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354A - Adjustable simulator for railway vehicle and method for evaluating driver machine interface of driver's cab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djustable simulator for railway vehicle and method for evaluating driver machine interface of driver's cab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354A
KR20180068354A KR1020160169377A KR20160169377A KR20180068354A KR 20180068354 A KR20180068354 A KR 20180068354A KR 1020160169377 A KR1020160169377 A KR 1020160169377A KR 20160169377 A KR20160169377 A KR 20160169377A KR 20180068354 A KR20180068354 A KR 20180068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
dmi
user
library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3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32746B1 (en
Inventor
박찬우
최돈범
왕종배
신덕호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9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2746B1/en
Publication of KR20180068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3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2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27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5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for recording or measuring trainee's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driving cabins, footplates or engine rooms; Ventil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9On-board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6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19/167Control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04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 G09B9/05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land vehicles the view from a vehicle being simul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imulator for a railway vehicle and a method for evaluating a DMI of a railway vehicle cab by using the same. The variable simulator for a railway vehicle comprises: a storage unit which stores libraries corresponding to various devices installed in a railway vehicle cab, and data on standard specifications of the various devices; a display in which the libraries are displayed to an interface; an input unit which is operated by a user to call the library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display the library on the display; and a control unit which calls the library stored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by the user and outputs the library to the interface on the display. The control unit arranges the interfac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input unit by the user and confirms whether or not the disposed interface conforms to the standard specifica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operator convenience and system stability.

Description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 운전실 DMI를 평가하는 방법{Adjustable simulator for railway vehicle and method for evaluating driver machine interface of driver's cab us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imulator for a railway vehicle and a method for evaluating a DMI of a railway vehicle cab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 운전실 DMI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 편의와 시스템 안정성이 향상된 철도 차량 운전실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 운전실 DMI를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simulator for a railway vehicle and a method for evaluating a railway vehicle cabin DMI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way vehicle variable simulator for providing a railway vehicle cab with improved driver convenience and system stability, And a method for evaluating the DMI of a railroad car cab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철도 차량의 운전실은 관제실, 지상설비 등과 각종 정보를 송수신하면서 철도 차량이 안전하게 운행될 수 있도록 제어가 이루어지는 곳으로, 이를 위해 운전실의 내부에는 운전자가 철도 차량을 운행하고, 운행 상황을 파악하는 데 필요한 계기판, 디스플레이, 조작장치 등과 같은 각종 기기들이 구비된다.Generally, a cabin of a railway car is a place where control is performed so that a railway car can be safely operated while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information with a control room, a ground facility, etc. To this end, a driver operates a railway vehicle, Various devices such as an instrument panel, a display, and an operation devic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are provided.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운전실 기기가 운전실 내에 잘못 배치되거나 효율적으로 설계되지 않으면 운전자의 편의성과 시스템의 안정성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안전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실의 DMI(Driver Machine Interface) 설계는 철도 안전에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However, if the above-mentioned various cabin devices are not disposed in the cabin or are not efficiently designed,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and the stability of the system are deteriorated, which may hinder safe driving. Therefore, the DMI (Driver Machine Interface) design of the cab is very important for railway safety.

그러나 종래에는 운전실의 설계시 운전실을 직접 시제품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제작된 운전실을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운전실에 반영하여 다시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ly, when designing the cab, the cab is directly manufactured in the form of prototype, which is time-consuming and costly.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he manufactured cab and reflect the evaluation result in the cab.

그 결과, 종래기술에 따라 제작된 철도 차량의 운전실은 사용자의 편의나 시스템 상의 안정성이 다소 미흡한 경우가 많았다.As a result, the cab of the railway vehicl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often insufficiently stable in terms of user convenience and system stability.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철도 차량 운전실을 모사하여 평가하고, 평가 결과를 다시 피드백하여 운전실에 반영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와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 운전실 DMI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lway vehicle which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d the stability of the system by evaluating and simulating the railway car cabin, And to provide a method for evaluating a DMI of a railway vehicle cab using the variable simulat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사양의 철도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는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와, 이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 운전실 DMI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simulator for a railway vehicle which can be applied to railway vehicles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a method for evaluating a DMI of a railway vehicle cab using the simulator.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As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본 발명은 철도 차량 운전실에 설치되는 각종 기기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들과, 상기 각종 기기의 표준 규격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라이브러리들이 인터페이스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조작하는 입력부; 및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를 지정된 위치에 배치하고, 배치된 인터페이스의 표준 규격에 대한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railway vehicle cabin, which includes libraries corresponding to various devices installed in a cabin of a railway vehicle, a storage unit for storing data on standard specifications of the various devices, A display in which the libraries are displayed as an interface; An input unit for calling a library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operating the user to display the library on the display; And a control unit for calling the library stored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s input unit and outputting the library to the display through an interface, wherein the control unit arranges the interface at a designated locatio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of an input unit, The standard simulator for a railway car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standard simulator conforms to the standard of the railway vehicle.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는 다수가 마련되어 각각 사용자와 대면하여 배치되되,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play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such that a plurality of displays are provided, facing each other, and at least one interface is displayed.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다른 하나는 틸팅 및 3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at least another one of the displays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tilting and triaxial direction.

이 경우,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철도 차량 운전실의 DMI(Driver Machine Interface) 체크리스트가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DMI 체크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a DMI (Driver Machine Interface) check list of the railway car cab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controller may output the DMI check list to the display.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DMI 체크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값을 수신하여 관리자 모듈에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may receive the input value of the user for the DMI check list through the input unit and transmit the input value to the manager modu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 운전실 DMI(Driver Machine Interface)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가, (a) 사용자로부터 운전실 DMI 모델 선정을 입력받는 단계와; (b) 선정된 운전실 DMI 모델을 운전실 레이아웃(Layout) 설계기준과 비교, 검증하는 단계와; (c) 사용자로부터 운전실 내에 배치될 신규 기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라이브러리에 등록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등록된 라이브러리와 기 등록된 라이브러리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라이브러리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호출하여 상기 운전실 DMI 모델에 배치시키고,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단계와; (e) 상기 인터페이스를 표준 규격과 비교, 검증하는 단계; 및 (f) 검증이 완료된 운전실 DMI를 사용자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 운전실 DMI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evaluating a DMI (Driver Machine Interface) of a railway vehicle cab using a variable-type simulator for a railway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b) comparing and verifying the selected cab DMI model with cab layout design criteria; (c)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new device to be placed in the cab from a user and registering the new device in the library; (d) calling the library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library registered in step (c) and the pre-registered library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placing the library in the cab DMI model, and outputting the library to the display; (e) comparing and verifying the interface with a standard specification; And (f) evaluating the verified cab DMI based on the input value of the user, to provide a method for evaluating the DMI of a railroad car cab using a variable simulator for a railway vehicle.

이 경우, 상기 (b) 내지 (f)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설계변경을 통해 이전 단계를 재수행하여 개선사항이 도출되도록 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an error occurs in any of the steps (b) to (f), it is possible to re-execute the previous step through the design change so that the improvement can be derived.

본 발명에 따르면, 시뮬레이터 상에서 각종 운전실 기기를 자유롭게 배치하여 철도 차량 운전실 DMI를 모사하고, 이를 표준 규격과 비교, 검증함으로써 종래 철도 차량 운전실을 시제품 형태로 제작함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하는 동시에 운전자의 편의와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ramatically reduce the time and cost involved in manufacturing the conventional railway vehicle cab in the form of a prototype, by comparing various driving room equipments freely on the simulator to simulate the railway car driving room DMI, And the stability of the system can be improved.

또한, 모사된 철도 차량 운전실 DMI의 평가 결과 오류가 발생한 경우 운전실 DMI 모델을 재선정하거나 운전실 기기를 재배치하는 등으로 설계를 변경하여 개선사항을 반영함으로써 철도 차량 운전실의 DMI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simulated railway vehicle operator's DMI evaluation result is wrong, the DMI of the rail vehicle operator's cab can be produced more efficiently by changing the design by re-selecting the operator's DMI model or rearranging the driver's equipment .

아울러, 서로 다른 사양을 가진 철도 차량의 운전실 DMI 설계에도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pplied to a cabin DMI design of a railway vehicle having different specific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운전실 DMI를 평가하는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철도 차량 운전실 DMI를 평가하는 방법의 시나리오 및 알고리즘의 선순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운전실 DMI 모델의 레이아웃을 검증하는 모듈의 구현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신규 운전실 기기를 제작하여 라이브러리에 등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신규 기기를 기 등록된 운전 기능과 일치시키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운전실 기기를 가변형으로 배치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운전실 DMI 평가 시뮬레이터를 예시한 도면,
도 9는 운전실 DMI를 평가, 제어하는 모습과 운전실 DMI 체크리스트를 예시한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variable-type simulator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evaluating a railway vehicle operator's room DMI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virtuous cycle structure of a scenario and an algorithm of a method for evaluating the railway car cabin DMI shown in FIG. 2;
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odule for verifying the layout of a cab DMI model,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new cab equipment is produced and registered in a library,
6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matching a new device with a previously registered operation function,
7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rranging a cabin device in a variable manner,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b simulator DMI evaluation simulator,
Fig. 9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evaluating and controlling the cab DMI and a cab DMI check list; Fig.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ariable-type simulator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100)는 철도 차량 운전실의 내부에 구비되는 영상출력부, 계기판, 조작장치 등과 같은 각종 기기를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하여 자유롭게 배치하고, 이를 표준 규격 등과 비교, 검증함으로써 철도 차량 운전실의 DMI(Driver Machine Interface)를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저장부(110)와, 디스플레이(120)와, 입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variable-type simulator 100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various devices such as a video output unit, a dashboard, an operation device, A display 120, an input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40, for evaluating a DMI (Driver Machine Interface) of a railway vehicle cab by comparing and verifying the DMI .

저장부(110)에는 철도 차량 운전실에 설치되는 각종 기기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들이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10)에는 기 등록된 라이브러리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저장부(110)에 저장되지 않은 신규 운전실 기기의 라이브러리들은 사용자에 의해 추가로 제작되어 등록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10)에 신규로 등록되는 운전실 기기의 라이브러리들은 기 등록된 유사한 운전실 기기의 운전 기능과 일치시켜 시뮬레이터 상에서 운전 조작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In the storage unit 110, libraries corresponding to various devices installed in a railroad car cabin are stored. Specifically, the pre-registered libraries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and the libraries of the new cab equipment no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can be additionally manufactured and registered by the user. In this case, the library of the cab equipment newly 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110 coincides with the operation function of the similar cab equipment previously registered,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driving operation on the simulator.

한편, 저장부(110)에는 라이브러리 외에 운전실 기기의 표준 규격에 대한 데이터와 철도 차량 운전실의 DMI 체크리스트가 저장된다. 운전실 기기의 표준 규격에 대한 데이터는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인터페이스의 적합성을 비교, 검증하는 기준이 되고, 철도 차량 운전실의 DMI 체크리스트는 인터페이스의 배치 완료 후 최종적으로 운전실 DMI의 안정성과 사용자 편의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In addition to the library, the storage unit 110 stores data on standard specifications of the cab equipment and a DMI check list of the cab of the railroad car. The data on the standard specifications of the cab equipment are used as a basis for comparing and verifying the suitability of the interface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the DMI check list of the rail car operator cab is used to evaluate the stability and user convenience of the cab DMI .

디스플레이(120)는 사용자의 입력부(130) 조작을 통해 호출되는 라이브러리를 인터페이스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가 마련되어 각각 사용자와 대면하도록 배치된다.The display 120 is provided to display a library called through an operation of the user's input unit 130 as an interface, and is arranged to face each user.

이 경우, 다수의 디스플레이(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틸팅 및 3축(x축, y축,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도록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displays 12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tilting and 3-axis (x-axis, y-axis, z-axis) direction, Area. ≪ / RTI >

즉, 운전실 DMI의 평가시에는 사용자가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100)를 시운전하여 사용자 편의성과 시스템 안정성을 검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시운전 환경을 실제와 유사하게 구현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20)를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것이다.That is, at the time of evaluating the cabin DMI, the user commissiones the variable-type simulator 100 for a railway car to verify the user's convenience and the system stability. In order to realize such a trial driving environment, As shown in FIG.

예컨대, 실제 운전실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운전실 기기들은 하나의 디스플레이(120)에 영역을 구분하여 출력시키고, 원거리에 배치되는 운전실 기기는 다른 디스플레이에 출력시켜 디스플레이 자체를 이동시키거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실제 운전 환경을 모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실제와 동일한 환경에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전실 DMI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bin apparatuse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actual cabin are divided into a single display area 120, and the cabin apparatuses arranged at a long distance are output to other displays, It simulates the operating environment.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cab DMI more accurately because the simul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same environment as the actual.

한편, 디스플레이(120)의 틸팅은 디스플레이(120)를 지지대에 힌지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120)의 3축 방향 이동은 지지대에 공지된 링크 결합 구조를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The tilting of the display 120 may be performed by hinging the display 120 to the support, and the movement of the display 120 in the three-axis direction may be realized by applying a link coupling structure known to the support, The explanation is omitted.

입력부(130)는 라이브러리의 선택, 호출, 저장, 인터페이스의 이동, 배치 등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 키보드, 마우스, 스틱형 컨트롤러,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공지된 입력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The input unit 130 is operated by a user to select, call, store, interface, move, and arrange the library, and can use a known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a mouse, a stick type controller, a touch screen, It does not.

제어부(140)는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120)에 인터페이스로 출력시킨다.The control unit 140 calls the library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30 and outputs the library to the display 120 through the interface.

이 경우,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입력값이나 스틱형 컨트롤러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의 배치를 위한 입력값은 인터페이스의 크기와 위치에 대한 x, y 좌표값, 인터페이스의 회전각도(deg) 등일 수 있다. 또한, 스틱형 컨트롤러를 이용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틱을 직접 조작하여 인터페이스를 특정 위치에 이동,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방식으로 배치된 인터페이스는 필요에 따라 등록 또는 삭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terface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may be arranged at a position desired by the user using an input value of a user or a stick type controller. The input values for the placement of the interface can be x, y coordinate values for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interface, the angle of rotation of the interface (deg), and so on. In addition, when the stick type controller is used, the user can directly manipulate the stick to move and position the interface to a specific position. On the other hand, the interfaces arranged in this way can be registered or deleted as needed.

제어부(140)는 배치된 인터페이스를 저장부(110)에 저장된 표준 규격 데이터와 비교, 검증하고, 운전실 DMI 체크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값을 수신하여 관리자 모듈에 전송한다. 이 경우, 관리자 모듈로 전송된 사용자의 입력값은 관리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에 출력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운전실 DMI 체크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과 시스템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40 compares and verifies the arranged interface with the standard specification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receives the input value of the user for the cab DMI check list, and transmits it to the manager module. In this case, the input value of the user transmitted to the manager modul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so that the manager can check it. Therefore, the administrator can evaluate the user convenience and system stability of the interface by checking the user's simulation results on the cab DMI checklist through the displa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시뮬레이터 상에서 운전실 DMI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고, 그 타당성 여부를 표준 규격과 비교, 검증하여 평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freely configure the cabin DMI on the simulator, and the validity of the cab DMI can be compared with the standard specifications and verified and evalua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 운전실 DMI를 평가하는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evaluating a railway vehicle cabin DMI using a variable-type simulator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운전실 DMI를 평가하는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철도 차량 운전실 DMI를 평가하는 방법의 시나리오 및 알고리즘의 선순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evaluating a railway vehicle cabin DMI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virtuous cycle structure of a scenario and an algorithm of a method for evaluating the railway vehicle cabin DMI shown in FIG. 2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운전실 DMI를 평가하는 방법은 운전실 DMI 모델 선정 단계와, 운전실 레이아웃(Layout) 설계기준 비교 및 검증 단계와, 운전실 DMI 라이브러리 제작 단계와, 라이브러리 호출 및 배치 단계와, 표준규격과 비교, 검증 단계 및 기관사에 의한 DMI 평가 단계를 포함하는 바 이하 각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2 and 3, a method of evaluating a railway vehicle operator's room DMI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electing a cabin DMI model, comparing and verifying cabin layout design criteria, Step, a library call and placement step, a comparison with a standard specification, a verification step, and a DMI evaluation step by an engineer.

먼저, 운전실 DMI 모델을 선정한다. 운전실 DMI 모델은 각종 운전실 기기가 배치될 기본 인터페이스로서 차종별로 다수가 마련되어 저장부에 저장되며,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라 저장부로부터 호출되어 디스플레이에 출력된다. 이 경우, 새로운 운전실 DMI 모델이 별도로 제작되어 저장부에 등록,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irst, select the cab DMI model. The cab DMI model is a basic interface on which various cabin devices are to be placed, many of which are stored for each type of vehicle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re called from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s input unit and output to the display. In this ca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new cab DMI model can be separately prepar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이후, 선정된 운전실 DMI 모델에 대해 UIC 651 등과 같은 운전실의 전체적인 레이아웃(Layout)에 관한 요건, 예컨대, 가시성(Visibility), 의자 배치, 운전실 구조 등을 인체표준을 참조하여 테스트한다. 인체표준은 UIC 651 등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용자의 키, 눈높이, 팔길이 등과 같은 신체치수에 관한 데이터로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으며, 운전실의 전체적인 레이아웃에 대한 사용자 적합성을 평가하는 기준이 된다.Thereafter, requirements for the overall layout of the cab, such as UIC 651, for example, visibility, chair arrangement, cab structure, etc., are tested for the selected cab DMI model with reference to human standards. The human body standar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s data on the body dimensions such as the user's key, eye level, arm length, etc. prescribed in UIC 651, and is a criterion for evaluating the suitability of the overall layout of the cab.

이 경우, 운전실의 전체적인 레이아웃은 선정된 운전실 DMI 모델의 설계도면과 기준도면을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시켜 중첩(Overlay)한 후 직관적으로 비교, 검증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실 DMI 모델의 설계도면(빨간색으로 표기)과, UIC 651 등의 기준도면(파란색으로 표기)을 디스플레이 상에 중첩하여 출력함으로써 운전실의 전체적인 레이아웃을 평가할 수 있다. 즉, 설계도면이 기준도면의 허용 범위 내에 있으면 운전실의 레이아웃으로 적합하고,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4의 기준도면에 표기된 점은 SRP(Seat Reference Position)를 나타낸다.In this case, the overall layout of the cab is overlaid by outputting the design drawings and reference drawings of the selected cab DMI model on the display and then intuitively comparing and verifying.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evaluates the overall layout of the cab by superimposing a design drawing (indicated by red) of the cab DMI model and a reference drawing (indicated by blue) such as UIC 651 on the display as shown in FIG. . That is, if the design drawing is within the permissible range of the reference drawing, it can be judged that it is suitable for the layout of the cabin, and if the design drawing is out of the allowable range, For reference, the points shown in the reference drawing of Fig. 4 represent SRP (Seat Reference Position).

이후, 라이브러리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신규 운전실 기기를 이미지에 기반하여 모사, 제작하고, 제작된 신규 운전실 기기를 라이브러리에 등록한다. 이 경우, 라이브러리에 새롭게 등록되는 운전실 기기는 저장부에 기 등록된 유사한 운전실 기기의 운전 기능과 일치시켜 시뮬레이터 상에서 운전 조작시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Thereafter, new cab devices not registered in the library are simulated and manufactured based on images, and new cab devices manufactured are registered in the library. In this case, the cab equipment newly registered in the library is made compatible with the operation function of the similar cab equipment previously registered in the storage unit, so that the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 the simulator.

이와 관련하여, 도 5에는 신규 기기를 제작하여 라이브러리에 등록하는 예를 나타내었고, 도 6에는 기기를 운전 기능과 일치시키는 예를 나타내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하부에 도시된 주제어간은 철도 차량의 운행과 제동에 사용되는 기기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에 기 등록된 UIC 612의 운전실 DMI 중 통합 기관사 활동 제어 푸시버튼이 있는 결합 견인/발전제동 제어장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해당 제어장치와 운전 기능을 일치시켜 등록하면 시뮬레이션 과정에서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철도 차량을 운행 및 제동할 수 있다.In this regard, FIG. 5 shows an example of creating a new device and registering it in a library, and FIG. 6 shows an example of matching the device with a driving function. Referring to FIG. 5 and FIG. 6, the main theme shown in the lower part of FIG. 5 is a device used for driving and braking a railway vehicle. As shown in FIG. 6, Since it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combined traction / power generation braking control device with the engine activity control pushbutton, if the control device and the operation function are registered in the same manner, the railway vehicle can be operated and braked according to the user's input operation in the simulation process.

라이브러리의 제작 및 등록이 완료되면 새롭게 등록된 라이브러리와 기 등록된 라이브러리 중에서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운전실 DMI 모델에 배치한다. 이 경우, 라이브러리의 배치는 사용자의 입력값 또는 스틱형 컨트롤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값을 이용한 라이브러리의 배치는 입력화면에 기기의 크기, 위치에 대한 x, y 좌표와, 회전각(deg) 등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틱형 컨트롤러를 이용한 라이브러리의 배치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면서 스틱형 컨트롤러의 x축, y축 조작을 통해 라이브러리를 이동시키게 된다.When library creation and registration are completed, the required library is called from newly registered library and pre-registered library and placed in the cab DMI model displayed on the display. In this case, the arrangement of the library can be made by the input value of the user or the stick type controller. Specifically, the arrangement of the library using the input values can be performed by inputting the size of the device, the x and y coordinates of the position, and the rotation angle (deg) on the input screen. In addition, the arrangement of the library using the stick type controller moves the library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x-axis and y-axis of the stick type controller while confirming the interface outputted by the user on the display.

한편, 배치가 완료된 인터페이스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표준 규격과 비교, 검증한 결과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삭제 후 설계 변경을 통해 재배치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7에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운전실 기기를 가변형으로 배치하는 예를 나타내었다.On the other hand, if the layout is judged to be in error as a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standard standard as described later, the layout can be rearranged through deletion and design change. For reference, FIG.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cab equipment is arranged in a variable mann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계속하여, 배치된 인터페이스를 표준 규격이 제시하고 있는 범주 내에서 표준 규격, 예컨대, UIC 612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검증을 수행한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의 표준 규격과의 일치 여부는 훈련 평가 시나리오를 제작하여 정상, 이례, 사고 상황 등을 재현하고, 기기조작을 검지하는 방식으로 검증될 수 있다.Subsequently, verification is performed by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disposed interface conforms to a standard standard, for example, UIC 612 within the category indicated by the standard specification. In this case, whether or not the interface conforms to the standard specification can be verified by creating a training evaluation scenario to reproduce normal, unusual, accident situations, and detect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마지막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작된 운전실 DMI에 관하여 시뮬레이터 시운전을 실시하고, 저장부에 저장된 운전실 DMI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운전실 DMI의 안전성을 평가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테스트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9에는 운전실 DMI를 평가 제어하는 모습과 운전실 DMI 체크리스트를 예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운전실 DMI 체크리스트를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키고, 이에 대해 사용자가 특정 값을 입력하면 입력값이 제어부에 의해 관리자 모듈로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된다. 따라서 관리자는 운전실 DMI 체크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값을 확인하여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과 시스템 안정성을 평가하게 된다.Finally, as shown in FIG. 8, a simulator trial operation is performed with respect to the cab DMI manufactured by the user, and the safety of the cab DMI is evaluated using the cab DMI check list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test user convenience. In this regard, FIG. 9 illustrates the manner in which the cab DMI is evaluated and controlled and the cab DMI checklist.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outputs the cab DMI check list as shown in FIG. 9 to the display, and when the user inputs a specific value, the input value is transmitted to the manager module by the control unit and outputted on the display. Therefore, the administrator checks the input value of the user in the cab DMI checklist to evaluate the user convenience and system stability of the interface.

이 경우, 상술한 각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설계변경을 통해 이전 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선사항을 도출하여 반영할 수 있다.In this case, if an error occurs in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steps, the previous step can be re-executed through the design change, and improvements can be derived and reflected through this process.

예컨대, 운전실 DMI 모델과 운전실 레이아웃 설계기준, 또는 운전실 기기의 인터페이스와 표준 규격을 비교, 검증한 결과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다음 단계를 수행하지 않고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설계를 변경한 후 다시 이전 단계로 돌아가 개선사항이 도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최종 단계인 사용자에 의한 운전실 DMI 안전성 평가 결과 오류가 있는 것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설계변경을 통해 개선사항을 도출하고, 이를 반영하여 운전실 DMI 모델의 선정 단계부터 다시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re is an abnormality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verifying the cabin DMI model with the cab layout design standard or the cab interface and the standard specification, the design is changed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 without performing the next step, You can go back and make improvements. In addition, if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an error in the result of the DMI safety evaluation by the user at the final stage, the improvement can be derived through the design change and can be performed again from the selection stage of the cab DMI model.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range, and equivalence of the claim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
110 : 저장부 120 : 디스플레이
130 : 입력부 140 : 제어부
100: Variable simulator for railway cars
110: storage unit 120: display
130: input unit 140:

Claims (7)

철도 차량 운전실에 설치되는 각종 기기에 대응하는 라이브러리들과, 상기 각종 기기의 표준 규격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와;
상기 라이브러리들이 인터페이스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조작하는 입력부; 및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라이브러리를 호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를 지정된 위치에 배치하고, 배치된 인터페이스의 표준 규격에 대한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
Libraries corresponding to various devices installed in a railway car cabin, a storage unit storing data on standard specifications of the various devices;
A display in which the libraries are displayed as an interface;
An input unit for calling a library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operating the user to display the library on the display; And
And a control unit for calling the library stored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s input unit and outputting the library to the display through an interface,
Wherein the control unit arranges the interface at a designated position according to an operation of a user's input unit, and confirms whether the interface conforms to a standard specification of the arranged inte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다수가 마련되어 각각 사용자와 대면하여 배치되되,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play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so that at least one of the displays is arranged to face the user and at least one of the different displays is display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다른 하나는 틸팅 및 3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t least the other one of the displays is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tilting and triaxi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철도 차량 운전실의 DMI(Driver Machine Interface) 체크리스트가 저장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DMI 체크리스트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MI (Driver Machine Interface) checklist of the railway car cabi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controller outputs the DMI checklist to the displa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DMI 체크리스트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값을 수신하여 관리자 모듈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user's input value for the DMI check list through the input unit and transmits the input value to the manager module.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 운전실 DMI(Driver Machine Interface)를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어부가,
(a) 사용자로부터 운전실 DMI 모델 선정을 입력받는 단계와;
(b) 선정된 운전실 DMI 모델을 운전실 레이아웃(Layout) 설계기준과 비교, 검증하는 단계와;
(c) 사용자로부터 운전실 내에 배치될 신규 기기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라이브러리에 등록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등록된 라이브러리와 기 등록된 라이브러리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라이브러리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호출하여 상기 운전실 DMI 모델에 배치시키고,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단계와;
(e) 상기 인터페이스를 표준 규격과 비교, 검증하는 단계; 및
(f) 검증이 완료된 운전실 DMI를 사용자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평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 운전실 DMI를 평가하는 방법.
A method for evaluating a driver machine interface (DMI) of a railway car cab using a simulator for a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control unit,
(a) receiving a cab DMI model selection from a user;
(b) comparing and verifying the selected cab DMI model with cab layout design criteria;
(c)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new device to be placed in the cab from a user and registering the new device in the library;
(d) calling the library selected by the user from the library registered in step (c) and the pre-registered library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placing the library in the cab DMI model, and outputting the library to the display;
(e) comparing and verifying the interface with a standard specification; And
(f) evaluating the verified cab DMI based on a user input value;
A method for evaluating a DMI of a railway vehicle cab using a variable simulator for a railway vehicl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b) 내지 (f) 단계 중 어느 하나의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하면 설계변경을 통해 이전 단계를 재수행하여 개선사항이 도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용 가변형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철도 차량 운전실 DMI를 평가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n an error occurs in any one of the steps (b) to (f), the improvement is obtained by re-executing the previous step through the design change. Thus, the rail vehicle driver's room DMI How to evaluate.
KR1020160169377A 2016-12-13 2016-12-13 Adjustable simulator for railway vehicle and method for evaluating driver machine interface of driver's cab using the same KR1020327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377A KR102032746B1 (en) 2016-12-13 2016-12-13 Adjustable simulator for railway vehicle and method for evaluating driver machine interface of driver's cab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377A KR102032746B1 (en) 2016-12-13 2016-12-13 Adjustable simulator for railway vehicle and method for evaluating driver machine interface of driver's cab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354A true KR20180068354A (en) 2018-06-22
KR102032746B1 KR102032746B1 (en) 2019-10-18

Family

ID=62768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377A KR102032746B1 (en) 2016-12-13 2016-12-13 Adjustable simulator for railway vehicle and method for evaluating driver machine interface of driver's cab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274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4943A (en) * 2018-08-24 2019-01-22 卡斯柯信号有限公司 A kind of framework of general DMI driver's man-machine interface operator control panel
KR20200043587A (en) * 2018-10-17 2020-04-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djustable simulator for railway vehicle and method for evaluating driver machine interface of driver's cab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181A (en) 2020-08-20 2022-03-02 매플렉스 주식회사 Integrated VVVF Railroad Vehicle Simulator With Versati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302A (en) * 2004-12-21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ser interface design and evaluation system and hand interaction based user interface design and evaluation system
KR20070104767A (en) * 2006-04-24 2007-10-29 주식회사 로템 The railway car operation disappointment is shift was possible simulator, system
KR101406716B1 (en) * 2013-04-23 2014-06-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imulation system for Train Control
JP2014203129A (en) * 2013-04-01 2014-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Operability estimation method and operability estimation device of device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1302A (en) * 2004-12-21 2006-06-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User interface design and evaluation system and hand interaction based user interface design and evaluation system
KR20070104767A (en) * 2006-04-24 2007-10-29 주식회사 로템 The railway car operation disappointment is shift was possible simulator, system
JP2014203129A (en) * 2013-04-01 2014-10-27 株式会社デンソー Operability estimation method and operability estimation device of device for vehicle
KR101406716B1 (en) * 2013-04-23 2014-06-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Simulation system for Train Contr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4943A (en) * 2018-08-24 2019-01-22 卡斯柯信号有限公司 A kind of framework of general DMI driver's man-machine interface operator control panel
KR20200043587A (en) * 2018-10-17 2020-04-2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Adjustable simulator for railway vehicle and method for evaluating driver machine interface of driver's cab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2746B1 (en)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8354A (en) Adjustable simulator for railway vehicle and method for evaluating driver machine interface of driver's cab using the same
CN102456082B (en) Two-dimensional three-dimensional combined satellite general assembly process planning and simulation method
CN101290508B (en) System for automatically creating a software interface
CN104364663A (en) Train test platform
KR100921503B1 (en) Training system using simulating operation of unmanned rail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US20080255818A1 (en) Test System Design Tool With Model-Based Tool Support
ES2907141T3 (en) Test terminal for tests on a vehicle infrastructure
CN111007837A (en) Test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TCMS
US20180285236A1 (en) Troubleshooting a model defining a dynamic behavior of a simulated interactive object
EP3602523B1 (en) Continuous monitoring of a model in an interactive computer simulation station
CA2963253C (en) Repairing a model associated to a simulated interactive object
KR102121829B1 (en) Adjustable simulator for railway vehicle and method for evaluating driver machine interface of driver's cab using the same
Kyriakopoulos et al. DigiCAV project: Exploring a test-driven approach in the development of connected and autonomous vehicles
KR20190019073A (en) Method and design system for designing interlocking control system
Hodel et al. Fat-aes: systematic methodology of functional testing for automotive embedded software
CN102063553B (en) Method for analog simulation development of automobile OBD (On-Board Diagnostics) code reading card
CN102262827A (en) Three-dimensional simulation system for deformation test of transformer winding
CN110320996B (en) Re-authentication of interactive computer simulation stations
US20240005819A1 (en) Device for the creation and management of style prototypes with the integration of physical and virtual tools
KR101575649B1 (en) Test apparatus of embedded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16830090A (en) Method for virtually testing a motor vehicle host unit by means of a virtual test stand and corresponding virtual test stand
RU2793839C1 (en) Procedural simulator for training the driver to work with the brake system of the rolling stock
KR101288582B1 (en) Wiring Bridge Device and Vehicle Diagnosis Simulator System Employing the Same
CN117471931A (en) Hardware-in-loop simulation test device, method,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220023181A (en) Integrated VVVF Railroad Vehicle Simulator With Versatility And Method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