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3449A - Low-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 - Google Patents

Low-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3449A
KR20180063449A KR1020160163160A KR20160163160A KR20180063449A KR 20180063449 A KR20180063449 A KR 20180063449A KR 1020160163160 A KR1020160163160 A KR 1020160163160A KR 20160163160 A KR20160163160 A KR 20160163160A KR 20180063449 A KR20180063449 A KR 20180063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control signal
working
measuring
sl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1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연정
Original Assignee
우연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연정 filed Critical 우연정
Priority to KR1020160163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3449A/en
Publication of KR2018006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344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 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 with improved power efficiency, comprising: a plurality of measurement apparatuses;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for receiving fine dust information from the measuring apparatus and displaying the fine dust information to a user. The plurality of measurement apparatuses are installed in an outdoor or indoor room of a building, and are activated when an automobile is in a sleep mode or activated in a walking mode, thereby generating the fine dust information by measuring concentration of installed fine dust.

Description

저전력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Low-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Low-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

본 발명은 저전력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력 효율을 향상시킨 저전력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w 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ow 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 with improved power efficiency.

최근 화석 연료를 태워 동력을 얻는 화력 발전을 이용한 에너지 사용량의 증가, 산업 폐기물 또는 일반 생활쓰레기 등의 소각 처리량의 증가 및 자동차의 증가로 인한 매연가스 등으로 인해 대기 가스 오염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Recently, atmospheric gas pollution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due to an increase in energy consumption using thermal power generation that drives fossil fuels,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incineration of industrial wastes or general household garbage, .

화석 연료, 산업 폐기물, 생활 쓰레기 등을 소각함에 따라 배출되는 배출 가스에는 인체에 유해한 다양한 종류의 유해 물질이 포함되어 대기로 배출된다. 상기 유해 물질로는 염화수소와 같은 할로겐족 가스, 질소 산화물, 아황산가스, 일산화 산소, 불화수소, 암모니아 등의 연소 가스 등이 있다.As fossil fuels, industrial wastes, and household garbage are incinerated, various types of harmful substances harmful to the human body are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Examples of the harmful substances include halogen gases such as hydrogen chloride, nitrogen oxides, sulfur dioxide, combustion gases such as oxygen monoxide, hydrogen fluoride, and ammonia.

이와 같은 유해 물질들은 인체에 흡수된 후 축척이 되면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 자연 환경에도 나쁜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각종 조사 및 실험을 통해 입증이 되고 있다.These harmful substances are absorbed by the human body, and when they are scaled up, they cause not only various diseases but also negative effects o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y are proved through various investigations and experiments.

따라서 이러한 유해 물질을 포함하는 미세 먼지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방편으로 전 세계적으로 소각장 및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사업장의 경우, 법에 의해 유해 물질의 배출량을 규제받고 있다.Therefore, the necessity of management of fine dust including these harmful substances is emphasized, and as a result, the emission of harmful substances is regulated by law in the case of incinerators and fossil fuels which are used worldwide.

그리고 국내에서도 '환경부고시'를 통해서 배출 가스에 포함되는 유해 물질의 배출량을 제한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환경부에서는 '대기오염 공정시험방법', '배출허용기준시험방법' 등을 고시하여 배출가스에 유해 물질이 일정이상 함유되지 못하도록 관리 및 감독하고 있다.In Korea, th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limits emission of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exhaust gas. To this en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notifies the 'Air pollution process test method' and 'Emission standard test method' It controls and supervises the inclusion of certain substances.

미세 먼지는 발생원에서 직접 대기 중에 배출되기도 하지만 가스 상으로 배출된 기체의 상변화에 따라 2차 오염물질로 대기 중에서 생성되기도 한다. 따라서 대기 중 미세 먼지의 조성은 발생원에 따라 다르다. 모래먼지, 나대지 등 흙에서 발생한 먼지는 무기물질, 미네랄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연소에 의해 발생된 먼지는 검댕, 황화합물, 유기탄소, 미네랄성분, 미량의 중금속 등을 함유하고 있다. 대기 중에서 2차로 생성된 미세 먼지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이 준휘발성 유기화합물로 변화되어 황산화물(SOX)이나, 질소산화물(NOX), 수증기 등과 결합하여 생성된 것으로 유기탄소, 황화합물, 질소산화물 등이 함유되어 있다.Fine dust is emitted directly from the source to the atmosphere, but it may also be generated in the atmosphere as a secondary pollutant depending on the phase change of the gas discharged into the gas phase. Therefore, the composition of fine dust in the atmosphere depends on the source. Dust from soil, such as sand, mud, etc., contains a lot of inorganic substances and minerals. The dust generated by combustion contains soot, sulfur compounds, organic carbon, minerals, and trace amounts of heavy metals. The secondary dust generated in the atmosphere is a volatile organic compound that is converted into a quasi-volatile organic compound and is formed by combining with sulfur oxides (SOx), nitrogen oxides (NOx), water vapor, etc. and organic carbon, sulfur compounds, nitrogen oxides .

한국의 경우 먼지에 대한 대기환경기준은 시행 초기에 TSP를 환경기준물질로 운영하였으나, 1995년부터 PM10이 추가되어 TSP와 같이 운영되었으며, 2001년부터 PM10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대기오염물질 중 SO2, CO 등은 수년간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NO2 등과 같이 자동차와 관련된 대기오염물질은 증가하거나 여전히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다.In the case of Korea, the air environment standard for dust was operated as TSP as an environmental standard substance at the beginning of implementation, but since 1995, PM10 has been added and operated like TSP, and only PM10 has been applied since 2001. However, since the 2000s, SO2 and CO among air pollutants have been decreasing for several years. However, air pollutants related to automobiles such as NO2 are increasing or still high.

미세 먼지는 대도시지역의 체감 오염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특히 미세 먼지에 함유된 중금속 및 유해성 물질은 직접적인 인체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미국, WHO 등에서는 PM2.5가 인체에 미치는 유해성을 고려하여 PM2.5에 대한 대기환경기준을 설정하고 있다. 다른나라에 비해 미세 먼지의 농도 수준이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인체 위해성을 고려한 대기질 관리의 필요성이 요구됨에 따라 PM2.5에 대한 대기환경기준을 설정하여 시행 준비 중이다.It is reported that fine dus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ensory impression of the metropolitan area. Especially, heavy metals and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fine dusts are reported to directly affect human health. In the US and WHO, PM2.5 has harmful effects on human body. And establishes atmospheric environment standards for PM2.5. In Korea, wher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higher than other countries, the air quality standard for PM2.5 is set as the need for air quality management in consideration of human risk is required, and it is under preparation.

한국공개특허 제10-2102-0041920호(2012.05.03.)는 미세 먼지의 채취 및 농도 측정을 동일한 장소에서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는 미세 먼지 및 초미세 먼지의 채취 및 측정 시스템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외부의 미세 먼지를 흡입하여 일정 크기 이상의 미세 먼지를 걸러내는 적어도 하나의 분립 장치, 상기 분립 장치의 하부에서 상기 분립 장치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분립 장치를 통과한 미세 먼지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전송하는 농도 측정 장치, 상기 농도 측정 장치의 하부에서 상기 농도 측정 장치와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농도 측정 장치를 통과한 미세 먼지를 채취하는 채취 장치 및 상기 실시간으로 측정한 미세 먼지의 농도값을 저장하고, 상기 실시간으로 측정한 미세 먼지의 농도값과 상기 채취 장치를 통해 채취한 미세 먼지의 농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실시간으로 측정한 미세 먼지의 농도값을 보정하는 주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미세 먼지의 채취와 미세 먼지의 농도 측정이 하나의 시스템 내에서 이루어는데, 이 경우, 채취 시료에 손상을 주지 않게 되고, 미세 먼지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No. 10-2102-0041920 (May 03, 2012) discloses a system for collecting and measuring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capable of performing the collection and measurement of fine dust in real time at the same place At least one sorting device for sucking fine dusts from the outside to filter out fine dusts of a predetermined size or mor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s passing through the separating device in real time A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connected to the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t a lower portion of the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for collecting fine dus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and a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value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measured in real time and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collected through the sampling device In that it comprises a main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correction value to the density value of the fine particles measured by the real-time features.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the collection of fine dust and the measurement of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are performed in one system. In this case, the collected sample is not damaged and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can be measured in real time.

한국등록특허 제10-0578739호(2006.05.04.)는 동일한 지점에서 샘플링과 측정을 수행하도록 일체형 구조를 가지므로 필터의 이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측정오차가 줄어들어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미세 먼지 측정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미세 먼지가 쌓인 필터에 베타(β)선을 조사하여 베타선의 감쇠정도를 측정하여 공기 중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부로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에 흡기구와 배출구 구비되는 프레임;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프레임 내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광원 장착부; 프레임의 일측에 고정되는 모터와 회전축으로 연결되고 상기 광원 장착부의 중공부에서 선회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광원 장착부의 중공부를 개폐하고, 베타선이 조사되는 광원; 상기 광원의 하부에 위치하여 광원에서 조사된 베타선의 양을 측정하는 감지부 및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구비되고, 일측은 두루마리 형태의 필터가 장착되고, 타측은 프레임을 관통한 필터의 단부가 고정되고 구동수단에 구비되는 스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No. 10-0578739 (Apr. 4, 2006) discloses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capable of accurate measurement because the measurement error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filter is reduced since it has an integral structure for performing sampling and measurement at the same point . According to the disclosed technology, a fine dust measuring device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air by measuring a degree of attenuation of a Beta line by irradiating a beta (beta) line to a filter on which fine dust is accumulate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is formed as a hollow portion, A frame provided with an intake port and an exhaust port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formed in the center of the hollow portion and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ame; A light source connected to the motor fixed to one side of the frame and pivotable at a hollow portion of the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hollow portion of the light source mounting portion and to irradiate the beta rays; A sensing unit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ight sourc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the beta rays irradiated from the light source, and a filter unit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frame, the filter unit having a roll- And a spool provided on the driving means.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장치의 센서 모듈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장치 내의 컴퓨팅을 통해 해석하고 표출하기 위해 기본적인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해야 함은 물론 계측된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까지 포함하고 있어서 장치의 대형화 및 고가화가 불가결하기 때문에, 산업 현장이 아닌 각 개인의 생활환경에서의 미세먼지로 인한 질병 발생으로, 개인들이 고가의 장비를 구매하여 측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The conventional fine dust measuring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includes not only a basic computing device for interpreting and displaying the signal sensed by the sensor module of the apparatus through computing in the apparatus but also a display for displaying the measured result It is indispensable that individuals can buy and measure expensive equipment due to the occurrence of diseases caused by fine dust in the living environment of each individual rather than at the industrial site.

한국공개특허 제10-2102-004192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02-0041920 한국등록특허 제10-0578739호Korea Patent No. 10-0578739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력 효율을 향상시킨 저전력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ow power fine dust measurement system with improved power efficiency.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건물의 실외 또는 실내에 장착 설치되며, 슬립모드 시 비활성화 되거나 워킹모드 시 활성화 되어 장착 설치된 주변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여 미세먼지정보를 생성시켜 전송하기 위한 다수 개의 측정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로부터 미세먼지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표시해 주기 위한 다수 개의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저전력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air conditioner installed in an outdoor or indoor room of a building, wherein the air conditioner is inactivated in a sleep mode or activated in a walking mode, A plurality of measurement apparatuse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data;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for receiving fine dust information from the measuring apparatus and displaying the fine dust information to a us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측정장치는, 슬립제어신호에 따라 슬립모드가 작동 되어 비활성화 되거나, 워킹제어신호에 따라 워킹모드가 작동 되어 활성화 되어 장착 설치된 주변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여 미세먼지정보를 생성시켜 전달하기 위한 미세먼지측정부; 상기 미세먼지측정부의 슬립모드로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슬립제어신호 또는 상기 미세먼지측정부의 워킹모드로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워킹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미세먼지측정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미세먼지측정부로부터 전달되는 미세먼지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해 주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measuring device is activated by a sleep mode according to a sleep control signal, or is deactivated in response to a sleep control signal, or a working mode is activated in response to a working control signal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fine particles in the surroundings. A fine dust measuring unit for generating and delivering the fine dust;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slip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to the sleep mode or a work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in the working mode to be transmitted to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fine dus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to the user terminal.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슬립제어신호 또는 워킹제어신호를 생성시킬 시간을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거나, 사용자로부터 슬립요청 또는 워킹요청을 입력받아 슬립제어신호 또는 워킹제어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may set a time for generating a sleep control signal or a working control signal, and may generate a sleep control signal or a working control signal by receiving a sleep request or a working request from a user.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저전력 무선통신을 통해 미세먼지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fine dus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전력 효율을 향상시킨 저전력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현재 위치와 주변 위치에 해당하는 지역의 미세먼지 오염상태를 확인 및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anage power consumption by providing a low-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 with improved power efficiency, an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fine dust- And has the effect of confirming and monitoring the st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측정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w-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easur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a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 low-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전력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w-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저전력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은, 다수 개의 측정장치(100) 및 다수 개의 사용자단말기(2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low-power fine dust measurement system includes a plurality of measurement devices 100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최근 들어 매년 봄에 발생하는 황사보다 그 심각성을 더 해가고 있는 미세먼지는, 대표적으로 알레르기성 결막염, 비염, 호흡기질환, 아토피 외에도, 1) 미세먼지가 혈액으로 들어가 뇌에 있는 혈관 벽에 쌓이면 염증과 굳은 핏덩이가 생겨 뇌졸중을 유발하거나, 2) 폐포로 들어온 미세먼지가 흡수되어, 이를 없애기 위해 백혈구 등 면역 반응 물질을 생성해 대응하여, 면역 반응 물질이 미세먼지와 대응하는 동안에 혈액이 끈적끈적해져 혈액순환이 잘 안되면 동맥경화, 심근경색, 심장마비 등이 유발되거나, 3) 가장 직접적으로 미세먼지의 영향을 받는 폐에 만성염증이 발생하여 미세먼지로 인해 세포가 손상되고, 폐암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며, 4) 정자나 난자의 생성을 억제해 난임의 위험을 높게 하며, 혈관이나 림프액을 타고 인체 곳곳에 퍼진 미세먼지 속 유해물질들이 기본적인 몸동작을 수행하는 내 분비계를 교란해 기본적인 몸동작도 힘들게 할 수 있으며, 임신 중인 여성의 몸속으로 들어가게 되면, 태아로 영양공급이 되는 것을 방해해 뇌 성장과 발달 저해를 일으킬 수도 있으며, 5) 한국 환경정책ㅇ평가원(KEL)보고에 따르면, 서울에서 미세먼지 일평균 농도가 10㎍/㎥ 증가하면, 사망 발생 위험이 0.44%증가하고, 초미세 먼지 농고다 10㎍/㎥증가하면 사망 발생 위험이 0.95%증가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In addition to allergic conjunctivitis, rhinitis, respiratory diseases, and atopy, fine dust, which has become more serious than yellow dust that occurs every spring in recent years, And 2) a fine dust that has entered the alveoli is absorbed. In order to eliminate it, an immune reaction substance such as a white blood cell is generated and responded, and the blood becomes sticky while the immune reactant corresponds to the fine dust If the blood circulation is not good, arteriosclerosis, myocardial infarction, heart attack or the like is caused, or 3) chronic inflammation occurs in the lungs most directly affected by fine dust, thereby damaging cells due to fine dust and increasing the risk of lung cancer And 4) it raises the risk of suppressing the production of sperm or egg, raises blood vessels and lymphatic fluids throughout the human body The harmful substances in the three dusts can disturb the inner part of the body that performs basic body movements, which can make the basic body movements difficult, and if it enters the body of the pregnant woman, it interferes with the feeding of the fetus and causes brain growth and inhibition of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Korea Environmental Policy Assessment (KEL) report, the risk of death increases by 0.44% when the average daily dust concentration in Seoul is increased by 10 ㎍ / ㎥, and the concentration of ultrafine dust is 10 ㎍ / ㎥ The risk of death increased by 0.95%.

측정장치(100)는, 건물의 실외 또는 실내에 장착 설치되며, 슬립모드 시 비활성화 되거나 워킹모드 시 활성화 되어 장착 설치된 주변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여 미세먼지정보를 생성시키며, 해당 생성시킨 미세먼지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한다.The measuring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building or indoors and is inactivated in the sleep mode or activated in the walking mode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particles in the vicinity of the mounted device to generate fine dust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the network.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는, 유선 통신망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며, 다수 개의 측정장치(100) 및 다수 개의 사용자단말기(200) 사이의 통신을 연결하여, 서로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etwork may include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or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communic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measurement devices 100 and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200 by exchanging data with each other.

일 실시 예에서, 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유무선 인터넷망, 무선랜 통신망, 또는 2G, 3G, 4G, WiBro, WiMax, LTE 등 다양한 세대의 이동 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network may include a wired / wireless Internet network,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network, or various generations of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2G, 3G, 4G, WiBro, WiMax, and LTE.

사용자단말기(200)는, 측정장치(100)로부터 미세먼지정보를 수신받으며, 해당 수신받은 미세먼지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해 준다.The user terminal 200 receives the fine dust information from the measuring device 100 and displays the received fine dust information to the user.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단말기(200)는, 예를 들어 PC, 노트북 등과 같은 통신 가능한 단말기, 또는 스마트폰, LTE 폰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측정장치(100)에 접속하여 측정장치(100)로부터 미세먼지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표시해 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00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PC, a notebook or the like, or a smart phone, an LTE phone,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device 100 via a network, The user can receive the fine dust information from the user 100 and display it to the user.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단말기(200)는, 측정장치(100)로 미세먼지정보를 전송할 시, SMS(Short Message Service) 문자 전송방식이나 푸시(push) 전송방식을 이용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provided with a Short Message Service (SMS) character transmission method or a push transmission method when the fine du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easurement device 1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측정된 미세먼지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미세먼지의 오염도를 측정한 데이터를 서버로 신속하게 전달하여 처리함으로써 대용량 정보 수집은 물론, 관련 사용자가 미세먼지의 오염도를 실시간 확인 및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ne dust measuring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realizes the provision of fine dust information measured in real time to a us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reby quickly transmitting and measuring data of the contamination degree of the fine dust to the server, In addition to collecting information, related users can also be able to check and monitor the contamination level of fine dust in real time.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은,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현재 위치와 주변 위치에 해당하는 존의 미세먼지 오염상태를 확인 및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ne dust measuring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check and monitor the fine dust contamination state of the zone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and the peripheral position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은, 면역력이 취약한 영유아, 노인, 미세먼지에 관심이 높은 국민 또는 미세먼지로부터 관리를 원하는 매장 등에게 해당 지역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통지 또는 알림으로써, 미세먼지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각종 질환(예를 들어, 알레르기성 결막염, 비염, 호흡기질환, 아토피로부터, 뇌졸중, 치매, 혈액순환 장애, 부정맥, 만성염증, 폐암, 생식기계와 신경계 이상, 태아의 뇌성장과 발달 저해, 사망 등)을 미연에 예방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ne dust measuring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used to notify or notify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n the local area to the infants who are weak in immunity, the elderly, the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fine dust, (For example, allergic conjunctivitis, rhinitis, respiratory diseases, atopy, stroke, dementia, blood circulation disorder, arrhythmia, chronic inflammation, lung cancer, genital system and nervous system disorders, fetal condition Such as brain growth, inhibition of development, and death).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은, 전력 효율을 향상시킨 저전력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전력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현재 위치와 주변 위치에 해당하는 지역의 미세먼지 오염상태를 확인 및 모니터링하도록 할 수 있다.The fine dust measuring system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efficiently manage power consumption by providing a low 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 with improved power efficiency, The micro-dust contamination state of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can be confirmed and monitored.

도 2는 도 1에 있는 측정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easur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도 2를 참조하면, 측정장치(100)는, 미세먼지측정부(110), 제어부(120) 및 통신부(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the measuring apparatus 100 includes a fine dust measuring unit 110, a control unit 120, and a communication unit 130.

미세먼지측정부(110)는, 제어부(120) 및 통신부(130)에 연결 설치되며, 제어부(120)로부터 슬립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슬립제어신호에 따라 슬립모드가 작동 되어 비활성화 되어 미세먼지의 농도 측정을 중지하며, 제어부(120)로부터 워킹제어신호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워킹제어신호에 따라 워킹모드가 작동 되어 활성화 되어 미세먼지의 농도 측정을 시작하여 해당 측정한 미세먼지의 농도에 따라 미세먼지정보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미세먼지정보를 통신부(130)로 전달한다.The fine dust measuring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2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30.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110 receives the sleep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20 and is inactivated in response to the received sleep control signal The control unit 120 receives the working control signal, activates the working mode according to the received working control signal, starts to measure the density of the fine dust, Generates fine dus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fine dust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130.

일 실시 예에서, 미세먼지측정모듈(110)은, 미센먼지측정센서를 구비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를 측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ne dust measuring module 110 may be equipped with a Mycelene dust measuring sensor to measure fine dust or ultrafine dust in the room or outdoor.

일 실시 예에서, 미세먼지측정모듈(110)은,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되거나 사용자의 소지에 의해 공공장소(예를 들어, 병원, 공원, 카페, 학원, 학교 또는 관공소 등) 또는 사용자가 비치하고자 하는 곳에 용이하게 비치 또는 마련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ne dust measurement module 110 may be installed indoors or outdoors, or may be located in a public place (e.g., a hospital, park, cafe, school, Or the like.

제어부(120)는, 미세먼지측정부(110)와 연결 설치되며, 미세먼지측정부(110)의 슬립모드로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슬립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슬립제어신호를 미세먼지측정부(110)로 전달하거나, 또는 미세먼지측정부(110)의 워킹모드로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워킹제어신호를 생성하며, 해당 생성한 워킹제어신호를 미세먼지측정부(110)로 전달한다.The control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110 and generates a slip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110 to operate in the sleep mode, And transmits the generated working control signal to the dust measuring unit 110 or the work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110 in the working mode and outputs the generated working control signal to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110 .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슬립제어신호 또는 워킹제어신호를 생성시킬 시간을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거나, 사용자로부터 슬립요청 또는 워킹요청을 입력받아 슬립제어신호 또는 워킹제어신호를 생성시킬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ler 120 may set a time to generate a sleep control signal or a working control signal, store the sleep control signal, or generate a sleep control signal or a working control signal by receiving a sleep request or a working request from a user have.

예를 들어,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시간을 06시00분부터 07시30분까지 제1회 및 17시00분부터 19시00분까지 제2회 실시한다고 할 경우, 제어부(120)는, 06시00분에 워킹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미세먼지측정부(110)로 전달함으로서 미세먼지의 농도 측정을 시작하도록 하며, 07시30분에 슬립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미세먼지측정부(110)로 전달함으로서 미세먼지의 농도 측정을 중지하도록 함으로서 제1회 미세먼지의 농도측정을 수행하도록 하며, 17시00분에 워킹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미세먼지측정부(110)로 전달함으로서 미세먼지의 농도 측정을 시작하도록 하며, 19시00분에 슬립제어신호를 생성시켜 미세먼지측정부(110)로 전달함으로서 미세먼지의 농도 측정을 중지하도록 함으로서 제2회 미세먼지의 농도측정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assumed that the measurement time of the fine dust concentration is carried out from 06:00 to 07:30 for the second time from the first time and from 17:00 to 19:00, the control unit 120 sets 06 The working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t 00:00 and transmitted to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110 to start the measurement of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The slip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t 07:30 and is transmitted to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110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of the first fine dust is performed by stopping the measurement of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and the working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t 17:00 and transmitted to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110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The slip control signal is generated at 19:00, and the slip control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110 to stop the measurement of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Thus, the concentration measurement of the second minute dust can be performed.

통신부(130)는, 미세먼지측정부(110)와 연결 설치되며, 미세먼지측정부(110)로부터 미세먼지정보를 전달받으며, 해당 전달받은 미세먼지정보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해 준다.The communication unit 130 is connected to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110 and receives fine dust information from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110 and transmits the fine dus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130)는, 저전력 무선통신을 통해 미세먼지정보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130 may transmit fine dus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200 through a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130)는, 비콘은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비콘(iBeacon)은, 블루투스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 최대 70m 이내의 장치들과 교신할 수 있으며, 5~10㎝ 단위의 구별이 가능할 정도로 정확성이 높으며, 전력 소모가 적어 모든 기기가 항상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구현에 적합하기 때문이다.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130 can transmit data using a beacon. IBeacon is a Bluetooth 4.0 (BLE) protocol based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t can communicate with devices within a maximum distance of 70m, is highly accurate enough to be able to distinguish between 5 ~ 10cm, and is suitable for the Internet implementation of things that all devices are always connected because of low power consumption.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130)는, 와이파이를 포함한 무선랜 통신, 블루투스 통신, 지그비 통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최근 들어서는 블루투스 4세대인 블루투스 저전력(Bluetooth Low Energy; BLE)(일명 '비콘'이라 칭함) 방식이 도입됨에 따라 비콘통신을 이용할 수도 있다. 비콘 통신은 실내에서의 근거리 측위 기능을 강화한 기술로서 5 ∼ 10cm 단위의 구별이 가능할 정도로 정확성이 높아 기존 GPS 방식보다 정교한 위치 파악이 가능하며, 배터리의 소모량도 적어 저전력인 장점이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130 can use wireless LAN communication including Wi-Fi, Bluetooth communication, Zigbee communication, and the like. Recently, a Bluetooth low energy (BLE) (aka "beacon") method, which is the fourth generation of Bluetooth, has been introduced, so that beacon communication can be used. Beacon communication is a technology that enhances the close-range positioning function indoors. It is highly accurate enough to distinguish between 5 ~ 10cm units, so it can grasp more precise position than the existing GPS method and has low power consumption by consuming less battery.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측정장치(100)는, 전력 효율을 향상시킨 저전력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전력소모가 많은 시간에는 슬립모드로 작동하여 전력소비를 최소화하여 추가적인 전력소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전력소모가 적은 시간에 워킹모드로 작동하여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적력소모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도록 하여 전력수급이 원활하지 못한 기간에도 전력수급에 방해됨이 없이 작동할 수 있다.The measuring apparatus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provides a low-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 with improved power efficiency, thereby operating in a sleep mode at a time when power consumption is high,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and causing additional power consumption And operates in a working mode during a time when the power consumption is low, so that fine dust is measured to efficiently manage the power consumption, so that the power supply can be operated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supply of power even when power supply is not smooth.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pparatuses and / or methods, but may be implemented by a program for realizing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And such an embodiment can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측정장치
110: 미세먼지측정부
120: 제어부
130: 통신부
200: 사용자단말기
100: Measuring device
110: Fine dust measuring unit
120:
130:
200: User terminal

Claims (4)

건물의 실외 또는 실내에 장착 설치되며, 슬립모드 시 비활성화 되거나 워킹모드 시 활성화 되어 장착 설치된 주변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여 미세먼지정보를 생성시켜 전송하기 위한 다수 개의 측정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로부터 미세먼지정보를 수신받아 사용자에게 표시해 주기 위한 다수 개의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는 저전력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A plurality of measurement devices installed in an outdoor or indoor room of the building and deactivated in a sleep mode or activated in a walking mode to generate minute dust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installed minute dust; And
And a plurality of user terminals for receiving fine dust information from the measuring device and displaying the fine dust information to a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장치는,
슬립제어신호에 따라 슬립모드가 작동 되어 비활성화 되거나, 워킹제어신호에 따라 워킹모드가 작동 되어 활성화 되어 장착 설치된 주변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여 미세먼지정보를 생성시켜 전달하기 위한 미세먼지측정부;
상기 미세먼지측정부의 슬립모드로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슬립제어신호 또는 상기 미세먼지측정부의 워킹모드로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워킹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미세먼지측정부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미세먼지측정부로부터 전달되는 미세먼지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해 주기 위한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The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A fine dust measuring unit for generating and delivering fine dust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fine dust around the mounting unit when the sleep mode is activated or inactivated according to the slip control signal or the working mode is activated by activating the working mode according to the working control signal;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a slip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to the sleep mode or a work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in the working mode to be transmitted to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And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fine dus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fine dust measuring unit to the user termin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슬립제어신호 또는 워킹제어신호를 생성시킬 시간을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거나, 사용자로부터 슬립요청 또는 워킹요청을 입력받아 슬립제어신호 또는 워킹제어신호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3. The apparatus of claim 2,
A sleep control signal or a working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storing a sleep control signal or a working control signal i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or by receiving a sleep request or a working request from a u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저전력 무선통신을 통해 미세먼지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Th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2,
And transmits fine dust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low-power wireless communication.
KR1020160163160A 2016-12-02 2016-12-02 Low-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 KR2018006344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60A KR20180063449A (en) 2016-12-02 2016-12-02 Low-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160A KR20180063449A (en) 2016-12-02 2016-12-02 Low-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3449A true KR20180063449A (en) 2018-06-12

Family

ID=62622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160A KR20180063449A (en) 2016-12-02 2016-12-02 Low-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3449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739B1 (en) 2004-10-04 2006-05-1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Suspended particulates measuring apparatus
KR20110046942A (en) * 2009-10-29 2011-05-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Wearable platform for monitoring atmosphere and air pollu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20120041920A (en) 2010-10-22 2012-05-03 주식회사 에이피엠엔지니어링 System for sampling and measuring particulated matters
KR20160019577A (en) * 2014-08-11 2016-02-22 (주)유로스마트 Measuring device of Indoor air qual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739B1 (en) 2004-10-04 2006-05-1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Suspended particulates measuring apparatus
KR20110046942A (en) * 2009-10-29 2011-05-0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Wearable platform for monitoring atmosphere and air pollution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20120041920A (en) 2010-10-22 2012-05-03 주식회사 에이피엠엔지니어링 System for sampling and measuring particulated matters
KR20160019577A (en) * 2014-08-11 2016-02-22 (주)유로스마트 Measuring device of Indoor air qua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704B1 (en) Fine Dust Measu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umar et al. Real-time sensors for indoor air monitoring and challenges ahead in deploying them to urban buildings
JP7049203B2 (en) How to provide air quality information
Pal et al. IoT based air pollution monitoring system using Arduino
TW201911194A (en) System for providing air quality information
CN106227134A (en) Indoor PM2.5 content monitor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73569A (en) Auto vantilation system and eco navigation system using the same
CN206347693U (en) A kind of multiparameter wireless warning system for real time monitoring suitable for clean operating room air ambient
CN110864938A (en) Intelligent air environment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CN107842927A (en) A kind of intelligent building ventilating system based on MQ 135
CN110108010A (en) Dense crowd indoor air quality-monitoring and improvement system
TWM569844U (en) System, application platform and sampling device for monitoring wide-area environment quality
KR101475749B1 (en) System for collecting polluted air, device for collecting polluted air and method thereof
Nandanwar et al. Iot based smart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s: a key to smart and clean urban living spaces
CN104344854A (en) Internet-of-Things-based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CN205910162U (en) Air quality monitoring equipment
KR20170140012A (en) Integration information system for living environment air quality
KR20180063449A (en) Low-Power Fine Dust Measuring System
Di Lecce et al. A wireless electronic nose for emergency indoor monitoring
TWM552632U (en) System to provide air quality information
Borkar Development of wireless sensor network system for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CN210136157U (en) PM2.5 and PM10 detection device
TWI640963B (en) Method for providing air quality information
CN116804666B (en) Flue gas analysis method based on multi-channel acquisition system
Wahid Design of a measurement device for air pollution concentrations using an open-source electronics software and hardwar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