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2090A - Lamp for vehicle - Google Patents

Lamp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2090A
KR20180062090A KR1020160161993A KR20160161993A KR20180062090A KR 20180062090 A KR20180062090 A KR 20180062090A KR 1020160161993 A KR1020160161993 A KR 1020160161993A KR 20160161993 A KR20160161993 A KR 20160161993A KR 20180062090 A KR20180062090 A KR 20180062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lamp
lamp uni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19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581920B1 (en
Inventor
배진우
김종영
이가희
김정훈
안재혁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1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1920B1/en
Publication of KR20180062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09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1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19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3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 B60Q1/30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 B60Q1/301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rear of vehicle, e.g. by means of reflecting surfaces by means of surfaces, e.g. metal plate, reflecting the light of an external light source combined with a l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mp for a vehicle comprises: a first lamp unit fixated to a vehicle; and a second lamp unit installed to relatively move based on the first lamp unit. The first lamp unit wirelessly transmits electricity provided from a power supply device of the vehicle to the second lamp unit, and a lighting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a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lamp unit.

Description

차량용 램프{LAMP FOR VEHIC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전력전송 및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배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lamp capable of minimizing wiring us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일반적으로, 차량용 램프는 트렁크 도어의 경계를 기준으로 내측 램프와 외측 램프로 분리되는 구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Generally, a structure in which a vehicle lamp is divided into an inner lamp and an outer lamp based on a boundary of a trunk door is widely used.

이러한 차량용 램프의 외측 램프는 트렁크 도어의 경계를 기준으로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내측 램프는 트렁크 도어의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트렁크의 개폐구조로 인해 내측 램프와 외측 램프는 각각 점등 제어신호와 동작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와이어 배선이 별도로 필요하기 때문에 차량 내부의 배선이 복잡해지고 리어 램프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The outside lamp of the vehicle lamp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of the trunk door, and the inside lamp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trunk door. Here, since the inner and outer lamps need separate wiring lines for receiving the lighting control signal and the operating power, respectively, due to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trunk, the wiring inside the vehicle is complicated and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rear lamp.

또한, 외측 램프는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동작전원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배선이 용이한 반면, 내측 램프는 트렁크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uter lamp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the wiring for providing the operation power and the lighting control signal is easy, while the inner lamp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runk door.

하기의 특허문헌 1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나, 상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relates to a lamp for a vehicle, but does not provide a solution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2059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42059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두 개의 분리된 램프 유닛이 결합하여 일체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되어 배선이 용이한 외측 램프로는 직접 유선으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되, 외측 램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내측 램프로는 외측 램프가 무선으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ular lamp in which two separate lamp units are combined to form a single light distribution pattern, An inner lamp that provides a power and a lighting control signal through a wire line and is movable relative to the outer lamp so that the outer lamp transmits power and lighting control signals wireless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차량에 대해 고정된 제1 램프 유닛과, 상기 제1 램프 유닛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차량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며, 차량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 점등 제어신호를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한다.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amp unit fixed with respect to a vehicle and a second lamp unit provided so as to be capable of relative movement relative to the first lamp unit, The lamp unit wirelessly transmits the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to the second lamp unit and transmits a lighting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to the second lamp unit.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된 전력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는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점등 제어신호를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는 신호 송신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lamp unit includes a power input unit to which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is input,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o wirelessly transmit the power to the second lamp unit, A first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unit, and a first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을 상기 제2 램프 유닛으로 전송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may transmit the power to the second lamp unit using a magnetic induction scheme.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생성부, 상기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 및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제1 송신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constant voltage generation unit for boosting the voltage of the power to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level to generate a constant voltage, a power amplification unit for outputting AC power using the boosted constant voltage, And a first transmit coil section for transmitting power in an inductive manner.

여기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전원 입력부, 무선전력 송신부, 신호 송신부, 제1 발광부 및 제1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lamp unit may include a first lamp housing for receiving the power input uni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the first control unit, And a first flange portion that provides a contact surface with the second lamp unit when the two lamp units are in an adjacent position.

여기서, 상기 제1 송신 코일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transmission coil port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flange portion.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may transmit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unit using a self resonance method.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생성부, 상기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 및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제2 송신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constant voltage generation unit for boosting the voltage of the power to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level to generate a constant voltage, a power amplification unit for outputting AC power using the boosted constant voltage, And a second transmission coil portion for transmitting power in a resonant manner.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교류 전력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정합 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matching circuit unit that matches the impedance of the AC power.

또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전원 입력부, 무선전력 송신부, 신호 송신부, 제1 발광부 및 제1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lamp unit may include a first lamp housing for receiving the power input unit,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the first control unit, And a first flange portion that provides a contact surface with the second lamp unit when the two lamp units are in an adjacent position.

여기서, 상기 제2 송신 코일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Here,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port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flange por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상기 점등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lamp unit includes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power from the first lamp unit, a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ing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lamp unit, and at least one light emitting unit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and a seco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on / off control signal using the received power.

여기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부 및 상기 수신된 전력을 정류하여 정류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2 제어부로 제공하는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may include a receiving coil unit for receiving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lamp unit and a rectifying unit for rectifying the received power to generate rectified power and providing the rectified power to the second control unit.

또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정류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voltage of the rectified power into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또한,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 신호 수신부, 제2 발광부 및 제2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 램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lamp unit may include a second lamp housing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the signal receiving unit,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The second lamp housing may include the second lamp unit, And a second flange portion for providing a contact surface with the first lamp unit when the first lamp unit is in the adjacent position.

여기서, 상기 수신 코일부는 상기 제2 플랜지부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Here, the receiving coil portion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flange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두 개의 분리된 램프 유닛이 결합하여 일체의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차량에 설치되어 배선이 용이한 외측 램프로는 직접 유선으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되, 외측 램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내측 램프로는 외측 램프가 무선으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램프의 설치에 따른 와이어 배선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설치가 용이한 기술적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lamp in which two separate lamp units are combined to form a single light distribution pattern, wherein the external lamp, which is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facilitates wiring, The outer lamp can wirelessly transmit the power and lighting control signals to the inner lamp which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outer lamp and can not easily be wired so as to drastically reduce the wire wiring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lamp, There is a technical effect that is easy to instal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설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5는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2 램프 유닛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7은 제1 램프 유닛의 제1 램프 하우징에 수용된 송신 코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2 램프 유닛의 제2 램프 하우징에 수용된 수신 코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lamp unit and the second lamp unit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lamp unit and the second lamp unit when power is transmitted using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lamp unit and the second lamp unit when power is transmitted using the self-resonance method.
FIG.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lamp unit of FIG. 5;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nsmission coil part accommodated in the first lamp housing of the first lamp unit.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ceiving coil part accommodated in the second lamp housing of the second lamp uni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Fur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가 사용될 것이며,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In the drawings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elem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and the like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설치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차량(1)의 전방 또는 후방에 양측에 설치되어 차량(1)의 존재를 알리거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램프로서,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및 백업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a vehicle 1 in front of or behind the vehicle 1 and informs the presence of the vehicle 1 or informs the running state thereof, A tail lamp, a brake lamp, a turn signal lamp, a backup lamp, and the like.

테일 램프는 차량(1)의 차폭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차량(1)의 야간 주행시나 터널 주행시에 보행자나 다른 차량에게 차량(1)의 존재를 알릴 수 있으며, 브레이크 램프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아 차량(1)이 제동 상태임을 후방 차량에게 알릴 수 있고, 턴 시그널 램프는 일정 주기로 점멸되어 차량(1)의 선회 방향이나 차선 변경 방향을 다른 차량에게 알릴 수 있으며, 백업 램프는 후진시에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고, 보행자나 다른 차량에게 차량(1)이 후진 상태임을 알릴 수 있다.The tail lamp can be install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vehicle width of the vehicle 1 to notify the pedestrian or other vehicle of the presence of the vehicle 1 at the time of running at night or in a tunnel of the vehicle 1 and the brake lamp can be operated by the driver pressing the brake pedal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rear vehicle that the vehicle 1 is in a braking state and the turn signal lamps can be flickered at regular intervals to inform the other vehicles of the turning direction and the lane chang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The back- It is possible to secure visibility and inform the pedestrian or other vehicle that the vehicle 1 is in the backward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차량(1)에 고정된 제1 램프 유닛(100)과 제1 램프 유닛(100)에 인접한 위치와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 램프 유닛(200)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용 램프(10)는 제2 램프 유닛(200)이 제1 램프 유닛(100)에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제1 램프 유닛(100)에서 제공된 광과 제2 램프 유닛(200)에서 제공된 광에 의해 일체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A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amp unit 100 fixed to a vehicle 1 and a second lamp 20 movable between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lamp unit 100 and a spaced- Unit 200 as shown in FIG. When the second lamp unit 200 is locat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lamp unit 100, the on-vehicle lamp 10 is switched between the light provided in the first lamp unit 100 and the light provided in the second lamp unit 200 It is possible to form a single light distribution pattern by light.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0)는 리어 램프일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램프(10)는 차체에 고정되는 제1 램프 유닛(100)과, 트렁크 도어(2)에 설치되어 트렁크 도어(2)의 개폐동작에 따라 제1 램프 유닛(100)에 인접한 위치와 이격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제2 램프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vehicle lamp 10 may be a rear lamp. In this case, the vehicle lamp 10 includes a first lamp unit 100 fixed to the vehicle body, and a second lamp unit 100 installed at the trunk door 2 and position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lamp unit 100 in accordance with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trunk door 2. [ And a second lamp unit (200) moving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즉, 차량용 램프(10)는 트렁크 도어의 경계(2)를 기준으로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램프 유닛(100) 및 트렁크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2 램프 유닛(200)으로 나뉘어져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vehicle lamp 10 is divided into a first lamp unit 1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and a second lamp unit 2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runk door on the basis of the boundary 2 of the trunk door .

이 경우, 제1 램프 유닛(100)과 제2 램프 유닛(200)으로 전원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와이어 배선이 각각 필요하다. 여기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차체의 일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전원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배선이 용이한 반면, 제2 램프 유닛(200)은 트렁크 도어의 일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In this case, separate wire wiring is required to provide power and lighting control signals to the first lamp unit 100 and the second lamp unit 200, respectively. Since the first lamp unit 1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the wiring for providing the power source and the lighting control signal is easy. On the other hand, since the second lamp unit 2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trunk door, There is a problem that wiring is not eas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배선이 용이한 제1 램프 유닛(100)으로는 직접 유선으로 차량으로부터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하되, 배선이 용이하지 않은 제2 램프 유닛(200)으로는 제1 램프 유닛(100)이 상기 차량으로부터 제공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power and lighting control signals from the vehicle directly to the first lamp unit 100, which is easy to be wired, In the second lamp unit 200 which is not easy, the first lamp unit 100 can be configured to wirelessly transmit the power and the lighting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vehicle.

여기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리어 램프를 일례로 할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에 고정된 제1 램프 유닛 및 제1 램프 유닛과 인접한 위치와 이격된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램프 유닛이 서로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일체의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면 어느 것이든 적용가능하다.Here, the vehicle 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of a rear lamp,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first lamp unit and the first lamp unit fixed to the vehicle may be moved It is possible to apply any one of the vehicle lamp surfaces capable of forming a single light distribution pattern when the second lamp units provided so as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ar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vehicle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는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 vehicle lamp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lamp unit 100 and a second lamp unit 200.

제1 램프 유닛(100)은 차량(1)의 전원장치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점등 제어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는 유선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The first lamp unit 100 can be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1 and can be provided with the lighting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1. [ Here, the power and lighting control signals may be provided through a wire.

또한, 제1 램프 유닛(10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공된 전력을 이용하여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점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Also, the first lamp unit 100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emitting unit, and the light-emitting unit can be controlled based on the light-on control signal using the provided power to perform the lighting operation.

제1 램프 유닛(100)은 상기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점등 제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제2 램프 유닛(2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램프 유닛(100)은 RF(Radio Frequency)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및 ZigBee 등 공지의 무선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제2 램프 유닛(200)으로 점등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The first lamp unit 100 may transmit the lighting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1 to the second lamp unit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Here, the first lamp unit 100 transmits a lighting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lamp unit 200 using any one of known radio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and ZigBee .

또한, 제1 램프 유닛(100)은 제2 램프 유닛(20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차량(1)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받은 전력을 이용해 무선으로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Also, the first lamp unit 100 can transmit power wirelessly to the second lamp unit 200. [ Here, the first lamp unit 100 can generate wireless power for wireless transmission using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1. [

일 실시예에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자기유도방식, 자기공진방식 및 방사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lamp unit 100 can transmit wireless power using either a magnetic induction method, a self-resonant method, or a radiation method.

제2 램프 유닛(200)은 제1 램프 유닛(100)으로부터 무선으로 점등 제어신호 및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 램프 유닛(200)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램프 유닛(100)으로부터 무선으로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발광 유닛을 제어함으로써, 점등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second lamp unit 200 can receive the lighting control signal and power from the first lamp unit 100 wirelessly. Also, the second lamp unit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unit, and by controlling the light emitting unit based on the lighting control signal by using power supplied from the first lamp unit 100 wirelessly, A ligh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이러한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first lamp unit 100 and the second lamp unit 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FIG.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lamp unit and the second lamp unit shown in FIG. 1. FIG.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램프 유닛(100)은 전원 입력부(110), 무선전력 송신부(120), 신호 송신부(130), 제1 발광부(140) 및 제1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3, the first lamp unit 100 includes a power input unit 110,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120, a signal transmission unit 130, a first light emitting unit 140, and a first control unit 150).

일 실시예에서, 제2 램프 유닛(200)은 무선 전력 수신부(210), 신호 수신부(220), 제2 발광부(230) 및 제2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lamp unit 200 may include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210, a signal receiving unit 220,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0, and a second control unit 240.

전원 입력부(110)는 차량(1)의 전원장치로부터 제1 램프 유닛(100)이 동작하기 위한 전력이 입력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입력부(110)는 차량(1)의 전원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입력부(110)는 상기 전력을 제2 램프 유닛(200)으로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무선전력 송신부(120)와, 무선신호 송신부(130) 및 제1 발광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제어부(150)로 제공할 수 있다.The power input unit 110 may receive power for operating the first lamp unit 100 from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1. [ Here, the power input unit 11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of the vehicle 1 by wire to receive the power. The power input unit 110 includes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120 for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second lamp unit 200 and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120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unit 130 and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40 To the first controller 150.

무선전력 송신부(120)는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송신부(120)는 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해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120 can wirelessly transmit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ption unit 210 using the power provided from the power input unit 110. [ 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20 may transmit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10 using a magnetic induction or self-resonant scheme.

여기서, 자기유도방식의 경우, 무선전력 송신부(120)는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하여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전압을 이용해 교류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자기장을 발생시켜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Here, in the case of the magnetic induction type,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120 can generate a constant voltage by boosting the voltage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input unit 110 to a predetermined level voltage, and generates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using the constant voltage And generate a magnetic field using the AC power to transmit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210. [

또한, 자기공진방식의 경우, 무선전력 송신부(120)는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하여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정전압을 이용해 교류 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동일한 공진주파수로 설계된 무선전력 수신부(21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self-resonance metho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120 can generate a constant voltage by boosting the voltage of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input unit 110 to a predetermined level voltage, and generates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using the constant voltage And generates a magnetic field that oscillates at a predetermined resonance frequency using the AC power to transmit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210 designed to have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신호 송신부(130)는 무선통신을 통해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점등 제어신호를 신호 수신부(22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송신부(13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및 ZigBee 등 공지의 무선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신호 수신부(220)로 상기 점등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The signal transmitting unit 130 may transmit the lighting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1 to the signal receiving unit 2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Here, the signal transmitter 130 may transmit the light control signal to the signal receiver 220 using any one of known radio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and ZigBee.

제1 발광부(140)는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및 백업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들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ail lamp, a brake lamp, a turn signal lamp, and a backup lamp, and may be turned on under the control of the first controller 150. In one embodiment, the lamps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여기서, 발광소자는 할로겐,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및 LED (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HID 또는 LED의 경우, 제1 제어부(150)는 이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듈(예컨대, Ballast 또는 LDM(LED Drive Modul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light emitting element may be any one of halogen, HID (High Intensity Discharge) and LED (Light Emitting Diode). In case of HID or LED, the first controller 150 may include a driving module Or an LED drive module (LDM).

제1 제어부(150)는 제1 램프 유닛(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first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first lamp unit 100. [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150)는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점등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무선전력 송신부(120)를 제어하여 전원 입력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무선전력 수신부(210)에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The first control unit 150 controls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120 to receive the lighting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of the vehicle 1 and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210 to transmit power wirelessly.

또한, 제1 제어부(150)는 신호 송신부(130)를 제어하여 차량(1)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점등 제어신호를 무선통신을 통해 신호 수신부(220)로 송신할 수 있다. The first control unit 150 may control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130 to transmit the lighting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vehicle 1 to the signal reception unit 22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제1 제어부(150)는 점등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1 발광부(140)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점등 제어신호는 테일 램프 점등신호, 브레이크 램프 점등신호, 턴 시그널 램프 점등신호 및 백업 램프 점등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first control unit 150 can control the lighting of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40 based on the lighting control signal. Here, the lighting control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ail lamp lighting signal, a brake lamp lighting signal, a turn signal lamp lighting signal, and a backup lamp lighting signal.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150)는 제1 발광부(140)와 제2 발광부(230)가 동시에 동작해야 되는 경우, 무선전력 수신부(210) 및 신호 수신부(220)로 전력 및 점등 제어신호가 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만큼 제1 발광부(140)의 동작을 지연시킴으로써, 제1 발광부(140)와 제2 발광부(230)가 동시에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The first controller 150 controls the power of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10 and the power of the signal receiver 220 when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40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0 operate simultaneously,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40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0 can be operated simultaneously by delay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140 by a time required for the control signal to be transmitted.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무선전력 송신부(12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해 무선전력 송신부(120)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210 may wirelessly receive power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120. [ In one embodiment, the wireless power receiver 210 may receive power to the wireless power transmitter 120 using a magnetic induction or self-resonant scheme.

여기서, 자기유도방식의 경우,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무선전력 송신부(120)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Here, in the case of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210 can receive power using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120. [

또한, 자기공진방식의 경우,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무선전력 송신부(120)에 의해 발생된 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력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자기장의 공진주파수와 동일한 공진주파수를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Also, in the case of the self-resonance method,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210 may be designed to have the same resonance frequency as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magnetic field in order to receive electric power using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120 .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무선전력 송신부(120)로부터 수신한 교류전력을 정류하여 제2 제어부(24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210 may rectify the AC power received from the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120 and provide the rectified AC power to the second control unit 240.

신호 수신부(220)는 신호 송신부(130)로부터 무선통신을 통해 점등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신호 수신부(22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및 ZigBee 등 공지의 무선통신방식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해 신호 송신부(220)로부터 상기 점등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220)는 상기 수신한 점등 제어신호를 제2 제어부(24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signal receiving unit 220 can receive the lighting control signal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13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Here, the signal receiving unit 220 may receive the light control signal from the signal transmitting unit 220 using any one of known radio communication systems such as RF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and ZigBee. The signal receiving unit 220 may provide the received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controller 240.

제2 발광부(230)는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및 백업 램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제어부(240)의 제어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램프들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소자는 할로겐, HID(High Intensity Discharge) 및 LED (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ail lamp, a brake lamp, a turn signal lamp, and a backup lamp, and may be turned on under the control of the second control unit 240. In one embodiment, the lamps may include at least one light emitting element. Here, the light emitting device may be any one of halogen, HID (High Intensity Discharge) and LED (Light Emitting Diode).

제2 제어부(240)는 제2 램프 유닛(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second control unit 24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econd lamp unit 200.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240)는 신호 수신부(220)를 통해 점등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무선전력 수신부(210)를 통해 전송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른 제2 발광부(230)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The second controller 240 controls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0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by using the electric power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210 when the lighting control signal is inputted through the signal receiving unit 220, Can be controlled.

여기서, 점등 제어신호는 테일 램프 점등신호, 브레이크 램프 점등신호, 턴 시그널 램프 점등신호 및 백업 램프 점등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lighting control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ail lamp lighting signal, a brake lamp lighting signal, a turn signal lamp lighting signal, and a backup lamp lighting signal.

도 4는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lamp unit and the second lamp unit when power is transmitted using the magnetic induction method.

도 4를 참조하면,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무선전력 송신부(120)는 정전압 생성부(122), 전력 증폭부(124) 및 제1 송신 코일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무선전력 수신부(210)는 수신 코일부(212) 및 정류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4, when power is transmitted using a magnetic induction metho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120 may include a constant voltage generation unit 122, a power amplification unit 124, and a first transmission coil unit 126 have. Also, in this case,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210 may include the receiving coil part 212 and the rectifying part 214.

정전압 생성부(122)는 전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전력의 전압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전압 생성부(122)는 부스트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constant voltage generating unit 122 may generate a constant voltage by boosting the voltage level of the power input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110 to a predetermined level. In one embodiment, the constant voltage generating section 122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boost converter.

전력 증폭부(124)는 정전압 생성부(122)에서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The power amplifier 124 can generate AC power using the constant voltage boosted by the constant voltage generator 122.

여기서, 생성된 교류전력이 제1 송신 코일부(126)에 인가되면,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송신 코일부(126)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제1 송신 코일부(126)와 수신 코일부(212)가 커플링 되면, 수신 코일부(212)에 유도전류가 흐르는 방식으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Here, if the generated AC power is appli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oil part 126, a magnetic field may be generated. Here, when the first transmission coil part 126 and the reception coil part 212 are coupled by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first transmission coil part 126, power is supplied to the reception coil part 212 in such a manner that an induction current flows Lt; / RTI >

수신 코일부(212)는 제1 송신 코일부(126)에 의해 전달된 전력을 정류부(214)로 제공할 수 있다. The receiving coil section 212 may provide the power delivered by the first transmitting coil section 126 to the rectifying section 214.

정류부(214)는 수신 코일부(212)로부터 전달된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정류부(214)는 상기 직류 전력을 제2 제어부(24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rectifying unit 214 can rectify the AC power delivered from the receiving coil part 212 and convert it into DC power. The rectifier 214 may provide the DC power to the second controller 240.

도 5는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제1 램프 유닛 및 제2 램프 유닛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5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first lamp unit and the second lamp unit when power is transmitted using the self-resonance method.

도 5를 참조하면,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해 전력을 전송하는 경우, 무선전력 송신부(120)는 정전압 생성부(122), 전력 증폭부(124), 정합 회로부(128) 및 제2 송신 코일부(129)를 포함할 수 있다.5, when power is transmitted using the self-resonance method,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120 includes a constant voltage generation unit 122, a power amplification unit 124, a matching circuit unit 128, 129).

정전압 생성부(122)는 전원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전력의 전압레벨을 기 설정된 레벨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전압 생성부(122)는 부스트 컨버터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The constant voltage generating unit 122 may generate a constant voltage by boosting the voltage level of the power input through the power input unit 110 to a predetermined level. In one embodiment, the constant voltage generating section 122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boost converter.

전력 증폭부(124)는 정전압 생성부(122)에서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The power amplifier 124 can generate AC power using the constant voltage boosted by the constant voltage generator 122.

정합 회로부(128)은 무선전력의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교류 전력의 임피던스를 정합할 수 있다. The matching circuit 128 may match the impedance of the AC power to increase the transmission efficiency of the radio power.

제2 송신 코일부(129)는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공진 방식의 전력을 송신하도록 자기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2 송신 코일부(129)는 기 설정된 공진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발생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part 129 can generate a magnetic field to transmit the resonance-type power using the alternating-current power. Here,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part 129 can be designed to generate a magnetic field that vibrates at a predetermined resonance frequency.

일 실시예에서, 제2 송신 코일부(129)는, 비록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교류전력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하는 유도코일과 상기 자기장에 의해 공진하면서 공명파를 발생하는 공진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portion 129 may include an inductive coil that generates a magnetic field by the alternating current power, although not shown, and a resonant coil that resonates by the magnetic field to generate a resonant wave .

여기서, 수신 코일부(212)는 제2 송신 코일부(129)에서 발생한 자기장의 공진주파수로 설계될 수 있다. Here, the receiving coil part 212 may be designed to have a resonance frequency of a magnetic field generated in the second transmitting coil part 129. [

일 실시예에서, 수신 코일부(212)는, 비록 도시되진 않았지만, 제2 송신 코일부(212)의 공진코일에 의해 발생된 공명파를 수신하여 공진하는 공진코일과, 상기 공진코일로부터 전류가 유도되는 유도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코일부(212)는 제2 송신 코일부(126)에 의해 전달된 전력을 정류부(214)로 제공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eceiving coil section 212 includes a resonant coil, which, although not shown, receives and resonates resonant waves generated by the resonant coil of the second transmitting coil section 212; And may include induction coils that are induced. The receiving coil section 212 may provide the power delivered by the second transmitting coil section 126 to the rectifying section 214.

정류부(214)는 수신 코일부(212)로부터 전달된 교류 전력을 정류하여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정류부(214)는 상기 직류 전력을 제2 제어부(24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rectifying unit 214 can rectify the AC power delivered from the receiving coil part 212 and convert it into DC power. The rectifier 214 may provide the DC power to the second controller 240.

도 6은 도 5의 제2 램프 유닛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FIG.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lamp unit of FIG. 5; FIG.

도 6의 실시예는 기본적인 구성은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정류부(214)에서 정류된 직류전력의 전압을 변환하는 컨버터(216)를 더 포함한다.The embodiment of FIG. 6 further includes a converter 216 that converts the voltage of the DC power rectified by the rectifying section 214, although the basic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FIGS. 4 and 5.

도 6을 참조하면, 컨버터(216)는 정류부(214)에 의해 정류된 직류전력이 입력되면, 상기 직류전력의 전압의 레벨을 제2 제어부(240)가 제2 발광부(230)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레벨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변환된 정류 전력은 제2 제어부(240)로 제공될 수 있다. 6, when DC power rectified by the rectifying unit 214 is inputted, the converter 216 controls the level of the DC power by the second control unit 240 to control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0 It can be converted to a required level. The converted rectified power may be provided to the second controller 240.

그 외의 구성은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basic embodiment, and the other explanation will be omitted.

도 7은 제1 램프 유닛의 제1 램프 하우징에 수용된 송신 코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제2 램프 유닛의 제2 램프 하우징에 수용된 수신 코일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art of a transmitting coil housed in the first lamp housing of the first lamp unit,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ceiving coil part accommodated in the second lamp housing of the second lamp unit.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램프 유닛(100)은 전원 입력부(110), 무선전력 송신부(120), 무선신호 송신부(130), 제1 발광부(140) 및 제1 제어부(150)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160)을 포함할 수 있다.7, a first lamp unit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input unit 110, a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120, a wireless signal transmission unit 130, a first light emitting unit 140, And a first lamp housing 160 for receiving the first control unit 150 therein.

제1 램프 하우징(160)은 제2 램프 유닛(200)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제2 램프 유닛(200)과의 접촉면을 제공하기 위한 제1 플랜지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lamp housing 160 may include a first flange portion 162 for providing a contact surface with the second lamp unit 200 when the second lamp unit 200 is in an adjacent position.

여기서, 제1 램프 유닛(100)은 무선전력 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1 송신 코일부(126) 또는 제2 송신 코일부(129)를 제1 플랜지부(162)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Here, the first lamp unit 100 can accommodate the first transmission coil part 126 or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part 129 inside the first flange part 162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램프 유닛(200)은 무선전력 수신부(210), 무선신호 수신부(220), 제2 발광부(230) 및 제2 제어부(240)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 램프 하우징(250)을 포함할 수 있다. 8, a second lamp unit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210, a wireless signal receiving unit 220,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230, and a second control unit 240, And a second lamp housing 250 accommodating the lamp housing 250 therein.

제2 램프 하우징(250)은 제2 램프 유닛(200)이 제1 램프 유닛(100)과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제1 램프 유닛(100)과의 접촉면을 제공하기 위한 제2 플랜지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lamp housing 250 includes a second flange portion 252 for providing a contact surface with the first lamp unit 100 when the second lamp unit 200 is in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lamp unit 100 ).

여기서, 제2 램프 유닛(200)은 무선전력 전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송신 코일부(212)를 제2 플랜지부(252)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Here, the second lamp unit 200 can accommodate the transmission coil part 212 inside the second flange part 252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차량
2: 트렁크 도어
10: 차량용 램프
100: 제1 램프 유닛
110: 전원 입력부
120: 무선전력 송신부
130: 무선신호 송신부
140: 제1 발광부
150: 제1 제어부
160: 제1 램프 하우징
162: 제1 플랜지부
200: 제2 램프유닛
210: 무선전력 수신부
220: 무선신호 수신부
230: 제2 발광부
240: 제2 제어부
250: 제2 램프 하우징
252: 제2 플랜지부
1: vehicle
2: Trunk door
10: Vehicle lamp
100: first lamp unit
110: Power input unit
120: wireless power transmitter
130: radio signal transmitter
140: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150:
160: first lamp housing
162: first flange portion
200: second lamp unit
210: wireless power receiver
220: radio signal receiver
230: second light emitting portion
240:
250: second lamp housing
252: second flange portion

Claims (16)

차량에 대해 고정된 제1 램프 유닛과, 상기 제1 램프 유닛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램프 유닛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차량의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된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며, 차량의 제어장치로부터 제공된 점등 제어신호를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는 차량용 램프.
1. A vehicle lamp comprising a first lamp unit fixed with respect to a vehicle, and a second lamp unit provided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first lamp unit,
Wherein the first lamp unit transmits electric power provided from a power source device of the vehicle to the second lamp unit by radio and transmits a lighting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a control device of the vehicle to the second lamp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전원장치로부터 제공된 전력이 입력되는 전원 입력부;
상기 전력을 무선으로 상기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는 무선전력 송신부;
상기 점등 제어신호를 제2 램프 유닛에 전송하는 신호 송신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The lamp unit according to claim 1,
A power input unit to which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is input;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second lamp unit;
A signal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the lighting control signal to the second lamp unit;
A first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unit; And
A first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lighting control signal;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전력을 상기 제2 램프 유닛으로 전송하는 차량용 램프.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2,
And said power is transmitted to said second lamp unit using a magnetic induction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생성부;
상기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 및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유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제1 송신 코일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3,
A constant voltage generating unit for increasing the voltage of the power to a predetermined level voltage to generate a constant voltage;
A power amplifier for outputting AC power using the boosted constant voltage; And
A first transmission coil part for transmitting power in an induction manner using the AC power;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전원 입력부, 무선전력 송신부, 신호 송신부, 제1 발광부 및 제1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The lamp unit according to claim 4,
And a first lamp housing accommodating therein the power input uni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the first control unit,
Wherein the first lamp housing includes a first flange portion that provides a contact surface with the second lamp unit when the second lamp unit is in an adjacent posi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 코일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차량용 램프.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first transmission coil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flange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자기공진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로 전력을 전송하는 차량용 램프.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2,
And transmits power to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using a self resonance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레벨의 전압으로 승압시켜 정전압을 생성하는 정전압 생성부;
상기 승압된 정전압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을 출력하는 전력 증폭부; 및
상기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공진 방식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제2 송신 코일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8.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7,
A constant voltage generating unit for increasing the voltage of the power to a predetermined level voltage to generate a constant voltage;
A power amplifier for outputting AC power using the boosted constant voltage; And
A second transmitting coil part for transmitting power in a resonant manner using the AC power;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송신부는,
상기 교류 전력의 임피던스를 정합하는 정합 회로부;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8,
A matching circuit part for matching an impedance of the AC power; Further comprising: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램프 유닛은,
상기 전원 입력부, 무선전력 송신부, 신호 송신부, 제1 발광부 및 제1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1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The lamp unit according to claim 8,
And a first lamp housing accommodating therein the power input unit, the wireless power transmission unit,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the first light emitting unit, and the first control unit,
Wherein the first lamp housing includes a first flange portion that provides a contact surface with the second lamp unit when the second lamp unit is in an adjacent posit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 코일부는 상기 제1 플랜지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차량용 램프.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the second transmission coil portion is housed inside the first flang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상기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전력 수신부;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상기 점등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을 포함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점등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발광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The lamp unit according to claim 1,
A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power from the first lamp unit;
A signal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lighting control signal from the first lamp unit;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including at least one light emitting unit; And
A second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according to the received light control signal using the received power;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제1 램프 유닛으로부터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는 수신 코일부; 및
상기 수신된 전력을 정류하여 정류 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2 제어부로 제공하는 정류부;
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2,
A receiving coil part for receiv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first lamp unit; And
A rectifier for rectifying the received power to generate rectified power and providing the rectified power to the second controller;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는,
상기 정류 전력의 전압을 기 설정된 크기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컨버터; 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2,
A converter for converting a voltage of the rectified power into a voltag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Further comprising: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램프 유닛은,
상기 무선전력 수신부, 신호 수신부, 제2 발광부 및 제2 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2 램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램프 하우징은 상기 제2 램프 유닛이 인접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램프 유닛과의 접촉면을 제공하는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4. The lamp unit according to claim 13,
And a second lamp housing for receiving the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the signal receiving unit,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and the second control unit,
Wherein the second lamp housing includes a second flange portion that provides a contact surface with the first lamp unit when the second lamp unit is in an adjacent positio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코일부는 상기 제2 플랜지부의 내부에 수용되는 차량용 램프.
16. The method of claim 15,
And the receiving coil portion is housed inside the second flange portion.
KR1020160161993A 2016-11-30 2016-11-30 Lamp for vehicle KR1025819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993A KR102581920B1 (en) 2016-11-30 2016-11-30 Lamp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1993A KR102581920B1 (en) 2016-11-30 2016-11-30 Lamp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090A true KR20180062090A (en) 2018-06-08
KR102581920B1 KR102581920B1 (en) 2023-09-22

Family

ID=6260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1993A KR102581920B1 (en) 2016-11-30 2016-11-30 Lamp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192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8940A1 (en) * 2021-03-08 2022-09-15 HELLA GmbH & Co. KGaA Lighting device, rear lamp,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EP4286219A1 (en) * 2022-06-01 2023-12-06 Hella Autotechnik Nova, s.r.o. Light element for a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9188A (en) * 2009-12-28 2011-07-14 Hitachi Ltd Illumination and display system
JP2013023077A (en) * 2011-07-21 2013-02-04 Koito Mfg Co Ltd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lamp
KR101342059B1 (en) 2012-08-23 2013-12-18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Automotive rear lamp
KR20150097636A (en) * 2013-01-17 2015-08-26 도요타 지도샤(주) Vehicle lamp stru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39188A (en) * 2009-12-28 2011-07-14 Hitachi Ltd Illumination and display system
JP2013023077A (en) * 2011-07-21 2013-02-04 Koito Mfg Co Ltd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lamp
KR101342059B1 (en) 2012-08-23 2013-12-18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Automotive rear lamp
KR20150097636A (en) * 2013-01-17 2015-08-26 도요타 지도샤(주) Vehicle lamp structu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8940A1 (en) * 2021-03-08 2022-09-15 HELLA GmbH & Co. KGaA Lighting device, rear lamp,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ing device
EP4286219A1 (en) * 2022-06-01 2023-12-06 Hella Autotechnik Nova, s.r.o. Light element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1920B1 (en) 202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6988B2 (en) Induction power transfer for auxiliary vehicle lights
CN104981970B (en) Modularization inductive power transfer electric supply and operating method
US8952614B2 (en) Power supply device for vehicle lamp and the vehicle lamp
US20180249539A1 (en) Assembly with control gear for lamps
US9584190B2 (en) Vehicle driving system having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WO2016162936A1 (en) Locking/unlocking system
JP6075173B2 (en) Non-contact power feeding device
KR20180062090A (en) Lamp for vehicle
EP2992398A1 (en) Power factor correction for constant current input with power line communication
KR20120126909A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for lighting
WO2018159540A1 (en) Ground-side power supply device
CN103929867A (en) Control method of lamp
KR20190007832A (en) Lamp for vehicle
JP7150472B2 (en) VEHICLE LAMP, LIGHTING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KR102581919B1 (en) Lamp for vehicle
KR102617538B1 (en) Lamp for vehicle
KR1018429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lamp of a vehicle
KR102617539B1 (en) Lamp for vehicle
JP2666386B2 (en) Vehicle headlights
KR20150000098A (en) Led lighting control system
US20150028757A1 (en) Single wire lighting driver control
JP2019530145A (en) Lighting modu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lighting system
JP6078918B2 (en) Non-contact power feeding system for lighting and lighting fixture using the same
JP6032611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564782B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oth for controlling rear lamp using the sma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