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914A -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914A
KR20180063914A KR1020160163180A KR20160163180A KR20180063914A KR 20180063914 A KR20180063914 A KR 20180063914A KR 1020160163180 A KR1020160163180 A KR 1020160163180A KR 20160163180 A KR20160163180 A KR 20160163180A KR 20180063914 A KR20180063914 A KR 201800639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content
user de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원
김경원
금승우
박종빈
임태범
정종진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63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3914A/ko
Publication of KR20180063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9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컨 스크린 서비스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세컨 스크린 사용자의 사용 환경과 감정 상태, 웹 소비 능력과 같은 간접적인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특성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 특성에 적응적인 차별화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NTS SERVICE BASED ON USER'S INFORMA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 사용자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시청하면서, 이와 관련되어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추출된 부가 컨텐츠를 세컨 스크린인 제2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PC와 같은 고성능의 프로세서 및 대용량의 메모리를 탑재하고, 사용자가 자유롭게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폰, 태플릿 PC 등이 급속히 보급됨에 따라, 사용자가 TV와 같은 메인 스크린(Main Screen 또는 First Screen)에서 컨텐츠를 소비하면서 세컨 스크린(Second Screen)을 통해 부가적인 컨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세컨 스크린 환경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세컨 스크린 활성화에 따라, HbbTV, ATSC3.0 및 국내의 IBB 표준 등에서 제정하는 세컨 스크린에 대한 표준이 있으나, 상기의 표준에는 세컨 스크린에 대한 기본적인 플로우만 규정하고 있으며, 그 이외에 구체적인 작용에 대해서는 정의하고 있지 않다.
또한, 세컨 스크린과 관련된 종래 기술들에서도 사용자의 단순한 채널 소비 히스토리와 같은 직접적인 정보만 이용하여 부가 컨텐츠를 제공할 뿐, 사용자의 환경 정보나 감정 상태와 같은 간접적인 정보는 수집하지 않으며, 수집된 개인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특성을 추출하는 점과 관련하여서도, 주로 방송 사업자나 컨텐츠 사업자 측에서 담당하였기 때문에 개인 정보의 유출 위험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67994호, 2009년 06월 25일 공개(명칭: 디지털 티비 방송 제공 시스템과 디지털 티비 및 그 제어방법)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성별, 나이 및 시청 이력 정보와 같은 기본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세컨 스크린 사용자의 사용 환경과 감정 상태, 웹 소비 능력과 같은 간접적인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특성을 추출함으로써 더욱 차별화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특성에 따라 세컨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컨텐츠의 화면 출력 방법도 제어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세컨 스크린 상에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하여, 수집된 사용자 정보를 세컨 스크린, 방송 사업자 서버, 컨텐츠 사업자 서버 중 어느 하나가 관리하도록 하여 개인 정보 보호 정책에 따라 운용할 수 있는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를 통한 웹 소비능력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제1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제1 컨텐츠의 정보 및 제2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2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제2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제1 컨텐츠의 정보 및 제2 컨텐츠의 정보를 누적하여 사용자의 시청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 상기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누적된 시청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특성을 추출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는 다수의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서비스 요청 시점에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출력되는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거나,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서비스 요청 시점에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출력되는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서비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의 센싱 정보와 사용자의 감정 상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제2 컨텐츠의 화면 출력 방법을 달리할 수 있도록 화면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부는, 상기 화면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와 함께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를 통한 웹 소비능력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제1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제1 컨텐츠의 정보 및 제2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2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제2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1 컨텐츠의 정보 및 제2 컨텐츠의 정보를 누적하여 사용자의 시청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누적된 시청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서비스 요청 시점에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출력되는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거나,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서비스 요청 시점에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출력되는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를 검색하여,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제2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제2 컨텐츠의 화면 출력 방법을 달리할 수 있도록 화면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와 함께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컨 스크린을 통한 컨텐츠 제공 시, 사용자의 직접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세컨 스크린 사용자의 사용 환경과 감정 상태, 웹 소비 능력과 같은 간접적인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특성을 추출함으로써 더욱 차별화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집된 개인 정보의 관리 주체를 세컨 스크린, 방송 사업자 서버, 컨텐츠 사업자 서버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어, 개인 정보 보호 정책에 따라 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특성을 추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특성에 기반하여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특성이 반영된 제2 컨텐츠가 제2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출력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서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사용자 장치는 메인 스크린에, 제2 사용자 장치는 세컨 스크린에 대응되며, 제1 컨텐츠는 제1 사용자 장치에서 재생되는 메인 컨텐츠이고, 제2 컨텐츠는 제2 사용자 장치에서 재생되는 사용자 특성이 반영된 부가 컨텐츠를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통신망(500)을 통해 연결되는 제2 사용자 장치(100),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 제1 컨텐츠 제공 장치(300), 제1 사용자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사용자 장치(400)는 음악, 영상, 동영상 등과 같은 컨텐츠를 재생하는 메인 스크린 장치로, TV, 프로젝터, 오디오 시스템, 디지털 방송 수신기 등이 될 수 있고, 이외에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개발 예정인 영상 가전 기기가 포함될 수 있다.
제2 사용자 장치(100)는 PC,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개발 예정인 모든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텐츠 제공 장치(300)는 제1 사용자 장치(400)에 제1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 예를 들면 방송 사업자 서버가 될 수 있으며, 제1 컨텐츠는 TV 프로그램, 주문형 비디오, 실시간 방송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는 제2 사용자 장치(200)에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로, 예를 들면 컨텐츠 사업자 서버가 될 수 있으며, 제2 컨텐츠는 사용자 특성이 반영되어 개별 사용자에 적응적인 컨텐츠로 추천 컨텐츠나 맞춤 광고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제1 사용자 장치(400)를 통해 시청하고 있는 제1 컨텐츠와 관련하여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20대 여자이고, 패션에 관심이 많다면, 제1 컨텐츠 상의 등장인물의 패션 정보를 제2 컨텐츠로 출력될 수 있고, 또한 해당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컨텐츠는 단순히 제2 사용자 장치(100)에서 하나의 화면으로 출력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분 당 웹 페이지 소비 속도가 높고, 제2 사용자 장치(100)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다면, 관련 정보를 화면을 분할하여 한꺼번에 제공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사용자에게는 하나의 화면에 단순한 정보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제2 컨텐츠는 사용자의 특성과 서비스 요청 시점의 제1 사용자 장치(400)에서 재생되고 있는 제1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가 될 수 있으며, 제2 컨텐츠의 제2 사용자 장치(100)를 통한 화면 출력 방법도 다양할 수 있다.
한편, 통신망(500)은 각 장치 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망, IP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All IP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과, Wi-Fi망을 포함하는 무선랜(Wireless LAN), WPAN,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위성통신망 등과 같이 기존에 알려져 있는 다양한 방식의 네트워크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하여, 향후 개발 예정인 차세대 통신망까지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600)는 정보 수신부(610), 관리부(620), 분석부(630), 저장부(640), 서비스부(6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600)는 제1 컨텐츠 장치(300)로부터 제1 사용자 장치(400)로 제공하는 제1 컨텐츠의 정보, 제2 컨텐츠 장치(200)로부터 제2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되는 제2 컨텐츠의 정보 및 제2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정보들로부터 사용자 특성을 추출하여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되어 제2 사용자 장치(100),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 또는 제1 컨텐츠 제공 장치(300) 내부에 설치된다.
어디에 설치될지는 개인 보호 정책과 각각의 장, 단점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설치되는 경우라면, 제1 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업자가 제2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부가 시청하는 사용자들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서비스 확대가 가능하나, 개인 정보 노출의 문제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600)가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설치되는 경우라면, 제1 컨텐츠 제공 장치(300)의 사업자에게는 개인 정보가 노출되지 않으며, 제2 컨텐츠는 그 변경 및 적응이 쉬워 유지 보수가 용이하고 실시간 업데이트가 가능하며, 트렌디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제1 컨텐츠 제공 장치(300)의 사업자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활용하거나 통계화하여 서비스할 수는 없다는 단점이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600)가 제2 사용자 장치(100)에 설치되는 경우라면, 개인 정보가 외부로 전혀 유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제2 사용자 장치(100)가 개인 정보 및 제2 컨텐츠에 대한 접속 정보까지 모두 관리해야 하므로 구현의 어려움이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600)가 제1 컨텐츠 제공 장치(300)나 제2 사용자 장치(100)에 설치된다면, 각 장치가 제2 컨텐츠에 대한 접속 정보, 예를 들면 URL DB를 보유하고 있어야 하고, 이러한 접속 정보를 제2 사용자 장치(100)에 제공하여, 제2 사용자 장치(100)는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는 것이나, 서비스 제공 장치(600)가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설치되는 경우라면,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를 따로 저장하고 있을 필요는 없으며,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 내의 제2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 내에서 제2 컨텐츠 데이터를 검색하여 직접 제2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서비스 제공 장치(600)의 구성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정보 수신부(610)는 제2 사용자 장치(100), 제1 컨텐츠 제공 장치(300) 및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특성을 추출하기 위한 정보를 수신한다.
제2 사용자 장치(100)로부터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는데, 사용자 정보는 성별과 나이와 같은 직접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제2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수집한 센싱 정보, 사용자의 웹 소비 능력과 감정 상태와 같은 다양한 간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 움직임이나 위치와 같은 상태를 파악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웹 소비 능력은 사용자가 제2 사용자 장치(100)를 통한 웹 페이지 소비 속도나 어플리케이션 소비량 등을 의미한다.
사용자의 감정 상태는 사용자가 제2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소비하는 웹 페이지의 내용이나, 웹 페이지 사용 패턴, SNS와 같은 웹 상에 올린 글을 통해 알 수 있을 것이다.
제1 컨텐츠 제공 장치(300)로부터는 제1 사용자 장치(400)로 제공되는 제1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며,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는 제2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하는 제2 컨텐츠 정보를 수신한다.
관리부(620)는 정보 수신부(610)를 통해 수신하는 제1 컨텐츠의 정보 및 제2 컨텐츠의 정보를 누적하여 사용자의 시청 이력 정보를 관리한다.
분석부(630)는 상기의 사용자 정보와 누적된 시청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특성을 추출한다.
또한, 분석부(630)는 상기 사용자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제공되는 제2 컨텐츠의 화면 출력 방법을 달리할 수 있는 화면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사용자 장치(100)의 센싱 정보를 통해 사용자가 현재 정지한 상태에서 제1 컨텐츠를 시청 중이면서, 웹 소비 능력이 높은 사용자라면 그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하나의 출력 화면에 다양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하여 제2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저장부(640)는 서비스 제공 장치(6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서비스 제공 장치(600)가 제1 컨텐츠 제공 장치(300)나 제2 사용자 장치(100)에 설치되는 경우라면, 제2 사용자 장치(100)가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제2 컨텐츠를 요청함에 있어서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저장부(640)는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제2 컨텐츠에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란 예를 들어, 웹 페이지의 URL 정보일 수 있다.
반면에, 서비스 제공 장치(600)가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설치되는 경우라면,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 내에 저장된 제2 컨텐츠 데이터를 바로 요청하면 되므로, 제2 컨텐츠에 대한 접속 정보를 모두 저장하고 있을 필요는 없을 것이다.
서비스부(650)는 사용자 특성 및 제2 사용자 장치(100)에서의 서비스 요청 시점에 제1 사용자 장치(400)를 통해 출력되는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제2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하거나, 또는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저장부(640)에서 검색하여 상기 접속 정보를 제2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 장치(600)가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설치되어 있어, 바로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 내에서 사용자 특성에 기반한 제2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경우에 가능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서비스 제공 장치(600)가 저장부(640)에 제2 컨텐츠에 대한 접속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가능할 것이다.
또한, 서비스부(650)는 분석부(630)에서 생성된 화면 제어 정보를 사이 제2 컨텐츠 데이터 또는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와 함께 제2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컨텐츠 데이터 또는 이에 대한 접속 정보와 함께 화면 제어 정보가 전달됨으로써, 제2 사용자 장치(100)에서는 사용자 특성에 기반한 제2 컨텐츠의 화면 출력 방법까지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제1 컨텐츠로 음악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사용자가 출연 중인 가수의 팬이면서, 웹 소비 능력이 높은 사용자라면, 기기를 다루는 데에 익숙하다고 분석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화면을 분할하여 해당 가수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동시에 출력하도록 하고 다수의 링크를 참조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사용자가 해당 가수 중 특정 멤버의 팬인 경우로서, 제2 사용자 장치(100)의 센싱 정보를 통해 특정 위치에서 큰 움직임 없이 제1 컨텐츠인 음악 방송을 시청 중이라면, 제2 컨텐츠에 집중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해당 멤버만을 촬영한 동영상만을 제2 컨텐츠로서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사용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사용자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센서부(140), 입력부(150), 출력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제2 사용자 장치(100)의 동작에 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서비스 제공 장치(6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특성과 관련된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부(120)를 통해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제2 컨텐츠를 요청하여 상기 제2 컨텐츠를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로서, 성별이나 나이와 같은 직접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센서부(140)를 통해 수집한 센싱 정보나, 사용자의 웹 소비 능력, 사용자의 감정 상태와 같은 다양한 간접적인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센서부(140)를 통해 수집한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청 환경을 파악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장치(100)를 통한 사용자의 기준 시간 당 웹 페이지 소비 속도나, 어플리케이션 소비량 등을 수집하여 웹 소비 능력으로서 제어하고, 사용자가 SNS와 같은 웹 상에 올린 글 등을 통해 사용자의 감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통신부(220)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망(500)을 통해 제1 사용자 장치(400)나 제1 컨텐츠 제공 장치(300),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와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120)를 통해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 사용자 특성에 기반한 제2 컨텐츠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제2 사용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5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 설정 및 제2 사용자 장치(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50)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50)는 출력부(16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50)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출력부(160)는 제2 사용자 장치(1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 상태 및 동작 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출력부(160)는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를 통해 제공 받은 제2 컨텐츠를 출력하며, 서비스 제공 장치(600)로부터 수신한 화면 제어 정보에 따라 사용자 특성에 기반하여 제2 컨텐츠가 다양한 방법으로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출력부(16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출력부(160)가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된 경우, 출력부(160)는 입력부(15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제2 사용자 장치(100) 사용자의 시청 상태나 환경과 같은 간접 정보를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서, GPS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위치나 움직임 등을 센싱 정보로서 수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특성을 추출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서비스 제공 장치(600)가 제1 사용자 장치(400) 및 제2 사용자 장치(100)로 제공되는 제1 컨텐츠 정보 및 제2 컨텐츠 정보를 각각 제1 컨텐츠 제공 장치(300)와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로부터 수신한다(S41).
사용자 특성 추출 시 이용하기 위해, 상기 제1 컨텐츠 정보와 제2 컨텐츠 정보를 누적하여 시청 이력 정보를 관리한다(S43).
서비스 제공 장치(600) 시청 이력 정보 이외에도 사용자 특성 추출에 이용하기 위해 직, 간접적인 다양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한다(S45).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장치(100) 사용자의 성별이나 나이와 같은 직접적인 정보뿐만 아니라, 제2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집되는 사용자 상태에 대한 센싱 정보나, 사용자의 웹 소비 능력, 사용자의 감정 상태와 같은 간접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에, 서비스 제공 장치(600)는 상기와 같은 다양한 사용자 정보 및 시청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특성을 추출한다(S47).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직접 정보나 시청 이력 정보뿐만 아니라 다양한 간접 정보를 수집하므로, 더욱 정확한 사용자 특성을 추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의 제2 컨텐츠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특성에 기반하여 제2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서비스 제공 장치(600)는 사용자 특성 및 서비스 요청 시점에서의 제1 컨텐츠와 관련돤 제2 컨텐츠 데이터를 검색한다(S51). 이 때, 서비스 제공 장치(600)가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 설치된 경우라면,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에서 바로 제2 컨텐츠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장치(100)나, 제1 컨텐츠 제공 장치(300)에 설치되는 경우라면, 저장부(640)에 저장된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를 검색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서비스 제공 장치(600)는 사용자 특성에 기반하여 제2 컨텐츠의 화면 출력 방법을 달리할 수 있는 화면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53). 이러한 화면 제어 정보를 통해 제공되는 제2 컨텐츠의 내용이 사용자 특성에 적응적일 뿐만 아니라, 제2 컨텐츠가 출력되는 방식 또한 사용자의 특성에 맞출 수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으로 제2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하다.
이후에, 서비스 제공 장치(600)는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와 화면 제어 정보를 제2 사용자 장치(200)로 제공하게 된다(S55).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600)가 제2 컨텐츠 제공 장치(200) 내에 설치된다면,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가 아닌,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직접 제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특성이 반영된 제2 컨텐츠가 제2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출력 화면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사용자 장치(400)를 통해 제1 컨텐츠로서 음악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경우에, 추출된 사용자 특성이 출연 중인 그룹의 특정 멤버를 좋아하는 것으로서 제2 컨텐츠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라면, 특정 멤버만을 보여주는 동영상(61)을 제2 컨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출연 중인 가수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라고 판단되는 경우로서, 웹 소비 능력이 높아 제2 사용자 장치(100)를 잘 다루는 사용자라고 파악된다면, 해당 그룹의 다양한 정보(71, 73, 75)를 화면을 분할하여 한번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서는 컨트롤러(63, 77)를 포함하고 있는데, 컨트롤러(63, 77) 또한, 사용자 특성에 맞게 제공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 사용자 장치(100)를 다루는데 익숙하다면, 다양한 기능이 포함된 컨트롤러를 제공할 수 있고, 제2 사용자 장치(100)를 능숙하게 다루지 못하는 사용자라면 기본적인 기능만이 포함된 컨트롤러를 제공하도록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방법 단계들은 온 입력(on input) 데이터를 동작 시키고 출력을 발생시킴으로써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가능 프로세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은 또한 특수 목적 논리 회로 조직, 예를 들어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way) 또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장치는 이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처리에 적절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및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둘 다, 및 임의의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둘 다로부터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요소들은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들, 예를 들어, 자기-광 디스크들, 또는 광 디스크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이것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이것들에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또는 양쪽으로 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및 데이터를 구체화하는데 적절한 정보 캐리어들은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_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 조직에 의해 보충되거나,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 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 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 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 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 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 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사용 환경과 감정 상태, 웹 소비 능력과 같은 간접적인 정보를 고려하여 사용자 특성을 추출함으로써 사용자 특성에 적응적인 차별화된 부가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제2 사용자 장치 110: 제어부
120: 통신부 130: 저장부
140: 센서부 150: 입력부
160: 출력부 200: 제2 컨텐츠 제공 장치
300: 제1 컨텐츠 제공 장치 400: 제1 사용자 장치
500: 통신망 600: 서비스 제공 장치
610: 정보 수신부 620: 관리부
630: 분석부 640: 저장부
650: 서비스부

Claims (8)

  1.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를 통한 웹 소비능력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제1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제1 컨텐츠의 정보 및 제2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2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제2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정보 수신부를 통해 수신한 제1 컨텐츠의 정보 및 제2 컨텐츠의 정보를 누적하여 사용자의 시청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부;
    상기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누적된 시청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특성을 추출하는 분석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서비스 요청 시점에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출력되는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거나,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서비스 요청 시점에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출력되는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서비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의 센싱 정보와 사용자의 감정 상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사용자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제2 컨텐츠의 화면 출력 방법을 달리할 수 있도록 화면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부는, 상기 화면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와 함께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5.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2 사용자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를 통한 웹 소비능력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제1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1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제1 컨텐츠의 정보 및 제2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2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제2 컨텐츠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1 컨텐츠의 정보 및 제2 컨텐츠의 정보를 누적하여 사용자의 시청 이력 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누적된 시청 이력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특성을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서비스 요청 시점에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출력되는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컨텐츠 데이터를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거나, 상기 사용자 특성 및 서비스 요청 시점에 상기 제1 사용자 장치에 출력되는 제1 컨텐츠와 관련된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를 검색하여,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제2 사용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는,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의 센싱 정보와 사용자의 감정 상태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특성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제2 컨텐츠의 화면 출력 방법을 달리할 수 있도록 화면 제어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제어 정보를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데이터에 대한 접속 정보와 함께 상기 제2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60163180A 2016-12-02 2016-12-02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800639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80A KR20180063914A (ko) 2016-12-02 2016-12-02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80A KR20180063914A (ko) 2016-12-02 2016-12-02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914A true KR20180063914A (ko) 2018-06-14

Family

ID=6262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180A KR20180063914A (ko) 2016-12-02 2016-12-02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391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9480A (ko) 2022-10-08 2024-04-16 김민석 안경 스타일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994A (ko) 2007-12-21 2009-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티비 방송 제공 시스템과 디지털 티비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7994A (ko) 2007-12-21 2009-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티비 방송 제공 시스템과 디지털 티비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9480A (ko) 2022-10-08 2024-04-16 김민석 안경 스타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56368A1 (zh) 推荐信息展示方法及装置
US10264034B2 (en) Interactions for sharing content items in a digital magazine
US10067929B2 (en) Hierarchical page templates for content presentation in a digital magazine
US9483444B2 (en) Dynamic layout engine for a digital magazine
US20140351268A1 (en) Dynamic arrangement of content presented while a client device is in a locked state
US201200848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Interactive Advertising Into Real Time Video Content
US20150324842A1 (en) Method of actively providing advertisement
US20150081695A1 (en) Local recommendation engine
US111002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ambiguating a term based on static and temporal knowledge graphs
CN109299384A (zh) 场景推荐方法、装置及系统、存储介质
JP2018505504A (ja) 広告プッシュ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WO2014043259A1 (en) Generating a user-defined section of a digital magazine from a search request
US20180020252A1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channel management platform, and terminal
US10366405B2 (en) Content viewability based on user interaction in a flip-based digital magazine environment
JP2018502408A (ja) 情報をプッシュする方法、装置、設備及びシステム
KR20160138345A (ko) 웹 페이지에 기초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17218041A1 (en) Optimizing content distribution using a model
US11188944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daptive signage
KR101965726B1 (ko) 사용자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2000823B (zh) 功能入口显示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80063914A (ko) 사용자 정보 기반의 컨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1961108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a mail integrated content delivery and alert system
KR20150058745A (ko)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컨텐츠 내용 기반 매쉬업 서비스 관리 방법
CN110909221A (zh) 一种资源展示方法和相关装置
WO2022199494A1 (zh) 一种基于用户兴趣的内容推荐方法与终端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