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534A -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534A
KR20180056534A KR1020160154610A KR20160154610A KR20180056534A KR 20180056534 A KR20180056534 A KR 20180056534A KR 1020160154610 A KR1020160154610 A KR 1020160154610A KR 20160154610 A KR20160154610 A KR 20160154610A KR 20180056534 A KR20180056534 A KR 20180056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size
laser sensor
distan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형
최해원
Original Assignee
김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형 filed Critical 김진형
Priority to KR1020160154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6534A/ko
Publication of KR20180056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06T7/73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06T7/74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using feature-based methods involving reference images or pa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거리측정 센서부를 결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물체의 크기를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하여 간단한 촬영 조작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양 끝점만 설정해주면 물체의 실제 크기를 파악하는 데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치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치수를 나타낸 부분이 닫을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직접 물체까지 이동하여 측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 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줄자 버니어캘리퍼스에 있어서 스마트폰 카메라와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수 있게 종래 사용되어지는 거리측정용 레이저 센서 부품으로 구성 한 레이저 센서부, 스마트폰 카메라와 수평이 되도록 스마트폰 몸체와 레이저 센서를 고정할 수 있게 레이저 센서를 고정 할 수 있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한 센서 고정용 몸체부, 센서 고정용 몸체부와 스마트폰의 결합이 용이 할 수 있게 스마트폰의 다양한 크기에도 잘 결합이 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접촉되는 부분의 길이가 변화 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한 스마트폰 결합부, 스마트폰과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의 측정값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블루투스 센서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한 블루투스 센서 탑재부,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스마트폰 화면에서 볼 수 있게 스마트폰 화면상에 숫자를 시각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구성한 거리 측정값 표현부, 물체를 촬영할 수 있게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 몸체로 구성한 스마트폰 몸체, 스마트폰 화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이격된 거리를 거리측정 센서부를 통해 측정한 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거리 표시부,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스마트폰 화면 상의 화소(pixel)가 차지하는 개수와 단위화소의 크기의 곱을 통해 산출된 결과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크기 표시부,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한 쪽 모서리와 다른 쪽 모서리를 연결하여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실선으로 구성한 측정 기준선, 물체의 크기를 측정 할 수 있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측정 기준선 위에 물체의 양 끝점을 생성한 측정 되는 양쪽 끝 점을 나타내는 점, 제조사와 기종에 따라 다른 스마트폰 카메라의 화소(pixel) 총 개수에서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하나의 화소 크기를 기준 단위화소 크기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구성한 스마트폰 화면의 단위화소, 단위화소를 구분 할 수 있게 화면상에 직접 표시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지만 실제 분석을 위해 내부 기기 마이크로콘트롤러에서 단위화소 구분을 위해 가상의 선을 그어주는 것으로 구성한 단위화소 구분하여주는 선, 도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를 알아 볼 수 있게 물체가 차지하는 현재 단위픽셀의 개수가 몇 개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가상의 원을 구성한 측정하는 물체를 나타내어 주는 선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거리측정 센서부를 결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물체의 크기를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하여 간단한 촬영 조작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양 끝점만 설정해주면 물체의 실제 크기를 파악하는 데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치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치수를 나타낸 부분이 닫을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직접 물체까지 이동하여 측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The size of objects using smart phone camera and laser sensor measurement methods}
본 발명은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줄자 버니어캘리퍼스에 있어서,
스마트폰 카메라와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수 있게 종래 사용되어지는 거리측정용 레이저 센서 부품으로 구성 한 레이저 센서부, 스마트폰 카메라와 수평이 되도록 스마트폰 몸체와 레이저 센서를 고정할 수 있게 레이저 센서를 고정 할 수 있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한 센서 고정용 몸체부, 센서 고정용 몸체부와 스마트폰의 결합이 용이 할 수 있게 스마트폰의 다양한 크기에도 잘 결합이 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접촉되는 부분의 길이가 변화 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한 스마트폰 결합부, 스마트폰과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의 측정값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블루투스 센서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한 블루투스 센서 탑재부,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스마트폰 화면에서 볼 수 있게 스마트폰 화면상에 숫자를 시각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구성한 거리 측정값 표현부, 물체를 촬영할 수 있게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 몸체로 구성한 스마트폰 몸체, 스마트폰 화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이격된 거리를 거리측정 센서부를 통해 측정한 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거리 표시부,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스마트폰 화면 상의 화소(pixel)가 차지하는 개수와 단위화소의 크기의 곱을 통해 산출된 결과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크기 표시부,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한 쪽 모서리와 다른 쪽 모서리를 연결하여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실선으로 구성한 측정 기준선, 물체의 크기를 측정 할 수 있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측정 기준선 위에 물체의 양 끝점을 생성한 측정 되는 양쪽 끝 점을 나타내는 점, 제조사와 기종에 따라 다른 스마트폰 카메라의 화소(pixel) 총 개수에서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하나의 화소 크기를 기준 단위화소 크기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구성한 스마트폰 화면의 단위화소, 단위화소를 구분 할 수 있게 화면상에 직접 표시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지만 실제 분석을 위해 내부 기기 마이크로콘트롤러에서 단위화소 구분을 위해 가상의 선을 그어주는 것으로 구성한 단위화소 구분하여주는 선, 도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를 알아 볼 수 있게 물체가 차지하는 현재 단위픽셀의 개수가 몇 개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가상의 원을 구성한 측정하는 물체를 나타내어 주는 선으로 구성 하여서,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거리측정 센서부를 결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물체의 크기를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하여 간단한 촬영 조작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양 끝점만 설정해주면 물체의 실제 크기를 파악하는 데 용이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자 버니어캘리퍼스는 물체의 크기를 센티미터 혹은 미리미터 단위로 측정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줄자 버니어캘리퍼스는 치수를 나타낸 부분, 치수를 나타낸 부분의 파지가 쉽도록 하는 몸체 부분 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줄자 버니어캘리퍼스는 치수를 나타낸 부분의 시작점을 물체의 한 모서리에 맞추고 치수를 나타낸 부분을 다른 모서리 까지 뻗어 그 수치를 습득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줄자 버니어캘리퍼스는 치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치수를 나타낸 부분이 닫을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직접 물체까지 이동하여 측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 제 1010746780000호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줄자 버니어캘리퍼스가 치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치수를 나타낸 부분이 닫을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직접 물체까지 이동하여 측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폰 카메라와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수 있게 종래 사용되어지는 거리측정용 레이저 센서 부품으로 구성 한 레이저 센서부, 스마트폰 카메라와 수평이 되도록 스마트폰 몸체와 레이저 센서를 고정할 수 있게 레이저 센서를 고정 할 수 있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한 센서 고정용 몸체부, 센서 고정용 몸체부와 스마트폰의 결합이 용이 할 수 있게 스마트폰의 다양한 크기에도 잘 결합이 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접촉되는 부분의 길이가 변화 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한 스마트폰 결합부, 스마트폰과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의 측정값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블루투스 센서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한 블루투스 센서 탑재부,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스마트폰 화면에서 볼 수 있게 스마트폰 화면상에 숫자를 시각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구성한 거리 측정값 표현부, 물체를 촬영할 수 있게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 몸체로 구성한 스마트폰 몸체, 스마트폰 화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이격된 거리를 거리측정 센서부를 통해 측정한 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거리 표시부,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스마트폰 화면 상의 화소(pixel)가 차지하는 개수와 단위화소의 크기의 곱을 통해 산출된 결과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크기 표시부,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한 쪽 모서리와 다른 쪽 모서리를 연결하여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실선으로 구성한 측정 기준선, 물체의 크기를 측정 할 수 있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측정 기준선 위에 물체의 양 끝점을 생성한 측정 되는 양쪽 끝 점을 나타내는 점, 제조사와 기종에 따라 다른 스마트폰 카메라의 화소(pixel) 총 개수에서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하나의 화소 크기를 기준 단위화소 크기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구성한 스마트폰 화면의 단위화소, 단위화소를 구분 할 수 있게 화면상에 직접 표시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지만 실제 분석을 위해 내부 기기 마이크로콘트롤러에서 단위화소 구분을 위해 가상의 선을 그어주는 것으로 구성한 단위화소 구분하여주는 선, 도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를 알아 볼 수 있게 물체가 차지하는 현재 단위픽셀의 개수가 몇 개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가상의 원을 구성한 측정하는 물체를 나타내어 주는 선으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 카메라와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수 있게 종래 사용되어지는 거리측정용 레이저 센서 부품으로 구성 한 레이저 센서부, 스마트폰 카메라와 수평이 되도록 스마트폰 몸체와 레이저 센서를 고정할 수 있게 레이저 센서를 고정 할 수 있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한 센서 고정용 몸체부, 센서 고정용 몸체부와 스마트폰의 결합이 용이 할 수 있게 스마트폰의 다양한 크기에도 잘 결합이 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접촉되는 부분의 길이가 변화 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한 스마트폰 결합부, 스마트폰과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의 측정값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블루투스 센서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한 블루투스 센서 탑재부,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스마트폰 화면에서 볼 수 있게 스마트폰 화면상에 숫자를 시각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구성한 거리 측정값 표현부, 물체를 촬영할 수 있게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 몸체로 구성한 스마트폰 몸체, 스마트폰 화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이격된 거리를 거리측정 센서부를 통해 측정한 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거리 표시부,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스마트폰 화면 상의 화소(pixel)가 차지하는 개수와 단위화소의 크기의 곱을 통해 산출된 결과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크기 표시부,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한 쪽 모서리와 다른 쪽 모서리를 연결하여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실선으로 구성한 측정 기준선, 물체의 크기를 측정 할 수 있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측정 기준선 위에 물체의 양 끝점을 생성한 측정 되는 양쪽 끝 점을 나타내는 점, 제조사와 기종에 따라 다른 스마트폰 카메라의 화소(pixel) 총 개수에서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하나의 화소 크기를 기준 단위화소 크기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구성한 스마트폰 화면의 단위화소, 단위화소를 구분 할 수 있게 화면상에 직접 표시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지만 실제 분석을 위해 내부 기기 마이크로콘트롤러에서 단위화소 구분을 위해 가상의 선을 그어주는 것으로 구성한 단위화소 구분하여주는 선, 도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를 알아 볼 수 있게 물체가 차지하는 현재 단위픽셀의 개수가 몇 개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가상의 원을 구성한 측정하는 물체를 나타내어 주는 선으로 구성 함으로써, 사용자가 스마트폰에 거리측정 센서부를 결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물체의 크기를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하여 간단한 촬영 조작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양 끝점만 설정해주면 물체의 실제 크기를 파악하는 데 용이하도록 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스마트폰에 결합되는 센서부를 포함한 장치를 상부에서 본 도면
도 2: 센서부를 포함한 장치를 스마트폰과 결합한 모습
도 3: 스마트폰 화면에서 실제 물체의 크기를 측정하는 모습
도 4: 스마트폰 화면에 나타난 물체를 화소단위로 나누어 크기를 분석하는 모습
도 5: 스마트폰의 화소 1개의 크기를 측정하여 기준화소 단위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한 알고리즘
도 6: 스마트폰으로 물체 촬영 시 단위화소의 크기를 결정하고 물체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알고리즘
즉, 본 발명은 스마트폰 카메라와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수 있게 종래 사용되어지는 거리측정용 레이저 센서 부품으로 구성 한 (101)레이저 센서부, 스마트폰 카메라와 수평이 되도록 스마트폰 몸체와 레이저 센서를 고정할 수 있게 레이저 센서를 고정 할 수 있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한 (102)센서 고정용 몸체부, 센서 고정용 몸체부와 스마트폰의 결합이 용이 할 수 있게 스마트폰의 다양한 크기에도 잘 결합이 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접촉되는 부분의 길이가 변화 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한 (103)스마트폰 결합부, 스마트폰과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의 측정값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블루투스 센서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한 (104)블루투스 센서 탑재부,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스마트폰 화면에서 볼 수 있게 스마트폰 화면상에 숫자를 시각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구성한 (201)거리 측정값 표현부, 물체를 촬영할 수 있게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 몸체로 구성한 (200)스마트폰 몸체, 스마트폰 화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이격된 거리를 거리측정 센서부를 통해 측정한 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201)거리 표시부,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스마트폰 화면 상의 화소(pixel)가 차지하는 개수와 단위화소의 크기의 곱을 통해 산출된 결과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202)크기 표시부,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한 쪽 모서리와 다른 쪽 모서리를 연결하여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실선으로 구성한 (203)측정 기준선, 물체의 크기를 측정 할 수 있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측정 기준선 위에 물체의 양 끝점을 생성한 (204)측정 되는 양쪽 끝 점을 나타내는 점, 제조사와 기종에 따라 다른 스마트폰 카메라의 화소(pixel) 총 개수에서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하나의 화소 크기를 기준 단위화소 크기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구성한 (300)스마트폰 화면의 단위화소, 단위화소를 구분 할 수 있게 화면상에 직접 표시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지만 실제 분석을 위해 내부 기기 마이크로콘트롤러에서 단위화소 구분을 위해 가상의 선을 그어주는 것으로 구성한 (301)단위화소 구분하여주는 선, 도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를 알아 볼 수 있게 물체가 차지하는 현재 단위픽셀의 개수가 몇 개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가상의 원을 구성한 (302)측정하는 물체를 나타내어 주는 선으로 구성 된 것이다.
여기서, (102)센서 고정용 몸체부는 스마트폰 카메라와 수평이 되도록 스마트폰 몸체와 레이저 센서를 고정할 수 있게 레이저 센서를 고정 할 수 있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103)스마트폰 결합부는 센서 고정용 몸체부와 스마트폰의 결합이 용이 할 수 있게 스마트폰의 다양한 크기에도 잘 결합이 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접촉되는 부분의 길이가 변화 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104)블루투스 센서 탑재부는 스마트폰과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의 측정값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블루투스 센서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201)거리 측정값 표현부는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스마트폰 화면에서 볼 수 있게 스마트폰 화면상에 숫자를 시각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201)거리 표시부는 스마트폰 화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이격된 거리를 거리측정 센서부를 통해 측정한 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202)크기 표시부는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스마트폰 화면 상의 화소(pixel)가 차지하는 개수와 단위화소의 크기의 곱을 통해 산출된 결과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203)측정 기준선은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한 쪽 모서리와 다른 쪽 모서리를 연결하여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실선으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204)측정 되는 양쪽 끝 점을 나타내는 점은 물체의 크기를 측정 할 수 있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측정 기준선 위에 물체의 양 끝점을 생성한 것이다.
여기서, (300)스마트폰 화면의 단위화소는 제조사와 기종에 따라 다른 스마트폰 카메라의 화소(pixel) 총 개수에서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하나의 화소 크기를 기준 단위화소 크기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301)단위화소 구분하여주는 선은 단위화소를 구분 할 수 있게 화면상에 직접 표시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지만 실제 분석을 위해 내부 기기 마이크로콘트롤러에서 단위화소 구분을 위해 가상의 선을 그어주는 것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사용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줄자 버니어캘리퍼스에 있어서 스마트폰 카메라와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수 있게 종래 사용되어지는 거리측정용 레이저 센서 부품으로 구성 한 (101)레이저 센서부, 스마트폰 카메라와 수평이 되도록 스마트폰 몸체와 레이저 센서를 고정할 수 있게 레이저 센서를 고정 할 수 있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한 (102)센서 고정용 몸체부, 센서 고정용 몸체부와 스마트폰의 결합이 용이 할 수 있게 스마트폰의 다양한 크기에도 잘 결합이 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접촉되는 부분의 길이가 변화 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한 (103)스마트폰 결합부, 스마트폰과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의 측정값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블루투스 센서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한 (104)블루투스 센서 탑재부,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스마트폰 화면에서 볼 수 있게 스마트폰 화면상에 숫자를 시각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구성한 (201)거리 측정값 표현부, 물체를 촬영할 수 있게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 몸체로 구성한 (200)스마트폰 몸체, 스마트폰 화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이격된 거리를 거리측정 센서부를 통해 측정한 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201)거리 표시부,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스마트폰 화면 상의 화소(pixel)가 차지하는 개수와 단위화소의 크기의 곱을 통해 산출된 결과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202)크기 표시부,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한 쪽 모서리와 다른 쪽 모서리를 연결하여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실선으로 구성한 (203)측정 기준선, 물체의 크기를 측정 할 수 있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측정 기준선 위에 물체의 양 끝점을 생성한 (204)측정 되는 양쪽 끝 점을 나타내는 점, 제조사와 기종에 따라 다른 스마트폰 카메라의 화소(pixel) 총 개수에서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하나의 화소 크기를 기준 단위화소 크기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구성한 (300)스마트폰 화면의 단위화소, 단위화소를 구분 할 수 있게 화면상에 직접 표시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지만 실제 분석을 위해 내부 기기 마이크로콘트롤러에서 단위화소 구분을 위해 가상의 선을 그어주는 것으로 구성한 (301)단위화소 구분하여주는 선, 도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를 알아 볼 수 있게 물체가 차지하는 현재 단위픽셀의 개수가 몇 개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가상의 원을 구성한 (302)측정하는 물체를 나타내어 주는 선으로 구성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치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치수를 나타낸 부분이 닫을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직접 물체까지 이동하여 측정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해소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레이저 센서를 고정 할 수 있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한 (102)센서 고정용 몸체부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스마트폰 카메라와 수평이 되도록 스마트폰 몸체와 레이저 센서를 고정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스마트폰의 다양한 크기에도 잘 결합이 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접촉되는 부분의 길이가 변화 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한 (103)스마트폰 결합부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센서 고정용 몸체부와 스마트폰의 결합이 용이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블루투스 센서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한 (104)블루투스 센서 탑재부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스마트폰과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의 측정값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스마트폰 화면상에 숫자를 시각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구성한 (201)거리 측정값 표현부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스마트폰 화면에서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201)거리 표시부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스마트폰 화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이격된 거리를 거리측정 센서부를 통해 측정한 값을 나타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202)크기 표시부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스마트폰 화면 상의 화소(pixel)가 차지하는 개수와 단위화소의 크기의 곱을 통해 산출된 결과값을 나타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실선으로 구성한 (203)측정 기준선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한 쪽 모서리와 다른 쪽 모서리를 연결하여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측정 기준선 위에 물체의 양 끝점을 생성한 (204)측정 되는 양쪽 끝 점을 나타내는 점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물체의 크기를 측정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하나의 화소 크기를 기준 단위화소 크기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구성한 (300)스마트폰 화면의 단위화소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제조사와 기종에 따라 다른 스마트폰 카메라의 화소(pixel) 총 개수에서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화면상에 직접 표시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지만 실제 분석을 위해 내부 기기 마이크로콘트롤러에서 단위화소 구분을 위해 가상의 선을 그어주는 것으로 구성한 (301)단위화소 구분하여주는 선으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단위화소를 구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101: 레이저 센서부, 102: 센서 고정용 몸체부, 103: 스마트폰 결합부, 104: 블루투스 센서 탑재부, 201: 거리 측정값 표현부, 200: 스마트폰 몸체, 201: 거리 표시부, 202: 크기 표시부, 203: 측정 기준선, 204: 측정 되는 양쪽 끝 점을 나타내는 점, 300: 스마트폰 화면의 단위화소, 301: 단위화소 구분하여주는 선, 302: 측정하는 물체를 나타내어 주는 선

Claims (11)

  1. 줄자 버니어캘리퍼스에 있어서,
    스마트폰 카메라와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수 있게 종래 사용되어지는 거리측정용 레이저 센서 부품으로 구성 한 (101)레이저 센서부, 스마트폰 카메라와 수평이 되도록 스마트폰 몸체와 레이저 센서를 고정할 수 있게 레이저 센서를 고정 할 수 있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한 (102)센서 고정용 몸체부, 센서 고정용 몸체부와 스마트폰의 결합이 용이 할 수 있게 스마트폰의 다양한 크기에도 잘 결합이 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접촉되는 부분의 길이가 변화 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한 (103)스마트폰 결합부, 스마트폰과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의 측정값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블루투스 센서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한 (104)블루투스 센서 탑재부,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스마트폰 화면에서 볼 수 있게 스마트폰 화면상에 숫자를 시각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구성한 (201)거리 측정값 표현부, 물체를 촬영할 수 있게 카메라가 내장된 스마트폰 몸체로 구성한 (200)스마트폰 몸체, 스마트폰 화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이격된 거리를 거리측정 센서부를 통해 측정한 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201)거리 표시부,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스마트폰 화면 상의 화소(pixel)가 차지하는 개수와 단위화소의 크기의 곱을 통해 산출된 결과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한 (202)크기 표시부,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한 쪽 모서리와 다른 쪽 모서리를 연결하여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실선으로 구성한 (203)측정 기준선, 물체의 크기를 측정 할 수 있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측정 기준선 위에 물체의 양 끝점을 생성한 (204)측정 되는 양쪽 끝 점을 나타내는 점, 제조사와 기종에 따라 다른 스마트폰 카메라의 화소(pixel) 총 개수에서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하나의 화소 크기를 기준 단위화소 크기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구성한 (300)스마트폰 화면의 단위화소, 단위화소를 구분 할 수 있게 화면상에 직접 표시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지만 실제 분석을 위해 내부 기기 마이크로콘트롤러에서 단위화소 구분을 위해 가상의 선을 그어주는 것으로 구성한 (301)단위화소 구분하여주는 선, 도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를 알아 볼 수 있게 물체가 차지하는 현재 단위픽셀의 개수가 몇 개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가상의 원을 구성한 (302)측정하는 물체를 나타내어 주는 선으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102)센서 고정용 몸체부를 통하여 스마트폰 카메라와 수평이 되도록 스마트폰 몸체와 레이저 센서를 고정할 수 있게 레이저 센서를 고정 할 수 있는 하우징 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103)스마트폰 결합부를 통하여 센서 고정용 몸체부와 스마트폰의 결합이 용이 할 수 있게 스마트폰의 다양한 크기에도 잘 결합이 될 수 있도록 스마트폰과 접촉되는 부분의 길이가 변화 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104)블루투스 센서 탑재부를 통하여 스마트폰과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의 측정값을 주고 받을 수 있게 블루투스 센서를 탑재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201)거리 측정값 표현부를 통하여 거리 측정용 레이저 센서를 활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까지의 거리를 스마트폰 화면에서 볼 수 있게 스마트폰 화면상에 숫자를 시각적으로 보여질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201)거리 표시부를 통하여 스마트폰 화면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와 이격된 거리를 거리측정 센서부를 통해 측정한 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202)크기 표시부를 통하여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스마트폰 화면 상의 화소(pixel)가 차지하는 개수와 단위화소의 크기의 곱을 통해 산출된 결과값을 나타낼 수 있게 숫자와 단위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203)측정 기준선을 통하여 스마트폰 화면에 촬영된 물체를 측정하고자 하는 물체의 한 쪽 모서리와 다른 쪽 모서리를 연결하여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실선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204)측정 되는 양쪽 끝 점을 나타내는 점을 통하여 물체의 크기를 측정 할 수 있게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측정 기준선 위에 물체의 양 끝점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300)스마트폰 화면의 단위화소를 통하여 제조사와 기종에 따라 다른 스마트폰 카메라의 화소(pixel) 총 개수에서 물체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게 하나의 화소 크기를 기준 단위화소 크기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301)단위화소 구분하여주는 선을 통하여 단위화소를 구분 할 수 있게 화면상에 직접 표시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지만 실제 분석을 위해 내부 기기 마이크로콘트롤러에서 단위화소 구분을 위해 가상의 선을 그어주는 것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KR1020160154610A 2016-11-19 2016-11-19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KR20180056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610A KR20180056534A (ko) 2016-11-19 2016-11-19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610A KR20180056534A (ko) 2016-11-19 2016-11-19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534A true KR20180056534A (ko) 2018-05-29

Family

ID=62452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610A KR20180056534A (ko) 2016-11-19 2016-11-19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653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7402B2 (en) 2019-03-01 2020-12-15 Here Global B.V.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istance to object on road
KR102270226B1 (ko) * 2021-01-27 2021-06-29 주식회사 차후 지능형 철근 검측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62967B1 (ko) 2021-03-03 2022-02-15 (주)티에이싱크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WO2023229831A1 (en) 2022-05-27 2023-11-30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ickness and/or diameter using computer vis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7402B2 (en) 2019-03-01 2020-12-15 Here Global B.V.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istance to object on road
US11551373B2 (en) 2019-03-01 2023-01-10 Here Global B.V.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istance to object on road
KR102270226B1 (ko) * 2021-01-27 2021-06-29 주식회사 차후 지능형 철근 검측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362967B1 (ko) 2021-03-03 2022-02-15 (주)티에이싱크 스마트폰용 거리측정기
WO2023229831A1 (en) 2022-05-27 2023-11-30 Caterpilla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ickness and/or diameter using computer vi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4078B2 (en) Height measuring system and method
US10247541B2 (en) System and method of estimating the three-dimensional size of an object for packaging or storing the object
KR20180056534A (ko) 레이저 센서와 스마트폰 카메라를 활용한 물체 크기 측정 방법
TWI528019B (zh) 用於物件包裝之物件三維尺寸估測系統及方法
US9875574B2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identifying the deepest point on the surface of an anomaly
CN108389212A (zh) 用以量测脚部尺寸的方法及计算机可读媒体
JP2012185161A (ja) 携帯端末機に備えられたカメラを利用した物体の実際の大きさを測定する方法
US2010016626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asuring method using the same
TWI628416B (zh) 具有影像擷取能力之量測系統
CN105547159A (zh) 一种基于移动终端测量物体的方法及移动终端
TWI457540B (zh) Mobile distance device
KR20210033076A (ko)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어린이의 성장 상태 측정 시스템
CN103606149A (zh) 一种双目摄像机的标定方法、装置及双目摄像机
JP2016136112A5 (ja) 距離測定装置
US20150035963A1 (en) Dual-Camera Apparatus And Method For Deriving Dimensional Measurements
TW201326738A (zh) 相機模組檢測裝置及檢測方法
KR101541977B1 (ko) 표준 색상표 없이 색상 자가 진단이 가능한 스마트기기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
US201801998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pillary distance estimation from digital facial images
CN104688177A (zh) 一种基于终端的瞳距测量方法、瞳距测量装置、服务器及其系统
CN117044195A (zh) 便携式电子设备的校准方法
CN109938738B (zh) 一种前臂长度测量系统及方法
CN109816712B (zh) 基于图像的边缘测量
KR101536953B1 (ko) 간극 및 단차 검출기
JP2018156208A5 (ko)
KR101475742B1 (ko) 사진 계측 장치 및 방법