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9409A - Method for sewing beddings for preventing allergen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wing beddings for preventing allerg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9409A
KR20180059409A KR1020180058490A KR20180058490A KR20180059409A KR 20180059409 A KR20180059409 A KR 20180059409A KR 1020180058490 A KR1020180058490 A KR 1020180058490A KR 20180058490 A KR20180058490 A KR 20180058490A KR 20180059409 A KR20180059409 A KR 20180059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fabric
piping
yarn
fabr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4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59025B1 (en
Inventor
김혜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덕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덕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덕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80058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025B1/en
Publication of KR20180059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94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0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sewing method capable of reliably preventing allergen when sewing bedding. To this end, the sewing method comprises the following steps: primarily sew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a single fabric; secondarily sewing the fabric by overlapping the single fabric with the other fabric; and thermo-compressing and cooling the sewed fabric. A sewing yarn located between the fabrics due to melting and solidification by the thermos-compression and cooling blocks gaps between the fabrics by bonding the same together, and the other sewing yarn blocks holes produced by the sewing.

Description

알레르겐 방지 침구의 봉제방법{Method for sewing beddings for preventing allergen}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ewing an allergen-

본 발명은 봉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작업으로 침구 내부로부터 알레르겐이 유출되지 않도록 신뢰성 있게 봉제할 수 있는 방법에 관련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w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of reliably sewing so that allergen does not flow out from the inside of a bedding by a simple operation.

일반적으로 의류나 침구 또는 텐트와 같은 제품은 디자이너가 모양을 기획하고, 이에 필요한 원단과 부자재를 준비한 후에 원단을 일정한 패턴에 따라 재단하여 나뉜 천 조각들을 실을 사용하는 봉제 공정을 통해 이어 붙여서 제품의 모양을 갖추고, 여기에 단추, 지퍼 등의 부자재를 부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products such as clothing, bedding or tent are designed by the designer, and after preparing the necessary fabric and auxiliary materials, the fabric is cut according to a certain pattern, and the separated pieces of cloth are stitched together through the sewing process using the thread, And attaching a subsidiary material such as a button or a zipper thereto.

이 과정에서, 실이 천을 관통하여 바느질 구멍이 형성되는데, 이 바느질 구멍에 의해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발생한다.In this process, the thread penetrates through the cloth to form a sewing hole, and this sewing hole causes various problems.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섬유 코어의 외면에 열가소성 접착제층이 도포된 실을 이용하여 원단에 바느질을 하고, 대향하여 설치된 한 쌍의 히트 롤러(heat roller) 사이에 원단을 통과시켜 히트 롤러가 접착제층의 접착제가 녹여 바느질 구멍을 막도록 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fabric is stitch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ber core using a thread coated with a thermoplastic adhesive layer, and a cloth is passed between a pair of heat rolls opposed to each other, The glue melts and blocks the sewing holes.

이 방법에 의하면, 바느질 구멍은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지만, 봉제 라인의 바느질 구멍 사이에서 상하로 겹친 원단 사이의 틈새는 막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method, although the sewing holes can be closed to some exten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ap between the sewing holes of the sewing line and the upper and lower sewing holes can not be blocked.

다른 방법으로, 심 실링(seam sealing) 테이프를 봉제 라인 위에 덧대어 다리미로 열을 가하여 부착하는 방법도 있지만, 세탁을 하면서 또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심실링 테이프가 떼어지고 접착력이 약한 부분이 노출되면서 틈새가 형성되고, 지저분해지는 동시에 재수선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Alternatively, a seam sealing tape may be applied on the sewing line to heat the iron. However, after washing or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ventricular ring tape is peeled off and the weak adhesive portion is expo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rty and must be repaired.

또한, 작업이 복잡하고 테이프 접착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제조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work is complicated and the tape adhering time is lo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is lowered.

상기와 같은 문제가 침구에서 발생하는 경우, 침구의 내부에 쌓인 집먼지 진드기의 사체나 배설물이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됨으로써 알레르기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When the above-mentioned problem occurs in the bedding, the body and the excreta of the house dust mite accumulated in the bedding are leak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 thereby providing the cause of allergy.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단을 겹쳐서 바느질할 때 바느질 구멍 사이에서 원단 간의 틈새가 생기는 것을 간단한 작업으로 방지할 수 있는 봉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wing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a gap between cloths from occurring between sewing holes when sewing a fabric with a simple ope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구 내부의 알레르겐이 원단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는 봉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wing method which can reliably prevent the allergen in the bedding from leaking out through a gap between the fabric end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열에 의해 용융되는 융착사가 적용되며, 상부 원단의 상면에 위치한 제1융착사로 상기 상부 원단을 통과하여 하면에 위치한 제2융착사를 감도록 하여 봉제하는 단계; 상기 상부 원단의 하면에 하부 원단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상부 원단의 상면에 위치한 제3융착사로 상기 하부 원단의 하면에 위치한 제4융착사를 감도록 하여 봉제하는 단계; 및 상기 봉제가 완료된 상부 및 하부 원단을 열 압착하고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열 압착시 상기 상부 및 하부 원단을 수평방향으로 진동시켜 상기 제1 내지 제4융착사가 용융되어 형성되는 점탄성 액체가 상기 진동에 의해 상기 봉제에 의해 형성된 바느질 구멍에 균일하게 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겐 방지 침구의 봉제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wing machine, the method comprising: sewing a second fused yarn passing through the upper fabric with a first fused yarn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an upper fabric, Placing a lower end of the upper fabric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fabric, and sewing a fourth fusing yarn position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fabric with a third fusing yarn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abric to wind the same; And a step of thermally compressing and cooling the upper and lower fabrics after the sewing is completed, wherein the viscoelastic liquid formed by melting the upper and lower fabric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thermal compression bonding, Wherein the vibration is caused to spread uniformly in the sewing holes formed by the sewing by the vibration.

바람직하게, 상기 원단 사이에 위치한 봉제사는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하여 이어질 수 있다.Preferably, the sewing yarn located between the fabrics may be continuous along the edges of the fabric.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열에 의해 용융되는 융착사가 적용되며, 상기 파이핑의 상면에 위치한 파이핑 상면 융착사가 상기 파이핑의 하면에 위치한 파이핑 하면 융착사를 감도록 하여 상기 파이핑을 봉제를 하는 단계; 상기 봉제된 파이핑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1원단과 제2원단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제1원단의 상면에 위치한 제1융착사가 상기 제2원단의 하면에 위치한 제2융착사를 감도록 하여 상기 봉제된 파이핑과 상기 제1 및 제2원단을 한꺼번에 봉제하는 단계; 및 상기 봉제가 완료된 제1원단, 파이핑, 및 제2원단을 열 압착하고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열 압착시 상기 파이핑과, 상기 제1 및 제2원단을 수평방향으로 진동시켜 상기 융착사가 용융되어 형성되는 점탄성 액체가 상기 진동에 의해 상기 봉제에 의해 형성된 바느질 구멍에 균일하게 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겐 방지 침구의 봉제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iping system, the method comprising: sewing piping by applying a fusing yarn to be melted by heat and winding a fused yarn on a lower surface of the piping; The first and second fabrics are position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wed piping and then the first fused yarn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abric is wound around the second fused yarn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abric Sewing the sewed piping and the first and second fabrics together; And a step of thermally compressing and cooling the sewing-completed first fabric, piping, and second fabric, and vibrating the piping and the first and second fabrics in a horizontal direction during the thermo compression bond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viscoelastic liquid formed by melting is uniformly spread in the sewing holes formed by the sewing by the vibration.

본 발명의 봉제방법에 의하면, 간단한 작업으로 원단 사이에 봉제사를 삽입하고 녹여 틈새를 막을 수 있으며,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아 제조효율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e sew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sert the sewing thread between the cloths by a simple operation and to melt the gap, and the working time is not long, and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is improved.

또한, 바느질 구멍뿐만 아니라 원단 사이의 틈새를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어 침구 내부의 알레르겐이 원단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not only the sewing holes but also the gaps between the fabrics can be prevented originally, the allergen inside the bedding can reliably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s between the fabric ends.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봉제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봉제방법에 의한 봉제 상태를 보여준다.
도 3은 도 2의 3-3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봉제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
도 5는 바느질 구멍의 틈이 막힌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봉제방법에 의한 봉제 상태를 보여주며, 도 6(a)은 파이핑을 적용한 사시도이고, 도 6(b)은 도 6(a)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wing machin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sewing state by the sew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in Fig.
4 is a process diagram for explaining the sew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gap of the sewing hole is clogged.
6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piping is applied, and FIG. 6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bb in FIG. 6 (a) .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rpreted or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봉제사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wing machin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봉제사(110)는 통상의 실로 구성된 코어(11)와 코어(11)를 감고 있는 융착사(melting fiber, 12)로 구성된다. 이 예와 달리, 코어(11)와 융착사(12)를 2합 ~ 3합으로 서로 꼬아서 봉제사(110)를 구성할 수 있다.The sewing thread 110 is composed of a core 11 made of a normal thread and a melting fiber 12 wound around the core 11. Unlike this example, the stitching yarn 110 can be formed by twisting the core 11 and the fusing yarn 12 in two to three pairs.

코어(11)는 단섬유(single fiber) 또는 단섬유를 꼬아서 만든 방적사 또는 필라멘트사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The core 11 may include both spun yarns or filament yarns made by twisting single fibers or short fibers.

융착사(12)는 열가소성 수지를 섬유 상으로 형성한 것으로, 대략 80℃ ~ 140℃ 정도의 융점을 갖는 아마이드계 또는 120℃ ~ 170℃ 정도의 융점을 갖는 PET 계열로 구성되어 열을 가하면 용융된다.The fusing yarn 12 is formed of a thermoplastic resin in the form of fiber and is composed of an amide-based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about 80 ° C to 140 ° C or a PET-based resin having a melting point of about 120 ° C to 170 ° C, .

봉제사(110)를 이용하여 바느질한 후, 융착사(12)의 용융 온도범위 내에서 열 압착하면, 융착사(12)는 용융되어 점성과 탄성을 동시에 갖는 점탄성 액체로 되고 코어(11)는 그대로 유지되어 지지 역할을 하게 된다.The staple yarn 12 is melted to be a viscoelastic liquid having both a viscosity and an elasticity at the same time, and the core 11 is left as it is So that it plays a supporting role.

도 2는 본 발명의 봉제방법에 의한 봉제 상태를 보여주고, 도 3은 도 2의 3-3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봉제방법을 설명하는 공정도이다.FIG. 2 is a sectional view of the sew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2, and FIG. 4 is a process drawing illustrating the sew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두 장의 원단을 겹쳐서 가장자리를 바느질하여 침구를 만드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a case where two sheets of fabric are stacked and the edges are stitched to make bedding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2를 보면, 원단(100, 200)을 상하로 겹쳐서 가장자리를 따라 바느질하는데, 서로 다른 궤적의 봉제 라인(150, 250)을 보이고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ewing lines 150 and 250 of different trajectories are shown when sewing the fabrics 100 and 200 up and down and sewing along the edges.

가장자리에 근접한 봉제 라인(150)이 원단(100)만 봉제한 것으로 침구 내부의 알레르겐이 원단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And the sewing line 150 near the edge is sewn only to the fabric 100, thereby preventing the allergen inside the bedding from leaking out through a gap between the fabrics.

또한, 봉제 라인(150)을 기준으로 내측이나 외측(이 실시 예에서는 내측에 위치)에 위치하는 봉제 라인(250)은 원단(100, 200)을 합쳐 봉제한 것이다. The sewing line 250 located on the inside or outside (in this embodiment, on the inner side) with respect to the sewing line 150 is formed by sewing the raw fabrics 100 and 200 together.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봉제사(110, 112)는 원단(100)의 상하면을 봉제하는데 사용되는데, 특히 원단(100)의 하면에 위치하는 봉제사(110)는 원단(100, 200)의 바느질 구멍(102, 104, 202) 사이에서 원단(100, 200)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막는데 사용되며, 가령 원단(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하여 이어진다.2, the sewing threads 110 and 112 are used to sew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abric 100. In particular, the sewing thread 110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abric 100 is inserted into the sewing holes 102, 104, 202, for example, continuing along the edge of the fabric 100.

여기서, 중요한 것은 봉제사(110, 112)에 의한 봉제에 의해 봉제사(110)의 위치가 원단(100)의 하면, 다시 말해 원단(100, 200) 사이에 고정되는 점과, 연속하여 이어진다는 점이다.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the position of the sewing thread 110 is sewn by the sewing threads 110 and 112 and is continuously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fabric 100, that is, between the fabric 100 and 200 .

또한, 봉제사(210, 212)는 원단(100, 200)이 서로 합쳐지도록 봉제하는데 사용된다.In addition, the sewing threads 210, 212 are used to sew the fabrics 100, 200 together.

이하,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봉제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ew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4(a)와 같이, 봉제사(110, 112)를 이용하여 원단(100)만을 바느질하는데, 원단(100)의 하면에 봉제사(110)가 위치하도록 한 다음 원단(100)의 상면에서 봉제사(112)를 이용하여 봉제사(110)와 1차 봉제를 한다.4A, only the fabric 100 is sewn using the sewing threads 110 and 112. After the sewing thread 11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abric 100, the sewing thread 110 is se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bric 100 112 are used to sew the sewing thread 110 first.

그 결과, 도 4(b)에 나타낸 것처럼, 원단(100)의 하면에 봉제사(110)가 밀착되어 연속하여 이어지고, 상면에는 봉제사(112)가 일정한 길이 단위로 밀착되어 이어짐으로써 도 2와 같이 원단(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봉제 라인(150)이 형성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4 (b), the sewing thread 110 is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aw fabric 100 in a continuous manner, and the sewing thread 112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by a predetermined length unit, The sewing line 150 is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body 100.

이와 같이, 간단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 않는 봉제 작업에 의해 원단(100)의 하면에 열에 의해 용융되는 봉제사(110)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키고, 후술하는 것처럼, 겹쳐진 원단(100, 200)을 봉제사(110)를 이용하여 열 융착으로 결합시켜 원단 사이의 틈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ewing thread 110, which is melted by heat, is stably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aw fabric 100 by the simple and time-consuming sewing work, and the overlapped fabrics 100, 110) so as to block the gap between the fabrics.

이와 같이 하여 원단(100)의 모든 가장자리를 따라 바느질하여 봉제 라인(150)을 형성한 후, 원단(100)의 하면에 다른 원단(200)을 겹친 상태에서 2차 봉제를 한다.After sewing along all the edges of the fabric 100 in this way to form the sewing line 150, second sewing is performed while the other fabric 200 is lai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abric 100.

도 4(c)를 참조하면, 원단(200)의 하면에 봉제사(210)를 두고, 원단(200)과 겹친 원단(100)의 상면에서 봉제사(212)를 이용하여 봉제사(210)와 2차 봉제를 한다.4 (c), the sewing thread 210 is plac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aw fabric 200, and the sewing thread 210 is sew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w fabric 100 overlapping the raw fabric 200 with the sewing thread 210, Sewing.

2차 봉제를 마치면, 도 3과 같은 상태로 봉제가 완료되는데, 원단(100, 200) 사이에는 봉제사(110)가 위치하여 연속하여 이어진다.When the second sewing is completed, sewing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3, and the sewing thread 11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wing threads 100 and 200 and continues.

이후 봉제가 완료된 원단(100, 200)을 열 압착하는데, 가령 히팅 플레이트 위에 원단(100, 200)의 바느질 마감된 부분을 올려놓고 열 압착 프레스를 구동하면, 프레스가 하강하여 히팅 플레이트를 기설정된 압력으로 가압한다.The sewing finished fabric 100, 200 is then thermocompression-bonded. For example, if the sewing finished portion of the fabric 100, 200 is placed on the heating plate and the thermocompression press is driven, the press is lowered, .

그 결과, 프레스가 히팅 플레이트를 가압한 상태에서 프레스와 히팅 플레이트에 의해 원단(100, 200)이 가열되면서 바느질 마감된 부분에서 봉제사(110, 112, 210, 212)를 구성하는 융착사(12)가 용융되어 점탄성 액체로 변한다.As a result, the fabrics 100 and 200 are heated by the press and the heating plate while the press is pressing the heating plate, and the fused yarn 12 constituting the sewing threads 110, 112, 210, Is melted into a viscoelastic liquid.

이때, 봉제사(110, 112, 210, 212)를 구성하는 코어(11)에 의해 융착사(12)가 용융되어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ositions of the fused yarns 12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fused yarns 12 are melted by the cores 11 constituting the sewing threads 110, 112, 210, and 212.

이후, 원단(100, 200)이 냉각되면 점탄성 액체는 가소성에 의해 고상으로 다시 변화함으로써 봉제에 의해 원단(100, 200) 사이에 생길 수밖에 없는 틈새를 댐(dam)처럼 작용하여 막게 된다.Then, when the fabrics 100 and 200 are cooled, the viscoelastic liquid changes back to a solid state due to plasticity, so that a gap, which must be generated between the fabrics 100 and 200 by sewing, acts as a dam and is blocked.

그 결과, 침구 내부에 쌓인 집먼지 진드기의 배설물이나 사체가 외부로 유출되어 침구 사용자에게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excretion or carcass of the house dust mites accumulated inside the bedding from leaking out to cause the bedding user to be allergic.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원단(100)의 하부에 원단(200)을 겹쳐서 이들 사이에 봉제사(110)가 위치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지만, 원단(100)의 상부에 겹쳐서 이들 사이에 봉제사(112)가 위치하여도 실질적으로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lthough the sewing thread 110 is placed between the fabric 200 and the sewing thread 112 between the sewing thread 110 and the sewing thread 110 in the upper part of the fabric 100,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substantially.

즉, 원단(100, 200) 사이에 위치한 봉제사(112)가 봉제하면서 원단(100)을 왕복함으로써 미세한 간격의 바느질 구멍에 의해 주기적으로 분리되지만, 이 간격 부분에서 봉제사(112)가 용융되면서 서로 합쳐짐으로써 연속하게 되기 때문에 원단(100, 200) 사이에 봉제사(110)가 위치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That is, although the sewing thread 112 located between the cloths 100 and 200 is periodically separated by the sewing holes of a minute interval by sewing and reciprocating the cloth 100, the sewing thread 112 is melted So that the same effect as in the case where the sewing thread 110 is located between the cloths 100 and 200 is obtained.

한편, 상기한 열 압착에 의해 바느질 구멍(102, 104, 202)을 관통하는 봉제사(112, 212)의 융착사(12)가 용융되어 점탄성 액체로 변하면서 바느질 구멍(102, 104, 202)과 봉제사(112, 212) 사이의 틈을 막아버린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fusing yarn 12 of the sewing threads 112, 212 passing through the sewing holes 102, 104, 202 is melted and turned into a viscoelastic liquid by the thermocompression bonding, The gap between the sewing threads 112 and 212 is blocked.

도 5는 바느질 구멍의 틈이 막힌 상태를 보여준다.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gap of the sewing hole is clogged.

점탄성 액체(14)는 프레스(140)에 의한 가압으로 바느질 구멍(102, 104, 202) 내에서 흘러 퍼진다.The viscoelastic liquid 14 flows through the stitch holes 102, 104, 202 under pressure by the press 140.

이때, 점탄성 액체(14)가 균일하게 퍼지지 않고 일부에 미세한 틈이 형성될 수 있는데, 열 압착시 히팅 플레이트를 진동유닛에 의해 진동시키면 원단(100, 200)이 수평방향으로 진동하면서 바느질 구멍(102, 104, 202) 내부의 점탄성 액체(14)가 바느질 구멍 내에서 균일하게 퍼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viscoelastic liquid 14 may not spread uniformly and a fine gap may be formed in the part. When the heating plate is vibrated by the vibration unit during the thermocompression, the fabric 100, 200 oscillat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104, 202 are uniformly spread in the stitch hole.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원단 사이에 봉제사를 봉제에 의해 위치시키고 열 용융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원단 사이의 틈새를 완벽하게 막을 수 있으며,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지 않아 제조 효율이 향상된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the gap between the fabrics by a simple operation of sewing the sewing yarn between the fabrics and thermally fusing the fabric, and the manufacturing time is not long and the manufacturing efficiency is improved.

또한, 바느질 구멍뿐만 아니라 원단 사이의 틈새를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어 침구 내부의 알레르겐이 원단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not only the sewing holes but also the gaps between the fabrics can be prevented originally, the allergen inside the bedding can reliably be prevented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rough the gaps between the fabric ends.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봉제방법에 의한 봉제 상태를 보여주며, 도 6(a)은 파이핑을 적용한 사시도이고, 도 6(b)은 도 6(a)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6 (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piping is applied, and FIG. 6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bb in FIG. 6 (a) .

파이핑(300)은 제품에 장식용 또는 인장력 강화용으로 사용되는데,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원단 내에 일정 길이의 심재(실)를 삽입하여 원단 내에 심재를 감싸 안게 구성한 다음에 심재를 감싸지 않은 부분을 봉제하여 사용된다.The piping 300 is used for decorating the product or for strengthening the tensile strength. The core member is inserted into a fabric having a certain length and width and inserted into the fabric, .

이 실시 예에서, 파이핑(300)은 봉제사(310, 312)에 의해 미리 봉제된 후, 원단(100, 200) 사이에 끼워 일체로 봉제된다.In this embodiment, the piping 300 is pre-sewn by the sewing threads 310, 312, then sandwiched between the fabrics 100, 200 and sewn together.

봉제가 완료되면, 파이핑(300)의 상면과 하면의 봉제사(310, 312)는 각각 파이핑(300)과 원단(100) 사이 그리고 파이핑(300)과 원단(20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The upper and lower sewing threads 310 and 312 of the piping 300 are positioned between the piping 300 and the fabric 100 and between the piping 300 and the fabric 200, respectively.

그 결과, 상기의 일 실시 예와 같이, 열 압착과정을 거치면서 봉제사(310, 312)는 용융되어 파이핑(300)과 원단(100) 사이 그리고 파이핑(300)과 원단(200) 사이를 접착시켜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As a result, the sewing threads 310 and 312 are melted by thermocompression bonding to bond the piping 300 and the fabric 100 and between the piping 300 and the fabric 200 Thereby preventing a gap from being formed.

특히, 파이핑(300)과 원단(100) 사이의 봉제사(312)는 원단(100) 하면의 봉제사(310)와 봉제되면서 원단(100)을 왕복함으로써 미세한 간격의 바느질 구멍에 의해 주기적으로 분리되지만, 봉제사(312)가 용융되면서 서로 합쳐짐으로써 연속하게 된다.Particularly, the sewing yarn 312 between the piping 300 and the fabric 100 is periodically separated by the sewing holes with a minute interval by reciprocating the fabric 100 while being sewed with the sewing yarn 310 of the fabric 100, The sewing yarn 312 is melted and joined together to be continuou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should be construed in view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100, 200; 원단
110, 112, 210, 212: 봉제사
150, 250: 봉제 라인
102, 104, 202: 바느질 구멍
100, 200; fabric
110, 112, 210, 212: sewing thread
150, 250: sewing line
102, 104, 202: sewing holes

Claims (4)

원단을 겹쳐 봉제하는 방법으로서,
열에 의해 용융되는 융착사가 적용되며,
상부 원단의 상면에 위치한 제1융착사로 상기 상부 원단을 통과하여 하면에 위치한 제2융착사를 감도록 하여 봉제하는 단계;
상기 상부 원단의 하면에 하부 원단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상부 원단의 상면에 위치한 제3융착사로 상기 하부 원단의 하면에 위치한 제4융착사를 감도록 하여 봉제하는 단계; 및
상기 봉제가 완료된 상부 및 하부 원단을 열 압착하고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열 압착시 상기 상부 및 하부 원단을 수평방향으로 진동시켜 상기 제1 내지 제4융착사가 용융되어 형성되는 점탄성 액체가 상기 진동에 의해 상기 봉제에 의해 형성된 바느질 구멍에 균일하게 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겐 방지 침구의 봉제방법.
As a method for sewing a fabric overlaid,
A fused yarn which is melted by heat is applied,
Sewing the second fusible yarn passing through the upper fabric with the first fusible yarn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abric so as to surround the second fusible yarn;
Placing a lower end of the upper fabric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fabric, and sewing a fourth fusing yarn positioned on a lower surface of the lower fabric with a third fusing yarn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fabric to wind the same; And
And thermally compressing and cooling the sewn upper and lower fabrics,
And the upper and lower fabrics are horizontally vibrated during the thermocompression so that the viscoelastic liquid formed by melting the first to fourth fusible fibers is uniformly spread in the sewing holes formed by the sewing by the vibration. A method of sewing an anti-allergenic bedding.
청구항 1에서,
상기 원단 사이에 위치한 봉제사는 상기 원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하여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겐 방지 침구의 봉제방법.
In claim 1,
Wherein the sewing thread located between the fabrics continues along the edge of the fabric.
겹친 원단 사이에 파이핑을 개재하여 봉제하는 방법으로서,
열에 의해 용융되는 융착사가 적용되며,
상기 파이핑의 상면에 위치한 파이핑 상면 융착사가 상기 파이핑의 하면에 위치한 파이핑 하면 융착사를 감도록 하여 상기 파이핑을 봉제를 하는 단계;
상기 봉제된 파이핑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제1원단과 제2원단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제1원단의 상면에 위치한 제1융착사가 상기 제2원단의 하면에 위치한 제2융착사를 감도록 하여 상기 봉제된 파이핑과 상기 제1 및 제2원단을 한꺼번에 봉제하는 단계; 및
상기 봉제가 완료된 제1원단, 파이핑, 및 제2원단을 열 압착하고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열 압착시 상기 파이핑과, 상기 제1 및 제2원단을 수평방향으로 진동시켜 상기 융착사가 용융되어 형성되는 점탄성 액체가 상기 진동에 의해 상기 봉제에 의해 형성된 바느질 구멍에 균일하게 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겐 방지 침구의 봉제방법.
As a method of sewing with interposition of piping between overlapping fabrics,
A fused yarn which is melted by heat is applied,
Sewing the piping so as to wrap the fused yarn when the piping upper surface fusion yarn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ping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iping;
The first and second fabrics are position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wed piping and then the first fused yarn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fabric is wound around the second fused yarn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abric Sewing the sewed piping and the first and second fabrics together; And
Compressing and cooling the first fabric, the piping, and the second fabric that have been sewn,
Characterized in that the viscoelastic liquid formed by melting the piping and the first and second fabrics by horizontally vibrating the fused yarn during the thermo compression bonding is uniformly spread in the sewing holes formed by the sewing by the vibration Sewing method of anti-allergenic bedding.
청구항 1 또는 3의 봉제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레르겐 방지 침구.The anti-allergenic bedding according to claim 1 or 3, which is produced by the sewing method.
KR1020180058490A 2018-05-23 2018-05-23 Method for sewing beddings for preventing allergen KR1020590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490A KR102059025B1 (en) 2018-05-23 2018-05-23 Method for sewing beddings for preventing allerg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490A KR102059025B1 (en) 2018-05-23 2018-05-23 Method for sewing beddings for preventing allerge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424A Division KR101896071B1 (en) 2016-11-11 2016-11-11 Method for sewing beddings for preventing aller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9409A true KR20180059409A (en) 2018-06-04
KR102059025B1 KR102059025B1 (en) 2019-12-24

Family

ID=6262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490A KR102059025B1 (en) 2018-05-23 2018-05-23 Method for sewing beddings for preventing allerg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02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494A (en) * 2000-03-27 2001-10-02 Japan Vilene Co Ltd Setting method of cloth
KR200381641Y1 (en) * 2005-01-27 2005-04-14 주태식 A piping tape
JP2009228161A (en) * 2008-03-24 2009-10-08 Toray Ind Inc Method for sewing up conductive fabric, and conductive garment using the conductive fabric
KR20150065355A (en) * 2013-12-05 2015-06-15 김혜온 Thread for sewing and method for making textile products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494A (en) * 2000-03-27 2001-10-02 Japan Vilene Co Ltd Setting method of cloth
KR200381641Y1 (en) * 2005-01-27 2005-04-14 주태식 A piping tape
JP2009228161A (en) * 2008-03-24 2009-10-08 Toray Ind Inc Method for sewing up conductive fabric, and conductive garment using the conductive fabric
KR20150065355A (en) * 2013-12-05 2015-06-15 김혜온 Thread for sewing and method for making textile products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9025B1 (en) 201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9955B2 (en) Clothing having a smooth seam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0579951B1 (en) Wrinkle free seam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774333B1 (en) Non-sewing down bedding and manufacturing method
US20050188907A1 (en) Sewing method to increase seam strength
US8440036B2 (en) Joining stretchable fabric portions to one another
US6070542A (en) Pucker free collar seam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150117241A (en) Method for making textile products using thread for sewing
JP3093708B2 (en) Clothing having a smooth pocket seam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3205725B2 (en) Clothing having a smooth sleeved seam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463713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on-sewn garments
KR101896071B1 (en) Method for sewing beddings for preventing allergen
KR20180059409A (en) Method for sewing beddings for preventing allergen
US3725954A (en) Method of manufacturing garment collars or lapels
KR200470389Y1 (en) A method of using a new type of fabric adhesive tape which made of Polyester textile and adhesive tapes which melt with heated when make the fabric materials connected without sewing and knitting.
JP3434479B2 (en) Embroidery pattern forming method and embroidery pattern
KR20150065355A (en) Thread for sewing and method for making textile products using the same
CN108192555A (en) A kind of adhesive composition and its application in clothing
JP7015344B2 (en) Clothing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clothing
JP3353269B2 (en) Clothing having smooth side seams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2001269494A (en) Setting method of cloth
CN110558653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ning on reverse side of cuff of suit
JP6496885B1 (en) Waterproof seam structure
JP2012012746A (en) Embroidered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16369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f arm-hole tape
KR810001321Y1 (en) Woven t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