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270A -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 - Google Patents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270A
KR20180068270A KR1020170068053A KR20170068053A KR20180068270A KR 20180068270 A KR20180068270 A KR 20180068270A KR 1020170068053 A KR1020170068053 A KR 1020170068053A KR 20170068053 A KR20170068053 A KR 20170068053A KR 20180068270 A KR20180068270 A KR 20180068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attery
comb teeth
negative
posi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8263B1 (ko
Inventor
친-촨 류
리-호 야오
Original Assignee
스톤 에너지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톤 에너지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스톤 에너지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68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2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H01M2/20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01M2/105
    • H01M2/1077
    • H01M2/20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H01M50/512Connection only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36Electric or electronic devices
    • B23K2201/3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Abstract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는, 복수의 제1 배터리들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제1 배터리 유닛들, 상기 제1 배터리들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양의 커넥터, 상기 제1 배터리들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음의 커넥터, 상기 제1 양의 커넥터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양극 커넥터,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음극 커넥터, 상기 제1 양극 커넥터와 상기 양극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전류 경로들, 및 상기 제1 음극 커넥터과 상기 음극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전류 경로들을 포함한다. 동일한 제1 배터리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전류 경로들의 총 경로 길이와 제2 전류 경로들의 총 경로 길이는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돌입 전류가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BATTERY PARALLEL DEVICE HAVING CHARGE PATH AND DISCHARGE PATH WITH EQUAL IMPEDANCES}
본 발명은 배터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년 동안, 자동차 시스템은 전기를 전원(power source)으로 사용해왔다. 자동차 시스템의 전기 전원 장치는 복수 개의 소형 충전 가능 배터리를 가지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팩 또는 대형 단일 충전 가능 배터리일 수 있다. 충전 가능한 배터리팩 또는 대형 단일 충전 가능 배터리는 결함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가능 배터리팩은 소형 충전 가능 배터리들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소형 충전 가능 배터리들은 각각의 무게와 각각의 부피를 가지므로, 충전 가능 배터리 팩의 총 무게와 총 부피는 무시될 수 없다. 충전 가능 배터리팩이 자동차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충전 가능 배터리팩의 무게와 부피는 자동차 시스템에 부담이 될 수 있다.
대형 단일 충전 가능 배터리의 제조 기술은 종래의 배터리보다 더 복잡하기 때문에, 대형 단일 충전 가능 배터리의 복잡도는 대형 단일 충전 가능 배터리의 부피로 증가될 수 있으며, 대형 단일 충전 가능 배터리의 안정성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대형 단일 충전 가능 배터리의 부피가 커지면 커질수록, 대형 단일 충전 가능 배터리의 폭발 가능성이 커진다. 대형 단말 충전 가능 배터리가 자동차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대형 단일 충전 가능 배터리의 위험과 손상은 무시될 수 없다.
복수의 소형 배터리들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세트가 설계된다. TWI308406 특허 명세서에 배터리 세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배터리 세트(150)는 복수의 소형 배터리들(15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소형 배터리(1500)는 매트릭스가 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전기적으로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되어 망 전자 연결(web electronic connection)을 형성한다. 배터리 세트(150)는 양극(1501)과 음극(1502)을 포함한다. 배터리 세트(150)의 양극(1501)과 음극(1502)은 부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부하에 전기 전력를 제공한다.
배터리 세트(150)의 소형 배터리(1500)는 전기적으로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되어 망 전자 연결을 형성하기 때문에, 소형 배터리들(1500) 중 하나가 고장이 나도, 배터리 세트(150)는 다른 정상 소형 배터리(1500)에 의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나아가, 소형 배터리(1500)의 전류는 망 전자 연결을 통해 동일하게 흐르기 때문에, 소형 배터리(1500)의 전류는 분리될 수 있다. 망 전자 연결의 연결 바는 배터리 세트(150)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지름이 넓을 필요는 없으며, 배터리 세트(1500)의 무게가 감소될 수 있다.
보통, 배터리 세트(150)의 소형 배터리(1500)는 서로 동일해야 한다. 예컨대, 배터리 세트(150)의 출력 단말기에서 검출된 소형 배터리(1500)의 임피던스들은 동일해야 한다. 다시 말해, 소형 배터리(1500) 각각은 DC 내부 저항, 양극판 및 음극판을 가진다. 소형 배터리(1500)의 총 임피던스는 DC 내부 저항의 임피던스, 양극판의 임피던스 및 음극판의 임피던스를 더한 것이며, 모든 소형 배터리들의 총 임피던스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 때, 소형 배터리(1500)의 병렬 구조는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소형 배터리(1500)의 병렬 구조가 균형을 이루지 않는 경우, 소형 배터리(1500)의 출력 전류는 전력이 들어가는 시각(moment of power up)에 상이할 수 있다. 그 때, 소형 배터리(1500)는 전압 차이를 야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리튬-이온 배터리의 내부 저항의 임피던스는 1 mΩ 보다 작고, 전력이 들어가는 시각에서의 종래 리튬-이온 배터리의 전압 차이는 1 volt 보다 작을 수 있으나, 종래 리튬-이온 배터리의 돌입 전류(inrush current)는 100 ampere 보다 클 수 있다.
배터리 세트(150)가 부하에 전기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배터리 세트(150)의 내부 전류는 음극(1502)에서 양극(1501)으로 흐르고, 소형 배터리(1500)를 통해 흐른다. 소형 배터리(1500)는 전기적으로 직렬 및 병렬로 연결되어 망 전자 연결을 형성하기 때문에, 배터리 세트(150)의 출력 단말기에서 검출되는 소형 배터리(1500)의 내부 저항의 임피던스는 상이하고, 소형 배터리(1500)의 병렬 구조는 균형을 이루지 못할 수 있다.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 예컨대, 전류 클램프(current clamp), 전류계(ammeter), 홀-효과 센서(hall-effect sensor), 또는 전류 분류기(ammeter shunt)는 돌입 전류를 검출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돌입 전류는 주로 무시되지만, 돌입 전류는 소형 배터리(1500)의 수명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배터리 세트(150)의 수명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배터리 병렬 장치의 하나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는 복수의 제1 배터리 유닛들, 제1 양의 커넥터, 제1 음의 커넥터, 제1 양극 커넥터, 및 제1 음극 커넥터를 포함한다.
제1 배터리 유닛 각각은 복수의 제1 배터리들을 포함하며, 제1 배터리 각각은 양극과 음극을 포함한다.
제1 양의 커넥터는 제1 배터리 유닛의 제1 배터리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음의 커넥터는 제1 배터리 유닛의 제1 배터리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양극 커넥터는 제1 양의 커넥터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1 전류 경로들은 제1 양극 커넥터와 각각의 제1 배터리의 양극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음극 커넥터는 제1 음의 커넥터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2 전류 경로들은 제1 음극 커넥터와 각각의 제1 배터리의 음극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배터리 각각은, 동일한 제1 배터리에 대응하는 제1 전류 경로의 길이와 제2 전류 경로의 길이의 합인 총 경로 길이를 가지며, 모든 제1 배터리들의 총 경로 길이는 서로 동일하다.
제1 배터리의 제1 전류 경로의 총 경로 길이와 제2 전류 경로의 총 경로 길이는 동일하며, 전류는 제1 전류 경로와 제2 전류 경로에 따라 배터리 병렬 장치의 내부를 통해 흐른다.
배터리 병렬 장치가 부하(load)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하에 전기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전류는 배터리 병렬 장치 내부의 동일한 총 경로 길이로 흐른다. 따라서, 배터리 병렬 장치의 병렬 구조는 균형을 이룰 수 있으며, 배터리 병렬 장치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배터리 병렬 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는 복수의 제1 배터리 유닛들, 제1 양의 커넥터, 제1 음의 커넥터, 제1 양극 커넥터 및 제1 음극 커넥터를 포함한다.
제1 배터리 유닛 각각은 파우치형 배터리이며, 배터리 코어, 제1 쉘(shell) 및 제2 쉘을 포함한다. 배터리 코어는 제1 쉘과 제2 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 코어들은 양극과 음극을 각각 포함하며, 배터리 코어들의 양극은 동일한 방향을 향한다.
제1 양의 커넥터는 연결부와 복수의 빗살부들(comb part)을 포함한다. 빗살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1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제1 방향을 향하는 빗살부의 단부는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빗살부는 제1 배터리 유닛들 중 하나의 제1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 코어의 양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음의 커넥터는 연결부와 복수의 빗살부들을 포함한다.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1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의 단부는 제1 음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는 제1 배터리 유닛들 중 하나의 제1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 코어의 음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양극 커넥터는 제1 양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음극 커넥터는 제1 음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병렬 장치가 부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하에 전기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전류는 배터리 병렬 장치 내부에 흐른다. 따라서, 배터리 병렬 장치의 병렬 구조는 균형을 이룰 수 있으며, 배터리 병렬 장치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병렬 장치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터리 병렬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배터리 병렬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5는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뷰이다.
도 6은 도 5의 배터리 병렬 장치의 실시예의 다른 개략적인 뷰이다.
도 7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뷰이다.
도 8은 도 7의 배터리 병렬 장치의 다른 개략적인 뷰이다.
도 9는 도 7의 배터리 병렬 장치의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10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뷰이다.
도 11은 도 10의 배터리 병렬 장치의 분해 조립도이다.
도 12는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뷰이다.
도 13은 도 12의 배터리 병렬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배터리 병렬 장치의 다른 개략적인 뷰이다.
도 15는 종래 배터리 세트의 회로도이다.
도 1,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10)이다. 배터리 병렬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는 복수의 제1 배터리 유닛들(111), 제1 양의 커넥터(112), 제1 음의 커넥터(113), 제1 양극 커넥터(114) 및 제1 음극 커넥터(115)를 포함한다.
각 제1 배터리 유닛(111)은 복수의 제1 배터리들을 포함하며, 제1 배터리 각각은 양극과 음극을 포함한다.
제1 양의 커넥터(112)는 제1 배터리 유닛(111)의 제1 배터리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음의 커넥터(113)는 제1 배터리 유닛(111)의 제1 배터리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양극 커넥터(114)는 제1 양의 커넥터(112)의 단부(terminal)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1 전류 경로들은 제1 양극 커넥터(114)와 제1 배터리들의 각각의 양극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 음극 커넥터(115)는 제1 음의 커넥터(113)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2 전류 경로들은 제1 음극 커넥터(115)와 제1 배터리들의 각각의 음극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배터리는, 동일한 제1 배터리에 대응하는 제1 전류 경로의 길이와 제2 전류 경로의 길이의 합인 총 경로 길이를 가지며, 모든 제1 배터리들의 총 경로 길이는 서로 동일하다.
배터리 병렬 장치(10)가 부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하에 전기 전력을 제공하는 경우, 배터리 병렬 장치(10) 내부에서 흐르는 전류의 흐름 길이들은 동일하며 총 경로 길이와 같다. 따라서, 배터리 병렬 장치(10)의 병렬 구조는 돌입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균형을 이룰 수 있고, 배터리 병렬 장치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전류 경로의 길이는 제1 음극 커넥터(115)와 각 제1 배터리 사이의 거리이다. 상이한 제1 배터리에 대응하는 제1 전류 경로는 서로 상이하다.
각각의 제2 전류 경로의 길이는 제1 양극 커넥터(114)와 각 제1 배터리 사이의 거리이다. 상이한 제1 배터리에 대응하는 제2 전류 경로는 서로 상이하다.
실시예에서, 제1 배터리 유닛(111)의 제1 배터리는 제1 원통형 배터리(1111)이고, 제1 원통형 배터리(1111)는 제1 방향 X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제1 원통형 배터리들(1111)의 양극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제1 배터리 유닛(111)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1 양의 커넥터(112)는 연결부(1121)와 복수의 빗살부들(1122)을 포함한다. 빗살부(1122)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1 방향 X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제1 방향 X를 향하는 빗살부(1122)의 단부는 연결부(1121)에 연결되어 있고, 빗살부(1122)는 제1 배터리 유닛들(111) 중 하나의 제1 배터리 유닛의 제1 원통형 배터리(1111)의 양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음의 커넥터(113)는 연결부(1131)와 복수의 빗살부들(1132)을 포함한다. 제1 음의 커넥터(113)의 빗살부(1132)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1 방향 X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제1 방향 X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음의 커넥터(113)의 빗살부(1132)의 단부는 제1 음의 커넥터(113)의 연결부(113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음의 커넥터(113)의 빗살부(1132)는 제1 배터리 유닛들(111) 중 하나의 제1 배터리 유닛의 제1 원통형 배터리(1111)의 음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양극 커넥터(114)는 제1 양의 커넥터(112)의 연결부(1121)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음극 커넥터(115)는 제1 음의 커넥터(113)의 연결부(1131)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배터리 유닛(111)의 제1 원통형 배터리(1111)는 제1 방향 X를 따라 장착되어 있고, 제1 양극 커넥터(114)는 제1 양의 커넥터(112)의 연결부(1121)에 형성되어 있고, 제1 음극 커넥터(115)는 제1 음의 커넥터(113)의 연결부(1131)에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병렬 장치(10)가 부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부하에 전기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배터리 병렬 장치(10) 내부에서 제1 원통형 배터리(1111) 각각을 흐르는 전류의 흐름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병렬 장치(10)의 병렬 구조는 균형을 이룰 수 있다.
반대로, 배터리 병렬 장치(10)가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되는 경우, 배터리 병렬 장치(10) 내부에서 제1 원통형 배터리(1111) 각각을 흐르는 전류의 흐름 길이 또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병렬 장치(10)의 병렬 구조는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병렬 장치(10)가 방전되는 경우, 제1 음극 커넥터(115)에 가장 가까이 장착된 제1 원통형 배터리(1111A)를 통해 흐르는 전류 A는 제1 음극 커넥터(115)로부터 흐르고, 제1 음의 커넥터(113)의 빗살부(1132) 상에서 짧은 제1 거리를 통해 흐르고, 그 후 제1 원통형 배터리(1111A)의 음극으로 흐른다. 나아가, 전류 A가 제1 원통형 배터리(1111A)의 양극에서 흘러나오는 경우, 전류 A는 제1 양의 커넥터(112)의 빗살부(1122) 상에서 긴 제2 거리를 통해 흐르고, 그 후 제1 양극 커넥터(114)로 흐른다.
더욱이, 제1 양극 커넥터(114)에 가장 가까이 장착된 제1 원통형 배터리(1111B)를 통해 흐르는 전류 B는 제1 음극 커넥터(115)로부터 흐르고, 제1 음의 커넥터(115)의 빗살부(1132) 상에서 긴 제3 거리를 통해 흐르고, 그 후, 제1 원통형 배터리(1111B)의 음극으로 흐른다. 나아가, 전류 B가 제1 원통형 배터리(1111B)의 양극에서 흘러나오는 경우, 전류 B는 제1 양의 커넥터(112)의 빗살부(1122) 상에서 짧은 제4 거리를 통해 흐르고, 그 후 제1 양극 커넥터(114)로 흐른다.
전류 A의 흐름 거리는 짧은 제1 거리와 긴 제2 거리의 합이고, 전류 B의 흐름 거리는 긴 제3 거리와 짧은 제4 거리의 합이기 때문에, 전류 A의 흐름 거리와 전류 B의 흐름 거리는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배터리 병렬 장치(10)의 병렬 구조는 균형을 이루어 돌입 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 병렬 장치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배터리 유닛들(111) 중 하나의 제1 배터리 유닛의 제1 원통형 배터리(1111)는 2줄을 형성하도록 장착되며, 2개의 상이한 줄의 제1 원통형 배터리(1111)는 서로 어긋나 있다.
제1 양의 커넥터(112)의 빗살부(1122) 각각은 사각형 시트이다. 제1 양의 커넥터(112)의 빗살부(1122)의 각각은 복수의 용접부들(1123)을 포함한다. 제1 양의 커넥터(112)의 빗살부들(1122) 중 하나의 빗살부의 용접부(1123)는 제1 양의 커넥터(112)의 빗살부들(1122) 중 상기 하나의 빗살부의 방향이 반대인 양 측면에 장착되어 있고, 제1 양의 커넥터(112)의 용접부(1123)는 제1 배터리 유닛들(111) 중 하나의 제1 배터리 유닛의 제1 원통형 배터리(1111)의 양극에서 각각 용접된다.
제1 양의 커넥터(112)의 용접부들(1122) 각각은 연장된 구멍(elongate hole)(1120)을 포함한다. 연장된 구멍(1120)은 제1 양의 커넥터(112)의 빗살부(1122)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고, 제1 방향 X를 따라 각각 형성되어, 제1 양의 커넥터(112)의 빗살부(1122)를, 용접부(1123)가 서로 반대 편에 장착된 대향하는 측면으로 분리한다.
제1 음의 커넥터(113)의 빗살부(1132) 각각은 사각형 시트이다. 제1 음의 커넥터(113)의 빗살부(1132)의 각각은 복수의 용접부들(1133)을 포함한다. 제1 음의 커넥터(113)의 빗살부들(1122) 중 하나의 빗살부의 용접부(1133)는 제1 음의 커넥터(113)의 빗살부들(1122) 중 상기 하나의 빗살부의 방향이 반대인 양 측면에 장착되어 있고, 제1 음의 커넥터(113)의 용접부(1133)는 제1 배터리 유닛들(111) 중 하나의 제1 배터리 유닛의 제1 원통형 배터리(1111)의 양극에서 각각 용접된다.
제1 음의 커넥터(113)의 용접부들(1132) 각각은 연장된 구멍(elongate hole)(1130)을 포함한다. 연장된 구멍(1130)은 제1 음의 커넥터(113)의 빗살부(1132)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고, 제1 방향 X를 따라 각각 형성되어, 제1 음의 커넥터(113)의 빗살부(1132)를, 용접부(1123)가 서로 반대 편에 장착된 대향하는 측면으로 분리한다.
나아가, 제1 양의 커넥터(112)의 빗살부(1122)는 제1 양의 커넥터(112)의 연결부(1121)에 직교하고, 제1 음의 커넥터(113)의 빗살부(1132)는 제1 음의 커넥터(113)의 연결부(1131)에 직교한다.
제1 양의 커넥터(112)의 빗살부(1122)는, 제1 양의 커넥터(112)의 빗살부(1122)를, 용접부(1123)가 서로 반대 편에 장착된 대향하는 측면으로 분리하기 위해 연장된 구멍(1120)을 포함하기 때문에, 제1 원통형 배터리(1111)의 양극으로부터 흐르는 전류는 빗살부(1122)의 연장된 구멍(1120)에 의해 나누어질 수 있다. 나누어진 전류는, 용접부(1123)가 장착된 반대의 양 측면으로 나누어진 제1 양의 커넥터(112)의 빗살부(1122)를 통해 각각 흐른다. 그 후, 나누어진 전류의 흐름 방향은 제한될 수 있고, 나누어진 전류는 돌입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맞은 편 상의 빗살부(1122)에 흐르지 않을 수 있다.
동일한 이유로, 제1 음의 커넥터(113)의 빗살부(1132)는, 제1 음의 커넥터(113)의 빗살부(1132)를, 용접부(1123)가 장착된 대향하는 측면으로 분리하기 위해 연장된 구멍(1130)을 포함합니다. 제1 원통형 배터리(1111)의 음극으로부터 흐르는 전류는 빗살부(1132)의 연장된 구멍(1130)에 의해 나누어질 수 있으며, 돌입 전류는 감소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방향 X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양의 커넥터(112)의 빗살부(1122)의 단부는 틈(1124)을 각각 포함하며, 제1 양의 커넥터(112)의 빗살부(1122)의 틈(1124)은 제1 양의 커넥터(112)의 빗살부(1122)의 연장된 구멍(112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1 방향 X를 향하는 빗살부(1132)의 단부는 틈(1134)을 각각 포함하며, 제1 음의 커넥터(113)의 빗살부(1132)의 틈(1134)은 제1 음의 커넥터(113)의 빗살부(1132)의 연장된 구멍(113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틈(1124)과 틈(1134)는 빗살부(1122)와 빗살부(1132)에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빗살부(1122)와 빗살부(1132)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흐름 방향은 제한될 수 있고, 나아가 돌입 전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배터리 병렬 장치(1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를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는 복수의 제2 배터리 유닛들(121), 제2 양의 커넥터(122), 제2 음의 커넥터(123), 제2 양극 커넥터(124) 및 제2 음극 커넥터(125)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의 제2 배터리 유닛(121) 각각은 복수의 제2 배터리들을 포함하고, 제2 배터리 각각은 양극과 음극을 포함한다.
제2 양의 커넥터(122)는 제2 배터리 유닛(121)의 제2 배터리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음의 커넥터(123)는 제2 배터리 유닛(121)의 제2 배터리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양극 커넥터(124)는 제2 양의 커넥터(122)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1 전류 경로들은 제2 양극 커넥터(124)와 제2 배터리들의 각 양극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제2 음극 커넥터(125)는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제2 전류 경로들은 제2 음극 커넥터(125)와 제2 배터리들의 각 음극 사이에 각각 형성된다.
각 제2 배터리는, 동일한 제2 배터리에 대응하는 제1 전류 경로의 길이와 제2 전류 경로의 길이의 합인 총 경로 길이를 가지며, 모든 제2 배터리들의 총 경로 길이는 서로 동일하다.
배터리 병렬 장치(10)가 부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방전되는 경우, 배터리 병렬 장치(10) 내부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 길이는 동일하며, 총 경로 길이와 같다.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 내에서 흐르는 전류는 동일한 흐름 길이를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 내에서 흐르는 전류도 동일한 흐름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전류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를 통해 흐르고,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를 통해 흐르는 각 전류의 총 길이는 동일하다.
따라서, 배터리 병렬 장치(10)의 병렬 구조는 돌입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균형을 이룰 수 있고, 배터리 병렬 장치의 수명은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배터리 유닛(121)의 제2 배터리는 제2 원통형 배터리(1211)이고, 제2 원통형 배터리(1211)는 제1 방향 Y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제2 원통형 배터리(1211)의 양극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제2 배터리 유닛(121)은 서로 이격되어 있다.
제2 양의 커넥터(122)는 연결부(1221)와 복수의 빗살부들(1222)을 포함한다. 빗살부(1222)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2 방향 Y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제2 방향 Y를 향하는 빗살부(1222)의 단부는 연결부(1221)에 연결되어 있고, 빗살부(1222)는 제2 배터리 유닛들(121) 중 하나의 제2 배터리 유닛의 제2 원통형 배터리(1211)의 양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음의 커넥터(123)는 연결부(1231)와 복수의 빗살부들(1232)을 포함한다.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빗살부(1232)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2 방향 Y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제2 방향 Y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빗살부(1232)의 단부는 제2 음의 커넥터(123)의 연결부(123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빗살부(1232)는 제2 배터리 유닛들(121) 중 하나의 제2 배터리 유닛의 제2 원통형 배터리(1211)의 음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양극 커넥터(124)는 제2 양의 커넥터(122)의 연결부(1221)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음극 커넥터(125)는 제2 음의 커넥터(123)의 연결부(1231)에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의 제2 양극 커넥터(124)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의 제1 음극 커넥터(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의 제2 양의 커넥터(122)의 연결부(1221)와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의 제1 음의 커넥터(113)의 연결부(1131)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를 통해 흐르는 각 전류의 총 길이는 여전히 동일하다. 그 후, 배터리 병렬 장치(10)는 상이한 필요에 대해 다양한 상이한 설계를 가질 수 있으며, 배터리 병렬 장치(10)의 출력 전압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를 직렬로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더욱이, 배터리 병렬 장치(10)의 병렬 구조는 돌입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균형을 이룰 수 있으며, 배터리 병렬 장치(1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배터리 병렬 장치(10)가 방전되는 경우, 제2 원통형 배터리(1211C)를 통해 흐르며, 제2 음극 커넥터(125)에 가장 가까이 장착된 전류 C는, 제2 음극 커넥터(125)로부터 흐르고,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빗살부(1232) 상에서 짧은 제1 거리를 통해 흐르고, 그 후 제2 원통형 배터리(1211C)의 음극으로 흐른다. 나아가, 전류 C가 제2 원통형 배터리(1211C)의 양극에서 흘러나오는 경우, 전류 C는 제2 양의 커넥터(122)의 빗살부(1222) 상에서 긴 제2 거리를 통해 흐르고, 그 후 제2 양극 커넥터(124)로 흐른다. 나아가, 전류 C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의 제1 음극 커넥터(115)로 흐른다.
전류 C가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로 흐르는 경우, 전류 C가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를 통해 상이한 경로들로 흐르는 총 경로 길이는 동일하다.
더욱이, 제2 양극 커넥터(124)에 가장 가까이 장착된 제2 원통형 배터리(1211D)를 통해 흐르는 전류 D는 제2 음극 커넥터(125)로부터 흐르고, 제2 음의 커넥터(125)의 빗살부(1232) 상에서 긴 제3 거리를 통해 흐르고, 그 후, 제2 원통형 배터리(1211D)의 음극으로 흐른다. 나아가, 전류 D가 제2 원통형 배터리(1211D)의 양극에서 흘러나오는 경우, 전류 D는 제2 양의 커넥터(122)의 빗살부(1222) 상에서 짧은 제4 거리를 통해 흐르고, 그 후 제2 양극 커넥터(124)로 흐른다. 나아가, 전류 D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의 제1 음극 커넥터(115)로 흐른다.
전류 D가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로 흐르는 경우, 전류 D가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를 통해 상이한 경로들로 흐르는 총 경로 길이는 동일하다.
동일한 이유로, 전류 C와 전류 D가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를 통해 흐르는 경우, 전류 C와 전류 D는 동일한 경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 후, 전류 C와 전류 D가 제1 음극 커넥터(115)로 흐르는 경우, 전류 C와 전류 D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에서 여전히 동일한 경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 병렬 장치(10)의 병렬 구조는 돌입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균형을 이룰 수 있으며, 배터리 병렬 장치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나아가, 도 7 및 도 8를 참조하면, 제2 배터리 유닛들(121) 중 하나의 제2 배터리 유닛의 제2 원통형 배터리(1211)은 2줄을 형성하도록 장착되며, 2개의 상이한 줄의 제2 원통형 배터리(1211)는 서로 어긋나 있다.
제2 양의 커넥터(122)의 빗살부(1222) 각각은 사각형 시트이다. 제2 양의 커넥터(122)의 빗살부(1222)의 각각은 복수의 용접부들(1223)을 포함한다. 제2 양의 커넥터(122)의 빗살부들(1222) 중 하나의 빗살부의 용접부(1223)는 제2 양의 커넥터(122)의 빗살부(1222) 중 상기 하나의 빗살부의 방향이 반대인 양 측면에 장착되어 있고, 제2 양의 커넥터(122)의 용접부(1223)는 제2 배터리 유닛들(121) 중 하나의 제2 배터리 유닛의 제2 원통형 배터리(1211)의 양극에서 각각 용접된다.
제2 양의 커넥터(122)의 용접부들(1222) 각각은 연장된 구멍(elongate hole)(1220)을 각각 포함한다. 연장된 구멍(1220)은 제2 양의 커넥터(122)의 빗살부(1222)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고, 제2 방향 Y를 따라 각각 형성되어, 제2 양의 커넥터(122)의 빗살부(1222)를, 용접부(1223)가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된 대향하는 측면으로 분리한다.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빗살부(1232) 각각은 사각형 시트이다.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빗살부(1232)의 각각은 복수의 용접부들(1233)을 포함한다.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빗살부들(1232) 중 하나의 빗살부의 용접부(1233)는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빗살부들(1232) 중 상기 하나의 빗살부의 방향이 반대인 양 측면에 장착되어 있고, 제2 음의 커넥터(123)의 용접부(1233)는 제2 배터리 유닛들(121) 중 하나의 제2 배터리 유닛의 제2 원통형 배터리(1211)의 양극에서 각각 용접된다.
제2 음의 커넥터(123)의 용접부들(1232) 각각은 연장된 구멍(elongate hole)(1230)을 포함한다. 연장된 구멍(1230)은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빗살부(1232)의 중간에 형성되어 있고, 제2 방향 Y를 따라 각각 형성되어,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빗살부(1232)를, 용접부(1223)가 서로 반대 편에 장착된 대향하는 측면으로 분리한다.
나아가, 제2 양의 커넥터(122)의 빗살부(1222)는 제2 양의 커넥터(122)의 연결부(1221)에 직교하고,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빗살부(1232)는 제2 음의 커넥터(123)의 연결부(1231)에 직교한다.
앞서 언급된 동일한 이유로, 제2 원통형 배터리(1211)의 양극으로부터 흐르는 전류는, 빗살부(1222)의 연장된 구멍(1220)에 의해 나누어질 수 있으며, 나누어진 전류의 흐름 방향은 돌입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제한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원통형 배터리(1211)의 음극으로부터 흐르는 전류는 빗살부(1232)의 연장된 구멍(1230)에 의해 나누어질 수 있으며, 돌입 전류가 감소될 수 있다.
더욱이, 제2 방향 Y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양의 커넥터(122)의 빗살부(1222)의 단부는 틈(도시되지 않음)을 각각 포함하며, 제2 양의 커넥터(122)의 빗살부(1222)의 틈은 제2 양의 커넥터(122)의 빗살부(1222)의 연장된 구멍(122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2 방향 Y를 향하는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빗살부(1232)의 단부는 틈(도시되지 않음)을 각각 포함하며,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빗살부(1232)의 틈은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빗살부(1232)의 연장된 구멍(123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빗살부(1232)의 틈과 제2 양의 커넥터(122)의 빗살부(1222)의 틈은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빗살부(1232)와 제2 양의 커넥터(122)의 빗살부(1222)에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음의 커넥터(123)의 빗살부(1232)와 제2 양의 커넥터(122)의 빗살부(1222)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흐름 방향은 더 제한될 수 있으며, 돌입 전류가 더 감소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배터리 병렬 장치(10)는 쉘(shell)(13)을 더 포함한다. 쉘(13)은 수용 공간(130), 제1 하프 쉘(131), 제2 하프 쉘(132), 복수의 제1 배터리 전극 개구들(1311) 및 복수의 제2 배터리 전극 개구들(1321)을 포함한다. 쉘(13)은 제1 하프 쉘(131)과 제2 하프 쉘(132)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배터리 전극 개구(1311)는 제1 하프 쉘(131)의 벽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배터리 전극 개구(1321)는, 제1 배터리 전극 개구(1311)를 가지는 벽에 맞은 편에 있는 제2 하프 쉘(132)의 벽에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의 제1 배터리 유닛(111)의 제1 원통형 배터리(1111)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의 제2 배터리 유닛(121)의 제2 원통형 배터리(1211)는 쉘(13)의 수용 공간(130)에 장착되어 있다. 제1 원통형 배터리(1111)의 양극은 쉘(13)의 제1 배터리 전극 개구(1311) 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고, 제2 원통형 배터리(1211)의 음극은 쉘(13)의 제2 배터리 전극 개구(1321) 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의 제1 양의 커넥터(112)는 제2 하프 쉘(132)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고, 제2 배터리 전극 개구(1321)를 통해 제1 원통형 배터리(1111)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의 제1 음의 커넥터(113)는 제1 하프 쉘(131)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고, 제1 배터리 전극 개구(1311)를 통해 제1 원통형 배터리(1111)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나아가,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의 제2 양의 커넥터(122)는 제1 하프 쉘(131)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고, 제1 배터리 전극 개구(1311)를 통해 제2 원통형 배터리(1211)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의 제2 음의 커넥터(123)는 제2 하프 쉘(132)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고, 제2 배터리 전극 개구(1321)를 통해 제2 원통형 배터리(1211)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욱이,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의 제2 양극 커넥터(124)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의 제1 음극 커넥터(1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배터리 병렬 장치(10)는 상이한 필요에 대해 다양한 상이한 설계를 가질 수 있으며, 배터리 병렬 장치(10)의 출력 전압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11)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12)를 직렬로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그 동안, 돌입 전류는 감소될 수 있으며, 배터리 병렬 장치(10)의 수명은 연장될 수 있다.
도 12,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배터리 병렬 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21)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21)는 복수의 제1 배터리 유닛들(211), 제1 양의 커넥터(212), 제1 음의 커넥터(213), 제1 양극 커넥터(214) 및 제1 음극 커넥터(215)를 포함한다.
각 제1 배터리 유닛(211)은 파우치형 배터리이고, 배터리 코어(2111), 제1 쉘(2112), 및 제2 쉘(2113)을 포함한다. 배터리 코어(2111)는 제1 쉘(2112)과 제2 쉘(2113) 사이에 장착된다. 제1 배터리 유닛(211)의 배터리 코어들(2111) 각각은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며, 배터리 코어(2111)의 양극은 동일한 방향을 향한다.
제1 양의 커넥터(212)는 연결부(2121)와 복수의 빗살부들(2122)을 포함한다. 빗살부(2122)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1 방향 X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제1 방향 X를 향하는 빗살부(2122)의 단부는 연결부(2121)에 연결되어 있고, 빗살부(2122)는 제1 배터리 유닛들(211) 중 하나의 제1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 코어(2111)의 양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음의 커넥터(213)는 연결부(2131)와 복수의 빗살부들(2132)을 포함한다. 제1 음의 커넥터(213)의 빗살부(2132)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1 방향 X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제1 방향 X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음의 커넥터(213)의 빗살부(2132)의 단부는 제1 음의 커넥터(213)의 연결부(2131)에 연결되어 있고, 제1 음의 커넥터(213)의 빗살부(2132)는 제1 배터리 유닛들(211) 중 하나의 제1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 코어(2111)의 음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양극 커넥터(214)는 제1 양의 커넥터(212)의 연결부(2121)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음극 커넥터(215)는 제1 음의 커넥터(213)의 연결부(2131)에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병렬 장치(20)가 부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방전되는 경우, 배터리 병렬 장치(20) 내부에 흐르는 전류는 제1 음극 커넥터(215)로부터 제1 양극 커넥터(214)에 흐른다. 위에 따르면, 상이한 제1 배터리 유닛(211)을 통해 각각 흐르는 배터리 병렬 장치(20) 내부의 전류의 경로 길이는 동일하다. 따라서 배터리 병렬 장치(10)의 병렬 구조는 균형을 이룰 수 있으며, 배터리 병렬 장치(10)의 수명은 연장될 수 있다.
배터리 병렬 장치(2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22)를 더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22)는 복수의 제2 배터리 유닛들(221), 제2 양의 커넥터(222), 제2 음의 커넥터(223), 제2 양극 커넥터(224) 및 제2 음극 커넥터(225)를 포함한다.
각 제2 배터리 유닛(221)은 파우치형 배터리이고, 배터리 코어(2211), 제1 쉘(2212), 및 제2 쉘(2213)을 포함한다. 배터리 코어(2211)는 제1 쉘(2212)과 제2 쉘(2213) 사이에 장착된다. 제2 배터리 유닛(221)의 배터리 코어들(2211) 각각은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며, 제2 배터리 유닛(221)의 배터리 코어(2211)의 양극은 동일한 방향을 향한다.
제2 양의 커넥터(222)는 연결부(2221)와 복수의 빗살부들(2222)을 포함한다. 제2 양의 커넥터(222)의 빗살부(2222)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2 방향 Y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제2 방향 Y를 향하는 빗살부(2222)의 단부는 제2 양의 커넥터(222)의 연결부(222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양의 커넥터(222)의 빗살부(2222)는 제2 배터리 유닛들(221) 중 하나의 제2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 코어(2211)의 양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음의 커넥터(223)는 연결부(2231)와 복수의 빗살부들(2232)을 포함한다. 제2 음의 커넥터(223)의 빗살부(2232)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2 방향 Y를 따라 장착되어 있다. 제2 방향 Y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음의 커넥터(223)의 빗살부(2232)의 단부는 제2 음의 커넥터(223)의 연결부(2231)에 연결되어 있고, 제2 음의 커넥터(223)의 빗살부(2232)는 제2 배터리 유닛들(221) 중 하나의 제2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 코어(2211)의 음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2 양극 커넥터(224)는 제2 양의 커넥터(222)의 연결부(2221)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음극 커넥터(225)는 제2 음의 커넥터(223)의 연결부(2231)에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22)의 제2 양극 커넥터(224)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21)의 제1 음극 커넥터(2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22)의 제2 양의 커넥터(222)의 연결부(2221)와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21)의 제1 음의 커넥터(213)의 연결부(2131)는 일체로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21)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22)는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21)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22)를 통해 흐르는 각 전류의 총 길이는 여전히 동일하다. 그 후, 배터리 병렬 장치(20)는 상이한 필요에 대해 다양한 상이한 설계를 가질 수 있고, 배터리 병렬 장치(20)의 출력 전압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21)와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22)를 직렬로 또는 병렬로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더욱이, 배터리 병렬 장치(20)의 병렬 구조는 돌입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균형을 이룰 수 있으며, 배터리 병렬 장치(2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Claims (15)

  1.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는,
    복수의 제1 배터리 유닛들 - 상기 제1 배터리 유닛들 각각은 복수의 제1 배터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배터리들 각각은 양극과 음극을 포함함 - ;
    상기 제1 배터리 유닛들의 제1 배터리들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양의 커넥터;
    상기 제1 배터리 유닛들의 제1 배터리들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음의 커넥터;
    상기 제1 양의 커넥터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양극 커넥터;
    상기 제1 양극 커넥터와 상기 제1 배터리들의 각각의 양극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전류 경로들;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음극 커넥터; 및
    상기 제1 음극 커넥터와 상기 제1 배터리들의 각각의 음극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전류 경로들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터리들 각각은, 동일한 제1 배터리에 대응하는 제1 전류 경로의 길이와 제2 전류 경로의 길이의 합인 총 경로 길이를 가지며, 모든 제1 배터리들의 총 경로 길이는 서로 동일한, 배터리 병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류 경로들 각각의 길이는 상기 제1 음극 커넥터와 각각의 제1 배터리 사이의 거리이며, 상기 제1 배터리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1 전류 경로들은 서로 상이하고,
    상기 제2 전류 경로 각각의 길이는 상기 제1 양극 커넥터와 각각의 제1 배터리 사이의 거리이며, 상기 제1 배터리들 각각에 대응하는 제2 전류 경로들은 서로 상이한, 배터리 병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의 상기 제1 배터리 유닛들의 제1 배터리들은 제1 원통형 배터리들이고, 상기 제1 원통형 배터리들은 제1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원통형 배터리들의 양극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1 배터리 유닛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양의 커넥터는,
    연결부; 및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빗살부들(comb parts) -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빗살부들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빗살부들은 상기 제1 배터리 유닛들 중 하나의 제1 배터리 유닛의 제1 원통형 배터리들의 양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음의 커넥터는,
    연결부; 및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빗살부들 -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단부는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은 상기 제1 배터리 유닛들 중 하나의 제1 배터리 유닛의 제1 원통형 배터리들의 음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양극 커넥터는 상기 제1 양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음극 커넥터는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 병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의 제1 배터리 유닛들 중 하나의 제1 배터리 유닛의 제1 원통형 배터리들은 2줄을 형성하도록 장착되며, 2개의 상이한 줄의 제1 원통형 배터리들은 서로 어긋나 있고,
    상기 제1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각각은 사각형 시트이고, 상기 제1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각각은 복수의 용접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중 하나의 빗살부의 용접부들은 상기 제1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중 상기 하나의 빗살부의 방향이 반대인 양 측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양의 커넥터의 용접부들은 상기 제1 배터리 유닛들 중 하나의 제1 배터리 유닛의 제1 원통형 배터리들의 양극에 각각 용접되어 있고,
    상기 제1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각각은 연장된 구멍(elongate hole)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연장된 구멍은, 상기 제1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중간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을, 상기 용접부들이 서로 반대 편에 장착되어 있는 대향하는 측면으로 분리하도록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각각은 사각형 시트이며,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각각은 복수의 용접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중 하나의 빗살부의 용접부들 각각은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중 상기 하나의 빗살부의 방향이 반대인 양 측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용접부들은 상기 제1 배터리 유닛들 중 하나의 제1 배터리 유닛의 제1 원통형 배터리들의 양극에서 각각 용접되고,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각각은 연장된 구멍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연장된 구멍은,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중간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을, 상기 용접부들이 서로 반대 편에 장착되어 있는 대향하는 측면으로 분리하도록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 병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단부는 각각 틈(gap)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틈은 상기 제1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연장된 구멍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빗살부들의 단부는 각각 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틈은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연장된 구멍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병렬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은 제1 양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직교하고,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은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직교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항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는,
    복수의 제2 배터리 유닛들 - 상기 제2 배터리 유닛들 각각은 복수의 제2 배터리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배터리들 각각은 양극과 음극을 포함함 - ;
    상기 제2 배터리 유닛들의 제2 배터리들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 양의 커넥터;
    상기 제2 배터리 유닛들의 제2 배터리들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 음의 커넥터;
    상기 제2 양의 커넥터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양극 커넥터;
    상기 제2 양극 커넥터와 상기 제2 배터리들의 각각의 양극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전류 경로들;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음극 커넥터; 및
    상기 제2 음극 커넥터와 상기 제2 배터리들의 각각의 음극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전류 경로들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터리들 각각은, 동일한 제2 배터리에 대응하는 제1 전류 경로의 길이와 제2 전류 경로의 길이의 합인 총 경로 길이를 가지며, 모든 제2 배터리들의 총 경로 길이는 서로 동일한,
    배터리 병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의 제2 배터리 유닛들의 제2 배터리들은 제2 원통형 배터리들이고, 상기 제2 원통형 배터리들은 제2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 원통형 배터리들의 양극은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상기 제2 배터리 유닛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2 양의 커넥터는,
    연결부; 및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빗살부들 - 상기 제2 방향을 향하는 빗살부들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빗살부들은 상기 제2 배터리 유닛들 중 하나의 제2 배터리 유닛의 제2 원통형 배터리들의 양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음의 커넥터는,
    연결부; 및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빗살부들 -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단부는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은 상기 제2 배터리 유닛들 중 하나의 제2 배터리 유닛의 제2 원통형 배터리들의 음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양극 커넥터는 상기 제2 양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음극 커넥터는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 병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의 제2 양의 커넥터의 연결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의 제1 음의 커넥터의 연결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배터리 병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의 제2 배터리 유닛들 중 하나의 제2 배터리 유닛의 제2 원통형 배터리들은 2줄을 형성하도록 장착되며, 2개의 상이한 줄의 제2 원통형 배터리들은 서로 어긋나 있고,
    상기 제2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각각은 사각형 시트이고, 상기 제2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각각은 복수의 용접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중 하나의 빗살부의 용접부들은 상기 제2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중 상기 하나의 빗살부의 방향이 반대인 양 측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 양의 커넥터의 용접부들은 상기 제2 배터리 유닛들 중 하나의 제2 배터리 유닛의 제2 원통형 배터리들의 양극에 각각 용접되어 있고,
    상기 제2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각각은 연장된 구멍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연장된 구멍은, 상기 제2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중간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을, 상기 용접부들이 서로 반대 편에 장착되어 있는 대향하는 측면으로 분리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각각은 사각형 시트이며, 제2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각각은 복수의 용접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중 하나의 빗살부의 용접부들 각각은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중 상기 하나의 빗살부의 방향이 반대인 양 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용접부들은 상기 제2 배터리 유닛들 중 하나의 제2 배터리 유닛의 제2 원통형 배터리들의 양극에서 각각 용접되고,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 각각은 연장된 구멍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연장된 구멍은,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중간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을, 상기 용접부들이 서로 반대 편에 장착되어 있는 대향하는 측면으로 분리하도록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각각 장착되어 있는, 배터리 병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단부는 각각 틈(gap)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틈은 상기 제2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연장된 구멍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방향을 향하는 빗살부들의 단부는 각각 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틈은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연장된 구멍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병렬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은 제2 양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직교하고,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은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직교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병렬 장치는 쉘(shell)을 더 포함하며,
    상기 쉘은
    수용 공간;
    제1 하프 쉘;
    상기 쉘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하프 쉘에 연결되어 있는 제2 하프 쉘;
    상기 제1 하프 쉘의 벽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1 배터리 전극 개구들; 및
    상기 제1 배터리 전극 개구들을 가지는 벽의 반대 편에 있는 벽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제2 배터리 전극 개구들
    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의 제1 배터리 유닛들의 제1 원통형 배터리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의 제2 배터리 유닛들의 제2 원통형 배터리들은 상기 쉘의 수용 공간 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원통형 배터리들의 양극은 상기 쉘의 제1 배터리 전극 개구들 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 원통형 배터리들의 음극은 상기 쉘의 제2 배터리 전극 개구들 내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의 제2 양의 커넥터는 상기 제1 하프 쉘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배터리 전극 개구들을 통해 상기 제2 원통형 배터리들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의 제1 음의 커넥터는 상기 제1 하프 쉘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배터리 전극 개구들을 통해 상기 제1 원통형 배터리들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의 제2 양의 커넥터는 상기 제1 하프 쉘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배터리 전극 개구들을 통해 상기 제2 원통형 배터리들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의 제2 음의 커넥터는 상기 제2 하프 쉘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 배터리 전극 개구들을 통해 상기 제2 원통형 배터리들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배터리 병렬 장치.
  14.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병렬 기기는,
    복수의 제1 배터리 유닛들 - 상기 제1 배터리들 각각은 파우치형(pouch type) 배터리이며, 배터리 코어(battery core), 제1 쉘(shell) 및 제2 쉘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코어는 상기 제1 쉘과 상기 제2 쉘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배터리 유닛들의 배터리 코어들 각각은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코어들의 양극은 동일한 방향을 향함 - ;
    연결부와 복수의 빗살부들을 포함하는 제1 양의 커넥터 - 상기 빗살부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1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빗살부들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빗살부들은 상기 제1 배터리 유닛들 중 하나의 제1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 코어의 양극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 ;
    연결부와 복수의 빗살부들을 포함하는 제1 음의 커넥터 -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단부는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은 상기 제1 배터리 유닛들 중 하나의 제1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 코어들의 음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 ;
    상기 제1 양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양극 커넥터; 및
    상기 제1 음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음극 커넥터
    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병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병렬 기기는,
    복수의 제2 배터리 유닛들 - 상기 제2 배터리들 각각은 파우치형 배터리이며, 배터리 코어, 제1 쉘 및 제2 쉘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코어는 상기 제1 쉘과 상기 제2 쉘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배터리 유닛들의 배터리 코어들 각각은 양극과 음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배터리 유닛들의 배터리 코어들의 양극은 동일한 방향을 향함 - ;
    연결부와 복수의 빗살부들을 포함하는 제2 양의 커넥터 - 상기 제2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2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 방향을 향하는 제2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단부는 상기 제2 양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양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은 상기 제2 배터리 유닛들 중 하나의 제2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 코어들의 양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 ;
    연결부와 복수의 빗살부들을 포함하는 제2 음의 커넥터 -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은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2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의 단부는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빗살부들은 상기 제2 배터리 유닛들 중 하나의 제2 배터리 유닛의 배터리 코어들의 음극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 ;
    상기 제2 양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양극 커넥터; 및
    상기 제2 음의 커넥터의 연결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음극 커넥터
    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
KR1020170068053A 2016-11-08 2017-05-31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 KR101978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5136190A TWI637547B (zh) 2016-11-08 2016-11-08 Battery parallel device with equal resistance charge and discharge path
TW105136190 2016-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270A true KR20180068270A (ko) 2018-06-21
KR101978263B1 KR101978263B1 (ko) 2019-05-14

Family

ID=62065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053A KR101978263B1 (ko) 2016-11-08 2017-05-31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80227B2 (ko)
JP (1) JP6368823B2 (ko)
KR (1) KR101978263B1 (ko)
TW (1) TWI63754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158A (ko) * 2018-09-10 2020-03-18 (주)에너담 복수의 배터리셀 전극 배선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시스템
KR20220064752A (ko) *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배터리의 단자 연결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107A1 (ja) * 2017-12-19 2019-06-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バスバー及び電池積層体
USD875668S1 (en) * 2018-04-25 2020-02-18 Zhongpeng Jiao Battery case
TWI702771B (zh) * 2018-12-19 2020-08-21 大陸商太普動力新能源(常熟)股份有限公司 具有兩種不同的電池模組的儲能系統
HRP20230516T1 (hr) * 2019-01-16 2023-09-29 Scio Technology Gmbh Modul baterijskog članka, uređaj za pozicioniranje namijenjen proizvodnji modula baterijskih članaka i postupak proizvodnje modula baterijskih članaka
CN110957459A (zh) * 2019-11-13 2020-04-03 新盛力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模块
CN114597597B (zh) * 2022-01-24 2022-09-13 福建时代星云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包的电芯排布结构及其排布方法
WO2024004504A1 (ja) * 2022-06-30 2024-01-04 パナソニックエナジー株式会社 電池パック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7753A (ja) * 1999-12-13 2001-06-22 Net Kk 蓄電池接続装置
KR20080025431A (ko) * 2006-09-18 2008-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균일 분배형 버스 바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20080036668A (ko) * 2006-10-23 2008-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균일 분배형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20100134111A (ko) * 2008-04-14 2010-12-22 에이일이삼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플랙시블 전압 네스트형 배터리 모듈 디자인
JP2011253641A (ja) * 2010-05-31 2011-12-15 Sony Corp 電池ユニット
KR101201066B1 (ko) * 2011-06-14 2012-11-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8392A (en) * 1995-02-17 1996-11-26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Cylindrical cell, a cell pack, and a cell holder
TW200629628A (en) 2005-02-04 2006-08-16 Li-Han Yao Battery pack
JP2011065794A (ja) 2009-09-16 2011-03-31 Toshiba Corp 二次電池モジュール
JP5699536B2 (ja) * 2010-10-26 2015-04-15 ソニー株式会社 電池ユニット
WO2013131551A1 (en) * 2012-03-05 2013-09-12 Husqvarna Ab Electrically symmetrical battery cell connector
JP2014123517A (ja) * 2012-12-21 2014-07-03 Denso Corp 組電池
WO2014155410A1 (ja) 2013-03-25 2014-10-02 三洋電機株式会社 蓄電池システム
US9755212B2 (en) * 2014-11-11 2017-09-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Traction battery busbar carriers for pouch battery cells
CN105244533A (zh) * 2015-11-09 2016-01-13 四川长虹电源有限责任公司 蓄电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7753A (ja) * 1999-12-13 2001-06-22 Net Kk 蓄電池接続装置
KR20080025431A (ko) * 2006-09-18 2008-03-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균일 분배형 버스 바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20080036668A (ko) * 2006-10-23 2008-04-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균일 분배형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KR20100134111A (ko) * 2008-04-14 2010-12-22 에이일이삼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플랙시블 전압 네스트형 배터리 모듈 디자인
JP2011253641A (ja) * 2010-05-31 2011-12-15 Sony Corp 電池ユニット
KR101201066B1 (ko) * 2011-06-14 2012-11-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158A (ko) * 2018-09-10 2020-03-18 (주)에너담 복수의 배터리셀 전극 배선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시스템
KR20220064752A (ko) * 2020-11-12 2022-05-1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배터리의 단자 연결 유닛
US11901584B2 (en) 2020-11-12 2024-02-13 Sungwoo Hitech Co., Ltd. Connection structure of terminal for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30990A1 (en) 2018-05-10
US10680227B2 (en) 2020-06-09
KR101978263B1 (ko) 2019-05-14
JP2018078782A (ja) 2018-05-17
TWI637547B (zh) 2018-10-01
JP6368823B2 (ja) 2018-08-01
TW201818587A (zh)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263B1 (ko) 동일한 임피던스를 가지는 충전 경로와 방전 경로를 포함하는 배터리 병렬 장치
JP4937915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における電池の電圧および温度の測定用部材
KR20210092721A (ko) 직렬 배터리팩 용량 온라인 모니터링과 충방전 듀얼 상태 등화 회로 및 방법
JP6310592B2 (ja) 巻き式蓄放電装置の電極ユニット
RU2490755C1 (ru) Блок батарей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лока батарей
CN108604715B (zh) 电池组件和充放电控制方法
EP2079145B1 (en) Charger for battery packs and combination of battery packs and a charger
WO2010147384A2 (ko) 기구물체결방식의 유닛팩 조합형 셀 카트리지
KR20170054878A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20120219845A1 (en) Secondary battery
CN103247771A (zh) 可再充电电池组件和包括其的可再充电电池组
KR101441900B1 (ko) 배터리 팩 구조
CN105393401B (zh) 检测机构
US20120189887A1 (e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made of flat cells and frame elements with a supply channel
KR20120057385A (ko) 전기 자동차의 누전 검출 장치
KR20120120675A (ko) 셀의 신호 처리를 위한 센싱 어셈블리를 가지는 배터리
JP2001006644A (ja) 組電池
KR102657580B1 (ko) 변형 가능 직병렬 연결 구조를 갖는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0809846B1 (ko) 셀 밸런싱을 위한 지그
CN206541879U (zh) 具有等电阻充放电路径的电池并联装置
CN108063193B (zh) 具有等电阻充放电路径的电池并联装置
JP2013182788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その充電制御方法
KR20170052989A (ko)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CN208127267U (zh) 电池组
TWM539705U (zh) 具有等電阻充放電路徑的電池並聯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