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682A - 전표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표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682A
KR20180063682A KR1020160163736A KR20160163736A KR20180063682A KR 20180063682 A KR20180063682 A KR 20180063682A KR 1020160163736 A KR1020160163736 A KR 1020160163736A KR 20160163736 A KR20160163736 A KR 20160163736A KR 20180063682 A KR20180063682 A KR 20180063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action
account
transaction data
jour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락
안중걸
Original Assignee
김홍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락 filed Critical 김홍락
Priority to KR1020160163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3682A/ko
Publication of KR20180063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6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표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복수의 금융서버로부터 일반 거래 데이터 및 통장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핑부, 상기 일반 거래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항목으로 분개하여 일반 거래에 대한 제1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분개 데이터 및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개 처리부, 상기 제1 분개 데이터 및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를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항목의 정보가 일치하는 데이터를 매칭하고, 상기 매칭 결과를 상기 분개 처리부로 제공하는 매칭부, 상기 제2 분개 데이터로부터 통장 거래에 대한 거래 전표를 생성하는 전표 생성부, 및 미리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매칭부에 의해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을 추천하는 계정 과목 추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표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SLIP}
본 발명은 금융서버로부터 통장 거래 데이터의 스크래핑을 통해 일반 거래에 대한 분개 데이터와 자동으로 매칭을 수행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자동 분개를 수행하고,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에 대해서는 계정 과목 추천을 통해 분개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통장 거래 데이터에 대한 수동 분개 횟수를 최소화하도록 한 전표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업의 회계 관리에서 세금계산서,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 등 일반 거래에 대한 자금흐름이 표현되는 거래가 통장거래이다. 따라서 일반거래에 대한 내역은 반드시 통장 거래로 나타나며, 현재 통장거래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차후에 반드시 발생해야 한다.
이때, 세금계산서,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 등 일반 거래에 대한 분개는 외상매출금, 미지급금 등으로 표현되며, 통장거래는 항상 보통예금으로 표현되며 차변(입금) 또는 대변(출금)에 일반 거래에 대한 분개 항목이 위치한다.
종래에는 사람이 일반 거래 내역 및 통장 거래 내역을 일일이 비교하여 수동으로 분개하였으나, 최근에는 거래 데이터를 활용하여 자동으로 분개하고 전표를 생성하는 시스템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분개 및 전표 시스템의 경우, 거래처별로 계정과목을 미리 지정하고 이를 추천하거나, 회사별 거래 패턴을 생성하여 이를 통해 계정을 추천하여 자동으로 거래 내역을 분개하고 이를 토대로 전표를 작성하였으나, 정해진 항목이 정확히 일치하는 거래 내역에 대해서만 자동 분개 처리하였으며, 자동 분개 처리되지 않은 통장 거래 내역에 대해서는 오직 수동으로만 분개 처리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편,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하여 거래 데이터를 정리하고 자동으로 복식기장 또는 간편장부 데이터를 생성하는 세무 회계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9437호가 개시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9437호 (2014.05.28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금융서버로부터 통장 거래 데이터의 스크래핑을 통해 일반 거래에 대한 분개 데이터와 자동으로 매칭을 수행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자동 분개를 수행하고,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에 대해서는 계정 과목 추천을 통해 분개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통장 거래 데이터에 대한 수동 분개 횟수를 최소화하도록 한 전표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복수의 금융서버로부터 일반 거래 데이터 및 통장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핑부, 상기 일반 거래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항목으로 분개하여 일반 거래에 대한 제1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분개 데이터 및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개 처리부, 상기 제1 분개 데이터 및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를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항목의 정보가 일치하는 데이터를 매칭하고, 상기 매칭 결과를 상기 분개 처리부로 제공하는 매칭부, 상기 제2 분개 데이터로부터 통장 거래에 대한 거래 전표를 생성하는 전표 생성부, 및 미리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매칭부에 의해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을 추천하는 계정 과목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개 처리부는,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 추천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통장 거래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개 처리부는, 상기 일반 거래 데이터를 거래처별로 식별하고, 상기 일반 거래 데이터의 거래 내용 및 상대 계정을 식별하여 상기 제1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개 처리부는,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와 매칭된 제1 분개 데이터로부터 상대 계정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분개 데이터로부터 식별된 상대 계정 정보를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에 반영하여 상기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개 처리부는,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 중 일반 거래 내역이 발생하지 않는 거래에 대해서는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의 정보만으로 상기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은,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 및 상기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응하는 계정 과목 추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의 각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와 상기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 정의된 각 항목의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정 과목 추천부는,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와 매칭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 상에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금융서버는, 인증된 사용자에게 세금 계산서, 신용카드, 체크카드 또는 현금 영수증에 대한 상기 일반 거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금융서버; 및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게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 금융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래핑부에 의해 상기 제1 금융서버로부터 스크래핑 된 상기 일반 거래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 거래 데이터 DB; 상기 스크래핑부에 의해 상기 제2 금융서버로부터 스크래핑 된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 거래 데이터 DB; 및 상기 제1 분개 데이터 및 상기 제2 분개 데이터가 저장되는 분개 데이터 DB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금융서버로부터 통장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하는 단계, 일반 거래에 대해 미리 생성된 제1 분개 데이터 및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를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항목의 정보가 일치하는 데이터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 및 해당 통장 거래 데이터와 매칭된 제1 분개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 추천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통장 거래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분개 데이터로부터 통장 거래에 대한 거래 전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래핑하는 단계 이전에, 금융서버로부터 일반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하는 단계; 및 상기 일반 거래 데이터를 거래처별로 식별하고, 상기 일반 거래 데이터의 거래 내용 및 상대 계정을 식별하여 일반 거래에 대한 상기 제1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와 매칭된 제1 분개 데이터로부터 상대 계정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분개 데이터로부터 식별된 상대 계정 정보를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에 반영하여 상기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 중 일반 거래 내역이 발생하지 않는 거래에 대해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의 정보만으로 상기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은,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 및 상기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응하는 계정 과목 추천 정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의 각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와 상기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 정의된 각 항목의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정 과목을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와 매칭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 상에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융서버로부터 통장 거래 데이터의 스크래핑을 통해 일반 거래에 대한 분개 데이터와 자동으로 매칭을 수행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자동 분개를 수행하고,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에 대해서는 계정 과목 추천을 통해 분개 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통장 거래 데이터에 대한 수동 분개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표 생성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표 생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표 생성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표 생성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전표 생성 장치(100) 및 복수의 금융서버(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금융서버(10)는 일반 거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금융서버(11) 및 통장 거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 금융서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융서버(11)는 세금계산서 발급사, 카드사, 현금 영수증 발행사 등의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제2 금융서버(15)는 통장 거래를 관리하는 은행의 서버일 수 있다.
전표 생성 장치(100)는 제1 금융서버(11)의 DB에 접근하여 일반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할 수 있다. 이때, 전표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사업자)의 정보에 근거하여 사전에 제1 금융서버(11)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금융서버(11)는 인증 완료된 사용자(사업자)에 대응하는 전표 생성 장치(100)의 DB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이때, 전표 생성 장치(100)는 스크래핑한 일반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반 거래에 대한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표 생성 장치(100)는 제2 금융서버(15)의 DB에 접근하여 통장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할 수 있다. 이때, 전표 생성 장치(100)는 사용자(사업자)의 정보에 근거하여 사전에 제2 금융서버(15)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금융서버(15)는 인증 완료된 사용자(사업자)에 대응하는 전표 생성 장치(100)의 DB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이때, 전표 생성 장치(100)는 통장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하면, 일반 거래에 대응하여 미리 생성한 분개 데이터 및 스크래핑한 통장 거래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칭하고, 매칭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표 생성 장치(100)는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에 대해 미리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을 이용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에, 전표 생성 장치(100)에 대한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전표 생성 장치(100)는 독립적인 하드웨어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processor)로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범용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다른 하드웨어 장치에 포함된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표 생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표 생성 장치(100)는 제어부(110), 인터페이스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스크래핑부(150), 분개 처리부(160), 매칭부(170), 전표 생성부(180) 및 계정 과목 추천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10)는 전표 생성 장치(100)의 각 구성요소 간에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사업자)로부터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입력수단과 전표 생성 장치(100)의 동작 상태 및 결과 등을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수단은 키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우스, 조이스틱, 조그 셔틀, 스타일러스 펜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수단은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되는 소프트 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수단은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피커와 같은 음성출력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터치 센서가 디스플레이에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며, 입력수단과 출력수단이 통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ld Emission Display, FED),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복수의 금융서버(10)와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은 제1 금융서버(11)로부터의 일반 거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은 제2 금융서버(15)로부터의 통장 거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Wibro), 와이 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전표 생성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 및/또는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일반 거래 데이터의 각 항목을 분개하기 위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으며, 일반 거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된 제1 분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통장 거래 데이터 및 제1 분개 데이터를 매칭하여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조건 정보, 명령 및/또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으며, 통장 거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생성된 제2 분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제2 분개 데이터로부터 생성된 거래 전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으며, 거래 전표 생성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및/또는 알고리즘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미리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이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40)는 일반 거래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 거래 데이터 DB(141), 통장 거래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 거래 데이터 DB(143), 및 제1 분개 데이터와 제2 분개 데이터가 저장되는 분개 데이터 DB(1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40)는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래핑부(15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제1 금융서버(11)의 DB에 접근하면, 제1 금융서버(11)의 일반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하여 저장부(140)의 제1 거래 데이터 DB(141)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스크래핑부(150)는 사용자(사업자) 및 제1 금융서버(11) 간 별도의 인증과정을 거쳐 인증을 완료한 후에 제1 금융서버(11)의 일반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 할 수 있다.
또한, 스크래핑부(150)는 통신부(130)를 통해 제2 금융서버(15)에 접속되면, 제2 금융서버(15)의 통장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하여 제2 거래 데이터 DB(143)에 저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크래핑부(150)는 사용자(사업자) 및 제2 금융서버(15) 간 별도의 인증과정을 거쳐 인증을 완료한 후에 제2 금융서버(15)의 통장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 할 수 있다.
한편, 분개 처리부(160)는 스크래핑 된 거래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항목별로 분개하여 분개 데이터를 생성한다.
먼저, 분개 처리부(160)는 제1 거래 데이터 DB(141)에 저장된 일반 거래 데이터로부터 미리 정해진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각 항목별로 분개하여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분개 처리부(160)는 일반 거래 데이터를 일반 거래처, 계정지정 거래처 및 공공 거래처와 같이 거래처별로 식별하고, 거래 내용 및 상대 계정을 식별하여 제1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반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예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도록 한다.
이때, 분개 처리부(160)는 일반 거래 데이터의 제1 분개 데이터를 분개 데이터 DB(145)에 저장하도록 한다.
일반 거래 데이터의 제1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예는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도록 한다.
매칭부(170)는 제2 거래 데이터 DB(143)에 저장된 통장 거래 데이터로부터 미리 정해진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를 추출하고, 통장 거래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분개 데이터 DB(145)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하고, 통장 거래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정보와 매칭된 제1 분개 데이터를 추출한다.
일 예로, 매칭부(170)는 분개 데이터 DB(145)에서 통장 거래 데이터의 거래처 정보와 매칭되는 제1 분개 데이터를 분류하고, 분류된 제1 분개 데이터 중 통장 거래 데이터의 거래일시 정보, 거래금액 정보 등과 매칭되는 제1 분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분개 처리부(160)는 매칭부(170)에 의해 추출된 제1 분개 데이터 및 통장 거래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이용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분개 처리부(160)는 통장 거래 데이터와 매칭된 제1 분개 데이터로부터 상대 계정을 식별하고, 제1 분개 데이터로부터 식별된 상대계정 정보(계정 과목 정보)를 반영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제2 분개 데이터는 분개 데이터 DB(145)에 저장된다.
통장 거래 데이터 및 통장 거래 데이터와 매칭되는 제1 분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예는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도록 한다.
한편, 분개 처리부(160)는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 중 일반 거래 내역이 발생하지 않는 거래 데이터, 예를 들어, 결산이자 또는 이자세금 등에 대해서는 통장 거래 데이터의 정보만으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제2 분개 데이터는 분개 데이터 DB(145)에 저장된다.
결산이자에 대한 통장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예는 도 8을 참조하도록 한다.
전표 생성부(180)는 분개 데이터 DB(145)에 저장된 제2 분개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거래 전표를 생성하고, 생성된 거래 전표를 사용자(사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계정 과목 추천부(190)는 미리 정의된 하나 이상의 거래 항목에 근거하여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을 생성하고, 생성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을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여기서, 계정 과목 추천 대상이 되는 거래 항목은 사용자(사업자)가 임의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계정 과목 추천부(190)는 과거의 분개 데이터 생성 이력에 근거하여 계정 과목 추천 대상이 되는 하나 이상의 거래 항목을 정의할 수도 있다.
또한, 매칭부(170)는 계정 과목 추천부(190)에 의해 생성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 및 제1 분개 데이터에 근거하여 비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를 매칭할 수 있다.
이때, 매칭부(170)는 통장 거래 데이터 중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 등록된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와 동일한 항목의 정보를 포함하는 통장 거래 데이터를 매칭할 수 있다.
이에, 계정 과목 추천부(190)는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 중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의 정보와 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가 존재하면,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서 통장 거래 데이터와 매칭된 항목에 대응하여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을 추천할 수 있다.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는 거래처 '○○ 주식회사'에 대한 입금 내역에 대해 계정 과목 추천 정보로서 '외상 매출금'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 중 '○○ 주식회사'로부터의 입금 내역이 포함된 통장 거래 데이터가 존재하면, 계정 과목 추천부(190)는 해당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을 '외상 매출금'으로 추천할 수 있다.
따라서, 분개 처리부(160)는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에 대해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 근거하여 계정 과목이 추천되면, 해당 통장 거래 데이터와 계정 과목 추천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생성된 제2 분개 데이터는 분개 데이터 DB(145)에 저장된다.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 근거하여 비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예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도록 한다.
전표 생성부(180)는 분개 데이터 DB(145)에 저장된 제2 분개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거래 전표를 생성하고, 생성된 거래 전표를 사용자(사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전표 생성부(180)는 거래 전표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상의 인쇄 메뉴를 통해 인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표 생성부(180)는 거래 전표 데이터를 저장부(140)에 저장하고, 사용자(사업자)의 요청이 있을 때 저장부(140)에 저장된 거래 전표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통장 거래 데이터에 대한 전표 생성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표 생성 장치(100)는 도면부호 311과 같이 통장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하고, 일반 거래에 대해 미리 생성한 도면부호 315의 제1 분개 데이터를 호출한다. 이때, 전표 생성 장치(100)는 도면부호 321과 같이 스크래핑한 통장 거래 데이터(311) 및 호출된 제1 분개 데이터(315)를 자동 매칭한다.
도면부호 321의 자동 매칭 과정에서 대부분, 예를 들어, 대략 80% 정도의 통장 거래 데이터(311)와 제1 분개 데이터(315)가 매칭될 수 있다.
전표 생성 장치(100)는 도면부호 321에서 자동 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 및 제1 분개 데이터의 계정 과목 정보를 이용하여 도면부호 331과 같이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고, 도면부호 331에서 생성한 제2 분개 데이터로부터 도면부호 341과 같이 해당 통장 거래에 대한 전표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한편, 전표 생성 장치(100)는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나머지 통장 거래 데이터(대략 20%)의 계정 과목 추천을 위해 미리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355)을 호출한다.
전표 생성 장치(100)는 비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의 각 항목의 정보와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 상에 정의된 정보를 비교한다. 이때, 전표 생성 장치(100)는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355) 상에서 비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와 일치하는 정보를 갖는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 상에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정보에 근거하여, 도면부호 351과 같이 해당 통장 거래 데이터에 대한 계정 과목을 추천할 수 있다.
전표 생성 장치(100)는 비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에 대해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정보를 이용하여 도면부호 331과 같이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전표 생성 장치(100)는 도면부호 341과 같이, 도면부호 331에서 생성한 제2 분개 데이터로부터 해당 통장 거래에 대한 거래 전표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도 4 및 도 6은 일반 거래 데이터에서 미리 지정된 항목의 정보를 추출하여 제1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4는 세금 계산서의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표 생성 장치(100)의 분개 처리부(160)는 도 4의 (a)에 도시된 세금 계산서의 거래 데이터 중 공급받는자, 합계금액, 공급가액, 세액, 품목명에 해당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b)와 같이 제1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세금 계산서는 매출금에 대해 발생된 것이므로, 분개 처리부(160)는 도 4의 (a)에 도시된 세금 계산서의 거래 데이터에 대한 계정 과목을 '외상 매출금/ 이용료 매출'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분개 처리부(160)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개 데이터의 차변 항목에는 계정 과목 중 '외상 매출금'을, (차변)금액 항목에는 합계금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대변 항목에는 '이용료 매출' 및 'VAT 예수금'을, (대변)금액 항목에는 각각 공급가액 및 세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거래처 항목에는 공급받는자에 해당하는 정보를, 마지막으로 품목 항목에는 품목명에 해당하는 정보를 삽입하여 제1 분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신용카드의 거래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1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표 생성 장치의 분개 처리부(160)는 도 6의 (a)에 도시된 신용카드의 거래 데이터 중 카드사, 가맹점명, 공급가액, 세액, 합계금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b)와 같이 제1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신용카드의 거래 데이터는 대금 지급이 완료된 것이 아니므로, 분개 처리부(160)는 도 6의 (a)에 도시된 신용카드의 거래 데이터에 대한 계정 과목을 '복리 후생비/미지급금'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분개 처리부(16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개 데이터의 차변 항목에는 계정 과목 중 '복리 후생비' 및 'VAT 대급금'을, (차변)금액 항목에는 공금가액 및 세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대변 항목에는 계정 과목 중 '미지급금'을, (대변)금액 항목에는 합계금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거래처 항목에는 카드사에 해당하는 정보를, 마지막으로 품목 항목에는 가맹점명에 해당하는 정보를 삽입하여 제1 분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 및 도 7은 통장 거래 데이터 및 제1 분개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칭하여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5는 도 4의 실시예를 통해 생성된 제1 분개 데이터 및 제2 금융서버(15)로부터 스크래핑한 통장 거래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칭하여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표 생성 장치(100)의 매칭부(170)는 도 5의 (a)와 같이 제2 금융서버(15)로부터 통장 거래 데이터가 스크래핑되면, 스크래핑된 통장 거래 데이터 중 의뢰인/수취인 정보(○○ 주식회사) 및 입금액 정보(198,000)를 추출하고, 도 4의 실시예로부터 생성된 제1 분개 데이터 중 거래처 및 차변 금액 항목이 통장 거래 데이터의 의뢰인/수취인 정보 및 입금액 정보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a)의 통장 거래 데이터와 매칭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제1 분개 데이터는 거래처가 '○○ 주식회사'이고, 차변 금액이 '198,000'이므로, 매칭부(170)는 (a)의 통장 거래 데이터와 (b)의 제1 분개 데이터를 서로 매칭한다.
이에, 분개 처리부(160)는 서로 매칭된 (a)의 통장 거래 데이터와 (b)의 제1 분개 데이터를 이용하여 (c)와 같이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의 (a)의 통장 거래 데이터는 입금 내역에 해당하고, (b)의 제1 분개 데이터는 차변 항목의 계정 과목이 '외상 매출금'에 해당한다.
따라서, 분개 처리부(160)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개 데이터의 차변 항목에는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에 해당하는 '보통 예금'을, (차변)금액 항목에는 통장 거래 데이터의 입금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대변 항목에는 제1 분개 데이터의 차변 항목에 해당하는 '외상 매출금'을, (대변)금액 항목에는 제1 분개 데이터의 (차변)금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거래처 항목 및 품목 항목에는 제1 분개 데이터의 거래처 항목 및 품목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를 삽입하여 제2 분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도 6의 실시예를 통해 생성된 제1 분개 데이터 및 제2 금융서버(15)로부터 스크래핑한 통장 거래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칭하여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표 생성 장치(100)의 매칭부(170)는 도 7의 (a)와 같이 제2 금융서버(15)로부터 통장 거래 데이터가 스크래핑되면, 스크래핑된 통장 거래 데이터 중 의뢰인/수취인 정보((주) □□ 카드) 및 출금액 정보(52,000)를 추출하고, 도 6의 실시예로부터 생성된 제1 분개 데이터 중 거래처 및 대변 금액 항목이 통장 거래 데이터의 의뢰인/수취인 정보 및 출금액 정보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a)의 통장 거래 데이터와 매칭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된 제1 분개 데이터는 거래처가 '(주) □□ 카드'이고, 대변 금액이 '52,000'이므로, 매칭부(170)는 (a)의 통장 거래 데이터와 (b)의 제1 분개 데이터를 서로 매칭한다.
이에, 분개 처리부(160)는 서로 매칭된 (a)의 통장 거래 데이터와 (b)의 제1 분개 데이터를 이용하여 (c)와 같이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의 (a)의 통장 거래 데이터는 출금 내역에 해당하고, (b)의 제1 분개 데이터는 대변 항목의 계정 과목이 '외상 매출금'에 해당한다.
따라서, 분개 처리부(160)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개 데이터의 차변 항목에는 제1 분개 데이터의 대변 항목에 해당하는 '미지급금'을, (차변)금액 항목에는 제1 분개 데이터의 (대면)금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대변 항목에는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에 해당하는 '보통 예금'을, (대변)금액 항목에는 통장 거래 데이터의 출금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거래처 항목에는 제1 분개 데이터의 거래처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를, 그리고 품목 항목에는 통장 거래 데이터의 내역 정보에 해당하는 정보를 삽입하여 제2 분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8은 통장 거래 데이터 중 일반 거래 내역이 존재하지 않는 데이터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결산이자 또는 이자세금 등은 일반 거래 내역이 발생하지 않고, 오직 통장 거래 내역만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전표 생성 장치(100)의 분개 처리부(160)는 (a)의 통장 거래 데이터의 정보만을 이용하여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결산이자에 대한 계정 과목은 '이자수익'에 해당된다.
따라서, 분개 처리부(16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개 데이터의 차변 항목에는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에 해당하는 '보통 예금'을, (차변)금액 항목에는 통장 거래 데이터의 입금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대변 항목에는 통장 거래 데이터의 내역에 해당하는 계정 과목인 '이자 수익'을, (대변)금액 항목에는 통장 거래 데이터의 입금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거래처 항목에는 통장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한 제2 금융서버(15)에 대응하는 은행 정보(가령, '△△ 은행')를, 그리고 품목 항목에는 통장 거래 데이터의 적요에 해당하는 정보를 삽입하여 제2 분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을 이용하여 비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9는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을 이용하여 비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 중 입금 내역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표 생성 장치(100)의 매칭부(170)는 비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910) 및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920)을 비교하여 매칭한다.
이때, 비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 중 입금 내역에 대한 통장 거래 데이터(910)의 거래처 항목이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920)에 정의된 거래처 항목과 일치하면(930), 전표 생성 장치(100)의 분개 처리부(160)는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920)에서 해당 거래처 항목에 대응하여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통장 거래 데이터(910)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940)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 '(주) □□△'으로부터의 입금 내역에 대응하여 계정 과목 추천 정보가 '선수금'으로 정의된 경우, 분개 처리부(160)는 제2 분개 데이터(940)의 차변 항목에는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에 해당하는 '보통 예금'을, (차변)금액 항목에는 통장 거래 데이터의 입금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대변 항목에는 계정 과목 추천 정보에 해당하는 '선수금'을, (대변)금액 항목에는 입금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거래처 항목에는 통장 거래 데이터의 의뢰인/수취인에 해당하는 정보를, 그리고 품목 항목에는 입금 내역에 해당하는 정보를 삽입하여 제2 분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을 이용하여 비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 중 출금 내역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전표 생성 장치(100)의 매칭부(170)는 비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1010) 및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1020)을 비교하여 매칭한다.
이때, 비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 중 출금 내역에 대한 통장 거래 데이터의 거래처 항목이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 정의된 거래처 항목과 일치하면(1030), 전표 생성 장치(100)의 분개 처리부(160)는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1020)에서 해당 거래처 항목에 대응하여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통장 거래 데이터(1010)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1040)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예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 (주) ○□△로의 출금 내역에 대응하여 계정 과목 추천 정보가 '선급금'으로 정의된 경우, 분개 처리부(160)는 제2 분개 데이터(1040)의 차변 항목에는 계정 과목 추천 정보에 해당하는 '선급금'을, (차변)금액 항목에는 통장 거래 데이터의 출금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대변 항목에는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에 해당하는 '보통 예금'을, (대변)금액 항목에는 출금액에 해당하는 정보를, 거래처 항목에는 통장 거래 데이터의 의뢰인/수취인에 해당하는 정보를, 그리고 품목 항목에는 출금 내역에 해당하는 정보를 삽입하여 제2 분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흐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1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하는 동작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표 생성 장치(100)는 제1 금융서버(11)의 DB에 접근하여 제1 금융서버(11)에서 제공하는 일반 거래 데이터, 예를 들어, 세금 계산서, 신용카드, 체크카드 또는 현금 영수증의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한다(S110).
이후, 전표 생성 장치(100)는 'S110' 과정에서 스크래핑 된 일반 거래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항목으로 분개하여 제1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고(S120), 'S120' 과정에서 생성한 제1 분개 데이터를 제1 거래 데이터 DB(141)에 저장한다(S130).
여기서, 'S110' 내지 'S130' 과정은 통장 거래 데이터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선행 절차로서 수행될 수 있다.
도 12는 통장 거래 데이터 및 도 11에 의해 생성된 제1 분개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고 거래 전표를 생성하는 동작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거래 전표 생성 장치(100)는 제2 금융서버(15)의 DB에 접근하여 제2 금융서버(15)에서 제공하는 통장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한다(S210).
이후, 전표 생성 장치(100)는 'S210' 과정에서 스크래핑 된 통장 거래 데이터 및 도 11에 의해 생성된 제1 분개 데이터를 비교하여 매칭한다(S220). 'S220' 과정에서, 전표 생성 장치(100)는 거래처 항목 및 거래 금액 항목 등의 정보가 서로 일치하는 통장 거래 데이터 및 제1 분개 데이터를 매칭할 수 있다.
전표 생성 장치(100)는 'S210' 과정에서 스크래핑 된 통장 거래 데이터 중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가 존재하면(S230), 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통장 거래 데이터 및 제1 분개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한다(S270). 'S270' 과정에서 생성된 제2 분개 데이터는 분개 데이터 DB(145)에 저장될 수 있다.
전표 생성 장치(100)는 'S270' 과정에서 생성한 제2 분개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거래 전표를 생성한다(S280).
전표 생성 장치(100)는 'S280' 과정에서 생성한 거래 전표를 사용자(사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표 생성 장치(100)는 거래 전표를 생성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거래 전표를 생성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290), 'S230' 과정에서 남은 통장 거래 데이터 중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더 이상 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 전표 생성 장치(100)는 미리 생성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을 호출한다(S240).
전표 생성 장치(100)는 비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 및 'S240' 과정에서 호출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을 매칭하고(S250), 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에 대해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을 결정할 수 있다(S260).
이에, 전표 생성 장치(100)는 비매칭된 통장 거래 데이터 및 'S260' 과정에서 결정된 계정 과목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통장 거래 데이터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한다(S270). 'S270' 과정에서 생성된 제2 분개 데이터는 분개 데이터 DB(145)에 저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표 생성 장치(100)는 'S270' 과정에서 생성한 제2 분개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거래 전표를 생성한다(S280).
전표 생성 장치(100)는 'S280' 과정에서 생성한 거래 전표를 사용자(사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금융서버 11: 제1 금융서버
15: 제2 금융서버 100: 전표 생성 장치
110: 제어부 120: 인터페이스부
130: 통신부 140: 저장부
141: 제1 거래 데이터 DB 143: 제2 거래 데이터 DB
145: 분개 데이터 DB 150: 스크래핑부
160: 분개 처리부 170: 매칭부
180: 전표 생성부 190: 계정 과목 추천부

Claims (16)

  1. 복수의 금융서버로부터 일반 거래 데이터 및 통장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하는 스크래핑부;
    상기 일반 거래 데이터를 미리 정해진 항목으로 분개하여 일반 거래에 대한 제1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분개 데이터 및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분개 처리부;
    상기 제1 분개 데이터 및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를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항목의 정보가 일치하는 데이터를 매칭하고, 상기 매칭 결과를 상기 분개 처리부로 제공하는 매칭부;
    상기 제2 분개 데이터로부터 통장 거래에 대한 거래 전표를 생성하는 전표 생성부; 및
    미리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매칭부에 의해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을 추천하는 계정 과목 추천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개 처리부는,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 추천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통장 거래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 생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개 처리부는,
    상기 일반 거래 데이터를 거래처별로 식별하고, 상기 일반 거래 데이터의 거래 내용 및 상대 계정을 식별하여 상기 제1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 생성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개 처리부는,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와 매칭된 제1 분개 데이터로부터 상대 계정을 식별하고, 상기 제1 분개 데이터로부터 식별된 상대 계정 정보를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에 반영하여 상기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 생성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개 처리부는,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 중 일반 거래 내역이 발생하지 않는 거래에 대해서는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의 정보만으로 상기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 생성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은,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 및 상기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응하는 계정 과목 추천 정보로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 생성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매칭부는,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의 각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와 상기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 정의된 각 항목의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 생성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계정 과목 추천부는,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와 매칭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 상에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 생성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융서버는,
    인증된 사용자에게 세금 계산서, 신용카드, 체크카드 또는 현금 영수증에 대한 상기 일반 거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1 금융서버; 및
    상기 인증된 사용자에게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2 금융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 생성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핑부에 의해 상기 제1 금융서버로부터 스크래핑 된 상기 일반 거래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1 거래 데이터 DB;
    상기 스크래핑부에 의해 상기 제2 금융서버로부터 스크래핑 된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가 저장되는 제2 거래 데이터 DB; 및
    상기 제1 분개 데이터 및 상기 제2 분개 데이터가 저장되는 분개 데이터 DB를 포함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 생성 장치.
  10. 금융서버로부터 통장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하는 단계;
    일반 거래에 대해 미리 생성된 제1 분개 데이터 및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를 비교하여 미리 정해진 항목의 정보가 일치하는 데이터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 및 해당 통장 거래 데이터와 매칭된 제1 분개 데이터에 근거하여 통장 거래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미리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을 추천하는 단계;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 추천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통장 거래에 대한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분개 데이터로부터 통장 거래에 대한 거래 전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 생성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핑하는 단계 이전에, 금융서버로부터 일반 거래 데이터를 스크래핑하는 단계; 및
    상기 일반 거래 데이터를 거래처별로 식별하고, 상기 일반 거래 데이터의 거래 내용 및 상대 계정을 식별하여 일반 거래에 대한 상기 제1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 생성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와 매칭된 제1 분개 데이터로부터 상대 계정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분개 데이터로부터 식별된 상대 계정 정보를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에 반영하여 상기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 생성 방법.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 중 일반 거래 내역이 발생하지 않는 거래에 대해 상기 통장 거래 데이터의 정보만으로 상기 제2 분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 생성 방법.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은,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 및 상기 미리 정해진 하나 이상의 항목에 대응하는 계정 과목 추천 정보로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 생성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의 각 항목에 해당하는 정보와 상기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에 정의된 각 항목의 정보를 비교하여 매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 생성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계정 과목을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분개 데이터와 매칭되지 않은 통장 거래 데이터와 매칭된 계정 과목 추천 테이블 상에 정의된 계정 과목 추천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통장 거래 데이터의 계정 과목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표 생성 방법.
KR1020160163736A 2016-12-02 2016-12-02 전표 생성 장치 및 방법 KR20180063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736A KR20180063682A (ko) 2016-12-02 2016-12-02 전표 생성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736A KR20180063682A (ko) 2016-12-02 2016-12-02 전표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682A true KR20180063682A (ko) 2018-06-12

Family

ID=6262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736A KR20180063682A (ko) 2016-12-02 2016-12-02 전표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3682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167A (ko) * 2007-06-20 2009-01-09 (주)더존디지털웨어 세무회계 장부 자동 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399437B1 (ko) 2011-10-07 2014-05-28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세무 회계 서비스 시스템 및 세무 회계 서비스 방법
KR20150097838A (ko) * 2014-02-17 2015-08-27 주식회사 더존다스 패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계정추천 및 전표생성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2167A (ko) * 2007-06-20 2009-01-09 (주)더존디지털웨어 세무회계 장부 자동 작성 시스템 및 방법
KR101399437B1 (ko) 2011-10-07 2014-05-28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세무 회계 서비스 시스템 및 세무 회계 서비스 방법
KR20150097838A (ko) * 2014-02-17 2015-08-27 주식회사 더존다스 패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계정추천 및 전표생성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0557B2 (en) Financial services ecosystem
US11687906B1 (en) Systems and devices controlled responsive to data bearing records
US20150120426A1 (en) Consolidating and Leveraging Features of a Loyalty Program
US7856403B2 (en) Check processing and categorizing system
CN109196535A (zh) 电子支付系统及其方法
US20150206128A1 (en) Contactless wireless 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Tu Regulating the new cashless world
US20150120564A1 (en) Check memo line data lift
US10475129B2 (en) Computerized person-to-person asset routing system
US20160189145A1 (en) Consumer / Merchant paymen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s of system use and operation
US20090164366A1 (en) Payment voucher generation for financial transactions
US20200160323A1 (en) Transaction system with account mapping
US1185399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per check processing and payee setup
US201700044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rieving electronically stored information in real-time for electronic transactions
WO1999046716A1 (fr) Systeme de cheques electroniques, systeme de gestion de donnees financieres, et dispositif de gestion de cheques electroniques
KR20160010042A (ko) 실시간 계좌 이체, 계좌 추심을 통한 결제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Oyemakara An investigation into the challenges faced by users of electronic payment platforms of Nigerian banks in rivers state, Nigeria
KR20180063682A (ko) 전표 생성 장치 및 방법
EP4348548A1 (en) Methods, apparatuses, and systems for user account-affiliated payment and billing, consolidated digital biller-payment wallets
WO2016157137A1 (en) Digital receip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60063620A1 (en) System and method of facilitating payday loans
KR101337095B1 (ko) 금융기기, 그를 이용한 금융상품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15666A (ja) 電子手形管理システム
Hassan et al. Digital financial services: Initiatives and progress with reference to banking industry: Evidence from India
US20220051345A1 (en) Flag system and method of flagging for real-time expenditures transacted electronical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