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815A - 춘장함유 조미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춘장함유 조미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815A
KR20180065815A KR1020160167127A KR20160167127A KR20180065815A KR 20180065815 A KR20180065815 A KR 20180065815A KR 1020160167127 A KR1020160167127 A KR 1020160167127A KR 20160167127 A KR20160167127 A KR 20160167127A KR 20180065815 A KR20180065815 A KR 20180065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esent
seasoning
paste
black 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7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맛죤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맛죤식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맛죤식품
Priority to KR1020160167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5815A/ko
Publication of KR2018006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50Soya sauc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8Vegetable protein
    • A23V2250/5488Soybean prote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5Peptide, protein hydrolys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춘장함유식품에 첨가되는 춘장 함유 페이스트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조미료 조성물로
서, 대두단백 가수분해물 등의 정미성이 있는 천연원료 및 간장분말, 포크 엑기스분말, 핵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미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된 후 자극적인 신맛을 발생시키지 않고, 우수한 기호성을 나타내는 춘장
함유 페이스트 첨가용 조미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춘장함유 조미료 조성물{Black Bean Paste Containing Foods}
본 발명은 자장면 또는 자장밥과 같은 춘장함유식품에 첨가되는 춘장 함유 페이스트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조미료 조성물로서, 대두단백 가수분해물 등의 정미성이 있는 천연원료 및 간장분말, 포크 엑기
스분말, 핵산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미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춘장 함유 식품의 대표격인 자장면에 대해서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춘장, 돼지고기,
양파 등의 원료를 식용유에 볶아, 면과 함께 제공하는 요식업소용 자장면은 중국 화교들로부터 전래되어
보급된 대중음식이다. 비교적 최근에는, 식용유에 볶은 원료를 가공조리하여 분말화 하거나 가공조리 직
후 살균 처리하여 페이스트 상태로 포장함으로써, 춘장 함유 식품을 산업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방법이 개
발되었다.
춘장 함유 식품은 기원국인 중국에서와는 다른 맛과 조리방법으로 우리나라 국민들에게 애용되고있으며, 이를 산업적 공정 및 설비를 이용하여 제품의 기호개념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측면에서 여러 제품
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춘장 함유 가공 식품의 제조 방법으로는, 기본 원료인 춘장과 야채원료, 조미료를 분말화
하여 면과 함께 제공하는 방법(대한민국 특허공고 제90-9204호) 및 춘장과 야채 원료를 조미료와 함께 조
리 및 살균하여 제공하는 방법(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92-21042호)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춘장 함유 가공식품은, 가공 직후부터 신맛이 발생하여 제품의 기호가 크게 떨어
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춘장 함유 가공 식품에서 신맛을 발생시키는 원인물질을 규명하고, 이
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성분을 제공함으로써, 가공 조리된 후에도 신맛을 발생하지 않는 춘장 함유 가
공 식품용 춘장 함유 페이스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된 후 자극적인 신맛을 발생시키지 않고, 우수한 기호성을 나타내는 춘장
함유 페이스트 첨가용 조미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제1도는 춘장 함유 페이스트 제조시 엘-글루타민산나트륨 함량 증가에 따른 사과산 함량 증가를
도시한 그래프이며,
제2도는 춘장 함유 페이스트 제조시 가열 온도 및 시간에 따라 생성되는 사과산 함량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전체 조미료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간장분말
40~60 중량%, 대두단백가수분해물 15~35 중량%, 포크 엑기스분말 10~20 중량%, 핵산 5~10 중량%를 포함하
여 이루어지는 춘장함유 페이스트 첨가용 조미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이 춘장함유식품용 춘장 함유 페이스트에 첨가되는 새로운 조미료를 개발하게 된 것
은 종래 춘장 함유 페이스트 제조시 사용되는 일반 조미료가 조리 후 신맛을 내는 물질을 생성하는데 관
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기 때문이다.
먼저, 본 발명자들은 춘장 함유 페이스트의 주원료인 춘장 및 기타 원료들을 각각 단독으로 가열
조리하면 신맛이 발생되지 않으나, 혼합하여 가열 조리할 경우에 신맛이 발생되며, 유기산, 특히 사과산
이 가열전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가열 전 춘장함유식품 g당 28.9㎎ 중량의
사과산이 가열후에는 g당 108㎎ 중량으로, 약 6배량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과산
은 산미도가 초산의 1.0과 같거나 약간 높고, 특이한 사과의 신맛을 소유하며, 다른 유기산에 비하여 신
맛이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생성된 사과산을 가열 조리된 춘장 함유 페이스트의 신맛의 원
인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춘장 함유 페이스트 중에서 사과산을 생성시키는 원료 및 조건을 관찰하여,
신맛이 첨가되는 조미료의 종류 및 조성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춘장 함유 페이스트의 원료
는 크게 춘장, 육류, 야채 등의 건더기 원료 및 조미료 등의 분말원료, 식용유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때,
조미료로서 주로 엘-글루타민산나트륨이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2% 함량 이상의 수준으로 첨가된다.
춘장과 육류, 야채 등의 건더기 원료에 엘-글루타민산나트륨을 조미료로 첨가하여 혼합하여 가열
하였을 때 사과산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춘장과 엘-글루타민산나트
륨 조미료를 9:1의 비율로 혼합하여 85℃의 온도에서 4시간동안 가열한 후, 가열 전후의 유기산을 통상적
인 유기산 분석 컬럼(Bio Rad aminex HPX-87H)으로 HPLC 분석하면, 가열전에는 춘장과 엘-글루타민산나트
륨 조미료의 혼합시료 1g당 사과산 함량이 6.3㎎이었으나, 상기 조건에서 가열한 후에는 123.1㎎으로 크
게 증가하였다.
상기 가열조건에서 춘장에 대한 엘-글루타민산나트륨 조미료의 첨가비율을 달리하여 가열 전후의
사과산 함량을 관찰하면, 조미료의 양을 증가시킴에 따라 사과산 함량이 비례적으로 증가한다는 것과(도
1), 여러 온도(40, 60, 80, 90℃)에서 0~24시간 가열하여 사과산 함량을 분석한 결과, 가열 온도 및 시간
의 증가에 따라 사과산 함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2).
이로부터,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일반적인 조미료를 사용하여 춘장함유페이스트를 제조하면, 신
맛을 내는 사과산의 생성을 피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조미료 개발을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감칠맛과 정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성분이 풍부한 간장분말, 대두단백가수분
해물, 포크엑기스분말, 핵산을 잘 배합하여 춘장함유 페이스트에 첨가하면 신맛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맛과 품질이 향상된 춘장 함유식품 첨가용 춘장 함유 페이스트를 얻을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
성하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춘장함유 페이스트 첨가용 조미료는 간장분말 40~60 중량%, 대두단백가수
분해물 15~35 중량%, 포크 엑기스분말 10~20 중량%, 핵산 5~1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성물이 바
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간장분말, 대두단백가수분해물, 포크엑기스 분말은 각각 춘장함유 페
이스트에 첨가하였을 때 신맛을 느낄 수 없었으며, 특히 가열조리 전후에 사과산 함량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간장분말은 일반적인 제조방법에 따라 탈지대두박을 산분해하여 중
화시킨 후, 농축, 분말화 공정을 거쳐 제조된 것으로, 40중량% 미만으로 배합하면 정미성이 떨어지며, 60
중량% 초과시는 짠맛이 강하여 맛의 조화가 깨어지게 된다.
대두단백가수분해물은 탈지대두박을 단백분해효소를 사용하여 가수분해한 것으로 조미료 중 함량
이 15중량% 미만이면 감칠맛이 떨어지며, 35중량%를 초과하면 이미, 이취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포크 엑기스분말은 춘장함유 페이스트에 첨가할 때 고유의 풍미를 더욱 강하게 발현
시켜 춘장함유 페이스트의 기호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 포크 엑기스 분말은 돼지고기를 열수
추출 또는 효소분해추출하여 농축분말화 공정을 거쳐 제조한 것으로, 첨가량이 20중량%를 초과하면 이미,
이취가 발생할 수 있다.
핵산은 산업적으로 제조되는 IMP(Inosine mono phosphate)와 GMP(Guanosine mono phosphate)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며, 5중량% 미만이면 엘-글루타민산나트륨의 정미성 상승효과를 대체하기 어
렵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오히려 느끼한 맛이 강하게 발생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춘장 함유 페이스트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7중량% 정도가 되도록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미료 조성물을 춘장, 육류, 야채 등의 건더기 및 식용유 혼합원료에 첨가, 통상적인
볶기 및 가열조리를 하면, 신맛이 없고, 맛과 품질이 향상된 춘장 함유 페이스트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
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
다.
[실시예 1]
원료 춘장을 식물성 유지 14.5 중량%에 춘장 14.8 중량%를 함께 혼합하여 70 내지 110℃에서 볶
은 후, 여기에 양파 39.5 중량%, 돼지고기 7.7 중량%, 양배추 15.6 중량%, 정백당 2.1 중량%, 옥수수 전
분 1.3 중량%를 가하여 걸쭉해질때까지 볶고, 간장분말 50중량%, 대두단백가수분해물 25중량%, 포크 엑기
스분말 15중량%, 핵산 1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춘장함유 페이스트 전체 중량
을 기준으로 4.50중량% 첨가하여 조리하였다. 이렇게 하여, 신맛이 없으며 풍미가 우수한 춘장함유 페이
스트를 얻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되, 식물성 유지 14.5 중량%, 춘장 15.8 중량%를 사용하고,
간장분말 45중량%, 대두단백가수분해물 25중량%, 포크엑기스 분말 20중량%, 핵산 10중량%를 포함하여 이
루어지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춘장함유 페이스트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5중량% 첨가하여 조리하였다.
이렇게 하여, 신맛이 없으며 풍미가 우수한 춘장함유 페이스트를 얻었다.
[시험예]
본 발명의 조미료 조성물과 엘-글루타민산나트륨 조미료를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첨가하여 각
각 춘장함유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훈련된 12명의 패널요원으로 2회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신맛이 느껴
지는 시료와 전체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따라서, 본 발명의 조미료 조성물을 첨가하였을 때, 신맛 발생이 없으며 풍미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춘장함유식품에 첨가되는 춘장함유 페이스트 첨가용 조미료 조성물로서, 상기조성물이 간장분말
    40~60 중량%, 대두단백가수분해물 15~35 중량%, 포크 엑기스분말 10~20 중량%, 핵산 5~10 중량%를 포함하
    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미료 조성물.
KR1020160167127A 2016-12-08 2016-12-08 춘장함유 조미료 조성물 KR20180065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127A KR20180065815A (ko) 2016-12-08 2016-12-08 춘장함유 조미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7127A KR20180065815A (ko) 2016-12-08 2016-12-08 춘장함유 조미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815A true KR20180065815A (ko) 2018-06-18

Family

ID=62765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7127A KR20180065815A (ko) 2016-12-08 2016-12-08 춘장함유 조미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58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23835B (zh) 一种鸡肉粉调味料的制备方法
KR101495731B1 (ko) 튀김용 닭고기 염지제 및 이를 이용한 튀김용 닭고기 염지방법
JP7139160B2 (ja) 食品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38816A (ko) 항산화활성의 기능성 김과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9077287B (zh) 一种马铃薯香精基料及马铃薯香精
JP7106316B2 (ja) 調味料の製造方法
KR102489466B1 (ko) 치킨용 디핑 소스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디핑 소스
EP2641478A1 (en) Aroma components for improving egg flavor, and egg flavor enhancers
JP7329330B2 (ja) 風味付与調味料
KR20190037634A (ko) 다목적용 김치미트소스의 제조방법
KR20180065815A (ko) 춘장함유 조미료 조성물
KR20230022485A (ko) 돈가스 소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U2014326904B2 (en) Compositions with a beef flavour and production thereof
KR100296022B1 (ko) 춘장함유식품에첨가되는춘장함유페이스트및이에사용되는조미료조성물
CN103907886B (zh) 一种素食虾肉风味的调味粉
JP2018050562A (ja) 風味向上剤及びその使用
KR20170141374A (ko) 아몬드를 첨가한 아몬드까넬로니 페스토 파스타의 제조 방법
KR102444115B1 (ko)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반응 향미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94975A (ko) 떡볶이나 라볶이용 양념 및 그 제조방법
JP7397566B2 (ja) 高力価の香味油脂
KR102300708B1 (ko) 고추장 불고기 소스 및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양념육 제조방법
KR102099052B1 (ko) 한방 육수를 사용하는 볶음 고추장의 제조방법
JP3993804B2 (ja) オニオンピューレ又はオニオンパウダー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スープ又はソース
JP6979154B2 (ja) カレー風味食品およびカレー風味調味料
KR102627549B1 (ko) 향신료감 증강용 조미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