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713A - 직립이 가능한 다관절 나무인형 - Google Patents

직립이 가능한 다관절 나무인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713A
KR20180060713A KR1020160160535A KR20160160535A KR20180060713A KR 20180060713 A KR20180060713 A KR 20180060713A KR 1020160160535 A KR1020160160535 A KR 1020160160535A KR 20160160535 A KR20160160535 A KR 20160160535A KR 20180060713 A KR20180060713 A KR 20180060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protruding bar
joints
pin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복
Original Assignee
권오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복 filed Critical 권오복
Priority to KR1020160160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0713A/ko
Publication of KR20180060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7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0Flat toy figures provided with limbs, with or without arrangements for making them stand up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9/00Special methods or compositions for the manufacture of dolls, toy animals, toy figur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관절 나무인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다관절 나무인형은 가슴 및 복부를 형성하는 몸통(3)과; 몸통(3)의 상부에 제 1관절(11)에 의하여 연결되는 두부(5)와; 몸통(3)의 상부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선회축(4)의 양측부에 제 2 및 제 3관절(12,13)에 의하여 연결되는 한 쌍의 팔(7,9)과; 몸통(3)의 하부에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선회축(6)의 양측부에 제 4 및 제 5관절(15,17)에 의하여 연결되는 한 쌍의 다리(8,10)와; 제 1 내지 제 5관절(11,12,13,15,17)에 삽입되어 관절을 서로 연결하되 관절이 서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나무인형(1)이 조립된 후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며, 복수의 핀은 제 1 내지 제 5관절(11,12,13,15,17)을 관통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제 1 내지 제 5핀(P1,P2,P3,P4,P5)을 포함하는 다관절 나무인형(1)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직립이 가능한 다관절 나무인형{Multi-Joint Wood doll capable of erecting}
본 발명은 다관절 나무인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관절로 구성된 나무인형으로서, 양팔과 양다리를 개량된 구조의 선회축으로 연결하고, 또한 각 관절을 조립가능한 핀으로 연결하여 직립이 가능한 다관절 나무인형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나무인형은 자중이 나가서 소아를 부상 입힐 수 있기 때문에 휴대가능한 소아 놀이용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통상적으로 장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나무인형은 쓰러지지 않게 무거운 베이스에 탑재되게 된다. 하지만, 나무인형이 무거운 베이스에 탑재되게 되면, 나무인형의 다리가 관절운동하지 못하게 되어, 소아 놀이형 인형으로서의 이용되는 데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나무인형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3740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개시된 나무인형은 대퇴관절, 견관절 및 목관절을 구비하고서 장식용 뿐만 아니라 소아 놀이용으로도 이용될 수 있지만, 대퇴관절을 힌지 타입으로 채용되고 있어서, 반복적으로 대퇴관절을 운동시키게 되면, 대퇴관절이 헐거워져서 기립자세를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개시된 나무인형은, 목관절을 연직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관절을 채용하고 있어서, 고개를 끄덕이는 표현을 구현할 수도 없고 더우기 몸통이 하나의 몸체로 되어 있어서, 인사자세를 구현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개시된 나무인형은, 대퇴관절과 견관절 각각이 몸통을 관통하는 하나의 수평축에 힌지결합되어 있어서, 하나의 팔이 움직이면 다른 하나의 팔이 동시에 움직이고 하나의 다리가 움직이면 다른 하나의 다리가 동시에 움직이게 되어 있어서, 하나의 팔이나 하나의 다리만을 관절운동시킬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개시된 나무인형에서는 하나의 팔과 견관절용 하나의 수평축의 일단 사이에 부시가 개재될 수 있고, 하나의 다리와 대퇴관절용 하나의 수평축의 일단 사이에 부시가 개재될 수 있다고 설명되어 있지만, 부시를 팔의 기단부에 빠지지 않게 심는 것은 목재의 가공에서 매우 섬세한 기술이 요구되어 비현실적이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개시된 나무인형은 대퇴관절과 견관절 각각이 가로방향으로 뻗은 수평축을 채용하고 있어서, 다리를 벌리거나 팔을 펼치는 구현을 제공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특허 등록 제10-1516191호(명칭: 스탠드형 나무인형)에도 이러한 나무인형이 개시된다.
이러한 나무인형은 중량체인 베이스(1); 상기 베이스(1)의 윗면에 기립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한 쌍의 기둥(3); 상기 한 쌍의 기둥(3)의 상단부에 장착된 몸통(4)으로서, 높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키이 핀(5)을 개재하여 상기 기둥(3)에 장착된 복부(6)와 그리고 상기 복부(6)의 정부에 형성된 돌출부(6a)가 밑면에 마련된 요부(7a)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뻗은 제1가로축(41)이 상기 돌출부(6a)와 상기 요부(7a)를 관통하여 상기 복부(6)에 전후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흉부(7)를 포함하고 있는 상기 몸통(4); 상기 흉부(7)의 정부에 형성된 돌출부(7b)가 밑면에 마련된 요부(8a)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뻗은 제2가로축(42)이 상기 돌출부(7b)와 상기 요부(8a)를 관통하여 상기 흉부(7)에 전후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두부(8); 상기 복부(6)를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돌출되어 상기 복부(6)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제3가로축(43)에 기단이 세로방향으로 뻗은 제1핀(P1)을 개재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다리(10); 및 상기 흉부(7)를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양단이 돌출되어 상기 흉부(7)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 제4가로축(44)에 기단이 세로방향으로 뻗은 제4핀(P4)을 개재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링크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팔(20)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나무인형은 베이스 및 한 쌍의 기둥에 등이 고정됨으로써 동작이 부자연스러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나무인형의 각 관절이 힌지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힌지핀은 회전가능한 구조이므로, 다관절로 된 나무인형을 직립하는 경우, 각 관절이 구부러짐으로써 자립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등록 제 10-1516191호(명칭: 스탠드형 나무인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관절로 구성된 나무인형으로서, 각 관절을 조립가능한 핀으로 연결하되, 관절의 자유회전을 방지함으로써 직립이 가능한 다관절 나무인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무인형의 몸통, 두부, 양팔, 양다리로 구성하고, 각 구성을 분해조립이 가능한 관절 구조 및 핀으로 연결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분해 조립이 가능하고, 조립시 구부러짐이 없이 자립할 수 있는 다관절 나무인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가슴 및 복부를 형성하는 몸통(3)과;
몸통(3)의 상부에 제 1관절(11)에 의하여 연결되는 두부(5)와;
몸통(3)의 상부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선회축(4)의 양측부에 제 2 및 제 3관절(12,13)에 의하여 연결되는 한 쌍의 팔(7,9)과;
몸통(3)의 하부에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선회축(6)의 양측부에 제 4 및 제 5관절(15,17)에 의하여 연결되는 한 쌍의 다리(8,10)와;
제 1 내지 제 5관절(11,12,13,15,17)에 삽입되어 관절을 서로 연결하되 관절이 서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나무인형(1)이 조립된 후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며,
복수의 핀은 제 1 내지 제 5관절(11,12,13,15,17)을 관통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제 1 내지 제 5핀(P1,P2,P3,P4,P5)을 포함하는 다관절 나무인형(1)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나무인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나무인형을 구성하는 각 부분을 암수결합방식의 관절로 결합하고, 각 관절에 핀을 삽입하여 연결하되, 핀의 단면을 타원 혹은 다각형 단면으로 하고 이 핀이 삽입되는 관통홀도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핀을 중심으로 암수결합된 관절이 자유로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관절 나무인형이 조립된 후에도 구부러지지 않고 직립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나무인형의 몸통, 두부, 양팔, 양다리로 구성하고, 각 구성을 분해조립이 가능한 관절 구조 및 핀으로 연결함으로써 학생들이 필요에 따라 피노키오 형상의 인형을 각 구성별로 분해 조립을 해봄으로써 보다 친숙해질 수 있어서 교육목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인형의 조립을 완료한 경우, 다관절로 인하여 구부러질 수 있으나 타원 단면의 핀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인형이 직립상태로 자립할 수 있어서 전시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넷째, 양팔 혹은 양다리를 선회축으로 연결하되, 선회축을 2부분으로 구성하고, 회전 프레임 및 고정부재로 서로 연결하여 회전가능한 구조로 함으로써 양팔 혹은 양다리를 용이하게 자유자재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립이 가능한 다관절 나무인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다관절 나무인형의 양팔이 벌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관절 나무인형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 2관절의 돌출바가 수납구에 암수결합된 상태에서 핀이 관통하여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제 1 및 제 2선회축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나무인형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관절 나무인형(1)은 몸통(3), 두부(5), 한 쌍의 팔(7,9), 한 쌍의 다리(8,10), 핀 부재(P1,P2,P3,P4,P5)로 구성됨으로써, 각 부분을 관절(11,12,13,15,17)의 결합에 따라 결합하여 나무인형(1) 전체를 조립할 수 있고, 동시에 각 관절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립된 나무인형(1)이 자체적으로 직립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다관절 나무인형(1)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관절 나무인형(1)은 가슴 및 복부를 형성하는 몸통(3)과; 몸통(3)의 상부에 제 1관절(11)에 의하여 연결되는 두부(5)와; 몸통(3)의 상부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선회축(4)의 양측부에 제 2 및 제 3관절(12,13)에 의하여 연결되는 한 쌍의 팔(7,9)과; 몸통(3)의 하부에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선회축(6)의 양측부에 제 4 및 제 5관절(15,17)에 의하여 연결되는 한 쌍의 다리(8,10)와; 제 1 내지 제 5관절(11,12,13,15,17)에 삽입되어 관절을 서로 연결하되 관절이 서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나무인형(1)이 조립된 후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핀(P1,P2,P3,P4,P5)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관절 나무인형(1)에 있어서,
제 1관절(11)은 몸통(3)의 상부에서 돌출된 제 1돌출바(19)와, 두부(5)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 1돌출바(19)가 삽입되는 제 1수납구(21)로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핀중 제 1핀(P1)이 제 1돌출바(19) 및 제 1수납구(21)를 측방향(제 1돌출바가 제 1수납구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하여 측방향)에서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제 1돌출바(19)가 제 1수납구(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1핀(P1)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1핀(P1)이 원형 단면인 경우에는 암수결합된 제 1돌출바(19)와 제 1수납구(21)가 서로 회전하게 됨으로써 두부가 몸통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자유로이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핀(P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단면 혹은 다각형 단면을 갖으며, 제 1돌출바(19) 및 제 1수납구(21)에 형성된 관통홀(h)도 이에 대응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몸통(3)의 제 1돌출바(19)가 두부(5)의 제 1수납구(21)에 제 1핀(P1)에 의하여 연결되지만, 전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핀(P1)은 길이방향으로 테이퍼진 쐐기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홀(h)도 이에 대응하도록 내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로 감소되는 쐐기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쐐기 형상을 갖음으로써 제 1돌출바(19) 및 제 1수납구(21)에 형성된 관통홀(h)에 제 1핀(P1)이 삽입되는 경우, 일정 깊이로 삽입되면 더 이상 삽입되지 않게 되므로 삽입되는 깊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몸통의 상부에는 상부 관통홀(h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하부 관통홀(h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관통홀(h1)에는 제 1선회축(4)이 결합되고, 하부 관통홀(h2)에는 제 2선회축(6)이 결합된다.
상기 제 1선회축(4)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부분으로 구성되어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구조이다. 즉, 제 1선회축(4)은 좌측에 배치되는 제 1바디(50)와; 우측에 배치되는 제 2바디(52)와; 제 1바디(5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된 제 1고정부재(54)와; 제 2바디(52)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 1고정부재(54)가 관통하여 회전가능한 제 1회전 프레임(58)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 1선회축(4)에 있어서, 제 1바디(50)는 일측면에 제 1체결홈이 형성되고, 제 1체결홈에는 제 1고정부재(54)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제 1고정부재(54)는 다양한 종류가 가능하며, 예를 들면 나사, 볼트 혹은 핀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나사머리를 회전시키거나, 혹은 해머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제 1고정부재(54)를 제 1바디(50)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고정부재(54)에는 상기 제 1회전 프레임(58)이 결합됨으로써 제 2바디(52)가 제 1바디(50)에 대하여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제 1회전 프레임(58)은 와이어와 같은 선재를 사각 형상으로 절곡시킨 구조이며, 일단은 제 1고리(60)가 형성됨으로써 제 1고정부재(54)에 결합된다. 그리고 타단은 제 2바디(52)에 형성된 제 1가이드홀(62)에 삽입된다.
결국, 제 2바디(52)에는 제 1회전 프레임(58)이 결합된 상태이고, 제 1회전 프레임(58)의 선단에 형성된 제 1고리(60)에는 제 1고정부재(54)가 관통하여 제 1바디(50)에 고정된 구조이다.
따라서, 제 2바디(52)는 제 1바디(50)에 대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자유스럽게 회전가능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바디(50)의 타단에는 제 2관절에 의하여 일측 팔이 연결되고, 제 2바디(52)의 타단에는 제 3관절에 의하여 타측팔이 연결된다.
따라서, 양측의 팔은 제 1 및 제 2바디(50,52)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어서 각각 벌리거나 오무리거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선회축(6)도 제 1선회축(4)과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몸통의 하부에 장착되어 한 쌍의 다리가 연결되는 차이점이 있다.
즉, 제 2선회축(6)은 좌측에 배치되는 제 3바디(70)와; 우측에 배치되는 제 4바디(74)와; 제 3바디(7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된 제 2고정부재(76)와; 제 4바디(74)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 2고정부재(76)가 관통하여 회전가능한 제 2회전 프레임(8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제 2선회축(6)에 있어서, 제 3바디(70)는 일측면에 제 2체결홈(78)이 형성되고, 제 2체결홈(78)에는 제 2고정부재(76)가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때 제 2고정부재(76)는 다양한 종류가 가능하며, 예를 들면 나사, 볼트 혹은 핀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버 혹은 해머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제 2고정부재(76)를 제 2바디(70)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고정부재(76)에는 상기 제 2회전 프레임(80)이 결합됨으로써 제 4바디(74)가 제 3바디(70)에 대하여 중심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제 2회전 프레임(80)은 와이어와 같은 선재를 사각 형상으로 절곡시킨 구조이며, 일단은 제 2고리(82)가 형성됨으로써 제 2고정부재(76)에 결합된다. 그리고 타단은 제 4바디(74)에 형성된 제 2가이드홀(74)에 삽입된다.
결국, 제 4바디(74)에는 제 2회전 프레임(80)이 결합된 상태이고, 제 2회전 프레임(80)의 선단에 형성된 제 2고리(82)에는 제 2고정부재(76)가 관통하여 제 3바디(70)에 고정된 구조이다.
따라서, 제 4바디(74)는 제 3바디(70)에 대하여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자유스럽게 회전가능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제 3바디(70)의 타단에는 제 4관절에 의하여 일측 다리가 연결되고, 제 4바디(74)의 타단에는 제 5관절에 의하여 타측 다리가 연결된다.
따라서, 양측의 다리는 제 3 및 제 4바디(70,74)에 의하여 연결됨으로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어서 각각 벌리거나 오무리거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 1선회축(4)의 양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팔(7,9)은 제 2 및 제 3관절(12,13)에 의하여 연결된다. 즉, 제 1바디(50)의 일측에는 제 2관절(12)에 의하여 일측 팔(7)이 연결되고, 제 2바디(52)의 타측에는 제 3관절(13)에 의하여 타측 팔(9)이 연결된다.
이러한 제 2 및 제 3관절(12,13)은 동일한 구조를 갖음으로 제 2관절(12)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2관절(12)은 제 1바디(50)의 일측에서 돌출된 제 2돌출바(23)와, 일측 팔(7)의 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 2돌출바(23)가 삽입되는 제 2수납구(25)로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핀 중 제 2핀(P2)이 제 2돌출바(23) 및 제 2수납구(25)를 측방향(제 2돌출바가 제 2수납구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하여 측방향)에서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제 2돌출바(23)가 제 2수납구(25)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2핀(P2)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2핀(P2)도 제 1핀(P1)과 동일하게 타원형 단면 혹은 다각형 단면을 갖고, 쐐기형상을 갖으며, 제 2돌출바(23) 및 제 2수납구(25)에 형성된 관통홀(h)도 이에 대응한 단면 및 쐐기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제 2돌출바(23)가 일측 팔(7)의 제 2수납구(25)에 제 2핀(P2)에 의하여 연결되지만, 측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제 3관절(13)도 제 2관절(12)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바, 제 2바디(52)의 타측에서 돌출된 제 3돌출바(27)와, 타측 팔(9)의 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 3돌출바(27)가 삽입되는 제 3수납구(29)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3핀(P3)이 관통함으로써 제 3돌출바(27)가 제 3수납구(29)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3핀(P3)에 의하여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 2선회축(6)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다리(8,10)는 제 4 및 제 5관절(15,17)에 의하여 연결된다. 즉, 제 3바디(70)의 일측에는 제 4관절(15)에 의하여 일측 다리(8)가 연결되고, 제 4바디(74)의 타측에는 제 5관절(17)에 의하여 타측 다리가 연결된다.
이러한 제 4 및 제 5관절(15,17)은 동일한 구조를 갖음으로 제 4관절(15)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4관절(15)은 제 3바디(70)의 일측에서 돌출된 제 4돌출바(31)와, 일측 다리(8)의 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 4돌출바(31)가 삽입되는 제 4수납구(33)로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핀중 제 4핀(P4)이 제 4돌출바(31) 및 제 4수납구(33)를 측방향(제 4돌출바가 제 4수납구에 결합되는 방향에 대하여 측방향)에서 관통하게 된다.
따라서, 제 4돌출바(31)가 제 4수납구(33)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4핀(P4)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 4핀(P4)도 제 1핀(P1)과 동일하게 타원형 단면 혹은 다각형 단면과 쐐기형상을 갖으며, 제 4돌출바(31) 및 제 4수납구(33)에 형성된 관통홀(h)도 이에 대응한 단면 및 길이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몸통(3)의 제 4돌출바(31)가 일측 다리(8)의 제 4수납구(33)에 제 4핀(P4)에 의하여 연결되지만, 측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은 방지될 수 있다.
제 5관절(17)도 제 4관절(15)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바, 몸통(3)의 하부 타측에서 돌출된 제 5돌출바(35)와, 타측 다리(10)의 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 5돌출바(35)가 삽입되는 제 5수납구(37)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 5핀(P5)이 관통함으로써 제 5돌출바(35)가 제 5수납구(37)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 5핀(P5)에 의하여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 1 내지 제 5관절(11,12,13,15,17) 이외에도, 한 쌍의 팔(7,9)과 다리(8,10)의 중간에도 관절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팔(7,9)의 중간에는 제 6 및 제 7관절(39,41)이 배치되고; 한 쌍의 다리(8,10)의 중간에는 제 8 및 제 9관절(43,45)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6 내지 제 9관절(39,41,43,45)은 상기 제 2 내지 제 5관절과 동일하게 암수 결합 구조이다.
그리고, 제 6 및 제 7관절(39,41,43,45)에도 핀(P6,P7,P8,P9)이 삽입됨으로써 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 6관절(39)에는 제 6핀(P6), 제 7관절(41)에는 제 7핀(P7), 제 8관절(43)에는 제 8(P8)핀, 제 9관절(45)에는 제 9핀(P9)이 각각 삽입된다.
이때 제 6 내지 제 9핀(P6,P7,P8,P9)은 제 1핀(P1)과 동일한 단면 및 길이형상을 갖음으로 관절은 서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제안하는 다관절 나무인형은 각 구성요소를 조립가능한 관절구조로 함으로써 교육목적으로 조립할 수 있고, 또한, 조립후에는 관절에 핀을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관절이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자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6)

  1. 가슴 및 복부를 형성하는 몸통(3)과;
    몸통(3)의 상부에 제 1관절(11)에 의하여 연결되는 두부(5)와;
    몸통(3)의 상부를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1선회축(4)의 양측부에 제 2 및 제 3관절(12,13)에 의하여 연결되는 한 쌍의 팔(7,9)과;
    몸통(3)의 하부에 측방향으로 관통하는 제 2선회축(6)의 양측부에 제 4 및 제 5관절(15,17)에 의하여 연결되는 한 쌍의 다리(8,10)와;
    제 1 내지 제 5관절(11,12,13,15,17)에 삽입되어 관절을 서로 연결하되 관절이 서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나무인형(1)이 조립된 후 직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며,
    복수의 핀은 제 1 내지 제 5관절(11,12,13,15,17)을 관통하여 회전을 방지하는 제 1 내지 제 5핀(P1,P2,P3,P4,P5)을 포함하는 다관절 나무인형(1).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관절(11)은 몸통(3)의 상부에서 돌출된 제 1돌출바(19)와, 두부(5)의 하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 1돌출바(19)가 삽입되는 제 1수납구(21)를 포함하며, 제 1핀(P1)이 제 1돌출바(19)와 제 1수납구(21)를 관통하는
  3. 제 1항에 있어서,
    제 1선회축(4)은 좌측에 배치되는 제 1바디(50)와; 우측에 배치되는 제 2바디(52)와; 제 1바디(5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된 제 1고정부재(54)와; 제 2바디(52)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 1고정부재(54)가 관통하여 회전가능한 제 1회전 프레임(58)을 포함하며,
    제 2선회축(6)은 좌측에 배치되는 제 3바디(70)와; 우측에 배치되는 제 4바디(74)와; 제 3바디(7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된 제 2고정부재(76)와; 제 4바디(74)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 2고정부재(76)가 관통하여 회전가능한 제 2회전 프레임(80)을 포함하는 다관절 인형(1).
  4. 제 3항에 있어서,
    제 2관절(12)은 제 1선회축(4)의 제 1바디(50)의 타측에서 돌출된 제 2돌출바(23)와, 일측 팔(7,9)의 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 2돌출바(23)가 삽입되는 제 2수납구(25)를 포함하며, 제 2핀(P2)이 제 2돌출바(23)와 제 2수납구(25)를 관통하고,
    제 3관절(13)은 제 1선회축(4)의 제 1바디(50)의 일측에서 돌출된 제 3돌출바(27)와, 타측 팔(7,9)의 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 3돌출바(27)가 삽입되는 제 3수납구(29)를 포함하며, 제 3핀(P3)이 제 3돌출바(27)와 제 3수납구(29)를 관통하는 다관절 나무인형(1).
  5. 제 3항에 있어서,
    제 4관절(15)은 제 2선회축(6)의 제 3바디(70)의 타측에서 돌출된 제 4돌출바(31)와, 일측 다리(8,10)의 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 4돌출바(31)가 삽입되는 제 4수납구(33)를 포함하며, 제 4핀(P4)이 제 4돌출바(31)와 제 4수납구(33)를 관통하고,
    제 5관절(17)은 제 2선회축(6)의 제 4바디(74)에서 돌출된 제 5돌출바(35)와, 타측 다리(8,10)의 단부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 5돌출바(35)가 삽입되는 제 5수납구(37)를 포함하며, 제 5핀(P5)이 제 5돌출바(35)와 제 5수납구(37)를 관통하는 다관절 나무인형(1).
  6. 제 1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5핀(P1,P2,P3,P4,P5)은 타원형 단면 혹은 다각형 단면을 가지며, 제 1 내지 제 5관절(11,12,13,15,17)에 형성된 단면 혹은 다각형 단면의 관통홀을 관통함으로서 회전이 방지될 수 있는 다관절 나무인형(1).




KR1020160160535A 2016-11-29 2016-11-29 직립이 가능한 다관절 나무인형 KR201800607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535A KR20180060713A (ko) 2016-11-29 2016-11-29 직립이 가능한 다관절 나무인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0535A KR20180060713A (ko) 2016-11-29 2016-11-29 직립이 가능한 다관절 나무인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713A true KR20180060713A (ko) 2018-06-07

Family

ID=6262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0535A KR20180060713A (ko) 2016-11-29 2016-11-29 직립이 가능한 다관절 나무인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07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50A1 (ko) 2018-05-28 2019-12-05 (주)뉴트리 해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20048226A (ko) * 2020-10-12 2022-04-19 임하람 조립식 발향 인형 및 이를 포함하는 발향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0064A (ja) * 2005-08-17 2007-03-01 Kaiyodo:Kk 可動玩具のジョイント、及び可動玩具
JP4649804B2 (ja) * 2001-09-03 2011-03-16 ソニー株式会社 脚式移動ロボット並びに脚式移動ロボットのための可動脚組み立て構造
KR101516191B1 (ko) 2014-09-15 2015-05-04 신동옥 스탠드형 목각인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9804B2 (ja) * 2001-09-03 2011-03-16 ソニー株式会社 脚式移動ロボット並びに脚式移動ロボットのための可動脚組み立て構造
JP2007050064A (ja) * 2005-08-17 2007-03-01 Kaiyodo:Kk 可動玩具のジョイント、及び可動玩具
KR101516191B1 (ko) 2014-09-15 2015-05-04 신동옥 스탠드형 목각인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31150A1 (ko) 2018-05-28 2019-12-05 (주)뉴트리 해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220048226A (ko) * 2020-10-12 2022-04-19 임하람 조립식 발향 인형 및 이를 포함하는 발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746839A (en) Toy builders
US9227145B2 (en) Planar-part-based toy assembly set
US8834225B2 (en) Creature construction toy
US20100041300A1 (en) Modular multi-piece figures from rearrangeable elements and kits allowing construction of same
US4669998A (en) Humanoid figure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CN104859745A (zh) 一种在腰部使用变胞机构的多足仿生机器人
KR20180060713A (ko) 직립이 가능한 다관절 나무인형
JP6774540B1 (ja) 関節構造及び人形体
JP6030615B2 (ja)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US20120156960A1 (en) Transformable Toy Robot
US1579367A (en) Jointed figure toy
JP2019030684A (ja)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JPH0316713Y2 (ko)
US4063381A (en) Articulated puppet
CN212038988U (zh) Bjd娃娃公仔
US604243A (en) graves
KR101516191B1 (ko) 스탠드형 목각인형
CN212998360U (zh) 一种球关节玩偶
KR102620241B1 (ko) 무관절 인형에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는 관절형 조인트 세트
KR101223971B1 (ko) 문자 학습용 로봇 완구
TW201808416A (zh) 組裝式模型玩具及其零件
JP3216193U (ja) ぬいぐるみに内蔵される骨組構造体セット
CN212914504U (zh) 一种可隐藏肢体的多形态转动变形玩具
JP6411429B2 (ja) 人形玩具の肩関節構造及び人形玩具
KR200460490Y1 (ko) 조립식 블록완구용 스윙연결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07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720

Effective date: 2020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