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724A -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724A
KR20180065724A KR1020160166943A KR20160166943A KR20180065724A KR 20180065724 A KR20180065724 A KR 20180065724A KR 1020160166943 A KR1020160166943 A KR 1020160166943A KR 20160166943 A KR20160166943 A KR 20160166943A KR 20180065724 A KR20180065724 A KR 20180065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outdoor unit
service valve
machine room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부환
김재원
김태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6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5724A/ko
Publication of KR20180065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7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56Casing or covers of separate outdoor unit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0Electric components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22Arrangement or mounting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0Refrigerant piping for use inside the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7Casings or covers with control knobs; Mounting controlling members or control units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송풍실과 기계실로 구획하는 배리어; 상기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 상기 송풍실 가장자리에 놓이는 응축기; 상기 송풍실 내부에 배치되는 응축팬 어셈블리; 상기 압축기의 상측에 대응하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는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캐비닛의 측면 일부분을 정의하고 상기 기계실의 측면 일부분을 덮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 일부분을 정의하고 상기 기계실의 후면을 덮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점검 패널; 및 상기 점검 패널의 하측에 결합되는 후면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 브라켓은,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전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측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측면부, 및 상기 후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Outdoor unit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기와,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를 포함하고, 이들은 냉매 배관에 의하여 하나로 연결된다.
상세히, 공기 조화기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와, 압축기의 출구에 연결되어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냉매를 저온 저압의 2상 냉매로 팽창시키는 팽창 부재와, 팽창 부재의 출구측에 연결되어 냉매를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로 증발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실내기에는 상기 증발기가 설치되고, 실외기에는 상기 압축기와, 응축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의 내부에는 상기 압축기와 응축팬을 포함하는 전기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컨트롤 박스가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실외기 설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실외기 설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실외기(1)의 내부에는 배리어(5)가 설치되어, 상기 실외기(1)의 내부 공간이 압축기(4)와 컨트롤 박스(6)가 수용되는 기계실과, 응축팬 어셈블리(8)가 수용되는 송풍실로 구획되도록 한다. 그리고, 응축기(8)가 상기 실외기(1)의 측면과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되어 둘러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응축팬 어셈블리(8)에 의하여 흡입된 실외 공기는 상기 응축기(7)를 통과한 뒤 상기 실외기(1)의 전면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기(1)의 측면을 통하여 상기 응축기(7)의 입구단과 출구단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기계실은 사이드 패널(2)에 의하여 개폐되며, 상기 사이드 패널(2)은 상기 기계실의 전면과 측면을 덮는다. 그리고, 서비스 밸브(3)가 실외기의 측면에서 돌출된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실외기를 설치하기 위한 독립적인 공간이 아파트 베란다 등에 설치되기도 하며, 상기 응축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은 대부분 실외기(1)의 좌우 및 전후 폭에 대응하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실외기(1)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실외기 설치 공간을 정의하는 벽면까지의 거리(L)가 매우 가깝게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실외기의 전면, 즉 응축기를 통과하여 실내기로 유입된 실외 공기가 배출되는 면은 실내를 향하지 않고 옥외를 향하여 설치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84371호
종래의 실외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종래의 실외기는, 기계실을 개폐하는 사이드 패널이 실외기의 전면과 측면 일부를 개폐하며, 컨트롤 박스가 실외기의 전면을 향하여 설치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실외기의 전면은 집 바깥 쪽을 향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 기사가 전원선과 통신선을 컨트롤 박스에 연결하는 작업을 하는데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실외기가 아파트 베란다에 설치된 경우, 상기 컨트롤 박스는 실외기의 전면을 향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설치 기사가 전원선과 통신선을 컨트롤 박스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아파트 베란다에 매달린 상태에서 실외기 전면을 조작해야 하므로, 추락의 위험이 상당히 높다.
둘째, 서비스 밸브가 실외기의 측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되고, 실외기의 측면은 실외기 설치실의 벽면과 아주 가깝기 때문에, 설치 기사가 서비스 밸브에 실내기 배관을 연결하는 확관 작업(flaring)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셋째, 종래의 실외기는 메인 피시비가 실외기 기계실의 전면에 배치되므로, i) 메인 피시비에 전원선과 통신선을 연결하는 전선 연결 작업, ii) 실내기, 유선 리모컨, 및 실외기에 자동으로 주소가 설정되도록 하기 위한 오토 어드레싱(auto addressing) 작업, iii) 냉매 충전 작업, iv) 실외기 시운전 및 사이드 패널 재조립 작업 등이 어렵고 위험한 단점이 있다.
넷째, 종래의 실외기는, 상대적으로 열이 많이 발생하는 부품이 장착되는 인버터 피시비와, 상대적으로 열이 적게 발생하는 메인 피시비가 한 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되므로, 피시비의 방열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송풍실과 기계실로 구획하는 배리어; 상기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 상기 송풍실 가장자리에 놓이는 응축기; 상기 송풍실 내부에 배치되는 응축팬 어셈블리; 상기 압축기의 상측에 대응하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는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캐비닛의 측면 일부분을 정의하고 상기 기계실의 측면 일부분을 덮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 일부분을 정의하고 상기 기계실의 후면을 덮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점검 패널; 및 상기 점검 패널의 하측에 결합되는 후면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 브라켓은,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전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측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측면부, 및 상기 후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후면 브라켓의 측면부와 전면부가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 브라켓이 상기 실외기의 측면 후단부에 장착됨으로써, 작업 효율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토출 그릴이 형성되는 전면부가 옥외를 향하도록 실외기가 베란다와 같은 설치 공간에 설치된 상태에서, 설치 기사는 옥내 쪽에서 상기 후면 브라켓의 함몰 부분에 접근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하면, 실외기의 후측에서 서비스 밸브 작업 및 전선 연결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기사가 베란다 난간에 매달려서 실외기의 전면을 바라보며 설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상기 후면 브라켓에 의하여 실외기의 측면 일부가 함몰되므로, 실외기 측면부와 실외기 설치 공간의 벽면 간 거리가 짧더라도, 설치 기사가 배관 작업을 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다.
셋째, 기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는 후면 브라켓의 우측면부에서 함몰되고, 액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는 우측면부에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기관 서비스 밸브의 배관 연결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액관 서비스 밸브의 배관 연결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이 실외기의 폭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서비스 밸브의 설치 작업시 간섭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넷째,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기관 서비스 밸브가 장착되는 상기 기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가 실외기의 중심을 향하여 함몰되게 형성됨으로써, 기관 서비스 밸브의 밸브 바디가 실외기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실외기 설치 공간의 벽면과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점검창이 실외기의 후면에 형성됨으로써, 실외기의 전면이 옥외를 향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내 쪽에서 메인 피시비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좋을 뿐만 아니라 작업 안전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점검창 커버의 걸림단 구조에 의하여, 점검창 커버를 점검 패널에 결합하는 체결 부재를 분리한 상태에서도, 상기 점검창 커버가 점검 패널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점검창 커버에 구비되는 물침투 방지 구조에 의하여, 점검창 커버가 점검창을 덮은 상태에서 점검창을 통하여 메인 피시비 쪽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메인 피시비와 인버터 피시비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고발열 부품은 상기 인버터 피시비에 실장되고, 저발열 부품은 상기 메인 피시비에 실장됨으로써,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의 방열 효율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아홉째, 상기 메인 피시비와 인버터 피시비 사이에 냉각 유로가 형성됨으로써,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의 방열 효율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열째,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기계실로 유입되는 공기가 송풍실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기계실 내부의 공기가 실외기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어,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의 방열 효율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열한 째, 기계실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는 모두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를 통과한 뒤에 송풍실로 안내되므로,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의 방열 효율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외기 설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전방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실외기 설치 모습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후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외기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외기의 배면 사시도.
5는 상기 실외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외기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 브라켓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타 측면에서 바라본 상기 후면 브라켓의 측면도.
도 9는 상기 실외기의 후면에서 바라본 상기 후면 브라켓의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패널과 점검창 커버의 결합 사시도.
도 11은 상기 점검 패널과 점검창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의 12-12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의 전면 사시도.
도 14는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
도 15는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의 전면 분해 사시도.
도 16은 상기 컨트롤 박스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메인 피시비 브라켓의 전면 사시도.
도 18은 상기 메인 피시비 브라켓의 후면 사시도.
도 19는 상기 메인 피시비 브라켓의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기계실로 유입된 실외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 14의 20-20을 따라 절개한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의 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외기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실외기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실외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실외기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10)는,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며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하는 압축기(23)와, 상기 압축기(23)에서 토출되는 기상 냉매를 고온 고압의 액상 냉매로 응축시키는 응축기(또는 열교환기)(25)와, 실외 공기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하도록 실외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응축팬 어셈블리(또는 송풍팬 어셈블리)(24)와, 상기 캐비닛 내부에 수용되는 구동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은, 베이스 플레이트(1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 측면 가장자리에 세워지는 사이드 패널(14)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전면 가장자리에 세워져서 상기 실외기(10)의 전면 일부분을 덮는 프런트 패널(12)과,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측방에 세워지는 기계실 커버(16)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타 측면에 세워지는 점검 패널(17)과, 상기 점검 패널(17)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점검창 커버(18)와, 상기 점검 패널(17)의 하측에 결합되는 후면 브라켓(19)과, 상기 실외기(10)의 상면을 덮는 어퍼 패널(1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 브라켓(19)에는 기관 서비스 밸브(20)와 액관 서비스 밸브(21)를 포함하는 서비스 밸브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격자 모양의 철망이 세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 내부에는 상기 응축기(25)가 장착되며, 상기 응축기(25)는, 상기 캐비닛의 일 측면과 배면 일부분을 덮도록 L자 형태로 절곡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패널(14)과 상기 철망이 상기 응축기(25)의 측면과 배면을 커버하도록 한다. 상기 응축기(25)로 실외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사이드 패널(14)에는 다수의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응축기(25)를 제외한 상기 캐비닛의 내부 공간, 즉 상기 실외기의 내부 공간은 배리어(26)에 의하여 송풍실(101)과 기계실(102)로 구획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배리어(26)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상면에 직립하게 설치되고, 전단부는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후단부는 상기 점검 패널(17)의 가장자리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계실 커버(16)는 상기 프런트 패널(12)에 의하여 커버되는 부분을 제외한 상기 캐비닛의 나머지 전면부 부분과, 상기 캐비닛의 타 측면의 일부를 덮도록 절곡되어 연장된다. 즉, L자형 횡단면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의 타 측면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점검 패널(17) 및 상기 후면 브라켓(19)에 의하여 커버된다.
상기 송풍실(101)의 전면은 상기 프런트 패널(12)에 의하여 개폐되고, 상기 송풍실(101)의 내부에는 상기 응축팬 어셈블리(24)가 장착된다. 상기 응축팬 어셈블리(24)는, 응축팬(또는 송풍팬)(241)과, 상기 응축팬(241)을 구동하는 팬모터(2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모터(242)는 모터 마운트(22)에 의하여 상기 송풍실(101)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 패널(12)에는 상기 응축팬(241)의 직경에 대응하는 크기의 쉬라우드(121)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런트 패널(12)의 전면에는 토출 그릴(13)이 장착되어, 사용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응축팬 어셈블리(24)가 구동하면, 실외 공기가 상기 응축기(25)를 통과하여 상기 송풍실(101)로 안내되고, 상기 송풍실(101)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상기 쉬라우드(121)와 토출 그릴(13)을 통하여 다시 실외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송풍실(101)에 형성되는 부압에 의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기계실(102) 쪽으로도 유입되며, 상기 기계실(102) 쪽으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는 상기 송풍실(101)로 안내된 다음 상기 쉬라우드(121)와 토출 그릴(13)을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기계실(102)의 하측 영역에는 상기 압축기(23)가 놓이고, 상기 압축기(23)의 상측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리어(26)의 후단부는 상기 응축기(25)의 측면에 걸리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검 패널(17)은 상기 실외기(10)의 측면 중앙으로부터 측면 후단부까지 연장된 후 절곡되어 상기 실외기(10)의 후면 일부를 덮는다. 상세히, 상기 응축기(25)는 상기 사이드 패널(14)에 의하여 덮이는 측면부와, 상기 철망에 의하여 커버되는 배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응축기(25)의 일 단부는 상기 실외기(10)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응축기(25)의 타 단부는 상기 실외기(10)의 배면 어느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25)의 타 단부는, 상기 실외기(10)의 일 측면 가장자리(상기 사이드 패널(14)이 장착되는 가장자리)보다 상기 실외기(10)의 타 측면 가장자리(상기 기계실(102) 쪽 가장자리)에 더 가까운 지점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응축기(25)의 후면부 폭이 상기 실외기(10)의 후면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25)의 후면부에 의하여 커버되지 않는 상기 실외기(10)의 후면부는 상기 점검 패널(17)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점검 패널(17)은 측면부와 배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검 패널(17)의 측면부는 상기 실외기(10)의 기계실 쪽 측면의 후측 절반을 덮는다. 그리고, 상기 점검 패널(17)의 배면부는 상기 응축기(25)의 후면부에 의하여 커버되지 않는 상기 실외기(10)의 후면부를 덮는다.
또한, 상기 점검 패널(17)의 하측 일부분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까지 연장되지 않고 개구되며, 상기 개구되는 부분은 상기 후면 브라켓(19)에 의하여 커버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후면 브라켓(19)에는 실외 공기가 상기 실외기(1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외기 유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팬(241)이 회전하면, 상기 실외기(10) 내부의 압력은 외부보다 낮아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해서도 실외 공기가 상기 실외기(10) 내부(또는 캐비닛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외기 유입구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외 공기는, 도 5 및 도 6에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계실(102)로 유입되어 상기 압축기(23)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23)를 냉각시킨 실외 공기는 상승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 쪽으로 흐른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 어셈블리로 상승하는 공기는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송풍실(101)로 토출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리어(26)의 전단부는 상기 프런트 패널(12)에 밀착되고, 후단부는 상기 응축기(25)의 타 단부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응축기(25)를 통과하는 실외 공기는 상기 기계실(102)로 유입되지 않고 전부 상기 송풍실(101)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기계실(102)로 흡입되는 실외 공기는 전부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의 내부를 통과한 뒤 상기 송풍실(101)로 안내됨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타 측면에서 바라본 상기 후면 브라켓의 측면도이고, 도 9는 상기 실외기의 후면에서 바라본 상기 후면 브라켓의 배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면 브라켓(19)은, 상기 점검 패널(17)의 하측 절개부에 결합된다.
상세히, 상기 후면 브라켓(19)은 상기 실외기(10)의 타 측면(기계실 쪽 측면)에서 상기 실외기(10)의 중심 쪽으로 소정 깊이 함몰되는 형태로 이루어져서, 서비스 밸브 연결 작업 및 전원선 연결 작업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욱 상세히, 상기 후면 브라켓(19)은, 후면부(191)와, 상기 후면부의 일측 가장자리, 구체적으로는 우측 가장자리에서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우측면부(192)와, 상기 후면부(191)이 상단과 상기 우측면부(192)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부(19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측면부(192)의 상단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면부(193)도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 브라켓(19)의 좌측면부와 전면부 및 바닥부는 개구된다. 만일, 상기 후면 브라켓(19)이 상기 실외기(10)의 우측면이 아니라 좌측면에 장착되는 경우, 즉 기계실이 실외기(10) 내부의 우측 공간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후면 브라켓(19)은 좌측면부를 형성하고, 우측면부가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우측면부(192)는, 상기 후면 브라켓(19)의 설치 위치에 따라 좌측면부로 정의될 수도 있으므로, 좌측면부와 우측면부를 구별하지 않는 용어로서 측면부 또는 측벽부로 정의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후면부(191)와 상면부(193) 및 우측면부(192)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부(191b,192b,193a)가 각각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들(191b,193a,192b) 각각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체결홀(191c,192d,193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들(191b,193a,192b)은 상기 점검 패널(17)의 외면 또는 내면에 밀착되고, 상기 체결홀들(191c,192d,193b)을 관통하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점검 패널(17)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부(191)와 우측면부(192) 각각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외기 유입구(191a,19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기 유입구(191a,192a)는, 상기 후면부(191)와 우측면부(192)의 일부분이 펀칭 공정에 의하여 개구되는 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 및 포밍 공정에 의하여 상기 외기 유입구(191a,192a)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 및 포밍 공정에 의하면, 상기 외기 유입구(191a,192a)의 형성과 함께, 외부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안내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측면부(192)에 형성되는 상기 외기 유입구(192a)는, 상기 우측면부(192)의 상단보다 하단에 가깝고, 전단부보다 후단부에 가까운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면부(191)에 형성되는 상기 외기 유입구(191a)는 상기 후면부(191)의 상단보다 하단에 가까운 영역에 형성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외기 유입구(191a,192a)가 상기 후면 브라켓(19)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외기 유입구(191a,192a)를 통하여 상기 기계실(102)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기계실(102)에 설치된 발열 부품들과 충분히 열교환한 다음 상승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외기 유입구(191a,192a)가 상기 후면 브라켓(19)의 상측에 형성될 경우, 상기 기계실(102)의 하측 영역에 구비되는 발열 부품 또는 상기 압축기(23)의 하측 부분은 실외 공기와 열교환을 충분히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우측면부(192)에는 서비스 밸브 연결을 위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비스 밸브 연결을 위한 구조는, 기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와 액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는,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액상 냉매가 흐르는 배관(액관)과 기상 냉매가 흐르는 배관(기관)의 직경이 다르고, 이들 배관에 연결되는 서비스 밸브의 크기도 다르다. 상세히, 기관의 직경이 액관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기관 서비스 밸브(20)가 액관 서비스 밸브(21)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관 서비스 밸브(20)와 액관 서비스 밸브(21)가 상기 후면 브라켓(19)의 우측면부(192)에 각각 결합되면, 상기 기관 서비스 밸브(20)가 액관 서비스 밸브(21)보다 상기 실외기(10)의 측방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서비스 밸브들은, 종래에는 실외기의 측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밸브들이 장착되는 실외기의 측면이 실외기 설치실의 벽면과 근접할 경우, 실외기 설치 기사가 밸브 연결 작업을 하는데 매우 큰 불편을 겪는다. 뿐만 아니라, 서비스 밸브의 돌출 길이로 인하여 실외기 설치 공간 확보가 쉽지 않은 문제점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서비스 밸브들이 장착되는 후면 브라켓(19)이 실외기(10)의 내측으로 함몰 또는 단차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서비스 밸브(20,21)가 안착되는 후면 브라켓(19)의 우측면부(192)는 상기 실외기(10)의 측면부로부터 상기 후면부(191)의 폭 만큼 이격되므로, 상기 서비스 밸브(20,21)의 연결 및 분리 작업을 위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관 서비스 밸브(20)와 액관 서비스 밸브(21)는 각각, 밸브 바디(201,211)와, 상기 밸브 바디(201,21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배관 연결부(202,212)와, 상기 밸브 바디(201,21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게이지 호스 연결부(204), 및 상기 밸브 바디(201,211)의 하단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체결 플랜지(203,2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는 상기 우측면부(192)에서 소정 깊이 더 함몰 또는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액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195)는 상기 우측면부(192)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다.
상세히, 상기 기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가 함몰 형성됨으로써,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상기 기관 서비스 밸브(20)가 실외기(10)의 측면 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작업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195)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관 서비스 밸브(20)의 배관 연결부(202) 중심과 상기 액관 서비스 밸브(21)의 배관 연결부(212)의 중심 간 수평 거리(g)가 길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냉매 배관 연결 작업시 발생하는 간섭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기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와 액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195) 중 어느 하나는 함몰되고, 다른 하나는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후면 브라켓(19)의 강도, 구체적으로는 상기 우측면부(192)의 강도가 확보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195)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면부(192)의 전단부에서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195)의 후단부는 상기 우측면부(192)의 후단으로부터 소정 거리(d)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195)가 상기 후면 브라켓(19)의 전단부 쪽에 치우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게이지 호스 연결부(204)에 게이지 호스(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게이지 호스는 라운드지거나 휘어져서 상기 서비스 밸브(20,21)의 후측으로 안내되고,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게이지 호스 연결부(204)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게이지 호스가 꺾이거나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 공간이 확보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설치 기사의 손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도 확보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기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는 상기 우측면부(192)로부터 함몰 형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기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 형성을 위한 포밍 과정에서 상기 후면 브라켓(19)의 찌그러짐에 의한 형상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기 기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의 전단부에는 슬릿(192c)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192c)은, 상기 우측면부(192)와 플랜지부(192b)가 만나는 지점, 즉 상기 플랜지부(192b)의 절곡 라인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기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의 상단으로부터 하단에 이르는 길이로 절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와 액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195) 각각에는 배관홀(196,197)이 형성되고, 상기 배관홀(196,197)의 상측 및 하측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체결홀들(194a,195a)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체결홀들(194a,195a)은 상기 서비스 밸브(20,21)의 체결 플랜지(203,213)에 형성된 체결홀과 정렬되고, 체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체결 플랜지(203,213)가 상기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195)에 고정된다.
상기 배관홀(196,197)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195)의 전단으로부터 후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장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배관홀(196,197)은, 상단과 하단은 서로 평행한 직선을 이루고, 후단은 반원 형상으로 라운드지는 장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배관홀(196,197)을 동심원 형태의 홀이 아닌 장홀 형태로 형성하는 것은,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서비스 밸브들을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배관홀(196,197)을 관통하는 서비스 밸브의 밸브 바디의 직경은 제품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배관홀(196,197)이 장홀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밸브 바디 직경을 가지는 서비스 밸브들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배관홀(196)의 상측과 하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다수 개의 체결홀들(194a,195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 홀들은 상기 배관홀(196,197)의 가장자리로부터의 거리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배관홀(196,197)의 가장자리로부터의 거리가 짧은 체결홀이, 상기 배관홀(196,197)의 가장자리로부터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체결홀보다, 상기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195)의 전단부에 더 가깝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서비스 밸브는 상기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195)의 후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고정될 것이고, 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서비스 밸브는 상기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195)의 전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고정될 것이다.
한편,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후면 브라켓(19)의 상면부(193)에는 전원선 통과홀(193c)과 신호선(또는 통신선) 통과홀(193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부(193)가 전단부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상면부가 수평하게 형성되는 구조에 비하여 설치 기사가 전선 연결 작업 및 마감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193)의 경사 각도(θ)는 20-70도가 적절하다.
만일, 상기 전원선 통과홀(193c)과 신호선 통과홀(193b)이 상기 후면부(191)에 형성될 경우, 전선 작업 시 서비스 밸브와 간섭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후면 브라켓(19)의 측면부와 전면부가 개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후면 브라켓(19)이 상기 실외기(10)의 측면 후단부에 장착됨으로써, 작업 효율이 좋아지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설치 기사가 토출 그릴(13)이 옥외를 향하도록 실외기를 설치한 상태에서, 설치 기사는 옥내 쪽에서 상기 후면 브라켓(19)의 함몰 부분에 접근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하면, 실외기(10)의 후측에서 서비스 밸브 작업인, 전선 연결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기사가 베란다 난간에 매달려서 실외기(10)의 전면을 바라보며 설치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실외기(10)의 후측에서 서비스 밸브에 냉매 배관을 연결하는 확관 작업(flaring)이 가능하므로, 작업 안정성과 작업 편의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후면 브라켓(19)에 의하여 실외기(10)의 측면 일부가 함몰되므로, 실외기 측면부와 실외기 설치 공간의 벽면 간 거리가 짧더라도, 설치 기사가 배관 작업을 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는 후면 브라켓(19)의 우측면부(192)에서 함몰되고, 액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195)는 우측면부(192)에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기관 서비스 밸브(20)의 배관 연결부(202)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액관 서비스 밸브(21)의 배관 연결부(212)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이 실외기(1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됨으로써, 서비스 밸브의 설치 작업시 간섭이 최소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기관 서비스 밸브가 장착되는 상기 기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194)가 실외기(10)의 중심을 향하여 함몰되게 형성됨으로써, 기관 서비스 밸브의 밸브 바디(201)가 실외기(10)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실외기 설치 공간의 벽면과 간섭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검 패널과 점검창 커버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11은 상기 점검 패널과 점검창 커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12-12를 따라 절개되는 종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점검 패널(17)은 상기 기계실(102)의 측면부 후측 절반 정도와, 상기 기계실(102)의 후면을 덮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점검 패널(17)은 패널 전면부(172)와, 상기 패널 전면부의 가장자리에서 절곡되는 패널 측면부(17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패널 측면부(171)는 상기 기계실(102)의 측면부 후측을 커버하고, 상기 패널 전면부(172)는 상기 기계실(102)의 후면을 커버한다. 그리고, 상기 점검 패널(17)의 하측에는 상기 후면 브라켓(19)이 결합되는 후면 브라켓 결합구(또는 결합홈)(17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널 측면부(171)는 제 1 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패널 전면부(172)는 제 2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검 패널(17)의 패널 전면부(172)에는 점검창(173)이 형성되고, 상기 점검창(173)은 상기 점검창 커버(18)에 의하여 개폐된다.
상세히, 상기 점검창(173)의 직후방에는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를 구성하는 메인 피시비(후술함)가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점검창 커버(18)를 개방하면, 상기 메인 피시비의 조작 및 수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점검창(173)이 실외기(10)의 전면이 아니라 후면에 배치되므로, 설치 기사가 난간에 매달려서 실외기(10)의 전면을 보면서 작업하는 경우에 비하여 작업 안정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메인 피시비에는, 실외기 시운전 및 고객 맞춤형 설정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구비되고, 실외기 온도 센서 연결단자가 구비된다. 또한, 설치 기사가 휴대하며, 각종 전기 부품들의 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모니터링 뷰어와 같은 단말기를 상기 메인 피시비에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설치 기사는 상기 점검창 커버(18)를 개방하여, 상기 메인 피시비를 보면서 상기의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설치기사가 난간에 매달려서 실외기의 전면을 향하여 몸을 숙여야 하는 종래의 실외기 설치 작업에 비하여, 실외기(10)의 후측에서 상기 점검창 커버(18)를 열어서 작업하면 되므로, 작업 안정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패널 전면부(172)에는 커버 안착부(172)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커버 안착부(177)에 상기 점검창(173)이 형성된다. 상기 점검창(173)의 하단부와 상기 커버 안착부(177)의 하단부 사이 영역에는 물침투 방지턱(176)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물침투 방지턱(176)에 체결홀(176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안착부(177)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체결 슬릿(175)이 절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점검창 커버(18)는, 상기 커버 안착부(177)에 안착되는 커버 바디(181)와, 상기 커버 바디(181)의 내측에서 상기 실외기(10)의 후방으로 볼록하게 융기되는 융기부(185)와, 상기 커버 바디(171)의 하단에서 돌출 및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손잡이(183), 및 상기 커버 바디(181)의 상단에서 절곡 연장되는 걸림단(18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융기부(185)의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체결홀(184)이 형성되고, 상기 점검창 커버(18)가 상기 커버 안착부(177)에 안착되면, 상기 체결홀(184)은 상기 물침투 방지턱(176)에 형성된 체결홀(176a)과 정렬된다. 그리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가 상기 체결홀들(184,176a)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물침투 방지턱(176)에 의하여 상기 체결홀들(184,176a)을 통하여 빗물이 유입되더라도 상기 점검창(173)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융기부(185)의 가장자리는, 상기 커버 바디(181)의 가장자리에서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단(182)은 상기 커버 바디(181)의 상단에서 후측으로 절곡된 뒤 상측으로 재절곡되는 L자형 종단면 형상을 이룬다. 즉, 상기 걸림단(182)은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단(182)이 상기 체결 슬릿(175)에 삽입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단(182)의 수평부가 상기 체결 슬릿(175)에 걸리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홀(184)의 관통하는 체결 부재를 제거하더라도, 상기 점검창 커버(18)가 상기 커버 안착부(177)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5는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의 전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16은 상기 컨트롤 박스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는 상기 압축기(23)의 상측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기계실(102)의부 상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는, 절개 및 절곡되는 금속 플레이트 형태의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와,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의 후면에 결합되는 메인피시비 브라켓(46)과, 상기 메인 피시비 브라켓(46)의 후면에 장착되는 메인 피시비(모듈(49))와, 상기 메인 피시비 브라켓(46)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터미널 블록(48)과,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의 측면에 장착되는 에어 가이드(45)와,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의 전면에 고정되는 인버터 피시비 브라켓(42)과, 상기 인버터 피시비 브라켓(42)의 전면에 안착되는 인버터 피시비(43)와, 상기 인버터 피시비 브라켓(42)의 후면에 장착되는 히트 싱크(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인버터 피시비(43)에는 커패시터와 파워 모듈, 및 지능형 파워 모듈(IPM : Intelligent Power Module)(49)과 같이 발열량이 많은 부품이 실장되고, 상기 히트 싱크(44)는 상기 인버터 피시비(43)에 실장되는 고발열 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해 장착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히트 싱크(44)는 전도체(441)와, 상기 전도체(441)의 배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방열핀(442)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방열핀(442)은 가로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다수의 방열 플레이트가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102) 내부로 유입되는 실외 공기는 상기 다수의 방열핀들(442) 사이 공간을 따라 수평하게 흐른다.
또한, 상기 인버터 피시비(43)에 실장되는 부품들 중 특히 발열량이 많은 상기 지능형 파워 모듈(49)은 상기 인버터 피시비(43)의 후면으로 돌출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트 싱크(44)의 전도체(441)가 상기 지능형 파워 모듈(49)에 부착되어, 상기 지능형 파워 모듈(49)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히트 싱크(44)로 방출되도록 하여, 상기 지능형 파워 모듈(49)이 신속하게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히트 싱크(44)의 전도체(441)는 상기 지능형 파워 모듈(49) 뿐만 아니라, 상기 인버터 피시비(43)에 실장된 고발열 부품과 열교환 가능하게 접촉하도록 설계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인버터 피시비 브라켓(42)은, "ㄷ"자 형태의 종단면 형상을 이루고, 상기 인버터 피시브 브라켓(42)의 상면 후단부와 하면 후단부가 각각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에 고정 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인버터 피시비 브라켓(42)은 전면에 인버터 피시비(43)가 안착되는 피시비 안착부(421)와, 상기 피시비 안착부의 상단과 하단에서 후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연장단(422)과 하부 연장단(42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연장단(422)과 하부 연장단(423)이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의 수직부(413) 전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인버터 피시비 브라켓(42)의 구조적 특징에 의하여, 상기 인버터 피시비 브라켓(42)과 상기 수직부(413) 사이에 냉각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는, 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다가 하측으로 휘어지는 형태의 바닥부(411)와, 상기 바닥부(411)의 후단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413)와, 상기 수직부의 일 측단부에서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측면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바닥부(411)의 어느 지점, 특히 하측으로 휘어지는 부분의 어느 지점에는 전선 통과홀(4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부(413)에는 히트 싱크 연통홀(416)과 통기공(417)이 각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44)의 방열핀 부분이 상기 히트 싱크 연통홀(416)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통기공(417)은 상기 히트 싱크 연통홀(416)의 측방에 형성되어, 상기 기계실(102)로 유입되어 상승하는 실외 공기가 상기 통기공(417)을 통과한 다음 상기 인버터 피시비(43)의 배면을 냉각시키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버터 피시비 브라켓(42)의 상면과 하면 후단은 상기 수직부(413)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수직부(413)와 상기 인버터 피시비 브라켓(42) 사이에는 냉각 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통기공(417)을 통하여 상기 냉각 유로로 안내되는 실외 공기는 상기 히트 싱크(44)의 방열핀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의 측면부(414)에는 에어홀(415)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에어홀(415)은, 상기 인버터 피시비 브라켓(42)과 상기 수직부(413)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냉각 유로의 출구단에 대응하는 지점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에어홀(415)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상기 측면부(414)의 외측 면에는 상기 에어 가이드(45)가 장착된다. 상기 에어 가이드(45)는 상기 배리어(26)를 관통하여 상기 실외기(10)의 송풍실(101)에 놓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배리어(26)에는 상기 에어 가이드(45) 통과를 위한 홀이 형성되거나, 상기 에어 가이드(45)를 수용하는 함몰부 또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각 유로를 따라 흐르고, 상기 히트 싱크(44)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에어홀(415)과 상기 에어 가이드(45)를 통하여 상기 송풍실(101)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실(101)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응축팬(241)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송풍실(101)로 유입된 실외 공기와 함께 다시 실외기(10)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가이드(45)는 덕트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의 측면에 돌출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가이드(45)의 저면부는 출구단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출구단 면적이 입구단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에어 가이드(45)의 출구단에서 송풍실(101)로 토출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하여, 기계실(102) 내부의 공기가 송풍실(101)로 신속하게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후면 브라켓(19)에 형성되는 상기 외기 유입구(191a,192a)를 통하여 상기 기계실(102)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상기 압축기(23)를 타고 상승하고, 상기 전선 통과홀(412)을 통과하여 상기 냉각 유로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피시비(47)는 상기 메인 피시비 브라켓(46)에 의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에 고정되되,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에 직접 부착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메인 피시비(47)가 상기 인버터 피시비(43)로부터 충분히 이격되도록 함으로써, 메인 피시비(47)와 인버터 피시비(43)의 냉각 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한다. 상기 메인 피시비(47)에는 상기 인버터 피시비(4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낮은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피시비에는, 실외기 내부에 장착되는 온도 센서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선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다수의 연결 단자와, 실외기 운전 조건을 설정 및 시운전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함께 구비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피시비(47)가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의 후면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점검창(173)을 통하여 상기 메인 피시비(47)로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메인 피시비 브라켓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18은 상기 메인 피시비 브라켓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19는 상기 메인 피시비 브라켓의 측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메인 피시비 브라켓(46)은 절곡 및 펀칭이 가능한 메탈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메인 피시비 브라켓(46)은, 수직하게 연장되는 메인 피시비 안착부(461)와, 상기 메인 피시비 안착부(461)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바닥부(462)와, 상기 바닥부(462)의 전단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되는 수직 절곡부(465)와, 상기 수직 절곡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전방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경사 절곡부(466)와, 상기 바닥부(462)의 일부가 절개 후 하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형성되는 터미널 블록 안착부(464), 및 상기 메인 피시비 안착부(461)의 상단에서 전방으로 절곡되는 상면부(463)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상면부(463)의 전단부는 상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수직하게 절곡되고, 상기 수직하게 절곡되는 부분은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의 수직부(413) 배면에 체결 부재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피시비 안착부(461)의 배면에 상기 메인 피시비(47)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피시비 안착부(461)와 상기 바닥부(462)가 만나는 부위에는 통기공(469)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기공(469)은, 상기 메인 피시비 안착부(461)의 하측 일부분과 상기 바닥부(462)의 후측 일부분에 걸쳐서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469)은, 상기 터미널 블록 안착부(464)가 하측으로 절곡되면서 형성되는 개구부라고 할 수 있다. 즉, 평평한 판재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 블록 안착부(464) 형성을 위한 절개부를 형성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피시비 안착부(461)를 접어 올린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블록 안착부(464)를 수평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절곡시킨다. 그러면, 상기 통기공(46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블록 안착부(464)의 전단부, 즉 절곡 부분은 상기 바닥부(462)의 대략 중앙 부위에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터미널 블록 안착부(464)에는 터미널 블록(미도시)이 장착되고, 상기 터미널 블록에는 실내기 전원 연결 단자가 구비된다. 따라서, 설치 기사는 상기 점검창 커버(18)를 개방한 상태에서, 실내기로부터 연장되는 전원선을 상기 터미널 블록에 연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 블록 안착부(464)가 비스듬히 형성됨으로써, 설치 기사가 허리를 많이 굽히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 단자 체결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수직 절곡부(465)의 중심으로부터 좌측 영역과 우측 영역 중 어느 한 영역의 일부분은 절개 및 절곡되는 상기 경사 절곡부(466)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직 절곡부(465)의 좌측 영역에 상기 경사 절곡부(466)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 절곡부(465)는, 상기 경사 절곡부(466)로 정의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을 제외한 수직 상태의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경사 절곡부(466)는, 상기 수직 절곡부(465)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서 전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 절곡부(466)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수직 절곡부(465)의 측단부에서 중심 방향으로 상기 경사 절곡부(466)의 폭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절개 공정이 이루어진다. 즉, 하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상기 수직 절곡부(465)를 절개한 상태에서, 상기 경사 절곡부(466)가 형성되도록 전방으로 절곡시킨다. 그리고, 상기 경사 절곡부(466)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재차 절곡되는 수평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에 하나 또는 다수의 수평 체결홀(468)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는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의 바닥부(411)에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수평 체결홀(468)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S1, 도 19참조)에 의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의 저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경사 절곡부(466)의 측방에 정의되는 상기 수직 절곡부(465)에는 하나 또는 다수의 수직 체결홀(46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체결홀(467)이 다수 개가 형성될 경우, 상하 방향 또는 가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체결홀(467)이 형성되는 상기 수직 절곡부(465) 부분은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의 수직부(413) 배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체결홀(467)을 관통하는 체결 부재(S2, 도 19 참조)에 의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의 수직부(413) 배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 절곡부(465)와 경사 절곡부(466)에 의하여 상기 메인 피시비 브라켓(46)의 하단부가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의 바닥부(411)와 수직부(413)에 동시에 체결됨으로써, 체결 안정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 피시비 브라켓(46)에 장착되는 상기 메인 피시비(47) 및 터미널 블록의 하중에 의하여 상기 메인 피시비 브라켓(46)이 아래로 처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외기의 기계실로 유입된 실외 공기의 유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 14의 20-20을 따라 절개한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의 횡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실외기(10)의 기계실(102)로 유입된 실외 공기는 상승하여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의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의 전방으로 상승한 공기는, 상기 인버터 피시비(43)의 전면에 실장된 발열 부품들을 냉각시킨다. 그 후,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의 측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인버터 피시비 브라켓(42)과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의 수직부(413) 사이에 형성된 냉각 유로(P)로 유입된다. 상기 냉각 유로(P)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히트 싱크(44)의 방열핀(442)과 열교환하여 상기 히트 싱크(44)를 냉각시킨다. 그리고, 상기 히트 싱크(44)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에어 가이드(45)에 의하여 상기 송풍실(101)로 안내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의 후방으로 상승한 공기는, 상기 메인 피시비(47)를 냉각시키고,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의 수직부(413)에 형성된 상기 통기공(417)을 통하여 상기 냉각 유로(P)로 유입된다.
또한, 상기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의 후방으로 상승한 공기의 일부는, 상기 컨트롤 박스 케이스(41)의 수직부(413)에 형성된 상기 히트 싱크 연통홀(416)을 통하여 상기 히트 싱크(44)를 직접 냉각시킨 후 상기 에어 가이드(45)에 의하여 상기 송풍실(101)로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열을 많이 발생하는 고발열 부품은 상기 인버터 피시비(43)에 실장되고, 상대적으로 열을 적게 발생하는 저발열 부품은 상기 메인 피시비(47)에 실장되도록 하고, 상기 인버터 피시비(43)와 상기 메인 피시비(47)를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시킴으로써,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의 냉각 효율이 높아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인버터 피시비(43)와 상기 메인 피시비(47) 사이에 상기 냉각 유로(P)가 형성됨으로써, 피시비 냉각에 참여한 공기가 신속히 실외기(10) 외부로 배출되어,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의 냉각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냉각 유로(P)가 상기 에어 가이드(45)에 의하여 송풍실(101)로 안내되므로, 기계실(102)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신속히 실외기(10) 외부로 배출되므로,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40)의 냉각 효율이 높아진다.

Claims (9)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를 송풍실과 기계실로 구획하는 배리어;
    상기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는 압축기;
    상기 송풍실 가장자리에 놓이는 응축기;
    상기 송풍실 내부에 배치되는 응축팬 어셈블리;
    상기 압축기의 상측에 대응하는 상기 기계실 내부에 배치되는 컨트롤 박스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은,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캐비닛의 측면 일부분을 정의하고 상기 기계실의 측면 일부분을 덮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캐비닛의 후면 일부분을 정의하고 상기 기계실의 후면을 덮는 제 2 면을 포함하는 점검 패널; 및
    상기 점검 패널의 하측에 결합되는 후면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후면 브라켓은,
    상기 제 2 면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전면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측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제 1 면으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지점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측면부, 및
    상기 후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후면부의 상단을 지나는 수평면으로부터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에는 전원선 및 신호선이 삽입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부와 상기 측면부에는 외기 유입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는,
    기관 서비스 밸브가 장착되는 기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와,
    액관 서비스 밸브가 장착되는 액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기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는 상기 측면부로부터 상기 캐비닛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액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는 상기 측면부로부터 상기 캐비닛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와 상기 액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에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홀 형태의 배관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관홀은 상기 측면부의 전단에서 후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배관홀의 후단은 소정 곡률로 라운드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홀의 가장자리에 다수의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체결홀은,
    제 1 체결홀과,
    상기 제 1 체결홀로부터 상기 배관홀의 후단 쪽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되는 제 2 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체결홀과 상기 배관홀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1 체결홀과 상기 배관홀의 가장자리까지의 거리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전단에서 절곡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관 서비스 밸브 안착부의 전단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 전단에 수직하게 세워져서, 상기 송풍실의 전면을 덮고, 내측에 쉬라우드가 형성되는 프런트 패널과,
    상기 프런트 패널의 전면에 결합되는 토출 그릴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하게 세워져서, 상기 기계실의 전면과 상기 기계실의 측면 나머지 일부를 덮는 기계실 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20160166943A 2016-12-08 2016-12-08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180065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943A KR20180065724A (ko) 2016-12-08 2016-12-08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943A KR20180065724A (ko) 2016-12-08 2016-12-08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724A true KR20180065724A (ko) 2018-06-18

Family

ID=62765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943A KR20180065724A (ko) 2016-12-08 2016-12-08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57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073A (ko) 2021-08-30 202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371A (ko) 2014-01-14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371A (ko) 2014-01-14 2015-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2073A (ko) 2021-08-30 2023-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40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180065725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090053491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JP2010043802A (ja) 室外ユニット
JP5873994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ユニット
WO2019239630A1 (ja) 室外機
KR20180065724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20180065723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0654999B1 (ko) 공기조화기
JP3530500B2 (ja) 床置型空気調和装置
KR20170001705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239693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6460362B1 (en) Assembly guides for molded components
KR101010454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221122385U (zh) 立式空调室内机
WO2021054464A1 (ja) 冷凍装置の室外機
JPH0410500Y2 (ko)
JP2010078220A (ja) 床置型室内機
KR100452363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596258B1 (ko) 공기조화기
KR20030084358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KR100553049B1 (ko) 공기조화기
KR100547687B1 (ko) 공기조화기
KR100547688B1 (ko) 공기조화기의 팬하우징 설치구조
KR100564455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