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0160A -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0160A
KR20180060160A KR1020160159313A KR20160159313A KR20180060160A KR 20180060160 A KR20180060160 A KR 20180060160A KR 1020160159313 A KR1020160159313 A KR 1020160159313A KR 20160159313 A KR20160159313 A KR 20160159313A KR 20180060160 A KR20180060160 A KR 20180060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obesity
unit
depth camera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영
Original Assignee
김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영 filed Critical 김선영
Priority to KR1020160159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0160A/ko
Publication of KR20180060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01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3Static body considered as a whole, e.g. static pedestrian or occupant recogni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1Image signal generators wherein the generated image signals comprise depth maps or disparity m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Pathology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전체뿐만 아니라 세부 신체 부위에 대해서도 정확한 3D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면서도 획득한 영상 정보를 기초로 신체 각 부분의 비만 정도를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은, 피측정자가 놓여지고 지면과 수평 상태에서 회전하는 테이블; 상기 피측정자를 스캔하기 위해 깊이 카메라(Depth Camera)와 상기 깊이 카메라를 지면의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스캔부; 상기 테이블의 회전 속도 및 상기 구동 수단의 상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깊이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별 둘레 길이를 측정하는 둘레 길이 측정부; 및 상기 둘레 길이 측정부의 정보와 기 저장된 신체 부위별 둘레 DB를 비교하여 제1 비만도를 산출하는 제1 비만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System of 3D Managing Fatness Using Depth Camera}
본 발명은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체형을 깊이 카메라로 촬영하고 획득한 3D 영상정보를 처리하여 사용자 체형의 부위별 상태를 분석한 후 사용자의 비만 상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체형을 분석하는 기술은 신체의 밸런스 확인, 건강 상태 측정, 체질 분류, 개인 식별, 의복 제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실생활에서의 체형 분석은 목 둘레, 가슴 둘레, 허리 둘레 등을 줄자로 사람이 수동 측정하고, 그 값들을 활용하여 사람의 체형을 추정하는 기법이 있다. 이러한 수동 방식을 개선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2차원 카메라 또는 3차원 카메라를 통해서 신체를 촬영하고, 이로부터 얻어진 2차원 영상 또는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보다 간편하게 사용자의 체형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활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비만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체질량 지수는 키와 몸무게를 이용하여 지방의 양을 추정하는 비만 측정법으로,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예컨대 키가 160㎝이고, 몸무게 60㎏인 사람의 체질량지수는 60(kg)/(1.6(m)*1.6(m))=23.4가 된다. 그 수치가 20 미만일 때를 저체중, 20~24일 때를 정상체중, 25~30일 때를 경도비만, 30 이상인 경우에는 비만으로 본다.
이러한 기준은 16세 이상의 모든 남성과 여성에게 적용된다. 성인 체중은 여성의 경우에는 18세, 남성의 경우 20세에 완성되는데, 그 이후에 체중이 증가하는 것은 체내 지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한 50세 이후에는 체중이 늘지 않아도 근육이 줄어들면서 체내 지방이 증가한다. 이 지수를 통하여 어떠한 질병에 걸릴 확률이 높은지 예측할 수도 있다.
한 통계에 따르면 75세 이하 남성과 여성 모두 이 지수가 높아질수록 질병에 걸
릴 확률 및 사망할 확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만약 체질량 지수가 18 미만인 경우에는 여성의 경우 영양부족으로 인해 무월경이 시작될 수 있으며, 27 이상인 경우에는 고혈압ㅇ당뇨병ㅇ심장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체질량 지수가 26인 경우에는 21인 사람에 비해 당뇨병에 걸릴 가능성이 여성의 경우에는 8배, 남성의 경우에는 4배에 달하고 담석증 및 고혈압이 발생할 확률도 2~3배나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체질량 지수는 전체적인 비만 정도만을 알려줄 뿐 신체 부위별 비만 정도나 체형에 대한 정보는 제공해주지 못한다. 따라서, 신체 부위별 비만 정도를 효과적으로 비만/체형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기술 개발 요구에 따라 종래 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6-0040893호(체형 분석 장치 및 방법)는, 전신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체형 특징 벡터를 생성하고 이를 기초로 사용자의 체형을 부위별로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인데, 전신영상을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특징 벡터를 생성하기 위해 처음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이 항상 존재해야 한다는 문제점과 전신영상 자체의 신뢰도가 항상 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402781호(체형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운동처방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는, 사용자가 자신의 신체를 촬영하여 각 부위별 사진을 업로드하면 이를 바탕으로 3D 체형 분석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운동처방을 서비스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데, 사용자가 휴대폰 등의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수집되는 사진 정보만을 이용하여 정확한 체형을 파악하기는 어렵다는 점, 기초 정보가 부실한 상태에서 산정되는 3D 모델 역시 부실할 수 밖에 없다는 점으로 인해 여전히 한계점을 가진다고 할 것이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1-0077656호(가상 마커 방식을 이용한 비만/체형을 평가하는 시스템)는, 촬영된 영상정보에 가상 마커를 생성한 후 이를 기초로 피측정자의 신체둘레치수를 생성하고 이를 기초로 신체부위 중 특정 위치의 비만 정도를 산정하는 기술이다. 이 종래기술은 측정이 필요한 신체부위의 모든 곳에 가상 마커를 생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결론적으로 상기에서 살펴본 종래 기술들은 사용자의 신체 부위별 비만 정도를 간접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있으나, 좀 더 정확하면서도 실제 신체와 가깝게 3차원으로 분석할 수 있는 성능을 갖는다고 보기 어렵다. 즉, 아직도 신체를 촬영하여 대략적인 신체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에 그치고 있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들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효과적인 사용자 신체 스캐닝 및세부 신체부위의 비만 정도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 전체뿐만 아니라 세부 신체 부위에 대해서도 정확한 3D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면서도 획득한 영상 정보를 기초로 신체 각 부분의 비만 정도를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은, 피측정자가 놓여지고 지면과 수평 상태에서 회전하는 테이블; 상기 피측정자를 스캔하기 위해 깊이 카메라(Depth Camera)와 상기 깊이 카메라를 지면의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스캔부; 상기 테이블의 회전 속도 및 상기 구동 수단의 상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깊이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별 둘레 길이를 측정하는 둘레 길이 측정부; 및 상기 둘레 길이 측정부의 정보와 기 저장된 신체 부위별 둘레 DB를 비교하여 제1 비만도를 산출하는 제1 비만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둘레 길이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신체 부위별 복수 개의 둘레 길이를 상호 비교하여 제2 비만도를 산정하는 제2 비만 정보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둘레 길이 측정부에서 측정한 신체 부위별 둘레 길이 정보, 상기 제1 비만 정보 산출부에서 산출한 제1 비만도 정보 및 상기 제2 비만 정보 산출부에서 산출한 제2 비만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선택에 따라 선택된 신체 부위에 해당하는 둘레 길이 정보, 제1 비만도 정보 및 제2 비만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해 특정 신체 부위의 상세 정보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캔부의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깊이 카메라가 상기 특정 신체 부위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신체 부위별 항목 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깊이 카메라의 촬영 시간을 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깊이 카메라(Depth Camera)를 사용하여 종래 고가의 TOF(Time Of Flight) 카메라를 사용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피측정자의 3차원 신체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한 피측정자의 3차원 신체 이미지의 부위 별 사이즈를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어서 비만 여부 또는 다이어트 결과를 쉽게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스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캔 과정 후의 디스플레이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스캔된 여러 3D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스캔된 피측정자의 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스캔된 피측정자의 정보가 시간에 따라 변동된 것을 분석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이 동사의 다양한 활용형들은 언급된 구성요소, 동작 및/또는 소자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에 대해 도 1을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은, 테이블(10), 스캔부(100), 제어부(200), 둘레 길이 측정부(300), 제1 비만 정보 산출부(400), 제2 비만 정보 산출부(500), 디스플레이부(600) 및 사용자 입력 수단(700)을 포함한다.
테이블(10)은 피측정자(1)가 놓여지는 부분으로 신체 상태를 측정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스캔을 받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테이블(10)은 피측정자(1)의 전신을 스캔하기 위해 지면과 수평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회전은 아래에서 설명할 제어부(20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스캔부(100)는 피측정자를 스캔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깊이 카메라(Depth Camera)(110)와 깊이 카메라(110)를 지면의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130)을 포함한다.
깊이 카메라(110)는 촬영 대상의 이미지를 획득할 때 깊이(Depth) 정보를 같이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로, 다양한 형태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적외선을 촬영 대상에 조사하여 돌아오는 시간 차이에 기초하여 촬영 대상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이 적용된 카메라가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깊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 대상을 촬영함으로써 촬영 대상의 이미지를 2차원이 아닌 3차원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이블(10)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피측정자(1)의 모든 부분이 깊이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되며 결론적으로 피측정자(1)의 모든 부분에 대한 3차원 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수단(130)은 깊이 카메라(110)가 피측정자(1)의 모든 부분을 효과적으로 촬영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써, 깊이 카메라(110)가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한다.
또한, 구동 수단(130)은 깊이 카메라(110)가 피측정자(1)의 특정 신체 부위를 촬영할 수 있도록 제어부(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깊이 카메라(110)를 특정 신체 부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테이블(10)의 회전 속도 및 구동 수단(130)의 상하 이동 속도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구동 수단(130)을 제어하여 깊이 카메라(110)가 피측정자(1)의 머리 부분에서 시작하여 발 부분을 순차적으로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들은 추후 서술할 디스플레이부(600) 및 사용자 입력 수단(700)과 함께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루는 하드웨어 파트에 속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루는 소프트웨어 파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루는 소프트웨어 파트는 둘레 길이 측정부(300), 제1 비만 정보 산출부(400) 및 제2 비만 정보 산출부(500)를 포함한다.
둘레 길이 측정부(300)는 깊이 카메라(110)를 통해 획득한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피측정자(1)의 신체 부위별 둘레 길이를 측정한다. 즉, 둘레 길이 측정부(300)는 깊이 카메라(110)를 통해 획득한 영상정보(3차원 영상정보)에서 신체 부위를 나누고 신체 부위별로 둘레 길이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둘레 길이 측정부(300)는 획득한 3차원 영상을 분석하여 신체 부위를 나누고 나누어진 신체 부위별로 둘레 길이를 측정한다.
또한, 둘레 길이 측정부(300)는 피측정자(1)의 머리에서 시작하여 발에서 끝나는 순서에 기초하여 신체 부위를 나누거나 기초되는 기본 DB에 기초하여 신체 부위를 나눈 후 각 신체 부위의 둘레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신체 부위는 본 시스템의 운영자 또는 피측정자(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데 세부적 내용은 도 5 내지 도 8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1 비만 정보 산출부(400)는 둘레 길이 측정부(300)의 정보와 기 저장된 신체 부위별 둘레 DB를 비교하여 제1 비만도를 산출한다. 즉 제1 비만 정보 산출부(400)는 3차원 신체 정보가 획득된 피측정자(1)의 신체 부위별 둘레 정보와 기 저장된 신체 부위별 둘레 DB(키, 몸무게, 나이, 성별 등에 따른 표준 신체 둘레 길이 DB)를 비교하여 1차적인 비만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만약 기 저장된 표준 신체 부위별 둘레 정보 보다 피측정자(1)의 해당 신체 부위 둘레 길이가 소정 범위를 넘는 크기인 경우에는 제1 비만 정보 산출부(400)가 1차적으로 비만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만약 기 저장된 표준 신체 부위별 둘레 정보 보다 피측정자(1)의 해당 신체 부위 둘레 길이가 소정 범위를 넘어서 작은 경우에는 제1 비만 정보 산출부(400)가 허약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소정 범위(큰 경우의 범위 및 작은 경우의 범위) 내에 피측정자(1)의 둘레 길이 정보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체 부위별 둘레 DB는 시스템의 운영자 또는 피측정자(1)의 입력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 비만 정보 산출부(500)는 둘레 길이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신체 부위별 복수 개의 둘레 길이를 상호 비교하여 제2 비만도를 산정한다. 즉, 제2 비만 정보 산출부(500)는 제1 비만 정보 산출부(500)와 달리, 피측정자(1)의 신체 둘레 길이의 시간에 따른 변화에 따라 비만 정보를 산출한다.
제2 비만 정보 산출부(500)는 시기를 달리하여 얻어진 복수 개(일반적으로 두 개)의 피측정자(1)의 3차원 신체 영상정보를 상호 비교하여 산출한 각 신체 부위별 둘레 차이를 기준으로 피측정자(1)의 비만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2 비만 정보 산출부(500)는 피측정자(1)의 1차 측정 신체 둘레 길이와 2차 측정 신체 둘레 길이를 비교하여 얼마나 증감되었는지 산출한 뒤에 그 증감 크기를 기초로 비만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증감 크기를 1차적으로는 피측정자(1)에게 알려주되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증감 DB를 확보하여 증감 DB에 기초하여 비만 또는 다이어트 효과 진행 여부(다이어트가 효과적으로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 제공 또는 비만이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에 대한 정보를 피측정자(1)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둘레 길이 측정부(300), 제1 비만 정보 산출부(400) 및 제2 비만 정보 산출부(500)를 통해 생성되는 정보는 사용자 입력 수단(700)에 의해 입력되는 정보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이러한 변경 과정에서 제어부(200)를 통해 테이블(1) 및 스캔부의 회전 및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600)는 둘레 길이 측정부(300)에서 측정한 신체 부위별 둘레 길이 정보, 제1 비만 정보 산출부(400)에서 산출한 제1 비만도 정보 및 제2 비만 정보 산출부(500)에서 산출한 제2 비만도 정보를 표시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 관리자 또는 피측정자(1)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 수단(700)은 디스플레이부(600)가 표시하는 상기 정보들에 대한 사용자(피측정자(1)등)의 다양한 입력을 받기 위한 것으로, 1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600)를 통해 표시되는 상기 정보들에 대한 선택을 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단(700)을 통해 사용자(피측정자(1) 포함)의 정보 선택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600)는 선택된 정보에 대한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수단(700)은 획득한 3차원 신체 영상 중에서 특정 부위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을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3차원 신체 영상 중에서 특정 부위에 대한 정보를 원하는 경우이므로, 제어부(200)가 이러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스캔부의 구동 수단(130)을 제어하여 깊이 카메라(110)가 선택이 있었던 특정 신체 부위에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 2 내지 도 3을 기초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의 동작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은, 피측정자가 테이블에 올라선 상태가 되면 테이블을 회전시킨다(S20). 그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깊이 카메라를 지면의 수직인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피측정자의 신체를 촬영한다(S21). 그리고 촬영된 영상에서 신체 부위별 둘레 길이를 측정한다(S22). 측정한 신체 부위별 둘레 길이를 기 저장된 DB와 비교하여 제1 비만도를 산출한다(S23). 이 단계는 기 저장된 DB인 표준 신체 부위별 둘레 길이 정보와 측정된 둘레 길이 정보를 비교하여 피측정자의 비만 정보(비만인지, 정상인지, 허약 상태인지)를 1차적으로 산출한다. 또한, 시간 간격을 두고 획득한 3차원 신체 영상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신체 부위별 둘레 길이를 서로 비교하여 제2 비만도를 산출한다(S24). 즉 이 단계는 피측정자의 신체 상태를 2회 이상 스캔한 후 얻어지는 복수 개의 신체 부위별 둘레 길이를 상호 비교하여 그 증감양에 따라 비만 정보(비만인지, 정상인지, 허약 상태인지)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 증가량이 경과 시간에 따라 큰 편차가 있거나 지속적으로 증가량이 계속적으로 있는 경우에는 비만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제1 비만도가 정상인 상태이더라도 상기 제2 비만도 정보에 의해 비만 상태 또는 비만 진행 상태로 판단하여 비만도를 산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별 둘레 길이 정보, 제1 비만도 정보 및 제2 비만도 정보를 사용자(피측정자 포함)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정보들을 표시한다(S25).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의 S25 단계 이후에 추가적인 동작 과정이 추가될 수 있다. 즉, 표시된 신체 부위별 둘레 길이 정보, 제1 비만도 정보 및 제2 비만도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
만약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있으면 그 선택 대상이 되는 정보(상기 세 가지 정보 중 하나 이상)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해당 사용자가 상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32). 만약 사용자의 선택 입력이 없으면 계속 상기 정보들을 표시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세 가지 정보에 대한 표시가 있는 상태에서 특정 신체 부위 상세 정보 요청 선택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 상세 정보 요청 선택이 있으면 해당 특정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하므로 해당 신체 부위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면서(기존 3차원 신체 영상 정보가 있는 경우), 보다 최신의 신체 정보 획득을 위해 깊이 카메라가 특정 신체 부위에 위치하도록 깊이 카메라를 이동시킨 후 새로 갱신된 정보를 생성한다(S34). 갱신된 정보는 사용자에게 표시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세부 내용에 대해 도 4 내지 도 8을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스캔 과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600)에 사용자 입력 수단(700)이 터치 방식(SCAN)으로 구비될 수 있고 SCAN에 터치(사용자 입력)가 있으면 디스플레이부(600)에 표시된 게이지가 차면서 스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5는 도 4의 스캔 과정 후의 디스플레이부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인데, 구체적으로 스캔 후에 둘레 길이 측정부(300)에 의해 신체 부위별로 둘레 길이가 측정되고 이 둘레 길이들이 각 신체 부위 항목별로 표시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신체 부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슴 둘레, 넓다리 둘레, 목 둘레 등 복수 개로 표시될 수 있는데 이러한 항목들은 사용자에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항목들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터치 입력 등)이 있으면 각 신체 부위 항목에 대응하는 부분이 3차원 신체 영상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스캔된 여러 3D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즉 도 6은 복수의 피측정자 신체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상태 또는 단수의 피측정자의 복수 개의 신체 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 입력을 통해 blank로 이루어진 항목에 새로운 3차원 신체 영상 정보를 업로드할 수 있는 상태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스캔된 피측정자의 정보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것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해당 신체 정보를 e-mail로 발송하거나 프린트할 수 있는 기능이 구현된 상태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통해 스캔된 피측정자의 정보가 시간에 따라 변동된 것을 분석하여 도시한 개략도이다. 즉, 도 8은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별 둘레 길이를 2개 측정하여 표시한 것인데, 일반적으로 소정의 운동을 수행하기 전과 그 후의 신체 둘레 길이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기본 3차원 신체 영상과 운동 전의 신체 부위별 둘레 길이 및 운동 후의 신체 부위별 둘레 길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운동 전 후의 3차원 신체 영상을 좌측과 우측에 각각 표시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피측정자 10 : 테이블
100 : 스캔부 110 : 깊이 카메라
130 : 구동 수단 200 : 제어부
300 : 둘레 길이 측정부 400 : 제1 비만 정보 산출부
500 : 제2 비만 정보 산출부 600 : 디스플레이부
700 : 사용자 입력 수단

Claims (6)

  1. 피측정자가 놓여지고 지면과 수평 상태에서 회전하는 테이블;
    상기 피측정자를 스캔하기 위해 깊이 카메라(Depth Camera)와 상기 깊이 카메라를 지면의 수직 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스캔부;
    상기 테이블의 회전 속도 및 상기 구동 수단의 상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깊이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영상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피측정자의 신체 부위별 둘레 길이를 측정하는 둘레 길이 측정부; 및
    상기 둘레 길이 측정부의 정보와 기 저장된 신체 부위별 둘레 DB를 비교하여 제1 비만도를 산출하는 제1 비만 정보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길이 측정부를 통해 측정되는 신체 부위별 복수 개의 둘레 길이를 상호 비교하여 제2 비만도를 산정하는 제2 비만 정보 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길이 측정부에서 측정한 신체 부위별 둘레 길이 정보, 상기 제1 비만 정보 산출부에서 산출한 제1 비만도 정보 및 상기 제2 비만 정보 산출부에서 산출한 제2 비만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 입력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선택에 따라 선택된 신체 부위에 해당하는 둘레 길이 정보, 제1 비만도 정보 및 제2 비만도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해 특정 신체 부위의 상세 정보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캔부의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깊이 카메라가 상기 특정 신체 부위에 위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신체 부위별 항목 정보의 개수에 따라 상기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깊이 카메라의 촬영 시간을 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
KR1020160159313A 2016-11-28 2016-11-28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 KR201800601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313A KR20180060160A (ko) 2016-11-28 2016-11-28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313A KR20180060160A (ko) 2016-11-28 2016-11-28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172A Division KR20180121863A (ko) 2018-11-01 2018-11-01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0160A true KR20180060160A (ko) 2018-06-07

Family

ID=62621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313A KR20180060160A (ko) 2016-11-28 2016-11-28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016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760A1 (ko) * 2018-11-23 2020-05-28 수상에스티(주) 3차원 영상 모션인식 기반 관심부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4518A (ko) * 2011-12-12 2012-03-14 이종환 다이어트를 위한 디지털 체중계 및 이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KR20130083416A (ko) * 2013-06-11 2013-07-22 백지현 부피 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체중계
KR20150115296A (ko) * 2014-04-03 2015-10-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 의류 모델 복원 방법 및 장치
KR20160083905A (ko) * 2014-01-03 2016-07-12 인텔 코포레이션 깊이 카메라를 사용하는 실시간 3d 재구성
KR101641455B1 (ko) * 2015-01-28 2016-07-29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24518A (ko) * 2011-12-12 2012-03-14 이종환 다이어트를 위한 디지털 체중계 및 이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KR20130083416A (ko) * 2013-06-11 2013-07-22 백지현 부피 측정이 가능한 의료용 체중계
KR20160083905A (ko) * 2014-01-03 2016-07-12 인텔 코포레이션 깊이 카메라를 사용하는 실시간 3d 재구성
KR20150115296A (ko) * 2014-04-03 2015-10-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d 의류 모델 복원 방법 및 장치
KR101641455B1 (ko) * 2015-01-28 2016-07-29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760A1 (ko) * 2018-11-23 2020-05-28 수상에스티(주) 3차원 영상 모션인식 기반 관심부위 측정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677B1 (ko) 시각적 기능의 임상적 파라미터들을 통합적으로 측정하는 시스템
US10667682B2 (en) Assessment of low contrast visual sensitivity
EP2747659B1 (en) Individual monitoring of compression force for mammographic examinations
US8374671B2 (en) Health indicator
US72927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KR20190095231A (ko)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
RU2017139586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остроты зрения пользователя
EP1723902A1 (en) Fundus portion analyzing instrument and fundus portion analyzing method
WO2008147888A1 (en) Method and system to measure body volume/surface area, estimate density and body composition based upon digital image assessment
US11000188B2 (en) Smart body analyzer with 3D body scanner and other vital parameter sensors
EP3900617A1 (en) A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3d camera for automated measurement preparation in mri system
Töger et al. Test–retest repeatability of human speech biomarkers from static and real-time dynam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KR20180121863A (ko)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
KR102085812B1 (ko) 촬영 이미지 기반의 건강상태 분석 및 정보 제공 방법, 그의 장치 및 그의 기록 매체
KR101383797B1 (ko) 3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사용자의 입체 시력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060160A (ko) 깊이 카메라의 영상정보를 이용한 3d 비만 관리 시스템
JP6212160B1 (ja) 超音波診断装置
KR20100104330A (ko) 3차원 아드볼 패러다임을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 유발 피로감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65060A (ko) 오픈 소스 하드웨어를 이용한 신체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100041312A (ko) 초음파 체지방 측정기
US11992364B2 (en) Loss-angle-based determination of a medium viscoelastic parameter in sub-hertz frequency range with the use of local creep response
AU20072000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ing
JP2004321268A (ja) 超音波皮脂厚計
EP4324386A1 (e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and electronic device
KR20230127193A (ko) 방사선 차폐 블록의 제작 정확도 검증 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