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621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621A
KR20180057621A KR1020187007463A KR20187007463A KR20180057621A KR 20180057621 A KR20180057621 A KR 20180057621A KR 1020187007463 A KR1020187007463 A KR 1020187007463A KR 20187007463 A KR20187007463 A KR 20187007463A KR 20180057621 A KR20180057621 A KR 201800576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ower
power adjustment
result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빙산 후
천 순
신 구오
펀순 루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57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6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54Signalisation aspects of the TPC commands, e.g. frame structure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23Multiplexing of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6Hybrid resource partitioning, e.g. channel borrow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3Down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및 방법이 제공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는 인가 주파수 대역 상의 주 캐리어 및 비인가 주파수 대역 상의 복수의 보조 캐리어들이 존재하고,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 디바이스는, 복수의 보조 캐리어들의 사용 가능성을 검출하는 결과에 따라 전력 조절을 수행하여,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보조 캐리어들에 미리 할당되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이용 가능한 보조 캐리어들에 사용될 보조 캐리어에 할당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및 제어 유닛의 전력 조절 결과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할당이 변경되는지 지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비인가 주파수 대역 상의 캐리어들에 수행되는 동적 전력 조절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조절이 사용자 장비에 통지될 수 있어 시스템 성능 및 주파수 스펙트럼 이용 효율을 최적화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및 방법
본 출원은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라는 명칭으로 2015년 9월 23일자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510611829.X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는 그 전부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원용된다.
본 개시내용은 무선 통신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LAA-LTE(Licensed Assisted Access using LTE) 통신을 위한 전력 할당 메커니즘을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비인가 대역 상에서 스펙트럼 이용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네트워크의 진화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서비스들 제공되고, 이는 대량 데이터 송신을 지원하기 위해 추가 스펙트럼 리소스들을 요구한다. 셀룰러 무선 네트워크의 운영자들은 기존의 LTE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에 기초하여 5GHz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과 같은 비인가 대역들 상에서 스펙트럼 리소스들을 이용하는 방법을 논의하기 시작한다. 다른 한편, 점점 더 많은 WiFi 시스템이 WiFi 무선 업계에서 비인가 대역들 상에 배치되고 있다. 상이한 오퍼레이터들의 통신 시스템들이 비인가 대역들을 사용하는 동등한 권리들을 갖는다. 따라서, 업계에서는 동일한 비인가 대역을 공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업계는 비인가 대역들이 인가 대역의 도움을 받아 사용되어야 하고 캐리어 집성의 방식으로 단말들에 서비스들을 제공하여야 한다는 합의에 통상적으로 도달했다.
비인가 대역들 상에서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때, 각각의 비인가 대역 또는 이러한 비인가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각각의 캐리어는 최대 송신 전력에 대한 제한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다른 국가들 또는 지역들에서의 규정들에 따라 다르다. 비인가 대역 상에서 데이터를 송신하기 이전에 에너지 검출이 수행되어야 하고, 따라서 고정된 전력이 각각의 캐리어에 할당되는 경우, 특정 캐리어에서 에너지 검출이 실패되면- 캐리어가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함 -, 이러한 캐리어에 할당되는 전력은 낭비될 것이다. 따라서, 발명자는 에너지 검출에 성공한 캐리어에 이러한 전력을 추가하는 것을 고려하며, 이는 시스템 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eNB와 같은) 기지국이 전력 조절을 수행하였지만 이러한 조절을 사용자 장비에게 시기 적절하게 통지하지 못하면, 한편으로는, 다운링크 송신에 대해, 사용자 장비의 (RSRP(Reference Signal Reception Power) 및/또는 RSRQ(Reference Signal Reception Quality)와 같은) CSI(Channel Status Information) 측정 및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측정 결과들- 이들은 시스템 리소스 스케줄링, (변조 코딩 스킴 선택과 같은) 링크 적응, 셀 구성, 활성화, 비활성화 및 이동성 관리(셀 핸드오버, 셀 선택), 부하 전달 등과 같은 동작들에 대해 매우 중요함 -이 영향을 받을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업링크 송신에 대해, 사용자 장비의 업링크 송신을 위한 캐리어 상의 송신 전력 또한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사용자 장비가 전력 조절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도록 기지국이 전력 조절 결과를 사용자 장비에 또한 통지하여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부 양태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도록 이하 본 개시내용의 간략한 요약이 제공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요약은 본 개시내용의 철저한 설명도 아니고 본 개시내용의 필수적이거나 중요한 성분들 또는 범위를 정의하려고 의도되는 것이 아니라 단지 본 개시내용의 일부 개념들을 단순화된 형태로 제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후에 설명될 보다 상세한 설명들의 서문으로서 역할을 한다.
위 문제점들의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의 목적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며, 이들은 비인가 대역 상에서 에너지 검출에 실패한 캐리어에 할당되는 전력을 비인가 대역 상에서 에너지 검출에 성공한 캐리어에 추가하는 것 및 이러한 전력 조절을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 성능 및 스펙트럼 이용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따르면, 인가 대역 상에 주 성분 캐리어가 존재하고 비인가 대역 상에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이 존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에 미리 할당되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에 할당되도록,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조절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및 제어 유닛의 전력 조절 결과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할당이 변경되는지 표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조절의 오프셋 양을 표시하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유닛은, X2 시그널링을 통해,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 및 전력 조절 결과를 기지국의 인접한 기지국과 상호 작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상호 작용의 결과에 따라,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로부터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상호 작용의 결과에 따라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을 활성화/비활성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여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및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유닛; 및 전력 조절 결과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제어 정보 생성 유닛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어 유닛은 검출 유닛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조절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통신 유닛은 전력 제어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그리고 전력 조절 결과에 따라 사용자 장비로의 다운링크 신호 송신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제어 정보 생성 유닛은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제어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1A/1B/1D/1/2A/2/2B/2C/2D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제어 정보는 DCI 포맷 1A/1B/1D/1/2A/2/2B/2C/2D에서의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의 송신 전력 제어에 대한 정보 비트들 또는 DCI 포맷 1A/1B/1D/1/2A/2/2B/2C/2D에서의 패딩 비트들을 재사용하여 전력 조절 결과를 사용자 장비에 통지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제어 정보 생성 유닛은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공통인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제어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1C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제어 정보는 DCI 포맷 1C에서의 시간 분할 듀플렉싱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정보 비트들 또는 패딩 비트들을 재사용하여 전력 조절 결과를 사용자 장비에 통지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제어 정보는 MAC(media access control) 레이어 제어 정보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레이어 제어 정보이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유닛은, 주 성분 캐리어 또는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1A/1B/1D/1/2A/2/2B/2C/2D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유닛은,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을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그리고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보고되는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제어 유닛은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조절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통신 유닛은 전력 조절 결과를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에 포함시켜 이를 다음 사이클에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 중 특정 부 성분 캐리어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통신 유닛은, 특정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하다고 검출 유닛이 검출하면, 특정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을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유닛은 주 성분 캐리어를 통해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을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블록들에 대해 사용될 리소스 블록들을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블록에 할당함으로써 또는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블록에 대해 사용되도록 변조 코딩 스킴을 조절함으로써 전력 조절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유닛은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송신 실패의 원인을 파악하여,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의 경합 윈도우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 측 디바이스가 추가로 제공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기지국으로부터 전력 조절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전력 조절 결과는 비인가 대역 상에서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조절을, 기지국에 의해, 수행함으로써 획득되어,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에 미리 할당되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에 할당되고,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할당이 변경되는지 표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 및 전력 조절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인가 대역 상에 주 성분 캐리어가 존재하고 비인가 대역 상에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이 존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법은,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에 미리 할당되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에 할당되도록,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조절을 수행하는 제어 단계; 및 전력 조절 결과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통신 단계-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할당이 변경되는지 표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 측 방법이 추가로 제공되고, 이러한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전력 조절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전력 조절 결과는 비인가 대역 상에서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조절을, 기지국에 의해, 수행함으로써 획득되어,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에 미리 할당되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에 할당되고,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할당이 변경되는지 표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 및 전력 조절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가 추가로 제공된다. 전자 디바이스는 송수신기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들 또는 유닛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개시내용의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본 개시내용의 방법들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들이 기록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추가로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에 따르면, 비인가 대역 상에서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전력 할당을 동적으로 조절하고 이러한 전력 조절을 사용자 장비에 통지함으로써 시스템 성능이 최적화될 수 있고 스펙트럼 이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다른 양태들은, 상세한 설명이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기 보다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 중 바람직한 것들을 완전히 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하의 설명의 부분들에 주어진다.
본 개시내용은 첨부 도면들과 연계하여 이하에서 주어지는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이들 전반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성분들을 표기한다. 첨부 도면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명세서에 통합되어 그 일부를 형성하며,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추가로 도시하고 예시에 의해 본 개시내용의 원리와 이점들을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조절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DCI 포맷 1C의 시그널링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제1 구현 스킴의 시그널링 상호 작용 프로시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전력 조절 및 표시의 시간 시퀀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제2 구현 스킴의 시그널링 상호 작용 프로시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송신을 위한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의 구현 스킴의 시그널링 상호 작용 프로시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송신을 위한 셀프-캐리어 스케줄링의 구현 스킴의 시그널링 상호 작용 프로시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들 사이의 정보 상호 작용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획득되는 시스템 성능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 측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 측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 방법의 프로세스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 측 방법의 프로세스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디바이스로서 사용되는 퍼스널 컴퓨터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evolved Node 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첨부 도면들과 연계하여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이하 설명될 것이다. 명료함 및 간결함을 위해, 실제 구현들의 모든 특징들이 명세서에 설명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실제 구현들 중 임의의 것을 개발하는 동안, 예를 들어, 구현마다 달라질 시스템- 및 비즈니스-관련 제약 조건들을 준수하기 위해, 개발자의 특정한 목표를 달성하도록 수 많은 구현-특정적 결정들이 행해져야 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개발 노력은 매우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지만 본 개시내용으로부터 혜택을 받는 관련분야에서의 기술자들에게는 단순히 일상적인 작업일 수 있다는 점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내용의 해결책들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디바이스 구조들 및/또는 프로세스 단계들만이 도면들에 도시되는 한편 본 개시내용에 덜 관련되는 다른 상세사항들은 불필요한 상세사항들로 인해 본 개시내용을 불명료하게 하지 않도록 생략된다는 점이 추가로 주목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먼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의 예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는 제어 유닛(102) 및 통신 유닛(104)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유닛들의 기능적 구성들이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본 개시내용은 인가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PCC(primary component carrier) 및 비인가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다수의 SCC(secondary component carrier)가 존재하고 CA(carrier aggregation)를 지원하는 LAA-LTE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인가 대역은, 2.4GHz 또는 5GHz의 WiFi 대역, 텔레비전 대역 또는 레이더 대역과 같은, 비-셀룰러 네트워크의 인가 대역일 수 있다. 기존의 LTE 표준에서는, 최대 5개의 성분 캐리어들(즉, 1개의 주 성분 캐리어 및 4개의 부 성분 캐리어들) 사이의 캐리어 집성이 일반적으로 지원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기술은 이러한 상황에 기초하여 설명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미래에는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본 개시내용의 기술이 더 많은 캐리어들 사이의 캐리어 집성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 각각의 셀은 특정 주파수에서의 캐리어에 일반적으로 대응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Pcell(primary cell)은 PCC(primary component carrier)에 대응하고, Scell(secondary cell)은 SCC(secondary component carrier)에 대응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에서는, 셀 및 캐리어에 대한 참조들이 서로 엄격히 구별되는 것은 아니며, 이들의 의미들은 관련분야에서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
제어 유닛(102)은,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에 미리 할당되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들)에 할당되도록, 비인가 대역 상의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조절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인가 대역 상에서 임의의 부 성분 캐리어를 사용하기 이전에, 부 성분 캐리어에서 에너지 검출이 수행되어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한지 결정하여야 한다.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하지 않다고 검출되면, 부 성분 캐리어에 미리 할당되는 송신 전력이 낭비될 수 있다. 따라서, 부 성분 캐리어들의 송신 전력에 대한 동적 조절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에너지 검출에 실패한) 검출된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의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을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에 추가하여,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의 송신 전력을 강화하고 전송 성능을 향상시킨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내용의 기술이 업링크 송신의 경우 및 다운링크 송신의 경우에 대해 각각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통신 유닛(104)은 제어 유닛(102)의 전력 조절 결과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업링크 송신 및 다운링크 송신 양자 모두에 대해, 기지국은 전력 조절 결과를 사용자 장비에 시기 적절하게 통지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해결책에서, 전력 조절 결과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전송된다.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할당이 변경되는지 표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어, 전력 할당이 변경된 것을 사용자 장비에 시기 적절하게 통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조절의 오프셋 양을 표시하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력 할당 및 오프셋 양에서의 변화 양자 모두가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통지되지만, 오프셋 양은 대안적으로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 대신에 MAC 시그널링 또는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수 있어, 사용자 장비는 대응하는 레이어에서 시그널링을 파싱함으로써 전력 조절의 오프셋 양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는 본 개시내용에서 제한되지 않는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해결책이 다운링크 송신의 경우 및 업링크 송신의 경우에 대해 각각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전력 할당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200)는 검출 유닛(202), 제어 유닛(204), 전력 제어 정보 생성 유닛(206) 및 통신 유닛(208)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204) 및 통신 유닛(208)은 도 1을 참조하여 위에 설명된 제어 유닛(102) 및 통신 유닛(104)의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적 구성을 갖고, 이들이 여기서 반복되지는 않을 것이다. 검출 유닛(202) 및 전력 제어 정보 생성 유닛(206)의 기능적 구성들만이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검출 유닛(202)은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여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및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사용자 장비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이전에 부 성분 캐리어들에서 에너지 검출을 수행하고, 에너지 검출에 성공한 부 성분 캐리어를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로서 식별하고, 에너지 검출에 실패한 부 성분 캐리어를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로서 식별한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204)은 검출 유닛(202)의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에 할당되는 미리 결정된 전력을 사용될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부 성분 캐리어들 SCC1 내지 SCC4 각각에 전력 P가 할당된다고 가정되고, SCC3 및 SCC4가 이용 가능하지 않다는 것을 검출 유닛(202)이 검출하면, 제어 유닛(204)은 SCC3 및 SCC4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을 SCC1 및 SCC2에 각각 추가할 수 있어, SCC1 및 SCC2 양자 모두의 조절된 송신 전력은 2P이다. 대안적으로, 예로서, SCC3 및 SCC4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은 양자 모두 SCC1에 추가될 수 있는 한편 SCC2의 송신 전력이 변경되지 않은 채로 유지될 수 있어, SCC1의 조절된 송신 전력은 3P가 된다. 추가로, 대안적으로, SCC1 및 PCC만으로 캐리어 집성이 구현되면, SCC2 내지 SCC4의 송신 전력이 모두 SCC1에 추가될 수 있어 SCC1의 조절된 송신 전력이 4P가 된다. 그러나, 실제 송신에서는, 송신 대역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캐리어 집성은 일반적으로 PCC 및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SCC1과 SCC2 양자 모두로 구현될 수 있다, 즉, SCC2의 전력은 일반적으로 SCC1에 추가되지 않을 것이다.
위 설명에 따르면, 관련분야에서의 기술자들은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의 송신 전력을 실제로 요구되는 것으로서 사용되도록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력 제어 정보 생성 유닛(206)은 전력 조절 결과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력 제어 정보는 전력 조절 결과를 사용자 장비에 시기 적절하게 통지하도록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수 있고, 전력 조절이 변경되는지 포함하고 선택적으로는 전력 조절의 오프셋 양을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전력 제어 정보는 또한 MAC 레이어 제어 정보 또는 RRC 레이어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부 성분 캐리어에서 에너지 검출이 성공적이지만, 송신될 다운링크 데이터가 없고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의 송신에 대해서만 에너지 검출이 수행되는 경우에, 전력 조절 결과는 MAC 레이어 시그널링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통지될 수 있고, 그 이유는 40 ms, 80 ms 또는 160 ms의 사이클로 DRS가 발생하고, 전력 조절 결과를 송신할 적시성이 높은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을 점유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통신 유닛(208)은 전력 조절 결과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정보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그리고 전력 조절 결과에 따라 사용자 장비로의 다운링크 신호 송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운링크 송신에서, 사용자 장비에게 전력 조절 결과를 적시에 통지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송신 전력이 사용자 장비의 (RSRP 및/또는 RSRQ와 같은) CSI 측정 결과 및 RRM 측정 결과 중 적어도 하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며, 이는 결국 사용자 장비의 채널 조건 추정 및 리소스 스케줄링, (변조 코딩 스킴 선택과 같은) 링크 적응, 셀 구성 및 이동성 관리(셀 핸드오버, 셀 선택), 부 셀 활성화 및 비활성화, 부하 전달 등과 같은 후속 동작들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비인가 대역 상의 CSI 참조 신호에 대한 현재의 송신 전력이 변경되지만 이러한 변경이 사용자 장비에 시기 적절하게 통지되지 않으면, CSI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채널 조건을 추정할 때 사용자 장비는 여전히 조절 이전의 송신 전력을 참조하며, 이는 현재의 채널 조건의 부정확한 추정을 필연적으로 초래한다. 다른 예로서, (비인가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LAA 셀의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에 대한 송신 전력이 변경되지만 이러한 변경이 사용자 장비에 시기 적절하게 통지되지 않으면, DRS의 RRM 측정에 기초하여 측정 이벤트 보고, 셀 선택/재선택 등과 같은 동작들을 수행할 때 사용자 장비는 잘못된 결정을 행할 수 있다.
특히, 전력 조절 결과가 각각의 송신 블록(특정 다운링크 송신)에 대해 유효한지 또는 최대 채널 점유 시간 내에 캐리어 집성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캐리어들 상의 송신들에 대해 유효한지에 의존하여, 본 개시내용은 전력 조절 결과를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는 이하의 스킴들을 제공한다.
스킴 1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경우에, 전력 제어 정보 생성 유닛(206)은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전력 제어 정보는 각각의 송신 블록에 대해 유효하다, 즉, 이것은 UE 특정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전력 제어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1A/1B/1D/1/2A/2/2B/2C/2D, 즉 DCI 포맷 1A/1B/1D/1/2A/2/2B/2C/2D에 의해 운반되는 DL 승인(downlink scheduling grant signaling)일 수 있다. DCI 포맷 1A/1B/1D/1/2A/2/2B/2C/2D와 DL 승인은 이후 서로 구별되지 않을 것이다.
예로서, 전력 제어 정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의 송신 전력 제어에 대한 정보 비트들, 즉 2 비트의 TPC 커맨드(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를 DL 승인에서 재사용하여 전력 조절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은 TPC 커맨드를 DL 승인 시그널링에서 사용하여 전력 조절 결과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다.
Figure pct00001
위 예에서는, 2 비트의 TPC 커맨드가 전력 조절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현재의 프로토콜에서는 최대 4개의 부 성분 캐리어들이 지원되므로, 2 비트의 정보는 조절 결과를 표시하기에 충분하다. 더욱이, 위 예에서는, 전력 제어 정보에 전력 조절의 오프셋 양 또한 포함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나,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오프셋 양이 (RRC 시그널링과 같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대안적으로 통지될 수 있어, 사용자 장비는 전력 할당이 변경되는 것을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으로부터 알 수 있고,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파싱함으로써 조절의 오프셋 양을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적시성이 상대적으로 불량할 수 있다. 또한, 위 표에 주어지는 표시 의미들은 단지 예시적이며, 따라서 실제 환경에 따라 관련분야에서의 기술자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이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
이러한 예에서, 전력 조절 결과는 정보 비트들을 추가하지 않고 원래의 정보 비트들을 재사용함으로써 표시되어, 원래의 시그널링 구조가 유지될 수 있고 원래의 프로토콜이 덜 변경되어, 우수한 호환성을 초래한다.
대안적으로, TPC 커맨드를 재사용하는 대신에, DL 승인에서의 패딩 비트들이 전력 조절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전력 조절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단지 2 비트가 사용되지만, 이동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더 많은 캐리어들 사이의 캐리어 집성이 허용될 수 있는 경우에 더 많은 패딩 비트들이 전력 조절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스킴에서는, 전력 조절 결과가 각각의 송신 블록에 대해 유효하며, 이는 높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야기하면서 높은 유연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조절이 빈번하게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 본 개시내용은 신호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이하의 제2 스킴을 추가로 제공한다.
스킴 2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경우에, 전력 제어 정보 생성 유닛(206)은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공통인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전력 제어 정보는 전체 최대 채널 점유 시간 내에서 모든 집성된 캐리어들에 대해 유효하다, 즉, 이것은 셀 특정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전력 제어 정보가 DCI 포맷 1C일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서, 시간 분할 듀플렉싱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정보 비트들이 전력 조절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Rel-12의 경우에, (인가 대역 상의) 각각의 캐리어의 TDD 구성은 DCI 포맷 1C에 의해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비인가 대역 상에서, LTE 시스템이 비인가 대역을 점유하는 시간 제한 및 불완전한 서브 프레임의 존재로 인해, TDD 구성의 동적 변경이 반드시 향상된 시스템 성능에 이르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콘텐츠를 운반하기 위한 정보 비트들의 리소스들이 낭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에서는, 사용자 장비에게 전력 조절 결과를 통지하기 위해 DCI 포맷 1C가 재사용되어, 새로운 정보 비트들을 추가하지 않고 그리고 원래의 시그널링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전력 조절 결과가 효과적으로 통지된다.
이하,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조절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DCI 포맷 1C의 시그널링 포맷의 예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조절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DCI 포맷 1C의 시그널링 포맷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캐리어 집성의 공통적인 예에서, 재사용된 DCI 포맷 1C 시그널링에서의 비트들은 다음의 의미들을 가질 수 있다:
비트 0 내지 비트 2는 주 성분 캐리어의 TDD 구성들(7개의 타입들)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비트 3 내지 비트 5는 부 성분 캐리어 1에 대한 전력 조절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비트 6 내지 비트 8은 부 성분 캐리어 2에 대한 전력 조절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고;
비트 9 내지 비트 11은 부 성분 캐리어 3에 대한 전력 조절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며;
비트 12 내지 비트 14는 부 성분 캐리어 4에 대한 전력 조절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사용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부 성분 캐리어가 비인가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경우에는 동적 TDD UL/DL 구성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점이 주목된다. 일부 예들에서, UE에 대해 구성되는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일부는 비인가 대역 상에서 동작하고, 한편 다른 것들은 인가 대역 상에서 동작하고, UE는 예를 들어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에서의 엘리먼트 LAA-MainConfig에 따라 비인가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부 성분 캐리어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인가 대역 상에서 동작하는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해서는, 주 성분 캐리어와 유사하게, DCI 포맷 1C에서의 대응하는 정보 비트들이 TDD UL/DL 구성을 표시하기 위해 여전히 사용된다. 달리 말하면,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오직 일부에 대한 표시 비트들이 DCI 포맷 1C에서 변경될 수 있다.
각각의 부 성분 캐리어의 전력 변경은 3개의 정보 비트들로 표시될 수 있다. 예로서, 각각의 부 성분 캐리어에 대한 3 비트 정보는 다음의 의미들을 가질 수 있다:
Figure pct00002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DCI 포맷 1C를 재사용하면, 전력 조절 결과가 효과적으로 통지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예로서, 위 스킴 1과 유사하게, DCI 포맷 1C에서의 TDD 구성에 대한 정보 비트들의 원래의 의미들을 변경하는 대신에, DCI 포맷 1C에서의 패딩 비트들이 전력 조절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위 스킴 1과 유사하게, 이러한 예에서는, 전력 조절의 오프셋 양이 전력 제어 정보에 또한 포함된다. 그러나, 오프셋 양이 (RRC 시그널링과 같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대안적으로 통지될 수 있어, 사용자 장비는 전력 할당이 변경되는 것을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으로부터 알 수 있고,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을 파싱함으로써 조절의 구체적인 오프셋 양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위 표에 주어지는 표시 의미들은 단지 예시적이며, 실제 환경에 따라 관련분야에서의 기술자들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는 점이 또한 주목되어야 한다.
제2 스킴에서는, 전력 제어 정보가 전체 최대 채널 점유 시간 내에서 모든 집성된 캐리어들에 대해 유효하며, 이는, 스킴 1과 비교할 때,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현저하게 감소시키지만 낮은 유연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킴 1 또는 2는 네트워크 성능을 최적화하도록 실제 네트워크 조건들에 따라 관련분야에서의 기술자들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위 2개의 스킴들에 추가하여, 보다 풍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스킴들 1 및 2가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스킴은 장래에 최대 32개의 캐리어들 사이의 캐리어 집성이 지원될 수 있는 경우 및 프레임 기반 에너지 검출의 경우에 특히 유용한다. 제3 스킴이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스킴 3: 스킴 1과 스킴 2의 조합
이러한 스킴에서는, TDD 구성에 대한 정보 비트들 또는 DCI 포맷 1C에서의 패딩 비트들(각각의 부 성분 캐리어에 대한 3 비트의 정보)을 TPC 커맨드 필드 또는 DL 승인에서의 패딩 비트들( 2 비트의 정보)과 함께 재사용함으로써 전력 조절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각각의 부 성분 캐리어에 대해 5 비트가 사용되기 때문에, 최대 32개의 상태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로서, 스킴 3에서의 정보 비트들의 의미들은 다음과 같이 도시된다.
Figure pct00003
즉, 먼저, 각각의 부 성분 캐리어에 대한 전력 조절 섹션이 DCI 포맷 1C에서의 부 성분 캐리어에 대한 표시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섹션에서의 부 성분 캐리어에 대한 특정 조절량이 DL 승인에서의 표시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조절 섹션이 DCI 포맷 1C에 따라 오프셋 양의 16배 내지 19배로서 결정되면, 표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TPC 커맨드 정보에 따라 특정 전력 조절량이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ct00004
위에 주어진 정보 비트들의 의미들은 단지 예시적이고, 실제 환경에 따라 관련분야에서의 기술자들에 의해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서 제한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위 스킴들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스킴 1 및 스킴 2에서의 시그널링 상호 작용 프로시저들이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각각 제공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제1 구현 스킴의 시그널링 상호 작용 프로시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에서, 기지국(eNB)은, RRC 시그널링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대한 LAA를 지원하는 부 셀을 구성한다, LAA-MainConfig. 다음으로, 단계 S42에서, eNB는 부 성분 캐리어들 각각에서 에너지 검출을 수행하여 이들이 이용 가능한지 결정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위에 설명된 전력 조절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의 경우에, eNB는 단계 S43에서 전력 조절 결과를 포함하는 DL 승인(즉, TP 커맨드 또는 패딩 비트들이 재사용되는 DCI 포맷 1A/1B/1D/1/2A/2/2B/2C/2D)을 주 성분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송신한다. 다른 한편, 셀프-캐리어 스케줄링의 경우에, 단계 S43'에서와 같이, eNB는 전력 조절 결과를 포함하는 DL 승인을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즉, 유휴인 것으로서 검출되는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S44에서, eNB는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장비로의 다운링크 송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S45에서, 사용자 장비는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기지국으로 피드백하여 사용자 장비가 신호를 수신했는지 통지한다(즉, 다운링크 HARQ(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의 프로세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시그널링 상호 작용 프로시저는 도 5에서의 시간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전력 조절 및 표시의 시간 시퀀스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부 성분 캐리어들 SCC1 내지 SCC4 각각에서 에너지 검출이 수행되고, 에너지 검출에 실패한(즉,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SCC2 및 SCC3에 할당되는 전력이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SCC1 및 SCC4에 추가되고, 그 결과는 DL 승인을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전송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장비로의 다운링크 송신이 SCC1 및 SCC4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DL 승인에 포함되는 전력 조절 결과는 개별적인 부 성분 캐리어(즉, 각각의 송신 블록)에 대해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킴은 최대 유연성을 갖지만,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현저하게 증가시킨다.
다음으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제2 구현 스킴의 시그널링 상호 작용 프로시저의 흐름도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단계 S61에서, eNB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LAA를 지원하는 것을 표시하는 시그널링 LAA-MainConfig 및 eIMTA(enhanced Interference Management For Traffic Adaption)를 지원하는 것을 표시하는 시그널링 eIMTA-Mainconfig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단계 S62에서, eNB는 부 성분 캐리어들 각각에서 에너지 검출을 수행하여 이들이 이용 가능한지 결정하고, 검출 결과에 따라 위에 설명된 전력 조절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eNB는 S63 단계에서 주 성분 캐리어를 통해 전력 조절 결과를 포함하는 DCI 포맷 1C- TDD 구성을 위한 정보 비트들 또는 패딩 비트들이 재사용됨 -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의 경우에, eNB는 단계 S64에서 주 성분 캐리어를 통해 DL 승인을 사용자 장비에 송신한다. 다른 한편, 셀프-캐리어 스케줄링의 경우에, 단계 S64'에서와 같이, eNB는 이용 가능한 것으로서 검출되는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DL 승인을 사용자 장비에 송신한다. 다음으로, 단계 S65에서, eNB는 이용 가능한 것으로서 검출되는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장비로의 다운링크 송신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S66 단계에서, 사용자 장비는 PUCCH 또는 PUSCH를 통해 기지국으로 피드백하여 사용자 장비가 신호를 수신했는지 통지한다(즉, 다운링크 HARQ(hybrid automatic retransmission request)의 프로세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시그널링 상호 작용 프로시저는 도 5에서의 시간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참조하여 더 잘 이해될 수 있다. 주 성분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송신되는 DCI 포맷 1C는, 최대 채널 점유 시간 내에서, 모든 집성된 캐리어들, 즉, 모든 부 성분 캐리어들 SCC1 내지 SCC4에 대해 유효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스킴은 불량한 유연성을 갖지만,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다운링크 송신의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에서, 제2 부 성분 캐리어에 대한 DL 승인은 주 성분 캐리어 대신에 이용 가능한 것으로서 검출되는 제1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송신될 수 있으며, 이는 여기서 상세히 설명지 않는다.
위 신호 상호 작용 프로시저는 제한적이라기 보다는 단지 예시적이고, 관련분야에서의 기술자들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에 따라 위 신호 상호 작용 프로시저를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DL 승인의 송신 및 다운링크 송신이 반드시 별개의 2개의 단계들에서 수행될 필요는 없고, 동일한 단계에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제2 구현 스킴에 대해, 전력 조절 결과가 DCI 포맷 1C 및 DL 승인 양자 모두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통지되면, 이러한 스킴은 위 제3 구현 스킴으로서 수정될 수 있다.
업링크 송신을 위한 전력 제어
다운링크 송신의 경우가 위에 설명되었고, 업링크 송신의 경우가 도 1을 다시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업링크 송신의 경우에, 통신 유닛(104)은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UL 승인), 즉 DCI 포맷 0/4를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의 경우에, eNB는 주 성분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UL 승인을 송신하고, 따라서 eNB는 UL 승인을 송신하기 이전에 에너지 검출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한편, 셀프-캐리어 스케줄링의 경우에, eNB는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UL 승인을 송신하기 때문에, eNB는 UL 승인을 송신하기 이전에 부 성분 캐리어에서 에너지 검출을 수행하여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한지 결정할 필요가 있고,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하면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UL 승인을 송신한다. 셀프-캐리어 스케줄링의 경우는 도 7을 참조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UL 승인을 수신하는 사용자 장비는 부 성분 캐리어에서 에너지 검출을 수행하여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한지 결정할 수 있고, 검출 결과를 eNB에 보고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유닛(104)은 수신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보고되는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고, 제어 유닛(102)은 수신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업링크 전력 조절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에 미리 할당되는 전력을 사용될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에 추가한다.
업링크 전력 조절 스킴에서, 제어 유닛(102)이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블록들에 대해 사용될 RB들(resource blocks)을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들)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블록에 할당함으로써 또는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들)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블록(들)에 대해 사용되도록 변조 코딩 스킴을 조절함으로써 전력 조절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리소스 블록에 대한 송신 전력 PRB는 미리 결정되고 조절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업링크 전력 조절에서, 부 성분 캐리어들 각각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블록에 대한 전력(PTB)은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에 할당되는 리소스 블록들을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들)에 할당함으로써 조절된다. 즉,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들)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블록(들)에 대한 전력은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들)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블록(들)에 대해 사용될 리소스 블록들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되거나, 또는 송신 블록(들)에 대해 사용되도록 변조 코딩 스킴을 조절함으로써 또한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보고되는 부 성분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eNB에 의해 행해지는 전력 조절은 현재의 송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고, 통신 유닛(104)은 전력 조절 결과를 UL 승인에 포함시켜 이를 다음 사이클에서 사용자 장비에 전송할 수 있어, 다음 사이클에서 사용자 장비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전력 제어를 수행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제어 유닛(102)은,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서, 업링크 데이터 송신 실패의 원인, 예를 들어, 송신 실패가 사용자 장비에 의해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은 것에 의해 야기되는지, 또는 채널이 이용 불가능한지 추가로 인식할 수 있어,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의 경합 윈도우의 크기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 검출되면,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의 경합 윈도우의 크기가 따라서 감소될 수 있어 백-오프 시간을 단축시키고, 이에 의해 리소스 이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업링크 송신을 위한 셀프-캐리어 스케줄링 스킴이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7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700)는 검출 유닛(702), 제어 유닛(704) 및 통신 유닛(706)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704) 및 통신 유닛(706)은 업링크 송신을 위한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 스킴의 경우에 위에 설명된 제어 유닛(102) 및 통신 유닛(104)의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적 구성들을 갖고, 이들이 여기서 반복되지는 않을 것이다. 검출 유닛(702)의 기능적 구성만이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검출 유닛(702)은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 중에서 특정 부 성분 캐리어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셀프-캐리어 스케줄링 스킴에서, eNB는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UL 승인을 송신하기 때문에, eNB는, UL 승인을 송신하기 이전에, 특정 부 성분 캐리어에서 에너지 검출을 수행하여 특정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한지 결정할 필요가 있고, 통신 유닛(706)은 검출 유닛(702)이 특정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만 특정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UL 승인을 송신한다.
다운링크 송신의 경우와 달리, 업링크 송신을 위한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 스킴에서는, 주 성분 캐리어 만이 UL 승인을 송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고, 특정 부 성분 캐리어에 대한 UL 승인은 다른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송신될 수 없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업링크 송신을 위한 전력 제어 스킴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업링크 송신을 위한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 스킴 및 셀프-캐리어 스케줄링 스킴의 시그널링 상호 작용 프로시저들이 도 8 및 도 9를 각각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8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송신을 위한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의 구현 스킴의 시그널링 상호 작용 프로시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송신을 위한 셀프-캐리어 스케줄링의 구현 스킴의 시그널링 상호 작용 프로시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1에서, eNB는 주 성분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UL 승인을 전송한다. 다음으로, 단계 S82에서, 사용자 장비는 수신된 UL 승인에 따라 부 성분 캐리어에서 에너지 검출을 수행하여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한지 결정한다. 다음으로 단계 S83에서, 사용자 장비는 검출 결과를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eNB에 직접 보고하거나, 또는 업링크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된 검출 결과를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eNB에 보고한다. 다음으로, 단계 S84에서, 사용자 장비는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eNB로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한다.
도 8은 단지 하나의 전송 사이클에서의 시그널링 상호 작용 프로시저를 도시하고, 따라서 eNB가 위 방식으로 수신된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조절을 수행하고, 다음 사이클에서 UL 승인을 통해 전력 조절 결과를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는 동작들이 여기서 도시되지 않지만, 이러한 동작들은 위 설명에 따라 관련분야에서의 기술자들에 의해 이해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업링크 송신을 위한 셀프-캐리어 스케줄링의 구현 스킴의 시그널링 상호 작용 프로시저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9에 도시되는 시그널링 상호 작용 프로시저는 도 8에 도시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UL 승인이 셀프-캐리어 스케줄링 스킴에서 부 성분 캐리어 자체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전송되기 때문에, 도 9의 흐름도에서, eNB는, UL 승인을 사용자 장비에 송신하기 이전에, 특정 부 성분 캐리어에서 에너지 검출을 수행하여 특정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한지 결정하여야 하고,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한 경우에만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UL 승인을 송신한다는 점에서만 상이하다. 다른 단계들에서의 처리는 도 8에서의 대응하는 단계들의 전술한 설명이 참조할 수 있고 여기서 반복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되는 시그널링 상호 작용 프로시저들은 단지 예시적이고, 관련분야에서의 기술자들은 본 개시내용에서의 원리에 따라 프로시저들을 수정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들 모두는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통신 유닛(104)은, X2 시그널링을 통해, 부 성분 캐리어들 각각의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 및 전력 조절 결과를 인접한 기지국과 상호 작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102)은, 다른 기지국들로부터의 부 성분 캐리어들의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 및 전력 조절 결과를 포함하는, 상호 작용의 결과에 따라,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로부터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들)를 선택하도록, 및/또는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을 활성화/비활성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들 사이의 정보 상호 작용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0에 도시되는 예에서, 인접한 기지국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그들 각각의 부 성분 캐리어들의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들 및 전력 조절 결과들을 서로 교환할 수 있다.
기지국들 사이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 및 전력 조절 결과의 상호 작용은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예를 들어 부 성분 캐리어들 각각의 캐리어 선택, 주파수 멀티플렉싱, 및 활성화/비활성화를 포함하는, 전체 비인가 대역 상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캐리어에서 보다 효율적인 주파수 멀티플렉싱을 달성하기 위해, 기지국간 간섭이 일정 레벨로 유지되어야 하고, 따라서 기지국은, 부 성분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전력 조절 결과에 따라, 특히 상대적으로 큰 업링크 송신 트래픽을 갖는 기지국에 대해, 송신 전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부 성분 캐리어를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부 성분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기지국은 에너지 검출에서 높은 성공률을 갖는 부 성분 캐리어를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부 성분 캐리어 상의 에너지 검출이 실패되면, 다른 기지국들은 검출 결과에 따라 부 성분 캐리어를 비활성화시키고, 에너지 검출에 성공한 다른 부 성분 캐리어들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것은 미래에 점점 더 많은 캐리어들(예를 들어, 최대 32개 캐리어들) 사이의 집성의 경우에 특히 유리한다.
기지국들 사이의 상호 작용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에 따른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획득되는 시스템 성능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동일한 에너지 검출 임계 값으로,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에너지 검출 결과(즉,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동적 전력 조절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 성능이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는 점을 도 11로부터 알 수 있다.
기지국 측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사용자 장비 측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의 예가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 측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200)는 수신 유닛(1202) 및 제어 유닛(1204)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유닛(1202)은 기지국으로부터 전력 조절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력 조절 결과는 비인가 대역 상의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전력 조절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되어,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에 미리 할당되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에 할당된다.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할당이 변경되는지 표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조절의 오프셋 양을 표시하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한다.
제어 유닛(1204)은 전력 조절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운링크 송신의 경우에, 수신 유닛(1202)은 기지국으로부터의 전력 조절 결과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제어 유닛(1204)은 전력 제어 정보를 디코딩함으로써 전력 조절 결과를 획득하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결과 및/또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결과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다운링크 송신의 경우에, 비인가 대역 상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이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고, 사용자 장비는 따라서, 전력 할당이 변경되는지 표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하는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전력 조절의 오프셋 양을 포함하는, 수신된 전력 조절 결과에 따라 자신의 CSI 측정 결과 및/또는 RRM 측정 결과(RSRP 및/또는 RSRQ를 포함함)를 조절할 수 있다. 이것은 CSI 측정 결과 및/또는 RRM 측정 결과가 채널을 통한 송신 전력에 관련되고, 사용자 장비가 전력 조절 결과에 기초하여 CSI 측정 결과 및/또는 RRM 측정 결과를 조절(예를 들어, 추가된 전력 조절의 오프셋 양을 뺌)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으면, 사용자 장비의 부정확한 CSI 측정 결과 및 RRM 측정 결과가 채널 추정의 정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리소스 스케줄링, (변조 코딩 스킴 선택과 같은) 링크 적응, 셀 구성, 이동성 관리(셀 핸드오버, 셀 선택), 부 셀 활성화 및 비활성화, 부하 전달 등과 같은 후속 동작들에 영향을 미친다.
바람직하게는, 위 제1 스킴의 경우에, 제어 유닛(1204)은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즉, DCI 포맷 1A/1B/1D/1/2A/2/2B/2C/2D)를 디코딩함으로써 전력 조절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DCI 포맷 1A/1B/1D/1/2A/2/2B/2C/2D에서의 TPC 커맨드(즉, PUCCH의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정보 비트들) 또는 패딩 비트들(2 비트)이 전력 조절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재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위 제2 스킴의 경우에, 제어 유닛(1204)은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공통인 전력 제어 정보(즉, DCI 포맷 1C)를 디코딩함으로써 전력 조절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DCI 포맷 1C에서의 TDD 구성을 위한 정보 비트들 또는 패딩 비트들(부 성분 캐리어 당 3 비트)이 전력 조절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 재사용된다. 대안적으로, 제3 스킴의 경우에, 제어 유닛(1204)은 DCI 포맷 1C와 DCI 포맷 1A/1B/1D/1/2A/2/2B/2C/2D를 공동으로 디코딩함으로써 전력 조절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즉, DL 승인).
다운링크 송신을 위한 사용자 장비 측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의 예가 위에 설명되었다. 다음으로, 업링크 송신을 위한 사용자 장비 측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의 예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 측 디바이스의 기능적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300)는 수신 유닛(1302), 검출 유닛(1304), 전송 유닛(1306) 및 제어 유닛(1308)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유닛(1302) 및 제어 유닛(1308)은 위에 설명된 수신 유닛(1202) 및 제어 유닛(1204)의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적 구성을 갖고, 이들이 여기서 반복되지는 않을 것이다. 검출 유닛(1304) 및 전송 유닛(1306)의 기능적 구성들의 예들만이 이하 상세히 설명된다.
업링크 송신의 경우에, 수신 유닛(1302)은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즉, UL 승인)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검출 유닛(1304)은 수신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에 따라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 장비는 부 성분 캐리어에서 에너지 검출을 수행하여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한지 결정해야 한다.
전송 유닛(1306)은 검출 결과를 기지국에 송신하여, 기지국이 업링크 송신 전력을 제어하도록, 예를 들어,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블록에 대해 사용될 리소스 블록들의 수를 증가시키도록 또는 그 변조 코딩 스킴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음 사이클에서 업링크 데이터 송신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해 UL 승인에 전력 조절 결과를 포함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전송 유닛(1306)은 PUCCH를 통해 부 성분 캐리어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를 직접 전송하거나 또는 PUSCH를 통해 업링크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된 부 성분 캐리어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검출 유닛(1304)이 특정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한 것을 검출하는 경우에, 전송 유닛(1306)은 특정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전력 조절 결과에 따라, 다음 사이클에서 송신 전력으로 특정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사용자 장비 측 디바이스는 위에 설명된 기지국 측 디바이스에 대응하고, 따라서 여기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내용은 기지국 측 디바이스의 실시예들에서의 대응하는 설명에 참조될 수 있고, 여기서 반복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 및 사용자 장비 측 디바이스들의 기능적 구성들의 예들 및 대응하는 시그널링 상호 작용 프로시저들의 예들이 위에 설명되었지만, 이들은 제한들이 아니라 단지 예들이며, 관련분야에서의 기술자들은 본 개시내용에서의 원리에 따라 위 실시예들을 수정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적 모듈들은 추가, 삭제 및/또는 조합 등이 될 수 있고, 이러한 수정들은 모두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위 디바이스 실시예들에 대응하는 방법 실시예들이 본 개시내용에서 추가로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들이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먼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 방법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 방법의 프로세스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어 단계 S1402 및 통신 단계 S140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단계 S1402에서는, 비인가 대역 상의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조절이 수행될 수 있어,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에 미리 할당되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에 할당된다.
다음으로, 통신 단계 S1404에서는, 전력 조절 결과가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수 있고, 이러한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할당이 변경되는지 표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조절의 오프셋 양을 표시하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단계에서, 부 성분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 및 대응하는 전력 조절 결과가 X2 시그널링을 통해 인접한 기지국과 상호 작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단계에서,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가 상호 작용의 결과에 따라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단계에서,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은 상호 작용의 결과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방법은 검출 단계 및 전력 제어 정보 생성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검출 단계에서는,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의 이용 가능성이 검출되어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및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을 결정할 수 있다. 전력 제어 정보 생성 단계에서는, 전력 조절 결과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제어 단계에서는, 전력 조절이 검출 결과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통신 단계에서는, 전력 제어 정보가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수 있고, 사용자 장비로의 다운링크 신호 송신이 전력 조절 결과에 따라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전력 제어 정보 생성 단계에서는,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 각각에 대해 전력 제어 정보가 생성될 수 있고, 전력 제어 정보가 바람직하게는 DCI 포맷 1A/1B/1D/1/2A/2/2B/2C/2D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력 제어 정보가 DCI 포맷 1A/1B/1D/1/2A/2/2B/2C/2D에서의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의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정보 비트들 또는 패딩 비트들을 재사용하여 전력 조절 결과를 사용자 장비에 통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전력 제어 정보 생성 단계에서는,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공통인 전력 제어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전력 제어 정보는 DCI 포맷 1C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력 제어 정보는 DCI 포맷 1C에서의 TDD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위한 정보 비트들 또는 패딩 비트들을 재사용하여 전력 조절 결과를 사용자 장비에 통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력 제어 정보는 MAC 레이어 제어 정보 또는 RRC 레이어 제어 정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단계에서는, 크로스-캐리어 스케줄링 또는 셀프-캐리어 스케줄링을 달성하도록 DL 승인이 주 성분 캐리어 또는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송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단계에서는,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이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수 있고,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 의해 보고되는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가 수신될 수 있다. 추가로, 제어 단계에서는,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조절이 수행될 수 있고, 다음 사이클에서, 전력 조절 결과를 포함하는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은 통신 단계에서 사용자 장비에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방법은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 중 특정 부 성분 캐리어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통신 단계에서는, 특정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하다고 검출되면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이 특정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단계에서는,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이 주 성분 캐리어를 통해 사용자 장비에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단계에서는, 전력 조절이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블록들에 대해 사용될 리소스 블록들을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블록에 할당함으로써 또는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블록에 대해 사용되도록 변조 코딩 스킴을 조절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단계에서는,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송신 실패의 원인이 파악될 수 있어,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의 경합 윈도우 크기를 조절한다.
이러한 방법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내용은 기지국 측 디바이스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설명이 참조될 수 있고, 여기서는 반복되지 않는다.
도 1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 측 방법의 프로세스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수신 단계 S1502 및 제어 단계 S1504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단계 S1502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전력 조절 결과가 수신될 수 있다. 전력 조절 결과는 비인가 대역 상의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전력 조절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되어,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에 미리 할당되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은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에 할당된다.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할당이 변경되는지 표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조절의 오프셋 양을 표시하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단계 S1504에서는, 전력 조절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단계에서는, 전력 조절 결과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정보가 기지국으로부터 추가로 수신될 수 있고, 제어 단계에서는, 전력 제어 정보를 디코딩함으로써 전력 조절 결과가 획득되어 채널 상태 정보 측정 결과 및/또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결과를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단계에서는,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를 디코딩함으로써 전력 조절 결과가 획득될 수 있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제어 단계에서는, DCI 포맷 1A/1B/1D/1/2A/2/2B/2C/2D를 디코딩함으로써 전력 조절 결과가 획득될 수 있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제어 단계에서는, DCI 포맷 1A/1B/1D/1/2A/2/2B/2C/2D에서의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의 송신 전력 제어를 위한 정보 비트들 또는 패딩 비트들을 디코딩함으로써 전력 조절 결과가 획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단계에서는,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공통인 전력 제어 정보를 디코딩함으로써 전력 조절 결과가 획득될 수 있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제어 단계에서는, DCI 포맷 1C를 디코딩함으로써 전력 조절 결과가 획득될 수 있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제어 단계에서는, DCI 포맷 1C에서의 TDD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을 위한 정보 비트들 또는 패딩 비트들을 디코딩함으로써 전력 조절 결과가 획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단계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이 추가로 수신된다. 본 방법은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에 따라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 및 검출 결과를 기지국에 전송하는 전송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전력 조절 결과는 검출 결과에 따라 기지국에 의해 행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전송 단계에서는, 검출 결과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직접 전송되거나, 또는 업링크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된 검출 결과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전송 단계에서는, 검출 결과가 특정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면, 다음 사이클에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전력 조절 결과에 따라 특정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내용은 사용자 장비 측 디바이스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설명이 참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반복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들의 프로세스들의 예들이 설명되었지만, 이들은 제한들이 아니라 단지 예들이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관련분야에서의 기술자들은 본 개시내용의 원리에 따라 위 실시예들을 수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의 단계들은 추가, 삭제 및/또는 조합 등이 될 수 있고, 이러한 수정들은 모두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디바이스가 추가로 제공되며, 이는 송수신기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방법들 또는 유닛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매체 및 프로그램 제품에서의 머신-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은 위 디바이스 실시예에 대응하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여기서 상세히 설명되지 않은 내용은 대응하는 위치들에서의 전술한 설명이 참조될 수 있고, 여기서 반복되지는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머신-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위 프로그램 제품이 운반되는 저장 매체 또한 본 개시내용에 포함된다. 이러한 저장 매체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카드, 메모리 로드(memory rod) 등을 포함한다.
더욱이, 전술한 일련의 프로세스들 및 디바이스들은 또한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로 구현되는 경우에,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은 저장 매체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전용 하드웨어 구조가 있는 컴퓨터,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되는 범용 개인용 컴퓨터(1600)에 설치되며, 이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설치될 때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디바이스로서 사용되는 퍼스널 컴퓨터의 예시적인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에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1601)는 ROM(Read Only Memory)(1602)에 저장되거나 저장부(1608)로부터 RAM(Random Access Memory)(1603)- CPU(1601)가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수행할 때 요구되는 데이터 또한 필요에 따라 저장됨 - 내로 로딩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수행한다.
CPU(1601), ROM(1602) 및 RAM(1603)은 버스(1604)-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605) 또한 접속됨 -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다음의 컴포넌트들이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605)에 접속된다: 키보드, 마우스 등을 포함하는 입력부(1606); 예를 들어,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을 포함하는 출력부(1607); 하드 디스크 등을 포함하는 저장부(1608); 및 예를 들어, LAN 카드, 모뎀 등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포함하는 통신부(1609). 통신부(1609)는 예를 들어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드라이브(1610) 또한 필요에 따라 입력/출력 인터페이스(1605)에 접속된다. 이동식 매체(1611),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등이 필요에 따라 드라이브(1610) 상에 설치될 수 있어, 그로부터 인출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필요에 따라 저장부(1608)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이 소프트웨어로 수행되는 경우에,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예를 들어 인터넷 등으로부터, 또는 저장 매체, 예를 들어, 이동식 매체(1611) 등으로부터 설치된다.
관련분야에서의 기술자들은 이러한 저장 매체가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장치와 별도로 배포되는 도 16에 도시된 이동식 매체(1611)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 것이다. 이동식 매체(1611)의 예들은 자기 디스크(Floppy Disk(등록 상표)를 포함함), 광 디스크(CD-ROM(Compact Disk-Read Only memory) 및 DVD(Digital Versatile Disk)를 포함함), 광자기 디스크(MD(Mini Disk)(등록 상표)를 포함함) 및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이를 포함하는 장치와 함께 사용자에게 배포되는, ROM(1602), 저장부(1608)에 포함되는 하드 디스크 등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에 따른 적용 예들이 이하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기지국에 관한 적용 예]
(제1 적용 예)
도 17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1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eNB(170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710) 및 기지국 장치(1720)를 포함한다. 각각의 안테나(1710)와 기지국 장치(1720)는 RF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1710)들 각각은 단일의 또는 (MIMO 안테나에 포함되는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과 같은)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기지국 장치(1720)가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eNB(1700)는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안테나들(17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안테나들(1710)은 eNB(1700)에 의해 사용되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과 호환될 수 있다. 도 17은 eNB(1700)가 다수의 안테나들(1710)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eNB(1700)는 단일의 안테나(171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720)는 제어기(1721), 메모리(172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3),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를 포함한다.
제어기(17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DSP일 수 있고, 기지국 장치(1720)의 상위 레이어의 다양한 기능들을 동작시킨다. 예를 들어, 제어기(1721)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에 의해 처리되는 신호들에서의 데이터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패킷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3)를 통해 전달한다. 제어기(1721)는, 다수의 기저 대역 프로세서들로부터의 데이터를 번들링하여 번들링된 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번들링된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제어기(1721)는, 무선 리소스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무선 베어러 제어(radio bearer control), 이동성 관리(mobility management), 허용 제어(admission control), 및 스케줄링(scheduling)과 같은 제어를 수행하는 논리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어는 근처에 있는 eNB 또는 코어 네트워크 노드와 협력하여 수행될 수 있다. 메모리(17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제어기(17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단말 리스트, 송신 전력 데이터, 및 스케줄링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타입들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3)는 기지국 장치(1720)를 코어 네트워크(1724)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제어기(172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3)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와 통신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eNB(1700), 및 코어 네트워크 노드 또는 다른 eNB는 (S1 인터페이스 또는 X2 인터페이스와 같은) 논리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3)는 또한, 유선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무선 백홀을 위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3)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이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3)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보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을 무선 통신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는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Advanced와 같은) 임의의 셀룰러 통신 스킴을 지원하고, 안테나(1710)를 통해 eNB(1700)의 셀에 위치되는 단말로의 무선 접속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는, 예를 들어, BB(baseband) 프로세서(1726) 및 RF 회로(1727)를 통상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1726)는, 예를 들어,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를 수행할 수 있고, (L1, MAC(medium access control), RLC(radio link control),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과 같은) 레이어들의 다양한 타입들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BB 프로세서(1726)는 제어기(1721) 대신에 위에 설명된 논리 기능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가질 수 있다. BB 프로세서(1726)는 통신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또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 및 관련 회로를 포함하는 모듈일 수 있다. 프로그램을 업데이트하는 것은 BB 프로세서(1726)의 기능들이 변경되게 할 수 있다. 모듈은 기지국 장치(1720)의 슬롯에 삽입되는 카드 또는 블레이드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모듈은 또한 카드 또는 블레이드 상에 탑재되는 칩일 수 있다. 한편, RF 회로(1727)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1710)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는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BB 프로세서들(172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BB 프로세서들(1726)은 eNB(1700)에 의해 사용되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과 호환 가능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는 도 1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RF 회로들(1727)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RF 회로들(1727)은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과 호환 가능할 수 있다. 도 17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가 다수의 BB 프로세서들(1726) 및 다수의 RF 회로들(1727)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는 또한 단일의 BB 프로세서(1726) 또는 단일의 RF 회로(17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적용 예)
도 18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eNB의 개략적인 구성의 제2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eNB(1830)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1840), 기지국 장치(1850), 및 RRH(1860)를 포함한다. 각각의 안테나(1840) 및 RRH(1860)는 RF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850) 및 RRH(1860)는 광섬유 케이블과 같은 고속 회선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안테나들(1840) 각각은 단일의 또는 (MIMO 안테나에 포함되는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과 같은)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RRH(1860)가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eNB(1830)는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안테나들(18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안테나들(1840)은 eNB(1830)에 의해 사용되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과 호환 가능할 수 있다. 도 18은 eNB(1830)가 다수의 안테나들(1840)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eNB(1830)는 또한 단일의 안테나(184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1850)는 제어기(1851), 메모리(185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853),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55), 및 접속 인터페이스(1857)를 포함한다. 제어기(1851), 메모리(185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853)는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제어기(1721), 메모리(172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23)와 동일하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55)는 (LTE 및 LTE-Advanced와 같은) 임의의 셀룰러 통신 스킴을 지원하고, RRH(1860) 및 안테나(1840)를 통해 RRH(1860)에 대응하는 섹터에 위치되는 단말로의 무선 통신을 제공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55)는, 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856)를 통상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1856)가 접속 인터페이스(1857)를 통해 RRH(1860)의 RF 회로(1864)에 접속된다는 점을 제외하면, BB 프로세서(1856)는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BB 프로세서(1726)와 동일하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55)는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BB 프로세서들(185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BB 프로세서들(1856)은 eNB(1830)에 의해 사용되는 다수의 주파수 대역들과 호환 가능할 수 있다. 도 18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55)가 다수의 BB 프로세서들(1856)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55)는 또한 단일의 BB 프로세서(1856)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인터페이스(1857)는 기지국 장치(1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55))를 RRH(186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1857)는 또한 기지국 장치(185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55))를 RRH(1860)에 접속하는 위에 설명된 고속 회선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일 수 있다.
RRH(1860)는 접속 인터페이스(1861)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63)를 포함한다.
접속 인터페이스(1861)는 RRH(1860)(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63))를 기지국 장치(185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접속 인터페이스(1861)는 또한 위에 설명된 고속 회선에서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63)는 안테나(1840)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63)는, 예를 들어, RF 회로(1864)를 통상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RF 회로(1864)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1840)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63)는 도 1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RF 회로들(1864)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RF 회로들(1864)은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8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63)가 다수의 RF 회로들(1864)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63)는 또한 단일의 RF 회로(18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되는 eNB(1700) 및 eNB(1830)에서는,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통신 유닛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725) 및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55)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86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유닛, 검출 유닛 및 전력 제어 정보 생성 유닛의 기능들의 적어도 일부가 제어기(1721) 및 제어기(185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장비에 관한 적용 예]
(제1 적용 예)
도 19는 본 개시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스마트폰(1900)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스마트폰(1900)은 프로세서(1901), 메모리(1902), 스토리지(1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1904), 카메라(1906), 센서(1907), 마이크로폰(1908), 입력 디바이스(190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10), 스피커(1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1915), 하나 이상의 안테나(1916), 버스(1917), 배터리(1918), 및 보조 제어기(1919)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90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system on a chip)일 수 있고, 스마트폰(1900)의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및 다른 레이어의 기능들을 제어한다. 메모리(190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19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토리지(1903)는 반도체 메모리 및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1904)는 (메모리 카드 및 USB(universal serial bus) 디바이스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를 스마트폰(1900)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카메라(1906)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캡처된 이미지를 생성한다. 센서(1907)는 측정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와 같은 센서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908)은 스마트폰(1900)에 입력되는 사운드들을 오디오 신호들로 변환한다. 입력 디바이스(1909)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10)의 스크린 상으로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터치 센서, 키패드, 키보드,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의 동작 또는 정보 입력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1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와 같은) 스크린을 포함하고, 스마트폰(1900)의 출력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스피커(1911)는 스마트폰(1900)으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들을 사운드들로 변환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는 (LTE 및 LTE-Advanced와 같은) 임의의 셀룰러 통신 스킴을 지원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는, 예를 들어, BB 프로세서(1913) 및 RF 회로(1914)를 통상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1913)는, 예를 들어,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타입들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RF 회로(1914)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1916)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는 BB 프로세서(1913) 및 RF 회로(1914)가 통합되어 있는 하나의 칩 모듈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는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BB 프로세서들(1913) 및 다수의 RF 회로들(19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가 다수의 BB 프로세서들(1913) 및 다수의 RF 회로들(1914)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는 또한 단일의 BB 프로세서(1913) 또는 단일의 RF 회로(1914)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셀룰러 통신 스킴에 추가하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는 단거리 무선 통신 스킴, 근거리 통신 스킴, 및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스킴과 같은 다른 타입의 무선 통신 스킴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는 각각의 무선 통신 스킴에 대한 BB 프로세서(1913) 및 RF 회로(1914)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들(1915)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에 포함되는 (상이한 무선 통신 스킴들에 대한 회로들와 같은) 다수의 회로들 사이에서 안테나들(1916)의 접속 목적지들을 전환한다.
안테나들(1916) 각각은 단일의 또는 (MIMO 안테나에 포함되는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과 같은)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가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스마트폰(1900)은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안테나들(19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는 스마트폰(1900)이 다수의 안테나들(1916)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스마트폰(1900)은 또한 단일의 안테나(1916)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스마트폰(1900)은 각각의 무선 통신 스킴에 대한 안테나(191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들(1915)은 스마트폰(190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버스(1917)는 프로세서(1901), 메모리(1902), 스토리지(1903), 외부 접속 인터페이스(1904), 카메라(1906), 센서(1907), 마이크로폰(1908), 입력 디바이스(190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910), 스피커(191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 및 보조 제어기(1919)를 서로 접속시킨다. 배터리(1918)는, 도면에서 파선들로서 부분적으로 도시되는, 공급 라인들을 통해 도 19에 도시되는 스마트폰(1900)의 블록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보조 제어기(1919)는, 예를 들어, 슬립 모드에서, 스마트폰(1900)의 최소 필요 기능을 동작시킨다.
도 19에 도시되는 스마트폰(1900)에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수신 유닛 및 전송 유닛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1912)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유닛 및 검출 유닛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가 프로세서(1901) 또는 보조 제어기(1919)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2 적용 예)
도 20은 본 개시내용의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2020)의 개략적인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2020)는 프로세서(2021), 메모리(2022),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2024), 센서(2025), 데이터 인터페이스(2026), 콘텐츠 플레이어(2027),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2028), 입력 디바이스(2029),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30), 스피커(2031),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 하나 이상의 안테나 스위치(2036), 하나 이상의 안테나(2037), 및 배터리(203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021)는, 예를 들어, CPU 또는 SoC일 수 있고,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2020)의 내비게이션 기능 및 다른 기능을 제어한다. 메모리(2022)는 RAM 및 ROM을 포함하고, 프로세서(20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GPS 모듈(2024)은 GPS 위성으로부터 수신되는 GPS 신호들을 사용하여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2020)의 (위도, 경도, 및 고도와 같은) 위치를 측정한다. 센서(2025)는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기압 센서와 같은 센서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인터페이스(2026)는,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단말을 통해 차량 내 네트워크(2041)에 접속되고,(차량 속도 데이터와 같은) 차량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를 취득한다.
콘텐츠 플레이어(2027)는 저장 매체 인터페이스(2028)에 삽입되는 (CD 및 DVD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콘텐츠를 재생한다. 입력 디바이스(2029)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30)의 스크린 상으로의 터치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터치 센서, 버튼, 또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사용자로부터의 동작 또는 정보 입력을 수신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2030)는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스크린을 포함하고,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스피커(2031)는 내비게이션 기능 또는 재생되는 콘텐츠의 사운드들을 출력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는 (LTE 및 LTE-Advanced와 같은) 임의의 셀룰러 통신 스킴을 지원하고,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는, 예를 들어, BB 프로세서(2034) 및 RF 회로(2035)를 통상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BB 프로세서(2034)는, 예를 들어, 인코딩/디코딩, 변조/복조, 및 멀티플렉싱/디멀티플렉싱을 수행할 수 있고, 무선 통신을 위한 다양한 타입들의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RF 회로(2035)는, 예를 들어, 믹서, 필터, 및 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안테나(2037)를 통해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한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는 또한 BB 프로세서(2034) 및 RF 회로(2035)가 통합되어 있는 하나의 칩 모듈일 수 있다.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는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BB 프로세서들(2034) 및 다수의 RF 회로들(20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가 다수의 BB 프로세서들(2034) 및 다수의 RF 회로들(2035)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는 또한 단일의 BB 프로세서(2034) 또는 단일의 RF 회로(2035)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셀룰러 통신 스킴에 추가하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는 단거리 무선 통신 스킴, 근거리 통신 스킴, 또는 무선 LAN 스킴과 같은 다른 타입의 무선 통신 스킴을 지원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는 각각의 무선 통신 스킴에 대한 BB 프로세서(2034) 및 RF 회로(2035)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스위치들(2036) 각각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에 포함되는 (상이한 무선 통신 스킴들에 대한 회로들과 같은) 다수의 회로들 사이에서 안테나들(2037)의 접속 목적지를 전환한다.
안테나들(2037) 각각은 단일의 또는 (MIMO 안테나에 포함되는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과 같은) 다수의 안테나 엘리먼트들을 포함하고,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가 무선 신호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데 사용된다.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2020)는 도 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안테나들(2037)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2020)가 다수의 안테나들(2037)을 포함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2020)는 또한 단일의 안테나(2037)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2020)는 각각의 무선 통신 스킴에 대한 안테나(203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안테나 스위치들(2036)은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2020)의 구성으로부터 생략될 수 있다.
배터리(2038)는, 도면에서 파선들로서 부분적으로 도시되는, 공급 라인들을 통해 도 20에 도시되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2020)의 블록들에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2038)는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축적한다.
도 20에 도시되는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2020)에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수신 유닛 및 전송 유닛이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2033)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 유닛 및 검출 유닛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가 또한 프로세서(202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기술은 또한 자동차 내비게이션 장치(2020), 차량 내 네트워크(2041), 및 차량 모듈(2042) 중 하나 이상의 블록들을 포함하는 차량 내 시스템(또는 차량)(2040)으로서 실현될 수 있다. 차량 모듈(2042)은 (차량 속도, 엔진 속도, 및 고장 정보와 같은) 차량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를 차량 내 네트워크(2041)에 출력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위에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이 물론 위 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지다. 관련분야에서의 기술자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을 행할 수 있고, 이러한 변경들 및 수정들은 당연히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위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유닛에 포함되는 다수의 기능들이 별개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위 실시예들에서, 다수의 유닛들에 의해 구현되는 다수의 기능들이 별개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위 기능들 중 하나가 다수의 유닛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구성이 본 개시내용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설명에서, 흐름도들에 설명되는 단계들은 설명되는 순서로 그대로 수행되는 처리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반드시 그대로는 아니지만 동시에 또는 별개로 수행되는 처리를 또한 포함한다. 또한, 그대로 수행되는 단계들에서도, 물론, 순서가 또한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Claims (33)

  1. 인가 대역 상에 주 성분 캐리어가 존재하고 비인가 대역 상에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이 존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 디바이스로서,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에 미리 할당되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에 할당되도록, 상기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조절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의 전력 조절 결과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유닛- 상기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할당이 변경되는지 표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
    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절 결과는 상기 전력 조절의 오프셋 양을 표시하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X2 시그널링을 통해, 상기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 및 상기 전력 조절 결과를 상기 기지국의 인접한 기지국과 상호 작용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상호 작용의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로부터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를 선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상호 작용의 결과에 따라 상기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을 활성화/비활성화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여 상기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및 상기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유닛; 및
    상기 전력 조절 결과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전력 제어 정보 생성 유닛
    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검출 유닛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전력 조절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고 상기 전력 조절 결과에 따라 다운링크 신호 송신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 생성 유닛은 상기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1A/1B/1D/1/2A/2/2B/2C/2D인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DCI 포맷 1A/1B/1D/1/2A/2/2B/2C/2D에서의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의 송신 전력 제어에 대한 정보 비트들 또는 DCI 포맷 1A/1B/1D/1/2A/2/2B/2C/2D에서의 패딩 비트들을 재사용하여 상기 전력 조절 결과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는 디바이스.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 생성 유닛은 상기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공통인 전력 제어 정보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1C인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상기 DCI 포맷 1C에서의 시간 분할 듀플렉싱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정보 비트들 또는 패딩 비트들을 재사용하여 상기 전력 조절 결과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통지하는 디바이스.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MAC(media access control) 레이어 제어 정보 또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레이어 제어 정보인 디바이스.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주 성분 캐리어 또는 상기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을 통해,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1A/1B/1D/1/2A/2/2B/2C/2D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그리고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보고되는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전력 조절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전력 조절 결과를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에 포함시켜 이를 다음 사이클에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 중 특정 부 성분 캐리어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특정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하다고 상기 검출 유닛이 검출하면, 상기 특정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주 성분 캐리어를 통해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을 상기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블록들에 대해 사용될 리소스 블록들을 상기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블록에 할당함으로써 또는 상기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에 의해 송신되는 송신 블록에 대해 사용되도록 변조 코딩 스킴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전력 조절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사용자 장비로부터의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업링크 데이터 송신 실패의 원인을 파악하여, 상기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의 경합 윈도우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 측 디바이스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전력 조절 결과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수신 유닛- 상기 전력 조절 결과는 비인가 대역 상에서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조절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행함으로써 획득되어,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에 미리 할당되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에 할당되고, 상기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할당이 변경되는지 표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 및
    상기 전력 조절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조절 결과는 상기 전력 조절의 오프셋 양을 표시하는 정보를 추가로 포함하는 디바이스.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의 전력 조절 결과를 포함하는 전력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전력 제어 정보를 디코딩함으로써 상기 전력 조절 결과를 획득하여 채널 상태 정보 측정 결과 및/또는 무선 리소스 관리 측정 결과를 제어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 각각에 대한 전력 제어 정보를 디코딩함으로써 상기 전력 조절 결과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1A/1B/1D/1/2A/2/2B/2C/2D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1A/1B/1D/1/2A/2/2B/2C/2D를 디코딩함으로써 상기 전력 조절 결과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DCI 포맷 1A/1B/1D/1/2A/2/2B/2C/2D에서의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의 송신 전력 제어에 대한 정보 비트들 또는 상기 DCI 포맷 1A/1B/1D/1/2A/2/2B/2C/2D에서의 패딩 비트들을 디코딩함으로써 상기 전력 조절 결과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공통인 전력 제어 정보를 디코딩함으로써 상기 전력 조절 결과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제어 정보는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1C이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포맷 1C를 디코딩함으로써 상기 전력 조절 결과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DCI 포맷 1C에서의 시간 분할 듀플렉싱의 업링크/다운링크 구성에 대한 정보 비트들 또는 패딩 비트들을 디코딩함으로써 상기 전력 조절 결과를 획득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29.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을 수신하도록 추가로 구성되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에 따라 상기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의 이용 가능성을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유닛; 및
    상기 검출 유닛의 검출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전송 유닛
    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전력 조절 결과는 상기 검출 유닛의 검출 결과에 따라 상기 기지국에 의해 행해지는 디바이스.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를 통해 상기 검출 결과를 직접 전송하도록 또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를 통해 업링크 데이터와 멀티플렉싱된 검출 결과를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상기 검출 결과가 특정 부 성분 캐리어가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표시하면, 다음 사이클에서 업링크 스케줄링 승인 시그널링에 포함되는 전력 조절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부 성분 캐리어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디바이스.
  32. 인가 대역 상에 주 성분 캐리어가 존재하고 비인가 대역 상에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이 존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측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에 미리 할당되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에 할당되도록, 상기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조절을 수행하는 제어 단계; 및
    전력 조절 결과를 사용자 장비에 전송하는 통신 단계- 상기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할당이 변경되는지 표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
    를 포함하는 방법.
  33.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장비 측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전력 조절 결과를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전력 조절 결과는 비인가 대역 상에서 복수의 부 성분 캐리어들에 대한 이용 가능성 검출 결과에 따라 전력 조절을, 상기 기지국에 의해, 수행함으로써 획득되어, 하나 이상의 이용 불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에 미리 할당되는 미리 결정된 송신 전력이, 이용 가능한 부 성분 캐리어들 중 사용될 부 성분 캐리어에 할당되고, 상기 전력 조절 결과는 전력 할당이 변경되는지 표시하는 정보를 적어도 포함함 -; 및
    상기 전력 조절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07463A 2015-09-23 2016-09-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및 방법 KR2018005762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611829.X 2015-09-23
CN201510611829.XA CN106549742B (zh) 2015-09-23 2015-09-23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和方法
PCT/CN2016/099718 WO2017050249A1 (zh) 2015-09-23 2016-09-22 无线通信系统中的装置和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621A true KR20180057621A (ko) 2018-05-30

Family

ID=58365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463A KR20180057621A (ko) 2015-09-23 2016-09-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디바이스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624048B2 (ko)
EP (1) EP3352493B1 (ko)
KR (1) KR20180057621A (ko)
CN (1) CN106549742B (ko)
WO (1) WO20170502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5562B2 (en) * 2015-05-28 2018-11-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link adaptation in uplink grant-less random access
CN109937603B (zh) * 2017-05-03 2021-12-28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竞争的传输方法和设备
US11012945B2 (en) * 2017-09-29 2021-05-1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ower allocation
CN107612671A (zh) * 2017-10-24 2018-01-19 厦门美图移动科技有限公司 载波功率控制方法及装置
US20200007278A1 (en) * 2018-07-02 2020-01-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carrier aggregation control
EP3834456A4 (en) * 2018-08-09 2022-03-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ONS IN DIFFERENT FREQUENCY BANDS WITHIN A RADIO DEVICE
US10856227B2 (en) * 2018-09-28 2020-12-01 Mediatek Inc. Triggering adaptation mechanisms for UE power-saving
CN112449414B (zh) * 2019-08-30 2022-07-22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射功率的分配方法、网络设备以及存储介质
CN116017659A (zh) * 2021-10-22 2023-04-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分配方法、装置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3968B2 (en) * 2007-01-19 2013-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ower sav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WO2009058971A2 (en) * 2007-11-02 2009-05-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Power control for combined dynamically and persistently scheduled pusch in e-utra
WO2010098579A2 (en) * 2009-02-25 2010-09-0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xchanging messages between devices in a wireless network, and devices for the same
CN102256258B (zh) * 2010-05-19 2013-11-20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载频资源的分配方法及载频资源的分配装置
DE112011103063T5 (de) * 2010-09-13 2013-06-27 Lg Electronics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Steuerinformation
CN102448094B (zh) * 2012-01-16 2014-12-10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多载波用户的数据传输方法和设备
US8462688B1 (en) * 2012-01-25 2013-06-11 Ofinno Technologies, Llc Base station and wireless device radio resource control configuration
CN104540158B (zh) * 2015-01-12 2018-12-25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信道检测通知方法、系统和基站
US10397794B2 (en) * 2015-01-29 2019-08-27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on in unlicensed spectrum
US10064227B2 (en) * 2015-08-13 2018-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unlicensed spectrum
US11716187B2 (en) * 2015-08-14 2023-08-01 Apple Inc. Methods for CQI feedback and RRM measurements with dynamic power sharing among multiple LAA SCells for DL-only transmission
CN107926056B (zh) * 2015-08-21 2021-03-19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用于信道接入的方法和执行该方法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52493A1 (en) 2018-07-25
US20180263002A1 (en) 2018-09-13
EP3352493A4 (en) 2018-08-01
EP3352493B1 (en) 2021-03-31
US20200213957A1 (en) 2020-07-02
US10624048B2 (en) 2020-04-14
CN106549742A (zh) 2017-03-29
WO2017050249A1 (zh) 2017-03-30
CN106549742B (zh) 2021-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6573B2 (e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US11336390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same
US20200213957A1 (en)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6452705B (zh)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无线通信方法
EP3567909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by terminal for v2x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same method
US1103947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EP3927040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864240B2 (en) Tele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s
CN112970214B (zh) 用于侧链路的反馈信令
CN108702741B (zh) 终端设备、基站设备和通信方法
CN114731667A (zh) 终端装置、基站设备和通信方法
US11750345B2 (en) Electronic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170207889A1 (en) Device
US11997716B2 (en)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230262771A1 (en) Electronic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13330703A (zh)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