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474A -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474A
KR20180069474A KR1020160171691A KR20160171691A KR20180069474A KR 20180069474 A KR20180069474 A KR 20180069474A KR 1020160171691 A KR1020160171691 A KR 1020160171691A KR 20160171691 A KR20160171691 A KR 20160171691A KR 20180069474 A KR20180069474 A KR 20180069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s
display
line
gate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용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1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9474A/ko
Publication of KR20180069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4Drivers integrated on the active matrix substr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게이트 드라이버 또는 픽셀의 구동에 필요한 라인들이 표시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의 구현이 가능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테블릿PC, 노트북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전자제품에는 평판표시장치(FPD: Flat Panel Display)가 이용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에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 표시장치(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전기영동표시장치(EPD: ELECTROPHORETIC DISPLAY)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평판표시장치(이하, 간단히 '표시장치'라 함)들 중에서, 액정표시장치(LCD)는 액정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며,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는 스스로 발광하는 자발광소자를 이용한다.
도 1은 종래의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표시패널의 비표시영역 및 표시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종래의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종래의 표시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AA) 및 상기 표시영역(AA)의 외곽에 구비되며 영상이 출력되지 않는 비표시영역(NAA)을 포함한다.
상기 비표시영역(NAA)에는, 상기 비표시영역(NAA)의 끝단으로부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을 밀봉시키는 씰이 구비되는 씰영역(A1), 그라운드와 연결된 그라운드 라인들이 구비되는 그라운드 영역(A2), 클럭이 공급되는 클럭라인들 및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라인들이 구비되는 제어신호 영역(A3), 게이트 인 패널(GIP) 방식에 적용되는 게이트 드라이버가 구비되는 게이트 드라이버 영역(A4) 및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라인이 구비되는 공통전압 영역(A5)이 배치된다.
표시패널의 종류 및 구체적인 기능에 따라, 상기 영역들의 위치 및 기능은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영역(AA)에는 픽셀들이 구비되며, 픽셀들 사이에는, 게이트 라인, 공통전압 라인 및 데이터 라인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비표시영역(NAA)에는,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영역(A4) 이외에도,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 또는 상기 픽셀들로 다양한 신호들을 공급하는 라인들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인들로 인해, 상기 비표시영역(NAA)의 폭을 감소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게이트 드라이버 또는 픽셀의 구동에 필요한 라인들이 표시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에 배치되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비표시영역 중 제1 비표시부에는 상기 표시영역에 구비된 픽셀들로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가 구비된다. 상기 비표시영역은, 상기 제1 비표시부, 상기 표시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비표시부와 마주하는 제2 비표시부, 상기 제1 비표시부와 상기 제2 비표시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3 비표시부 및 상기 표시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비표시부와 마주하는 제4 비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와 연결된 게이트 라인들이 상기 표시영역의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영역에 구비되며, 데이터 라인들이 상기 제1 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갖는 제2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데이터 라인들 중 상기 제1 비표시부에 인접되어 있는 데이터 라인을 따라 수직 라인이 구비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 중 상기 제3 비표시부와 인접되어 있는 게이트 라인을 따라 수평 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 라인은 상기 수직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평 라인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에 연결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상기 표시패널, 상기 제3 비표시부에 구비된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들로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비표시영역에 구비되어 있던 라인들이 표시영역에 구비되므로, 비표시영역의 폭이, 종래와 비교할 때 더욱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의 디자인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표시장치에 적용되는 표시패널의 비표시영역 및 표시영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에 구비되는 픽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의 제1 비표시부 및 상기 제1 비표시부에 인접되어 있는 표시영역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에 구비되는 픽셀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라인들(GL1 to GLg)과 데이터 라인들(DL1 to DLd)과 픽셀(110)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영상이 출력되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100),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 to DLd)로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300) 및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를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우선, 상기 표시패널(100)은 표시영역(120)과 비표시영역(130)을 포함한다. 상기 비표시영역(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비표시부(131), 상기 표시영역(1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비표시부(131)와 마주하는 제2 비표시부(132), 상기 제1 비표시부(131)와 상기 제2 비표시부(132) 사이에 구비되는 제3 비표시부(133) 및 상기 표시영역(1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비표시부(133)와 마주하는 제4 비표시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비표시영역(130) 중 상기 제1 비표시부(131)에는 상기 표시영역(120)에 구비된 픽셀(110)들로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200)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입력되는 게이트 제어신호(GCS)에 응답하여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기 게이트 라인들(GL1 to GLg)로 게이트 펄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게이트 펄스가 입력되는 각각의 픽셀에 형성되어 있는 박막트랜지스터들이 턴온되어, 각 픽셀(110)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는 상기 픽셀들의 형성 공정을 통해, 상기 픽셀들과 함께 상기 표시패널(100)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가 상기 표시패널(100)에 내장되어 있는 방식은, 게이트 인 패널(Gate In Panel: GIP) 방식이라 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의 기능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게이트 제어신호(GCS)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표시패널(100)은 액정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액정표시패널이 될 수도 있으며, 유기발광표시장치에 적용되는 유기발광표시패널이 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패널(100)이 상기 액정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패널(100)에 구비된 각 픽셀(110)은, 액정을 구동하는 스위칭 소자로 이용되는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픽셀전극,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공통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픽셀전극 사이에 구비되는 액정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00)이 상기 유기발광표시패널인 경우, 상기 표시패널(100)에 구비된 각 픽셀(1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을 출력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구동하기 위한 픽셀 구동부(PDC)가 구비된다.
상기 픽셀(110)들 각각에는, 상기 픽셀구동부(PDC)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라인들(DL, EL, GL, PLA, PLB, SL, SPL)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데이터 라인(DL)으로는 데이터 전압(Vdata)이 공급되고, 상기 게이트 라인(GL)으로는 게이트 신호(VG)가 공급되고, 전원공급라인(PLA)으로는 제1 구동 전원(ELVDD)이 공급되고, 구동전원라인(PLB)으로는 제2 구동 전원(ELVSS)이 공급되고, 센싱 라인(SL)으로는 기준전압(Vref)이 공급되고, 센싱 펄스 라인(SPL)으로는 센싱 트랜지스터(Tsw2)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는 센싱 펄스(SP)가 공급되며, 에미션라인(EL)으로는 에미션 트랜지스터(Tsw3)를 구동시키기 위한 에미션 제어 신호(EM)가 공급된다.
상기 픽셀구동부(PDC)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라인(GL) 및 데이터 라인(DL)과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라,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출력되는 전류의 크기를 제어하는 구동 트랜지스터(Tdr),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특성을 감지하기 위한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Tsw2)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발광 시점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에미션 트랜지스터(Tsw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사이에는 스토리지 캐패시턴스(Cst)가 형성된다. 상기 에미션 트랜지스터의 단자들 중 상기 제1 구동전원이 공급되는 단자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 사이에는 제2 캐패시턴스(C2)가 형성된다.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는 상기 게이트 라인(GL)으로 공급되는 게이트 펄스에 의해 턴온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DL)으로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Vdata)을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로 전송한다. 상기 게이트 신호(VG)는 상기 게이트 펄스 및 게이트 로우 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펄스에 의해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가 턴온된다. 상기 게이트 라인(GL)으로 상기 게이트 펄스가 공급되지 않는 나머지 기간에는,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를 턴오프 시키는 상기 게이트 로우 신호가 상기 게이트 라인(GL)으로 공급된다.
상기 센싱 트랜지스터(Tsw2)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dr)와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이의 제1노드(n1) 및 상기 센싱 라인(SL)에 연결되어, 센싱 펄스(SP)에 의해 턴온 또는 턴오프되며, 센싱 기간에,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감지한다.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와 연결된 제2노드(n2)는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Tsw1)와 연결된다. 상기 제2노드(n2)와 상기 제1노드(n1) 사이에는 스토리지 캐패시턴스(Cst)가 형성된다.
상기 에미션 트랜지스터(Tsw3)는 상기 에미션 제어 신호(EM)에 따라, 상기 제1 구동 전원(ELVDD)을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dr)로 전달하거나, 상기 제1 구동 전원(ELVDD)을 차단한다. 상기 에미션 트랜지스터(Tsw3)가 턴온될 때,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Tdr)로 전류가 공급되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로부터 광이 출력된다.
상기 픽셀구동부(PDC)는, 도 3에 도시된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어부(400)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신호, 예를 들어,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및 클럭 등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를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제어신호(GCS)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제어신호(DCS)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영상데이터를 샘플링한 후에 이를 재정렬하여, 재정렬된 디지털 영상데이터(Data)를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에 공급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상기 제3 비표시부(133)에 구비된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 to DLd)과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들로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한다.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는 상기 제어부(400)로부터 입력된 상기 영상데이터(Data)를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GL)에 상기 게이트 펄스가 공급되는 1수평기간마다 1수평 라인분의 데이터 전압(Vdata)들을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 to DLd)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의 구조가 상세히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120) 및 상기 표시영역(120)의 외곽에 배치되는 비표시영역(130)을 포함한다.
상기 비표시영역(130) 중 제1 비표시부(131)에는 상기 표시영역(120)에 구비된 픽셀(110)들로 게이트 신호(VG)를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200)가 구비된다.
상기 비표시영역(130)은, 상기 제1 비표시부(131), 상기 표시영역(1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비표시부(131)와 마주하는 제2 비표시부(132), 상기 제1 비표시부(131)와 상기 제2 비표시부(132) 사이에 구비되는 제3 비표시부(133) 및 상기 표시영역(12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비표시부(133)와 마주하는 제4 비표시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연결된 상기 게이트 라인들(GL1 to GLg)은 상기 표시영역(120)의 제1 방향(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표시패널에서는 가로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영역(120)에 구비된다.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 to DLd)은 상기 제1 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갖는 제2 방향(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표시패널에서는 세로 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 to DLd) 중 상기 제1 비표시부(131)에 인접되어 있는 하나의 데이터 라인(DL),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라인(DL1)을 따라 수직 라인(VL), 예를 들어, 제1 수직 라인(VL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1 to GLg) 중 상기 제3 비표시부(133)와 인접되어 있는 게이트 라인, 예를 들어, 제1 게이트 라인(GL1)을 따라 수평 라인(HL), 예를 들어, 제1 수평 라인(HL1)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수평 라인(HL1)은 상기 제1 수직 라인(V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수평 라인(HL1)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직 라인(VL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방향(세로 방향)을 따라 구비된 픽셀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수평 라인(HL1)은 상기 제1 방향(가로 방향)을 따라 구비된 픽셀들 사이에 구비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수직 라인(VL1)은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과 동일한 층에,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직 라인(VL1)은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수평 라인(HL1)은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1)과 동일한 층에,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1)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상기 수평 라인(HL1)은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1)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수직 라인(VL1)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로 클럭, 게이트 하이 전압, 게이트 로우 전압, 구동전압 및 그라운드 전압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클럭, 상기 게이트 하이 전압, 상기 게이트 로운 전압, 상기 구동전압 및 상기 그라운드 전압은, 상기 게이트 펄스 또는 상기 게이트 로우 신호의 생성에 이용되는 신호들이다.
상기 제1 수직 라인(VL1) 및 상기 제1 수평 라인(HL1)을 통해 공급되는 신호는, 상기에서 설명된 신호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신호는, 상기에서 설명된 신호들 이외의 다양한 신호들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 라인(HL1)은 상기 제1 수직 라인(V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수평 라인(HL1)으로는 상기 제1 수직 라인(VL1)과 동일한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표시패널(100)에는, 하나의 수직 라인(VL),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직 라인(VL1) 및 상기 제1 수직 라인(VL)과 연결된 하나의 수평 라인(HL),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평 라인(HL1)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수직 라인(VL1) 및 상기 제1 수평 라인(HL1)으로는, 상기 게이트 펄스 또는 상기 게이트 로우 신호의 생성에 이용되는 신호들 중 어느 하나가 전송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펄스 및 상기 게이트 로우 신호는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에서 생성되기 때문에, 상기 제1 수직 라인(VL1)과 연결된 상기 제1 수평 라인(HL1)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연결된다.
둘째, 상기 표시패널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 라인들(DL1 to DLd) 중 상기 제1 비표시부(131)에 인접되어 있는 하나의 데이터 라인(DL), 예를 들어, 제1 데이터 라인(DL1)을 따라 수직 라인(VL), 예를 들어, 제1 수직 라인(VL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에는, 상기 게이트 라인들(GL1 to GLg) 중 상기 제3 비표시부(133)와 인접되어 있는 게이트 라인, 예를 들어, 제1 게이트 라인(GL1)을 따라 수평 라인(HL), 예를 들어, 제1 수평 라인(HL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평 라인(HL1)은 상기 제1 수직 라인(V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수평 라인(HL1)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직 라인(VL1)이 인접된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에 인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라인을 따라 또 다른 수직 라인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과 인접되어 있는 제2 데이터 라인(DL2) 및 제3 데이터 라인(DL3)을 따라, 제2 수직 라인(VL2) 및 제3 수직 라인(VL3)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예를 들어, 상기 제1 수평 라인(HL1)이 인접된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1)에 인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라인을 따라 또 다른 수평 라인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1)과 인접되어 있는 제2 게이트 라인(GL2) 및 제3 게이트 라인(GL3)을 따라, 제2 수평 라인(HL2) 및 제3 수평 라인(HL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또 다른 수평 라인, 예를 들어, 상기 제2 수평 라인(HL2) 및 상기 제3 수평 라인(HL3)은, 상기 또 따른 수직 라인, 예를 들어, 상기 제2 수직 라인(VL2) 및 상기 제3 수직 라인(VL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네 개 이상의 상기 수직 라인들 및 상기 수직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네 개 이상의 상기 수평 라인들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직 라인들(VL1 내지 VL3) 각각으로는, 상기에서 설명된 신호들 중 어느 하나가 전송될 수 있으며, 상기 수직 라인들(VL1 내지 VL3)과 연결된 상기 수평 라인들(HL1 내지 HL3) 각각으로도, 상기 신호들 중 어느 하나가 전송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들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되거나 간단히 설명된다.
상기에서 도 2 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트 라인들 중 상기 제4 비표시부(134)에 인접된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라인을 따라 수평 라인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비표시부(134)에 인접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평 라인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직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 비표시부(134)에 인접된 상기 수평 라인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제g 게이트 라인(GLg)을 따라 제g 수평 라인(HLg)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g 수평 라인(HLg)은 상기 제1 수직 라인(VL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g 수평 라인(HLg)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g-2 게이트 라인(GLg-2)을 따라 제g-2 수평 라인(HLg-2)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제g-1 게이트 라인(GLg-1)을 따라 제g-1 수평 라인(HLg-1)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g 게이트 라인(GLg)을 따라 제g 수평 라인(HLg)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g-2 수평 라인(HLg-2)은 상기 제1 수직 라인(VL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g-2 수평 라인(HLg-2)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g-1 수평 라인(HLg-1)은 상기 제2 수직 라인(VL2)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g-1 수평 라인(HLg-1)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g 수평 라인(HLg)은 상기 제3 수직 라인(VL3)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g 수평 라인(HLg)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비표시부(134)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세 개의 수평 라인들(HLg-2, HLg-1, HLg)은, 상기 제3 비표시부(133)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세 개의 수평 라인들(HL1, HL2, HL3)과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표시패널(100) 중 상기 제3 비표시부(133)에 인접되어 있는 영역의 광학 특성과 상기 제4 비표시부(134)에 인접되어 있는 영역의 광학 특성이 유사해 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10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4 비표시부(134)에 인접되어 있는 세 개의 수평 라인들은 상기 세 개의 수직 라인들과 반드시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제4 비표시부(134)에 인접되어 있는 영역에, 상기 세 개의 수평 라인들이 구비되는 것만으로도, 상기 제4 비표시부(134)에 인접되어 있는 영역의 광학 특성이, 상기 제3 비표시부(133)에 인접되어 있는 영역의 광학 특성과 유사하다면, 상기 제4 비표시부(134)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세 개의 수평 라인들은 상기 세 개의 수직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필요는 없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인해, 상기 제4 비표시부(134)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세 개의 수평 라인들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세 개의 수직 라인들 중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로 공급되지 않는 신호를 공급하는 수직 라인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세 개의 수직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직 라인으로는 상기 픽셀에 구비된 공통 전극으로 공급될 공통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통전압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로 공급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수직 라인, 예를 들어, 제3 수직 라인(VL3)과 연결된 상기 제3 수평 라인(HL3) 및 상기 제g 수평 라인(HLg)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연결될 필요가 없다. 이 경우, 상기 제3 수직 라인(VL3), 상기 제3 수평 라인(HL3) 및 상기 제g 수평 라인(HLg)은 공통전압을 공급하는 공통전압라인(VCL)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되거나 간단히 설명된다.
상기에서 도 2 또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비표시부(132)와 인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라인을 따라 수직 라인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게이트 라인들 중 상기 제4 비표시부(134)에 인접된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라인을 따라 수평 라인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4 비표시부(134)에 인접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평 라인들은, 상기 제2 비표시부(132)와 인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비표시부(134)에 인접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수평 라인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제d 데이터 라인(DLd)을 따라 제d 수직 라인(VL2)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제g 게이트 라인(GLg)을 따라 제g 수평 라인(HLg)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g 수평 라인(HLg)은 상기 제d 수직 라인(VLd)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g 수평 라인(HLg)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d-2 데이터 라인(DLd-2)을 따라 제d-2 수직 라인(VLd-2)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제d-1 데이터 라인(DLd-1)을 따라 제d-1 수직 라인(VLd-1)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d 데이터 라인(DLd)을 따라 제d 수직 라인(VLd)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g-2 게이트 라인(GLg-2)을 따라 제g-2 수평 라인(HLg-2)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제g-1 게이트 라인(GLg-1)을 따라 제g-1 수평 라인(HLg-1)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제g 게이트 라인(GLg)을 따라 제g 수평 라인(HLg)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g-2 수평 라인(HLg-2)은 상기 제d-2 수직 라인(VLd-2)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g-1 수평 라인(HLg-1)은 상기 제d-1 수직 라인(VLd-1)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g 수평 라인(HLg)은 상기 제d 수직 라인(VLd)과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g-2 수평 라인(HLg-2), 상기 제g-1 수평 라인(HLg-1) 및 상기 제g 수평 라인(HLg)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비표시부(132)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세 개의 수직 라인들(VLd-2, VLd-1, VLd)은 상기 제1 비표시부(131)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세 개의 수평 라인들(VL1, VL2, VL3)과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표시패널(100) 중 상기 제1 비표시부(131)에 인접되어 있는 영역의 광학 특성과 상기 제2 비표시부(132)에 인접되어 있는 영역의 광학 특성이 유사해 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10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비표시부(134)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세 개의 수평 라인들(HLg-2, HLg-1, HLg)은, 상기 제3 비표시부(133)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세 개의 수평 라인들(HL1, HL2, HL3)과 대응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표시패널(100) 중 상기 제3 비표시부(133)에 인접되어 있는 영역의 광학 특성과 상기 제4 비표시부(134)에 인접되어 있는 영역의 광학 특성이 유사해 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표시패널(10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비표시부(131)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세 개의 수직 라인들(VL1, VL2, VL3)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제2 비표시부(132)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세 개의 수직 라인들(VLd-2, VLd-1, VLd) 중 적어도 하나로 공급되는 신호는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에서 이용되는 클럭은, 클럭이 전송되는 라인의 로드에 따라 특성이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비표시부(131)의 상단으로 직접 입력되는 클럭의 형태와, 상기 상단으로 입력된 후 상기 제1 비표시부(131)를 따라 하단으로 전송된 클럭의 형태가 다를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의 상단으로 입력되는 클럭과 동일한 클럭을,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의 하단으로 입력시켜줄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비표시부(131)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세 개의 수직 라인들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비표시부(132)에 인접되어 있는 상기 세 개의 수직 라인들 중 어느 하나로는, 동일한 클럭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라인들이 세 개 이상인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수직 라인들로는 동일한 신호들이 공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되거나 간단히 설명된다.
상기에서 도 2, 도 4, 도 5, 도 6 또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표시패널(10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라인이 구비된 데이터 라인 이외의 데이터 라인들 각각을 따라 수직 라인들이 더 구비되며, 상기 수평 라인이 구비된 게이트 라인 이외의 게이트 라인들 각각을 따라 수평 라인들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에서는,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 이외의 데이터 라인들(DL2 to DLd) 각각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라인들(VL2 to VLd)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 각각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데이터 라인들(DL1 to DL3) 이외의 데이터 라인들(DL4 to DLd) 각각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라인들(VL4 to VLd)이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상기 제3 데이터 라인들(DL1 to DL3) 및 상기 제d-2 내지 제d 데이터 라인들(DLd-2 to DLd) 이외의 데이터 라인들(DL4 to DLd-3) 각각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라인들(VL4 to VLd-3)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직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표시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라인들 중 적어도 하는 상기 표시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표시영역(120)에만 배치되어 있는 수직 라인들은 더미 수직 라인(DVL)이라 한다. 도 8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에서는, 제4 수직 라인(VL4) 내지 제d-3 수직 라인(VLd-3)이 더미 수직 라인(DVL)들이 될 수 있다. 상기 더미 수직 라인(DVL)으로는 신호가 공급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표시영역(120)에만 배치되어 있는 수평 라인들은 더미 수평 라인(DHL)이라 한다. 도 8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에서는, 제4 수평 라인(HL4) 내지 제g-3 수평 라인(HLg-3)이 더미 수평 라인(DHL)이 될 수 있다. 상기 더미 수평 라인(DHL)으로는 신호가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수평 라인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와 연결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공통전압이 공급되는 수평 라인도 상기 표시영역(120)에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표시영역(120)에 배치되어 있는 수평 라인 모두가 더미 수평 라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더미 수직 라인(DVL)들 및 상기 더미 수평 라인(DHL)은, 상기 표시패널의 모든 영역에서의 광학 특성을 균일하게 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기 표시영역(120)의 모든 위치에서는, 수직 라인과 수평 라인에 의해 형성되는 패턴들의 형태가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표시영역(120)의 모든 위치에서의 광학 특성이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영역(12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라인들은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더미 수직 라인(DVL)들 역시,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와 연결될 수 있으나,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로부터 신호를 공급받지 않을 수 있다.
상기에서,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수직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300)를 통해 신호를 공급받을 수도 있고, 상기 수직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어부(400)를 통해 신호를 공급받을 수도 있고, 상기 수직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표시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로부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도 있으며, 상기 수직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구성요소들 이외에, 상기 표시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별도의 구성요소로부터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패널의 제1 비표시부 및 상기 제1 비표시부에 인접되어 있는 표시영역의 일부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특히, 도 8에 도시된 A영역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용은 생략되거나 간단히 설명된다.
상기 표시패널(100)의 상기 표시영역(AA) 중 제1 표시영역(AA1)에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표시영역(NAA)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세 개의 픽셀(110)들이 구비된다. 상기 세 개의 픽셀(110)들 사이에는, 하나의 상기 수직 라인과 하나의 상기 데이터 라인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비표시영역(NAA)과 제1 픽셀(111)들 사이에는 상기 제1 데이터 라인(DL1) 및 상기 제1 수직 라인(VL1)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픽셀(111)들 및 제2 픽셀(112)들 사이에는 상기 제2 데이터 라인(DL2) 및 상기 제2 수직 라인(VL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픽셀(112)들 및 제3 픽셀(113)들 사이에는 상기 제3 데이터 라인(DL3) 및 상기 제3 수직 라인(VL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3 비표시부(133) 및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구비된 첫 번째 라인의 픽셀들 사이에는 상기 제1 게이트 라인(GL1) 및 상기 제1 수평 라인(HL1)이 구비되고, 상기 첫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두 번째 라인의 픽셀들 사이에는 상기 제2 게이트 라인(GL2) 및 상기 제2 수평 라인(HL2)이 구비되며, 상기 두 번째 라인의 픽셀들과 세 번째 라인의 픽셀들 사이에는 상기 제3 게이트 라인(GL3) 및 상기 제3 수평 라인(HL3)이 구비된다.
이 경우, 복수의 상기 수직 라인들 및 상기 수평 라인들에 의해, 상기 제1 비표시부(131)에는 별도의 신호 전송 라인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표시영역(NAA) 특히,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200)가 구비된 상기 제1 비표시부(131)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을 밀봉시키는 씰이 구비되는 씰영역(A1) 및 게이트 인 패널(GIP) 방식을 이용한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가 구비되는 게이트 드라이버 영역(A4) 만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비표시부(131)의 폭은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표시패널에서의 비표시영역의 폭보다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패널 200 : 게이트 드라이버
300 : 데이터 드라이버 400 : 타이밍 컨트롤러

Claims (9)

  1.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에 배치되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표시영역 중 제1 비표시부에는 상기 표시영역에 구비된 픽셀들로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게이트 드라이버가 구비되고,
    상기 비표시영역은, 상기 제1 비표시부, 상기 표시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비표시부와 마주하는 제2 비표시부, 상기 제1 비표시부와 상기 제2 비표시부 사이에 구비되는 제3 비표시부 및 상기 표시영역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비표시부와 마주하는 제4 비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와 연결된 게이트 라인들이 상기 표시영역의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표시영역에 구비되고, 데이터 라인들이 상기 제1 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갖는 제2 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 중 상기 제1 비표시부에 인접되어 있는 데이터 라인을 따라 수직 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게이트 라인들 중 상기 제3 비표시부와 인접되어 있는 게이트 라인을 따라 수평 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 라인은 상기 수직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수평 라인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에 연결되는 표시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라인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구비된 픽셀들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 라인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구비된 픽셀들 사이에 구비되는 표시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라인이 인접된 데이터 라인에 인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라인을 따라 또 다른 수직 라인이 더 구비되고,
    상기 수평 라인이 인접된 게이트 라인에 인접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 라인을 따라 또 다른 수평 라인이 더 구비되며,
    상기 또 다른 수평 라인은 상기 또 따른 수직 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표시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라인들 중 상기 제4 비표시부에 인접된 적어도 두 개의 게이트 라인들 각각을 따라 수평 라인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4 비표시부에 인접된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수평 라인들은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수직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4 비표시부에 인접된 상기 수평 라인들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와 연결되는 표시패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표시부와 인접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 라인들 각각을 따라 수직 라인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게이트 라인들 중 상기 제4 비표시부에 인접된 적어도 두 개의 게이트 라인들 각각을 따라 수평 라인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제4 비표시부에 인접된 적어도 두 개의 상기 수평 라인들은, 상기 제2 비표시부와 인접되어 있는 적어도 두 개의 수직 라인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4 비표시부에 인접된 상기 수평 라인들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와 연결되는 표시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라인이 인접된 데이터 라인 이외의 데이터 라인들 각각을 따라 수직 라인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수평 라인이 인접된 게이트 라인 이외의 게이트 라인들 각각을 따라 수평 라인들이 더 구비되고,
    상기 수직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표시영역에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라인들 중 적어도 하는 상기 표시영역에만 배치되어 있는 표시패널.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라인들이 세 개 이상인 경우, 적어도 두 개의 수직 라인들로는 동일한 신호들이 공급되는 표시패널.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수평 라인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와 연결되지 않는 표시패널.
  9. 제 1 항에 기재된 표시패널;
    상기 제3 비표시부에 구비된 상기 데이터 라인들과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 라인들로 데이터 전압들을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및
    상기 데이터 드라이버와 상기 게이트 드라이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60171691A 2016-12-15 2016-12-15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180069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691A KR20180069474A (ko) 2016-12-15 2016-12-15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691A KR20180069474A (ko) 2016-12-15 2016-12-15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474A true KR20180069474A (ko) 2018-06-25

Family

ID=62806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691A KR20180069474A (ko) 2016-12-15 2016-12-15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947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918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FT compensation circuit
KR20180047242A (ko) 벤더블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벤더블 표시장치
US20160189600A1 (en) Data control circuit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9501960B2 (en) Display panel
US9552771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589528B2 (en) Display device
KR20160052943A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KR20170064123A (ko) 표시장치
CN109387986B (zh) 显示装置
KR102488256B1 (ko) 타일드 디스플레이
US11882742B2 (en)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JP6634422B2 (ja) 有機発光表示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有機発光表示装置
KR20240023071A (ko) 게이트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3565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32864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477570B1 (ko) 표시 장치
KR102189556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2045810B1 (ko) 표시장치
KR102467881B1 (ko) Oled 표시패널
KR102573311B1 (ko)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의 표시장치
KR20180069474A (ko)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2021007800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84504B1 (ko) 타이밍 컨트롤러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200060941A (ko) Oled 표시패널
KR2020007996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