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080A - 탄환 - Google Patents

탄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080A
KR20180068080A KR1020160169671A KR20160169671A KR20180068080A KR 20180068080 A KR20180068080 A KR 20180068080A KR 1020160169671 A KR1020160169671 A KR 1020160169671A KR 20160169671 A KR20160169671 A KR 20160169671A KR 20180068080 A KR20180068080 A KR 20180068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
nodes
end portion
nod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수호
Original Assignee
백수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수호 filed Critical 백수호
Priority to KR1020160169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8080A/ko
Publication of KR20180068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0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32Range-reducing or range-increasing arrangements; Fall-retarding means
    • F42B10/38Range-increasing arrangements
    • F42B10/42Streamlined projectiles
    • F42B10/44Boat-tails specially adapted for drag re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02Stabilising arrangements
    • F42B10/14Stabilising arrangements using fins spread or deployed after launch, e.g. after leaving the barrel
    • F42B10/20Stabilising arrangements using fins spread or deployed after launch, e.g. after leaving the barrel deployed by combustion gas pressure, or by pneumatic or hydraulic fo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0/00Means for influencing, e.g. improving, the aerodynamic properties of projectiles or missiles; Arrangements on projectiles or missiles for stabilising, steering, range-reducing, range-increasing or fall-retarding
    • F42B10/32Range-reducing or range-increasing arrangements; Fall-retarding means
    • F42B10/38Range-increasing arrangements
    • F42B10/42Streamlined projectiles
    • F42B10/46Streamlined nose cones; Windshields; Rado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후미가 다단으로 형성되고, 화약으로 팽창되는 탄도 안정날개를 갖는 탄환에 관한 것으로서, 통상의 총기용 탄환에 있어서, 일단에 첨두가 형성되고, 일단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되는 선단부와; 선단부의 후면에서부터 단면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마디가, 단면직경이 큰 마디부터 작은 마디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후단부;로 이루어짐으로써, 공지의 탄환생산원가 및 생산공정의 증가 없이 기존의 탄환성형용 프레스금형의 형상 수정만으로 기존과 동일한 탄환생산설비, 동일한 생산공정, 동일한 질량과 동일한 무개의 탄환 원재료, 동일한 질량의 추진장약, 공지의 동일한 탄피 사용이 가능하게하면서, 발사 시 탄환후미에서 추진력 면적을 갖추면서, 비행 중에는 공기의 와류현상을 감소함으로써 탄환의 사거리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조준점과 탄착점의 오차를 감소시켜 명중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도 궤적을 안정시킬 수 있는 안정날개가 복잡한 공정 없이도 격발로 인한 화약 폭발로 생성되게 함으로써 종래에는 뛰어난 정확도에도 불구하고 생산비용으로 인하여 사장된 돌격소총 또는 저격용 활강총의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는 탄환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탄환{Bullet}
본 발명은 총기용 탄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미가 다단으로 형성되고, 화약으로 팽창되는 탄도 안정날개를 갖는 탄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권총, 소총 등에 사용되는 실탄 및 곡사포, 함포, 전차 등에 사용되는 포탄은 발사체 역할을 하는 탄환 과 추진체 역할을 하는 추진장약, 추진장약을 점화시키는 뇌관 그리고 이들 탄환, 추진장약 및 뇌관을 감싸고 있는 탄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탄환은 격발장치가 뇌관을 작동시키면 추진장약이 순간적으로 발화되어 연소되면서 폭발을 하게 되는데, 이때의 강한 열과 높은 압력의 가스에 의해 탄환과 탄피가 분리되면서 탄환이 총신 또는 포신을 통과하여 목표를 향해 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원리의 실탄 및 포탄의 탄환형상은 대부분이 후미부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트 테일(boat-tail) 형상으로 되어 있어 탄환후방에서 와류저항이 발생됨으로써, 공기저항이 증가되어 사거리감소 현상이 일어날 뿐만 아니라 비행하는 탄환의 전후방 기압차가 심하여 탄환의 흔들림이 발생됨으로써 조준점과 탄착점의 오차로 인하여 명중률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트 테일(boat-tail) 형상의 탄환후미를 후방으로 유선형 형상을 연장 형성한 방법이 있으나, 이는 탄환 후미에 발생되는 와류저항은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으나, 테일부가 유선형을 가짐으로써 탄피내부에서 추진장약의 폭발에 의한 추진력을 받는 탄환후미의 면적이 지나치게 좁아져 추진효율이 저하되며, 또한 탄환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종래기술인 특허등록공보 제10-0843573호(등록일자: 2008. 06. 27) '탄약'에서는 탄피(10) 개방부(14)에 밀폐하는 웨드(Wad)(40)가 구비되고, 몸체부(42)와 몸체부(42) 내부에 설치되는 탄환소켓부(44)가 구비되어 발사시 탄환과 탄피에서 웨드(Wad)가 분리됨으로써 후미 와류 현상이 해결되면서 추진력도 얻을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다만, 별도의 웨드(Wad)를 제작하여 삽입하는 방식의 탄환 제조에는 제조비용이 너무 많이 들므로, 대량생산이 요구되는 탄환 제조에 적용되기 힘든 문제가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종래기술인 특허등록공보 제10-0437008호(등록일자: 2004. 06. 11) '탄두'에서는 탄두에 공기 흐름을 강선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유도시키는 유도체가 형성되어 탄두가 우경사를 이루며 진행함으로써 유효 사거리가 감소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곧바르게 전진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된다. 그런데 이 기술에 따르면 탄환에 일일이 날개, 축, 스프링을 설치해야 하므로 탄환의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의 소요가 커서 상용화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종래기술인 특허등록공보 제10-1021055호(등록일자: 2011. 03. 03) '공기안내홈이 형성된 탄환'에서는 탄환이 헤드부(20)와; 상기 헤드부(20)의 후방에 위치하며, 그 외주면 및 저면에 걸쳐 만곡된 형상의 공기안내홈(32)이 복수이며 홀수 개 형성되는 테일부(30)로 이루어지고, 공기안내홈(32)은 상기 테일부(30)의 저면으로 갈수록 그 깊이가 깊어지도록 바닥이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함으로써, 탄환 후방에서의 와류 생성이 억제되어 유효사거리와 명중률이 대폭 연장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에 따르면 후방은 여전히 평면 형상이며, 공기안내 홈을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도 양이 많지 않아 탄환 후방이 진공이 됨으로써 선단부에 공기 저항이 상쇄되지 않을 뿐 아니라, 공기안내홈의 형상 자체도 곡면이면서 굴곡 형태로 형성되어야 하므로 제작의 난이도가 높아 결국 생산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공지의 탄환생산원가 및 생산공정의 증가 없이 기존의 탄환성형용 프레스금형의 형상 수정만으로 기존과 동일한 탄환생산설비, 동일한 생산공정, 동일한 질량과 동일한 무개의 탄환 원재료, 동일한 질량의 추진장약, 공지의 동일한 탄피 사용이 가능하게하면서, 발사 시 탄환후미에서 추진력 면적을 갖추면서, 비행 중에는 공기의 와류현상을 감소함으로써 탄환의 사거리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조준점과 탄착점의 오차를 감소시켜 명중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도 궤적을 안정시킬 수 있는 안정날개가 복잡한 공정 없이도 격발로 인한 화약 폭발로 생성되게 함으로써 종래에는 뛰어난 정확도에도 불구하고 생산비용으로 인하여 사장된 돌격소총 또는 저격용 활강총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는 탄환에 대한 기술이 요청된다.
특허등록공보 제10-0843573호(등록일자: 2008. 06. 27)
특허등록공보 제10-0437008호(등록일자: 2004. 06. 11)
특허등록공보 제10-1021055호(등록일자: 2011. 03. 03)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공지의 탄환생산원가 및 생산공정의 증가 없이 기존의 탄환성형용 프레스금형의 형상 수정만으로 기존과 동일한 탄환생산설비, 동일한 생산공정, 동일한 질량과 동일한 무개의 탄환 원재료, 동일한 질량의 추진장약, 공지의 동일한 탄피 사용이 가능하게하면서, 발사 시 탄환후미에서 추진력 면적을 갖추면서, 비행 중에는 공기의 와류현상을 감소함으로써 탄환의 사거리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조준점과 탄착점의 오차를 감소시켜 명중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도 궤적을 안정시킬 수 있는 안정날개가 복잡한 공정 없이도 격발로 인한 화약 폭발로 생성되게 함으로써 종래에는 뛰어난 정확도에도 불구하고 생산비용으로 인하여 사장된 돌격소총 또는 저격용 활강총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는 탄환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탄환은 통상의 총기용 탄환에 있어서, 일단에 첨두가 형성되고, 일단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되는 선단부와; 선단부의 후면에서부터 단면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마디가, 단면직경이 큰 마디부터 작은 마디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후단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단부는 첨두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점차 단면 직경이 확대되어 후면의 단면 직경이 가장 크게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마디 사이의 단차면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마디 중 최 후단의 마디 또는 최 후단의 마디 및 최 후단의 마디로부터 차례로 인접되는 일정 개수의 마디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정 개수의 마디 중 어느 하나는 외주면에 개방형 곡선 형태 또는, 어느 한 변을 제외한 다각형 형상의 펀칭으로 형성되는 팽창안정날개가 구비된다.
또는 상기 일정 개수의 마디 중 어느 하나는 외주면에 개방형 곡선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에서 어느 한 변을 제외한 형상의 홈이나 크랙으로 형성되는 팽창안정날개가 구비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팽창안정날개는 상기 일정 개수의 마디 중 어느 하나의 중공에 충진된 화약의 폭발로 인하여 상기 마디의 단면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대칭되게 펼쳐진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팽창안정날개가 펼쳐진 상태에서 날개 끝단을 잇는 원의 직경은 상기 선단부의 최대 단면직경보다 크게 제작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단부에서 길이방향의 일정 구간은 단면직경이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되는 병목구간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탄환은 공지의 탄환생산원가 및 생산공정의 증가 없이 기존의 탄환성형용 프레스금형의 형상 수정만으로 기존과 동일한 탄환생산설비, 동일한 생산공정, 동일한 질량과 동일한 무개의 탄환 원재료, 동일한 질량의 추진장약, 공지의 동일한 탄피 사용이 가능하게하면서, 발사 시 탄환후미에서 추진력 면적을 갖추면서, 비행 중에는 공기의 와류현상을 감소함으로써 탄환의 사거리를 증가시킴과 동시에 조준점과 탄착점의 오차를 감소시켜 명중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도 궤적을 안정시킬 수 있는 안정날개가 복잡한 공정 없이도 격발로 인한 화약 폭발로 생성되게 함으로써 종래에는 뛰어난 정확도에도 불구하고 생산비용으로 인하여 사장된 돌격소총 또는 저격용 활강총의 제조가 가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내지 도 5는 종래기술을 나타내는 도면,
도 6a는 통상의 탄환과 본 발명에 따른 탄환을 비교하여 도시한 도면,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탄환이 탄피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탄환의 측면도 및 배면도,
도 6d는 도 6a 내지 6c의 변형 실시예,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탄환에 팽창안정날개가 적용된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서 팽창안정날개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탄환이 활강총에 적용되는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b는 도 8a에 병목구간이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탄환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는 선단부(10)와 후단부(20)가 외관상 구분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참고로 도 6a에서 왼쪽의 점선은 통상의 종래 탄환(A)을 나타내며, 오른쪽의 실선은 본 발명에 따른 탄환을 나타낸다.
선단부(10)는 도 6a를 기준으로 할 때 왼쪽 끝단으로부터 유선형의 일부와 유사하게 점차적으로 단면 직경이 증가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후단부(20)는 도 6a를 기준으로 할 때 선단부(10)의 후면부터 오른쪽에 단면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마디(22-1,2,3)가 단면직경이 큰 것부터 작은 것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복수개의 마디(22-1,2,3 ) 각각은 도 6a에서 볼 때, 각 마디의 오른쪽에 인접되는 마디가 단면 직경이 더 작으므로 단차면(21-1,2,3,4,12,13)이 형성된다. 첫 번째 단차면(21-1)은 선단부(10)의 후면의 가장자리가 되고, 두 번째 단차면(21-2)은 첫 번째 마디(22-1)의 후면 가장자리가 되며, 순차적으로 세 번째 단차면(21-3)은 두 번째 마디(22-2)의 후면 가장자리가 된다.
탄환이 추진력을 얻기 위해서는 탄환 후면이 넓을수록 유리하지만, 앞서 배경기술 란에서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탄환 후면이 넓으면 넓을수록 와류 또는 진공상태가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탄환 선단 측에서 받는 공기 저항으로 인하여 탄환의 추진은 저항을 받게 된다.
따라서 탄환의 고속 전진으로 인하여 탄환 후면이 진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면서도 탄환이 최초 추진력을 충분히 받을 수 있을 정도로 후면 면적이 확보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계단식으로 점차 직경이 감소되는 형태의 후단부(20)를 가짐으로써 탄환 측면의 공기층이 탄환의 배후로 가면서 바로 이탈 또는 박리되지 않고 탄환의 최고 후단까지 유지되어 공기 저항이 감쇠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원리는 골프공의 딤플의 원리와 유사하다. 골프공의 딤플은 골프공이 날라갈 때 골프공 정면과 측면의 공기층이 골프공 후면으로 밀려나면서 바로 박리되지 않고 골프공을 감싸듯이 후면까지 공기층이 유지되게 함으로써 골프공이 날라갈 때 공기 박리로 인한 골프공 배면의 진공으로 초래되는 상대적 공기 저항을 방지시킨다.
다만 탄환에 골프공과 유사한 딤플을 형성시키는 것은 상당한 가공비용 증가가 초래되므로 골프공의 딤플을 탄환에 바로 적용시키기는 힘들다. 특히 탄환은 격발되는 순간에 화약의 폭발력을 수직으로 받을 수 있는 일정한 면적이 필요하다. 이러한 두 가지 요청이 모두 만족되도록 본 발명에서는 계단식으로 후단부(20)가 형성됨으로써 후단부(20)의 각 단차면(21-1,2,3,4,12,13)은 폭발력을 받을 수 있고, 또한 후단부(20)가 계단식으로 형성됨으로써 각 계단 층간의 공간이 골프공의 딤플과 유사한 작용을 하여 공기가 각 계단 층간, 즉 각 단차면(21-1,2,3,4,12,13)과 마디(22-1,2,3) 벽면간에서 유동하면서 부분난류가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곧바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특히 탄환 후단부(20)가 다단으로 형성되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발의 추진력을 받는 면은 종래 탄환(A)과 차이가 별로 없으면서도 종래 탄환(A)보다 부피가 훨씬 작게 제작될 수 있으므로 중량이 가벼워져서 동일한 화약으로도 훨씬 빠른 포구초속을 가질 수 있고 더욱 사거리가 증대될 수 있는 장점도 가지게 된다. 도 6b에서 종래 점선으로 표시된 종래 탄환(A)과 실선으로 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탄환의 부피를 비교하여 보면 이러한 점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단차면(21-1,2,3,4,12,13) 테두리를 이루는 각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됨으로써 탄환의 후단부(20)는 전체적으로 유선형의 꼬리와 유사한 형태에 더욱 가까워지게 되어 공기 이탈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되면서 유선형의 장점을 살려 공기 저항이 더욱 최소화된다.
그리고 도 6d에 도시된 것처럼 각 마디(22-1,2,3) 길이를 최대한 짧게 해서 보다 많은 마디(22-1,2,3)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탄환은 폭발력을 받는 면은 유지되면서도 또한 전체 형상이 더욱 유선형에 근접하므로 공기 저항이 더욱 최소화될 수 있다.
이처럼 후단부(20)의 각 단차면(21-1,2,3,4,12,13) 모서리마다 곡선으로 형성되면, 화약의 폭발력을 받는 면은 도 6c의 오른쪽에 도시된 동심원에서 가장 안쪽 동심원 구간인 세 번째 단차면(21-3)과, 안쪽에서 세 번째 구간인 두 번째 단차면(21-2) 및 안쪽에서 다섯 번째 구건안 첫 번째 단차면(21-1)이 화약의 폭발력을 정면으로 받게 된다. 그런데 도 6c에서 동심원으로 구분되는 면적 중 중심에서부터 두 번째, 네 번째, 그리고 최 외곽의 여섯 번째 구간은 둥근 모서리 부위이므로 폭발력을 정면으로 받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공기저항을 최소화시키는 후단부(20) 형상의 장점을 유지시키면서도 폭발력은 종래 탄환보다 더욱 확실하게 받을 수 있도록 도 7a에서는 후단부를 이루는 복수개의 마디 중 최 후단의 마디(22-2) 및 그에 인접한 일정 개수의 마디(도 7a에서는 22-1)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화약이 함께 채워짐으로써 종래 탄환 내지 그 이상의 폭발력을 가지면서 발사될 수 있다.
특히 이 경우 최 후단 또는 최 후단과 인접되는 상기 일정 개수의 마디 중 하나가 외주면에 방사상 대칭되게 일정한 간격으로 곡선 또는 어느 한 변을 제외한 다각형 형상의 펀칭이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펀칭으로 인하여 형성되는 절개선(23) 또는 홈(미도시)이 형성된 형상은 펀칭되거나 홈이 형성된 마디 내부의 화약이 폭발됨으로써 외측을 향하여 팽창됨으로써 외부를 향하여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날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의 날개를 팽창안정날개(24)라고 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팽창안정날개(24)가 화약이 폭발되면서 펼쳐지는 각도는 팽창안정날개(24)로 작용되게 절개선(23)이나 홈이 새겨지는 마디의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 두께 및 재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마디(도 7a에서는 22-2) 외주면에 팽창안정날개(24)의 생성을 위하여 펀칭으로 새겨지는 절개선(23)이나 홈의 형태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환의 진행 방향에 수직된 방향으로 세워지면서 탄환의 진행 방향에 저항으로 작용되지 않게 날이 진행방향과 일치되게 세워지기 위해서, 곡선일 경우에는 폐곡선이 아니라 개방된 형상의 곡선이며, 다각형일 경우에는 어느 한 변을 제외한 나머지 변들로 이루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다만 도 7a 및 7b에는 곡선이 아니라 다각형 중 사각형의 형태이며, 홈이 새겨지는 형태가 아니라 절개선(23)으로 이루어지는 형태이지만, 경우에 따라 곡선일 수도 있고 비행기 꼬리 날개처럼 사각형이 아닌 삼각형일 수도 있으며, 절개선(23)이 아닌 장홈(미도시)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개선(23)이나 홈이 새겨짐으로써 팽창안정날개(24)가 화약의 폭발로 형성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탄환은 종래에 복잡한 공정으로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어야만 생산 가능했던 안정날개가 부착된 탄환이 간단하고 저렴하게 대량생산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처럼 안정날개가 부착되는 탄환이 저렴하게 생산 가능할 경우에는 오랫동안 사용되던 강선 총이 아닌 활강 총신을 가진 총이 막강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왜냐하면, 최신 탱크 포탄으로는 많이 채용되는 활강포가 총에 적용되기 힘든 이유가 탱크의 활강포에 적용되는 날개안정분리탄(이하에서는 '날탄'이라 칭하기로 한다.)이 탄환에 적용되려면 제조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므로, 유사시에 대량으로 소비되는 것이 전제가 되는 탄환에는 적용되기 힘들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안정날개가 부착되는 탄환이 저렴하게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면, 오히려 복잡하고 더 비싼 비용이 소요되는 강선총 보다는 더 저렴하게 제작 가능하면서도, 탄환의 진행 궤도가 안정되어 정확도가 더욱 높고, 종래 탄환보다 더 가볍게 제작되어도 안정날개로 인하여 안정된 진행이 가능하여 같은 화약으로도 더욱 고속으로 멀리까지 추진 가능하므로 결과적으로 사거리와 정확도가 증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탄환은 진행 궤도 안정을 위해서 인위적으로 무게를 증가시키고 길이가 짧게 제작되는 종래 탄환과는 달리 관통력과 사거리 및 정확도 증대를 위해서 길게 제작될 수 있다. 도 8a에는 이와 같이 길게 제작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팽창안정날개(24)는 강선총에 적용될 경우에는 탄환이 비행 중 회전하므로 공기 저항을 유발시킬 수 있어서 팽창안정날개(24)가 펼쳐졌을 때의 최대 폭이 도 7a 및 도 7b 에서와 같이 탄환의 선단부 최대 단면 직경(b)보다 더 작게 제작되어야 하나, 본 발명에 따른 탄환이 활강총에 적용되면, 탄환이 회전되지 않아도 팽창안정날개(24)로 인하여 전도되지 않고 안정되게 날아갈 수 있어서 팽창안정날개의 직경(c)이 선단부 최대 단면 직경(b)보다 더 크게 제작되더라도 무방하며, 오히려 팽창안정날개(24)가 선단부 최대 단면 직경(b)보다 더 크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10)는 단면 직경이 감소하다가 다시 증대되는 병목구간이 형성되게 제작되어 선단부(10)의 중량을 필요에 따라 더 증대시킬 수 있게 되면 늘어난 중량으로 인하여 안정된 탄도 궤적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병목구간은 도 8b에서는 제1최대 직경면(M1)과 제2최대 직경면(M2) 사이 구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탄환으로 인하여 종래 비싼 제작비용으로 채택되지 못했던 활강총이 제식 총으로 채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총기 제작비용도 절감될 수 있어 이중의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A : 종래 탄환 A-1 : 종래 탄환의 추진면
a : 팽창안정날개의 직경 B : 종래 탄환과의 길이 차
b : 선단부 최대 단면 직경 c : 탄환 전체 직경
H : 중공 M : 선단부 최대 직경부위
M1 : 제1최대 직경면 M2 : 제2최대 직경면
10 : 선단부 20 : 후단부
21-1,2,3,4,12,13 : 단차면 22-1,2,3 : 마디
23 : 절개선 24 : 팽창안정날개

Claims (9)

  1. 통상의 총기용 탄환에 있어서,
    일단에 첨두가 형성되고, 일단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곡면으로 형성되는 선단부와;
    선단부의 후면에서부터 단면 직경이 서로 다른 복수개의 마디가, 단면직경이 큰 마디부터 작은 마디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후단부;로 이루어지는 탄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는 첨두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점차 단면 직경이 확대되어 후면의 단면 직경이 가장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마디 사이의 단차면 모서리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마디 중 최 후단의 마디 또는 최 후단의 마디 및 최 후단의 마디로부터 차례로 인접되는 일정 개수의 마디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개수의 마디 중 어느 하나는 외주면에 개방형 곡선 형태 또는, 어느 한 변을 제외한 다각형 형상의 펀칭으로 형성되는 팽창안정날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개수의 마디 중 어느 하나는 외주면에 개방형 곡선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에서 어느 한 변을 제외한 형상의 홈이나 크랙으로 형성되는 팽창안정날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안정날개는 상기 일정 개수의 마디 중 어느 하나의 중공에 충진된 화약의 폭발로 인하여 상기 마디의 단면 중심으로부터 방사상 대칭되게 펼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안정날개가 펼쳐진 상태에서 날개 끝단을 잇는 원의 직경은 상기 선단부의 최대 단면직경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에서 길이방향의 일정 구간은 단면직경이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되는 병목구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환.
KR1020160169671A 2016-12-13 2016-12-13 탄환 KR201800680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71A KR20180068080A (ko) 2016-12-13 2016-12-13 탄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71A KR20180068080A (ko) 2016-12-13 2016-12-13 탄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080A true KR20180068080A (ko) 2018-06-21

Family

ID=62806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671A KR20180068080A (ko) 2016-12-13 2016-12-13 탄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808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08B1 (ko) 2000-07-24 2004-06-23 김용대 탄두
KR100843573B1 (ko) 2008-03-13 2008-07-03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탄약
KR101021055B1 (ko) 2010-08-30 2011-03-14 김준규 공기안내홈이 형성된 탄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008B1 (ko) 2000-07-24 2004-06-23 김용대 탄두
KR100843573B1 (ko) 2008-03-13 2008-07-03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탄약
KR101021055B1 (ko) 2010-08-30 2011-03-14 김준규 공기안내홈이 형성된 탄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9649B2 (ja) 発射体本体を伴う小火器用又は軽火器用弾丸
US9157713B1 (en) Limited range rifle projectile
US10871359B2 (en) Single seal projectile
US9506732B2 (en) Shotgun shell wad
US10378867B2 (en) Cartridge
WO2018130171A1 (zh) 由多段式身管和流体推动自旋弹丸构成的武器系统和方法
US9599444B2 (en) Accelerator
US9921039B2 (en) High velocity ignition system for ammunition
US8434394B1 (en) Apparatus for adapting a rocket-assisted projectile for launch from a smooth bore tube
KR20180068080A (ko) 탄환
EP2976592B1 (en) Projectile with rotational motion
US11371818B2 (en) Sabot
RU2674407C1 (ru) Прямоточный реактивный снаряд
RU2659289C1 (ru) Патрон стрелкового оружия
WO2013140182A1 (en) Ammunition with multiple projectiles
US9410781B1 (en) Fin-stabilized, muzzle-loaded mortar projectile with sabot
RU2704696C1 (ru) Выстрел для гранатомета
US11415398B2 (en) Gas favoring boattail projectile
CA2589300A1 (en) Hollow bullet
WO2023277769A1 (en) Projectile
RU2465548C1 (ru) Пуля "ферзь" и патрон для гладкоствольного оружия
WO2023233080A1 (en) Projectile
WO2006043856A2 (fr) Projectile pour arme a feu ou arme pneumat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