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589A - 고정형 샤워장치의 잔수 흐름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고정형 샤워장치의 잔수 흐름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589A
KR20180058589A KR1020160157780A KR20160157780A KR20180058589A KR 20180058589 A KR20180058589 A KR 20180058589A KR 1020160157780 A KR1020160157780 A KR 1020160157780A KR 20160157780 A KR20160157780 A KR 20160157780A KR 20180058589 A KR20180058589 A KR 20180058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ray
hole
plat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주
주재한
Original Assignee
이명주
주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주, 주재한 filed Critical 이명주
Priority to KR1020160157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8589A/ko
Publication of KR20180058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5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283Fixed showers
    • A47K3/285Free-standing or hanging showers without a cabi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수전금구와 연결된 상태에서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부와;
상기 물공급부의 선단에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물이 분사되는 분사기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는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하로 결합시켜 수용실을 갖춘 분사판과;
상기 분사판의 저면에 수용실과 연통되는 상태로 배수공을 갖는 다수개의 배수관체와;
상기 분사판의 저면에 위치하되 각가의 배수관체에 씌워져 배수공을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분사공을 갖춘 씌움관체가 갖추어진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상면 중앙에는 분사판의 저면을 관통하는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에 씌워진 상태에서 하단은 분사판에 탄지되고, 상단은 이동축에 갖추어진 고정편에 탄지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씌움관체가 배수공을 긴밀히 밀착시켜 준 상태에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정형 샤워장치의 잔수 흐름 차단장치 {Fixing Shower Device Discharge and Preventing of Remain Water}
본 발명은 샤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욕실의 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물을 분사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샤워장치를 사용도중 물의 사용을 차단시켜 주었을 때, 분사기에 갖추어진 분사공을 자동으로 차단시켜 주어 물공급부와 분사기내에 물이 그대로 잔류된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고정형 샤워장치의 잔수 흐름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형 샤워장치는 욕실의 벽면에 설치된 수전금구와 연결되어 상기 수전금구의 작동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분사기를 통해 물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직접 샤워기를 손으로 잡지 않은 상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형 샤워장치(10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전금구(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상태에서 벽면(1)에 고정되는 고정부(2)에 의해 고정되는 물공급부(200)와, 상기 물공급부의 선단부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물이 분사되는 분사기(300)와, 상기 물공급부와 분사기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물공급부(200)는 수전금구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수직공급관(210)과, 상기 수직공급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수평공급관(220)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수평공급관(220)은 양측 끝단 부분이 직각이 되도록 절곡시켜 수직공급관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분사기가 수평공급관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사기(300)는 수평공급관(220)의 선단부와 연결되는 연결부(400)에 의해 연결되어 하면에 갖추어진 분사공(310)을 통해 물이 분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400)는 수평공급관(220)의 선단부에 갖추어진 체결관(230)에 나선 체결된 연결관체(410)를 갖추고, 상기 연결관체의 하부에 연장되는 원형의 회동체(420)를 갖추며, 상기 회동체의 중앙에는 연결관체와 연통되는 개방구(430)를 갖추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체의 외주연에는 분사기를 나선 체결시켜 주는 체결관체(440)를 갖추어 주므로서, 사용자가 분사기의 각도를 조절시켜 주고자 할 경우 원형의 회동체(420) 외주연에 씌워져 있는 상태에서 분사기와 연결된 체결관체(440)가 회동체(420)를 기점으로 하여 자유롭게 회동이 이루어져 분사기의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시켜 준 상태에서 사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샤워장치는 수전금구의 조작으로 인해 물공급부(20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연결부(400)를 거쳐 분사기(300)로 흘러들어가 분사공(310)를 통해 분사기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수전금구의 차단시 물의 급수가 차단됨에 따라 더이상 물이 공급되지 않아 분사기를 통해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분사기(400)내에 있던 잔수는 분사공(310)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분사기내에 잔수가 남아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외부의 공기가 분사공을 통해 분사기내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경우 분사기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으로 인해 분사기를 기점으로 하여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수평공급관내에 잔존하고 있는 물을 잡아 당기는 현상이 발생되어 지속적으로 분사기를 통해 바닥으로 떨어지게 됨은 물론, 수평공급관내에 잔존하고 있던 물이 빠지게 되면 상기 수평공급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시 소리가 발생되는 현상으로 인해 주변의 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밤 또는 새벽에는 상기와 같이 물공급관내에 잔존하고 있던 물이 떨어지는 소리와 수평공급관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 소리가 거슬려 잠을 설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욕실의 벽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물의 사용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분사기의 분사공을 차단시켜 주고 있는 상태에 있다가, 물의 사용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공급되는 물의 공급 수압에 의해 분사공을 개방시켜 물의 분사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물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물공급관과 분사기내에 잔존하고 있는 잔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일이 없어 바닥으로 떨어지는 물소리와 수평공급관을 타고 흐르는 공기의 소리가 발생되지 않아 주변의 소음이 최소한으로 줄어들 밤에 물의 소리에 의해 잠을 설치지 않고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전금구와 연결된 상태에서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부와;
상기 물공급부의 선단에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물이 분사되는 분사기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는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하로 결합시켜 수용실을 갖춘 분사판과;
상기 분사판의 저면에 수용실과 연통되는 상태로 배수공을 갖는 다수개의 배수관체와;
상기 분사판의 저면에 위치하되 각가의 배수관체에 씌워져 배수공을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분사공을 갖춘 씌움관체가 갖추어진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상면 중앙에는 분사판의 저면을 관통하는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에 씌워진 상태에서 하단은 분사판에 탄지되고, 상단은 이동축에 갖추어진 고정편에 탄지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씌움관체가 배수공을 긴밀히 밀착시켜 준 상태에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공과 분사공은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갖추어져 씌움관체가 배수관체와 밀착된 상태에 있을 경우 씌움관체가 배수공을 차단시켜 물이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지 못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분사판의 저면에 편심된 배수공을 갖춘 다수개의 배수관체를 갖추고, 상기 배수공과 이격된 상태에서 배수공을 차단시켜 주는 차단판을 갖추되, 상기 차단판은 탄성스프링에 의해 분사판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 주도록 하고, 차단판에 갖추어지는 분사공은 배수공과 이격된 상태에 있도록 하여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차단판이 분사판의 저면에 밀착되어 씌움관체가 배수공을 막아주고, 물의 사용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공급되는 물의 공급 수압으로 인해 차단판이 탄성스프링을 압축시켜 주면서 하부로 밀려 배수관체와 씌움관체 사이에 틈새가 생기게 되면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는 물이 틈새를 통해 분사공으로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어, 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 배수공이 차단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분사기내에 있는 물이 외부로 배수되지 않게 되는 것이고, 외부로부터 분사공을 통해 분사기내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아 공기의 빨아드리는 힘에 의해 물공급관내에 있는 물이 배수되지 않게 됨으로 인해 주변이 조용한 심야시간에 물이 떨어지는 소음과 분사기 및 물공급관내로 공기가 흐르는 소음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샤워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는 종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분사기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이 적용된 분사기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저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확대도로서,
도5a는 물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도.
도5b는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종래와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부호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고정형 샤워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이 적용된 샤워장치의 단면도로서, 고정형 샤워장치(100)는 수전금구(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상태에서 벽면(1)에 고정되는 고정부(2)에 의해 고정되는 물공급부(200)를 갖추게 된다.
상기 물공급부(200)는 수전금구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수직공급관(210)과, 상기 수직공급관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수평공급관(220)으로 구성되는데, 이때 상기 수직공급관(210)은 적어도 2등분 이상으로 분할 구성되어 박스내에 수납시 최소의 부피가 될 수 있도록 하여 보관 및 운반이 편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설치시에는 분할된 수직공급관(210)을 연결시켜 설치하고, 상기 수직공급관 상단부에는 수평공급관(220)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공급관(220)은 양측 끝단 부분이 각각 직각이 되도록 절곡시켜 절곡된 일측 부분이 수직공급관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분사기가 타측의 절곡된 부분에 연결되도록 하면, 후에 설명한 분사기(300)가 수평공급관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평공급관의 선단부에는 분사기(300)가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 수평공급관과 분사기는 연결부(400)에 의해 연결됨과 아울러, 분사기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시켜 줄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400)는 수평공급관(320)의 선단부에 갖추어진 체결관(320a)에 나선 체결되는 연결관체(410)와, 상기 연결관체의 하부에 연장되는 원형의 회동체(420)를 갖추게 되는데, 상기 회전체의 중앙에는 물이 관통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구(430)를 갖추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체의 외주연에는 분사기(300)의 상면 중앙에 갖추어진 체결관체(320)에 나선 체결되는 체결캡(440)를 갖추어 주게 되는데, 이때, 상기 체결캡의 내면은 원형의 회동체(420)의 외주연 상부 일부분이 덮이는 상태의 반구형의 모양을 갖추고 있어 체결캡이 회동체를 기점으로 하여 임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분사기의 각도를 조절시켜 주게 되면 이와 체결되어 있는 체결캡(440)이 회동체(420)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분사기(300)는 개방구(430)를 통해 공급이 이루어지는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하로 결합 되는 수용실(330)을 갖춘 분사판(310)을 갖추게 되는데, 상기 분사판의 저면에는 수용실내의 물이 배수될 수 있도록 배수공(341)을 갖춘 배수관체(340)를 갖추게 된다.
이때, 상기 배수공(341)은 배수관체의 중심으로 부터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사판(310)의 저면에는 각각의 배수관체(340)가 씌워져 배수공을 차단시켜 주는 씌움관체(360)를 갖춘 차단판(350)을 갖추게 되는데, 상기 씌움관체(360)에는 배수공(34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의 분사공(361)을 갖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350)의 상면 중앙에는 분사판(310)의 저면 중앙을 관통하는 이동축(370)을 갖추어 주고, 상기 이동축의 외주연에 씌워진 상태에서 하단은 분사판에 탄지되고, 상단은 이동축의 선단에 갖추어진 고정편(380)에 탄지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차단판이 분사기의 저면에 긴밀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390)을 갖추어 준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은 물공급관(200)을 통해 물의 공급이 차단된 상태일 경우에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390)의 탄성력에 의해 차단판(350)이 분사판(3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사판(310)의 저면에 갖추어진 배수관체(340)의 저면에는 이의 외주연에 씌워져 있는 씌움관체(360)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배수공(341)과 분사공(361)이 이격된 상태에 있으므로서, 물의 분사가 차단된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수전금구를 작동시켜 주게 되면 물공급관(20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분사기(300) 즉, 분사판(310)내의 공간부(330)내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물의 공급되어 공급되는 물의 공급 수압에 의해 배수관체(340)에 갖추어진 배수공(341)을 통해 이동하게 되는 물의 수압으로 인해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스프링(390)을 압축시켜 주면 씌움관체(360)가 분사판(310)의 저면으로 부터 떨어져 이들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틈새를 통해 배수공(341)을 통해 배수되는 물은 분사공(361)을 통해 분사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로 하여 물을 사용하다가 물의 사용이 끝나게 되어수전금구를 차단시켜 주면 물의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차단판(350)에 가해지던 수압이 해제되면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제로 압축되어 있는 탄성스프링(390)이 자체의 탄성력으로 인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차단판(350)이 분사판(310)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에 있어 씌움관체(360)가 배수관체(340)의 배수공(341)을 긴밀히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 줌에 따라 분사기(300)내에 있는 잔수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그대로 잔존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200:물공급관 300:분사기
310:분사판 330:수용실
340:배수관체 341:배수공
350:차단판 360:씌움관체
361:분사공 370:이동축
380:고정편 390:탄성스프링

Claims (2)

  1. 수전금구와 연결된 상태에서 물이 공급되는 물공급부와;
    상기 물공급부의 선단에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물이 분사되는 분사기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는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상,하로 결합시켜 수용실을 갖춘 분사판과;
    상기 분사판의 저면에 수용실과 연통되는 상태로 배수공을 갖는 다수개의 배수관체와;
    상기 분사판의 저면에 위치하되 각가의 배수관체에 씌워져 배수공을 차단시켜 줄 수 있도록 분사공을 갖춘 씌움관체가 갖추어진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상면 중앙에는 분사판의 저면을 관통하는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에 씌워진 상태에서 하단은 분사판에 탄지되고, 상단은 이동축에 갖추어진 고정편에 탄지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씌움관체가 배수공을 긴밀히 밀착시켜 준 상태에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샤워장치의 잔수 흐름 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과 분사공은 서로 이격되는 위치에 갖추어져 씌움관체가 배수관체와 밀착된 상태에 있을 경우 씌움관체가 배수공을 차단시켜 물이 분사공을 통해 분사되지 못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형 샤워장치의 잔수 흐름 차단장치.

KR1020160157780A 2016-11-24 2016-11-24 고정형 샤워장치의 잔수 흐름 차단장치 KR20180058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780A KR20180058589A (ko) 2016-11-24 2016-11-24 고정형 샤워장치의 잔수 흐름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780A KR20180058589A (ko) 2016-11-24 2016-11-24 고정형 샤워장치의 잔수 흐름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589A true KR20180058589A (ko) 2018-06-01

Family

ID=6263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780A KR20180058589A (ko) 2016-11-24 2016-11-24 고정형 샤워장치의 잔수 흐름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85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0407A (zh) * 2019-05-24 2019-09-27 江门市霏尼格斯淋浴制品科技有限公司 一种出水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0632A (ko) * 2008-10-10 2010-04-20 세비앙 주식회사 샤워기 헤드용 잔수 배출방지 가스켓
KR20120003783A (ko) * 2010-07-05 2012-01-11 최재권 샤워기용 잔수배출차단장치
JP2012005707A (ja) * 2010-06-25 2012-01-12 Noritz Corp ミスト発生装置
KR20130005836U (ko) * 2012-03-28 2013-10-08 영 근 송 잔수 배출방지 구조를 갖는 고정식 샤워기 헤드
KR101645821B1 (ko) * 2014-11-21 2016-08-05 (주) 대화이에스 샤워기 헤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0632A (ko) * 2008-10-10 2010-04-20 세비앙 주식회사 샤워기 헤드용 잔수 배출방지 가스켓
JP2012005707A (ja) * 2010-06-25 2012-01-12 Noritz Corp ミスト発生装置
KR20120003783A (ko) * 2010-07-05 2012-01-11 최재권 샤워기용 잔수배출차단장치
KR20130005836U (ko) * 2012-03-28 2013-10-08 영 근 송 잔수 배출방지 구조를 갖는 고정식 샤워기 헤드
KR101645821B1 (ko) * 2014-11-21 2016-08-05 (주) 대화이에스 샤워기 헤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80407A (zh) * 2019-05-24 2019-09-27 江门市霏尼格斯淋浴制品科技有限公司 一种出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9094B2 (en) Showerhead with scanner nozzles
US20120018016A1 (en) Basin flushing system
US9205436B2 (en) Aerator with dual spraying functions
TWI342196B (en) Bodyspray having adjustable spray orientation
US20180209129A1 (en) Mounting structure for bidet
EP2767347A1 (en) A self-cleaning shower
WO2007075819A3 (en) Toilet bowl cleaning and/or deodorizing device
KR100934003B1 (ko) 단계별 절수조절수단이 구비된 샤워기
KR20180058589A (ko) 고정형 샤워장치의 잔수 흐름 차단장치
EP0560097B1 (en) Water delivery head for whirlpool baths
KR20100085591A (ko) 좌변기 세척 장치를 갖는 비데
KR101402653B1 (ko) 건축물의 욕실 욕조에 내장되는 바닥 세척시설
KR20160100778A (ko) 샤워수 토출위치조절이 가능한 샤워헤드 걸이장치
KR20100005529U (ko) 분수대용 분사노즐
KR20190125117A (ko) 자동 조절기능과 절수기능을 갖는 수전
CN211463545U (zh) 出水装置
KR20190048213A (ko) 복합 분사구조를 갖는 세척액 분사장치
JP3469946B2 (ja) 泡沫器付シャワーヘッド
JP2869037B2 (ja) 散水装置及び散水装置用部材
KR102308808B1 (ko) 잔류수 제거용 밸브
KR200487101Y1 (ko) 싱크대용 아이워셔
US20040199993A1 (en) Mounting structure for handheld showerhead
JP3563118B2 (ja) シャワーヘッド
US20180100295A1 (en) Shower assembly
KR200343801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