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185U - 전기충전용 보온 컵 - Google Patents

전기충전용 보온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185U
KR20120000185U KR2020100006914U KR20100006914U KR20120000185U KR 20120000185 U KR20120000185 U KR 20120000185U KR 2020100006914 U KR2020100006914 U KR 2020100006914U KR 20100006914 U KR20100006914 U KR 20100006914U KR 20120000185 U KR20120000185 U KR 201200001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up
charging
cup bod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9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정
Original Assignee
노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희정 filed Critical 노희정
Priority to KR20201000069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185U/ko
Publication of KR201200001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18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4Coffee or tea pots
    • A47G19/145Drip catchers for coffee or tea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4Contain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충전용 보온 컵에 관한 것으로서, 컵에 담긴 음료를 장시간 따뜻하게 유지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르면, 내벽과 외벽의 이중벽구조로 이루어져 내,외벽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컵 본체와, 상기 컵 본체의 공간부에 구비되어 일정 온도의 열을 발산하는 열선과, 상기 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전력공급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일정 용량의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충전부와, 상기 전력충전부와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이중벽구조의 내부 공간에 열선을 배치하여 상기 열선에 지속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진공상태가 아닌 외부 온도에 노출된 상태에서도 장시간 음료의 보온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 열선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여 상기 열선의 발열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음료의 온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충전용 보온 컵{KEEPING WARMTH CUP FOR ELECTRIC CHARGE}
본 고안은 전기충전용 보온 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컵의 이중벽구조 사이 공간에 열선을 설치하여 상기 열선에 일정 시간 동안 전력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컵에 담긴 음료를 장시간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기충전용 보온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은 음료를 담기 위한 용기를 말하는 것으로, 현대 사회에서는 다양한 용도의 컵이 출시되어 음료의 종류에 따라 혹은 개인의 기호에 따라 여러 종류의 컵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차나 커피 등 따뜻함을 오래도록 유지해야 하는 음료는 유리 또는 사기 재질의 컵을 사용하여 음용하는데, 이러한 유리 또는 사기 재질의 컵은 고가의 제품이 많고, 보온성에 있어서도 타 종류의 컵에 비해 약간의 지속성만 있을 뿐 장시간 지속시킬 수는 없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컵의 보온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이중벽구조의 진공을 이루는 보온 컵과, 이중벽구조 내부의 공간에 발열성 화학물질을 구비하여 장시간 보온을 유지시키는 보온 컵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중벽구조의 진공을 이루는 보온 컵의 경우에는 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 항상 뚜껑으로 밀봉하여 진공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음료를 마실 때마다 뚜껑을 개봉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뚜껑을 밀봉한다고 하더라도 완벽한 진공상태를 이루기는 힘들어 장시간 보온이 유지되기는 힘들었다.
그리고 이중벽구조 내부의 공간에 발열성 화학물질이 수용된 보온 컵의 경우에는 화학반응을 시키기 위한 과정이 복잡하고 발열 온도를 적절히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발열이 끝난 화학물질의 재생 과정도 위험하고 번거로워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컵 내부가 진공상태가 아닌 뚜껑이 개봉된 노출 상태에서 장시간 보온이 유지될 수 있는 보온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발열성 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장시간 보온을 유지시키며, 발열 온도를 손쉽게 조절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보온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기충전용 보온 컵은, 내벽과 외벽의 이중벽구조로 이루어져 내,외벽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컵 본체와, 상기 컵 본체의 공간부에 구비되어 일정 온도의 열을 발산하는 열선과, 상기 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와, 상기 전력공급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일정 용량의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충전부와, 상기 전력충전부와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공급부에는 열선에 공급되는 전력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가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는 컵 본체의 외벽에 형성되는 전원버튼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공급부에는 상기 열선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전력제어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전력제어부는 컵 본체의 외벽에 형성되는 온도조절버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력충전부에는 저장된 전력의 잔량을 표시하는 충전확인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충전확인부는 컵 본체의 외벽에 형성되는 충전표시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컵 본체의 상단에는 컵 본체 내부의 둘레면에 대응하는 뚜껑이 끼움결합되되, 상기 뚜껑의 하방으로 일정 공간의 요(凹)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부에는 음료의 찌꺼기를 걸러내는 거름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은, 이중벽구조의 내부 공간에 열선을 배치하여 상기 열선에 지속적으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진공상태가 아닌 외부 온도에 노출된 상태에서도 장시간 음료의 보온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 열선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여 상기 열선의 발열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음료의 온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용 보온 컵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용 보온 컵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용 보온 컵의 충전방법을 도시하는 실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용 보온 컵을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고안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용 보온 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용 보온 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한 본 고안의 전기충전용 보온 컵은, 내벽과 외벽의 이중벽구조로 이루어져 내,외벽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컵 본체(10)와, 상기 컵 본체(10)의 공간부에 구비되어 일정 온도의 열을 발산하는 열선(30)과, 상기 열선(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50)와, 상기 전력공급부(50)에서 사용하기 위한 일정 용량의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충전부(70)와, 상기 전력충전부(70)와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전원연결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컵 본체(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컵 본체(10)는 통상적인 컵의 형상으로 내벽과 외벽은 열전도율이 높은 스테인리스강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컵 본체(10)의 외벽은 음료의 보온에 사용되지 않으므로 열전도율이 낮은 어떠한 종류의 재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컵 본체(10)의 외벽 일측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손잡이가 구성되어 컵 본체(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열선(3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열선(30)은 전력을 공급받아 일정 온도의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 전기에너지를 열로 바꾸는 전기저항체이다. 상기 열선(30)은 컵 본체(10)의 내,외벽 사이 공간부에 수용되며, 일정 간격을 두고 다양한 모양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열선(30)은 고온에서 변형되거나 산화되지 않고 길이에 대한 저항값이 높은 니크롬선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전력공급부(5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전력공급부(50)는 상기 열선(30)에서 열이 발산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컵 본체(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우징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전력공급부(50)에는 열선에 공급되는 전력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52)가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52)는 컵 본체(10)의 외벽에 형성되는 전원버튼(54)과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전원버튼(54)을 통해 스위치(52)를 구동시켜 공급 전력을 손쉽게 온/오프 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황에 따라 따뜻한 음료와 차가운 음료를 선택하여 컵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력공급부(50)에는 상기 열선(30)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전력제어부(56)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전력제어부(56)는 컵 본체(10)의 외벽에 형성되는 온도조절버튼(5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손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따뜻한 음료의 온도를 장시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따뜻한 음료 고유의 맛과 향을 오래도록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전력충전부(7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전력충전부(70)는 일정 용량을 가지는 축전지와 외부전원에서 받은 전기를 상기 축전지에 저장시키는 충전회로로 구성되는 것으로 휴대시에도 언제든지 보온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전력을 충전한 후 상기 전력공급부(5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전력충전부(70)의 전력충전 방법 및 회로 구성은 통상적인 충전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전력충전부(70)에는 저장된 전력의 잔량을 표시하는 충전확인부(72)가 더 포함되며, 상기 충전확인부(72)는 컵 본체(10)의 외벽에 형성되는 충전표시램프(7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력충전부(70)에 저장된 전력 잔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표시램프(74)를 통해 충전 필요시기 및 충전 완료시기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충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력충전부(70)에는 축전지가 구비되어 외부전원이 존재하는 곳에서 항시 전력을 충전할 수도 있겠지만, 다른 방법으로 휴대용 건전지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외부전원이 없는 야외에서도 언제든지 보온 컵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용 보온 컵의 충전방법을 도시하는 실시도이다.
도 3 (a)을 참조하면, USB 케이블(2)을 통해 본원고안의 보온 컵을 충전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컴퓨터의 USB단자와 보온 컵의 충전단자를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온 컵의 충전단자는 컵 본체(10) 하부의 하우징 내에 형성되는 회로구성 등에 의해 다양한 규격의 충전단자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 (b)를 참조하면, 정격전원 케이블(4)을 통해 본원고안의 보온 컵을 충전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외부 교류전원이 들어오는 콘센트와 보온 컵의 충전단자를 연결하여 충전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기충전용 보온 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컵 본체(10)의 상단에는 컵 본체(10) 내부의 둘레면에 대응하는 뚜껑(20)이 끼움결합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뚜껑(20)의 하방으로는 일정 공간의 요(凹)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부에는 음료의 찌꺼기를 걸러내는 거름망(22)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뚜껑(20)은 컵 용기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견고히 밀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방으로 형성된 요부에 거름망(22)이 구비되도록 하여 녹차나 둥글레차 등의 차 음료에서 발생하는 찌꺼기를 효율적으로 거를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거름망(22)이 분실되지 않도록 보관하는 역할도 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상술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 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형상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에서 기술된 실시 예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일 뿐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수정 및 변경 또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라면 하기에서 기술되는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2: USB 케이블 4: 정격전원 케이블
10: 컵 본체 20: 뚜껑
22: 거름망 30: 열선
50: 전력공급부 52: 스위치
54: 전원버튼 56: 전력제어부
58: 온도조절버튼 70: 전력충전부
72: 충전확인부 74: 충전표시램프
90: 전원연결부

Claims (5)

  1. 내벽과 외벽의 이중벽구조로 이루어져 내,외벽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컵 본체;
    상기 컵 본체의 공간부에 구비되어 일정 온도의 열을 발산하는 열선;
    상기 열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
    상기 전력공급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일정 용량의 전력을 저장하는 전력충전부; 및
    상기 전력충전부와 외부전원을 연결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전용 보온 컵.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에는 열선에 공급되는 전력을 온/오프 시키는 스위치가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는 컵 본체의 외벽에 형성되는 전원버튼과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전용 보온 컵.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부에는 상기 열선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조절하는 전력제어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전력제어부는 컵 본체의 외벽에 형성되는 온도조절버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전용 보온 컵.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충전부에는 저장된 전력의 잔량을 표시하는 충전확인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충전확인부는 컵 본체의 외벽에 형성되는 충전표시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전용 보온 컵.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본체의 상단에는 컵 본체 내부의 둘레면에 대응하는 뚜껑이 끼움결합되되,
    상기 뚜껑의 하방으로 일정 공간의 요(凹)부가 형성되며,
    상기 요부에는 음료의 찌꺼기를 걸러내는 거름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충전용 보온 컵.
KR2020100006914U 2010-06-30 2010-06-30 전기충전용 보온 컵 KR201200001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914U KR20120000185U (ko) 2010-06-30 2010-06-30 전기충전용 보온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914U KR20120000185U (ko) 2010-06-30 2010-06-30 전기충전용 보온 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185U true KR20120000185U (ko) 2012-01-05

Family

ID=5804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914U KR20120000185U (ko) 2010-06-30 2010-06-30 전기충전용 보온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18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296B1 (ko) * 2013-04-05 2013-11-18 김건우 보온과 손난로 기능을 겸비하는 휴대용 텀블러
CN111248609A (zh) * 2020-01-22 2020-06-09 赵伯赞 温度可调的旅行杯散热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296B1 (ko) * 2013-04-05 2013-11-18 김건우 보온과 손난로 기능을 겸비하는 휴대용 텀블러
CN111248609A (zh) * 2020-01-22 2020-06-09 赵伯赞 温度可调的旅行杯散热装置
CN111248609B (zh) * 2020-01-22 2024-05-24 赵伯赞 温度可调的旅行杯散热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2954B1 (en) Built-in electric heating structure for a travel mug or thermos bottle
KR101329296B1 (ko) 보온과 손난로 기능을 겸비하는 휴대용 텀블러
US20090184102A1 (en) Beverage Heating System
KR101572533B1 (ko) 휴대용 유도가열기
EP3811828A1 (en) Beverage making appliance
CA2512674A1 (en) Beverage container warmer
US20210235931A1 (en) Portable heating device
GB2536000A (en) An electric liquid heating appliance
US20140361002A1 (en) Portable Heating Device For Liquid
KR20180122882A (ko) 자가발전형 보온용기
KR20120000185U (ko) 전기충전용 보온 컵
KR20180136280A (ko) 보온과 보조배터리 기능을 겸비한 휴대용 텀블러
KR200480733Y1 (ko) 텀블러
CN104510280A (zh) 带恒温自加热装置的保温杯
KR200487251Y1 (ko) 휴대용 배터리를 이용한 가열 장치
KR20110137856A (ko) 온도유지컵
CN201595582U (zh) 不锈钢保温杯
US6948419B2 (en) Coffee maker
CN202932741U (zh) 一种电热杯
CN211049141U (zh) 一种加热杯及其加热控制电路
CN208677047U (zh) 电水壶
CN212853170U (zh) 一种保温杯
CN211673593U (zh) 一种便携式保温杯
CN210169630U (zh) 一种恒温充电茶盘
KR200479657Y1 (ko) 온열스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