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765A - 클램프 - Google Patents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765A
KR20180068765A KR1020160170750A KR20160170750A KR20180068765A KR 20180068765 A KR20180068765 A KR 20180068765A KR 1020160170750 A KR1020160170750 A KR 1020160170750A KR 20160170750 A KR20160170750 A KR 20160170750A KR 20180068765 A KR20180068765 A KR 20180068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wing
hole
clamp
predetermined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0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0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8765A/ko
Publication of KR20180068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7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21Hose-clips with the ends bent around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3Self-locking elastic cl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10Hose-clips with a substantially-radial tightening memb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관체의 이음부에 체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클램프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클램프{Clamp}
본 발명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관체의 이음부에 체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클램프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엔진의 냉각계, 오일계, 흡기계와 같이 고온, 고압의 유체가 통과하는 호스와 파이프를 체결할 때에는 클램프(CLAMP)를 사용하며, 이 클램프는 호스와 파이프의 체결과 함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클램프에서 가장 중요한 특성은 체결력으로, 체결력은 호스와 파이프를 연결하여 반지름 방향으로 작용하여 두 부품의 결합구조가 해체되지 않도록 결합구조를 유지하는 힘이다.
도 1은 종래의 클램프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관체에 체결된 종래의 클램프 개념도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의 클램프는 몸체부(2) 전체가 탄성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초기 파이프의 외주면 일측에 끼움결합되는 고무재질의 호스 일단부를 클램핑시킬 때, 일측에 형성된 스토퍼(4) 및 걸림단(6)을 서로 가깝도록 변형시킴에 의하여, 즉 상기 몸체부(2)를 전체적으로 팽창시키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호스의 일단부 외주면에 압착 끼움 결합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클램프는, 상기 호스의 바깥지름이 축소하거나 상기 호스의 내압 증가로 인하여 상기 호스가 팽창하여 바깥지름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탄성특성으로 인하여 상기 클램프의 몸체부(2)의 지름이 바뀌면서 접촉면을 확실하게 유지하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클램프는, 상기 파이프의 외주면 일측에 끼움결합된 상기 호스의 일단부 외주면에 클램핑 체결된 후 진원도를 유지하면서 체결력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클램프 체결 후 상기 호스의 내압에 의하여 상기 스토퍼(4) 및 걸림단(6)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그 부분의 진원도가 저하되고, 이로 인하여 국부적으로 체결력이 부족하여 상기 호스 내부에 걸리는 고압을 이기지 못하고 상기 호스와 파이프의 접촉면이 벌어져 누설이 발생할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 상기 호스가 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331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클램프의 양측면에 날개부를 적용하여, 클램프의 상하부 뿐만 아니라 양측에서도 관체를 누르는 힘이 작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클램프 체결력 불균형을 개선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램프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링형상의 몸체부;
몸체부의 상하방향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몸체부의 양측에는 몸체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길이 관통된 형상의 날개홀이 형성되며,
날개홀의 하단에는 날개홀과 같은 형상의 날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날개부는 하단이 날개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날개부는 몸체부의 내측으로 일정 각도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날개부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반경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날개부의 하단과 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날개부의 하단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의 일단에는 몸체부의 타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의 삽입홀이 형성되고, 몸체부의 타단에는 몸체부의 일단을 향하여 삽입홀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의 삽입부가 일정 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삽입홀과 삽입부는 날개홀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날개홀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삽입부는 삽입홀에 일정 길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삽입홀과 삽입부는 몸체부의 외주면 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의 외주면측으로 돌출된 삽입홀과 삽입부의 단부는 몸체부의 외측으로 일정 각도 절곡되어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손잡이부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형된 상태에서 관체가 몸체부 내부에 삽입되고,
손잡이부는 서로 멀어지도록 변형되어 관체의 외주면을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클램프의 상하부뿐만 아니라 양측에서도 관체를 누르는 힘이 작용하여 클램프 체결력 불균형을 개선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클램프 구성도.
도 2는 관체에 체결된 종래의 클램프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클램프 구성도.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관체의 이음부에 체결되어 기밀성을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클램프에 관한 발명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클램프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도 3의 A-A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관체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본 발명의 클램프(10)는, 일정 길이의 몸체부(12) 양 끝단이 서로 맞물려 링형상을 형성함으로써 관체의 외주면을 클램핑하게 된다.
상기 몸체부(12)의 일단에는 상기 몸체부(12)의 타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의 삽입홀(18)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2)의 타단에는 상기 삽입홀(18)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의 삽입부(20)가 상기 몸체부(12)의 일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 형성된다.
일정 너비의 탄성 재질로 형성된 상기 몸체부(12)는 상기 삽입부(20)가 상기 삽입홀(18)에 일정 길이 삽입되면서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링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몸체부(12)는, 상기 몸체부(12)의 상하방향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기 몸체부(1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길이 관통된 형상의 날개홀(14)이 형성되며, 상기 날개홀(14)의 하단에는 상기 날개홀(14)과 같은 형상의 날개부(16)가 형성된다.
상기 날개홀(14)은 상기 삽입부(20)와 상기 삽입홀(18)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홀(18) 및 상기 삽입부(20)의 하단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날개부(26)는 하단이 상기 날개홀(14)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형태인 것으로, 즉, 상기 날개홀(14)과 상기 날개부(26)는 상기 몸체부(12)의 측면이 상기 몸체부(12)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길이 절개되어 형성된 형상이 된다.
상기 날개부(26)의 하단부만이 상기 날개홀(14)의 하단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날개부(26)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반경이 줄어드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즉, 상기 몸체부(12)의 내측으로 일정 각도 휘어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몸체부(12)의 양측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날개부(26)는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날개홀(14) 또한 상기 몸체부(12)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2)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날개홀(14)과 상기 몸체부(12)의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날개홀(14)은 서로 연통되지 않으며, 따라서 상기 몸체부(12)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날개부(16)와 상기 몸체부(12)의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날개부(16)의 하단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18)과 상기 삽입부(20)는 상기 몸체부(12)의 외주면 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몸체부(12)의 외주면 측으로 돌출된 상기 삽입홀(18)의 단부와 상기 삽입부(20)의 단부는 상기 몸체부(12)의 외측으로 일정 각도 절곡되어 손잡이부(22)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22)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형되면 상기 몸체부(12)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어 상기 몸체부(12)의 내부에 관체가 삽입되어진다.
상기 몸체부(12)의 내부에 상기 관체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손잡이부(22)가 서로 멀어지도록 변형시켜 상기 몸체부(12)가 상기 관체의 외주면을 압착시키면서 관체를 클램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형상의 본 발명의 클램프는 상기 몸체부(12)의 양측에 날개부(16)를 적용하여 클램프의 상하부뿐만 아니라 양측에서도 관체를 누르는 힘이 작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클램프의 체결력 불균형에 따른 체결력 저하를 개선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12)의 양측에 형성되는 상기 날개홀(14)으로 인해 지속적인 사용으로 상기 클램프에 가해지는 피로도를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클램프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 종래의 클램프 몸체부
4 : 종래의 클램프 스토퍼
6 : 종래의 클램프 걸림단
10 : 클램프
12 : 몸체부
14 : 날개홀
16 : 날개부
18 : 삽입홀
20 : 삽입부
22 : 손잡이부

Claims (11)

  1. 관체의 외주면을 클램핑하는 클램프에 있어서,
    탄성을 갖는 링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하방향을 가로지르는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는 상기 몸체부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길이 관통된 형상의 날개홀이 형성되며,
    상기 날개홀의 하단에는 상기 날개홀과 같은 형상의 날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하단이 상기 날개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일정 각도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하단으로부터 상단으로 갈수록 반경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날개부의 하단과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상기 날개부의 하단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단에는 상기 몸체부의 타단을 향하여 일정 길이의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타단에는 상기 몸체부의 일단을 향하여 상기 삽입홀의 너비보다 좁은 너비의 삽입부가 일정 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과 상기 삽입부는 상기 날개홀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날개홀의 상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삽입홀에 일정 길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과 상기 삽입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측으로 돌출된 상기 삽입홀과 상기 삽입부의 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일정 각도 절곡되어 손잡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형된 상태에서 관체가 상기 몸체부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서로 멀어지도록 변형되어 상기 관체의 외주면을 압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KR1020160170750A 2016-12-14 2016-12-14 클램프 KR20180068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750A KR20180068765A (ko) 2016-12-14 2016-12-14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0750A KR20180068765A (ko) 2016-12-14 2016-12-14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765A true KR20180068765A (ko) 2018-06-22

Family

ID=62768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0750A KR20180068765A (ko) 2016-12-14 2016-12-14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876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171A (ko) 2013-08-20 2016-03-25 외티커 슈비츠 아게 호스 클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3171A (ko) 2013-08-20 2016-03-25 외티커 슈비츠 아게 호스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12522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ксации уплотнения трубного зажима
RU2012135703A (ru) Трубный хамут с уплотнительной прокладкой
RU2009139634A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с улучшенным распределением
CN108700233A (zh) 联接器
KR101960617B1 (ko) 수지제관 이음매 구조
JP6790090B2 (ja) ワンタッチ配管連結装置
JP2018096457A5 (ko)
US20170059070A1 (en) Foldable seal for range of pipe diameters
RU2018116412A (ru) Штекерный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для жидких или газообразных сред
KR20180133782A (ko) 압력 슬리브를 이용하여 호스와 파이프 소켓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 파이프 소켓, 압력 슬리브 및 이들의 결합
KR101689684B1 (ko) 배관 연결용 클램핑 구조
KR20180068765A (ko) 클램프
JP6994746B2 (ja) ガスケット及び密封構造
KR20190073237A (ko) 배관 연결용 패킹
KR101391930B1 (ko) 나선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1449428B1 (ko) 파이프 커플링
KR102392302B1 (ko) 관 이음 장치
KR102050634B1 (ko) 연결각도 조절이 가능한 무용접식 파이프 이음매 구조
RU170931U1 (ru) Защитная втулка
KR101410280B1 (ko) 파이프용 커플러
CN206347224U (zh) 沟槽式管路接头的密封结构
KR20090049699A (ko) 금속관 연결구조
KR102226048B1 (ko) 배관용 관이음구 어셈블리
KR101703720B1 (ko) 이탈방지용 삽입형 링조인트 배관
FI68306B (fi) Kombinerat formnings- och taetnings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