공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P&ID의 특정 공정의 선택에 기초하여 플랜트의 해당 위치에서의 모습을 가상 현실로 보여주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에게 제공된 P&ID 화면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특정 공정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공정과 관련된 특정 위치의 좌표에 기반하여, 해당 위치의 플랜트의 모습을 파노라마 뷰로 제공 가능하다. 이와 같이, 플롯 플랜과 같은 단순 배치도뿐만 아니라 P&ID 화면에서도 특정 스팟을 선택할 수 있게 되어, 각 공정이 이루어지는 위치 및 해당 장비들의 손쉬운 검색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3D 모델링의 특정 스팟의 선택에 기초하여 플랜트의 해당 위치에서의 모습을 가상 현실로 보여주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예컨대 유닛 플롯 플랜 화면에서 사용자가 특정 장비 또는 위치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장비 또는 위치에 대응되는 3D 모델링된 화면을 제공 가능하고, 제공된 3D 모델링 화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장비나 공정을 선택하면 해당 위치에서의 플랜트의 모습을 파노라마 뷰로 제공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된 플랜트의 가상 현실(VR) 화면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 등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서의 360도 파노라마 뷰로 제공되는 VR 화면을 보여주며, 상단에는 해당 장비 설치시나 운전시 문제점들에 대해 상세히 볼 수 있게 해주는 게시판 보기, 해당 장비를 원하는 크기 및 해상도로 캡쳐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스크린샷 프로그램, 플랜트 전체 또는 부분 지도를 제공하는 맵(MAP) 보기 기능들을 제공한다.
또한, 해당 장비 또는 위치에서의 장비에 대한 설명을 볼 수 있게 해주는 기본 설명 보기, P&ID, 공정 흐름도 등의 도면을 제공하기 위한 도면 자료보기, 장비 시운전 및 조립도 영상을 볼 수 있게 해주는 장비 시현 동영상 보기, 장비의 부속 사진들에 대해서 상세하게 볼 수 있게 해주는 사진 팝업 보기 등의 기능을 제공 가능하며, 하단에 확대나 축소 기능, 이동 및 정지 기능 등의 3D 화면 제공을 위한 VR 조작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면 하단에는 장비 명칭, 태그 번호 등을 포함하는 해당 VR의 제목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는 검색창이 미도시되었지만, 사용자에게 검색 관련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검색창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장비의 모델명, 고유 명칭 및 태그 번호(Tag Number)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가상 현실 화면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플랜트 전체에 대해 유닛(Unit)별 검색, 장치(Equipment)별 검색,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별 검색, 위치 및 높이 별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는 파노라마 가상 현실 기술과 플랜트 공간 정보를 연계하여 3차원적으로 구현된 선박 내외부의 모습을 가시화하여 현실감 높게 볼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실제 플랜트 공간에 있는 것과 같은 현실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랜트 전체에 유닛(Unit)별, 장치(Equipment)별,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 내의 각 공정별, 위치 및 높이 별 관련 좌표 정보를 매핑 및 연계시킴으로써 종래 VR 지도 서비스와는 다른 새로운 좌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검색이나 관련 정보 제공 등에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VR 서비스 제공 장치 110: 영상 수신부
120: 객체 처리부 130: 좌표 처리부
140: 공정 처리부 150: 3D 모델링 처리부
160: 검색 처리부 170: 디스플레이부
180: 알람 발생부

Claims (12)

  1.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랜트의 내부 및 외부를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 영상 수신부;
    상기 플랜트 내에 위치한 복수의 객체에 대해 각각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각각의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를 연계시키기 위한 객체 처리부; 및
    상기 플랜트에서 수행되는 각 공정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연계시키기 위한 공정 처리부
    를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닛(Unit) 정보, 장비(Equipment) 정보,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 정보, 위치 정보 및 높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정보에 기반하여 좌표의 주소 정보를 생성하는 좌표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정 처리부는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 도면에서 각 공정과 관련된 위치 좌표를 연계시키는 것인,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특정 구역이 선택되는 경우 관련 3D 모델링을 구현하고, 상기 3D 모델링 화면 중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특정 스팟에 대해 가상 현실 화면을 제공하는 3D 모델링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장비의 모델명, 고유 명칭 및 태그 번호(Tag Number)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가상 현실 화면을 제공하는 검색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공된 가상 현실 화면 내의 장비와 관련된 값이 미리 결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기 위한 알람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장치.
  7. 플랜트의 내부 및 외부를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플랜트 내에 위치한 복수의 객체에 대해 각각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각각의 객체에 대한 위치 정보를 연계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플랜트에서 수행되는 각 공정과 관련된 위치 정보를 연계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유닛(Unit) 정보, 장비(Equipment) 정보,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 정보, 위치 정보 및 높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검색 정보에 기반하여 좌표의 주소 정보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 도면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공정과 관련된 위치 좌표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특정 구역이 선택되는 경우 관련 3D 모델링을 구현하고, 상기 3D 모델링 화면 중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특정 스팟에 대해 가상 현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공된 화면 내에서 검색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입력으로부터 수신한 장비의 모델명, 고유 명칭 및 태그 번호(Tag Number)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가상 현실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공된 가상 현실 화면 내의 장비와 관련된 값이 미리 결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60171819A 2016-12-15 2016-12-15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894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819A KR101894471B1 (ko) 2016-12-15 2016-12-15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819A KR101894471B1 (ko) 2016-12-15 2016-12-15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539A true KR20180069539A (ko) 2018-06-25
KR101894471B1 KR101894471B1 (ko) 2018-09-03

Family

ID=6280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819A KR101894471B1 (ko) 2016-12-15 2016-12-15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471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395B1 (ko) * 2018-08-16 2019-06-03 주식회사 씨피에스 반도체 장비 정보 모델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62251A (ko) * 2019-11-21 2021-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Vr 공간 정보 기반의 선원 교육 시스템 및 방법
US20210166827A1 (en) * 2018-08-10 2021-06-03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Apparatus for expressing and utilizing intelligent general arrangement drawing of atomic power plant
WO2021118218A1 (ko) * 2019-12-10 2021-06-17 주식회사 아이티공간 기기의 동작 추적을 통한 기기의 가상 모니터링 관리방법
US20210325171A1 (en) * 2017-08-31 2021-10-21 Krones Ag Method for designing packaging plants
KR20220052208A (ko) 2020-10-20 2022-04-2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의 실감형 콘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
WO2022086081A1 (ko) 2020-10-20 2022-04-2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 설비용 시공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409542B1 (ko) * 2022-01-03 2022-06-22 기가찬 주식회사 제어 판넬의 원격 제어를 이용한 빌딩 층별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084B1 (ko) * 2010-06-22 2010-11-29 (주)올포랜드 지하시설물의 실시간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및 그 정보제공방법, 기록매체
KR20120111145A (ko) * 2011-03-31 2012-10-10 전자부품연구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플랜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83667B1 (ko) 2011-08-03 2013-07-17 (주)오토메스 3d 플랜트 구축 공정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5853A (ko) * 2014-01-16 2015-07-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플랜트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7084B1 (ko) * 2010-06-22 2010-11-29 (주)올포랜드 지하시설물의 실시간 정보제공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서버 및 그 정보제공방법, 기록매체
KR20120111145A (ko) * 2011-03-31 2012-10-10 전자부품연구원 증강현실을 이용한 플랜트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83667B1 (ko) 2011-08-03 2013-07-17 (주)오토메스 3d 플랜트 구축 공정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85853A (ko) * 2014-01-16 2015-07-2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플랜트 유지보수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25171A1 (en) * 2017-08-31 2021-10-21 Krones Ag Method for designing packaging plants
US20210166827A1 (en) * 2018-08-10 2021-06-03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Ltd Apparatus for expressing and utilizing intelligent general arrangement drawing of atomic power plant
KR101985395B1 (ko) * 2018-08-16 2019-06-03 주식회사 씨피에스 반도체 장비 정보 모델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62251A (ko) * 2019-11-21 2021-05-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Vr 공간 정보 기반의 선원 교육 시스템 및 방법
WO2021118218A1 (ko) * 2019-12-10 2021-06-17 주식회사 아이티공간 기기의 동작 추적을 통한 기기의 가상 모니터링 관리방법
KR20220052208A (ko) 2020-10-20 2022-04-27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의 실감형 콘텐츠 제작 시스템 및 방법
WO2022086081A1 (ko) 2020-10-20 2022-04-2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원전 설비용 시공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102409542B1 (ko) * 2022-01-03 2022-06-22 기가찬 주식회사 제어 판넬의 원격 제어를 이용한 빌딩 층별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471B1 (ko) 2018-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471B1 (ko) 플랜트의 가상 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7442278B2 (ja) 工業用拡張現実アプリケーションのためのドリフト補正
CN111149133B (zh) 过程控制环境中的虚拟x射线视觉
US1048265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imposing spatially correlated data over live real-world images
US10061486B2 (en) Area monitoring system implementing a virtual environment
US20200388080A1 (en) Displaying content in an augmented reality system
RU2498408C2 (ru) Реализуемые компьютером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контроля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го процесса
CN113196208A (zh) 通过使用采集装置传感器对图像采集的自动化控制
Casini Extended reality for smart building operation and maintenance: A review
Milosavljević et al. Integration of GIS and video surveillance
KR20170041905A (ko) 원격 전문가 시스템
CN105659170A (zh) 用于向远程用户传送视频的方法及视频通信装置
EP3314581B1 (en) Augmented reality device for visualizing luminaire fixtures
DE112013003257T5 (de) Verbesserte Informationsübertragung durch ein transparentes Display
JP6310149B2 (ja) 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システム及び画像生成方法
US11816887B2 (en) Quick activation techniques for industrial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US10964104B2 (en) Remote monitoring and assistance techniques with volumetric three-dimensional imaging
JP2021018710A (ja) 現場連携システムおよび管理装置
GB2568138A (en) 3D Mapping of a process control environment
TW202113391A (zh) 基於光通訊裝置的導航方法、系統、設備及介質
WO2023276306A1 (ja) 監視支援システム
WO2023276305A1 (ja) 監視支援システム
Martins et al. Extending the Egocentric Viewpoint in Situated Visualization Using Augmented Reality
ES2552400B1 (es) Procedimiento para la digitalización de espacios cerrados para la inclusión de información en imágenes digitales
KR20200083747A (ko) Vr 영상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