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4149A - Apparatus and meht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motor in vehicl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ht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motor in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4149A
KR20180064149A KR1020160164417A KR20160164417A KR20180064149A KR 20180064149 A KR20180064149 A KR 20180064149A KR 1020160164417 A KR1020160164417 A KR 1020160164417A KR 20160164417 A KR20160164417 A KR 20160164417A KR 20180064149 A KR20180064149 A KR 20180064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motor
output
seat moto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4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경호
이정기
신석우
이정훈
김민석
김인수
조은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4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4149A/en
Publication of KR20180064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41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60N2002/026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05Diagnosing or detecting failures; Failure detection models
    • B60W2050/022Actuator fail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2Ensuring safety in case of control system failures, e.g. by diagnosing,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B60W50/029Adapting to failures or work around with other constraints, e.g. circumvention by avoiding use of failed parts
    • B60W2050/0295Inhibiting action of specific actuator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power seat in a vehicle, wherein the apparatus comprises: an input unit inputting an operation state of a seat motor from a seat; a controller controlling the seat motor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seat motor; and an output unit supplying an operation power source to the seat motor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Moreover, the controller feeds the output of the output unit back while driving so as to detect whether or not abnormal output exists. In addition, the controller controls forced stop of the seat motor when the abnormal output is detected.

Description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HT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MOTOR IN VEHIC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seat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주행 중 전동시트의 모터 오작동을 사전에 감지하여 모터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seat of a vehicle that detects a malfunction of a motor of a power seat in advance to prevent a malfunction of the motor.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에는 운전석 및 조수석 등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시트(seat)가 마련되어 있으며, 시트의 위치, 각도 및 등받이 기울기(각도) 등을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In general, a seat for a passenger such as a driver's seat and a passenger seat is provided in a vehicle, and the seat position, angle, and backrest inclination angl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occupant's body condition.

시트 조절 방법에는 탑승자가 래치의 결합 상태를 수동으로 해제한 상태에서 탑승자가 힘을 주어 시트를 조절하는 수동 방식과 탑승자의 간단한 버튼 조작을 통해 모터를 구동하여 시트를 조절하는 전동 방식이 있다.The seat adjustment method includes a manual mode in which a passenger manually adjusts a seat by releasing the engagement state of a latch, and a motorized system in which a seat is adjusted by driving a motor through a simple button operation of a passenger.

전동 방식의 시트 조절 방법이 적용된 전동시트(power seat)는 시트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슬라이드 조절 기능, 시트의 전방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틸트 조절 기능,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기능, 시트의 등받이 각도(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리클라이너(recliner)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A power seat with a motorized seat adjustment method includes a slide adjustment function for moving the seat forward or backward, a tilt adjustment function for adjusting the front tilt angle of the seat,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for adjusting the seat height, And a recliner function for adjusting the back angle (inclination).

전동시트를 운전석에 적용하는 경우, 주행 중 운전석의 전동시트의 제어 오류 또는 제어기 내부 고장으로 인하여 의도치 않은 시트의 움직임에 의해 운전자의 위험한 운전상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When the electric seat is applied to the driver's se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dangerous driving state of the driver may occur due to an unintentional movement of the seat due to a control error of the electric seat of the driver's seat or a failure in the controller.

예를 들어, 주행 중 운전석 시트가 후방으로 의도하지 않게 이동하는 경우, 운전자의 운전자세가 불편하게 되어 안전운전을 어렵게 한다.For example, when the driver's seat unintentionally moves rearward during driving, the driver's tax is inconvenient, making safe driving difficult.

또한, 주행 중 운전석 시트가 앞쪽으로 접혀서 운전자가 불편한 자세로 운전을 하게 되어 안전운전을 어렵게 한다.Further, the driver's seat is folded forward while the driver is driving, which makes the driver inoperable in an uncomfortable posture, making safe driving difficult.

본 발명은 주행 중 전동시트의 모터 오작동을 사전에 감지하여 모터를 강제 정지시켜 모터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ic seat of a vehicle, which prevents a malfunction of a motor by forcibly stopping the motor by sensing a malfunction of the motor in a running seat in adv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장치는 시트로부터 시트모터의 동작상태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시트모터의 동작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시트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시트모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주행 중 상기 출력부의 출력을 피드백 받아 이상출력을 감지하고 이상출력 감지 시 상기 시트모터를 강제정지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ectric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operation state of a seat motor from a sea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seat motor in consideration of an operating state of the seat motor,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seat motor to be forcibly stopped when the abnormal output is sensed by feeding back the output of the output unit during running and detecting an abnormal output .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시트의 등받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이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상기 시트모터 및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의 동작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eat includes a first motor for moving the seat forward or backward, and a second motor for tilting the backrest of the seat forward or backward, and an operation state of the seat motor and the first and second motors, And a sensor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fluid.

상기 동작상태는, 정지, 정방향 동작, 역방향 동작 및 강제정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state is classified into a stop, a forward operation, a reverse operation, and a forced stop.

상기 출력부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output section is constituted by a switching elemen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의 출력 피드백을 통해 상기 시트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상태를 감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ntrol unit monitors the power supply state supplied to the seat motor through the output feedback of the output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모터의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시트모터로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이상출력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unit senses an abnormal output when operating power is supplied to the seat motor from the output unit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seat motor is not outpu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방법은 주행 중 시트모터로 출력되는 출력을 피드백 받는 단계, 상기 피드백된 출력에서 이상출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출력 감지 시 시트모터를 강제정지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eanwhile,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an output signal of a seat motor during running; sensing an abnormal output of the feedback signal; And a step of controlling to a forced stop.

상기 피드백 받는 단계는, 상기 시트모터로 출력되는 전원상태를 피드백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ep of receiving the feedback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state output to the seat motor is fed back.

상기 이상출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시트모터의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피드백된 출력에서 상기 시트모터로의 동작전원 공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tep of sensing the abnormal output senses an operation power supply to the seat motor from the feedback output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seat motor is not output.

상기 시트모터의 강제정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시트모터의 정방향 동작 및 역방향 동작을 지시하여 상기 시트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forced stop of the seat motor instructs the normal operation and the reverse operation of the seat motor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seat motor.

본 발명은 주행 중 전동시트의 모터 오작동을 사전에 감지하여 모터를 강제 정지시키므로, 모터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tor is forcibly stopped by detecting the malfunction of the motor of the electric seat in advance, the malfunction of the motor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은 주행 중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시트 움직임(시트 뒤로 밀림, 앞으로 접힘)에 의한 운전 자세 변형을 방지하여 안전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driver from deformation of the driving posture due to the unintended movement of the seat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seat).

또한, 본 발명은 전동시트 제어 장치의 고장으로 인한 시트의 슬라이드 모터와 리클라인 모터의 오작동을 감지하여 모터 동작을 정지시키므로 운전자가 안전 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malfunction of the seat slide motor and the return line motor due to the failure of the electric seat control device, and stops the motor operation, thereby enabling the driver to perform safe ope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2는 시트모터의 동작에 따른 시트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출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시트모터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기술을 적용한 차량과 미적용 차량을 비교하여 설명하기 도면.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lectric seat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sheet contro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at motor;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the output unit of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at motor contro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parison between a vehicle to which the safety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n unused vehicle.

본 명세서에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e terms "comprises", "comprising",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herein to mean that a component can be implanted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Quot; element ".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 "하나" 및 "그" 등의 관사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Also, the terms " part, "" module, " and" module ", as used herei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articles "a", "an", "an" and "the" Can be us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차량 내 운전석 전동시트(power seat)를 제어하는 전동시트모듈(Power Seat Module, PSM)에서 전동시트모터의 이상(전동시트가 의도하지 않게 뒤로 밀려 나거나 접혀지는 오작동)을 사전에 감지하여 전동시트모터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시트제어 안전 매커니즘 기술을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n abnormality of an electric seat motor (a malfunction in which a motor seat is inadvertently pushed back or folded) in a power seat module (PSM) for controlling a driver's seat power seat in a vehicle We propose a seat control safety mechanism technology to prevent malfunction of motorized seat motor.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은 자동차 기능 안전 국제표준(ISO 26262)에서 제시한 전기 및/또는 전자 시스템(제어기)의 오작동으로 인한 운전자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event injury to the driver due to malfunction of the electrical and / or electronic system (controller) propos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Automotive Safety of Function (ISO 26262).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구성도이고, 도 2는 시트모터의 동작에 따른 시트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출력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for explaining sheet contro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seat motor, and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at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전동시트 제어 장치(100)는 전동시트(power seat)(200)의 위치 및 시트 등받이의 기울기(각도)(recline)를 제어한다. 전동시트 제어 장치(100)는 전동시트(200)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호간에 데이터(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The electric seat control apparatus 100 controls the position of the power seat 200 and the recline of the seat back. The motor-operated seat control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the motor-driven seat 200 by wire to exchange data (information) with each other.

전동시트 제어 장치(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출력부(130) 및 커넥터(connector)(140)를 포함한다.The electric seat control apparatus 100 includes an input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n output unit 130, and a connector 140.

입력부(110)는 시트 조절버튼의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신호를 입력 받는다. 예컨대,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시트 조절버튼을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전동시트(이하, 시트)(100)를 전방(차량의 전진 방향) 또는 후방(차량의 후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명령 또는 시트 등받이 기울기를 조정하기 위한 리클라인(recline) 명령을 수신한다.The input unit 110 receives a signal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at adjustment button. For example, when the user operates the seat adjustment button, the input unit 110 is operated to move the electric seat (hereinafter referred to as sheet) 100 forward (in the vehicle forward direction) or rearward (in the vehicle backward direction) And receives a slide command or a recline command to adjust the seat back inclination.

입력부(110)는 시트(200) 내 센서(220)로부터 출력되는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다. 입력부(110)는 시트(200)의 센서(220)를 통해 시트모터(210)의 동작상태를 수집한다.The input unit 110 receives sensing data output from the sensor 220 in the seat 200. The input unit 110 collects the operating state of the seat motor 210 through the sensor 220 of the seat 200.

입력부(11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통해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CAN 버스로 연결된 차량 내 전자제어장치(ECU)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한다.The input unit 110 receives information via CAN (Controller Area Network) communication. For example, the input unit 110 receive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in a vehicle connected via a CAN bus.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시트 제어 명령(슬라이드 명령 또는 리클라인 명령)에 따라 시트모터(210)의 구동을 위한 제어 명령(제어신호)을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센서(220)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시트모터(210)의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20 outputs a control command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seat motor 210 in accordance with a sheet control command (a slide command or a return command)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0. [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the sensing data of the sensor 220 through the input unit 11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at motor 210 using the received sensing data.

제어부(120)는 출력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일정 주기로 피드백(feedback) 받는다. 제어부(120)는 제어부(120)에서 출력부(130)로 출력되는 제어신호와 출력부(130)로부터 피드백되는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여 시트모터(210)의 오작동 여부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20)는 제어신호와 피드백 신호를 고려하여 의도하지 않은 시트모터(210)의 움직임 발생이 예상되는지를 결정한다.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the output signal from the output unit 130 at a predetermined periodic frequency.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seat motor 210 malfunctions using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20 to the output unit 130 and the feedback signal fed back from the output unit 130. [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motion of the unintended seat motor 210 is exp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and the feedback signal.

제어부(120)는 출력부(130)의 출력 피드백을 통해 출력부(130)에서 시트모터(210)로 출력되는 전원상태를 감시한다. 제어부(120)는 자신이 의도하지 않은 시트모터(210)으로의 전원공급이 감지되면 이를 이상신호로 감지하여 출력부(130)의 고장으로 판단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20)는 시트모터(2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상태에서 출력부(130)로부터 시트모터(210)로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시트모터(210)가 오작동할 가능성이 있어 비안전 상태로 판단한다([표 1] 참조).The control unit 120 monitors the power state output from the output unit 130 to the seat motor 210 through the output feedback of the output unit 130. [ The control unit 120 senses an unintended power supply to the seat motor 210 as an abnormal signal, and determines that the output unit 130 is out of order. In other words, when the operating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put unit 130 to the seat motor 210 in a state in which the control signal (operation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at motor 210 is not outputted, It is judged that the motor 210 is malfunctioning and it is judged to be in an unsafe state (see [Table 1]).

한편, 제어부(120)는 시트모터(2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출력부(130)로부터 시트모터(210)로 동작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출력부(130)의 고장으로 판단한다([표 1] 참조). 이때, 출력부(130)가 고장상태이나 시트모터(210)로 동작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시트모터(210)가 미동작 상태이므로 안전한 상태이다.If the operating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output unit 130 to the seat motor 210 while the control unit 120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at motor 210, (See Table 1). At this time, since the output unit 130 is in a failure state or the operating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seat motor 210, the seat motor 210 is in a non-operating state and thus is in a safe state.

제어부에서 시트모터 제어신호 미출력In the control section, 제어부에서 시트모터 제어신호 출력The control unit outputs the seat motor control signal 출력부에서 시트모터로 전원공급Powered by seat motor at output 출력부 고장
→ 시트모터 오작동 가능 상태(비안전 상태)
Output failure
→ Seat motor malfunction possible (unsafe condition)
정상normal
출력부에서 시트모터로 전원 미공급No power supply to seat motor at output 정상normal 출력부 고장
→ 시트모터 미작동(안전 상태)
Output failure
→ Seat motor not operating (safety status)

제어부(120)는 시트모터 오작동으로 판단되면 시트모터(210)를 강제로 정지시킨다. 예컨대, 제어부(120)는 시트모터(210)의 +단자와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게 한다.The control unit 120 forcibly stops the seat motor 2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at motor malfunctions.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supplies power to the + terminal and the - terminal of the seat motor 210.

제어부(120)는 MCU(micro control unit)로 구현된다. MCU는 프로세서와 RAM(Random Access Memory) 및 ROM(Read Only Memory) 등과 같은 메모리를 포함한다.The control unit 120 is implemented as an MCU (micro control unit). The MCU includes a processor and a memory such as a RAM (Random Access Memory) and a ROM (Read Only Memory).

출력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릴레이를 제어하여 시트모터(210)에 동작전원을 공급한다. 출력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터(211)로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제어하는 제1릴레이(131)과 제2모터(212)로 공급되는 동작전원을 제어하는 제2릴레이(132)를 포함한다. 각 릴레이(131 및 132)는 2개의 공통단자(c 접점), 2개의 a 접점, 2개의 b 접점을 가진다. 공통단자는 1번 및 4번 단자, a 접점은 2번 및 5번 단자, b 접점은 3번 및 6번 단자이다. 공통단자 중 1번 단자는 제1모터(211) 및 제2모터(212)의 +단자에 연결되고, 4번 단자는 제1모터(211) 및 제2모터(212)의 -단자에 연결된다. 그리고, a 접점은 전원에 연결되고 , b 접점은 접지(GND)에 연결된다.The output unit 130 controls the relay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0 to supply the operating power to the seat motor 210. 3, the output unit 130 includes a first relay 13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power supplied to the first motor 211 and a second relay 13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power supplied to the second motor 212, And a relay 132. Each of the relays 131 and 132 has two common terminals (c contacts), two a contacts, and two b contacts. The common terminal is terminals 1 and 4, the contact a is terminals 2 and 5, and the contact b is terminals 3 and 6. The first terminal of the common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first motor 211 and the second motor 212 and the terminal 4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first motor 211 and the second motor 212 . The a contact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and the b contact is connected to the ground (GND).

본 실시예에서는 릴레이와 같은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출력부를 구성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트랜지스터(transistor) 또는 전송게이트와 같은 스위치 소자로 구성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an output section is formed using a switching element such as a rela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a switch element such as a MOS (Metal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or a transmission gate may be used.

커넥터(140)는 전동시트 제어 장치(100)와 시트(2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전동시트 제어 장치(100)는 커넥터(140)를 통해 시트모터(210) 및 센서(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nnector 140 serves to electrically connect the motor-operated seat control apparatus 100 and the seat 200. In other words, the electric seat control apparatus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at motor 210 and the sensor 220 via the connector 140.

시트(200)는 시트모터(210)와 센서(220)를 포함한다.The seat 200 includes a seat motor 210 and a sensor 220.

시트모터(210)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20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용 제1모터(211)와 도 2b와 같이 시트(200)의 등받이 기울기(각도)를 조정하는 리클라인용 제2모터(212)를 포함한다.The seat motor 210 includes a first motor 211 for slide movement for moving the seat 200 forward or backward as shown in FIG. 2A, and a second motor 211 for adjusting the backrest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 200 as shown in FIG. And a second motor 212 for recliner.

센서(220)는 제1모터(211)와 제2모터(212)의 동작상태를 센싱한다. 동작상태는 정지, 정방향 회전(동작), 역방향 회전(동작) 및 강제정지로 구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모터(211)와 제2모터(212)의 외부에 센서가 배치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모터(211)와 제2모터(212) 내에 센서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The sensor 220 sens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first motor 211 and the second motor 212. [ The operation state is classified into stop, forward rotation (operation), reverse rotation (operation), and forced stop. In the present embodiment, sensors are disposed outside the first motor 211 and the second motor 21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sensors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motor 211 and the second motor 212 .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시트모터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모터(211)과 제2모터(212)의 동작제어가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하나의 시트모터에 대한 동작제어만을 설명한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at motor contro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operation control for one seat motor will be described since the operation control of the first motor 211 and the second motor 212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모터(210)를 동작시키지 않는 경우(Off), 제어부(120)는 출력부(130)의 1번 단자와 4번 단자가 b 접점(3번 단자와 6번 단자)에 접촉하게 한다. 즉, 제어부(120)는 시트모터(210)의 +단자와 -단자가 접지(GND)에 연결되게 한다.4, when the seat motor 210 is not operated (Off),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first and fourth terminals of the output unit 130 are connected to the b contact (terminals 3 and 6 Terminal). That is, the control unit 120 connects the positive terminal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seat motor 210 to the ground GND.

시트모터(210)를 정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제어부(120)는 출력부(130)의 1번 단자(c 접점)와 2번 단자(a 접점)를 연결하고, 출력부(130)의 4번 단자(c 접점)와 6번 단자(b 접점)를 연결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부(120)는 시트모터(210)의 +단자를 전원에 연결하고 -단자는 접지(GND)에 연결하여 시트모터(21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When the seat motor 210 is operated in the normal direction, the control unit 120 connects the first terminal (c contact) and the second terminal (a contact) of the output unit 130, Connect the terminal (c contact) and terminal 6 (b contact).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20 connects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seat motor 210 to the power source and connects the negative terminal to the ground GND, thereby causing the seat motor 210 to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시트모터(210)를 역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제어부(120)는 출력부(130)의 1번 단자(c 접점)와 3번 단자(a 접점)를 연결하고, 출력부(130)의 4번 단자(c 접점)와 5번 단자(b 접점)를 연결한다. 제어부(120)는 시트모터(210)의 +단자를 접지(GND)에 연결하고 -단자는 전원에 연결하여 시트모터(210)가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When the seat motor 210 is oper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controller 120 connects the first terminal (c contact) and the third terminal (a contact) of the output unit 130, Connect the terminal (c contact) and terminal 5 (b contact). The control unit 120 connects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seat motor 210 to the ground GND and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seat motor 210 to the power source so that the seat motor 210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시트모터(210)를 강제로 정지(중지)시키는 경우, 제어부(120)는 출력부(130)의 1번 단자(c 접점)와 4번 단자(c 접점)를 2번 단자와 5번 단자(a 접점)를 연결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시트모터(210)의 +단자와 -단자를 전원에 연결하여 시트모터(210)의 동작을 금지한다.When the seat motor 210 is forcibly stopped (stopped), the control unit 120 connects the first terminal (c contact) and the fourth terminal (c contact) of the output unit 130 to the second terminal and the fifth terminal a contact). In this way, the control unit 120 prohibits the operation of the seat motor 210 by connecting the + terminal and the - terminal of the seat motor 210 to the power sourc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ctric seat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동시트 제어 장치(100)의 동작상태가 정상상태인 경우(S110), 제어부(120)는 주행 중 전동시트 제어 장치(100)로부터 이상출력이 있는지를 확인한다(S120). 제어부(120)는 시트모터(210)의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부(130)로 출력하지 않은 상태에서 출력부(130)로부터 피드백되는 출력부(130)의 출력(출력신호)을 감지하여 시트모터(210)로 동작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확인한다. 제어부(120)는 출력부(130)의 출력을 정해진 시간(예: 10ms) 단위로 피드백 받는다.If the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seat control apparatus 100 is in a normal state (S110),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 abnormal output from the power seat control apparatus 100 during operation (S120). The control unit 120 senses the output signal of the output unit 130 fed back from the output unit 130 without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for driving the seat motor 210 to the output unit 130 It is confirmed whether the operating power is supplied to the seat motor 210.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the output of the output unit 130 in units of a predetermined time (e.g., 10 ms).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시동 온(on) 상태에서 시트모터(210)의 구동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있으며, 센서(22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입력받는 중인 경우, 출력부(130)으로부터 시트모터(210)로 동작전원이 공급되는지를 확인한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does not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seat motor 210 in the on-state, and when receiving sensing data from the sensor 220, 130 to the seat motor 210. [0053]

제어부(120)는 이상출력이 감지되면 시트모터(210)의 오작동 여부를 확인한다(S130). 제어부(120)는 이상출력이 임계시간(예: 500ms) 동안 지속되면 시트모터(210)의 오작동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출력부(130)의 고장으로 시트모터(210)의 오작동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If an abnormal output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seat motor 210 malfunctions (S130).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sheet motor 210 malfunctions if the abnormal output continues for a threshold time (e.g., 500 ms). Here, the control unit 120 checks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malfunction of the seat motor 210 due to a failure of the output unit 130. [

제어부(120)는 시트모터(210)의 오작동 상태이면, 시트모터(210)의 강제정지를 수행한다(S140). 제어부(120)는 시트모터(210)의 정방향 동작과 역방향 동작을 동시에 제어하여 시트모터(210)를 정지시킨다.If the seat motor 210 is in a malfunction state, the control unit 120 performs forced stop of the seat motor 210 (S140). The control unit 120 simultaneously controls the normal operation and the reverse operation of the seat motor 210 to stop the seat motor 210. [

이후, 제어부(120)는 시트모터(210)의 강제정지 해제여부를 결정한다(S150). 다시 말해서, 제어부(120)는 시트모터(210)의 강제정지를 종료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거나 또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부(130)로 시트모터(210)의 구동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정방향 동작명령 또는 역방향 동작명령)가 출력되면 시트모터(210)의 강제정지 해제를 결정한다.Thereafter,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forced stop of the seat motor 210 is released (S150). In other words,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or not to stop the forced stop of the seat motor 21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control the start of the vehicle to be off or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seat motor 210 from the control unit 120 to the output unit 130 (forward operation command or reverse operation command) ), The forced stop releasing of the seat motor 210 is determined.

제어부(120)는 시트모터(210)의 강제정지 해제가 결정되면 출력부(130)의 동작상태를 고장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변경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시트모터(210)의 강제정지 해제가 결정되지 않으면 시트모터(210)의 강제정지를 유지한다.The control unit 120 chang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output unit 130 from the failure state to the normal state when the forced stop releasing of the seat motor 210 is determined.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120 maintains the forced stop of the seat motor 210 if the forced stop releasing of the seat motor 210 is not determined.

한편, S140에서 제어부(120)는 시트모터(210)가 오작동 상태가 아니면, 전동시트 제어 장치(100)의 이상출력이 중단되었는지를 확인한다(S170).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거나 출력부(130)로 전송되는 시트모터(210)의 구동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출력이 있거나, 센서(220)로부터 센싱 데이터의 입력이 중단되었거나 출력부(130)로부터 시트모터(210)로 공급되는 동작전원이 중단되는 경우, 출력부(130)의 이상출력이 중단된 것으로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40 that the seat motor 210 is not in a malfunction state,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whether the abnormal output of the power seat control apparatus 100 has been interrupted (S17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120 may output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rive of the seat motor 210 when the vehicle is turned off or is transmitted to the output unit 130,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 output of the output unit 130 is interrupted when the operation power supplied to the seat motor 210 from the output unit 130 is interrupted.

제어부(120)는 출력부(130)의 이상출력이 중단되면 출력부(130)의 동작상태를 고장상태에서 정상상태로 변경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출력부(130)의 이상출력이 계속 감지되면 출력부(130)의 동작상태를 고장상태로 판단하여 시트모터(210)의 오작동 여부를 재확인한다(S130).The control unit 120 changes the operation state of the output unit 130 from the failure state to the normal state when the abnormal output of the output unit 130 is interrupted. If the abnormal output of the output unit 130 is continuously detected, the control unit 120 determines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output unit 130 is in a failure state and confirms whether the seat motor 210 malfunctions (S13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기술을 적용한 차량과 미적용 차량을 비교하여 설명하기 도면이다.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parison between a vehicle to which the safety technolog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an unused vehicl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제안한 안전기술을 차량에 미적용한 경우 주행 중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시트 움직임으로 운전자의 운전자세를 매우 불편하게 만들어 안전운전을 방해한다. 다시 말해서,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은 시트 움직임으로 인한 운전 자세 변형으로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safety technology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applied to a vehicle, the driver undesirably incurs an uncomfortable seat movement during driving, thereby disturbing safe driving. In other words, the driver's posture deformation due to the unintended seat movement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반면, 본 명세서에서 제안한 안전기술을 차량에 적용하는 경우, 전동시트 제어 장치(100)의 고장으로 인한 시트모터(슬라이드용 모터 및/또는 리클라인 모터)(210)의 오작동을 사전에 감지하여 시트모터(210)의 동작을 강제로 정지시켜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운전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afety technology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pplied to a vehicle, it is possible to detect in advance the malfunction of the seat motor (slide motor and / or re-line motor) 210 due to the failure of the electric seat control device 100, The operation of the motor 210 is forcibly stopped so that the driver can perform safe opera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although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some or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a part or all of the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As shown in FIG. The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may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a computer program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readable and executed by a computer, thereby realiz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전동시트 제어 장치
110: 입력부
120: 제어부
130: 출력부
140: 커넥터
200: 전동시트
210: 시트모터
211: 제1모터
212: 제2모터
220: 센서
100: electric seat control device
110: input unit
120:
130:
140: Connector
200: electric seat
210: Seat motor
211: first motor
212: second motor
220: Sensor

Claims (10)

시트로부터 시트모터의 동작상태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시트모터의 동작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시트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시트모터에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주행 중 상기 출력부의 출력을 피드백 받아 이상출력을 감지하고 이상출력 감지 시 상기 시트모터를 강제정지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장치.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seat motor from the seat;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seat motor in consideration of an operating state of the seat motor; And
And an output unit for supplying operating power to the seat mo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seat motor to be forcibly stopped when the abnormal output is sensed by sensing the abnormal output by feeding back the output of the output unit during runn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시트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시트의 등받이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이는 제2모터를 포함하는 상기 시트모터; 및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의 동작상태를 센싱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heet
The seat motor including a first motor for moving the seat forward or backward and a second motor for tilting the seat back of the seat forward or backward; And
And a sensor for sens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first motor and the second mo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상태는,
정지, 정방향 동작, 역방향 동작 및 강제정지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perating state includes:
Stop, forward operation, reverse operation, and forced sto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put unit includes:
And a switching el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의 출력 피드백을 통해 상기 시트모터로 공급되는 전원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detects a power supply state supplied to the seat motor through output feedback of the output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모터의 동작 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출력부에서 상기 시트모터로 동작전원이 공급되면 이상출력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when the operation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put unit to the seat motor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seat motor is not output, the abnormal operation is detected.
주행 중 시트모터로 출력되는 출력을 피드백 받는 단계;
상기 피드백된 출력에서 이상출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출력 감지 시 시트모터를 강제정지로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방법.
Receiving an output of the seat motor during running;
Sensing an abnormal output in the feedback output; And
And controlling the seat motor to be forcibly stopped when the abnormal output is sens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받는 단계는,
상기 시트모터로 출력되는 전원상태를 피드백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state output to the seat motor is fed back.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출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시트모터의 동작제어신호를 출력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피드백된 출력에서 상기 시트모터로의 동작전원 공급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detecting the abnormal output comprises: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operation power supply to the seat motor from the feedback output without outputting the operation control signal of the seat mo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모터의 강제정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시트모터의 정방향 동작 및 역방향 동작을 지시하여 상기 시트모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동시트 제어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forced stop of the seat motor comprises:
And instructing the normal operation and the reverse operation of the seat motor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seat motor.
KR1020160164417A 2016-12-05 2016-12-05 Apparatus and meht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motor in vehicle KR201800641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417A KR20180064149A (en) 2016-12-05 2016-12-05 Apparatus and meht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motor in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4417A KR20180064149A (en) 2016-12-05 2016-12-05 Apparatus and meht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motor in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4149A true KR20180064149A (en) 2018-06-14

Family

ID=62629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4417A KR20180064149A (en) 2016-12-05 2016-12-05 Apparatus and meht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motor in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414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385A (en) 2018-12-18 2020-06-2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Method of controlling car se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5385A (en) 2018-12-18 2020-06-2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Method of controlling car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0354B2 (en) Seat adjusting system having motor with integrated sensor and control electronics
US20200262367A1 (en) Electrical assembly
US9950644B2 (en) Vehicle seat control apparatus
US6783178B2 (en) Electric seat
CN101668658B (en) Power seat drive device
CN109367440B (en) Seat adjusting method and seat adjusting device
KR102153621B1 (en) Method of controlling car seat
JP2009530186A (en) Seat control system
KR101753999B1 (en) Apparatus for controlled power seat of vehicle and method thereof
JP5257655B2 (en) Sheet device
EP2651691A1 (en) System and device for control of vehicle seats
CN111483416A (en) Adjustment system, adjustmen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0933770B2 (en) Power seat device
US5285139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motor in a powered seat
US10315574B2 (en) Outside rear view mirror system
US11433784B2 (en) Seat adjustment system for a seat of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KR20180064149A (en) Apparatus and mehtod for controlling power seat motor in vehicle
EP3768121A1 (en) Active cushion shape adjustment for vehicle seats
KR20210076314A (en)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charging of seat
US20220203913A1 (en) Passenger Seat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230174145A1 (en) Electronic control steering system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181582B1 (en) Power on or off device for vehicle seat heat management apparatus
JP7347196B2 (en) Vehicle seat control device
KR2019004496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integrated driving environment
US20230219464A1 (en) Seat control device and seat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