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954A -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 - Google Patents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954A
KR20180058954A KR1020160157941A KR20160157941A KR20180058954A KR 20180058954 A KR20180058954 A KR 20180058954A KR 1020160157941 A KR1020160157941 A KR 1020160157941A KR 20160157941 A KR20160157941 A KR 20160157941A KR 20180058954 A KR20180058954 A KR 20180058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panel
pipe
coupled
pai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7621B1 (ko
Inventor
임건태
Original Assignee
(주)세종이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종이십일 filed Critical (주)세종이십일
Priority to KR1020160157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621B1/ko
Publication of KR20180058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소방용 배관이 좌우 유동하도록 체결볼트로 베이스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이 상하 완충작용을 하도록 한쌍의 소버로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됨으로써, 지진이나 진동 또는 유체의 흐름에 따른 진동 등을 완화시켜 소방용 배관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함에 따라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는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 {Seismic control of the piping for a fire}
본 발명은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소방용 배관이 좌우 유동하도록 체결볼트로 베이스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이 상하 완충작용을 하도록 한쌍의 소버로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됨으로써, 지진이나 진동 또는 유체의 흐름에 따른 진동 등을 완화시켜 소방용 배관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함에 따라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는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배관 행거는 아파트나 고층건물의 지하층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을 천정에 매달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지하층의 콘크리트 내에 매설된 인서트 플레이트 또는 천정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천정행거볼트에 결합되어 배관을 천정으로부터 일정간격 유지하고 배관의 수평 상태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배관 내의 유체 흐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배관의 이완 또는 처짐을 방지하게 된다.
종래 배관 행거는 도면에서 도 1과 같이, 배관의 지지 및 해제를 위해 좌우로 분리되는 한쌍의 배관밴드(2,3)와, 상기 배관밴드(2,3)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4,5)와 연접되는 플랜지(11)를 구비한 지지 브래킷(10)과, 상기 지지 브래킷(10)의 상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3)로 구성된다.
이때, 배관밴드(2,3)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4,5)와 지지 브래킷(10)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11)에는 서로 대응하도록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에는 볼트(7) 및 너트(8)가 체결되어 상기 배관밴드(2,3)와 지지 브래킷(10)이 연접된다. 또한 상기 배관밴드(2,3)의 하단에는 각 체결공(4a)과 체결편(5a)이 서로 엇갈리게 삽입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관 행거는 그 상면에 체결된 체결부재(10)에 천정 또는 벽체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행가볼트에 결합되어 매달린 채로 사용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6299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10290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27116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01258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천장으로부터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배관의 수평 상태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지진에 의한 진동 또는 배관 내 유체의 흐름에 따른 진동 등을 완화시켜 소방용 배관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함에 따라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는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브래킷과 체결볼트로 배관이 고정되는 베이스패널 및 상부가 지지브래킷에 힌지로 결합되고, 하부가 베이스패널에 힌지로 결합되는 한 쌍의 소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소버는 일측 지지브래킷에 상부가 힌지로 결합되고, 베이스패널의 타측에 힌지로 결합되는 제1소버와 타측 지지브래킷에 상부가 힌지로 결합되고, 베이스패널의 일측에 힌지로 결합되는 제2소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브래킷은 제1,2소버의 상부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패널은 체결볼트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장공과 체결볼트의 타측이 결합되는 제2장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2장공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는 소방용 배관이 좌우 유동하도록 체결볼트로 베이스패널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패널이 상하 완충작용을 하도록 한싼의 소버로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됨으로써, 지진이나 진동 또는 유체의 흐름에 따른 진동 등을 완화시켜 소방용 배관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함에 따라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소방용 배관의 고정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의 상하 진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의 좌우 진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베이스패널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의한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의한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의한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은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물에 설치되는 소방용 배관의 고정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소방용 배관(이하, '배관(10)'이라 한다.)이 좌우 유동되도록 체결볼트(11)로 베이스패널(20)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패널(20)이 상하 완충작용을 하도록 한 쌍의 소버(30)로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됨으로써, 지진이나 또는 유체의 흐름에 따른 진동 등을 완화시켜 배관(10)의 변형에 따른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함에 따라 지진으로 인한 배관(10)의 피해를 최소화 하는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브래킷(40);과 체결볼트(11)로 배관(10)이 고정되는 베이스패널(20); 및 상부가 지지브래킷(40)에 힌지(31)로 결합되고, 하부가 베이스패널(20)에 힌지(32)로 결합되는 한 쌍의 소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소버(30)는 일측 지지브래킷(40)에 상부가 힌지(31)로 결합되고, 베이스패널(20)의 타측에 힌지(32)로 결합되는 제1소버(33);와 타측 지지브래킷(40)에 상부가 힌지(31)로 결합되고, 베이스패널(20)의 일측에 힌지(32)로 결합되는 제2소버(3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브래킷(40)은 제1,2소버(33)(34)의 상부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부재(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패널(20)은 체결볼트(11)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장공(21);과 체결볼트(11)의 타측이 결합되는 제2장공(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2장공(21)(22)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지지브래킷(40)은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물의 천장에 한 쌍으로 고정설치되는 것으로서, 설치되는 배관(10)의 양측 상부에 위치되도록 볼트 등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배관(1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소버(30)와 베이스패널(20)이 한 쌍마다 각각 설치됨으로써, 배관(10)을 천창으로부터 이격하여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지지브래킷(40)은 천장에 면접되어 볼트 등으로 고정설치되는 베이스(41);와 상기 베이스(41)의 하부에 이후에 언급될 소버(30)의 상부가 힌지(3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브라켓(미표시)이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당업자의 판단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베이스패널(20)은
체결볼트(11)로 배관(10)이 고정되는 것으로서, '∩' 형태의 체결볼트(11)에 의해 원통형의 배관(10)이 상부에 좌우로 유동 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배관(10)을 지지하고, 지진 등에 의해 배관(10)이 자연스럽게 좌우 유동됨으로써, 좌우 유동에 의해 배관(10)이 손상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베이스패널(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0)이 안착되되, 체결볼트(11)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장공(21)과 체결볼트(11)의 타측이 결합되는 제2장공(22)을 구비하는 지지프레임(미표시);과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상부로 돌출형성되되, 이후에 언급될 소버(30)의 하부가 힌지(32)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브라켓(미표시)이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가이드프레임(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은 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한 쌍의 소버(30)가 엇갈려 설치될 때, 소버(30)가 원활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가이드프레임에 각각 형성되되, 동일선상이 아닌 사선상에 형성되어 소버(30)에 의해 안정적으로 베이스패널(20)과 결합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베이스패널(20)은 상기 제1,2장공(21)(22)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프링(23)은 체결볼트(11) 즉, 배관(10)이 좌우로 유동될 때, 완충작용을 하여 배관(10)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배관(10)이 베이스패널(20)의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23)이 제1,2장공(21)(22)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볼트(11)의 일측과 타측 외주연에 각각 한 쌍의 체결돌부(미표시)가 형성되고, 제1,2장공(21)(22)의 양쪽 내측면에 체결돌기(미표시)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프링(23)의 일측과 타측말단이 상기 체결돌부와 체결돌기의 외주연에 끼움결합되어 각각의 제1,2장공(21)(22)에 한 쌍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스프링(23)은 체결볼트(11)의 일측과 타측이 좌우로 유동될 때, 탄성지지하여 완충되도록 함으로써, 배관(10)이 좌우 유동에 의해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한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한 쌍의 소버(30)는
상부가 지지브래킷(40)에 힌지(31)로 결합되고, 하부가 베이스패널(20)에 힌지(32)로 결합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0)이 설치된 베이스패널(20)이 지진 등에 의해 좌우 및 상하로 유동될 때, 상하 완충작용이 일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좌우로 유동되도록 함으로써, 배관(10)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한 쌍의 소버(30)는 도면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지지브래킷(40)에 상부가 힌지(31)로 결합되고, 베이스패널(20)의 일측에 힌지(32)로 결합되는 제1소버(33)와 타측 지지브래킷(40)에 상부가 힌지(31)로 결합되고, 베이스패널(20)의 일측에 힌지(32)로 결합되는 제2소버(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실시예 1)
즉, 상기 실시예 1의 한 쌍의 소버(30)는 베이스패널(20)이 상하 완충작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힌지(31)(32)에 의해 좌우로 자연스럽게 유동되어 베이스패널(20)에 설치된 배관(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쌍의 소버(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지지브래킷(40)에 상부가 힌지(31)로 결합되고, 베이스패널(20)의 타측에 힌지(32)로 결합되는 제1소버(33)와 타측 지지브래킷(40)에 상부가 힌지(31)고 결합되고, 베이스패널(20)의 일측에 힌지(32)로 결합되는 제2소버(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실시예 2)
즉, 상기 실시예 2의 한 쌍의 소버(30)는 좌우로 엇갈리게 설치됨으로써,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패널(20)의 상하 완충작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하고, 소버(30)에 가해지는 배관(10)의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한 쌍의 지지브래킷(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이후에 자세히 언급될 소버(30)의 'X'형태(실시예 2) 즉, 엇갈리게 설치된 제1,2소버(33)(34)의 상부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부재(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재(42)에 의해 소버(30) 즉, 제1,2소버(33)(34)의 상부가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됨으로써, 지진 등에 의한 상하 완충작용이 더욱 안정적으로 작용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실시예 5)
즉, 상기 지지부재(42)는 지진 등에 의해 배관이 상하 유동되면 1차로 소버(30)에 의해 배관(10)이 설치된 베이스패널(20)이 완충작용할 때, 상기 소버(30)의 상부가 완충작용되도록 함으로써, 배관(10)에 작용하는 상하 유동에 따른 상하 완충작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지지부재(42)는 천장에 면접되어 고정설치되는 베이스(41)의 일측에 하부방향으로 형성된 연결프레임(43);과 상기 연결프레임(43)의 말단에 탄성부(44)에 의해 타측방향 즉, 소버(30)의 상부방향으로 연결된 지지프레임(45); 및 지지프레임(45)의 말단에 형성되어 소버(30)의 상부와 결합되는 결합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도 9를 참고하였을 때, 상기 소버(30)는 제2소버(34)로 지칭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44)는 토션 스프링 또는 판 스프링 등이 설치되어 지지프레임(45)이 상하로 완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합부(46)는 소버(30) 상부의 하부면과 면접되어 지지하여도 무방하나, 외주연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소버(30)의 상부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소버(30)와 더불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패널(20)의 중앙 상부 천장에 설치되는 지지브래킷(40)에 힌지(미표시)로 상부가 결합되고, 베이스패널(20)의 중앙에 힌지(미표시)로 결합되는 제3소버(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실시예 3)
상기 제3소버(35)는 배관(10)의 하중을 더욱 효율적으로 분산할 수 있고, 베이스패널(20)의 상하 완충작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지진 등에 의해 배관(10)과 함께 베이스패널(30)이 좌우 및 상하로 유동 된 후 베이스패널(30)이 중심을 잡으며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원위치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쌍의 소버(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지지브래킷(40)에 연결설치되는 체인(3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체인36)은 미세한 진동에도 배관(10) 즉, 베이스패널(20)이 안정적으로 유동될 수 있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체인(36)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한 쌍의 소버(30)의 하부에 베이스패널(20)과 연결되어도 무방하다.(실시예 4)
즉, 상기 체인(36)은 한 쌍의 소버(30) 및 제3소버(35)의 상부 및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도 무방하고, 배관(10)이 천장과 이격되는 거리를 고려하여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길이를 적절하게 변경하여 설치하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한 쌍의 소버(30)는 좌우 유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체인(36)이 설치되어도 힌지(31)(3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합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베이스패널(20)과 한 쌍의 지지브래킷(40)의 사이에 한 쌍의 소버(30) 및 제3소버(35)가 힌지(31)(32)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소버(30) 및 제3소버(35)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체인(36)을 설치하여 미세한 움직임에도 유연하게 유동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42)를 이용하여 소버(30)의 완충작용을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관(1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배관 11 : 체결볼트
20 : 베이스패널 21 : 제1장공
22 : 제2장공 23 : 스프링
30 : 소버 31, 32 : 힌지
33 : 제1소버 34 : 제2소버
40 : 지지브래킷 42 : 지지부재

Claims (5)

  1. 천장에 고정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브래킷(40);과
    체결볼트(11)로 배관(10)이 설치되는 베이스패널(20); 및
    상부가 지지브래킷(40)에 힌지(31)로 결합되고, 하부가 베이스패널(20)에 힌지(32)로 결합되는 한 쌍의 소버(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버(30)는
    일측 지지브래킷(40)에 상부가 힌지(31)로 결합되고, 베이스패널(20)의 타측에 힌지(32)로 결합되는 제1소버(33);와
    타측 지지브래킷(40)에 상부가 힌지(31)로 결합되고, 베이스패널(20)의 일측에 힌지(32)로 결합되는 제2소버(3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브래킷(40)은
    제1,2소버(33)(34)의 상부를 탄성지지하는 지지부재(4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20)은
    체결볼트(11)의 일측이 결합되는 제1장공(21);과
    체결볼트(11)의 타측이 결합되는 제2장공(2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패널(20)은
    제1,2장공(21)(22)의 내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스프링(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
KR1020160157941A 2016-11-25 2016-11-25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 KR101897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41A KR101897621B1 (ko) 2016-11-25 2016-11-25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41A KR101897621B1 (ko) 2016-11-25 2016-11-25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954A true KR20180058954A (ko) 2018-06-04
KR101897621B1 KR101897621B1 (ko) 2018-10-04

Family

ID=62628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941A KR101897621B1 (ko) 2016-11-25 2016-11-25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6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860B1 (ko) 2018-06-29 2019-09-03 파이발텍 주식회사 소방용 배관의 흔들림 방지 연결 지지대용 체결유닛
CN112344101A (zh) * 2020-09-24 2021-02-09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lng船加注管固定管夹及固定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9882B1 (ko) * 2019-04-09 2020-01-08 (주)다산엔지니어링 소방용 배관의 내진 장치
KR102074452B1 (ko) 2019-12-13 2020-03-02 조홍구 건축 기계 설비 및 소방 설비용 배관의 내진 보강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993B1 (ko) 2008-05-15 2010-06-10 김성구 방진 및 내진용 배관고정장치
KR101102908B1 (ko) 2011-06-23 2012-01-10 김성구 내진 스프링 안전 행거
KR101271168B1 (ko) 2010-11-24 2013-06-05 주식회사 워터테이크 내진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601258B1 (ko) 2014-10-30 2016-03-08 주식회사 엠알테크 내진형 배관 클램프
KR20160043938A (ko) * 2016-04-01 2016-04-22 김대식 복합형 완충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8672B1 (ko) * 2004-06-10 2006-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압축기 지지장치
KR200388694Y1 (ko) * 2005-04-18 2005-07-01 김대식 충격흡수용 배관지지가대
KR100756416B1 (ko) * 2007-06-11 2007-09-07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배관의 진동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2993B1 (ko) 2008-05-15 2010-06-10 김성구 방진 및 내진용 배관고정장치
KR101271168B1 (ko) 2010-11-24 2013-06-05 주식회사 워터테이크 내진용 원터치식 배관 연결장치
KR101102908B1 (ko) 2011-06-23 2012-01-10 김성구 내진 스프링 안전 행거
KR101601258B1 (ko) 2014-10-30 2016-03-08 주식회사 엠알테크 내진형 배관 클램프
KR20160043938A (ko) * 2016-04-01 2016-04-22 김대식 복합형 완충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7860B1 (ko) 2018-06-29 2019-09-03 파이발텍 주식회사 소방용 배관의 흔들림 방지 연결 지지대용 체결유닛
CN112344101A (zh) * 2020-09-24 2021-02-09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lng船加注管固定管夹及固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621B1 (ko) 2018-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7621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장치
KR101709057B1 (ko) 배관 지지 행거
KR101866864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 클램핑장치
KR101870213B1 (ko) 내진 및 방진용 배관 지지 행거
KR101274568B1 (ko) 천정판넬 내진 시공장치
KR20160024890A (ko)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고정장치
KR101709089B1 (ko) 내진용 멀티 배관 행거
KR101932029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 헹거장치
KR101831953B1 (ko) 전기 공사용 케이블 트레이 어셈블리
KR101833820B1 (ko) 천장틀 및 이를 위한 내진부재
KR20090003854U (ko) 천장 구조
KR101043736B1 (ko) 스프링 내장형 내진 안전행가
KR101713634B1 (ko) 내진설계 무대장치
KR20090119065A (ko) 방진 및 내진용 배관고정장치
KR20180028724A (ko) 내진 및 방진용 배관 홀더
KR102173311B1 (ko) 댐핑브래킷을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948599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 헹거장치
JP5972309B2 (ja) 免震装置、及び免震工法
KR101828265B1 (ko) 건축물의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설치 공법
KR102305534B1 (ko) 지진동 완충 구조가 구비된 아케이드
KR20180028722A (ko) 내진 및 방진용 배관 지지 가대
KR102129397B1 (ko) 한옥의 기둥 면진구조
KR20100080992A (ko)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JP7083447B2 (ja) 高耐震性間仕切装置におけるドア枠取付装置
KR102307873B1 (ko) 기둥의 연성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적벽 완충장치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