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828A - 광 공진기 - Google Patents

광 공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828A
KR20180060828A KR1020160160777A KR20160160777A KR20180060828A KR 20180060828 A KR20180060828 A KR 20180060828A KR 1020160160777 A KR1020160160777 A KR 1020160160777A KR 20160160777 A KR20160160777 A KR 20160160777A KR 20180060828 A KR20180060828 A KR 20180060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fiber
resonator
pumping
r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9293B1 (ko
Inventor
지상민
구자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Priority to KR1020160160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29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0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2Constructional details
    • H01S3/03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laser discharge tubes
    • H01S3/034Optical devices within, or forming part of, the tube, e.g. windows,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54Fibre amplif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공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공진기는 펌핑 광을 발생시키는 펌핑부, 상기 펌핑 광을 진행시키고 상기 펌핑 광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발생된 레이저 광을 공진시키는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제1 반사단과 제2 반사단을 포함하는 광섬유 공진부 및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중심부에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 홀에 상기 광섬유가 삽입되는 중공 형상의 광학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 결합부는 상기 제1 반사단 및 상기 제2 반사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상기 제1 반사단 및 상기 제2 반사단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 공진기 {LASER RESONATOR}
본 발명은 광 공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잔여 펌프광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공진기를 구비하는 광 공진기에 관한 것이다.
광섬유 레이저 시스템은 광섬유의 도파로 구조로 인해 고체 레이저에 비해 훨씬 긴 활성 레이저 매질을 사용한 레이저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섬유 레이저 시스템은 고출력 레이저를 발진하는 경우 발생될 수 있는 방열 문제에 탁월한 특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로 인해, 광섬유 레이저, 그 중에서 특히 이중 클래딩 구조를 가진 광섬유를 사용한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는 다양한 분야에서 기존의 고체 레이저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일반적인 광섬유 레이저 시스템의 구성은 펌프용 다이오드 레이저를 렌즈 혹은 광섬유 접합계를 사용하여 희토류 첨가 능동 광섬유에 종펌핑 혹은 횡펌핑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공진기 형성을 위하여 광섬유 양쪽 끝단에 되먹임 신호를 줄 수 있는 반사면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 광섬유 양끝을 수직으로 절단하고 양끝 혹은 한쪽 끝에 반사 거울, 회절 격자, 광섬유 회절 격자 등을 접합하여 레이저 신호의 일부 반사가 일어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광 공진기에 입사되어 잔존하는 잔여 펌프광의 사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광 공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공진기는, 펌핑 광을 발생시키는 펌핑부; 상기 펌핑 광을 진행시키고 상기 펌핑 광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발생된 레이저 광을 공진시키는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제1 반사단과 제2 반사단을 포함하는 광섬유 공진부; 및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중심부에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 홀에 상기 광섬유가 삽입되는 중공 형상의 광학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 결합부는 상기 제1 반사단 및 상기 제2 반사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반사단 및 상기 제2 반사단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 결합부는 일정한 외경을 구비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외경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학 결합부는 상기 직선부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반사 미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미러는, 상기 펌프광 중 상기 광섬유에 의해 흡수되지 않은 잔여 펌프광을 반사하여 상기 광섬유로 재입사시킬 수 있다.
상기 광학 결합부는 상기 광섬유에 융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펌핑부는, 상기 펌핑광을 발생하는 펌핑 소스; 및 상기 펌핑 소스와 상기 광섬유의 일 단을 결합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섬유 공진부는, 상기 레이저 광을 상기 제1 반사단 및 상기 제2 반사단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레이저 광을 공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공진기는, 펌핑 광을 발생시키는 펌핑부; 상기 펌핑 광을 진행시키고 상기 펌핑 광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발생된 레이저 광을 공진시키는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제1 반사단과 제2 반사단을 포함하는 광섬유 공진부; 및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중심부에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 홀에 상기 광섬유가 삽입되는 중공 형상의 제1 광학 결합부 및 제2 광학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학 결합부 및 상기 제2 광학 결합부는, 상기 제1 반사단 및 상기 제2 반사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반사단 및 상기 제2 반사단에 각각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 결합부 및 상기 제2 광학 결합부 중 하나 이상은 일정한 외경을 구비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외경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 결합부 및 상기 제2 광학 결합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직선부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반사 미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사 미러는, 상기 펌프광 중 상기 광섬유에 의해 흡수되지 않은 잔여 펌프광을 반사하여 상기 광섬유로 재입사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광학 결합부 및 상기 제2 광학 결합부는 상기 광섬유에 융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펌핑부는, 상기 펌핑광을 발생하는 펌핑 소스; 및 상기 펌핑 소스와 상기 광섬유의 일 단을 결합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섬유 공진부는, 상기 레이저 광을 상기 제1 반사단 및 상기 제2 반사단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레이저 광을 공진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 개시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공진기에 구비된 광학 결합부를 이용하여, 흡수되지 않은 잔여 펌프 광이 반사되어 다시 되돌아올 수 있으므로 잔여 펌프 광의 사용 효율을 상승시켜 레이저 발진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펌프 광의 흡수 범위가 넓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적은 발열이 발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광 공진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공진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4 의 예에 따른 광 공진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공진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광 공진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결합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공진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공진기(1)는 펌핑 소스(pumping source)(11)와 커플러(coupler)(12)를 포함하는 펌핑부(10), 광섬유(optical fiber)(21)를 포함하는 광섬유 공진부(20) 및 광섬유(21)에 결합되는 광학 결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펌핑 소스(11)는 펌핑(pumping)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 펌핑 광원이다. 일 예로서, 펌핑 소스(11)는 다이오드 펌핑 소스일 수 있다. 또한, 펌핑 소스(11)는 복수 개의 펌핑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펌핑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펌핑광은 유도 광섬유(13)에 의해 유도되어 커플러(1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커플러(12)는 펌핑 소스(11)와 광섬유 공진부(20)에 구비된 광섬유(21)의 일 단을 결합시킬 수 있는 결합 장치이다. 일 예로서 커플러(12)는 광섬유 결합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커플러(12)에서 합쳐진 펌핑 광도 연결광섬유(14)를 통해 광섬유 공진부(20)에 구비된 광섬유(21)를 향하여 입사 된다. 이에 따라, 펌핑 소스(11)와 광섬유 공진부(20)가 광섬유결합(fiber coupled)으로 결합되어 공진기 결합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광섬유 공진부(20)는 펌핑부(10)로부터 입사된 펌핑 광을 이용하여 레이저 광을 발생시킬 수 있는 공진 장치로서, 희토류 이온을 포함하는 광섬유(21), 광섬유(21)의 양 단부에 배치되어 펌핑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제1 반사단(22)과 제2 반사단(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섬유(21)는 이득 물질이 도핑된 능동 광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광섬유(21)는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에 사용되는 코어(210), 제1 클래드(211), 및 제2 클래드(212)를 포함하는 이중 클래드 광섬유일 수 있다. 코어(210)는 희토류 원소가 첨가될 수 있으며, 입사된 펌핑 광은 광섬유(21),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210)에 첨가된 희토류 이온에 의해 흡수되고, 펌핑광을 흡수한 이온은 유도 방출에 의해 레이저광을 발생시킨다. 발생한 레이저광은 광섬유 내부에서 진행하게 되고, 광섬유 공진부(20)는 광섬유(21)의 양 단부측에 각각 제공되는 제1 반사단(22) 및 제2 반사단(23)에 의해 광섬유(21)를 향해 레이저광을 반사하여 레이저광을 공진시킬 수 있다. 제1 클래드(211)는 실리카(silica) 유리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클래드(212)는 실리카에 불소가 함유된 저 굴절률 유리 또는 폴리머(polymer)일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제1 반사단(22) 및 제2 반사단(23)은 상술한 바와 같이 광섬유(21)를 향해 레이저광을 반사하여 레이저광을 공진시킬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반사단(22) 및 제2 반사단(23)은 광섬유(21)의 양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광섬유(21)의 양측 단부에서 발생하는 레이저광의 반사에 의해 레이저광이 공진하게 되고, 레이저 발진이 일어나게 된다. 예를 들어 광섬유(21)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반사단(22)은 고반사율 광섬유 브래그 격자(high reflectivity fiber Bragg grating)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반사단(22)은 입력측 반사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21)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반사단(23)은 저반사율 광섬유 브래그 격자(low reflectivity fiber Bragg grating)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반사단(23)은 출력측 커플러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고반사율 광섬유 브래그 격자로 구비된 제1 반사단(22)의 반사율은 99% 이상일 수 있으며, 저반사율 광섬유 브래그 격자로 구비된 제2 반사단(23)의 반사율은 4% 이상일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광학 결합부(30)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공형 로드 형상으로서, 양 끝단이 절단된 글래스 튜브(glass tube)일 수 있다. 일 예로서, 광학 결합부(30)는 테이퍼부(310)와 직선부(311)를 구비하는 몸체부(31) 및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관통홀(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테이퍼부(310)와 직선부(311)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테이퍼부(310)는 원뿔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직선부(311)는 균일한 외경을 구비하는 로드 형상일 수 있다.
광학 결합부(30)가 테이퍼부(310)와 직선부(311)를 구비하는 경우, 직선부(311)의 외경은 예를 들어, 1200 um 이상 1800um 이하로 일정할 수 있으며, 테이퍼부(310)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테이퍼부(310)의 일단의 지름은 광섬유(21)의 외경과 같을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반면 광학 결합부(30)의 내경은, 광학 결합부(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광학 결합부(30)의 내경은 광섬유(21)의 외경 보다 50 um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광학 결합부(30)에 광섬유(21)가 결합되는 경우, 광섬유(21)는 광학 결합부(30)에 구비된 관통 홀(33)에 삽입되어 광학 결합부(30)에 융착될 수 있다. 광학 결합부(30)의 관통 홀(33)에 광섬유(21)를 삽입하는 경우, 광학 결합부(30)의 관통 홀(33)에 삽입되는 제2 클래드(212)의 일부분은 제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광섬유(21)의 측부에 광학 결합부(30)가 결합되는 경우, 잔여 펌핑 광은 광학 결합부(30)로 진입하여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광학 결합부(30)는 잔여 펌핑 광의 광 가이드 역할을 실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반면 광학 결합부(30)가 배치되지 않은 경우, 펌펑 소스(11)로부터 출사되어 광섬유(21)로 입사된 펌핑 광 중, 광섬유(21),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210)에 첨가된 희토류 이온에 의해 흡수되지 않은 잔여 펌핑 광은 광섬유(21)의 일 단부를 따라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일 예시에 따른 반사 미러(32)는 광학 결합부(30)의 일 단부에 배치되어 광학 결합부(30)를 통과하여 진행된 잔여 펌핑 광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 부재이다. 일 예로서, 반사 미러(32)는 광학 결합부(30)에 구비된 직선부(311)의 일 단부에 미러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반사 미러(32)는 금속 미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잔여 펌핑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다른 반사 부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반사 미러(32)가 광학 결합부(30)에 구비된 직선부(311)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경우, 잔여 펌핑 광은 반사 미러(32)에 의해 반사되어 광학 결합부(30)로 재입사될 수 있다. 또한, 광학 결합부(30)로 재입사된 잔여 펌핑 광은 광섬유(21)로 재입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잔여 펌핑 광 중 일부는, 광섬유(21),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210)에 첨가된 희토류 이온에 의해 재흡수될 수 있다. 반사된 잔여 펌핑 광의 재흡수에 의해 잔여 펌프 광의 사용 효율을 상승시켜 레이저 발진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잔여 펌프 광의 흡수 범위가 넓어질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적은 발열이 발생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광 공진기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 공진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서술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서술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광 공진기(1)는 펌핑 소스(pumping source)(11)와 커플러(coupler)(12)를 포함하는 펌핑부(10), 광섬유(optical fiber)(21)를 포함하는 광섬유 공진부(20) 및 광섬유(21)에 결합되는 제1 광학 결합부(30) 및 제2 광학 결합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광학 결합부(30) 및 제2 광학 결합부(40)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된 중공형 로드 형상으로서, 양 끝단이 절단된 글래스 튜브(glass tube)일 수 있으며, 광섬유(21)의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광학 결합부(30) 및 제2 광학 결합부(40)는 도 2에 도시된 광학 결합부(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광학 결합부(40)는 테이퍼부(410)와 직선부(411)를 구비하는 몸체부(41) 및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관통홀(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테이퍼부(410)와 직선부(411)는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광섬유(21)는 제2 광학 결합부(40)에 구비된 관통 홀(43)에 삽입되어 제2 광학 결합부(40)에 융착될 수 있다. 제2 광학 결합부(40)의 관통 홀(43)에 광섬유(21)를 삽입하는 경우, 제2 광학 결합부(40)의 관통 홀(43)에 삽입되는 제2 클래드(212)의 일부분은 제거될 수 있다.
다만, 이때, 제1 광학 결합부(30)는 제1 반사단(22)과 제2 반사단(23) 사이에서 제2 반사단(2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제2 광학 결합부(40)는 제1 반사단(22)과 제2 반사단(23) 사이에서 제1 반사단(22)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사 미러(32) 및 제2 반사 미러(42)는 제1 광학 결합부(30) 및 제2 광학 결합부(40)의 일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제1 광학 결합부(30) 및 제2 광학 결합부(40)를 통과하여 진행된 잔여 펌핑 광을 반사할 수 있는 반사 부재이다. 일 예로서, 제1 반사 미러(32)는 제1 광학 결합부(30)에 구비된 직선부(311)의 일 단부에 미러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반사 미러(42)는 제2 광학 결합부(40)에 구비된 직선부(411)의 일 단부에 미러 코팅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다만, 본 개시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반사 미러(32) 및 제2 반사 미러(42)는 잔여 펌핑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다른 반사 부재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서술한 바와 같이 펌핑 소스(11)로부터 출사된 펌핑 광은 커플러(12)를 통하여 광섬유(21)로 입사될 수 있다. 광섬유(21)로 입사된 펌핑 광 중, 일부만이 광섬유(21) 보다 구체적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210)에 첨가된 희토류 이온에 의해 흡수되고, 펌핑광을 흡수한 이온은 유도 방출에 의해 레이저광을 발생시킨다. 발생한 레이저광은 광섬유 내부에서 진행하게 되고, 광섬유 공진부(20)는 광섬유(21)의 양 단부측에 각각 제공되는 제1 반사단(22) 및 제2 반사단(23)에 의해 광섬유(21)를 향해 레이저광을 반사하여 레이저광을 공진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때, 광섬유(21)로 입사된 펌핑 광 중 일부는 광섬유(21)에 구비된 희토류 이온에 흡수되지 않은 채, 잔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잔여 펌핑광은 잔여 펌핑 광은 제1 광학 결합부(30)로 진입하여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광학 결합부(30)는 잔여 펌핑 광의 광 가이드 역할을 실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광학 결합부(30)를 통과하여 진행된 잔여 펌핑 광은 제1 반사 미러(32)에 의해 반사되어 제1 광학 결합부(30)로 재입사될 수 있다. 또한, 제1 광학 결합부(30)로 재입사된 잔여 펌핑 광은 광섬유(21)로 재입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잔여 펌핑 광 중 일부는, 광섬유(21),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210)에 첨가된 희토류 이온에 의해 재흡수될 수 있다.
또한, 잔여 펌핑 광 중, 광섬유(21),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210)에 첨가된 희토류 이온에 의해 재흡수되지 않은 잔여 펌핑 광은 광섬유(21)를 따라 역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광학 결합부(40)로 입사될 수 있다. 이때, 제2 광학 결합부(40)는 잔여 펌핑 광의 광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광학 결합부(40)를 통과하여 진행된 잔여 펌핑 광은 제2 반사 미러(42)에 의해 반사되어 제2 광학 결합부(40)로 재입사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광학 결합부(40)로 재입사된 잔여 펌핑 광은 광섬유(21)로 다시 입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잔여 펌핑 광 중 일부는, 광섬유(21), 보다 구체적으로 코어(210)에 첨가된 희토류 이온에 의해 재흡수될 수 있다. 반사된 잔여 펌핑 광의 재흡수에 의해 잔여 펌프 광의 사용 효율을 추가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으며, 잔여 펌프 광의 흡수 범위가 추가적으로 넓어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적은 발열이 발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광 공진기 10… 펌핑부
20 … 광섬유 공진부 30, 40 … 광학 결합부

Claims (14)

  1. 펌핑 광을 발생시키는 펌핑부;
    상기 펌핑 광을 진행시키고 상기 펌핑 광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발생된 레이저 광을 공진시키는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제1 반사단과 제2 반사단을 포함하는 광섬유 공진부; 및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중심부에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 홀에 상기 광섬유가 삽입되는 중공 형상의 광학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 결합부는 상기 제1 반사단 및 상기 제2 반사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반사단 및 상기 제2 반사단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광 공진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결합부는 일정한 외경을 구비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외경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광 공진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결합부는 상기 직선부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반사 미러를 더 포함하는,
    광 공진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미러는, 상기 펌핑 광 중 상기 광섬유에 의해 흡수되지 않은 잔여 펌핑 광을 반사하여 상기 광섬유로 재입사시키는,
    광 공진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결합부는 상기 광섬유에 융착되어 고정되는,
    광 공진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상기 펌핑 광을 발생하는 펌핑 소스; 및
    상기 펌핑 소스와 상기 광섬유의 일 단을 결합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광 공진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공진부는, 상기 레이저 광을 상기 제1 반사단 및 상기 제2 반사단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레이저 광을 공진시키는,
    광 공진기.
  8. 펌핑 광을 발생시키는 펌핑부;
    상기 펌핑 광을 진행시키고 상기 펌핑 광의 에너지를 흡수하여 발생된 레이저 광을 공진시키는 광섬유와 상기 광섬유의 양 단부에 배치되는 제1 반사단과 제2 반사단을 포함하는 광섬유 공진부; 및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중심부에 관통 홀을 구비하며, 상기 관통 홀에 상기 광섬유가 삽입되는 중공 형상의 제1 광학 결합부 및 제2 광학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광학 결합부 및 상기 제2 광학 결합부는, 상기 제1 반사단 및 상기 제2 반사단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반사단 및 상기 제2 반사단에 각각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광 공진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결합부 및 상기 제2 광학 결합부 중 하나 이상은 일정한 외경을 구비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외경이 길이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광 공진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결합부 및 상기 제2 광학 결합부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직선부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반사 미러를 더 포함하는,
    광 공진기.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미러는, 상기 펌핑 광 중 상기 광섬유에 의해 흡수되지 않은 잔여 펌프광을 반사하여 상기 광섬유로 재입사시키는,
    광 공진기.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결합부 및 상기 제2 광학 결합부는 상기 광섬유에 융착되어 고정되는,
    광 공진기.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는,
    상기 펌핑 광을 발생하는 펌핑 소스; 및
    상기 펌핑 소스와 상기 광섬유의 일 단을 결합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하는
    광 공진기.
  14.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공진부는, 상기 레이저 광을 상기 제1 반사단 및 상기 제2 반사단 사이에서 반복적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레이저 광을 공진시키는,
    광 공진기.
KR1020160160777A 2016-11-29 2016-11-29 광 공진기 KR101889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777A KR101889293B1 (ko) 2016-11-29 2016-11-29 광 공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777A KR101889293B1 (ko) 2016-11-29 2016-11-29 광 공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828A true KR20180060828A (ko) 2018-06-07
KR101889293B1 KR101889293B1 (ko) 2018-08-21

Family

ID=62621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777A KR101889293B1 (ko) 2016-11-29 2016-11-29 광 공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2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6010B1 (en) 2019-04-11 2020-05-26 Corelase Oy Fiber laser pump refl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946A (ko) * 2009-12-04 2011-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레이저 발생기
KR20150083625A (ko) * 2014-01-10 2015-07-2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광섬유 레이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2946A (ko) * 2009-12-04 2011-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레이저 발생기
KR20150083625A (ko) * 2014-01-10 2015-07-20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광섬유 레이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6010B1 (en) 2019-04-11 2020-05-26 Corelase Oy Fiber laser pump reflector
WO2020207612A1 (en) * 2019-04-11 2020-10-15 Corelase Oy Fiber laser pump reflector
CN113966569A (zh) * 2019-04-11 2022-01-21 可利雷斯股份有限公司 光纤激光器泵浦反射器
GB2612460A (en) * 2019-04-11 2023-05-03 Corelase Oy Fiber laser pump reflector
GB2612460B (en) * 2019-04-11 2023-10-04 Corelase Oy Fiber laser pump reflector
GB2596483B (en) * 2019-04-11 2024-01-03 Corelase Oy Fiber laser pump refl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293B1 (ko) 2018-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4517C (en) Optical fiber lasers and amplifiers
US8768117B2 (en) Optical fiber coupl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optical fiber coupler, and active optical module
US6831934B2 (en) Cladding pumped fiber laser
US8094370B2 (en) Cladding pumped fibre laser with a high degree of pump isolation
US6987783B2 (en) Three-level air-clad rare-earth doped fiber laser/amplifier
US8611003B2 (en) Double clad fiber laser device
US6816652B1 (en) Pump fiber bundle coupler for double-clad fiber devices
KR20100048689A (ko) 광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광섬유 레이저 시스템
US20080267227A1 (en) Gain-clamped optical amplifier using double-clad fiber
EP30586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high power laser light
EP2078327A1 (en) Cascade laser
KR101695703B1 (ko) 레이저 발생기
KR20140097377A (ko) 2㎛ 범위 내에서 동작하는 파장용 고출력 단일모드 광섬유 레이저 시스템
KR101889293B1 (ko) 광 공진기
EP0723715A1 (en) A diode pumped, cw operating, single-mode optical fiber laser emitting at 976 nm
JP2012209510A (ja) 光ファイバレーザ光源
US8953648B2 (en) Fiber laser pumping configuration and method
US9634461B1 (en) Geometric isolator providing isolation between resonantly pumped cascaded laser
KR102027376B1 (ko) 광 공진기
KR20110065305A (ko) 이중 클래드 광섬유 레이저 소자
CN102122790B (zh) 单端光纤耦合的线偏振声光调q光纤激光器
JP2012501532A (ja) 高い平均のパワーのファイバーを備えたレーザーデバイス
AU2009200094A1 (en) Cascade laser
WO2020203136A1 (ja) ファイバレーザ装置
US7724424B2 (en) Optical module and optical amplification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