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521A - 발열 스틱 - Google Patents

발열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521A
KR20180058521A KR1020160157587A KR20160157587A KR20180058521A KR 20180058521 A KR20180058521 A KR 20180058521A KR 1020160157587 A KR1020160157587 A KR 1020160157587A KR 20160157587 A KR20160157587 A KR 20160157587A KR 20180058521 A KR20180058521 A KR 20180058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unit
heat generating
contents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2819B1 (ko
Inventor
유순옥
Original Assignee
유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순옥 filed Critical 유순옥
Priority to KR1020160157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2819B1/ko
Publication of KR20180058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2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2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07Table-ware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021/002Table-ware collapsi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021/008Table-ware with means for influencing or monitoring the temperature of the foo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스틱은, 장소에 상관없이 용기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조절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용기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특히, 용기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설정 온도에 맞게 자동으로 온/오프됨으로써, 내용물의 온도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발열 스틱{fever stick }
본 발명은 발열 스틱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차가워진 물이나 차 등을 가열하는 발열 스틱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물의 잎이나 뿌리, 과실 따위를 달이거나 우려 만든 차의 수요가 늘어나게 되면서 일상생활에서 식후 또는 손님 접대시 차 마시는 모습을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게 된다.
특히, 추운 겨울철에 체온을 상승시키기 위해 차 마시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뜨거웠던 차는 차가운 외부공기와 접촉하여 식어버리게 되고, 식어버린 차는 본연의 풍미를 잃어버리게 되며 만족도가 떨어져 결국 버려지게 된다.
이를 감안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9645에는 '막대형 차량용 전열히터와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막대형 차량용 전열히터와 용기는 간편하게 물이나 음료 등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용 씨거잭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막대형 전열히터와 상기 막대형 전열히터와 결합되어 안전하게 물을 끓일 수 있도록 고안된 용기로 구성된다.
상기 종래기술에 따르면 막대형 차량용 전열히터와 용기를 사용할 수 있는 장소가 차량 내부로 제한되므로 차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은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필요시 바로 사용할 수 없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9645(2000.02.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장소에 상관없이 용기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조절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용기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는 발열 스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용기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설정 온도에 맞게 자동으로 온/오프됨으로써, 내용물의 온도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발열 스틱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스틱은,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깊이에 따라 신장되거나 축소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길이조절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길이조절부의 길이가 상기 용기의 크기에 맞게 신장되거나 축소됨에 따라 상기 내용물에 잠기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스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신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도록 다단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이웃하는 관과 중첩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온도감지부의 감지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내용물이 기설정된 온도가 되도록 상기 발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물이 기설정된 온도가 되도록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 및 상기 온도감지부의 감지된 온도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온도설정부의 설정된 온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발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온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발열부 및 상기 제어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발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태양전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스틱에 의하면, 장소에 상관없이 용기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길이조절부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용기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설정 온도에 맞게 자동으로 온/오프됨으로써, 내용물의 온도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틱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틱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틱의 제어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틱의 사용 상태도 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발열 스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틱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틱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틱의 제어부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틱의 사용 상태도 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열 스틱(100)은, 본체(110), 길이조절부(120) 및 발열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110)는 대략 원통 형상이며,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홈 형상으로 손잡이부(112)가 형성된다.
길이조절부(120)는 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며, 용기(10)에 수용된 내용물(20)의 깊이에 따라 신장되거나 축소되도록 다단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길이조절부(120)는 다단으로 이루어지도록 서로 이웃하는 관(122)과 중첩되게 결합되며,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각 관(122)의 상측 단부에는 확경된 형상의 걸림부(126)가 형성되고 하측 단부에는 축경된 형상의 고정부(12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길이조절부(120)는 고정부(124)에 의해 길이조절된 상태로 고정되고, 걸림부(126)에 의해 신장시 서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발열 스틱(100)은 길이조절부(120)의 길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용기(10)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20)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발열부(130)는 길이조절부(1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원공급부(1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히터(132)를 포함한다.
발열부(13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히터(132)가 구비되며, 전원공급부(14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히터(132)가 발열되어 내용물(20)을 가열하게 된다.
히터(132)는 직선 형상의 열선 또는 가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스프링 형상의 열선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길이조절부(120)와 발열부(130)의 외측에는 길이조절부(120)와 발열부(130)를 감싸며, 내부로 내용물(20)이 스며들지 않도록 보호부재(118)가 구비된다.
보호부재(118)는 물이 스며들거나 배어들지 않고, 불에 잘 타지 않는 방수성과 난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본체(110)는 내용물(2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160) 및 온도감지부(160)의 감지된 온도에 근거하여 내용물(20)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가 되도록 히터(132)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온도감지부(160)는 본체(110)에 구비되며, 내용물(20)의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된 온도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50)에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온도감지부(160)의 감지된 온도에 근거하여 내용물(20)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가 되도록 히터(132)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히터(132)로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부(170)와, 내용물(20)이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가 되도록 내용물(20)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152) 및 온도감지부(160)의 감지된 온도가 온도설정부(152)의 설정된 온도가 되면 히터(132)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스위치부(170)를 제어하는 온도조절부(156)를 포함한다.
온도설정부(152)는 입력부(116)를 통해 입력된 온도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온도조절부(156)와 디스플레이부(190)에 전송한다.
온도조절부(156)는 온도감지부(160)의 감지된 온도가 온도설정부(152)의 설정된 온도가 되면 히터(132)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스위치부(170)를 제어한다.
이때, 온도조절부(156)는 온도감지부(160)의 감지된 온도를 모니터링하여 온도설정부(152)의 설정된 온도가 유지되도록 스위치부(17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온도조절부(156)는 실시간으로 온도감지부(160)의 감지된 온도를 모니터링하여 온도설정부(152)의 설정된 온도가 유지되도록 스위치부(170)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열 스틱(100)은 용기(10)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20)의 온도를 온도감지부(160)를 통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온도설정부(152)의 설정 온도에 맞게 자동으로 스위치부(170)를 제어하여 히터(132)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킴으로써, 내용물(20)의 온도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일정시간이 지나면 온도조절부(156)는 스위치부(170)를 제어하여 히터(132)로 공급되는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게 되며, 이로써, 필요 이상으로 내용물(20)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본체(110)는 온도감지부(160)의 감지된 온도가 온도설정부(152)의 설정된 온도가 되면 소리를 출력 하거나 빛을 발광하는 알림부(180) 및 온도감지부(160)의 감지된 온도와 온도설정부(152)의 설정된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한다.
알림부(180)는 온도감지부(160)의 감지된 온도가 온도설정부(152)의 설정된 온도가 되면 소리를 출력 하거나 빛을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내용물(20)이 설정온도가 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90)는 온도감지부(160)의 감지된 온도와 온도설정부(152)의 설정된 온도를 표시하게 된다.
계속해서, 전원공급부(140)는 본체(110)에 구비되며, 히터(132) 및 제어부(1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42)와, 배터리(142)를 충전하는 충전단자 및 본체(110)에 구비되며, 히터(132) 및 제어부(15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배터리(142)를 충전하는 태양전지장치(144)를 포함한다.
배터리(142)는 본체(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결합된 상태로 충전단자를 통해 충전하거나 분리하여 외부 충전장치로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40)는 본체(110)에 태양전지장치(144)가 구비되어 히터(132) 및 제어부(15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고, 태양전지장치(144)로 배터리(142)를 충전할 수도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40)는 자기 공진 방식과 자기 유도 방식 등의 무선충전부가 구비되어 무선충전부를 통해 무선으로 배터리(142)를 충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142)와 태양전지장치(144)를 포함하는 전원공급부(140)가 구비되어 장소에 상관없이 용기(10)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20)을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체(110)는 배터리(142) 및 태양전지장치(144)로부터 히터(132) 및 제어부(1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하는 전원버튼(114)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길이조절부(120)를 용기(10)의 크기에 맞게 조절한 후, 발열부(130)가 내용물(20)에 잠기도록 용기(10)에 넣는다.
그리고, 본체(110)에 구비된 전원버튼(114)을 온 시키면 히터(132) 및 제어부(150)에 전원이 공급되고, 디스플레이부(190)에 온도감지부(160)의 감지된 온도가 표시된다.
여기서, 입력부(116)를 통해 온도를 설정하면, 온도설정부(152)는 디스플레이부(190)에 설정된 온도를 표시하고, 온도조절부(156)는 전원공급부(140)의 전원이 히터(132)로 공급되도록 스위치부(170)를 제어하며, 히터(132)는 발열되어 내용물(20)을 가열시키게 된다.
그리고, 온도감지부(160)의 감지된 온도가 온도설정부(152)의 설정된 온도가 되면 온도조절부(156)는 히터(132)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스위치부(170)를 제어함과 동시에 알림부(180)는 소리를 출력 하거나 빛을 발광하여 사용자에게 내용물(20)이 설정온도가 되었음을 알려주게 된다.
그리고, 온도조절부(156)는 용기(10)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20)의 온도를 온도감지부(160)를 통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온도설정부(152)의 설정 온도에 맞게 자동으로 스위치부(170)를 제어하여 내용물(20)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히터(132)로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배터리(142)가 방전된 경우, 충전단자를 이용하여 유선으로 배터리(142)를 충전하여 사용하거나, 태양전지장치(144)로 배터리(142)를 충전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용기 20 : 내용물
110 : 본체 112 : 손잡이부
114 : 전원버튼 116 : 입력부
120 : 길이조절부 130 : 발열부
132 : 히터 140 : 전원공급부
142 : 배터리 144 : 태양전지장치
150 : 제어부 152 : 온도설정부
156 : 온도조절부 160 : 온도감지부
170 : 스위치부 180 : 알림부
190 :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의 깊이에 따라 신장되거나 축소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길이조절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길이조절부의 길이가 상기 용기의 크기에 맞게 신장되거나 축소됨에 따라 상기 내용물에 잠기며, 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발열되는 발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스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는, 신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도록 다단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이웃하는 관과 중첩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스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 및
    상기 온도감지부의 감지된 온도에 근거하여 상기 내용물이 기설정된 온도가 되도록 상기 발열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스틱.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내용물이 기설정된 온도가 되도록 상기 내용물의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 및
    상기 온도감지부의 감지된 온도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온도설정부의 설정된 온도가 유지되도록 상기 발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온도조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스틱.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발열부 및 상기 제어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발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는 태양전지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 스틱.
KR1020160157587A 2016-11-24 2016-11-24 발열 스틱 KR101932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587A KR101932819B1 (ko) 2016-11-24 2016-11-24 발열 스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587A KR101932819B1 (ko) 2016-11-24 2016-11-24 발열 스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521A true KR20180058521A (ko) 2018-06-01
KR101932819B1 KR101932819B1 (ko) 2018-12-26

Family

ID=62635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587A KR101932819B1 (ko) 2016-11-24 2016-11-24 발열 스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2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6137A (zh) * 2020-01-22 2020-05-19 沙洲职业工学院 一种多功能测温筷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921B1 (ko) * 2023-01-19 2023-06-01 정덕교 발열 기능이 구비된 보온병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645Y1 (ko) 1999-11-10 2000-04-15 주식회사뉴엠 막대형 차량용 전열히터와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645Y1 (ko) 1999-11-10 2000-04-15 주식회사뉴엠 막대형 차량용 전열히터와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66137A (zh) * 2020-01-22 2020-05-19 沙洲职业工学院 一种多功能测温筷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2819B1 (ko) 201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91117A1 (en) Electric kettle of temperature wireless transmission
EP4272722A3 (en) Heated or cooled dishware and drinkware
US20140190357A1 (en) Bottl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US20130237957A1 (en) Neonatal fluid tubing heater
KR101932819B1 (ko) 발열 스틱
US10786110B2 (en) Portable heating rod
US20220079379A1 (en) Food warming system
CN104214957A (zh) 具有无线温控的热水器
US20140361002A1 (en) Portable Heating Device For Liquid
US20130087549A1 (en) Aquarium heater
KR20150034975A (ko) 전기 가열식 휴대용 텀블러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33294A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휴대용 냉장 가열기
CN103479523A (zh) 恒温奶瓶
US20190208954A1 (en) Portable Device With a Temperature-Setting Element
CN204908921U (zh) 充电式液体加热杯
CN105792395A (zh) 一种led灯感应加热带
KR101316037B1 (ko) 외부 용기 또는 외부 용기내의 내용물을 가열 또는 보온할 수 있는 가열 보온 장치
KR101822424B1 (ko) 휴대용 온수히터
CN108294631A (zh) 电池供电电热恒温饮食器具
CN105996655A (zh) 一种led灯感应加热带
KR20110137856A (ko) 온도유지컵
CN104957932A (zh) 自动调节电热毯
WO2014107840A1 (en) Bottle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CN2822458Y (zh) 恒温热奶器
KR20120000185U (ko) 전기충전용 보온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