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768A -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768A
KR20180063768A KR1020160163961A KR20160163961A KR20180063768A KR 20180063768 A KR20180063768 A KR 20180063768A KR 1020160163961 A KR1020160163961 A KR 1020160163961A KR 20160163961 A KR20160163961 A KR 20160163961A KR 20180063768 A KR20180063768 A KR 20180063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agnetic
wireless power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4869B1 (ko
Inventor
경산
조태연
조성남
조중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3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869B1/ko
Priority to CN201710523017.9A priority patent/CN108155724A/zh
Priority to CN201720789084.0U priority patent/CN207166225U/zh
Publication of KR20180063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7/02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02J5/0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9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data transfer in combination with power transf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중공부를 구비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자성부, 및 일부가 상기 자성부에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지지부 내에 매립되는 매립부와, 상기 자성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무선 충전 과정에서 코일부에 발생되는 열을 빠르게 분산시킬 수 있어 방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무선 전력 전송(Wireless Power Transfer) 기술은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를 비롯한 다양한 통신 / 휴대 단말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에는 크게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방식과, 공진(Resonance)을 이용하는 공진 방식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이 중 자기 유도에 의한 전력 전송 방법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 간의 전력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코일에 자석을 움직이면 유도 전류가 발생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송신단에서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수신단에서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류가 유도되어 에너지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현상을 자기 유도 현상이라고 일컬으며 이를 이용한 전력 전송 방법은 에너지 전송 효율이 뛰어나다.
그런데 무선 전력 송수신 과정에서 코일과 자성체에 열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야기되고 있어,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6-0054373호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중공부를 구비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자성부, 및 일부가 상기 자성부에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지지부 내에 매립되는 매립부와, 상기 자성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충전 기기로, 적어도 하나의 중공부를 구비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자성부, 및 일부가 상기 자성부에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자성부에 구비되는 안착 홈에 의해, 코일부가 매우 넓은 면적을 통해 자성부와 접촉한다. 따라서 무선 충전 과정에서 코일부에 발생하는 열이 효과적으로 자성부에 전도되므로, 열을 빠르게 분산시킬 수 있어 방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중심 돌출부와 외곽 돌출부를 통해 코일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휴대 단말기 측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II-II′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도 6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IV-IV′에 따른 단면도.
도 12 내지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무선 충전 장치로, 전력을 무선으로 송신하는 무선전력 송신장치나, 전력을 무선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무선전력 수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전력 송신장치는 충전 기기(20)를 포함하며, 무선전력 수신장치는 충전 기기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휴대 단말기(10)를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전자 기기의 예로 충전 기기(20)를 설명하나,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다른 전자 기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충전 기기(20)는 휴대 단말기(10)의 무선 전력 수신 모듈(13)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의 배터리(12)를 충전시키는 데에 이용된다.
충전 기기(2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정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외부로부터 직접 직류 전원을 공급받고, 직류 전원을 다시 특정 주파수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한 후, 무선 전력 전송 모듈(30)을 통해 무선 전력을 외부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충전 기기(20)는 케이스(50) 및 무선 전력 전송 모듈(30)을 포함한다.
케이스(50)는 전체적으로 절연성의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수용되는 구성 요소들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케이스(50)는 납작한 원통 형상 또는 직육면체 형상 등 내부에 수용 공간일 구비한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50)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 공간에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30)이 수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무선 전력 전송 모듈(30)은 회로부(22), 코일부(35), 및 자성부(32)를 포함한다.
회로부(2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정용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거나 외부로부터 직접 직류 전원을 공급받고, 직류 전원을 다시 특정 주파수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한 후, 코일부(35)로 공급한다.
회로부(22)는 전자 부품이 실장된 회로 기판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일부(35)는 회로부(22)에서 전송된 전력을 외부로 전송한다.
상용 교류 전원(또는 외부 직류 전원)이 회로부(22)를 통해 변압되어 코일부(35)에 인가되면, 코일부(35) 주변의 자기장이 변화된다. 이에 코일부(35)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휴대 단말기(10)의 무선 전력 수신 모듈(13)에는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전자기 유도 전압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휴대 단말기(10)의 배터리(12)가 충전된다.
코일부(35)는 나선 형태로 권선된 코일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코일은 피복이 형성된 도선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코일은 통상의 절연 코일(예컨대, 폴리우레탄 와이어, polyurethane wire)이나 다중 절연 코일(예컨대 TIW, Triple Insulated Wire)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은 한 가닥으로 형성된 와이어가 이용될 수 있으며, 여러 가닥을 꼬아 형성한 연선(예컨대, 리쯔 와이어, Litz Wire) 형태의 와이어가 이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을 형성하는 각각의 코일 가닥들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일부(35)의 중심 부분에는 빈 공간인 중공부(36)가 형성된다. 중공부(36)에는 후술되는 자성부(32)의 중심 돌출부(32b)가 삽입된다. 따라서 중공부(36)는 중심 돌출부(32b)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자성부(32)는 코일부(35)의 일면에 배치되어 내부에 코일부(35)를 수용한다. 자성부(32)는 코일부(35)의 코일 배선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자로를 효율적으로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해 자성부(32)는 자로가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자성부(32)는 비정질 혹은 나노결정립금속 분말과 고분자 레진의 혼합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페라이트(ferrite) 등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성부(32)는 코일부(35)를 지지하는 지지판(32a)과, 지지판(32a)에서 돌출 형성되는 중심 돌출부(32b)와 외곽 돌출부(32c)를 포함한다.
지지판(32a)은 편평한 판 형태로 형성된다.
중심 돌출부(32b)와 외곽 돌출부(32c)는 코일부(35)가 부착되는 지지판(32a)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심 돌출부(32b)와 외곽 돌출부(32c)가 동일한 거리로 돌출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돌출 거리를 각각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중심 돌출부(32b)는 코일부(35)의 중심 부분에 형성된 중공부(36)에 삽입된다. 따라서 코일부(35)가 자성부(32)에 결합될 때, 코일부(35)의 중공부(36)가 배치되는 위치에 돌출되며, 중공부(36) 내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외곽 돌출부(32c)는 코일부(35)를 둘러싸며 코일부(35)의 둘레를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외곽 돌출부(32c)는 코일부(35)의 위치를 규정하고 코일부(35)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벽의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곽 돌출부(32c)는 연속적인 측벽의 형태로 형성된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외곽 돌출부(32c)는 코일부(35)의 리드선이 인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성부(32)는 코일부(35)가 안착되는 지지판(32a)의 일면에는 안착 홈(321)이 형성된다.
안착 홈(321)은 코일부(35)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착 홈(321)은 코일부(35)의 코일 가닥들 각각이 안착되는 다수의 홈을 구비한다. 따라서 안착 홈(321)의 전체적인 형상은 코일부(35)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안착 홈(321)은 코일부(35)와 자성부(32)와의 접촉 면적을 확장하기 위해 구비된다. 안착 홈(321)을 구성하는 각각의 홈들은 코일 가닥의 외형을 따라 호 형의 홈으로 형성되며 홈과 홈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돌기(322)가 형성된다. 돌기(322)는 코일부(35)의 코일 가닥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안착 홈(321)이 구성됨에 따라, 코일부(35)가 자성부(32)에 안착되면, 코일부(35)는 절반에 가까운 면적이 자성부(32)와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성부(32)는 전체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부분적으로 다른 재질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자성부(32)는 코일부(35)와 회로부(22)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회로부(22)는 자성부(32)를 중심으로, 후술되는 코일부(35)와 반대되는 측에 배치된다.
자성부(32)와 회로부(22) 사이에는 전자파나 누설 자속을 자폐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금속 시트(미도시)가 부가될 수 있다. 금속 시트는 알루미늄(aluminum) 시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30)은 코일부(35)와 자성부(32)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 접착되도록, 코일부(35)와 자성부(32) 사이에 접착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
접착부재는 코일부(35)와 자성부(32)의 사이에 배치되며, 자성부(32)와 코일부(35)를 상호 접합시킨다. 이러한 접착부재는 코일부(35)나 자성부(32)의 표면에 접착제나 접착성을 갖는 수지를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접착부재가 페라이트 분말을 함유하도록 구성하여 접착부재도 자성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자성부에 구비되는 안착 홈에 의해, 코일부가 매우 넓은 면적을 통해 자성부와 접촉한다. 따라서 무선 충전 과정에서 코일부에 발생하는 열이 효과적으로 자성부에 전도되므로, 열을 빠르게 분산시킬 수 있어 방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중심 돌출부와 외곽 돌출부를 통해 코일부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을 휴대 단말기 측으로 집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충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의 III-III′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30)은 자성부(32)가 확장 돌출부(33)를 구비한다.
확장 돌출부(33)는 외곽 돌출부(32c)에 형성되는 제1 돌출부(33a)와, 지지판(32a)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3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33a)는 외곽 돌출부(32c)의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며, 끝이 뾰족한 다수개의 돌기들이 외곽 돌출부(32c)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돌출부(33a)에 의해, 외곽 돌출부(32c)의 외주면은 곡면이 아닌 지그재그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2 돌출부(33b)는 자성부(32)의 지지판(32a) 외부면인 타면에 형성된다.
제2 돌출부(33b)는 지지판(32a)의 타면에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되며, 제1 돌출부(33a)와 마찬가지로 끝이 뾰족한 다수의 돌기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확장 돌출부(33)는 자성부(32)의 표면적을 확장하기 위해 구비된다. 자성부(32)의 표면적이 확장됨에 따라, 자성부(32)의 열 방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자성부(32)가 제1 돌출부(33a)와 제2 돌출부(33b)를 모두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33a)와 제2 돌출부(33b) 중 어느 하나만 구비하도록 자성부(32)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IV-IV′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30)은 자성부(32)가 적어도 하나의 방열 부재(40)를 구비한다.
방열 부재(40)는 자성부(32)의 내부에 매립되는 매립부(40a)와, 자성부(32)의 외부로 노출부(40b)를 포함한다.
매립부(40a)는 자성부(32)의 지지판(32a) 내부에 매립된다. 매립부(40a)는 선형의 막대 형성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지지판(32a)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외곽 돌출부(32c)를 관통하여 노출부(40b)와 연결된다. 따라서, 매립부(40a)는 지지판(32a)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된다.
노출부(40b)는 자성부(32)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며, 구체적으로 외곽 돌출부(32c)의 외주면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외곽 돌출부(32c)의 외주면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호의 형태로 형성되며 매립부(40a)의 타단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매립부(40a)는 노출부(40b)의 중심에 연결되며, 이에 방열 부재(40)는 전체적으로 ′T′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부가 자성부(32) 내부에 매립되고 일부가 자성부(32)의 외부로 노출될 수만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방열 부재(40)는 열전도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그라파이트나 무기계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방열 부재(40)는 자성부(32)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방출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자성부(32) 내에 부분적으로 매립 가능하다면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도 10에 도시된 무선 전력 전송 모듈과 유사하며, 방열 부재의 구조에 있어서만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차이를 갖는 방열 부재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열 부재(40)는 매립부(40a)가 편평한 판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넓은 면적을 통해 자성부(32)와 접촉할 수 있으며, 이에 보다 많은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열 부재(40)는 매립부(40a)가 편평한 판의 형태로 형성되며,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인접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방열 부재(40) 상호 간의 거리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넓은 면적을 통해 자성부(32)와 접촉할 수 있으며, 동시에 많은 수의 방열 부재(40)를 구비할 수 있어 방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매립부가 삼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방열 부재는 매립부(40a)가 파이프(Pipe) 또는 튜브(tube)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매립부(40a)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며, 매립부(40a)의 내부 공간에는 자성부(32)가 삽입 배치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매립부(40a)와 자성부(32) 간의 넓은 접촉 면적을 유지하되,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매립부(40a)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열 부재는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성부의 두께와 크기 등에 대응하여 다양한 개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휴대 단말기
12: 배터리
13: 무선 전력 수신 모듈
20: 충전 기기
22: 회로부
30: 무선 전력 전송 모듈
32: 자성부
321: 안착 홈
33: 확장 돌출부
35: 코일부
40: 방열 부재
50: 케이스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중공부를 구비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자성부; 및
    일부가 상기 자성부에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지지부 내에 매립되는 매립부와, 상기 자성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는 선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편평한 판의 형태로 형성되는 전력 전송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부는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전력 전송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부는,
    상기 자성부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매립부와 연결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부재는,
    금속 재질 또는 무기계 재료로 형성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코일부가 안착되는 일면에 상기 코일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 홈이 형성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홈은,
    상기 코일부의 코일 가닥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홈들과, 상기 홈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 가닥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상기 지지판에서 돌출되어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중심 돌출부; 및
    상기 지지판에서 돌출되어 상기 코일부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외곽 돌출부;
    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상기 지지판의 타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돌출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부는,
    상기 외곽 돌출부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 돌출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돌출부는,
    상기 외곽 돌출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13. 적어도 하나의 중공부를 구비하는 코일부, 상기 코일부를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자성부, 및 일부가 상기 자성부에 매립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 부재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상기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
    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직류 전원을 다시 특정 주파수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한 후, 상기 코일부로 공급하는 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기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부재는,
    상기 지지판 내에 매립되는 매립부와, 상기 자성부의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부재는,
    금속 재질 또는 무기계 재료로 형성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KR1020160163961A 2016-12-02 2016-12-02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102644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961A KR102644869B1 (ko) 2016-12-02 2016-12-02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N201710523017.9A CN108155724A (zh) 2016-12-02 2017-06-30 无线电力传输模块及具有该模块的电子设备
CN201720789084.0U CN207166225U (zh) 2016-12-02 2017-06-30 无线电力传输模块及具有该模块的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961A KR102644869B1 (ko) 2016-12-02 2016-12-02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768A true KR20180063768A (ko) 2018-06-12
KR102644869B1 KR102644869B1 (ko) 2024-03-07

Family

ID=61712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961A KR102644869B1 (ko) 2016-12-02 2016-12-02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44869B1 (ko)
CN (2) CN207166225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326A1 (ko) * 2019-11-20 2021-05-2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WO2021101328A1 (ko) * 2019-11-20 2021-05-2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WO2021112429A1 (ko) * 2019-12-06 2021-06-10 주식회사 아모센스 전기자동차용 무선전력 수신장치
KR20220090192A (ko) *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무선충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869B1 (ko) * 2016-12-02 2024-03-07 주식회사 위츠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CN110417127B (zh) * 2018-04-28 2023-09-22 捷普科技(上海)有限公司 无线充电设备
CN111835043A (zh) * 2019-04-16 2020-10-27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及其发射端模块与发射端线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4385A (ja) * 2007-04-24 2008-12-0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接触電力伝送機器及びその受電用コイル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140060798A (ko) * 2012-11-12 2014-05-21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02033A (ko) * 2013-02-13 2014-08-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160054373A (ko) 2014-11-06 2016-05-16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충전 수신장치 모듈용 자기장 차폐성 방열부재, 이를 포함하는 복합부재,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수신장치 모듈 및 무선충전 수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3112A (ko) * 2009-12-23 2011-06-29 한국과학기술원 비접촉 자기 유도 충전 방식 전기자동차의 집전장치 발열을 이용한 발전장치
JP2012204440A (ja) * 2011-03-24 2012-10-22 Nitto Denko Corp 無線電力伝送用磁気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63644B1 (ko) * 2012-12-14 2020-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무선전력 송신장치
DE102013217728A1 (de) * 2013-09-05 2015-03-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Spulenanordnung
CN204068333U (zh) * 2014-07-28 2014-12-31 南京富朗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器装置
KR101673767B1 (ko) * 2015-05-11 2016-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 충전용 기기
KR102644869B1 (ko) * 2016-12-02 2024-03-07 주식회사 위츠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94385A (ja) * 2007-04-24 2008-12-0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非接触電力伝送機器及びその受電用コイルブロックの製造方法
KR20140060798A (ko) * 2012-11-12 2014-05-21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02033A (ko) * 2013-02-13 2014-08-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자성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
KR20160054373A (ko) 2014-11-06 2016-05-16 주식회사 아모센스 무선충전 수신장치 모듈용 자기장 차폐성 방열부재, 이를 포함하는 복합부재, 이를 포함하는 무선충전 수신장치 모듈 및 무선충전 수신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01326A1 (ko) * 2019-11-20 2021-05-2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WO2021101328A1 (ko) * 2019-11-20 2021-05-2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무선충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수단
EP4064304A4 (en) * 2019-11-20 2023-12-27 SKC Co., Ltd.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MEANS OF TRANSPORT THEREOF
WO2021112429A1 (ko) * 2019-12-06 2021-06-10 주식회사 아모센스 전기자동차용 무선전력 수신장치
US11962161B2 (en) 2019-12-06 2024-04-16 Amosense Co., Ltd Wireless power receiv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KR20220090192A (ko) * 2020-12-22 2022-06-2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무선충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55724A (zh) 2018-06-12
CN207166225U (zh) 2018-03-30
KR102644869B1 (ko)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3768A (ko)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US10361589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power transmitter and power receiver for the same
KR102154744B1 (ko) 전자 장치의 무선 충전 시스템
JP6221411B2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用コイルユニット
KR102579078B1 (ko)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JP2008136311A (ja) 複合平面コイル
EP3198620B1 (en) Transmitter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JP2012235079A (ja) 無接点電力伝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
JP2016086530A (ja) ワイヤレス給電装置および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
KR101744590B1 (ko) 수직형 전력 전송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장치
CN111527666A (zh) 无线电力传输装置
KR20170013550A (ko) 무선 전력 송신기
JP2019004628A (ja) 非接触給電装置
KR20180083773A (ko)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KR20180132205A (ko) 무선전력 전송모듈
JP2014039437A (ja) 充放電装置
EP2996220B1 (en)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KR20170140666A (ko) 무선 전력 송신 안테나 및 그를 이용한 장치 및 시스템
CN109792165B (zh) 用于无线电力传输的天线磁心及包括其的无线电力传输模块
JP2017034029A (ja) 共振器
JP7259952B2 (ja) ワイヤレス給電システムの受電装置、電子機器
US10141772B2 (en) Communication device
KR20190136303A (ko) 발열 성능이 개선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JP6221412B2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用コイルユニット
KR101973453B1 (ko) 박막 코일, 무선 전력 수신 장치, 전자 기기, 및 케이스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