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903A -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903A
KR20180068903A KR1020180030336A KR20180030336A KR20180068903A KR 20180068903 A KR20180068903 A KR 20180068903A KR 1020180030336 A KR1020180030336 A KR 1020180030336A KR 20180030336 A KR20180030336 A KR 20180030336A KR 20180068903 A KR20180068903 A KR 20180068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box
roof panel
hole
roof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현
Original Assignee
박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현 filed Critical 박종현
Priority to KR102018003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8903A/ko
Publication of KR20180068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6Fixed roof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2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screws, bolts, riv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판(21)과 측판(23)에 의해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되 이 개구부는 상면개폐도어(24)에 의해 개폐되는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루프박스(20)를 상면에 복수개의 볼트공(11)이 형성된 차량의 루프패널(10)에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루프패널(10)의 각 볼트공(11)에 나사축(50)을 결합하되 나사축(50)의 상단부가 루프패널(10)에서 돌출되도록 가결합하는 과정; 상기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에 형성되되 루프패널(10)의 각 볼트공(11)보다 직경이 큰 복수개의 통공(22)에 상기 루프패널(10)에 가결합된 나사축(50)이 삽입되도록 루프박스(20)를 배치하는 과정; 및 상기 루프박스(20)의 통공(22)보다 직경 또는 폭이 큰 판재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나사축(50)이 끼워지는 끼움공(61)이 형성된 고정와셔(60)를 끼우고 이 고정와셔(60)의 끼움공(61)보다 직경이 큰 조임너트(70)를 나사축(50)에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이다.

Description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Mounting method and structure of roof carrier}
본 발명은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루프패널의 상면에 짐을 싣기 위해 설치되는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트렁크나 내부에 실을 수 없는 짐을 싣기 위해서 함체 형상의 루프박스를 차량 루프패널에 설치하는데, 종래에는 이 루프박스를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하였다. 예를 들면, 루프박스의 외측면에 니은자 형상의 브래킷의 수직부를 장착하고 수평부를 루프박스에 볼팅하는 방식, 차량도어와 접하는 루프패널의 단부에 걸어주는 보조브래킷을 상기 브래킷의 수평부에 볼팅하는 방식, 루프박스의 측면에 볼트공이 형성된 돌출부를 형성하여 루프패널에 각종 악세사리 결합을 위해 형성된 볼트공에 직접 볼팅하는 방식, 루프패널에 설치된 한 쌍의 사이드바(루프캐리어)에 별도의 브래킷, 프레임이나 끈으로 루프박스를 고정하는 방식이 있다.
그런데 종래와 같이 브래킷을 이용할 경우 루프박스의 측면에 니은자 형상의 브래킷이 노출되므로 브래킷의 노출로 인해 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브래킷을 루프박스의 측면에 볼트로 결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차량도어와 접하는 루프패널의 단부에 보조브래킷을 걸어줄 경우 차량도어의 수밀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측면 돌출부에 볼트공이 형성된 루프박스는 루프패널의 중간부에 볼트공이 형성될 경우에는 볼팅할 수 없다. 이때, 상기 측면 돌출부가 루프패널의 볼트공에 위치되도록 루프박스를 제작하면 루프박스의 사이즈가 작아지므로, 루프패널의 가장자리에 구멍을 뚫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한편, 루프박스를 사이드바에 설치하는 방식은 사이드바를 감싸는 형태의 브래킷이나 프레임이 요구되므로 복잡하고, 루프패널에 직접 설치되지 못하므로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고속주행하는 차량에서 낙하되는 등 위험한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11693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루프박스의 외부면에 브래킷 등의 설치구조물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이 미려하고 차량도어의 수밀성이 유지되며, 차량 루프패널에 형성된 볼트공이 가장자리가 아닌 중간부에 위치되더라도 루프박스의 사이즈를 줄이지 않을 뿐 아니라 루프패널의 가장자리에 별도의 볼트공을 뚫을 필요도 없이 루프박스를 루프패널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사이드바에 별도의 브래킷이나 프레임을 이용하여 결합하지 않고 루프패널에 직접 결합시켜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구조적으로도 견고한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바닥판(21)과 측판(23)에 의해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되 이 개구부는 상면개폐도어(24)에 의해 개폐되는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루프박스(20)를 상면에 복수개의 볼트공(11)이 형성된 차량의 루프패널(10)에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루프패널(10)의 각 볼트공(11)에 나사축(50)을 결합하되 나사축(50)의 상단부가 루프패널(10)에서 돌출되도록 가결합하는 과정; 상기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에 형성되되 루프패널(10)의 각 볼트공(11)보다 직경이 큰 복수개의 통공(22)에 상기 루프패널(10)에 가결합된 나사축(50)이 삽입되도록 루프박스(20)를 배치하는 과정; 및 상기 루프박스(20)의 통공(22)보다 직경 또는 폭이 큰 판재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나사축(50)이 끼워지는 끼움공(61)이 형성된 고정와셔(60)를 끼우고 이 고정와셔(60)의 끼움공(61)보다 직경이 큰 조임너트(70)를 나사축(50)에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개의 볼트공(11)이 형성된 차량의 루프패널(10); 바닥판(21)과 측판(23)에 의해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되 이 개구부는 상면개폐도어(24)에 의해 개폐되는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닥판(21)에는 상기 루프패널(10)의 각 볼트공(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공(11)보다 직경이 큰 통공(22)이 형성된 루프박스(20); 상기 루프패널(10)의 각 볼트공(11)에 결합되되 상측이 상기 루프박스(20)의 통공(22)을 통해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나사축(50); 상기 나사축(50)의 상측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70); 상기 루프박스(20)의 통공(22)보다 직경 또는 폭이 큰 판재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상기 나사축(50)이 끼워지되 조임너트(70)의 외경보다 직경이 작은 끼움공(61)이 형성된 고정와셔(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루프패널(10)의 상면과 이격되면서 외부로부터 은폐된 공간부(s)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s)에 위치되고 상기 루프패널(10)의 복수개의 볼트공(11)을 가로지르도록 연장 배치되되 각 볼트공(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나사축(50)이 관통되는 관통공(81)이 형성된 보강바(8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구조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에 루프패널(10)의 볼트공(11) 및 이 볼트공(11)에 결합되는 나사축(50)의 직경보다 큰 통공(22)이 형성되고, 고정와셔(60)가 나사축(50)과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의 상면에 걸려져서 루프박스(20)가 루프패널(10)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따라, 루프박스(20)의 측면에 설치용 돌출부나 별도의 설치용 브래킷이 노출되지 않고도 루프박스(20)를 루프패널(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외관이 미려하며, 루프패널(10)의 가장자리가 아닌 중간부에 이미 형성된 볼트공(11)을 이용하여 설치함에 따라 종래와 같이 루프박스(20)의 사이즈를 줄일 필요가 없어 수납편의성이 향상되고 루프패널(10)의 가장자리에 구멍을 뚫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 설치편의성이 향상된다. 또한 루프패널에 직접 설치되지 않고 사이드바에 설치되는 것에 비해 별도의 브래킷이나 프레임이 요구되지 않아서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절감되며 루프패널에 직접 설치되어 구조적으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안전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루프박스(20)의 통공(22)의 직경이 나사축(50)의 직경보다 크므로 루프박스(20)를 수평이동시켜 루프박스(20)의 통공(22)과 루프패널(10)의 볼트공(11)을 용이하게 위치정렬시킬 수 있어, 루프박스(20)에 다시 구멍을 뚫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루프박스(20)를 원하는 위치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이 측판(23)의 하단보다 상측에 위치되어 루프패널(10)과의 사이에 외부로부터 은폐되는 공간부(s)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볼트공(11)과 각각 위치정렬되는 관통공(81)들이 형성된 보강바(80)가 공간부(s)에 위치되어, 복수개의 나사축(50)이 단일의 보강바(80)를 관통하여 결합되므로, 개개의 나사축(50)이 개별적으로 루프패널(10)에 결합된 것에 비해 구조적으로 견고하고 강도가 보강되어 루프박스(20)가 루프패널(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제1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상기 제2실시예의 결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는 복수개의 볼트공(11)이 형성된 루프패널(10)과, 바닥판(21)에 통공(22)이 형성된 루프박스(20)와, 상기 루프패널(10)의 각 볼트공(11)에 결합되어 루프박스(20)의 통공(22)으로 돌출되는 나사축(50)과, 이 나사축(50)에 결합되는 조임너트(70)와, 상기 나사축(50)에 끼워지되 루프박스(20)의 통공(22) 둘레부 및 조임너트(70)에 걸려지는 고정와셔(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루프패널(10)은 차량(1)의 지붕이며 주지된 바와 같이 악세사리 등을 설치하기 위해 복수개의 볼트공(11)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볼트공(11)은 차량(1)마다 위치가 다른데, 도 1과 같이 볼트공(11)이 루프패널(10)의 가장자리가 아닌 중간부에 위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며, 여기서 루프패널(10)의 중간부는 상기 루프박스(20)에 의해 외부로부터 은폐될 수 있는 위치를 의미한다. 도 2와 같이 루프패널(10)의 내측에는 차량 제조과정에서 볼트공(11)과 정렬되는 너트(34)를 용접된다.
상기 루프박스(20)는 주지된 바와 같이 바닥판(21)과 측판(23)을 포함하여 상면이 개구되며 이 개구된 상면이 상면개폐도어(24)에 의해 회동개폐되는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에는 루프패널(10)의 볼트공(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공(11)보다 직경이 큰 통공(22)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축(50)은 하단이 루프패널(10)의 각 볼트공(11)의 너트(34)에 나사결합되며, 상측이 루프박스(20)의 통공(22)을 통해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보다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측으로 돌출된 나사축(50)의 길이는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 및 상기 고정와셔(60)의 두께를 합한 것보다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나사축(50)의 직경은 루프박스(20)의 통공(2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다. 이에 따라, 나사축(50)이 루프박스(20)의 통공(22)을 용이하게 통과하며, 나사축(50)이 수용된 루프박스(20)를 수평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임너트(70)는 나사축(50)의 상단에 결합되며, 도 2와 같이 상단이 막힌 캡너트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하 관통된 형태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와셔(60)는 중앙에 나사축(50)이 관통되되 조임너트(70)의 외경보다는 직경이 작은 끼움공(61)이 형성되어 나사축(50)에 끼워진다. 이러한 고정와셔(60)는 외경 또는 폭이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의 통공(2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나사축(50)의 상측으로 끼워질 때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의 통공(22)의 상면 둘레부에 걸려진다. 이때, 나사축(50)에 조임너트(70)가 결합되면 고정와셔(60)는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과 조임너트(70) 사이에 걸려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루프박스 및 이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품을 이용하여 루프박스를 설치하는 방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나사축(50)을 루프패널(10)의 볼트공(11)에 가결합 하고, 루프박스(20)의 통공(22)에 나사축(50)이 삽입되도록 루프박스(20)를 루프패널(10)의 상면에 배치한다. 이때, 루프박스(20)의 상면개폐도어(24)를 회동시켜 루프박스(20)의 내부를 개방시키면 나사축(50)이 외부로 노출된다. 그런 후, 고정와셔(60)를 나사축(50)에 끼우고 조임너트(70)를 나사축(50) 상단에 결합시킨다. 이때, 고정와셔(60)가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조임너트(70)를 조여준다. 이에 따라, 루프박스(20)가 루프패널(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조임너트(70)를 약간 풀고 루프박스(2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조임너트(70)를 조여주면, 루프박스(20)의 루프패널(10)에서의 위치를 간편하게 바꿀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4와 같이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이 상측으로 오목한 형태 즉, 측판(23)의 하단에서 상측에 위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루프박스(20)가 루프패널(10)에 올려지면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이 루프패널(10)의 상면과 이격되면서 외부로부터 밀폐된 공간부(s)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s)에 위치되며 나사축(50) 및 조임너트(70)의 결합구조를 보강하는 보강바(80)가 더 구비된다. 이 보강바(80)는 루프패널(10)의 전후로 배치된 복수개의 볼트공(11)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며, 각 볼트공(11)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8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바(80)는 각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와 같이 나사축(50)이 보강바(80)의 관통공(81)을 관통하여 루프패널(10)의 볼트공(11)에 결합되며, 루프박스(20)를 루프패널(10)의 상면에 배치하고 고정와셔(60)를 끼우며 조임너트(70)를 조여주는 과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나사축(50)이 단일의 보강바(80)에 결합되어 그 결합구조가 더욱 견고해져서 루프박스(20)가 루프패널(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루프패널 11 : 볼트공
20 : 루프박스 22 : 통공
50 : 나사축 60 : 고정와셔
70 : 너트 80 : 보강바

Claims (3)

  1. 바닥판(21)과 측판(23)에 의해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되 이 개구부는 상면개폐도어(24)에 의해 개폐되는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루프박스(20)를 상면에 복수개의 볼트공(11)이 형성된 차량의 루프패널(10)에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루프패널(10)의 각 볼트공(11)에 나사축(50)을 결합하되 루프패널(10)에서 돌출되도록 가결합하는 과정;
    상기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에 형성되되 루프패널(10)의 각 볼트공(11)보다 직경이 큰 복수개의 통공(22)에 상기 루프패널(10)에 가결합된 나사축(50)이 삽입되도록 루프박스(20)를 배치하는 과정; 및
    상기 루프박스(20)의 통공(22)보다 직경 또는 폭이 큰 판재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나사축(50)이 끼워지는 끼움공(61)이 형성된 고정와셔(60)를 끼우고, 이 고정와셔(60)의 끼움공(61)보다 직경이 큰 조임너트(70)를 나사축(50)에 결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2. 복수개의 볼트공(11)이 형성된 차량의 루프패널(10);
    바닥판(21)과 측판(23)에 의해 상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되 이 개구부는 상면개폐도어(24)에 의해 개폐되는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바닥판(21)에는 상기 루프패널(10)의 각 볼트공(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공(11)보다 직경이 큰 통공(22)이 형성된 루프박스(20);
    상기 루프패널(10)의 각 볼트공(11)에 결합되되 상측이 상기 루프박스(20)의 통공(22)을 통해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나사축(50);
    상기 나사축(50)의 상측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너트(70);
    상기 루프박스(20)의 통공(22)보다 직경 또는 폭이 큰 판재로 이루어지며, 중앙에는 상기 나사축(50)이 끼워지되 조임너트(70)의 외경보다 직경이 작은 끼움공(61)이 형성된 고정와셔(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박스(20)의 바닥판(21)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루프패널(10)의 상면과 이격되면서 외부로부터 은폐된 공간부(s)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s)에 위치되고 상기 루프패널(10)의 복수개의 볼트공(11)을 가로지르도록 연장 배치되되 각 볼트공(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나사축(50)이 관통되는 관통공(81)이 형성된 보강바(8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구조.
KR1020180030336A 2018-03-15 2018-03-15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 KR20180068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336A KR20180068903A (ko) 2018-03-15 2018-03-15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336A KR20180068903A (ko) 2018-03-15 2018-03-15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519A Division KR20180068633A (ko) 2016-12-14 2016-12-14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903A true KR20180068903A (ko) 2018-06-22

Family

ID=62768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336A KR20180068903A (ko) 2018-03-15 2018-03-15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8903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719U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루프 랙 장착 구조물
KR19990011693U (ko) 1998-12-01 1999-03-25 김진영 적재함과 성에방지용 스크린이 내장된 화물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KR20000021595U (ko) * 1999-05-31 2000-12-26 민길홍 자동차용 루프박스의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719U (ko) * 1996-12-27 1998-09-25 박병재 루프 랙 장착 구조물
KR19990011693U (ko) 1998-12-01 1999-03-25 김진영 적재함과 성에방지용 스크린이 내장된 화물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KR20000021595U (ko) * 1999-05-31 2000-12-26 민길홍 자동차용 루프박스의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1053126A1 (en) Tonneau cover stake pocket attachment system and tailgate interlock
JP4949863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の壁面への設置方法
KR20180068903A (ko)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
KR20180068633A (ko) 차량 루프박스의 설치방법 및 설치구조
US20030062731A1 (en) Door jamb security plate
KR20200071699A (ko) 정션블록
JP4955408B2 (ja) 電気機器収納用箱体
KR101166192B1 (ko)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KR20080027652A (ko) 냉장고의 도어용 상부힌지 결합구조
JP2543814Y2 (ja) 扉の取付構造
KR20200071702A (ko) 정션블록
KR20200071701A (ko) 정션블록
JP2000192545A (ja) 梁部材の連結装置
KR970001553Y1 (ko) 차음식 방음벽
US7690616B2 (en) Mounting system for enclosure
KR100318725B1 (ko) 스트라이커 고정장치
JP7320355B2 (ja) トイレ用キャビネット
KR960004219B1 (ko) 전자렌지의 도어어셈블리 조립구조
KR200221358Y1 (ko) 시트 벨트 리트렉터 회전방지 구조
KR20240003804A (ko) 축사의 여닫이 도어용 힌지
JPS5911892A (ja) 乾燥機付洗濯機
KR200151774Y1 (ko) 대형문틀의 상부피보트용 고정구
JP3310535B2 (ja) 天井点検口
JP2000105000A (ja) 支持構造
KR20070049295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