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578A -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 Google Patents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578A
KR20180063578A KR1020160163483A KR20160163483A KR20180063578A KR 20180063578 A KR20180063578 A KR 20180063578A KR 1020160163483 A KR1020160163483 A KR 1020160163483A KR 20160163483 A KR20160163483 A KR 20160163483A KR 20180063578 A KR20180063578 A KR 20180063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oon
character
user terminal
data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만
배재환
강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애니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애니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애니웨이
Priority to KR1020160163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3578A/ko
Priority to PCT/KR2017/013990 priority patent/WO2018101787A1/ko
Publication of KR20180063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화를 구성하는 요소를 배경, 캐릭터, 대화, 기타 소품 등으로 세분화하고, 각각의 구성요소 별로 다양한 제작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만화제작에 능숙하지 않은 아마추어 사용자라 하더라도 자신의 다양한 생각과 감정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자신만의 만화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만화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만화제작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접속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접속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만화제작에 필요한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만화제작에 필요한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제작한 만화 컨텐츠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PRODUCING COMICS USING NETWORK AND SERVER THEREOF}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인이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만화제작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만의 만화를 손쉽게 제작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에 관한 것이다.
만화책이나 잡지 등 인쇄 매체를 통해 제공되던 만화가 최근에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고 있으며, 인터넷 만화를 의미하는 웹툰(Webtoon)이 최근 만화 시장의 가장 큰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만화를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화로 창작하고 싶어하고 있지만, 만화제작은 오랜 숙련을 통해서만 가능한 전문직종이기 때문에 이를 실제로 실현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UCC(User Created Contents) 시대에 발 맞추어 자신만의 만화 컨텐츠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유/무선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인터넷 상에서 자유롭게 만화를 제작하거나 또는 제작한 만화를 인터넷 상에서 바로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방법들이 개발되어 왔는데, 그 중 하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110587호(발명의 명칭: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공개일: 2006. 10. 25)(선행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만화 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와 연관된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하는 단계(상기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와 연관된 만화 정보를 포함함),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웹사이트를 통해 만화제작과 연관된 소정의 만화제작 요청 또는 만화열람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만화제작 또는 만화열람과 연관된 소정의 웹페이지를 제공하는 단계(상기 만화열람과 연관된 소정의 웹페이지는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제공함), 상기 제공된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만화를 제작 또는 열람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만화제작을 완료하는 경우 상기 제작된 만화를 상기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연관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만화를 소정의 게시 공간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만화 서비스 제공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유/무선 인터넷에 통해 제공되는 만화제작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여러 개의 그림 조각을 원하는 곳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만화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만화제작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는 그림 조각은 매우 단순하여 사용자가 나타내고자 하는 다양한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데 한계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완성된 만화도 이미지 형태로만 저장하고 이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어 대용량의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 패킷 사용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110587호(발명의 명칭: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출원 공개일: 2006. 10. 25., 출원인: 주식회사 넥슨)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만화를 구성하는 요소를 배경, 캐릭터, 대화, 기타 소품 등으로 세분화하고, 각각의 구성요소 별로 다양한 제작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만화제작에 능숙하지 않은 아마추어 사용자라 하더라도 자신의 다양한 생각과 감정을 잘 나타낼 수 있는 자신만의 만화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만화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만화제작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접속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접속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만화제작에 필요한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만화제작에 필요한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제작한 만화 컨텐츠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속 허용 단계는,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가 보유한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경 또는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미리 제작된 것이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직접 제작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하나의 캐릭터 전체에 대한 정보이거나, 하나의 캐릭터를 이루는 여러 부분에 대한 정보의 집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상기 하나의 캐릭터를 이루는 여러 부분에 대한 정보의 집합인 경우에는, 상기 만화제작 과정에서 여러 부분을 상호 조합하여 하나의 캐릭터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만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캐릭터의 세부적인 형상을 직접 수정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화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만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글자체를 직접 변경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일반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이거나 PPL(Product PLacement)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상기 PPL 소품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만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PPL 소품을 선택하는 때에는 소정의 보상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잠금 기능이 수행되면 추가적인 만화제작 과정에서 위치 또는 형상이 변경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전송하고,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텍스트 형태로 전송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감상하기 위해 접속하고 해당 만화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선택된 만화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상기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을 재조합하여 해당 만화 컨텐츠를 제작한 다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한 후 전송하고,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이미지 형태의 만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의 페이지 수를 체크하고, 각각의 페이지별로 이미지 형태로 변환한 후 전송하고,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페이지별로 이미지화 된 만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스크릿 샷을 통해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형태로 변환된 만화 컨텐츠를 이메일 또는 SNS를 통하여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로 만화제작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만화서비스 제공서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만화제작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접속을 허용하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만화제작에 필요한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작한 만화 컨텐츠를 수신받아 저장하는데 필요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제어 모듈, 상기 메인제어 모듈에서 출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 상기 메인제어 모듈에서 출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완성만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만화 저장/공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인지 여부를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회원인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배경 또는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내에서 미리 제작된 것이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직접 제작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하나의 캐릭터 전체에 대한 정보이거나, 하나의 캐릭터를 이루는 여러 부분에 대한 정보의 집합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상기 하나의 캐릭터를 이루는 여러 부분에 대한 정보의 집합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만화제작 과정에서 여러 부분을 상호 조합하여 완성한 하나의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만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캐릭터의 세부적인 형상을 직접 수정하여 완성한 하나의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대화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만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글자체를 직접 변경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일반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이거나 PPL(Product PLacement)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상기 PPL 소품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만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PPL 소품을 선택하는 때에는 소정의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텍스트 형태로 전송한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만화 저장/공유 모듈은, 상기 텍스트 형태로 전송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상기 완성만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감상하기 위해 접속하고 해당 만화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만화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상기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한 후 전송한 것을 수신하고, 상기 만화 저장/공유 모듈은 상기 이미지 형태의 만화 컨텐츠를 상기 완성만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의 페이지 수를 체크하고, 각각의 페이지별로 이미지 형태로 변환한 후 전송한 것을 수신하고, 상기 만화 저장/공유 모듈은 상기 완성만화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페이지별로 이미지화 된 만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에 의하면,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누구라도 만화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활용하여 자신만의 만화 컨텐츠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고, 이를 다른 사람과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하나의 캐릭터를 이루는 여러 부분에 대한 정보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만화 컨텐츠를 제작할 때 하나의 캐릭터를 이루는 여러 부분을 상호 조합하여 하나의 캐릭터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보다 다양한 표정이나 동작 표현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또한, 상기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하나의 캐릭터를 이루는 특정한 부분에 대한 다양한 옵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만화 컨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하나의 캐릭터의 세부적인 형상을 직접 수정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다양한 표정이나 동작 표현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단순히 주어진 캐릭터를 선택하여 삽입하는 과정이 아니라 캐릭터의 세부적인 형상을 직접 그리는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만화를 제작하는 흥미를 더욱 증진시켜 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서 만화를 제작한 후에 이를 만화서비스 제공서버에 저장하고자 하는 때에는 자신이 제작한 만화 컨텐츠를 이미지 파일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만화 컨텐츠의 각 페이지별로 포함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저용량의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대용량의 이미지 파일로 구성된 만화 컨텐츠를 전송할 때 데이터 사용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해결해 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만화서비스 제공서버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의 기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의 구체적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텍스트 형태로 만화 컨텐츠를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 형태로 만화 컨텐츠를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텍스트 형태로 저장된 만화 컨텐츠를 감상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만화제작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자체 이미지를 사용하여 만화를 제작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캐릭터의 얼굴 부분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캐릭터의 몸체 부분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얼굴 부분과 몸체 부분을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캐릭터의 세부적인 형태를 직접 수정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캐릭터의 위치를 반전시키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캐릭터를 회전시키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라 캐릭터를 이동, 크기 조절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대화를 입력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대화의 글자체를 변경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라 소품을 입력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따라 PPL 소품을 사용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 따라 만화 페이지 중간에 광고를 삽입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에 따라 잠금 기능을 사용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 스크릿 샷 기능을 사용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에 따라 그림체를 선택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
도 27은 본 발명에 따라 최종 완성된 만화 컨텐츠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 2는 만화서비스 제공서버의 기능 블록도이며, 도 3은 사용자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은 유무선 네트워크(100)를 통해 연결되는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300)를 포함한다.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100)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3G, 4G, LTE,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100)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만화제작 서비스 및 만화감상 서비스를 제공해준다. 도 2에서 보듯이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크게 제어 유니트(210)와 데이터베이스 유니트(22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 유니트(210)는 메인제어 모듈(211), 데이터 송수신 모듈(212), 만화제작 모듈(213), 만화 저장/공유 모듈(214), 회원인증 모듈(215)과 같은 복수개의 기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유니트(220)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21)와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222), 완성만화 데이터베이스(223)와 같은 복수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제어 모듈(211)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만화제작 서비스 또는 만화감상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접속을 허용하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222)로부터 만화제작에 필요한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제작한 만화 컨텐츠를 수신받아 저장하는데 필요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212)은 상기 메인제어 모듈(211)에서 출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송수신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가 제작한 만화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수신하거나,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만화감상 서비스를 요청받은 경우에 해당 만화 컨텐츠에 포함된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텍스트 형태로 된 데이터 정보의 제공방법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6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한 후 송수신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7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만화제작 모듈(213)은 만화제작용 인터페이스 제공하고,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만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만화제작 툴을 제공해준다. 다만, 이러한 만화제작 툴은 사용자 단말기(300)이 접속할 때마다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에 미리 다운로드된 후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300)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만으로 만화제작 툴을 사용할 수 있고,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매번 만화제작 툴을 전송받을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더욱 편리하다. 이 경우 상기 만화제작 모듈(213)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만화 저장/공유 모듈(214)은 메인제어 모듈(211)에서 출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모듈(212)에 의해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완성만화 데이터베이스(223)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사용자와 연관된 블로그, 홈페이지, 커뮤니티 또는 각종 SNS 등 각종 인터넷 상의 공간에 게시하여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가 제작한 만화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완성만화 데이터베이스(223)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텍스트 형태로 된 데이터 정보의 저장방법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6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이미지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7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회원인증 모듈(215)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인지 여부를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21)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회원이 아닌 경우에는 회원가입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하고, 이를 통해 전송받은 사용자의 인적 정보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21)에 저장한다.
한편, 상기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21)에는 회원인증 모듈(215)을 통해 전송받은 사용자의 성명, 주소, 이메일 등과 같은 기본적인 인적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제작한 만화 컨텐츠의 제목, 친구 정보가 함께 저장된다.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일 예는 도 9를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222)에는 아마추어 사용자도 쉽게 만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만화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를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 등으로 분류한 후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저장한다. 이 데이터 정보는 기본적으로 JPG, PNG, TIF와 같은 이미지 파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본 발명의 만화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미리 제작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사용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만화제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의 이미지 데이터 정보를 선택하고 배치함으로써 만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완성만화 데이터베이스(223)에는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제작한 만화 컨텐츠를 저장한다. 이 만화 컨텐츠는 상기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21)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 만화 제목 등과 링크되어 함께 검색되도록 저장된다. 또한, 상기 만화 컨텐츠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해당 만화 컨텐츠에 포함된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텍스트 형태로 저장될 수 있고, 이미지 형태로 저장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6 및 도 7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는 유무선 네트워크(100)를 통해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만화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구비한 전자 디바이스이다. 이러한 전자 디바이스로는 스마트폰, 노트북,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디바이스,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서 보듯이, 사용자 단말기(300)는 크게 제어 유니트(310)와 데이터베이스 유니트(32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 유니트(310)는 메인제어 모듈(311), 디스플레이 모듈(312), 데이터 송수신 모듈(313), 만화제작 모듈(314), 만화 저장/공유 모듈(315), 만화열람 모듈(316), 회원인증 요청 모듈(317)과 같은 복수개의 기능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 유니트(320)는 자체 제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21)와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322), 완성만화 데이터베이스(323)와 같은 복수개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제어 모듈(311)은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만화 제작에 필요한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수신받고, 만화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만화 컨텐츠를 제작하거나 감상하며,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제작한 만화 컨텐츠를 송신하는 필요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312)은 만화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경우 만화제작에 필요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은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 정보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313)은 메인제어 모듈(311)에서 출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수신받고,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가 제작한 만화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송신한다. 이와 같이 텍스트 형태로 된 데이터 정보의 제공방법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6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한 후 송신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7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만화제작 모듈(314)은 만화제작용 인터페이스 제공하고,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만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만화제작 툴을 제공해준다. 다만, 이러한 만화제작 툴은 사용자 단말기(300)이 접속할 때마다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전송받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에 미리 다운로드된 후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300)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만으로 만화제작 툴을 사용할 수 있고,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매번 만화제작 툴을 전송받을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 더욱 편리하다는 점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만화 저장/공유 모듈(315)은 메인제어 모듈(311)에서 출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모듈(313)에 의해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로부터 수신된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완성만화 데이터베이스(323)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사용자와 연관된 블로그, 홈페이지, 커뮤니티 또는 각종 SNS 등 각종 인터넷 상의 공간에 게시하여 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가 제작한 만화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완성만화 데이터베이스(323)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텍스트 형태로 된 데이터 정보의 저장방법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6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이미지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 7을 참조로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만화열람 모듈(316)은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에 만화감상 서비스를 요청하고,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313)에서 요청된 만화 컨텐츠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해당 만화 컨텐츠를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만화 컨텐츠가 텍스트 정보로 구성된 경우에는 이 텍스트 정보를 조합하여 이미지 형태의 만화 컨텐츠로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 때, 만화 컨텐츠의 열람은 상하 스크롤에 의해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고, 좌우 페이지 넘김 기능을 통해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페이지 자동 넘김 기능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회원인증 요청 모듈(317)은 유무선 네트워크(100)를 통해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에 회원 인증을 요청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자체 제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321)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에 내장된 그림제작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직접 제작한 이미지가 저장될 수도 있고,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직접 촬영한 이미지가 저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만화제작세트(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 등)에 대한 이미지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자체 제작하거나 촬영한 이미지를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더욱 다양한 형태의 만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322)와 완성만화 데이터베이스(323)는 상기 도 2를 참조로 설명한 것과 거의 동일하므로, 이를 참조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 4 내지 도 8에 개시된 순서도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의 기본 순서도이다.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300)가 유무선 네트워크(100)를 통해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고, 필요한 경우에 회원인증 또는 회원가입 절차를 수행한다(S400).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는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만화제작 서비스 또는 만화감상 서비스 중 어느 것을 요청한 것인지를 확인한다(S410). 확인 결과, 만화제작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에는 만화제작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만화제작 과정을 수행한다(S420, S430). 이 때, 상기 만화제작용 인터페이스는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의 만화제작 모듈(213)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만화제작 모듈(314)에 의해 제공될 수도 있다. 만화 제작 과정은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제공한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선택하고 배치하는 동작을 통해 이루어진다. 만화 컨텐츠의 제작이 완성되면 이를 텍스트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고, 인터넷 상의 게시 공간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도 있다.
한편, S410 단계의 확인 결과, 만화감상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에는 만화감상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만화감상 과정을 수행한다(S450, S460). 이 만화감상 과정은 사용자 단말기(300) 내에 포함된 만화열람 모듈(316)이 선택된 만화 컨텐츠의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이다. 만약, 선택된 만화 컨텐츠가 텍스트 정보로 구성된 경우에는 이 텍스트 정보를 조합하여 이미지 형태의 만화 컨텐츠로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 중에서 만화제작용 서비스의 제공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순서도이다.
사용자 단말기(300)가 만화제작을 요청한 경우에는 만화제작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500). 사용자는 만화제작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처음 제공되는 옵션인 그림체 선택을 수행한다. 그림체 선택은 도 2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작하고자 하는 만화 컨텐츠의 장르를 선택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코믹, 순정, 어린이, 제휴 등과 같은 선택버튼(800) 중에서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장르에 적합한 만화제작세트(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 등)를 제공받는다.
그림체를 선택한 사용자는 만화 컨텐츠의 제1 페이지부터 선택하여 만화를 제작한다(S510). 작업 페이지는 만화제작 과정에서 언제든지 이동 가능하다.
페이지를 선택한 사용자는 만화제작세트(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 등)로부터 해당 이미지의 데이터 정보를 선택하고 이를 페이지 화면 상에 자유롭게 배치함으로써 자신만의 만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만화의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의 순서로 선택,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 순서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또한, 한번 선택된 이미지라 하더라도 필요한 경우에 이동, 회전, 크기 조절, 대화체 변경, 삭제 등의 수정이 언제든지 가능하다.
사용자는 먼저 만화제작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여러 배경 이미지로부터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배치한다(S530). 이 때, 배경 이미지는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에 의해 미리 제작되어 제공되는 것일 수도 있고,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사진 이미지 등일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자체 제작 이미지도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만화 제작의 자유도를 한층 향상시켜준다. 사용자 자체 제작 이미지의 사용하는 경우가 도 11에 예시되어 있다.
배경의 배치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캐릭터 이미지로부터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배치한다(S540). 캐릭터 이미지도 사용자가 자체 제작한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캐릭터 이미지를 제공함에 있어서, 이모티콘과 같이 하나의 캐릭터가 완성된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고, 하나의 캐릭터를 여러 부분으로 분리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하나의 캐릭터 전체에 대한 정보이거나, 하나의 캐릭터를 이루는 여러 부분에 대한 정보의 집합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상기 하나의 캐릭터를 이루는 여러 부분에 대한 정보의 집합인 경우에는, 상기 만화제작 과정에서 여러 부분을 상호 조합하여 하나의 캐릭터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하나의 캐릭터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 제공하고, 이를 조합하여 완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릭터의 표정, 감정, 동작 등을 더욱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만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캐릭터의 세부적인 형상을 직접 수정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단순히 캐릭터 등을 선택/배치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캐릭터의 표정이나 동작을 보다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마치 실제로 만화를 그리는 듯한 느낌을 제공해 줌으로써, 만화를 제작하는 재미를 더욱 배가시켜준다. 이에 대해서는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이 밖에 사용자는 만화제작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캐릭터 이미지의 좌우반전, 상하반전, 회전, 이동, 크기 조절 등의 기본적인 편집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도 도 16 및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 간단히 후술하기로 한다.
캐릭터의 편집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말풍선 이미지를 통하여 원하는 대화를 입력할 수 있다(S55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말풍선 내에 입력하는 대화의 내용이나 표현에 따라 이에 맞는 글자체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화가 난 상태의 대화체, 의성어, 의태어 등이 입력되면 이에 맞게 선이 굵은 고딕체의 글자체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수동 변경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해당 대화의 글자체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고, 자동 변경의 경우에는 문장 분석 기능 등을 추가하여 해당 문장에 포함된 단어가 어떤 감정을 나타내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에 맞게 글자체를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대화의 편집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소품 이미지로부터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배치한다(S560). 소품은 휴대폰, 음료수, 커피컵, 화분 또는 안경, 시계 등의 악세사리와 같이 메인 캐릭터의 외모, 감정, 동작 등을 더욱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이미지를 제공한다. 이러한 소품 이미지에는 물건 뿐만 아니라, 번개 표시, 형광등 표시, 음표 표시 등 사람의 감정이나 상태를 더욱 잘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호 등도 포함되며, 나아가 의성어, 의태어도 소품의 카테고리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소품 이미지에는 후원업체의 실제 판매제품의 이미지를 PPL(Product PLacement) 소품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만화 컨텐츠 내에서 상기 PPL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품권 등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소품 이미지의 사용에 대해서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소품의 배치 및 편집이 완료되면, 특수효과로서 의성어, 의태어, 특수기호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S570). 이러한 의성어, 의태어, 특수기호 등은 소품 이미지의 카테고리에 해당되어 소품 배치 단계에서 함께 선택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대로, 해당 페이지 내에서 사용자가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 이미지의 선택, 배치 및 편집을 완료하면, 다음 페이지를 추가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580). 사용자가 다음 페이지를 추가할 것을 선택하면 상기 S520 내지 S570 단계를 동일하게 반복함으로써 해당 페이지에 대한 만화 제작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다음 페이지를 추가하지 않음을 선택하면, 만화 제작이 모두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만화 컨텐츠를 서버에 저장하거나 인터넷 상의 게시 공간으로 전송하여 공유한다(S590).
도 6은 도 5의 제작과정을 통해 최종 완성된 만화 컨텐츠를 텍스트 정보로서 저장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사용자가 도 5의 과정을 통해 만화 컨텐츠 제작을 완성하면 이를 저장한다(S600). 이 때, 사용자 단말기(300)의 메인제어 모듈(311)은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한다(S61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메인제어 모듈(311)은 만화 컨텐츠의 각 페이지 별로 배치된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 이미지의 정보를 이미지 데이터 정보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각 이미지를 식별하기 위한 물품번호, 위치, 크기, 회전 각도, 대화 내용 등을 XML 이나 JSON과 같은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각각을 이미지 데이터 형태로 저장하는 것보다 훨씬 작은 용량으로 저장이 가능하다. 그 결과,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와 사용자 단말기(300) 사이에 만화 컨텐츠를 전송할 때 매우 작은 량의 데이터만이 사용된다. 이는 최근에 급격히 증가하는 데이터 사용량으로 인한 인터넷 사용의 제약을 해결해 준다. 더욱이 이미지 데이터 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저장하기 때문에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 및 사용자 단말기(300)의 저장 공간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다만,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 또는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텍스트 형태로 저장된 만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해당 텍스트 정보를 기반으로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이미지를 추출하여 각 페이지의 원래 위치에 배치하는 변환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각 페이지에 포함된 이미지 중에서 사용자가 자체 제작한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지는 여부를 판단한다(S620). 판단 결과, 사용자가 자체 제작한 이미지가 없는 경우에는 모든 이미지가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쉽게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든 페이지의 이미지 데이터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는 이를 텍스트 정보로 저장한다.
그러나, 판단 결과 사용자가 자체 제작한 이미지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를 텍스트 정보로 변환할 수 없기 때문에 이미지 데이터 자체로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전송하고, 서버는 텍스트 정보와 이미지 데이터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에도 완성된 만화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만화 컨텐츠의 제작이 완료된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 단말기(300)에도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650, S670). 확인 결과, 사용자 단말기(300)에도 저장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자체 제작한 이미지가 없는 경우에는 텍스트 정보만으로 저장하고(S660) 사용자 자체 제작한 이미지가 있는 경우에는 텍스트 정보와 이미지 데이터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S680).
도 7은 도 5의 제작과정을 통해 최종 완성된 만화 컨텐츠를 이미지 데이터 정보로서 저장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이 방법은 데이터 사용량이나 저장 공간에 대한 제약이 없는 경우에는 완성된 만화 컨텐츠를 이미지 데이터 자체로 저장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도 5의 과정을 통해 만화 컨텐츠 제작을 완성하면 이를 저장한다(S700). 이 때, 사용자 단말기(300)는 완성된 만화 컨텐츠의 페이지 수와 각 페이지의 크기 등을 확인한다(S710). 그 후, 완성된 만화 컨텐츠 전체를 하나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였을 경우에 이미지 크기가 매우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이를 페이지 별로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720). 확인 결과, 하나의 파일로 저장할 것을 선택한 경우에는 완성된 만화 컨텐츠 전체를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S730), 페이지 별로 나누어 저장할 것을 선택한 경우에는 완성된 만화 컨텐츠를 페이지별로 나누어 이미지 데이터 파일로 저장한다(S740). 이미지 데이터 파일로 저장된 만화 컨텐츠를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로 전송하여 저장하거나 다른 인터넷 상의 게시공간에 업로드하여 공유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텍스트 형태로 저장된 만화 컨텐츠를 감상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도 4의 S410 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 자신이 제작하거나 다른 사람이 제작한 만화 컨텐츠를 감상하기 위해 요청을 하면,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는 만화감상용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800). 사용자가 만화감상용 인터페이스를 통해 감상할 만화 컨텐츠를 선택하면(S810),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는 해당 만화 컨텐츠가 만화서비스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기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820). 이 저장 위치 확인은 사용자 단말기(300)에 의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저장 위치가 확인되면, 해당 완성만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선택된 만화 컨텐츠에 대한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S830).
사용자 단말기(300)는 수신된 텍스트 정보를 근거로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322)를 검색하여 만화 컨텐츠의 페이지별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의 이미지를 추출하고, 그 위치, 크기, 회전 각도, 대화 내용 등을 동일하게 배치하여 해당 만화 컨텐츠의 각각의 페이지를 재구성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만화 컨텐츠가 텍스트 정보로 구성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만화열람 모듈(316)에서 이 텍스트 정보를 조합하여 이미지 형태의 만화 컨텐츠로 재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S850).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로 그 수행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관리하는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아이디(910), 이메일 주소(920)와 같은 회원의 인적사항뿐만 아니라, 해당 사용자의 활동 정도를 나타내는 레벨(930), 회원이 제작한 만화 컨텐츠의 제목(940), 사용자의 친구 리스트(950) 등이 저장된다. 상기 친구 리스트(950)는 사용자가 완성한 만화 컨텐츠를 동호회나 블로그 내에서 친구 공개로만 업로드하여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 공개 범위를 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만화제작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에 보여지는 메인 화면을 나타낸다. 상기 메인 화면은 크게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 이미지가 배치되고 편집되는 만화제작용 디스플레이부(400)와 만화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제어버튼이 표시된 만화제작용 인터페이스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만화제작용 인터페이스부(500)는 배경 선택버튼(511), 캐릭터 선택버튼(512), 대화 선택버튼(513) 및 소품 등 기타 선택버튼(514)이 배열되어 만화제작세트 중 필요한 이미지의 상위 카테고리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Angle 버튼(521)은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이미지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고, Gallery 버튼(522)은 사용자 단말기 내에 저장된 사진 중에서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고, Camera 버튼(523)은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사진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메뉴 버튼(541)은 만화제작용 인터페이스부(500)에 개시된 여러 메뉴가 보여지거나 사라지도록 해주고, 상,하 화살표 버튼(5442)은 현재 제작 중인 만화 컨텐츠의 페이지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며, 설정 버튼(543)은 도 25에 예시된 스트린샷이나 도 26에 예시된 그림체 선택 등의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마지막으로, 잠금 버튼(551)은 도 2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몇몇 이미지가 더 이상 편집이 되지 않도록 홀딩시켜주고, 상하반전 버튼(552)는 선택된 이미지가 상하 대칭으로 이동되도록 해주며, 좌우반전 버튼(553)은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이미지가 좌우 대칭으로 이동되도록 해주고, 삭제 버튼(554)는 선택된 이미지를 상기 만화제작용 디스플레이부(400)로부터 삭제해준다.
사용자는 상기 만화제작용 인터페이스부(500)에 마련된 여러 종류의 조작 버튼들을 이용하여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 이미지를 선택, 배치, 편집 등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를 선택, 배치, 편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구라도 손쉽게 자신만의 만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자체 이미지를 사용하여 만화를 제작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미리 제작된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 이미지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자체 제작한 이미지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자체 제작 이미지(56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내장된 그림제작 애플리케이션(그림판 등)을 이용해 직접 제작한 이미지일 수도 있고, 카메라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직접 촬영한 이미지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만화제작세트(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 등)에 대한 이미지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자체 제작하거나 촬영한 이미지를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더욱 다양한 형태의 만화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캐릭터의 여러 부분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조합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하나의 캐릭터를 이루는 여러 부분에 대한 정보의 집합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만화제작 과정에서 여러 부분을 상호 조합하여 하나의 캐릭터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 쓴 직장인 캐릭터를 제공함에 있어서 캐릭터의 얼굴 부분만을 분리하여 이에 대한 다양한 표정을 제공해준다. 예를 들어, 그룹 A는 캐릭터 얼굴 표정 중에서 화난 표정만을 모아서 배열되어 있고, 그룹 B는 웃는 표정만을 모아서 배열되어 있다.
도 13에는 직장인 캐릭터를 제공함에 있어서 캐릭터의 몸체 부분만을 분리하여 이에 대한 다양한 동작을 제공해준다. 예를 들어, 그룹 C는 상대방과 대화나 연설을 하는 다양한 동작만을 모아서 배열되어 있고, 그룹 D는 걷거나 뛰는 동직만을 모아서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표정을 가진 얼굴 부분과 여러 가지 동작을 가진 몸체 부분을 상호 조합하여 하나의 캐릭터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해주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다양한 표정과 동작을 가진 캐릭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캐릭터의 세부적인 형태를 직접 수정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만화서비스 제공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만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캐릭터의 세부적인 형상을 직접 수정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서 선택된 캐릭터는 식은땀이 흐르며 안절부절 못하는 표정을 짓고 있다. 여기서, 캐릭터의 얼굴 부분에서 식은땀 부분이 독립적인 이미지로 데이터화 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이 식은땀을 선택하여 위치를 변경하거나 갯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더욱 실감나는 표정을 만들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그룹 E의 맨 마지막에 배열된 우는 표정을 선택한 경우에는 눈물이 독립적으로 이미지 데이터화되어 있기 때문에 눈물을 복사하여 더 많이 그려 넣음으로써 대성 통곡하는 표정으로 바꿀 수 있다. 이와 같은 변경은 독립적인 이미지인 눈물을 선택하고 이를 복사/붙여넣기를 통해 직접 추가할 수도 있고, 눈물을 선택하면 별도의 선택창이 팝업되고 여기서 눈물의 형태가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고 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스크롤 바를 "눈물 적음" 쪽에서 "눈물 많음" 쪽으로 이동시키는 동안에 눈물의 정도가 자동으로 변경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단순히 캐릭터 등을 선택/배치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캐릭터의 표정이나 동작을 보다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마치 실제로 만화를 그리는 듯한 느낌을 제공해 줌으로써, 만화를 제작하는 재미를 더욱 배가시켜준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라 캐릭터의 위치를 반전시키는 장면을 예시한 것이고, 도 17은 캐릭터를 회전시키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택된 캐릭터 이미지는 배경 이미지와는 중첩되지만 별도로 편집이 가능하므로 좌우반전 버튼(553)을 누름으로써 위치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Angle 버튼(521)을 누른 다음 만화제작용 인터페이스부(500)에 개시된 작은 캐릭터 이미지를 터치한 다음 필요한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만화제작용 디스플레이부(400)에 배치된 원래 캐릭터 이미지도 따라서 회전하게 된다.
도 18은 캐릭터를 이동 또는 크기 조절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캐릭터 이미지 등의 이동은 만화제작용 디스플레이부(400)에서 캐릭터 이미지를 터치 후 드래그 기능을 통해 수행되고, 캐릭터 이미지 등의 확대/축소는 만화제작용 디스플레이부(400)에서 캐릭터 이미지에 대한 핀치 투 줌 기능을 통해 수행된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캐릭터, 대화, 소품 이미지의 이동, 회전, 크기 조절, 대칭 이동 등의 기본 편집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라 대화를 입력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만화제작용 인터페이스부(500)의 상위 메뉴 중에서 대화 선택버튼(513)을 누르면, 대화 입력을 위한 하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 하위 메뉴에는 4가지 형태의 말풍선, 다시 말해 대화를 나타내는 사각형 말풍선(571), 생각을 나타내는 구름형 말풍선(572), 설명을 나타내는 사각형 말풍선(573), 지문을 나타내는 원형 말풍선(574)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고, 대화 입력창(575)를 통해 원하는 대화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풍선좌우 버튼(576)은 사각형 말풍선(571)의 뾰족한 삼각형의 지시부를 좌우 대칭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라 대화의 글자체를 변경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말풍선 내에 입력하는 대화의 내용이나 표현에 따라 이에 맞는 글자체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변경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 입력창을 통해 "멍멍"이라는 의성어를 입력하면 이와 어울리는 글자체 A로 변경되고, "끙끙"이라는 의성어를 입력하면 이와 어울리는 글자체 B로 변경하는 것이다. 이러한 글자체 변경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대화의 내용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될 수도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러한 글자체 변경 기능을 통해 더욱 디테일하고 재미있는 만화의 제작이 가능해진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라 소품을 입력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기타 선택버튼(514)를 누르면, 감정 선택버튼(515), 소품 선택버튼(516), 특수효과 선택버튼(517)으로 구성된 하위 메뉴가 디스플레이된다. 감정 선택버튼(515)을 누르면 다양한 내용과 모양을 가진 감정 표현 단어가 배열되고, 소품 선택버튼(517)을 누르면 휴대폰, 음료수, 커피컵, 화분 또는 안경, 시계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소품 이미지가 배열되며, 특수효과 버튼(516)을 누르면 음표 표시, 점프 표시 등 다양한 특수 효과용 이미지가 배열된다. 본 발명에서는 필요한 경우 이들 감정, 소품, 특수효과 이미지를 통칭하여 소품 이미지로 설명한다. 이들 소품 이미지는 캐릭터의 외모, 감정, 동작 등을 더욱 실감나게 표현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라 PPL 소품(700)을 사용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후원업체의 제품 이미지를 PPL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만화 컨텐츠 내에서 상기 PPL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품권 등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라 만화 페이지 중간에 광고를 삽입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만화를 감상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광고 이미지에 대한 거부감이 강하다. 따라서, 팝업 창 등으로 광고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가 보지 않고 바로 삭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광고 효과가 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작하는 만화 컨텐츠의 페이지 사이 사이에 후원업체의 광고를 선택적으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같이, 후원업체의 광고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상품권 등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라 잠금 기능을 사용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만화 제작 과정이 스마트폰과 같은 작은 디바이스 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디바이스의 크기의 한계로 인해 캐릭터, 말풍선, 소품 등의 이미지가 서로 중첩되어 원하지 않는 이미지의 선택이나 편집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선택버튼(551)을 누르고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게 되면, 잠금을 해제하기 이전에는 만화제작용 디스플레이부(400)에서 해당 이미지는 더 이상 선택되거나 편집되지 아니한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라 스크릿 샷 기능을 사용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편집 중이거나 완성된 만화 컨텐츠를 다른 사람에서 손쉽게 전송하기 위해서는 스크릿 샷 버튼(544)을 누르면 선택된 만화 컨텐츠가 JPG, PNG 등의 이미지 데이터 파일로 변환되어 사용자 단말기(300)의 갤러리 등에 자동 저장된다. 사용자는 이 이미지 데이터 파일을 이메일로 전송하거나, 페이스 북과 같은 다양한 SNS 공간에 업로드하여 공유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라 그림체를 선택하는 장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만화 제작의 초기 또는 만화 제작을 하는 도중에라도 만화의 장르를 변경하고 싶은 경우에는 그림체 선택버튼(800)을 클릭하여 이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도 27은 상기한 만화제작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만화 컨텐츠의 일 예를 도시한 장면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만화제작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라 하더라도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다양한 이미지를 활용하여 이를 배치, 편집함으로써 자신만의 만화 컨텐츠를 직접 제작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유무선 네트워크 200: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3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28)

  1.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만화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만화제작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접속을 허용하는 단계;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접속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만화제작에 필요한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만화제작에 필요한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제작한 만화 컨텐츠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속 허용 단계는,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가 보유한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인지 여부를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경 또는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로부터 미리 제작된 것이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직접 제작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하나의 캐릭터 전체에 대한 정보이거나, 하나의 캐릭터를 이루는 여러 부분에 대한 정보의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상기 하나의 캐릭터를 이루는 여러 부분에 대한 정보의 집합인 경우에는, 상기 만화제작 과정에서 여러 부분을 상호 조합하여 하나의 캐릭터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만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캐릭터의 세부적인 형상을 직접 수정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화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만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글자체를 직접 변경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일반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이거나 PPL(Product PLacement)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상기 PPL 소품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만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PPL 소품을 선택하는 때에는 소정의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잠금 기능이 수행되면 추가적인 만화제작 과정에서 위치 또는 형상이 변경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전송하고,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텍스트 형태로 전송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감상하기 위해 접속하고 해당 만화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선택된 만화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상기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을 재조합하여 해당 만화 컨텐츠를 제작한 다음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한 후 전송하고,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이미지 형태의 만화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의 페이지 수를 체크하고, 각각의 페이지별로 이미지 형태로 변환한 후 전송하고,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는 상기 페이지별로 이미지화 된 만화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스크릿 샷을 통해 이미지 형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형태로 변환된 만화 컨텐츠를 이메일 또는 SNS를 통하여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16.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사용자 단말기로 만화제작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만화서비스 제공서버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만화제작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접속을 허용하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만화제작에 필요한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작한 만화 컨텐츠를 수신받아 저장하는데 필요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제어 모듈,
    상기 메인제어 모듈에서 출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 모듈,
    상기 메인제어 모듈에서 출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데이터 송수신 모듈에 의해 수신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완성만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만화 저장/공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접속한 사용자가 회원인지 여부를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회원인증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배경 또는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상기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내에서 미리 제작된 것이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직접 제작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하나의 캐릭터 전체에 대한 정보이거나, 하나의 캐릭터를 이루는 여러 부분에 대한 정보의 집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상기 하나의 캐릭터를 이루는 여러 부분에 대한 정보의 집합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만화제작 과정에서 여러 부분을 상호 조합하여 완성한 하나의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만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캐릭터의 세부적인 형상을 직접 수정하여 완성한 하나의 캐릭터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수신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22.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대화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만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글자체를 직접 변경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23.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는 일반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이거나 PPL(Product PLacement)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만화제작세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가 상기 PPL 소품인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만화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PPL 소품을 선택하는 때에는 소정의 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25.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텍스트 형태로 전송한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만화 저장/공유 모듈은, 상기 텍스트 형태로 전송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데이터 정보를 상기 완성만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를 감상하기 위해 접속하고 해당 만화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만화 컨텐츠에 포함된 상기 배경, 캐릭터, 대화, 소품에 대한 상기 텍스트 형태의 데이터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2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제작된 상기 만화 컨텐츠를 이미지 형태로 변환한 후 전송한 것을 수신하고,
    상기 만화 저장/공유 모듈은 상기 이미지 형태의 만화 컨텐츠를 상기 완성만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2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작된 만화 컨텐츠의 페이지 수를 체크하고, 각각의 페이지별로 이미지 형태로 변환한 후 전송한 것을 수신하고,
    상기 만화 저장/공유 모듈은 상기 완성만화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페이지별로 이미지화 된 만화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KR1020160163483A 2016-12-02 2016-12-02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KR20180063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483A KR20180063578A (ko) 2016-12-02 2016-12-02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PCT/KR2017/013990 WO2018101787A1 (ko) 2016-12-02 2017-12-01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483A KR20180063578A (ko) 2016-12-02 2016-12-02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578A true KR20180063578A (ko) 2018-06-12

Family

ID=62622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483A KR20180063578A (ko) 2016-12-02 2016-12-02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35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293B1 (ko) 2019-12-30 2020-12-04 주식회사 애니웨이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서버
KR102333794B1 (ko) * 2021-02-05 2021-12-01 한국영상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반응형 웹 컨텐츠 생성 서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587A (ko) 2015-03-09 2016-09-2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0587A (ko) 2015-03-09 2016-09-22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소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293B1 (ko) 2019-12-30 2020-12-04 주식회사 애니웨이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공동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공동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서버
KR102333794B1 (ko) * 2021-02-05 2021-12-01 한국영상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반응형 웹 컨텐츠 생성 서버
KR102420739B1 (ko) * 2021-02-05 2022-07-13 한국영상대학교산학협력단 3차원 반응형 웹 컨텐츠 생성 방법
KR20220113247A (ko) * 2021-02-05 2022-08-12 한국영상대학교산학협력단 상황별 객체 정보 결정이 가능한 3차원 반응형 웹 컨텐츠 생성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12533B (zh) 用于根据表情对图像进行识别、排序和呈现的方法
JP6577044B2 (ja) ユーザ構成可能グラフィック構造体の共有
US201502776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Real-Time Modification of Videos and Images Within a Social Network Format
Zhao et al. The interplay of (semiotic) technologies and genre: the case of the selfie
CN111176509A (zh) 在图形消息传送用户界面中应用确认选项
US201701687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universally compatible application development system
CN112799570A (zh) 在图形消息传送用户界面中应用确认选项
KR101987748B1 (ko) 이모티콘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이모티콘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20124443A (ko) 전자 텍스트 조작 및 디스플레이
WO2013085928A1 (en) Displaying virtual data as printed content
CN115917506A (zh) 第三方资源授权
US20230400965A1 (en) Media content player on an eyewear device
US20220319078A1 (en) Customizable avatar generation system
CN115867905A (zh) 旅行情况下基于增强现实的语音翻译
CN115836292A (zh) 与旅行相关联的基于增强现实的翻译
JP6281648B2 (ja) サーバ、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11782577B2 (en) Media content player on an eyewear device
EP26346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user interface
KR20180063578A (ko)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Klimczak Design for software: A playbook for developers
KR102538156B1 (ko) 전자 장치에서 시나리오 작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KR20180063579A (ko) 유무선 통신망의 전송을 위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WO2018101787A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만화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만화서비스 제공서버
JP2016143201A (ja) 通信端末、サーバ、通信端末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ならびにサーバ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2203608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graphics and associated audioboo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