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476A - 자막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막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476A
KR20180066476A KR1020160167323A KR20160167323A KR20180066476A KR 20180066476 A KR20180066476 A KR 20180066476A KR 1020160167323 A KR1020160167323 A KR 1020160167323A KR 20160167323 A KR20160167323 A KR 20160167323A KR 20180066476 A KR20180066476 A KR 20180066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tion
unit
display means
communication network
photograp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환
Original Assignee
이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환 filed Critical 이지환
Priority to KR1020160167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6476A/ko
Publication of KR20180066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4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6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a ticker, e.g. scrolling banner for news, stock exchange, weather dat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9/00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 G08B19/005Alarms responsive to two or more different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e.g. burglary and fire, abnormal temperature and abnormal rate of flow combined burglary and fire alarm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막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촬영수단; 분배수단; 제1 디스플레이수단; 제2 디스플레이수단; 및 자막삽입수단; 을 포함하여, 특정 상황의 발생시 제1 통신망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제2 통신망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내용의 자막을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상황의 발생시 제2 통신망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막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UBTITLES}
본 발명은 자막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상황의 발생시 제1 통신망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제2 통신망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내용의 자막을 삽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 상황의 발생시 제2 통신망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막(Subtitles)은 동영상이나 방송 컨텐츠 등의 정보 전달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특히 청각장애자 등 자막 정보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적절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동영상이나 방송 컨텐츠 등은 송신하거나 수신할 때 내부 업무를 위한 통신망, 예를 들어 인트라넷(Intranet) 등과 같은 내부망이나 인터넷(Internet) 등과 같은 외부망을 혼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내부망을 사용하는 사용자, 예를 들어 시스템 관리자나 외부망을 사용하는 사용자, 예를 들어 제3자들이 동영상이나 방송 컨텐츠 등에 삽입되는 자막을 동시에 보게 된다.
그런데, 외부망을 통해 동영상이나 방송 컨텐츠 등을 보게 되는 사용자에게 알릴 필요없는 시스템 고장 정보 등은 내부망을 사용하는 사용자만 알면 되는 정보이며, 이 외에 외부에 알리면 안되는 정보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최근 들어 공공분야의 테러, 유괴, 주요 시설물에 대한 방화 등의 긴급 상황 발생이나 어린이의 안전사고 등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감시카메라에 기반한 실시간 영상 관제시스템의 설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기존과 같이 외부망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내부망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모두 동일한 자막을 보게 되는 경우 내부망을 사용하는 사용자만 알면 되는 정보나 외부에 알리면 안되는 정보와 관련된 자막을 삽입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보완된 자막 제공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9-002180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 상황의 발생시 제1 통신망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제2 통신망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내용의 자막을 삽입할 수 있는 자막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 특정 상황의 발생시 제2 통신망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자막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촬영수단;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전달받는 분배수단;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분배수단으로부터 상기 촬영영상을 분배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수단;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분배수단으로부터 상기 촬영영상을 분배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제2 디스플레이수단; 및 기설정된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촬영영상에 텍스트, 이미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 포함된 자막을 삽입하는 자막삽입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막삽입수단은, 상기 분배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전달되는 상기 촬영영상 또는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상기 분배수단으로 전달되는 상기 촬영영상에 상기 자막을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자막삽입수단은,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상기 촬영영상 중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수단에 전달되는 촬영영상에 자막을 삽입하는 제1 자막삽입부;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상기 촬영영상 중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수단에 전달되는 촬영영상에 자막을 삽입하는 제2 자막삽입부; 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자막삽입부와 상기 제2 자막삽입부가 서로 다른 자막을 상기 촬영영상에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분배수단은, 상기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수단, 제2 디스플레이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에 기저장된 이미지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특정 상황은, 상기 촬영수단의 고장 검지시인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화재 발생, 침입 발생, 추적대상의 출현, 소음 발생, 충격 발생 중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검지할 수 있는 검지수단이 더 포함되고, 상기 특정 상황은, 상기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화재 발생, 침입 발생, 추적대상의 출현, 소음 발생, 충격 발생 중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벤트 발생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수단, 상기 제2 디스플레이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상기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촬영영상과 상기 자막이 분할된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상황의 발생시 제1 통신망을 사용하는 사용자와 제2 통신망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내용의 자막을 삽입할 수 있는 자막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 특정 상황의 발생시 제2 통신망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100)은 크게 촬영수단(10)과 분배수단(20), 제1 디스플레이수단(30), 제2 디스플레이수단(40) 및 자막삽입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촬영수단(10)은 감시나 보안 등을 위한 장소에 설치되는 카메라와 같은 구성요소로, 하나의 카메라를 사용하거나 다수의 카메라를 이용할 수 있으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이 촬영영상이 된다.
분배수단(20)은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전달받는 구성요소이며, 이러한 분배수단(20)은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장치, 예를 들어 네트워크 비디오 녹화기(NVR; Network Video Record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배수단(20)은 기설정된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하기에 서술하는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이나 제2 디스플레이수단(40) 또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수단(30, 40) 모두에 기저장된 이미지를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외에 기설정된 특정 상황 발생시 촬영영상을 저장하거나, 저장과 동시에 촬영영상 또는 기저장된 이미지를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이나 제2 디스플레이수단(40) 또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수단(30, 40) 모두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전술한 특정 상황은 촬영수단(10)의 고장이 검지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은 제1 통신망을 통해 분배수단(20)으로부터 촬영영상을 분배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요소로, 모니터나 휴대용 단말기 등과 같이 화면을 통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장치가 사용된다. 여기서, 제1 통신망은 외부망일 수 있다.
외부망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하나의 제1 통신망에 하나의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이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제1 통신망에 다수의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이 연결되거나, 다수의 제1 통신망에 다수의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이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제1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 예를 들어 제3자가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을 통해 시청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사용되는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으로는 제1 통신망에 접속한 제3자의 모니터나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TV)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은 전술한 제1 디스플레이수단(30)과는 달리 제2 통신망을 통해 분배수단(20)으로부터 촬영영상을 분배받아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요소이다. 즉, 제1 디스플레이수단(30)과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은 분배수단(20)과 연결되는 통신망만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으로 구분되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것으로 제1 디스플레이수단(30)과 마찬가지로 제2 통신망에 접속, 즉 제2 통신망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모니터나 휴대용 단말기 등과 같이 화면을 통해 영상이 출력되는 장치를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2 통신망은 내부망일 수 있다.
내부망은 업무용 PC를 포함하는 정보처리 시스템과 업무서버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정보처리 시스템은 개인 정보나 사내의 중요 정보들을 처리하는 서버 컴퓨터를 말하는데, 예를 들어 포털과 같은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의 경우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 보관, 처리, 이용, 제공, 관리 또는 파기 등과 같은 업무를 처리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이 정보처리 시스템이며, 일반 기업의 경우 기업 내의 중요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이 정보처리 시스템이다. 정보처리 시스템에는 개인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를 위해 체계적으로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DB) 관리 시스템과 개인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한 서버와 애플리케이션 등도 포함한다. 그리고 업무서버는 내부 업무의 처리에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을 지칭한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하나의 제2 통신망에 하나의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이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제2 통신망에 다수의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이 연결되거나, 다수의 제2 통신망에 다수의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이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이나 제2 디스플레이수단(40) 또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수단(30, 40)은 특정 상황, 즉 촬영수단(10)의 고장이 검지되는 경우 화면을 분할하여 촬영영상과 자막을 각각 디스플레이, 즉 분할된 화면 중 한 부분에는 촬영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분할된 화면 중 다른 부분에는 자막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자막삽입수단(50)은 촬영수단(10)의 고장이 검지되는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촬영영상에 문자나 숫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텍스트, 문양이나 디자인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 포함된 자막을 삽입하는 구성요소이다. 이외에 템플릿 정보나 타임 코드 정보(자막 디스플레이 시작 또는 종료 프레임 위치정보, 자막 디스플레이 지속시간 정보 등) 등이 자막에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자막삽입수단(50)이 촬영영상에 자막을 삽입할 때 시스템 관리자의 요구 등에 따라 자막이 삽입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자막삽입수단(50)을 통해 촬영영상에 자막이 삽입됨으로써 제1 통신망에 접속한 사용자(제3자)가 자신의 모니터나 휴대용 단말기(제1 디스플레이수단, 30)를 통해 촬영영상을 보거나, 제2 통신망에 접속한 사용자(관리자)가 모니터나 휴대용 단말기(제2 디스플레이수단, 40)를 통해 촬영영상을 본다고 했을 때 누가 촬영한 것인지, 해당 영상이 무엇을 촬영한 것인지, 위치가 어디인지 등의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촬영수단(10)이 촬영하고 있는 지역을 관리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이름과 로고(Logo), 촬영지역의 주소와 명칭 등을 자막으로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자막삽입수단(50)이 분배수단(20)으로부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수단(30, 40)으로 전달되는 촬영영상에 자막을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즉, 자막삽입수단(50)이 분배수단(20)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수단(30, 4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막삽입수단(50)은 제1 자막삽입부(52) 및 제2 자막삽입부(5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자막삽입부(52)는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 중 제1 통신망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으로 전달되는 촬영영상에 자막을 삽입하는 부분이다.
제2 자막삽입부(54)는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 중 제2 통신망을 통해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으로 전달되는 촬영영상에 자막을 삽입하는 부분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촬영수단(10)의 고장이 검지되는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제1 자막삽입부(52)와 제2 자막삽입부(54)가 서로 다른 자막을 촬영영상에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촬영수단(10)의 고장이 검지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는 제1 통신망에 접속한 사용자(제3자)에게 알릴 필요없이 관리자만 알면 되는 정보이며, 이처럼 관리자만 알면 되는 정보라던가 관리자나 특정인들만 알아야 하고 외부에 알리면 안되는 정보가 있는 경우 등에 제1 자막삽입부(52)와 제2 자막삽입부(54)가 서로 다른 자막을 삽입하도록 하여 제1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제3자)가 보는 제1 디스플레이수단(30)과 제2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관리자)가 보는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이 서로 다른 자막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특정 상황, 즉 촬영수단(10)의 고장 여부를 검지할 수 있도록 촬영수단(10) 자체에 고장 검진 기능을 두고 자체 고장 검사를 수행하거나,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촬영수단(10)의 고장 검사가 수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장 검사 결과에 따라 자막삽입수단(50)을 통해 고장 검지 정보를 자막으로 촬영영상에 삽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에는 데이터베이스가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이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촬영수단(10)의 고장 검지 외에 다양한 특정 상황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고, 특정 상황 발생시 분배수단(20)이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이나 제2 디스플레이수단(40) 또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수단(30, 40)에 전달하기 위한 이미지를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자막삽입수단(50)이 촬영영상에 삽입하게 되는 다양한 자막, 예를 들어 광고나 촬영영상의 안내용 자막, 촬영수단(10)의 고장 검지 관련 자막, 이벤트 발생과 관련된 자막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100)에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고, 분리되어 별도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에는 자막삽입수단(50)이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자막을 시스템 관리자가 직접 입력하여 촬영영상에 삽입하거나 저장할 수 있는 입력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과 거의 유사하나 자막삽입수단(50)의 위치에서 서로 차이가 있다.
즉, 자막삽입수단(50)이 분배수단(20)과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수단(30, 4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촬영수단(10)과 분배수단(20) 사이에 자막삽입수단(50)이 위치하여 촬영수단(10)으로부터 분배수단(20)으로 전달되는 촬영영상에 자막을 삽입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이 둘로 나뉘어 각각 제1 자막삽입부(52)와 제2 자막삽입부(54)를 거치도록 구성된다. 이때 둘로 나뉘어진 촬영영상은 동일한 촬영영상, 예를 들어 촬영수단(10)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 원본과, 촬영된 촬영영상을 복사한 촬영영상 복사본이 사용된다.
그리고, 촬영수단(10)의 고장이 검지되는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제1 자막삽입부(52)와 제2 자막삽입부(54)는 서로 다른 자막을 촬영영상, 예를 들어 촬영영상 원본과 복사본에 각각 삽입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각각 제1 자막삽입부(52)와 제2 자막삽입부(54)를 거친 촬영영상들은 분배수단(20)으로 전달되며, 분배수단(20)은 제1 자막삽입부(52)를 거쳐온 촬영영상은 제1 통신망을 통해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으로 전달하고, 제2 자막삽입부(54)를 거쳐온 촬영영상은 제2 통신망을 통해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 분배수단(20)은 자막삽입수단(50)을 거쳐 전달된 촬영영상들 중 어느 촬영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으로 전달할 것인지 또는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으로 전달할 것인지를 삽입된 자막 등을 통해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과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나 다양한 특정 상황(이벤트)의 발생을 검지할 수 있는 검지수단(60)이 더 포함된다는 점에서 서로 구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구성에 검지수단(60)이 더 포함되도록 하는 실시예의 경우 제3 실시예와 그 설명이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검지수단(60)은, 화재의 발생이나 특정 장소 등에의 침입 발생, 추적대상의 출현, 일정 수준 이상의 소음이나 충격 발생 등을 검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검지수단(60)을 이루는 다양한 검지장치, 예를 들어 센서들이 촬영수단(10)에 부착되거나, 촬영수단(10)의 근방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검지수단(60)이 더 사용되면서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의 특정 상황, 즉 촬영수단(10)의 고장 검지 외에 검지수단(60)에 의해 검지되는 화재 발생이나 침입 발생, 추적대상의 출현, 소음이나 충격 발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 또한 특정 상황에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전술한 것 외의 이벤트 발생을 검지수단(60)이 검지할 수 있도록 하고, 해당 이벤트의 발생을 특정 상황으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의 특정 상황인 촬영수단(10)의 고장검지라던가 제3 실시예의 특정 상황 중 침입 발생이나 추적대상의 출현 등과 같은 정보는 시스템 관리자만 알 수 있도록 분배수단(20)에 저장되거나 제2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에만 그와 관련된 자막을 삽입하고, 제1 통신망으로 연결되는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에는 그러한 자막을 생략하거나 다른 자막을 삽입하도록 하여 제1 통신망에 접속한 사용자(제3자)는 해당 정보를 볼 수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자막삽입수단(50) 중 제2 자막삽입부(54)는 평상시에는 제1 자막삽입부(52)와 동일한 자막, 예를 들어 지방자치단체의 로고 등과 같은 광고나 촬영영상의 안내용 자막 등을 삽입하게 되나,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제1 자막삽입부(52)와는 달리 해당 특정 상황을 알리기 위한 특정 상황 알림 자막을 삽입하게 되는 것이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4의 (a) 및 (b)는 촬영수단(10)을 통해 촬영되는 촬영영상에 자막삽입수단(50)을 통해 촬영영상의 안내용 자막(S1, S2)이 삽입되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수단(30, 4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 및 (b)에서는 기설정된 특정 상황, 즉 촬영수단(10)의 고장이 검지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이나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이 모두 동일한 촬영영상과 함께 "ㅇㅇ구 ㅇㅇ동 ㅇㅇㅇㅇ 사거리" 와 같은 자막(S1, S2)을 디스플레이, 즉 제1 자막삽입부(52)와 제2 자막삽입부(54)가 동일한 내용의 자막(S1, S2)을 삽입하게 된다. 이때, 자막삽입수단(50)은 자막(S1, S2)이 촬영영상에 중첩되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수단(30, 4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을 보는 사용자(제3자)나 제2 통신망에 접속하여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을 보는 사용자(관리자)가 서로 같은 촬영영상과 자막(S1, S2)을 보게 된다.
다음, 도 5의 (a) 및 (b)는 촬영수단(10)의 고장이 검지된 특정 상황의 발생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수단(30, 4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특정 상황, 즉 촬영수단(10)의 고장이 검지되는 경우 도 5의 (a)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에서는 전술한 도 4의 (a)와 동일한 영상과 함께 "ㅇㅇ구 ㅇㅇ동 ㅇㅇㅇㅇ 사거리" 와 같은 자막(S1)이 디스플레이되나, 도 5의 (b)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에서는 영상의 경우 제1 디스플레이수단(30)과 같은 영상이 디스플레이되지만 자막(S2)의 경우 "카메라 고장" 과 같이 제1 디스플레이수단(30)과 다른 내용의 자막이 제2 자막삽입수단(54)에 의해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수단(30, 4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의 경우 분배수단(20)에 기저장된 이미지, 특히 기존에 촬영한 촬영영상을 저장한 이미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을 보게 되는 사용자(제3자)와 제2 통신망에 접속하여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을 보게 되는 사용자(관리자)는 서로 다른 자막(S1, S2)을 보게 되며, 제2 통신망에 접속한 사용자(관리자)는 촬영수단(10)의 고장이 발생하였음을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에 디스플레이되는 자막(S2)을 통해 인지할 수 있게 되지만, 이러한 내용은 제1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사용자(제3자)가 알 필요가 없는 내용이므로 제3자는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을 통해 평상시와 동일한 자막(S1)을 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 자막삽입부(54)에 의해 촬영영상에 삽입되어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자막(S2)은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의 자막(S1)에 비해 크기가 더 크거나 색상을 다르게 하거나 점멸되도록 하는 등 관리자가 쉽게 자막(S2)을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6의 (a) 및 (b)는 도 5의 (a) 및 (b)와 마찬가지로 촬영수단(10)의 고장이 검지된 특정 상황에 따라 촬영영상에 서로 다른 자막(S1, S2)이 삽입되어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수단(30, 4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제1 디스플레이수단(30) 및 도 6의 (b)에 도시된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에서는 도 5의 (a) 및 (b)와는 달리 분배수단(20)으로부터 기존에 촬영한 촬영영상을 저장한 이미지가 아닌 별도의 이미지가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수단(30, 40)에 전달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도 6의 (a)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에서는 촬영수단(10)의 고장에 따라 "고장 수리 중" 과 같은 자막(S1)이 제1 자막삽입부(52)에 의해 삽입되어 디스플레이되며,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의 경우 도 6의 (b)처럼 화면을 분할하여 촬영영상과 자막(S2)을 각각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즉, 분할된 화면 중 한 부분에는 촬영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분할된 화면 중 다른 부분에는 "ㅇㅇ구 ㅇㅇ동 ㅇㅇㅇㅇ 사거리 카메라 고장" 과 같은 자막(S2)이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따라서,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을 보게 되는 사용자(관리자)는 촬영수단(10)의 고장을 알리는 자막(S2)을 통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막 제공 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의 (a) 및 (b)를 살펴보면 이벤트, 예를 들어 검지수단(60)에 의해 검지되는 화재 발생이나 침입 발생, 추적대상의 출현, 소음이나 충격 발생 등과 같은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수단(30, 40)에서 서로 다른 자막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러한 경우, 제1 디스플레이수단(30)에서는 도 7의 (a)와 같이 일반적인 자막, 즉 "ㅇㅇ구 ㅇㅇ동 ㅇㅇㅇㅇ 사거리" 와 같은 자막(S1)이 디스플레이되고,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은 도 7의 (b)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제2 자막삽입부(54)를 통해 제1 자막삽입부(52)와는 달리 특정 상황을 알리기 위한 자막, 예를 들어 "추적대상 출현" 과 같은 특정 상황 알림 자막(S2)을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때,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자막(S2)은 촬영영상에 중첩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화면을 분할하여 분할된 화면에 촬영영상과 자막(S2)이 각각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디스플레이수단(40)을 보게 되는 사용자(관리자)는 이벤트(추적대상 출현) 발생을 알리는 자막(S2)을 통해 빠른 초동 대처와 안전한 곳에서 상황을 파악하면서 다양한 정보를 취합하여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촬영수단 20: 분배수단
30: 제1 디스플레이수단 40: 제2 디스플레이수단
50: 자막삽입수단 52: 제1 자막삽입부
54: 제2 자막삽입부 60: 검지수단
100: 자막 제공 시스템
S1: 제1 디스플레이수단의 자막 S2: 제2 디스플레이수단의 자막

Claims (7)

  1. 자막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촬영수단;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전달받는 분배수단;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분배수단으로부터 상기 촬영영상을 분배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제1 디스플레이수단;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분배수단으로부터 상기 촬영영상을 분배받아 디스플레이하는 제2 디스플레이수단; 및
    기설정된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촬영영상에 텍스트, 이미지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이 포함된 자막을 삽입하는 자막삽입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삽입수단은,
    상기 분배수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수단으로 전달되는 상기 촬영영상 또는 상기 촬영수단으로부터 상기 분배수단으로 전달되는 상기 촬영영상에 상기 자막을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막삽입수단은,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상기 촬영영상 중 상기 제1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1 디스플레이수단에 전달되는 촬영영상에 자막을 삽입하는 제1 자막삽입부;
    상기 촬영수단에 의해 촬영된 상기 촬영영상 중 상기 제2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2 디스플레이수단에 전달되는 촬영영상에 자막을 삽입하는 제2 자막삽입부; 를 포함하되,
    상기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자막삽입부와 상기 제2 자막삽입부가 서로 다른 자막을 상기 촬영영상에 삽입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수단은,
    상기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제1 디스플레이수단, 제2 디스플레이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에 기저장된 이미지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상황은,
    상기 촬영수단의 고장 검지시인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화재 발생, 침입 발생, 추적대상의 출현, 소음 발생, 충격 발생 중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검지할 수 있는 검지수단이 더 포함되고,
    상기 특정 상황은,
    상기 검지수단에 의해 검지되는 화재 발생, 침입 발생, 추적대상의 출현, 소음 발생, 충격 발생 중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벤트 발생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수단, 상기 제2 디스플레이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상기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화면을 분할하여 상기 촬영영상과 상기 자막이 분할된 화면에 각각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 제공 시스템.
KR1020160167323A 2016-12-09 2016-12-09 자막 제공 시스템 KR201800664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323A KR20180066476A (ko) 2016-12-09 2016-12-09 자막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323A KR20180066476A (ko) 2016-12-09 2016-12-09 자막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476A true KR20180066476A (ko) 2018-06-19

Family

ID=6279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323A KR20180066476A (ko) 2016-12-09 2016-12-09 자막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64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8204B2 (en) 2018-11-28 202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8204B2 (en) 2018-11-28 202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3924B1 (ko) 행동패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능동형 영상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53187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extual adjustment of video fidelity to protect privacy
CA2806786C (en) System and method of on demand video exchange between on site operators and mobile operators
KR102264275B1 (ko) 폭력행위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498985B1 (ko) Ip cctv를 이용한 gps 위치정보 기반의 비상상황 발생 현장 촬영 및 모니터링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상상황 발생 현장의 촬영 및 모니터링 방법
US20040168194A1 (en) Internet tactical alarm communication system
US20060220836A1 (en) Interactive e-map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KR101901740B1 (ko) 망 분리 시스템
US202202639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 multi-user remote controllable safety camera
JP6876804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KR20180066476A (ko) 자막 제공 시스템
KR101250956B1 (ko) 자동 관제 시스템
Michael Sousveillance: Implications for privacy, security, trust, and the law
US20210375109A1 (en) Team monitoring
KR101167605B1 (ko) 카메라를 구비한 지능형 다기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67011B1 (ko) 메타 데이터 기반의 이벤트 알림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JP2003101995A (ja) 画像配信方法、画像配信装置及びそのシステム
KR102061410B1 (ko) 이벤트 감시 시스템
CN105939460A (zh) 恢复摄像机位置用于播放视频场景的方法
KR20160028743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JP2005253025A (ja) 遠隔監視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JP2003317167A (ja) 防犯・防災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1314721B1 (ko) 방범 시스템
CN108111823B (zh) 网路监控系统
KR101387100B1 (ko) 방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