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219A - A stabl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A stabl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219A
KR20180060219A KR1020160159464A KR20160159464A KR20180060219A KR 20180060219 A KR20180060219 A KR 20180060219A KR 1020160159464 A KR1020160159464 A KR 1020160159464A KR 20160159464 A KR20160159464 A KR 20160159464A KR 20180060219 A KR20180060219 A KR 20180060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motor
electric vehicle
wheeled electric
suppor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4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35858B1 (en
Inventor
박종현
Original Assignee
(주)케이피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피엘 filed Critical (주)케이피엘
Priority to KR1020160159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858B1/en
Publication of KR20180060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2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8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07Automatic balancing machines with single main ground engaging wheel or coaxial wheels supporting a ri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bl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which supports a stop state of th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as a support stand is automatically operated in accordance with a result to detect whether th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is used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bl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comprises: a body in which a first drive motor is provided at a left side, a second drive motor is provided at a right side, and a third drive motor is formed therein; a left wheel coupled to a left side of the body to rotate by the first drive motor, and a right wheel coupled to a right side of the body to rotate by the second drive motor; a support column formed at an upper side of the body, and provided with a handle in an upper end thereof; and a support stand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body, and capable of moving in accordance with rotation of the third drive motor.

Description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 전동차{A stable two-wheeled electric vehic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bl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은 이륜 전동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이륜전동차 사용 여부 감지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지지스탠드가 동작하여 이륜 전동차의 정지 상태를 지지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 전동차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wo-wheeled electric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wo-wheeled electric vehicle improved in stability that supports a standstill state of a two-wheeled electric vehicle by automatically operating a support stand according to a result of detection of a user's use of a two-

세그웨이(Segway)는 미국의 발명가인 '딘 카멘(Dean Kamen)'이 2001년에 공개한 1인용 이동수단이며, 자동으로 중심을 잡고 몸의 움직임만으로 전진, 후진 및 회전이 가능한 스쿠터 형태의 장치이다.The Segway is a single-person movement released by US inventor Dean Kamen in 2001 and is a scooter-like device that automatically centers, moves forward, reverses and rotates with body movement .

세그웨이는 바퀴 두 개가 좌우로 달려 있으며, 사용자는 디지털 열쇠를 꼽고 발판 위에 올라선 뒤 원하는 방향으로 몸을 조금씩 기울이면 그 방향으로 자동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리고 브레이크가 따로 없이 몸을 뒤쪽으로 기울이는 동작으로 정지가 이루어진다. 전기동력을 사용하며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자이로스코프와 바퀴 사이에서 제어 명령 기능을 담당하며, 최대 시속 19㎞(12마일)의 속도를 낼 수 있다.The Segway has two wheels on each side, and the user taps the digital key, climbs over the footboard, and tilts the body slightly in the desired direction. And stopping is done by tilting the body backward without any brake. It uses electric power, and the microprocessor controls the gyroscope and the wheels, and can speed up speeds up to 19 kilometers (12 miles) per hour.

좀더 구체적으로, 세그웨이의 작동을 위하여 5개의 자이로 센서와 2개의 가속도 센서로 기울기와 가속도를 감지하게 되는데, 감지에 따른 세그웨이의 제어는 도립진자 제어원리가 이용된다. 도립진자는 무게 추가 회전 중심 보다 위에 있는 진자를 말하며, 이러한 무게 추의 균형을 잡는 것과 같은 원리로 세그웨이가 가속되거나 멈추게 된다.More specifically, for the operation of the Segway, five gyro sensors and two acceleration sensors detect the tilt and the acceleration, and the control of the Segway according to the detection uses the principle of the pendulum pendulum control. An inverted pendulum refers to a pendulum above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Segway accelerates or stops with the same principle of balancing these weights.

최근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환경문제 및 저공해 에너지 기술개발에 대한 관심증가에 따라 국내에서도 세그웨이와 같은 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이륜장치의 불안정한 요소를 해결하기 위하여 목적으로도 이 런 장치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the development of devices such as Segway has been developed in Korea due to the increasing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related problems and low-emission energy technologies due to the use of fossil fuels. Also, in order to solve the unstable elements of the dual-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being carried out.

한편, 중국공개특허 104743024호(출원번호 2015-10145111호)에는 이륜 전동차의 지지기둥 기울기 변화에 따라 supporting rod가 동작하여 지지기둥이 지면과 대략 수평을 이루면, supporting rod가 지면을 지지하여 이륜 전동차의 정지 상태를 지지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Chinese Patent Laid-Open No. 104743024 (Application No. 2015-10145111), when the support rod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upporting column inclination of th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and the support column is substantially horizontal to the ground, the supporting rod supports the ground, The contents to support the stop state are disclosed.

이 특허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륜 전동차를 정지시킨 후에, 지지기둥을 지면과 수평하도록 기울여야 하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존재하고, 이륜 전동차가 주차하는 공간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patent, since the user must tilt the support column horizontally to the ground after the user stops th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there is a disadvantage in use,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space for parking th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becomes large.

중국공개특허 104743024호Chinese Patent Publication No. 104743024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륜전동차 사용 여부 감지 결과에 따라 자동으로 지지스탠드가 동작하여 이륜 전동차의 정지 상태를 지지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 전동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wo-wheeled electric vehicle improved in stability that supports a standstill state of a two-wheeled electric vehicle by automatically operating a support stand according to a result of user's use of th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 전동차는,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wo-

좌측에 제1 구동모터가 구비되고 우측에 제2 구동모터가 구비되며 내부에 제3 구동모터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좌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좌륜 및 상기 몸체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우륜; 상기 몸체 상측에 형성되며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지지기둥; 및, 상기 몸체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3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이동 가능한 지지스탠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ody provided with a first drive motor on the left side, a second drive motor on the right side, and a third drive motor inside; A right wheel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body and rotated by the first driving motor and a right wheel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body and rotated by the second driving motor; A support pillar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handle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support stand which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and is movabl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hird drive motor.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발판; 상기 발판 하부에 형성되는 압력 센서;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된 제3 구동모터; 상기 몸체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이동 가능한 지지스탠드; 상기 압력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3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스탠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ncludes: a footrest on which a user's foot is seated; A pressure sensor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ootrest; A third drive motor formed inside the body; A support stand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and movable along the rotation of the third drive motor;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stan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third drive motor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몸체 또는 지지기둥에는 보호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ector is formed on the body or the support column.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몸체의 좌측에는 상기 좌륜의 상부와 이격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좌측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우측에는 상기 우륜의 상부와 이격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우측 커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ft cover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left wheel, and is rota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right cover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ight wheel, And a right cover is formed.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좌측 커버 및 상기 우측 커버의 상부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tching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eft cover and the right cover.

기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른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embodiments of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의 발이 발판에서 이탈/안착할 때 발판 하부의 압력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이탈/안착 감지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부는 모터의 정회전/역회전을 제어하여 지지스탠드를 이동시켜서 이륜 전동차의 정지 상태를 지지하거나 또는 정지 상태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s foot is released / mounted on the footrest, the pressure sensor at the lower part of the footrest senses it and transmits an escape / seating detection signal. The supporting stand can be moved so as to support the stop state of the two-wheel electric vehicle or to release the stop state.

또한, 직립 상태로 주차가 가능하므로, 협소한 공간에서도 자동 주차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parking is possible in an upright state, automatic parking is possible even in a small space, and us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몸체 또는 지지기둥에는 보호대를 구비하여, 운행시 사용자의 하체에 부딪히는 공기에 의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고시 사용자의 하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or the support column is provided with a protector,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mpact caused by the air hitting the user's lower body during operation, and to protect the user's lower body safel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또한, 보호대의 무게로 인해, 무게 중심이 더욱 지면에 가깝게 되어 안정성 및 균형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due to the weight of the protector, the center of gravity becomes closer to the ground surface, and stability and balan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 전동차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 전동차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어부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wo-wheeled electric vehicle with improved st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wo-wheeled electric vehicle with improved st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is intended to illustrate and describe the specific embodiments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 전동차를 설명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ing" are us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Hereinafter, a two-wheeled electric vehicle with improved st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 전동차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 전동차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제어부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wo-wheeled electric vehicle with improved st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wo-wheeled electric vehicle with improved st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 전동차(이하 ‘이륜 전동차’)는 몸체(100), 좌륜(200), 우륜(300), 지지기둥(400)을 포함한다.1, a two-wheeled electric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wo-wheel electric vehicle') having improved st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 left wheel 200, a right wheel 300, .

몸체(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륜 전동차(1)의 중심을 이루며, 그 내부에 배터리(180), 배터리(18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제1 구동모터(150), 제2 구동모터(160), 제3 구동모터(170), 이륜 전동차(1)의 각부 구성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구성하는 각종 기판 및 센서 등이 구비된다.The body 100 is a center of th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cludes a battery 180, a first driving motor 150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180, A third drive motor 170, and various boards and sensors constituting a control unit 7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two-wheeled motor vehicle 1 are provided.

몸체(100)에는 배터리(180)의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100)의 하측에는 이륜 전동차(1)의 미사용시 안정된 거치를 위하여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스탠드(S)가 형성된다.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battery 180 is formed on the body 100. Further, a support stand S supported on the ground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100 for stable mounting when the two-wheel electric vehicle 1 is not used.

지지스탠드(S)의 일단은 고무 패킹으로 커버되어 지면에 닿고, 지지스탠드(S)의 타단은 제3 구동모터(170)의 회전축과 연결 형성되어 제3 구동모터(170)의 정회전/역회전에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3 구동모터(170)의 정회전 시에는 일 방향으로 회동하여 지지스탠드(S)의 타단이 지면에 닿도록 이동하여 이륜 전동차의 정지 상태를 지지하고, 제3 구동모터(170)의 역회전 시에는 타 방향으로 회동하여 지지스탠드(S)의 타단이 지면으로부터 이탈하도록 이동하여 이륜 전동차의 정지 상태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구동모터(17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은 발판(110) 하부에 형성되는 압력 센서(130)의 감지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700)의 제어에 따라 이루어진다.One end of the support stand S is covered with a rubber packing and contacts the grou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stand S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third drive motor 170, And is formed to be movable along the rotation. For example, when the third drive motor 17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it rotates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stand S touches the ground surface to support the stopped state of the tw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stand S is moved away from the ground to release the stopped state of th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The forward rotation or the reverse rotation of the third drive motor 170 is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700 that receives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130 formed under the foot plate 110.

제1 구동모터(150)는 몸체(100)의 좌측에 구비되고 제2 구동모터(160)는 몸체(100)의 우측에 구비되는데, 제1 구동모터(150)와 제2 구동모터(160)는 서로 개별적으로 구동되어 이륜 전동차(1)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1 구동모터(150) 및 제2 구동모터(160)는 통상의 직류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driving motor 150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body 10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body 100. The first driving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So that th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1 is rotated. The first drive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e motor 160 may be made of a normal DC motor.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이륜 전동차(1)에서는 좌륜(200)과 우륜(300), 2개의 바퀴가 구비되며, 기본적으로 이러한 2개의 바퀴만으로 구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좌륜(200)은 제1 구동모터(150)에 연결(직접연결, 기어의 조합 또는 밸트 및 풀리 등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음)되어 회전하고, 우륜(300)은 제2 구동모터(160)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좌륜(200)과 제1 구동모터(150) 및 우륜(300)과 제2 구동모터(160)는 몸체(100) 상에서 서로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진다.In th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wheel 200, the right wheel 300, and two wheels are provided. Basically, the two wheels are driven. The left wheel 200 is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motor 150 (may be connected by a direct connection, a combination of gears or a belt and a pulley) and rotates, and the right wheel 3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And the left wheel 200 and the first driving motor 150 and the right wheel 300 and the second driving motor 160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each other on the body 100.

지지기둥(400)은 몸체(100) 상측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단에 손잡이부(410) 및 표시부(420)가 형성된다. 지지기둥(400)은 몸체(100)와 완전히 고정된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되는 것은 아니고, 몸체(100)를 기준으로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The support pillar 400 is formed long on the body 100 and has a handle 410 and a display unit 420 formed thereon. The support pillars 400 are not combined with the body 100 in a completely fixed form, but can be rotated to the left or righ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respect to the body 100.

즉, 지지기둥(400)은 지지기둥(400)의 하단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지지기둥(400)에 별도의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지지기둥(400)은 몸체(100)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중앙에 놓이게 되며, 어느 한쪽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도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다시 중앙 위치로 회복되게 된다. 이러한 지지기둥(400)의 위치 회복을 위하여 스프링과 같은 별도의 탄성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That is, the support column 400 is formed to be rotatable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column 400. When no additional load is applied to the support column 400, the support column 400 is centered without being shifted to the left or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body 100. Even when the support column 400 is rotated in either direction, In the state, it is restored to the central position again. A separate elastic means (not shown), such as a spring, is provided to restore the position of the support column 400.

지지기둥(400)이 왼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제2 구동모터(160)의 회전속도가 제1 구동모터(150)에 비해 증가하게 되어 이륜 전동차(1)는 왼쪽으로 회전하게 되고, 반대로 지지기둥(400)이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제1 구동모터(150)의 회전속도가 제2 구동모터(160)에 비해 증가하게 되어 이륜 전동차(1)는 오른쪽으로 회전하게 된다.The rotation speed of the second drive motor 160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first drive motor 150 when the support column 400 is tilted to the left so that the two-rail electric vehicle 1 is rotated to the left, 400 is tilted to the right,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irst drive motor 150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second drive motor 160, so that the two-rail electric vehicle 1 is rotated to the right.

이러한 지지기둥(400)의 기울어짐은 감지센서(710)에 의해 감지되고 제어부(700)에 의해 제1 구동모터(150) 및 제2 구동모터(160)의 속도제어가 이루어진다.The inclination of the support column 400 is sensed by the sensing sensor 710 and the speed of the first drive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e motor 16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700.

아울러 지지기둥(400)은 몸체(100)와 함께 앞쪽 또는 뒤쪽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데, 지지기둥(400)이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도립진자 제어원리에 따라 제1 구동모터(150) 및 제2 구동모터(160)의 회전속도는 증가하여 이륜 전동차(1)는 전방으로 가속되고, 지지기둥(400)이 뒤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는 제1 구동모터(150) 및 제2 구동모터(160)의 회전속도가 감소하면서 감속 내지 정지가 이루어진다.The supporting column 400 may be inclined forward or backward together with the body 100. When the supporting column 400 is tilted forward, the first driving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160 is increased so that the two-rail electric motor 1 is accelerated forward and the rotation of the first drive motor 150 and the second drive motor 160 when the support column 400 is inclined backward Deceleration or stopping is achieved with decreasing speed.

몸체(100) 또는 지지기둥(400)에는 보호대(500)가 형성된다. 보호대(500)는 운행시 사용자의 하체에 부딪히는 공기에 의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고시 사용자의 하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대의 무게로 인해, 무게 중심이 더욱 지면에 가깝게 되어 안정성 및 균형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Protector 500 is formed on body 100 or support pillar 400. The protector 500 can prevent an impact caused by air hitting a user's lower body during operation, and can safely protect a user's lower bod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Further, due to the weight of the protector, the center of gravity becomes closer to the ground surface, and stability and balance can be improved.

지지기둥(400)은 길이가 가변적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한쌍의 지지기둥 각각은 상측기둥과 하측기둥으로 구분되고, 상측기둥과 하측기둥이 서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측기둥과 하측기둥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pport pillars 400 may have a variable length. That is, each of the pair of support pillars is divided into an upper column and a lower column, and the upper column and the lower column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 fixing pin (not shown) for fixing the upper column and the lower column to each other may be formed have.

감지센서(710)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와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륜 전동차(1)의 기울기 및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감지센서(710)는 몸체(100)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detection sensor 710 may include a gyro sensor and an acceleration sensor so that the inclination and acceleration of th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1 can be detected. The detection sensor 710 may be formed inside the body 100.

본 발명의 이륜 전동차(1)는 앞쪽, 뒤쪽, 왼쪽 및 오른쪽으로의 기울기를 감지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4개의 자이로 센서를 포함하고, 나아가 오류 보정을 위하여 예비적으로 1개의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four gyro sensors for detecting inclination toward the front, back, left, and right. Further, th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1 may further include one gyro sensor have.

본 발명의 이륜 전동차(1)는 발판(110) 위에 사용자가 올라선 경우, 압력 센서(130) 및 지지스탠드(S)의 작동으로 자동으로 정지 상태가 해제되어 운행 준비상태가 된다. 이를 위하여 몸체(100)는, 발판(110), 발판 하부에 형성되는 압력 센서(130),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고 이동 가능한 지지스탠드(S), 압력 센서(130)의 감지신호에 따라 지지스탠드(S)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한다.In the two-wheeled motor vehic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stands on the foot plate 110, the stop state is automatically released by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sensor 130 and the support stand S, and the vehicle is ready for operation. The body 100 includes a pedestal 110, a pressure sensor 13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pedal, a support stand 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And a control unit 7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S.

발판(110)은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부분이며, 좌측 및 우측에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의 발바닥 모양에 맞도록 전후방향으로 긴 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발판(110)의 상부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요철, 돌기 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ootrest 110 is a portion where the user's feet are seated, and can be separate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is formed by forming a long fac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fit the shape of the user's sole.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10 is provided with concavities and convexities to prevent slippage.

발판(110)은 사용자의 좌측 발이 안착되는 좌측발판(111) 및 우측 발이 안착되는 우측발판(112)으로 구분되고, 좌측발판(111) 및 우측발판(112)은 사용자의 발 크기에 맞도록, 전후길이 20 ~ 40 cm, 좌우폭 15 ~ 30 cm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The footrest 110 is divided into a left footrest 111 on which the left foot of the user is seated and a right footrest 112 on which the right foot is seated, and the left footrest 111 and the right footrest 112 are divided into a left foot 111, It has a size of about 20 ~ 40cm in front and back length, and about 15 ~ 30cm in width.

좌측발판(111) 및 우측발판(112)은 대체로 납작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상하방향으로 탄성변형 될 수 있도록 금속판 또는 고무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사용자의 발의 안정된 지지, 제조의 편의, 중량 감소 및 용이한 탄성변형을 위하여 고무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측발판(111) 및 우측발판(112)의 상하방향의 변형은 대략 5 ~ 30 mm 의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The left footrest 111 and the right footrest 112 are generally formed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may be in the form of a metal plate or a rubber plate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in the form of a rubber plate for stable support of the user's feet, ease of manufacture, weight reduction, and easy elastic deformation. The deformation of the left footplate 111 and the right footplate 112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made in a range of approximately 5 to 30 mm.

본 발명의 이륜 전동차(1)는 이러한 발판(110) 위로 사용자의 탑승 여부를 압력 센서(130)가 감지하여 지지스탠드(S)의 동작을 제어하여 자동으로 이륜 전동차의 정지 상태를 지지하거나 또는 정지 상태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판(110)의 하부에는 압력 센서(130)가 형성된다. Th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user on the footrest 110 by the pressure sensor 13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stand S to automatically support the stopping state of the two- State can be released. For this purpose, a pressure sensor 130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pedestal 110.

압력 센서(130)는 베이스 플레이트(120) 상에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20)는 제1 모터(150), 제2 모터(160), 배터리(180) 등을 덮도록 형성된다.The pressure sensor 130 is formed on the base plate 120 and the base plate 120 is formed to cover the first motor 150, the second motor 160, the battery 180, and the like.

사용자가 발판(110) 위에 탑승하면 압력 센서는 압력값의 증가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700)로 전송한다.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700)는 제3 구동모터(170)의 회전을 일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제어하여 지지스탠드(S)가 지면으로부터 이탈하도록 하여 자동으로 이륜 전동차의 정지 상태를 해제한다. When the user rides on the footstool 110, the pressure sensor senses an increase in the pressure value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700. The control unit 700 receives the sensing signal and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third driving motor 170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to allow the supporting stand S to come off the ground, Release the state.

사용자가 발판(110)에서 내리면 압력 센서는 압력값의 감소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700)로 전송한다.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700)는 제3 구동모터(170)의 회전을 타 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제어하여 지지스탠드(S)가 지면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자동으로 이륜 전동차의 정지 상태를 지지한다. When the user comes down from the foot plate 110, the pressure sensor senses a decrease in the pressure value and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700. [ The controller 700 controls the rotation of the third driving motor 170 in the other direction (for example, clockwise) to move the support stand S to the ground, and automatically stops the rotation of the two- .

본 발명의 이륜 전동차(1)는 몸체의 좌측에는 좌측 커버(610), 몸체의 우측에는 우측 커버(620)가 형성된다. 좌측 커버(610)는 좌륜의 상부와 이격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우측 커버(620)는 우륜의 상부와 이격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사용자의 발 조작으로 좌측 커버(610) 및 우측 커버(620)의 전후 방향 회동을 더욱 용이하게 하도록 좌측 커버(610) 및 우측 커버(620)의 상부면에는 걸림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측 커버(610) 및 우측 커버(620)는 축 연결되어 사용자의 발 조작으로 어느 하나의 커버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나머지 커버도 함께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two-wheeled motor vehic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ft cover 610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body, and a right side cover 620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body. The left cover 61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eft wheel and is rota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right cover 62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right wheel and is rota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On the other hand, a locking portion (not show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left cover 610 and the right cover 620 to further facilitate the front-rear rotation of the left cover 610 and the right cover 620 . In addition, the left cover 610 and the right cover 6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when one of the covers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by manipulating the user's foot, the remaining cover can be rotated together.

사용자가 이륜 전동차(1) 사용 후, 정지하고자 하는 경우, 지지스탠드(S)에 의해 자동정지도 가능하나, 지지스탠드(S) 만으로 정지 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사용자는 발로 좌측 커버(610) 및 우측 커버(620) 중 어느 하나의 커버를 전진시켜서 커버의 단부가 지면에 닿게 하여 정지상태를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이륜 전동차(1) 사용 개시시에는 발로 좌측 커버(610) 및 우측 커버(620) 중 어느 하나의 커버를 후진시켜서 커버의 단부가 지면으로부터 이탈하게 하여 정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When the user wishes to stop after using the two-wheel drive vehicle 1, it is possible to stop automatically by the support stand S. However, if the stop state is unstable only by the support stand S, Any one of the covers 620 may be advanced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cov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thereby completing the stop state. When the two-wheeled motor vehicle 1 is started to be used, any one of the left cover 610 and the right cover 620 may be moved backward to release the end of the cover from the ground, thereby releasing the stationary stat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륜 전동차에 의하면, 사용자의 발이 발판에서 이탈/안착할 때 발판 하부의 압력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이탈/안착 감지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부는 모터의 정회전/역회전을 제어하여 지지스탠드를 회동시켜서 이륜 전동차의 정지 상태를 지지하거나 또는 정지 상태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지스탠드의 회동에 따라 직립 상태로 주차 가능하게 되어, 협소한 공간에서도 주차가 가능하다. 또한, 몸체 또는 지지기둥에 보호대를 구비하여, 운행시 사용자의 하체에 부딪히는 공기에 의한 충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고시 사용자의 하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보호대의 무게로 인해, 무게 중심이 더욱 지면에 가깝게 되어 안정성 및 균형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two-wheel railway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s foot is released / mounted on the footrest, the pressure sensor at the lower part of the footrest detects the footrest and transmits a departure / seating detection signal.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support stand by controlling forward rotation / reverse rotation so as to support the stop state of the two-wheel electric vehicle or to release the stop state. Further, parking is possible in an upright stat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upport stand, and parking is possible even in a narrow space. In addition, since a protector is provided on the body or the support colum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impact caused by air hitting a user's lower body during operation, and to securely protect a user's lower body in the event of an accident. Further, due to the weight of the protector, the center of gravity becomes closer to the ground surface, and stability and balance can be improv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몸체 200 : 좌륜
300 : 우륜 400 : 지지기둥
500 : 보호대 610 : 좌측 커버
620 : 우측 커버 700 : 제어부
100: Body 200:
300: right wheel 400: support column
500: Protector 610: Left cover
620: right cover 700:

Claims (5)

좌측에 제1 구동모터가 구비되고 우측에 제2 구동모터가 구비되며 내부에 제3 구동모터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 좌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좌륜 및 상기 몸체 우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2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우륜;
상기 몸체 상측에 형성되며 상단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지지기둥; 및,
상기 몸체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3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이동 가능한 지지스탠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 전동차.
A body provided with a first drive motor on the left side, a second drive motor on the right side, and a third drive motor inside;
A right wheel coupled to the left side of the body and rotated by the first driving motor and a right wheel coupled to the right side of the body and rotated by the second driving motor;
A support pillar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handle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support stand which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and is movable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third drive motor,
Wherein the stability of th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is improv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는 발판;
상기 발판 하부에 형성되는 압력 센서;
상기 몸체 내부에 형성된 제3 구동모터;
상기 몸체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이동 가능한 지지스탠드;
상기 압력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제3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지지스탠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 전동차.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footrest on which a user's foot is seated;
A pressure sensor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footrest;
A third drive motor formed inside the body;
A support stand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and movable along the rotation of the third drive moto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pport stand by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third drive motor according to a detection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Wherein the stability of th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is improv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 또는 지지기둥에는 보호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 전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otector is formed on the body or the support pos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좌측에는 상기 좌륜의 상부와 이격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좌측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우측에는 상기 우륜의 상부와 이격 형성되며 전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우측 커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 전동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eft cover rotat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left wheel,
Wherein a right side cover is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right wheel and rotatable in a front-rear direc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좌측 커버 및 상기 우측 커버의 상부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향상된 이륜 전동차.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 locking portion is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eft cover and the right cover.
KR1020160159464A 2016-11-28 2016-11-28 A stabl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KR1019358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464A KR101935858B1 (en) 2016-11-28 2016-11-28 A stabl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464A KR101935858B1 (en) 2016-11-28 2016-11-28 A stabl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219A true KR20180060219A (en) 2018-06-07
KR101935858B1 KR101935858B1 (en) 2019-01-07

Family

ID=6262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464A KR101935858B1 (en) 2016-11-28 2016-11-28 A stabl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85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366A1 (en) * 2020-10-29 2022-05-05 재상전자주식회사 Two-wheeler and ignition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5388A (en) 2021-12-07 2023-06-14 이성주 Mobility remote driv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3024A (en) 2015-03-30 2015-07-0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Self-balancing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6962B2 (en) * 2005-10-31 2012-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Travel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694357B1 (en) 2011-04-05 2016-12-07 Ulrich Kahlert Two-wheel battery-powered vehicle
JP6245115B2 (en) 2014-08-28 2017-1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Inverted moving body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6049787A (en) 2014-08-28 2016-04-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Inverted moving bod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3024A (en) 2015-03-30 2015-07-0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Self-balancing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366A1 (en) * 2020-10-29 2022-05-05 재상전자주식회사 Two-wheeler and ignition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858B1 (en) 2019-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6622B2 (en) All-stance man-machine interaction electric standing vehicle
US10058765B2 (en) Self-balancing board with primary wheel and distal auxiliary wheel
KR101533256B1 (en) Self-stabilized vehicle having two wheels
JP5062361B2 (en) Moving body
RU2456195C2 (en) One-wheel vehicle and vehicle stabiliser
JP2014151721A (en) Wheel Walker
KR20140134095A (en) Self-stabilized vehicle having two wheels
JP5276719B2 (en) Inverted pendulum type moving body
WO2005016735A1 (en) A powered unicycle
CN105416484B (en) electric balance car
KR101935858B1 (en) A stable two-wheeled electric vehicle
KR20120139900A (en) Ball segway
KR101533258B1 (en) Self-stabilized vehicle having two wheels including intelligent battery management system
KR20190100015A (en) Wheel chair having an auxiliary force generating device
KR20110054850A (en) A standing-up type ride robot directed by recognizing passenger's posture
KR20130108779A (en) Attitude control based electric vehicle with parallelled wheel self-controlling the distance of them according to the speed
US11175678B2 (en) Method and device for lateral stabilization for a single-tracked motor vehicle at a standstill
JP2005335677A (en) Vehicle,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JP6589122B2 (en) Single-seat mobile device
CN217598757U (en) Electric driving device
JP2011105051A (en) Mobile body
KR101417466B1 (en) Hemisphere transfer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velocity and direction
JP6217256B2 (en) Inverted moving body
KR101860366B1 (en) Riding device
JP2021126225A (en) Balance trai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