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626A - Knuckle for vehicle - Google Patents

Knuckle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626A
KR20180059626A KR1020160158417A KR20160158417A KR20180059626A KR 20180059626 A KR20180059626 A KR 20180059626A KR 1020160158417 A KR1020160158417 A KR 1020160158417A KR 20160158417 A KR20160158417 A KR 20160158417A KR 20180059626 A KR20180059626 A KR 20180059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bracket
vehicle
coupled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84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654916B1 (en
Inventor
이재길
이규완
알란 하셀트 패트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8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916B1/en
Publication of KR20180059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62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9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3/105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knuckle for a vehicle, which comprises: a base in which an insertion hole is formed at an internal side; and a bracket comprising a plurality of pieces to be individuall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and connected to each portion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nuckle for a vehicle is appropriate for various types of vehicles by replacing only the minimum component.

Description

차량용 너클 {KNUCKLE FOR VEHICLE}Knuckle for a vehicle {KNUCK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시 운전자가 조향휠을 통해 나타낸 조향의지를 휠에 전달하기 위한 차량용 너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knuckle for transmitting a steering force indicated by a driver through a steering wheel to a wheel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차량이 주행하기 위해서는 차량용 액슬 샤프트(axle shaft)의 단부에는 조향너클, 허브, 허브베어링, 휠디스크 등으로 이루어진 액슬 어셈블리(axle assembly)가 설치된다. 운전자의 조향장치로부터 나타낸 조향의지는 조향너클로 전달되어 조향너클과 허브 사이에 설치된 허브베어링을 통해 허브에 고정결합된 휠디스크에 전달되어 휠디스크에 결합된 휠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order to drive the vehicle, an axle assembly including a steering knuckle, a hub, a hub bearing, and a wheel disk is installed at an end of a vehicle axle shaft. The steering wheel indicated by the driver's steering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steering knuckle and transmitted to the wheel disk fixedly coupled to the hub through the hub bearing provided between the steering knuckle and the hub so as to be transmitted to the wheel coupled to the wheel disk.

그러므로 조향너클은 차체의 하중 및 지면을 통해 휠로부터 허브에 전달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지녀야하며, 주변의 여러 부품들이 결합되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을 만족해야하므로 통상적으로 주철을 주조하여 사용하다보니 중량을 많이 차지하고 차종마다 각각에 만족하는 다양한 종류의 너클을 구비하기 위해 각각의 금형을 모두 관리해야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Therefore, the steering knuckle must have rigidity to withstand the load transferred from the wheel to the hub through the load of the vehicle body and the ground, and because the various components in the vicinity are combined, the complex shape must be satisfied. It is necessary to manage all of the molds in order to provide various kinds of knuckles that occupy a large amount of weight and satisfy each vehicle type.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background art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an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an admission that the prior art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KR 10-077935110-0779351 B1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차종 및 차량의 서스펜션의 종류가 달라지더라도 최소한의 부품만을 교체함으로써, 각 차종에 적합한 차량용 너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knuckle suitable for each vehicle type by replacing only a minimum number of parts even if the type of vehicle and suspension of the vehicle are chang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너클은 내측에는 삽입홀이 형성된 베이스; 및 복수의 조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에 각각 체결되어 차량의 각 부분과 연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knuckle comprising: a base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And a bracket formed of a plurality of pieces and fas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and connected to each part of the vehicle.

상기 베이스는 원통형이되, 중심측의 반경이 양측 단부의 반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양측 단부와 중심측을 연결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The base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 radius of the center side is formed smaller than a radius of both side ends, so that an inclined surface connecting both side ends of the base and the center side can be formed.

상기 베이스에는 중심측의 외주면과 양측 단부의 외주면으로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체결부재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베이스측에서 상기 브라켓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The base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sid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both side ends, and the fastening member may be provided through the base in a direction from the base side toward the bracket .

상기 브라켓의 양측단부에는 내측으로 상기 베이스의 단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결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과 베이스가 밀착체결될 수 있다.At both ends of the bracket, a coupling surfac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end of the base inwardly, and a coupl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coupling surface, so that the bracket and the base can be tightly coupled.

상기 브라켓은 소정의 부피를 갖는 3차원 형상이고, 내주면은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되, 내측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양측단부를 서로 잇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로리브가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bracket is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along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the hollow is formed inside, and a plurality of lateral rib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

상기 브라켓은 소정의 부피를 갖는 3차원 형상이고, 내주면은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되, 내측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양측단부를 서로 잇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로리브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로리브의 중심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가로리브를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세로리브가 더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bracket is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along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the hollow is formed inside, and a plurality of lateral rib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vertical rib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central side of the transverse rib to vertically cross the transverse rib.

상기 베이스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만입된 결합홈이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지점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에 상기 브라켓의 체결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끼워질 수 있다.Wherein an engaging groove recessed inward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and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brack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groove, The projection can be fitted in the coupling groove.

상기 복수의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 하방의 로워암과 결합되는 로워암 마운팅 브라켓, 상기 베이스 상측의 스트럿과 결합되는 스트럿 마운팅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 측면의 캘리퍼와 결합되는 캘리퍼 마운팅 브라켓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brackets may be a lower arm mounting bracket coupled with a lower arm below the base, a strut mounting bracket coupled with a strut above the base, and a caliper mounting bracket coupled with a caliper of the base side.

상기 복수의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 하방의 로워암과 결합되는 로워암 마운팅 브라켓, 상기 베이스 상측의 어퍼암과 결합되는 어퍼암 마운팅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 측면의 캘리퍼와 결합되는 캘리퍼 마운팅 브라켓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brackets may be a lower arm mounting bracket coupled with the lower arm below the base, an upper arm mounting bracket coupled with the upper arm on the base, and a caliper mounting bracket coupled with the caliper on the base side.

상기 베이스 및 복수의 브라켓은 3D 메탈 프린팅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The base and the plurality of brackets may be formed by a 3D metal printing method.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너클에 따르면, 베이스와 브라켓의 체결부재에 의한 체결시 체결부재의 각도가 상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브라켓의 체결부로 입력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상하/횡력의 복합 하중에 대한 체결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knuckle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angle of the fastening member is different in fastening by the fastening member of the base and the bracket, the load input 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bracket is dispersed, and the composite load of the up / down / So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fastening toughness for the fastening.

또한, 설계 및 차량의 특성과 목적에 따라 브라켓을 하나 이상 변경하여 바로 적용 가능하며, 서스펜션의 타입 자체가 바뀌더라도 브라켓을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만으로도 적용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서스펜션 지오메트리의 변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can be applied immediately by changing one or more brackets according to the design and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and the purpose of the vehicle. Even if the type of the suspension itself changes, it can be applied by simply changing the bracket and changing the suspension geometry There is an easy advantage.

3D 메탈 프린팅 방식으로 성형되어 베이스와 브라켓이 중량을 절감하면서도 강건한 구조를 갖도록 다소 복잡한 구성으로 성형 가능하며, 지오메트리 요구사항에 부합되는 각각의 브라켓을 맞춤제작할 수 있어 필요한 조건 및 설계에 따라 너클 전체가 아닌 브라켓만 교체 장착하여 사용 가능한 특징이 있다.It can be molded into a complex structure with a 3D metal printing system, so that the base and bracket can save weight and have a robust structure. It is also possible to customize each bracket that meets the geometry requirements. There is a feature that can be used by replacing only the bracket.

즉, 본 제안은 주행상황에 적합하도록 서스펜션 지오메트리의 용이한 변경이 가능토록하며 필요시 서스펜션의 타입까지 변경 가능케하며, 하중의 분산을 통해 체결부의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is proposal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suspension geometry to suit the driving situation, change the type of suspension when necessary, and secure the rigidity of the coupling part by distributing the loa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 내지 도 4는 너클에 작용하는 하중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8은 각 부품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을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view of a vehicle knuck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Figs. 3 to 4 schematically illustrate loads acting on the knuckle. Fig.
Figs. 5 to 8 are views showing each component in detail. Fig.
9 is a view showing a vehicle knuck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vehicle knuck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너클에 작용하는 하중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8은 각 부품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모든 차종에 적용될 수 있되, 특히 고하중이 작용하고 고성능이 필요한 경주용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FIG. 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knuck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S. 3 to 4 are views showing a load acting on a knuckle, Fig. 8 is a view showing each component in detail. 9 is a view showing a vehicle knuck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vehicles, and particularly to racing vehicles that require high performance and high performan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너클은 내측에는 삽입홀(110)이 형성된 베이스(100); 및 복수의 조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00)의 외주면에 각각 체결되어 차량의 각 부분과 연결되는 브라켓(300);을 포함한다.The vehicle knuck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0 having an insertion hole 110 formed therein, And a bracket 300 formed of a plurality of pieces and fasten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100 and connected to respective parts of the vehicle.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베이스(100)는 원통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00)의 삽입홀(110)에는 등속조인트(미도시)의 단부가 관통삽입되어 체결된다. 상기 베이스(100)는 중심측의 반경이 양측 단부의 반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중심측이 잘록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100)에는 상기 베이스(100)의 양측 단부와 중심측을 연결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브라켓(300)의 상기 베이스(100)에 결합시 상기 브라켓(300)이 상기 베이스(100)의 중심측에 삽입되어 지지됨으로써, 결합이 보다 공고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base 100 may be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An end portion of a constant velocity joint (not shown) is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0 of the base 100. The base 100 is formed such that the radius of the center side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both side ends, and the center side is formed to be narrow. Therefore, the base 100 is formed with inclined surfaces connecting both ends of the base 100 with the cent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bracket 300 is coupled to the base 100 of the bracket 300, the bracket 300 is inserted into and supported by the center of the base 100, so that the coupling can be further enhanced.

상기 베이스(100)에는 중심측의 외주면과 양측 단부의 외주면으로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체결부재(50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100)에 구비되는 상기 체결부재(500)는 상기 베이스(100)측에서 상기 브라켓(3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00)를 관통하여 구비됨으로써, 상기 브라켓(300)과 베이스(100)의 체결을 보다 공고하게 하게 된다. 또한, 도 3 내지 4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체결부재(500)의 체결각도가 상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브라켓(300)의 체결부로 입력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상하/횡력의 복합 하중에 대한 체결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base 1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5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center sid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n both side ends. The fastening member 500 provided in the base 100 is provided through the base 100 in a direction from the base 100 toward the bracket 300 so that the bracket 300 and the base 100 to be tightened. 3 to 4, since the fastening angle of the fastening member 500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astening member 500, the load applied 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bracket 300 is dispersed and the fastening rigidity Can be secured.

상기 복수의 브라켓(300)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제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100) 하방의 로워암(미도시)과 결합되는 로워암 마운팅 브라켓(300a), 상기 베이스(100) 상측의 서스펜션(미도시)의 스트럿(미도시)과 결합되는 스트럿 마운팅 브라켓(300b) 및 상기 베이스(100) 측면의 캘리퍼(미도시)와 결합되는 캘리퍼 마운팅 브라켓(300c)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브라켓(300)은 도 9에 도시한 제이실시예에 따라 더블 위시본 타입의 서스펜션의 장착시, 상기 베이스(100) 하방의 로워암과 결합되는 로워암 마운팅 브라켓(300a), 상기 베이스(100) 상측의 어퍼암(미도시)과 결합되는 어퍼암 마운팅 브라켓(300d) 및 상기 베이스(100) 측면의 캘리퍼와 결합되는 캘리퍼 마운팅 브라켓(300c) 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차량용 너클은 서스펜션 타입에 따라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처럼 상측에 결합되는 브라켓(300)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서스펜션의 타입 자체가 바뀌더라도 적용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서스펜션 지오메트리의 변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 브라켓(300)에는 차량의 각부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별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 plurality of brackets 300 may include a lower arm mounting bracket 300a coupled to a lower arm (not shown) below the bas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8, A strut mounting bracket 300b coupled with a strut (not shown) of an upper suspension (not shown), and a caliper mounting bracket 300c coupled with a caliper (not shown) on the side of the base 100. The plurality of brackets 300 may include a lower arm mounting bracket 300a coupled to a lower arm below the base 100 when a double wishbone type suspension is mount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9, An upper arm mounting bracket 300d coupled with an upper arm (not shown)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100 and a caliper mounting bracket 300c coupled with a caliper on the side of the base 100. [ That is, the vehicle kn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even if the type of the suspension itself is changed by changing one bracket 300 coupled to the upper side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pending on the suspension type, It is easy to change the geometry. It is preferable that the bracket 300 is separately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for engaging with a corner portion of the vehicle.

상기 브라켓(300)의 양측단부에는 내측으로 상기 베이스(100)의 단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결합면(31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310)에 체결부재(500)가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300)과 베이스(100)가 밀착체결된다. 상기 베이스(100)와 브라켓(300)의 결합면(310)은 편평하게 형성되어 밀착력을 증대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브라켓(300)은 소정의 부피를 갖는 3차원 형상이고, 내주면은 상기 베이스(100)의 외주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되, 내측에는 중량 절감을 위한 중공(33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300)의 내측에는 양측단부를 서로 잇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로리브(350)가 형성되어 강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가로리브(350)의 중심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가로리브(350)를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세로리브(370)가 추가로 더 형성되어 하중이 많이 걸리는 상기 브라켓(300)에는 추가로 강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가로리브(350) 및 세로리브(370)는 상기 결합돌기(390)를 대체할 수 있다.At both ends of the bracket 300, a coupling surface 31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end of the base 100 inwardly and a coupling member 5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surface 310, 300 and the base 100 are tightly coupled. The coupling surface 310 of the base 100 and the bracket 300 may be formed in a flat shape to increase the adhesion. The bracket 300 is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cket 300 is formed along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100, and a hollow 330 for weight saving is formed inside. In addition, a plurality of lateral ribs 350 ar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racket 300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connect the two ends of the lateral ribs 350, thereby enhancing robustness. A longitudinal rib 370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ateral rib 350 so as to vertically cross the lateral rib 350 so that the bracket 300, Can be increased. The lateral ribs 350 and the longitudinal ribs 370 may replace the coupling protrusions 390.

또한, 상기 베이스(100)와 브라켓(300)의 체결 강건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100)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만입된 결합홈(130)이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300)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홈(130)에 대응되는 지점에 결합돌기(390)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00)에 상기 브라켓(300)의 체결시 상기 결합돌기(390)가 상기 결합홈(130)에 끼움결합됨으로써, 복수의 결합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본 발명의 차량용 너클의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A coupling groove 13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10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100 in order to increase the fastening toughness between the base 100 and the bracket 300, A coupling protrusion 390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130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390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groove 130 when the bracket 300 is fastened to the base 100. [ So that the vehicle kn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he robustness of the kn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상기 베이스(100) 및 복수의 브라켓(300)은 3D 메탈 프린팅 방식으로 성형되어 형상이 복잡하더라도 충분히 성형 가능하며, 지오메트리 요구사항에 부합되는 각각의 브라켓(300)을 맞춤제작할 수 있어 필요한 조건 및 설계에 따라 교체 장착하여 사용 가능한 특징이 있다.Particularly, the base 100 and the plurality of brackets 300 can be formed by the 3D metal printing method, so that the brackets 300 can be formed even if the shape is complicated, and the brackets 300 meeting the geometric requirements can be customized. And can be used by replacing according to design.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너클에 의하면, 베이스(100)와 브라켓(300)의 체결부재(500)에 의한 체결시 체결부재(500)의 각도가 상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브라켓(300)의 체결부로 입력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고, 상하/횡력의 복합 하중에 대한 체결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vehicle knuck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angle of the fastening member 500 is different between the base 100 and the bracket 300 when the bracket 300 is fastened by the fastening member 500,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load inputted to the fastening portion and secure the fastening rigidity against the combined load of the up / down / lateral force.

또한, 설계 및 차량의 특성과 목적에 따라 브라켓(300)을 하나 이상 변경하여 바로 적용 가능하며, 서스펜션의 타입 자체가 바뀌더라도 브라켓(300)을 변경하여 적용하는 것만으로도 적용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서스펜션 지오메트리의 변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directly apply one or more of the brackets 300 according to the design and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and the purpose of the vehicle. Even if the type of the suspension itself changes, the bracket 300 can be changed and applied. Therefore, it is easy to change the suspension geometry.

3D 메탈 프린팅 방식으로 성형되어 베이스(100)와 브라켓(300)이 중량을 절감하면서도 강건한 구조를 갖도록 다소 복잡한 구성으로 성형 가능하며, 지오메트리 요구사항에 부합되는 각각의 브라켓(300)을 맞춤제작할 수 있어 필요한 조건 및 설계에 따라 너클 전체가 아닌 브라켓(300)만 교체 장착하여 사용 가능한 특징이 있다.The base 100 and the bracket 300 can be formed into a somewhat complicated configuration so that the base 100 and the bracket 300 have a robust structure while saving weight, and each bracket 300 that meets the geometric requirements can be customized According to the necessary conditions and design, only the bracket 300 can be replaced and used instead of the entire knuckle.

즉, 본 제안은 주행상황에 적합하도록 서스펜션 지오메트리의 용이한 변경이 가능토록하며 필요시 서스펜션의 타입까지 변경 가능케하며, 하중의 분산을 통해 체결부의 강건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is proposal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suspension geometry to suit the driving situation, change the type of suspension when necessary, and secure the rigidity of the coupling part by distributing the load.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베이스 110 : 삽입홀
130 : 결합홈 300 : 브라켓
300a : 로워암 마운팅 브라켓
300b : 스트럿 마운팅 브라켓
300c : 캘리퍼 마운팅 브라켓
300d : 어퍼암 마운팅 브라켓
310 : 결합면 330 : 중공
350 : 가로리브 370 : 세로리브
390 : 결합돌기 500 : 체결부재
100: Base 110: Insertion hole
130: coupling groove 300: bracket
300a: Lower arm mounting bracket
300b: Strut mounting bracket
300c: Caliper mounting bracket
300d: Upper arm mounting bracket
310: coupling surface 330: hollow
350: lateral rib 370: longitudinal rib
390: engaging projection 500: engaging member

Claims (10)

내측에는 삽입홀이 형성된 베이스; 및
복수의 조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에 각각 체결되어 차량의 각 부분과 연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너클.
A base having an insertion hole formed therein; And
And a bracket that is formed of a plurality of pieces and is respectively coupled to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base and connected to respective portions of the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원통형이되, 중심측의 반경이 양측 단부의 반경 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의 양측 단부와 중심측을 연결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너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has a cylindrical shape and has a radius of a center side smaller than a radius of both side ends so that an inclined surface connecting both side ends of the base and the center side is form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중심측의 외주면과 양측 단부의 외주면으로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의 체결부재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베이스측에서 상기 브라켓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너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sid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both side ends,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passes through the base in a direction from the base side toward the bracket A knuckle for a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양측단부에는 내측으로 상기 베이스의 단부에 대응되는 지점에 결합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브라켓과 베이스가 밀착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너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upling surfac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rack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end of the base inwardly and the coupling member is fastened to the coupling surface so that the bracket and the base are tightly coupl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소정의 부피를 갖는 3차원 형상이고, 내주면은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되, 내측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양측단부를 서로 잇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로리브가 내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너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cket is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along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the hollow is formed inside, and a plurality of lateral rib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knuckle for a vehic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소정의 부피를 갖는 3차원 형상이고, 내주면은 상기 베이스의 외주면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되, 내측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양측단부를 서로 잇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가로리브가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가로리브의 중심측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가로리브를 수직으로 가로지르는 세로리브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너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cket is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ormed along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the hollow is formed inside, and a plurality of lateral rib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 vertical rib is formed on the central side of the lateral rib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perpendicularly crosses the lateral rib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만입된 결합홈이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지점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에 상기 브라켓의 체결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너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ngaging groove recessed inward is form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se, and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an inner side of the bracke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gaging groove, And the protrusion is fitted in the coupling groov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 하방의 로워암과 결합되는 로워암 마운팅 브라켓, 상기 베이스 상측의 스트럿과 결합되는 스트럿 마운팅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 측면의 캘리퍼와 결합되는 캘리퍼 마운팅 브라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너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brackets are a lower arm mounting bracket coupled with a lower arm below the base, a strut mounting bracket coupled with a strut above the base, and a caliper mounting bracket coupled with a caliper of the base si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브라켓은 상기 베이스 하방의 로워암과 결합되는 로워암 마운팅 브라켓, 상기 베이스 상측의 어퍼암과 결합되는 어퍼암 마운팅 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 측면의 캘리퍼와 결합되는 캘리퍼 마운팅 브라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너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brackets are a lower arm mounting bracket coupled with a lower arm below the base, an upper arm mounting bracket coupled with the upper arm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and a caliper mounting bracket coupled with the caliper on the side of the base. Knuckl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및 복수의 브라켓은 3D 메탈 프린팅 방식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너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and the plurality of brackets are formed by a 3D metal printing method.
KR1020160158417A 2016-11-25 2016-11-25 Knuckle for vehicle KR1026549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17A KR102654916B1 (en) 2016-11-25 2016-11-25 Knuckl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8417A KR102654916B1 (en) 2016-11-25 2016-11-25 Knuckle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626A true KR20180059626A (en) 2018-06-05
KR102654916B1 KR102654916B1 (en) 2024-04-04

Family

ID=6263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417A KR102654916B1 (en) 2016-11-25 2016-11-25 Knuckle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916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183A (en) * 2005-11-10 2007-05-15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A knuckle of car and a mold for manufacturing it
KR100779351B1 (en) 2006-12-26 2007-11-23 위아 주식회사 Press type steering knuckle for vehicle
KR20090115601A (en) * 2008-05-02 2009-11-05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Hub Bearing Mounting Structure of Automobile
KR20140083656A (en) * 2012-12-26 2014-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eering knuckle
KR101549916B1 (en) * 2014-03-03 2015-09-04 주식회사 일진 Knuckle of vehicle
KR20150103645A (en) * 2015-05-26 2015-09-11 주식회사 일진 Knuckle of vehicle
KR20150112480A (en) * 2014-03-28 2015-10-07 김진영 Transportation means partial repair goods three dimensions printing system and three dimensions printing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183A (en) * 2005-11-10 2007-05-15 한국프랜지공업 주식회사 A knuckle of car and a mold for manufacturing it
KR100779351B1 (en) 2006-12-26 2007-11-23 위아 주식회사 Press type steering knuckle for vehicle
KR20090115601A (en) * 2008-05-02 2009-11-05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Hub Bearing Mounting Structure of Automobile
KR20140083656A (en) * 2012-12-26 2014-07-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teering knuckle
KR101549916B1 (en) * 2014-03-03 2015-09-04 주식회사 일진 Knuckle of vehicle
KR20150112480A (en) * 2014-03-28 2015-10-07 김진영 Transportation means partial repair goods three dimensions printing system and three dimensions printing method
KR20150103645A (en) * 2015-05-26 2015-09-11 주식회사 일진 Knuckle of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4916B1 (en)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5900B1 (en) Vehicle suspension assembly
US20070063472A1 (en) Knuckle arm for vehicles
JP5050623B2 (en) Shackle structure for suspension leaf spring
CA3056799A1 (en) Vehicle suspension with common hub and/or knuckle assembly
US10414225B2 (en) Suspension system
KR20110063164A (en) Suspension arm
US20180015798A1 (en) Carrier for suspension system of vehicles
CN104608579B (en) Couple torque beam spindle-type suspension system
WO2017199166A3 (en) Independent suspension for vehicles, in particular a suspension for a directional wheel for vehicles
CN204432765U (en) MacPherson type suspension steering swivel
KR100779351B1 (en) Press type steering knuckle for vehicle
JPH08169205A (en) Integral axle tube and yoke assembly for front wheel drive axle assembly and vehicle axle assembly
KR20180059626A (en) Knuckle for vehicle
KR102586452B1 (en) Wheel offset variable wheel assembly
CN104417263A (en) Axle beam having a cavity
KR20180041422A (en) Bush unit for coupled torsion beam axle
US9662949B2 (en) Longitudinal control arm
CN105539583A (en) General type steering knuckle for FSC race car
WO2015145700A1 (en) Suspension subframe
SE1550617A1 (en) Wheel carrier
CN209795464U (en) ESP actuating mechanism bracket assembly
KR102214033B1 (en) Wheel bearing for vehicle and knuckl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202413912U (en) Steering knuckle for spatial multi-connecting rod straight-line guiding type suspension frame
KR102336393B1 (en) Knuckle apparatus of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
CN209290080U (en) A kind of economical front axle ass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